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27696A - 그라인딩 장치 및 그 조정 방법 - Google Patents

그라인딩 장치 및 그 조정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27696A
KR20210127696A KR1020217022862A KR20217022862A KR20210127696A KR 20210127696 A KR20210127696 A KR 20210127696A KR 1020217022862 A KR1020217022862 A KR 1020217022862A KR 20217022862 A KR20217022862 A KR 20217022862A KR 20210127696 A KR20210127696 A KR 2021012769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inding
adjustable
housing
stop
extreme pos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70228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마르텐 워싱크
카렌 하버스
키즈 드 그로엔
이보 플뤼메이커스
Original Assignee
제이.엠. 데 용 뒤케 아우토마텐파브릭 비.브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제이.엠. 데 용 뒤케 아우토마텐파브릭 비.브이. filed Critical 제이.엠. 데 용 뒤케 아우토마텐파브릭 비.브이.
Publication of KR202101276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2769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2/00Coffee mills; Spice mills
    • A47J42/12Coffee mills; Spice mills having grinding discs
    • A47J42/16Coffee mills; Spice mills having grinding discs mechanically driven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2/00Coffee mills; Spice mills
    • A47J42/12Coffee mills; Spice mills having grinding discs
    • A47J42/18Adjusting mechanis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AREA)
  • Constituent Portions Of Griding Lathes, Driving, Sensing And Contro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그라인딩 장치 및 그 조정 방법을 제공한다. 그라인딩 장치는 상호 공동 작용하는 그라인딩 바디들을 가지는 그라인딩 하우징을 포함한다. 2개의 그라인딩 바디들중의 하부 그라인딩 바디는 분쇄 크기를 설정하기 위해 구동되고 축 방향으로 조정가능하다. 상부 그라인딩 바디는 제거 가능하다. 그라인딩 장치의 분쇄 크기는 2개의 그라인딩 표면들 사이의 최소 간극과 2개의 그라인딩 표면들 사이의 최대 간극 사이의 고정 설정 범위에 해당되는 제 1 극단 위치와 제 2 극단 위치 사이에서 절대적인 방법으로 조정될 수 있다. 조정 가능한 그라인딩 바디의 극단 위치는 관련 극단 위치에서 조정 수단에 의해 만나는 정지부에 의해 부과된다. 커피 머신은 커피와 흐르는 물 사이의 최적 접촉 시간을 위해 절대 분쇄 크기 및/또는 미세 조정을 사용한다.

Description

그라인딩 장치 및 그 조정 방법
본 발명은 구동 수단 및 그라인딩 하우징을 포함하는 그라인딩 장치에 관한 것으로, 그라인딩 하우징은 상호 간극을 유지하는 적어도 실질적으로 평행한 그라인딩 표면을 갖는 서로 대향하고 상호 공동 작용하는 그라인딩 바디의 세트를 포함하며, 그라인딩 바디의 세트의 적어도 피구동 그라인딩 바디는 그라인딩 하우징에서 그 중심축을 중심으로 하여 작동 동안에 회전 가능하게 매달되고 연결되거나, 또는 적어도 연결될 수 있으며, 구동 수단으로 하여금 작동 동안에 중심축을 중심으로 회전을 작동 가능하게 수행하도록 하며, 조정 수단에 제공되어, 그라인딩 바디의 세트의 적어도 조정가능한 그라인딩 바디가 그라인딩 표면들 사이에서 바람직한 상호간극을 부여하기 위하여 축방향으로 조정 가능하다. 본 발명은 또한 그라인딩 장치를 조정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서문에 기재된 그라인딩 장치는 커피 원두 분쇄기 또는 그라인더로 널리 적용되며, 그라인딩 장치는 커피 원두를 분쇄하여 분말 가루를 만들며, 이러한 분말 가루에 뜨거운 물을 부어서 커피 추출물이 추출된다. 그라인딩 장치는 특히 분말 가루에서 뜨거운 커피 제품을 준비하는 커피 머신에 내장된 원두 그라인더와 관련이 있다. 커피 추출물이 선택적으로 증가된 압력 하에서 뜨거운 물로 추출되기 전에, 분말 가루는 일반적으로 컴팩트 베드(compact bed)로 압축된다. 기본적으로, 커피 제품은 에스프레소 커피로부터, 적용되는 수압, 커피 베드의 콤팩트 함(compactness) 및 커피 분말의 품질과 관련된 물의 양에 따라 다양한 강도의 여과 커피에 이르기까지 다양 할 수 있다. 여기서 우유, 분유 및/또는 감미료(설탕)을 원하는 대로 첨가하여 다양한 커피 제품을 제조할 수 있다.
커피 원두들은 그라인딩 하우징에 위치하고, 그 다음 그라인딩 디스크(grinding disc)로 불리우는 그라인딩 바디 세트들 사이에 수용된다. 2개의 그라인딩 바디들 중의 적어도 하나는 작동 중에 회전하여 원두가 움직이도록 설정된다. 일반적으로, 그라인딩 표면들은 일련의 절단 날들(cutting edges)를 가지고, 따라서, 그라인딩 디스크들 사이에 잡힌 커피 원두들이 과립 커피 분말로 분쇄된다. 여기서 2개의 그라인딩 바디들 사이의 간극은 얻은 분쇄물의 분쇄 크기를 실질적으로 정의한다. 이 간극이 작을수록 분쇄물은 더 미세하게 분쇄된다. 그리고 그 반대의 경우, 즉, 간극이 클수록, 얻어지는 분쇄물은 더 거칠어진다.
커피 추출물이 분쇄물로부터 추출되는 뜨거운 물의 온도, 압력, 양 및 머무름 시간 외에도, 분쇄물의 양과 함께 이 분쇄 크기는 준비되는 음료수의 품질과 풍미를 위하여 주어진 소스 제품에서 중요한 변수이다. 분쇄 크기를 조정할 수 있도록, 공지된 그라인딩 장치는 선택적으로 전원이 공급되는 조정 수단을 가지며, 따라서, 그라인딩 바디 세트 중 적어도 하나가 조정 가능하다. 그라인딩 바디 세트들 사이의 간극을 조정하여, 그 분쇄물을 더 미세하거나 거친 설정으로 연마될 수 있다. 이로 인해 분쇄물에서 얻은 다소 농축된(강한) 추출물이 생성되고, 분말에서 추출되는 에센셜 오일 및 기타 향료에도 영향을 미친다.
알려진 그라인딩 장치의 단점은 분쇄 크기 조정이 상대적이라는 것이다. 현재 설정으로부터 점차 미세하거나 거친 설정으로만 조정할 수 있다. 그 다음, 예들 들면, 오작동 경우나 검사 및 유지 보수의 경우에, 2개의 그라인딩 바디들 중 하나가 제거되거나 교환된다면, 설정은 소실된다.
공지된 그라인딩 장치는 부가될 분쇄 크기를 고정된 소정의 절대적인 설정을 허용하지 않는다. 실제로, 이는 예를 들어 커피 품질 및 풍미와 같은 장치의 원하는 제어에 상당한 제한을 부과하고, 특히 장치가 커피 품질을 원격으로 모니터링 및/또는 조정될 수 있는 시스템의 일부를 구성해야만 한다.
분쇄 크기를 조절할 수 있는 공지된 그라인딩 장치의 또 다른 단점은 이들의 제거가 힘들고 실제로 시간이 많이 소요되어, 오작동 및 유지 보수를 간단한 방식으로 해결할 수 없다는 것이다. 가능한 임시 또는 주기적 유지 보수 또는 오작동을 수리하기 위해서, 특히 내부의 그라인딩 바디와 관련하여 그라인딩 장치를 원하는 경우 간단한 방식으로 분리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돌과 같은 이물질이 예기치 않게 그라인딩 표면 사이에 놓여서, 장치가 막히거나 올바르게 작동하지 않는 경우에, 이러한 문제를 제거할 수 있는 옵션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특히 사용 중에 간단한 방법으로 분리 및 배열될 수 있는 그라인딩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언급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서문에 기술된 형태의 그라인딩 장치는 본 발명에 따라 다음과 같은 특징을 가진다. 즉, 상호 공동 작용하는 그라인딩 바디 세트중의 제 1의 하부 그라인딩 바디는 구동 및 조정 가능하며, 상호 공동 작용 그라인딩 바디 세트중의 제 2의 상부 그라인딩 바디는 고정 방식으로 배열되고, 제 2 그라인딩 바디는 수동으로 분리 가능한 방식으로 그라인딩 하우징에 연결된다. 따라서, 그라인딩 장치는 상부를 제거하여 그라인딩 바디에 직접 접근할 수 있는 간단한 방법으로 개방될 수 있다. 그라인딩 바디는 구동되거나 조정될 필요가 없기 때문에, 목적에 충분한 비교적 단순한 구조이다. 이것은 그라인딩 바디들의 세트의 제 1의 하부 그라인딩 바디는 분쇄 크기와 그라인딩 공정 자체의 명시된 조정 가능성을 모두 제공하기 때문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그라인딩 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본 발명에 따라 다음과 같은 특징으로 가진다. 즉, 조정 가능한 그라인딩 바디의 조정이 제 1 극단 위치(extreme position)로부터 제 2 극단 위치로 제한되는데, 2개의 그라인딩 표면들 상의 최소 간극과 2개의 그라인딩 표면들 사이의 최대 간극 사이의 고정된 설정 범위에 대응하며, 조정 가능한 그라인딩 바디의 제 1 극단 위치와 제 2 극단 위치 중의 적어도 하나는 관련된 극단 위치에서 조정 수단이 마주치는 정지부(stop)에 의하여 부과된다. 따라서, 분쇄 크기 조정은 항상 정해진 최소 간극에서 최대 간극까지 고정된 설정 범위로 제한된다.
이러한 극단 위치들 중 적어도 하나는 장치의 조정 수단에 의해 감지될 수 있으며, 따라서, 고정된 거리에 걸쳐 이 위치로부터 설정 범위의 위치까지 조정 가능한 그라인딩 바디를 조정하여 분쇄 크기의 절대 설정이 가능한 고정 기준을 얻어진다. 이것은 그라인딩 바디들 사이에 부과된 간극에 대한 완전한 제어를 제공하고 따라서 설정된 분쇄 크기를 초과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본 발명에 따른 그라인딩 장치는 여기서 적어도 하나의 극단 위치가 2개의 그라인딩 표면들 사이의 최대 간극에 대응한다는 특징을 갖는다. 따라서 기준이 되는 위치는 2개의 그라인딩 바디들 사이의 최대 간극에 해당하므로, 2개의 그라인딩 바디들 사이에 존재할 수 있는 분쇄물 및/또는 원두 잔류물에 의해 방해받지 않는다.
조정 수단이 정지부에 마주치자 마자 정지부에서 추론할 수 있는 단일 기준만으로도 충분하다. 그러나, 그라인딩 장치의 특정 실시예는 본 발명에 따라 다음과 같은 특징을 가진다. 즉, 설정 범위는 그라인딩 장치상의 제 1 정지부에 의하여 부여되며, 제 1 정지부는 정지 수단에 의하여 제 1 극단 위치에서 마주치며 최소 간극에 대응한다. 또한, 설정 범위는 그라인딩 장치상의 제 2 정지부에 의하여 부여되는데, 제 2 정지부는 정지 수단에 의하여 제 2 극단 위치에서 마주치며 최대 간극에 대응된다. 따라서, 조정 가능한 그라인딩 바디의 조정에 있어서 상한 및 하한, 그리고 이에 따른 전체 설정 범위는 그라인딩 장치의 구성에 고정된다.
본 발명에 따른 그라인딩 장치의 특정 실시예는 다음과 같은 특징을 가지는데, 여기서 그라인딩 하우징은 적어도 하나의 정지부를 포함하고 조절 가능한 그라인딩 바디는 정지 표면을 포함하고, 정지 표면은 관련 극단 위치의 정지부상에 수용된다. 여기서, 그라인딩 하우징은 이에 대응하는 설정 범위의 한계가 결정되는 적어도 하나의 정지부를 포함한다. 여기서, 조정 가능한 그라인딩 바디는 관련 극단 위치에서 정지부에 부딪히는 정지면을 포함하며, 이에 따라 이들의 조정은 설정 범위 내로 제한된다.
여기서, 그라인딩 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조정 가능한 그라인딩 바디에 조정 가능하게 연결된 조정 장치가 정지면을 포함한다는 특징을 갖는다. 조정 가능한 그라인딩 바디에 대한 조정 장치 및 이에 의해 구성되는 정지면에 대한 조정은 설정 범위를 전체적으로 이동시켜, 집단적으로 구체적인 필요성이 있을지라도, 그 상한 및 하한을 최적으로 조정할 수 있게 한다. 그라인딩 장치의 구체적인 설정의 가능한 육안 검사의 목적을 위해, 추가적인 특정 실시예는 다음과 같은 특징을 가진다. 즉, 조정 장치는 스케일 분할과 조정 가능한 그라인딩 바디를 설정하는 동안 조정 장치가 뒤로 이동하는 그라인딩 하우징의 창을 포함하며, 현재 설정은 창을 통해 볼 수 있다.
예를 들어, 조정 나사 또는 다른 부재를 사용하여 조정 가능한 그라인딩 바디의 조정이 수동으로 구현될 수 있지만, 본 발명에 따른 그라인딩 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다음과 같은 특징을 가진다. 즉, 조정 수단은 조정 가능한 액추에이터를 포함하고, 조정가능한 액추에이터 또는 적어도 조정가능한 액추에이터는 중심 축을 따라 제어된 축 방향 조정을 부여하기 위해 조정 가능한 그라인딩 바디에 작동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이 목적을 위해 제공된 제어 유닛에서 액추에이터를 구동함으로써, 분쇄 크기의 조정 및 설정이 그라인딩 장치 내부 및 내부에서 완전히 자율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라인딩 장치의 또 다른 특정 실시예는 본 발명에 따른 다음과 같은 특징을 포함한다. 즉, 조정 가능한 그라인딩 바디는 그라인딩 하우징의 2차 나사산과 작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1차 나사산을 포함하고, 액추에이터는 출력 구동 축을 갖는 전기 모터를 포함한다. 또한, 전기 모터의 구동 축과 조정 가능한 그라인딩 바디 사이에 변속기(transmission)이 제공되어 조정 가능한 그라인딩 바디에 1 차 및 2 차 나사산의 집합 나사 축에 대한 제어된 회전을 부여한다. 따라서 조정 가능한 그라인딩 바디는 축 방향으로 조정 가능한 방식으로 그라인딩 하우징에 수용되며, 여기에서, 설정 범위 내의 조정 정도는 변속기의 선택적인 변속비와 1차 및 2차 나사산의 피치의 결합에서 전기 모터의 구동 축에 부여된 회전 수에 의해 결정된다.
그라인딩 장치가 미리 정해진 설정을 취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그라인딩 장치의 또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는 다음과 같은 특징을 가진다. 즉, 적어도 작동 중에 액추에이터가 제어 유닛에 의해 제어될 수 있는데, 제어 유닛에는 액추에이터 상에 부여된 위치가 저장되는 메모리 수단이 제공되며, 이 메모리 수단은 특히 비 휘발성 전자 메모리 수단을 포함한다. 따라서 제어 유닛이 의도 한 위치를 항상 메모리에서 읽을 수 있으므로, 예를 들어, 조정된 그라인딩 장치가 의도한 설정으로 돌아갈 수 있다. 비 휘발성 메모리를 적용하면, 상기와 같은 설정은 정전 후에도 가능하다.
여기서, 제 2 그라인딩 바디가 그라인딩 하우징에서 교체될 때 가능한 멀리 다시 한번 원래 위치를 차지하여, 다른 그라인딩 바디에 대한 설정 간극이 변경되지 않도록 또는 거의 변경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이를 고려하여, 본 발명에 따른 그라인딩 장치의 또 다른 특정 실시예는 다음과 같은 특징을 가진다. 즉, 제 2 그라인딩 바디는 그라인딩 하우징의 추가 정지부까지 배열될 수 있고 위치될 때 추가 정지부에 부딪치기 되는데, 특히, 제 2 그라인딩 바디와 그라인딩 하우징 사이에 베이어넷 연결부(bayonet connection)가 형성된다. 예를 들어, 베이어넷 클로져(bayonet closure)의 단부 위치와 같은, 이 추가 정지부는 조정 가능한 그라인딩 바디의 설정 범위에 대한 고정된 기준을 제공하므로, 의도한 설정의 절대 값은 2개의 그라인딩 바디들 중 어느 것도 교체하지 않거나 너무 많이 마모되지 않는 한 적어도 크게 보장될 수 있다. 그러나 비교적 간단한 캘리브레이션 또는 전체 재설정은 정확한 절대 설정 값을 다시 한 번 보장하기 위해 후자의 경우 충분할 수 있다.
정지부를 사용하는 것 외에도, 다른 방법으로 제 2 그라인딩 바디가 그라인딩 하우징에 올바르게 배치되었는지 확인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그라인딩 장치의 특히 바람직한 실시예는 이와 관련하여 다음과 같은 특징을 가진다. 즉, 그라인딩 하우징의 벽에 유출 개구(outflow opening)가 제공되고, 그 위치에서 분말 튜브를 개방하는 위치가 벽에 해제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제 2 그라인딩 바디에는 제 2 그라인딩 바디가 정지부에 부딪힐 때 분말 튜브를 위한 공간을 남기는 칼라가 제공되지만, 제 2 그라인딩 바디의 불완전한 배치의 경우에는 분말 튜브의 결합을 방지한다. 따라서, 칼라는 제 2 그라인딩 바디가 올바르게 배열되지 않은 경우 유출이 배치되는 것을 방지한다. 따라서, 그라인딩 장치의 지속적인 작동은 제 2 그라인딩 바디가 그라인딩 하우징의 단부 위치에 올바르게 배치되지 않았음을 나타내기 때문에 방지된다.
그라인딩 장치의 소음 수준과 진동을 제한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그라인딩 장치의 추가 실시예는 다음과 같은 특징을 가진다. 즉, 제 2 그라인딩 바디와 그라인딩 하우징의 인접 부분 사이에 댐핑 수단이 제공되는데, 댐핑 수단은 작동 중 진동을 흡수할 수 있고, 특히 댐핑 수단은 유연한 라이닝(flexible lining)을 포함한다. 장치의 소음 수준을 제한하면, 그라인딩 장치가 내장된 커피 디스펜서(coffee dispenser)에 상업적인 이점이 있다. 즉, 조용한 커피 디스펜서가 더 잘 팔릴 것이며, 특히, 커피 디스펜서가 사무실에 있는 경우에 적합하다. 또한, 진동을 제한하는 것은 디스펜서의 구성에도 장점이 있다. 즉, 진동은 디스펜서의 다른 구성 요소, 특히 선택적인 분말 투여 수단으로 덜 전달되어, 구성요소들이 보다 더 나은 기능을 하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그라인딩 장치의 추가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다음의 특징을 가진다. 즉, 구동 수단은 주 모터 및 액추에이터를 갖는 구동 플랫폼(drive platform)을 포함하고, 주 모터 또는 적어도 주 모터는 피구동 그라인딩 바디에 대하여 제 1 변속기와 작동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액추에이터 또는 적어도 액추에이터는 조정가능한 그라인딩 몸체에 대하여 제 2 변속기와 작동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고, 그라인딩 하우징은 수동적으로 탈착 가능한 방법으로 구동 플랫폼에 연결된다. 따라서, 이것은 선택적으로 제거할 수 있는 그라인딩 바디들 중 하나가 아니며, 그라인딩 하우징 전체를 완전히 분리할 수 있고 내장된 경우 제거할 수 있다. 이는 일반적으로 오작동 및 마모에 가장 취약한 그라인딩 하우징을 추가 도구없이 완전히 접근할 수 있고, 원하는 경우 전체적으로 교체할 수 있다는 점에서 그라인딩 장치의 유지 관리 및 검사를 용이하게 한다. 소음 및 진동을 더욱 감소시키기 위해, 그라인딩 장치는 추가 실시예에서 다음과 같은 특징을 가진다. 즉, 그라인딩 하우징과 구동 플랫폼 사이에 댐핑 수단이 제공되는데, 댐핑 수단은 작동 중 진동을 흡수할 수 있고 구성되며, 특히 댐핑 수단은 가요성 라이닝(flexible lining)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위에서 설명한 유형의 전동식 조정 가능한 분쇄 크기는 커피 머신의 달임 과정(decoction process)을 제어하기 위해 전자 제어 유닛에 추가 매개 변수를 제공한다. 이에 따라, 분말은 분말의 양에 더하여 커피 베드(coffee bed)의 결정된 가압력에서 커피 베드의 저항 및 이에 따라 커피-물 접촉 시간에 큰 영향을 미치는 미세도(fineness) 또는 조대함(coarseness)을 부여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은 접촉 시간이 최종 제품의 풍미와 품질을 결정한다는 통찰에 기초한다.
다른 측면에서, 본 발명은 특히 커피-물 접촉 시간이 보다 정확하게 조정될 수 있는 커피 머신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서문에 기술된 유형의 커피 머신은 다음과 같은 본 발명의 따른 특징을 포함한다. 즉, 제어 유닛은 기계를 통한 액체 흐름 속도를 등록하고 이를 전자 값의 형태로 생성하도록 구성된 적어도 하나의 센서에 결합된다. 특히, 센서는 추출 챔버로부터 제품 도관을 통한 제품 흐름의 유속 또는 물 도관을 통해 추출 챔버로의 물 흐름의 유속을 등록하고 생성한다. 또한, 액체 흐름은 미세 조정에 의해 적어도 부분적으로 조정될 수 있고 제어 유닛에 의해 제어되며, 제어 유닛은 액체 흐름 속도의 수신된 값에 기초하여 미세 조정을 기계에 제공할 수 있고 구성되며, 따라서, 액체 흐름 속도는 미리 결정된 값으로 조정될 수 있다. 이 값은 특히 커피와 흐르는 물 사이의 미리 결정된 접촉 시간이 달성되도록 조정되고 부여된다.
특정 구체예에서, 본 발명에 따른 커피 머신은 다음을 특징으로 한다. 즉, 제품 도관은 제어 가능한 제한부(restriction)를 포함하고, 미세 조정은 증가된 압력과 제한부의 저항중의 적어도 하나를 제어하기 위한 제품 도관에서 제어 가능한 펌프 및 제어 가능한 제한부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제품 도관의 펌프 압력 또는 저항을 조정하면, 커피 머신이 준비 과정 중에 커피-물 접촉 시간을 조정하고, 원하는 값으로 조정할 수 있다. 후속 준비주기에서, 사전 설정은 이 미세 조정의 과거 경험적 데이터를 기반으로 선택적으로 조정될 수 있으므로, 필요한 미세 조정이 제한적으로 유지된다. 따라서, 압축된 커피 베드의 저항 및 역압(counter-pressure)에도 영향을 미치는 공기 습도 및 주변 온도와 같은 기후 요인을 적절하게 예측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그라인딩 장치의 분쇄 크기의 절대적이고 미리 결정된 설정은 커피 제품을 준비하는 커피 머신과 같이 뜨거운 음료를 준비하는 장치에 적용될 때 특정 옵션을 제공하며, 여기서 추출물은 뜨거운 물로서 분쇄물로부터 추출된다. 이것은 선택적인 자동 그라인딩 설정을 여기에서 절대 스케일(absolute scale)에 연결될 수 있기 때문이다. 즉, 커피의 섬세함을 설정하고 모니터링하는 것은 더 이상 제품의 머무름 시간(retention time)으로만 실질적으로 수행할 수 없고, 이제는 분쇄 크기를 직접적이고 절대적으로 설정하는 방식으로도 가능하다. 커피 포뮬러(coffee formula)는 일반적으로 커피 종류, 원두 종류, 및 도지즈(dosage)에 따라 섬세함을 가진다. 따라서, 서문에 기술된 유형의 커피 머신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본 발명에 따라 다음과 같은 특징을 가진다. 그라인딩 장치는 본 발명에 따른 그라인딩 장치를 포함하고, 제어 유닛은 그라인딩 장치의 조정 수단에 작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또한, 제어 유닛은 프리셋의 일부로서 조정 가능한 그라인딩 바디에 정의된 절대 위치를 부과하도록 구성된다.
커피 머신의 특정 실시예는 다음과 같은 특징을 가진다. 즉, 제어 유닛은 전자 메모리, 바람직하게는 정의된 절대 위치가 저장되는 비 휘발성 메모리를 포함하고, 제어 유닛은 그라인딩 장치로의 리셋 프로세스를 부여할 수 있도록 구성되며, 따라서, 그라인딩 장치는 조정된 상태에서 저장된 위치로 재설정된다. 분쇄 크기를 결정하는 정보는 이로써 장치에 또는 장치에 저장되므로, 예를 들어, 검사 또는 유지 보수의 경우 그라인딩 장치를 수동으로 조정한 후, 이러한 재설정 프로세스를 간단한 방식으로 기계에 부여될 수 있으며, 따라서, 그라인딩 장치가 다시 한 번 올바른 설정을 적용한다.
제품 품질에 대한 보다 완전한 제어 및 조정성을 위해서, 본 발명에 따른 커피 머신의 추가의 특정 실시예는 다음과 같은 특징으로 포함한다. 즉, 제어 유닛이 액체 흐름 속도를 등록할 수 있고 또한 전자 값 형태로 액체 흐름 속도를 발생할 수 있도록 구성된 적어도 하나의 센서에 결합된다. 특히, 추출 챔버에서 제품 도관을 통한 제품 흐름 또는 물 도관을 통해 추출 챔버로의 물 흐름의 흐름 속도의 형태로 생성하고 액체 흐름을 조정할 수 있다. 또한, 액체 흐름은 제어 수단에 의해 제어되고 제어 유닛에 의해 제어되며, 특히 제어 수단은 제품 도관에서 제어 가능한 펌프 및 제어 가능한 제한부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에스프레소와 같은 커피 제품을 제조할 목적으로, 커피 추출물을 얻기 위해 뜨거운 물이 통과하기 전에 커피 분말은 일반적으로 추출 챔버에서 컴팩트한 커피 베드로 압축된다. 실제로는, 주로 뜨거운 물과 커피 베드 사이의 접촉 시간이 최종 제품의 맛과 품질에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밝혀졌다. 접촉 시간은 기계를 통과하는 액체 흐름의 유속이 등록됨으로 써 제어 유닛에 의해 유도되거나 계산될 수 있다.
분말의 섬세함과 함께, 커피 분말이 추출 챔버에서 압축되는 가압력은 커피 베드에서 나오는 뜨거운 물에 부딪히는 저항을 결정한다. 이 저항은 뜨거운 물과 커피 베드 사이의 접촉 시간의 결정에 상당히 기여한다. 제어 유닛이 접촉 시간이 너무 짧다는 것을 감지하면, 커피 분말이 커피 베드로 압축되는 보다 높은 압축 압력을 가하는 방식으로 제어 유닛이 작용할 수 있지만, 이제는 그라인딩 장치에 더 미세한 분쇄 크기를 부여함으로써, 이를 처리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그라인딩 장치의 절대적이고 직접적인 제어는, 여기서 적어도 대체로 알고리즘 적으로 정의되고 실험적으로만 결정되지 않는 제어를 가능하게 한다. 따라서, 예를 들어 커피 베드의 분쇄물과 최종 저항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온도 및 공기 습도와 같이 제어하기 어려운 주변 요인을 고려하는 것도 가능하다.
본 발명에 따른 커피 머신은 커피를 달이고 분말을 투여하기위한 보다 포괄적인 시스템의 일부로서 적용하기에 매우 적합하다. 원두 그라인더는 커피 머신에 의해 제어되며, 필요에 따라 통신 연결을 통해 원격으로 제어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커피 머신의 특정 실시예는 다음과 같은 특징을 가진다. 즉, 제어 유닛은 통신 수단을 가지는데, 통신 수단은 작동 측정 값을 생성하고 그 것으로부터 하나 이상의 제어 매개 변수를 수신할 수 있도록 원격 배치된 서버 장치와 통신 연결을 형성할 수 있고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그라인딩 장치를 조정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은 특징으로 가진다. 해당하는 정지부가 관련 극단 위치에서 조정 수단에 부딪힐 때까지, 조정 가능한 그라인딩 바디가 2개의 그라인딩 바디들 사이의 최대 간극에 해당하는 극단 위치로 이동하고, 또한 조정가능한 그라인딩 바디는 극단 위치에서 부여될 위치까지 재설정된다. 여기서, 2개 그라인딩 바디들 사이의 간극이 설정 값으로 돌아 가기 전에 먼저 완전히 열린 위치로 옮겨지게 때문에, 그라인딩 바디들 사이에 존재할 수 있는(그라인딩) 잔류물이 설정 범위의 극단 위치를 차지하는 데 방해가 되는 것을 방지한다.
이로써 만나는 극단 위치는 설정 범위의 극한 한계로 확실하게 간주될 수 있으며, 거기에서 부과될 위치로 이동하기위한 기준으로 사용될 수 있다. 다른 특정 실시예에서, 방법은 다음과 같은 특징으로 가진다. 즉, 조절 수단이 구동 될 수 있고 제어 유닛에 의해 제어되는 액추에이터를 포함하고, 제어 유닛은 메모리 수단, 특히 비 -휘발성 전자 메모리 수단에 부과될 위치를 읽으며, 제어 유닛은 메모리 수단으로부터 획득된 부과될 위치에 기초하여 액추에이터를 제어한다. 여기에서, 조정은 제어 유닛의 제어 하에 완전히 자동으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이점은, 예를 들어 소프트웨어를 사용하여 실제 스케일에 기초하여 조정할 수 있다는 것이다. 따라서(커피) 포뮬러를 구성할 때 복수의 매개 변수에 기초하여 조정할 수 있다. 즉, 이것은 그라인딩 장치를 제공하고, 시장에서 중요한 차별화된 기능과 기술적인 향상을 가진 기계도 제공한다. 따라서, 제거된 제품의 품질과 맛을 결정하는 모든 매개 변수를 제어할 수 있으며, 기계의 한계 내에서 조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예시적인 실시예 및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이하에서 추가로 설명될 것이다.
도 1은 커피 머신에 내장된 본 발명에 따른 그라인딩 장치의 예시적인 실시예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그라인딩 장치의 절개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그라인딩 장치의 분해도이다.
도 4는 도 1의 그라인딩 장치의 고정식 그라인딩 바디의 저면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2의 그라인딩 장치의 부분 단면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1의 그라인딩 장치의 일부의 측면도이다.
도 7은 도 1의 그라인딩 장치의 그라인딩 하우징의 사시 저면도이다.
도 8은 커피 머신의 예시적인 실시예의 제어도이다.
여기에서 수치는 순전히 도식적이며 모두(동일한) 축척으로 그려진 것은 아니다. 특히 일부 치수는 명확성을 위해 더 크게 또는 더 적게 과장될 수 있다. 상응하는 부분은 동일한 참조 번호로 도면에서 도시된다.
도 1은 그라인딩 장치(100)가 통합된 커피 머신의 섀시 또는 프레임(10)상에 또는 그 일부에 장착된 본 발명에 따른 그라인딩 장치(100)를 도시한다. 그라인딩 장치는 여기에서 플라스틱 커버 또는 케이싱(12)으로 깔끔하게 덮여 있다. 커피 머신의 추가 구성은 일반 숙련자에게 충분히 알려진 것으로 간주되므로 도면에 더 이상 도시되지 않는다. 커피 디스펜서 또는 에스프레소 머신으로도 지칭되는 커피 머신은 중앙 유입 개구(105)를 통해 상부 측의 그라인딩 장치로 커피 원두를 연속적으로 공급하고, 도시된 그라인딩 장치위에 위치된 커피 원두 저장소(여기서는 더 이상 도시되지 않음)를 포함한다.
이 개방된 측면은 케이싱(12)없이도 도 2 및 도 3에 도시 된 그라인딩 하우징(101)에서 나타난다. 그라인딩 하우징(101)은 실질적으로 알루미늄으로 형성되고 그 위에 고정되는 플라스틱 보호 커버(102)를 하부에 외부적으로 운반한다. 내부에서는, 그라인딩 하우징(101)은 한 세트의 그라인딩 디스크(115, 125)를 포함하며, 공급된 커피 원두가 그라인딩 디스크사이에 수용된다. 웜 또는 스크류(104)는 작동 중에 회전하고, 두 개의 그라인딩 디스크들(115, 125)의 각각의 그라인딩 표면들 사이의 좁은 틈으로 원두를 밀어 넣는다. 그라인딩 디스크들의 상대적인 회전에 의해 원두는 미세한 커피 분쇄물(분말)로 분쇄된다. 2개의 그라인딩 디스크들의 그라인딩 표면들은 분쇄를 위해 커피 원두에 작용하는 교묘한 패턴의 커팅 에지(cutting edge)를 포함한다. 얻어진 분말은 유출 개구(103)에서 분배되고 이를 위해 제공된 커피(분말) 튜브(13)를 통해 그라인딩 장치를 떠나서 커피 머신의 추출 챔버로 이동한다.
제 1 그라인딩 바디(110) 및 제 2 그라인딩 바디(120)는 각각 그라인딩 디스크(115, 125)를 포함한다. 2 개의 그라인딩 바디들 중 제 1의 하부 그라인딩 바디(도 5 참조)는 이하에서 더 설명될 것이다. 이 그라인딩 바디는 모터로 구동되고 그라인딩 하우징(101)에서 회전 가능하고 축 방향으로 조정 가능한 방식으로 매달려 있다. 그라인딩 바디(110)의 구동 축(111)은 또한 웜 또는 나사(104)를 운반한다.
제 1의 하부 그라인딩 바디와 반대로, 2 개의 그라인딩 바디들 중의 제 2의 상부 그라인딩 바디(120)는 고정 방식으로 그라인딩 하우징(101)에 장착된다. 제 2 그라인딩 바디(120)는 도 4에 별도로 도시되어 있다. 제 1 그라인딩 바디(110)를 향하는 측면에서 제 2 그라인딩 바디는 그라인딩 디스크(125)를 포함한다. 그라인딩 디스크(115)가 반대편에 놓인 것처럼, 그라인딩 디스크(125)는 경화된 강철 또는 세라믹 재료를 사용하여 커피 원두에 많은 수의 분쇄 사이클을 수행할 수 있을 만큼 충분히 강하고 내마모성이 있다. 그라인딩 디스크(125)는 깔쭉깔쭉한(knurled) 주변 에지와 함께 사용자에게 편안한 그립을 제공하는 적절한 플라스틱 또는 다른 적절한 재료의 칼라 본체(122)에 의해 완전히 둘러싸여 있다. 그라인딩 디스크(125)와 칼라 본체(122)는 한 세트의 나사(123)에 의해 서로 견고하게 연결된다. 이 실시예에서, 유리가 충전된 폴리아미드는 강도 및 내구성을 고려하여 칼라 본체(122)에 적용된다.
제 2 그라인딩 바디(120)는 베이어넷 연결부(126, 127)에 의해 그라인딩 하우징(101)에 고정된다. 따라서, 그라인딩 바디(120)는 쉽게 배치 및 해제될 수 있으며 여기서 정의된 단부 위치를 갖는다. 이러한 목적을 위해, 그라인딩 바디(120)에 제공되는 베이어넷 리브(126)는 그라인딩 하우징(101)의 내벽에 그와 함께 작용하고 이를 위해 형성되는 베이어넷 홈(116)에 수용되고 고정된다. 외부 단부들에서 베이어넷 리브들(126)상에 돌출부들(127)들이 제공되는데, 돌출부들(127)은 리브들(126)과 함께 궁극적으로 베이어넷 홈들(116)의 에지에 부딪히고, 따라서 그라인딩 바디(120)를 배치하는 동안 항상 정의된 단부 위치를 차지한다.
정의된 단부 위치에 추가로 기여하는 것은 칼라(122)상의 직선 에지(121)이며, 직선 에지는 커피 튜브(13)가 유출 개구(103)의 위치에서 그라인딩 하우징(101)상에 장착되는 스파우트 어댑터(spout adapter)(14)의 대응 직선 에지(16)에 놓이게 된다. 상대적인 기하학적 구조와 상호 작용으로 인해, 커피 튜브(13)의 스파우트 어댑터(14)는 제 2 그라인딩 바디(120)의 제거를 차단한다. 제 2 그라인딩 바디(120)를 그라인딩 하우징(101)에서 분리하기 위해서는, 어댑터(14)가 있는 튜브(13)를 먼저 제거해야만 한다. 반대로, 어댑터(14)는 제 2 그라인딩 바디(120)가 그라인딩 하우징(101)의 극단(베이어넷) 위치에 배치되어 에지(121)가 어댑터(14)의 에지(16) 전체 뒤에 놓이게 되는 경우에만 유출 개구(103)의 에지 위로 미끄러질 수 있다. 후자는 제 2 그라인딩 바디(120)가 그라인딩 하우징(101)에서 항상 고정된 동일한 위치를 차지해야 한다는 것을 보장한다.
장치의 진동 및 소음 감쇠의 관점에서, 상대적으로 단단한 그라인딩 디스크를 감싸는 플라스틱 칼라(122)는 베이어넷 리브(126)를 포함한다. 진동을 더 감쇠하는 관점에서, NBR 고무(니트릴-부타디엔 고무)와 같은 적절하고 선택적인 천연 고무로 된 상대적으로 부드러운 가요성 라이닝(flexible lining)(128)이 칼라(122)에 배열된다. 이 라이닝(128)은 라이닝이 베이어넷 리브들(126)의 정지 돌출부들(127)에 대해 놓이는 댐핑 바디(129) 세트를 포함한다. 따라서, 이러한 댐핑 바디들(129)은 장착된 상태에서 그라인딩 하우징(101)의 베이어네 홈(116)의 에지들에 대해 놓이는 비교적 부드러운 정지 쿠션을 형성한다.
그라인딩 하우징(101)은 구동 플랫폼(200)상에 위치하지만, 원하는 경우 그라인딩 바디(110, 120)와 함께 그로부터 완전히 분리될 수 있다. 이를 위해, 그라인딩 하우징(101)은 플랫폼(200)의 한 세트의 레그들(210)에 분리 가능하게 구성된 날개(106) 세트를 지지한다. 플랫폼(200)은 고정된 직선 기어 변속기를 통해 중앙 기어 링(255)으로 플랫폼 내부에 결합되는 메인 모터(250)를 위한 공간을 제공한다. 여기에서, 축 톱니(axial toothing)는 제 1 그라인딩 바디(100)의 구동 축(111)의 자유 외부 단부에서 슬라이딩 가능하게 수용되는데, 이는 제 1 그라인딩 바디(110)과 웜 또는 스크류(104)의 거의 간극이 없지만 축방향으로 조정가능한 구동을 위하여 제공된다. 이 구동 축(111)는 베어링에 장착되고 그라인딩 하우징(101)의 바닥(107)에 적절한 롤러 베어링 어셈블리(112)를 삽입하여 고정된다. 내부적으로, 구동 축(111)은 제 1 그라인딩 바디(110)의 그라인딩 디스크(115)와 웜 또는 스크류(104)를 운반한다.
그라인딩 하우징(101)의 벽과 마찬가지로, 그라인딩 하우징의 바닥(107)은 알루미늄으로 형성되고, 나사산(114)을 개재하여 그라인딩 하우징(101)의 알루미늄 벽에 연결된다. 이것은 분말-타이트 클로져(powder-tight closure)를 제공하는데, 그럼에도 불구하고, 상기 그라인딩 하우징(101) 내부의 베어링 어셈블리(112)와 함께 바닥(107)의 축 방향 조정을 허용한다. 외부적으로, 조정 장치(130)는 그라인딩 하우징의 바닥(107)에 연결되어 있다(그림 7 참조). 이것은 나사들(131) 세트와 그 안에 제공된 방사상 슬롯들(132)에 의해 바닥(107)에 반경방향 조정을 위하여 연결되는 플라스틱 링이다.
일측에서 조절 장치는 돌출부(135)를 포함하고, 다른 측에서 조절 장치는 구동 플랫폼(200)의 변속기(230, 265)가 맞물리는 톱니형 칼라(toothed collar)(133)를 포함한다. 구동 플랫폼(200) 내에 또는 위에 제공되고 이 실시예에서(제 2) 전기 모터(260)에 의해 형성되는 제어 가능한 액추에이터는 이 변속기(230, 265)를 포함한다. 이것은 시계 반대 방향 또는 시계 방향으로 구체적인 회전 수(단계)로 구동될 수 있는 스테핑 모터이거나 회전 속도계 센서를 구비하는 보다 일반적인 전기 모터일 수 있다. 이 센서는 모터(260)의 구동 축의 회전 수(분수)를 등록(카운트)하고 이를 전자 값으로 생성한다.
변속기(230)의 변속비와 결합된 모터(260)의 출력축의 회전수는 이 회전이 조정 장치(130)의 기어 링(133)으로 전달되는 톱니 구동 축(265)의 회전 수를 결정한다. 마지막으로, 변속기 구동 축(265)과 기어 링(133)의 두 톱니 사이의 전달 비율은 조정 장치(130)가 회전 불가능하게 연결되는 그라인딩 하우징(101)에서 바닥(107)의 각도 조정을 결정한다. 그라인딩 하우징(101)의 바닥(107)과 이에 연결된 제 1 그라인딩 바디들(110, 115)의 축 방향 조정은 그라인딩 하우징의 바닥(107)과 벽(101)사이의 나사산(114)의 피치로부터 유도될 수 있다.
고정식 그라인딩 디스크(125)와 조정 가능한 그라인딩 디스크(115) 사이의 상호 갭(간극)(S)은 제 2 전기 모터(260)를 제어함으로써 정확하게 설정 및 조정될 수 있다. 액추에이터(230)는 더 이상 도시되지 않는 커피 머신의 제어 유닛에 의해 구동된다. 타코미터 신호도 공급되거나 또는 계산된 제어 신호가 생성된다. 따라서, 제어 유닛은 변속기(230, 265)를 통해 하부(107)의 톱니 형 칼라(133)로 전달되는 정확한 회전 수(분수)를 전기 모터(230)에 부과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이는 그라인딩 하우징(101)내부에 롤러 베어링 어셈블리(112)와 제 2 그라인딩 바디(120)가 있는 바닥(113)을 회전시킨다. 이 회전은 그라인딩 하우징에서 롤러 베어링 어셈블리(112) 및 제 2 그라인딩 바디(120)와 함께 나사 연결부(114)에서 바닥(113)의 축 방향 변위로 변환된다. 따라서, 제 1 그라인딩 바디(110)의 조정 가능한 구동 그라인딩 디스크(115)와 그라인딩 하우징(101)에 고정적으로 수용된 제 2 그라인딩 바디(120)의 고정식 그라인딩 디스크(125) 사이의 간극(S)이 조정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이러한 조정 가능성은 설정 범위로 제한되며, 이 설정 범위의 극단 위치는 적어도 하나의 정지부(108, 109)에 의해 장치에서 결정되고 부과된다. 이 실시예에서, 그라인딩 하우징은 그라인딩 하우징의 벽으로 오목한 홈(134)의 외부 단부들상에 있는 숄더(108, 109)의 세트 형상으로 2개의 정지부들을 포함한다 (도 7 참조). 조정 장치의 돌출부(135)는 이 홈(134)에서 연장되고, 그 외부 단부에 도달할 때, 상기 돌출부는 관련 숄더(108, 109)에 대한 정지면과 충돌한다. 이로 인해 발생하는 저항은 전기 모터에 의한 전력 소비 증가로 변환되며, 이는 설정 범위의 극한 경계가 도달했다는 신호로서 제어 유닛에 의해 등록되는데, 상기 극한 경계는 2개의 그라인딩 디스크들(115, 125) 사이의 최소 또는 최대 간극에 해당한다.
따라서, 제 2 그라인딩 바디(120)의 적어도 하나의 극단 위치, 즉, 최대 간극에 대응하는 위치가 등록된다. 이것은 그라인딩 디스크들(115, 125) 사이에 가능한 분쇄 잔류물의 존재에 의해 방해받지 않으며, 따라서 신뢰할 수 있는 방식으로 결정될 수 있다. 최소 간극과 마찬가지로, 최대 간극은 구성에 의해 결정되는 장치에서 제어 유닛에 알려진 고정 값이다. 따라서, 이는 2개의 그라인딩 디스크들(115, 125) 사이의 간극(S)에 대한 절대 값이 상응하는 회전 수(분수)에 걸쳐 액추에이터를 구동함으로써, 제어 유닛에 의해 부여될 수 있는 적절한 기준을 제공한다.
조정 장치(130)는 그라인딩 하우징(101)의 플라스틱 케이싱 부분(102) 뒤에 숨겨져 있는 스케일 분할부(137)를 주변에 갖는다(도 6 참조). 이 케이싱 부분(102)은 아래쪽 상에서 그라인딩 하우징(101)에 장착(고정 스냅)된다. 여기에서, 스케일 분할부(137)의 일부를 노출하는 창(108)이 제공된다. 2개의 그라인딩 디스크들(115, 125) 사이의 실제 간극 및 그에 따른 그라인딩 장치의 실제 분쇄 크기는 창을 통해 절대 값으로 판독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커피 또는 에스프레소와 같이 기계에서 생산할 원하는 커피 제품에 따라, 기계가 커피 분말을 더 많이 또는 더 적게 주입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분쇄 크기를 완전 자동 방식으로 조정할 수도 있다. 커피 분말이 컴팩트 베드로 압축되는 압력과 함께 추출 중 커피-물 접촉 시간에 영향을 미치는 가장 중요한 값이다. 이 커피-물 접촉 시간은 최종 커피 제품의 품질과 맛을 결정하는 중요한 값이다. 도 8은 커피 머신의 제어를 개략적으로 보여준다.
미리 입력된 달임 알고리즘(decoction algorithm)에 기초하여, 커피 머신에 준비할 커피 제품에 따라 제어 유닛 CPU에 의해 프리셋(preset)(R1)이 부과된다. 이 사전 설정은 특히 그라인딩 장치가 설정되는 분쇄 크기(M) 및 기계의 달임 장치의 추출 챔버에 투입되고 분배되는 커피의 결정된 양의 커피(D)를 포함한다. 수용되는 커피 분말은 주어진 가압력(F)으로 한 쌍의 피스톤 사이에 베드로 압축된다. 결정된 온도(T)와 수압(P)의 뜨거운 물은 커피 추출물을 얻기 위해 펌프로 커피 베드를 통해 안내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여기에서, 장치는 장치 내의 액체 흐름의 유속(V)을 등록한다. 이 유속은 장치의 액체 도관에 있는 적절한 센서(유량 센서)를 사용하여 단위 시간당 부피로 등록되고, 예를 들어, 상기 액체도관은 펌프에서 추출 챔버로의 물 도관 및/또는 추출 챔버에서 기계의 유출로의 제품 도관을 포함한다.
커피-물 접촉 시간은 결정된 양의 커피 제품이 분배될 때 알려진 액체 흐름(V)으로 부터 계산될 수 있다. 상기 접촉시간이 해당 커피 제품의 표준 값과 다른 경우, 미세 조정(R2)를 사용하여 개입한다. 예를 들면, 이러한 미세 조정은 제어 가능한 펌프의 경우, 펌프 압력(P)의 보정 및/또는 제품 도관의 제한 제어의 형태로 조정 가능한 저항(R)의 조정을 포함한다. 따라서, 액체 흐름(V)은 여전히 장치에 의해 재조정 및 수정될 수 있으며, 이는 준비될 커피 제품의 품질, 풍미 및 일관성에 상당한 기여를 한다. 중앙 제어 유닛(CPU)는 신호 및 측정 값들(V)를 수신하고 달인 알고리즘에 기초하여 다른 구성 요소를 제어한다.
여기서 제어 유닛(CPU)는 특히 원격에 위치한 서버 장치(S)에 대한 통신 연결(C)이 형성될 수 있는 통신 수단에 결합된다. 여기에서, 작동 매개 변수들, 특히, 달임 알고리즘(R1)을 얻을 수 있고 작동 값(V)을 생성할 수 있다. 따라서 원하는 커피-물 접촉 시간을 달성하는 데 필요한 미세 조정(R2)는 기계에서 또는 원격으로(또는 둘 다), 예를 들어, 이들을 장래에 제한하기 위하여 분쇄 크기(M), 도지즈(D), 가압력(F)의 프리셋(R1)의 변경으로 변환될 수 있다. 상술한 그라인딩 장치에서 분쇄 크기(M)의 정확하고 절대적인 설정은 여기서 복수의 기계에 절대 값을 제공할 수 있게 하고, 따라서 중앙 관리 및 중앙 제어가 단순화된다.
본 발명은 단지 하나의 예시적인 실시예를 참조하여 위에서 추가로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은 결코 이에 제한되지 않음이 명백 할 것이다. 반대로, 당업자는 본 발명의 범위 내에서 많은 변형 및 실시예가 여전히 가능하다. 따라서 전기 모터 대신 인덱스 선형 액추에이터가 조정 가능한 그라인딩 바디의 구동에 적용될 수도 있다. 구동 및 제어된 액추에이터 대신, 예를 들어, 분쇄 크기의 수동 조정을 위한 조정 수단으로 조정 나사를 적용할 수도 있다. 모든 경우에, 설정 범위의 가시적, 적어도 감지 가능한 한계는 본 발명에 따라 2개의 그라인딩 디스크 사이의 간극에 대한 절대 값이 부과될 수 있는 신뢰할 수 있는 기준을 제공한다.

Claims (20)

  1. 그라인딩 장치로서,
    구동 수단 및 그라인딩 하우징을 포함하고,
    그라인딩 하우징은 상호 대면하고 상호 공동 작용하는 그라인딩 바디 세트와, 상호 간극을 유지하는 적어도 실질적으로 평행한 그라인딩 표면들을 가지며, 상기 그라인딩 바디 세트중의 적어도 하나의 피구동 그라인딩 바디는 그라인딩 바디 세트는 그라인딩 하우징의 중심 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매달려 있고 작동 중에 중심 축을 중심으로 회전을 수행하기 위해 구동 수단에 작동적으로 결합되거나 적어도 결합될 수 있으며,
    구동 수단이 제공되며, 따라서, 상기 그라인딩 바디 세트 중 적어도 조정 가능한 그라인딩 바디는 그라인딩 표면들 사이에 원하는 상호 간극을 부여하기 위해 축 방향으로 조정 가능하며,
    상호 공동 작용하는 그라인딩 바디 세트의 제 1의 하부 그라인딩 바디는 구동되고 조정 가능하며, 상호 작용하는 그라인딩 바디 세트의 제 2의 상부 그라인딩 바디는 고정 방식으로 배열되고, 제 2 그라인딩 바디는 수동으로 분리 가능한 방식으로 그라인딩 하우징에 연결되는 그라인딩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제 2 그라인딩 바디는 그라인딩 하우징의 정지부까지 배열될 수 있고, 배치될 때 정지부에 부딪치는 그라인딩 장치.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제 2 그라인딩 바디와 그라인딩 하우징 사이에 베이어넷 연결부(bayonet connection)가 형성되는 그라인딩 장치.
  4. 제 2 항에 있어서, 그라인딩 하우징의 벽면에 유출구가 제공되고, 유출구의 위치에서 분말 튜브가 벽에 해제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고, 칼러가 제 2 그라인딩 바디에 제공되는데, 상기 칼러는 제 2 그라인딩 바디가 정지부에 부딪힐 때 분말 튜브를 한 공간을 남겨 두지만 제 2 그라인딩 바디의 불완전한 배치의 경우에는 분말 튜브의 결합을 방지하는 그라인딩 장치.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 2 그라인딩 바디와 그라인딩 하우징의 인접 부분 사이에는 작동 중에 진동을 흡수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댐핑 수단이 제공되는 그라인딩 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댐핑 수단은 가요성 라이닝(flexible lining)을 포함하는 그라인딩 장치.
  7.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조정 가능한 그라인딩 바디의 조정은 2개의 그라인딩 표면들 사이의 최소 간극과 2개의 그라인딩 표면들 사이의 최대 간극들 사이의 고정된 설정 범위에 대응하여 제 1 극단 위치에서 제 2 극단 위치로 제한되며, 조정 가능한 그라인딩 바디의 제 1 극단 위치 및 제 2 극단 위치 중 적어도 하나는 관련 극단 위치에서 조정 수단에 의해 만나는 정지부에 의해 부과되는 그라인딩 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극단 위치는 2 개의 그라인딩 표면들 사이의 최대 간극에 대응하는 그라인딩 장치.
  9. 제 7 항 또는 제 8 항에 있어서, 설정 범위는 조정 수단에 의해 제 1 극단 위치에서 만나고 최소 간극에 대응하는 그라인딩 장치의 제 1 정지부에 의해 부여되고, 조정 수단에 의해 제 2 극단 위치에서 만나고 최대 간극에 해당하는 그라인딩 장치의 제 2 정지부에 의해 부여되는 그라인딩 장치.
  10. 제 7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그라인딩 하우징은 적어도 하나의 정지부를 포함하고, 조절 가능한 그라인딩 바디는 정지면을 포함하고, 정지면은 관련 극단 위치에서 정지부상에 수용되는 그라인딩 장치.
  11. 제 10 항에 있어서, 조정 가능한 그라인딩 바디에 조정 가능하게 연결된 조정 장치가 정지면을 포함하는 그라인딩 장치.
  12. 제 10 항에 있어서, 조정 장치는 스케일 분할부를 포함하고, 그라인딩 하우징은 조정 가능한 그라인딩 바디가 조정될 때 뒤쪽에서 조정 장치가 이동하는 창을 포함하고, 현재 설정은 창을 통해 볼 수 있는 그라인딩 장치.
  13. 제 1 항 내지 제 12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조정 수단은 중심 축을 따라 제어된 축 방향 조정을 부여하기 위해 상기 조정 가능한 그라인딩 바디에 작동 가능하게 결합되거나 적어도 작동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는 제어 가능한 액추에이터를 포함하는 그라인딩 장치.
  14. 제 13 항에 있어서, 조정 가능한 그라인딩 바디는 그라인딩 하우징의 보조 나사산과 작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주 나사산을 포함하고, 액추에이터는 출력 구동 축을 가진 전기 모터를 포함하고, 전기 모터의 구동 축과 조정 가능한 그라인딩 바디 사이에 변속기가 제공되어 조정 가능한 그라인딩 바디에 주 나사산 및 보조 나사산의 집합 나사 축을 중심으로 제어된 회전을 부여하는 그라인딩 장치.
  15. 제 13 항 또는 제 14 항에 있어서, 액추에이터는 적어도 작동 중에 제어 유닛에 의해 제어될 수 있고, 제어 유닛에는 액추에이터에 부여된 위치가 저장되는 메모리 수단이 제공되고, 메모리 수단은 특히 비 휘발성 전자 메모리 수단을 포함하는 그라인딩 장치.
  16. 제 1 항 내지 제 1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구동 수단은 주 모터 및 액추에이터를 갖는 구동 플랫폼을 포함하고, 주 모터는 제 1 변속기과 함께 피구동 그라인딩 바디에 작동 가능하게 결합되거나 적어도 결합될 수 있고, 액추에이터는 제 2 변속기와 함께 조정 가능한 그라인딩 바디에 작동 가능하게 결합되거나 적어도 결합될 수 있고, 그라인딩 하우징은 수동으로 분리 가능한 방식으로 구동 플랫폼에 결합되는 그라인딩 장치.
  17. 제 16 항에 있어서, 그라인딩 하우징과 구동 플랫폼 사이에는 작동 중에 진동을 흡수할 수 있도록 구성된 댐핑 수단이 제공되는 그라인딩 장치.
  18. 제 17 항에 있어서, 댐핑 수단은 가요성 라이닝을 포함하는 그라인딩 장치.
  19. 제 7 항 내지 제 18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그라인딩 장치를 조정하는 방법에서,
    조정 가능한 그라인딩 바디는 그에 대응하는 정지부가 관련된 극단 위치에서 정지 수단에 의하여 만나게 될 때까지, 2개의 그라인딩 바디들 사이의 최대 간극에 대응하는 극단 위치로 운반되며, 조정 가능한 그라인딩 바디가 극단 위치에서 부과될 위치로 재설정되는 방법.
  20. 제 19 항에 있어서, 조정 수단은 제어 유닛에 의해 구동 될 수 있고 제어되는 액추에이터를 포함하고, 제어 유닛은 메모리 수단, 특히 비-휘발성 전자 메모리 수단으로부터 액추에이터에 부과될 위치를 판독하고, 상기 제어 유닛은 메모리 수단으로부터 획득된 부과될 위치에 기초하여 액추에이터를 제어하는 방법.

KR1020217022862A 2018-12-20 2019-12-20 그라인딩 장치 및 그 조정 방법 KR20210127696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NL2022273A NL2022273B1 (nl) 2018-12-20 2018-12-20 Maalinrichting en werkwijze voor het instellen daarvan
NL2022273 2018-12-20
PCT/NL2019/050863 WO2020130828A1 (en) 2018-12-20 2019-12-20 Grinding device and method for adjustment thereof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27696A true KR20210127696A (ko) 2021-10-22

Family

ID=691856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7022862A KR20210127696A (ko) 2018-12-20 2019-12-20 그라인딩 장치 및 그 조정 방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1925295B2 (ko)
EP (2) EP4306015A1 (ko)
JP (1) JP2022515393A (ko)
KR (1) KR20210127696A (ko)
NL (1) NL2022273B1 (ko)
WO (1) WO202013082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22570A (ko) * 2020-04-01 2021-10-12 엘지전자 주식회사 커피추출장치
IT202100000017A1 (it) * 2021-01-04 2022-07-04 Macap S R L Apparecchio macinadosatore per caffè in grani.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969899A (en) * 1933-02-15 1934-08-14 Hamilton Beach Mfg Company Coffee grinder attachment
CH237180A (de) * 1943-12-14 1945-04-15 Zellweger Uster Ag Vorrichtung an Scheibenmühlen zum Nachstellen des Mahlfeinheitsreglers.
US2563768A (en) * 1946-04-11 1951-08-07 Toledo Scale Co Indicator drive structure for coffee mills
DE820951C (de) 1949-07-13 1951-11-15 Siemens Schuckertwerke A G Elektromotorisch betriebene Kleinkraftmuehle, insbesondere Kaffeemuehle
US2852203A (en) * 1953-11-13 1958-09-16 Ditting Adjustable grinding disc
JPS5318472Y2 (ko) 1972-06-14 1978-05-17
JPS531434Y2 (ko) 1972-07-05 1978-01-14
IT1163225B (it) 1983-04-05 1987-04-08 Nuova Faema Spa Dispositivo per variare automaticamente la granulometria della polvere di caffe' in una macchina per il caffe' espresso, provvista di macina-caffe'
DE4016924A1 (de) * 1990-05-25 1991-11-28 Mock Wolfgang Dipl Psych Kornmuehle
DE29917567U1 (de) * 1999-09-23 1999-12-30 Stawert Muehlenbau Gmbh & Co K Mühle für rieselfähiges Mahlgut, insbesondere Kaffee
US7273005B2 (en) * 2004-06-18 2007-09-25 Saeco Ipr Limited Coffee grinder assembly for a coffee machine
TW200927046A (en) 2007-12-24 2009-07-01 Tzung-Ren Bai Grinder and the automatic on/off control device
EP2286698A1 (de) 2009-08-21 2011-02-23 Schaerer AG Mahlwerk für eine Kaffeemaschine
US20180125300A1 (en) * 2016-11-07 2018-05-10 Strategic Exits LLC Apparatus and method for grinding coffee beans
CA3002290A1 (en) * 2017-04-28 2018-10-28 Gruppo Cimbali S.P.A. Refrigerated grind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NL2022273B1 (nl) 2020-07-15
EP3897320A1 (en) 2021-10-27
EP4306015A1 (en) 2024-01-17
US11925295B2 (en) 2024-03-12
EP3897320B1 (en) 2023-11-08
JP2022515393A (ja) 2022-02-18
WO2020130828A1 (en) 2020-06-25
US20220053977A1 (en) 2022-02-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095032A (en) Coffee grinding, portioning, and pressing device
RU2461351C2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размалывания кофе или других пищевых продуктов
RU2761320C2 (ru) Кофемашина, оборудованная кофемолкой, и процесс управления кофемолкой кофемашины
AU759650B2 (en) Coffee machine
US8833237B2 (en) Coffee machine
US10085588B2 (en) Method for automatic adjustment of the quantity of coffee and coffee machine using said method
AU2005320988B2 (en) Process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the preparation of beverages
KR20210127696A (ko) 그라인딩 장치 및 그 조정 방법
JP2022545827A (ja) グラインダおよびこのようなグラインダを備えたコーヒーメーカー
KR20210124974A (ko) 그라인딩 장치, 커피 머신 및, 그 조정 방법
KR20210124973A (ko) 그라인딩 장치, 커피 머신 및, 그 조정 방법
CN114190766A (zh) 配备有研磨机的调节装置的自动咖啡机
GB2463900A (en) Coffee dispensing apparatus having a grinding mechanism
CN116887724A (zh) 用于研磨咖啡豆的装置和相关控制方法
KR20150040487A (ko) 원두커피 수동 분쇄기(핸드밀)를 전동 분쇄기로 변환하는 장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