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31075A - 세탁기 및 세탁기의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세탁기 및 세탁기의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31075A
KR20210131075A KR1020200049425A KR20200049425A KR20210131075A KR 20210131075 A KR20210131075 A KR 20210131075A KR 1020200049425 A KR1020200049425 A KR 1020200049425A KR 20200049425 A KR20200049425 A KR 20200049425A KR 20210131075 A KR20210131075 A KR 2021013107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ariable
drum
washing
time
control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494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정훈
배순철
한인우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0494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131075A/ko
Publication of KR202101310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3107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4/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34/14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measuring specific parameters
    • D06F34/18Condition of the laundry, e.g. nature or weight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3/00Control of operations performed in washing machines or washer-dryers 
    • D06F33/30Control of washing machine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or target of the control 
    • D06F33/44Control of the operating time, e.g. reduction of overall operating time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4/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34/06Timing arrangement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4/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34/14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measuring specific parameters
    • D06F34/16Imbalance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4/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34/28Arrangements for program selection, e.g. control panels therefor; Arrangements for indicating program parameters, e.g. the selected program or its progress
    • D06F34/34Arrangements for program selection, e.g. control panels therefor; Arrangements for indicating program parameters, e.g. the selected program or its progress characterised by mounting or attachment features, e.g. detachable control panels or detachable display pane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Control Of Washing Machine And Dryer (AREA)

Abstract

실시예는 드럼을 포함하는 세탁기의 제어 방법으로서, 상기 드럼 내의, 포량 및 포질을 감지하는 단계 및 복수의 회전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회전 단계 각각에서 측정된, 상기 드럼의 진동 크기 및 상기 드럼의 회전 속도에 따라 탈수 행정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탈수 행정을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진동 크기를 이용하여 제1 변수 및 제2 변수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제1 변수를 이용하여 상기 회전 속도를 증가, 감소 또는 유지하도록 제어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변수를 이용하여 탈수 시간을 증가, 감소 또는 유지하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변수는, 상기 회전 속도의 변화량에 대응하고, 상기 제2 변수는, 상기 탈수 시간의 변화량에 대응한다.

Description

세탁기 및 세탁기의 제어 방법{WASHING MACHINE AND CONTROL METHOD FOR WASHING MACHINE}
실시예는 세탁기 및 세탁기의 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감지된 포량 및 포질에 따라 탈수 유지 속도 및 세탁 수행 시간의 가변을 위한 세탁기 및 세탁기의 제어 방법이다.
일반적으로. 세탁기는 물과 세제 및 기계적인 작용을 이용하여 의복, 침구 등(이하, '세탁물'이라 칭함)에 묻은 오염을 떼어 내도록 세탁, 헹굼, 탈수, 건조 등의 과정을 통해 세정하는 장치이다.
드럼 세탁기는 외관을 형성하는 캐비닛 및 캐비닛의 내부에 세탁수가 수용되는 터브가 장착된다. 터브의 내측에 세탁물이 수용되는 드럼이 배치된다. 터브의 배면측에 드럼을 회전시키기 위한 모터가 장착된다. 모터에 터브를 관통하여 드럼의 배면측에 연결되는 드라이브 샤프트가 축설된다. 드럼의 내부에는 리프터가 장착되어 드럼 회전시 세탁물을 퍼올린다.
일반적으로, 드럼 세탁 방식은 세제와 세탁수 및 세탁물이 드럼 내에 투입된 상태에서, 모터의 구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는 드럼과 세탁물의 마찰력을 이용하여 세탁을 행하는 방식으로서, 세탁물의 손상이 없다. 또한, 세탁물은 서로 영키지 않으며, 두드리고 비벼빠는 세탁효과를 낼 수 있다.
일반적인 드럼 세탁기는, 드럼 내에 세탁물을 투입한 후, 원하는 세탁 모드를 설정하여 세탁기를 구동시키면 드럼에 물이 급수되고 드럼이 회전하면서 세탁이 진행된다. 그 이후, 세탁에 사용된 물이 외부로 배출되면 헹굼 행정이 진행되고, 이어서 모터를 고속으로 회전시켜 원심력에 의해 드럼의 내측벽에 붙은 세탁물을 탈수하는 탈수 행정이 수행된다.
탈수 행정에는 언발란스에 대비하여 구동 시스템에 적합한 조건을 맞추기 위해 포량 및 포질의 감지를 실시한다. 이어, 드럼의 내부에 있는 세탁물을 고르게 분산시키기 위하여 일정한 가속 기울기로 드럼을 가속시키는 포분산 과정을 실시한다.
종래에는, 포질에 관계없이 감지된 포량에 따라 드럼을 가속시켜 드럼 세탁기 내부의 포분산을 한 후 탈수 행정을 수행하였다. 이때, 포질에 관계없이 감지된 포량에 대응하여 드럼의 탈수 속도를 가변하여 탈수 행정을 수행한다. 또한, 가변된 탈수 속도에 대응하는 탈수 시간에 따라 탈수 행정을 수행하였다.
이때, 포질에 관계없이 감지된 포량에 대응하는 탈수 속도로 탈수를 수행하여 탈수 행정, 탈수 시간 및 전체 세탁 수행 시간이 부정확해지는 문제점이 존재하였다.
실시예는,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 및 제어 방법은, 탈수 행정 중 드럼의 진동 특성 및 포량을 감지하는 세탁기 및 제어 방법을 제공하기 위함이다.
또한,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 및 제어 방법은, 감지된 드럼의 진동 유형 및 포량에 따라 탈수 속도를 가변하는 방법을 제공하기 위함이다.
또한,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 및 제어 방법은, 감지된 드럼의 진동 유형 및 포량에 따라 탈수 행정 시간을 가변하는 방법을 제공하기 위함이다.
또한,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 및 제어 방법은, 탈수 행정마다 탈수 속도, 진동 크기 및 이에 대응하는 제1 변수 및 제2 변수를 포함하는 가변 테이블을 제공하기 위함이다.
또한,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 및 제어 방법은, 감지된 포량 및 포질에 따라 세탁 행정 시간을 저장하는 시간 테이블을 제공하기 위함이다.
또한,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 및 제어 방법은, 시간 테이블을 이용하여 세탁기의 디스플레이에 표시되는 세탁 행정 시간을 가변하는 방법을 제공하기 위함이다.
또한, 실시예가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실시 예의 기재로부터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것이다.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의 제어 방법은, 드럼 내의, 포량 및 포질을 감지하는 단계 및 복수의 회전 단계를 포함하고 복수의 회전 단계 각각에서 측정된, 드럼의 진동 크기 및 드럼의 회전 속도에 따라 탈수 행정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탈수 행정을 수행하는 단계는, 진동 크기를 이용하여 제1 변수 및 제2 변수를 결정하는 단계 제1 변수를 이용하여 회전 속도를 증가, 감소 또는 유지하도록 제어하는 단계 및 제2 변수를 이용하여 탈수 시간을 증가, 감소 또는 유지하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제1 변수는, 회전 속도의 변화량에 대응하고, 제2 변수는, 탈수 시간의 변화량에 대응한다.
또한, 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회전 단계는, 감지된 포량 및 포질에 따라 결정되는 제1 속도로드럼을 가속 회전하는 단계, 가속 회전하는 드럼의 진동 크기를 측정하는 단계, 제1 속도가 제어된 회전 속도에 도달한 경우, 드럼을 정속으로 회전하는 단계 및 제어된 회전 속도를 측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회전 단계는, 제1 회전 단계, 제2 회전 단계, 제3 회전 단계를 포함하고, 제1 변수 및 제2 변수를 결정하는 단계는, 제1 진동 크기, 제2 진동 크기 및 제3 진동 크기의 평균 값을 산출하는 단계 및 평균 값이 제1 기준 값 미만인 경우, 이에 대응하는 제1 변수 및 제2 변수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제1 진동 크기는, 제1 회전 단계에서 측정된 진동 크기이고, 제2 진동 크기는, 제2 회전 단계에서 측정된 진동 크기이고, 제3 진동 크기는, 제3 회전 단계에서 측정된 진동 크기이다.
또한, 실시예에 따른, 제1 변수 및 제2 변수를 결정하는 단계는, 평균 값이 제1 기준 값을 초과하고 제2 기준 값 미만인 경우, 이에 대응하는 제1 변수 및 제2 변수를 결정하는 단계 및 평균 값이 제2 기준 값을 초과하는 경우, 이에 대응하는 제1 변수 및 제2 변수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제1 기준 값은, 제2 기준 값보다 작다.
또한,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의 제어 방법은, 건조 행정을 선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건조 행정이 선택된 경우, 감지된 포량 및 포질에 대응하는 제1 세탁 예정 시간을 표시하는 단계 및 제1 세탁 예정 시간에 따라 제1 세탁 행정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제1 세탁 행정은, 탈수 행정 및 건조 행정을 포함한다.
또한, 실시예에 따른, 제1 세탁 행정을 수행하는 단계는, 제1 세탁 행정을 수행하는 시간의 평균 값을 산출하는 단계 및 평균 값을 제3 변수로 결정하는 단계 를 포함한다.
또한,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의 제어 방법은, 제3 변수를 제1 세탁 예정 시간으로 정정하는 단계 및 정정된 제1 세탁 예정 시간 동안 제1 세탁 행정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의 제어 방법은, 건조 행정이 선택되지 않은 경우, 감지된 포량 및 포질에 대응하는 제2 세탁 예정 시간을 표시하는 단계 및 제2 세탁 예정 시간에 따라 제2 세탁 행정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제2 세탁 행정은, 탈수 행정을 포함한다.
또한, 실시예에 따른 제2 세탁 행정을 수행하는 단계는, 제2 세탁 행정을 수행하는 시간의 평균값을 산출하는 단계 및 평균 값을 제4 변수로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의 제어 방법은, 제4 변수를 제2 세탁 예정 시간으로 정정하는 단계 및 정정된 제2 세탁 예정 시간 동안 제2 세탁 행정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는, 드럼 내의 포량을 감지하는 포량 감지부 드럼 내의 포질을 감지하는 포질 감지부 드럼을 회전시켜 탈수 행정을 수행하는 구동부 드럼을 회전하는 중에 측정된, 드럼의 진동 크기 및 드럼의 회전 속도에 따라 구동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제어부는, 진동 크기를 제1 변수 및 제2 변수를 결정하고, 제1 변수를 이용하여 회전 속도를 증가, 감소 또는 유지하도록 제어하고, 제2 변수를 이용하여 탈수 시간을 증가, 감소 또는 유지하도록 제어하고, 제1 변수는, 회전 속도의 변화량에 대응하고, 제2 변수는, 탈수 시간의 변화량에 대응한다.
또한,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는, 감지된 포량 및 포질에 따라 결정되는 제1 속도로 드럼을 가속 회전시키고, 가속 회전하는 드럼의 진동 크기를 측정하고, 제1 속도가 제어된 회전 속도에 도달한 경우, 드럼을 정속으로 회전시키고, 제어된 회전 속도를 측정한다.
또한, 실시예에 따른 탈수 행정은, 제1 회전 과정, 제2 회전 과정, 제3 회전 과정을 포함하고, 제어부는, 제1 진동 크기, 제2 진동 크기 및 제3 진동 크기의 평균 값을 산출하고,평균 값이 제1 기준 값 미만인 경우, 이에 대응하는 제1 변수 및 제2 변수를 결정하고, 제1 진동 크기는, 제1 회전 과정에서 측정된 진동 크기이고, 제2 진동 크기는, 제2 회전 과정에서 측정된 진동 크기이고, 제3 진동 크기는, 제3 회전 과정에서 측정된 진동 크기이다.
또한,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는, 평균 값이 제1 기준 값을 초과하고 제2 기준 값 미만인 경우, 이에 대응하는 제1 변수 및 제2 변수를 결정하고, 평균 값이 제2 기준 값을 초과하는 경우, 이에 대응하는 제1 변수 및 제2 변수를 결정하고, 제1 기준 값은, 제2 기준 값보다 작다.
또한,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는, 건조 행정을 더 포함하는지 판단하고, 건조 행정을 포함하는 경우, 감지된 포량 및 포질에 대응하는 제1 세탁 예정 시간을 디스플레이에 표시하고, 제1 세탁 예정 시간에 따라 제1 세탁 행정을 수행하도록 제어하고, 제1 세탁 행정은, 탈수 행정 및 건조 행정을 포함한다.
또한,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는, 제1 세탁 행정을 수행하는 시간의 평균 값을 산출하고, 평균 값을 제3 변수로 결정한다.
또한,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는, 제3 변수를 제1 세탁 예정 시간으로 정정하고, 정정된 제1 세탁 예정 시간 동안 제1 세탁 행정을 수행한다.
또한, 실시에에 따른 제어부는, 건조 행정을 포함하지 않는 경우, 감지된 포량 및 포질에 대응하는 제2 세탁 예정 시간을 디스플레이에 표시하고, 제2 세탁 예정 시간에 따라 제2 세탁 행정을 수행하도록 제어하고, 제2 세탁 행정은, 탈수 행정을 포함한다.
또한,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는, 제2 세탁 행정을 수행하는 시간의 평균 값을 산출하고, 평균 값을 제4 변수로 결정한다.
또한,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는, 제4 변수를 제2 세탁 예정 시간으로 정정하고, 정정된 제2 세탁 예정 시간 동안 제2 세탁 행정을 수행한다.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 및 세탁기의 제어 방법은, 탈수 행정 중 드럼의 진동 및 포량을 감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 및 세탁기의 제어 방법은, 감지된 드럼의 진동 특성 및 포량에 따라 탈수 속도를 가변하는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 및 세탁기의 제어 방법은, 감지된 드럼의 진동 특성 및 포량에 따라 탈수 행정 시간을 가변하는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 및 세탁기의 제어 방법은, 탈수 행정마다 탈수 속도, 드럼의 진동 크기, 제1 변수 및 제2 변수를 포함하는 가변 테이블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 및 세탁기의 제어 방법은, 감지된 포량 및 포질에 따라 세탁 행정 시간을 저장하는 시간 테이블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 및 세탁기의 제어 방법은, 시간 테이블을 이용하여 세탁기의 디스플레이에 표시되는 세탁 행정 시간을 가변하는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의 주요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3는, 실시예에 따른 탈수 행정의 가변 그래프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4 (a)는 실시예에 따른 제1 변수를 설명하는 그래프이다.
도 4 (b)는 실시예에 따른 제2 변수
Figure pat00001
를 설명하는 그래프이다.
도 5는, 실시예에 따른 탈수 속도 및 탈수 행정 시간을 가변하는 방법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 6은, 실시예에 따라 제3 변수 및 제4 변수를 생성하고 세탁 행정 시간을 가변하는 과정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실시 예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실시 예가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실시 예는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실시 예가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다. 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는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실시예를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이하, 도 1을 참조하여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의 구성을 설명한다.
도1은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1)는, 캐비닛(10), 도어(20), 터브(30), 모터(40), 회전축(50), 드럼(60), 컨트롤 패널(70)로 구성된다.
캐비닛(10)은, 세탁기(1)의 외관을 형성한다. 또한, 캐비닛(10)의 전면에는 세탁기(1)의 내부와 외부를 연통시키며 세탁물이 투입되는 세탁물 투입구(11)를 포함한다.
도어(20)는, 캐비닛(10)의 전면부에 구비된다. 또한, 사용자는 도어(20)를 이용하여 캐비닛(10)의 세탁물 투입구(11)를 선택적으로 계폐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도어(20)를 개폐함으로써 드럼(60)내부로 세탁물을 넣거나, 드럼(60) 내부에서 세탁물을 빼낼 수 있다.
터브(30)는, 캐비닛(10)의 내부에 설치된다. 이때, 터브(30) 내부에 세탁수를 저장할 수 있다. 즉, 터브(30)는 외부의 급수원으로부터 내부로 세탁수를 급수하여 세탁수를 저장할 수 있다.
급수 밸브(31)는 외부 호스를 통해 터브(30)에 공급되는 깨끗한 물을 단속한다.
급수 호스(32)는 급수 밸브(31)를 통과하여 터브(30)에 투입되는 세탁수가 이동하는 경로이다.
세제 공급 장치(33)는, 급수 호스(32)를 통해 공급되는 물을 미리 저장된 세제와 혼합한 후 배출한다.
급수관(34)은, 일단이 세제 공급 장치(33)의 배출구에 연결되고 타단이 터브(30)의 상단에 연결된다. 급수관(34)은 세제 공급 장치(33)에서 배출되는 세제가 포함된 물 또는 세제가 포함되지 않는 깨끗한 물을 터브(30)에 안내한다.
배수 펌프(35)는 터브(30)에 수용된 세탁수를 배출하기 위한 동력을 제공한다.
제1 배수관(37)은 배수 펌프(35)로부터 제공된 동력을 이용하여 터브(30)에 수용된 세탁수를 투입한다.
제2 배수관(36)은 세탁수를 배수 펌프(35)로부터 캐비닛(10) 외부로 배출한다. 모터(40)는, 터브(30) 내부에 설치된다. 모터(40)가 세탁기(1)를 작동하기 위한 구동력을 생성한다.
회전축(50)은, 모터(40)와 드럼(60)를 연결한다. 회전축(50)은 모터(40)가 생성한 구동력을 드럼(60)에 전달한다.
드럼(60)은, 터브(30) 내부에서 회전 가능하게 구비된 채 세탁물이 투입되도록 형성된다. 또한, 드럼(60)은 모터(40)와 회전축(50)으로 연결되어 모터(40)로부터 전달된 구동력을 이용하여 드럼(60) 내부의 세탁물을 세탁한다.
컨트롤 패널(70)은, 사용자로부터 각종 제어 명령을 입력 받는다. 또한, 세탁 장치의 각종 상태를 표시한다. 한편, 도 1에는 컨트롤패널(70)이 캐비닛(10) 전면에 구비되는 구조가 도시되지만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하, 도 2을 참조하여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의 주요 구성을 설명한다.
도 2는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의 주요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1)는 제어부(200), 전류 감지부(210), 포량 감지부(220), 포질 감지부(230), 편심량 감지부(240), 진동량 감지부(250), 메모리(260), 디스플레이(270), 통신부(280), 구동부(290), 회전 속도 감지부(300), 시간 감지 센서(310)를 포함한다.
제어부(200)는 디스플레이(270)를 통해 입력된 신호 및 미리 입력된 프로세스에 따라 구동부(290)을 제어하여 세탁 행정, 헹굼 행정 및 탈수 행정을 포함하는 세탁 과정을 수행 한다.
또한, 제어부(200)는, 전류 감지부(210), 포량 감지부(220), 포질 감지부(230), 편심량 감지부(240), 진동량 감지부(250), 메모리(260), 통신부(280), 회전 속도 감지부(300), 시간 감지 센서(310)가 생성한 신호를 계속적으로 수신하여 구동부(290)를 제어하고, 각각의 단계가 표시되도록 디스플레이(270)를 제어한다.
또한, 제어부(200)는, 포량 감지부(220)가 감지한 포량 및 포질 감지부(230)가 감지한 포질에 대한 신호를 수신하여 드럼(60) 내부의 포량 및 포질을 판단할 수 있다. 이때, 제어부(200)는 판단된 포량 및 포질을 이용하여 구동부(290)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200)는 포량 감지부(220) 및 포질 감지부(230)으로부터 수신한 데이터 신호를 이용하여 드럼(60)에 포함된 포량 및 포질이 미리 분류된 카테고리들 중 어느 것에 속하는지를 판정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200)는, 가속 과정과 정속 과정을 포함하는 탈수 행정에서, 가속 과정에서의 드럼(60)의 진동 크기 및 정속 과정에서 드럼(60)의 탈수 속도가 진화 요건을 충족하는지를 판단한다. 이때, 제어부(200)는 진화 요건을 충족하는 경우, 제1 변수(
Figure pat00002
A), 제2 변수(
Figure pat00003
B)를 생성한다. 또한, 제어부(200)는 탈수 행정을 포함하는 세탁 행정의 실제 수행 시간에 대한 평균 값(avr)을 계산하여 제3 변수(A_real) 및 제4 변수(B_real) 를 생성한다.
또한, 제어부(200)는 통신부(280)를 통해 수신된 각종 데이터를 처리하여 메모리(260)를 갱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통신부(280)를 통해 입력된 데이터가 메모리(260)에 미리 저장된 프로그램에 대한 업데이트 데이터인 경우에는 이를 이용하여 메모리(260)를 업데이트시킬 수 있다. 또한, 통신부(280)를 통해 입력된 데이터가 메모리(260)에 입력된 데이터가 신규한 프로그램인 경우에는 메모리(260)에 이를 추가로 저장시킬 수 있다.
전류 감지부(210)는 드럼(60)이 회전할 때, 드럼(60)에 연결된 모터(40)에 인가되는 전류를 감지한다. 또한, 전류 감지부(210)는 감지한 전류에 대한 신호를 제어부(200)에 전달한다.
포량 감지부(220)는 드럼(60)내에 투입된 포량을 감지한다. 포량 감지부(220)는 포량에 따라 달리지는 구동부(290)의 구동 특성, 예를 들어, 소정의 회전 속도에 이르기까지 걸리는 시간, 가속 회전시의 가속 기울기 또는 속도 증가량, 제동시의 감속 기울기 또는 속도 감소량, 제동까지 걸리는 시간 등에 기초하여 포량을 감지할 수 있다. 이때, 드럼(60)이 소정의 회전 속도에 이르기까지 걸리는 시간까지 전류 감지부(210)에서 감지된 전류 값들을 처리하여 드럼(60)내에 포량을 감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포량 감지부(220)는 제어부(200)로부터 드럼(60)이 소정의 회전 속도에 도달하는 시점까지 전류 감지부(210)에서 감지된 전류 값을 수신받는다. 이때, 포량 감지부(220)는 수신받은 전류 값을 인공신경망(Artificial Network)의 입력 데이터(input data)로 사용하여 드럼(60) 내부의 포량을 감지할 수 있다. 또한, 포량 감지부(220)는 감지한 포량에 대한 신호를 제어부(200)에 전달한다.
포질 감지부(230)는 드럼(60) 내에 투입된 포질을 감지한다. 제어부(200)는 포량 감지부(220)에서 전달된 포량에 대한 신호를 포질 감지부(230)에 전달한다. 이때, 포질 감지부(230)는, 드럼(60)이 소정의 회전 속도에 도달하는 시점까지 전류 감지부(210)에서 감지된 전류 값들(포량에 대한 신호)을 처리하여 드럼(60)내의 포질을 감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포질 감지부(230)는 제어부(200)로부터 포량 감지부(220)에서 감지한 포량에 대한 신호를 수신한다. 포질 감지부(230)는 수신 받은 포량에 대한 신호에 포함된 감지된 전류 값들을 소정의 시간 구간 별로 평균한 값을 인공신경망(Artificial Network)의 입력 데이터(input data)로 사용하여 드럼(60) 내부의 포질을 감지할 수 있다.
편심량 감지부(240)는 드럼(60)의 편심량을 감지한다. 이때, 편심량 감지부(240)는 드럼(60)내의 세탁물의 분포 상태에 따라 달라지는 구동부(290)의 회전 속도 변화량에 기초하여 편심량을 감지할 수 있다.
진동량 감지부(250)는 드럼(60)의 회전 시 발생하는 진동을 감지하기 위한 것으로, 편심량 감지부(240)와는 별개로 구비된다. 진동량 감지부(250)는 드럼(60)의 회전 시 발생하는 진동에 따라 운동하는 질량체의 변위 또는 진동주기를 기초로 진동량을 감지할 수 있다.
메모리(260)에는 프로그램된 인공신경망, 포량 별 및/또는 포질 별 전류 패턴들, 전류 패턴을 바탕으로 머신 러닝 기반의 학습을 통해 구축된 데이터 베이스(DB), 머신 러닝 알고리즘, 전류 감지부(210)에 의해 소정의 시간 구간에서 감지된 전류 값, 감지된 전류 값들을 소정의 시간 구간 별로 평균한 값 등이 저장될 수 있다. 또한, 메모리(260)에는 세탁기(1)의 동작 전반의 제어를 위한 각종 제어 데이터, 사용자가 입력한 세탁 설정 데이터, 세탁 설정에 따라 산출되는 세탁 시간, 세탁 코스 등에 대한 데이터 등이 저장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270)는 세탁기(1)의 작동 상태를 출력한다. 디스플레이(270)는 시각적 표시를 출력하는 LCD, LED 등의 화상 출력 장치 또는 음향을 출력하는 스피커 부저(buzzer) 등의 음향 출력 장치 일 수 있다. 또한, 제어부(200)의 제어에 의해 디스플레이(270)는 포량 또는 포질에 대한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통신부(280)는 네트워크에 연결된 서버와 통신할 수 있다. 이때, 통신부(280)는 인터넷 모듈, 이동 통신 모듈 등 하나 이상의 통신 모듈을 구비할 수 있다. 또한, 통신부(280)는 서버로부터 학습 데이터, 알고리즘 업데이트 등의 각종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구동부(290)는 드럼(60)을 회전시키기 위한 구동력을 제공하는 것으로, 실시예에서는 모터(40), 일단이 모터(40)에 연결되고 타단이 드럼(60)에 연결되는 회전축(50)으로 이루어진다.
회전 속도 감지부(300)는, 드럼(60)의 회전속도를 감지한다. 드럼(60)이 아래쪽으로 회전하는 경우 및 위쪽으로 회전하는 경우에 가속도를 감지한다. 회전 속도 감지부(300)는 드럼(60)의 탈수 유지 속도를 감지한다. 회전 속도 감지부(300)가 드럼(60)의 탈수 유지 속도를 감지하는 구체적인 방법은 후술한다.
시간 감지 센서(310)는, 탈수 행정을 포함하는 세탁 행정의 실제 수행 시간을 측정한다.
이하, 도 3를 참조하여 실시예에 따른 가변 그래프를 설명한다.
도 3는 실시예에 따른 가변 그래프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실시예에 따른 탈수 행정은 포분산 과정(a)과 탈수 과정(b)을 포함한다.
포분산 과정(a)은 제1 시점(t1)부터 제4 시점(t4) 동안 수행된다. 포분산 과정(a)은 제어부(200)가 드럼(60)을 저속으로 회전시키며 드럼(60) 내부의 포를 골고루 분산시키는 과정을 의미한다.
탈수 과정(b)은 제4 시점(t4)부터 제14 시점(t14)의 시간 동안 수행된다. 탈수 과정(b)에서 제어부(200)는 드럼(60)을 고속으로 회전시켜 드럼(60) 내부의 포의 수분을 제거한다.
하지만, 포분산 과정(a) 및 탈수 과정(b)은 그 주된 기능을 중심으로 명명한 것이며, 그 명칭에 따라 각 단계에서의 기능이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포분산 과정(a)에서 포분산 과정(a)뿐만 아니라 드럼(60)의 회전에 의해 포에서 물을 제거하는 탈수 과정(b)을 수행할 수 있으며 탈수 과정(b)의 수행 중에도 포분산 과정(a)이 수행될 수 있다.
포분산 과정(a)은 포량 감지 과정(a1) 및 포풀림 과정(a2)을 포함한다. 이하, 각 과정을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포량 감지 과정(a1)은 제1 시점(t1)부터 제2 시점(t2)까지 수행된다. 포량 감지 과정(a1)은 헹굼 행정(a0) 종료 후 수분에 젖은 세탁물의 포량을 감지하는 과정이다. 구체적으로, 포량 감지 과정(a1)은 탈수 행정을 이루는 단계 중 제일 먼저 수행되는 과정이다. 포량 감지 과정(a1)은 언발란스에 대비해 구동에 적합한 조건을 맞추기 위해 포량을 감지하는 과정이다.
이때, 포량 감지 과정(a1)에서 포량 감지부(220)는 드럼(60) 내부의 포량을 감지한다. 이때, 포량은 드럼(60)을 일정 속도까지 도달시키기 위해 소요되는 시간으로 감지한다. 포량이 증가하면 상대적으로 일정속도 도달 시간이 커지기 때문에 드럼(60)이 소정의 회전 속도까지 도달하는데 걸리는 시간으로 포량을 판단한다. 여기서 일정 속도란, 드럼(60)이 소정의 회전 속도에 도달하는 시점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포량 감지부(220)는 드럼(60)이 소정의 회전 속도에 도달하는 시점까지 즉, 대략 100 내지 110RPM정도, 바람직하게는 108 RPM으로 가속하여 소정 시간동안 정속 운전하고 감속하는 경우에 측정된다.
이때, 포량 감지부(220)에서 감지한 포량은 습포량이다. 습포량을 감지하는 이유는 세탁 행정의 초기에 젖어잇지 않은 포량, 즉 건포량을 감지하였더라도 수분을 함유한 포의 무게는 건조한 포의 무게와 다르기 때문이다. 감지된 습포량은 후술하는 가속 과정에서 드럼(60)을 가속하기 위한 허용 조건을 결정하거나, 가속 과정에서 드럼(60)을 감속하여 포분산 과정을 다시 수행하도록 결정하는 인자로 작용하게 된다.
또한, 포량 감지부(220)는 포량을 감지한 후 감지한 포량에 대한 데이터를 제어부(200)에 전달한다. 이때, 제어부(200)는 드럼(60) 내부의 포를 포량 감지부(220)에서 학습된 데이터에 기반하여 포량에 따른 레벨을 판정할 수 있다. 포량의 판정은 터브(30)안에 투입된 포를 무게(부하)에 따라 미리 설정된 복수의 포량 레벨(LEVEL)로 분류하는 작업일 수 있다.
포량은 9단계(LEVEL)로 분류될 수 있다. 제어부(200)는 포량 감지부(220)에서 학습된 데이터에 기반하여 터브(30) 내부의 포량을 표 1에 따른 LEVEL0 ~ LEVEL9로 분류한다. LEVEL0에서 LEVEL9로 갈수록 포량은 증가한다.
포풀림 과정(a2)은 포량 감지 과정(a1)이 수행된 이후에 수행된다. 포풀림 과정(a2)은, 드럼(60)을 소정의 가속도로 가속시켜 드럼(60) 내부의 포를 고르게 분산되도록, 제어부(200)가 구동부(290)를 제어하는 과정이다. 이때, 포량 감지 과정(a1)에서 감지된 포량에 따라 결정되는 가속도로 드럼(60)을 포붙임 속도까지 서서히 가속시킨다.
포붙임 속도는 편심량 감지 과정(b1)을 시작하는 회전 속도이다. 또한, 가속도란 드럼(60)의 회전 가속도를 의미한다. 드럼 가속도의 단위는 RPM/ms로서, 1milisecond 동안의 드럼(60)의 속도의 변화를 의미한다. 드럼 속도는 RPM(revolution per minute)으로서 1분당 드럼(60)의 회전수로 표현된다.
이하, 탈수 과정(b)을 설명한다. 탈수 과정(b)은 세탁기(1)의 드럼(60)을 회전시켜 포가 함유하고 있는 수분을 제거하는 단계이다. 탈수 과정(b)은 제4 시점(t4)부터 제14 시점(t14)의 시간동안 수행 된다.
탈수 과정(b)는, 편심량 감지 과정(b1), 제4 가속 과정(b2), 제4 탈수 유지 과정(b3), 제3 가속 과정(b4), 제3 탈수 유지 과정(b5), 제2 가속 과정(b6), 제2 탈수 유지 과정(b7), 제1 가속 과정(b8), 제1 탈수 유지 과정(b9), 제1 감속 과정(b10)으로 구성된다.
편심량 감지 과정(b1)은 제4 시점(t4)부터 제5 시점(t5)의 시간 동안 수행된다. 편심량 감지 과정(b1)에서, 제어부(200)는 드럼(60)의 회전 속도를 100RPM 내지 110RPM까지, 바람직하게는 108RPM까지 정속 회전 하도록 구동부(290)를 제어한다. 이때, 편심량 감지부(240)가 정속 회전하는 드럼(60)의 편심량을 감지한다.
편심량 감지부(240)가 감지한 드럼(60)의 편심량을 제어부(200)에 전달한다. 제어부(200)는 편심량 감지부(240)로부터 전달받은 드럼(60)의 편심량을 이용하여 드럼(60)의 가속 여부를 결정한다. 이는, 드럼(60) 내부의 포가 골고루 분산되지 않고, 소정 영역에 집중되면 드럼의 편심량이 커지게 되며 구동부(290)가 드럼(60)의 회전 속도를 증가시키는 경우 소음 및 진동이 커질 수 있기 때문이다. 이때, 편심량 감지부(240)에서 감지된 편심량이 기준 허용치인 기준 편심량을 초과하는 경우, 제어부(200)가 드럼(60)의 회전속도를 낮춘 후 다시 포분산 과정(a)을 수행하도록 구동부(290)를 제어한다.
이때, 편심량 감지 과정(b1)에서 편심량 감지부(240)는 드럼(60)이 회전하는 경우에 드럼(60)의 회전 가속도의 차이를 이용하여 편심량을 감지할 수 있다. 편심이 발생한 드럼(60)은 편심이 발생한 정도에 따라 중력을 따라 아래쪽으로 회전하는 경우 및 중력과 반대되어 위쪽으로 회전하는 경우에 회전 가속도의 차이가 발생한다. 또한, 편심량 감지부(240)는 회전 속도 감지부(300)를 이용하여 드럼(60)이 아래쪽으로 회전하는 경우 및 위쪽으로 회전하는 경우에 회전 가속도 차이를 측정하여 편심량을 감지하고 제어부(200)에 전달한다.
또한, 편심량 감지부(240)가 드럼(60)의 편심을 감지하기 위해서는 드럼(60)이 회전하더라도 드럼(60)내부의 포는 드럼(60) 내부면을 이탈하지 않고 드럼(60) 내주면에 붙어있는 상태를 유지해야한다. 따라서, 드럼(60)은 포붙임 상태로 회전해야하며, 이때 드럼(60)의 대략 100 내지 110RPM 정도의 회전속도로 회전한다. 이때, 제어부(200)는 습포량에 따라 가속을 허용하는 기준 편심량을 미리 메모리(260)에 데이터로 저장한다. 또한, 회전하는 드럼(60)의 편심량이 기준 편심량 이상인 경우, 드럼(60)을 고속으로 가속하면 드럼(60)의 진동 및 소음이 현저하게 커지므로, 제어부(200)는 편심량 감지부(240)에서 감지한 편심량과 미리 메모리(260)에 저장된 기준 편심량을 비교하여 드럼(60)의 회전을 가속할지를 판단한다. 이는, 후술할 제4 탈수 유지 과정(b3), 제3 탈수 유지 과정(b5), 제2 탈수 유지 과정(b7), 제1 탈수 유지 과정(b9)에도 동일한 과정이 수행된다.
한편, 제어부(200)는 편심량 감지부(240)에서 감지한 습포량에 따른 편심량이 기준 편심량 이하이면 가속 허용 조건을 만족하므로 제4 가속 과정(b2)을 진행하도록 구동부(290)를 제어한다.
한편, 제4 가속 과정(b2)은 제5 시점(t5)부터 제6 시점(t6)까지 수행된다. 제4 가속 과정(b2)에서 제어부(200)는 드럼(60)이 소정의 회전 속도까지 가속되도록 구동부(290)를 제어한다. 또한, 드럼(60)이 가속되는 중에 편심량 감지부(240)가 회전하는 드럼(60)의 편심량을 감지한다.
제4 가속 과정(b2)에서, 편심량 감지부(240)가 감지한 드럼(60)의 편심량이 기준 편심량을 초과하면 제어부(200)는 드럼(60)이 낮은 회전 속도록 회전하여 다시 포분산 과정(a)을 수행하도록 구동부(290)를 제어한다. 한편, 편심량 감지부(240)에서 감지한 드럼(60)의 편심량이 기준 편심량을 초과하지 않으면 제어부(200)는 드럼(60)을 가속 회전 하도록 구동부(290)를 제어한다. 또한, 진동량 감지부(250)는 제4 가속 과정(b2)에서 가속하여 회전하는 드럼(60)의 진동을 감지한다. 이는, 후술할 제3 가속 과정(b4), 제2 가속 과정(b6), 제1 가속 과정(b8)에도 동일한 과정이 수행된다.
진동량 감지부(250)가 제4 가속 과정(b2)에서 감지한 드럼(60)의 진동량을 제어부(200)에 전달한다. 제어부(200)는 진동량 감지부(250)로부터 전달받은 제4 가속 과정(b2)에서 감지한 드럼(60)의 진동량을 가변 테이블에 저장한다. 또한, 편심량 감지부(240)에서 감지한 제4 가속 과정(b2)에서 드럼(60)의 편심량이 기준 편심량을 이하인 경우, 제4 탈수 유지 과정(b3)이 수행된다.
제4 탈수 유지 과정(b3)은 제6 시점(t6)부터 제7 시점(t7)까지 수행된다. 제4 탈수 유지 과정(b3)은 제어부(200)가 드럼(60)이 제4 탈수 유지 속도로 정속 회전하도록 구동부(290)를 제어하여 드럼(60)내부의 세탁물에 함유된 수분을 제거하는 단계이다.
또한, 제4 탈수 유지 과정(b3)에서 편심량 감지부(240)가 정속 회전하는 드럼(60)의 편심량을 감지한다. 편심량 감지부(240)가 감지한 드럼(60)의 편심량을 제어부(200)에 전달한다. 제어부(200)는 편심량 감지부(240)로부터 전달받은 드럼(60)의 편심량을 이용하여 드럼(60)의 가속 여부를 결정한다.
한편, 제어부(200)는 편심량 감지부(240)에서 감지한 편심량이 기준 편심량 이하이면 가속 허용 조건을 만족하므로 가속 과정을 진행하도록 구동부(290)를 제어한다. 이때, 가속 허용 조건을 만족하면 제4 탈수 유지 과정(b3) 이후에 제3 가속 과정(b4)이 수행된다.
제3 가속 과정(b4)은 제7 시점(t7)부터 제8 시점(t8)까지 수행된다. 제어부(200)는 제3 가속 과정(b4)에서 드럼(60)이 소정의 회전 속도까지 가속되도록 구동부(290)를 제어한다. 또한 드럼(60)이 가속되는 중에 편심량 감지부(240)가 회전하는 드럼(60)의 편심량을 감지한다. 또한, 진동량 감지부(250)가 가속하여 회전하는 드럼(60)의 진동을 감지한다. 진동량 감지부(250)가 제3 가속 과정(b4)에서 감지한 드럼(60)의 진동량을 제어부(200)에 전달한다. 제어부(200)는 진동량 감지부(250)로부터 전달받은 제3 가속 과정(b4)에서 감지한 드럼(60)의 진동량을 가변 테이블에 저장한다.
제3 탈수 유지 과정(b5)은 제8 시점(t8)부터 제9 시점(t9)까지 수행된다. 제3 탈수 유지 과정(b5)은 제어부(200)가 드럼(60)이 제3 탈수 유지 속도로 회전하도록 구동부(290)를 제어하여 드럼(60)내부의 세탁물에 함유된 수분을 제거하는 단계이다. 제3 탈수 유지 과정(b4)에서 편심량 감지부(240)가 정속 회전하는 드럼(60)의 편심량을 감지한다. 편심량 감지부(240)가 감지한 드럼(60)의 편심량을 제어부(200)에 전달한다. 제어부(200)는 편심량 감지부(240)로부터 전달받은 드럼(60)의 편심량을 이용하여 드럼(60)의 가속 여부를 결정한다.
한편, 제어부(200)는 편심량 감지부(240)에서 감지한 편심량이 기준 편심량 이하이면 가속 허용 조건을 만족하므로 가속 과정을 진행하도록 구동부(290)를 제어한다. 이때, 가속 허용 조건을 만족하면 제3 탈수 유지 과정(b5) 이후에 제2 가속 과정(b6)이 수행된다.
제2 가속 과정(b6)은 제9 시점(t9)부터 제10 시점(t10)까지 수행된다. 제2 가속 과정(b6)에서 제어부(200)가 드럼(60)이 소정의 회전 속도까지 가속되도록 구동부(290)를 제어한다. 또한 드럼(60)이 가속되는 중에 편심량 감지부(240)가 회전하는 드럼(60)의 편심량을 감지한다. 또한, 진동량 감지부(250)가 가속하여 회전하는 드럼(60)의 진동을 감지한다. 진동량 감지부(250)가 제2 가속 과정(b6)에서 감지한 드럼(60)의 진동량을 제어부(200)에 전달한다. 제어부(200)는 진동량 감지부(250)로부터 전달받은 제2 가속 과정(b6)에서 감지한 드럼(60)의 진동량을 가변 테이블에 저장한다. 제2 가속 과정(b6) 이후에 제2 탈수 유지 과정(b7)이 수행된다.
제2 탈수 유지 과정(b7)은 제10 시점(t10)부터 제11 시점(t11)까지 수행된다. 제2 탈수 유지 과정(b7)은 제어부(200)가 드럼(60)이 제2 탈수 유지 속도로 회전하도록 구동부(290)를 제어하여 드럼(60)내부의 세탁물에 함유된 수분을 제거하는 단계이다. 제2 탈수 유지 과정(b7)에서 편심량 감지부(240)가 정속 회전하는 드럼(60)의 편심량을 감지한다. 편심량 감지부(240)가 감지한 드럼(60)의 편심량을 제어부(200)에 전달한다. 제어부(200)는 편심량 감지부(240)로부터 전달받은 드럼(60)의 편심량을 이용하여 드럼(60)의 가속 여부를 결정한다.
한편, 제어부(200)는 편심량 감지부(240)에서 감지한 편심량이 기준 편심량 이하이면 가속 허용 조건을 만족하므로 가속 과정을 진행하도록 구동부(290)를 제어한다. 이때, 가속 허용 조건을 만족하면 제2 탈수 유지 과정(b7) 이후에 제1 가속 과정(b8)이 수행된다.
제1 가속 과정(b8)은 제11 시점(t11)부터 제12 시점(t12)까지 수행된다. 제1 가속 과정(b8)에서 제어부(200)가 드럼(60)이 소정의 회전 속도까지 가속되도록 구동부(290)를 제어한다. 또한 드럼(60)이 가속되는 중에 편심량 감지부(240)가 회전하는 드럼(60)의 편심량을 감지한다. 또한, 진동량 감지부(250)가 가속하여 회전하는 드럼(60)의 진동을 감지한다. 진동량 감지부(250)가 제1 가속 과정(b8)에서 감지한 드럼(60)의 진동량을 제어부(200)에 전달한다. 제어부(200)는 진동량 감지부(250)로부터 전달받은 제1 가속 과정(b6)에서 감지한 드럼(60)의 진동량을 가변 테이블에 저장한다. 제1 가속 과정(b8) 이후에 제1 탈수 유지 과정(b9)이 수행된다.
제1 탈수 유지 과정(b9)은 제12 시점(t12)부터 제13 시점(t13)까지 수행된다. 제1 탈수 유지 과정(b9)은 제어부(200)가 드럼(60)이 제1 탈수 유지 속도로 회전하도록 구동부(290)를 제어하여 드럼(60)내부의 세탁물에 함유된 수분을 제거하는 단계이다. 제1 탈수 유지 과정(b9) 이후에 제1 감속 과정(b10)이 수행된다.
제1 감속 과정(b10)은 제13 시점(t13)부터 제14 시점(t14)까지 수행된다. 제1 감속 과정(b10)은 제어부(200)가 드럼(60)의 회전 속도를 감소 시켜 탈수를 종료하는 과정이다.
이하, 표 1을 참조하여, 감지한 포량 및 드럼(60)의 진동 유형에 따라 분류된 가변 테이블을 설명한다.
Figure pat00004
[ 표 1 ]
제어부(200)는 진동량 감지부(250)에서 감지한 진동 크기에 기반하여 탈수 시 드럼(60)의 진동 유형을 클래스(Class) 1에서 클래스(Class) 3까지 분류할 수 있다. Class 1은 진동이 작은 경우이다. class 2는 class 1 과 class3의 중간 유형의 진동 유형이다. class3는 진동이 큰 경우이다. 이하, 진동 상태가 class1인 경우를 제1 상태, 진동 상태가 class2인 경우를 제2 상태, 진동 상태가 class3인 경우를 제3 상태라 명명한다.
또한, 표 1을 참조하면, 가변 테이블에는 감지된 포량 및 감지된 진동 유형에 따라서, N회 드럼(60)의 가속 과정 각각에서 진동량 감지부(250)가 감지한 드럼(60)의 진동 크기 및 N회의 정속 과정 각각에서 회전 속도 감지부(300)에서 감지한 드럼(60)의 탈수 유지 속도가 포함된다. 또한, 가변 테이블에는 제1 변수(
Figure pat00005
A) 및 제2 변수(
Figure pat00006
B)가 저장된다. 이때, 제1 변수(
Figure pat00007
A)
Figure pat00008
는 탈수 유지 속도의 변화량이고, 제2 변수(
Figure pat00009
B)는 및 탈수 유지 시간의 변화량이다.
이하, 탈수 포량이 LEVEL 2이고, 진동 유형이 제1 상태(class1)인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제어부(200)는 제4 가속 과정(b2)에서 드럼(60)의 진동 크기와 제4 탈수 유지 단계(b3)에서 드럼(60)의 탈수 유지 속도를 가변 테이블에 저장한다. 이때, 제어부(200)는 진동량 감지부(250)에서 감지한 드럼(60)의 진동의 크기인 0.9G 및 회전 속도 감지부(300)에서 감지한 드럼(60)의 탈수 유지 속도인 1180 RPM을 가변 테이블에 저장한다.
또한, 제어부(200)는 제3 가속 과정(b4)에서 드럼(60)의 진동크기와 제3 탈수 유지 단계(b5)에서 드럼(60)의 탈수 유지 속도를 가변 테이블에 저장한다. 이때, 제어부(200)는 진동량 감지부(250)에서 감지한 드럼(60)의 진동의 크기인 1.4G 및 회전 속도 감지부(300)에서 감지한 드럼(60)의 탈수 유지 속도인 1210RPM을 가변 테이블에 저장한다.
또한, 제어부(200)는 제2 가속 과정(b6)에서 드럼(60)의 진동 크기와 제2 탈수 유지 단계(b7)에서 드럼(60)의 탈수 유지 속도를 가변 테이블에 저장한다. 이때, 제어부(200)는 진동량 감지부(250)에서 감지한 드럼(60)의 진동의 크기인 1.3G 및 회전 속도 감지부(300)에서 감지한 드럼(60)의 탈수 유지 속도인 1210 RPM을 가변 테이블에 저장한다.
또한, 제어부(200)는 제1 탈수 유지 과정(b9)의 제1 변수(
Figure pat00010
A) 및 제2 변수(
Figure pat00011
B)을 산출하기 위하여 가변 테이블에 저장된 제4, 제3 및 제2 가속 과정에서의 진동 크기 및 제4, 제3 및 제2 탈수 유지 단계에서 탈수 유지 속도가 진화 요건을 충족하는지를 판단한다. 이때, 진화 요건을 충족하는 경우, 제어부(200)는 제1 탈수 유지 과정(b9)의 제1 변수(
Figure pat00012
A=50) 및 제2 변수(
Figure pat00013
B=-40) 생성한다. 제어부(200)는 제1 탈수 유지 과정(b9)의 제1 변수(
Figure pat00014
A=50) 및 제2 변수(
Figure pat00015
B=-40)를 가변 테이블에 저장한다. 또한, 제어부(200)는 가변 테이블에 저장된 제1 탈수 유지 과정(b9)의 제1 변수(
Figure pat00016
A=50) 및 제2 변수(
Figure pat00017
B=-40)를 이용하여 제1 탈수 유지 과정(b9)을 수행한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진화 요건을 충족하는 경우, 제어부(200)는 제1 탈수 유지 단계(b9)에서 탈수 유지 속도를 A+
Figure pat00018
A로 가변한다. 또한, 제어부(200)는 제1 탈수 유지 단계(b9)에서 탈수 유지 시간을 B+
Figure pat00019
B로 가변한다.
이하, 드럼(60) 내부의 탈수 포량이 LEVEL 2이고, 드럼(60)의 진동 유형이 제2 상태(class2)인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제어부(200)은 가변 테이블에 제4 가속 과정(b2)에서 드럼(60)의 진동 크기와 제4 탈수 유지 과정(b3)의 탈수 유지 속도를 저장한다. 이때, 제어부(200)는 진동량 감지부(250)에서 감지한 드럼(60)의 진동의 크기인 2.4G 및 회전 속도 감지부(300)에서 감지한 드럼(60)의 탈수 유지 속도인 1160 RPM을 가변 테이블에 저장한다.
또한, 제어부(200)은 가변 테이블에 제3 가속 과정(b4)에서 드럼(60)의 진동 크기와 제3 탈수 유지 과정(b5)의 탈수 유지 속도를 저장한다. 이때, 제어부(200)는 진동량 감지부(250)에서 감지한 드럼(60)의 진동의 크기인 3.1G 및 회전 속도 감지부(300)에서 감지한 드럼(60)의 탈수 유지 속도인 1160RPM을 가변 테이블에 저장한다.
또한, 제어부(200)은 가변 테이블에 제2 가속 과정(b6)의 드럼(60)의 진동 크기와 제2 탈수 유지 과정(b7)의 탈수 유지 속도를 저장한다. 이때, 제어부(200)는 진동량 감지부(250)에서 감지한 드럼(60)의 진동의 크기인 2.7G 및 회전 속도 감지부(300)에서 감지한 드럼(60)의 탈수 유지 속도인 1160RPM을 가변 테이블에 저장한다.
또한, 제어부(200)는 제1 탈수 유지 과정(b9)의 제1 변수(
Figure pat00020
A) 및 제2 변수(
Figure pat00021
B)를 산출하기 위하여 가변 테이블에 저장된 제4, 제3 및 제2의 가속 과정에서의 진동 크기 및 제4, 제3 및 제2의 탈수 유지 속도가 진화 요건을 충족하는지를 판단한다.
이때, 진화 요건을 충족하지 못하는 경우, 제어부(200)는 제1 탈수 유지 과정(b9)의 제1 변수(
Figure pat00022
A=0) 및 제2 변수(
Figure pat00023
B=0)를 생성한다. 진화 요건을 충족하지 못하는 경우
Figure pat00024
A=0이고,
Figure pat00025
B=0이다. 제어부(200)는 제1 탈수 유지 과정(b9)에서의 제1 변수(
Figure pat00026
A=0) 및 제2 변수(
Figure pat00027
B=0)를 가변 테이블에 저장한다.
이때, 제어부(200)는 가변 테이블에 저장된 제1 탈수 유지 과정(b9)의 제1 변수(
Figure pat00028
A=0) 및 제2 변수(
Figure pat00029
B=0)를 이용하여 제1 탈수 유지 과정(b9)에서 제어부(200)는 탈수 유지 속도를 A로 유지한다. 또한, 제어부(200)는 탈수 유지 시간을 B로 유지한다.
이하, 드럼(60) 내부의 탈수 포량이 LEVEL 2이고, 드럼(60)의 진동 유형이 제3 상태(class3)인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제어부(200)은 가변 테이블에 제4 가속 과정(b2)에서 드럼(60)의 진동 크기와 제4 탈수 유지 과정(b3)에서 탈수 유지 속도를 저장한다. 이때, 제어부(200)는 진동량 감지부(250)에서 감지한 드럼(60)의 진동의 크기인 5.2G 및 회전 속도 감지부(300)에서 감지한 드럼(60)의 회전 유지 속도인 1040RPM을 가변 테이블에 저장한다.
또한, 제어부(200)은 가변 테이블에 제3 가속 과정(b4)에서 드럼(60)의 진동 크기와 제3 탈수 유지 과정(b4)의 탈수 유지 속도를 저장한다. 이때, 제어부(200)는 진동량 감지부(250)에서 감지한 드럼(60)의 진동의 크기인 4.3G 및 회전 속도 감지부(300)에서 감지한 드럼(60)의 회전 유지 속도인 1040RPM을 가변 테이블에 저장한다.
또한, 제어부(200)은 가변 테이블에 제2 가속 과정(b6)에서 드럼(60)의 진동 크기와 제2 탈수 유지 과정(b7)에서 탈수 유지 속도를 저장한다. 이때, 제어부(200)는 진동량 감지부(250)에서 감지한 드럼(60)의 진동의 크기인 6.1G 및 회전 속도 감지부(300)에서 감지한 드럼(60)의 회전 유지 속도인 1040 RPM을 가변 테이블에 저장한다.
또한, 제어부(200)는 제1 탈수 유지 과정(b9)의 제1 변수(
Figure pat00030
A) 및 제2 변수(
Figure pat00031
B)을 산출하기 위하여 가변 테이블에 저장된 제4, 제3 및 제2 가속 과정에서의 진동 크기 및 제4, 제3 및 제2 탈수 유지 과정에서의 탈수 유지 속도가 진화 요건을 충족하는지를 판단한다.
이때, 진화 요건을 충족하는 경우, 제어부(200)는 제1 탈수 유지 과정(b9)의 제1 변수(
Figure pat00032
A=-120) 및 제2 변수(
Figure pat00033
B=+100) 생성한다. 제어부(200)는 제1 탈수 유지 과정(b9)의 제1 변수(
Figure pat00034
A=-120) 및 제2 변수 (
Figure pat00035
B=+100)를 가변 테이블에 저장한다.
또한, 제어부(200)는 가변 테이블에 저장된 제1 탈수 유지 과정(b9)의 제1 변수(
Figure pat00036
A=-120) 및 제2 변수(
Figure pat00037
B=+100)를 이용하여 제1 탈수 유지 과정(b9)를 가변한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제4, 제3 및 제2 가속 과정에서의 진동 크기 및 제4, 제3 및 제2 탈수 유지 과정의 탈수 유지 속도가 진화 요건을 충족하는 경우, 제1 탈수 유지 과정(b9)에서 제어부(200)는 탈수 유지 속도를 A+
Figure pat00038
A로 가변한다. 또한, 제어부(200)는 제1 탈수 유지 과정(b9)에서 탈수 유지 시간을 B+
Figure pat00039
B로 가변한다.
이하, 드럼 내부의 탈수 포량이 LEVEL 4이고, 드럼(60)의 진동 유형이 제1 상태(class3)인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제어부(200)은 가변 테이블에 제4 가속 과정(b2)에서 드럼(60)의 진동 크기와 제4 탈수 유지 과정(b3)에서 탈수 유지 속도를 저장한다. 이때, 제어부(200)는 진동량 감지부(250)에서 감지한 드럼(60)의 진동의 크기인 1.2G 및 회전 속도 감지부(300)에서 감지한 드럼(60)의 탈수 유지 속도인 1080 RPM을 가변 테이블에 저장한다.
또한, 제어부(200)은 가변 테이블에 제3 가속 과정(b4)에서 드럼(60)의 진동 크기와 제3 탈수 유지 과정(b5)에서 탈수 유지 속도를 저장한다. 이때, 제어부(200)는 진동량 감지부(250)에서 감지한 드럼(60)의 진동의 크기인 0.7G 및 회전 속도 감지부(300)에서 감지한 드럼(60)의 탈수 유지 속도인 1080 RPM을 가변 테이블에 저장한다.
또한, 제어부(200)은 가변 테이블에 제2 가속 과정(b6)에서 드럼(60)의 진동 크기와 제2 탈수 유지 과정(b7)에서 탈수 유지 속도를 저장한다. 이때, 제어부(200)는 진동량 감지부(250)에서 감지한 드럼(60)의 진동의 크기인 1.6G 및 회전 속도 감지부(300)에서 감지한 드럼(60)의 탈수 유지 속도인 1080RPM을 가변 테이블에 저장한다.
또한, 제어부(200)는 제1 탈수 유지 과정(B9)의 제1 변수(
Figure pat00040
A) 및 제2 변수(
Figure pat00041
B)를 갱신하기 위하여 가변 테이블에 저장된 제4, 제3 및 제 2의 가속 과정에서의 진동 크기 및 제4, 제3 및 제 2의 탈수 유지 과정에서 탈수 유지 속도가 진화 요건을 충족하는지를 판단한다.
이때, 진화 요건을 충족하는 경우, 제어부(200)는 제1 탈수 과정(b8)에서의 제1 변수(
Figure pat00042
A=20) 및 제2 변수(
Figure pat00043
B=-30)를 생성하고, 가변 테이블에 저장한다. 또한, 제어부(200)는 가변 테이블에 저장된 제1 탈수 과정(b8)의 제1 변수(
Figure pat00044
A=20) 및 제2 변수(
Figure pat00045
B=-30)를 이용하여 제1 탈수 유지 과정(b8)을 가변한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진화 요건을 충족하는 경우, 제어부(200)는 제1 탈수 유지 과정(b9)에서 탈수 유지 속도를 A+
Figure pat00046
A로 가변한다. 또한, 제어부(200)는 제1 탈수 유지 과정(b9)의 유지 시간을 B+
Figure pat00047
B로 가변한다.
이하, 드럼(60) 내부의 탈수 포량이 LEVEL 4이고, 드럼(60)의 진동 유형이 제2 상태(class2)인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또한, 제어부(200)는 가변 테이블에 제4 가속 과정(b2)에서 드럼(60)의 진동 크기와 제4 탈수 유지 과정(b3)에서 탈수 유지 속도를 저장한다. 이때, 제어부(200)는 진동량 감지부(250)에서 감지한 드럼(60)의 진동의 크기인 3.7G 및 회전 속도 감지부(300)에서 감지한 드럼(60)의 탈수 유지 속도인 1060 RPM을 가변 테이블에 저장한다.
또한, 제어부(200)은 가변 테이블에 제3 가속 과정(b5)에서 드럼(60)의 진동 크기와 제3 탈수 유지 과정(b6)에서 탈수 유지 속도를 저장한다. 이때, 제어부(200)는 진동량 감지부(250)에서 감지한 드럼(60)의 진동의 크기인 2.9G 및 회전 속도 감지부(300)에서 감지한 드럼(60)의 탈수 유지 속도인 1060 RPM을 가변 테이블에 저장한다.
또한, 제어부(200)은 가변 테이블에 제2 가속 과정(b6)에서 드럼(60)의 진동 크기와 제2 탈수 유지 과정(b7)에서 탈수 유지 속도를 저장한다. 이때, 제어부(200)는 진동량 감지부(250)에서 감지한 드럼(60)의 진동의 크기인 4.1G 및 회전 속도 감지부(300)에서 감지한 드럼(60)의 탈수 유지 속도인 1060 RPM을 가변 테이블에 저장한다.
또한, 제어부(200)는 제1 탈수 유지 과정(b9)의 제1 변수(
Figure pat00048
A) 및 제2 변수(
Figure pat00049
B)를 갱신하기 위하여 가변 테이블에 저장된 제4, 제3 및 제2 가속 과정에서의 진동 크기 및 제4, 제3 및 제2 탈수 유지 과정의 탈수 유지 속도가 진화 요건을 충족하는지를 판단한다.
이때, 진화 요건을 충족하지 못하는 경우, 제어부(200)는 제1 탈수 유지 과정(b9)에서의 제1 변수(
Figure pat00050
A=0) 및 제2 변수(
Figure pat00051
B=0) 생성한다. 이때, 진화 요건을 충족하지 못하는 경우
Figure pat00052
A=0이고,
Figure pat00053
B=0이다. 제어부(200)는 제1 탈수 유지 과정(b9)에서의 제1 변수(
Figure pat00054
A=0) 및 제2 변수(
Figure pat00055
B=0)를 가변 테이블에 저장한다.
이때, 제어부(200)는 가변 테이블에 저장된 제1 탈수 유지 과정(b9)에서의 제1 변수(
Figure pat00056
A=0) 및 제2 변수(
Figure pat00057
B=0)를 이용하여 제1 탈수 유지 과정(b9)에서 탈수 유지 속도를 A로 유지한다. 또한, 제어부(200)는 제1 탈수 유지 과정(b9)에서 탈수 유지 시간을 B로 유지한다.
이하, 드럼(60) 내부의 탈수 포량이 LEVEL 4이고, 드럼(60)의 진동 유형이 제3 상태(class3)인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제어부(200)은 가변 테이블에 제4 가속 과정(b2)에서 드럼(60)의 진동 크기와 제4 탈수 유지 과정(b3)에서 탈수 유지 속도를 저장한다. 이때, 제어부(200)는 진동량 감지부(250)에서 감지한 드럼(60)의 진동의 크기인 4.8G 및 회전 속도 감지부(300)에서 감지한 드럼(60)의 탈수 유지 속도인 1020RPM을 가변 테이블에 저장한다.
또한, 제어부(200)은 가변 테이블에 제3 가속 과정(b4)에서 드럼(60)의 진동 크기와 제3 탈수 유지 과정(b5)에서 탈수 유지 속도를 저장한다. 이때, 제어부(200)는 진동량 감지부(250)에서 감지한 드럼(60)의 진동의 크기인 7.5G 및 회전 속도 감지부(300)에서 감지한 드럼(60)의 탈수 유지 속도인 1020RPM을 가변 테이블에 저장한다.
또한, 제어부(200)은 가변 테이블에 제2 가속 과정(b6)에서 드럼(60)의 진동 크기와 제2 탈수 유지 과정(b7)에서 탈수 유지 속도를 저장한다. 이때, 제어부(200)는 진동량 감지부(250)에서 감지한 드럼(60)의 진동의 크기인 5.7G 및 회전 속도 감지부(300)에서 감지한 드럼(60)의 탈수 유지 속도인 1000 RPM을 가변 테이블에 저장한다.
또한, 제어부(200)는 제1 탈수 과정(b9)의 제1 변수(
Figure pat00058
A) 및 제2 변수(
Figure pat00059
B)를 산출하기 위하여 가변 테이블에 저장된 제4, 제3 및 제2 가속 과정에서의 진동 크기 및 제4, 제3 및 제2 탈수 유지 과정의 탈수 유지 속도가 진화 요건을 충족하는지를 판단한다.
이때, 진화 요건을 충족하는 경우, 제어부(200)는 제1 탈수 과정(b9)에서의 제1 변수(
Figure pat00060
A=-60) 및 제2 변수(
Figure pat00061
B=+90)를 생성하고, 가변 테이블에 저장한다. 또한, 제어부(200)는 가변 테이블에 저장된 제1 탈수 과정(b9)의 제1 변수(
Figure pat00062
A=-120) 및 제2 변수(
Figure pat00063
B=+100)를 이용하여 제1 탈수 유지 과정(b9)을 가변한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제4, 제3 및 제2 가속 과정에서의 진동 크기 및 제4, 제3 및 제2 탈수 유지 과정에서의 탈수 유지 속도가 진화 요건을 충족하는 경우, 제어부(200)는 제1 탈수 유지 과정(b9)에서 탈수 유지 속도를 A+
Figure pat00064
A로 가변한다. 또한, 제어부(200)는 제1 탈수 유지 과정(b9)에서 탈수 유지 시간을 B+
Figure pat00065
B로 가변한다.
이하, 도 4를 참조하여 실시예에 따른 제1 변수(
Figure pat00066
A) 및 제2 변수(
Figure pat00067
B)를 생성하는 그래프를 설명한다.
도 4는 실시예에 따른 제1 변수(
Figure pat00068
A) 및 제2 변수(
Figure pat00069
B)를 생성하는 과정 설명하는 그래프이다.
도 4의 (a)는 탈수 유지 속도 변화량인 제1 변수(
Figure pat00070
A)를 설명하는 그래프이다. 또한, 도 4의 (b)는 탈수 유지 시간의 변화량인 제2 변수
Figure pat00071
B)를 설명하는 그래프이다.
이하, 도 4의 (a)를 이용하여 제1 변수 (
Figure pat00072
A )를 생성하는 과정을 설명한다.
제어부(200)는 제1 탈수 유지 과정(b9)의 제1 변수(
Figure pat00073
A) 및 제2 변수(
Figure pat00074
B)를 산출하기 위하여 가변 테이블에 저장된 제4, 제3 및 제2 가속 과정에서의 드럼(60)의 진동 크기 및 제4, 제3 및 제2 탈수 유지 과정의 드럼(60)의 탈수 유지 속도가 진화 요건을 충족하는지를 판단한다.
이때, 제4, 제3 및 제2 가속 과정에서의 진동 크기 및 제4, 제3 및 제2 탈수 유지 과정의 탈수 유지 속도가 진화 요건을 충족하는 경우, 제어부(200)는 제1 탈수 유지 과정(b9)의 제1 변수(
Figure pat00075
A) 및 제2 변수(
Figure pat00076
B) 생성하여 제어부(200)에 전달한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제어부(200)는 제4, 제3 및 제2 가속 과정에서의 진동 크기를 평균한 값인 AVR을 계산한다. 제어부(200)는 평균한 값인 AVR(
Figure pat00077
)가 진화 요건인 제2 기준 값인 TH2를 초과하는지를 판단한다. 평균한 값인 AVR(
Figure pat00078
)가 제2 기준 값인 TH2를 초과하는 경우 진화 요건을 만족한다. 이때, 제어부(200)는 도 4의 (a)에서 AVR(
Figure pat00079
)에 대응하는
Figure pat00080
를 제1 탈수 유지 과정(b9)의 제1 변수(
Figure pat00081
)로 지정한다.
또한, 제어부(200)는 지정된 제1 탈수 유지 과정(b9)의 제1 변수(
Figure pat00082
)를 제1 탈수 유지 과정(b9)의 제1 변수(
Figure pat00083
)로 하여 가변 테이블에 저장한다. 또한, 제어부(200)는 가변 테이블에 저장된 제1 탈수 유지 과정(b9)의 제1 변수(
Figure pat00084
)를 이용하여 제1 탈수 유지 과정(b9)의 탈수 유지 속도를 가변한다.
또한, 평균한 값인 AVR(
Figure pat00085
)가 제1 기준 값인 TH1를 미만인 경우 진화 요건을 만족한다. 이때, 제어부(200)는 도 4의 (a)에서 평균한 값인 AVR(
Figure pat00086
)에 대응하는
Figure pat00087
를 제1 변수(
Figure pat00088
)로 지정한다. 또한, 제어부(200)는 지정된 제1 변수(
Figure pat00089
)를 제1 탈수 유지 과정(b9)의 제1 변수(
Figure pat00090
A)로 하여 가변 테이블에 저장한다. 또한, 제어부(200)는 가변 테이블에 저장된 제1 탈수 과정(b9)의 제1 변수(
Figure pat00091
)를 이용하여 제1 탈수 유지 과정(b9)의 탈수 유지 속도를 가변한다.
또한, 평균한 값인 AVR(
Figure pat00092
)가 TH1를 초과하고 TH2의 미만인 경우 진화 요건을 만족하지 않는다. 이때, 제어부(200)는 도 4의 (a)에서 평균한 값인 AVR(
Figure pat00093
)에 대응하는
Figure pat00094
=0을 제1 변수
Figure pat00095
)로 지정한다. 또한, 제어부(200)는 지정된 제1 변수(
Figure pat00096
)를 제1 탈수 유지 과정(b9)의 제1 변수로 하여 가변 테이블에 저장한다. 또한, 제어부(200)는 가변 테이블에 저장된 제1 탈수 과정(b9)의 제1 변수(
Figure pat00097
)를 이용하여 제1 탈수 유지 과정(b9)의 탈수 유지 속도를 가변한다. 이때,
Figure pat00098
=0이므로, 제1 탈수 유지 과정(b9)에서 탈수 유지 속도는 변하지 않는다.
이하, 도 4의 (b)는 제2 변수(
Figure pat00099
B)를 생성하는 과정을 설명한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제어부(200)는 제4, 제3 및 제2 가속 과정에서의 진동 크기를 평균한 값인 AVR(
Figure pat00100
)을 계산한다.
제어부(200)는 제4, 제3 및 제2 가속 과정에서의 진동 크기를 평균한 값인 AVR(
Figure pat00101
)가 진화 요건인 제2 기준 값인 TH2를 초과하는지를 판단한다. 이때, AVR(
Figure pat00102
)가 제2 기준 값인 TH2를 초과하는 경우 진화 요건을 만족한다.
이때, 제어부(200)는 도 4의 (a)에서 AVR에 대응하는
Figure pat00103
를 제2 변수(
Figure pat00104
)로 지정한다. 제어부(200)는 제2 변수(
Figure pat00105
)를 제1 탈수 유지 과정(b9)의 제2 변수로 하여 가변 테이블에 저장한다. 또한, 제어부(200)는 가변 테이블에 저장된 제1 탈수 유지 과정(b9)의 제2 변수(
Figure pat00106
)를 이용하여 제1 탈수 유지 과정(b9)의 탈수 유지 시간을 가변한다.
또한, 평균한 값인 AVR(
Figure pat00107
)가 제1 기준 값인 TH1를 미만인 경우 진화 요건을 만족한다. 이때, 제어부(200)는 도 4의 (b)에서 AVR에 대응하는
Figure pat00108
를 제2 변수(
Figure pat00109
)로 지정한다. 또한, 제어부(200)는 제2 변수(
Figure pat00110
)를 제1 탈수 유지 과정(b9)의 제2 변수로 하여 가변 테이블에 저장한다. 또한, 제어부(200)는 가변 테이블에 저장된 제1 탈수 유지 과정(b9)의 제2 변수(
Figure pat00111
)를 이용하여 제1 탈수 유지 과정(b9)의 탈수 유지 시간을 가변한다.
또한, 평균한 값인 AVR(
Figure pat00112
)가 제1 기준 값인 TH1를 초과하고 제2 기준 값인 TH2의 미만인 경우 진화 요건을 만족하지 않는다. 이때, 제어부(200)는 도 4 (b)에서 평균한 값인 AVR(
Figure pat00113
)에 대응하는
Figure pat00114
=0을 제2 변수(
Figure pat00115
)로 지정한다. 제어부(200)는 제2 변수(
Figure pat00116
)를 제1 탈수 유지 과정(b9)의 제2 변수로 하여 가변 테이블에 저장한다.
또한, 제어부(200)는 가변 테이블에 저장된 제2 변수(
Figure pat00117
)를 이용하여 제1 탈수 유지 과정(b9)의 탈수 유지 시간을 가변한다. 이때,
Figure pat00118
=0이므로, 제1 탈수 유지 과정(b9)에서 탈수 유지 시간은 변하지 않고 유지된다.
이하, 도 5를 참조하여 실시예에 따른 포량 및 진동 유형에 따라 제1 탈수 유지 과정의 탈수 유지 속도 및 탈수 유지 시간을 가변하는 방법을 설명한다.
도 5는 실시예에 따른 포량 및 진동에 따라 제1 탈수 유지 과정의 탈수 유지 속도 및 탈수 유지 시간을 가변하는 방법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단계(S300)에서, 드럼(60) 내부의 세탁물의 포량 및 포질을 감지한다.
구체적으로, 포량 감지 과정(a1)에서 세탁물의 포량 및 포질을 감지하고, 포풀림 과정(a2)에서 드럼내의 세탁물을 분산한다.
단계(S310)에서, 탈수 행정을 수행한다.
구체적으로, 편심량 감지 과정(b1), 제4 가속 과정(b2), 제4 탈수 유지 과정(b3), 제3 가속 과정(b4), 제3 탈수 유지 과정(b5), 제2 가속 과정(b6), 제2 탈수 유지 과정(b7)을 수행한다.
단계(S320)에서, 제어부(200)는 가속 과정 각각에서 진동량 감지부(250)가 감지한 진동 특성 및 탈수 유지 과정 각각에서 회전 속도 감지부(300)에서 감지한 탈수 유지 속도를 측정한다.
구체적으로, 제1 탈수 유지 과정(b9)에서 탈수 유지 속도 및 탈수 유지 시간을 가변하기 위해서, 제2 가속 과정(b6)에서 진동량 감지부(250)가 감지한 진동 특성 및 제2 탈수 유지 과정(b7)에서 회전 속도 감지부(300)에서 감지한 탈수 유지 속도를 측정한다.
단계(S330)에서, 제어부(200)는 측정한 가속 과정 각각에서 진동의 크기 및 탈수 유지 과정 각각에서 탈수 유지 속도를 가변 테이블에 저장한다.
단계(S340)에서, 제어부(200)는 가변 테이블에 저장된 제4, 제3 및 제 2 가속 과정에서의 진동 크기에 대한 데이터의 평균이 제2 기준값을 초과하여 제1 기준 조건을 만족하는지 판단한다.
단계(S350)에서, 제어부(200)는 제4, 제3 및 제2 가속 과정에서 진동 크기에 대한 데이터의 평균이 제1 기준 조건을 만족 하는 경우, 생성된 제1 및 제2 변수에 따라 제1 탈수 유지 과정(b9)에서 탈수 유지 속도 및 탈수 유지 시간을 가변한다.
단계(S360)에서, 제어부(200)는 제4, 제3 및 제2 가속 과정에서의 진동 크기에 대한 데이터의 평균이 제2 기준값 미만인 경우, 제1 기준값을 초과하여 제2 기준 조건을 만족하는지 판단한다.
또한, 단계(S350)에서, 제어부(200)는, 제4, 제3 및 제2 가속 과정에서의 드럼(60)의 진동 크기에 대한 데이터의 평균이 제1 기준 조건, 제2 기준 조건을 만족 또는 제2 기준을 만족하지 않는 경우, 제1 및 제2 변수를 생성한다.
단계(S370)에서, 제어부(200)는 단계(S350)에서 생성된 제1 및 제2 변수(
Figure pat00119
A ,
Figure pat00120
B)를 가변 테이블에 저장한다.
이하, 표 2 및 표 3을 참조하여 실시예에 따른 세탁 행정에서의 시간 테이블을 설명한다.
표 2는 실시예의 세탁 포량별 디스플레이(270)에 표시되는 세탁 예측 시간을 나타내는 표이다. 표 3은 실시예에 따른 따른 세탁 행정에서의 시간 테이블을 설명하는 표이다.
이하, 표 2를 참조하여 실시예의 세탁 포량별 디스플레이(270)에 표시되는 세탁 예측 시간을 설명한다.
Figure pat00121
[ 표 2 ]
제어부(200)는 포량 감지부(220)에서 학습된 데이터에 기반하여 터브(30) 내부의 포량을 분류한다. LEVEL0에서 LEVEL7로 갈수록 포량은 증가한다.
구체적으로, 제어부(200)는 포량 감지부(220)에서 감지한 포량이 LEVEL0이고, 세탁 행정에 건조 행정이 포함되지 않는 경우, 디스플레이(270)에 세탁, 헹굼, 탈수 과정으로 구성되는 Normal 코스에 대한 세탁 예측 시간을 25분으로 표시하도록 제어한다.
또한, 제어부(200)는 포량 감지부(220)에서 감지한 포량이 LEVEL1이고, 세탁 행정에 건조 행정이 포함되지 않는 경우, 디스플레이(270)에 세탁, 헹굼, 탈수의 과정으로 구성되는 Normal 코스에 대한 세탁 예측 시간을 25분으로 표시하도록 제어한다.
또한, 제어부(200)는 포량 감지부(220)에서 감지한 포량이 LEVEL2이고, 세탁 행정에 건조 행정이 포함되지 않는 경우, 디스플레이(270)에 세탁, 헹굼, 탈수의 과정으로 구성되는 Normal 코스에 대한 세탁 예측 시간을 29분으로 표시하도록 제어한다.
또한, 제어부(200)는 포량 감지부(220)에서 감지한 포량이 LEVEL3이고, 세탁 행정에 건조 행정이 포함되지 않는 경우, 디스플레이(270)에 세탁, 헹굼, 탈수의 과정으로 구성되는 Normal 코스에 대한 세탁 예측 시간을 29분으로 표시하도록 제어한다.
또한, 제어부(200)는 포량 감지부(220)에서 감지한 포량이 LEVEL4이고, 세탁 행정에 건조 행정이 포함되지 않는 경우, 디스플레이(270)에 세탁, 헹굼, 탈수의 과정으로 구성되는 Normal 코스에 대한 세탁 예측 시간을 35분으로 표시하도록 제어한다.
또한, 제어부(200)는 포량 감지부(220)에서 감지한 포량이 LEVEL5이고, 세탁 행정에 건조 행정이 포함되지 않는 경우, 디스플레이(270)에 세탁, 헹굼, 탈수의 과정으로 구성되는 Normal 코스에 대한 세탁 예측 시간을 39분으로 표시하도록 제어한다.
또한, 제어부(200)는 포량 감지부(220)에서 감지한 포량이 LEVEL6이고, 세탁 행정에 건조 행정이 포함되지 않는 경우, 디스플레이(270)에 세탁, 헹굼, 탈수의 과정으로 구성되는 Normal 코스에 대한 세탁 예측 시간을 42분으로 표시하도록 제어한다.
또한, 제어부(200)는 포량 감지부(220)에서 감지한 포량이 LEVEL7이고, 세탁 행정에 건조 행정이 포함되지 않는 경우, 디스플레이(270)에 세탁, 헹굼, 탈수의 과정으로 구성되는 Normal 코스에 대한 세탁 예측 시간을 55분으로 표시하도록 제어한다.
표 2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디스플레이(270)에 표시되는 세탁 예측 시간이 포량 감지부(220)에서 감지한 포량이 증가할수록 증가함을 알 수 있다.
이하, 표 3을 참조하여 실시예에 따른 따른 세탁 행정에서의 시간 테이블을 설명한다.
Figure pat00122
[ 표 3 ]
표 3을 참조하면, 시간 테이블에는 감지된 포량 및 감지된 진동의 유형에 따라서, N회의 세탁 행정에서의 세탁 수행 시간 및 제3 변수(
Figure pat00123
) 및 제4 변수(
Figure pat00124
)가 포함된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제어부(200)는 N회의 세탁 행정 과정을 수행하는 동안 탈수 과정을 포함하는 세탁 수행 시간을 시간 테이블에 저장한다.
이하, 건조 행정을 포함하지 않고, 포량 감지부(220)에서 감지한 드럼(60)내의 포량이 LEVEL 2이고, 진동량 감지부(250)에서 감지한 진동의 유형이 제1 상태(class1)인 normal 코스인 경우를 예로 들어설명한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제6 세탁 행정에서, 포량 감지부(220)에서 감지한 드럼(60)내의 포량이 LEVEL 2이고, 진동량 감지부(250)에서 감지한 진동의 유형이 제1 상태(class1)인 경우, 제어부(200)는 시간 감지 센서(310)에서 감지한 제6 탈수 유지 과정을 포함하는 세탁 수행 시간인 27분을 시간 테이블에 저장한다.
또한, 제5 세탁 행정에서, 포량 감지부(220)에서 감지한 드럼(60)내의 포량이 LEVEL 2이고, 진동량 감지부(250)에서 감지한 진동의 유형이 제1 상태(class1)인 경우, 제어부(200)는 시간 감지 센서(310)에서 감지한 제5 탈수 유지 과정을 포함하는 세탁 수행 시간인 26분을 시간 테이블에 저장한다.
또한, 제4 세탁 행정에서, 포량 감지부(220)에서 감지한 드럼(60)내의 포량이 LEVEL 2이고, 진동량 감지부(250)에서 감지한 진동의 유형이 제1 상태(class1)인 경우, 제어부(200)는 시간 감지 센서(310)에서 감지한 제4 탈수 유지 과정을 포함하는 세탁 수행 시간인 28분을 시간 테이블에 저장한다.
또한, 제3 세탁 행정에서, 포량 감지부(220)에서 감지한 드럼(60)내의 포량이 LEVEL 2이고, 진동량 감지부(250)에서 감지한 진동의 유형이 제1 상태(class1)인 경우, 제어부(200)는 시간 감지 센서(310)에서 감지한 제3 탈수 과정을 포함하는 세탁 수행 시간인 27분을 시간 테이블에 저장한다.
또한, 제2 세탁 행정에서, 포량 감지부(220)에서 감지한 드럼(60)내의 포량이 LEVEL 2이고, 진동량 감지부(250)에서 감지한 진동의 유형이 제1 상태(class1)인 경우, 제어부(200)는 시간 감지 센서(310)에서 감지한 제2 탈수 과정을 포함하는 세탁 수행 시간인 29분을 시간 테이블에 저장한다.
제어부(200)는, 건조 코스를 제외한 총 N회의 normal코스 세탁 행정의 실제 수행 시간에 따른 제3 변수(
Figure pat00125
)를 계산한다.
제어부(200)는 건조 행정이 포함되지 않는 경우, 세탁, 헹굼, 탈수의 과정으로 구성되는 Normal 코스의 실제 수행 시간에 대한 평균 값 AVR를 계산하여 제3 변수(A_real=27분)로 지정한다. 또한, 건조 과정을 수행하는 실제제어부(200)는 제1 세탁 수행 과정에서의 제3 변수(A_real=27분)를 시간 테이블에 저장한다.
또한, 제어부(200)는 시간 테이블에 저장된 제1 세탁 수행 과정에서의 제3 변수(A_real=27분)를 이용하여 디스 플레이에 표시된 세탁 수행 시간을 가변한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제어부(200)는 탈수 과정을 포함하는 N 회의 세탁 수행 과정에서 산출된 제3 변수(A_real=27분)를 이용하여 디스플레이(270)에 포량에 따라 표시된 제1 세탁 수행 시간을 A_real=27분으로 가변한다.
이하, 포량 감지부(220)에서 감지한 드럼(60)내의 포량이 LEVEL 2이고, 진동량 감지부(250)에서 감지한 진동의 유형이 제2 상태(class2)인 경우, 제어부(200)가 세탁 행정의 실제 수행 시간을 시간 테이블에 저장하고, 제3 변수를 생성하여 디스플레이(270)에 표시 시간을 정정하는 과정을 설명한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제6 세탁 행정에서, 제어부(200)는 시간 테이블에 실제 수행 시간을 저장한다. 이때, 포량 감지부(220)에서 감지한 드럼(60)내의 포량이 LEVEL 2이고, 진동량 감지부(250)에서 감지한 진동의 유형이 제2 상태(class2)인 경우, 제어부(200)는 시간 감지 센서(310)에서 감지한 제6 탈수 유지 과정을 포함하는 세탁 수행 시간인 30분을 시간 테이블에 저장한다.
또한, 제5 세탁 행정에서, 제어부(200)는 시간 테이블에 실제 수행 시간을 저장한다. 이때, 포량 감지부(220)에서 감지한 드럼(60)내의 포량이 LEVEL 2이고, 진동량 감지부(250)에서 감지한 진동의 유형이 제2 상태(class2)인 경우, 제어부(200)는 시간 감지 센서(310)에서 감지한 제5 탈수 유지 과정을 포함하는 세탁 수행 시간인 28분을 시간 테이블에 저장한다.
또한, 제4 세탁 행정에서, 제어부(200)는 시간 테이블에 실제 수행 시간을 저장한다. 이‹š, 포량 감지부(220)에서 감지한 드럼(60)내의 포량이 LEVEL 2이고, 진동량 감지부(250)에서 감지한 진동의 유형이 제2 상태(class2)인 경우, 제어부(200)는 시간 감지 센서(310)에서 감지한 제4 탈수 유지 과정을 포함하는 세탁 수행 시간인 29분을 시간 테이블에 저장한다.
또한, 제3 세탁 행정에서, 제어부(200)는 시간 테이블에 실제 수행 시간을 저장한다. 이때, 포량 감지부(220)에서 감지한 드럼(60)내의 포량이 LEVEL 2이고, 진동량 감지부(250)에서 감지한 진동의 유형이 제2 상태(class2)인 경우, 제어부(200)는 시간 감지 센서(310)에서 감지한 제3 탈수 유지 과정을 포함하는 세탁 수행 시간인 30분을 시간 테이블에 저장한다.
또한, 제2 세탁 행정에서, 제어부(200)는 시간 테이블에 실제 수행 시간을 저장한다. 이때, 포량 감지부(220)에서 감지한 드럼(60)내의 포량이 LEVEL 2이고, 진동량 감지부(250)에서 감지한 진동의 유형이 제2 상태(class2)인 경우, 제어부(200)는 시간 감지 센서(310)에서 감지한 제2 탈수 유지 과정을 포함하는 세탁 수행 시간인 31분을 시간 테이블에 저장한다.
또한, 제어부(200)는 N회 동안 세탁 행정의 실제 수행 시간에 대한 평균 값 AVR를 계산하여 제3 변수(A_real=30분)로 지정한다. 제어부(200)는 N회 동안 세탁 수행 과정에서의 제3 변수(A_real=30분)를 시간 테이블에 저장한다. 또한, 제어부(200)는 시간 테이블에 저장된 N회 동안 세탁 수행 과정에서의 제3 변수(A_real=30분)를 이용하여 디스 플레이(270)에 표시된 세탁 수행 시간을 가변한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제어부(200)는 N회의 탈수 과정을 포함하는 N회의 세탁 수행 과정에서 산출된 제3 변수(A_real=30분)를 이용하여 디스플레이(270)에 포량에 따라 표시된 제1 세탁 수행 시간을 A_real=30분으로 가변한다.
이하, 포량 감지부(220)에서 감지한 드럼(60)내의 포량이 LEVEL 2이고, 진동량 감지부(250)에서 감지한 진동의 유형이 제3 상태(class3)인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제6 세탁 행정에서, 제어부(200)는 시간 테이블에 실제 수행 시간을 저장한다. 이때, 포량 감지부(220)에서 감지한 드럼(60)내의 포량이 LEVEL 2이고, 진동량 감지부(250)에서 감지한 진동의 유형이 제3 상태(class3)인 경우, 제어부(200)는 시간 감지 센서(310)에서 감지한 제6 탈수 유지 과정을 포함하는 세탁 수행 시간인 30분을 시간 테이블에 저장한다.
또한, 제5 세탁 행정에서, 제어부(200)는 시간 테이블에 실제 수행 시간을 저장한다. 이때, 포량 감지부(220)에서 감지한 드럼(60)내의 포량이 LEVEL 2이고, 진동량 감지부(250)에서 감지한 진동의 유형이 제3 상태(class3)인 경우, 제어부(200)는 시간 감지 센서(310)에서 감지한 제5 탈수 유지 과정을 포함하는 세탁 수행 시간인 31분을 시간 테이블에 저장한다.
또한, 제4 세탁 행정에서, 제어부(200)는 시간 테이블에 실제 수행 시간을 저장한다. 이‹š, 포량 감지부(220)에서 감지한 드럼(60)내의 포량이 LEVEL 2이고, 진동량 감지부(250)에서 감지한 진동의 유형이 제3 상태(class3)인 경우, 제어부(200)는 시간 감지 센서(310)에서 감지한 제4 탈수 유지 과정을 포함하는 세탁 수행 시간인 30분을 시간 테이블에 저장한다.
또한, 제3 세탁 행정에서, 제어부(200)는 시간 테이블에 실제 수행 시간을 저장한다. 이때, 포량 감지부(220)에서 감지한 드럼(60)내의 포량이 LEVEL 2이고, 진동량 감지부(250)에서 감지한 진동의 유형이 제3 상태(class3)인 경우, 제어부(200)는 시간 감지 센서(310)에서 감지한 제3 탈수 유지 과정을 포함하는 세탁 수행 시간인 32분을 시간 테이블에 저장한다.
또한, 제2 세탁 행정에서, 제어부(200)는 시간 테이블에 실제 수행 시간을 저장한다. 이때, 포량 감지부(220)에서 감지한 드럼(60)내의 포량이 LEVEL 2이고, 진동량 감지부(250)에서 감지한 진동의 유형이 제3 상태(class3)인 경우, 제어부(200)는 시간 감지 센서(310)에서 감지한 제2 탈수 유지 과정을 포함하는 세탁 수행 시간인 31분을 시간 테이블에 저장한다.
제어부(200) 탈수 유지 과정을 포함하는 N회의 세탁 행정의 실제 수행 시간에 대한 평균 값 AVR를 계산하여 제3 변수(A_real=31분)로 지정한다. 제어부(200)는 N회동안 세탁 수행 과정에서의 제3 변수(A_real=31분)를 시간 테이블에 저장한다.
또한, 제어부(200)는 시간 테이블에 저장된 N회동안 세탁 수행 과정에서의 제3 변수(A_real=31분)를 이용하여 디스 플레이(270)에 표시된 세탁 수행 시간을 가변한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제어부(200)는 N회의 세탁 수행 과정에서 산출된 제3 변수(A_real=31분)를 이용하여 디스플레이(270)에 포량에 따라 표시된 제1 세탁 수행 시간을 A_real=31분으로 가변한다.
이하, 도 6을 참조하여 실시예에 따른 제3 변수 및 제4 변수를 생성하여 제1 세탁 수행시 디스플레이의 표시 시간을 정정하는 과정을 설명한다.
도 6은 실시예에 따른 제3 변수 및 제4 변수를 생성하여 제1 세탁 수행시 디스플레이의 표시 시간을 정정하는 과정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단계(S500)에서, 감지된 드럼(60) 내부의 세탁물의 포량 및 진동의 유형에 따른 세탁 수행 시간이 디스플레이(270)에 표시된다.
단계(S510)에서, 건조 행정이 포함되는지를 판단한다.
단계(S520)에서, 건조 행정이 포함되지 않는 경우, 시간 테이블에 저장된 제3 변수(A_real)를 디스플레이(270)에 출력된 세탁 수행 시간으로 정정하여, 이를 반영한 세탁 수행 시간 동안 세탁, 헹굼, 탈수의 세탁 행정을 수행한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상술한 제3 변수(A_real)는 제3 세탁 행정까지 시간 테이블에 저장된 세탁 수행 시간을 평균한 값이다. 제어부(200)는 시간 테이블에 저장된 상술한 제3 변수(A_real)를 제2 세탁 행정의 시간으로 디스플레이(270)에 출력한다. 또한, 제어부(200)는 제3 변수(A_real)에 대응하는 세탁 수행 시간동안 제2 세탁 행정을 수행한다.
단계(S530)에서, 제어부(200)는 단계(S520)에서 수행된 탈수 행정을 포함하는 세탁 수행 시간을 시간 테이블에 저장한다.
단계(S540)에서, 세탁 행정 과정에서 건조 행정이 포함되는 경우, 시간 테이블에 저장된 제3 변수(A_real) 및 제4 변수(B_real)를 디스플레이(270)에 출력하고, 이를 반영한 세탁 수행 시간동안 세탁, 헹굼, 탈수, 건조의 세탁 행정을 수행한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상술한 제4 변수(B_real)는 제3 세탁 행정까지 시간 테이블에 저장된 건조 시간을 평균한 값이다. 제어부(200)는 시간 테이블에 저장된 상술한 제4 변수(B_real)를 제2 건조 행정의 시간으로 디스플레이(270)에 출력한다. 또한, 제어부(200)는 제4 변수(B_real)에 대응하는 시간동안 제2 건조 행정을 수행한다.
단계(S530)에서, 제어부(200)는 단계(S520)에서 수행된 탈수 행정 또는 단계(S540)에서 수행된 탈수 행정 및 건조 행정을 포함하는 세탁 수행 시간을 시간 테이블에 저장한다.
구체적으로, 건조 행정을 포함하지 않는 경우, 제어부(200)는 단계(S520)의 제2 세탁 행정 시간을 시간 테이블에 저장한다. 또한, 건조 행정을 포함하는 경우, 제어부(200)는 단계(S540)의 제2 세탁 행정 시간 및 제2 건조 행정 시간을 시간 테이블에 저장한다.
단계(S550)에서, 제어부(200)는 건조 행정이 포함되는지를 다시 판단한다.
구체적으로, 제어부(200)는 제1 세탁 행정에서 건조 행정이 포함되는지를 다시 판단한다.
단계(S560)에서, 건조 행정이 포함되지 않는 경우, 제어부(200)는 N회의 세탁 실제 수행 시간의 평균값을 구하고, 이를 제1 세탁 행정의 제3 변수로 지정한다.
단계(S570)에서, 제어부(200)는 제3 변수에 대응하는 세탁 수행 시간 동안 세탁, 헹굼, 탈수를 포함하는 제1 세탁 행정을 수행하도록 구동부(290)를 제어한다. 또한, 제어부(200)는 제3 변수에 대응하는 제1 세탁 행정 시간을 디스플레이(270)에 표시하도록 제어한다.
단계(S580)에서, 건조 행정이 포함되는 경우, 제어부(200)는 건조 코스 수행 시간을 제외한 N회의 세탁 실제 운전 시간의 평균 값을 제1 세탁 행정의 제3 변수(
Figure pat00126
)로 지정하고, N회의 건조 코스 실제 수행 시간의 평균 값을 구하고, 이를 제1 세탁 행정의 제4 변수(
Figure pat00127
)로 지정한다.
단계(S590)에서, 제어부(200)는 제3 변수(
Figure pat00128
) 및 제4 변수(
Figure pat00129
)에 대응하는 세탁 수행 시간동안 세탁, 헹굼, 탈수, 건조를 수행하도록 구동부(290)를 제어한다. 또한, 제어부(200)는 제3 변수(
Figure pat00130
) 및 제4 변수(
Figure pat00131
)에 대응하는 세탁 수행 시간을 디스플레이(270)에 표시하도록 제어한다.
단계(S600)에서, 제어부(200)는, 단계(S560) 또는 단계(S580)에서 지정된 제1 세탁 행정의, 제3 변수(
Figure pat00132
) 및 제4 변수(
Figure pat00133
)를 시간 테이블에 저장한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실시예들을 설명하였지만, 실시 예가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실시 예가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 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 세탁기
10: 캐비닛
11: 세탁물 투입구
20: 도어
30: 터브
31: 급수 밸브
32: 급수 호스
33: 세제 공급 장치
34: 급수관
35: 배수 펌프
36: 제2 배수관
37: 제1 배수관
40: 모터
50: 회전축
60: 드럼
70: 컨트롤 패널
200: 제어부
210: 전류 감지부
220: 포량 감지부
230: 포질 감지부
240: 편심량 감지부
250: 진동량 감지부
260: 메모리
270: 디스플레이
280: 통신부
290: 구동부
300: 회전 속도 감지부
310: 시간 감지 센서

Claims (20)

  1. 드럼을 포함하는 세탁기의 제어 방법으로서,
    상기 드럼 내의, 포량 및 포질을 감지하는 단계; 및
    상기 드럼이 회전하는 복수의 회전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회전 단계의 각각에서 측정된, 상기 드럼의 진동 크기 및 상기 드럼의 회전 속도에 따라 탈수 행정을 수행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탈수 행정을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측정된 진동 크기에 따라, 상기 회전 속도 및 상기 탈수 행정의 시간을 제어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세탁기의 제어 방법.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탈수 행정을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측정된 진동 크기를 이용하여 제1 변수 및 제2 변수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제1 변수를 이용하여 상기 회전 속도가, 증가, 감소, 또는 유지되도록 제어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변수를 이용하여 상기 탈수 행정의 시간을 증가, 감소 또는 유지되도록 제어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변수는, 상기 회전 속도의 변화량에 대응하고, 상기 제2 변수는, 상기 탈수 행정의 시간의 변화량에 대응하는, 세탁기의 제어 방법.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회전 단계는,
    상기 감지된 포량 및 포질에 따라 결정되는 제1 속도에 따라 상기 드럼을 가속 회전하는 단계:
    상기 가속 회전하는 드럼의 상기 진동 크기를 측정하는 단계;
    상기 제1 속도가 상기 제어된 회전 속도에 도달한 경우, 상기 드럼을 정속으로 회전하는 단계; 및
    상기 제어된 회전 속도를 측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세탁기의 제어 방법.
  4.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회전 단계는, 제1 회전 단계, 제2 회전 단계, 제3 회전 단계, 제4 회전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4 회전 단계의 제1 변수 및 제2 변수를 결정하는 단계는,
    제1 진동 크기, 제2 진동 크기, 및 제3 진동 크기의 평균 값을 산출하는 단계; 및
    상기 평균 값이 제1 기준 값 미만인 경우, 상기 평균 값에 대응하는 상기 제1 변수 및 제2 변수를 결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제1 회전 단계 후에 상기 제2 회전 단계가 수행되고, 상기 제2 회전 단계 후에 상기 제3 회전 단계가 수행되며, 상기 제3 회전 단계 후에 상기 제4 회전 단계가 수행되고,
    상기 제1 진동 크기는, 상기 제1 회전 단계에서 측정된 상기 진동 크기이고,
    상기 제2 진동 크기는, 상기 제2 회전 단계에서 측정된 상기 진동 크기이고,
    상기 제3 진동 크기는, 상기 제3 회전 단계에서 측정된 상기 진동 크기인, 세탁기의 제어 방법.
  5.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제4 회전 단계의 상기 제1 변수 및 제2 변수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평균 값이 상기 제1 기준 값을 초과하고 제2 기준 값 미만인 경우, 상기 평균 값에 대응하여 상기 제1 변수 및 상기 제2 변수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평균 값이 상기 제2 기준 값을 초과하는 경우, 상기 평균 값에 대응하여 상기 제1 변수 및 상기 제2 변수를 결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제1 기준 값은, 상기 제2 기준 값보다 작은, 세탁기의 제어 방법.
  6.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세탁기의 제어 방법은, 건조 행정을 선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건조 행정이 선택된 경우,
    상기 감지된 포량 및 포질에 대응하는 제1 세탁 예정 시간을 표시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세탁 예정 시간에 따라 제1 세탁 행정을 수행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세탁 행정은, 상기 탈수 행정 및 상기 건조 행정을 포함하는, 세탁기의 제어 방법.
  7.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세탁 행정을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제1 세탁 행정을 수행하는 시간의 평균 값을 산출하는 단계; 및
    상기 평균 값을 제3 변수로 결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세탁기의 제어 방법.
  8.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제3 변수를 상기 제1 세탁 예정 시간으로 정정하는 단계; 및
    상기 정정된 제1 세탁 예정 시간 동안 상기 제1 세탁 행정을 수행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세탁기의 제어 방법.
  9.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세탁기의 제어 방법은, 건조 행정을 선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건조 행정이 선택되지 않은 경우,
    상기 감지된 포량 및 포질에 대응하는 제2 세탁 예정 시간을 표시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세탁 예정 시간에 따라 제2 세탁 행정을 수행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세탁 행정은, 상기 탈수 행정을 포함하는, 세탁기의 제어 방법.
  10.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세탁 행정을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제2 세탁 행정을 수행하는 시간의 평균 값을 산출하는 단계; 및
    상기 평균 값을 제4 변수로 결정하는 단계;
    상기 제4 변수를 상기 제2 세탁 예정 시간으로 정정하는 단계; 및
    상기 정정된 제2 세탁 예정 시간 동안 상기 제2 세탁 행정을 수행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세탁기의 제어 방법.
  11. 드럼 내의 포량을 감지하는 포량 감지부;
    상기 드럼 내의 포질을 감지하는 포질 감지부;
    상기 드럼을 회전시켜 탈수 행정을 수행하는 구동부;
    상기 드럼이 회전하는 중에 측정된, 상기 드럼의 진동 크기 및 상기 드럼의 회전 속도에 따라 상기 구동부를 제어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측정된 진동 크기에 따라, 상기 회전 속도 및 상기 탈수 행정의 시간을 제어하는, 세탁기.
  12.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진동 크기를 이용하여 제1 변수 및 제2 변수를 결정하고, 상기 제1 변수를 이용하여 상기 회전 속도가 증가, 감소 또는 유지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제2 변수를 이용하여 상기 탈수 행정의 시간을 증가, 감소 또는 유지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제1 변수는, 상기 회전 속도의 변화량에 대응하고,
    상기 제2 변수는, 상기 탈수 행정의 시간의 변화량에 대응하는, 세탁기.
  13.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감지된 포량 및 포질에 따라 결정되는 제1 속도에 따라 상기 드럼을 가속 회전시키고, 상기 가속 회전하는 드럼의 상기 진동 크기를 측정하고, 상기 제1 속도가 상기 제어된 회전 속도에 도달한 경우, 상기 드럼을 정속으로 회전시키고, 상기 제어된 회전 속도를 측정하는, 세탁기.
  14. 제13 항에 있어서,
    상기 탈수 행정은, 제1 회전 과정, 제2 회전 과정, 제3 회전 과정, 제4 회전 과정을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제1 진동 크기, 제2 진동 크기 및 제3 진동 크기의 평균 값을 산출하고, 상기 평균 값이 제1 기준 값 미만인 경우, 상기 평균 값에 대응하는 상기 제4 회전 과정의 제1 변수 및 제2 변수를 결정하고,
    상기 제1 회전 과정 후에 상기 제2 회전 과정이 수행되고, 상기 제2 회전 과정 후에 상기 제3 회전 과정이 수행되며, 상기 제3 회전 과정 후에 상기 제4 회전 과정이 수행되고,
    상기 제1 진동 크기는, 상기 제1 회전 과정에서 측정된 상기 진동 크기이고,
    상기 제2 진동 크기는, 상기 제2 회전 과정에서 측정된 상기 진동 크기이고,
    상기 제3 진동 크기는, 상기 제3 회전 과정에서 측정된 상기 진동 크기인, 세탁기.
  15. 제14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평균 값이 상기 제1 기준 값을 초과하고 제2 기준 값 미만인 경우, 상기 평균 값에 대응하여 상기 제4 회전 과정의 상기 제1 변수 및 상기 제2 변수를 결정하고,
    상기 평균 값이 상기 제2 기준 값을 초과하는 경우, 상기 평균 값에 대응하여 상기 제1 변수 및 상기 제2 변수를 결정하고,
    상기 제1 기준 값은, 상기 제2 기준 값보다 작은, 세탁기.
  16. 제12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건조 행정을 더 포함하는지 판단하고,
    상기 건조 행정을 포함하는 경우, 상기 감지된 포량 및 포질에 대응하는 제1 세탁 예정 시간을 디스플레이에 표시하고, 상기 제1 세탁 예정 시간에 따라 제1 세탁 행정을 수행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제1 세탁 행정은, 상기 탈수 행정 및 상기 건조 행정을 포함하는, 세탁기.
  17. 제16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세탁 행정을 수행하는 시간의 평균 값을 산출하고, 상기 평균 값을 제3 변수로 결정하는, 세탁기.
  18. 제17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3 변수를 상기 제1 세탁 예정 시간으로 정정하고, 상기 정정된 제1 세탁 예정 시간 동안 상기 제1 세탁 행정을 더 수행하는, 세탁기.
  19. 제12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건조 행정을 더 포함하는지 판단하고,
    상기 건조 행정을 포함하지 않는 경우, 상기 감지된 포량 및 포질에 대응하는 제2 세탁 예정 시간을 디스플레이에 표시하고, 상기 제2 세탁 예정 시간에 따라 제2 세탁 행정을 수행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제2 세탁 행정은, 상기 탈수 행정을 포함하는, 세탁기.
  20. 제19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 세탁 행정을 수행하는 시간의 평균 값을 산출하고, 상기 평균 값을 제4 변수로 결정하고, 상기 제4 변수를 상기 제2 세탁 예정 시간으로 정정하고, 상기 정정된 제2 세탁 예정 시간 동안 상기 제2 세탁 행정을 수행하는, 세탁기.
KR1020200049425A 2020-04-23 2020-04-23 세탁기 및 세탁기의 제어 방법 KR2021013107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49425A KR20210131075A (ko) 2020-04-23 2020-04-23 세탁기 및 세탁기의 제어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49425A KR20210131075A (ko) 2020-04-23 2020-04-23 세탁기 및 세탁기의 제어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31075A true KR20210131075A (ko) 2021-11-02

Family

ID=784765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49425A KR20210131075A (ko) 2020-04-23 2020-04-23 세탁기 및 세탁기의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10131075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4071955A1 (ko) * 2022-09-26 2024-04-04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처리장치와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4071955A1 (ko) * 2022-09-26 2024-04-04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처리장치와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711914B2 (ja) ドラム式洗濯機
EP3690103B1 (en) Washing machin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EP2083109A1 (en) Drum type washing machine having ball balancers and controlling method of the same
EP1533411A2 (en) Washing machine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US20060179584A1 (en) Drum type washing machine and method of detecting laundry weight thereof
EP3690102A1 (en) Washing machin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US11098431B2 (en) Method for controlling spin-drying operation of washing apparatus
JP3762611B2 (ja) ドラム式洗濯機
CN107869022B (zh) 洗衣机及其控制方法
US7735173B2 (en) Washing machine and controlling method of the same
KR20210131672A (ko) 세탁기 및 세탁기의 제어 방법
KR102517609B1 (ko) 세탁기 및 그 제어방법
KR20210131075A (ko) 세탁기 및 세탁기의 제어 방법
US10907287B2 (en) Washing machine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KR20220038701A (ko) 세탁장치 및 이의 제어방법
KR20220038700A (ko) 세탁장치 및 이의 제어방법
EP3690101B1 (en) Washing machin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JP2000157788A (ja) ドラム式洗濯機
JP2998469B2 (ja) 洗濯機の制御装置
KR102405804B1 (ko) 의류처리장치 및 그의 제어방법
JP7429843B2 (ja) 洗濯機
JP2010069328A (ja) ドラム式洗濯機
JP3108348B2 (ja) 遠心脱水装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