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31009A - Method and system for controlling order and delivery of order service provider - Google Patents

Method and system for controlling order and delivery of order service provide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31009A
KR20210131009A KR1020200049272A KR20200049272A KR20210131009A KR 20210131009 A KR20210131009 A KR 20210131009A KR 1020200049272 A KR1020200049272 A KR 1020200049272A KR 20200049272 A KR20200049272 A KR 20200049272A KR 20210131009 A KR20210131009 A KR 2021013100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ore
order
menu
delivery
process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49272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381484B1 (en
Inventor
양진홍
Original Assignee
인제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인제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인제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2000492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81484B1/en
Publication of KR202101310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31009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814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81484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8Logistics, e.g. warehousing, loading or distribution; Inventory or stock management
    • G06Q10/083Shipping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Marketing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ina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Disclosed are a method and system for controlling an order and delivery of an order relay business. By providing an order relay service using a delivery app, exposure of a menu for a store on the delivery app can be controlled based on the in-store situation information. 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is capable of allowing the data to be analyzed.

Description

주문 중계 사업자의 주문 및 배달 제어를 위한 방법과 시스템{METHOD AND SYSTEM FOR CONTROLLING ORDER AND DELIVERY OF ORDER SERVICE PROVIDER}METHOD AND SYSTEM FOR CONTROLLING ORDER AND DELIVERY OF ORDER SERVICE PROVIDER

아래의 설명은 주문 중계 사업자의 주문 및 배달 제어를 위한 방법과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The description below relates to a method and system for order and delivery control of an order relay operator.

최근 매장에서는 사이니지(signage) 기반의 디지털 메뉴 보드나 디스플레이를 사용하는 비중이 증가하고 있으며, 키오스크(kiosk) 기반 주문 시스템을 구축하고 있다.Recently, the proportion of using signage-based digital menu boards or displays is increasing in stores, and a kiosk-based ordering system is being established.

예컨대, 한국공개특허공보 제10-2014-0119242호(공개일 2014년 10월 10일)에는 태그에 접촉된 주문자 스마트폰을 통해 매장 내의 키오스크에 무선 접속하여 매장 메뉴를 주문하는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For example, Korean Patent Application Laid-Open No. 10-2014-0119242 (published on October 10, 2014) discloses a technology for ordering a store menu by wirelessly connecting to a kiosk in a store through an orderer smartphone in contact with a tag. .

매장 내 데이터 수집을 통해 데이터를 분석할 수 있는 방법과 시스템을 제공한다.It provides methods and systems for analyzing data through in-store data collection.

디지털 메뉴를 고정형뿐 아니라 CMS(컨텐츠 관리 시스템)를 기반으로 가변형으로 제공 및 관리할 수 있는 방법과 시스템을 제공한다.It provides a method and system that can provide and manage a digital menu in a variable type based on a CMS (content management system) as well as a fixed type.

배달 앱 상에서 사용자 노출 정보를 제어하여 배달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방법과 시스템을 제공한다.A method and system for improving delivery efficiency by controlling user exposure information on delivery apps are provided.

컴퓨터 시스템에서 실행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컴퓨터 시스템은 메모리에 포함된 컴퓨터 판독가능한 명령들을 실행하도록 구성된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방법은, 배달 앱을 이용한 주문 중계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으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의해, 매장 내 상황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의해, 상기 상황 정보를 기초로 상기 배달 앱 상의 상기 매장의 메뉴 노출을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을 제공한다.A method executed on a computer system, the computer system comprising at least one processor configured to execute computer readable instructions contained in a memory, the method comprising: providing an order relay service using a delivery app; receiving, by at least one processor, in-store context information; and, by the at least one processor, controlling exposure of the menu of the store on the delivery app based on the context information.

일 측면에 따르면, 상기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매장의 주문 처리 관련 정보로서 각 메뉴 별 주문 대기 시간과 당일 재고 중 적어도 하나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aspect, the receiving may include receiving at least one of an order waiting time for each menu and stock on the day as the order processing related information of the store.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상황 정보에 따라 상기 배달 앱 상의 메뉴 노출 우선 순위를 조절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the controlling may include adjusting the menu exposure priority on the delivery app according to the context information.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방법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의해, 상기 배달 앱을 통해 인접지역의 매장을 우선 노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the method may further include, by the at least one processor, first exposing a store in a neighboring area through the delivery app.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노출하는 단계는, 고객의 위치와 인접한 매장 또는 상기 고객이 선택한 매장과 인접한 다른 매장을 노출할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the exposing may expose a store adjacent to the customer's location or another store adjacent to the store selected by the customer.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방법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의해, 중복 주문 건 생성을 위해 고객 간에 동일 매장을 우선 노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the method may further include, by the at least one processor, first exposing, by the at least one processor, the same store among customers to generate a duplicate order.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노출하는 단계는, 일정 시간 이내의 주문에 대해 일정 반경 이내의 고객을 대상으로 동일 매장을 노출할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the exposing may expose the same store to customers within a predetermined radius for an order within a predetermined time.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방법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의해, 고객의 위치를 기준으로 호출 가능한 라이더 리스트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의해, 고객의 주문 정보를 기반으로 지역 클러스터링을 수행하는 단계;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의해, 상기 지역 클러스터링에 따른 클러스터 별로 라이더를 할당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the method comprises: generating, by the at least one processor, a list of callable riders based on the location of the customer; performing, by the at least one processor, regional clustering based on customer order information; and allocating, by the at least one processor, to each cluster according to the regional clustering.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생성하는 단계는, 라이더 별 배달 가능 지역, 배달 가능 품목, 배달 비용 부과 옵션 중 적어도 하나를 기초로 상기 라이더 리스트를 생성할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the generating may generate the list of riders based on at least one of a delivery area available for each rider, a delivery item, and an option for charging a delivery cost.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고객의 위치를 기준으로 상기 지역 클러스터링을 수행할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the performing may include performing the regional clustering based on the location of the customer.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수행하는 단계는, 동일 클러스터에 대해 주문 메뉴의 품목을 기준으로 추가 클러스터링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the performing may include performing additional clustering based on items of an order menu for the same cluster.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방법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의해, 상기 고객의 주문 정보에 대해 배달 가능한 매장 리스트를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the method may further include, by the at least one processor, generating a list of deliverable stores for the order information of the customer.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매장 리스트를 생성하는 단계는, 각 매장에 설정된 배달 지역과 상기 고객의 위치를 기초로 상기 매장 리스트를 생성할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the generating of the store list may include generating the store list based on a delivery area set in each store and a location of the customer.

상기 방법을 컴퓨터 장치에 실행시키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이 기록되어 있는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를 제공한다.It provides 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in which a computer program for executing the method in a computer device is recorded.

컴퓨터 시스템에 있어서, 메모리에 포함된 컴퓨터 판독가능한 명령들을 실행하도록 구성된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배달 앱을 이용한 주문 중계 서비스를 제공하고, 매장 내 상황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상황 정보를 기초로 상기 배달 앱 상의 상기 매장의 메뉴 노출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시스템을 제공한다.A computer system comprising at least one processor configured to execute computer readable instructions contained in a memory, wherein the at least one processor provides an order relay service using a delivery app, and receives in-store situation information It provides a computer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for controlling the menu exposure of the store on the delivery app based on the context information.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컴퓨터 시스템의 내부 구성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매장 데이터 분석을 위한 전체 시스템 구성을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매장 상황에 따라 메뉴 노출을 제어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중앙 시스템이 수행할 수 있는 매장 데이터 분석 방법의 일례를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주문 및 배달 제어를 위한 전체 시스템 구성을 도시한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주문 중계 서비스를 제공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주문 중계 서버가 수행할 수 있는 배달 제어 방법의 일례를 도시한 순서도이다.
1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an internal configuration of a computer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view showing the overall system configuration for store data analysis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 process of controlling menu exposure according to a store situ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example of a store data analysis method that the central system can perfor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view showing the overall system configuration for order and delivery control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 process of providing an order relay ser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example of a delivery control method that can be performed by the order relay serv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주문 중계 사업자의 주문 및 배달 제어를 위한 방법과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relate to a method and system for order and delivery control of an order relay operator.

본 명세서에서 구체적으로 개시되는 것들을 포함하는 실시예들은 매장 내 데이터 수집을 통해 데이터를 분석할 수 있는 방법을 제시할 수 있고, 디지털 메뉴를 고정형뿐 아니라 CMS(컨텐츠 관리 시스템)를 기반으로 가변형으로 제공 및 관리할 수 있다.Embodiments including those specifically disclosed herein may present a method for analyzing data through in-store data collection, and provide a digital menu in a variable form based on a CMS (content management system) as well as a fixed type and manage.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컴퓨터 시스템의 내부 구성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매장 데이터 분석 시스템이 도 1의 컴퓨터 시스템(100)을 통해 구현될 수 있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컴퓨터 시스템(100)은 매장 데이터 분석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구성요소로서 프로세서(110), 메모리(120), 영구 저장 장치(130), 버스(140), 입출력 인터페이스(150) 및 네트워크 인터페이스(160)를 포함할 수 있다.1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an internal configuration of a computer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example, a store data analysis system according to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implemented through the computer system 100 of FIG. 1 . 1, the computer system 100 is a component for executing the store data analysis method, and includes a processor 110, a memory 120, a permanent storage device 130, a bus 140, an input/output interface ( 150 ) and a network interface 160 .

프로세서(110)는 매장 데이터 수집 및 분석을 위한 구성요소로서 명령어들의 시퀀스를 처리할 수 있는 임의의 장치를 포함하거나 그의 일부일 수 있다. 프로세서(110)는 예를 들어 컴퓨터 프로세서, 이동 장치 또는 다른 전자 장치 내의 프로세서 및/또는 디지털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110)는 예를 들어, 서버 컴퓨팅 디바이스, 서버 컴퓨터, 일련의 서버 컴퓨터들, 서버 팜, 클라우드 컴퓨터, 컨텐츠 플랫폼 등에 포함될 수 있다. 프로세서(110)는 버스(140)를 통해 메모리(120)에 접속될 수 있다.Processor 110 may include or be part of any device capable of processing a sequence of instructions as a component for store data collection and analysis. Processor 110 may include, for example, a computer processor, a processor in a mobile device, or other electronic device and/or a digital processor. The processor 110 may be included in, for example, a server computing device, a server computer, a set of server computers, a server farm, a cloud computer, a content platform, and the like. The processor 110 may be connected to the memory 120 through the bus 140 .

메모리(120)는 컴퓨터 시스템(100)에 의해 사용되거나 그에 의해 출력되는 정보를 저장하기 위한 휘발성 메모리, 영구, 가상 또는 기타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120)는 예를 들어 랜덤 액세스 메모리(RAM: random access memory) 및/또는 다이내믹 RAM(DRAM: dynamic RAM)을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120)는 컴퓨터 시스템(100)의 상태 정보와 같은 임의의 정보를 저장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메모리(120)는 예를 들어 매장 데이터 수집 및 분석을 위한 명령어들을 포함하는 컴퓨터 시스템(100)의 명령어들을 저장하는 데에도 사용될 수 있다. 컴퓨터 시스템(100)은 필요에 따라 또는 적절한 경우에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110)를 포함할 수 있다.Memory 120 may include volatile memory, permanent, virtual, or other memory for storing information used by or output by computer system 100 . The memory 120 may include, for example, random access memory (RAM) and/or dynamic RAM (DRAM). Memory 120 may be used to store any information, such as state information of computer system 100 . Memory 120 may also be used to store instructions of computer system 100 including, for example, instructions for collecting and analyzing store data. Computer system 100 may include one or more processors 110 as needed or appropriate.

버스(140)는 컴퓨터 시스템(100)의 다양한 컴포넌트들 사이의 상호작용을 가능하게 하는 통신 기반 구조를 포함할 수 있다. 버스(140)는 예를 들어 컴퓨터 시스템(100)의 컴포넌트들 사이에, 예를 들어 프로세서(110)와 메모리(120) 사이에 데이터를 운반할 수 있다. 버스(140)는 컴퓨터 시스템(100)의 컴포넌트들 간의 무선 및/또는 유선 통신 매체를 포함할 수 있으며, 병렬, 직렬 또는 다른 토폴로지 배열들을 포함할 수 있다.Bus 140 may include a communications infrastructure that enables interaction between various components of computer system 100 . Bus 140 may carry data between, for example, components of computer system 100 , such as between processor 110 and memory 120 . Bus 140 may include wireless and/or wired communication media between components of computer system 100 and may include parallel, serial, or other topological arrangements.

영구 저장 장치(130)는 (예를 들어, 메모리(120)에 비해) 소정의 연장된 기간 동안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해 컴퓨터 시스템(100)에 의해 사용되는 바와 같은 메모리 또는 다른 영구 저장 장치와 같은 컴포넌트들을 포함할 수 있다. 영구 저장 장치(130)는 컴퓨터 시스템(100) 내의 프로세서(110)에 의해 사용되는 바와 같은 비휘발성 메인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다. 영구 저장 장치(130)는 예를 들어 플래시 메모리, 하드 디스크, 광 디스크 또는 다른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Persistent storage 130 is a component, such as memory or other persistent storage, as used by computer system 100 to store data for an extended period of time (eg, compared to memory 120 ). may include Persistent storage 130 may include non-volatile main memory as used by processor 110 in computer system 100 . Persistent storage 130 may include, for example, flash memory, a hard disk, an optical disk, or other computer readable medium.

입출력 인터페이스(150)는 키보드, 마우스, 음성 명령 입력, 디스플레이 또는 다른 입력 또는 출력 장치에 대한 인터페이스들을 포함할 수 있다. 구성 명령들 및/또는 매장 데이터 수집 및 분석을 위한 입력이 입출력 인터페이스(150)를 통해 수신될 수 있다.The input/output interface 150 may include interfaces to a keyboard, mouse, voice command input, display, or other input or output device. Configuration commands and/or inputs for store data collection and analysis may be received via the input/output interface 150 .

네트워크 인터페이스(160)는 근거리 네트워크 또는 인터넷과 같은 네트워크들에 대한 하나 이상의 인터페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네트워크 인터페이스(160)는 유선 또는 무선 접속들에 대한 인터페이스들을 포함할 수 있다. 구성 명령들 및/또는 매장 데이터 수집 및 분석을 위한 입력이 네트워크 인터페이스(160)를 통해 수신될 수 있다.Network interface 160 may include one or more interfaces to networks such as a local area network or the Internet. Network interface 160 may include interfaces for wired or wireless connections. Configuration commands and/or input for store data collection and analysis may be received via network interface 160 .

또한, 다른 실시예들에서 컴퓨터 시스템(100)은 도 1의 구성요소들보다 더 많은 구성요소들을 포함할 수도 있다. 그러나, 대부분의 종래기술적 구성요소들을 명확하게 도시할 필요성은 없다. 예를 들어, 컴퓨터 시스템(100)은 상술한 입출력 인터페이스(150)와 연결되는 입출력 장치들 중 적어도 일부를 포함하도록 구현되거나 또는 트랜시버(transceiver),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모듈, 카메라, 각종 센서, 데이터베이스 등과 같은 다른 구성요소들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Also, in other embodiments, computer system 100 may include more components than those of FIG. 1 . However, there is no need to clearly show most of the prior art components. For example, the computer system 100 is implemented to include at least some of the input/output devices connected to the above-described input/output interface 150, or a transceiver, a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module, a camera, various sensors, It may further include other components such as a database and the like.

이하에서는 매장 내 고객 정보 수집 및 분석을 위한 방법과 시스템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specific embodiments of a method and system for collecting and analyzing customer information in a store will be described.

최근 자사 데이터(1st party data) 확보가 중요해짐에 따라 브랜드 별로 오프라인을 보유하고 있는 매장에서 직접 고객 데이터를 수집하기 위한 방법이 필요하다. 또한, CCTV, 다양한 센서 등을 통해서 매장 내 정보를 수집할 수 있는 환경을 구축할 수 있다.Recently , as securing 1st party data has become more important, a method for directly collecting customer data from stores that have offline stores for each brand is needed.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build an environment that can collect information in the store through CCTV and various sensors.

본 발명에 따른 매장 데이터 분석 시스템은 매장의 디지털 메뉴를 고정형뿐 아니라 CMS 기반으로 가변형으로 제공 및 관리할 수 있다.The store data analysis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provide and manage the digital menu of the store in a variable form based on CMS as well as in a fixed form.

본 발명에 따른 매장 데이터 분석 시스템은 매장 내 데이터 수집을 통해 데이터를 분석할 수 있다. 특정 시점에 노출되는 디지털 메뉴와 주문과의 상관관계를 파악함으로써 광고 노출에 따른 주문량 변화 및 타겟 광고를 위한 데이터 수집 방법이 필요하다. 매장 내 주문을 제어함으로써 주문 후 고객의 상품 인도시간 단축 및 당일 재고 소진 등을 효과적으로 관리할 수 있다.The store data analysis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analyze data through in-store data collection. A method for collecting data for target advertisement and change of order quantity according to advertisement exposure is needed by identifying the correlation between digital menus and orders exposed at a specific point in time. By controlling in-store orders, customers can effectively manage product delivery time reduction and stock exhaustion on the same day after placing an order.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매장 데이터 분석을 위한 전체 시스템 구성을 도시한 것이다.2 is a view showing the overall system configuration for store data analysis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중앙 시스템(210), 개별 매장 시스템(220), 및 배달 서버(230)를 나타내고 있다. 이때, 중앙 시스템(210), 개별 매장 시스템(220), 및 배달 서버(230)는 도 1을 통해 설명한 컴퓨터 시스템(100)으로 구현될 수 있다.2 shows a central system 210 , a separate store system 220 , and a delivery server 230 . In this case, the central system 210 , the individual store system 220 , and the delivery server 230 may be implemented as the computer system 100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1 .

중앙 시스템(210)은 매장 데이터 분석을 위한 서버 역할을 하는 것으로, 데이터 수집 모듈(data aggregation module)(211), 메뉴 및 광고 제어 모듈(menu and ad. control module)(212), 데이터 분석 모듈(data analysis module)(213), 및 네트워크 모듈(network module)(214)을 포함할 수 있다.The central system 210 serves as a server for store data analysis, and includes a data aggregation module 211 , a menu and ad. control module 212 , and a data analysis module ( a data analysis module 213 , and a network module 214 .

개별 매장 시스템(220)은 중앙 시스템(210)으로 매장 데이터를 제공하고 중앙 시스템(210)의 제어 하에 디지털 메뉴를 가변형으로 제공하는 클라이언트 역할을 하는 것으로, 메뉴 및 광고 제어 모듈(221), 데이터 수집 및 전달 모듈(data aggregation and delivery module)(222), 주문 처리 모듈(223), 디지털 메뉴 보드(digital menu board)(224), POS 모듈(225), 키오스크 POS 모듈(226), CCTV(227), 및 와이파이(228)를 포함할 수 있다.The individual store system 220 serves as a client that provides store data to the central system 210 and variably provides a digital menu under the control of the central system 210, and includes a menu and advertisement control module 221, data collection and a data aggregation and delivery module 222 , an order processing module 223 , a digital menu board 224 , a POS module 225 , a kiosk POS module 226 , and a CCTV 227 . , and Wi-Fi 228 .

도 3을 참조하면, 데이터 수집 및 전달 모듈(222)은 매장 내 데이터를 수집하여 중앙 시스템(210)으로 전달하는 역할을 수행한다.Referring to FIG. 3 , the data collection and delivery module 222 collects in-store data and delivers it to the central system 210 .

디지털 메뉴 보드(224)는 중앙 시스템(210)의 제어 하에 메뉴 정보를 노출하는 역할을 수행한다.The digital menu board 224 serves to expose menu information under the control of the central system 210 .

주문 처리 모듈(223)은 매장 내 고객의 주문을 처리하고 주문 후 픽업 정보를 처리하는 역할을 수행한다.The order processing module 223 serves to process orders of customers in the store and to process pickup information after ordering.

POS 모듈(225)은 고객의 주문 시점 정보, 디지털 메뉴 보드(224) 상의 메뉴 노출 정보 등을 데이터 수집 및 전달 모듈(222)로 제공하는 역할을 수행한다.The POS module 225 serves to provide the customer's order time information and menu exposure information on the digital menu board 224 to the data collection and delivery module 222 .

키오스크 POS 모듈(226)은 고객의 주문 시점 정보, 디지털 메뉴 보드(224) 상의 메뉴 노출 정보, 장바구니 등을 이용한 메뉴 탐색 정보 등을 데이터 수집 및 전달 모듈(222)로 제공하는 역할을 수행한다.The kiosk POS module 226 serves to provide the customer's order time information, menu exposure information on the digital menu board 224, menu navigation information using a shopping cart, etc. to the data collection and delivery module 222 .

CCTV(227)는 고객의 방문 시점 정보, 고객의 동선 정보, 고객의 주문 대기 정보(주문, 메뉴 선택 등을 구분), 고객의 프로필 정보(예컨대, 성별, 연령 등) 등을 데이터 수집 및 전달 모듈(222)로 제공하는 역할을 수행한다.CCTV 227 is a data collection and delivery module for customer visit time information, customer movement information, customer order waiting information (order, menu selection, etc.), customer profile information (eg, gender, age, etc.) (222) performs the role provided.

와이파이(228)는 고객의 단말 정보, 고객의 브라우저 정보(무료 WiFi 사용 시 자사 쿠키를 대체할 수 있는 방법(예컨대, fingerprint 등)을 제공), 고객의 체류 정보(예컨대, 매장 체류 시간 등) 등을 데이터 수집 및 전달 모듈(222)로 제공하는 역할을 수행한다.The Wi-Fi 228 includes the customer's terminal information, the customer's browser information (provides a method that can replace the company's cookies (eg, fingerprint, etc.) when using free WiFi), the customer's stay information (eg, the time spent in the store), etc. It serves to provide the data collection and delivery module 222 .

개별 매장 시스템(220)은 매장 내 디지털 메뉴 보드 연계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으로, 특히 매장 주문 대기 시간 및 당일 재고를 고려하여 고객 메뉴 선택을 유도하는 요구사항을 포함할 수 있다.The individual store system 220 provides an in-store digital menu board linkage service, and in particular, may include a requirement to induce a customer's menu selection in consideration of store order waiting time and same-day inventory.

개별 매장 시스템(220)은 디지털 메뉴 보드(224) 상의 메뉴 노출 시 노출 시간, 노출 빈도 및 노출 위치(노출 순위 등) 등을 조정할 수 있다. 메뉴의 가중치에 따라 메뉴의 노출 시간, 노출 빈도, 노출 위치 등을 달리 구성할 수 있다. 이때, 가중치는 각 메뉴의 주문 대기 시간, 당일 재고 등을 기초로 결정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주문 대기 시간이 길수록, 당일 재고가 적을수록 가중치가 작아질 수 있다.The individual store system 220 may adjust an exposure time, an exposure frequency, and an exposure position (exposure order, etc.) when the menu on the digital menu board 224 is exposed. Depending on the weight of the menu, the exposure time, exposure frequency, exposure position, etc. of the menu can be configured differently. In this case, the weight may be determined based on an order waiting time of each menu, stock on the day, etc. For example, the longer the waiting time for an order, the smaller the weight may be as the stock of the day decreases.

개별 매장 시스템(220)은 디지털 메뉴 보드(224) 상의 메뉴 노출 시 임시 코드를 부여할 수 있다. 특정 품목에 대해 기존의 메뉴 번호가 아닌 임시로 부여된 맞춤형 코드(예컨대, 번호, 숫자, 문자열 등)를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특정 메뉴의 번호를 '1'에서 '1-1'로 변경하거나 'time deal 101'로 변경할 수 있다.The individual store system 220 may assign a temporary code upon exposure of the menu on the digital menu board 224 . Temporarily assigned custom codes (eg, numbers, numbers, character strings, etc.) can be displayed for specific items instead of the existing menu numbers. For example, the number of a specific menu can be changed from '1' to '1-1' or to 'time deal 101'.

고객은 POS에서 주문하고자 하는 메뉴의 번호를 제시하는 방법, 메뉴의 번호를 키오스크에서 선택 또는 직접 입력하는 방법, 모바일 상에서 입력 또는 QR 코드나 바코드를 스캐닝하는 방법 등으로 주문할 수 있다.Customers can order by presenting the number of the menu they want to order at the POS, selecting or directly entering the menu number at the kiosk, entering it on a mobile device, or scanning a QR code or barcode.

개별 매장 시스템(220)은 메뉴의 번호를 이용한 주문 시 고객에게 해당 번호 입력에 따른 부가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할인, 적립, 각종 혜택 등을 제공할 수 있다.The individual store system 220 may provide an additional service according to input of the corresponding number to the customer when ordering using the number of the menu, and may provide, for example, discounts, savings, various benefits, and the like.

메뉴 및 광고 제어 모듈(212)은 매장의 상황에 따른 맞춤형 코드를 생성할 수 있으며, 특히 각 메뉴에 대하여 당일 재고 수량, 준비 시간(주문 대기 시간), 매장 정책 등을 고려하여 임시 코드를 부여할 수 있다.The menu and advertisement control module 212 may generate a customized code according to the situation of the store, and in particular, a temporary code may be given to each menu in consideration of the stock quantity on the day, preparation time (order waiting time), store policy, etc. can

주문 처리 모듈(223)은 주문 처리 관련 정보로서 메뉴(주문) 별 처리 시간, 총 대기 시간, 총 당일 처리량 등을 제공할 수 있다.The order processing module 223 may provide a processing time for each menu (order), a total waiting time, a total same-day processing amount, etc. as order processing-related information.

디지털 메뉴 보드(224)는 메뉴 및 광고 제어 모듈(212)에 의해 생성된 맞춤형 코드를 고객 메뉴 선택 유도를 위한 광고 형태로 노출할 수 있다. 디지털 메뉴 보드(224)는 메뉴 내 특정 코드 정보를 노출할 수 있다.The digital menu board 224 may expose the customized code generated by the menu and advertisement control module 212 in the form of an advertisement for inducing a customer's menu selection. The digital menu board 224 may expose specific code information in the menu.

POS 모듈(225)과 키오스크 POS 모듈(226)은 고객 주문 시 특정 코드 입력을 진행할 수 있으며, 코드 입력 진행에 따른 혜택 등 각종 부가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The POS module 225 and the kiosk POS module 226 may proceed with inputting a specific code when ordering from a customer, and may provide various additional services such as benefits according to the progress of entering the code.

개별 매장 시스템(220)은 중앙 시스템(210)의 제어 하에 매장 주문 대기 시간이나 당일 재고 등을 고려한 가중치에 따라, 예를 들어 주문 누적이 많지 않은 메뉴로의 선택을 유도함으로써 특정 시간의 특정 제품에 대한 주문 쏠림 현상을 효과적으로 회피할 수 있으며, 전체적인 주문 대기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고 당일 재고 상황에 따라 효율적인 판매 제어를 구현할 수 있다.The individual store system 220 is controlled by the central system 210 according to a weight in consideration of the store order waiting time or stock on the day, for example, by inducing a selection to a menu that does not accumulate much order, so that a specific product at a specific time is provided. It is possible to effectively avoid the crowding of orders, shorten the overall order waiting time, and implement efficient sales control according to the stock situation on the day.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중앙 시스템이 수행할 수 있는 매장 데이터 분석 방법의 일례를 도시한 순서도이다.4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example of a store data analysis method that the central system can perfor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매장 데이터 분석 방법은 주문 정보 내 메뉴 정보를 기반으로 동작할 수 있으며, 이때 매장 내 메뉴는 단품 또는 셋트 메뉴로 구성될 수 있다.The store data analysis method may operate based on menu information in the order information, and in this case, the in-store menu may consist of a single item or a set menu.

도 4를 참조하면, 단계(S41)에서 중앙 시스템(210)은 개별 매장 시스템(220)으로부터 매장 내 주문 정보를 수집하거나 입력받을 수 있다. 이때, 주문 정보에는 고객이 주문한 적어도 하나의 메뉴가 포함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4 , in step S41 , the central system 210 may collect or receive in-store order information from the individual store system 220 . In this case, the order information may include at least one menu ordered by the customer.

단계(S42)에서 중앙 시스템(210)은 개별 매장 시스템(220)과의 연동을 통해 주문 처리 시간을 계산할 수 있다.In step S42 , the central system 210 may calculate the order processing time through interworking with the individual store system 220 .

단계(S43)에서 중앙 시스템(210)은 개별 매장 시스템(220)과의 연동을 통해 매장 내 주문 처리 시간에 대한 평균 정보를 업데이트할 수 있다. 중앙 시스템(210)은 각 메뉴 별로 주문 대기 시간을 업데이트할 수 있다.In step S43 , the central system 210 may update average information on the in-store order processing time through interworking with the individual store system 220 . The central system 210 may update the order waiting time for each menu.

단계(S44)에서 중앙 시스템(210)은 주문 내 메뉴 별 처리 임계값 또는 정책값을 설정할 수 있다. 임계값 또는 정책값 설정 방법으로, 일례로는 주문 내 메뉴 별 기본 처리 시간 값 대비 실제 소요 시간을 기반으로 한 상대값을 사용할 수 있으며, 다른 예로는 절대값 기반의 주문 처리 시간을 사용할 수 있다.In step S44, the central system 210 may set a processing threshold or policy value for each menu in the order. As a method of setting a threshold or policy value, as an example, a relative value based on the actual required time compared to the basic processing time value for each menu in the order may be used, and as another example, an order processing time based on an absolute value may be used.

단계(S45)에서 중앙 시스템(210)은 주문 내 메뉴 별 주문 처리 시간이 임계값 또는 정책값을 초과하는 경우 각 메뉴의 가중치를 업데이트할 수 있다. 메뉴 별로 처리 시간에 따른 가중치를 업데이트함으로써 가중치를 기반으로 메뉴의 노출 위치나 노출 시간, 노출 빈도, 할인 정책 등이 달라질 수 있으며, 가중치를 기반으로 메뉴 주문 시 소요 시간에 대한 안내 정보 제공 여부를 선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주문 누적에 따라 가중치가 일정 레벨 이하인 메뉴의 경우 소요 시간에 대한 안내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In step S45 , the central system 210 may update the weight of each menu when the order processing time for each menu within the order exceeds a threshold value or a policy value. By updating the weight according to the processing time for each menu, the exposure location, exposure time, exposure frequency, discount policy, etc. of the menu may vary based on the weight. can For example, in the case of a menu whose weight is less than or equal to a certain level according to the accumulation of orders, guide information on the required time may be provided.

단계(S46)에서 중앙 시스템(210)은 매장 내 메뉴의 가중치 업데이트에 대해 매장 매니저의 컨펌(confirm)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In step S46 , the central system 210 may check whether the store manager confirms the weight update of the in-store menu.

단계(S47)에서 중앙 시스템(210)은 매장 매니저의 컨펌이 확인되면 해당 매장의 디지털 메뉴 보드(224) 상에 각 메뉴의 가중치를 기반으로 메뉴 정보를 업데이트하여 노출할 수 있다.In step S47 , when the confirmation of the store manager is confirmed, the central system 210 may update and expose menu information based on the weight of each menu on the digital menu board 224 of the store.

단계(S48)에서 중앙 시스템(210)은 디지털 메뉴 보드(224) 상의 메뉴 정보가 업데이트됨에 따라 POS 모듈(225)과 키오스크 POS 모듈(226) 상의 정보 또한 업데이트할 수 있다.In step S48 , the central system 210 may also update information on the POS module 225 and the kiosk POS module 226 as menu information on the digital menu board 224 is updated.

디지털 메뉴 보드(224) 상에서는 중앙 시스템(210)의 제어 하에 매장 매니저의 컨펌 후 메뉴 구성의 레이아웃이나 메뉴 배치를 변경할 수 있고 각 메뉴의 코드값을 노출할 수 있다. 디지털 메뉴 보드(224)의 메뉴 정보가 업데이트되면 POS 모듈(225)과 키오스크 POS 모듈(226) 상에서 업데이트된 각 메뉴의 주문을 위한 관련 정보를 업데이트 진행할 수 있다.On the digital menu board 224 , the layout or menu arrangement of the menu structure may be changed after the store manager confirms under the control of the central system 210 , and code values of each menu may be exposed. When the menu information of the digital menu board 224 is updated, the POS module 225 and the kiosk POS module 226 may update related information for ordering each updated menu.

매장 상황에 따라 주문이 적고 재고가 많은 메뉴일수록 우선순위를 높여 메뉴를 노출할 수 있고, 해당 메뉴를 주문하는 사용자에게 할인 등의 혜택을 제공할 수 있다. 주문이 많아 소요 시간이 긴 메뉴일수록 낮은 가중치를 부여하여 적은 혜택을 제공하고 주문이 적은 메뉴일수록 높은 가중치를 부여하여 많은 혜택을 제공할 수 있다.Depending on the store situation, menus with fewer orders and more stock can be exposed by raising priority, and benefits such as discounts can be provided to users who order the menu. A menu that takes a long time due to a large number of orders can be given a lower weight to provide fewer benefits, and a menu with fewer orders can be given a higher weight to provide many benefits.

이하에서는 주문 중계 서버의 주문 및 배달 제어 방법과 시스템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a specific embodiment of the order and delivery control method and system of the order relay server will be described.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주문 및 배달 제어를 위한 전체 시스템 구성을 도시한 것이다.5 is a view showing the overall system configuration for order and delivery control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를 참조하면, 주문 중계 서버(510)는 주문 중계 서비스를 제공하는 사업자 서버로서, 배달 중계 서비스를 제공하는 배달 서버(230)와의 연동을 통해 배달 앱 상에서 고객 노출 정보를 제어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5 , the order relay server 510 is a business server that provides an order relay service, and may control customer exposure information on a delivery app through interworking with the delivery server 230 that provides a delivery relay service.

주문 중계 서버(510)는 중앙 시스템(210)에 포함되는 서버 시스템으로 구현되거나 혹은 중앙 시스템(210)과 연동 가능한 별개의 서버 시스템으로 구현될 수 있다.The order relay server 510 may be implemented as a server system included in the central system 210 or may be implemented as a separate server system capable of interworking with the central system 210 .

주문 중계 서버(510)는 개별 매장 시스템(220)과 연동하여 주문 중계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으며, 특히 매장 상황을 고려하여 주문을 제어할 수 있다. 주문 중계 서버(510)는 개별 매장 시스템(220)으로부터 수신한 매장 내 정보(매장 주문 대기 시간, 당일 재고 등)를 활용하여 메뉴 노출 우선 순위 등을 조절할 수 있다.The order relay server 510 may provide an order relay service by interworking with the individual store system 220 , and in particular, may control an order in consideration of a store situation. The order relay server 510 may adjust menu exposure priority, etc. by using in-store information (store order waiting time, stock on the day, etc.) received from the individual store system 220 .

주문 중계 서버(510)는 매장 상황에 따른 메뉴 노출 우선 순위 등에 따라 고객용 디바이스(501) 상에 설치된 배달 앱 상에 매장의 노출 메뉴를 제어할 수 있다.The order relay server 510 may control the exposed menu of the store on the delivery app installed on the customer device 501 according to the priority of menu exposure according to the store situation.

주문 중계 서버(510)는 배달 서버(230)와 연동하여 고객이 사용하는 디바이스(501)의 위치를 기초로 인접지역별 배달 중계를 지원할 수 있다.The order relay server 510 may support delivery relay for each neighboring area based on the location of the device 501 used by the customer in conjunction with the delivery server 230 .

주문 중계 서버(510)는 배달 효율 향상을 위해 인접지역을 중심으로 해당 지역의 매장을 우선 노출할 수 있으며, 인접지역 중심 우선 노출을 통한 추가 주문 생성을 지원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주문 중계 서버(510)는 고객 위치와 가까운 매장을 우선 노출하거나 혹은 고객이 선택한 매장과 인접한 다른 매장을 추가 노출하는 것 또한 가능하다. 또한, 주문 중계 서버(510)는 중복 주문 건 생성을 위해 동일 매장을 우선 노출하여 해당 매장의 주문 생성을 지원할 수 있다. 주문 중계 서버(510)는 일정 시간 이내의 주문에 대해 일정 반경 이내의 고객을 대상으로 동일 매장을 우선 노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A가 주문한 매장 Ⅰ에 대해 사용자 A와 인접한 사용자 B를 대상으로 매장 Ⅰ를 우선 노출할 수 있다.In order to improve delivery efficiency, the order relay server 510 may preferentially expose a store in a corresponding area centered on an adjacent area, and may support creation of an additional order through priority exposure centered on an adjacent area. For example, the order relay server 510 may preferentially expose a store close to the customer's location or additionally expose another store adjacent to the store selected by the customer. Also, the order relay server 510 may support order creation of the corresponding store by first exposing the same store in order to generate duplicate orders. The order relay server 510 may preferentially expose the same store to customers within a predetermined radius for an order within a predetermined time. For example, with respect to the store I ordered by the user A, the store I may be first exposed to the user B adjacent to the user A.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주문 중계 서버(510)는 주문 연계 서버(611), 지역 서비스 노출 제어 서버(612), 및 배달 앱(613)을 포함할 수 있다.As shown in FIG. 6 , the order relay server 510 may include an order linkage server 611 , a local service exposure control server 612 , and a delivery app 613 .

개별 매장 시스템(220)의 주문 처리 모듈(223)은 해당 매장의 주문 처리 관련 정보로서 메뉴(주문) 별 처리 시간, 총 대기 시간, 총 당일 처리량 등을 중앙 시스템(210)으로 제공할 수 있다.The order processing module 223 of the individual store system 220 may provide the processing time for each menu (order), the total waiting time, the total amount of processing on the day, etc. to the central system 210 as order processing related information of the corresponding store.

중앙 시스템(210)의 메뉴 및 광고 제어 모듈(212)은 상황에 따른 맞춤형 코드를 생성하여 주문 연계 서버(611)로 제공할 수 있으며, 특히 각 메뉴에 대하여 당일 재고 수량, 준비 시간(주문 대기 시간), 매장 정책 등을 고려하여 임시 코드를 부여할 수 있다.The menu and advertisement control module 212 of the central system 210 may generate a customized code according to the situation and provide it to the order link server 611, in particular, for each menu, the stock quantity on the day, the preparation time (order waiting time) ), a temporary code can be assigned in consideration of store policies, etc.

주문 연계 서버(611)는 메뉴 및 광고 제어 모듈(212)과 연동하여 각 매장의 주문 대기 시간 등을 기초로 주기적인 주문 지연시간 정보를 업데이트할 수 있고 주문 가능 메뉴 정보를 업데이트할 수 있다.The order link server 611 may interwork with the menu and advertisement control module 212 to periodically update order delay time information based on the order waiting time of each store, and may update orderable menu information.

지역 서비스 노출 제어 서버(612)는 매장 별 주문 상황과 사업자 요청에 따른 지역 서비스(예컨대, 광고 등) 노출을 제어할 수 있고 각 매장의 메뉴 노출 우선 순위를 제어할 수 있고, 이에 배달 앱(613) 상의 노출에 따른 고객 주문이 발생할 수 있다.The local service exposure control server 612 may control the local service (eg, advertisement, etc.) exposure according to the order situation for each store and the request of the operator, and may control the menu exposure priority of each store, and thus the delivery app 613 ), a customer order may occur according to the exposure of the image.

주문 중계 서버(510)는 매장에서 수집된 주문 처리 정보를 기반으로 배달 앱의 메뉴 노출 시 우선 순위를 조절할 수 있어 특정 시간에 특정 메뉴의 주문 폭주로 인한 주문 처리시간 증가를 회피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매장에서는 메뉴 처리 효율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The order relay server 510 can adjust the priority when exposing the menu of the delivery app based on the order processing information collected in the store, thereby avoiding the increase in order processing time due to the rush of orders for a specific menu at a specific time. This allows the store to increase the efficiency of menu processing.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주문 중계 서버가 수행할 수 있는 배달 제어 방법의 일례를 도시한 순서도이다.7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example of a delivery control method that can be performed by the order relay serv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을 참조하면, 단계(S71)에서 주문 중계 서버(510)는 배달 앱을 통한 고객의 주문 정보를 전달받을 수 있다. 주문 정보에는 고객의 위치 정보, 메뉴 정보 등이 포함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7 , in step S71 , the order relay server 510 may receive the customer's order information through the delivery app. The order information may include customer location information, menu information, and the like.

단계(S72)에서 주문 중계 서버(510)는 고객의 주문 정보에 대하여 고객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배달 가능 매장 리스트 업을 수행할 수 있다. 일례로, 주문 중계 서버(510)는 각 매장에 설정된 배달 지역을 기반으로 매장 리스트를 생성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주문 중계 서버(510)는 고객 위치 기준 호출 가능한 라이더를 기반으로 매장 리스트를 생성할 수 있다.In step S72, the order relay server 510 may perform a delivery available store list-up for providing customer service with respect to the customer's order information. For example, the order relay server 510 may generate a store list based on a delivery area set in each store. As another example, the order relay server 510 may generate a list of stores based on the callable rider based on the customer location.

단계(S73)에서 주문 중계 서버(510)는 고객 위치 기준 호출 가능한 라이더 정보에 대한 리스트 업을 수행할 수 있다. 주문 중계 서버(510)는 라이더 별 배달 가능 지역, 배달 가능 품목, 배달 비용 부과 옵션(주문자 옵션, 판매자 옵션 등) 등을 기초로 라이더 정보 리스트를 생성할 수 있다.In step S73, the order relay server 510 may perform a list-up of the rider information that can be called based on the customer location. The order relay server 510 may generate a rider information list based on a delivery area for each rider, a delivery available item, a delivery charge option (orderer option, a seller option, etc.).

단계(S74)에서 주문 중계 서버(510)는 고객의 주문 정보를 기반으로 지역 클러스터링을 수행할 수 있다. 주문 중계 서버(510)는 고객 위치를 기준으로 동일 지역의 고객들을 그룹핑할 수 있다. 이때, 주문 중계 서버(510)는 동일 클러스터 내에 여러 가지 품목(예를 들어, 보냉 메뉴나 보온 메뉴 등)의 주문이 존재하는 경우 주문 메뉴의 품목 정보를 기준으로 추가 클러스터링이 가능하다.In step S74, the order relay server 510 may perform regional clustering based on the customer's order information. The order relay server 510 may group customers in the same region based on the customer location. In this case, the order relay server 510 may perform additional clustering based on item information of the order menu when there are orders for several items (eg, cold menu or warm menu) in the same cluster.

단계(S75)에서 주문 중계 서버(510)는 라이더 정보를 바탕으로 클러스터 별로 라이더를 할당할 수 있다. 주문 중계 서버(510)는 배달 건수 기반 우선순위, 배달비 입찰 등을 기반으로 배달 라이더를 할당할 수 있다.In step S75, the order relay server 510 may allocate riders to each cluster based on the rider information. The order relay server 510 may allocate delivery riders based on priority based on the number of delivery cases, delivery cost bidding, and the like.

단계(S76)에서 주문 중계 서버(510)는 라이더 할당이 완료되면 해당 라이더에게 할당된 고객의 주문 정보를 전달함으로써 주문 정보 처리를 완료할 수 있다.In step S76, the order relay server 510 may complete the order information processing by transferring the order information of the customer assigned to the rider when the rider assignment is completed.

주문 중계 서버(510)는 매장 내 상황에 따라 메뉴 노출 우선순위를 조절할 수 있어 특정 메뉴의 주문 폭주로 인한 주문 처리시간 증가를 회피할 수 있고, 인접지역 별로 배달을 중계하거나 중복 주문 업체를 우선 노출하여 배달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The order relay server 510 can adjust the menu exposure priority according to the situation in the store, so it is possible to avoid an increase in order processing time due to a rush of orders for a specific menu, and to relay delivery for each neighboring area or expose duplicate order companies first. This can improve delivery efficiency.

이상에서 설명된 장치는 하드웨어 구성요소, 소프트웨어 구성요소, 및/또는 하드웨어 구성요소 및 소프트웨어 구성요소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실시예들에서 설명된 장치 및 구성요소는, 프로세서, 콘트롤러, ALU(arithmetic logic unit),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igital signal processor), 마이크로컴퓨터,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PLU(programmable logic unit), 마이크로프로세서, 또는 명령(instruction)을 실행하고 응답할 수 있는 다른 어떠한 장치와 같이, 하나 이상의 범용 컴퓨터 또는 특수 목적 컴퓨터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처리 장치는 운영 체제(OS) 및 상기 운영 체제 상에서 수행되는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어플리케이션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처리 장치는 소프트웨어의 실행에 응답하여, 데이터를 접근, 저장, 조작, 처리 및 생성할 수도 있다. 이해의 편의를 위하여, 처리 장치는 하나가 사용되는 것으로 설명된 경우도 있지만,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처리 장치가 복수 개의 처리 요소(processing element) 및/또는 복수 유형의 처리 요소를 포함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예를 들어, 처리 장치는 복수 개의 프로세서 또는 하나의 프로세서 및 하나의 콘트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병렬 프로세서(parallel processor)와 같은, 다른 처리 구성(processing configuration)도 가능하다.The device described above may be implemented as a hardware component, a software component, and/or a combination of the hardware component and the software component. For example, the devices and components described in the embodiments may include a processor, a controller, an arithmetic logic unit (ALU), a digital signal processor, a microcomputer, a 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FPGA), and a programmable logic unit (PLU). It may be implemented using one or more general purpose or special purpose computers, such as a logic unit, microprocessor, or any other device capable of executing and responding to instructions. The processing device may execute an operating system (OS) and one or more software applications running on the operating system. The processing device may also access, store, manipulate, process, and generate data in response to execution of the software. For convenience of understanding, although one processing device is sometimes described as being used,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will recognize that the processing device includes a plurality of processing elements and/or a plurality of types of processing elements. It can be seen that can include For example, the processing device may include a plurality of processors or one processor and one controller. Other processing configurations are also possible, such as parallel processors.

소프트웨어는 컴퓨터 프로그램(computer program), 코드(code), 명령(instruction), 또는 이들 중 하나 이상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으며, 원하는 대로 동작하도록 처리 장치를 구성하거나 독립적으로 또는 결합적으로(collectively) 처리 장치를 명령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및/또는 데이터는, 처리 장치에 의하여 해석되거나 처리 장치에 명령 또는 데이터를 제공하기 위하여, 어떤 유형의 기계, 구성요소(component), 물리적 장치, 컴퓨터 저장 매체 또는 장치에 구체화(embody)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 상에 분산되어서, 분산된 방법으로 저장되거나 실행될 수도 있다. 소프트웨어 및 데이터는 하나 이상의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The software may comprise a computer program, code, instructions, or a combination of one or more thereof, which configures a processing device to operate as desired or is independently or collectively processed You can command the device. The software and/or data may be embodied in any type of machine, component, physical device, computer storage medium or device for interpretation by or providing instructions or data to the processing device. have. The software may be distributed over networked computer systems, and stored or executed in a distributed manner. Software and data may be stored in one or more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a.

실시예에 따른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이때, 매체는 컴퓨터로 실행 가능한 프로그램을 계속 저장하거나, 실행 또는 다운로드를 위해 임시 저장하는 것일 수도 있다. 또한, 매체는 단일 또는 수 개의 하드웨어가 결합된 형태의 다양한 기록수단 또는 저장수단일 수 있는데, 어떤 컴퓨터 시스템에 직접 접속되는 매체에 한정되지 않고, 네트워크 상에 분산 존재하는 것일 수도 있다. 매체의 예시로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 CD-ROM 및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um), 및 ROM, RAM, 플래시 메모리 등을 포함하여 프로그램 명령어가 저장되도록 구성된 것이 있을 수 있다. 또한, 다른 매체의 예시로, 어플리케이션을 유통하는 앱 스토어나 기타 다양한 소프트웨어를 공급 내지 유통하는 사이트, 서버 등에서 관리하는 기록매체 내지 저장매체도 들 수 있다.The method according to the embodiment may be implemented in the form of program instructions that can be executed through various computer means and recorded in a computer-readable medium. In this case, the medium may be to continuously store the program executable by the computer, or to temporarily store the program for execution or download. In addition, the medium may be a variety of recording means or storage means in the form of a single or several hardware combined, it is not limited to a medium directly connected to any computer system, and may exist distributed on a network. Examples of the medium include a hard disk, a magnetic medium such as a floppy disk and a magnetic tape, an optical recording medium such as CD-ROM and DVD, a magneto-optical medium such as a floppy disk, and those configured to store program instructions, including ROM, RAM, flash memory, and the like. In addition, examples of other media may include recording media or storage media managed by an app store for distributing applications, site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other various software, and servers.

이상과 같이 실시예들이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의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설명된 기술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순서로 수행되거나, 및/또는 설명된 시스템, 구조, 장치, 회로 등의 구성요소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형태로 결합 또는 조합되거나, 다른 구성요소 또는 균등물에 의하여 대치되거나 치환되더라도 적절한 결과가 달성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although the embodiments have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limited embodiments and drawings,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are possible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above description. For example, the described techniques are performed in a different order than the described method, and/or the described components of the system, structure, apparatus, circuit, etc. are combined or combined in a different form than the described method, or other components Or substituted or substituted by equivalents may achieve an appropriate result.

그러므로, 다른 구현들, 다른 실시예들 및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도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의 범위에 속한다.Therefore, other implementations, other embodiments, and equivalents to the claims are also within the scope of the following claims.

Claims (15)

컴퓨터 시스템에서 실행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컴퓨터 시스템은 메모리에 포함된 컴퓨터 판독가능한 명령들을 실행하도록 구성된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방법은,
배달 앱을 이용한 주문 중계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으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의해, 매장 내 상황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의해, 상기 상황 정보를 기초로 상기 배달 앱 상의 상기 매장의 메뉴 노출을 제어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방법.
A method executed on a computer system, comprising:
the computer system comprising at least one processor configured to execute computer readable instructions contained in a memory;
The method is
By providing an order relay service using a delivery app,
receiving, by the at least one processor, in-store situation information; and
Controlling, by the at least one processor, the menu exposure of the store on the delivery app based on the context information
How to includ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매장의 주문 처리 관련 정보로서 각 메뉴 별 주문 대기 시간과 당일 재고 중 적어도 하나를 수신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방법.
According to claim 1,
The receiving step is
Receiving at least one of an order waiting time for each menu and stock on the same day as the order processing related information of the store
How to includ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상황 정보에 따라 상기 배달 앱 상의 메뉴 노출 우선 순위를 조절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방법.
According to claim 1,
The controlling step is
Adjusting the menu exposure priority on the delivery app according to the context information
How to includ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의해, 상기 배달 앱을 통해 인접지역의 매장을 우선 노출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방법.
According to claim 1,
The method is
By the at least one processor, the first step of exposing a store in a neighboring area through the delivery app
How to include more.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노출하는 단계는,
고객의 위치와 인접한 매장 또는 상기 고객이 선택한 매장과 인접한 다른 매장을 노출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5. The method of claim 4,
The exposing step is
Exposing stores adjacent to a customer's location or other stores adjacent to the store selected by said customer;
How to characteriz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의해, 중복 주문 건 생성을 위해 고객 간에 동일 매장을 우선 노출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방법.
According to claim 1,
The method is
First exposing, by the at least one processor, the same store among customers to create duplicate orders.
How to include more.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노출하는 단계는,
일정 시간 이내의 주문에 대해 일정 반경 이내의 고객을 대상으로 동일 매장을 노출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7. The method of claim 6,
The exposing step is
Exposing the same store to customers within a certain radius for orders within a certain time
How to characteriz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의해, 고객의 위치를 기준으로 호출 가능한 라이더 리스트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의해, 고객의 주문 정보를 기반으로 지역 클러스터링을 수행하는 단계;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의해, 상기 지역 클러스터링에 따른 클러스터 별로 라이더를 할당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방법.
According to claim 1,
The method is
generating, by the at least one processor, a list of callable riders based on the location of the customer;
performing, by the at least one processor, regional clustering based on customer order information; and
Allocating, by the at least one processor, a rider for each cluster according to the regional clustering
How to include more.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생성하는 단계는,
라이더 별 배달 가능 지역, 배달 가능 품목, 배달 비용 부과 옵션 중 적어도 하나를 기초로 상기 라이더 리스트를 생성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9. The method of claim 8,
The generating step is
generating the list of riders based on at least one of a delivery area for each rider, a deliverable item, and an option to charge a delivery fee.
How to characterize.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고객의 위치를 기준으로 상기 지역 클러스터링을 수행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9. The method of claim 8,
The performing step is,
performing the regional clustering based on the location of the customer;
How to characterize.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수행하는 단계는,
동일 클러스터에 대해 주문 메뉴의 품목을 기준으로 추가 클러스터링을 수행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방법.
9. The method of claim 8,
The performing step is,
Steps to perform additional clustering based on items in the order menu for the same cluster
How to include.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의해, 상기 고객의 주문 정보에 대해 배달 가능한 매장 리스트를 생성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방법.
9. The method of claim 8,
The method is
generating, by the at least one processor, a list of deliverable stores for the customer's order information
How to include more.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매장 리스트를 생성하는 단계는,
각 매장에 설정된 배달 지역과 상기 고객의 위치를 기초로 상기 매장 리스트를 생성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3. The method of claim 12,
The step of generating the store list includes:
Generating the store list based on the delivery area set in each store and the location of the customer
How to characterize.
제1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을 컴퓨터 장치에 실행시키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이 기록되어 있는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in which a computer program for executing the method of any one of claims 1 to 13 in a computer device is recorded. 컴퓨터 시스템에 있어서,
메모리에 포함된 컴퓨터 판독가능한 명령들을 실행하도록 구성된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
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배달 앱을 이용한 주문 중계 서비스를 제공하고,
매장 내 상황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상황 정보를 기초로 상기 배달 앱 상의 상기 매장의 메뉴 노출을 제어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시스템.
In a computer system,
at least one processor configured to execute computer readable instructions contained in memory
including,
the at least one processor,
Provide order relay service using delivery app,
Receive in-store context information and control the menu exposure of the store on the delivery app based on the context information
A computer system characterized by a.
KR1020200049272A 2020-04-23 2020-04-23 Method and system for controlling order and delivery of order service provider KR102381484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49272A KR102381484B1 (en) 2020-04-23 2020-04-23 Method and system for controlling order and delivery of order service provid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49272A KR102381484B1 (en) 2020-04-23 2020-04-23 Method and system for controlling order and delivery of order service provide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31009A true KR20210131009A (en) 2021-11-02
KR102381484B1 KR102381484B1 (en) 2022-03-31

Family

ID=784762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49272A KR102381484B1 (en) 2020-04-23 2020-04-23 Method and system for controlling order and delivery of order service provide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81484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65349B1 (en) * 2023-12-28 2024-05-13 주식회사 비욘드아이앤씨 System for ordering and delivery intermediation using priority dispatch for delivery services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44606A (en) * 2006-11-17 2008-05-21 주식회사 케이티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ubiquitous food order service according to the volume of orders ranking
KR20160123690A (en) * 2015-04-16 2016-10-26 주식회사 티피코리아 The method and apparatus for ordering food based on location
JP2017037389A (en) * 2015-08-07 2017-02-16 株式会社ぐるなび Information processor,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program
KR20170052073A (en) * 2015-11-03 2017-05-12 (주)디디소프트 Method for providing cooking information based on delivery context information and sales management device thereof
KR20170082294A (en) * 2016-01-06 2017-07-14 방승온 A integration store management system using intelligent type image analysis technology
KR101936369B1 (en) * 2017-11-30 2019-01-08 박창혁 Customer analysis system for shops using Wi-Fi
KR20190021047A (en) * 2017-08-22 2019-03-05 (주)디앤씨테크 Fryer service system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44606A (en) * 2006-11-17 2008-05-21 주식회사 케이티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ubiquitous food order service according to the volume of orders ranking
KR20160123690A (en) * 2015-04-16 2016-10-26 주식회사 티피코리아 The method and apparatus for ordering food based on location
JP2017037389A (en) * 2015-08-07 2017-02-16 株式会社ぐるなび Information processor,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program
KR20170052073A (en) * 2015-11-03 2017-05-12 (주)디디소프트 Method for providing cooking information based on delivery context information and sales management device thereof
KR20170082294A (en) * 2016-01-06 2017-07-14 방승온 A integration store management system using intelligent type image analysis technology
KR20190021047A (en) * 2017-08-22 2019-03-05 (주)디앤씨테크 Fryer service system
KR101936369B1 (en) * 2017-11-30 2019-01-08 박창혁 Customer analysis system for shops using Wi-Fi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65349B1 (en) * 2023-12-28 2024-05-13 주식회사 비욘드아이앤씨 System for ordering and delivery intermediation using priority dispatch for delivery servic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81484B1 (en) 2022-03-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635757B2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autonomous vehicles
US20220083954A1 (en) Methods and systems for real-time inventory reallocation from supplier to retailer
US20210012281A1 (en) System and method for managing inventory through return labels
CN111183621B (en) System and method for flow control in an online platform
US10346784B1 (en) Near-term delivery system performance simulation
US20210012280A1 (en) System and method for processing returned items based on related inventory information
US20220036306A1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using configurable templates and policy information to control use of storage locations
KR102381484B1 (en) Method and system for controlling order and delivery of order service provider
US20220398572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controlling transfers of digital assets
US20240078523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e-commerce checkout with delay loading of checkout options
KR20230087764A (en) Method for consult store through product recommendation, and computer program recorded on record-medium for executing method therefor
KR102381483B1 (en) Method and system for collecting and analyzing customer information in store
US20210118269A1 (en) Point of sale terminal with adaptive display
US20180082346A1 (en) System and method for automatic product distribution management using distribution network and big data
US20220351107A1 (en) Automated request fulfilment processing
KR20200093749A (en) Seller entry system using open market platform with multiple sellers and the method thereof
US11886920B2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load sharing between primary and secondary computing environments based on expected completion latency differences
US20180285911A1 (en) Optimizing profitability in fulfilling website-based order
US20230031992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automatic printing of shipping labels for orders bypassing stowage in a warehouse
US11893614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balancing online stores across servers
US20240078594A1 (en) Dynamic generation of a virtual environment based on user-specific criteria
US11809904B2 (en) System and method for executing multiple scripts at a single extension point
US20230080396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providing trait-focused recommendations of computer applications
US11829782B2 (en) System and method for contextual navigation in applications
KR102439510B1 (en) Customer-tailored store linkage discount rate and store recommendation system and metho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