KR20210132395A - 도로 하수구용 악취차단 장치 - Google Patents

도로 하수구용 악취차단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32395A
KR20210132395A KR1020200050715A KR20200050715A KR20210132395A KR 20210132395 A KR20210132395 A KR 20210132395A KR 1020200050715 A KR1020200050715 A KR 1020200050715A KR 20200050715 A KR20200050715 A KR 20200050715A KR 20210132395 A KR20210132395 A KR 2021013239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wer
blocking plate
hole
block
od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507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종욱
조광일
Original Assignee
박종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종욱 filed Critical 박종욱
Priority to KR10202000507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132395A/ko
Publication of KR202101323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3239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04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 E03F5/0401Gullies for use in roads or pavements
    • E03F5/0405Gullies for use in roads or pavements with an odour seal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Sewa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도로 하수구에 설치되는 악취차단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하수맨홀 저면에 구비되며, 하수구와 연통되는 통공부가 형성된 본체와, 상기 통공부를 개폐하도록 상기 본체 저면에 힌지 결합되어 유체의 하중에 의해 하수구를 개폐하는 차단판을 통하여, 평상시에는 하수구의 악취를 차단하고, 유체 유입시에는 하수구로 유체를 유입시키도록 하여 배수를 유도할 수 있는 도로 하수구용 악취차단 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도로 하수구용 악취차단 장치{NASTY SMELL INTERCEPTION DEVICE OF MANHOLE}
본 발명은 도로 하수구에 설치되는 악취차단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하수맨홀 저면에 구비되며, 하수구와 연통되는 통공부가 형성된 본체와, 상기 통공부를 개폐하도록 상기 본체 저면에 힌지 결합되어 유체의 하중에 의해 하수구를 개폐하는 차단판을 통하여, 평상시에는 하수구의 악취를 차단하고, 유체 유입시에는 하수구로 유체를 유입시키도록 하여 배수를 유도할 수 있는 도로 하수구용 악취차단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도로 또는 노상에는 빗물이나 오수를 배출시키기 위한 배수구조물이 설치된다. 배수구조물은 지하에 매설된 하수관과 연결되어 집수된 빗물이나 오수를 하수처리장 또는 하천으로 이송시킨다. 여기서, 배수구조물의 트인 상부에는 "스틸 그레이팅(steel grating)"이라고도 불리는 격자 구조물(하수맨홀)이 설치되어 크고 거친 이물질을 걸러준다.
그런데, 이러한 배수구는 사람들이 통행하는 노면이나 주택가 근처에 구비된 경우에는 하수관에서 발생된 각종 악취나 병해충이 배출되어 생활보건환경에 큰 위험을 주고 있는 실정이다.
특히, 기온이 상승하는 여름철 등에는 하수관내에 고여 있는 각종 하수나 배출물이 썩어서 맨홀을 통해 배출됨으로써 배수구 근처를 통행하는 통행자들이나 주거생활자 등에게 많은 불쾌감을 주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이러한 현실을 감안하여 맨홀의 악취나 해충이 외부로 배출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도록 하는 하수의 역류와 악취를 차단하는 배수구 덮개가 필요하게 되었다.
이러한 종래기술로는 공개특허 제10-2017-0082238호 "도로 배수구 악취 차단 장치"(이하 '종래기술1'이라 함), 등록특허 제10-1140574호 "도로변 빗물 배수구의 악취 차단용 트랩"(이하 '종래기술2'라 함.), 등록특허 제10-1022021호 "하수구 악취방지 장치"(이하 '종래기술3'이라 함.), 등록실용신안 제20-0413103호 "하수구 악취 방지용 덮개"(이하 '종래기술4'라 함.)를 들 수 있다.
먼저, 상기 종래기술1은 배수구의 서로 마주보는 측벽에 서로 대칭되게 차단부재가 부착 설치되되, 상기 차단부재 각각은, 일 측 측벽에 나사못으로 부착되는 부착부와, 배수구의 일측 측벽에서 배수구의 중앙까지 커버하는 판부재인 차단부와, 상기 부착부의 상부 가장자리와 상기 차단부의 측벽측 가장자리를 연결하되 구부려지고 펴지면서 상기 차단부가 부착부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회동되게 하는 접철부와, 일단은 상기 차단부에 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부착부에 결합되어 상기 부착부가 상방으로 회전되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가하는 스프링이 구비되어 구성되며, 상기 차단부는 상기 배수구를 막도록 상기 스프링에 의해 상기 차단부가 수평한 위치까지 회전되고, 상부에 물이 유입되어 그 물의 무게에 의한 중력이 상기 스프링의 탄성력보다 커지면 배수구가 열리도록 하방으로 회전될 수 있도록 고안된 기술에 관한 것이다.
그러나 상기 종래기술1은 설치 시, 상기 배수구의 일측 측벽에 나사못을 통하여 고정함에 따라, 설치가 불편하다는 문제가 있다.
상기 종래기술2는 빗물 배수관 내의 오염된 공기를 효과적으로 차단하면서도 배수가 원활하고 신속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고, 쥐나 해충은 물론 후각과 시각의 혐오감을 완전히 차단시켜 줄 수 있는 친환경적이고 위생적인 빗물 배수구의 악취 차단용 트랩으로, 빗물 배수구의 상단에 설치되는 철망; 상기 철망의 하측에 위치되고 빗물 배수구의 내벽에 고정되는 고정 프레임; 상기 고정 프레임에 삽입되어 고정되는 삽입관; 상기 삽입관 내에 설치되고 힌지축을 중심으로 하방향으로 개방되도록 구성되는 차단막; 하방향으로 개방되는 상기 차단막을 다시 상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하여 차단막의 일측에 무게중심을 형성하는 무게추; 상기 삽입관 내면에 형성되고, 상기 차단막의 상방 이동 거리를 제한하기 위한 상방 고정돌기와, 상기 차단막의 하방 이동 거리를 제한하기 위한 하방 고정돌기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차단막은 상기 힌지축을 중심으로 좌우 대칭적으로 형성되고, 상기 힌지축과 연결되는 힌지 연결부가 마련되는 트랩을 제시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종래기술2는 우선 구조가 복잡하여 제조 비용이 증가하고, 설치의 번거로움이 발생하는 문제가 있다.
상기 종래기술3은 맨홀에 설치되는 맨홀 뚜껑이 하측에 배치되어 상기 맨홀 뚜껑을 통하여 수분이 유입될 수 있도록 상면이 개구 형성되고 유입된 수분을 일정량 수용할 수 있는 소정의 공간이 마련되며, 외면 일측에 절개공이 마련되고 상기 절개공의 주연부에 외측으로 소정 높이 돌출 형성된 돌출부재가 구비되며, 상기 절개공의 상부 양측에 힌지축이 구비된 수용하우징과; 상기 수용하우징의 내부에 수용된 수분이 일정량 이상이 되면 선택적으로 외부로 배출할 수 있도록 판면에서 소정의 높이로 돌출 형성되어 상기 절개공의 상측에 구비된 힌지축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된 힌지부재가 구비되어 상기 돌출부재와 선택적으로 접촉되는 회동커버와; 상기 수용하우징의 내부에 수용되는 수분이 일정량 이상일 경우에만 상기 회동커버를 회동시키고 상기 수분이 일정량 미만이 되면 상기 회동커버를 복귀시킬 수 있도록 일단이 상기 수용하우징의 일측에 접촉되고 타단이 상기 회동커버에 접촉되어 탄성력을 제공하는 복귀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됨으로써, 도로의 가장자리에 설치되어 하수구와 연결되도록 설치된 맨홀을 통하여 수분은 하수구로 배수가 가능하도록 하고, 하수구에서 발생하는 악취는 외부 공간으로 유출됨을 방지하는 기술을 제시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종래기술2 및 종래기술3의 경우, 하수구 내부로 장치의 일부가 인입되는 구조로서, 하수구의 크기, 모양 및 깊이에 따라 사용의 제한이 있으며, 특히 수직형 하수구가 아닌 수평형 관로에 형성되는 하수구에는 설치가 불가능하다는 한계가 있다.
아울러 종래기술4는 하수구 덮개의 아래 측에 설치되고 본체에 회동가능하게 핀으로 결합되며 우수 유입 시 개방되고, 자중에 의해 폐쇄되는 한 쌍의 악취차단판을 서로 마주보게 배치한 하수구 악취방지용 덮개에 있어서, 상측에 걸림턱이 형성되도록 본체에 결합되는 유입공이 형성된 커버와, 본체와 악취차단판 사이에 개재되어 본체와 결합되며 양측 악취차단판의 형상과 동일한 접지부가 가장자리 측에 절곡 형성된 한 쌍의 스페이스와, 하향 개구되게 스페이스에 엠보싱 형성한 축지부와, 상기 축지부 내에 결합된 상태로 본체 및 축지부에 결합되는 핀에 결합되도록 악취차단판과 일체로 형성한 브래킷을 포함하는 것으로서, 작동성을 향상 시킬 수 있도록 하였으며, 악취차단판의 오작동도 부가 설치되는 와이어로프를 당기는 수고로움만으로 간편하게 보수할 수 있는 사용 편리성도 제공하는 덮개를 제시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종래기술4는 우선적으로 구조가 복잡하며, 앞서 종래기술2 및 3과 같이 수평형 배수로에 설치되는 경우, 배수로 깊이의 차이에 따라 설치 자체가 불가능하거나, 설치 시 배수구 내부에 인입되는 장치로 인하여 유체의 흐름을 간섭할 수 있는 문제가 있다.
아울러,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들은 유체의 하중이 집중되지 않고 분산됨에 따라 적은 양의 비가 내리는 경우에는 유체가 하수구로 유입될 수 없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
하수맨홀 테두리 저면에 밀착되는 본체와, 상기 본체 저면에 힌지 결합되어 유체의 하중에 의해 하수구를 개방하는 차단판으로 이루어져, 유체는 하수구로 흘려보내고 악취는 차단할 수 있도록 하는 도로 하수구용 악취차단 장치를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특히, 상기 차단판이 탄성체의 탄성력을 통하여 하수구를 폐쇄함에 따라 평상시 유체가 유입되지 않을 때에는 악취의 차단을 완벽하게 할 수 있는 도로 하수구용 악취차단 장치를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아울러, 상기 차단판 상면에 장홈을 형성하여 유체가 고일 수 있도록 하여, 차단판에 하중을 집중시킬 수 있도록 하여 차단판의 개방을 수월하게 할 수 있는 도로 하수구용 악취차단 장치를 제공함을 또 하나의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하수구용 악취차단 장치는
하수맨홀 테두리 저면에 밀착되어 하수구에 고정되는 플랜지와, 상기 플랜지 중앙부에 상기 하수구와 연통되는 통공부를 형성하는 본체;
상기 본체 저면에 상기 통공부를 개폐하도록 힌지 결합되어 하수구의 악취를 차단하며, 통공부로 유입되는 유체의 하중에 의해 상기 하수구를 개방하도록 이루어지는 차단판;
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하수구용 악취차단 장치는 하수맨홀 테두리 저면에 밀착되는 본체와, 상기 본체에 힌지 결합되어 하수구를 개폐하는 차단판으로 이루어져, 평상시에는 하수구에서 올라오는 악취를 차단하고, 유체 유입시에는 유체의 하중에 의해 차단판이 개방되어 유체가 하수구로 유입될 수 있어 배수를 원활하게 할 수 있다.
또한 하수구 내부에 설치되는 것이 아니라 하수맨홀 저면에 설치되는 것으로, 구조가 간단하고 하수구의 깊이에 상관없이 설치가 자유로운 특징이 있다.
구체적으로 수직형으로 깊게 형성된 하수구가 아닌 배수로와 같이 수평형으로 이루어진 공간에도 설치가 가능하며, 설치 후에도 수평으로 흐르는 유체의 흐름을 간섭하지 않아 배수를 원활하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나아가 상기 차단판 상면에 장홈을 더 구비하여, 유체가 담길 수 있도록 함으로서 하중을 증가시켜 상기 차단판을 보다 수월하게 개방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하수구용 악취차단 장치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하수구용 악취차단 장치의 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하수구용 악취차단 장치의 설치도
도 4a는 본 발명에 따른 외부덮개의 또 다른 설치예
도 4b 및 도4c는 본 발명에 따른 외부덮개를 고정하는 탈착블록유닛의 실시예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구현예(態樣, aspect)(또는 실시예)들을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참조부호, 특히 십의 자리 및 일의 자리 수, 또는 십의 자리, 일의 자리 및 알파벳이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 또는 유사한 기능을 갖는 부재를 나타내고, 특별한 언급이 없을 경우 도면의 각 참조부호가 지칭하는 부재는 이러한 기준에 준하는 부재로 파악하면 된다.
또 각 도면에서 구성요소들은 이해의 편의 등을 고려하여 크기나 두께를 과장되게 크거나(또는 두껍게) 작게(또는 얇게) 표현하거나, 단순화하여 표현하고 있으나 이에 의하여 본 발명의 보호범위가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구현예(태양, 態樣, aspect)(또는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이루어진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 따른 도로 하수구용 악취차단 장치(D)는 도로변 등에 설치되는 하수구(A1), 보다 정확하게는 상기 하수구(A1)를 덮는 하수맨홀(A2) 저면에 구비되어 하수구(A1)에서 올라오는 악취를 차단하면서 배수를 용이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으로, 도1 및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10)와 상기 본체(10)에 구비되는 차단판(2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각각의 구성에 대하여 도1 내지 도3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우선 상기 본체(10)는 중앙에 통공부(13)가 형성되고, 이 통공부(13)를 형성하는 사각형의 플랜지(11)로 이루어진다.
상기 플랜지(11)의 형상은 일반적으로 설치되는 하수맨홀(A2)의 형상과 동일한 것으로, 그 크기 및 형상은 다양하게 구현될 수 있으며, 더 나아가 본 발명은 원형의 맨홀에도 설치가 가능한 것으로서, 이에 권리범위를 제한 해석해서는 안 된다.
일반적으로 하수구(A1)의 상부에는 상기 하수맨홀(A2)의 테두리부분이 안착될 수 있는 안착단턱(A11)이 형성되어 있는데, 상기 플랜지(11)가 상기 안착단턱(A11) 상부면, 즉 상기 하수맨홀(A2)의 테두리 저면에 밀착되도록 구비됨으로써, 설치 용이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고, 상기 통공부(13)는 유체, 일반적으로 빗물이 유입되는 공간으로 상기 하수구(A1)의 크기에 대응될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상기 통공부(13)에는 평상시에는 악취를 차단하고 유체 유입 시 배수를 원활히 하는 차단판(20)이 더 구비되게 되는데, 상기 차단판(20)은 상기 본체(10) 저면에 힌지결합부재(21)를 통하여 힌지 결합된다.
상기 힌지결합부재(21)는 상기 차단판(20) 양측에 구비되는 힌지돌기인 것도 가능하나,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쉽게 절곡이 가능한 경첩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하수맨홀(A2)에 유체가 유입되면, 상기 유체의 무게에 의해 자연스럽게 상기 차단판(20)이 힌지결합부재(21)를 통하여 선회하여, 힌지결합부재(21) 반대쪽이 하강하게 되고, 상기 차단판(20)이 하강함에 따라 상기 플랜지(11)와 차단판(20) 사이의 틈새를 통하여 유체가 하수구(A1)로 배수되게 된다.
이 때 상기 차단판(20)은 상기 차단판(20)의 일측이 상기 플랜지(11) 저면에 밀착되도록 상기 통공부보다 길게 형성되어, 상기 통공부를 관통하여 상승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차단판(20)은 상기와 같이 유체의 무게에 의해 통공부(13)를 개폐하는 것으로, 평상시에는 상기 통공부(13), 즉 하수구(A1)를 폐쇄하여 악취가 올라오는 것을 방지해야 하며,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상기 힌지결합부재(21)에 탄성체를 더 구비하여 차단판(20)이 상기 통공부(13)를 폐쇄하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받을 수 있도록 한다.
상기 탄성체(23)는 상기 힌지결합부재(21)에 구비되는 스프링으로, 코일스프링, 판스프링 등 다양한 형상의 스프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에 권리범위를 제한 해석해서는 안 된다.
이때 상기 탄성체의 탄성력은 유체의 중량에 의해 상기 차단판(20)이 하강할 수 있을 정도의 약한 탄성력으로 이루어져 배수가 원활하게 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은 유체의 유입되지 않으면 상기 탄성체(23)의 탄성력을 통하여 차단판(20)이 통공부(13), 즉 하수구(A1)를 폐쇄하여 악취가 올라오는 것을 완벽하게 차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이 하수구(A1)의 상부, 하수맨홀(A2) 저면에 밀착되도록 구비됨에 따라, 하수구(A1)의 깊이가 얕은 경우에도 손쉽게 설치가 가능하다.
구체적으로, 도면과 같이 하수구(A1)가 수직방향으로 깊게 형성된 관로가 있는 반면, 가로방향으로 흐르도록 얕게 형성되는 경우도 있으며, 본 발명은 하수구(A1)에 직접 설치되는 것이 아니라 하수구(A1) 상면, 즉 하수맨홀(A2) 저면에 설치됨에 따라 하수구(A1)가 얕은 경우에도 쉽게 설치가 가능하며, 하수구(A1) 내에서의 유체의 흐름 또한 방해하지 않는다.
더 나아가, 본 발명은 구조가 간단하여 작업자가 쉽게 기 설치된 하수맨홀(A2)을 들어 올린 후, 그 저면에 밀착되도록 안착시키는 공정을 통하여 설치가 가능함에 따라 설치 용이성 또한 향상시키는 특징이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은 상기 차단판(20)의 개방을 보다 수월하게 할 수 있도록, 상기 차단판(20) 상면에 장홈(25)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장홈(25) 상기 차단판(20) 상면에서 개방되는 방향으로 치우치게 형성된다.
따라서, 유체가 통공부로 인입되면 상기 장홈(25) 내부에 유체가 담기게 되고, 이에 따라 하중이 증가하여 차단판(20)을 보다 손쉽게 개방할 수 있도록 하며, 상기 장홈에 의해 유체가 흐를 때 담배꽁초와 같은 이물질이 걸리는 효과 또한 기대할 수 있다.
즉, 적은 양의 비가 내리는 경우에는 유체의 하중이 분산되어 상기 차단판(20)이 열리지 않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으나, 장홈(25)이 형성되면, 유체가 장홈(25)에 유입됨에 따라 하중을 집중시켜 보다 손쉽게 차단판(20)을 개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러나 상기 장홈(25)은 차단판(20)의 개방을 보다 수월하게 하는 부수적이 구성요소로서, 도1[A]와 같이 차단판(20)에 장홈(25)이 구비되지 않는 실시예도 가능하며, 이에 권리범위를 제한 해석해서는 안 된다.
더 나아가, 장홈(25)이 형성되지 않는 경우에는 상기 차단판(20)의 상면에 상기 차단판(20)의 일측, 즉 개방되는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되어 유체의 흐름을 유도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좋다.
상기 장홈(25)은 도면에는 단일의 홈으로 도시하였으나, 복수의 홈이 이격되어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나, 기능의 효율성을 위하여 도면과 같이 단일의 홈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나아가 도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외부덮개(30)는 탈착블록유닛(70)을 통하여 손쉽게 하수맨홀(A2)로부터 탈착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으며, 도4b 및 도4c를 참조하여 각각의 구성에 대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우선, 상기 탈착블록유닛(70)은 외부덮개(30)에 구비되며 인입부(713)가 구비된 제1블록(71)과, 상기 제1블록(71)의 인입부(713)에 삽입되는 인입바(723)가 구비되어 상기 제1블록(71)에 슬라이딩 결합되도록 하수맨홀(A2) 상부 일측에 구비되는 제2블록(72) 및 상기 제1블록(71)과 제2블록(72)의 결합력을 유지하는 복수의 고정볼(74)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외부덮개(30)에 구비되는 제1블록(71)은
내부에는 수직방향으로 형성되는 낙하공(711A)과, 상기 낙하공의 하부(711Ab)에서 후방 수평방향으로 연통되며 전방에 제1인출공(714)이 연통된 안착공(711B)과, 상기 안착공(711B) 후방과 상기 낙하공(711A) 상부를 연결하는 곡선형의 위치변위공(711D)이 구비되고,
상기 제1인출공(714)에는 반구형의 고정체(717)가 인입부(713)로 돌출 가능하게 힌지 결합된다. 아울러 상기 제1블록(71)은 상기 온열시트 후단에 구비되되 후술하는 푸쉬바(751)가 상부로 돌출되어 착용감을 저해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온열시트 후단에 조금 아래로 치우치도록 구비된다.
상기 하수맨홀(A2) 상단에 구비되는 제2블록(72)의 인입바(723)에는 상기 인입부(713) 방향으로 돌출된 고정체(717)가 삽입되는 고정홈(723A)이 형성되며,
상기 복수개의 고정볼(74)이 상기 안착공(711B)에 채워져 상기 고정체(717)의 후단을 지지하여 상기 고정체(717)가 제1블록(71) 내측으로 인입되는 것을 방지하여 제1블록(71)과 제2블록(72)의 고정력을 유지하고,
상기 제1블록(71)에는
상기 안착공(711B)에 채워진 최후방의 고정볼(74)을 상기 위치변위공(711D)을 통해 낙하공(711A) 상부로 위치이동시켜, 상기 고정체(717)가 제1블록(71) 내측으로 인입되는 것을 허용하여 상기 제1블록(71)과 제2블록(72)을 슬라이딩 결합 및 해정 시킬 수 있도록 하는 위치변위수단(75)이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이하 도4b 및 도4c를 참조하여 각각의 구성 및 동작에 대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상기 도4b 및 도4c는 결합 및 해정의 단계를 도시한 것으로, 도4b의 [A]는 제1블록(71)과 제2블록(72)이 결합되기 전 상태를 도시한 것이고, 도4b의 [B]는 결합되는 과정을 도시한 것이며, 도4c의 [A]는 결합된 상태에서 고정력을 유지하게 되는 구조를 도시한 것이고, 도4c의 [D]는 제1블록(71)과 제2블록(72)을 서로 분리시키기 위해 고정력을 해제하는 과정을 도시한 것이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제2블록(72) 방향을 전방이라 지칭하고, 그 반대방향을 후방이라 지칭하며, 상하 방향은 도4b 및 도4c를 기준으로 정하도록 한다.
우선 제1블록(71)은 제1몸체(711)와, 상기 제1몸체(711) 전방으로부터 인입부(713)를 형성하도록 이격된 가이드바(712)로 이루어진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몸체(711) 전방 상부에는 전방으로 돌출된 제1돌출부가 형성되고, 이 제1돌출부 전방에서 가이드바(712)가 수직방향으로 절곡 형성되어, 상기 가이드바(712)와 제1몸체(711) 전면은 서로 이격될 수 있도록 이루어지며, 이 이격된 공간을 인입부(713)라 지칭하고, 이 인입부(713)에 상기 제2블록(72)의 인입바(723)가 내삽될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구체적으로 제2블록(72)은 제2몸체(721)와, 상기 제2몸체(721) 하부에서 제1블록(71)방향으로 돌출된 제2돌출부, 상기 제2돌출부 단부에서 상향 절곡되어 상기 제2몸체(721)와 가이드홈(722)이라는 이격된 공간을 형성하는 인입바(723)로 이루어져, 상기 제1블록(71)과 제2블록(72)이 슬라이딩 결합되면, 상기 인입바(723)가 인입부(713)에 끼워지고, 상기 가이드바(712)가 가이드홈(722)에 끼워져 제1블록(71)과 제2블록(72)이 횡방향으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상기 제1몸체(711)의 내부 전방에는 수직방향으로 낙하공(711A)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 낙하공의 하부(711Ab)로부터 후방 수평방향으로 안착공(711B)이 형성되고, 이 안착공(711B) 후방에서 상기 낙하공의 상부(711Aa)를 연결하는 곡선형의 위치변위공(711D)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이 공들을 따라 고정볼(74)이 이동하여 제1블록(71)과 제2블록(72)의 결합상태를 고정 및 해정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안착공(711B)의 전방에는 상기 인입부(713)와 연통되는 제1인입공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 제1인입공에는 회전축(717A)을 기준으로 회전하여 인입부(713)로 출몰 가능하게 구비되는 고정체(717)가 구비된다.
상기 고정체(717)는 반구형의 형상으로 이루어져 상기 인입바(723)가 상승 또는 하강하는 경우, 구형의 외면에 의해 자연스럽게 상기 인입공 내부로 회전 및 인입되어 인입바(723)의 결합을 간섭하지 않도록 한다.
상기 안착공(711B)에는 복수의 고정볼(74)이 서로 밀착하면서 구비되며, 또 다른 하나의 고정볼(74)은 상기 낙하공의 상부(711Aa)에 위치하여, 상기 낙하공의 하부(711Ab)에 공간부(711C)가 형성되어 고정체(717)의 인입공간을 확보하게 된다.
상기 고정볼(74)이 상기 낙하공의 상부(711Aa)에 위치하기 위하여, 상기 제1몸체(711)에는 진입방지블록(761)이 더 구비되게 되는데,
상기 진입방지블록(761)은 상기 전방이 반구형의 형상을 이루고, 고정볼(74)이 통과할 수 있는 직경을 갖는 진입공(761A)이 전방에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안착공(711B)과 나란하게 상기 낙하공(711A) 상부 아래 구비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진입방지블록(761)은 제1몸체(711)에 구비되는 제2인출공(715)(상기 제1인출공(714) 상부에 구비되어 상기 인입부(713)를 침범하도록 구비되는 공을 말한다.)을 통하여 전방이 돌출될 수 있도록 이루어지고, 상기 낙하공(711A)을 가로지르도록 구비되어 있으며, 후단에는 스프링(762)이 구비되어 전방으로 돌출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도4b의 [A]와 같이 평상시에는 진입방지블록(761)이 전방으로 돌출된 상태를 유지함에 따라 진입공(761A)이 낙하공(711A)과 어긋나 고정볼(74)의 하강을 방지하고, 도4b의 [B]와 같이 상기 인입바(723)가 인입부(713)로 삽입되면, 우선 상기 고정체(717)를 회전 및 인입시키고, 순차적으로 상기 진입방지블록(761)을 인입되면 낙하공(711A)과 진입공(761A)이 연통되도록 배열됨에 따라 고정볼(74)이 진입공(761A)을 통과하여 낙하되게 된다.
도4b의 [B]는 고정체(717)의 회전이 90도가 되도록 과도하게 표시하였으나, 실제 회전은 90도 이하로 이루어지게 된다.
도4c의 [C]는 제1블록(71)과 제2블록(72)이 슬라이딩 결합 완료된 상태를 나타낸 것으로, 상기 인입바(723)가 인입부(713)에 완전히 결합되면, 상기 인입바(723) 상부에 구비되는 삽입홈(723B)에 상기 진입방지블록(761)의 단부가 끼워져 진입방지블록(761)이 원위치되고, 상기 낙하된 고정볼(74)의 하중에 의해 상기 고정체(717)가 다시 회전하여 돌출됨에 따라 상기 인입바(723) 하부에 구비되는 고정홈(723A)에 고정체(717)가 끼워지고, 상기 안착공(711B) 내에 복수의 고정볼(74)이 채워짐으로서 상기 고정체(717)의 후퇴를 제한하여 제1블록(71)과 제2블록(72)이 분리되는 것을 방지한다.
아울러, 강한 힘으로 분리하고자 하면, 상기 고정볼(74)이 밀려 다시 낙하공(711A)을 따라 위로 올라가 분리될 수 있음에 따라,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낙하공의 하부(711Ab) 바로 위에는 상승방지부재(764)가 탄성축(764A)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어 있으며, 이 상승방지부재(764)는 상기 탄성축(764A)에 의해 수직공내에서 상기 고정볼(74)의 하강은 허용하나 고정볼(74)이 상승하는 것은 방지하는 구조로 이루어져 앞서 언급한 문제를 보완하고 있다.(상기 탄성축(764A)은 탄성체등이 구비되어 상승방지부재(764)를 원위치시키도록 이루어지며, 이 때 탄성력은 고정볼(74)의 하중보다 약하게 이루어져 고정볼(74)의 낙하에 간섭이 일어나지 않도록 한다.)
아울러 상기 제1블록(71)과 제2블록(72)을 해정하기 위해서는 상기 도4b의 [A]와 같이 어느 한 고정볼(74)을 다시 낙하공(711A) 상부로 원위치 시켜 안착공(711B) 내에 공간부(711C)를 형성해야 하는데,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위치변위수단(75)을 더 구비하고 잇다.
상기 위치변위수단(75)은 푸쉬바(751), 연결바(752), 슈팅블록(753) 및 탄성부재(754)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으로, 상기 푸쉬바(751)는 제1몸체(711)에 구비되는 승하강홈(716)에 승하강가능하게 구비되며 단부가 상부로 돌출되어 사용자가 상기 푸쉬바(751)를 누를 수 있도록 이루어지며, 상기 푸쉬바(751) 하부에는 전방으로 절곡된 연결바(752)가 구비되고, 상기 연결바(752)에는 평상시에서는 고정볼(74)의 후퇴를 막고 필요시 고정볼(74)의 하부를 밀어 이동시키는 슈팅블록(753)이 구비되고, 이 슈팅블록(753) 하부에 탄성부재(754)가 구비되게 된다.
따라서 평상시에는 슈팅블록(753)이 상승하여 안착공(711B)에 구비되는 최후방 고정볼(74)의 후단을 지지하여 고정볼(74)의 움직임을 제한하고, 도4c의 [D]와 같이, 상기 푸쉬바(751)를 누르면, 상기 슈팅블록(753)이 하강하여 상기 최후방 고정볼(74)이 후퇴하는 공간을 확보하며, 이 때 푸쉬바(751)를 놓으면 탄성부재(754)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슈팅블록(753)이 상승하여 상기 최후방 고정볼(74)을 밀어 위치변위공(711D)을 통해 상기 낙하공(711A) 상부로 원위치시키게 된다.
이 때 상기 슈팅블록(753)이 하강하였을 때 안착공(711B)에 구비되는 고정볼(74)들이 자연스럽게 후퇴할 수 있도록, 상기 안착공(711B)의 최후단에는 마그넷(755)이 구비되고, 상기 고정볼(74)들은 모두 쇠볼로 구성하여 자력에 의해 움직일 수 있도록 한다.
아울러 상기 고정볼(74)이 이동할 때 반동에 의해 다시 튕겨져 후퇴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위치변위공(711D)의 끝(상기 낙하공의 상부(711Aa)와의 경계를 말한다.)에는 복귀방지부재(763)를 더 구비하고, 이 복귀방지부재(763)는 상기 스토퍼와 동일하게 일방향으로만 회전이 가능하도록 하여 고정볼(74)이 반동에 의해 후퇴하는 것을 방지한다.
즉,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상기 제1블록(71)과 제2블록(72)은 상호간에 원터치 결합 및 해정이 가능하고, 고정된 상태를 견고하게 유지하여 결합력을 향상시킬 수 있어, 필요 시 손쉽게 외부덮개를 분리하여 배수가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할 수 있는 특징을 갖는다.
또 이상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특정 형상과 구조 및 구성을 갖는 도로 하수구용 악취차단 장치를 위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당업자에 의하여 다양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이 가능하고, 이러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은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D : 악취차단 장치
A1 : 하수구 A2 : 하수맨홀
10 : 본체 11 : 플랜지
13 : 통공부 20 : 차단판
21 : 힌지결합부재 23 : 탄성체
25 : 장홈 30 : 외부덮개

Claims (4)

  1. 하수맨홀 테두리 저면에 밀착되어 하수구에 고정되는 플랜지와, 상기 플랜지 중앙부에 상기 하수구와 연통되는 통공부를 형성하는 본체;
    상기 통공부를 개폐하도록 상기 본체 저면 일측에 힌지 결합되며, 상기 하수구를 폐쇄하여 악취를 차단하는 차단판;
    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통공부로 유체가 유입되면, 유체의 하중에 의해 차단판의 타측이 하강하여, 그 틈새를 통하여 유체가 하수구로 배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 하수구용 악취차단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차단판은
    상기 본체 저면 일측에 구비되는 힌지결합부재에 의해 힌지운동 가능하게 구비되되, 상기 힌지결합부재에는 상기 차단판이 하수구를 닫는 상태를 유지하도록 탄성력을 부여하는 탄성체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 하수구용 악취차단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차단판 상면에는 장홈이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 하수구용 악취차단 장치.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차단판은
    상기 차단판의 타측 일부가 상기 본체의 타측에 형성되는 플랜지 저면에 밀착되도록, 상기 통공부보다 크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 하수구용 악취차단 장치.
KR1020200050715A 2020-04-27 2020-04-27 도로 하수구용 악취차단 장치 KR2021013239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50715A KR20210132395A (ko) 2020-04-27 2020-04-27 도로 하수구용 악취차단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50715A KR20210132395A (ko) 2020-04-27 2020-04-27 도로 하수구용 악취차단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32395A true KR20210132395A (ko) 2021-11-04

Family

ID=785217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50715A KR20210132395A (ko) 2020-04-27 2020-04-27 도로 하수구용 악취차단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10132395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91612B1 (ko) 맨홀의 악취차단장치
KR101543235B1 (ko) 하수구용 배수장치
KR100941371B1 (ko) 집수정용 악취방지 차단 및 배수가 용이한 차단장치
EP3485117B1 (en) Flood protection for underground air vents
US20110268506A1 (en) Flood defense apparatus, system and method
KR101156757B1 (ko) 승강구조를 가지는 이중맨홀뚜껑
KR20210132395A (ko) 도로 하수구용 악취차단 장치
KR101067610B1 (ko) 힌지형 승강구조를 가지는 이중맨홀뚜껑
KR100949852B1 (ko) 맨홀
NZ579184A (en) A vented sewer overflow device preventing water entering the sewer but allowing an overflow to push it off
KR100994795B1 (ko) 하수도 맨홀용 역지변
JP6083759B2 (ja) 地下空間構造物の開口部蓋構造
KR100529737B1 (ko) 건축물의 수해방지 설비구조
KR102326032B1 (ko) 하수구용 플로어 게이트
KR20110105279A (ko) 맨홀 구조
KR101540783B1 (ko) 악취차단용 빗물받이
KR100528615B1 (ko) 하수관의 역류방지를 위한 구조
KR200388943Y1 (ko) 하수 및 악취 역류 방지장치
KR100887243B1 (ko) 하수구용 악취 및 역류 방지장치
KR20160068164A (ko) 하수악취 차단장치
KR100895422B1 (ko) 하수구의 이물진입방지 및 악취 배출방지용 맨홀덮개
JP2016008445A (ja) 排水構造
KR101381773B1 (ko) 오물유입방지 및 역류방지용 일체형 맨홀 커버
JP2004285663A (ja) 雨水ます
KR20130030408A (ko) 우수 맨홀용 유로 개폐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