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28811A - Apparatus detachable to toilet cover for sanitization of nozzle of bidet - Google Patents

Apparatus detachable to toilet cover for sanitization of nozzle of bidet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28811A
KR20210128811A KR1020200046940A KR20200046940A KR20210128811A KR 20210128811 A KR20210128811 A KR 20210128811A KR 1020200046940 A KR1020200046940 A KR 1020200046940A KR 20200046940 A KR20200046940 A KR 20200046940A KR 20210128811 A KR20210128811 A KR 2021012881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idet nozzle
bidet
toilet seat
lid
toil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46940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석동희
Original Assignee
석동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석동희 filed Critical 석동희
Priority to KR10202000469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128811A/en
Publication of KR202101288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28811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9/00Sanitary or other accessories for lavatories ; Devices for cleaning or disinfecting the toilet room or the toilet bowl; Devices for eliminating smells
    • E03D9/08Devices in the bowl producing upwardly-directed sprays; Modifications of the bowl for use with such devices ; Bidets; Combinations of bowls with urinals or bidets; Hot-air or other devices mounted in or on the bowl, urinal or bidet for cleaning or disinfecting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13/00Seats or covers for all kinds of closets
    • A47K13/24Parts or details not covered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A47K13/02 - A47K13/22, e.g. devices imparting a swinging or vibrating motion to the sea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02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using physical phenomena
    • A61L2/08Radiation
    • A61L2/10Ultraviolet radi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2/00Aspects relating to 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 A61L2202/10Apparatus features
    • A61L2202/12Apparatus for isolating biocidal substances from the environment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Toilet Supplies (AREA)
  • Bidet-Like Cleaning Device And Other Flush Toilet Accessories (AREA)

Abstract

A bidet nozzle sterilization apparatus comprises: a rear plate constructed to be attached to a lid for covering a toilet seat; a body coupled to the rear plate, mounted on the upper end of a discharge hole of the toilet seat while the lid is closed to seal the discharge hole, and including an opening part facing the discharge hole; and a sterilization lamp accommodated in the body and constructed to emit ultraviolet light through the opening part. The bidet nozzle sterilization apparatus is constructed such that the body of the bidet nozzle sterilization apparatus seals the discharge hole of the toilet seat when the lid of the toilet seat is closed to prevent smells from spreading to the entire bathroom or prevent the seat and the entire bathroom from being contaminated by bacteria scattering and waste splashing when flushing the toilet after defecation. Also, when the lid of the toilet seat with the bidet nozzle sterilization apparatus attached thereto is closed, the bidet nozzle sterilization apparatus emits strong ultraviolet light to kill bacteria or the like parasitic on a cleaning nozzle of a bidet to protect the cleaning apparatus of the bidet nozzle of which cleanness is difficult to maintain simply by periodic cleaning.

Description

변기커버 탈부착형 비데 노즐 살균 장치{APPARATUS DETACHABLE TO TOILET COVER FOR SANITIZATION OF NOZZLE OF BIDET}Toilet cover removable bidet nozzle sterilizer {APPARATUS DETACHABLE TO TOILET COVER FOR SANITIZATION OF NOZZLE OF BIDET}

실시예들은 변기커버 탈부착형 비데 노즐 살균 장치에 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변기시트와 뚜껑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어 용변 후 뚜껑을 덮으면 양변기의 물을 내릴 때 발생하는 오물 튀김과 세균 비산 및 냄새 발생 등을 방지할 수 있고, 자외선에 의해 비데 노즐의 세척 노즐을 살균할 수 있는, 비데 노즐 살균 장치에 대한 것이다. The embodiments relate to a toilet cover detachable bidet nozzle sterilizer, and more specifically, it is detachably coupled to the toilet seat and the lid, so that when the toilet is flushed after the toilet is closed, the filth and bacteria scattering and odor are generated. It relates to a bidet nozzle sterilizing apparatus capable of preventing generation and the like and sterilizing the washing nozzle of the bidet nozzle by ultraviolet light.

좌변기는 수세식 화장실에서 사용되는 변기로서 양변기라고도 한다. 양변기는 종래 화장실 변기에 비하여 앉은 자세로 대소변을 볼 수 있기에 보다 편리하고 깨끗한 사용이 가능하지만, 더욱 깨끗하고 쾌적한 환경을 추구하고 있는 현대인의 삶에서는 보다 많은 개선이 요구된다.A left toilet is a toilet used in a flush toilet and is also called a toilet. The toilet is more convenient and clean to use because it is possible to urinate in a sitting position compared to the conventional toilet toilet, but more improvement is required in the lives of modern people who are pursuing a cleaner and more comfortable environment.

양변기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대변을 보는 경우, 좌변기의 상단에 고정되는 시트에 앉은 상태에서 용변을 보고, 자동이나 수동의 스위치에 의해서 물을 내려 대변을 정화조로 흘려 버리게 되는데, 이때 위생상 문제가 발생된다. 구체적으로는, 대변을 보고 나서 물을 내리게 되면 물이 저수조에서 떨어지며 낙차가 큰 물살을 일으키게 된다. 이 물살은 용변수 저장공간에 떨어지며 용변과의 마찰을 일으킨다. 이 과정에서 용변에 존재하고 있던 유해세균들이 화장실 내부를 떠 다니며 화장실 내를 더럽히고 있다. 최근의 보도에 따르면 유해세균이 6m 이상까지도 비산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또한, 용변으로 인한 냄새도 화장실 전체에 퍼지게 되는 문제가 있다.When a user has a bowel movement using the toilet, he or she watches the toilet while sitting on a seat fixed on the top of the toilet, flushes the feces into the septic tank by using an automatic or manual switch. do. Specifically, if the water is flushed after having a bowel movement, the water will fall from the reservoir and cause a large drop. This current falls on the water storage space and causes friction with the toilet. In this process, harmful bacteria existing in the toilet are floating in the toilet and pollute the toilet. According to recent reports, harmful bacteria are known to scatter up to 6m or more. In addition, there is a problem that the smell from the toilet spreads throughout the bathroom.

한편, 최근에는 위생을 위하여 가정이나 회사에서 변기에 비데를 설치하여 사용하는 경우가 많아지고 있다. 비데는 장치 자체를 구입하여 자가 사용을 하거나, 또는 일정 주기마다 사용 금액을 지불하고 임대 방식으로 사용하는 경우가 많다. On the other hand, in recent years, for hygiene reasons, the use of a bidet installed in the toilet at home or in a company is increasing. Bidet devices are often purchased and used by themselves, or they are used in a rental manner by paying a usage amount at regular intervals.

그런데, 돌출된 세척 노즐을 통해 세척수를 배출하는 비데의 특성상 세척 노즐이 오염에 노출되는데, 사용자들이 직접 세척 노즐을 청결한 상태로 유지하는 것은 쉽지 않다. 임대 방식으로 사용하는 경우에는 1주일 또는 1개월 등 일정 주기마다 비데 장치 제조사에서 파견된 도우미들이 방문하여 비데를 세척하는 것이 일반적이나, 비데는 하루에도 몇 차례씩 사용되므로 주기적인 청소만으로는 청결을 유지할 수 없고, 결국 방문 주기 사이 동안에는 오염에 노출될 수 밖에 없는 문제가 있다. However, the washing nozzle is exposed to contamination due to the nature of the bidet discharging washing water through the protruding washing nozzle, and it is not easy for users to directly maintain the washing nozzle in a clean state. In the case of rental use, it is common for helpers dispatched from the bidet device manufacturer to visit and wash the bidet at regular intervals such as a week or a month, but since the bidet is used several times a day, it can be maintained clean only with periodic cleaning. In the end, there is a problem of being exposed to contamination during the visit cycle.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 10-0661390 호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0661390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기존에 사용하고 있는 일반 변기시트나 비데 등을 떼어나지 않고도 변기시트의 뚜껑에 탈착 가능하게 부착할 수 있어, 용변 후 양변기의 물을 내릴 때 발생하는 오물 튀김과 세균 비산으로 시트와 욕실 전체가 오염되는 것과, 용변 냄새가 욕실 전체에 퍼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강력한 자외선을 통하여 용변 후 비데의 세척 노즐에 대한 살균을 실시할 수 있는 비데 노즐 살균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can be detachably attached to the lid of the toilet seat without removing the existing general toilet seat or bidet, so that filth and bacteria generated when flushing the toilet after toilet It is possible to provide a bidet nozzle sterilization device that can prevent contamination of the entire bathroom and the seats by scattering, and that the smell of feces is spread throughout the bathroom, and can sterilize the washing nozzle of the bidet after using strong ultraviolet rays. have.

일 실시예에 따른 비데 노즐 살균 장치는, 변기시트를 덮기 위한 뚜껑에 부착되도록 구성된 후면판; 상기 후면판에 결합되며, 상기 뚜껑이 닫힌 상태에서 변기시트의 배출공의 상단에 안착되어 상기 배출공을 밀폐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배출공을 향하는 개구부를 포함하는 몸체; 및 상기 몸체 내에 수용되며 상기 개구부를 통해 자외선을 조사하도록 구성된 살균 램프를 포함한다.A bidet nozzle steriliz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includes: a rear plate configured to be attached to a lid for covering a toilet seat; a body coupled to the rear plate and configured to be seated on the upper end of the discharge hole of the toilet seat when the lid is closed to seal the discharge hole, the body including an opening facing the discharge hole; and a germicidal lamp accommodated in the body and configured to irradiate ultraviolet rays through the opening.

일 실시예에서, 상기 몸체에서 상기 개구부가 형성된 표면의 모서리는 상기 배출공의 밀폐를 위하여 굴곡지게 형성된다.In one embodiment, the edge of the surface on which the opening is formed in the body is formed to be curved to seal the discharge hole.

일 실시예에 따른 비데 노즐 살균 장치는, 상기 후면판에 결합되며 상기 뚜껑에 부착되도록 구성된 접착층을 더 포함한다.The bidet nozzle steriliz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further includes an adhesive layer coupled to the rear plate and configured to be attached to the lid.

일 실시예에 따른 비데 노즐 살균 장치는, 상기 살균 램프가 장착되며 상기 후면판과 상기 몸체 사이에 위치하는 지지판을 더 포함한다.The bidet nozzle steriliz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further includes a support plate on which the sterilization lamp is mounted and positioned between the rear plate and the body.

일 실시예에 따른 비데 노즐 살균 장치는, 상기 후면판과 상기 지지판 사이에 위치하는 결합판을 더 포함한다. 이때, 상기 결합판은, 결합 부재를 이용하여 상기 몸체의 후면에 결합되기 위한 하나 이상의 결합 돌기를 포함한다.The bidet nozzle steriliz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further includes a coupling plate positioned between the rear plate and the support plate. In this case, the coupling plate includes one or more coupling protrusions for coupling to the rear surface of the body using a coupling member.

일 실시예에서, 상기 몸체, 상기 후면판 및 상기 살균 램프는 상기 몸체 내로의 수분 침투를 방지하도록 상호 간에 밀폐된다. In one embodiment, the body, the back plate and the germicidal lamp are sealed to each other to prevent moisture penetration into the body.

일 실시예에서, 상기 개구부는 좌변기의 비데 노즐의 돌출 방향을 따라 일 방향으로 연장된 형상을 갖는다. In one embodiment, the opening has a shape extending in one direction along the protruding direction of the bidet nozzle of the toilet seat.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비데 노즐 살균 장치는, 기존에 사용하고 있는 비데나 일반 변기시트를 떼어내지 않고도 접착제 등을 이용하여 변기시트의 뚜껑에 탈착 가능하게 부착되며, 뚜껑을 닫았을 때 변기시트 사이의 배출공을 밀폐하도록 구성되어 있어, 용변 후 양변기의 물을 내릴 때 발생하는 오물 튀김과 세균 비산으로 시트 및 욕실 전체가 오염되거나, 냄새가 화장실 전체에 퍼져나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화장실의 위생을 도모하고 욕실 전체를 청결하게 유지하여, 세균에 의한 감염 및 질병 등을 예방할 수 있다. A bidet nozzle sterilizer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etachably attached to a lid of a toilet seat using an adhesive without removing a bidet or a general toilet seat in use, and when the lid is closed, the toilet seat It is configured to seal the drain hole between the toilet, so it is possible to prevent contamination of the entire seat and bathroom due to splashing of dirt and scattering of bacteria that occur when flushing the toilet after toilet, or prevent odors from spreading throughout the toilet. Through this, it is possible to promote hygiene of the toilet and keep the entire bathroom clean, thereby preventing infection and disease caused by bacteria.

또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비데 노즐 살균 장치는, 사용자가 용변 후 변기시트의 뚜껑을 닫으면 수초 내에 살균 램프가 동작하여 강력한 자외선을 비데의 세척 노즐에 조사하도록 구성되며, 음성 등 알림을 통하여 살균의 시작과 끝을 사용자가 알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어, 사용자가 직접 세척하기 힘든 비데의 세척 노즐을 빈번하게 살균하여 비데를 청결한 상태로 유지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bidet nozzle steriliz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nfigured to irradiate strong ultraviolet rays to the washing nozzle of the bidet by operating the sterilization lamp within a few seconds when the user closes the lid of the toilet seat after toileting, and through a voice notification, etc. The bidet can be kept in a clean state by frequently sterilizing the washing nozzle of the bidet, which is difficult for the user to directly wash, as it is configured so that the user can know the start and end of the sterilization.

나아가,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비데 노즐 살균 장치는, 몸체의 외부가 방수 처리되어 있어 물로 세척이 가능하며, 물에 닿더라도 몸체 내부로 물이 침투할 수 없는 구조로 되어 있어, 물로 세척하는 것이 가장 용이하며 바람직한 화장실의 특성에 최적화된 이점이 있다. Furthermore, the bidet nozzle sterilizing device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structure in which the outside of the body is waterproofed, so it can be washed with water, and has a structure in which water cannot penetrate into the body even when it touches water, so that it can be washed with water. It is the easiest and has the advantage of being optimized for desirable toilet characteristics.

특히, 최근에는 세계적으로 발생되는 중증급성호흡기증후군(SARS, 소위 사스), 중동호흡기증후군(MERS, 소위 메르스), 코로나 바이러스 등 새로운 병원균의 창궐이 전세계적인 문제로 대두되고 있으며, 병원균 감염자들의 대소변에서 세균이 비산하여 화장실이나 욕실 내의 위생 도구에 내려 앉음으로써 감염을 일으키는 사례들이 보고되고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비데 노즐 살균 장치는, 비데의 세척 노즐을 청결한 상태로 유지함으로써 이러한 병원균의 전파를 사전에 방지하고 감염을 예방할 수 있다는 점에서도 이점을 갖는다.In particular, recently, outbreaks of new pathogens such as severe acute respiratory syndrome (SARS, so-called SARS), Middle East respiratory syndrome (MERS, so-called MERS), and corona virus that occur worldwide are emerging as global problems, and the feces and urine of infected people There are reports of cases where bacteria scatter and land on sanitary tools in the toilet or bathroom, causing infection. The bidet nozzle steriliz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n advantage in that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spread of these pathogens in advance and prevent infection by maintaining the cleaning nozzle of the bidet in a clean state.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비데 노즐 살균 장치가 좌변기에 설치된 형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비데 노즐 살균 장치가 설치된 좌변기의 뚜껑을 닫은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비데 노즐 살균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비데 노즐 살균 장치의 후면 사시도이다.
도 5a는 일 실시예에 따른 비데 노즐 살균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5b는 도 5a에 도시된 비데 노즐 살균 장치의 후면을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6은 일 실시예에 따른 비데 노즐 살균 장치의 제어를 위한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form in which a bidet nozzle steriliz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is installed in a toilet seat.
2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closed state of a toilet seat in which a bidet nozzle sterilizer is installed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3 is a perspective view of an apparatus for sterilizing a bidet nozz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4 is a rear perspective view of the bidet nozzle sterilizer shown in FIG. 3 .
5A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n apparatus for sterilizing a bidet nozz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5B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rear surface of the bidet nozzle sterilizer shown in FIG. 5A.
6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for controlling a bidet nozzle steriliz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이하에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하여 상세히 살펴본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본 명세서에서 어느 부분이 다른 부분의 "위에" 있다고 언급하는 경우, 이는 바로 다른 부분의 위에 있을 수 있거나 그 사이에 다른 부분이 수반될 수 있다. 대조적으로 어느 부분이 다른 부분의 "바로 위에" 있다고 언급하는 경우, 그 사이에 다른 부분이 수반되지 않는다.When a part is referred to as being “above” another part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it may be directly on the other part or the other part may be involved in between. In contrast, when a part refers to being "directly above" another part, no other part is involved in between.

본 명세서에서 제1, 제2 및 제3 등의 용어들은 다양한 부분, 성분, 영역, 층 및/또는 섹션(section)들을 설명하기 위해 사용되나 이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들 용어들은 어느 부분, 성분, 영역, 층 또는 섹션을 다른 부분, 성분, 영역, 층 또는 섹션과 구별하기 위해서만 사용된다. 따라서, 이하에서 서술하는 제1 부분, 성분, 영역, 층 또는 섹션은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제2 부분, 성분, 영역, 층 또는 섹션으로 언급될 수 있다.The terms first, second, third, etc. are used herein to describe, but are not limited to, various parts, components, regions, layers and/or sections. These terms are used only to distinguish one part, component, region, layer or section from another part, component, region, layer or section. Accordingly, a first part, component, region, layer or section described below may be referred to as a second part, component, region, layer or sec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전문 용어는 단지 특정 실시예를 언급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을 의도하지 않는다. 여기서 사용되는 단수 형태들은 문구들이 이와 명백히 반대의 의미를 나타내지 않는 한 복수 형태들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하는"의 의미는 특정 특성, 영역, 정수, 단계, 동작, 요소 및/또는 성분을 구체화하며, 다른 특성, 영역, 정수, 단계, 동작, 요소 및/또는 성분의 존재나 부가를 제외시키는 것은 아니다.The terminology used herein is for the purpose of referring to specific embodiments only, and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As used herein, the singular forms also include the plural forms unless the phrases clearly indicate the opposite. The meaning of "comprising," as used herein, specifies a particular characteristic, region, integer, step, operation, element and/or component, and includes the presence or absence of another characteristic, region, integer, step, operation, element and/or component. It does not exclude additions.

본 명세서에서 "아래", "위" 등의 상대적인 공간을 나타내는 용어는 도면에서 도시된 한 부분의 다른 부분에 대한 관계를 보다 쉽게 설명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들은 도면에서 의도한 의미와 함께 사용중인 장치의 다른 의미나 동작을 포함하도록 의도된다. 예를 들면, 도면중의 장치를 뒤집으면, 다른 부분들의 "아래"에 있는 것으로 설명된 어느 부분들은 다른 부분들의 "위"에 있는 것으로 설명된다. 따라서 "아래"라는 예시적인 용어는 위와 아래 방향을 전부 포함한다. 장치는 90° 회전 또는 다른 각도로 회전할 수 있고, 상대적인 공간을 나타내는 용어도 이에 따라서 해석된다.In this specification, terms indicating a relative space such as “below” and “above” may be used to more easily describe the relationship of one part shown in the drawings to another part. These terms are intended to include other meanings or operations of the device in use with the meanings intended in the drawings. For example, if the device in the drawings is turned over, some parts described as being "below" other parts are described as being "above" other parts. Thus, the exemplary term “down” includes both the up and down directions. The device may be rotated 90° or other angles, and terms denoting relative space are interpreted accordingly.

다르게 정의하지는 않았지만, 본 명세서에 사용되는 기술용어 및 과학용어를 포함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일반적으로 이해하는 의미와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보통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된 용어들은 관련기술문헌과 현재 개시된 내용에 부합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추가 해석되고, 정의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매우 공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Although not defined otherwise, all terms including technical and scientific terms used herein have the same meaning as commonly understood by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Commonly used terms defined in the dictionary are additionally interpreted as having a meaning consistent with the related technical literature and the presently disclosed content, and unless defined, they are not interpreted in an ideal or very formal meaning.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비데 노즐 살균 장치가 좌변기에 설치된 형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비데 노즐 살균 장치가 설치된 좌변기의 뚜껑을 닫은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form in which a bidet nozzle steriliz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is installed in a toilet seat, and FIG. 2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closed state in which the toilet seat in which a bidet nozzle steriliz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is installed.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통상적으로 좌변기(100)는 좌변기(100)에 결합되는 변기시트(200) 및 뚜껑(300)과 함께 사용된다. 변기시트(200)는 좌변기(100)의 상단에 안착되어 그 위에 사용자가 앉기 위한 부분으로 가운데에 배출공(220)을 포함하고 있으며, 뚜껑(300)은 용변을 보지 않을 때 변기시트(200)를 덮어 두기 위한 부분이다. 이때, 실시예들에 따른 비데 노즐 살균 장치(1)는 뚜껑(300)에 부착되어 뚜껑(300)을 닫았을 때 비데 노즐 살균 장치(1)가 변기시트(200)의 배출공(220)을 밀폐하도록 구성된다. 1 and 2 , a toilet seat 100 is typically used together with a toilet seat 200 and a lid 300 coupled to the toilet seat 100 . The toilet seat 200 is seated on the top of the toilet seat 100 and includes a discharge hole 220 in the middle for a user to sit on it, and the lid 300 is the toilet seat 200 when not going to the toilet. part to cover. In this case, the bidet nozzle sterilizer 1 according to the embodiments is attached to the lid 300 and when the lid 300 is closed, the bidet nozzle sterilizer 1 closes the discharge hole 220 of the toilet seat 200 . configured to be sealed.

더 구체적으로, 변기시트(200)는 배출공(220)의 테두리에 해당하는 테두리부(210)를 포함하며, 실시예들에 따른 비데 노즐 살균 장치(1)는 뚜껑(300)을 닫았을 때 변기시트(200)의 테두리부(210) 상에 안착됨으로써 배출공(220)을 밀폐하는 위치에 오도록 뚜껑(300)에 부착될 수 있다. 또한, 테두리부(210)와 완전히 맞물려 배출공(220)의 밀폐가 가능하도록, 배출공(220)을 향하는 비데 노즐 살균 장치(1)의 상부 표면의 모서리는 굴곡지게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More specifically, the toilet seat 200 includes a rim portion 210 corresponding to the rim of the discharge hole 220 , and the bidet nozzle sterilizer 1 according to the exemplary embodiment includes the bidet nozzle sterilizer 1 when the lid 300 is closed. By being seated on the edge portion 210 of the toilet seat 200 , it may be attached to the lid 300 to come to a position to seal the discharge hole 220 . In addition, the edge of the upper surface of the bidet nozzle sterilizer 1 facing the discharge hole 220 may be formed to be curved so that it is fully engaged with the edge portion 210 to seal the discharge hole 220 .

또한, 실시예들에 따른 비데 노즐 살균 장치(1)는 개구부를 통해 노출되는 살균 램프를 포함하며, 뚜껑(300)을 닫았을 때 비데 노즐 살균 장치(1)의 살균 램프가 배출공(220) 하부의 비데 노즐(400)에 자외선을 조사할 수 있는 위치에 오도록 뚜껑(300)에 부착된다. 비데 노즐 살균 장치(1)에서 살균 램프와 개구부의 배치에 대해서는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상세히 후술한다. In addition, the bidet nozzle sterilizer 1 according to the embodiments includes a sterilization lamp exposed through the opening, and when the lid 300 is closed, the sterilization lamp of the bidet nozzle sterilizer 1 is discharged through the discharge hole 220 . It is attached to the lid 300 so as to come to a position where ultraviolet rays can be irradiated to the lower bidet nozzle 400 . The arrangement of the germicidal lamp and the opening in the bidet nozzle sterilizer 1 will be described in detail later with reference to FIGS. 3 to 5 .

도 1에 도시된 좌변기(100), 변기시트(200) 및 뚜껑(300)의 형태는 단지 예시적인 것으로서, 실시예들에 따른 비데 노즐 살균 장치(1)와 함께 사용될 수 있는 양변기의 형태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라는 점이 용이하게 이해될 것이다. 실시예들에 따른 비데 노즐 살균 장치(1)는 일반적인 변기시트(200)와 함께 사용이 가능하고, 좌변기(100) 또는 변기시트(200)에 비데가 설치되어 있거나 변기시트(200) 자체가 비데와 일체형인 경우에도 비데를 떼어내지 않고 비데 노즐 살균 장치(1)를 부착하여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The shapes of the toilet 100, the toilet seat 200, and the lid 300 shown in FIG. 1 are merely exemplary, and the shape of the toilet that can be used together with the bidet nozzle sterilizer 1 according to the embodiments is limited. It will be readily understood that this is not the case. The bidet nozzle sterilizer 1 according to the embodiments can be used together with a general toilet seat 200, and a bidet is installed in the toilet seat 100 or the toilet seat 200, or the toilet seat 200 itself is a bidet. Even if it is integrated with the bidet, it is possible to use the bidet nozzle sterilizer 1 by attaching it without removing the bidet.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비데 노즐 살균 장치의 사시도이며, 도 4는 도 3에 도시된 비데 노즐 살균 장치의 후면 사시도이다. 3 is a perspective view of a bidet nozzle steriliz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and FIG. 4 is a rear perspective view of the bidet nozzle sterilizing apparatus shown in FIG. 3 .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비데 노즐 살균 장치(1)는 몸체(10)와, 몸체(10)의 개구부(110)를 통하여 자외선을 조사하도록 노출된 살균 램프(11)를 포함한다. 한편, 몸체(10)의 후면에는 비데 노즐 살균 장치(1)를 변기시트의 뚜껑에 부착하기 위한 접착층(15)이 위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접착층(15)은 양면 테이프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른 임의의 점착 재질로 된 부재가 접착층(15)으로 사용될 수 있다. 3 and 4 , the bidet nozzle sterilizer 1 includes a body 10 and a sterilization lamp 11 exposed to irradiate ultraviolet rays through the opening 110 of the body 10 . Meanwhile, an adhesive layer 15 for attaching the bidet nozzle sterilizer 1 to the lid of the toilet seat may be locat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body 10 . For example, the adhesive layer 15 may be a double-sided tape, but is not limited thereto, and a member made of any other adhesive material may be used as the adhesive layer 15 .

몸체(10)는 변기시트(200; 도 1)의 상단에 안착되어 변기시트(200)의 배출공을 덮고, 또한 비데 노즐 살균 장치(1)의 다른 부품들을 지탱하기 위한 부분이다. 일 실시예에서, 몸체(10)의 외부 표면은 방수 코팅이 되어 있어, 비데 노즐 살균 장치(1)를 물로 세척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한다. The body 10 is seated on the upper end of the toilet seat 200 ( FIG. 1 ) to cover the discharge hole of the toilet seat 200 , and is a part for supporting other parts of the bidet nozzle sterilizer 1 . In one embodiment, the outer surface of the body 10 is coated with a waterproof coating, which makes it possible to wash the bidet nozzle sterilizer 1 with water.

살균 램프(11)는 몸체(10) 내에 수용되어 있으며, 개구부(110)를 통하여 A체(10) 외부로, 즉, 좌변기의 배출공 내에 자외선을 조사함으로써, 비데 노즐(400; 도 1)에 기생하는 세균을 살균하는 역할을 한다. 이때, 몸체(10)는 살균 램프(11)에 상응하는 위치에 살균 램프(11)에 의해 조사된 자외선이 통과할 수 있는 개구부(110)를 갖는다. 개구부(110)는 몸체(10)의 표면 일부가 제거된 통공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러한 통공이 자외선에 대해 광학적으로 투명한 재질로 된 커버(미도시)로 덮인 구조가 본 명세서의 개구부(110)에 해당할 수도 있다. The germicidal lamp 11 is accommodated in the body 10, and by irradiating ultraviolet rays to the outside of the A body 10 through the opening 110, that is, into the outlet hole of the toilet, it is applied to the bidet nozzle 400 (FIG. 1). It acts as a sterilizer for parasitic bacteria. At this time, the body 10 has an opening 110 through which the ultraviolet rays irradiated by the germicidal lamp 11 can pass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germicidal lamp 11 . The opening 110 may be a through hole in which a part of the surface of the body 10 is removed, but is not limited thereto. It may correspond to the opening 110 .

몸체(10)는 가공이 용이하며 무게가 크지 않은 적당한 재료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예를 들어, 통상의 변기시트(200) 및 뚜껑(300) 등과 같이 플라스틱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The body 10 may be made of a suitable material that is easy to process and does not have a large weight, for example, may be made of a plastic material such as a conventional toilet seat 200 and lid 300, but is not limited thereto. .

한편, 비데 노즐 살균 장치(1)가 방수 기능을 갖도록 몸체(10)의 결합 부위는 밀폐될 수 있다. 예컨대, 몸체(10)가 통공 형태의 개구부(110)를 갖는 경우, 개구부(110)를 통한 몸체(10) 내로의 수분 침투가 불가능하도록 개구부(110)는 살균 램프(11)에 의해 완전히 밀폐될 수 있다. 또한, 개구부(110)가 통공이 아닌 광학적으로 투명한 커버(미도시)를 갖는 경우에도 이러한 커버가 통공을 완전히 밀폐될 수 있다. Meanwhile, the coupling portion of the body 10 may be sealed so that the bidet nozzle sterilizer 1 has a waterproof function. For example, when the body 10 has an opening 110 in the form of a through hole, the opening 110 may be completely sealed by the germicidal lamp 11 so that moisture cannot penetrate into the body 10 through the opening 110 . can In addition, even when the opening 110 has an optically transparent cover (not shown) rather than a through hole, the cover may completely seal the through hole.

일 실시예에서, 자외선이 조사되기 위한 몸체(10)의 개구부(110)는 일 방향으로 연장된 형상을 갖는다. 본 실시예는, 비데 장치로부터 돌출되어 나오는 세척 노즐을 살균하기 위해 이에 상응하는 형상으로 자외선 조사창인 개구부(110)를 구성한 것이다. 이때, 일 방향으로 연장된 개구부(110)의 길이(D) 및 폭 등 치수는 살균하고자 하는 비데 장치의 세척 노즐의 크기에 따라 적절히 결정될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the opening 110 of the body 10 for irradiating ultraviolet rays has a shape extending in one direction. In this embodiment, in order to sterilize the washing nozzle protruding from the bidet device, the opening 110, which is an ultraviolet irradiation window, is configured in a shape corresponding thereto. In this case, dimensions such as the length D and the width of the opening 110 extending in one direction may be appropriately determined according to the size of the cleaning nozzle of the bidet device to be sterilized.

또한 일 실시예에서, 몸체(10)의 직경(R) 또한 다양하게 결정될 수 있다. 이때, 몸체(10)는 비데 노즐 살균 장치(1)를 변기시트의 뚜껑에 부착한 후 뚜껑을 닫았을 때 변기시트의 배출공을 밀폐하기 위한 것이므로, 몸체(10)의 직경(R)은 비데 노즐 살균 장치(1)가 설치될 변기시트의 배출공(220; 도 1)의 크기를 고려하여 상기 배출공(220)의 크기와 동일하거나 이보다 더 큰 크기로 적절히 결정될 수 있다. Also, in one embodiment, the diameter (R) of the body 10 may also be variously determined. At this time, since the body 10 is to seal the discharge hole of the toilet seat when the bidet nozzle sterilizer 1 is attached to the lid of the toilet seat and the lid is closed, the diameter R of the body 10 is the bidet. In consideration of the size of the discharge hole 220 ( FIG. 1 ) of the toilet seat in which the nozzle sterilizing device 1 is to be installed, the size of the discharge hole 220 may be appropriately determined to be the same as or larger than that of the discharge hole 220 .

도 5a는 일 실시예에 따른 비데 노즐 살균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5b는 도 5a에 도시된 비데 노즐 살균 장치의 후면을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5A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bidet nozzle steriliz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and FIG. 5B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rear surface of the bidet nozzle sterilizing apparatus shown in FIG. 5A .

도 5a 및 5b를 참조하면, 비데 노즐 살균 장치(1)는 전술한 몸체(10) 및 살균 램프(11)에 더하여 몸체(10) 내부에 수용되는 지지판(12), 결합판(13) 및/또는 후면판(14)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후면판(14) 상에는 양면테이프 등 접착층(15)이 위치할 수 있으며, 접착층(15)을 이용하여 비데 노즐 살균 장치(1)가 변기시트의 뚜껑에 접착될 수 있다. 한편, 몸체(10)와 이들 각각의 판(12-14)은, 몸체(10) 내부로 수분 침투가 불가능하도록 상호 간에 밀착하여 체결될 수 있다. 5A and 5B, the bidet nozzle sterilizer 1 includes a support plate 12, a coupling plate 13 and/or accommodated in the body 10 in addition to the body 10 and the sterilization lamp 11 described above Alternatively, it may further include a back plate 14 . An adhesive layer 15 such as double-sided tape may be positioned on the rear plate 14 , and the bidet nozzle sterilizer 1 may be adhered to the lid of the toilet seat using the adhesive layer 15 . On the other hand, the body 10 and their respective plates 12-14 may be fastened in close contact with each other so that moisture cannot penetrate into the body 10.

지지판(12)는 살균 램프(11)가 장착되는 판으로서, 몸체(10)와 후면판(14) 사이에 위치한다. 또한, 지지판(12) 상에는 살균 램프(11)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와, 살균 램프(11)의 동작을 위해 살균 램프(20)에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도선이 결합되는 콘센트부 등이 더 위치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지지판(12)은 인쇄회로기판(Printed Circuit Board; PCB)을 포함하는 부재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지지판(12) 사에 위치하는 전기적인 제어부에 대해서는 도 6을 참조하여 상세히 후술한다. The support plate 12 is a plate on which the germicidal lamp 11 is mounted, and is located between the body 10 and the rear plate 14 . In addition, on the support plate 12 ,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sterilization lamp 11 and an outlet unit to which a conductive wire for supplying power to the sterilization lamp 20 is coupled for the operation of the sterilization lamp 11 are further provided. may be located. For example, the support plate 12 may be a member including a printed circuit board (PCB), but is not limited thereto. The electric control unit positioned between the support plate 12 will be described in detail later with reference to FIG. 6 .

일 실시예에서, 지지판(12)과 후면판(14) 사이에는 결합판(13)이 더 위치한다. 결합판(13)은 지지판(12)을 사이에 두고 나사 등 결합 부재를 이용하여 몸체(10)에 체결됨으로써 몸체(10) 내부의 공간을 형성한다. 예를 들어, 일 실시예에서 결합판(13)은 몸체(10) 방향으로 도출된 하나 이상의 결합 돌기(130)를 포함하며, 결합판(13)의 각 결합 돌기(130)의 끝단이 나사 등 체결 수단을 이용하여 몸체(10)의 결합 돌기상에 고정됨으로써 결합판(13)과 몸체(10)가 상호 결합될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a coupling plate 13 is further positioned between the support plate 12 and the back plate 14 . The coupling plate 13 is fastened to the body 10 using a coupling member such as a screw with the support plate 12 interposed therebetween, thereby forming a space inside the body 10 . For example, in one embodiment, the coupling plate 13 includes one or more coupling protrusions 130 derived in the body 10 direction, and the end of each coupling protrusion 130 of the coupling plate 13 is a screw or the like. The coupling plate 13 and the body 10 may be coupled to each other by being fixed on the coupling protrusion of the body 10 using a coupling means.

전술한 것과 같이, 몸체(10), 결합판(13) 및 후면판(14)은 몸체(10) 내로의 수분 침투가 불가능하도록 상호 간에 밀착하여 결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몸체(10)와 결합판(13) 및/또는 후면판(14) 사이에는 밀폐성을 높이기 위한 밀착 패드(미도시)가 더 위치할 수도 있다. 밀착 패드는 밀폐성을 높일 수 있는 연질의 재료로 이루어지며, 예컨대, 얇은 고무, 실리콘 또는 기타 밀착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임의의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밀착 패드는 폼(foam) 형태의 재료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body 10, the coupling plate 13 and the rear plate 14 may be coupled in close contact with each other so that moisture cannot penetrate into the body 10. In an embodiment, a contact pad (not shown) for increasing sealing properties may be further positioned between the body 10 and the coupling plate 13 and/or the rear plate 14 . The adhesion pad is made of a soft material that can improve sealing properties, for example, thin rubber, silicone, or any other material capable of improving adhesion. In addition, the adhesive pad may be made of a material in the form of a foam.

또한 일 실시예에서, 비데 노즐 살균 장치(1)는 방수 기능을 달성하기 위하여 몸체(10)와 다른 부재들의 결합 부분 위를 덮도록 구성된 측면 덮개 또는 밀착 개스킷(gasket)(미도시)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측면 덮개 또는 밀착 개스킷 역시 밀착 패드와 마찬가지로 밀폐성을 높일 수 있는 연질의 재료로 이루어질 수 있다. Also in one embodiment, the bidet nozzle sterilizer 1 further includes a side cover or a close contact gasket (not shown) configured to cover the coupling portion of the body 10 and other members to achieve a waterproof function. You may. The side cover or the adhesion gasket may also be made of a soft material that can improve sealing properties, like the adhesion pad.

도 6은 일 실시예에 따른 비데 노즐 살균 장치의 제어를 위한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6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for controlling a bidet nozzle steriliz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도 6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비데 노즐 살균 장치(1)은 살균 램프(11) 및 이의 제어를 위한 제어부(120)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비데 노즐 살균 장치(1)는 비데 노즐 살균 장치(1)의 동작 여부를 결정하기 위한 검지 신호를 측정하도록 구성된 센싱부(121)를 더 포함한다. 또한 일 실시예에서, 비데 노즐 살균 장치(1)는 비데 노즐 살균 장치(1)의 동작에 관련된 출력 신호를 표출하도록 구성된 출력부(122)를 더 포함한다. Referring to FIG. 6 , the bidet nozzle sterilization apparatus 1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ncludes a sterilization lamp 11 and a control unit 120 for controlling the sterilization lamp 11 . In an embodiment, the bidet nozzle sterilizing apparatus 1 further includes a sensing unit 121 configured to measure a detection signal for determining whether the bidet nozzle sterilizing apparatus 1 operates. Also in one embodiment, the bidet nozzle sterilizer 1 further includes an output unit 122 configured to display an output signal related to the operation of the bidet nozzle sterilizer 1 .

일 실시예에서, 제어부(120), 센싱부(121) 및 출력부(122) 등은 살균 램프(11)와 마찬가지로 지지판(12) 상에 위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20), 센싱부(121) 및 출력부(122)는 지지판(12)에 해당하는 PCB 기판 상에 위치하며 살균 램프(11)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회로 컴포넌트들을 지칭하는 것일 수 있다. 그러나 이는 예시적인 것으로서, 다른 실시예에서 제어부(120), 센싱부(121) 및/또는 출력부(122)는 비데 노즐 살균 장치(1)의 다른 위치에 배치되는 것일 수도 있다. In an embodiment, the control unit 120 , the sensing unit 121 , and the output unit 122 may be located on the support plate 12 , like the germicidal lamp 11 . For example, the control unit 120 , the sensing unit 121 , and the output unit 122 may refer to circuit components located on the PCB substrate corresponding to the support plate 12 and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germicidal lamp 11 . have. However, this is an example, and in another embodiment, the control unit 120 , the sensing unit 121 , and/or the output unit 122 may be disposed at different positions of the bidet nozzle sterilizer 1 .

제어부(120)는 살균 램프(11)의 동작, 즉, 살균 램프(11)에 의해 자외선이 조사되는지 여부 및 자외선의 조사 시간 등을 제어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제어부(120)는 이상의 동작을 위하여 사용자가 조작할 수 있는 조작 스위치(미도시), 살균 램프(11)에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배터리(미도시) 또는 외부 전력을 수신하여 살균 램프(11)에 공급하기 위한 콘센트부(미도시) 등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조작 스위치를 누르면 살균 램프(11)에 일정 시간(예컨대, 수 초) 동안 전원이 공급되어, 살균 램프(11)가 자외선을 조사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The control unit 120 serves to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germicidal lamp 11 , that is, whether or not ultraviolet rays are irradiated by the germicidal lamp 11 , and the irradiation time of ultraviolet rays. In addition, for the above operation, the control unit 120 receives an operation switch (not shown) that a user can operate, a battery (not shown) for supplying power to the sterilization lamp 11, or external power to receive the sterilization lamp 11 . ) may further include an outlet unit (not shown) for supplying the . For example, when the user presses the operation switch, power is supplied to the sterilization lamp 11 for a predetermined time (eg, several seconds), and the sterilization lamp 11 may be configured to irradiate ultraviolet rays.

일 실시예에서, 제어부(120)에 의한 살균 램프(11)의 제어는 센싱부(121)에 의해 얻어진 검지 신호를 기반으로 자동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일 예로, 센싱부(121)는 비데 노즐 살균 장치(1)의 움직임을 가속도의 형태로 측정하도록 구성된 가속도 센서 또는 자이로스코프(gyroscope) 등일 수 있다. 실시예들에 따른 비데 노즐 살균 장치(1)는 변기시트의 뚜껑에 부착되도록 구성되므로, 사용자가 변기시트의 뚜껑을 닫을 때 또는 이미 닫혀 있는 뚜껑을 들어올릴 때 비데 노즐 살균 장치(1)에 움직임이 발생된다. 이때, 센싱부(121)는 비데 노즐 살균 장치(1)의 움직임을 크기와 방향을 가진 가속도 형태로 측정하고, 이를 검지 신호로 제어부(120)에 전달할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the control of the germicidal lamp 11 by the control unit 120 may be automatically made based on the detection signal obtained by the sensing unit (121). For example, the sensing unit 121 may be an acceleration sensor or a gyroscope configured to measure the movement of the bidet nozzle sterilizer 1 in the form of acceleration. Since the bidet nozzle sterilizer 1 according to the embodiments is configured to be attached to the lid of the toilet seat, it moves to the bidet nozzle sterilizer 1 when the user closes the lid of the toilet seat or lifts the lid that has already been closed. This happens. At this time, the sensing unit 121 may measure the movement of the bidet nozzle sterilizer 1 in the form of an acceleration having a magnitude and a direction, and transmit this to the control unit 120 as a detection signal.

제어부(120)에서는 센싱부(121)에 의해 측정된 가속도의 크기를 미리 설정된 문턱값과 비교하여, 측정된 가속도가 단순한 흔들림 등에 의한 것인지 또는 변기시트의 뚜껑의 여닫음에 의한 것인지를 결정할 수 있다. 사전에 설정된 문턱값 이상으로 큰 가속도가 검출되었을 경우, 제어부(120)는 변기시트의 여닫음이 발생한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다음으로, 제어부(120)는 검출된 가속도의 방향을 통하여 변기시트의 뚜껑이 들어올려진 것인지 또는 닫힌 것인지를 판별할 수 있다. The control unit 120 compares the magnitude of the acceleration measured by the sensing unit 121 with a preset threshold value to determine whether the measured acceleration is due to simple shaking or opening/closing of the lid of the toilet seat. . When an acceleration greater than or equal to a preset threshold is detected, the controller 120 may determine that opening/closing of the toilet seat has occurred. Next, the control unit 120 may determine whether the lid of the toilet seat is raised or closed through the direction of the detected acceleration.

예컨대, 뚜껑이 닫히는 경우에는 뚜껑이 닫히는 동안 연직 하방으로의 가속도 성분이 검출되고 이후 뚜껑이 좌변기 위에 도달하여 멈추면 연직 상방으로의 가속도 성분이 검출될 것이다. 반면, 뚜껑이 열리는 경우에는 뚜껑이 들어올려지는 동안 연직 상방으로의 가속도 성분이 검출되고 이후 뚜껑이 상단에 도달하여 멈추면 연직 하방으로의 가속도 성분이 검출될 것이다. 따라서, 제어부(120)에서는 가속도의 방향 변화를 통하여 변기시트의 뚜껑이 들어올려진 것인지 또는 닫힌 것인지를 판별하고, 변기시트의 뚜껑이 닫힌 경우에만 가속도가 0이 된 후 일정 시간(예컨대, 수 초) 후에 살균 램프(11)를 동작시켜 자외선을 조사하도록 할 수 있다. For example, when the lid is closed, a vertically downward acceleration component is detected while the lid is closed, and then, when the lid reaches the toilet and stops, a vertically upward acceleration component will be detected. On the other hand, when the lid is opened, an acceleration component in a vertically upward direction is detected while the lid is lifted, and then, when the lid reaches the top and stops, an acceleration component in a vertical downward direction will be detected. Accordingly, the controller 120 determines whether the lid of the toilet seat is raised or closed through the change in the direction of the acceleration, and only when the lid of the toilet seat is closed, the acceleration becomes 0 for a certain period of time (eg, several seconds). Afterwards, the sterilization lamp 11 may be operated to irradiate ultraviolet rays.

또한 일 실시예에서, 제어부(120)는 살균 램프(11)를 동작시켜 자외선을 조사하는 도중이더라도 센싱부(121)에 의하여 일정 크기 이상의 가속도가 검출될 경우, 사용자가 변기시트의 뚜껑을 다시 열거나 닫는 것으로 보아 살균 램프(11)의 동작을 중단할 수 있다. Also, in one embodiment, the controller 120 operates the sterilization lamp 11 and, even while irradiating ultraviolet rays, when an acceleration of a certain size or more is detected by the sensing unit 121, the user opens the lid of the toilet seat again. It is possible to stop the operation of the germicidal lamp 11 by looking at the closing.

나아가 일 실시예에서, 제어부(120)는 살균 램프(11)의 동작 상태에 대한 정보를 출력부(122)를 통하여 사용자가 알 수 있도록 표출할 수도 있다. 출력부(122)는 빛이나 소리 등에 의하여 동작 상태 정보를 사용자에게 인지시키기 위한 부분으로서, 단순하게는 점멸 가능한 램프일 수도 있고, 또는 액정표시장치 등의 디스플레이 장치나 음성 등 소리의 출력이 가능한 스피커를 포함할 수 있다. Furthermore, in an embodiment, the controller 120 may display information on the operating state of the germicidal lamp 11 so that the user can know it through the output unit 122 . The output unit 122 is a part for allowing the user to recognize operation state information by light or sound, and may simply be a flashing lamp, or a display device such as a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or a speaker capable of outputting sound such as voice. may include.

예를 들어, 제어부(120)는 살균 램프(11)를 동작시키기 전에 『살균이 시작됩니다』와 같은 음성을 출력하거나, 또는/또한 살균 램프(11)의 동작이 완료된 후 『살균이 완료되었습니다』와 같은 음성을 출력함으로써, 사용자가 비데 노즐 살균 장치(1)의 동작 상태를 직관적으로 인지할 수 있게 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For example, the control unit 120 outputs a voice such as “Sterilization starts” before operating the sterilization lamp 11, or/or after the operation of the sterilization lamp 11 is completed, “Sterilization is complete” By outputting a voice such as , the user can intuitively recognize the operating state of the bidet nozzle sterilizer 1 .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면, 변기시트의 뚜껑을 닫았을 때 비데 노즐 살균 장치의 몸체가 변기시트의 배출공을 밀폐하도록 구성되어, 용변 후 양변기의 물을 내릴 때 발생하는 오물 튀김과 세균 비산으로 시트 및 욕실 전체가 오염되거나, 냄새가 화장실 전체에 퍼져나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비데 노즐 살균 장치가 부착된 변기시트의 뚜껑을 닫으면 비데 노즐 살균 장치가 자동으로 수 초 간 강력한 자외선을 조사하여 비데의 세척 노즐에 기생하는 세균 등을 살균하므로, 주기적인 청소만으로는 청결을 유지하는 것이 어려운 비데 노즐의 세척 장치를 오염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when the lid of the toilet seat is closed, the body of the bidet nozzle sterilizer is configured to seal the discharge hole of the toilet seat, so that filth splashing occurs when flushing the toilet after toilet. It is possible to prevent contamination of sheets and the entire bathroom due to excessive bacterial scattering, or the spread of odors throughout the bathroom. In addition, when the lid of the toilet seat equipped with the bidet nozzle sterilizer is closed, the bidet nozzle sterilizer automatically irradiates strong ultraviolet rays for several seconds to sterilize parasitic bacteria in the bidet cleaning nozzle, maintaining cleanliness only with periodic cleaning. It is possible to protect the cleaning device of the bidet nozzle, which is difficult to do, from contamination.

나아가, 실시예들에 따른 비데 노즐 살균 장치는 기존에 사용되던 변기시트를 떼어낼 필요 없이 접착제 등을 이용하여 기존의 변기시트에 부착이 가능하다. 그 결과, 많은 비용을 들이지 않고도 변기시트 부착형 개스킷의 구비가 가능하므로, 쉽게 경제적인 방법으로 화장실의 위생을 도모하고 욕실 전체를 청결하게 유지하여, 세균에 의한 감염 및 질병 등을 예방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Furthermore, the bidet nozzle sterilizer according to the embodiments can be attached to the existing toilet seat by using an adhesive or the like without removing the existing toilet seat. As a result, since it is possible to provide a toilet seat-attached gasket without spending a lot of money, it is possible to promote hygiene of the toilet in an easy and economical way and keep the entire bathroom clean, thereby preventing infection and disease caused by bacteria. There is this.

이상에서 살펴본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들을 참고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실시예의 변형이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그러나, 이와 같은 변형은 본 발명의 기술적 보호범위 내에 있다고 보아야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서 정해져야 할 것이다.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shown in the drawings, it will be understood that these are merely exemplary and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of the embodiments are possible therefrom by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However, such modifications should be considered to be within the technical protection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ly, the true technical protection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fined by the technical spirit of the appended claims.

Claims (7)

변기시트를 덮기 위한 뚜껑에 부착되도록 구성된 후면판;
상기 후면판에 결합되며, 상기 뚜껑이 닫힌 상태에서 변기시트의 배출공의 상단에 안착되어 상기 배출공을 밀폐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배출공을 향하는 개구부를 포함하는 몸체; 및
상기 몸체 내에 수용되며 상기 개구부를 통해 자외선을 조사하도록 구성된 살균 램프를 포함하는 비데 노즐 살균 장치.
a rear plate configured to be attached to a lid for covering the toilet seat;
a body coupled to the rear plate and configured to be seated on the upper end of the discharge hole of the toilet seat in a closed state with the lid to seal the discharge hole, the body including an opening facing the discharge hole; and
and a sterilizing lamp accommodated in the body and configured to irradiate ultraviolet rays through the opening.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에서 상기 개구부가 형성된 표면의 모서리는 상기 배출공의 밀폐를 위하여 굴곡지게 형성된 비데 노즐 살균 장치.
According to claim 1,
A bidet nozzle sterilizer in which an edge of the surface on which the opening is formed in the body is curved to seal the discharge hol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후면판에 결합되며 상기 뚜껑에 부착되도록 구성된 접착층을 더 포함하는 비데 노즐 살균 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bidet nozzle sterilizer further comprising an adhesive layer coupled to the rear plate and configured to be attached to the li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살균 램프가 장착되며 상기 후면판과 상기 몸체 사이에 위치하는 지지판을 더 포함하는 비데 노즐 살균 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bidet nozzle sterilizer further comprising a support plate on which the germicidal lamp is mounted and positioned between the rear plate and the body.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후면판과 상기 지지판 사이에 위치하는 결합판을 더 포함하되,
상기 결합판은, 결합 부재를 이용하여 상기 몸체의 후면에 결합되기 위한 하나 이상의 결합 돌기를 포함하는 비데 노즐 살균 장치.
5. The method of claim 4,
Further comprising a coupling plate positioned between the back plate and the support plate,
The coupling plate is a bidet nozzle sterilizer including one or more coupling protrusions for coupling to the rear surface of the body using a coupling member.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 상기 후면판 및 상기 살균 램프는 상기 몸체 내로의 수분 침투를 방지하도록 상호 간에 밀폐되는 비데 노즐 살균 장치.
6. The method of claim 5,
The body, the rear plate, and the sterilization lamp are sealed to each other to prevent moisture penetration into the body bidet nozzle sterilize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개구부는 좌변기의 비데 노즐의 돌출 방향을 따라 일 방향으로 연장된 형상을 갖는 비데 노즐 살균 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bidet nozzle sterilizer has a shape in which the opening extends in one direction along a protruding direction of the bidet nozzle of the toilet seat.
KR1020200046940A 2020-04-17 2020-04-17 Apparatus detachable to toilet cover for sanitization of nozzle of bidet KR20210128811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46940A KR20210128811A (en) 2020-04-17 2020-04-17 Apparatus detachable to toilet cover for sanitization of nozzle of bide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46940A KR20210128811A (en) 2020-04-17 2020-04-17 Apparatus detachable to toilet cover for sanitization of nozzle of bidet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28811A true KR20210128811A (en) 2021-10-27

Family

ID=782873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46940A KR20210128811A (en) 2020-04-17 2020-04-17 Apparatus detachable to toilet cover for sanitization of nozzle of bidet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10128811A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343465A (en) * 2022-01-18 2022-04-15 张晓龙 Intelligent cushion for closestool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61390B1 (en) 2004-07-27 2006-12-27 (주)씨엔에스 Washing nozzle drive of bidet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61390B1 (en) 2004-07-27 2006-12-27 (주)씨엔에스 Washing nozzle drive of bidet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343465A (en) * 2022-01-18 2022-04-15 张晓龙 Intelligent cushion for closestool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515428B2 (en) Toilet bowl
JP5413104B2 (en) Flush toilet
JP2006274641A (en) Human body washing device and sanitary washing device equipped with the same
US9890529B2 (en) Sanitary toilet
KR101499107B1 (en) Toilet seat cover for preventing urine scattering
JP6358707B2 (en) Toilet equipment
KR20210128811A (en) Apparatus detachable to toilet cover for sanitization of nozzle of bidet
JP2006274573A (en) Facility with optical sensor
KR102249345B1 (en) Toilet bowl having cleaning and sterilization device
KR20210061618A (en) Smart stool cover device for toilet seat
JP2018062774A (en) Sanitary facility equipment
JP3764244B2 (en) Toilet with sterilization mechanism
KR20180134187A (en) A urinal using the automatic door
KR102642465B1 (en) Hybrid IoT sterilization device for toilet bowl
KR20220021508A (en) Automatic covering apparatus of toilet bowl and operation of the apparatus
KR200401979Y1 (en) An ultravioet ray sterilizer for a cover of a toilet bowl
KR20070000068U (en) disinfection device for a Western-style toilet
JP2018193852A (en) Toilet device
KR102622893B1 (en) Toilet lid to block droplets
KR200397912Y1 (en) Urine receiving device attached on toilet stool
IT201900010866A1 (en) "VACUUM HYGIENIC POT COVER"
JP2007191909A (en) Western-style toilet bowl
KR100386377B1 (en) Chamber-pot with buble-manufacturer
KR20230028824A (en) Automatic Urinal
KR102514139B1 (en) Cover for sedentary toile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