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30022A -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대역폭 및 커버리지 확보를 위한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대역폭 및 커버리지 확보를 위한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30022A
KR20210130022A KR1020200048278A KR20200048278A KR20210130022A KR 20210130022 A KR20210130022 A KR 20210130022A KR 1020200048278 A KR1020200048278 A KR 1020200048278A KR 20200048278 A KR20200048278 A KR 20200048278A KR 20210130022 A KR20210130022 A KR 2021013002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pcell
scell
frequency
configur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482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백주영
이능형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0482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130022A/ko
Publication of KR202101300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3002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12Wireless traffic scheduling
    • H04W72/1215Wireless traffic scheduling for collaboration of different radio technolog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01Arrangements for dividing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03Two-dimensional division
    • H04L5/0005Time-frequency
    • H04L5/0007Time-frequency the frequencies being orthogonal, e.g. OFDM(A), DMT
    • H04L5/001Time-frequency the frequencies being orthogonal, e.g. OFDM(A), DMT the frequencies being arranged in component carri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6/00Network planning, e.g. coverage or traffic planning tools; Network deployment, e.g. resource partitioning or cells structures
    • H04W16/14Spectrum sharing arrangements between different netwo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4/00Supervisory,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 H04W24/10Scheduling measurement reports ; Arrangements for measurement repor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0005Control or signalling for completing the hand-off
    • H04W36/0055Transmission or use of information for re-establishing the radio link
    • H04W36/0069Transmission or use of information for re-establishing the radio link in case of dual connectivity, e.g. decoupled uplink/downlink
    • H04W72/1226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50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 H04W72/54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based on quality criteria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개시는 LTE(Long Term Evolution)와 같은 4G(4th generation) 통신 시스템 이후 보다 높은 데이터 전송률을 지원하기 위한 5G(5th generation) 또는 pre-5G 통신 시스템에 관련된 것이다.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기지국(digital unit, DU)의 동작 방법에 있어서, 단말의 CA(carrier aggregation)구성을 식별하는 과정, 상기 단말의 PCell(primary cell)을 통한 통신의 처리율(throughput) 저하를 식별하는 과정, 상기 단말의 상기 PCell을 통한 통신의 처리율 저하가 지속적인 것인지 여부를 결정하는 과정과, 상기 단말의 상기 CA 구성 또는 CA 운영 방식을 결정하는 과정을 포함하고, 상기 PCell은 제1 주파수를 이용하는 RU(radio unit)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을 개시한다.

Description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대역폭 및 커버리지 확보를 위한 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SECURING BANDWITH AND COVERAGE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본 개시(disclosure)는 일반적으로 무선 통신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대역폭 및 커버리지 확보를 위한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4G(4th generation) 통신 시스템 상용화 이후 증가 추세에 있는 무선 데이터 트래픽 수요를 충족시키기 위해, 개선된 5G(5th generation) 통신 시스템 또는 pre-5G 통신 시스템을 개발하기 위한 노력이 이루어지고 있다. 이러한 이유로, 5G 통신 시스템 또는 pre-5G 통신 시스템은 4G 네트워크 이후(beyond 4G network) 통신 시스템 또는 LTE(long term evolution) 시스템 이후(post LTE) 시스템이라 불리어지고 있다.
높은 데이터 송신률을 달성하기 위해, 5G 통신 시스템은 초고주파(mmWave) 대역(예를 들어, 60기가(60GHz) 대역과 같은)에서의 구현이 고려되고 있다. 초고주파 대역에서의 전파의 경로손실 완화 및 전파의 전달 거리를 증가시키기 위해, 5G 통신 시스템에서는 빔포밍(beamforming), 거대 배열 다중 입출력(massive MIMO), 전차원 다중입출력(full dimensional MIMO, FD-MIMO), 어레이 안테나(array antenna), 아날로그 빔형성(analog beam-forming), 및 대규모 안테나(large scale antenna) 기술들이 논의되고 있다.
또한 시스템의 네트워크 개선을 위해, 5G 통신 시스템에서는 진화된 소형 셀, 개선된 소형 셀(advanced small cell), 클라우드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cloud radio access network, cloud RAN), 초고밀도 네트워크(ultra-dense network), 기기 간 통신(device to device communication, D6d), 무선 백홀(wireless backhaul), 이동 네트워크(moving network), 협력 통신(cooperative communication), CoMP(coordinated multi-points), 및 수신 간섭제거(interference cancellation) 등의 기술 개발이 이루어지고 있다.
이 밖에도, 5G 시스템에서는 진보된 코딩 변조(advanced coding modulation, ACM) 방식인 FQAM(hybrid frequency shift keying and quadrature amplitude modulation) 및 SWSC(sliding window superposition coding)과, 진보된 접속 기술인 FBMC(filter bank multi carrier), NOMA(non-orthogonal multiple access), 및 SCMA(sparse code multiple access) 등이 개발되고 있다.
한편, 5G 시스템의 주파수 범위는 Release 15에서 기존의 frequency range 1, 450-6000MHz)의 상한이 7.125GHz까지 증가되었으며, 이와 같이 높은 주파수의 특성으로 인하여 커버리지 보틀넥(coverage bottleneck) 현상이 문제되고 있는 상황이다. 기존 LTE 주파수 대역은 상대적으로 넓은 커버리지 확보가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으나, 최대 대역폭이 20MHz로 협소하다는 문제가 있다. 이에 따라, NR 주파수 대역 및 LTE 주파수 대역을 함께 운영하기 위한 방안이 논의되고 있고, 이와 관련하여 동적 스펙트럼 공유(dynamic spectrum sharing, DSS) 기능이 활용되고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논의를 바탕으로, 본 개시(disclosure)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의 CA(carrier aggregation) 구성 및 운영 방식을 결정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한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은 제1 RU(radio unit)와 제2 RU를 CA를 이용하여 함께 운영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한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은 단말의 위치 변화에 따라 PCell(primary cell)과 SCell(secondary cell)간의 핸드오버를 지원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한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은 PCell 및 SCell을 통한 통신의 처리율 저하를 식별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한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은 PCell 및 SCell을 통한 통신의 처리율 저하가 지속적인지 여부를 식별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한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기지국(digital unit, DU)의 동작 방법은, 단말의 CA(carrier aggregation)구성을 식별하는 과정, 상기 단말의 PCell(primary cell)을 통한 통신의 처리율(throughput) 저하를 식별하는 과정, 상기 단말의 상기 PCell을 통한 통신의 처리율 저하가 지속적인 것인지 여부를 결정하는 과정과, 상기 단말의 상기 CA 구성 또는 CA 운영 방식을 결정하는 과정을 포함하고, 상기 PCell은 제1 주파수를 이용하는 RU(radio unit)일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기지국 장치에 있어서,송수신부, 상기 송수신부와 동작 가능하게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단말의 CA 구성을 식별하고, 상기 단말의 PCell을 통한 통신의 처리율(throughput) 저하를 식별하고, 상기 단말의 상기 PCell을 통한 통신의 처리율 저하가 지속적인 것인지 여부를 결정하고, 상기 단말의 상기 CA 구성 또는 CA 운영 방식을 결정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PCell은 제1 주파수를 이용하는 RU일 수 있다.
NR 주파수 대역 특성으로 인한 상향링크 및 하향링크 운영 시 커버리지 보틀넥(coverage bottleneck) 문제 및 LTE(long-term evolution) 주파수의 최대 대역폭의 한계를 5G(5th -generation) 주파수 및 LTE 주파수의 동시 운영을 통해 극복하고자 한다.
본 개시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개시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을 도시한다.
도 2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기지국의 구성을 도시한다.
도 3은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의 구성을 도시한다.
도 4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통신부의 구성을 도시한다.
도 5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단말, DU(digital unit), 제1 RU(radio unit), 및 제2 RU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 환경의 예를 도시한다.
도 6a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단말, 제1 RU 및 제2 RU 간의 통신의 예를 도시한다.
도 6b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단말, 제1 RU 및 제2 RU 간의 통신의 다른 예를 도시한다.
도 6c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단말, 제1 RU 및 제2 RU 간의 통신의 또 다른 예를 도시한다.
도 6d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단말, 제1 RU 및 제2 RU간의 통신의 또 다른 예를 도시한다.
도 7은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제1 RU 및 제2 RU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 환경에서 단말이 이동하는 상황의 예를 도시한다.
도 8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단말의 위치 변화에 따른 데이터 처리량 변화의 예를 도시한다.
도 9a 및 도 9b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CA(carrier aggregation)를 구성하기 위한 DU의 동작을 도시한다.
도 10은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CA 구성 및 CA 운영 방식을 스케줄링하기 위한 DU의 동작을 도시한다.
도 11은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CA 구성 및 CA 운영 방식을 스케줄링하기 위한 DU의 동작을 도시한다.
도 12은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핸드 오버를 스케줄링하기 위한 DU의 동작을 도시한다.
도 13은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핸드 오버를 스케줄링하기 위한 DU의 동작을 구체적으로 도시한다.
도 14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VoNR(voice over new radio) 및 VoLTE(voice over long-term evolution)를 스케줄링하기 위한 DU의 동작을 도시한 것이다.
이하, 본 개시의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과 함께 상세히 설명한다. 또한, 본 개시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개시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결정된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개시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본 개시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 예들을 참고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개시는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 예들은 본 개시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개시가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개시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개시는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본 개시에서 사용되는 용어들은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다른 실시 예의 범위를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닐 수 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할 수 있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용어들은 본 개시에 기재된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질 수 있다. 본 개시에 사용된 용어들 중 일반적인 사전에 정의된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동일 또는 유사한 의미로 해석될 수 있으며, 본 개시에서 명백하게 정의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경우에 따라서, 본 개시에서 정의된 용어일지라도 본 개시의 실시 예들을 배제하도록 해석될 수 없다.
이하에서 설명되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서는 하드웨어적인 접근 방법을 예시로서 설명한다. 하지만,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서는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를 모두 사용하는 기술을 포함하고 있으므로,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이 소프트웨어 기반의 접근 방법을 제외하는 것은 아니다.
이하, 본 개시의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본 개시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 익히 알려져 있고 본 개시와 직접적으로 관련이 없는 기술 내용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이는 불필요한 설명을 생략함으로써 본 개시의 요지를 흐리지 않고 더욱 명확히 전달하기 위함이다.
마찬가지 이유로 첨부 도면에 있어서 일부 구성요소는 과장되거나 생략되거나 개략적으로 도시되었다. 또한, 각 구성요소의 크기는 실제 크기를 전적으로 반영하는 것이 아니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또는 대응하는 구성요소에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였다.
본 개시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 예들을 참고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개시는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 예들은 본 개시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개시가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개시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개시는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이하 본 개시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넓은 대역폭 및 커버리지 확보를 위한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본 개시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기지국(digital unit, DU)의 동작 방법에 있어서, 단말의 CA(carrier aggregation)구성을 식별하는 과정, 상기 단말의 PCell(primary cell)을 통한 통신의 처리율(throughput) 저하를 식별하는 과정, 상기 단말의 상기 PCell을 통한 통신의 처리율 저하가 지속적인 것인지 여부를 결정하는 과정과, 상기 단말의 상기 CA 구성 또는 CA 운영 방식을 결정하는 과정을 포함하고, 상기 PCell은 제1 주파수를 이용하는 RU(radio unit)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술을 설명한다.
이하 설명에서 사용되는 신호를 지칭하는 용어(예: 메시지, 정보, 프리앰블, 신호, 시그널링(signaling), 시퀀스(sequence), 스트림(stream))), 자원을 지칭하는 용어(예 심볼(symbol), 슬롯(slot), 서브프레임(subframe), 무선 프레임(radio frame), 서브캐리어(subcarrier), RE(resource element), RB(resource block), BWP(bandwidth part), 기회(Occasion)), 연산 상태를 위한 용어(예: 단계(step), 동작(operation), 절차(procedure)), 데이터를 지칭하는 용어(예: 정보(information), 비트(bit), 심볼(symbol), 코드워드(codeword)), 채널을 지칭하는 용어, 제어 정보를 지칭하는 용어(예: DCI(downlink control information), MAC CE(medium access control control element), RRC(radio resource control) signaling), 네트워크 객체(network entity)들을 지칭하는 용어, 장치의 구성 요소를 지칭하는 용어 등은 설명의 편의를 위해 예시된 것이다. 따라서, 본 개시가 후술되는 용어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동등한 기술적 의미를 가지는 다른 용어가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본 개시는, 일부 통신 규격(예: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에서 사용되는 용어들을 이용하여 다양한 실시 예들을 설명하지만, 이는 설명을 위한 예시일 뿐이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은, 다른 통신 시스템에서도, 용이하게 변형되어 적용될 수 있다.
또한, 본 개시에서, 특정 조건의 만족(satisfied), 충족(fulfilled) 여부를 판단하기 위해, 초과 또는 미만의 표현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일 예를 표현하기 위한 기재일 뿐 이상 또는 이하의 기재를 배제하는 것이 아니다. '이상'으로 기재된 조건은 '초과', '이하'로 기재된 조건은 '미만', '이상 및 미만'으로 기재된 조건은 '초과 및 이하'로 대체될 수 있다.
본 개시에서 채널 품질로 신호 강도, SNR(signal to noise ratio) 등 다양한 파라미터들이 서술되었으나, 본 개시의 각 실시 예에서 채널 품질은 상술된 메트릭 외에 RSRP(reference signal received power) , BRSRP(beam reference signal received power), RSRQ(reference signal received quality), RSSI(received signal strength indicator), SINR(signal to interference and noise ratio), CINR(carrier to interference and noise ratio), EVM(error vector magnitude), BER(bit error rate), BLER(block error rate), 기타 이와 동등한 기술적 의미를 가지는 다른 용어들 혹은 채널 품질을 나타내는 지표(metric)들이 사용될 수 있다.
도 1은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을 도시한다. 도 1은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무선 채널을 이용하는 노드(node)들의 일부로서, 기지국 110, 단말 120, 단말 130을 예시한다. 도 1은 하나의 기지국만을 도시하나, 기지국 110과 동일 또는 유사한 다른 기지국이 더 포함될 수 있다.
기지국(110)은 기지국(base station) 외에 '액세스 포인트(access point, AP)', '이노드비(eNodeB, eNB)', 'gNB(next generation node B)', '5G 노드(5th generation node)', '5G 노드비(5G NodeB, NB)', 'gNB(next generation node B)', '무선 포인트(wireless point)', '송수신 포인트(transmission/reception point, TRP)', 중앙 유닛(centralized unit, CU), 분산 유닛(distributed unit, DU),'디지털 유닛(digital unit, DU)', '무선 유닛(radio unit, RU), 원격 무선 장비(remote radio head, RRH) 또는 이와 동등한 기술적 의미를 가지는 다른 용어로 지칭될 수 있다. 이하, 본 개시는 기지국(110)을 하나의 엔티티로 서술하나, 실시 예에 따라, 분산된 엔티티들로 구현될 수 있다. 예로, 기지국(110)은 DU와 RU로 구별되어 구현될 수 있다. RU는 MMU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스케줄링을 수행하는 기기와 스케줄링에 따른 신호를 방사하는 기기가 물리적으로 구별되는 위치에 각각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기지국(110)은, 하나 이상의 '송수신 포인트(transmission/reception point, TRP)'와 연결될 수 있다. 기지국(110)은 하나 이상의 TRP들을 통해, 단말에게 하향링크 신호를 전송하거나 상향링크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단말 120 및 단말 130 각각은 사용자에 의해 사용되는 장치로서, 기지국 110과 무선 채널을 통해 통신을 수행한다. 경우에 따라, 단말 120 및 단말 130 중 적어도 하나는 사용자의 관여 없이 운영될 수 있다. 즉, 단말 120 및 단말 130 중 적어도 하나는 기계 타입 통신(machine type communication, MTC)을 수행하는 장치로서, 사용자에 의해 휴대되지 아니할 수 있다. 단말 120 및 단말 130 각각은 단말(terminal) 외 '사용자 장비(user equipment, UE)', '이동국(mobile station)', '가입자국(subscriber station)', '원격 단말(remote terminal)', '무선 단말(wireless terminal)', 또는 '사용자 장치(user device)' 또는 이와 동등한 기술적 의미를 가지는 다른 용어로 지칭될 수 있다.
기지국 110, 단말 120, 단말 130은 밀리미터 파(mmWave) 대역(예: 28GHz, 30GHz, 38GHz, 60GHz)에서 무선 신호를 송신 및 수신할 수 있다. 이때, 채널 이득의 향상을 위해, 기지국 110, 단말 120, 단말 130은 빔포밍(beamforming)을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빔포밍은 송신 빔포밍 및 수신 빔포밍을 포함할 수 있다. 즉, 기지국 110, 단말 120, 단말 130은 송신 신호 또는 수신 신호에 방향성(directivity)을 부여할 수 있다. 이를 위해, 기지국 110 및 단말들 120, 130은 빔 탐색(beam search) 또는 빔 관리(beam management) 절차를 통해 서빙(serving) 빔들 112, 113, 121, 131을 선택할 수 있다. 서빙 빔들 112, 113, 121, 131이 선택된 후, 이후 통신은 서빙 빔들 112, 113, 121, 131을 송신한 자원과 QCL(quasi co-located) 관계에 있는 자원을 통해 수행될 수 있다.
제1 안테나 포트 상의 심볼을 전달한 채널의 광범위한(large-scale) 특성들이 제2 안테나 포트 상의 심볼을 전달한 채널로부터 추정될(inferred) 수 있다면, 제1 안테나 포트 및 제2 안테나 포트는 QCL 관계에 있다고 평가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광범위한 특성들은 지연 스프레드(delay spread), 도플러 스프레드(doppler spread), 도플러 쉬프트(doppler shift), 평균 이득(average gain), 평균 지연(average delay), 공간적 수신 파라미터(spatial receiver parameter)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잇다.
도 2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기지국의 구성을 도시한다. 도 2에 예시된 구성은 기지국 110의 구성으로서 이해될 수 있다. 이하 사용되는 '…부', '…기'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도 2를 참고하면, 기지국은 무선통신부 210, 백홀통신부 220, 저장부 230, 제어부 240를 포함한다.
무선통신부 210은 무선 채널을 통해 신호를 송수신하기 위한 기능들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 무선통신부 210은 시스템의 물리 계층 규격에 따라 기저대역 신호 및 비트열 간 변환 기능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 데이터 송신 시, 무선통신부 210은 송신 비트열을 부호화 및 변조함으로써 복소 심벌들을 생성한다. 또한, 데이터 수신 시, 무선통신부 210은 기저대역 신호를 복조 및 복호화를 통해 수신 비트열을 복원한다.
또한, 무선통신부 210은 기저대역 신호를 RF(radio frequency) 대역 신호로 상향변환한 후 안테나를 통해 송신하고, 안테나를 통해 수신되는 RF 대역 신호를 기저대역 신호로 하향변환한다. 이를 위해, 무선통신부 210은 송신 필터, 수신 필터, 증폭기, 믹서(mixer), 오실레이터(oscillator), DAC(digital to analog convertor), ADC(analog to digital convertor)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무선통신부 210은 다수의 송수신 경로(path)들을 포함할 수 있다. 나아가, 무선통신부 210은 다수의 안테나 요소들(antenna elements)로 구성된 적어도 하나의 안테나 어레이(antenna array)를 포함할 수 있다.
하드웨어의 측면에서, 무선통신부 210은 디지털 유닛(digital unit) 및 아날로그 유닛(analog unit)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아날로그 유닛은 동작 전력, 동작 주파수 등에 따라 다수의 서브 유닛(sub-unit)들로 구성될 수 있다. 디지털 유닛은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예: DSP(digital signal processor))로 구현될 수 있다.
무선통신부 210은 상술한 바와 같이 신호를 송신 및 수신한다. 이에 따라, 무선통신부 210의 전부 또는 일부는 '송신부(transmitter)', '수신부(receiver)' 또는 '송수신부(transceiver)'로 지칭될 수 있다. 또한, 이하 설명에서, 무선 채널을 통해 수행되는 송신 및 수신은 무선통신부 210에 의해 상술한 바와 같은 처리가 수행되는 것을 포함하는 의미로 사용된다.
백홀통신부 220은 네트워크 내 다른 노드들과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즉, 백홀통신부 220은 기지국에서 다른 노드, 예를 들어, 다른 접속 노드, 다른 기지국, 상위 노드, 코어망 등으로 송신되는 비트열을 물리적 신호로 변환하고, 다른 노드로부터 수신되는 물리적 신호를 비트열로 변환한다.
저장부 230은 기지국의 동작을 위한 기본 프로그램, 응용 프로그램, 설정 정보 등의 데이터를 저장한다. 저장부 230은 휘발성 메모리, 비휘발성 메모리 또는 휘발성 메모리와 비휘발성 메모리의 조합으로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저장부 230은 제어부 240의 요청에 따라 저장된 데이터를 제공한다.
제어부 240은 기지국의 전반적인 동작들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제어부 240은 무선통신부 210를 통해 또는 백홀통신부 220을 통해 신호를 송신 및 수신한다. 또한, 제어부 240은 저장부 230에 데이터를 기록하고, 읽는다. 그리고, 제어부 240은 통신 규격에서 요구하는 프로토콜 스택(protocol stack)의 기능들을 수행할 수 있다. 다른 구현 예에 따라, 프로토콜 스텍은 무선통신부 210에 포함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어부 240은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processor)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라, 제어부 240은 CA 구성을 식별하는 CA 구성 식별부, 통신의 처리율 저하를 식별하는 처리율 식별부, 단말의 CA 구성 및 운영 방식을 결정하는 스케줄링부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라, 제어부 240은 단말의 CA 구성을 식별하고, 상기 단말의 PCell을 통한 통신의 처리율 저하를 식별하고, 상기 단말의 상기 PCell을 통한 통신의 처리율 저하가 지속적인 것인지 여부를 결정하고, 상기 단말의 상기 CA 구성 또는 CA 운영 방식을 결정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PCell은 제1 주파수를 이용하는 RU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 240은 기지국이 후술하는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동작들을 수행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도 2에서는 기지국을 하나의 엔티티로 서술하였으나, 본 개시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기지국은 일체형 배치뿐만 아니라 기지국은 분산 배치(distributed deployment)를 갖는 액세스 네트워크(access network)를 형성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라, 기지국은 CU(central unit)와 DU(digital unit)로 구별되어, CU는 상위 계층 기능(upper layers) (예: PDCP(packet data convergence protocol, RRC)) DU는 하위 계층 기능(lower layers)(예: MAC(medium access control), PHY(physical))을 수행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기지국의 DU는 무선 채널 상에 빔 커버리지를 형성할 수 있다. 다른 일 실시 예에 따라, CU대신 DU(digital unit), DU 대신 RU(radio unit)으로 구성되어, 기지국의 RU는 무선 채널 상에 빔 커버리지를 형성할 수 있다. RU는 빔포밍을 위한 MMU를 포함할 수 있다.
도 3은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의 구성을 도시한다. 도 3에 예시된 구성은 단말 120의 구성으로서 이해될 수 있다. 이하 사용되는 '…부', '…기'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도 3을 참고하면, 단말은 통신부 310, 저장부 320, 제어부 330를 포함한다.
통신부 310은 무선 채널을 통해 신호를 송수신하기 위한 기능들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 통신부 310은 시스템의 물리 계층 규격에 따라 기저대역 신호 및 비트열 간 변환 기능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 데이터 송신 시, 통신부 310은 송신 비트열을 부호화 및 변조함으로써 복소 심벌들을 생성한다. 또한, 데이터 수신 시, 통신부 310은 기저대역 신호를 복조 및 복호화를 통해 수신 비트열을 복원한다. 또한, 통신부 310은 기저대역 신호를 RF 대역 신호로 상향변환한 후 안테나를 통해 송신하고, 안테나를 통해 수신되는 RF 대역 신호를 기저대역 신호로 하향변환한다. 예를 들어, 통신부 310은 송신 필터, 수신 필터, 증폭기, 믹서, 오실레이터, DAC, ADC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통신부 310은 다수의 송수신 경로(path)들을 포함할 수 있다. 나아가, 통신부 310은 다수의 안테나 요소들로 구성된 적어도 하나의 안테나 어레이를 포함할 수 있다. 하드웨어의 측면에서, 통신부 310은 디지털 회로 및 아날로그 회로(예: RFIC(radio frequency integrated circuit))로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디지털 회로 및 아날로그 회로는 하나의 패키지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통신부 310은 다수의 RF 체인들을 포함할 수 있다. 나아가, 통신부 310은 빔포밍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통신부 310은 서로 다른 주파수 대역의 신호들을 처리하기 위해 서로 다른 통신 모듈들을 포함할 수 있다. 나아가, 통신부 310은 서로 다른 다수의 무선 접속 기술들을 지원하기 위해 다수의 통신 모듈들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로 다른 무선 접속 기술들은 블루투스 저 에너지(bluetooth low energy, BLE), Wi-Fi(Wireless Fidelity), WiGig(WiFi Gigabyte), 셀룰러 망(예: LTE(Long Term Evolution)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서로 다른 주파수 대역들은 극고단파(SHF:super high frequency)(예: 2.5GHz, 5Ghz) 대역, mm파(millimeter wave)(예: 60GHz) 대역을 포함할 수 있다.
통신부 310은 상술한 바와 같이 신호를 송신 및 수신한다. 이에 따라, 통신부 310의 전부 또는 일부는 '송신부', '수신부' 또는 '송수신부'로 지칭될 수 있다. 또한, 이하 설명에서 무선 채널을 통해 수행되는 송신 및 수신은 통신부 310에 의해 상술한 바와 같은 처리가 수행되는 것을 포함하는 의미로 사용된다.
저장부 320은 단말의 동작을 위한 기본 프로그램, 응용 프로그램, 설정 정보 등의 데이터를 저장한다. 저장부 320은 휘발성 메모리, 비휘발성 메모리 또는 휘발성 메모리와 비휘발성 메모리의 조합으로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저장부 320은 제어부 330의 요청에 따라 저장된 데이터를 제공한다.
제어부 330은 단말의 전반적인 동작들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제어부 330은 통신부 310를 통해 신호를 송신 및 수신한다. 또한, 제어부 330은 저장부 320에 데이터를 기록하고, 읽는다. 그리고, 제어부 330은 통신 규격에서 요구하는 프로토톨 스택의 기능들을 수행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어부 330은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 또는 마이크로(micro) 프로세서를 포함하거나, 또는, 프로세서의 일부일 수 있다. 또한, 통신부 310의 일부 및 제어부 330은 CP(communication processor)라 지칭될 수 있다.
도 4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통신부의 구성을 도시한다. 도 4는 도 2의 무선통신부 210 또는 도 3의 통신부 310의 상세한 구성에 대한 예를 도시한다. 구체적으로, 도 4는 도 2의 무선통신부 210 또는 도 3의 통신부 310의 일부로서, 빔포밍을 수행하기 위한 구성요소들을 예시한다.
도 4를 참고하면, 무선통신부 210 또는 통신부 310은 부호화 및 변조부 402, 디지털 빔포밍부 404, 다수의 송신 경로들 406-1 내지 406-N, 아날로그 빔포밍부 408를 포함한다.
부호화 및 변조부 402는 채널 인코딩을 수행한다. 채널 인코딩을 위해, LDPC(low density parity check) 코드, 컨볼루션(convoluation) 코드, 폴라(polar) 코드 중 적어도 하나가 사용될 수 있다. 부호화 및 변조부 402는 성상도 맵핑(contellation mapping)을 수행함으로써 변조 심벌들을 생성한다.
디지털 빔포밍부 404은 디지털 신호(예: 변조 심벌들)에 대한 빔포밍을 수행한다. 이를 위해, 디지털 빔포밍부 404은 변조 심벌들에 빔포밍 가중치들을 곱한다. 여기서, 빔포밍 가중치들은 신호의 크기 및 위상을 변경하기 위해 사용되며, '프리코딩 행렬(precoding matrix)', '프리코더(precoder)' 등으로 지칭될 수 있다. 디지털 빔포밍부 404는 다수의 송신 경로들 406-1 내지 406-N로 디지털 빔포밍된 변조 심벌들을 출력한다. 이때, MIMO(multiple input multiple output) 전송 기법에 따라, 변조 심벌들은 다중화되거나, 다수의 송신 경로들 406-1 내지 406-N로 동일한 변조 심벌들이 제공될 수 있다.
다수의 송신 경로들 406-1 내지 406-N은 디지털 빔포밍된 디지털 신호들을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한다. 이를 위해, 다수의 송신 경로들 406-1 내지 406-N 각각은 IFFT(inverse fast fourier transform) 연산부, CP(cyclic prefix) 삽입부, DAC, 상향 변환부를 포함할 수 있다. CP 삽입부는 OFDM(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방식을 위한 것으로, 다른 물리 계층 방식(예: FBMC(filter bank multi-carrier))이 적용되는 경우 제외될 수 있다. 즉, 다수의 송신 경로들 406-1 내지 406-N은 디지털 빔포밍을 통해 생성된 다수의 스트림(stream)들에 대하여 독립된 신호처리 프로세스를 제공한다. 단, 구현 방식에 따라, 다수의 송신 경로들 406-1 내지 406-N의 구성요소들 중 일부는 공용으로 사용될 수 있다.
아날로그 빔포밍부 408는 아날로그 신호에 대한 빔포밍을 수행한다. 이를 위해, 디지털 빔포밍부 404은 아날로그 신호들에 빔포밍 가중치들을 곱한다. 여기서, 빔포밍 가중치들은 신호의 크기 및 위상을 변경하기 위해 사용된다. 구체적으로, 다수의 송신 경로들 430-1 내지 430-N 및 안테나들 간 연결 구조에 따라, 아날로그 빔포밍부 440은 다양하게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다수의 송신 경로들 430-1 내지 430-N 각각이 하나의 안테나 어레이와 연결될 수 있다. 다른 예로, 다수의 송신 경로들 430-1 내지 430-N이 하나의 안테나 어레이와 연결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다수의 송신 경로들 430-1 내지 430-N은 적응적으로 하나의 안테나 어레이와 연결되거나, 둘 이상의 안테나 어레이들과 연결될 수 있다.
도 5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단말, DU(digital unit), 제1 RU(radio unit), 및 제2 RU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 환경의 예를 도시한다.
제1 RU(510)과 제2 RU(520)은 각각 다른 주파수 대역의 주파수를 사용하는 RU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RU(510)은 NR 주파수 대역의 주파수 자원을 이용하는 RU일 수 있고, 제2 RU(510)은 LTE 주파수 대역의 주파수 자원을 이용하는 RU일 수 있다. NR 주파수 대역과 LTE 주파수 대역은 서로 다른 RAT(radio access technology)에 대응될 수 있다. 사용하는 주파수 자원의 종류에 따라, 제1 RU(510)와 제2 RU(520)간의 커버리지(coverage)가 달라질 수 있다. 단말(501)의 위치에 따라, 각 RU(510, 520)로부터 수신하는 신호의 세기가 달라질 수 있다.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단말(501), 제1 RU(510) 및 제2 RU(520)과 통신을 제어 및 스케줄링하는 DU가 존재할 수 있다.
Case 1의 경우, 단말(501)은 제1 RU(510)의 셀 커버리지 안에는 위치하나, 제2 RU(520)의 셀 커버리지에는 미치지 못하는 경우이다. Case 2의 경우 단말(501)은 제1 RU(510) 및 제2 RU(520) 모두의 셀 커버리지에 위치하는 경우이다. Case 2의 경우, 제1 RU(510)로부터 수신한 신호는 제2 RU(520)로부터 수신한 신호보다 상대적으로 강중전계이다. Case 3의 경우 단말(501)은 제1 RU(510) 및 제2 RU(520) 모두의 셀 커버리지에 위치하는 경우이다. Case 3의 경우, 제2 RU(520)로부터 수신한 신호는 강전계이고, 제1 RU(510)로부터 수신한 신호는 약전계이다. Case 4의 경우, 단말(501)은 제2 RU(520)의 셀 커버리지 안에는 위치하나, 제1 RU(510)의 셀 커버리지에는 미치지 못하는 경우이다.
제1 RU는 NR 주파수 대역에 포함되는 주파수 자원을 이용하는 RU(radio unit)일 수 있다. 제2 RU는 LTE 주파수 대역에 포함되는 주파수 자원을 이용하는 RU일 수 있다. NR 주파수 대역은 LTE 주파수 대역보다 높은 주파수 대역을 갖는다. 이로 인하여, 송/수신할 수 있는 자원의 크기 및 속도가 향상되지만, 높은 주파수의 특성 상 낮은 커버리지의 문제를 갖게 된다.
단말 및 기지국은 넓은 주파수 대역폭을 이용하여 통신할 경우, 빠르고 효율적인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넓은 주파수 대역폭의 사용을 위하여, 반송파 묶음(carrier aggregation, CA)이 고안되었다. 반송파 묶음이란 단말이 높은 처리율(throughput)을 갖기 위하여, 서로 다른 주파수 대역을 묶어서 동시에 사용하는 것이다. CA를 통해 단말은 하나의 주파수 자원을 이용하는 경우보다 더 넓은 주파수 대역폭을 사용할 수 있다. CA를 이용하여 통신함에 있어, 단말은 복수의 주파수 자원을 함께 이용하므로, 복수개의 셀과 통신하게 된다. 복수개의 셀 중 하나를 PCell(primary cell), 다른 셀을 SCell(secondary cell)이라고 한다.
종래 분리되어 제공되고 있던 LTE 주파수 자원과 NR 주파수자원은 현재 동적 스펙트럼 공유(dynamic spectrum sharing, DSS)기술을 통하여 함께 제공될 수 있다. 동적 스펙트럼 공유 기술이란, 동일한 주파수 대역에서 4G LTE와 5G NR을 모두 배치할 수 있는 기술이며,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스펙트럼 자원을 동적으로 할당할 수 있다. 예를 들어, DSS가 없다면, 20MHz의 중간 대역 스펙트럼을 가진 운영자가 해당 스펙트럼을 두개로 분할해야 한다. 다시 말해, 그들은 4MHz LTE에 10MHz 스펙트럼을 할당하고, 모든 LTE 사용자를 10MHz 스펙트럼에 포함시켜야 한다. 이에 따라 나머지 10MHz의 AWS(advanced wireless services) 스펙트럼을 5G에 사용할 수 있다. DSS를 사용하면, 운영자는 중간 대역 스펙트럼을 분할하거나, 4G LTE 또는 5G 전용 스펙트럼을 가질 필요가 없다. 대신 두 기술간에 20MHz의 스펙트럼을 공유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단말 및 기지국은 제1 RU가 이용하는 NR 주파수 대역의 제1 주파수와 제2 RU가 이용하는 LTE 주파수 대역의 제2 주파수를 동적 스펙트럼 공유 기술을 통하여 함께 운영할 수 있다.
도 6a 내지 6d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단말, 제1 RU 및 제2 RU 간의 통신 시스템을 도시한다. 도 6a 내지 6d는 단말(601)과 제1 RU(610) 및 제2 RU(620)를 도시한다. 단말(601)은 하나로 제한되지 않으며, 복수의 단말들일 수 있다. 제1 RU(610)는 제1 주파수를 이용하여 통신하는 RU(radio unit)일 수 있다. 제2 RU(620)는 제2 주파수를 이용하여 통신하는 RU일 수 있다. 제1 주파수는 NR 주파수 대역에 포함되는 주파수일 수 있다. 제2 주파수는 LTE 주파수 대역에 포함되는 주파수일 수 있다. NR 주파수자원과 LTE 주파수 자원의 특성 상, 제1 주파수는 제2 주파수보다 상대적으로 높다는 특징을 갖는다.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단말(601), 제1 RU(610) 및 제2 RU(620)의 통신을 제어하는 DU(digital unit)가 존재할 수 있다. DU는 단말(601)이 어떤 RU를 통해 통신할지를 스케줄링 할 수 있다.
단말(601)은 제1 주파수를 사용하여 제1 RU(610)과 상향링크 신호 및 하향링크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또한 단말(601)은 제2 주파수를 사용하여 제2 RU(620)과 상향링크 신호 및 하향링크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단말(601)은 제1 RU(610) 및 제2 RU(620)과 통신을 함에 있어, 반송파 묶음(carrier aggregation, CA)을 이용하여 통신할 수 있다. 단말(601)은 제1 RU(610)을 PCell로, 제2 RU(620)을 SCell로 구성하여 통신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단말(601)은 제2 RU(620)을 PCell로, 제1 RU(610)을 SCell로하여 통신할 수 있다.
도 6a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단말, 제1 RU 및 제2 RU 간의 통신의 예를 도시한다. 도 6a에 따르면 단말(601)은 제1 RU(610)을 PCell로 구성하여 제1 RU(610)과 상향링크 신호 및 하향링크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또는 단말(601)은 CA를 구성하지 않고 제1 RU(610)과 상향링크 신호 및 하향링크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단말(601)은 제2 RU(620)과는 상향링크 신호 및 하향링크 신호를 송/수신하지 않을 수 있다.
도 6b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단말, 제1 RU 및 제2 RU 간의 통신의 다른 예를 도시한다. 단말(601)은 제1 RU(610)을 PCell로, 제2 RU(620)을 SCell로 구성하여 통신할 수 있다. 상기 구성에 따라 통신함에 있어서, 단말(601)은 제1 RU(610) 및 제2 RU(620)으로부터 하향링크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단말(601)은 상향링크 신호를 송신함에 있어서, 제1 RU(610) 및 제2 RU(620) 모두에 상향링크 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다시 말해, 단말(601)은 PCell 및 SCell 모두를 운영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단말(601)은 제2 RU(620)에만 상향링크 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다시 말해, 단말(601)은 SCell을 통해서 DU에 상향링크 신호를 송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6c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단말, 제1 RU 및 제2 RU 간의 통신의 또 다른 예를 도시한다. 단말(601)은 도 6b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제1 RU(610)을 PCell로, 제2 RU(620)을 SCell로 구성하여 통신할 수 있다. 상기 구성에 따라 통신을 수행하다가, DU의 결정에 따라, 단말(601)은 핸드오버를 수행할 수 있다(611). 단말(601)은 핸드오버(611)를 수행하여, 제2 RU(620)을 PCell로, 제1 RU(610)을 SCell로 구성할 수 있다. 핸드오버를 수행한 이후, 단말(601)은 제1 RU(610) 및 제2 RU(620) 모두로부터 하향링크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핸드오버를 수행한 이후, 단말(601)은 상향링크 신호를 송신함에 있어서, 제2 RU(620) 및 제1 RU(610) 모두에 상향링크 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다시 말해, 단말(601)은 PCell과 SCell을 모두 운영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핸드오버를 수행한 이후, 단말(601)은 제2 RU(620)을 통해서 DU에게 상향링크 신호를 송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6d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단말, 제1 RU 및 제2 RU간의 통신의 또 다른 예를 도시한다. 도 6d에 따르면 단말(601)은 제2 RU(620)을 PCell로 구성하여 제2 RU(620)과 상향링크 신호 및 하향링크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또는 단말(601)은 CA를 구성하지 않고, 제2 RU(620)과 상향링크 신호 및 하향링크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단말(601)은 제1 RU(610)과는 상향링크 신호 및 하향링크 신호를 송/수신하지 않을 수 있다.
도 7은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제1 RU 및 제2 RU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 환경에서 단말이 이동하는 상황의 예를 도시한다.
제1 RU(710)은 제1 주파수를 이용하여 통신하는 RU일 수 있다. 제2 RU(720)은 제2 주파수를 이용하여 통신하는 RU일 수 있다. 제1 주파수는 NR 주파수 대역에 포함되는 주파수일 수 있다. 제2 주파수는 LTE 주파수 대역에 포함되는 주파수일 수 있다. 제1 주파수는 제2 주파수보다 상대적으로 더 높은 특징을 갖는다. 제1 RU(710)과 제2 RU(720)은 서로 상이한 주파수를 사용하므로, 서로 다른 셀 커버리지를 가질 수 있다. 단말이 제1 RU(710)과 제2 RU(720)의 셀 커버리지 안에 각각 위치하는지 여부에 따라, 단말(701-1 내지 701-4) 및 Case 1 내지 4로 구분될 수 있다.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제1 RU(710)와 제2 RU(720), 단말(701-1 내지 701-4)통신을 스케줄링하는 DU가 존재할 수 있다.
Case 1의 경우, DU는 단말(701-1)은 CA를 구성하지 않도록 스케줄링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DU는 단말(701-1)이 제1 주파수를 이용하여 제1 RU(710)과 상향링크 신호 및 하향링크 신호를 송/수신하도록 스케줄링 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를 들어, DU는 단말(701-1)이 제1 RU(710)을 PCell로 구성하여 제1 RU(710)과 상향링크 신호 및 하향링크 신호를 송/수신하도록 스케줄링 할 수 있다. 이 경우, 단말(701-1)은 제2 RU(720)과는 상향링크 신호 및 하향링크 신호를 송/수신하지 아니할 수 있다.
Case 2의 경우, DU는 단말(701-2)이 제1 RU(710)을 PCell로, 제2 RU(720)을 SCell로 구성하여 통신하도록 스케줄링 할 수 있다. 상기 구성에 따라 통신함에 있어서, 단말(701-2)은 DU로부터 제1 RU(710) 및 제2 RU(720)를 통하여 하향링크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단말(701-2)은 상향링크 신호를 송신함에 있어서, 제1 RU(710) 및 제2 RU(720) 모두를 통하여 상향링크 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다시 말해, 단말(701-2)은 DU에 의하여 PCell 및 SCell 모두를 운영하도록 스케줄링 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DU는 단말(701-2)이 제2 RU(720)에만 상향링크 신호를 송신하도록 스케줄링 할 수 있다. 다시 말해, DU는 단말(701-2)이 SCell을 운영하도록 스케줄링 할 수있다.
Case 3의 경우, 단말(701-3)은 case 2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제1 RU(710)이 PCell로, 제2 RU(720)을 SCell이 구성되어 DU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이후, DU의 결정에 따라 단말(701-3)은 핸드오버를 수행할 수 있다. 단말(701-3)은 DU의 상기 핸드오버 결정에 따라, 제2 RU(720)을 PCell로, 제1 RU(710)을 SCell로 핸드오버할 수 있다. 핸드오버를 수행한 이후, 단말(701-3)은 제1 RU(710) 및 제2 RU(720) 모두로부터 하향링크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핸드오버를 수행한 이후, 단말(701-3)은 상향링크 신호를 송신함에 있어서, 제2 RU(720) 및 제1 RU(710) 모두를 통하여 DU에 상향링크 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다시 말해, 단말(701-3)은 DU에 의하여 PCell과 SCell을 모두 운영하도록 스케줄링 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DU는 단말(701-3)이 핸드오버를 수행하지 않도록 결정할 수 있다. 단말 (701-3)이 핸드 오버를 수행하지 않도록 결정 경우, 단말(701-3)은 제2 RU(720)에게만 상향링크 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다시 말해, 단말 (701-3)은 DU에 의하여 SCell만을 운영하도록 스케줄링 될 수 있다.
Case 4의 경우, DU는 단말(701-4)이 CA를 구성하지 않고, 제2 주파수를 이용하여 제2 RU(720)과 상향링크 신호 및 하향링크 신호를 송/수신하도록 스케줄링 할 수 있다. 이 경우, 단말(701-4)에 제2 RU(720)이 PCell로 구성되어, 단말(701-4)는 제1 RU(720)를 통하여 DU와 상향링크 신호 및 하향링크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도 8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단말의 위치 변화에 따른 데이터 처리량 변화의 예를 도시한다. 다시 말해, 도 8은 제2 RU로부터의 기준 신호에 대한 RSRP(reference signal received power)가 증가함에 따른 단말의 제1 RU를 이용한 데이터 처리량을 도시한다.
제1 RU는 제1 주파수를 이용하여 통신하는 RU(radio unit)일 수 있다. 제2 RU는 제2 주파수를 이용하여 통신하는 RU일 수 있다. 제1 주파수는 NR 주파수 대역에 포함되는 주파수일 수 있다. 제2 주파수는 LTE 주파수 대역에 포함되는 주파수일 수 있다. NR 주파수자원과 LTE 주파수 자원의 특성 상, 제1 주파수는 제2 주파수보다 상대적으로 높다는 특징을 갖는다.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제1 RU, 제2 RU 및 단말간의 통신을 스케줄링하는 DU가 존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단말은 제1 RU의 커버리지 내에 위치하다가, 제2 RU의 커버리지 안으로 이동할 수 있다. 단말의 위치 변화에 따라 제1 RU로부터의 신호의 세기는 감소하고, 제2 RU로부터의 신호의 세기가 강해질 수 있다. 다시 말해, 단말이 제1 RU로부터 멀어지고, 제2 RU에 가깝게 이동함에 따라, 제2 RU로부터의 RSRP가 증가할 수 있다. 제2 RU로부터의 RSRP가 증가함에 따라, 단말의 전계는 제1 RU에 대하여, 강전계에서 약전계로 변화한다. 단말의 전계 변화에 따라, 단말의 CA 구성 및 운영 방식 Case 1 내지 Case 4로 구분될 수 있다.
DU(digital unit)은 제2 RU 및 제1 RU에 대한 단말의 측정 보고(measurement report, MR)를 수신하여, 단말에 CA 구성 여부를 지시할 수 있다. Case 1의 경우는 DU(digital unit)가 제2 RU로부터의 측정 보고를 수신하지 않은 경우이다. Case 1의 경우, DU는 단말이 CA를 구성하지 않고, 제1 RU를 통해 상향링크 신호를 송신하도록 스케줄링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단말은 제2 RU를 이용하지 않고 제1 RU를 이용하여 DU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단말은 제1 RU를 통하여 DU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Case 2의 경우는 DU가 단말로부터 제2 RU에 대한 측정보고를 수신한 경우이다. 이 경우, DU는 단말에 제1 RU를 PCell로, 제2 RU를 SCell로 CA를 구성하도록 스케줄링 할 수 있다. DU는 단말의 상향링크 신호 송신에 있어 단말이 PCell과 SCell 모두를 운영하도록 스케줄링 할 수 있다. 다시 말해, DU는 단말이 제1 RU 및 제2 RU 모두를 통하여 상향링크 신호를 송신하도록 스케줄링 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DU는 단말이 PCell은 운영하지 않고, SCell만을 운영하도록 스케줄링 할 수 있다. 다시 말해, DU는 단말이 제2 RU를 통해서 DU에 상향링크 신호를 송신하도록 스케줄링 할 수 있다.
Case 3의 경우, DU는 단말이 제2 RU을 PCell로, 제1 RU을 SCell로 구성하도록 스케줄링 할 수 있다. DU는 단말의 PCell과 SCell간의 핸드오버를 결정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단말은 제2 RU를 PCell로, 제1 RU를 SCell로 구성할 수 있다. DU가 단말의 핸드오버를 결정한 이후, DU는 단말이 PCell 및 SCell 모두를 운영하도록 스케줄링 할 수 있다. 다시 말해, DU는 단말이 제1 RU 및 제2 RU 모두를 통하여 DU에 상향링크 신호를 송신하도록 스케줄링 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DU가 단말의 핸드오버를 결정한 이후에, 단말이 PCell만을 운영하도록 지시할 수 있다. 다시 말해, DU는 단말이 제2 RU에만 상향링크 신호를 송신하도록 스케줄링 할 수 있다.
Case 4의 경우는, 단말이 제1 RU 관련하여 최소한의 전송 블록 사이즈(transport block size, TBS)도 제공할 수 없는 경우이다. DU는 단말이 CA를 구성하지 않고, 제2 RU를 통해 상향링크 신호를 송신하도록 스케줄링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단말은 제1 RU를 이용하지 않고 제2 RU를 이용하여 DU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단말은 제2 RU를 통하여 DU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단말은 제2 RU의 커버리지 내에 위치하다가, 제1 RU의 커버리지 안으로 이동할 수 있다. 단말의 위치 변화에 따라, 제2 RU로부터의 기준 신호의 세기는 감소하고, 제1 RU로부터의 기준 신호의 세기가 강해질 수 있다. 다시 말해, 단말이 제2 RU로부터 멀어지고, 제1 RU에 가깝게 이동함에 따라, 제1 RU로부터의 RSRP가 증가할 수 있다. 제1 RU로부터의 RSRP가 증가함에 따라, 단말의 전계는 제2 RU에 대하여 강전계에서 약전계로 변화한다. 단말의 전계 변화에 따라, 단말의 CA 구성 및 운영 방식이 Case 1 내지 4에 상응하도록 구분될 수 있다.
도 9a 및 도 9b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CA(carrier aggregation)를 구성하기 위한 DU의 동작을 도시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개시하는 제1 RU는 제1 주파수를 이용하여 통신하는 RU(radio unit)일 수 있다. 제2 RU는 제2 주파수를 이용하여 통신하는 RU일 수 있다. 제1 주파수는 NR 주파수 대역에 포함되는 주파수일 수 있다. 제2 주파수는 LTE 주파수 대역에 포함되는 주파수일 수 있다. NR 주파수자원과 LTE 주파수 자원의 특성 상, 제1 주파수는 제2 주파수보다 상대적으로 높다는 특징을 갖는다.
단말은 현재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빙 셀(serving cell)에 대한 품질 및 인접 셀에 대한 품질을 지속적으로 측정하여 이를 DU에 보고한다. 단말은 측정 보고(measurement report, MR)를 DU에 보고하고, DU는 단말에게 최적의 통신을 제공하기 위하여, CA 구성, 핸드오버 등을 단말에 스케줄링 할 수 있다. 단말은 DU로부터 측정 설정 정보(measurement configuration)를 먼저 수신할 수 있고, 단말은 상기 측정 설정 정보를 기반으로 측정을 수행하여, 측정 결과를 기지국에 보고할 수 있다. DU는 단말로부터 단말이 현재 통신하고 있는 기지국 이외에 다른 기지국으로부터의 측정 보고를 수신할 경우, 단말이 현재 통신하고 있는 RU의 주파수 자원 이외에 다른 RU의 주파수 자원을 함께 이용하도록 단말을 스케줄링 할 수 있다. 단말이 현재 통신하고 있는 기지국 이외에 다른 기지국으로부터의 측정 보고를 수신하지 않는 경우, 다른 기지국의 주파수 자원을 이용하기 어렵기 때문에, 단말의 현재 상태를 유지하도록 단말을 스케줄링 할 수 있다.
도 9a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DU가 제1 RU(radio unit)를 통하여 DU와 통신하는 단말을 스케줄링하는 과정을 도시한다.
단계 901a에서, DU는 상기 단말로부터 제2 주파수의 측정 보고(measurement report, MR)를 수신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DU가 단말로부터 제2 주파수의 측정 보고를 수신한 경우, DU는 단계 903a를 수행할 수 있다. DU가 단말로부터 제2 주파수의 측정 보고를 수신하지 못한 경우, DU는 현재 단말의 CA 구성을 유지할 수 있다.
단계 903a에서, DU는 단말에 CA를 구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DU는 단말이 제1 RU를 PCell로, 제2 RU를 SCell로 구성하도록 스케줄링 할 수 있다. DU는 단말이 PCell과 SCell 모두를 운영하도록 스케줄링 할 수 있다. DU는 단말이 제1 RU와 제2 RU 모두를 통하여 DU에 상향링크 신호를 송신하도록 스케줄링 할 수 있다.
DU가 상기 단말로부터 제2 주파수의 측정 보고를 수신하지 못한 경우, DU는 단말이 CA를 구성하지 않고, 제1 RU를 통해 상향링크 신호를 송신하도록 스케줄링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단말은 제1 RU를 통하여 DU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단말은 제2 RU를 이용하지 않고 제1 RU를 이용하여 DU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도 9b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DU가 제2 RU과 통신하는 단말을 스케줄링하는 과정을 도시한다.
단계 901b에서, DU는 단말로부터 제1 주파수의 측정 보고(MR)를 수신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DU가 단말로부터 제1 주파수의 측정 보고를 수신한 경우, DU는 단계 903b를 수행할 수 있다. DU가 단말로부터 제1 주파수의 측정 보고를 수신하지 못한 경우, DU는 현재 단말의 CA 구성을 유지할 수 있다.
단계 903b에서, DU는 단말에 CA를 구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DU는 단말이 제2 RU을 PCell로, 제1 RU을 SCell로하여 CA를 구성하도록 스케줄링할 수 있다. DU는 단말이 PCell과 SCell 모두를 운영하도록 스케줄링 할 수 있다. DU는 단말이 제1 RU와 제2 RU 모두를 통하여 DU에 상향링크 신호를 송신하도록 스케줄링 할 수 있다.
DU가 상기 단말로부터 제2 주파수의 측정 보고를 수신하지 못한 경우, DU는 단말의 현재 상태를 유지하도록 스케줄링 할 수 있다. DU는 단말이 CA를 구성하지 않고, 제2 RU를 통해 상향링크 신호를 송신하도록 스케줄링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단말은 제2 RU를 통하여 DU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단말은 제1 RU를 이용하지 않고 제2 RU를 이용하여 DU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도 10은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CA 구성 및 CA 운영 방식을 스케줄링하기 위한 DU의 동작을 도시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개시하는 제1 RU는 제1 주파수를 이용하여 통신하는 RU(radio unit)일 수 있다. 제2 RU는 제2 주파수를 이용하여 통신하는 RU일 수 있다. 제1 주파수는 NR 주파수 대역에 포함되는 주파수일 수 있다. 제2 주파수는 LTE 주파수 대역에 포함되는 주파수일 수 있다. NR 주파수 자원과 LTE 주파수 자원의 특성 상, 제1 주파수는 제2 주파수보다 상대적으로 높다는 특징을 갖는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계 1001에서, DU는 단말의 CA 구성을 식별한다. DU가 단말의 CA 구성을 식별한 후, 단계 1003에서 DU는 단말의 PCell을 통한 통신의 처리율 저하를 판단한다. PCell을 통한 통신의 처리율이 저하된 것으로 판단된 경우, 단계 1005에서, DU는 단말의 PCell을 통한 통신의 처리율 저하가 지속적인 것인지 여부를 판단한다. 단계 1003에서, PCell을 통한 통신의 처리율이 저하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한 경우, DU는 단말의 현재 CA 구성 및 운영 방식을 유지할 수 있다. 단계 1005에서 PCell을 통한 통신의 처리율 저하가 지속적인 것이라고 판단한 경우, DU는 단말의 CA 구성 또는 CA 운영 방식을 변경할 수 있다. 단계 1005에서, PCell을 통한 통신의 처리율 저하가 지속적이지 않다고 판단한 경우, DU는 단말의 현재 CA 구성 및 운영 방식을 유지할 수 있다.
단계 1001에서, 단말의 CA 구성은 단말이 CA를 구성하거나, CA를 구성하지 않는 경우일 수 있다.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르면, 단말이 CA를 구성하는 경우는 제1 RU를 PCell로, 제2 RU를 SCell로 구성하는 경우일 수 있다. 본 개시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단말이 CA를 구성하는 경우는 제2 RU를 PCell로, 제1 RU를 SCell로 구성하는 경우일 수 있다. 본 개시의 또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단말이 CA를 구성하지 않는 경우는 단말이 제2 RU를 이용하지 않고 제1 RU를 통하여 DU와 통신하고 있는 경우일 수 있다. 본 개시의 또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단말이 CA를 구성하지 않는 경우는 단말이 제1 RU를 이용하지 않고 제2 RU를 통해서 DU와 통신하고 있는 경우일 수 있다. 상술한 도 9a 및 도 9b의 과정에 따라, 상기 단말의 CA 구성 여부가 DU에 의하여 결정될 수 있다.
단계 1003에서, 단말이 CA를 구성하는 경우, DU는 단말의 PCell을 통한 통신의 처리율 저하를 식별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르면, DU는 단말의 PCell이 제1 RU인 경우, 단말의 제1 RU를 통한 통신의 처리율 저하를 식별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DU는 단말의 PCell이 제2 RU인 경우, 단말의 제2 RU를 통한 통신의 처리율 저하를 식별할 수 있다. 단말의 PCell을 통한 처리율이 저하되었는지 여부는 현재 전송 블록의 크기(transport block size, TBS)를 이용하여 식별할 수 있다. 현재 전송 블록의 크기는 PCell의 MCS(modulation and coding scheme), PHR(power headroom report)에 기반하여 식별될 수 있다.
단계 1003에서, 단말의 PCell을 통한 통신의 처리율 저하가 식별되지 않은 경우, DU는 단말의 현재 CA 구성 및 CA 운영 방식을 유지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르면, 제1 RU가 PCell로, 제2 RU가 SCell로 구성된 단말에 대하여, DU는 PCell 및 SCell 모두를 통하여 DU와 통신하도록 스케줄링 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제2 RU가 PCell로, 제1 RU가 SCell로 구성된 단말에 대하여, DU는 PCell 및 SCell 모두를 통하여 DU와 통신하도록 스케줄링 할 수 있다.
단말의 PCell을 통한 통신의 처리율 저하가 식별된 경우, 단계 1005에서, DU는 상기 단말의 PCell을 통한 통신의 처리율 저하가 지속적인 것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채널 환경에 따라 일시적으로 단말의 PCell을 통한 통신의 처리율이 저하되는 경우가 있을 수 있다. 단계 1005를 통하여 단말의 PCell을 통한 통신의 처리율 저하가 일시적인 것이 아닌 지속적인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에만 DU가 단말의 CA 구성 및 CA 운영 방식을 변경할 수 있게 된다.
단계 1005에서, 단말의 처리율 저하가 지속적이라고 판단한 경우, 단계 1007에서 DU는 단말의 현재 CA 구성 또는 운영 방식을 변경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르면, 단말의 처리율 저하가 지속적인 것이라고 판단한 경우, DU는 PCell과 SCell간의 핸드오버를 스케줄링할 수 있다. 예를 들어, DU는 제1 RU를 PCell로, 제2 RU를 SCell로 구성하고 있는 단말에 대하여, 제2 RU를 PCell로, 제1 RU를 SCell로 핸드오버 하도록 스케줄링 할 수 있다. 다른 예로, DU는 제2 RU를 PCell로, 제1 RU를 SCell로 구성하고 있는 단말에 대하여, 제1 RU를 PCell로, 제2 RU를 SCell로 핸드오버 하도록 스케줄링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단말의 처리율 저하가 지속적인 것이라고 판단한 경우, DU는 단말이 SCell만을 운영하도록 스케줄링할 수 있다. 예를 들어, DU는 제1 RU를 PCell로, 제2 RU를 SCell로 구성하고 있는 단말에 대하여 제2 RU만을 통하여 DU와 통신하도록 스케줄링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DU는 제2 RU를 PCell로, 제1 RU를 SCell로 구성하고 있는 단말에 대하여, 제1 RU만을 통하여 DU와 통신하도록 스케줄링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단말의 처리율 저하가 지속적인 것으로 판단한 경우, DU는 단말의 CA 구성을 해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DU는 단말이 제1 RU만을 통하여 통신하도록 스케줄링 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DU는 단말이 제2 RU만을 통해 통신하도록 스케줄링 할 수 있다.
단계 1005에서, 단말의 처리율 저하가 지속적인 것이 아니라고 판단된 경우, DU는 단말의 현재 CA 구성 및 CA 운영 방식을 유지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르면, 제1 RU가 PCell로, 제2 RU가 SCell로 구성된 단말에 대하여, DU는 PCell 및 SCell 모두를 통하여 DU와 통신하도록 스케줄링 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제2 RU가 PCell로, 제1 RU가 SCell로 구성된 단말에 대하여, DU는 PCell 및 SCell 모두를 통하여 DU와 통신하도록 스케줄링 할 수 있다.
도 11은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CA 구성 및 CA 운영 방식을 스케줄링하기 위한 DU의 동작을 도시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개시하는 제1 RU는 제1 주파수를 이용하여 통신하는 RU(radio unit)일 수 있다. 제2 RU는 제2 주파수를 이용하여 통신하는 RU일 수 있다. 제1 주파수는 NR 주파수 대역에 포함되는 주파수일 수 있다. 제2 주파수는 LTE 주파수 대역에 포함되는 주파수일 수 있다. NR 주파수자원과 LTE 주파수 자원의 특성 상, 제1 주파수는 제2 주파수보다 상대적으로 높다는 특징을 갖는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계 1101에서, DU는 단말의 CA 구성을 식별한다.
DU가 단말의 CA 구성을 식별한 후, 단계 1103에서 DU는 현재 전송 블록의 크기(Current TBS)가 ThresholdCA보다 작은지 여부를 판단한다. 단계 1103에서, 현재 전송 블록의 크기(Current TBS)가 ThresholdCA 값 이상이라고 판단한 경우 DU는 단계 1109에서 ConsecutiveCntCA 값을 0으로 설정한 후, 현재 단말의 CA 구성 또는 CA 운영방식을 유지한다. 단계 1103에서, 현재 전송 블록의 크기(Current TBS)가 ThresholdCA보다 작다고 판단한 경우, 단계 1105-1에서, DU는 단말의 ConsecutiveCntCA 값을 1만큼 증가시킨다. 단계 1105-2에서, DU는 단말의 ConsecutiveCntCA값이 CntThresholdCA값 보다 큰지 여부를 판단한다. 단계 1105-2에서 단말의 ConsecutiveCntCA값이 CntThresholdCA 값 이하라고 판단한 경우, DU는 현재 단말의 CA 구성 또는 CA 운영 방식을 유지할 수 있다. 단계 1105-2에서, 단말의 ConsecutiveCntCA값이 CntThresholdCA 값 보다 크다고 판단한 경우, 단계 1107에서, DU는 현재 단말의 CA 구성 또는 CA 운영 방식을 변경할 수 있다.
단계 1101에서, 단말의 CA 구성은 단말이 CA를 구성하거나, CA를 구성하지 않는 경우일 수 있다.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르면, 단말이 CA를 구성하는 경우는 제1 RU를 PCell로, 제2 RU를 SCell로 구성하는 경우일 수 있다. 본 개시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단말이 CA를 구성하는 경우는 제2 RU를 PCell로, 제1 RU를 SCell로 구성하는 경우일 수 있다. 본 개시의 또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단말이 CA를 구성하지 않는 경우는 단말이 제2 RU를 이용하지 않고 제1 RU를 통하여 DU와 통신하고 있는 경우일 수 있다. 본 개시의 또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단말이 CA를 구성하지 않는 경우는 단말이 제1 RU를 이용하지 않고 제2 RU를 통해서 DU와 통신하고 있는 경우일 수 있다. 상술한 도 9a 및 도 9b의 과정에 따라, 상기 단말의 CA 구성 여부가 DU에 의하여 결정될 수 있다.
단계 1103에서, DU는 단말의 현재 전송 블록의 크기(Current TBS)가 ThresholdCA보다 작은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1103 단계를 통해, DU는 단말의 PCell을 통한 DU와의 통신의 처리율 저하를 식별할 수 있다. DU는 단말로부터 전력 헤드룸 보고(power headroom report, PHR)를 수신하는 경우마다 주기적으로 최대 지원가능한 전송 블록 크기(transport block size, TBS)를 계산할 수 있다. 전송 블록의 크기는 단말의 처리율(throughput)에 상응하는 것으로, PCell에 대한 단말의 전송 블록의 크기가 클수록 단말의 PCell에 대한 처리율이 좋음을 의미한다. 전송 블록의 크기는 PCell의 MCS, PHR에 기반하여 결정된다.
단계 1103에서, 현재 전송 블록의 크기(Current TBS)가 ThresholdCA 값 이상이라고 판단한 경우 DU는 단말의 PCell을 통한 처리율이 저하되지 않았다고 판단할 수 있다. DU는 단계 1109에서 ConsecutiveCntCA 값을 0으로 설정한 후, 현재 단말의 CA 구성 또는 CA 운영방식을 유지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르면, 제1 RU가 PCell로, 제2 RU가 SCell로 구성된 단말에 대하여, DU는 PCell 및 SCell 모두를 통하여 DU와 통신하도록 스케줄링 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제2 RU가 PCell로, 제1 RU가 SCell로 구성된 단말에 대하여, DU는 PCell 및 SCell 모두를 통하여 DU와 통신하도록 스케줄링 할 수 있다.
단계 1103에서, 현재 전송 블록의 크기(Current TBS)가 ThresholdCA 값 보다 작다고 판단한 경우, DU는 단말의 PCell을 통한 처리율이 저하되었다고 판단할 수 있다. DU는 단계 1105-1에서, ConsecutiveCntCA 값을 1만큼 증가시킬 수 있다. DU는 단계 1105-2에서, ConsecutiveCntCA 값이 CntThresholdCA 값 보다 큰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단계 1105-1 및 1105-2는 단말의 PCell을 통한 통신의 처리율의 저하가 지속적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과정일 수 있다. ConsecutiveCntCA값은 PCell을 통한 처리율 저하가 지속적인지 여부를 지시하는 값으로, Pcell을 통한 처리율 저하가 반복됨에 따라 증가하는 값에 해당한다. 단계 1105-1 및 단계 1105-2를 통하여 단말의 PCell을 통한 통신의 처리율 저하가 일시적인 것이 아닌 지속적인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에만 DU가 단말의 CA 구성 및 CA 운영 방식을 변경할 수 있게 된다.
단계 1105-2에서, ConsecutiveCntCA 값이 CntThresholdCA 값 이하라고 판단한 경우, DU는 현재 단말의 CA 구성 및 CA 운영 방식을 유지할 수 있다. CntThresholdCA값은 단말의 CA 구성 및 CA 운영 방식의 변경이 필요할 정도로 지속적임을 지시하는 값으로, 단말이나 DU에 의하여 미리 정해진 값일 수 있다.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르면, 제1 RU가 PCell로, 제2 RU가 SCell로 구성된 단말에 대하여, DU는 PCell 및 SCell 모두를 통하여 DU와 통신하도록 스케줄링 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제2 RU가 PCell로, 제1 RU가 SCell로 구성된 단말에 대하여, DU는 PCell 및 SCell 모두를 통하여 DU와 통신하도록 스케줄링 할 수 있다.
단계 1105-2에서, ConsecutiveCntCA 값이 CntThresholdCA 값 보다 작다고 판단한 경우, 단계 1107에서, DU는 현재 단말의 CA 구성 또는 CA 운영 방식을 변경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르면, 단계 1107에서, DU는 PCell과 SCell간의 핸드오버를 스케줄링할 수 있다. 예를 들어, DU는 제1 RU를 PCell로, 제2 RU를 SCell로 구성하고 있는 단말에 대하여, 제2 RU를 PCell로, 제1 RU를 SCell로 핸드오버 하도록 스케줄링 할 수 있다. 다른 예로, DU는 제2 RU를 PCell로, 제1 RU를 SCell로 구성하고 있는 단말에 대하여, 제1 RU를 PCell로, 제2 RU를 SCell로 핸드오버 하도록 스케줄링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단말의 처리율 저하가 지속적인 것이라고 판단한 경우, DU는 단말이 SCell만을 운영하도록 스케줄링할 수 있다. 예를 들어, DU는 제1 RU를 PCell로, 제2 RU를 SCell로 구성하고 있는 단말에 대하여 제2 RU만을 통하여 DU와 통신하도록 스케줄링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DU는 제2 RU를 PCell로, 제1 RU를 SCell로 구성하고 있는 단말에 대하여, 제1 RU만을 통하여 DU와 통신하도록 스케줄링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단말의 처리율 저하가 지속적인 것으로 판단한 경우, DU는 단말의 CA 구성을 해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DU는 단말이 제1 RU만을 통하여 통신하도록 스케줄링 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DU는 단말이 제2 RU만을 통해 통신하도록 스케줄링 할 수 있다.
도 12은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핸드 오버를 스케줄링하기 위한 DU의 동작을 도시한다.
DU는 단말의 PCell을 통한 통신이 원활하지 않을 경우, SCell을 통한 통신의 처리율을 판단하여, 단말에게 최적의 통신을 제공할 수 있도록 단말을 스케줄링할 필요가 있다.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계 1201에서, DU는 단말의 CA 구성 또는 운영 방식의 변경이 필요한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단계 1203에서 DU는 단말의 SCell을 통한 통신의 처리율 저하를 식별할 수 있다. 단계 1203에서 DU는 단말의 SCell을 통한 처리율 저하가 식별되지 않은 경우, 단계 1205에서, 단말의 PCell과 SCell간의 핸드오버가 필요한지 여부를 판단한다. 단계 1205에서 DU가 단말의 PCell과 SCell간의 핸드오버가 필요하다고 판단 경우, 단계 1207에서, DU는 단말의 PCell과 SCell간의 핸드오버를 지시할 수 있다. 단계 1205에서 DU가 단말의 PCell과 SCell간의 핸드오버가 필요하지 않다고 판단한 경우, 단계 1211에서, DU는 단말이 SCell을 통하여 DU와 통신하도록 스케줄링 할 수 있다. 단계 1203에서 DU가 단말의 SCell을 통한 통신의 처리율 저하를 식별한 경우, 단계 1209에서 DU는 단말의 CA를 유지할 필요가 있는지 여부를 결정한다. DU가 단계 1209에서 단말의 CA 구성을 유지할 필요가 있다고 결정한 경우, DU는 단말에 SCell을 통하여 DU와 통신하도록 스케줄링 할 수 있다. 단계 1209에서 DU가 단말의 CA를 유지할 필요가 없다고 결정한 경우, 단계 1213에서, DU는 단말의 CA 구성을 해제할 수 있다.
단계 1201에서, DU는 단말의 CA 구성 또는 운영 방식의 변경이 필요한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다시 말해, 현재 PCell을 통한 통신의 처리율이 충분한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단말의 CA 구성 또는 운영 방식의 변경이 필요한지 여부는 도 10 및 도 11에 상술한 바와 같이, 단말의 CA 구성 식별 과정(1001, 1101) 및 PCell을 통한 처리율 저하의 식별 과정(1003, 1103) 및 PCell을 통한 통신의 처리율 저하가 지속적인 것인지 여부의 판단 과정(1005, 1105-1, 1105-2)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단계 1201에서, DU는 현재 단말의 CA 구성 또는 운영 방식의 변경이 필요하다고 판단한 경우, DU는 단계 1203에서 단말의 SCell을 통한 통신의 처리율 저하를 식별한다.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르면, DU는 단말의 SCell이 제2 RU인 경우, 단말의 제2 RU를 통한 통신의 처리율 저하를 식별할 수 있다. 단말의 SCell이 제1 RU인 경우, DU는 단말의 제1 RU를 통한 통신의 처리율 저하를 식별할 수 있다. 단말의 SCell을 통한 처리율이 저하되었는지 여부는 SCell에 대한 현재 전송 블록의 크기(transport block size, TBS)를 이용하여 식별할 수 있다. 현재 전송 블록의 크기는 SCell의 MCS(modulation and coding scheme), PHR(power headroom report)에 기반하여 식별될 수 있다.
단계 1203에서 단말의 SCell을 통한 처리율 저하가 식별되지 않은 경우, 단계 1205에서 DU는 단말의 PCell과 SCell간의 핸드오버가 필요한지 판단할 수 있다. 단계 1205에서 DU가 단말의 PCell과 SCell간의 핸드오버가 필요하다고 판단한 경우, 단계 1207에서, DU는 단말의 PCell과 SCell간의 핸드오버를 지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DU는 제1 RU를 PCell로, 제2 RU를 SCell로 구성하고 있는 단말에 대하여, 제2 RU를 PCell로, 제1 RU를 SCell로 핸드오버 하도록 스케줄링 할 수 있다. 다른 예로, DU는 제2 RU를 PCell로, 제1 RU를 SCell로 구성하고 있는 단말에 대하여, 제1 RU를 PCell로, 제2 RU를 SCell로 핸드오버 하도록 스케줄링할 수 있다.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DU는 단말의 PCell과 SCell간의 핸드오버를 스케줄링한 후, 단말이 PCell과 SCell 모두를 운영하도록 스케줄링할 수 있다. DU는 단말이 제1 RU와 제2 RU를 모두를 통하여 통신하도록 스케줄링할 수 있다.
단계 1205에서 DU가 단말의 핸드오버가 필요하지 않다고 판단한 경우, DU는 단계 1211에서 단말이 SCell을 통하여 DU와 통신하도록 스케줄링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RU가 PCell로, 제2 RU가 SCell로 구성된 단말에 대하여, DU는 제2 RU를 통하여 DU와 통신하도록 스케줄링 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제2 RU가 PCell로, 제1 RU가 SCell로 구성된 단말에 대하여, DU는 제1 RU를 통하여 DU와 통신하도록 스케줄링 할 수 있다.
단계 1203에서, DU가 단말의 SCell을 통한 통신의 처리율이 저하되었다고 판단한 경우, DU는 단계 1209에서, 단말의 CA를 유지할 필요가 있는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단계 1209에서, DU가 단말의 CA를 유지할 필요가 있다고 결정한 경우, DU는 단말의 CA 구성을 해제하지 않고, 단계 1211에서 DU는 단말이 SCell을 통하여 DU와 통신하도록 스케줄링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RU가 PCell로, 제2 RU가 SCell로 구성된 단말에 대하여, 제2 RU를 통하여 DU와 통신하도록 스케줄링 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제2 RU가 PCell로, 제1 RU가 SCell로 구성된 단말에 대하여, 제1 RU를 통하여 DU와 통신하도록 스케줄링 할 수 있다.
단계 1209에서, DU가 단말의 CA 구성을 유지할 필요가 없다고 결정한 경우, 단계 1213에서 DU는 단말이 CA 구성을 해제하도록 스케줄링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DU는 제1 RU를 PCell로, 제2 RU를 SCell로 구성하고 있는 단말에 대하여, CA 구성을 해제하고, 제2 RU를 통하여 DU와 통신하도록 스케줄링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DU는 제2 RU를 PCell로, 제1 RU를 SCell로 구성하고 있는 단말에 대하여, CA 구성을 해제하고 제1 RU를 통하여 DU와 통신하도록 단말을 스케줄링 할 수 있다.
도 13은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핸드 오버를 스케줄링하기 위한 DU의 동작을 구체적으로 도시한다.
DU는 단말의 PCell을 통한 통신이 원활하지 않을 경우, SCell을 통한 통신의 처리율을 판단하여, 단말에게 최적의 통신을 제공할 수 있도록 단말을 스케줄링할 필요가 있다.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계 1301에서, DU는 단말의 CA 구성 또는 운영 방식의 변경이 필요한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단계 1303에서 DU는 단말의 현재 전송 블록의 크기(current TBS)가 ThresholdCAChange 값 보다 큰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단계 1303의 현재 전송 블록의 크기가 ThresholdCAChange 값 보다 큰지 여부를 판단하는 과정은 단말의 SCell을 통한 처리율이 저하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과정일 수 있다. 현재 전송 블록의 크기는 SCell의 MCS(modulation and coding scheme), PHR(power headroom report)에 기반하여 식별될 수 있다.
단계 1303에서 DU가 단말의 현재 전송 블록의 크기(current TBS)가 ThresholdCAChange 값 보다 크다고 판단한 경우, DU는 단계 1305-1에서 ConsecutiveCntCAChange 값을 1만큼 증가시킬 수 있다. 이후, 단계 1305-2에서, DU는 단말의 ConsecutiveCntCAChange 값이 CntThresholdCAChange 값 보다 큰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ConsecutiveCntCAChange 값이 CntThresholdCAChange 값 보다 큰 경우, 단계 1307에서, DU는 단말의 PCell과 SCell간의 핸드오버를 결정할 수 있다. ConsecutiveCntCAChange 값이 CntThresholdCAChange 값 이하인 경우, DU는 단계 1311에서, 단말이 SCell을 통하여 DU와 통신하도록 스케줄링 할 수 있다. 단계 1303에서, 단말의 현재 전송 블록의 크기(current TBS)가 ThresholdCAChange 값 이하라고 판단한 경우, 단계 1309에서 DU는 단말의 현재 전송 블록의 크기(current TBS)가 ThresholdCAOut 이상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단말의 현재 전송 블록의 크기(current TBS)가 ThresholdCAOut 이상인 경우, 단계 1311에서 DU는 단말이 SCell을 통하여 DU와 통신하도록 스케줄링 할 수 있다. 단말의 현재 전송 블록의 크기(current TBS)가 ThresholdCAOut 값 보다 작은 경우, 단계 1313에서 DU는 단말의 CA 구성을 해제할 수 있다.
단계 1301에서, DU는 단말의 CA 구성 또는 CA 운영 방식의 변경이 필요한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다시 말해, 현재 PCell을 통한 통신의 처리율이 충분한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단계 1301은 도 10 및 도 11에 상술한 바와 같이, 단말의 CA 구성 식별 단계(1001, 1101) 및 PCell을 통한 통신의 처리율 저하의 식별 과정(1003, 1103) 및 PCell을 통한 통신의 처리율 저하가 지속적인 것인지 여부의 판단 과정(1005, 1105-1, 1105-2)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단계 1301에서 DU가 현재 단말의 CA 구성 또는 운영 방식의 변경이 필요하다고 판단한 경우, DU는 단계 1303에서 현재 전송 블록의 크기(current TBS)가 ThresholdCAChange 값 보다 큰지 여부를 판단한다. 현재 전송 블록의 크기는 SCell의 MCS(modulation and coding scheme), PHR(power headroom report)에 기반하여 식별될 수 있다. 이후, 단계 1305-1에서, DU는 consecutiveCntCAChange 값을 1만큼 증가 시킬 수 있다. ConsecutiveCntCAChange 값은 현재 단말의 핸드오버가 필요한지 여부를 지시하는 값으로, 도 13에 도시된 과정이 반복됨에 따라 증가하는 값에 해당한다. ConsecutiveCntCAChange 값은 DU 또는 단말에 따라 미리 정해진 값일 수 있다.
1303 단계에서, Current TBS가 ThresholdCAChange 값 보다 크다고 판단한 경우, DU는 단계 1305-2에서 ConsecutiveCntCAChange 값이 CntThresholdCAChange 값 보다 큰지 여부를 판단한다. CntThresholdCAChange 값은 현재 단말의 처리율 저하가 핸드오버가 필요할 정도로 반복적임을 지시하는 임계 값에 해당한다. CntThresholdCAChange 값은 DU 또는 단말에 의하여 미리 정해진 값일 수 있다.
단계 1305-2에서 ConsecutiveCntCAChange 값이 CntThresholdCAChange 값 보다 크다고 판단한 경우, 단계 1307에서, DU는 단말의 PCell과 SCell간의 핸드오버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DU는 제1 RU가 PCell로, 제2 RU가 SCell로 구성된 단말에 대하여, 제2 RU를 PCell로, 제1 RU를 SCell로 핸드오버를 지시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DU는 제2 RU가 PCell로, 제1 RU가 SCell로 구성된 단말에 대하여, 제1 RU를 PCell로, 제2 RU를 SCell로 핸드오버를 지시할 수 있다.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핸드오버를 결정한 이후에, DU는 단말이 PCell과 SCell 모두를 운영하도록 스케줄링할 수 있다. 예를 들어, DU는 제1 RU와 제2 RU 모두를 통하여 DU와 통신하도록 단말을 스케줄링할 수 있다.
단계 1305-2에서 DU가 단말의 ConsecutiveCntCAChange 값이 CntThresholdCAChange 값 이하라고 판단한 경우, 단계 1311에서 DU는 단말이 SCell을 통하여 DU와 통신하도록 스케줄링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RU를 PCell로, 제2 RU를 SCell로 구성하고 있는 단말에 대하여, 제2 RU를 통하여 DU와 통신하도록 스케줄링 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제2 RU를 PCell로, 제1 RU를 SCell로 구성하고 있는 단말에 대하여, 제1 RU를 통하여 DU와 통신하도록 스케줄링 할 수 있다.
1303 단계에서, Current TBS가 ThresholdCAChange 값 이하라고 판단한 경우, 단계 1309에서 DU는 현재 전송 블록의 크기가 ThresholdCAOut 값 이상인지 여부를 판단한다. ThresholdCAOut 값은 CA 구성이 필요하지 않음을 지시하는 임계 값으로, DU나 단말에 의하여 미리 정해진 값일 수 있다. 1309 단계에서, 에서 DU는 현재 전송 블록의 크기가 ThresholdCAOut 값 이상이라고 판단한 경우, DU는 단말이 SCell을 통하여 DU와 통신하도록 스케줄링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RU를 PCell로, 제2 RU를 SCell로 구성하고 있는 단말에 대하여, 제2 RU를 통하여 DU와 통신하도록 스케줄링 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제2 RU를 PCell로, 제1 RU를 SCell로 구성하고 있는 단말에 대하여, 제1 RU를 통하여 DU와 통신하도록 스케줄링 할 수 있다.
1309 단계에서, DU는 현재 전송 블록의 크기가 ThresholdCAOut 값 보다 작다고 판단한 경우, DU는 단말의 CA 구성을 해제할 것을 지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DU는 단말의 CA 구성을 해제하고, 제1 RU를 통하여 DU와 통신하도록 스케줄링 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DU는 단말의 CA 구성을 해제하고, 제2 RU를 통하여 DU와 통신하도록 스케줄링 할 수 있다.
도 14는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른 DU가 단말의 VoNR 및 VoLTE를 스케줄링하는 과정을 도시한 것이다.
VoNR은 5G 음성통신 서비스로, 5G 데이터 망을 이용하는 전화 방식이다.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르면, NR 주파수 자원과 LTE 주파수 자원 모두를 이용하는 동적 스펙트럼 공유(dynamic spectrum sharing, DSS) 기술을 통해, VoNR(voice over new radio)과 VoLTE(voice over long term evolution)를 slot aggregation을 통하여 함께 이용할 수 있다. 이하에서 설명하는 제1 주파수는 NR 주파수 대역에 포함되는 주파수 자원일 수 있고, 제2 주파수는 LTE 주파수 대역에 포함되는 주파수 자원일 수 있다.
도 14에 따르면, 단계 1401에서, DU는 단말이 CA의 구성 및 운영 방식을 식별한다. 이후, 1403 단계에서, DU는 단말에 VoNR 베어러가 수립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1403 단계에서 VoNR 베어러가 수립되지 않았다고 판단한 경우, 1413 단계에서 DU는 NR 주파수 자원으로 데이터 베어러를 스케줄링할 수 있다. 1403 단계에서 단말에 VoNR 베어러가 수립되었다고 판단한 경우, 1405 단계에서 DU는 LTE 주파수 자원으로 VoNR 베어러를 스케줄링 할 수 있다. 1405 단계 이후, 1407 단계에서 DU는 단말의 VoLTE에 대한 BLER(block error rate) 값이 ThresholdBLER 값 보다 작은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BLER은 전송된 블록의 전체 수에서 올바르게 전송되지 않은 블록 수의 비율을 의미한다. BLER이 높을수록 제공되고 있는 VoLTE의 품질이 좋지 않음을 의미하며, ThresholdBLER값은 VoLTE를 제공할 수 있는 최대 BLER 값을 지시하는 값으로, 단말 또는 DU에 의하여 미리 정해진 값일 수 있다. BLER 값이 ThresholdBLER 값보다 작다고 판단한 경우, 1409 단계에서 DU는 슬롯 묶음(slot aggregation)을 사용하여 VoNR 및 VoLTE를 스케줄링 할 수 있다. VoLTE에 대한 BLER 값이 ThresholdBLER 값 이상이라고 판단한 경우, DU는 단말에 슬롯 묶음 없이, VoNR 베어러를 스케줄링 할 수 있다. 도 14에 도시된 DU의 동작을 통해, PCell과 SCell 모두를 운영하는 단말에 대하여, VoNR 베어러가 수립될 경우, LTE 주파수 자원을 통해서 커버리지를 확보하면서, VoNR에 대하여 안정적인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청구항 또는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들에 따른 방법들은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조합의 형태로 구현될(implemented) 수 있다.
소프트웨어로 구현하는 경우,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소프트웨어 모듈)을 저장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가 제공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에 저장되는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은, 전자 장치(device) 내의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 가능하도록 구성된다(configured for execution).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은, 전자 장치로 하여금 본 개시의 청구항 또는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들에 따른 방법들을 실행하게 하는 명령어(instructions)를 포함한다.
이러한 프로그램(소프트웨어 모듈, 소프트웨어)은 랜덤 액세스 메모리 (random access memory), 플래시(flash) 메모리를 포함하는 불휘발성(non-volatile) 메모리, 롬(read only memory, ROM), 전기적 삭제가능 프로그램가능 롬(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 only memory, EEPROM), 자기 디스크 저장 장치(magnetic disc storage device), 컴팩트 디스크 롬(compact disc-ROM, CD-ROM), 디지털 다목적 디스크(digital versatile discs, DVDs) 또는 다른 형태의 광학 저장 장치, 마그네틱 카세트(magnetic cassette)에 저장될 수 있다. 또는, 이들의 일부 또는 전부의 조합으로 구성된 메모리에 저장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구성 메모리는 다수 개 포함될 수도 있다.
또한, 프로그램은 인터넷(Internet), 인트라넷(Intranet), LAN(local area network), WAN(wide area network), 또는 SAN(storage area network)과 같은 통신 네트워크,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구성된 통신 네트워크를 통하여 접근(access)할 수 있는 부착 가능한(attachable) 저장 장치(storage device)에 저장될 수 있다. 이러한 저장 장치는 외부 포트를 통하여 본 개시의 실시 예를 수행하는 장치에 접속할 수 있다. 또한, 통신 네트워크상의 별도의 저장장치가 본 개시의 실시 예를 수행하는 장치에 접속할 수도 있다.
상술한 본 개시의 구체적인 실시 예들에서, 개시에 포함되는 구성 요소는 제시된 구체적인 실시 예에 따라 단수 또는 복수로 표현되었다. 그러나, 단수 또는 복수의 표현은 설명의 편의를 위해 제시한 상황에 적합하게 선택된 것으로서, 본 개시가 단수 또는 복수의 구성 요소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복수로 표현된 구성 요소라 하더라도 단수로 구성되거나, 단수로 표현된 구성 요소라 하더라도 복수로 구성될 수 있다.
한편 본 개시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개시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개시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Claims (14)

  1.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기지국(digital unit, DU)의 동작 방법에 있어서,
    단말의 CA(carrier aggregation)구성을 식별하는 과정,
    상기 단말의 PCell(primary cell)을 통한 통신의 처리율(throughput) 저하를 식별하는 과정,
    상기 단말의 상기 PCell을 통한 통신의 처리율 저하가
    지속적인 것인지 여부를 결정하는 과정과,
    상기 단말의 상기 CA 구성 또는 CA 운영 방식을 결정하는 과정을 포함하고,
    상기 PCell은 제1 주파수를 이용하는 RU(radio unit)이고,
    상기 단말의 PCell을 통한 통신의 처리율 저하를 식별하는 과정은 상기 단말의 전송 블록의 크기(transport block size, TBS)를 임계 값과 비교하여 결정되는 방법.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단말의 CA를 구성 식별 과정은, 제2 주파수의 측정 보고(measurement report, MR)의 수신에 따라 식별되는 방법.
  3. 청구항 1에 있어서, SCell을 통한 통신의 처리율 저하를 식별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고,
    상기 SCell은 제2 주파수를 이용하는 RU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단말의 상기 PCell과 상기 SCell의 핸드오버를 결정하는 과정;
    상기 단말에 상기 SCell을 운영하도록 스케줄링하는 과정;
    상기 단말이 상기 CA 구성을 해제하고, 상기 PCell을 통하여 상기 DU와 통신하도록 스케줄링하는 과정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방법.
  5.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단말의 CA 구성 및 상기 CA 운영 방식을 식별하는 과정,
    VoNR 베어러(bearer)를 스케줄링할지 여부를 결정하는 과정,
    VoLTE 베어러를 스케줄링할 지 여부를 결정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방법.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VoLTE 베어러를 스케줄링할지 여부를 결정하는 과정은, 상기 VoLTE에 대한 블록 오류율 (block error rate, BLER) 값에 기반하여 결정되는 방법.
  7.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VoNR 베어러와 상기 VoLTE을 슬롯 묶음(slot aggregation)을 통해 함께 스케줄링 하는 방법.
  8.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기지국(digital unit, DU) 장치에 있어서,
    송수신부;
    상기 송수신부와 동작 가능하게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단말의 CA(carrier aggregation)구성을 식별하고,
    상기 단말의 PCell(primary cell)을 통한 통신의 처리율(throughput) 저하를 식별하고,
    상기 단말의 상기 PCell을 통한 통신의 처리율 저하가 지속적인 것인지 여부를 결정하고,
    상기 단말의 상기 CA 구성 또는 CA 운영 방식을 결정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PCell은 제1 주파수를 이용하는 RU(radio unit)이고,
    상기 단말의 상기 PCell을 통한 통신의 처리율 저하는 전송 블록의 크기(transport block size, TBS)와 임계 값을 비교하여 식별되는 장치.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제2 주파수의 측정 보고(measurement report, MR)의 수신에 따라 상기 단말의 CA를 구성 식별하도록 구성되는 장치.
  10.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SCell을 통한 통신의 처리율 저하를 식별하도록 더 구성되고,
    상기 SCell은 제2 주파수를 이용하는 RU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단말에 상기 PCell과 상기 SCell간의 핸드오버를 결정하거나, 상기 단말에 상기 SCell을 운영하도록 스케줄링 하거나, 또는 상기 단말이 상기 CA 구성을 해제하고, 상기 PCell을 통하여 상기 DU와 통신하도록 스케줄링하도록 더 구성되는 장치.
  12.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단말의 CA 구성 및 상기 CA 운영 방식을 식별하고,
    VoNR 베어러(bearer)를 스케줄링할지 여부를 결정하고,
    VoLTE 베어러를 스케줄링할 지 여부를 결정하도록 더 구성되는 장치.
  13.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VoLTE에 대한 블록 오류율 (block error rate, BLER) 값에 기반하여 상기 VoLTE 베어러를 스케줄링할지 여부를 결정하도록 구성되는 장치.
  14.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VoNR 베어러와 상기 VoLTE을 슬롯 묶음(slot aggregation)을 통해 함께 스케줄링 하도록 구성되는 장치.
KR1020200048278A 2020-04-21 2020-04-21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대역폭 및 커버리지 확보를 위한 장치 및 방법 KR2021013002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48278A KR20210130022A (ko) 2020-04-21 2020-04-21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대역폭 및 커버리지 확보를 위한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48278A KR20210130022A (ko) 2020-04-21 2020-04-21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대역폭 및 커버리지 확보를 위한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30022A true KR20210130022A (ko) 2021-10-29

Family

ID=782315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48278A KR20210130022A (ko) 2020-04-21 2020-04-21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대역폭 및 커버리지 확보를 위한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10130022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4071914A1 (ko) * 2022-09-30 2024-04-04 단국대학교 산학협력단 초광대역 주파수 집성 전송 방법 및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4071914A1 (ko) * 2022-09-30 2024-04-04 단국대학교 산학협력단 초광대역 주파수 집성 전송 방법 및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535870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beam management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11800334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onfiguring and managing quality of service of radio bearer for direct communication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CN110546995B (zh) 用于无线通信系统中的负载均衡的设备和方法
CN111434175B (zh) 在无线通信系统中确定无线资源的装置和方法
CN110622430B (zh) 无线通信系统中用于传输数据的设备和方法
WO2018141272A1 (zh) 终端、网络设备和通信方法
US11252611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determining bandwidth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KR102421695B1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빔을 이용하여 신호를 송신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US20220217724A1 (en) Power level determination for transmission of reference signals
CN111436061B (zh) 用于在无线通信系统中配置回程链路的装置和方法
US20210091987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allocating guard band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11109287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measurement configuration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KR102389199B1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간섭 관리를 위한 장치 및 방법
US11444653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signals on multiple bands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20220393839A1 (en) Method and device for determining computing architecture and wireless communication protocol architecture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11089554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uplink transmission power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KR20210130022A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대역폭 및 커버리지 확보를 위한 장치 및 방법
US11395323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managing uplink control channels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CN110447291B (zh) 用于在无线通信系统中调度请求的方法和设备
US20230327798A1 (en) Link adaptation method and device for dynamic time division duplex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11968563B2 (en) Inter-system and event-triggered mobility load balancing
WO2023164823A1 (en) Inter-frequency measurement techniques
CN117581614A (zh) 用于侧链路通信的非优选资源的指示
KR20220135041A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이중 연결(dual connectivity, DC) 구조를 운용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