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89199B1 -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간섭 관리를 위한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간섭 관리를 위한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89199B1
KR102389199B1 KR1020170124404A KR20170124404A KR102389199B1 KR 102389199 B1 KR102389199 B1 KR 102389199B1 KR 1020170124404 A KR1020170124404 A KR 1020170124404A KR 20170124404 A KR20170124404 A KR 20170124404A KR 102389199 B1 KR102389199 B1 KR 10238919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se station
tdd configuration
transmission direction
interference
downlin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244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37582A (ko
Inventor
구티에레즈 에스테베즈 데이비드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US16/338,590 priority Critical patent/US10917223B2/en
Priority to PCT/KR2017/011013 priority patent/WO2018066945A1/en
Publication of KR201800375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3758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891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8919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14Two-way operation using the same type of signal, i.e. duplex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24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for communication between two or more posts
    • H04B7/26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for communication between two or more posts at least one of which is mobile
    • H04B7/2643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for communication between two or more posts at least one of which is mobile using time-division multiple access [TDM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20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7/00Monitoring; Testing
    • H04B17/30Monitoring; Testing of propagation channels
    • H04B17/309Measuring or estimating channel quality parameters
    • H04B17/345Interference valu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4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 H04B7/06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 H04B7/0686Hybrid systems, i.e. switching and simultaneous transmission
    • H04B7/0691Hybrid systems, i.e. switching and simultaneous transmission using subgroups of transmit antenna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3Arrangements for allocating sub-channels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58Allocation criteria
    • H04L5/0073Allocation arrangements that take into account other cell interferen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0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 H04W72/04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based on the type of the allocated resource
    • H04W72/0446Resources in time domain, e.g. slots or fram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20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 H04W72/27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between access poi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4/00Network topologies
    • H04W84/02Hierarchically pre-organised networks, e.g. paging networks, cellular networks, W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 or WLL [Wireless Local Loop]
    • H04W84/04Large scale networks; Deep hierarchical networks
    • H04W84/042Public Land Mobile systems, e.g. cellular systems
    • H04W84/045Public Land Mobile systems, e.g. cellular systems using private Base Stations, e.g. femto Base Stations, home Node B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8Access point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Radio Transmission System (AREA)

Abstract

본 개시는 LTE(Long Term Evolution)와 같은 4G(4th generation) 통신 시스템 이후 보다 높은 데이터 전송률을 지원하기 위한 5G(5th generation) 또는 pre-5G 통신 시스템에 관련된 것이다.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기지국의 동작 방법은, 다른 기지국의 TDD(time division duplex) 구성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는 과정과, 상기 다른 기지국의 TDD 구성 및 기준 신호의 송신 방향에 기반하여 상기 기지국의 TDD 구성을 결정하는 과정과, 상기 기지국의 TDD 구성에 따라 하향링크 신호를 송신하고, 상향링크 신호 수신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Description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간섭 관리를 위한 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INTERFERENCE MANAGEMENT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본 개시(disclosure)는 일반적으로 무선 통신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5G(5th generation) 통신 네트워크들에서 간섭 관리를 위한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4G(4th generation) 통신 시스템 상용화 이후 증가 추세에 있는 무선 데이터 트래픽 수요를 충족시키기 위해, 개선된 5G(5th generation) 통신 시스템 또는 pre-5G 통신 시스템을 개발하기 위한 노력이 이루어지고 있다. 이러한 이유로, 5G 통신 시스템 또는 pre-5G 통신 시스템은 4G 네트워크 이후(Beyond 4G Network) 통신 시스템 또는 LTE(Long Term Evolution) 시스템 이후(Post LTE) 시스템이라 불리어지고 있다.
높은 데이터 전송률을 달성하기 위해, 5G 통신 시스템은 초고주파(mmWave) 대역(예를 들어, 60기가(60GHz) 대역과 같은)에서의 구현이 고려되고 있다. 초고주파 대역에서의 전파의 경로손실 완화 및 전파의 전달 거리를 증가시키기 위해, 5G 통신 시스템에서는 빔포밍(beamforming), 거대 배열 다중 입출력(massive MIMO), 전차원 다중입출력(Full Dimensional MIMO, FD-MIMO), 어레이 안테나(array antenna), 아날로그 빔형성(analog beam-forming), 및 대규모 안테나(large scale antenna) 기술들이 논의되고 있다.
또한 시스템의 네트워크 개선을 위해, 5G 통신 시스템에서는 진화된 소형 셀, 개선된 소형 셀(advanced small cell), 클라우드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cloud radio access network, cloud RAN), 초고밀도 네트워크(ultra-dense network), 기기 간 통신(Device to Device communication, D2D), 무선 백홀(wireless backhaul), 이동 네트워크(moving network), 협력 통신(cooperative communication), CoMP(Coordinated Multi-Points), 및 수신 간섭제거(interference cancellation) 등의 기술 개발이 이루어지고 있다.
이 밖에도, 5G 시스템에서는 진보된 코딩 변조(Advanced Coding Modulation, ACM) 방식인 FQAM(Hybrid Frequency Shift Keying and Quadrature Amplitude Modulation) 및 SWSC(Sliding Window Superposition Coding)과, 진보된 접속 기술인 FBMC(Filter Bank Multi Carrier), NOMA(Non Orthogonal Multiple Access), 및 SCMA(Sparse Code Multiple Access) 등이 개발되고 있다.
5G 시스템과 같은 셀룰러 시스템에서, 셀들이 서로 인접하여 배치되기 때문에, 셀들 간 간섭이 발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웃 기지국으로부터 송신된 신호가 단말이나 기지국으로 수신됨으로써, 간섭이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셀 간 간섭은 통신 품질의 열화를 야기하므로, 셀 간 간섭의 원인 및 감소에 대한 다양한 논의가 존재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논의를 바탕으로, 본 개시(disclosure)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간섭 관리를 위한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개시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기준 신호들의 전송 방향을 선택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개시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시간 분할 듀플렉스(time division duplex, TDD) 슬롯들을 동적으로 구성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개시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기지국들에서 사용되는 안테나 개수를 조정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한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르면,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기지국의 동작 방법은, 다른 기지국의 TDD(time division duplex) 구성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는 과정과, 상기 다른 기지국의 TDD 구성 및 기준 신호의 송신 방향에 기반하여 상기 기지국의 TDD 구성을 결정하는 과정과, 상기 기지국의 TDD 구성에 따라 하향링크 신호를 송신하고, 상향링크 신호 수신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르면,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기지국 장치는, 다른 기지국의 TDD(time division duplex) 구성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는 백홀 통신부와, 상기 다른 기지국의 TDD 구성 및 기준 신호의 송신 방향에 기반하여 상기 기지국의 TDD구성을 결정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와, 상기 기지국의 TDD 구성에 따라 하향링크 신호를 송신하고, 상향링크 신호를 수신하는 송수신부를 포함한다.
5G 네트워크들의 용량을 향상시키기 위해, 매우 큰 안테나 배열들, 즉, 일반적으로 64개 이상의 안테나를 사용하는 대용량 MIMO(massive multi input multi output)의 사용이 5G 시스템에서 널리 보급되었으며, 특히, 초고주파 (mm-wave) 주파수에 대한 높은 적합성으로 인해 널리 보급되었다. 이 기술을 사용하면 많은 장점을 얻을 수 있다. 첫 번째로, 특히 다중 단말 MIMO(multiple users-MIMO, MU-MIMO)를 지원할 때 극적으로 용량을 향상시킬 수 있다. 두 번째로, 랜덤 행렬 이론은 안테나들의 개수가 무한대로 늘어날 때 비상관(uncorrelated) 잡음 및 다중 경로 페이딩의 영향이 사라진다는 것을 보여준다. 마지막으로, 빔들의 지향성이 크게 향상되어 사이드 로브(side-lobe) 간섭을 감소시킬 수 있으며, 큰 배열 이득으로 인해 방사 에너지가 크게 감소될 수 있다.
시간 분할 듀플렉스(time division duplex, TDD) 시스템들은 주파수 분할 듀플렉스(frequency division duplex, FDD)보다 대용량 MIMO 시스템에 적합한 듀플렉스 방식인 것으로 나타났는데, 대부분의 FDD의 경우 작동 시 훨씬 많은 양의 파일럿 오버헤드(pilot overhead)가 필요하다.
상향링크 및 하향링크 전송들이 상이한 주파수상에서 발생하는 FDD 시스템들과 달리, TDD는 동일한 주파수가 두 전송 경로 모두에 사용되기 때문에 채널 상호성(reciprocity)의 특성을 이용한다. 즉, TDD 시스템들에서 상향링크 및 하향링크 채널 모두는 상향링크 파일럿들만을 사용함으로써 기지국에서 직접 추정될 수 있으므로, FDD 시스템들에 요구되는 순방향 링크 및 피드백 오버헤드를 피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더욱이, 플렉서블 시간 분할 듀플렉스 설계들은 현재 부하(load) 분산이 요구할 때마다 상향링크와 하향링크 사이의 용량 분할을 동적으로 변경함으로써 네트워크의 스펙트럼 유연성(flexibility)을 증가시키는 수단으로 고려되고 있다. 사실상, TDD 시스템들은 상이한 부하 요구들을 충족시키기 위해 상향링크와 하향링크간에 시간 슬롯들을 다르게 할당할 수 있다.
또한, 독립형(standalone) 네트워크 동작은 5G 시스템들의 핵심 요소이다. 이러한 맥락에서 독립형은, 다중 연결(multi-connectivity) 또는 기회적 액세스(opportunistic access)와 같은 기술들을 사용하나, 매크로셀 기지국(macrocell base station, MBS)의 더 낮은 주파수 지원은 필요로 하지 않는, 밀리미터파 주파수들에서 전적으로 동작되는 5G 소형셀 기지국들의 기능을 나타낸다. 매크로셀 기지국의 더 낮은 주파수 지원은 비-독립형(non-standalone) 액세스로 알려져 있으며 더 낮은 주파수는 일반적으로 제어 정보 전송에 사용된다. 실제로, 독립형 네트워크는, 소형셀들이 매크로셀의 양방향 지원 집중화(centralizing)없이 자체적으로 구성해야 하므로 더 구분된 동작을 수행해야 한다는 것을 의미할 수도 있다.
이 분야의 구현들과 관련된 문제는 간섭 관리 영역에 해당된다. 특히, 파일럿 오염(pilot contamination) 및 기지국 간(base-station-to-base-station, B2B) 간섭과 같은 간섭 관련 문제들이 발생한다. 간섭 관련 문제들은 소형셀 기지국들이 매우 많은 개수의 안테나들을 구비하는 플렉서블 TDD 시스템들로서 동작하는 셀룰러(cellular) 네트워크에서 발생한다. 소형셀들은 독립형 모드로 동작하며, 즉, 더 낮은 주파수를 통한 매크로셀과의 제어 정보를 교환하지 않는다.
대용량 MIMO 시스템들에서, 주요 성능 제한 요소는 파일럿 오염으로, 이는 안테나들의 개수가 무한대로 늘어날 때 사라지지 않으므로 성능을 근본적으로 제한한다. 파일럿 오염은 상이한 단말들이 비-직교 파일럿 시퀀스들을 재사용함으로써 발생하는 채널 추정 오차로 인해 발생한다. TDD 시스템에서 파일럿 오염의 특히 심각한 효과는 채널 추정이 간섭 채널과 강한 상관 관계를 나타낼 수 있기 때문에 안테나들의 개수가 많으면 이 효과가 상당히 위험할 수 있다는 것이다. 이는, 간섭이 신호 수신을 의도되지 않은 단말 또는 기지국을 향하여 빔포밍을 통해 지향될 수 있기 때문이다. 이 효과는 상향링크 및 하향링크 모두에서 일어난다. 또한, 플렉서블 TDD 방식들은 하향링크 전송이 상향링크 전송과 동일한 시간에 발생하는 경우 강한 기지국 간 간섭 문제를 야기한다. 메크로셀 기지국의 강한 송신 전력 및 기지국들 사이의 가시선(line of sight)은 강한 간섭을 유발할 수 있어, 수신된 신호를 복호(decoding) 불가능하게 만든다.
본 개시에 따르면, 첨부된 청구범위에 설명된 바와 같이 장치 및 방법이 제공된다. 본 개시의 다른 특징들은 종속항들 및 이하의 설명으로부터 명백해질 것이다.
본 개시의 실시 예들은 이 시나리오에서 생성된 간섭을 효과적으로 완화시키는 대용량 MIMO-TDD 독립형 네트워크들에 대한 실용적이고 플렉서블한 설계를 제공한다. 현재의 기술들과의 차이점은 현재의 기술들은 대용량 MIMO 및 플렉서블 TDD 기술들이 모두 적용되는 배치에서 발생하는 특성 간섭 문제를 해결하지 못했다는 점이다. 또한, 본 개시의 실시 예들은 파일럿 오염 효과에 의해 발생된 간섭을 막기 위해 플렉서블 TDD 설계의 고유한 특징들을 이용하는 매우 실용적인 해결책을 제공한다. 주요 특징은 매크로셀 플렉서블 TDD 구성에 기반한 대용량 MIMO 시스템들의 파일럿 오염 효과를 피하기 위해 소형셀들에서의 파일럿들을 위한 전송 경로 및 하향링크와 상향링크 슬롯들의 순서 모두를 선택하는 것이다.
본 개시의 실시 예들에서, 실질적인 TDD 설계 원리 및 이를 구현하는 방법은, 파일럿 오염 효과에 의해 야기된 빔포밍된 간섭 및 소형셀과 오버레이(overlay) 매크로셀 간에 나타나는 B2B 간섭 모두를 완화하기 위해, 플렉서블 TDD 설계의 고유한 특징들을 이용하는 대용량 MIMO 지원(enabled) 독립형 네트워크에 대해 제시된다. 또한, 소형셀 기지국들에서 사용되는 안테나들의 개수는 간섭을 줄이는 데 도움이 되는 경우 조정될 수 있다. 실시 예들은 소형셀 기지국들에 의한 채널 트레이닝(채널 추정으로도 공지됨)을 위해 선택된 전송 경로가 네트워크의 간섭 작용에 중요한 역할을 하고 그에 따라 데이터 슬롯이 구성된다는 핵심 관측에 기초한다.
본 개시의 실시 예들은 플렉서블 TDD 성능을 이용하여 대용량 MIMO 배치들에서 파일럿 오염 효과에 의해 야기되는 간섭을 완화시킨다. 이 것은, 시간 슬롯들에 대한 배치의 자유도에 의해 주어진 추가적인 유연성을 제공함에도 불구하고, 부하 제약이 여전히 충족되어야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즉, 상향링크 및 하향링크 슬롯들의 수는 네트워크 제약이고 그 순서는 플렉서블하다. 본 개시의 실시 예들은 간섭이 없는 시간 슬롯이 전송을 위해 단순히 선택되는 간단한 TDMA 기반 간섭 회피 방식과 다르다.
본 개시(disclosure)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장치 및 방법은,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의 간섭을 관리할 수 있게 한다.
본 개시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개시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개시(disclosure)와 그 이점을 보다 완벽히 이해하기 위하여, 후술될 상세한 설명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과 함께 참조 번호가 제공된다.
도 1은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을 도시한다.
도 2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기지국의 구성을 도시한다.
도 3은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의 구성을 도시한다.
도 4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통신부의 구성을 도시한다.
도 5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기지국의 흐름도를 도시한다.
도 6은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트레이닝 절차에서의 간섭에 따라 데이터 전송의 간섭이 발생하는 예를 도시한다.
도 7은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트레이닝 절차에서의 간섭에 따라 데이터 전송의 간섭이 발생하는 다른 예를 도시한다.
도 8은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설계 규칙의 예를 도시한다.
도 9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빔포밍된 간섭 영향 그래프를 도시한다.
도 10은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빔포밍된 간섭을 나타내는 네트워크 구성의 개략도를 도시한다.
도 11은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독립형 소형셀 설정의 흐름도를 도시한다.
본 개시(disclosure)에서 사용되는 용어들은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다른 실시 예의 범위를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닐 수 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할 수 있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용어들은 본 개시에 기재된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질 수 있다. 본 개시에 사용된 용어들 중 일반적인 사전에 정의된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동일 또는 유사한 의미로 해석될 수 있으며, 본 개시에서 명백하게 정의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경우에 따라서, 본 개시에서 정의된 용어일지라도 본 개시의 실시 예들을 배제하도록 해석될 수 없다.
이하에서 설명되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서는 하드웨어적인 접근 방법을 예시로서 설명한다. 하지만,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서는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를 모두 사용하는 기술을 포함하고 있으므로,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이 소프트웨어 기반의 접근 방법을 제외하는 것은 아니다.
이하 본 개시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간섭 관리를 위한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본 개시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파일럿(pilot)들의 전송 경로 선택하고, 시간 분할 듀플렉스(time division duplex, TDD) 슬롯들을 동적으로 구성하고, 기지국들에서 사용되는 안테나 개수를 조정하기 위한 기술을 설명한다.
이하 설명에서 사용되는 신호를 지칭하는 용어, 채널을 지칭하는 용어, 제어 정보를 지칭하는 용어, 네트워크 객체(network entity)들을 지칭하는 용어, 장치의 구성 요소를 지칭하는 용어 등은 설명의 편의를 위해 예시된 것이다. 따라서, 본 개시가 후술되는 용어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동등한 기술적 의미를 가지는 다른 용어가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본 개시는, 일부 통신 규격(예: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에서 사용되는 용어들을 이용하여 다양한 실시 예들을 설명하지만, 이는 설명을 위한 예시일 뿐이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은, 다른 통신 시스템에서도, 용이하게 변형되어 적용될 수 있다.
도 1은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을 도시한다. 도 1은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무선 채널을 이용하는 노드(node)들의 일부로서, 기지국 110, 단말 120, 기지국 130, 단말 140을 예시한다. 도 1은 두 개의 기지국만을 도시하나, 기지국 110 및 기지국 130과 동일 또는 유사한 다른 기지국이 더 포함될 수 있다. 여기서, 기지국 110은 매크로셀 기지국일 수 있으며, 기지국 130은 매크로셀 기지국으로부터 빔포밍된 간섭을 받는 소형셀 기지국일 수 있다.
기지국 110 및 기지국 130은 각각 단말 120 및 단말 140에게 무선 접속을 제공하는 네트워크 인프라스트럭쳐(infrastructure)이다. 기지국 110 및 기지국 130 각각은 신호를 송신할 수 있는 거리에 기초하여 일정한 지리적 영역으로 정의되는 커버리지(coverage)를 가진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라, 기지국 110 및 기지국 130은 모두 매크로(macro) 셀을 제공하거나, 기지국 110 및 기지국 130 중 적어도 하나는 소형 셀을 제공할 수 있다. 기지국 110 및 기지국 130은 기지국(base station) 외에 '액세스 포인트(access point, AP)', '이노드비(eNodeB, eNB)', '5G 노드(5th generation node)', '무선 포인트(wireless point)', '송수신 포인트(transmission/reception point, TRP)' 또는 이와 동등한 기술적 의미를 가지는 다른 용어로 지칭될 수 있다.
단말 120 및 단말 140 각각은 사용자에 의해 사용되는 장치로서, 각각 기지국 110 및 기지국 130과 무선 채널을 통해 통신을 수행한다. 경우에 따라, 단말 120 및 단말 140 중 적어도 하나는 사용자의 관여 없이 운영될 수 있다. 즉, 단말 120 및 단말 140 중 적어도 하나는 기계 타입 통신(machine type communication, MTC)을 수행하는 장치로서, 사용자에 의해 휴대되지 아니할 수 있다. 단말 120 및 단말 140 각각은 단말(terminal) 외 '사용자 장비(user equipment, UE)', '이동국(mobile station)', '가입자국(subscriber station)', '원격 단말(remote terminal)', '무선 단말(wireless terminal)', 또는 '사용자 장치(user device)' 또는 이와 동등한 기술적 의미를 가지는 다른 용어로 지칭될 수 있다.
기지국 110, 단말 120, 기지국 130, 단말 140은 밀리미터 파(mmWave) 대역(예: 28GHz, 30GHz, 38GHz, 60GHz)에서 무선 신호를 송신 및 수신할 수 있다. 이때, 채널 이득의 향상을 위해, 기지국 110, 단말 120, 기지국 130, 단말 140은 빔포밍(beamforming)을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빔포밍은 송신 빔포밍 및 수신 빔포밍을 포함할 수 있다. 즉, 기지국 110, 단말 120, 기지국 130, 단말 140은 송신 신호 또는 수신 신호에 방향성(directivity)을 부여할 수 있다. 이를 위해, 기지국 110, 단말 120, 기지국 130, 단말 140은 빔 탐색(beam search) 또는 빔 관리(beam management) 절차를 통해 서빙(serving) 빔들 112, 121, 132, 141을 선택할 수 있다. 서빙 빔들 112, 121, 132, 141이 선택된 후, 이후 통신은 서빙 빔들 112, 121, 132, 141을 송신한 자원과 QCL(quasi co-located) 관계에 있는 자원을 통해 수행될 수 있다.
제1 안테나 포트 상의 심볼을 전달한 채널의 광범위한(large-scale) 특성들이 제2 안테나 포트 상의 심볼을 전달한 채널로부터 추정될(inferred) 수 있다면, 제1 안테나 포트 및 제2 안테나 포트는 QCL 관계에 있다고 평가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광범위한 특성들은 지연 스프레드(delay spread), 도플러 스프레드(doppler spread), 도플러 쉬프트(doppler shift), 평균 이득(average gain), 평균 지연(average delay), 공간적 수신 파라미터(spatial receiver parameter)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잇다.
서빙 빔들을 결정하기 위해, 빔 탐색 또는 빔 관리 절차에서, 기지국 110, 단말 120, 기지국 130, 단말 140 각각은 적어도 하나의 기준 신호를 송신 또는 수신할 수 있다. 이하 설명에서, 기준 신호는 파일럿 신호, 파일럿 또는 이와 동등한 의미를 가지는 다른 용어와 혼용될 수 있다. 이때, 기준 신호들 간 간섭이 발생하는 경우, 서빙 빔 선택에 오류가 발생함으로 인해 신호 수신을 의도되지 않은 단말 또는 기지국을 향하는 빔포밍이 수행될 수 있다. 즉, 기지국 110, 단말 120, 기지국 130 또는 단말 140은 송신 신호 또는 수신 신호에 의도하지 않은 방향성을 부여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은, 생성된 간섭을 최소화하는 목적으로, 기지국들에 다수의 안테나들이 장착된 독립형 TDD 네트워크의 시간 슬롯들(예: 상향링크 슬롯 또는 하향링크 슬롯)을 구성하는 기술을 제공한다. 기본 개념은 다음과 같은 세 가지 주요 관측들에 기반한다.
TDD 대용량 MIMO 시스템에서 하향링크 파일럿들을 사용함으로써 도입된 파일럿 오버헤드는 매우 높다. 따라서, 많은 개수의 안테나들을 사용할 때, 손실이 큰 오버헤드를 피하기 위해 상향 링크 파일럿들을 사용함으로써 채널 트레이닝이 수행될 수 있다.
파일럿 오염의 효과는, 다른 셀들의 단말들에게 영향을 미치는 빔포밍된 간섭을 방지하기 위해 각 시간 슬롯에서 전송 경로를 적절히 선택함으로써 회피될 수 있다.
기지국 간의 가시선(line of sight, LO) 채널들은 수신된 간섭 전력으로 강한 간섭을 유발하기 때문에, 플렉서블 TDD 배치들로 생성된 기지국 간 간섭은 방지되어야 한다.
다양한 실시 예들은 전술한 세 가지 주요 관측들을 고려하고, 독립형 5G 소형셀(small cell, SC) 세트에서 구현을 위한 기술들을 제안한다. 다양한 실시 예들은 독립형 소형셀들에서 트레이닝을 위해 어떤 전송 경로(path)(예: 상향링크 또는 하향링크)가 사용되어야 하는지 결정하고, 부하 분산을 맞추면서 파일럿 오염을 방지하기 위해 상향링크/하향링크 슬롯들은 어느 순서로 할당되어야 하는지 결정한다. 또한, 다양한 실시 예들은 각 소형셀에서 단말들에게 서비스하기 위해 몇 개의 안테나들을 사용해야 하는지 결정한다.
이를 결정하기 위한 플렉서블 대용량 MIMO TDD 시스템들의 구성을 위한 간섭 관리 방법이 제공된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간섭 관리 방법은, 알고리즘 단계들을 지정하는 프레임 워크(framework)로 이해될 수 있지만, 구현을 위해 알고리즘 파라미터들의 많은 특정 값들을 지정하지 않는다.
비-직교 파일럿들이 다른 셀들에서 동일한 시간 슬롯들에서 송신될 때, 간섭은 네트워크 내의 인접한 셀들의 요소들로 빔포밍될 수 있다. 빔포밍된 간섭은 수신된 신호를 복호(decoding) 불가능하게 만든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장치 및 방법은 각 소행셀들에서의 플렉서블 대용량 MIMO TDD 시스템들의 구성을 위한 간섭 관리 방법을 제공한다.
도 2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기지국의 구성을 도시한다. 도 2에 예시된 구성은 기지국 110 또는 기지국 130의 구성으로서 이해될 수 있다. 이하 사용되는 '…부', '…기'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도 2를 참고하면, 기지국은 무선통신부 210, 백홀통신부 220, 저장부 230, 제어부 240를 포함한다.
무선통신부 210은 무선 채널을 통해 신호를 송수신하기 위한 기능들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 무선통신부 210은 시스템의 물리 계층 규격에 따라 기저대역 신호 및 비트열 간 변환 기능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 데이터 송신 시, 무선통신부 210은 송신 비트열을 부호화 및 변조함으로써 복소 심벌들을 생성한다. 또한, 데이터 수신 시, 무선통신부 210은 기저대역 신호를 복조 및 복호화를 통해 수신 비트열을 복원한다. 또한, 무선통신부 210은 기저대역 신호를 RF(radio frequency) 대역 신호로 상향변환한 후 안테나를 통해 송신하고, 안테나를 통해 수신되는 RF 대역 신호를 기저대역 신호로 하향변환한다.
이를 위해, 무선통신부 210은 송신 필터, 수신 필터, 증폭기, 믹서(mixer), 오실레이터(oscillator), DAC(digital to analog convertor), ADC(analog to digital convertor)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무선통신부 210은 다수의 송수신 경로(path)들을 포함할 수 있다. 나아가, 무선통신부 210은 다수의 안테나 요소들(antenna elements)로 구성된 적어도 하나의 안테나 어레이(antenna array)를 포함할 수 있다. 하드웨어의 측면에서, 무선통신부 210은 디지털 유닛(digital unit) 및 아날로그 유닛(analog unit)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아날로그 유닛은 동작 전력, 동작 주파수 등에 따라 다수의 서브 유닛(sub-unit)들로 구성될 수 있다.
무선통신부 210은 상술한 바와 같이 신호를 송신 및 수신한다. 이에 따라, 무선통신부 210의 전부 또는 일부는 '송신부', '수신부' 또는 '송수신부'로 지칭될 수 있다. 또한, 이하 설명에서, 무선 채널을 통해 수행되는 송신 및 수신은 무선통신부 210에 의해 상술한 바와 같은 처리가 수행되는 것을 포함하는 의미로 사용된다.
백홀통신부 220은 네트워크 내 다른 노드들과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즉, 백홀통신부 220은 기지국에서 다른 노드, 예를 들어, 다른 접속 노드, 다른 기지국, 상위 노드, 코어망 등으로 송신되는 비트열을 물리적 신호로 변환하고, 다른 노드로부터 수신되는 물리적 신호를 비트열로 변환한다.
저장부 230은 기지국의 동작을 위한 기본 프로그램, 응용 프로그램, 설정 정보 등의 데이터를 저장한다. 저장부 230은 휘발성 메모리, 비휘발성 메모리 또는 휘발성 메모리와 비휘발성 메모리의 조합으로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저장부 230은 제어부 240의 요청에 따라 저장된 데이터를 제공한다.
제어부 240은 기지국의 전반적인 동작들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제어부 240은 무선통신부 210를 통해 또는 백홀통신부 220을 통해 신호를 송신 및 수신한다. 또한, 제어부 240은 저장부 230에 데이터를 기록하고, 읽는다. 그리고, 제어부 240은 통신 규격에서 요구하는 프로코톨 스택(protocol stack)의 기능들을 수행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어부 240은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processor)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라, 제어부 240는 기준 신호들의 전송 경로 선택하고, TDD 슬롯들을 동적으로 구성한다. 예를 들어, 제어부 240은 기지국이 후술하는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동작들을 수행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도 3은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의 구성을 도시한다. 도 3에 예시된 구성은 단말 120의 구성으로서 이해될 수 있다. 이하 사용되는 '…부', '…기'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도 3을 참고하면, 단말 120은 통신부 310, 저장부 320, 제어부 330를 포함한다.
통신부 310은 무선 채널을 통해 신호를 송수신하기 위한 기능들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 통신부 310은 시스템의 물리 계층 규격에 따라 기저대역 신호 및 비트열 간 변환 기능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 데이터 송신 시, 통신부 310은 송신 비트열을 부호화 및 변조함으로써 복소 심벌들을 생성한다. 또한, 데이터 수신 시, 통신부 310은 기저대역 신호를 복조 및 복호화를 통해 수신 비트열을 복원한다. 또한, 통신부 310은 기저대역 신호를 RF 대역 신호로 상향변환한 후 안테나를 통해 송신하고, 안테나를 통해 수신되는 RF 대역 신호를 기저대역 신호로 하향변환한다. 예를 들어, 통신부 310은 송신 필터, 수신 필터, 증폭기, 믹서, 오실레이터, DAC, ADC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통신부 310은 다수의 송수신 경로(path)들을 포함할 수 있다. 나아가, 통신부 310은 다수의 안테나 요소들로 구성된 적어도 하나의 안테나 어레이를 포함할 수 있다. 하드웨어의 측면에서, 통신부 310은 디지털 회로 및 아날로그 회로(예: RFIC(radio frequency integrated circuit))로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디지털 회로 및 아날로그 회로는 하나의 패키지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통신부 310은 다수의 RF 체인들을 포함할 수 있다. 나아가, 통신부 310은 빔포밍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통신부 310은 서로 다른 주파수 대역의 신호들을 처리하기 위해 서로 다른 통신 모듈들을 포함할 수 있다. 나아가, 통신부 310은 서로 다른 다수의 무선 접속 기술들을 지원하기 위해 다수의 통신 모듈들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로 다른 무선 접속 기술들은 블루투스 저 에너지(bluetooth low energy, BLE), Wi-Fi(Wireless Fidelity), WiGig(WiFi Gigabyte), 셀룰러 망(예: LTE(Long Term Evolution)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서로 다른 주파수 대역들은 극고단파(SHF:super high frequency)(예: 2.5GHz, 5Ghz) 대역, mm파(millimeter wave)(예: 60GHz) 대역을 포함할 수 있다.
통신부 310은 상술한 바와 같이 신호를 송신 및 수신한다. 이에 따라, 통신부 310의 전부 또는 일부는 '송신부', '수신부' 또는 '송수신부'로 지칭될 수 있다. 또한, 이하 설명에서 무선 채널을 통해 수행되는 송신 및 수신은 통신부 310에 의해 상술한 바와 같은 처리가 수행되는 것을 포함하는 의미로 사용된다.
저장부 320은 단말 120의 동작을 위한 기본 프로그램, 응용 프로그램, 설정 정보 등의 데이터를 저장한다. 저장부 320은 휘발성 메모리, 비휘발성 메모리 또는 휘발성 메모리와 비휘발성 메모리의 조합으로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저장부 320은 제어부 330의 요청에 따라 저장된 데이터를 제공한다.
제어부 330은 단말 120의 전반적인 동작들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제어부 330은 통신부 310를 통해 신호를 송신 및 수신한다. 또한, 제어부 330은 저장부 320에 데이터를 기록하고, 읽는다. 그리고, 제어부 330은 통신 규격에서 요구하는 프로코톨 스택의 기능들을 수행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어부 330은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 또는 마이크로(micro) 프로세서를 포함하거나, 또는, 프로세서의 일부일 수 있다. 또한, 통신부 310의 일부 및 제어부 330은 CP(communication processor)라 지칭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라, 제어부 330는 서빙 기지국에 의해 결정된 기준 신호들의 전송 경로에 따라 기준 신호를 송신 또는 수신하도록 제어한다. 또한, 제어부 330은 서빙 기지국에 의해 결정된 TDD 구성에 따라 상향링크 통신 및 하향링크 통신을 수행하도록 제어한다. 제어부 330은 단말이 후술하는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기지국과 통신을 수행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도 4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통신부의 구성을 도시한다. 도 4는 도 2의 무선통신부 210 또는 도 3의 통신부 310의 상세한 구성에 대한 예를 도시한다. 구체적으로, 도 4는 도 2의 무선통신부 210 또는 도 3의 통신부 310의 일부로서, 빔포밍을 수행하기 위한 구성요소들을 예시한다.
도 4를 참고하면, 무선통신부 210 또는 통신부 310은 부호화 및 변조부 402, 디지털 빔포밍부 404, 다수의 송신 경로들 406-1 내지 406-N, 아날로그 빔포밍부 408를 포함한다.
부호화 및 변조부 402는 채널 인코딩을 수행한다. 채널 인코딩을 위해, LDPC(low density parity check) 코드, 컨볼루션(convolution) 코드, 폴라(polar) 코드 중 적어도 하나가 사용될 수 있다. 부호화 및 변조부 402는 성상도 맵핑(constellation mapping)을 수행함으로써 변조 심벌들을 생성한다.
디지털 빔포밍부 404은 디지털 신호(예: 변조 심벌들)에 대한 빔포밍을 수행한다. 이를 위해, 디지털 빔포밍부 404은 변조 심벌들에 빔포밍 가중치들을 곱한다. 여기서, 빔포밍 가중치들은 신호의 크기 및 위상을 변경하기 위해 사용되며, '프리코딩 행렬(precoding matrix)', '프리코더(precoder)' 등으로 지칭될 수 있다. 디지털 빔포밍부 404는 다수의 송신 경로들 406-1 내지 406-N로 디지털 빔포밍된 변조 심벌들을 출력한다. 이때, MIMO(multiple input multiple output) 전송 기법에 따라, 변조 심벌들은 다중화되거나, 다수의 송신 경로들 406-1 내지 406-N로 동일한 변조 심벌들이 제공될 수 있다.
다수의 송신 경로들 406-1 내지 406-N은 디지털 빔포밍된 디지털 신호들을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한다. 이를 위해, 다수의 송신 경로들 406-1 내지 406-N 각각은 IFFT(inverse fast fourier transform) 연산부, CP(cyclic prefix) 삽입부, DAC, 상향 변환부를 포함할 수 있다. CP 삽입부는 OFDM(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방식을 위한 것으로, 다른 물리 계층 방식(예: FBMC(filter bank multi-carrier))이 적용되는 경우 제외될 수 있다. 즉, 다수의 송신 경로들 406-1 내지 406-N은 디지털 빔포밍을 통해 생성된 다수의 스트림(stream)들에 대하여 독립된 신호처리 프로세스를 제공한다. 단, 구현 방식에 따라, 다수의 송신 경로들 406-1 내지 406-N의 구성요소들 중 일부는 공용으로 사용될 수 있다.
아날로그 빔포밍부 408는 아날로그 신호에 대한 빔포밍을 수행한다. 이를 위해, 디지털 빔포밍부 404은 아날로그 신호들에 빔포밍 가중치들을 곱한다. 여기서, 빔포밍 가중치들은 신호의 크기 및 위상을 변경하기 위해 사용된다. 구체적으로, 다수의 송신 경로들 430-1 내지 430-N 및 안테나들 간 연결 구조에 따라, 아날로그 빔포밍부 440는 다양하게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다수의 송신 경로들 430-1 내지 430-N 각각이 하나의 안테나 어레이와 연결될 수 있다. 다른 예로, 다수의 송신 경로들 430-1 내지 430-N이 하나의 안테나 어레이와 연결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다수의 송신 경로들 430-1 내지 430-N은 적응적으로 하나의 안테나 어레이와 연결되거나, 둘 이상의 안테나 어레이들과 연결될 수 있다.
도 5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기지국의 흐름도를 도시한다. 도 5는 기지국 110 또는 기지국 130의 동작 방법을 예시한다.
도 5를 참고하면, 501 단계에서, 기지국은 다른 기지국의 TDD 구성에 대한 정보를 수신한다. 여기서, 다른 기지국은 상기 기지국에 인접한 기지국으로서, 간접을 주거나 받을 수 있는 관계에 있다. 예를 들어, 기지국은 소형셀 기지국이고, 다른 기지국은 중첩되는 커버리지를 가지는 매크로셀 기지국일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다른 기지국의 TDD 구성에 대한 정보는 매크로셀 기지국으로부터 수신되거나 또는 앵커 소형셀 기지국으로부터 수신될 수 있다.
503 단계에서, 기지국은 다른 기지국의 TDD 구성 및 기준 신호의 송신 방향에 기반하여 TDD 구성을 결정한다. 여기서, 송신 방향은 상향링크 또는 하향링크 중 적어도 하나로서, ‘전송 경로’로 지칭될 수 있다. TDD 구성은 프레임에 포함되는 서브프레임들 각각을 상향링크 통신 및 하향링크 통신 중 어느 링크르 위해 사용할지를 정의한다. 일 실시 예에 따라, 기지국은 다른 기지국과의 간섭을 회피할 수 있도록 TDD 구성을 결정할 수 있다.
505 단계에서, 기지국은 결정된 TDD 구성에 따라 하향링크 신호 송신 및 상향링크 신호 수신한다. 즉, TDD 구성에 따라 하향링크 통신을 위해 할당된 서브프레임 구간 동안, 기지국은 하향링크 신호를 송신한다. 그리고, TDD 구성에 따라 상향링크 통신을 위해 할당된 서브프레임 구간 동안, 기지국은 상향링크 신호를 수신한다.
도 5를 참고하여 설명한 실시 예에서, 기지국은 다른 기지국의 TDD 구성 및 기준 신호의 송신 방향에 기반하여 TDD 구성을 결정한다. 여기서, 기준 신호의 송신 방향은 본 절차의 일부로서, 또는 본 절차의 시작 전 미리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지국은 하향링크 통신에 사용되는 안테나의 개수에 기반하여 기준 신호의 송신 방향을 결정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라, 하향링크 통신에 사용되는, 즉, 기준 신호를 송신할 안테나의 개수가 임계치를 초과하는 경우, 기지국은 기준 신호의 송신 방향을 상향링크로 결정할 수 있다. 하향링크 통신에 사용되는 안테나들의 개수가 임계치를 초과하는 경우, 상향링크 기준 신호를 이용하는 것이 오버헤드 측면에서 유리하기 때문이다.
도 6은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트레이닝 절차에서의 간섭에 따라 데이터 전송의 간섭이 발생하는 예를 도시한다.
도 7은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트레이닝 절차에서의 간섭에 따라 데이터 전송의 간섭이 발생하는 다른 예를 도시한다.
도 6 및 도 7은 각각 다른 시나리오들을 도시하고, 두 시나리오 모두에서 서빙 셀(serving cell, S)의 기지국이 매우 많은 개수의 안테나들을 사용한다고 가정한다. 따라서 파일럿들은 상향링크로 송신되어야 하며, 이 파일럿들은 SU로 표현된다. 간섭 셀(interfering cell)은 트레이닝 단계에서 간섭을 발생시켜 파일럿 오염을 발생시킨다. 또한, 간섭 셀은, 데이터 전송 단계 동안, 서빙 셀로부터의 간섭을 겪을 수 있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간섭 셀(interfering cell, I)은 화살표 1로 나타낸 트레이닝을 상향링크에서 수행하고, 간섭 셀의 단말에게 지향된 빔포밍된 간섭이 발생한다. 서빙 셀로부터 빔포밍된 간섭은 신호 경로 4에 의해 표현되고, 원하는 송신은 신호 경로 3에 의해 표현된다. 신호 경로 4는 파일럿 오염의 결과이다. 트레이닝 단계에서 채널을 추정 할 때, 파일럿 오염으로 인해 간섭 셀로 향하는 채널 구성 요소가 추정에 포함된다. 따라서, 빔을 생성하기 위해 프리 코딩이 적용될 때, 빔포밍된 간섭은 도 6에 도시 된 바와 같이 야기된다. 간섭 셀이 매우 큰 안테나 배열을 사용할 필요가 있는 경우, 데이터 송신을 위한 시간 슬롯들은 간섭 셀의 단말이 서빙 셀로부터 오는 빔포밍된 간섭을 수신하지 않도록 배열되어야 한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간섭 셀에서 화살표 2로 나타낸 트레이닝은 하향링크에서 수행된다. 즉, 큰 오버헤드를 피하기 위해 사용된 안테나들의 개수가 작아야 한다. 데이터 슬롯들은 빔포밍된 간섭이 간섭 기지국에서 수신되는 것을 피하도록 배열되어야 한다. 이 경우, 서빙 셀로부터의 원하는 송신은 신호 경로 5로 표시되고, 원하지 않는 간섭은 신호 경로 6에 의해 간섭 셀로 향하게 된다. 신호 경로 6는 파일럿 오염의 결과이다. 비-직교 파일럿들과 함께 트레이닝이 두 개의 셀의 상이한 전송 경로들상에서 수행될 때 즉, 서빙 셀은 상향링크에서 트레이닝을 수행하고 간섭 셀은 하향링크에서 트레이닝을 수행할 때, 빔 6에 의해 표현된 기지국 대 기지국 빔포밍된 간섭이 발생합니다.
물음표로 표시된 신호 경로는 본 개시의 실시 예들에 따라 데이터 전송이 상향링크 또는 하향링크에서 수행되는지 여부를 설계 선택의 문제로 나타낸다.
비슷한 논의가 상향링크에 유효하다. 대용량 MIMO 지원 기지국에서의 오염된 수신 신호에 적용되는 최대비 결합(maximum ratio combining, MRC)과 같은 결합(combining) 기술이, 오염된 추정 채널이 간섭 채널을 경험한다는 강한 상관 관계 때문에, 매우 강한 간섭을 유발할 수 있다. 즉, 최대비 결합과 같은 결합 기술은 트레이닝에서 획득한 채널의 추정치를 사용하므로, 그 채널 추정치가 오염되면, 결합기(combiner) 출력은 간섭을 받은 수신 빔을 생성하고 성능을 저하시킨다. 다른 수신기들(ZF, MMSE, IRC 등)은 수신기들을 결합하는 것과 동일한 강도로는 아니지만 상향링크에서 동일한 파일럿 오염 효과를 겪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비-직교 파일럿들이 다른 셀들에서 동일한 시간 슬롯들에서 송신될 때, 간섭은 네트워크 내의 인접한 셀들의 요소들로 빔포밍될 수 있다.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하지 않는 간섭은 신호 경로 4 및 신호 경로 6으로 도시된다. 간섭이 빔포밍될 수 있는 네트워크 요소는 단말 또는 기지국이다.
네트워크 요소가 단말인 경우, 오염 셀이 상향링크에서 트레이닝을 수행할 때 파일럿 오염이 발생하므로, 이는 "파일럿 오염 체제-상향링크(pilot contamination regime-uplink, PCR-U)"라 지칭된다. 반면에, 네트워크 요소가 기지국인 경우, 오염 셀이 하향링크에서 트레이닝을 수행할 때 파일럿 오염이 발생하므로, 이는 "파일럿 오염 체제-하향링크(pilot contamination regime-downlink, PCR-D)"라 지칭된다. 이들은 각각 도 6 및 도 7에 도시된다.
상향링크 및 하향링크 모두에서, 특히 안테나들의 개수가 매우 큰 경우, 오염된 채널 추정을 갖는 문제는 심각할 수 있다. 그러나,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시나리오에 기초한 본 개시의 실시 예들에 따른 TDD 설계는, 강한 간섭 빔이 수신기를 향해 지향된 때, 신호의 수신을 피할 수 있는 유연성을 제공한다. 실제로, 이러한 간섭 회피 방식을 구현하는 방법은 셀들의 트레이닝 위상 구성이 주어지면 적절한 전송 경로 구성을 선택하는 것에 의존한다.
여기서, "감소된 오염 체제(reduced contamination regime, RCR)"라는 용어는 지향된 간섭이 존재할 때 청취(listening)를 피하는 TDD 구성이며, "증가된 오염 체제(increased contamination regime, ICR)”는 빔포밍된 간섭이 실제로 수신되는 경우이다. 따라서, 간섭은 PCR-U 및 PCR-D 체제들 모두에 대해 적절한 RCR 및 ICR 구성을 찾는 것으로 경감될 수 있다. PCR-U의 경우, 서빙 기지국이 송신할 때 파일럿을 오염시킨 단말이 채널을 청취하는 것을 피할 필요가 있다. 그러므로, 서빙 셀에서 D 모드(하향링크에서 데이터 전송)가 선택 될 때, D 모드는 간섭 셀에서 피해져야 한다. 유사하게, 서빙 셀이 어떤 형태의 결합 메카니즘을 사용하는 수신기를 사용하여 U 모드(상향링크에서 데이터 전송)에서 데이터를 수신할 때, U 모드는 간섭 셀에서 이용되어서는 안 된다. 따라서, 서빙 셀 및 간섭 셀 모두 D 모드 이거나, 서빙 셀 및 간섭 셀 모두 U 모드인 경우, PCR-U에서 작동할 때 ICR 경우들을 나타낸다. PCR-D 체제의 경우, 서빙 기지국이 송신 중일 때(D 모드) 간섭 기지국은 청취(즉, U 모드로 설정)하여서는 안 되고, 서빙 기지국이 데이터를 수신하는 동안(U) 간섭 셀의 동시 하향링크 전송(D)은 또한 성능을 크게 저하(degradation)시킬 것이다.
위의 단락은 파일럿 오염 효과로 인한 간섭을 고려하지만, 기지국 간(base-station-to-base-station, B2B) 간섭의 경우에는 이러한 저하가 더욱 커진다. 따라서, 전력 고려 사항들 또한 위에 식별된 상이한 간섭 체제들의 분류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 특히, ICR 체제에서 매크로셀(macrocell, MC)과 소형셀 간 간섭의 경우는 메크로셀 기지국의 높은 송신 전력으로 인해 피해져야 한다. 또한, 빔포밍된 간섭(즉, 파일럿 오염 효과)이 존재하지 않더라도, RCR 동안의 B2B 매크로셀과 소형셀 간 간섭은 해결되어야 한다. 이 경우에, 쉬운 해결책은 MBS로부터 오는 B2B 간섭을 보상하는 수단으로서 소형셀 단말들의 상향링크 전력을 향상시키는 현존하는 기술을 이용하는 것이다.
도 8은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설계 규칙의 예를 도시한다. 도 8에서, 각 테이블 셀은 하나의 단일 데이터 슬롯에서의 전송 경로(하향링크 D 또는 상향링크 U)를 나타낸다. 이 테이블은 각각 두 개의 행으로 구성된 두 세트로 구성되어 있으며, 각 세트(PCR-U 및 PCR-D)는 채널 트레이닝을 위한 파일럿들이 송신되는 전송 경로를 나타낸다. 즉, PCR-D의 경우 하향링크를 통해, PCR-U의 경우 상향링크를 통해 트레이닝을 수행함을 나타낸다.
또한, 각 세트의 각 행은 데이터 전송 슬롯 동안 셀의 TDD 구성을 나타내며, S 행들은 서빙 셀을 나타내고, I 행들은 트레이닝 단계 동안 간섭 셀들을 나타낸다. 각 열들은 TDD 구성들 중 빔포밍된 간섭을 피하는 잘 관리된(well-managed) 간섭 경우인 RCR과 빔포밍된 간섭 경우인 ICR를 나타낸다. 테이블의 사분면에 의한 구분은 가능한 다른 TDD 모드들의 우선순위 분류를 시각적으로 허용한다. 이전에 언급된 파일럿 오염의 이유들로 RCR이 ICR보다 선호된다.
RCR 내에서, PCR-U 모드(사분면 810)는 송신 전력의 수정을 요구하지 않는 반면에, PCR-D(사분면 820)는 역방향 TDD모드의 B2B 간섭 특성을 중화하기 위해 소형셀 단말들의 상향링크 송신 전력의 향상을 요구한다.
ICR의 경우, PCR-D 모드(사분면 830)는 빔포밍된 간섭을 겪지만 PCR-U(사분면 840)는 파일럿 오염에 B2B 간섭을 추가하기 때문에 PCR-U(사분면 840)보다 선호된다. 따라서, 이종 네트워크(heterogeneous network, HetNet)에서 셀들의 TDD 구성은 i) 사분면 810, ii) 사분면 820, iii) 사분면 830 및 iv) 사분면 840의 우선순위에 따라 설정해야 한다. 이를 통해 대용량 MIMO 시스템들의 중요한 파일럿 오염 효과를 완화하도록 TDD 구성을 설계할 수 있다.
다른 실시 예들에서, 하나의 셀이 서빙 셀로 작용하고 두 번째 셀이 간섭자(interferer)로 작용하는 파일럿 오염 하에 작동하는 두 개의 셀들의 간단한 경우가 가정된다. 한 단말이 각각 동일한 파일럿 시퀀스를 공유하는 두 개의 기지국 시나리오가 가정된다. 서빙 기지국은 매우 큰 안테나 배열을 갖추고 있다. 시뮬레이션은 트레이닝 단계와 뒤 따르는 데이터 전송 단계의 두 시간 슬롯들로 제한된다. 파일럿 오염이 존재할 때 RCR과 ICR 사이의 성능 차이를 평가하는 경우, 서빙 기지국은 하향링크로 운반되는 간섭 파일럿들에 의해 오염된 채널 추정을 얻는 것으로 가정된다(PCR-D). 그런 다음, 신호-대-간섭비(signal-to-interference ratio, SIR)는 수신단들에서의 데이터 전송 슬롯, 즉, 하향링크 전송의 경우 간섭을 받은 단말 및 상향링크 전송의 경우 서빙 기지국에서 측정된다. 그 결과는 도 9에 도시되어 있다. 상이한 오염 비율(x 축)에 대해 SIR(y 축)이 측정되고, 여기서 오염 비율은 트레이닝 단계 동안 수신된 서빙 전력과 수신된 간섭 전력 사이의 비율(quotient)로 정의된다.
그래프들에서 추론될 수 있는 주요 결론들은 다음과 같다. 명백하게, 파일럿 오염 효과는 빔포밍 및 결합이 각각 사용될 때 하향링크 및 상향링크 모두에서 SIR들을 저하시킨다. 또한, ICR대신 RCR 구성을 선택하는 것은 하향링크 및 상향링크 전송의 SIR을 크게 증가시킨다. 또한, 오염 비율은 중요한 역할을 한다. 즉, 오염의 전력 레벨이 높을 때, 단말들에게 경험되는 빔 포밍된 간섭이 증가하고, 따라서, RCR과 ICR사이의 SIR 차기가 커진다. 이 관측은 고전력 소자들에서 나오는 빔포밍된 간섭이 저전력 소자들에서 발생하는 간섭보다 훨씬 위험하므로 HetNet용 TDD 구성을 설계할 때 중요하다. 요약하면, TDD 구성의 설계는 대용량 MIMO 시스템들에서 간섭을 제어하는 중요한 파라미터라는 것을 알 수 있다.
본 개시의 실시 예들은 앞서 제시된 관측, 설계 규칙들 및 독립형 네트워크에서 설계 패러다임의 구현을 지원하는 절차에 기초하여 5G 독립형 소형셀 세트의 플렉서블 TDD 프레임들을 구성하는 패러다임을 제공한다. 설계 원리들이 각각의 소형셀에서 TDD 프레임을 구성하도록 적용된다는 것을 알고리즘 방식으로 다양한 실시 예들이 가능함을 주목하는 것이 중요하다. 그러나, 이들 모두에 공통적인 점은 매크로셀의 TDD 구성, 각 셀의 부하 분산 및 간섭 방지를 위해 위에서 설명한 설계 규칙들에 따라 수행되어야 한다는 사실이다. 이들 언급된 특징들은 본 개시의 실시 예들의 중요한 특징들을 형성하고 종래 기술의 해결책들과 구별되도록 작용한다.
독립형 소형셀 세트는 소형셀들의 단말들에게 무선 저주파수 보조 장치가 (일반적으로 다중 연결 다리를 통한 제어 정보의 형태로) 제공되지 않는다는 점에서 비-독립형 세트와 차별화된다. 따라서, 매크로셀은 매크로셀의 플렉서블 TDD 프레임을 재구성하는데 사용될 수 있는 단말들에 보고된 정보(예를 들어, 간섭 레벨)를 받지 못할 것이다.
도 10은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빔포밍된 간섭을 나타내는 네트워크 구성의 개략도를 도시한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X2 인터페이스 1100은 매크로셀의 TDD 구성을 전송하기 위해 앵커(anchor) 소형셀 SC1 1010과 매크로셀 MC 1000 사이에 존재하는 것으로 고려되며, 또한, 이는 5G 지원형일 수 있다. 도 10은 매크로셀 MC 1000 및 소형셀들 SCx - 1010, 1020, 1030 모두가 그들의 부하 분산에 기초하여 상이한 TDD 구성을 갖는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대한 시나리오를 도시한다. 앞에서 기술한 결과를 무작위로 선택된 TDD 구성에 적용하면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매크로셀 MC 1000과 소형셀 SC1 1010 및 소형셀 SC2 1020 사이에서 빔포밍된 간섭(점선으로 표시된 부분) 1050이 생성된다. 또한, 각 기지국과 단말간 의도된 서빙 빔 1040이 도시된다.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간섭 관리 방법은 독립형 소형셀들의 TDD 슬롯들을 동적으로 구성하기 위한 일련의 과정들을 따른다. 기본적으로 이 절차는 다음을 포함한다.
매크로셀이 TDD 구성을 설정하고 앵커 소형셀과 공유하는 과정과, 앵커 셀이 이를 독립형 소형셀들의 나머지 부분에 분배하는 과정과, 각각의 소형셀이 그 자체의 TDD 프레임을 구성하기 위해 상기 설계 규칙들에 기초한 알고리즘을 호출하는 과정과, 각각의 소형셀에서의 간섭 레벨은 독립적으로 체크되고 필요하다면 그 TDD 구성이 변경되는 과정을 포함한다. 절차는 소형셀들 또는 매크로셀 부하 분산이 변경될 때까지 반복된다.
도 11은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독립형 소형셀 설정의 흐름도를 도시한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소형셀은, 입력으로 매크로셀의 TDD 프레임 구성과 그것의 부하 분산(즉, 상향링크 및 하향링크에 전용으로 사용해야 하는 시간 슬롯들의 개수)을 사용하여, 자체의 플렉서블 TDD 프레임을 구성한다.
도 11을 참고하면, 1101 단계에서, 각 셀은 부하 계산에 기초하여 상향링크 및 하향링크 전송에 필요한 시간 슬롯들의 수를 결정한다. 즉, 상향링크 및 하향링크 전송에 필요한 최적의 시간 슬롯들의 수를 결정하기 위해 셀 단위로 부하 계산이 이루어진다.
1103 단계 에서, 매크로셀은 고유의 사전 분류된 TDD 프레임들을 구성하고, X2 인터페이스를 통해 앵커 소형셀에 관련 정보를 전달한다. 이 경우, 앵커 소형셀은 SC1 1010이고, 앵커 셀의 역할은 매크로셀의 TDD 구성 정보를 나머지 소형셀들에 분배하여, 소형셀들이 고유의 TDD를 구성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즉, 1105 단계에서, 앵커 소형셀 SC1 1010은 매크로셀 TDD 구성을 다른 소형셀들 1020, 1030에 분배한다.
1107 단계에서, 각각의 소형셀 1010, 1020, 1030은 도 8의 테이블에 제시된 새로운 규칙에 따라 고유의 TDD 프레임(즉, 파일럿들 전송 경로 및 시간 슬롯 순서)을 구성한다. 즉, 송신 안테나 개수에 따라 채널 트레이닝이 수행될 전송 경로(상향링크 또는 하향링크)를 결정하고, 간섭을 회피할 수 있는 단일 데이터 슬롯에서의 전송 경로(하향링크 D 또는 상향링크 U)를 결정한다. 다른 알고리즘들은 새로운 설계 규칙들에 기초하여 소형셀 TDD 구성을 선택할 수 있다.
1109 단계에서, 간섭 레벨을 결정하고, 간섭 레벨이 허용 가능한지를 결정한다. 여기서, 간섭 레벨 결정은 신호-대-간섭비(signal-to-interference ratio, SIR)를 이용할 수 있다. 신호-대-간섭비는 수신단들에서의 데이터 전송 슬롯, 즉, 하향링크 전송의 경우 간섭을 받은 단말 및 상향링크 전송의 경우 서빙 기지국에서 측정된다. 간섭 레벨이 허용 가능하지 않다면, 1107 단계가 반복되고 1109 단계에서의 결정이 반복된다. 1109 단계에서, 간섭 레벨이 허용 가능한 것으로 결정되면, 1111 단계에서 TDD 구성들이 유지되고 상향링크 및 하향링크 사이의 부하 분산이 모니터링된다.
1113 단계에서, 소형셀 부하 분산의 변화가 있었는지의 여부에 대한 결정이 이루어진다. 변화가 있는 경우, 흐름은 1107단계로 되돌아 가고, 소형셀은 TDD 프레임들을 재구성한다. 소형셀 부하 분산이 변화가 없는 경우, 1115 단계에서 매크로셀 부하 분산의 변화가 있는지 여부에 대한 추가 검사가 이루어진다. 변화가 있는 경우, 흐름은 시작으로 되돌아 가고 전체 프로세스가 반복된다. 변화가 없는 경우, 흐름은 1111 단계로 복귀한다.
1107 단계의 특정 설계는 다양한 알고리즘들의 새로운 설계 규칙들에 기초하여 수행될 수 있다. 본 개시의 따른 다양한 실시 예가 제시된다.
일 실시 예에서, 알고리즘은 위의 설계 원리들을 준수하면서 각각의 소형셀에서 TDD 프레임의 구성에 대해 낮은 복잡도의 해결책을 제공한다는 목표로 설계된다. 특히, 알고리즘은 동적으로 부하 분산을 매칭시키면서, 매크로셀과 소형셀 사이에서 다음과 같은 방법을 사용하여 빔포밍된 간섭의 인스턴스(instance)(도 8의 ICR 경우들)의 개수를 최소화한다. 첫 번째로, 파일럿 오염 효과의 영향을 최소화하기 위해 소형셀 기지국의 송신 안테나 개수에 따라 더 적합한 PCR-D 또는 PCR-U 모드 중 하나를 유도한다. <수학식 1>을 이용하여, 상향링크 및 하향링크 슬롯들을 적절히 분류함으로써 빔포밍된 간섭(충돌(collision, C))의 인스턴스들이 PCR-D 및 PCR-U 모드에서 계산될 수 있다.
Figure 112017094105933-pat00001
여기서, CPCR-D는 PCR-D 모드에서의 빔포밍된 간섭의 인스턴스들의 개수를 나타내고, CPCR-U는 PCR-U 모드에서의 빔포밍된 간섭의 인스턴스들의 개수를 나타내고, N은 프레임에서의 시간 슬롯들의 총 개수를 나타내고, n은 시간 슬롯들의 개수를 나타내고, S는 서빙 셀을 나타내고, I는 간섭 셀을 나타낸다.
또한, 충돌을 피할 수 없는 경우 PCR-U를 선호하는 반면, 충돌이 없을 때는 PCR-D를 선호하기 위해 전력 고려 사항들이 고려된다. 따라서, 알고리즘은, 각각의 소형셀에서, <수학식 1>을 사용하여 PCR-D 충돌을 계산하고, B2B 간섭이 나타나면 폐기하는 과정과, PCR-U 충돌을 계산하는 과정과, 충돌 횟수가 적은 모드를 선택하고 동등한 충돌에 대해 PCR-D에 우선순위를 부여하여 전력 소비를 줄이는 과정과, 분류된 데이터 슬롯들을 적절하게 구성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다른 실시 예에서, 상기 알고리즘은 너무 많은 오버헤드를 초래하지 않으면서 하향링크 파일럿들을 사용하여 트레이닝 단계를 수행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 소형셀 기지국에서 사용되는 송신 안테나들의 개수의 수정을 포함하도록 적용될 수 있다. 이 접근법은 다른 방식으로 상향링크에서 파일럿 신호들을 전송하도록 강제되는 대용량 MIMO 지원 소형셀들에 추가적인 유연성을 제공한다.
또 다른 실시 예에서, 알고리즘은 필요하다면 상향링크 슬롯들에서 강화된 상향링크 전력을 사용하여 특정 셀들 및 B2B 간섭의 비-발생에 우선순위를 도입할 수 있다.
파일럿 오염 효과 및 B2B 간섭 모두가 회피되도록 동일한 설계 원리들을 이용하는 본 개시의 범주 내의 다른 실시 예들이 당업자에 의해 구상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실시 예들은 셀간 단말이 적을 때와 같이 소형셀 간(inter-small-cell) 간섭에 관여하지 않으며, 파일럿들은 서로 직교할 가능성이 높으며 파일럿 오염 효과는 일반적으로 존재하지 않는다.
본 개시의 상세한 설명과 동시에 또는 이전에 제출되고 본 개시에 공개되어 공개된 모든 논문 및 문서에 주의를 기울여야 하며, 모든 문서 및 문서의 내용은 참고로 포함된다.
첨부된 청구범위, 요약 및 도면을 포함하여, 본 개시에 개시된 모든 특징 및/또는 개시된 임의의 방법 또는 프로세스의 모든 단계는 임의의 조합으로 조합될 수 있지만, 그러한 특징 중 적어도 일부 및/또는 단계들은 상호 배타적이다.
첨부된 청구범위, 요약 및 도면을 포함하여, 본 개시에 개시된 각각의 특징은 달리 명시하지 않는 한, 동일하거나 동등하거나 유사한 목적을 위한 대안적인 특징으로 대체될 수 있다. 따라서, 달리 명시적으로 언급되지 않는 한, 개시된 각 특징은 동등하거나 유사한 특징의 일반적인 일 예이다.
본 개시는 전술한 실시 예(들)의 세부 사항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개시는 상세한 설명(청구범위, 요약 및 도면을 포함)에서 개시된 특징들의 임의의 신규한 것 또는 임의의 신규한 조합, 또는 개시된 임의의 방법 또는 프로세스의 단계의 임의의 신규한 것 또는 임의의 신규한 조합으로 확장된다.
본 개시의 청구항 또는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들에 따른 방법들은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조합의 형태로 구현될(implemented) 수 있다.
소프트웨어로 구현하는 경우,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소프트웨어 모듈)을 저장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가 제공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에 저장되는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은, 전자 장치(device) 내의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 가능하도록 구성된다(configured for execution).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은, 전자 장치로 하여금 본 개시의 청구항 또는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들에 따른 방법들을 실행하게 하는 명령어(instructions)를 포함한다.
이러한 프로그램(소프트웨어 모듈, 소프트웨어)은 랜덤 액세스 메모리 (random access memory), 플래시(flash) 메모리를 포함하는 불휘발성(non-volatile) 메모리, 롬(read only memory, ROM), 전기적 삭제가능 프로그램가능 롬(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 only memory, EEPROM), 자기 디스크 저장 장치(magnetic disc storage device), 컴팩트 디스크 롬(compact disc-ROM, CD-ROM), 디지털 다목적 디스크(digital versatile discs, DVDs) 또는 다른 형태의 광학 저장 장치, 마그네틱 카세트(magnetic cassette)에 저장될 수 있다. 또는, 이들의 일부 또는 전부의 조합으로 구성된 메모리에 저장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구성 메모리는 다수 개 포함될 수도 있다.
또한, 프로그램은 인터넷(Internet), 인트라넷(Intranet), LAN(local area network), WAN(wide area network), 또는 SAN(storage area network)과 같은 통신 네트워크,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구성된 통신 네트워크를 통하여 접근(access)할 수 있는 부착 가능한(attachable) 저장 장치(storage device)에 저장될 수 있다. 이러한 저장 장치는 외부 포트를 통하여 본 개시의 실시 예를 수행하는 장치에 접속할 수 있다. 또한, 통신 네트워크상의 별도의 저장장치가 본 개시의 실시 예를 수행하는 장치에 접속할 수도 있다.
상술한 본 개시의 구체적인 실시 예들에서, 개시에 포함되는 구성 요소는 제시된 구체적인 실시 예에 따라 단수 또는 복수로 표현되었다. 그러나, 단수 또는 복수의 표현은 설명의 편의를 위해 제시한 상황에 적합하게 선택된 것으로서, 본 개시가 단수 또는 복수의 구성 요소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복수로 표현된 구성 요소라 하더라도 단수로 구성되거나, 단수로 표현된 구성 요소라 하더라도 복수로 구성될 수 있다.
한편 본 개시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개시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개시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Claims (18)

  1.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기지국의 동작 방법에 있어서,
    다른 기지국의 제1 TDD(time division duplex) 구성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는 과정과,
    상기 기지국에서 하향링크 통신을 위해 사용되는 안테나들의 개수에 기반하여 기준 신호의 송신 방향을 결정하는 과정과,
    상기 제1 TDD 구성 및 상기 기준 신호의 상기 송신 방향에 기반하여 상기 기지국의 제2 TDD 구성을 결정하는 과정과,
    상기 제2 TDD 구성에 따라 하향링크 신호를 송신하고, 상향링크 신호를 수신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방법.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TDD 구성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는 과정은,
    상기 제1 TDD 구성 정보를 공유한 앵커 소형셀 기지국으로부터 상기 제1 TDD 구성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방법.
  3. 삭제
  4. 청구항 1 에 있어서,
    간섭 레벨을 측정하는 과정과,
    상기 간섭 레벨에 기반하여 상기 제2 TDD 구성을 조정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방법.
  5. 청구항 1에 있어서,
    부하 분산을 모니터링(monitoring)하는 과정과,
    상기 부하 분산의 모니터링에 기반하여 상기 제2 TDD 구성을 조정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방법.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다른 기지국에서 부하 분산 모니터링에 기반하여 조정된 상기 제1 TDD 구성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는 과정과,
    상기 조정된 제1 TDD 구성 및 상기 기준 신호의 상기 송신 방향에 기반하여 상기 제2 TDD 구성을 조정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방법.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기준 신호의 상기 송신 방향이 하향링크인 경우의 제1 충돌 횟수 및 상기 기준 신호의 상기 송신 방향이 상향링크인 경우의 제2 충돌 횟수를 결정하는 과정과,
    상기 제1 충돌 횟수 및 상기 제2 충돌 횟수 중 작은 값에 대응하는 송신 방향을 선택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방법.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제1 충돌 횟수 및 상기 제2 충돌 횟수가 동일하면, 하향링크를 상기 송신 방향으로서 선택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방법.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송신 방향을 상기 하향링크로 선택하기 위해, 사용되는 송신 안테나들의 개수를 변경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방법.
  10.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기지국 장치에 있어서,
    다른 기지국의 제1 TDD(time division duplex) 구성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는 백홀 통신부와,
    상기 기지국에서 하향링크 통신을 위해 사용되는 안테나들의 개수에 기반하여 기준 신호의 송신 방향을 결정하고, 상기 제1 TDD 구성 및 상기 기준 신호의 상기 송신 방향에 기반하여 상기 기지국의 제2 TDD구성을 결정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와,
    상기 제2 TDD 구성에 따라 하향링크 신호를 송신하고, 상향링크 신호를 수신하는 송수신부를 포함하는 장치.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백홀 통신부는, 상기 제1 TDD 구성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는 경우, 상기 제1 TDD 구성 정보를 공유한 앵커 소형셀 기지국으로부터 상기 제1 TDD 구성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도록 더 구성되는 장치.
  12. 삭제
  13.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간섭 레벨을 측정하고, 상기 간섭 레벨에 기반하여 상기 제2 TDD 구성을 조정하도록 더 구성되는 장치.
  14.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부하 분산을 모니터링(monitoring)하고, 상기 부하 분산의 모니터링에 기반하여 상기 제2 TDD 구성을 조정하도록 더 구성되는 장치.
  15. 청구항 14에 있어서,
    상기 백홀 통신부는, 상기 다른 기지국에서 부하 분산 모니터링에 기반하여 조정된 상기 제1 TDD 구성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조정된 제1 TDD 구성 및 상기 기준 신호의 송신 방향에 기반하여 상기 제2 TDD 구성을 조정하도록 더 구성되는 장치.
  16.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기준 신호의 상기 송신 방향이 하향링크인 경우의 제1 충돌 횟수 및 상기 기준 신호의 상기 송신 방향이 상향링크인 경우의 제2 충돌 횟수를 결정하고,
    상기 제1 충돌 횟수 및 상기 제2 충돌 횟수 중 작은 값에 대응하는 송신 방향을 선택하도록 더 구성되는 장치.
  17. 청구항 16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제1 충돌 횟수 및 상기 제2 충돌 횟수가 동일하면, 하향링크를 상기 송신 방향으로서 선택하도록 더 구성되는 장치.
  18. 청구항 17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송신 방향을 상기 하향링크로 선택하기 위해, 사용되는 송신 안테나들의 개수를 변경하도록 더 구성되는 장치.
KR1020170124404A 2016-10-04 2017-09-26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간섭 관리를 위한 장치 및 방법 KR102389199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6/338,590 US10917223B2 (en) 2016-10-04 2017-09-29 Apparatus and method for interference management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PCT/KR2017/011013 WO2018066945A1 (en) 2016-10-04 2017-09-29 Apparatus and method for interference management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GB1616863.5A GB2554698B (en) 2016-10-04 2016-10-04 Improvements in and relating to interference management in a communication network
GB1616863.5 2016-10-04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37582A KR20180037582A (ko) 2018-04-12
KR102389199B1 true KR102389199B1 (ko) 2022-04-21

Family

ID=575709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24404A KR102389199B1 (ko) 2016-10-04 2017-09-26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간섭 관리를 위한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10917223B2 (ko)
KR (1) KR102389199B1 (ko)
GB (1) GB2554698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7242161B2 (ja) * 2017-06-14 2023-03-20 ソニーグループ株式会社 通信装置、通信制御方法及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KR102566509B1 (ko) * 2018-10-08 2023-08-16 삼성전자주식회사 동적 시분할 듀플렉스 환경에서 셀 간 간섭 완화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US11728958B2 (en) * 2020-10-13 2023-08-15 Charter Communications Operating, Llc TDD configuration coordination for networks using adjacent bands
US11342973B1 (en) * 2021-10-19 2022-05-24 King Faisal University System and method for maintaining link communications in millimeter wave cellular networks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30272170A1 (en) * 2012-04-13 2013-10-17 Debdeep CHATTERJEE Adaptive ul-dl tdd configurations in a heterogneous network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2106840A1 (en) 2011-02-10 2012-08-16 Renesas Mobile Corporation Resource allocation for flexible tdd configuration
US20130122917A1 (en) * 2011-05-13 2013-05-16 Qualcomm Incorporated Method and apparatus for time and frequency tracking in clustered femtocell deployments
US9185620B2 (en) 2012-05-30 2015-11-10 Intel Corporation Adaptive UL-DL configurations in a TDD heterogeneous network
US9357507B2 (en) * 2012-09-13 2016-05-31 Qualcomm Incorporated Centralized management for pilot pollution mitigation in small cell networks
CN104854811B (zh) 2012-09-26 2018-04-24 交互数字专利控股公司 动态tdd上行链路/下行链路配置方法
JP6063061B2 (ja) * 2013-01-07 2017-01-18 エルジー エレクトロニクス インコーポレイティド 無線通信システムにおいて無線リソース動的変更に基づく信号送受信方法及びそのための装置
WO2014110782A1 (en) * 2013-01-18 2014-07-24 Broadcom Corporation Cell clustering based configuration of flexible time division duplex communication
WO2014110783A1 (en) 2013-01-18 2014-07-24 Broadcom Corporation Inter-cell cross-link interference coordination in flexible time division duplex communication
US10091766B2 (en) 2013-04-05 2018-10-02 Qualcomm Incorporated Interference cancellation/suppression in TDD wireless communications systems
US9602269B2 (en) 2013-05-13 2017-03-21 Acer Incorporated Dynamic time division duplexing method and apparatuses using the same
WO2015014407A1 (en) 2013-08-02 2015-02-05 Nokia Solutions And Networks Oy Transmission mode arrangement for flexible time division duplexing (tdd)
US9167449B2 (en) * 2013-08-08 2015-10-20 Blackberry Limited Dynamic cell clustering
EP2840851A1 (en) 2013-08-21 2015-02-25 Nokia Corporation UL-DL Interference Management for TDD eIMTA
US9781610B2 (en) * 2013-12-18 2017-10-03 Qualcomm Incorporated Small cell clusters for signaling load reduction, time synchronization, KPI filtering and spectrum coordination
CN105101227B (zh) * 2014-05-08 2020-12-08 索尼公司 对时分双工网络中的小小区进行分簇的装置、方法及基站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30272170A1 (en) * 2012-04-13 2013-10-17 Debdeep CHATTERJEE Adaptive ul-dl tdd configurations in a heterogneous network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90238304A1 (en) 2019-08-01
GB2554698B (en) 2020-12-30
GB201616863D0 (en) 2016-11-16
US10917223B2 (en) 2021-02-09
KR20180037582A (ko) 2018-04-12
GB2554698A (en) 2018-04-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727996B2 (en) Null resource elements for dynamic and bursty inter-cell interference measurement in new radio
CN110999368B (zh) 用于无线通信的方法、装置和计算机可读介质
US8498256B2 (en) Method for allocating resources for edge-users using cooperative MIMO
US11166239B2 (en) Mitigation of calibration errors
US11375462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hase tracking reference signal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CN110622430B (zh) 无线通信系统中用于传输数据的设备和方法
US11316575B2 (en) Multiple channel quality indicator (CQI) reports for link adaptation
US9853747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interference
US10849128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transmitting signals using beam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KR102389199B1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간섭 관리를 위한 장치 및 방법
KR102444569B1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빔을 선택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US11785637B2 (en) Multiple channel state feedback reports for MU-MIMO scheduling assistance
KR102543091B1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통합형 빔포밍을 위한 장치 및 방법
US20180054270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suppressing inter-cell interference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KR102369320B1 (ko) 시분할 복신 기반의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셀 간 간섭을 제어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US10778388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esource management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s
JP5603288B2 (ja) 無線通信システム、無線通信方法および基地局装置
KR102445525B1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셀-간 간섭을 억제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KR20170115301A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간섭 정렬을 위한 장치 및 방법
KR102257505B1 (ko) 비 직교 다중 접속을 지원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위치 기반 전력 할당 장치 및 방법
CN113940012A (zh) 用于多流环境的波束选择过程
KR20210130022A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대역폭 및 커버리지 확보를 위한 장치 및 방법
KR20180057516A (ko) 다중 안테나 시스템에서 다중 사용자 스케줄링 방법 및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