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28160A - 한글 깨치기 단말기 - Google Patents

한글 깨치기 단말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28160A
KR20210128160A KR1020200046010A KR20200046010A KR20210128160A KR 20210128160 A KR20210128160 A KR 20210128160A KR 1020200046010 A KR1020200046010 A KR 1020200046010A KR 20200046010 A KR20200046010 A KR 20200046010A KR 20210128160 A KR20210128160 A KR 2021012816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put
unit
consonant
vowel
input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460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61607B1 (ko
Inventor
이동은
Original Assignee
(주)디에스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디에스지 filed Critical (주)디에스지
Priority to KR10202000460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61607B1/ko
Publication of KR202101281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2816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616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6160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19/00Teaching not covered by other main groups of this subclass
    • G09B19/06Foreign language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5/00Electrically-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 G09B5/02Electrically-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with visual presentation of the material to be studied, e.g. using film strip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Input From Keyboard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한글 깨치기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한글 깨치기 단말기는, 1회 점 접촉에 의해 입력되는 가압 버튼 또는 터치 버튼으로 구성되어 한글 자음이 입력되도록 이루어진 자음입력부(10)와; 연속된 선 접촉에 의해 입력되는 터치패드 또는 마우스로 구성되어 한글 모음이 입력되도록 이루어진 모음입력부(20)와; 상기 자음입력부(10) 및 모음입력부(2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으며, 자음입력부(10) 및 모음입력부(20)에 의해 입력된 자음과 모음을 배열하여 단어를 형성하는 제어부(30)와; 상기 제어부(3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고, 제어부(30)에 의해 자음입력부(10) 및 모음입력부(20)에 의해 입력되는 자음 및 모음이 표시되고, 제어부(30)의 제어에 의해 입력이 완료되어 배열된 단어가 표시되는 디스플레이부(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에 의해, 자음은 버튼 방식으로 입력하고, 모음은 드로잉 방식으로 입력하도록 구성함으로써 한글을 학습하는 어린이나 외국인들로 하여금 보다 용이하게 한글을 배우고 입력할 수 있고, 특히, 자음 입력시 가획자나 병서자의 입력을 기본 자음 입력 버튼의 반복 입력을 통해 달성하지 않고 가획자 및 병서자 입력을 위한 별도의 버튼을 이용하여 입력하도록 함으로써 기본 자음에 획이 추가되는 가획자와 기본 자음이 반복되는 병서자의 원리를 보다 쉽게 이해할 수 있게 함으로써 한글 학습 및 입력 효율을 보다 배가시킬 수 있게 되며, 모음 입력시 간단한 십자형 형상이 디스플레이에 표시되도록 하고 이를 손이나 마우스, 전자펜을 이용하여 따라 그림으로써 입력이 이루어지게 함으로써 모음의 원리를 보다 쉽게 이해할 수 있게 함으로써 역시 한글 학습 및 입력 효율을 보다 배가시킬 수 있게 되고, 자음과 모음의 입력시 디스플레이부에 임시로 안내하는 선이 표시되도록 함으로써 다양한 자음과 모음을 보다 쉽게 학습할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한글 깨치기 단말기{Keypadfor Inputting Korean Alphabet}
본 발명은 한글 깨치기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자음은 버튼식으로 입력하도록 구성되고, 모음은 드로잉 방식으로 입력하도록 구성됨으로써 한글 자음에 익숙지 않은 사람으로 하여금 최대한 간편하게 한글 학습 및 입력이 가능하도록 한, 한글 깨치기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이동통신 단말기, 노트북, 태블릿, 컴퓨터 등과 같은 단말기에는 단어를 입력하기 위한 입력부가 구비되며, 단어의 입력 방식은 자음과 모음을 입력하기 위한 다양한 버튼으로 구성된다.
통상적으로 컴퓨터용 키보드는 각각 10여개 이상의 자음 입력용 버튼과 모음 입력용 버튼으로 구성되며, 능숙하게 한글 단어를 만들기 위해서는 장시간의 타이핑을 필요로 하게 된다.
이러한 입력 방식은 일반인은 물론이거니와, 어린이나 외국인 등 한글 학습을 시작하는 사람들로 하여금 학습에 상당한 피로감을 제공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뿐만 아니라 스마트폰이나 태블릿과 같은 단말기의 경우 이러한 단말을 좁은 화면에 모두 구현할 경우 버튼 크기가 매우 작아지기 때문에 입력 오류가 매우 자주 발생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기술로, "스마트폰 디바이스에서 천지인 기반의 옛한글 자모 조합입력을 위한 개선방안과 그 방법"(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1667183호, 특허문헌 1)에는 대략 7개의 자음 입력 버튼과 세 개의 모음 입력 버튼으로 구성되어 버튼 수를 최소화함으로써 크기가 작은 스마트폰이나 태블릿에서의 한글 입력이 용이하도록 한 기술이 공개되어 있다.
상기한 특허문헌 1의 방식은 자음 입력이 하나의 칸을 빠른 시간에 누르는 횟수에 따라 자음 입력이 "ㄱ"에서 "ㅋ", "ㄲ" 등으로 순차적으로 변환되고, 모음은 수평 획, 수직 획, 점의 순차적 입력에 따라 모음 입력이 이루어지게 된다.
그런데, 이러한 방식은 숙달된 사용자에게는 입력이 용이할 수는 있으나, 하나에 버튼으로 입력 가능한 자음을 표시하기 위해서는 버튼에 입력 가능한 자음을 다 표시하게 되는 바, 결국 실질적으로 버튼에 다수의 자음이 표시되게 되고, 한글을 처음 학습하는 어린이나 외국인들에게는 매우 많은 자음이 표시되는 관계로 학습에 어려움을 느끼게 된다.
더불어, 초기 외국어 학습시 다양한 자음의 형태에 익숙지 못하고, 이를 반복 암기함으로써 익숙해지게 되는데, 특허문헌 1 역시 이러한 학습 방법을 취하게 된다.
특히, 특허문헌 1과 같은 천지인 모음 입력 방식은 한국 사람들에게는 익숙한 반면, 한글을 처음 배우는 어린이나 외국인들에게는 세 버튼의 입력에 따른 조합을 학습하는데에 매우 많은 어려움을 겪게 한다.
즉, 현재 알려진 한글 학습용 단말기의 경우 한글을 이미 익히고 있는 사용자들에게는 입력 편의성을 제공할 수는 있으나, 한글을 학습하는 어린이나 외국인들에게는 학습 및 입력 모든 면에서 편리하다고 하기는 어렵다 하겠다.
KR 10-1667183 (2016.10.11)
본 발명의 한글 깨치기 단말기는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에서 발생하는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 자음은 버튼 방식으로 입력하고, 모음은 드로잉 방식으로 입력하도록 구성함으로써 한글을 학습하는 어린이나 외국인들로 하여금 보다 용이하게 한글을 배우고 입력할 수 있도록 하려는 것이다.
특히, 자음 입력시 가획자나 병서자의 입력을 기본 자음 입력 버튼의 반복 입력을 통해 달성하지 않고 가획자 및 병서자 입력을 위한 별도의 버튼을 이용하여 입력하도록 함으로써 기본 자음에 획이 추가되는 가획자와 기본 자음이 반복되는 병서자의 원리를 보다 쉽게 이해할 수 있게 함으로써 한글 학습 및 입력 효율을 보다 배가시킬 수 있게 하려는 것이다.
뿐만 아니라 모음 입력시 간단한 십자형 형상이 디스플레이에 표시되도록 하고 이를 손이나 마우스, 전자펜을 이용하여 따라 그림으로써 입력이 이루어지게 함으로써 모음의 원리를 보다 쉽게 이해할 수 있게 함으로써 역시 한글 학습 및 입력 효율을 보다 배가시킬 수 있게 하려는 것이다.
더하여, 자음과 모음의 입력시 디스플레이부에 임시로 안내하는 선이 표시되도록 함으로써 다양한 자음과 모음을 보다 쉽게 학습할 수 있게 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의 한글 깨치기 단말기는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1회 점 접촉에 의해 입력되는 가압 버튼 또는 터치 버튼으로 구성되어 한글 자음이 입력되도록 이루어진 자음입력부(10)와; 연속된 선 접촉에 의해 입력되는 터치패드 또는 마우스로 구성되어 한글 모음이 입력되도록 이루어진 모음입력부(20)와; 상기 자음입력부(10) 및 모음입력부(2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으며, 자음입력부(10) 및 모음입력부(20)에 의해 입력된 자음과 모음을 배열하여 단어를 형성하는 제어부(30)와; 상기 제어부(3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고, 제어부(30)에 의해 자음입력부(10) 및 모음입력부(20)에 의해 입력되는 자음 및 모음이 표시되고, 제어부(30)의 제어에 의해 입력이 완료되어 배열된 단어가 표시되는 디스플레이부(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는, 한글 자음의 "ㄱ", "ㄴ", "ㅁ", "ㅅ", "ㅇ"을 의미하는 기본 자음이 입력되는 기본자음입력부(11)와, 한글 자음의 이체자인 "ㄹ"이 입력되는 이체자입력부(12)와, 한글 자음의 "ㅋ", "ㄷ", "ㅌ", "ㅂ", "ㅍ", "ㅎ"을 의미하는 가획자가 입력되도록 하되, 기본자음입력부(11)에 입력된 기본 자음 입력 후 별도의 추가 입력으로써 가획자가 입력되도록 하는 가획자입력부(13)와, 한글 자음의 "ㄲ", ㄸ", "ㅃ", "ㅆ", "ㅉ"을 의미하는 병서자가 입력되도록 하되, 상기 기본자음입력부(11) 및 가획자입력부(13)에 입력된 기본 자음 또는 가획자 입력후 별도의 추가 입력으로써 병서자가 입력되도록 하는 병서자입력부(14)로 구성되며, 상기 기본자음입력부(11), 이체자입력부(12), 가획자입력부(13), 병서자입력부(14)는 1회 점 접촉에 의해 입력되는 가압 버튼 또는 터치 버튼으로 구성된 자음입력부(10)와; 한글 모음이 입력되되, 마우스, 전자 펜, 사용자 손 중 어느 하나에 연속된 선 접촉에 의해 입력이 이루어지믐 모음입력부(20)와; 상기 자음입력부(10) 및 모음입력부(2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으며, 자음입력부(10) 및 모음입력부(20)에 의해 입력된 자음과 모음을 배열하여 단어를 형성하는 제어부(30)와; 상기 제어부(3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고, 제어부(30)에 의해 자음입력부(10) 및 모음입력부(20)에 의해 입력되는 자음 및 모음이 표시되고, 제어부(30)의 제어에 의해 입력이 완료되어 배열된 단어가 표시되는 디스플레이부(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한 구성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30)는, 자음입력부(10)에 의해 입력된 한글 자음과, 모음입력부(20)에 의해 입력된 한글 모음을 한글 단어 형태로 배열하도록 제어하는 배열제어부(31);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제어부(30)는, 자음입력부(10)로부터 자음이 입력되면, 입력된 자음을 디스플레이부(40)에 자음표시부(41)로 표시되도록 제어하는 자음표시제어부(32)와; 디스플레이부(40)에 표시된 자음표시부(41)의 우측에 수평 획(42b)과 수직 획(42a)이 교차되는 십자 형상 및 상기 십자 형상의 양측 수평 획(42b)의 하부에 수평 획의 추가를 의미하는 두 개의 보조 수평 획(42c)으로 구성된 우측모음표시부(42) 및 상기 우측모음표시부(42)와 동일한 형상을 취하되 우측모음표시부가 90도 회전한 상태로 표시되고, 상기 디스플레이부(40)에 표시된 자음표시부(41)의 하부에 표시되는 하부모음표시부(43)로 구성되고, 상기 디스플레이된 자음표시부(41)에 비해 흐린 색상 또는 얇은 굵기로 표시되는 임시모음표시부(44)가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도록 디스플레이부(40)를 제어하는 임시모음표시제어부(33)와; 사용자의 모음입력부(20) 조작에 따라 상기 디스플레이부(40)에 표시된 임시모음표시부(44)에 한글 모음이 진한 색상 또는 굵은 굵기의 입력모음표시부(45)로써 표시되도록 제어하는 모음표시제어부(34);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우측모음표시부(42)의 수직 획(42a)은 서로 색상이 다른 채 평행하게 형성된 두 개의 선으로 표시되고, 두 수평 획(42b) 및 두 보조 수평 획(42c)은 각각 인접한 선의 색상과 동일한 색상으로 이루어져 사용자의 모음 입력을 가이드하도록 이루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상기 가획자입력부(13)와 병서자입력부(14)는 각각 하나의 가압 버튼 또는 터치 버튼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배열제어부(31)는 상기 가획자입력부(13) 및 병서자입력부(14)의 입력 전에 입력된 데이터의 종류에 따라 가획자 및 병서자를 설정하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제어부(30)는, 상기 자음표시제어부(32)에 의해 디스플레이부(40)에 자음표시부(41)가 표시된 후, 일정 시간 동안 자음표시부(41)로 표시된 자음으로부터 변형 가능한 가획자 또는 병서자가 얇은 선 또는 연한 색의 임시자음표시부(41a)로써 디스플레이부(40)에 표시되도록 제어하는 임시자음표시제어부(35);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해, 자음은 버튼 방식으로 입력하고, 모음은 드로잉 방식으로 입력하도록 구성함으로써 한글을 학습하는 어린이나 외국인들로 하여금 보다 용이하게 한글을 배우고 입력할 수 있게 된다.
특히, 자음 입력시 가획자나 병서자의 입력을 기본 자음 입력 버튼의 반복 입력을 통해 달성하지 않고 가획자 및 병서자 입력을 위한 별도의 버튼을 이용하여 입력하도록 함으로써 기본 자음에 획이 추가되는 가획자와 기본 자음이 반복되는 병서자의 원리를 보다 쉽게 이해할 수 있게 함으로써 한글 학습 및 입력 효율을 보다 배가시킬 수 있게 된다.
뿐만 아니라 모음 입력시 간단한 십자형 형상이 디스플레이에 표시되도록 하고 이를 손이나 마우스, 전자펜을 이용하여 따라 그림으로써 입력이 이루어지게 함으로써 모음의 원리를 보다 쉽게 이해할 수 있게 함으로써 역시 한글 학습 및 입력 효율을 보다 배가시킬 수 있게 된다.
더하여, 자음과 모음의 입력시 디스플레이부에 임시로 안내하는 선이 표시되도록 함으로써 다양한 자음과 모음을 보다 쉽게 학습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한글 깨치기 단말기의 일 구성 예를 나타낸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한글 깨치기 단말기가 별도의 독립된 단말기나 노트북 형태로 구성된 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한글 깨치기 단말기가 스마트폰이나 태블릿과 같은 형태의 단말기로 구성되는 경우의 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서 임시모음표시제어부의 제어에 의해 임시모음표시부가 디스플레이부 상에 형성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5는 본 발명에서 모음표시제어부의 제어에 의해 임력모음표시부로써 디스플레이부 상에 형성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6은 본 발명에서 임시자음표시제어부의 제어에 의해 디스플레이부에 변형 가능한 가획자 및 병사자의 형상이 표시된 예를 나타낸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단말기에 한글 학습 프로그램이 결합되는 일 예를 나타낸 도면.
훈민정음 해례본에는 한글의 창제 목적과 원리를 밝히고 한글의 자음과 모음을 만든 원리와 용법이 상세하게 설명되어 있다.
해례본에 따르면 "한글은 슬기로운 사람은 아침이 끝나기 전에 깨치고, 어리석은 사람이라도 열흘이면 알 수 있다."라고 밝히고 있다.
즉, 한글은 기본원리만 정확히 깨치고 나면 누구나 쉽게 글을 깨칠 수 있는 글자라 할 것이다.
보다 구체적인 원리로 모음은 기본자로 각각 하늘, 땅, 사람의 몽야을 토대로 "·", "ㅡ", "l"로 구성되고, 합성 초출자는 "ㅗ", "ㅏ", "ㅜ", "ㅓ"로 구성되고, 합성 재출자는 초출자에 획이 추가된 "ㅛ", "ㅑ", "ㅠ", "ㅕ"로 구분된다.
자음의 경우 발음기관 즉, 입 모양에 따라 기본자로 "ㄱ", "ㄴ", "ㅁ", "ㅅ", "ㅇ"이 있고, 예외의 이체자로 "ㄹ"이 있다.
또, 기본자의 소리의 세기에 따라 획을 더하여 가획자가 있는데, 가획자는 "ㄱ"에 획이 추가된 "ㅋ", "ㄴ"에서 획이 추가된 "ㄷ" 및 "ㅌ"이 있다.
또, "ㅁ"에서 획이 추가된 "ㅂ" 및 "ㅍ"이 있으며, "ㅅ"에서 획이 추가된 "ㅈ" 및 "ㅊ"이 있다.
더하여, "ㅇ"에서 획이 추가된 "ㅎ"이 있다.
더불어, 자음에서 기본자나 가획자가 반복된 병서자가 있는데, 병서자는 "ㄱ"이 반복된 "ㄲ", "ㄷ"이 반복된 "ㄸ", "ㅂ"이 반복된 "ㅃ", "ㅅ"이 반복된 "ㅆ"이, "ㅈ"이 반복된 "ㅉ"이 있다.
이러한 원리의 자음과 모음으로 구성된 한글은 "아 야 어 여 오 요 우 유 으 이"와 같이 자음을 연속적으로 불러 트레이닝이 음소간의 구별 학습이 용이하고, "가 나 다 라 마 바 사 아 자 차 카 타 파 하"를 연속으로 불러 각 자음간의 구별 학습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ㄱ"과 "ㅏ"를 조합하여 "가"를 만들어 보는 등 자음과 모음의 조합으로 글자를 만들어보는 학습이 용이하고, 여기에 받침을 조합하는 학습도 용이하다.
본 발명에서는 이상과 같이 해례본의 원리에 최대한 근접시켜 입력이 가능한 단말기를 제공함으로써 해례본의 원리를 통해 한글 학습이 매우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하려는 것이다.
이를 위한 본 발명의 한글 깨치기(학습용) 단말기는 도시된 도면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자음입력부(10), 모음입력부(20), 제어부(30) 및 디스플레이부(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자음입력부(10)는 사용자의 손, 펜 등을 통해 1회 접촉함으로써 입력되는 가압 버튼 또는 터치 버튼으로 구성되어 한글 자음이 입력되도록 이루어지며, 모음입력부(20)의 경우 최소 1회의 연속된 선 접촉에 의해 입력되는 터치패드 또는 마우스로 구성되어 한글 모음이 입력되도록 이루어진다.
즉, 자음은 버튼 1회 또는 2회 등의 누름에 의해 이루어지며, 모음의 경우 실제 모음 모양을 따라 손이나 펜으로 그려냄으로써 입력이 이루어지는 특징을 갖는다.
모음 입력을 손이나 펜으로 그리도록 구성한 것은 통상적으로 "천지인" 등과 같은 종래 입력 방식의 경우 한글을 이미 익히고 있는 사람에게는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으나, 한글의 원리를 학습하는 사람에게는 입력이 매우 난해하고, 그 원리를 이해하는 것이 어려운 바, 손이나 펜으로 그려가면서 그 원리를 보다 쉽게 이해할 수 있게 해준다.
한편, 제어부(30)는 상기 자음입력부(10) 및 모음입력부(2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으며, 자음입력부(10) 및 모음입력부(20)에 의해 입력된 자음과 모음을 배열하여 단어를 형성하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공지의 제어부들과 마찬가지로 프로그램 및 데이터베이스가 구비된 램 및 롬과, 램 및 롬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연산이 이루어지는 CPU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통상의 컴퓨터 본체, 스마트폰 본체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40)는 상기 제어부(3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고, 제어부(30)에 의해 자음입력부(10) 및 모음입력부(20)에 의해 입력되는 자음 및 모음이 표시되고, 제어부(30)의 제어에 의해 입력이 완료되어 배열된 단어가 표시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디스플레이부(40)는 종래 기술의 통상적인 디스플레이부와 마찬가지로 데스크탑 컴퓨터의 모니터, 노트북의 화면, 스마트폰의 화면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자음입력부(10)의 구체적인 구성 예가 도 1에 구성도로써 도시되어 있다.
도면을 보면 자음입력부(10)는 기본자음입력부(11), 이체자입력부(12), 가획자입력부(13), 병서자입력부(14)로 구성된다.
상기한 구성요소들은 전술한 것처럼 각각 1회 점 접촉에 의해 입력되는 가압 버튼 또는 터치 버튼으로 구성된다.
기본자음입력부(11)는 한글 자음의 "ㄱ", "ㄴ", "ㅁ", "ㅅ", "ㅇ"을 의미하는 기본 자음이 입력되며, 각각의 버튼으로 구성된다.
이체자입력부(12)는 한글 자음의 이체자인 "ㄹ"이 입력되는 별도의 버튼으로 구성된다.
가획자입력부(13)는 한글 자음의 "ㅋ", "ㄷ", "ㅌ", "ㅂ", "ㅍ", "ㅎ"을 의미하는 가획자가 입력되도록 하되, 기본자음입력부(11)에 입력된 기본 자음 입력 후 별도의 추가 입력으로써 가획자가 입력되도록 도 2나 3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하나의 버튼으로 구성된다.
따라서, 통상의 실물 키보드나, 스마트폰에 표시되는 가상 키보드에 다수의 버튼이 구성되는 것과 차별화되며, 스마트폰 상의 천지인 기법으로 표시되는 버튼의 배열 구성과도 차별화된다.
병서자입력부(14)는 한글 자음의 "ㄲ", ㄸ", "ㅃ", "ㅆ", "ㅉ"을 의미하는 병서자가 입력되도록 하되, 상기 기본자음입력부(11) 및 가획자입력부(13)에 입력된 기본 자음 또는 가획자 입력후 별도의 추가 입력으로써 병서자가 입력되도록 이루어지며, 도 2, 3등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의 버튼으로 구성된다.
상기한 입력부들(11 내지 14)의 구성은 한글 자음을 처음 공부하는 학생이나 외국이들로 하여금 창제 원리에 기반하면서도 8개의 최소 버튼으로 구성되기에 학습 효율이 배가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에서 제어부(30)의 구체적인 구성 예가 도 1의 구성도로써 도시되어 있다.
도면을 보면 제어부(30)는 기본적으로 배열제어부(31)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배열제어부(30)는 한글 단어의 데이터베이스가 저장된 배열데이터부(미도시)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으며, 자음입력부(10) 및 모음입력부(20)를 통해 순차적으로 입력된 자음 또는 모음을 배열데이터부에 저장된 단어와 비교하여 입력된 자음 또는 모음을 저장된 단어에 맞개 배열하도록 제어해준다.
즉, 한글의 단어는 초성, 중성, 종성이 입체적으로 인접 배치되어 하나의 글씨를 이루고, 이 글씨의 단독 혹은 복수 배열로써 단어를 이루는 바, 순차적으로 입력되는 자음과 모음을 입체적인 글씨 형태로 배열해주는 역할을 하게 된다.
이때, 사용자는 자음과 모음의 입력을 취소하거나 건너뛰는 등의 동작을 할 수 있도록 별도의 상기 입력부에 컨트롤버튼이 추가되고, 이 컨트롤버튼의 조작에 의해 컨트롤 제어를 하게 되는 컨트롤제어부가 상기 제어부(30)에 추가될 수 있음은 자명하다 하겠다.
더불어, 상기 배열제어부(31)는 상기 가획자입력부(13) 및 병서자입력부(14)의 입력 전에 입력된 데이터의 종류에 따라 가획자 및 병서자를 설정하도록 이루어진다.
즉, 가획자입력부(13)의 입력 전에 기본자음입력부(11)로 'ㄱ' 버튼이 입력되게 되면 배열제어부는 가획자입력부(13)의 입력이 이루어질 때, 'ㄷ'이 아닌 'ㅋ'이 디스플레이부(40)에 표시되도록 제어해주게 된다.
상기한 배열제어부(31) 및 컨트롤제어부 외에 제어부(30)의 구체적 구성으로, 자음표시제어부(32), 임시모음표시제어부(33), 모음표시제어부(34), 임시자음표시제어부(35)가 추가로 구비될 수 있다.
자음표시제어부(32)는 상기 자음입력부(10)로부터 자음이 입력되면, 입력된 자음을 디스플레이부(40)에 자음표시부(41)로 표시되도록 디스플레이부(40)의 작동을 제어해준다.
임시모음표시제어부(35)는 사용자가 모임입력부(20)를 작동시킬 때 즉, 손이나 마우스, 전자펜 등을 이용하여 드로잉 작업을 할 때 사용자가 쉽게 모음을 그릴 수 있도록 특정한 도형을 흐린 색이나 얇은 굵기로 표시해 사용자의 모음 입력 작업을 가이드해주게 된다.
구체적으로, 사용자의 자음 입력이 완료되면, 임시모음표시제어부(33)는 디스플레이부(40)에 도 2 내지 5에 표시된 특정 형상 구체적으로 임시모음표시부(44)가 형성되도록 해준다.
임시모음표시부(44)는 도면과 같이 디스플레이부(40)에 표시된 자음표시부(41)의 우측에 수평 획(42b)과 수직 획(42a)이 교차되는 십자 형상 및 상기 십자 형상의 양측 수평 획(42b)의 하부에 수평 획의 추가를 의미하는 두 개의 보조 수평 획(42c)으로 구성된 우측모음표시부(42) 및 상기 우측모음표시부(42)와 동일한 형상을 취하되 우측모음표시부가 90도 회전한 상태로 표시되고, 상기 디스플레이부(40)에 표시된 자음표시부(41)의 하부에 표시되는 하부모음표시부(43)로 구성되어 있다.
이때, 임시모음표시부(44)로써 형성되는 형상은 상기 디스플레이된 자음표시부(41)에 비해 흐린 색상 또는 얇은 굵기로 표시된다.
임시모음표시부(44)는 임시모음표시제어부(33)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별도의 메모리(데이터베이스)에 그 형상이 데이터로써 저장되어 임시모음표시제어부(33)는 이 데이터를 필요한 시기 즉, 모음 입력 시작 전, 모음 입력 중에는 온으로 제어하고, 모음 입력이 끝나면 오프로 제어해주는 방식으로 디스플레이부(40)에 표시될 수 있게 온오프 제어해준다.
한편, 모음표시제어부(34)는 사용자의 모음입력부(20) 조작에 따라 상기 디스플레이부(40)에 표시된 임시모음표시부(44)에 한글 모음이 진한 색상 또는 굵은 굵기의 입력모음표시부(45)로써 표시되도록 제어해준다.
이러한 모음표시제어부(34)는 상기 임시모음표시부(44)의 표시를 위해 메모리에 저장된 모음 형상 데이터 및 한글의 모음이 저장되어 있는 별도의 모음데이터저장부(미도시) 상의 데이터 및 모음입력부(20)를 통해 입력되는 드로잉 데이터를 비교하여 진한 색이나 굵은 굵기의 입력모음표시부(45)로써 디스플레이부(40)에 표시되도록 제어해주게 된다.
즉, 모음표시제어부(34)는 사용자의 모음입력부(20) 조작에 따라 상기 디스플레이부(40)에 표시된 임시모음표시부(44)에 한글 모음이 진한 색상 또는 굵은 굵기의 입력모음표시부(45)로써 표시되도록 제어해주게 된다.
한편, 임시자음표시제어부(35)는 상기 자음표시제어부(32)에 의해 디스플레이부(40)에 자음표시부(41)가 표시된 후, 일정 시간 동안 자음표시부(41)로 표시된 자음으로부터 변형 가능한 가획자 또는 병서자가 얇은 선 또는 연한 색의 임시자음표시부(41a)로써 디스플레이부(40)에 표시되도록 제어해준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자음입력부(10)의 기본자입력부(11)로 'ㄱ' 모양 버튼을 누르면, 1차적으로 디스플레이부(40)에 해당 'ㄱ' 모양이 연출되도록 자음표시제어부(32)가 디스플레이부(40)를 제어하고, 이 상태에서 임시자음표시제어부(35)는 디스플레이부(40)를 제어하여 'ㄱ' 모양으로 변형 가능한 'ㅋ', 'ㄲ' 모양이 되도록 추가되는 획이나 모양을 얇은 굵기나 흐린 색상으로 점멸되도록 디스플레이부(40)를 제어해주는 것이다.
이러한 동작은 한글 자음을 모두 모르는 상태에서, 키보드에 기본적으로 표시되어 있지 않았던 자음을 임시로 표시해주기 때문에 사용자가 손쉽게 추가적인 자음 입력을 선택할 수 있게 해주게 된다.
한편, 상기한 구성에서 임시모음표시부(44)의 형상은 우측모음표시부(42)의 수직 획(42a)은 서로 색상이 다른 채 평행하게 형성된 두 개의 선으로 표시되고, 두 수평 획(42b) 및 두 보조 수평 획(42c)은 각각 인접한 선의 색상과 동일한 색상으로 이루어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은 임시모음표시부(44)의 형이상학 형상만으로는 모음 입력이 어려운 한글 학습자로 하여금 모음의 모양을 가이드해주게 되는 것이다.
일예로 색상 구분이 없는 경우 모음을 입력하는 사용자는 모음입력부(20) 상에 '+'과 같은 모양을 그릴 수 있는데, 색상으로 서로 다르게 안내되어 있는 경우 이러한 모양을 배제한 채 색상의 모양에 따라 모음을 입력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단말기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종 학습 프로그램과 결합되어 한글 학습 효과를 배가시킬 수 있게 할 수도 있다 할 것이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단말기는, 컴퓨터, 스마트폰, 태블릿 등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학습 전용의 별도의 단말기로 구성될 수도 있다 할 것이다.
10 : 자음입력부 11 : 기본자음입력부
12 : 이체자입력부 13 : 가획자입력부
14 : 병서자입력부 20 : 모음입력부
30 : 제어부 31 : 배열제어부
32 : 자음표시제어부 33 : 임시모음표시제어부
34 : 모음표시제어부 35 : 임시자음표시제어부
40 : 디스플레이부 41 : 자음표시부
42 : 우측모음표시부 42a : 수직 획
42b : 수평 획 42c : 보조 수평 획
43 : 하부모음표시부 44 : 임시모음표시부
45 : 입력모음표시부

Claims (7)

  1. 한글 깨치기 단말기에 있어서,
    1회 점 접촉에 의해 입력되는 가압 버튼 또는 터치 버튼으로 구성되어 한글 자음이 입력되도록 이루어진 자음입력부(10)와;
    연속된 선 접촉에 의해 입력되는 터치패드 또는 마우스로 구성되어 한글 모음이 입력되도록 이루어진 모음입력부(20)와;
    상기 자음입력부(10) 및 모음입력부(2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으며, 자음입력부(10) 및 모음입력부(20)에 의해 입력된 자음과 모음을 배열하여 단어를 형성하는 제어부(30)와;
    상기 제어부(3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고, 제어부(30)에 의해 자음입력부(10) 및 모음입력부(20)에 의해 입력되는 자음 및 모음이 표시되고, 제어부(30)의 제어에 의해 입력이 완료되어 배열된 단어가 표시되는 디스플레이부(40);를 포함하여 구성된,
    한글 깨치기 단말기.
  2. 한글 깨치기 단말기에 있어서,
    한글 자음의 "ㄱ", "ㄴ", "ㅁ", "ㅅ", "ㅇ"을 의미하는 기본 자음이 입력되는 기본자음입력부(11)와, 한글 자음의 이체자인 "ㄹ"이 입력되는 이체자입력부(12)와, 한글 자음의 "ㅋ", "ㄷ", "ㅌ", "ㅂ", "ㅍ", "ㅎ"을 의미하는 가획자가 입력되도록 하되, 기본자음입력부(11)에 입력된 기본 자음 입력 후 별도의 추가 입력으로써 가획자가 입력되도록 하는 가획자입력부(13)와, 한글 자음의 "ㄲ", ㄸ", "ㅃ", "ㅆ", "ㅉ"을 의미하는 병서자가 입력되도록 하되, 상기 기본자음입력부(11) 및 가획자입력부(13)에 입력된 기본 자음 또는 가획자 입력후 별도의 추가 입력으로써 병서자가 입력되도록 하는 병서자입력부(14)로 구성되며, 상기 기본자음입력부(11), 이체자입력부(12), 가획자입력부(13), 병서자입력부(14)는 1회 점 접촉에 의해 입력되는 가압 버튼 또는 터치 버튼으로 구성된 자음입력부(10)와;
    한글 모음이 입력되되, 마우스, 전자 펜, 사용자 손 중 어느 하나에 연속된 선 접촉에 의해 입력이 이루어지믐 모음입력부(20)와;
    상기 자음입력부(10) 및 모음입력부(2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으며, 자음입력부(10) 및 모음입력부(20)에 의해 입력된 자음과 모음을 배열하여 단어를 형성하는 제어부(30)와;
    상기 제어부(3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고, 제어부(30)에 의해 자음입력부(10) 및 모음입력부(20)에 의해 입력되는 자음 및 모음이 표시되고, 제어부(30)의 제어에 의해 입력이 완료되어 배열된 단어가 표시되는 디스플레이부(40);를 포함하여 구성된,
    한글 깨치기 단말기.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30)는,
    자음입력부(10)에 의해 입력된 한글 자음과, 모음입력부(20)에 의해 입력된 한글 모음을 한글 단어 형태로 배열하도록 제어하는 배열제어부(31);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글 깨치기 단말기.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30)는,
    자음입력부(10)로부터 자음이 입력되면, 입력된 자음을 디스플레이부(40)에 자음표시부(41)로 표시되도록 제어하는 자음표시제어부(32)와;
    디스플레이부(40)에 표시된 자음표시부(41)의 우측에 수평 획(42b)과 수직 획(42a)이 교차되는 십자 형상 및 상기 십자 형상의 양측 수평 획(42b)의 하부에 수평 획의 추가를 의미하는 두 개의 보조 수평 획(42c)으로 구성된 우측모음표시부(42) 및 상기 우측모음표시부(42)와 동일한 형상을 취하되 우측모음표시부가 90도 회전한 상태로 표시되고, 상기 디스플레이부(40)에 표시된 자음표시부(41)의 하부에 표시되는 하부모음표시부(43)로 구성되고, 상기 디스플레이된 자음표시부(41)에 비해 흐린 색상 또는 얇은 굵기로 표시되는 임시모음표시부(44)가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도록 디스플레이부(40)를 제어하는 임시모음표시제어부(33)와;
    사용자의 모음입력부(20) 조작에 따라 상기 디스플레이부(40)에 표시된 임시모음표시부(44)에 한글 모음이 진한 색상 또는 굵은 굵기의 입력모음표시부(45)로써 표시되도록 제어하는 모음표시제어부(34);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글 깨치기 단말기.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우측모음표시부(42)의 수직 획(42a)은 서로 색상이 다른 채 평행하게 형성된 두 개의 선으로 표시되고, 두 수평 획(42b) 및 두 보조 수평 획(42c)은 각각 인접한 선의 색상과 동일한 색상으로 이루어져 사용자의 모음 입력을 가이드하도록 이루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글 깨치기 단말기.
  6.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가획자입력부(13)와 병서자입력부(14)는 각각 하나의 가압 버튼 또는 터치 버튼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배열제어부(31)는 상기 가획자입력부(13) 및 병서자입력부(14)의 입력 전에 입력된 데이터의 종류에 따라 가획자 및 병서자를 설정하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글 깨치기 단말기.
  7.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30)는,
    상기 자음표시제어부(32)에 의해 디스플레이부(40)에 자음표시부(41)가 표시된 후, 일정 시간 동안 자음표시부(41)로 표시된 자음으로부터 변형 가능한 가획자 또는 병서자가 얇은 선 또는 연한 색의 임시자음표시부(41a)로써 디스플레이부(40)에 표시되도록 제어하는 임시자음표시제어부(35);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글 깨치기 단말기.
KR1020200046010A 2020-04-16 2020-04-16 한글 깨치기 단말기 KR10236160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46010A KR102361607B1 (ko) 2020-04-16 2020-04-16 한글 깨치기 단말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46010A KR102361607B1 (ko) 2020-04-16 2020-04-16 한글 깨치기 단말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28160A true KR20210128160A (ko) 2021-10-26
KR102361607B1 KR102361607B1 (ko) 2022-02-11

Family

ID=782685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46010A KR102361607B1 (ko) 2020-04-16 2020-04-16 한글 깨치기 단말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61607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49346A (ko) * 1999-11-25 2000-08-05 정회선 훈민정음 제자 원리에 기반한 한글 입력 장치 및 방법
KR20160118542A (ko) * 2015-04-02 2016-10-12 주식회사 가온한국어 한글 모음 제자원리에 기반한 한글 입력 방법, 한글 입력 장치 및 한글 교육 시스템
KR101667183B1 (ko) 2016-04-28 2016-10-17 (주)정글시스템 스마트 디바이스에서 천지인 기반의 옛한글 자모 조합입력을 위한 개선방안과 그 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49346A (ko) * 1999-11-25 2000-08-05 정회선 훈민정음 제자 원리에 기반한 한글 입력 장치 및 방법
KR20160118542A (ko) * 2015-04-02 2016-10-12 주식회사 가온한국어 한글 모음 제자원리에 기반한 한글 입력 방법, 한글 입력 장치 및 한글 교육 시스템
KR101667183B1 (ko) 2016-04-28 2016-10-17 (주)정글시스템 스마트 디바이스에서 천지인 기반의 옛한글 자모 조합입력을 위한 개선방안과 그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61607B1 (ko) 2022-02-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81549B1 (ko) 투 클릭 모르스부호를 이용한 문자입력장치 및 입력방법
TWI475404B (zh) 用以產生文字訊息之設備及方法
KR102265255B1 (ko) 외국인 학습자를 위한 영어 발음기호를 이용한 한글 교육 시스템
JP4662667B2 (ja) 小型キーパッドにおける字母入力装置及びその方法
US20060014123A1 (en) Pseudo-cuneiform tactile display
US8928592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lphabet input
KR102035087B1 (ko) 외국인 한글 학습자용 키패드 시스템
KR102361607B1 (ko) 한글 깨치기 단말기
WO2020036011A1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CN116627263A (zh) 一种中小学教学用多功能键盘
KR100768696B1 (ko) 한글자판 및 이를 이용한 한글 입력장치
JPS63278114A (ja) 相対母音法日本語入力方式
KR100294034B1 (ko) 문자의 획순학습장치 및 그 학습방법
KR20190085570A (ko) 시각장애인용 점자 교육 시스템 및 방법
KR20020093727A (ko) 이동식 단말기의 글자형태식 한글입력방법
JP2008139835A (ja) 発音学習法
KR100577675B1 (ko) 한글 키패드
KR20050115792A (ko) 스마트 중문자 입력법
Nandadasa A Bliss Writing System
TW490619B (en) Character input method
JP2023064489A (ja) 問題自動作成装置およびプログラム
KR101615862B1 (ko) 단말기의 터치스크린을 이용한 한자와 숫자입력 자판 및 그 입력방법
KR200330513Y1 (ko) 한손 한글 키패드
KR20120056581A (ko) 터치스크린패널을 이용한 베트남어입력장치
KR100620489B1 (ko) 한손 한글 키패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