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31790A - 정수기용 유로 조립체 - Google Patents

정수기용 유로 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31790A
KR20210131790A KR1020200050336A KR20200050336A KR20210131790A KR 20210131790 A KR20210131790 A KR 20210131790A KR 1020200050336 A KR1020200050336 A KR 1020200050336A KR 20200050336 A KR20200050336 A KR 20200050336A KR 20210131790 A KR20210131790 A KR 2021013179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ow path
flow
main body
water purifier
path pa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503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심상구
김성진
김규준
주원일
방상우
박찬정
박만욱
Original Assignee
코웨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코웨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코웨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0503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131790A/ko
Publication of KR202101317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3179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30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306Filter mounting adapt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14Safety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filtration; Devices for indicating clogging
    • B01D35/147Bypass or safety valves
    • B01D35/1475Pressure relief valves or pressure control val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14Safety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filtration; Devices for indicating clogging
    • B01D35/153Anti-leakage or anti-return val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14Safety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filtration; Devices for indicating clogging
    • B01D35/157Flow control valves: Damping or calibrated passages
    • B01D35/1573Flow control val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01/00Details relating to filtering apparatus
    • B01D2201/32Flow characteristics of the filter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Water Treatment By Sorption (AREA)
  • Separation Using Semi-Permeable Membranes (AREA)

Abstract

정수기용 유로 조립체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정수기용 유로 조립체는 메인 바디; 내부에는 원수, 또는 정수가 유동되는 유로가 형성되며, 하나 이상의 부품이 장착되도록 상기 메인 바디의 일면으로부터 돌출 형성되는 하나 이상의 유로부; 및 상기 하나 이상의 유로부 중, 하나의 유로부를 통해 유입된 원수를 여과하는 적어도 하나의 필터가 장착되도록 상기 하나 이상의 유로부 반대측에서 상기 메인 바디의 타면에 형성되는 하나 이상의 필터 장착부;를 포함하고, 상기 하나 이상의 유로부에 각각 형성되는 상기 유로 중, 상기 하나 이상의 필터 장착부에 대응하여 배치되는 상기 유로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필터를 통해 원수가 여과, 및 정화되도록 상기 메인 바디를 관통하여 상기 하나 이상의 필터 장착부와 연결되고, 나머지 상기 유로들은 상기 하나 이상의 유로부에 장착되는 상기 하나의 부품을 통해 각각 선택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Description

정수기용 유로 조립체{FLOW PATH ASSEMBLY FOR WATER PURIFIER}
본 발명은 정수기용 유로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유입된 원수의 이동경로인 유로들을 일체로 형성하면서, 다양한 부품들과 필터들을 용이하게 장착할 수 있도록 하는 정수기용 유로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정수기는 상수도나 생수통 등의 원수 공급원으로부터 공급되는 원수를 정수하기 위한 장치로서, 침전, 여과 살균 등의 물리적 또는 화학적 방법을 통하여 원수에 함유된 중금속, 및 기타 유해물질인 불순물을 제거하여 사용자에게 정수를 공급하는 장치이다.
이러한 정수기는 공급된 원수가 필터 내부에 구비된 서로 다른 여과부재를 순차적으로 통과하도록 유동시켜 최종적으로 정수된 물인 정수를 사용자에게 공급하는 구조를 갖는다.
즉, 종래 기술에 따른 정수기에는 원수가 유입되는 유입홀, 여과된 정수가 배출되는 배출홀, 유입된 원수를 여과, 및 정화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필터, 내부에 유입된 원수를 순환시키기 위한 펌프, 및 원수가 유동되는 유로를 형성하면서 각 구성요소들을 연결하기 위한 다수개의 배관 등을 포함한다.
또한, 각 배관들의 사이, 또는 각 배관들과 구성요소들이 연결되는 부분에는 각종 센서, 각종 밸브들을 포함하는 다양한 부품들, 분기관, 및 니플 등이 장착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정수기는 각 구성요소들로 원수를 유동시키기 위해 각각의 배관들이 서로 복잡하게 연결되는 구조를 갖는 바, 정수기 내부의 협소한 공간에서 각 배관들의 레이아웃이 복잡해지고, 이러한 배관들로 인해 각각의 부품들을 장착하기 어려워 조립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복잡하게 연결되는 각각의 배관들이 직선이 아닌 다양한 형상(예를 들어 구부러지거나 절곡된 형상)으로 연결되는 바, 내압 성능이 저하될 수 있고, 이로 인해, 배관을 통과하는 원수의 압력에 의해 누수, 또는 배관의 파손 등이 발생될 수 있는 문제점도 있다.
또한, 주기적으로 교체가 요구되는 필터, 및 노후된 배관의 교체작업, 또는 누수와 파손된 배관의 교체작업 시에는 배관의 복잡한 레이아웃으로 인해 필터, 해당 부품, 및 해당 배관의 교체 작업에 과다한 시간이 소요되고, 조립 및 분해가 어려워 전체적인 유지 보수성이 저하되는 문제점도 있다.
또한, 누수 방지를 위한 각 배관 및 부품들 사이의 실링 작업이 필수적으로 요구되고, 배관들의 내압 성능을 충족시키기가 어려운 문제점도 있다.
한편, 최근에는 이러한 문제점들을 해소하기 위하여 유로 일체화에 대한 개발이 진행되고 있지만, 유로의 복잡성으로 인해 하나의 금형을 통해 일체형으로는 제작이 불가능하여 제작비용이 증가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분리 구성하여 융착하는 방식을 적용할 경우에는 조립 결합 강도가 부족하고, 결합력의 불균형으로 인해 내압이 상승 시에 누수 및 파손이 발생하는 문제점도 있다.
또한, 융착 방식을 적용할 경우, 융착 강도 증가를 위해 벽 두께를 비정상적으로 증가시켜야만 하는 바, 사출성형의 생산성이 저하될 수 있고, 과도한 융착으로 인해 생성된 융착 버(Burr)가 유로를 막는 문제를 야기하는 단점도 있다.
이 배경기술 부분에 기재된 사항은 발명의 배경에 대한 이해를 증진하기 위하여 작성된 것으로서, 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이미 알려진 종래 기술이 아닌 사항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발명된 것으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유입된 원수의 이동경로인 유로들을 일체로 형성하면서, 다양한 부품들과 필터들을 용이하게 장착할 수 있도록 하는 정수기용 유로 조립체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융착 작업 없이도 일체로 형성된 다수개의 유로부를 적용함으로써, 배관의 사용을 최소화하는 동시에, 내부공간의 확보를 통해 필터와 각 부품들의 조립 및 교체 시간을 단축하면서 작업성을 향상시키도록 하는 정수기용 유로 조립체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원수의 압력에 의한 누수, 또는 파손 발생을 미연에 방지하도록 하는 정수기용 유로 조립체를 제공하고자 한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정수기용 유로 조립체는 메인 바디; 내부에는 원수, 또는 정수가 유동되는 유로가 형성되며, 하나 이상의 부품이 장착되도록 상기 메인 바디의 일면으로부터 돌출 형성되는 하나 이상의 유로부; 및 상기 하나 이상의 유로부 중, 하나의 유로부를 통해 유입된 원수를 여과하는 적어도 하나의 필터가 장착되도록 상기 하나 이상의 유로부 반대측에서 상기 메인 바디의 타면에 형성되는 하나 이상의 필터 장착부;를 포함하고, 상기 하나 이상의 유로부에 각각 형성되는 상기 유로 중, 상기 하나 이상의 필터 장착부에 대응하여 배치되는 상기 유로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필터를 통해 원수가 여과, 및 정화되도록 상기 메인 바디를 관통하여 상기 하나 이상의 필터 장착부와 연결되고, 나머지 상기 유로들은 상기 하나 이상의 유로부에 장착되는 상기 하나의 부품을 통해 각각 선택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하나 이상의 유로부는 상기 메인 바디의 길이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메인 바디와 평행한 상하방향으로 제1 유로가 형성되는 제1 유로부; 상기 제1 유로부로부터 상기 메인 바디의 폭 방향으로 이격된 위치에 배치되며, 상기 메인 바디로부터 설정 길이로 돌출된 상태에서, 상기 메인 바디의 하부를 향하여 절곡 형성되고, 내부에 제2 유로가 형성되는 제2 유로부; 상기 제2 유로부의 하부에 배치되며, 상기 제2 유로와 수직방향으로 제3 유로가 형성되는 제3 유로부; 상기 제3 유로부의 하부에 배치되며, 상기 제3 유로와 평행한 방향으로 제4 유로가 형성되는 제4 유로부; 상기 메인 바디의 폭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제1 유로부의 반대측 상부에 배치되며, 상기1 유로와 평행한 상하방향으로 제5 유로가 형성되는 제5 유로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3 유로부는 상기 제2 유로로 유동되는 정수가 상기 제3 유로를 통과하도록 상기 제2 유로부에 대응하는 위치에서 상기 제3 유로부에 형성되며, 상기 제2 유로와 상기 하나 이상의 부품을 통해 연결되는 연결부; 및 상기 제1 유로부 측에 배치되는 단부가 상기 메인 바디의 일면으로부터 외측을 향하여 절곡 형성되는 절곡부; 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4 유로부는 상기 제3 유로를 상기 제4 유로와 상기 하나 이상의 부품을 통해 연결하도록 상기 절곡부에 대응하여 상기 메인 바디의 일면으로부터 외측을 향하여 돌출 형성되는 돌출부; 및 상기 제1 유로부를 향하는 단부가 상기 메인 바디의 하부를 향하여 절곡 형성되며, 펌프와 상기 하나 이상의 부품을 통해 연결되는 펌프 연결부; 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5 유로부에는 플러싱 탱크에 저장된 정수가 상기 제5 유로에 선택적으로 유입되도록 상기 제5 유로부의 길이방향을 기준으로, 중앙부분에서 상기 제5 유로부와 수직방향으로 돌출 형성되어 상기 플러싱 탱크와 연결되는 탱크 연결부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하나 이상의 유로부는 상기 메인 바디의 폭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제5 유로부로부터 상기 제1 유로부를 향하여 이격된 위치에 배치되며, 상기 제5 유로와 평행한 방향으로 제6 유로가 형성되는 제6 유로부; 상기 제5 유로부와 상기 제6 유로부의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제6 유로와 평행한 방향으로 제7 유로가 형성되는 제7 유로부; 상기 제1 유로부와 상기 제6 유로부의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제1 유로와 평행한 상하방향으로 제8 유로가 형성되는 제8 유로부; 상기 제1 유로부와 상기 제2 유로부의 사이에서 상기 제1 유로부에 근접한 위치에 배치되고, 상기 제1 유로와 수직방향으로 제9 유로가 형성되는 제9 유로부; 및 상기 메인 바디의 폭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제9 유로부와 상기 제2 유로부의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제1 유로와 수직방향으로 제10 유로가 형성되는 제10 유로부; 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6 유로부는 상기 하나 이상의 부품을 통해 상기 제9 유로를 상기 제6 유로와 연결하도록 상기 제6 유로부의 길이방향을 기준으로, 하부에서 상기 제6 유로부와 수직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제1 유로 연결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7 유로부는 상기 제7 유로를 통해 유동되는 정수가 상기 하나 이상의 부품을 통해 생활용수로 배출되도록 상기 제7 유로부의 길이방향을 기준으로, 상부에서 상기 제7 유로부와 수직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생활용수 배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8 유로부는 상기 하나 이상의 부품을 통해 상기 제8 유로를 상기 제10 유로와 연결하도록 상기 제8 유로부의 길이방향을 기준으로, 하부에서 상기 제8 유로부와 수직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제2 유로 연결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유로부는 상기 제3 유로부의 외측 일부를 감싸도록 “L”자 형상으로 절곡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제2, 제3, 제4, 제5, 제6, 제7, 제8, 제9, 및 제10 유로는 상호 연통되지 않도록 상기 메인 바디에 형성되며, 상기 하나 이상의 부품, 또는 상기 하나 이상의 필터를 통해 선택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필터 장착부는 상기 메인 바디의 타면에서 하부에 형성되는 제1 필터 장착부; 및 상기 메인 바디의 타면에서 상기 제1 필터 장착부로부터 상부로 이격된 위치에 형성되는 제2 필터 장착부; 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필터 장착부는 상기 제1 유로와 연통되는 제1 유입홀; 상기 제2 유로와 연통되는 제1 배출홀; 상기 제10 유로와 연통되는 제2 유입홀; 및 상기 제9 유로와 연통되는 제2 배출홀; 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및 제2 유입홀과 상기 제1, 및 제2 배출홀은 상기 메인 바디의 폭 방향으로 동일선상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 유입홀과 상기 제1 배출홀은 상기 메인 바디의 폭 방향을 기준으로 양측에 각각 배치되고, 상기 제2 유입홀은 상기 제1 유입홀과 상기 제1 배출홀의 사이에서 상기 제1 배출홀에 근접하게 배치되며, 상기 제2 배출홀은 상기 제1 유입홀과 상기 제1 배출홀의 사이에서 상기 제1 유입홀에 근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2 필터 장착부는 상기 제5 유로와 연통되는 제3 유입홀; 상기 제8 유로와 연통되는 제3 배출홀; 및 상기 제7 유로와 연통되는 생활용수 배출홀; 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3 유입홀, 상기 제3 배출홀, 및 상기 생활용수 배출홀은 상기 메인 바디의 폭 방향으로 동일선상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 필터 장착부에는 복합필터가 장착되고, 상기 제2 필터 장착부에는 삼투압 필터가 장착될 수 있다.
상기 복합필터는 상기 제1 유입홀을 통해 유입된 상기 원수를 1차로 여과하여 상기 제1 배출홀을 통해 배출하고, 상기 삼투압 필터를 통과하여 상기 제2 유입홀을 통해 유입된 정수를 2차로 여과하여 상기 제2 배출홀을 통해 배출할 수 있다.
상기 삼투압 필터는 상기 제3 유입홀을 통해 유입된 정수를 여과하여 상기 제3 배출홀을 통해 플러싱 탱크(Flushing tank), 또는 상기 복합필터로 공급할 수 있다.
상기 하나 이상의 유로부와 상기 하나 이상의 필터 장착부는 사출 성형 공법, 또는 3D 프린팅 공법을 통해 상기 메인 바디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하나 이상의 부품은 체크밸브, 감압밸브, 디스크밸브, 솔레노이드 밸브, 유량센서, TDS(Total Dissolved Solids)/TMP 센서, 수압센서, 차단 스위치, 및 니플을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정수기용 유로 조립체에 의하면, 유입된 원수의 이동경로인 유로들을 일체로 형성하면서, 다양한 부품들과 필터들을 용이하게 장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융착 작업 없이도 일체로 형성된 다수개의 유로부를 적용함으로써, 배관의 사용을 최소화하는 동시에, 내부공간의 확보를 통해 필터와 각 부품들의 조립 및 교체 시간을 단축하면서 작업성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각 구성요소와 다양한 부품들의 조립 및 분해 작업이 용이하여 유지 보수성을 향상시키고, 전체적인 부품수의 축소를 통해 제작원가를 절감하고, 생산성을 향상시키는 효과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원수의 압력에 의한 누수, 또는 파손 발생을 미연에 방지함에 따라, 기밀성을 향상시켜 제품 불량 발생을 최소화하고, 소형화를 도모하여 전체적인 정수기의 크기를 줄임으로써, 전체적인 상품성을 향상시키는 효과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정수기용 유로 조립체가 적용된 정수기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정수기용 유로 조립체가 적용된 정수기의 투영 사시도이다.
도 3은 다양한 부품들이 장착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정수기용 유로 조립체의 후방 사시도이다.
도 4는 다양한 부품들이 장착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정수기용 유로 조립체의 배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정수기용 유로 조립체의 전방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정수기용 유로 조립체의 후방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정수기용 유로 조립체의 정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정수기용 유로 조립체의 배면도이다.
도 9는 도 8의 A-A 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10는 도 8의 B-B 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11은 도 8의 C-C 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정수기용 유로 조립체가 적용된 정수기에서 원수 및 정수가 유동되는 것을 도시한 유로 흐름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붙이도록 한다.
도면에서 나타난 각 구성의 크기 및 두께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임의로 나타내었으므로, 본 발명이 반드시 도면에 도시된 바에 한정되지 않으며, 여러 부분 및 영역을 명확하게 표현하기 위하여 두께를 확대하여 나타내었다.
그리고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유닛”, “...수단”, “...부”, “...부재”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하는 포괄적인 구성의 단위를 의미한다.
도 1과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정수기용 유로 조립체가 적용된 정수기의 사시도, 및 투영 사시도이고, 도 3은 다양한 부품들이 장착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정수기용 유로 조립체의 후방 사시도이며, 도 4는 다양한 부품들이 장착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정수기용 유로 조립체의 배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정수기용 유로 조립체의 전방 사시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정수기용 유로 조립체의 후방 사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정수기용 유로 조립체의 정면도이며,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정수기용 유로 조립체의 배면도이고, 도 9는 도 8의 A-A 선에 따른 단면도이고, 도 10는 도 8의 B-B 선에 따른 단면도이며, 도 11은 도 8의 C-C 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정수기용 유로 조립체(100)는 유입된 원수가 하나 이상의 필터(10)를 통과하면서 여과, 및 정화되도록 유입된 원수의 이동경로인 유로들을 일체로 형성하면서, 하나 이상의 부품들과 상기 하나 이상의 필터(10)를 용이하게 장착하기 위해 적용된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기 유로 조립체(100)는 싱크대의 내부에 설치되는 언더싱크 타입의 정수기에 적용되는 것을 일 실시예로 하여 설명한다.
여기서, 상기 정수기(1)는 외형을 형성하기 위한 케이스(3)와, 유입된 원수가 상기 하나 이상의 필터(10)를 통과하도록 상기 케이스(3)의 내부에 구비되어 원수를 유동시키는 펌프(20)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유로 조립체(100)는 상기 케이스(3)의 내부에 구비되며, 상기 원수, 또는 정수가 유동되는 유로가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하나 이상의 필터(10)와 상기 하나 이상의 부품들이 장착된다.
여기서, 상기 하나 이상의 필터(10)는 복합필터(12)와 삼투압 필터(14)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복합필터(12)는 유입된 원수를 1차로 여과하고, 상기 삼투압 필터(14)를 통과하여 다시 유입된 정수를 2차로 여과하여 배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삼투압 필터(14)는 상기 복합필터(12)를 통과한 후, 유입된 정수를 여과하여 플러싱 탱크(30), 또는 상기 복합필터(12)로 공급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하나 이상의 부품은 체크밸브(41), 감압밸브(42), 디스크 밸브(43), 솔레노이드 밸브(44), 유량센서(45), TDS(Total Dissolved Solids)/TMP 센서(46), 수압센서(47), 차단 스위치(48), 및 니플(49)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정수기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기 유로 조립체(100)를 첨부한 도 3 내지 도 11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3 내지 도 1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기 유로 조립체(100)는 메인 바디(102), 하나 이상의 유로부(110), 및 하나 이상의 필터 장착부(150)를 포함한다.
먼저, 상기 메인 바디(102)는 도면을 기준으로 상기 정수기(1)의 후방에 배치되고, 상기 케이스(3)의 내부에 장착되도록 일정두께를 갖는 플레이트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하나 이상의 유로부(110)와 상기 하나 이상의 필터 장착부(150)는 사출 성형 공법, 또는 3D 프린팅 공법을 통해 상기 메인 바디(102)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유로 조립체(100)는 성형성이 우수한 재질인 플라스틱을 포함하는 합성수지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하나 이상의 유로부(110)는 내부에 원수, 또는 정수가 유동되는 유로가 형성되며, 상기 하나 이상의 부품이 장착되도록 상기 메인 바디(102)의 일면(도면을 기준으로, 상기 정수기(1)의 후방)으로부터 돌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하나 이상의 필터 장착부(150)는 상기 하나 이상의 유로부(110) 중, 하나의 유로부를 통해 유입된 원수를 여과하는 상기 복합필터(12)와 상기 삼투압 필터(14)가 각각 장착되도록 상기 하나 이상의 유로부(110) 반대측에서 상기 메인 바디(102)의 타면(도면을 기준으로 상기 정수기(1)의 전방)에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하나 이상의 유로부(110)에 각각 형성되는 상기 유로 중, 상기 하나 이상의 필터 장착부(150)에 대응하여 배치되는 상기 유로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필터(10)를 통해 원수가 여과 및 정화되도록 상기 메인 바디(102)를 관통하여 상기 하나 이상의 필터 장착부(150)와 연결될 수 있다.
또한, 나머지 상기 유로들은 상기 하나 이상의 유로부(110)에 장착되는 상기 하나의 부품을 통해 각각 선택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하나 이상의 유로부(110)는, 도 4 내지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제2, 제3, 제4, 제5, 제6, 제7, 제8, 제9, 및 제10 유로부(112, 114, 116, 118, 122, 124, 126, 128, 132, 134)를 포함할 수 있다.
먼저, 상기 제1 유로부(112)에는 상기 메인 바디(102)의 길이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메인 바디(102)와 평행한 상하방향으로 제1 유로(112a)가 형성된다. 이러한 제1 유로부(112)는 상기 메인 바디(102)의 폭 방향을 기준으로 일측(도면을 기준으로 좌측)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 유로부(112)에는 상기 감압밸브(42)가 장착되며, 원수 공급원으로부터 공급되는 원수를 상기 제1 유로(112a)로 유입시킬 수 있다.
상기 제1 유로(112a)로 유입된 원수는 상기 복합필터(12)로 유입될 수 있다.
상기 제2 유로부(114)는 상기 제1 유로부(112)로부터 상기 메인 바디(102)의 폭 방향으로 이격된 위치에 배치된다. 이러한 제2 유로부(114)는 상기 메인 바디(102)의 일면으로부터 설정 길이로 돌출된 상태에서, 상기 메인 바디(102)의 하부를 향하여 절곡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제2 유로부(114)의 내부에는 제2 유로(114a)가 형성된다. 상기 제2 유로(114a)에는 상기 복합필터(12)를 통과하면서 여과, 및 정화된 정수가 유입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상기 제2 유로부(114)에는 상기 메인 바디(102)의 하부를 향하여 절곡된 단부에 상기 유량센서(45)가 장착될 수 있다.
상기 제3 유로부(116)는 상기 제2 유로부(114)의 하부에 배치된다. 이러한 제3 유로부(116)에는 상기 제2 유로(114a)와 수직방향으로 제3 유로(116a)가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2 유로부(114)는 상기 제3 유로부(116)의 외측 일부를 감싸도록 “L”자 형상으로 절곡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3 유로부(116)는 연결부(116b)와 절곡부(116c)를 더 포함할 수 있다(도 10 참조).
상기 연결부(116b)는 상기 제2 유로(114a)로 유동되는 정수가 상기 제3 유로(116a)를 통과하도록 상기 제2 유로부(114)에 대응하는 위치에서 상기 제3 유로부(116)에 형성된다. 이러한 연결부(116b)에는 상기 제3 유로(116a)가 상기 제2 유로(114a)에 연결되도록 상기 유량센서(45)가 장착된다.
즉, 상기 제2 유로부(114)와 상기 연결부(116b)에 장착되는 상기 유량센서(45)는 상기 제2 유로(114a)와 상기 제3 유로(116a)를 연결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절곡부(116c)는 상기 제1 유로부(112) 측에 배치되는 단부가 상기 메인 바디(102)의 일면으로부터 외측(도면을 기준으로 상기 메인 바디(102)의 후방)을 향하여 절곡 형성된다.
상기 제4 유로부(118)는 상기 제3 유로부(116)의 하부에 배치된다. 이러한 제4 유로부(118)에는 상기 제3 유로(116a)와 평행한 방향으로 제4 유로(118a)가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4 유로부(118)는 돌출부(118b)와 펌프 연결부(118c)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돌출부(118b)는 상기 제3 유로(116a)를 상기 제4 유로(118a)와 상기 하나 이상의 부품을 통해 연결하도록 상기 절곡부(116c)에 대응하여 상기 메인 바디(102)의 일면으로부터 외측(도면을 기준으로 상기 메인 바디(102)의 후방)을 향하여 돌출 형성된다.
상기 절곡부(116c)와 상기 돌출부(118b)에는 상기 솔레노이드 밸브(44)가 장착될 수 있다. 상기 솔레노이드 밸브(44)는 상기 제3 유로(116a)로부터 상기 절곡부(116c)를 통해 유동되는 정수를 상기 제4 유로(118a)에 선택적으로 유입시키도록 작동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펌프 연결부(118c)는 상기 제1 유로부(112)를 향하는 단부가 상기 메인 바디(102)의 하부를 향하여 절곡 형성된다. 이러한 펌프 연결부(118c)는 상기 펌프(20)에 TDS(Total Dissolved Solids)/TMP 센서(46)와 연결배관을 통해 연결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5 유로부(122)는 상기 메인 바디(102)의 폭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제1 유로부(112)의 반대측 상부에 배치된다.
이러한 제5 유로부(122)에는 상기1 유로(112a)와 평행한 상하방향으로 제5 유로(122a)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5 유로(122a)는 상기 펌프(20)와 연결배관을 통해 연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3 유로(116a)로부터 상기 솔레노이드 밸브(44)의 작동에 의해 상기 제4 유로(118a)로 유입된 정수는 상기 펌프(20)의 작동에 의해 상기 제5 유로(122a)로 유동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5 유로부(122)에는 상기 플러싱 탱크(30)에 저장된 정수가 상기 제5 유로(122a)에 선택적으로 유입되도록 상기 제5 유로부(122)의 길이방향을 기준으로, 중앙부분에서 상기 제5 유로부(122)와 수직방향으로 돌출 형성되어 상기 플러싱 탱크(30)와 연결되는 탱크 연결부(122b)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탱크 연결부(122c)는 상기 플러싱 탱크(30)에 연결배관과 니플(49)을 통해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탱크 연결부(122c)에 장착된 상기 니플(49)의 상부에는 상기 수압센서(47)가 장착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6 유로부(124)는 상기 메인 바디(102)의 폭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제5 유로부(122)로부터 상기 제1 유로부(112)를 향하여 이격된 위치에 배치된다. 이러한 제6 유로부(124)에는 상기 제5 유로(122a)와 평행한 방향으로 제6 유로(124a)가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제6 유로부(124)에는 상기 제6 유로(124a)로 유동되는 정수를 상기 정수기(1)의 외부로 배출하도록 미도시된 연결배관과 차단 스위치(48)가 상기 니플(49)을 통해 장착될 수 있다.
상기 제7 유로부(126)는 상기 제5 유로부(122)와 상기 제6 유로부(124)의 사이에 배치된다. 이러한 제7 유로부(126)에는 상기 제6 유로(124a)와 평행한 방향으로 제7 유로(126a)가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7 유로부(126)는 상기 제7 유로(126a)를 통해 유동되는 정수가 상기 하나 이상의 부품, 예를 들어, 상기 체크밸브(41)와 상기 디스크 밸브(43)의 작동을 통해 생활용수로 배출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제7 유로부(126)는 상기 제7 유로부(126)의 길이방향을 기준으로, 상부에서 상기 제7 유로부(126)와 수직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생활용수 배출부(126b)를 더 포함한다.
상기 생활용수 배출부(126b)에는 상기 체크밸브(41)와 상기 디스크 밸브(43)가 장착된다. 상기 체크밸브(41)와 상기 디스크 밸브(43)는 별도의 연결배관을 통해 상기 제7 유로(126a)를 외부와 연결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8 유로부(128)는 상기 제1 유로부(112)와 상기 제6 유로부(124)의 사이에 배치된다. 상기 제8 유로부(128)에는 상기 제1 유로(112a)와 평행한 상하방향으로 제8 유로(128a)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9 유로부(132)는 상기 제1 유로부(112)와 상기 제2 유로부(114)의 사이에서 상기 제1 유로부(112)에 근접한 위치에 배치된다. 이러한 제9 유로부(132)는 상기 제6 유로부(124)의 하부에서 상기 메인 바디(102)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9 유로부(132)에는 상기 제1 유로(112a)와 수직방향으로 제9 유로(132a)가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6 유로부(124)는 상기 제9 유로(132a)를 상기 제6 유로(124a)와 연결하도록 상기 제6 유로부(124)의 길이방향을 기준으로, 하부에서 상기 제6 유로부(124)와 수직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제1 유로 연결부(124b)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유로 연결부(124)와, 상기 제9 유로부(132)에는 상기 유량센서(45)가 장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0 유로부(134)는 상기 메인 바디(102)의 폭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제9 유로부(132)와 상기 제2 유로부(114)의 사이에 배치된다. 이러한 제10 유로부(134)에는 상기 제1 유로(112a)와 수직방향으로 제10 유로(134a)가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8 유로부(128)는 상기 하나 이상의 부품을 통해 상기 제8 유로(128a)를 상기 제10 유로(134a)와 연결하도록 상기 제8 유로부(128)의 길이방향을 기준으로, 하부에서 상기 제8 유로부(128)와 수직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제2 유로 연결부(128b)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유로 연결부(128b)는 상기 TDS(Total Dissolved Solids)/TMP 센서(46)와 상기 니플(49)을 통해 상기 제10 유로부(134)와 연결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상기 제1, 제2, 제3, 제4, 제5, 제6, 제7, 제8, 제9, 및 제10 유로(112a, 114a, 116a 118a, 122a, 124a, 126a, 128a, 132a, 134a)는 상호 연통되지 않도록 상기 메인 바디(102)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제2, 제3, 제4, 제5, 제6, 제7, 제8, 제9, 및 제10 유로(112a, 118a, 122a, 124a, 126a, 128a, 132a, 134a)는 상기 하나 이상의 부품, 또는 상기 하나 이상의 필터(10)를 통해 선택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즉, 상기 제1, 제2, 제3, 제4, 제5, 제6, 제7, 제8, 제9, 및 제10 유로(112a, 114a, 116a, 118a, 122a, 124a, 126a, 128a, 132a, 134a)들은 상기 메인 바디(102)에서 상기 원수 또는 정수가 각각 유동되는 별개의 유로를 형성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 상기 필터 장착부(150)는 상기 메인 바디(102)의 타면(도면을 기준으로, 상기 정수기(1)의 전방)에서 하부에 형성되는 제1 필터 장착부(152)와, 상기 메인 바디(102)의 타면에서 상기 제1 필터 장착부(152)로부터 상부로 이격된 위치에 형성되는 제2 필터 장착부(154)를 포함할 수 있다(도 6 참조).
먼저, 상기 제1 필터 장착부(152)는 제1, 및 제2 유입홀(152a, 152c)과 제1, 및 제2 배출홀(152b, 152d)을 포함한다. 이러한 제1 필터 장착부(152)에는 상기 복합필터(12)가 장착된다.
상기 제1 유입홀(152a)은 상기 제1 유로(112a)와 연통되고, 상기 제1 배출홀(152b)은 상기 제2 유로(114a)와 연통된다(도 9, 및 도 10 참조).
여기서, 상기 제1 유입홀(152a)과 상기 제1 배출홀(152b)은 상기 메인 바디(102)의 폭 방향을 기준으로 양측에 각각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2 유입홀(152c)은 상기 제10 유로(134a)와 연통되고, 상기 제2 배출홀(152d)은 상기 제9 유로(132a)와 연통된다.
여기서, 상기 제2 유입홀(152c)은 상기 제1 유입홀(152a)과 상기 제1 배출홀(152b)의 사이에서 상기 제1 배출홀(152b)에 근접하게 배치된다.
또한, 상기 제2 배출홀(152d)은 상기 제1 유입홀(152a)과 상기 제1 배출홀(152c)의 사이에서 상기 제1 유입홀(152a)에 근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상기 제1, 및 제2 유입홀(152a, 152c)과 상기 제1, 및 제2 배출홀(152b, 152d)은 상기 메인 바디(102)의 폭 방향으로 동일선상에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2 필터 장착부(154)는 제3 유입홀(154a), 제3 배출홀(154b), 및 생활용수 배출홀(154c)을 포함한다. 이러한 제2 필터 장착부(154)에는 상기 삼투압 필터(14)가 장착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3 유입홀(154a)은 상기 제5 유로(122a)와 연통된다(도 11 참조). 상기 제3 배출홀(154b)은 상기 제8 유로(128a)와 연통된다. 그리고 상기 생활용수 배출홀(154c)은 상기 제7 유로(126a)와 연통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상기 제3 유입홀(154a), 상기 제3 배출홀(154b), 및 상기 생활용수 배출홀(154c)은 상기 메인 바디(102)의 폭 방향으로 동일선상에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복합필터(12)는 상기 제1 유입홀(152a)을 통해 유입된 상기 원수를 1차로 여과하여 상기 제1 배출홀(152b)을 통해 배출하고, 상기 삼투압 필터(14)를 통과하여 상기 제2 유입홀(152c)을 통해 유입된 정수를 2차로 여과하여 상기 제2 배출홀(152d)을 통해 배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삼투압 필터(14)는 상기 제3 유입홀(154a)로 유입된 정수를 여과하고, 상기 제3 배출홀(154b)을 통해 상기 플러싱 탱크(30), 또는 상기 복합필터(12)로 공급할 수 있다.
여기서, 사용자가 상기 정수기를 작동시킬 경우, 상기 펌프(20)는 상기 정수기(1)의 내부로 유입된 원수가 상기 각각의 유로들과 상기 복합필터(12)와 상기 삼투압 필터(14)를 통과하도록 작동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상기 정수기용 유로 조립체(100)에서 상기 원수, 또는 정수의 유동흐름을 도 12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정수기용 유로 조립체가 적용된 정수기에서 원수 및 정수가 유동되는 것을 도시한 유로 흐름도이다.
먼저, 사용자가 상기 정수기(1)를 작동시키면, 상기 펌프(20)의 작동에 의해 원수 공급원으로부터 공급되는 원수가 상기 제1 유로부(112)로 유입된다.
여기서, 상기 제1 유로부(112)로 유입된 원수는 상기 감압밸브(42)의 작동에 의해 감압된 상태로, 상기 제1 유로(112a)로 유동되고, 상기 제1 유로(112a)와 연통된 상기 제1 유입홀(152a)을 통해 상기 복합필터(12)로 유입된다.
상기 복합필터(12)로 유입된 원수는 상기 복합필터(12)를 1차로 통과하면서 여과, 및 정화되고, 정화된 정수는 상기 제1 배출홀(152b)을 통해 배출되어 상기 제2 유로부(114)의 제2 유로(114a)로 유입된다.
상기 제2 유로(114a)로 유입된 정수는 상기 연결부(116b)와 상기 유량센서(45)를 통해 상기 제2 유로(114a)와 연통된 상기 제3 유로부(116)의 제3 유로(116a)로 유입된다.
상기 제3 유로(116a)로 유입된 정수 중, 일부의 정수는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조리수로 배출될 수 있다. 나머지 정수는 상기 절곡부(116c)와 상기 돌출부(118b)에 장착된 상기 솔레노이드 밸브(44)의 작동에 의해 상기 펌프 연결부(118c)로 유입된다.
상기 펌프 연결부(118c)로 유입된 상기 정수는 상기 펌프(20)를 통과하여 상기 제5 유로부(122)의 제5 유로(122a)와 연통된 상기 제3 유입홀(154a)을 통해 상기 삼투압 필터(14)로 유입되고, 상기 삼투압 필터(14)를 통과하면서 여과 및 정화된다.
상기 삼투압 필터(14)를 통과한 정수 중, 상기 제3 배출홀(154b)로 배출되는 일부의 정수는 상기 플러싱 탱크(30)로 유입된다. 상기 제3 배출홀(154b)로 배출되는 나머지 정수는 상기 TDS(Total Dissolved Solids)/TMP 센서(46)를 통과하여 상기 제10 유로부(134)의 제10 유로(134a)로 유입된다.
상기 제10 유로(134a)로 유입된 정수는 상기 제10 유로(134a)와 연통된 상기 제2 유입홀(152c)을 통하여 상기 복합필터(12)에 2차로 유입된다.
그리고 상기 삼투압 필터(14)를 통과한 정수 중, 일부의 정수는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상기 생활용수 배출홀(154c)을 통하여 상기 제7 유로부(126)의 제7 유로(126a)로 유입되고, 상기 생활용수 배출부(126b)로 배출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플러싱 탱크(30)에 유입된 정수는 상기 플러싱 탱크(30)에 저장되고, 플러싱 펌프(32)의 선택적인 작동에 의해 상기 제5 유로부(122)에 형성된 상기 탱크 연결부(122b)를 통하여 상기 제5 유로(122a)로 유입될 수 있다.
상기 복합필터(12)를 2차로 통과하면서 다시 여과, 및 정화된 정수는 상기 제2 배출홀(154d)을 통해 상기 제9 유로부(132)의 제9 유로(132a)로 배출되고, 상기 제9 유로(132a)와 상기 유량센서(45)를 통해 연결된 상기 제6 유로부(124)의 제6 유로(124a)로 유입된다.
상기 제6 유로(124a)로 유입된 정수는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정수가 완료된 상태로 사용자에게 공급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정수기용 유로 조립체(100)가 적용된 상기 정수기(1)는 유입된 원수를 여과 및 정화하는 것만을 일 실시예로 하여 설명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된 것은 아니며, 사용자의 요구를 충족시키도록 정수를 냉각, 또는 가열하여 냉수와 온수로 공급하기 위한 장치들이 상기 정수기(1)의 내부에 구비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정수기용 유로 조립체(100)는 유입된 원수를 여과 및 정화하여 사용자에게 바로 공급하는 직수형 타입의 상기 정수기(1)에 적용된 것을 일 실시예로 하여 설명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된 것은 아니며, 유입된 원수를 여과, 및 정화하여 저장한 후, 저장된 정수를 사용자에게 공급하는 저장형 타입의 정수기에도 적용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유로 조립체(100)가 적용된 정수기는 싱크대의 내부에 설치되는 언더싱크 타입의 정수기로서, 원수의 유입, 및 정수와 생활용수와 조리수의 배출이 각각 배관으로 연결되는 정수기를 일 실시예로 하여 설명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된 것은 아니다.
즉, 언더싱크 타입이 아닌, 외부로 노출되는 일반적인 정수기에도 본 발명의 유로 조립체(100)가 적용될 수 있고, 이 경우, 정수, 생활용수, 및 조리수가 배출되는 부분에는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정수기로부터 직접 정수, 생활용수, 및 조리수를 배출하기 위한 파우셋이 장착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정수기용 유로 조립체(100)를 적용하면, 유입된 원수의 이동경로인 유로들을 일체로 형성하면서, 다양한 부품들, 상기 복합필터(12), 및 상기 삼투압 필터(14)를 용이하게 장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융착 작업 없이도 일체로 형성된 다수개의 제1, 내지 제10 유로부(112, 114, 116, 118, 122, 124, 126, 128, 132, 134)를 적용함으로써, 배관의 사용을 최소화하는 동시에, 내부공간의 확보를 통해 상기 복합필터(12), 및 상기 삼투압 필터(14)와 각 부품들의 조립 및 교체 시간을 단축하면서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각 구성요소와 다양한 부품들의 조립 및 분해 작업이 용이하여 유지 보수성을 향상시키고, 전체적인 부품수의 축소를 통해 제작원가를 절감하고,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원수의 압력에 의한 누수, 또는 파손 발생을 미연에 방지함에 따라, 기밀성을 향상시켜 제품 불량 발생을 최소화하고, 소형화를 도모하여 전체적인 정수기의 크기를 줄임으로써, 전체적인 상품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 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1 : 정수기
3 : 케이스
10 : 필터
20 : 펌프
30 : 플러싱 탱크
100 : 유로 조립체
102 : 메인 바디
110 : 하나 이상의 유로부
112, 114, 116, 118, 122, 124, 126, 128, 132, 134 : 제1, 제2, 제3, 제4, 제5, 제6, 제7, 제8, 제9, 및 제10 유로부
112a, 114a, 116a, 118a, 122a, 124a, 126a, 128a, 132a, 134a : 제1, 제2, 제3, 제4, 제5, 제6, 제7, 제8, 제9, 및 제10 유로
116b : 연결부
116c : 절곡부
118b : 돌출부
118c : 펌프 연결부
122b : 탱크 연결부
124b, 128b : 제1, 및 제2 유로 연결부
150 : 하나 이상의 필터 장착부
152 : 제1 필터 장착부
152a, 152c : 제1, 및 제2 유입홀
152b, 152d : 제1, 및 제2 배출홀
154 : 제2 필터 장착부
154a : 제3 유입홀
154b : 제3 배출홀
154c : 생활용수 배출홀

Claims (22)

  1. 메인 바디;
    내부에는 원수, 또는 정수가 유동되는 유로가 형성되며, 하나 이상의 부품이 장착되도록 상기 메인 바디의 일면으로부터 돌출 형성되는 하나 이상의 유로부; 및
    상기 하나 이상의 유로부 중, 하나의 유로부를 통해 유입된 원수를 여과하는 적어도 하나의 필터가 장착되도록 상기 하나 이상의 유로부 반대측에서 상기 메인 바디의 타면에 형성되는 하나 이상의 필터 장착부;를 포함하고,
    상기 하나 이상의 유로부에 각각 형성되는 상기 유로 중, 상기 하나 이상의 필터 장착부에 대응하여 배치되는 상기 유로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필터를 통해 원수가 여과, 및 정화되도록 상기 메인 바디를 관통하여 상기 하나 이상의 필터 장착부와 연결되고,
    나머지 상기 유로들은 상기 하나 이상의 유로부에 장착되는 상기 하나의 부품을 통해 각각 선택적으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용 유로 조립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유로부는
    상기 메인 바디의 길이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메인 바디와 평행한 상하방향으로 제1 유로가 형성되는 제1 유로부;
    상기 제1 유로부로부터 상기 메인 바디의 폭 방향으로 이격된 위치에 배치되며, 상기 메인 바디로부터 설정 길이로 돌출된 상태에서, 상기 메인 바디의 하부를 향하여 절곡 형성되고, 내부에 제2 유로가 형성되는 제2 유로부;
    상기 제2 유로부의 하부에 배치되며, 상기 제2 유로와 수직방향으로 제3 유로가 형성되는 제3 유로부;
    상기 제3 유로부의 하부에 배치되며, 상기 제3 유로와 평행한 방향으로 제4 유로가 형성되는 제4 유로부;
    상기 메인 바디의 폭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제1 유로부의 반대측 상부에 배치되며, 상기1 유로와 평행한 상하방향으로 제5 유로가 형성되는 제5 유로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용 유로 조립체.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3 유로부는
    상기 제2 유로로 유동되는 정수가 상기 제3 유로를 통과하도록 상기 제2 유로부에 대응하는 위치에서 상기 제3 유로부에 형성되며, 상기 제2 유로와 상기 하나 이상의 부품을 통해 연결되는 연결부; 및
    상기 제1 유로부 측에 배치되는 단부가 상기 메인 바디의 일면으로부터 외측을 향하여 절곡 형성되는 절곡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용 유로 조립체.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4 유로부는
    상기 제3 유로를 상기 제4 유로와 상기 하나 이상의 부품을 통해 연결하도록 상기 절곡부에 대응하여 상기 메인 바디의 일면으로부터 외측을 향하여 돌출 형성되는 돌출부; 및
    상기 제1 유로부를 향하는 단부가 상기 메인 바디의 하부를 향하여 절곡 형성되며, 펌프와 상기 하나 이상의 부품을 통해 연결되는 펌프 연결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용 유로 조립체.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5 유로부에는
    플러싱 탱크에 저장된 정수가 상기 제5 유로에 선택적으로 유입되도록 상기 제5 유로부의 길이방향을 기준으로, 중앙부분에서 상기 제5 유로부와 수직방향으로 돌출 형성되어 상기 플러싱 탱크와 연결되는 탱크 연결부가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용 유로 조립체.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유로부는
    상기 메인 바디의 폭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제5 유로부로부터 상기 제1 유로부를 향하여 이격된 위치에 배치되며, 상기 제5 유로와 평행한 방향으로 제6 유로가 형성되는 제6 유로부;
    상기 제5 유로부와 상기 제6 유로부의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제6 유로와 평행한 방향으로 제7 유로가 형성되는 제7 유로부;
    상기 제1 유로부와 상기 제6 유로부의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제1 유로와 평행한 상하방향으로 제8 유로가 형성되는 제8 유로부;
    상기 제1 유로부와 상기 제2 유로부의 사이에서 상기 제1 유로부에 근접한 위치에 배치되고, 상기 제1 유로와 수직방향으로 제9 유로가 형성되는 제9 유로부; 및
    상기 메인 바디의 폭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제9 유로부와 상기 제2 유로부의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제1 유로와 수직방향으로 제10 유로가 형성되는 제10 유로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용 유로 조립체.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6 유로부는
    상기 하나 이상의 부품을 통해 상기 제9 유로를 상기 제6 유로와 연결하도록 상기 제6 유로부의 길이방향을 기준으로, 하부에서 상기 제6 유로부와 수직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제1 유로 연결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용 유로 조립체.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7 유로부는
    상기 제7 유로를 통해 유동되는 정수가 상기 하나 이상의 부품을 통해 생활용수로 배출되도록 상기 제7 유로부의 길이방향을 기준으로, 상부에서 상기 제7 유로부와 수직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생활용수 배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용 유로 조립체.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8 유로부는
    상기 하나 이상의 부품을 통해 상기 제8 유로를 상기 제10 유로와 연결하도록 상기 제8 유로부의 길이방향을 기준으로, 하부에서 상기 제8 유로부와 수직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제2 유로 연결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용 유로 조립체.
  10.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유로부는
    상기 제3 유로부의 외측 일부를 감싸도록 “L”자 형상으로 절곡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용 유로 조립체.
  11.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제2, 제3, 제4, 제5, 제6, 제7, 제8, 제9, 및 제10 유로는
    상호 연통되지 않도록 상기 메인 바디에 형성되며, 상기 하나 이상의 부품, 또는 상기 하나 이상의 필터를 통해 선택적으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용 유로 조립체.
  12.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 장착부는
    상기 메인 바디의 타면에서 하부에 형성되는 제1 필터 장착부; 및
    상기 메인 바디의 타면에서 상기 제1 필터 장착부로부터 상부로 이격된 위치에 형성되는 제2 필터 장착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용 유로 조립체.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필터 장착부는
    상기 제1 유로와 연통되는 제1 유입홀;
    상기 제2 유로와 연통되는 제1 배출홀;
    상기 제10 유로와 연통되는 제2 유입홀; 및
    상기 제9 유로와 연통되는 제2 배출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용 유로 조립체.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유입홀과 상기 제1, 및 제2 배출홀은
    상기 메인 바디의 폭 방향으로 동일선상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용 유로 조립체.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유입홀과 상기 제1 배출홀은 상기 메인 바디의 폭 방향을 기준으로 양측에 각각 배치되고,
    상기 제2 유입홀은 상기 제1 유입홀과 상기 제1 배출홀의 사이에서 상기 제1 배출홀에 근접하게 배치되며,
    상기 제2 배출홀은 상기 제1 유입홀과 상기 제1 배출홀의 사이에서 상기 제1 유입홀에 근접하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용 유로 조립체.
  16.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필터 장착부는
    상기 제5 유로와 연통되는 제3 유입홀;
    상기 제8 유로와 연통되는 제3 배출홀; 및
    상기 제7 유로와 연통되는 생활용수 배출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용 유로 조립체.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제3 유입홀, 상기 제3 배출홀, 및 상기 생활용수 배출홀은
    상기 메인 바디의 폭 방향으로 동일선상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용 유로 조립체.
  18.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필터 장착부에는 복합필터가 장착되고,
    상기 제2 필터 장착부에는 삼투압 필터가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용 유로 조립체.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복합필터는
    상기 제1 유입홀을 통해 유입된 상기 원수를 1차로 여과하여 상기 제1 배출홀을 통해 배출하고, 상기 삼투압 필터를 통과하여 상기 제2 유입홀을 통해 유입된 정수를 2차로 여과하여 상기 제2 배출홀을 통해 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용 유로 조립체.
  20.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삼투압 필터는
    상기 제3 유입홀을 통해 유입된 정수를 여과하여 상기 제3 배출홀을 통해 플러싱 탱크(Flushing tank), 또는 상기 복합필터로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용 유로 조립체.
  2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유로부와 상기 하나 이상의 필터 장착부는
    사출 성형 공법, 또는 3D 프린팅 공법을 통해 상기 메인 바디와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용 유로 조립체.
  2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부품은
    체크밸브, 감압밸브, 디스크밸브, 솔레노이드 밸브, 유량센서, TDS(Total Dissolved Solids)/TMP 센서, 수압센서, 차단 스위치, 및 니플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용 유로 조립체.
KR1020200050336A 2020-04-24 2020-04-24 정수기용 유로 조립체 KR2021013179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50336A KR20210131790A (ko) 2020-04-24 2020-04-24 정수기용 유로 조립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50336A KR20210131790A (ko) 2020-04-24 2020-04-24 정수기용 유로 조립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31790A true KR20210131790A (ko) 2021-11-03

Family

ID=785054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50336A KR20210131790A (ko) 2020-04-24 2020-04-24 정수기용 유로 조립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10131790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231041A1 (ko) * 2021-04-30 2022-11-03 코웨이 주식회사 정수기용 유로 조립체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231041A1 (ko) * 2021-04-30 2022-11-03 코웨이 주식회사 정수기용 유로 조립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64920B1 (ko) 수전금구용 본체의 제조방법 및 수전금구 본체
CN1245233C (zh) 适用于可更换液体过滤器盒的歧管
KR20210131790A (ko) 정수기용 유로 조립체
TW200609447A (en) Coupling solenoid valve
TW201709969A (zh) 反滲透淨水器系統之蓄水桶結構及其運作方法
KR20210131791A (ko) 정수기용 유로 조립체
CN1291772C (zh) 适用于可更换液体过滤器盒的歧管
CN100360845C (zh) 用于控制液体或气体介质流动的装置
WO2004051125A1 (ja) 流体制御装置
KR102132163B1 (ko) 정수필터 조립모듈
CN108371843B (zh) 集成水路板组件以及集成水路系统
CN117202975A (zh) 用于净水器的流动路径组件
CN215102326U (zh) 集成水路板及带有该集成水路板的净水器
CN201310649Y (zh) 过滤机一体型导管成形球阀
WO2002083201A1 (fr) Dialyse artificielle
KR100711032B1 (ko) 급수제어를 위한 전자석 밸브
EP1159054A1 (en) Filter for fluids
CN106277187B (zh) 软水机用的集成模块以及软水机
CN105712439A (zh) 净水系统
CN109110876B (zh) 集成水路板和净水机
KR20220075829A (ko) 멀티 연결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매니폴드 어셈블리
CN107902779B (zh) 用于净水机的集成水路构件和净水机
CN217757054U (zh) 一种净水器的集成水路
CN209876252U (zh) 一种用于净水机的水路切换组件
KR101298595B1 (ko) 필터카트리지의 커넥팅 장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