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31517A - 앱과 연계하여 활용 가능한 스마트 마스크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앱과 연계하여 활용 가능한 스마트 마스크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31517A
KR20210131517A KR1020200049650A KR20200049650A KR20210131517A KR 20210131517 A KR20210131517 A KR 20210131517A KR 1020200049650 A KR1020200049650 A KR 1020200049650A KR 20200049650 A KR20200049650 A KR 20200049650A KR 20210131517 A KR20210131517 A KR 2021013151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sk
filter
type
raw material
mask fil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496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98751B1 (ko
Inventor
장윤혜
김정주
한영배
황영미
이성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마스크팩토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마스크팩토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마스크팩토리
Priority to KR10202000496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98751B1/ko
Publication of KR202101315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3151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987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9875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18/00Breathing masks or helmets, e.g.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chemical agents or for use at high altitudes or incorporating a pump or compressor for reducing the inhalation effort
    • A62B18/08Component parts for gas-masks or gas-helmets, e.g. windows, straps, speech transmitters, signal-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18/00Breathing masks or helmets, e.g.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chemical agents or for use at high altitudes or incorporating a pump or compressor for reducing the inhalation effort
    • A62B18/02Masks
    • A62B18/025Halfmask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18/00Breathing masks or helmets, e.g.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chemical agents or for use at high altitudes or incorporating a pump or compressor for reducing the inhalation effort
    • A62B18/08Component parts for gas-masks or gas-helmets, e.g. windows, straps, speech transmitters, signal-devices
    • A62B18/088Devices for indicating filter saturation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19/00Cartridges with absorbing substances for respiratory apparatu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23/00Filters for breathing-protection purposes
    • A62B23/02Filters for breathing-protection purposes for respirator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9/00Component parts for respiratory or breathing apparatus
    • A62B9/006Indicators or warning devices, e.g. of low pressure, contamin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9/00Filtering material for liquid or gaseous fluids
    • B01D39/14Other self-supporting filtering material ; Other filtering material
    • B01D39/16Other self-supporting filtering material ; Other filtering material of organic material, e.g. synthetic fibres
    • B01D39/1607Other self-supporting filtering material ; Other filtering material of organic material, e.g. synthetic fibres the material being fibrous
    • B01D39/1615Other self-supporting filtering material ; Other filtering material of organic material, e.g. synthetic fibres the material being fibrous of natural origi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9/00Filtering material for liquid or gaseous fluids
    • B01D39/14Other self-supporting filtering material ; Other filtering material
    • B01D39/16Other self-supporting filtering material ; Other filtering material of organic material, e.g. synthetic fibres
    • B01D39/1607Other self-supporting filtering material ; Other filtering material of organic material, e.g. synthetic fibres the material being fibrous
    • B01D39/1623Other self-supporting filtering material ; Other filtering material of organic material, e.g. synthetic fibres the material being fibrous of synthetic origin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0004Gaseous mixtures, e.g. polluted ai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39/00Aspects relating to filtering material for liquid or gaseous fluids
    • B01D2239/02Types of fibres, filaments or particles, self-supporting or supported materials
    • B01D2239/025Types of fibres, filaments or particles, self-supporting or supported materials comprising nanofib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39/00Aspects relating to filtering material for liquid or gaseous fluids
    • B01D2239/04Additives and treatments of the filtering material
    • B01D2239/0407Additives and treatments of the filtering material comprising particulate additives, e.g. adsorb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39/00Aspects relating to filtering material for liquid or gaseous fluids
    • B01D2239/06Filter cloth, e.g. knitted, woven non-woven; self-supported material
    • B01D2239/0604Arrangement of the fibres in the filtering material
    • B01D2239/0618Non-wove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39/00Aspects relating to filtering material for liquid or gaseous fluids
    • B01D2239/06Filter cloth, e.g. knitted, woven non-woven; self-supported material
    • B01D2239/0604Arrangement of the fibres in the filtering material
    • B01D2239/0631Electro-spu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ulmon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Marketing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conomics (AREA)
  • Zoology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Immunology (AREA)
  • Pathology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Respiratory Apparatuses And Protective Mea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용자의 얼굴에 착용하여 입과 코를 가릴 수 있도록 구비되는 마스크부와, 상기 마스크부의 양측단부에 연결되어 귀에 걸 수 있도록 고리 형태로 구비되는 착용끈과, 상기 마스크부의 오염 정도를 측정하기 위해 마스크부 상에 1개 이상이 장착되는 칩형 오염도측정센서를 포함하는 앱과 연계하여 활용 가능한 스마트 마스크에 있어서, 상기 마스크부는, 중앙 경계영역을 기준으로 상하부에 각각 상호간에 겹쳐져 오버랩되는 구조의 상주름부와 하주름부를 포함하되, 상기 상주름부와 하주름부의 길이방향 측 양측단부에 각각 서로 대향되는 사선 구조로 2열 배치되는 사선형 도트융착부를 형성시킴으로써 얼굴에 착용시 양측면부의 밀착성을 높여 들뜸을 방지 및 외부 측 병균이나 먼지의 내부 유입을 차단하는 기능을 발휘하도록 구성하며; 상기 칩형 오염도측정센서는, MEMS방식 나노압력센서, 반도체식 박막형 또는 나노구조형 가스센서, 습도센서, ICP타입 표면형 마이크로폰 중에서 선택된 적어도 1종 또는 2개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하고; 상기 칩형 오염도측정센서에는, 블루투스, 지그비, 와이파이, NFC 중에서 선택된 적어도 1종의 비접촉식 무선통신모듈이 탑재되는 구성을 포함하되, 상기 마스크부 측 측정된 오염 정도 데이터를 사용자가 휴대하는 스마트폰으로 전송하도록 구성하고, 상기 마스크부로부터 오염 정도 데이터가 전송시 스마트폰에 탑재된 앱을 활성화하여 현재 사용중인 마스크부 측 오염 정도를 디스플레이하도록 구성하는 앱과 연계하여 활용 가능한 스마트 마스크 및 이를 제조하기 위한 스마트 마스크 제조방법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의 호흡 유지 및 원활함을 위해 통기성 및 투과성을 유지하면서 미세먼지 등을 비롯한 대기오염물질에 대하여 흡착에 따른 필터링효율을 높일 수 있는 스마트 마스크를 제공할 수 있으며, 사용자가 착용중인 마스크의 필터링 수명을 측정할 수 있도록 센서를 장착함으로써 마스크를 앱과 연계하여 활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자신이 소유한 스마트폰을 통해 마스크 측 오염 상태를 디스플레이하여주므로 이를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고 마스크 사용자가 현재 착용중인 마스크의 오염 정도나 교체 주기를 쉽게 확인할 수 있는 앱과 연계하여 활용 가능한 스마트 마스크를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앱과 연계하여 활용 가능한 스마트 마스크 및 그 제조방법{SMART MASK AND MANUFACTURING METHOD THE SAME}
본 발명은 스마트 마스크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사용자가 착용중인 마스크의 필터링 수명을 앱과 연계하여 측정할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현재 착용중인 마스크의 오염 정도나 교체 주기를 쉽게 확인할 수 있도록 하며 사용자의 호흡 유지 및 원활함을 위해 통기성 및 투과성을 유지하면서 미세먼지 등을 비롯한 대기오염물질에 대하여 흡착에 따른 필터링효율을 높일 수 있도록 한 앱과 연계하여 활용 가능한 스마트 마스크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마스크는 병균이나 먼지 따위를 막기 위하여 입과 코를 가리는 구조를 갖는 제품으로서, 최근에는 황사나 미세먼지 등의 대기오염물질을 비롯하여 대기환경의 악화로 인해 마스크의 착용이 더욱 보편화되고 있다.
이에, 마스크는 기본적으로 호흡을 향호하게 수행할 수 있어야 함과 더불어 병균이나 먼지의 침입을 막을 수 있도록 필터링 효과를 갖는 구성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마스크는 보통 면직물 또는 부직포를 사용하여 입과 코를 가릴 수 있는 크기로 제작되어 구비되고 양측단부에 귀에 걸 수 있는 고리 형태의 착용끈을 연결하는 구성을 가지며, 일반인들은 물론 병원이나 공장 등지에서도 의료용이나 작업용 또는 방진용 등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다.
하지만, 종래에는 마스크 착용시 안면부와 마스크의 양측면부에 들뜸에 의한 틈새가 발생되어 그 틈새로 병균이나 먼지 등이 유입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마스크는 호흡과정에서 입김으로 인해 마스크 상에 습기가 발생되고, 마스크 착용상의 불쾌감이 발생됨은 물론 마스크 상에 세균 등이 증식될 수 있으며, 마스크의 사용기간이 길어질수록 사용자에게 악영향을 미칠 수 있다.
나아가, 종래에는 마스크를 단순 착용하는 형태로서, 마스크의 오염정도를 확인할 수가 없어 사용자 자신이 그 사용상태 및 교체 주기를 결정하는 형편에 있으므로, 아직 사용 가능함에도 불구하고 불필요하게 새 마스크로 교체하여 사용하는 등 불필요한 비용이 소모되는 문제점이 있고, 때로는 새 마스크로 교체하여야 함에도 불구하고 오염된 마스크를 계속적으로 사용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종래 마스크는 면직물에 비해 부직포를 소재로 한 것에서 마스크필터효율이 보다 우수한데, 입자가 작은 미세먼지 등의 필터링에는 효율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미세먼지에 대한 마스크필터 측 필터링효율을 높이기 위해 기공을 축소시키는 경우 통기성 및 투과성이 떨어져 호흡하기에 불편함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752845호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20-0032827호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 및 이를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사용자가 착용중인 마스크의 필터링 수명을 앱(APP; application)과 연계하여 측정 및 디스플레이할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사용자가 현재 착용중인 마스크의 오염 정도나 교체 주기를 쉽게 확인 및 인지할 수 있도록 한 앱과 연계하여 활용 가능한 스마트 마스크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사용자의 호흡 유지 및 원활함을 위해 통기성 및 투과성을 유지하면서 미세먼지 등을 비롯한 대기오염물질에 대하여 흡착에 따른 필터링 효율을 높일 수 있도록 한 앱과 연계하여 활용 가능한 스마트 마스크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앱과 연계하여 활용 가능한 스마트 마스크는, 사용자의 얼굴에 착용하여 입과 코를 가릴 수 있도록 구비되는 마스크부와, 상기 마스크부의 양측단부에 연결되어 귀에 걸 수 있도록 고리 형태로 구비되는 착용끈과, 상기 마스크부의 오염 정도를 측정하기 위해 마스크부 상에 1개 이상이 장착되는 칩형 오염도측정센서를 포함하는 스마트 마스크에 있어서, 상기 마스크부는, 중앙 경계영역을 기준으로 상하부에 각각 상호간에 겹쳐져 오버랩되는 구조의 상주름부와 하주름부를 포함하되, 상기 상주름부와 하주름부의 길이방향 측 양측단부에 각각 서로 대향되는 사선 구조로 2열 배치되는 사선형 도트융착부를 형성시킴으로써 얼굴에 착용시 양측면부의 밀착성을 높여 들뜸을 방지 및 외부 측 병균이나 먼지의 내부 유입을 차단하는 기능을 발휘하도록 구성하며; 상기 칩형 오염도측정센서는, MEMS방식 나노압력센서, 반도체식 박막형 또는 나노구조형 가스센서, 습도센서, ICP타입 표면형 마이크로폰 중에서 선택된 적어도 1종 또는 2개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하고; 상기 칩형 오염도측정센서에는 블루투스, 지그비, 와이파이, NFC 중에서 선택된 적어도 1종의 비접촉식 무선통신모듈이 탑재되는 구성을 포함하되, 상기 마스크부 측 측정된 오염 정도 데이터를 사용자가 휴대하는 스마트폰으로 전송하도록 구성하고, 상기 마스크부로부터 오염 정도 데이터가 전송시 스마트폰에 탑재된 앱을 활성화시켜 현재 사용중인 마스크부 측 오염 정도를 디스플레이하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에서, 상기 스마트폰에서는 탑재된 앱을 통해 상기 칩형 오염도측정센서로부터 오염 정도 데이터가 전송시 현재 전송된 측정데이터에 기초하여 도표나 수치로 현재 마스크의 오염상태 및 교체주기를 디스플레이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칩형 오염도측정센서와 통신하는 스마트폰과 데이터통신이 가능하도록 연결되는 서버;를 더 포함하되, 상기 칩형 오염도측정센서에서 생성되는 오염 정도 측정데이터는 스마트폰에 탑재된 앱을 통해 서버로 전송하도록 구성하며; 상기 서버에서는 빅데이터 처리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마스크부는, 제1마스크필터 내지 제3마스크필터에 의한 3중 마스크필터를 갖는 다층 구조로 이루어지되, 얼굴에 직면하여 접촉되는 제1마스크필터에 대해 사용자의 호흡에 의해 발생되는 습기를 흡수하도록 습기흡수층으로 구비하고, 제1마스크필터 위에 배치되는 제2마스크필터에 대해 제1마스크필터에서 흡수한 습기를 외측 방향으로 이동시키도록 함과 더불어 미세먼지를 차단하는 습기이동 및 미세먼지필터층으로 구비하며, 제2마스크필터 위에 배치되는 제3마스크필터에 대해 제2마스크필터를 통해 외측 방향으로 이동되는 습기를 외부로 배출하도록 함과 더불어 큰 오염입자 및 먼지를 차단하는 습기배출 및 먼지필터층으로 구비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제1마스크필터는, 고분자용액과 부직포원료를 용융 혼합한 상태에 전기방사하여 제조된 그물망 구조를 갖는 나노섬유필터이고; 상기 제2마스크필터는, 고분자용액 100중량부에 오염물질흡착원료 5~20중량부를 첨가한 고분자복합용액과 부직포원료를 용융 혼합한 상태에 전기방사하여 제조된 그물망 구조를 갖는 나노섬유필터이고; 상기 제3마스크필터는, 고분자용액 100중량부에 오염물질흡착원료 5~20중량부를 첨가한 고분자복합용액과 부직포원료를 용융 혼합한 상태에 전기방사하여 제조된 그물망 구조를 갖는 나노섬유필터이며; 상기 제1마스크필터 측 부직포원료는 폴리에스터, 나일론, 폴리프로필렌 중에서 선택된 적어도 1종이고; 상기 제2마스크필터 측 부직포원료는 폴리에스터, 나일론, 폴리프로필렌 중에서 선택된 적어도 1종과 비스코스레이온, 인견, 마 중에서 선택된 적어도 1종을 1:1의 중량비율로 혼합 사용하고; 상기 제3마스크필터 측 부직포원료는 비스코스레이온, 인견, 마 중에서 선택된 적어도 1종이며; 상기 오염물질흡착원료는 활성탄, 황토, 일라이트, 제올라이트, 벤토나이트, 은(Ag)과 수산화아파나이트 복합체 중에서 선택된 적어도 1종 이상일 수 있다.
또한,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앱과 연계하여 활용 가능한 스마트 마스크 제조방법은, 사용자의 얼굴에 착용하여 입과 코를 가릴 수 있도록 구비되고 3중 마스크필터 구조로 이루어지는 마스크부와, 상기 마스크부의 양측단부에 연결되어 귀에 걸 수 있도록 고리 형태로 구비되는 착용끈과, 상기 마스크부의 오염 정도를 측정하기 위해 마스크부 상에 1개 이상이 장착되는 칩형 오염도측정센서를 포함하는 스마트 마스크 제조방법에 있어서, (A) 고분자용액과 부직포원료를 용융 혼합한 상태에 전기방사하여 그물망 구조를 갖는 나노섬유필터인 제1마스크필터를 제조하는 단계; (B) 고분자용액 100중량부에 오염물질흡착원료 5~20중량부를 첨가한 고분자복합용액과 부직포원료를 용융 혼합한 상태에 전기방사하여 그물망 구조를 갖는 나노섬유필터인 제2마스크필터를 제조하는 단계; (C) 고분자용액 100중량부에 오염물질흡착원료 5~20중량부를 첨가한 고분자복합용액과 부직포원료를 용융 혼합한 상태에 전기방사하여 그물망 구조를 갖는 나노섬유필터인 제3마스크필터를 제조하는 단계; (D) 상기 제1마스크필터를 내층으로 하고 그 위에 제2마스크필터 및 제3마스크필터를 순차 배치하여 3중 마스크필터를 갖는 다층 구조로 형성하되, 열융착방식 또는 초음파융착방식을 통해 상하단부를 융착 결합하여 마스크부를 완성하는 단계; (E) 상기 마스크부의 양측면부에 착용끈을 융착 결합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D)단계에서는, 상기 마스크부를 제조함에 있어 중앙 경계영역을 기준으로 상하부에 각각 상호간에 겹쳐져 오버랩되는 구조의 상주름부와 하주름부를 형성하되, 상기 상주름부와 하주름부의 길이방향 측 양측단부에 각각 서로 대향되는 사선 구조로 2열 배치되는 사선형 도트융착부를 형성시킴으로써 얼굴에 착용시 양측면부의 밀착성을 높여 들뜸을 방지 및 외부 측 병균이나 먼지의 내부 유입을 차단하는 기능을 발휘하도록 구성하고; 상기 (D)단계에서는, 상기 마스크부의 상주름부 상에 마스크부의 오염 정도를 측정하기 위해 1개 이상의 칩형 오염도측정센서를 장착하되, 상기 제2마스크필터와 제3마스크필터의 사이에 내재시킨 상태에서 칩형 오염도측정센서의 외곽을 열융착방식 또는 초음파융착방식으로 융착하여 고정 설치하며; 상기 칩형 오염도측정센서는 MEMS방식 나노압력센서, 반도체식 박막형 또는 나노구조형 가스센서, 습도센서, ICP타입 표면형 마이크로폰 중에서 선택된 적어도 1종 또는 2개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 가능하고; 상기 칩형 오염도측정센서에는 블루투스, 지그비, 와이파이, NFC 중에서 선택된 적어도 1종의 비접촉식 무선통신모듈이 탑재되는 구성을 갖게 함으로써 상기 마스크부 측 측정된 오염 정도 데이터를 사용자가 휴대하는 스마트폰으로 전송 가능하게 하고, 상기 마스크부로부터 오염 정도 데이터가 전송시 스마트폰에 탑재된 앱을 활성화하여 현재 사용중인 마스크부 측 오염 정도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에서, 상기 고분자용액은 아세톤과 DMA(N,N-Dimethyl Acetamide)를 2:1의 중량비율로 혼합한 혼합용매 100중량부에 셀룰로즈아세테이트 15~20중량부를 첨가하여 교반 혼합하되, 50~60℃에서 1~2시간 동안 교반하여 제조하고; 상기 제1마스크필터 측 부직포원료는 폴리에스터, 나일론, 폴리프로필렌 중에서 선택된 적어도 1종을 사용하고; 상기 제2마스크필터 측 부직포원료는 폴리에스터, 나일론, 폴리프로필렌 중에서 선택된 적어도 1종과 비스코스레이온, 인견, 마 중에서 선택된 적어도 1종을 1:1의 중량비율로 혼합 사용하고; 상기 제3마스크필터 측 부직포원료는 비스코스레이온, 인견, 마 중에서 선택된 적어도 1종을 사용하고; 상기 오염물질흡착원료는 활성탄, 황토, 일라이트, 제올라이트, 벤토나이트, 은(Ag)과 수산화아파나이트 복합체 중에서 선택된 적어도 1종 이상으로서, 100㎛ 이하의 입자 크기를 사용하며; 상기 각 단계에서의 전기방사는 15~25kV의 전압과 0.2~0.3ml/min의 유속 및 방사거리 20~25cm 조건에서 실시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의 호흡 유지 및 원활함을 위해 통기성 및 투과성을 유지하면서 미세먼지 등을 비롯한 대기오염물질에 대하여 흡착에 따른 필터링효율을 높일 수 있는 스마트 마스크를 제공할 수 있으며, 사용자가 착용중인 마스크의 필터링 수명을 측정할 수 있도록 센서를 장착함으로써 마스크를 스마트폰 등에 탑재된 모바일 앱과 연계하여 활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자신이 소유한 스마트폰을 통해 마스크 측 오염 상태를 디스플레이하여주므로 이를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고 마스크 사용자가 현재 착용중인 마스크의 오염 정도나 교체 주기를 쉽게 확인할 수 있는 앱과 연계하여 활용 가능한 스마트 마스크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앱과 연계하여 활용 가능한 스마트 마스크의 베이스 구조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앱과 연계하여 활용 가능한 스마트 마스크에 있어 칩형 오염도측정센서가 장착된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앱과 연계하여 활용 가능한 스마트 마스크 측 앱과의 연계 시스템을 나타낸 개략적 구성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앱과 연계하여 활용 가능한 스마트 마스크의 마스크부 측 오염 상태 및 교체 시기를 앱이 탑재된 스마트폰을 통해 디스플레이하는 일 예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마스크의 요부를 나타낸 단면 구성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앱과 연계하여 활용 가능한 스마트 마스크의 제조방법을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개략적 공정 순서도이다.
본 발명에 대해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으며, 이와 같은 상세한 설명을 통해서 본 발명의 목적과 구성 및 그에 따른 특징들을 보다 잘 이해할 수 있게 될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앱(APP)과 연계하여 활용 가능한 스마트 마스크(100)는 도 1 내지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기본적으로 사용자의 얼굴에 착용하여 입과 코를 가릴 수 있도록 구비되는 마스크부(110)와, 상기 마스크부(110)의 양측단부에 연결되어 귀에 걸 수 있도록 고리 형태로 구비되는 착용끈(120)을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마스크부(110)는 중앙 경계영역을 기준으로 상하부에 각각 상호간에 겹쳐져 오버랩되는 구조의 상주름부(111)와 하주름부(112)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상주름부(111)와 하주름부(112)는 사용자가 마스크(100)를 얼굴에 착용시 상하측 주름부의 펼침을 통해 착용시 불편함을 해소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마스크부(110)에는 상기 상주름부(111)와 하주름부(112)의 길이방향 측 양측단부에 각각 서로 대향되는 사선 구조로 2열 배치되는 사선형 도트융착부(113)를 형성시킴으로써 마스크(100)를 얼굴에 착용시 안면에 접촉하는 마스크부(110) 측 양측면부의 밀착성을 높여줄 수 있고, 이를 통해 마스크부(110)에 대해 안면과의 들뜸을 방지하여주는 기능을 하며, 이에 외부 측 병균이나 먼지 등 대기오염물질의 내부 유입을 차단하는 기능을 갖게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마스크부(110)에는 상주름부(111) 상에 마스크부(110)의 오염 정도를 측정하기 위한 센서로서, 칩형 오염도측정센서(130)를 1개 이상 장착하는 형태로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칩형 오염도측정센서(130)는 전자칩 형태로 구비하여 소형으로 구비함이 바람직하며, 마스크(100) 측 내구성 및 오염도 측정을 고려하여 마스크부(110)의 상주름부(111) 상에 설치함이 바람직하다 할 수 있는데, 장착위치는 수정 또는 변경될 수 있다 할 것이다.
상기 칩형 오염도측정센서(130)는 소형 제작을 위해 MEMS방식 나노압력센서, 반도체식 박막형 또는 나노구조형 가스센서, 습도센서, ICP타입 표면형 마이크로폰 중에서 선택된 적어도 1종 또는 2개 이상을 조합하는 형태로 사용 및 장착할 수 있다.
상기 MEMS(Micro-Electro Mechanical Systems)방식 나노압력센서는 공기의 흐름량을 측정하여 마스크부의 오염도를 측정할 수 있고, 상기 반도체식 박막형 또는 나노구조형 가스센서는 이산화탄소나 미세먼지 등의 농도를 측정하여 마스크부의 오염도를 측정할 수 있고, 상기 습도센서는 습도 측정을 통해 마스크부의 오염도를 측정할 수 있으며, 상기 ICP(Integrated Circuit Piezoelectric)타입 표면형 마이크로폰은 사용자의 들숨 또는 날숨의 호흡시 발생하는 소리를 측정하여 마스크부의 오염도를 측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칩형 오염도측정센서(130)는 소형의 전자칩에 산화구리나 산화아연 또는 이산화티타늄을 비롯한 여러 종류의 금속화합물을 탑재하는 형태로 센서를 제작할 수 있으며, 상기 전자칩에 탑재하는 각각의 금속화합물과 공기입자와의 반응에 의해 발생되는 저항값을 측정하여 마스크부의 오염도를 측정할 수도 있다.
즉, 상기한 센서가 갖는 금속화합물은 공기입자에 함유된 일산화탄소, 이산화질소, 암모니아, 황화수소, 아황산가스, 미세먼지 등과 반응하는 물질로서, 오염 정도가 높으면 전자칩의 저항이 올라가는 원리를 이용하여 마스크부의 오염도를 측정할 수 있다.
상기 칩형 오염도측정센서(130)에는 블루투스, 지그비, 와이파이, NFC 중에서 선택된 적어도 1종의 비접촉식 무선통신모듈(140)이 탑재되는 구성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상기 마스크부(110) 측 측정된 오염 정도 데이터를 사용자가 휴대하는 스마트폰(1)으로 전송하여 디스플레이되게 구성할 수 있다.
이에, 마스크(100)를 사용하는 사용자 자신이 소유한 스마트폰(1)을 통해 마스크 측 오염 정도를 디스플레이함으로써 사용자가 마스크부(110) 측 오염 정도를 바로 인식토록 할 수 있음과 더불어 사용자에게 교체 주기를 안내할 수 있다.
부연하여, 상기 스마트폰(1)에서는 탑재된 앱(app)을 통해 상기 칩형 오염도측정센서(130)로부터 오염 정도 데이터가 전송될 시, 현재 전송된 오염 측정데이터에 기초하여 도표나 수치 등을 비롯하여 아주 다양한 형태로 현재 착용중인 마스크(100)의 오염상태 및 교체주기를 디스플레이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칩형 오염도측정센서(130)와 통신하는 스마트폰(1)과의 상호 인터페이스를 통해 데이터통신이 가능하도록 연결되는 서버(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서버(2)는 스마트폰(1)에 마스크(100)를 관리하기 위한 앱(app)을 제공하는 관리서버라 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칩형 오염도측정센서(130)에서 생성되는 마스크(100) 측 오염 정도 측정데이터는 스마트폰(1)에 탑재된 앱(app)을 통해 서버(2)로 전송하도록 구성할 수 있으며, 데이터베이스화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서버(2)에서는 스마트 마스크(100) 측에서 생성되는 데이터를 수집 및 분석하여 빅데이터 처리할 수 있으며, 마스크(100)의 수명 개선 등에 활용할 수 있다 할 것이다.
여기에서, 상기 칩형 오염도측정센서(130)는 배터리를 포함하여 동작전원을 공급받도록 구비되며, 이는 자명한 사항이라 할 것이다.
여기에서 상기 마스크부(110) 상에는 팬모터를 장착하는 구성을 갖게 할 수 있으며, 상기 칩형 오염도측정센서(130)로부터 전달받은 오염 정도 측정데이터의 값에 따라 스마트폰(1)의 앱 제어를 통해 팬모터를 가동하여 오염된 공기를 마스크(100) 측 외부로 배출 처리토록 구성할 수도 있다.
여기에서, 상기 스마트폰(1)은 모바일 앱의 탑재가 가능한 모바일 기기를 대표하는 것으로 정의할 수 있으며, 태블릿PC나 노트북 또는 개인휴대단말기를 포함하는 포괄적인 의미로 적용할 수 있다 할 것이다.
또한, 상기 마스크부(110)는 제1마스크필터(110A) 내지 제3마스크필터(110C)에 의한 3중 마스크필터를 갖는 다층 구조로 구비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마스크부(110)는 얼굴에 직면하여 접촉되는 제1마스크필터(110A)에 대해 사용자의 호흡에 의해 발생되는 습기를 흡수하도록 습기흡수층으로 구비하고, 상기 제1마스크필터(110A) 위에 배치되는 제2마스크필터(110B)에 대해 제1마스크필터(110A)에서 흡수한 습기를 외측 방향으로 이동시키도록 함과 더불어 미세먼지를 차단하는 습기이동 및 미세먼지필터층으로 구비하며, 상기 제2마스크필터(110B) 위에 배치되는 제3마스크필터(110C)에 대해 제2마스크필터(110B)를 통해 외측 방향으로 이동되는 습기를 외부로 배출하도록 함과 더불어 큰 오염입자 및 먼지를 차단하는 습기배출 및 먼지필터층으로 구비함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 상기 제1마스크필터(110A)는 고분자용액과 부직포원료를 용융 혼합한 상태에 전기방사하여 제조된 그물망 구조를 갖는 나노섬유필터로 구성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마스크필터(110A) 측 부직포원료는 사용자가 호흡시 발생되는 습기를 용이하게 흡수하도록 폴리에스터, 나일론, 폴리프로필렌 중에서 선택된 적어도 1종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제2마스크필터(110B)는 고분자용액 100중량부에 오염물질흡착원료 5~20중량부를 첨가한 고분자복합용액과 부직포원료를 용융 혼합한 상태에 전기방사하여 제조된 그물망 구조를 갖는 나노섬유필터로 구성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2마스크필터(110B) 측 부직포원료는 제1마스크필터(110A)에서 흡수되는 습기에 대한 외측 방향으로의 용이한 이동성을 확보하도록 폴리에스터, 나일론, 폴리프로필렌 중에서 선택된 적어도 1종과 비스코스레이온, 인견, 마 중에서 선택된 적어도 1종을 1:1의 중량비율로 혼합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제3마스크필터(110C)는 고분자용액 100중량부에 오염물질흡착원료 5~20중량부를 첨가한 고분자복합용액과 부직포원료를 용융 혼합한 상태에 전기방사하여 제조된 그물망 구조를 갖는 나노섬유필터로 구성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3마스크필터 측 부직포원료는 제1마스크필터(110A)에서 흡수된 후 제2마스크필터(110B)를 통해 이동되는 습기를 외부로 용이하게 배출하도록 비스코스레이온, 인견, 마 중에서 선택된 적어도 1종을 사용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고분자용액에 첨가되는 상기 오염물질흡착원료는 미세먼지 등 대기오염물질에 대한 흡착성 및 필터효율을 높일 수 있도록 하기 위해 활성탄, 황토, 일라이트, 제올라이트, 벤토나이트, 은(Ag)과 수산화아파나이트 복합체 중에서 선택된 적어도 1종 이상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고분자용액은 아세톤과 DMA(N,N-Dimethyl Acetamide)를 혼합한 혼합용매에 셀룰로즈아세테이트를 첨가한 구성일 수 있다.
한편, 상술한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본 발명에 따른 앱과 연계하여 활용 가능한 스마트 마스크의 제조방법에 대해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즉, 본 발명은 사용자의 얼굴에 착용하여 입과 코를 가릴 수 있도록 구비되는 마스크부(110)와 상기 마스크부(110)의 양측단부에 연결되어 귀에 걸 수 있도록 고리 형태로 구비되는 착용끈(120) 및 상기 마스크부(110) 상에 마스크부의 오염 정도를 측정하기 위해 1개 이상이 장착되는 칩형 오염도측정센서(130)를 포함하며, 상기 칩형 오염도측정센서(130)를 통해 모바일 앱(app)과 연계하여 활용할 수 있도록 하면서 마스크부 측 필터링 효율을 높일 수 있도록 하는 스마트 마스크(100)를 제조하는 방법을 이하에 기술한다.
이와 더불어, 상기 마스크부(110)에 대해 3중 마스크필터 구조로 이루어지게 하는 스마트 마스크(100)를 제조하는 방법을 함께 기술한다.
본 발명에 따른 앱과 연계하여 활용 가능한 스마트 마스크 제조방법은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마스크필터 제조단계(S10), 제2마스크필터 제조단계(S20), 제3마스크필터 제조단계(S30), 마스크부 완성단계(S40), 착용끈 결합단계(S50)를 포함하는 형태로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제1마스크필터 제조단계(S10)는 고분자용액과 부직포원료를 용융 혼합한 상태에 전기방사하여 그물망 구조를 갖는 나노섬유필터인 제1마스크필터를 제조하는 단계이다.
여기에서, 상기 고분자용액은 아세톤과 DMA(N,N-Dimethyl Acetamide)를 2:1의 중량비율로 혼합한 혼합용매 100중량부에 셀룰로즈아세테이트 15~20중량부를 첨가하여 교반 혼합하되, 50~60℃에서 1~2시간 동안 교반하여 제조한다.
이때, 상기 고분자용액에는 테르펜 성분의 함유에 의해 항균성을 갖는 천연식물성 에션셜오일을 혼합용매 100중량부에 기준하여 1~10중량부를 첨가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제1마스크필터 측 부직포원료는 폴리에스터, 나일론, 폴리프로필렌 중에서 선택된 적어도 1종을 사용함이 바람직하다.
여기에서, 전기방사는 15~25kV의 전압과 0.2~0.3ml/min의 유속 및 방사거리 20~25cm 조건에서 실시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2마스크필터 제조단계(S20)는 고분자용액 100중량부에 오염물질흡착원료 5~20중량부를 첨가한 고분자복합용액과 부직포원료를 용융 혼합한 상태에 전기방사하여 그물망 구조를 갖는 나노섬유필터인 제2마스크필터를 제조하는 단계이다.
여기에서, 상기 고분자용액은 제1마스크필터 제조단계(S10)에서 사용한 구성과 동일하며, 전기방사도 동일한 조건의 범위 내에서 실시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제2마스크필터 측 부직포원료에 대해서는 폴리에스터, 나일론, 폴리프로필렌 중에서 선택된 적어도 1종과 비스코스레이온, 인견, 마 중에서 선택된 적어도 1종을 1:1의 중량비율로 혼합 사용함이 바람직하다.
여기에서, 상기 오염물질흡착원료에 대해서는 활성탄, 황토, 일라이트, 제올라이트, 벤토나이트, 은(Ag)과 수산화아파나이트 복합체 중에서 선택된 적어도 1종 이상을 사용할 수 있으며, 100㎛ 이하의 입자 크기를 사용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3마스크필터 제조단계(S30)는 고분자용액 100중량부에 오염물질흡착원료 5~20중량부를 첨가한 고분자복합용액과 부직포원료를 용융 혼합한 상태에 전기방사하여 그물망 구조를 갖는 나노섬유필터인 제3마스크필터를 제조하는 단계이다.
여기에서, 상기 고분자용액은 제1마스크필터 제조단계(S10)에서 사용한 구성과 동일하고, 전기방사도 동일한 조건의 범위 내에서 실시할 수 있으며, 오염물질흡착원료는 제2마스크필터 제조단계(S20)에서 사용한 구성과 동일하다.
여기에서, 상기 제3마스크필터 측 부직포원료에 대해서는 비스코스레이온, 인견, 마 중에서 선택된 적어도 1종을 사용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마스크부 완성단계(S40)는 상기 제1마스크필터를 내층으로 하고 그 위에 제2마스크필터 및 제3마스크필터를 순차 배치하여 3중 마스크필터를 갖는 다층 구조로 형성하되, 열융착방식 또는 초음파융착방식을 통해 상하단부를 융착 결합하여 마스크부를 완성하는 단계이다.
이때, 상기 마스크부를 제조함에 있어서는 중앙 경계영역을 기준으로 상하부에 각각 상호간에 겹쳐져 오버랩되는 구조의 상주름부와 하주름부를 형성하되, 상기 상주름부와 하주름부의 길이방향 측 양측단부에 각각 서로 대향되는 사선 구조로 2열 배치되는 사선형 도트융착부를 형성하도록 한다.
이를 통해, 본 발명에 따른 마스크를 얼굴에 착용시 양측면부의 밀착성을 높일 수 있어 들뜸을 방지할 수 있고 외부 측 병균이나 먼지의 내부 유입을 차단하는 기능을 발휘케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마스크부 완성단계(S40)에서는 상기 마스크부의 상주름부 상에 마스크부의 오염 정도를 측정하기 위해 1개 이상의 칩형 오염도측정센서를 장착하는 구성을 갖게 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2마스크필터와 제3마스크필터의 사이에 칩형 오염도측정센서를 내재시킨 상태에서 그 외곽부분을 열융착방식 또는 초음파융착방식으로 융착 처리하는 방식으로 고정 설치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칩형 오염도측정센서는 MEMS방식 나노압력센서, 반도체식 박막형 또는 나노구조형 가스센서, 습도센서, ICP타입 표면형 마이크로폰 중에서 선택된 적어도 1종 또는 2개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때로는, 상기 칩형 오염도측정센서에 대해 소형의 전자칩에 산화구리나 산화아연 또는 이산화티타늄을 비롯한 여러 종류의 금속화합물을 탑재하는 형태로 센서를 제작할 수 있으며, 상기 전자칩에 탑재하는 각각의 금속화합물과 공기입자와의 반응에 의해 발생되는 저항값을 측정하여 마스크부의 오염도를 측정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칩형 오염도측정센서에는 블루투스, 지그비, 와이파이, NFC 중에서 선택된 적어도 1종의 비접촉식 무선통신모듈이 탑재되는 구성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상기 마스크부 측 측정된 오염 정도 데이터를 사용자가 휴대하는 스마트폰으로 전송하여 디스플레이되게 구성할 수 있다.
이에, 자신이 소유한 스마트폰 측 앱(app)을 활성화시킴으로써 마스크 측 오염 정도를 디스플레이하여 사용자가 마스크부 측 오염 정도를 바로 인식토록 할 수 있음과 더불어 사용자에게 교체 주기를 안내할 수 있다.
이와 더불어 스마트폰에 탑재된 앱을 통해 스마트 마스크에 대한 다양한 시도를 수행할 수 있으며, 빅데이터 처리가 가능하다 할 것이다.
상기 착용끈 결합단계(S50)는 상기 마스크부 완성단계(S40)를 통해 3중 마스크필터 구조로 완성된 마스크부의 양측면부에 귀에 걸어 사용하기 위한 착용끈을 열융착방식 또는 초음파융착방식 등의 융착을 통해 결합하는 단계이다.
즉, 상술한 제1마스크필터 제조단계(S10), 제2마스크필터 제조단계(S20), 제3마스크필터 제조단계(S30), 마스크부 완성단계(S40), 착용끈 결합단계(S50)를 포함하는 순차적인 실시를 통해 사용자의 호흡 유지 및 원활함을 위해 통기성 및 투과성을 유지하면서 미세먼지 등을 비롯한 대기오염물질에 대하여 흡착에 따른 필터링효율을 높일 수 있는 마스크를 제조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착용중인 마스크의 필터링 수명을 측정할 수 있도록 센서를 장착함으로써 마스크를 앱과 연계하여 활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자신이 소유한 스마트폰을 통해 마스크 측 오염 상태를 디스플레이하여주므로 이를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고, 마스크 사용자가 현재 착용중인 마스크의 오염 정도나 교체 주기를 쉽게 확인할 수 있으며, 무엇보다 앱과 연계하여 활용 가능한 스마트 마스크를 제공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실시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 것에 불과하고 이러한 실시예에 극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청구범위 내에서 이 기술분야의 당해업자에 의하여 다양한 수정과 변형 또는 단계의 치환 등이 이루어질 수 있다 할 것이며, 이는 본 발명의 기술적 권리범위 내에 속한다 할 것이다.
1: 스마트폰 2: 서버
100: 마스크 110: 마스크부
110A: 제1마스크필터 110B: 제2마스크필터
110C: 제3마스크필터 111: 상주름부
112: 하주름부 113: 사선형 도트융착부
120: 착용끈 130: 칩형 오염도측정센서
140: 무선통신모듈

Claims (7)

  1. 사용자의 얼굴에 착용하여 입과 코를 가릴 수 있도록 구비되는 마스크부와, 상기 마스크부의 양측단부에 연결되어 귀에 걸 수 있도록 고리 형태로 구비되는 착용끈과, 상기 마스크부의 오염 정도를 측정하기 위해 마스크부 상에 1개 이상이 장착되는 칩형 오염도측정센서를 포함하는 스마트 마스크에 있어서,
    상기 마스크부는,
    중앙 경계영역을 기준으로 상하부에 각각 상호간에 겹쳐져 오버랩되는 구조의 상주름부와 하주름부를 포함하되, 상기 상주름부와 하주름부의 길이방향 측 양측단부에 각각 서로 대향되는 사선 구조로 2열 배치되는 사선형 도트융착부를 형성시킴으로써 얼굴에 착용시 양측면부의 밀착성을 높여 들뜸을 방지 및 외부 측 병균이나 먼지의 내부 유입을 차단하는 기능을 발휘하도록 구성하며;
    상기 칩형 오염도측정센서는,
    MEMS방식 나노압력센서, 반도체식 박막형 또는 나노구조형 가스센서, 습도센서, ICP타입 표면형 마이크로폰 중에서 선택된 적어도 1종 또는 2개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하고,
    상기 칩형 오염도측정센서에는,
    블루투스, 지그비, 와이파이, NFC 중에서 선택된 적어도 1종의 비접촉식 무선통신모듈이 탑재되는 구성을 포함하되,
    상기 마스크부 측 측정된 오염 정도 데이터를 사용자가 휴대하는 스마트폰으로 전송하도록 구성하고, 상기 마스크부로부터 오염 정도 데이터가 전송시 스마트폰에 탑재된 앱을 활성화하여 현재 사용중인 마스크부 측 오염 정도를 디스플레이하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앱과 연계하여 활용 가능한 스마트 마스크.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폰에서는 탑재된 앱을 통해 상기 칩형 오염도측정센서로부터 오염 정도 데이터가 전송시 현재 전송된 측정데이터에 기초하여 도표나 수치로 현재 마스크의 오염상태 및 교체주기를 디스플레이하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앱과 연계하여 활용 가능한 스마트 마스크.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칩형 오염도측정센서와 통신하는 스마트폰과 데이터통신이 가능하도록 연결되는 서버; 를 더 포함하되,
    상기 칩형 오염도측정센서에서 생성되는 오염 정도 측정데이터는 스마트폰에 탑재된 앱을 통해 서버로 전송하도록 구성하며;
    상기 서버에서는 빅데이터 처리하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앱과 연계하여 활용 가능한 스마트 마스크.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마스크부는,
    제1마스크필터 내지 제3마스크필터에 의한 3중 마스크필터를 갖는 다층 구조로 이루어지되,
    얼굴에 직면하여 접촉되는 제1마스크필터에 대해 사용자의 호흡에 의해 발생되는 습기를 흡수하도록 습기흡수층으로 구비하고,
    제1마스크필터 위에 배치되는 제2마스크필터에 대해 제1마스크필터에서 흡수한 습기를 외측 방향으로 이동시키도록 함과 더불어 미세먼지를 차단하는 습기이동 및 미세먼지필터층으로 구비하며,
    제2마스크필터 위에 배치되는 제3마스크필터에 대해 제2마스크필터를 통해 외측 방향으로 이동되는 습기를 외부로 배출하도록 함과 더불어 큰 오염입자 및 먼지를 차단하는 습기배출 및 먼지필터층으로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앱과 연계하여 활용 가능한 스마트 마스크.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제1마스크필터는,
    고분자용액과 부직포원료를 용융 혼합한 상태에 전기방사하여 제조된 그물망 구조를 갖는 나노섬유필터이고;
    상기 제2마스크필터는,
    고분자용액 100중량부에 오염물질흡착원료 5~20중량부를 첨가한 고분자복합용액과 부직포원료를 용융 혼합한 상태에 전기방사하여 제조된 그물망 구조를 갖는 나노섬유필터이고;
    상기 제3마스크필터는,
    고분자용액 100중량부에 오염물질흡착원료 5~20중량부를 첨가한 고분자복합용액과 부직포원료를 용융 혼합한 상태에 전기방사하여 제조된 그물망 구조를 갖는 나노섬유필터이며;
    상기 제1마스크필터 측 부직포원료는 폴리에스터, 나일론, 폴리프로필렌 중에서 선택된 적어도 1종이고;
    상기 제2마스크필터 측 부직포원료는 폴리에스터, 나일론, 폴리프로필렌 중에서 선택된 적어도 1종과 비스코스레이온, 인견, 마 중에서 선택된 적어도 1종을 1:1의 중량비율로 혼합 사용하고;
    상기 제3마스크필터 측 부직포원료는 비스코스레이온, 인견, 마 중에서 선택된 적어도 1종이며;
    상기 오염물질흡착원료는 활성탄, 황토, 일라이트, 제올라이트, 벤토나이트, 은(Ag)과 수산화아파나이트 복합체 중에서 선택된 적어도 1종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앱과 연계하여 활용 가능한 스마트 마스크.
  6. 사용자의 얼굴에 착용하여 입과 코를 가릴 수 있도록 구비되고 3중 마스크필터 구조로 이루어지는 마스크부와, 상기 마스크부의 양측단부에 연결되어 귀에 걸 수 있도록 고리 형태로 구비되는 착용끈과, 상기 마스크부의 오염 정도를 측정하기 위해 마스크부 상에 1개 이상이 장착되는 칩형 오염도측정센서를 포함하는 스마트 마스크 제조방법에 있어서,
    (A) 고분자용액과 부직포원료를 용융 혼합한 상태에 전기방사하여 그물망 구조를 갖는 나노섬유필터인 제1마스크필터를 제조하는 단계;
    (B) 고분자용액 100중량부에 오염물질흡착원료 5~20중량부를 첨가한 고분자복합용액과 부직포원료를 용융 혼합한 상태에 전기방사하여 그물망 구조를 갖는 나노섬유필터인 제2마스크필터를 제조하는 단계;
    (C) 고분자용액 100중량부에 오염물질흡착원료 5~20중량부를 첨가한 고분자복합용액과 부직포원료를 용융 혼합한 상태에 전기방사하여 그물망 구조를 갖는 나노섬유필터인 제3마스크필터를 제조하는 단계;
    (D) 상기 제1마스크필터를 내층으로 하고 그 위에 제2마스크필터 및 제3마스크필터를 순차 배치하여 3중 마스크필터를 갖는 다층 구조로 형성하되, 열융착방식 또는 초음파융착방식을 통해 상하단부를 융착 결합하여 마스크부를 완성하는 단계;
    (E) 상기 마스크부의 양측면부에 착용끈을 융착 결합하는 단계; 를 포함하며,
    상기 (D)단계에서는,
    상기 마스크부를 제조함에 있어 중앙 경계영역을 기준으로 상하부에 각각 상호간에 겹쳐져 오버랩되는 구조의 상주름부와 하주름부를 형성하되, 상기 상주름부와 하주름부의 길이방향 측 양측단부에 각각 서로 대향되는 사선 구조로 2열 배치되는 사선형 도트융착부를 형성시킴으로써 얼굴에 착용시 양측면부의 밀착성을 높여 들뜸을 방지 및 외부 측 병균이나 먼지의 내부 유입을 차단하는 기능을 발휘하도록 구성하고,
    상기 (D)단계에서는,
    상기 마스크부의 상주름부 상에 마스크부의 오염 정도를 측정하기 위해 1개 이상의 칩형 오염도측정센서를 장착하되, 상기 제2마스크필터와 제3마스크필터의 사이에 내재시킨 상태에서 칩형 오염도측정센서의 외곽을 열융착방식 또는 초음파융착방식으로 융착하여 고정 설치하며,
    상기 칩형 오염도측정센서는 MEMS방식 나노압력센서, 반도체식 박막형 또는 나노구조형 가스센서, 습도센서, ICP타입 표면형 마이크로폰 중에서 선택된 적어도 1종 또는 2개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 가능하고,
    상기 칩형 오염도측정센서에는 블루투스, 지그비, 와이파이, NFC 중에서 선택된 적어도 1종의 비접촉식 무선통신모듈이 탑재되는 구성을 갖게 함으로써 상기 마스크부 측 측정된 오염 정도 데이터를 사용자가 휴대하는 스마트폰으로 전송 가능하게 하고, 상기 마스크부로부터 오염 정도 데이터가 전송시 스마트폰에 탑재된 앱을 활성화하여 현재 사용중인 마스크부 측 오염 정도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앱과 연계하여 활용 가능한 스마트 마스크 제조방법.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고분자용액은 아세톤과 DMA(N,N-Dimethyl Acetamide)를 2:1의 중량비율로 혼합한 혼합용매 100중량부에 셀룰로즈아세테이트 15~20중량부를 첨가하여 교반 혼합하되, 50~60℃에서 1~2시간 동안 교반하여 제조하고;
    상기 제1마스크필터 측 부직포원료는 폴리에스터, 나일론, 폴리프로필렌 중에서 선택된 적어도 1종을 사용하고;
    상기 제2마스크필터 측 부직포원료는 폴리에스터, 나일론, 폴리프로필렌 중에서 선택된 적어도 1종과 비스코스레이온, 인견, 마 중에서 선택된 적어도 1종을 1:1의 중량비율로 혼합 사용하고;
    상기 제3마스크필터 측 부직포원료는 비스코스레이온, 인견, 마 중에서 선택된 적어도 1종을 사용하고;
    상기 오염물질흡착원료는 활성탄, 황토, 일라이트, 제올라이트, 벤토나이트, 은(Ag)과 수산화아파나이트 복합체 중에서 선택된 적어도 1종 이상으로서, 100㎛ 이하의 입자 크기를 사용하며;
    상기 각 단계에서의 전기방사는 15~25kV의 전압과 0.2~0.3ml/min의 유속 및 방사거리 20~25cm 조건에서 실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앱과 연계하여 활용 가능한 스마트 마스크 제조방법.
KR1020200049650A 2020-04-23 2020-04-23 앱과 연계하여 활용 가능한 스마트 마스크 및 그 제조방법 KR10239875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49650A KR102398751B1 (ko) 2020-04-23 2020-04-23 앱과 연계하여 활용 가능한 스마트 마스크 및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49650A KR102398751B1 (ko) 2020-04-23 2020-04-23 앱과 연계하여 활용 가능한 스마트 마스크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31517A true KR20210131517A (ko) 2021-11-03
KR102398751B1 KR102398751B1 (ko) 2022-05-20

Family

ID=785052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49650A KR102398751B1 (ko) 2020-04-23 2020-04-23 앱과 연계하여 활용 가능한 스마트 마스크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98751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88156U (ja) * 2013-10-21 2014-01-09 牧野 長生 衛生マスク
KR20170023757A (ko) * 2015-07-31 2017-03-06 시아오미 아이엔씨. 스마트 마스크, 및 오염물질의 흡착량을 계산하는 방법, 스마트 마스크 및 장치
KR101752845B1 (ko) 2015-07-08 2017-07-13 주식회사 카본디자인 마스크 수명 검출장치 및 수명 검출이 가능한 마스크
KR102014731B1 (ko) * 2019-04-09 2019-08-27 주식회사 티엔솔루션 방진 마스크
KR20200032827A (ko) 2018-09-19 2020-03-27 주식회사 파이산업 스마트 마스크
KR20200037497A (ko) * 2018-10-01 2020-04-09 김필립 마스크의 오염정보 알림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88156B2 (ja) * 1995-08-31 2001-07-16 三菱重工業株式会社 回転機械の軸封装置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88156U (ja) * 2013-10-21 2014-01-09 牧野 長生 衛生マスク
KR101752845B1 (ko) 2015-07-08 2017-07-13 주식회사 카본디자인 마스크 수명 검출장치 및 수명 검출이 가능한 마스크
KR20170023757A (ko) * 2015-07-31 2017-03-06 시아오미 아이엔씨. 스마트 마스크, 및 오염물질의 흡착량을 계산하는 방법, 스마트 마스크 및 장치
KR20200032827A (ko) 2018-09-19 2020-03-27 주식회사 파이산업 스마트 마스크
KR20200037497A (ko) * 2018-10-01 2020-04-09 김필립 마스크의 오염정보 알림 시스템
KR102014731B1 (ko) * 2019-04-09 2019-08-27 주식회사 티엔솔루션 방진 마스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98751B1 (ko) 2022-05-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241594B2 (en) Face mask for filtering air and air monitoring system
CN105077745B (zh) 一种口罩及头戴防护设备
CN104523276B (zh) 一种呼吸监测鼻贴及呼吸气流监测系统
CN205884736U (zh) 一种打孔无纺布口罩
KR102242736B1 (ko) 발열감지용 열전사지가 구비된 발열 감지 마스크
CN107373820A (zh) 内置呼吸传感系统的纳米纤维口罩
CN106136374A (zh) 一种具有污染程度防护效果自监测功能的口罩
CN111408081A (zh) 新冠病毒颗粒浓度检测智能口罩及其检测方法
KR102398751B1 (ko) 앱과 연계하여 활용 가능한 스마트 마스크 및 그 제조방법
CN111567946B (zh) 一种基于氧化石墨烯基纳米纤维的呼吸监测口罩及其制备方法
KR102240451B1 (ko) 발열감지라벨을 포함하는 발열감지마스크
KR102229611B1 (ko) 발열감지 수단이 형성된 발열 감지 마스크
CN206119262U (zh) 一种佩戴式全密封智能呼吸装置
CN106307709A (zh) 防雾霾口罩
CN111282170A (zh) 采用白炭黑作为过滤填料制备可调节吸附式医用折叠口罩
CN203182062U (zh) 一种新型口罩
CN214435919U (zh) 一种供气式可循环使用智能口罩
CN212545682U (zh) 一种能更换防护滤片的防护口罩
GB2600680A (en) Wearable assembly
CN205962945U (zh) 防雾霾口罩
CN112043986A (zh) 一款防疫、保卫、测温智能传感口罩
CN109998195A (zh) 一种抗菌型防护口罩
CN105054397A (zh) 呼吸道延伸式鼻形罩及具有该鼻形罩的呼吸过滤装置
KR20210026638A (ko) 접착식 라벨지와 수정토를 포함하는 사용여부 확인이 가능한 기능성 마스크
CN105615049A (zh) 一种智能防护口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