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29474A - 바이러스 방제용 마스크 - Google Patents

바이러스 방제용 마스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29474A
KR20210129474A KR1020200047526A KR20200047526A KR20210129474A KR 20210129474 A KR20210129474 A KR 20210129474A KR 1020200047526 A KR1020200047526 A KR 1020200047526A KR 20200047526 A KR20200047526 A KR 20200047526A KR 20210129474 A KR20210129474 A KR 2021012947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ielding member
mask
virus
filter
us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475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황찬승
박지환
이다열
최성호
함진웅
김현빈
Original Assignee
선문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선문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선문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2000475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129474A/ko
Publication of KR202101294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2947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23/00Filters for breathing-protection purposes
    • A62B23/02Filters for breathing-protection purposes for respirato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02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using physical phenomena
    • A61L2/08Radiation
    • A61L2/10Ultraviolet radi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26Accessories or devices or components used for biocidal treatm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16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physical phenomena
    • A61L9/18Radiation
    • A61L9/20Ultraviolet radiation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18/00Breathing masks or helmets, e.g.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chemical agents or for use at high altitudes or incorporating a pump or compressor for reducing the inhalation effort
    • A62B18/02Masks
    • A62B18/025Halfmask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18/00Breathing masks or helmets, e.g.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chemical agents or for use at high altitudes or incorporating a pump or compressor for reducing the inhalation effort
    • A62B18/08Component parts for gas-masks or gas-helmets, e.g. windows, straps, speech transmitters, signal-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9/00Aspects relating to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2209/10Apparatus features
    • A61L2209/14Filtering mea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Pulmonology (AREA)
  • Zoology (AREA)
  • Respiratory Apparatuses And Protective Mea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용자의 입과 코를 막는 가림부재; 및 상기 가림부재의 양측 단부 각각에 마련되어 사용자 귀에 걸리는 고리부재;를 포함하는 것으로서, 상기 가림부재 전면에 배치되어 상기 가림부재 및 그 주변으로 자외선광을 조사하는 자외선모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이러스 방제용 마스크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바이러스 방제용 마스크{mask for controlling virus}
본 발명은 마스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바이러스의 흡입 차단 효율을 높일 수 있도록 할 뿐만 아니라 재사용이 원활할 수 있도록 하는 바이러스 방제용 마스크에 관한 것이다.
대규모 산업 시설로부터의 분진 배출 등으로 인하여 대기 오염이 심각해지고 있다.
이에 각종의 법규가 제정되어 대기 오염 물질의 배출이 제한되고 있으나, 기대와는 다르게 대기 오염은 점차로 심화되고 있는 실정이다.
한편, 대기 오염 물질의 하나로 초미세먼지가 있다.
초미세먼지는, 지름 2.5㎛ 이하의 것으로, 지름이 10㎛ 이하인 미세먼지에 비해서도 월등히 미미함에 따라 인체의 폐포까지 깊숙이 침투하므로 각종 호흡기 질환의 주요 원인이 된다.
이러한 이유로 초미세먼지 농도가 높은 날에는 대다수의 인구가 외출을 자제하고 있으며, 외출시에는 개인장구, 예컨대 마스크를 착용하여 초미세먼지의 흡입을 최소화하고 있다.
이때, 직물 원단 등으로 제조되는 일반 마스크는 초미세먼지의 흡입을 차단할 수 없었던바,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0-0108837호(2010. 10. 08. 공개) 등에 개시된 바와 같은 황사 마스크('초미세먼지용 마스크'로 불리기도 함)가 이용되고 있다.
황사 마스크는 통기가 자유로운 표층 원단의 내면(착용 상태에서 사용자 안면부를 바라보는 면) 측에 초미세먼지를 필터링하는 필터가 마련되는바, 이를 착용함으로써 초미세먼지의 흡입이 차단될 수 있다.
한편, 최근 바이러스로 인한 질환 발생이 늘고 있다.
이때, 바이러스는 비말로도 전파될 수 있는바, 타인 비말의 흡입을 차단할 필요가 있다.
이에 황사 마스크, 다시 말해 필터를 구비하는 마스크를 비말 흡입 차단 수단으로 이용하고 있다.
초미세먼지의 흡입을 차단하는 필터는 바이러스의 흡입 또한 상당 부분 차단할 수 있는바, 이를 착용함으로써 바이러스 방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다만, 종래 필터를 구비하는 마스크는 바이러스의 흡입을 완벽히 차단할 수 없었으므로 그 신뢰도가 떨어지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종래 필터를 구비하는 마스크는 사용이 진행됨에 자체가 바이러스에 의해 오염, 특히 필터가 바이러스에 의해 오염되어 필터링 효과가 떨어지므로 재사용이 곤란한 문제가 있었다.
상기의 이유로 해당 분야에서는 바이러스의 흡입 차단 효율을 높일 수 있도록 할 뿐만 아니라 재사용이 원활할 수 있도록 하는 마스크의 개발이 시도되고 있으나, 현재까지는 만족할만한 결과를 얻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0-0108837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바이러스의 흡입 차단 효율을 높일 수 있도록 할 뿐만 아니라 재사용이 원활할 수 있도록 하는 바이러스 방제용 마스크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사용자의 입과 코를 막는 가림부재; 및 상기 가림부재의 양측 단부 각각에 마련되어 사용자 귀에 걸리는 고리부재;를 포함하는 것으로서, 상기 가림부재 전면에 배치되어 상기 가림부재 및 그 주변으로 자외선광을 조사하는 자외선모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이러스 방제용 마스크를 제안한다.
상기 가림부재는, 통기가 자유로운 표층 원단; 및 상기 표층 원단 내에 배치되어 초미세먼지 및 바이러스를 필터링하는 필터;를 포함한다.
상기 표층 원단은 양측 단부 사이 상단에 마련되는 박판 형태의 금속편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표층 원단은 높이에 차등을 두고 주름지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자외선모듈은, 전원 인가에 따라 점등되어 자외선광을 조사하는 광원이 마련된 기판; 및 상기 기판에 마련되되, 외부로부터 이어지는 전원 공급 케이블이 연결되는 전원포트;를 포함한다.
상기 자외선모듈은 유연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바이러스 방제용 마스크는, 가림부재에 필터가 마련되는바, 필터에 의해 바이러스의 필터링이 이루어짐으로써 바이러스 흡입 차단이 이루어질 뿐만 아니라 가림부재 및 그 주변으로 자외선광을 조사하는 자외선모듈을 포함하는바, 외부로부터 사용자 호흡기로 향하는 바이러스가 자외선모듈로부터의 자외선광 조사에 의해 소독되므로 바이러스 흡입 차단 효율을 높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바이러스 방제용 마스크는, 자외선모듈을 포함하는바, 자외선모듈에 의해 조사되는 자외선광이 가림부재에 미침에 따라 가림부재의 소독이 이루어지므로 필터를 통한 바이러스 흡입 차단이 비교적 장기간 유지될 수 있어 재사용이 원활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바이러스 방제용 마스크의 외형을 보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바이러스 방제용 마스크에서 가림부재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바이러스 방제용 마스크에서 자외선모듈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바이러스 방제용 마스크의 사용 상태를 보인 예시도이다.
이하, 첨부 도면에 의거 본 발명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바이러스 방제용 마스크(A)는, 가림부재(10); 고리부재(20); 및 자외선모듈(30);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가림부재(10)는, 사용자의 입과 코를 막는다.
따라서 가림부재(10)에 의해 착용자 비말의 외부 전달 및 공기 중에 함유된 일반 먼지 등의 흡입이 차단된다.
이때, 가림부재(1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기가 자유로운 표층 원단(11); 및 표층 원단(11) 내에 배치되어 초미세먼지 및 바이러스를 필터링하는 필터(12);를 포함함으로써 호흡이 이루어지는 과정에서 특히 필터(12)에 의해 초미세먼지 및 바이러스의 흡입 차단이 이루어진다.
여기서, 표층 원단(11)은 양측 단부 사이 상단에 마련되는 박판 형태의 금속편(11a)을 포함으로써 착용 상태에서 금속편(11a)을 사용자 안면 형태에 대응하도록 구부림에 따라 가림부재(10)가 사용자 안면, 특히 코 부위에 긴밀히 접촉할 수 있다.
그리고 표층 원단(11)은 높이에 차등을 두고 주름지게 형성됨으로써 주름 부위가 펼쳐짐에 따라 높이가 확장되어 사용자 안면, 더욱 구체적으로 입과 코 주변을 완전히 덮을 수 있다.
한편, 표층 원단(11)은 통기가 자유로운 원단이라면 통상의 어떠한 종류의 것이어도 무방하며, 그 예로는 직물 원단 또는 부직포 원단일 수 있다.
그리고 필터(12)는 초미세먼지를 필터링할 수 있는 것이라면 통상의 어떠한 종류의 것이어도 무방하므로 필터(12)에 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의 고리부재(20)는 가림부재(10)의 양측 단부 각각에 마련되어 사용자 귀에 걸린다.
따라서, 고리부재(20)에 의해 사용자 안면으로부터 가림부재(10)의 이탈이 방지된다.
한편, 고리부재(20)는 사용자 귀에 걸리는 것일 뿐 특별한 기능을 갖는 것은 아닌바, 고리부재(20)에 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다만, 고리부재(20)는 신축성 소재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고리부재(20)가 신축성 소재로 이루어짐으로써 신장이 가능하므로 착용시의 압박감이 해소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다양한 체형의 사용자에게 두루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자외선모듈(30)은 가림부재(10) 전면에 배치되어 가림부재(10) 및 그 주변으로 자외선광을 조사한다.
따라서, 자외선모듈(30)에 의한 자외선광 조사에 의해 가림부재(10)의 소독 및 바이러스의 소독이 이루어진다.
이때, 자외선모듈(30)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원 인가에 따라 점등되어 자외선광을 조사하는 광원(31a)이 마련된 기판(31); 및 상기 기판(31)에 마련되되, 외부로부터 이어지는 전원 공급 케이블(도면상 미도시)이 연결되는 전원포트(32);를 포함한다.
따라서 기판(31)으로의 전원 공급에 의해 광원(31a)이 점등됨으로써 자외선광 조사가 이루어진다.
이때, 광원(31a)은 일정 범위 파장의 자외선광을 조사할 수 있는 것이라면 통상의 어떠한 종류의 것이어도 무방하며, 그 일례로는 LED일 수 있다.
LED는, 비교적 소형일 뿐만 아니라 저렴하므로 자외선모듈(30)의 크기를 최소화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자외선모듈(30)의 제품 단가를 낮출 수 있다.
그리고 광원(31a)은 다수로 마련되어 가림부재(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나열될 수 있다.
광원(31a)이 나열됨으로써 가림부재(10) 전체 구간에서 비교적 균일하게 자외선광의 조사가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자외선모듈(30)은 하우징(도면부호 미표시)을 포함함으로써 하우징에 의해 기판(31) 등의 보호가 이루어진다.
그리고 자외선모듈(30)의 전원포트(32)에 연결되는 전원 공급 케이블은 스마트폰(도면상 미도시) 또는 휴대용 충전 배터리(도면상 미도시)로 이어짐으로써 주변에서 쉽게 구할 수 있는 스마트폰 및 휴대용 충전 배터리를 이용하여 전원 공급이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자외선모듈(30)은 유연 재질로 형성됨으로써 자외선모듈(30)을 굽힘에 따라 가림부재(10)가 안면 형태를 따라 긴밀히 밀착될 수 있다.
또한, 자외선모듈(30)의 기판(31)에는 충전 배터리(도면상 미도시)가 마련될 수 있다.
따라서 전원 공급 케이블을 통한 전원 공급을 통해 충전 배터리를 충전함으로써 전원 공급 케이블을 연결하지 않더라도 일정 시간 자외선모듈(30)을 통한 자외선광 조사가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바이러스 방제용 마스크(A)를 통한 바이러스 흡입 차단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의한 바이러스 방제용 마스크(A)는, 가림부재(10) 및 고리부재(20)를 포함하는바, 고리부재(20)를 양쪽 귀에 걸어줌에 따라 가림부재(10)가 사용자 안면, 더욱 구체적으로 입과 코 주변을 덮게 된다.
따라서 가림부재(10)에 의해 착용자 비말의 외부 전달 및 공기 중에 함유된 일반 먼지 등의 흡입이 차단된다.
이때, 공기 중에 함유된 초미세먼지 및 바이러스는 그 입자의 크기가 극히 미세함에 따라 호흡 과정에서 가림부재(10)를 통과하여 흡입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 가림부재(10)는, 표층 원단(11) 및 표층 원단(11) 내에 배치되는 필터(12)를 포함하는바, 필터(12)에 의해 초미세먼지 및 바이러스의 필터링이 이루어지므로 호흡 과정에서 초미세먼지 및 바이러스의 흡입이 상당 부분 차단된다.
다만, 필터(12)는 바이러스의 흡입을 완벽히 차단할 수 없으므로 바이러스 흡입이 이루어질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에 의한 바이러스 방제용 마스크(A)는, 자외선모듈(30)을 포함하는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외선모듈(30), 더욱 구체적으로 광원(31a)이 가림부재(10) 및 그 주변으로 자외선광을 조사함에 따라 사용자 호흡기로 향하는 바이러스 소독이 이루어지므로 바이러스 흡입 차단이 더욱 원활, 다시 말해 바이러스 흡입 차단 효율을 높일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의한 바이러스 방제용 마스크(A)는, 재사용이 원활할 수 있도록 한다.
즉, 자외선모듈(30)이 가림부재(10) 및 그 주변으로 자외선광을 조사함에 따라 가림부재(10)의 소독, 특히 필터(12)의 소독이 이루어지므로 필터(12)를 통한 바이러스 흡입 차단이 비교적 장기간 유지될 수 있어 재사용이 원활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므로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변경 가능하며, 그와 같은 변경은 이하 청구범위 기재에 의하여 정의되는 본 발명의 보호범위 내에 있게 된다.
10 : 가림부재
11 : 표층 원단
11a : 금속편
12 : 필터
20 : 고리부재
30 : 자외선모듈
31 : 기판
31a : 광원
32 : 전원포트
A : 마스크

Claims (3)

  1. 사용자의 입과 코를 막는 가림부재; 및
    상기 가림부재의 양측 단부 각각에 마련되어 사용자 귀에 걸리는 고리부재;를 포함하는 것으로서,
    상기 가림부재 전면에 배치되어 상기 가림부재 및 그 주변으로 자외선광을 조사하는 자외선모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이러스 방제용 마스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림부재는, 통기가 자유로운 표층 원단; 및 상기 표층 원단 내에 배치되어 초미세먼지 및 바이러스를 필터링하는 필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이러스 방제용 마스크.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자외선모듈은, 전원 인가에 따라 점등되어 자외선광을 조사하는 광원이 마련된 기판; 및 상기 기판에 마련되되, 외부로부터 이어지는 전원 공급 케이블이 연결되는 전원포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이러스 방제용 마스크.
KR1020200047526A 2020-04-20 2020-04-20 바이러스 방제용 마스크 KR2021012947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47526A KR20210129474A (ko) 2020-04-20 2020-04-20 바이러스 방제용 마스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47526A KR20210129474A (ko) 2020-04-20 2020-04-20 바이러스 방제용 마스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29474A true KR20210129474A (ko) 2021-10-28

Family

ID=782326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47526A KR20210129474A (ko) 2020-04-20 2020-04-20 바이러스 방제용 마스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10129474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108837A (ko) 2009-03-30 2010-10-08 유진곤 일회용 황사 마스크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108837A (ko) 2009-03-30 2010-10-08 유진곤 일회용 황사 마스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969610B2 (en) Filter mask
KR101812681B1 (ko) 공기청정 마스크
US20210219636A1 (en) Ultraviolet face mask
KR20080110768A (ko) 전면 호흡 보호 장치
RU2729629C1 (ru) Индивидуальная фильтрующая маска с бактерицидной обработкой воздуха
JP2021171651A (ja) エアマスク
JP2017501781A (ja) 能動的通気システム及び呼吸装置
US20220118290A1 (en) Powered air filtration face covering
EP4152988A1 (de) Kopfhalterung, gesichtsschild sowie verfahren zur verwendung einer kopfhalterung
JP2023547886A (ja) 個人の呼吸保護のためのジェット空気カーテン
US20220096700A1 (en) Device that uses ultraviolet light to purify air
KR102210712B1 (ko) 필터 마스크
KR102428122B1 (ko) 휴대용 공기공급장치
US20210274861A1 (en) Filter mask
KR20210129474A (ko) 바이러스 방제용 마스크
KR20200024594A (ko) 일체형 마스크
US20210275840A1 (en) Filter mask
WO2021187989A1 (en) A face mask, an air treatment unit and a protection system comprising the face mask and the air treatment unit
JP2022147140A (ja) フェースマスク及びフィルター装置
JP2021186627A (ja) 紫外線マスク
RU2777568C1 (ru) Устройство индивидуальной защиты
KR102358720B1 (ko) 전면형 호흡용 보호구
US20210275841A1 (en) Filter mask
JP2022083945A (ja) 紫外線マスク
JP2022077475A (ja) 紫外線マス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