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28870A - 라인포스트 애자용 전력선 고정기구 - Google Patents

라인포스트 애자용 전력선 고정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28870A
KR20210128870A KR1020200047612A KR20200047612A KR20210128870A KR 20210128870 A KR20210128870 A KR 20210128870A KR 1020200047612 A KR1020200047612 A KR 1020200047612A KR 20200047612 A KR20200047612 A KR 20200047612A KR 20210128870 A KR20210128870 A KR 2021012887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er line
post insulator
upper plate
screw rod
reinforcing co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476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64759B1 (ko
Inventor
송홍준
Original Assignee
송홍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송홍준 filed Critical 송홍준
Priority to KR10202000476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64759B1/ko
Publication of KR202101288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2887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647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6475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17/00Insulators or insulating bodie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 H01B17/38Fittings, e.g. caps; Fastenings theref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15/00Suppression of vibrations in systems; Means or arrangements for avoiding or reducing out-of-balance forces, e.g. due to motion
    • F16F15/02Suppression of vibrations of non-rotating, e.g. reciprocating systems; Suppression of vibrations of rotating systems by use of members not moving with the rotating systems
    • F16F15/04Suppression of vibrations of non-rotating, e.g. reciprocating systems; Suppression of vibrations of rotating systems by use of members not moving with the rotating systems using elastic mea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17/00Insulators or insulating bodie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 H01B17/24Insulators apertured for fixing by nail, screw, wire, or bar, e.g. diabolo, bobbi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Insula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라인포스트 애자용 전력선 고정기구에 관한 것으로,
상판(11)의 아래쪽에는 라인포스트 애자의 헤드부가 삽입되는 공간부가 형성되고 상판(11)의 가장자리로는 수직환부(12)가 형성되며 상판(11)의 중앙에는 전력선 고정볼트가 관통하는 구멍(13)이 형성된 원형의 보강커버(10)와;
육각머리부(15)와 나사봉부(16) 사이에는 보강단(17)이 형성되며 나사봉부(16)가 라인포스트 애자의 전력선 안착 홈 좌우의 나사부에 조립되어 전력선 안착 홈에 걸려 있는 전력선이 움직이지 않도록 고정 시키는 전력선 고정볼트(14)와;
전력선 고정볼트(14)의 나사봉부(16)에 끼워지며 보강커버(10)의 상판(11)과 전력선 고정볼트(14)의 보강단(17) 사이에 위치한 채, 전력선 고정볼트(14)의 나사봉부(16)를 라인포스트 애자의 전력선 안착 홈 좌우의 나사부에 조립하여 전력선을 고정시킴과 동시에 높이가 축소되면서 보강커버(10)의 상판(11)에 탄력을 가하여 보강커버(10)가 라인포스트 애자의 헤드부로부터 이탈하거나 움직이지 않도록 하는 탄력수단을 포함하여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은 라인포스트 애자의 헤드부에 형성된 전력선 안착 홈을 기준으로 헤드부가 좌우로 벌어지는 현상을 예방하여 전력선 고정볼트가 헤드부의 나사부로부터 느슨해지거나 또는 헤드부의 나사부를 이탈함에 따라 전력선을 고정 시키는 기능이 상실되는 폐단을 방지할 수 있으며 이에 의해 전기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매우 유용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현존하는 국내의 전력선의 대, 중, 소의 직경에서 대형의 직경과 소형의 직경의 차이가 8mm 정도 이므로 전력선의 대형의 직경을 고정시킬 수 있도록 맞추어 한 종류만 생산하여도 전력선의 소형의 직경까지 고정시킬 수 있는 신규한 기술이 적용되어 있어 전력선의 직경이 수시로 변화가 되어도 작업에 혼란이 초래되지 않는 유리함이 있고 이로써 경제성도 매우 탁월한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라인포스트 애자용 전력선 고정기구{Electric cable fixing device of line post insulator}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 및 그 분야의 종래기술]
본 발명은 라인포스트 애자용 전력선 고정기구에 관한 것이다.
라인포스트 애자는 전신주의 경완금에 고정된 채 전력선을 지지하는 역할을 하는데, 과거에는 라인포스트 애자의 헤드부 상면에 반원 형태의 홈을 형성하고 그 홈 위에 전력선을 안착시킨 후 바인드 선으로 헤드부와 전력선을 엮어서 묶는 방식을 사용하였던 바, 이는 무엇보다도 활선 상태에서의 작업은 불가능함은 물론 작업시간이 많이 소요되는 단점과 함께 전력선을 헤드부에 안정되게 고정을 시키는데 한계가 있는 문제를 비롯하여 높은 숙련도가 요구되어 경력자가 아니면 작업을 하기가 까다로운 단점도 대두되었다.
이에 본 발명인은 도 20 및 도 19와 같이 라인포스트 애자의 헤드부에 깊은 깊이의 전력선 안착 홈을 형성시키고 전력선 안착 홈의 좌우에 나사부를 형성시켜서 전력선 안착 홈에 전력선을 안착시킨 후 무두볼트를 헤드부의 나사부에 조립하여 전력선이 헤드부에 간단히 고정되도록 하는 구조 및 기술을 발명하여 특허등록 제10-1648311호로 등록을 받은 사실이 있는 바, 종래의 바인드 선으로 작업방식에서 비롯되는 문제와 단점을 해결할 수 있으며 활선 상태에서도 라인포스트 애자의 교체 작업 등이 용이한 장점이 있다.
그러나 일기의 변화 또는 지진, 충격 등의 현상에 의하여 전력선이 사방으로 출렁 거리거나 헤드부에 충격이 가해졌을 경우 전력선 안착 홈을 기준하여 헤드부가 좌우로 벌어지는 힘을 받기 때문에 결국 무두볼트가 헤드부의 나사부로부터 풀리거나 혹은 헤드부의 나사부로부터 이탈하는 현상이 간혹 발생된다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었다.
한편, 상기 특허에서 라인포스트의 헤드부 위에는 부드러운 재질(예: 실리콘)로 만든 캡을 씌워서 새의 똥이나 먼지 등이 무두볼트를 오염 시키지 않도록 하고 있는데, 이는 본 발명의 보강커버와는 발명의 목적과 작용, 효과가 모두 명백히 상이한 것임을 밝힌다.
이에 본 발명인은 상기 특허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다른 구조 및 기술을 발명하여 특허 제10-1693399호로 등록을 받았던 바, 이는 T자 형태의 전력선 누름 수단과 고정 핀으로 이루어져 있는데, 전력선 누름수단의 저면 중앙에 나사 봉이 형성되고 전력선 누름수단의 상측 좌우로 연장된 돌출부와 라인포스트 애자의 헤드부 상면에 각기 핀 구멍을 형성시킨 것이다. 이는 전력선 누름수단을 회전시켜 나사 봉이 전력선을 눌러 고정시키면 헤드부의 핀 구멍과 전력선 누름수단의 핀 구멍이 일치하도록 한 후 별도의 핀을 박아서 전력선 누름수단이 헤드부로부터 이탈이 되지 않도록 하고 있으나 위와 같이 전력선 누름수단을 회전시켜 전력선을 누른 후 상술한 핀 구멍들의 중심이 정확하게 일치되도록 하는데 어려움이 있다는 점이 발견되었고 이는 작업성 저하와 정확한 작업 효과를 얻는데 한계를 노출시켰다.
그리고 본 발명인의 특허출원 제10-2015-0142270호는, 무두볼트를 헤드부의 나사부에 조립하여 전력선을 고정시키되 무두볼트의 상면 사방으로 키이 홈을 형성시키고 헤드부의 나사부 바로 위쪽으로도 키이 홈을 형성시켜서 무두볼트를 조인 후 무두볼트의 키이 홈 중에서 어느 하나와 헤드부의 키이 홈이 일치되도록 한 후 키이를 박아서 무두볼트가 이탈하지 않도록 하는 구조 및 기술인데, 역시 상술한 키이 홈들을 일치시키는데 한계가 노출되고 이로써 작업성이 불량한 문제가 발생되었다.
1. 특허 제10-1648311호 2. 특허 제10-1693399호 3. 특허출원 제10-2015-0142270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
본 발명은 상술한 선행특허문헌의 기술에서 이루지 못한 즉, 전력선을 고정하는 무두볼트가 헤드부의 나사부로부터 이탈하는 문제와 실용성이 결여되었던 문제를 해결하는 진보된 구조와 기술로 이루어진 라인포스트 애자용 전력선 고정기구를 제공하는 것이 과제이다.
[발명의 구성 및 작용]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이 구성된다.
[실시예 1]
상판(11)의 아래쪽에는 라인포스트 애자의 헤드부가 삽입되는 공간부가 형성되고 상판(11)의 가장자리로는 수직환부(12)가 형성되며 상판(11)의 중앙에는 전력선 고정볼트가 관통하는 구멍(13)이 형성된 원형의 보강커버(10)와;
육각머리부(15)와 나사봉부(16) 사이에는 보강단(17)이 형성되며 나사봉부(16)가 라인포스트 애자의 전력선 안착 홈 좌우의 나사부에 조립되어 전력선 안착 홈에 걸려 있는 전력선이 움직이지 않도록 고정 시키는 전력선 고정볼트(14)와;
전력선 고정볼트(14)의 나사봉부(16)에 끼워지며 보강커버(10)의 상판(11)과 전력선 고정볼트(14)의 보강단(17) 사이에 위치한 채, 전력선 고정볼트(14)의 나사봉부(16)가 라인포스트 애자의 전력선 안착 홈 좌우의 나사부에 조립되어 전력선을 고정시킴과 동시에 높이가 축소되면서 보강커버(10)의 상판(11)에 탄력을 가하여 보강커버(10)가 라인포스트 애자의 헤드부로부터 이탈하거나 움직이지 않도록 하는 탄력수단을 포함하여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의 실시예에 있어서, 탄력수단은 절연성 접시 스프링 또는 절연성 자바라 관체 또는 절연성 코일 스프링 또는 고무 링 중에서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의 실시예에 있어서, 원형의 보강커버(10)의 구멍(13)은 나사구멍으로 대체된 것임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의 실시예에 있어서, 전력선 고정볼트(14)의 나사봉부(16)는 저면 중앙에 원형구멍이 더 추가된 것임을 특징으로 한다.
[실시예 2]
상판(21)의 아래쪽에는 라인포스트 애자의 헤드부가 삽입되는 공간부가 형성되고 상판(21)의 가장자리로는 수직환부(22)가 형성되며 상판(21)의 중앙에는 전력선 고정볼트가 관통하는 구멍(23)이 형성되고 상판(21)의 저면에는 구멍(23)의 직경보다 큰 직경을 가지는 돌출환부(24)가 형성된 원형의 보강커버(20)와;
육각머리부(15)와 나사봉부(16) 사이에는 보강단(17)이 형성되며 나사봉부(16)가 라인포스트 애자의 전력선 안착 홈 좌우의 나사부에 조립되어 전력선 안착 홈에 걸려 있는 전력선이 움직이지 않도록 고정 시키는 전력선 고정볼트(14)와;
보강커버(20)의 돌출환부(24)에 끼워진 채 전력선 고정볼트(14)의 나사봉부(16)가 라인포스트 애자의 전력선 안착 홈 좌우의 나사부에 조립되어 전력선을 고정시킴과 동시에 높이가 축소되면서 보강커버(20)의 상판(21)에 탄력을 가하여 보강커버(20)가 라인포스트 애자의 헤드부로부터 이탈하거나 움직이지 않도록 하는 탄력수단을 포함하여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의 실시예에 있어서, 탄력수단은 고무 링 또는 절연성 코일스프링 또는 절연성 자바라 관체 중에서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의 실시예에 있어서, 보강커버(20)의 구멍(23)은 나사구멍으로 대체된 것임을 특징으로 한다.
[실시예 3]
상판(31)의 윗면 중앙에는 육각머리부(32)가 형성되고 상판(31)의 아래쪽에는 라인포스트 애자의 헤드부가 삽입되는 공간부가 형성되며 상판(31)의 가장자리로는 수직환부(33)가 형성되고 상판(31)의 중앙부 저면에는 나사봉부(34)가 형성되며 상판(31)의 저면에는 나사봉부(34)의 직경보다 큰 직경을 가지는 돌출환부(35)가 형성된 원형의 보강커버(30)와;
보강커버(30)의 돌출환부(35)에 끼워진 채 전력선 나사봉부(34)가 라인포스트 애자의 전력선 안착 홈 좌우의 나사부에 조립되어 전력선을 고정시킴과 동시에 높이가 축소되면서 보강커버(30)의 상판(31)에 탄력을 가하여 보강커버(30)가 라인포스트 애자의 헤드부로부터 이탈하거나 움직이지 않도록 하는 탄력수단을 포함하여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의 실시예에 있어서, 탄력수단은 고무 링 또는 절연성 코일스프링 또는 절연성 자바라 관체 중에서 선택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한다.
[실시예 4]
환형 몸체(41)의 안쪽은 라인포스트 애자의 헤드부가 삽입되는 공간부가 형성되고 환형 몸체(41)의 위쪽으로는 경사관부(42)가 연장되며 경사관부(42)에서 연장된 상면(43)의 중앙에는 전력선 고정볼트의 나사봉부가 관통하는 구멍(44)이 형성된 보강커버(40)와;
육각머리부(15)와 나사봉부(16) 사이에는 보강단(17)이 형성되며 나사봉부(16)가 라인포스트 애자의 전력선 안착 홈 좌우의 나사부에 조립되어 전력선 안착 홈에 걸려 있는 전력선이 움직이지 않도록 고정 시키는 전력선 고정볼트(14)를 포함하여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의 실시예에 있어서, 보강커버(40)의 경사관부(42)로부터 상면(43)까지 사방으로 절개 홈(42a) 더 추가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면(43)의 중앙의 구멍(44)은 나사구멍으로 대체된 것임을 특징으로 한다.
[실시예 5]
상판(11)의 아래쪽에는 라인포스트 애자의 헤드부가 삽입되는 공간부가 형성되고 상판(11)의 가장자리로는 수직환부(12)가 형성되며 상판(11)의 중앙에는 전력선 고정볼트가 관통하는 구멍(13)이 형성된 원형의 보강커버(10)와;
육각머리부(61)와 나사봉부(62) 사이에는 깔때기 형태의 경사관체(63)가 형성되며 경사관체(63)와 나사봉부(62) 사이에는 공간부를 가지며 나사봉부(62)가 라인포스트 애자의 전력선 안착 홈 좌우의 나사부에 조립되어 전력선 안착 홈에 걸려있는 전력선이 움직이지 않도록 고정 시키는 전력선 고정볼트(60)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의 실시예에서, 경사관체(63)에는 도 23 및 도 24와 같이 사방으로 절개틈새(63a)가 형성된 것임을 특징으로 한다.
[실시예 6]
상판(71)의 아래쪽에는 라인포스트 애자의 헤드부가 삽입되는 공간부가 형성되고 상판(71)의 가장자리로는 수직환부(72)가 형성되며 상판(71)의 중앙에는 전력선 고정볼트의 나사봉부가 관통하는 구멍(73)이 형성되고 상판(71)의 저면에는 구멍(73)의 직경보다 큰 직경을 가지는 원형의 돌출관체(74)가 형성된 원형의 보강커버(70)와;
육각머리부(15)와 나사봉부(16) 사이에는 보강단(17)이 형성되며 나사봉부(16)가 라인포스트 애자의 전력선 안착 홈 좌우의 나사부에 조립되어 전력선 안착 홈에 걸려 있는 전력선이 움직이지 않도록 고정 시키는 전력선 고정볼트(14)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실시예 7]
상판(81)의 윗면 중앙에는 육각머리부(82)가 형성되고 상판(81)의 아래쪽에는 라인포스트 애자의 헤드부가 삽입되는 공간부가 형성되며 상판(81)의 가장자리로는 수직환부(83)가 형성되고 상판(81)의 중앙부 저면에는 나사봉부(84)가 형성되며 상판(81)의 저면에는 나사봉부(84)의 직경보다 큰 직경을 가지는 원형의 돌출관체(85)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의 실시예에 있어서, 나사봉부(84)의 저면 중앙에는 원형구멍이 더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에 있어서 다음과 같이 각 실시예와 작용을 살피기로 하는 바, 먼저 본 발명의 실시예 1의 예를 살핀다.
이는 도 2와 같이 원형의 보강커버(10)는 상판(11)의 아래쪽으로 라인포스트 애자의 헤드부가 도 6 과 같이 삽입되는 공간부가 형성되고 상판(11)의 가장자리로는 수직환부(12)가 형성되며 상판(11)의 중앙에는 전력선 고정볼트가 관통하는 구멍(13)이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수직환부(12)의 내경은 도 6과 같이 라인포스트 애자의 헤드부 상측에 원형의 보강커버(10)를 끼웠을 때 중간끼움 공차 정도를 가지도록 정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후술하는 다른 실시예의 경우도 동일하게 적용됨을 밝힌다.
상술한 원형의 보강커버(10)의 재질은 물성이 질기고 강한 플라스틱 종류 중에서 선택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며 이 역시 후술하는 다른 실시예의 경우도 동일하게 적용됨을 밝힌다.
이어서 전력선 고정볼트(14)는 도 1 과 같이 육각머리부(15)와 나사봉부(16)사이에는 보강단(17)이 형성되어 있는데, 도 7과 같이 나사봉부(16)가 라인포스트 애자의 전력선 안착 홈 좌우의 나사부에 조립되어 전력선 안착 홈에 걸려 있는 전력선이 움직이지 않도록 고정 시키는 역할을 하게 된다. 여기서 육각머리부(15)는 사각이나 팔각으로 변형이 가능하고 육각머리부(15) 대신에 원형의 머리 중앙에 무두볼트처럼 렌치를 끼워서 돌릴 수 있는 육각 또는 사각의 구멍을 형성시킬 수도 있음은 당연하다.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예 1의 예에서와 같은 전력선 고정볼트(14)는 후술하는 일부 실시예에서 동일하게 사용됨을 밝힌다.
한편, 전력선 고정볼트(14)의 보강단(17)은 경우에 따라 절연성 와샤로 대체할 수도 있음도 당연한 이치인 바, 이러한 상업적인 변화 정도는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예속되는 하위개념의 기술에 지나지 않는 것임이 당연하고 이하 후술하는 다른 실시예의 경우에도 동일하게 적용됨을 밝힌다.
상술한 전력선 고정볼트(14)의 재질은 물성이 질기고 강한 플라스틱 종류 중에서 선택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며 이 역시 후술하는 다른 실시예의 경우도 동일하게 적용됨을 밝힌다.
이어서 도 7과 같이 전력선 고정볼트(14)의 나사봉부(16)에 끼워지며 원형의 보강커버(10)의 상판(11)과 전력선 고정볼트(14)의 보강단(17) 사이에 위치한 채, 전력선 고정볼트(14)의 나사봉부(16)를 라인포스트 애자의 전력선 안착 홈 좌우의 나사부에 조립하여 전력선이 고정됨과 동시에 높이가 축소되면서 원형의 보강커버(10)의 상판(11)에 탄력을 가하여 원형의 보강커버(10)가 라인포스트 애자의 헤드부-이하 헤드부로 표현 함-로부터 이탈하거나 움직이지 않도록 하는 탄력수단은 도 6과 도 7, 도 10, 도 8과 도 9, 도 10과 같이 절연성 접시 스프링 또는 절연성 자바라 관체 또는 절연성 코일 스프링 또는 고무 링 중에서 선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시 살피면, 실시예 1의 예는 도 6과 같이 헤드부에 원형의 보강커버(10)를 끼움과 동시에 전력선 고정볼트(14)의 나사봉부(16)가 헤드부의 나사부에 조립되도록 하는데, 전력선 고정볼트(14)의 보강단(17)과 원형의 보강커버(10)의 상면 사이에는 일예로써 최소 1개 이상의 접시 스프링이 위치하도록 해서 접시 스프링이 압축되기 전의 자유높이가 유지되기 까지만 헤드부의 나사부에 나사봉부(16)가 조립되도록 한다.
즉, 도 6과 같이 전력선 고정볼트(14)의 나사봉부(16)의 저면이 전력선의 상단으로부터 2~3mm 정도의 틈새(G)가 유지되면서 접시 스프링이 압축되기 전의 시점까지 헤드부의 나사부에 나사봉부(16)를 조립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다른 실시예로써 절연성 자바라 관체 또는 절연성 코일 스프링 또는 고무 링도 같은 동일한 요령에 따라 사용된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 1의 예와 응용 실시예에서 접시 스프링을 사용할 경우 접시 스프링 2개를 사용하는 것으로 예시하고 있는데, 접시 스프링의 사용 숫자는 상업적인 선택사항에 지나지 않는 것임으로 크게 중요하지 않다.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예 1의 예를 비롯하여 후술하는 여타 실시예의 경우 전력선 안착 홈에 안착된 전력선의 직경은 가장 큰 대형의 직경을 예로써 도시하고 있음을 밝히는 바, 참고로 살피면 국내에 현존하는 전력선의 대형의 직경과 소형의 직경 차이는 8mm 정도에 불과하다.
이어서 살피면, 상술한 바와 같이 도 6의 상태처럼 전력선 고정볼트(14)의 나사봉부(16)가 헤드부의 나사부에 조립이 된 상태에서 전력선 고정볼트(14)를 더 조이게 되면 접시 스프링의 자유높이가 축소되면서 나사봉부(16)의 저면은 도 7과 같이 전력선의 상단에 접촉되어 전력선을 눌러서 고정 시킨다.
이때 접시 스프링은 자유높이가 축소됨에 따라 탄발력이 작용하게 되기 때문에 원형의 보강커버(10)를 헤드부 쪽으로 밀어서 밀착 시키게 되는데, 이 상태는 도 7과 같이 전력선을 고정함과 아울러 원형의 보강커버(10)가 헤드부의 상측에 끼워진 채 접시 스프링의 탄발력에 의해 헤드부에 밀착되기 때문에 고정커버(10)는 충격과 진동이 가해져도 헤드부에서 이탈이 되지 않고 나아가 전력선 안착 홈을 기준하여 좌우로 헤드부가 벌어지려고 하는 작용을 억제시키게 되는 것이며 이로써 전력선 고정볼트(14)의 나사봉부(16)는 헤드부의 나사부에서 이탈을 하지 않게 됨으로써 본 발명의 가장 큰 목적을 달성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도 7의 상태에서 전력선의 직경이 중형일 경우 전력선 고정볼트(14)를 더 조이면 접시 스프링이 더 압축되면서 나사봉부(16)도 더 하강하게 되기 때문에 중형의 전력선도 고정이 가능하고, 소형의 전력선일 경우에도 전력선 고정볼트(14)를 더 조이면 접시 스프링은 더 납작해지면서 나사봉부(16)도 더 하강함에 따라 소형의 전력선도 문제없이 고정을 시킬 수가 있는데, 상술한 바와 같이 국내에 현존하는 전력선의 대형의 직경과 소형의 직경 차이는 8mm 정도에 불과하므로 본 발명은 문제없이 실시가 가능하고 이는 본 발명에서 매우 중요한 기술로 대두되며 후술하는 다른 실시예에서도 동일하게 적용된다.
상술한 구성에 있어서 원형의 보강커버(10)의 구멍(13)은 나사구멍으로 대체하여 나사봉부(16)가 나사조립식으로 상판(11)을 관통될 수 있도록 할 수도 있으며 후술하는 다른 실시예의 보강커버 중앙의 구멍 즉, 전력선 고정볼트가 관통하는 구멍을 나사구멍으로 대체하여 전력선 고정볼트의 나사봉부가 나사조립식으로 조립이 되도록 할 수도 있다.
그리고 전력선 고정볼트(14)의 나사봉부(16)의 저면 중앙에는 도면과 같이 원형구멍을 형성시켜서 후술하는 다른 실시예의 도 29와 같이 전력선 누름 판의 원형 돌기가 나사봉부(16)의 원형구멍 안으로 삽입되도록 하여서 공지의 전력선 누름판을 본 발명에 사용할 수 있도록 할 수도 있는 바, 이는 본 발명의 모든 실시예에서 전부 적용될 수 있음을 밝힌다.
이어서 본 발명의 실시예 2를 살핀다. 이는 도 3과 도 11, 도 12를 통해 구조를 쉽게 알 수 있는데, 보강커버(20)의 상판(21)의 아래쪽에는 라인포스트 애자의 헤드부가 삽입되는 공간부가 형성되고 상판(21)의 가장자리로는 수직환부(22)가 형성되며 상판(21)의 중앙에는 전력선 고정볼트(14)의 나사봉부(16)가 관통하는 구멍(23)이 형성되고 상판(21)의 저면에는 구멍(23)의 직경보다 큰 직경을 가지는 돌출환부(24)가 형성되어 있다.
이 역시 보강커버(20)의 돌출환부(24)에 끼워진 채 전력선 고정볼트(14)의 나사봉부(16)를 라인포스트 애자의 전력선 안착 홈 좌우의 나사부에 조립하여 전력선이 고정됨과 동시에 높이가 축소되면서 보강커버(20)의 상판(21)에 탄력을 가하여 보강커버(20)가 라인포스트 애자의 헤드부로부터 이탈하거나 움직이지 않도록 하는 탄력수단을 갖추게 되는데, 탄력수단은 고무 링 또는 절연성 코일스프링 또는 절연성 자바라 관체 중에서 선택되며, 플라스틱으로 제작되는 절연성 코일스프링과 고무 또는 플라스틱, 합성수지 등으로 제작되는 절연성 자바라 관체는 도 8과 도 9를 통해 쉽게 이해할 수가 있다.
이러한 실시예 2는 실시예 1과 비교할 때 탄력수단이 절연성 보강커버의 외부에 구비된 실시예 1과 달리 탄력수단이 절연성 보강커버의 안쪽에 구비되는 차이만 있는데, 도 4와 같이 보강커버(20)의 상판(21)의 저면에 돌출환부(24)가 형성되어 있어서 상술한 고무 링 또는 절연성 자바라 관체 또는 절연성 코일스프링을 돌출환부(24)에 끼워서 사용할 수가 있다.
이와 같은 실시예 2는 실시예 1과 비교할 때 탄력수단의 위치만 상이하고 그 작용과 효과는 실시예 1과 동일한데, 도 11과 같이 보강커버(20) 안쪽에 고무 링이 돌출환부(24)에 끼어 있는 것을 예로써 설명하면, 도 11의 상태처럼 전력선 고정볼트(14)의 나사봉부(16)가 헤드부의 나사부에 조립이 된 상태에서 나사봉부(16)의 저면과 전력선의 상면 사이에 틈새(G)가 유지되도록 하는 바, 이에 대한 이유는 실시예 1을 통해 설명하였으므로 중복 설명은 하지 않기로 한다.
이어서 도 11의 상태에서 전력선 고정볼트(14)를 더 조이게 되면 고무 링의 자유높이가 축소되면서 나사봉부(16)의 저면은 도 12와 같이 전력선의 상단에 접촉되어 전력선을 누른 채 고정 시킨다.
이때 고무 링은 도 15와 같이 자유높이가 축소됨에 따라 탄발력이 작용하게 되기 때문에 헤드부의 상면에 밀착이 된 상태에서 보강커버(20)에 탄발력을 가하게 되므로 보강커버(20)는 헤드부에 끼워진 채 위치고정이 되기 때문에 절연성 고정커버(20)는 충격과 진동이 가해져도 헤드부에서 이탈이 되지 않고 나아가 전력선 안착 홈을 기준하여 좌우로 헤드부가 벌어지려고 하는 작용을 억제시키게 되는 것이며 이로써 전력선 고정볼트(14)의 나사봉부(16)는 헤드부의 나사부에서 이탈을 하지 않게 되는 것이다.
다음, 본 발명의 실시예 3을 살피기로 한다. 이는 도 4와 도 5 그리고 도 13을 통해 구조를 쉽게 알 수 있는데, 보강커버(30)에 나사봉부(34)와 육각머리부(32)가 한 몸을 이루고 있다. 그리고 실시예 2의 예와 같이 보강커버(30)의 안쪽에 돌출환부(35)가 구비되어 있어서 상술한 바와 같은 탄력수단을 끼울 수가 있도록 되어 있다. 여기서 탄력수단은 고무 링 또는 절연성 코일스프링 또는 절연성 자바라 관체로 대체될 수 있으며 이와 관련한 설명은 실시예 2를 통해서 제시하고 있으므로 중복 설명은 하지 않기로 한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 3의 예에서는 탄력수단으로써 고무 링을 사용하는 것을 예로 설명한다.
이와 같은 실시예 3은, 상판(31)의 위쪽 중앙에 육각머리부(32)가 구비되고 상판(31)의 저면 중앙에 나사봉부(34)가 형성되어 있어서 육각머리부(32)를 공구로 회전 시키면 도 13과 같이 라인포스트 애자의 헤드부에 형성되어 있는 나사부에 나사봉부(34)를 조립할 수 있는데, 앞선 실시예의 설명에서와 같이 나사봉부(34)의 저면과 전력선의 상면 사이에는 틈새(G)가 형성되도록 하며 이때 고무 링은 압축되지 않고 자유높이를 유지하고 있는 상태이다.
이어서 도 16의 상태에서 육각머리부(32)를 더 조이게 되면 고무 링(36)의 자유높이가 축소되면서 나사봉부(34)의 저면은 도 14와 같이 전력선의 상단에 접촉되어 전력선을 누른 채 고정 시킨다.
이때 보강커버(30)도 같이 하강을 하기 때문에 고무 링은 도 14와 같이 자유높이가 축소됨에 따라 탄발력이 작용하게 되기 때문에 헤드부의 상면에 밀착이 된 상태에서 상판(31)에 압력을 가하게 되므로 보강커버(30)는 헤드부에 끼워진 채 위치고정이 됨에 따라 보강커버(30)는 충격과 진동이 가해져도 헤드부에서 이탈이 되지 않고 나아가 전력선 안착 홈을 기준하여 좌우로 헤드부가 벌어지려고 하는 작용을 억제시키게 되는 것이며 이로써 나사봉부(34)는 헤드부의 나사부에서 이탈을 하지 않게 되는 것이다.
다음, 실시예 4를 살핀다. 이는 상술한 모든 실시예와는 전혀 다른 구조를 가지는 특징이 있는데, 상술한 실시예에서 적용하고 있는 탄력수단이 생략되고 보강커버(40) 자체에서 탄력수단의 기능을 겸하는 구조를 가지고 있다.
즉, 보강커버(40)는 도 15와 도 16을 통해 구조를 쉽게 이해할 수가 있는데, 환형 몸체(41)의 안쪽은 라인포스트 애자의 헤드부가 삽입되는 공간부가 형성되고 환형 몸체(41)의 위쪽으로는 경사관부(42)가 연장되며 경사관부(42)에서 연장된 상면(43)의 중앙에는 전력선 고정볼트(14)의 나사봉부(16)가 관통하는 구멍(44)이 형성되어 있어서 경사관부(42) 자체가 탄성을 가질 수 있는 바, 상술한 실시예들에 적용된 탄력수단을 대체할 수 있는 것이다. 여기서 도 17과 도 18의 경우와 같이 보강커버(40)의 경사관부(42)로부터 상면(43)까지 사방으로 절개 틈새(42a)를 더 추가하여 사용할 수도 있으며, 또한 상술한 구멍(44)은 나사구멍으로 대체할 수도 있음을 밝힌다.
이는 도 19와 같이 전력선 고정볼트(14)의 나사봉부(16)가 보강커버(40)의 구멍(44)을 관통한 채 헤드부의 나사부에 조립이 되며 전력선 고정볼트(14)의 나사봉부(16)의 저면과 전력선의 상면 사이에는 상술한 실시예들에서 제시한 바와 같은 요령에 따라 틈새(G)가 유지되도록 한다. 물론 이 상태는 보강커버(40)의 경사관부(42)는 전력선 고정볼트(14)의 보강단(17)으로부터 하향 압력을 받지 않고 있는 상태이다.
이어서 도 20과 같이 전력선 고정볼트(14)를 더 조이게 되면 경사관부(42)는 아래쪽으로 압축되면서 탄발력이 작용하게 되기 때문에 전력선 고정볼트(14)의 보강단(17)의 저면에 압력을 가하면서 보강커버(40)에도 작용과 반작용의 원리에 의해 탄발력을 가하기 때문에 보강커버(40)는 헤드부에 안정되게 끼워진 채 위치고정이 됨에 따라 보강커버(40)는 충격과 진동이 가해져도 헤드부에서 이탈이 되지 않고 나아가 전력선 안착 홈을 기준하여 좌우로 헤드부가 벌어지려고 하는 작용을 억제시키게 되는 것이며 이로써 전력선 고정볼트(14)의 나사봉부(16)는 헤드부의 나사부에서 이탈을 하지 않게 되는 것이다.
다음, 본 발명의 실시예 5를 살피기로 하는 바, 실시예 5의 예에서는 실시예 1의 보강커버(10)를 그대로 사용하며 특이한 구조의 전력선 고정볼트(60)를 사용하는 특징이 있다.
이는 앞서 설명한 보강커버(10)를 사용하게 되며, 도 21 및 도 22와 같이 육각머리부(61)와 나사봉부(62) 사이에는 깔때기 형태의 경사관체(63)가 형성되며 경사관체(63)와 나사봉부(62) 사이에는 공간부를 가지며 나사봉부(62)가 라인포스트 애자의 전력선 안착 홈 좌우의 나사부에 조립되어 전력선 안착 홈에 걸려 있는 전력선이 움직이지 않도록 고정 시키는 전력선 고정볼트(60)로 이루어져 있다.
여기서 경사관체(63)에는 도 23 및 도 24와 같이 사방으로 절개틈새(63a)가 더 형성되도록 할 수 있고, 경사관체(63)의 형태는 반원형으로 즉, 사발을 엎어 놓은 것과 유사한 형태로 변화시킬 수도 있음은 당연한데, 이러한 상업적인 변화는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예속되는 것임이 자명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 5의 예는 상술한 바와 같이 독특한 구조의 전력선 고정볼트(60)를 사용하고 있는데, 앞서 설명한 실시예들과 같은 요령에 따라 도 27과 같이 보강커버(10)를 헤드부에 삽입시킴과 동시에 보강커버(10)의 구멍(13)에 조립되어 있는 전력선 고정볼트(60)를 회전시켜 나사봉부(62)가 헤드부의 나사부에 조립이 되도록 하되 나사봉부(62)의 저면과 전력선의 상단 사이에는 역시 틈새(G)가 유지되도록 한다.
이어서 전력선 고정볼트(60)를 더 조여서 하강 시키게 되면 도 28과 같이 나사봉부(62)의 저면이 전력선의 상단을 눌러서 고정을 시키게 되며 이와 동시에 경사관체(63)는 보강커버(10)의 상면(11)을 향하여 하강하기 때문에 도 28과 같이 경사관체(63)가 벌어지면서 보강커버(10)의 상면에 탄발력을 가하게 된다.
따라서 보강커버(10)는 헤드부에 안정되게 끼워진 채 위치고정이 됨에 따라 보강커버(10)는 충격과 진동이 가해져도 헤드부에서 이탈이 되지 않고 나아가 전력선 안착 홈을 기준하여 좌우로 헤드부가 벌어지려고 하는 작용을 억제시키게 되는 것이며 이로써 전력선 고정볼트(60)의 나사봉부(62)는 헤드부의 나사부에서 이탈을 하지 않게 되는 것이다.
다음, 본 발명의 실시예 6을 살피기로 한다. 이는 도 32 및 도 33과 같이 상판(71)의 아래쪽에는 라인포스트 애자의 헤드부가 삽입되는 공간부가 형성되고 상판(71)의 가장자리로는 수직환부(72)가 형성되며 상판(71)의 중앙에는 전력선 고정볼트의 나사봉부가 관통하는 구멍(73)이 형성되고 상판(71)의 저면에는 구멍(73)의 직경보다 큰 직경을 가지는 원형의 돌출관체(74)가 형성된 원형의 보강커버(70)와, 실시예 1의 예에서 사용되는 전력선 고정볼트(14)를 사용하여 이루어지게 된다.
이와 같은 구조를 가지는 실시예 6은 도 34와 같이 보강커버(70)를 헤드부에 삽입시킴과 동시에 전력선 고정볼트(14)를 회전시켜 나사봉부(16)가 헤드부의 나사부에 조립이 되도록 하며 나사봉부(16)의 저면과 전력선의 상단 사이에는 역시 틈새(G)가 유지되도록 하고, 이때 원형의 돌출관체(74)에는 압력이 가해지지 않고 있는 상태이다.
이어서 전력선 고정볼트(14)를 더욱 조여서 나사봉부(16)가 하강함에 따라 도 35와 같이 나사봉부(16)의 저면은 전력선의 상단을 눌러서 전력선을 고정 시키게 된다. 이와 같이 나사봉부(16)가 더욱 하강할 때 보강커버(70)를 아래로 눌러주게 되고 이에 따라 헤드부의 상면에 접촉되어 있던 돌출관체(74)는 압력을 받아서 도 35와 같이 하단부가 벌어지면서 탄발력을 작용하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보강커버(70)는 헤드부에 안정되게 끼워진 채 위치고정이 됨에 따라 보강커버(70)는 충격과 진동이 가해져도 헤드부에서 이탈이 되지 않고 나아가 전력선 안착 홈을 기준하여 좌우로 헤드부가 벌어지려고 하는 작용을 억제시키게 되는 것이며 이로써 전력선 고정볼트(14)의 나사봉부(16)는 헤드부의 나사부에서 이탈을 하지 않게 되는 것이다.
다음, 본 발명의 실시예 7을 살피기로 한다.
이는 도 36 및 도 37과 같이 상판(81)의 윗면 중앙에는 육각머리부(82)가 형성되고 상판(81)의 아래쪽에는 라인포스트 애자의 헤드부가 삽입되는 공간부가 형성되며 상판(81)의 가장자리로는 수직환부(83)가 형성되고 상판(81)의 중앙부 저면에는 나사봉부(84)가 형성되며 상판(81)의 저면에는 나사봉부(84)의 직경보다 큰 직경을 가지는 원형의 돌출관체(85)가 형성된 것이다.
여기서 나사봉부(84)의 저면 중앙에는 원형구멍이 더 형성 시켜서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전력선 누름 판을 나사봉부(84)에 조립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구조를 가지는 실시예 7은 도 38과 같이 보강커버(80)를 헤드부에 삽입시킴과 동시에 육각머리부(82)에 공구를 끼우고 전체를 회전을 시켜 나사봉부(84)가 헤드부의 나사부에 조립이 되도록 하며 나사봉부(84)의 저면과 전력선의 상단 사이에는 역시 틈새(G)가 유지되도록 하고, 이때 원형의 돌출관체(85)에는 압력이 가해지지 않고 있는 상태이다.
이어서 육각머리부(82)를 더욱 조여서 보강커버(80)가 하강함에 따라 도 39와 같이 나사봉부(84)의 저면은 전력선의 상단을 눌러서 전력선을 고정 시키게 된다. 이와 같이 나사봉부(84)가 더욱 하강할 때 보강커버(80)도 당연히 하강을 하기 때문에 헤드부의 상면에 접촉되어 있던 돌출관체(85)는 압력을 받아서 도 39와 같이 하단부가 벌어지면서 탄발력을 작용하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보강커버(80)는 헤드부에 안정되게 끼워진 채 위치고정이 됨에 따라 보강커버(80)는 충격과 진동이 가해져도 헤드부에서 이탈이 되지 않고 나아가 전력선 안착 홈을 기준하여 좌우로 헤드부가 벌어지려고 하는 작용을 억제시키게 되는 것이며 이로써 나사봉부(84)는 헤드부의 나사부에서 이탈을 하지 않게 되는 것이다.
한편, 상술한 본 발명의 모든 실시예에서 보강커버와 전력선 고정볼트는 현재 시중에서 사용되고 있는 다양한 종류의 비전도성 표면보호 피막제를 코팅하여 사용할 수 있고, 이를 통해 다양한 색상을 띠게 할 수도 있다.
그리고 상술한 각 보강커버들은 원형을 기준하여 제작된 것을 예시하고 있으나 경우에 따라 육각형이나 팔각형 등의 형태로 외형을 이루도록 할 수 있음은 당연하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은 라인포스트 애자의 헤드부에 형성된 전력선 안착 홈을 기준으로 헤드부가 좌우로 벌어지는 현상을 예방하여 전력선 고정볼트가 헤드부의 나사부로부터 느슨해지거나 또는 헤드부의 나사부를 이탈함에 따라 전력선을 고정 시키는 기능이 상실되는 폐단을 방지할 수 있으며 이에 의해 전기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매우 유용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현존하는 전력선의 대, 중, 소의 직경에서 대형의 직경과 소형의 직경의 차이가 8mm 정도 이므로 전력선의 대형의 직경을 고정시킬 수 있도록 맞추어 한 종류만 생산하여도 전력선의 소형의 직경까지 고정시킬 수 있는 신규한 기술이 적용되어 있어 전력선의 직경이 수시로 변화가 되어도 작업에 혼란이 초래되지 않는 유리함이 있고 이로써 경제성도 매우 탁월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전력선 고정볼트(14)를 나타낸 정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보강커버(10)를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보강커버를 나타낸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보강커버를 나타낸 평면도.
도 5는 도 4를 기준한 중앙부 수직 종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사용 상태의 참고도.
도 7은 도 6을 기준한 부분 확대도.
도 8과 도 9, 도 10은 본 발명에서 탄력수단으로 적용되는 예를 나타낸 참고도.
도 11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사용 상태의 참고도.
도 12는 도 11을 기준한 부분 확대도.
도 13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사용 상태의 참고도.
도 14는 도 13을 기준한 부분 확대도.
도 1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보강커버를 나타낸 평면도.
도 16은 도 15를 기준한 중앙부 수직 종단면도.
도 1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보강커버의 응용 실시예를 나타낸 평면도.
도 18은 도 17을 기준한 중앙부 수직 종단면도.
도 19는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사용 상태의 참고도.
도 20은 도 19를 기준한 부분 확대도.
도 2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전력선 고정볼트를 나타낸 평면도.
도 22는 도 21을 기준한 중앙부 수직 종단면도.
도 2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보강커버의 응용 실시예를 나타낸 평면도.
도 24는 도 23을 기준한 중앙부 수직 종단면도.
도 25는 본 발명의 제 5 실시예에서 보강커버에 전력선 고정볼트가 조립되어 있는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
도 26은 도 25를 기준한 중앙부 수직 종단면도.
도 27과 도 28은 본 발명의 제 5 실시예에 따른 사용 상태의 참고도.
도 29는 본 발명의 제 5 실시예를 대표적으로 정하여 전력선 누름 판을 사용하여 전력선을 눌러서 고정하는 상태를 나타낸 참고도.
도 30은 본 발명이 적용될 수 있는 라인포스트 애자의 일예를 나타낸 평면도.
도 31은 도 30을 기준한 라인포스트 애자의 일예에서 전력선 삽입통로가 나타나도록 상측만 부분 단면 처리를 정면도.
도 3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보강커버를 나타낸 단면도.
도 33은 도 32를 기준한 저면도.
도 34는 본 발명의 제 6 실시예에 따른 사용 상태의 참고도.
도 35는 도 34를 기준한 부분 확대도.
도 3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보강커버를 나타낸 단면도.
도 37은 도 36을 기준한 저면도.
도 38은 본 발명의 제 7 실시예에 따른 사용 상태의 참고도.
도 39는 도 38을 기준한 부분 확대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10, 20, 30, 40, 70, 80: 보강커버
14, 60, 45: 전력선 고정볼트
.

Claims (18)

  1. 상판(11)의 아래쪽에는 라인포스트 애자의 헤드부가 삽입되는 공간부가 형성되고 상판(11)의 가장자리로는 수직환부(12)가 형성되며 상판(11)의 중앙에는 전력선 고정볼트가 관통하는 구멍(13)이 형성된 원형의 보강커버(10)와;
    육각머리부(15)와 나사봉부(16) 사이에는 보강단(17)이 형성되며 나사봉부(16)가 라인포스트 애자의 전력선 안착 홈 좌우의 나사부에 조립되어 전력선 안착 홈에 걸려 있는 전력선이 움직이지 않도록 고정 시키는 전력선 고정볼트(14)와;
    전력선 고정볼트(14)의 나사봉부(16)에 끼워지며 보강커버(10)의 상판(11)과 전력선 고정볼트(14)의 보강단(17) 사이에 위치한 채, 전력선 고정볼트(14)의 나사봉부(16)가 라인포스트 애자의 전력선 안착 홈 좌우의 나사부에 조립되어 전력선을 고정시킴과 동시에 높이가 축소되면서 보강커버(10)의 상판(11)에 탄력을 가하여 보강커버(10)가 라인포스트 애자의 헤드부로부터 이탈하거나 움직이지 않도록 하는 탄력수단을 포함하여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인포스트 애자용 전력선 고정기구.
  2. 제 1 항에 있어서, 탄력수단은 절연성 접시 스프링 또는 절연성 자바라 관체 또는 절연성 코일 스프링 또는 고무 링 중에서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인포스트 애자용 전력선 고정기구.
  3. 제 1 항에 있어서, 원형의 보강커버(10)의 구멍(13)은 나사구멍으로 대체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라인포스트 애자용 전력선 고정기구.
  4. 제 1 항에 있어서, 전력선 고정볼트(14)는 나사봉부의 저면 중앙에 원형구멍이 더 추가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라인포스트 애자용 전력선 고정기구.
  5. 상판(21)의 아래쪽에는 라인포스트 애자의 헤드부가 삽입되는 공간부가 형성되고 상판(21)의 가장자리로는 수직환부(22)가 형성되며 상판(21)의 중앙에는 전력선 고정볼트가 관통하는 구멍(23)이 형성되고 상판(21)의 저면에는 구멍(23)의 직경보다 큰 직경을 가지는 돌출환부(24)가 형성된 원형의 보강커버(20)와;
    육각머리부(15)와 나사봉부(16) 사이에는 보강단(17)이 형성되며 나사봉부(16)가 라인포스트 애자의 전력선 안착 홈 좌우의 나사부에 조립되어 전력선 안착 홈에 걸려있는 전력선이 움직이지 않도록 고정 시키는 전력선 고정볼트(14)와;
    보강커버(20)의 돌출환부(24)에 끼워진 채 전력선 고정볼트(14)의 나사봉부(16)가 라인포스트 애자의 전력선 안착 홈 좌우의 나사부에 조립되어 전력선을 고정시킴과 동시에 높이가 축소되면서 보강커버(20)의 상판(21)에 탄력을 가하여 보강커버(20)가 라인포스트 애자의 헤드부로부터 이탈하거나 움직이지 않도록 하는 탄력수단을 포함하여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인포스트 애자용 전력선 고정기구.
  6. 제 5 항에 있어서, 탄력수단은 고무 링 또는 절연성 코일스프링 또는 절연성 자바라 관체 중에서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인포스트 애자용 전력선 고정기구.
  7. 제 5 항에 있어서, 구멍(23)은 나사구멍으로 대체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라인포스트 애자용 전력선 고정기구.
  8. 상판(31)의 윗면 중앙에는 육각머리부(32)가 형성되고 상판(31)의 아래쪽에는 라인포스트 애자의 헤드부가 삽입되는 공간부가 형성되며 상판(31)의 가장자리로는 수직환부(33)가 형성되고 상판(31)의 중앙부 저면에는 나사봉부(34)가 형성되며 상판(31)의 저면에는 나사봉부(34)의 직경보다 큰 직경을 가지는 돌출환부(35)가 형성된 원형의 보강커버(30)와;
    보강커버(30)의 돌출환부(35)에 끼워진 채 보강커버의 나사봉부(34)가 라인포스트 애자의 전력선 안착 홈 좌우의 나사부에 조립되어 전력선을 고정시킴과 동시에 높이가 축소되면서 보강커버(30)의 상판(31)에 탄력을 가하여 보강커버(30)가 라인포스트 애자의 헤드부로부터 이탈하거나 움직이지 않도록 하는 탄력수단을 포항하여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인포스트 애자용 전력선 고정기구.
  9. 제 8 항에 있어서, 탄력수단은 고무 링 또는 절연성 코일스프링 또는 절연성 자바라 관체 중에서 선택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라인포스트 애자용 전력선 고정기구.
  10. 제 8 항에 있어서, 보강커버의 나사봉부(34)의 저면에는 원형구멍이 추가로 형성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라인포스트 애자용 전력선 고정기구.
  11. 환형 몸체(41)의 안쪽은 라인포스트 애자의 헤드부가 삽입되는 공간부가 형성되고 환형 몸체(41)의 위쪽으로는 경사관부(42)가 연장되며 경사관부(42)에서 연장된 상면(43)의 중앙에는 전력선 고정볼트의 나사봉부가 관통하는 구멍(44)이 형성된 보강커버(40)와;
    육각머리부(15)와 나사봉부(16) 사이에는 보강단(17)이 형성되며 나사봉부(16)가 라인포스트 애자의 전력선 안착 홈 좌우의 나사부에 조립되어 전력선 안착 홈에 걸려 있는 전력선이 움직이지 않도록 고정 시키는 전력선 고정볼트(14)를 포함하여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인포스트 애자용 전력선 고정기구.
  12. 제 11 항에 있어서, 보강커버(40)의 경사관부(42)로부터 상면(43)까지 사방으로 절개 틈새(42a)가 더 추가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인포스트 애자용 전력선 고정기구.
  13. 제 11 항에 있어서, 상면(43)의 중앙의 구멍(44)은 나사구멍으로 대체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라인포스트 애자용 전력선 고정기구.
  14. 상판(11)의 아래쪽에는 라인포스트 애자의 헤드부가 삽입되는 공간부가 형성되고 상판(11)의 가장자리로는 수직환부(12)가 형성되며 상판(11)의 중앙에는 전력선 고정볼트가 관통하는 구멍(13)이 형성된 원형의 보강커버(10)와;
    육각머리부(61)와 나사봉부(62) 사이에는 깔때기 형태의 경사관체(63)가 형성되며 경사관체(63)와 나사봉부(62) 사이에는 공간부를 가지며 나사봉부(62)가 라인포스트 애자의 전력선 안착 홈 좌우의 나사부에 조립되어 전력선 안착 홈에 걸려있는 전력선이 움직이지 않도록 고정 시키는 전력선 고정볼트(60)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인포스트 애자용 전력선 고정기구.
  15. 제 14항에 있어서, 경사관체(63)에는 사방으로 절개틈새(63a)가 형성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라인포스트 애자용 전력선 고정기구.
  16. 상판(71)의 아래쪽에는 라인포스트 애자의 헤드부가 삽입되는 공간부가 형성되고 상판(71)의 가장자리로는 수직환부(72)가 형성되며 상판(71)의 중앙에는 전력선 고정볼트의 나사봉부가 관통하는 구멍(73)이 형성되고 상판(71)의 저면에는 구멍(73)의 직경보다 큰 직경을 가지는 원형의 돌출관체(74)가 형성된 원형의 보강커버(70)와;
    육각머리부(15)와 나사봉부(16) 사이에는 보강단(17)이 형성되며 나사봉부(16)가 라인포스트 애자의 전력선 안착 홈 좌우의 나사부에 조립되어 전력선 안착 홈에 걸려 있는 전력선이 움직이지 않도록 고정 시키는 전력선 고정볼트(14)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인포스트 애자용 전력선 고정기구.
  17. 상판(81)의 윗면 중앙에는 육각머리부(82)가 형성되고 상판(81)의 아래쪽에는 라인포스트 애자의 헤드부가 삽입되는 공간부가 형성되며 상판(81)의 가장자리로는 수직환부(83)가 형성되고 상판(81)의 중앙부 저면에는 나사봉부(84)가 형성되며 상판(81)의 저면에는 나사봉부(84)의 직경보다 큰 직경을 가지는 원형의 돌출관체(85)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인포스트 애자용 전력선 고정기구.
  18. 제 17항에 있어서, 나사봉부(84)의 저면 중앙에는 원형구멍이 더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인포스트 애자용 전력선 고정기구.
KR1020200047612A 2020-04-17 2020-04-17 라인포스트 애자용 전력선 고정기구 KR10236475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47612A KR102364759B1 (ko) 2020-04-17 2020-04-17 라인포스트 애자용 전력선 고정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47612A KR102364759B1 (ko) 2020-04-17 2020-04-17 라인포스트 애자용 전력선 고정기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28870A true KR20210128870A (ko) 2021-10-27
KR102364759B1 KR102364759B1 (ko) 2022-02-17

Family

ID=782869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47612A KR102364759B1 (ko) 2020-04-17 2020-04-17 라인포스트 애자용 전력선 고정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64759B1 (ko)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21580A (ko) * 2000-09-27 2002-03-21 나현수 애자용 전선 고정장치
JP2012190751A (ja) * 2011-03-14 2012-10-04 Chugoku Electric Power Co Inc:The 高圧用バインドレスピン碍子
KR20150142270A (ko) 2014-06-11 2015-12-22 최민성 외발 자전거
KR20160029613A (ko) * 2014-09-05 2016-03-15 송홍준 라인포스트 애자
KR101648311B1 (ko) 2015-08-03 2016-08-12 송홍준 라인포스트 애자
CN206672727U (zh) * 2017-04-11 2017-11-24 国网青海省电力公司海南供电公司 一种绝缘子的防鸟类排泄物装置
CN207867978U (zh) * 2017-12-13 2018-09-14 江西省萍乡市新辉电瓷有限公司 一种瓷复合支柱绝缘子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21580A (ko) * 2000-09-27 2002-03-21 나현수 애자용 전선 고정장치
JP2012190751A (ja) * 2011-03-14 2012-10-04 Chugoku Electric Power Co Inc:The 高圧用バインドレスピン碍子
KR20150142270A (ko) 2014-06-11 2015-12-22 최민성 외발 자전거
KR20160029613A (ko) * 2014-09-05 2016-03-15 송홍준 라인포스트 애자
KR101693399B1 (ko) 2014-09-05 2017-01-06 송홍준 라인포스트 애자
KR101648311B1 (ko) 2015-08-03 2016-08-12 송홍준 라인포스트 애자
CN206672727U (zh) * 2017-04-11 2017-11-24 国网青海省电力公司海南供电公司 一种绝缘子的防鸟类排泄物装置
CN207867978U (zh) * 2017-12-13 2018-09-14 江西省萍乡市新辉电瓷有限公司 一种瓷复合支柱绝缘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64759B1 (ko) 2022-02-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408155B2 (ja) 高圧直流リレーの水平偏向防止機構
US20080298886A1 (en) Bicycle tube-clamp assembly
CN104092116A (zh) 一种全密封配电柜
KR101399043B1 (ko) 가공 배전선 고정용 전주의 애자 설치형 완철
US10374407B2 (en) Conductor spacer assembly with locking feature
KR101344039B1 (ko) 송전 특고압 전선의 철탑 고정용 홀더
US2701871A (en) Quick-acting binding post
KR102364759B1 (ko) 라인포스트 애자용 전력선 고정기구
CN204857615U (zh) 一种接线稳固的漏电断路器
US20130200129A1 (en) Apparatus for driving and removing fasteners
CN210350125U (zh) 一种箱内电缆接地装置
KR101446932B1 (ko) 배전선의 탈선을 방지하는 절연애자
KR101877026B1 (ko) 가공전선 고정과 배전용 애자를 갖춘 전주
US20220085590A1 (en) Clamp-type Line Post Insulator
US9443678B1 (en) Tattoo machine foot switch
KR102080408B1 (ko) 라인포스트 애자
KR101413960B1 (ko) 배전용 전주의 배전선 지지완철
CN210006283U (zh) 一种外语教学用拼字板
KR101710790B1 (ko) 방수능력을 향상시킨 실외용 조명기구
US2297713A (en) High-tension insulator
CN217215132U (zh) 一种机电安装用绝缘导线连接器
CN216027867U (zh) 一种铆接分选测力结构
KR20190001005A (ko) 친 환경 타입 마이크로 폰
KR102407593B1 (ko) 라인포스트 애자용 보강커버의 조립을 용이하게 하는 전력선 누름 판
US1668581A (en) Electrical insulating knob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