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27619A - 리셉터클 커넥터 - Google Patents

리셉터클 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27619A
KR20210127619A KR1020210042619A KR20210042619A KR20210127619A KR 20210127619 A KR20210127619 A KR 20210127619A KR 1020210042619 A KR1020210042619 A KR 1020210042619A KR 20210042619 A KR20210042619 A KR 20210042619A KR 20210127619 A KR20210127619 A KR 2021012761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ell
cover
cover body
shell body
receptacle connec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426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현우
최정훈
이선학
Original Assignee
엘에스엠트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에스엠트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에스엠트론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2101276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2761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48Protective earth or shield arrangements on coupling devices, e.g. anti-static shielding  
    • H01R13/658High frequency shielding arrangements, e.g. against EMI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or EMP [Electro-Magnetic Pulse]
    • H01R13/6581Shield structur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01R13/52Dustproof, splashproof, drip-proof, waterproof, or flameproof cas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4/00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 H01R24/60Contacts spaced along planar side wall transverse to longitudinal axis of engagemen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107/00Four or more poles

Landscapes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플러그 커넥터 및 전자기기에 마련된 기판을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한 복수개의 컨택트(Contact); 상기 컨택트들이 결합된 절연부; 상기 절연부가 결합된 쉘(Shell); 상기 쉘이 결합된 커버; 상기 전자기기 및 상기 쉘 사이를 밀폐시키기 위한 실링부; 및 상기 커버와 상기 쉘을 고정시키는 고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쉘은 상기 절연부를 수용하기 위한 쉘본체, 및 상기 실링부가 후방으로 이동 가능한 거리를 제한하기 위한 지지부를 포함하며, 상기 커버는 상기 쉘본체에 결합되는 커버본체, 및 상기 커버본체를 절개하여 형성된 후퇴홈을 포함하고, 상기 커버본체는 상기 후퇴홈을 향하도록 배치된 후퇴면을 포함하며, 상기 고정부는 상기 후퇴홈에 위치한 상기 후퇴면과 상기 쉘본체의 쉘외면 간의 경계선을 따라 형성되어서 상기 커버본체와 상기 쉘본체를 고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셉터클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리셉터클 커넥터{Receptacle Connector}
본 발명은 플러그 커넥터와의 연결을 위해 전자기기에 결합되는 리셉터클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리셉터클 커넥터(Receptacle Connector)는 이에 대응되는 플러그 커넥터(Plug Connector)와의 연결을 위해 각종 전자기기에 마련된 기판에 결합된다. 예컨대, 리셉터클 커넥터는 휴대용 컴퓨터, 휴대폰 등과 같은 전자기기에 설치되어서 충전 기능, 데이터 전송 기능 등을 수행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최근 휴대폰 등과 같은 전자기기가 생활방수에 비해 더 강화된 완전방수 기능을 갖출 것이 요구되면서, 방수성능이 강화된 리셉터클 커넥터에 대한 개발이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에 대한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1을 참고하면, 종래 기술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10)는 기판에 결합되기 위한 커버(11), 상기 커버(11)에 결합된 쉘(12), 전자기기의 플러그 커넥터에 접속되기 위한 컨택트가 복수개 결합된 절연부(13), 및 상기 전자기기와 상기 쉘(12) 사이를 밀폐시키기 위한 실링부(14)를 포함한다.
상기 절연부(13)에 결합된 컨택트들은 상기 기판에 실장된 상태에서 상기 플러그 커넥터에 접속됨에 따라 상기 플러그 커넥터에 접속됨에 따라 상기 플러그 커넥터 및 상기 기판을 전기적으로 연결한다.
상기 절연부(13)는 상기 쉘(12)의 내측에 위치하도록 상기 쉘(12)에 결합된다. 상기 플러그 커넥터는 상기 쉘(12)에 삽입되어 상기 절연부(13)에 결합된 컨택트들에 접속됨으로써 상기 기판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여기서, 종래 기술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10)는 상기 쉘(12)의 내부를 통해 수분, 분진 등이 전자기기의 내부로 침투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쉘(12)의 전방에 배치된 상기 실링부(14)를 통해 상기 전자기기와 상기 쉘(12) 사이의 틈새를 메우는 구조로 구현되었다. 또한, 종래 기술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10)는 상기 쉘(12)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된 지지부재(15)를 이용해 상기 실링부(14)를 지지함으로써 상기 실링부(14)가 후방으로 이동가능한 거리를 제한하였다. 이에 따라, 상기 실링부(14)는 상기 전자기기와 상기 지지부재(15) 사이에서 탄성적으로 압축됨으로써 상기 전자기기와 상기 쉘(12) 사이의 틈새를 메울 수 있었다.
그러나, 종래 기술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10)는 용접용 레이저(20)가 상기 커버(11)에 수직으로 조사되어서 상기 커버(11)의 온도를 높인 후, 상기 커버(11)가 상기 쉘(12)에 열전달을 통해 온도를 높임으로써 용접하는 방식으로 상기 쉘(12)과 상기 커버(11)를 고정하였다. 이로 인해, 종래 기술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는 상기 커버(11)로부터 상기 쉘(12)로 열전달되는 데 소요되는 시간으로 인해 공정하는 공정의 시간이 지연되는 문제가 있으며, 공정 시간을 단축하기 위해 용접용 레이저의 출력을 높이게 되면 상기 쉘에 과도한 열이 가해지므로 상기 쉘이 과도하게 용융됨에 따라 뚫리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최근에는 리셉터클 커넥터가 적용되는 전자기기에 대해 소형화 구현을 갖출 것이 요구됨에 따라 쉘의 두께가 점차 얇아지는 추세이므로, 이러한 문제는 커버와 쉘 간의 두께 차이가 커지도록 구현된 경우, 더욱 심화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 용접용 레이저가 쉘과 커버 모두에 조사될 수 있는 리셉터클 커넥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는 플러그 커넥터 및 전자기기에 마련된 기판을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한 복수개의 컨택트(Contact); 상기 컨택트들이 결합된 절연부; 상기 절연부가 결합된 쉘(Shell); 상기 쉘이 결합된 커버; 상기 전자기기 및 상기 쉘 사이를 밀폐시키기 위한 실링부; 및 상기 커버와 상기 쉘을 고정시키는 고정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쉘은 상기 절연부를 수용하기 위한 쉘본체, 및 상기 실링부가 후방으로 이동 가능한 거리를 제한하기 위한 지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커버는 상기 쉘본체에 결합되는 커버본체, 및 상기 커버본체를 절개하여 형성된 후퇴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커버본체는 상기 후퇴홈을 향하도록 배치된 후퇴면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고정부는 상기 후퇴홈에 위치한 상기 후퇴면과 상기 쉘본체의 쉘외면 간의 경계선을 따라 형성되어서 상기 커버본체와 상기 쉘본체를 고정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를 도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커버와 쉘 사이의 경계면을 후방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용접용 레이저가 쉘과 커버 모두에 조사될 수 있는 구조로 구현되므로, 커버에서 쉘로 열전달되는 데 소요되는 시간을 생략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쉘과 커버를 고정하는 공정 시간을 단축시킴으로써 제조속도를 향상시키는데 기여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용접용 레이저가 쉘과 커버에 직접 조사되어서 쉘과 커버를 개별적으로 용융시키도록 구현되므로, 쉘과 커버 각각의 두께에 대한 범용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에 대한 개략적인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에 대한 개략적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에 대한 개략적인 분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의 일부를 도 2의 I-I 선을 기준으로 나타낸 개략적인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를 도 2의 I-I 선을 기준으로 나타낸 개략적인 단면도
도 6 내지 도 8은도 4의 A부분을 확대하여 나타낸 개략적인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에 있어서 커버에 대한 개략적인 사시도
도 10 및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의 일부를 나타낸 개략적인 평면도
도 12은 본 발명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에 대한 개략적인 정면도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 내지 도 6을 참고하면, 본 발명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1)는 플러그 커넥터와의 연결을 위해 각종 전자기기에 마련된 기판에 결합된다. 상기 기판은 인쇄회로기판(PCB, Printed Circuit Board)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1)는 상기 플러그 커넥터와 상기 기판을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한 복수개의 컨택트(Contact)(2), 상기 컨택트(2)들이 결합된 절연부(3), 상기 절연부(3)가 결합된 쉘(Shell)(4), 상기 전자기기와 상기 쉘(4) 사이를 밀폐시키기 위한 실링부(5), 상기 쉘(4)에 결합된 커버(Cover)(6), 및 상기 커버(6)와 상기 쉘(4)을 고정시키는 고정부(7)를 포함한다.
상기 쉘(4)은 상기 절연부(3)를 수용하기 위한 쉘본체(41), 및 상기 실링부(5)가 후방으로 이동 가능한 거리를 제한하기 위한 지지부(42)를 포함한다.
상기 지지부(42)는 상기 실링부(5)를 지지하는 것이다. 상기 실링부(5)는 상기 지지부(42)의 전방에 위치하도록 상기 쉘(4)에 결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실링부(5)는 상기 전자기기와 상기 쉘(4) 사이에서 탄성적으로 압축되어서 상기 전자기기와 상기 쉘(4) 사이의 틈새를 밀폐시킬 수 있다.
상기 커버(6)는 상기 쉘본체(41)에 결합되는 커버본체(61), 및 상기 커버본체(61)를 절개하여 형성된 후퇴홈(62, 도 6에 도시됨)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커버본체(61)는 상기 후퇴홈(62)을 향하도록 배치된 후퇴면(612, 도 6에 도시됨)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고정부(7)는 상기 후퇴홈(62)에 위치한 상기 후퇴면(610)과 상기 쉘본체(41)의 쉘외면(43) 간의 경계선을 따라 형성되어서 상기 커버본체(61)와 상기 쉘본체(41)를 고정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1)는 종래 기술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와 비교할 때 상기 커버본체(61)와 상기 쉘외면(43) 사이의 경계선 중 일부가 후방으로 이동하도록 구현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1)는 다음과 같은 작용효과를 도모할 수 있다.
첫째, 본 발명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1)는 외부로 노출된 상기 후퇴면(610)과 상기 쉘외면(43) 간의 경계선을 이용하여 상기 커버본체(61)와 상기 쉘본체(41)를 고정하도록 구현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1)는 상기 커버본체(61)를 거치지 않고 곧바로 상기 쉘본체(41)에 상기 고정부(7)를 형성시킬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1)는 상기 쉘본체(41)에 상기 고정부(7)를 형성시키는 데 소요되는 시간을 줄일 수 있다.
둘째, 본 발명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1)는 용접용 레이저가 상기 쉘(4)과 상기 커버(6)에 직접 조사되어서 쉘과 커버를 개별적으로 용융시키도록 구현되므로, 상기 쉘(4)과 상기 커버(6) 각각의 두께에 대한 범용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1)는 용접용 레이저가 쉘과 커버에 조사되는 정도를 개별적으로 조절할 수 있으므로, 상기 고정부(7)가 상기 쉘본체(41)와 상기 커버본체(61) 각각에 대해 상이한 양이 형성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커버본체(61)를 통한 열전달로 인해 상기 쉘본체(41)와 상기 커버본체(61) 모두에 대해 동일한 양의 고정부를 형성하는 비교예와 대비할 때, 상기 쉘본체(41)와 상기 커버본체(61)의 상이한 두께에 대한 대응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쉘본체(41)가 상기 커버본체(61)에 비해 얇은 두께로 형성되는 경우, 비교예는 상기 쉘본체(41)가 상기 커버본체(61)에 비해 과도한 열전달로 인하여 용융되어 뚫릴 수 있지만, 본 발명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1)는 상기 쉘본체(41)에 형성되는 상기 고정부(7)의 양을 상기 커버본체(61)에 형성되는 상기 고정부(7)의 양에 비해 적게 형성하여서 상기 쉘본체(41)에 과도한 열전달이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1)는 상기 쉘(4)과 상기 커버(6) 각각의 두께에 대한 범용성을 향상시킴으로써 상기 쉘본체(41)와 상기 커버본체(61)를 고정하는 작업에 있어서 불량품이 발생하는 정도를 경감할 수 있다.
셋째, 본 발명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1)는 상기 커버본체(61)에서 상기 후퇴면(610)에 비해 전방으로 돌출된 전방면(미도시)을 이용하여 상기 지지부(42)를 지지하도록 구현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1)는 상기 전방면을 이용해 상기 지지부(42)가 상기 실링부(5)를 지지하는 지지력을 강화할 수 있으므로, 상기 전자기기와 상기 쉘(4) 사이를 밀폐시키는 밀폐력을 더 강화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 컨택트(2), 상기 절연부(3), 상기 쉘(4), 상기 실링부(5), 상기 커버(6), 및 상기 고정부(7)에 관해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 및 도 3을 참고하면, 상기 컨택트(2)는 상기 플러그 커넥터 및 상기 기판을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컨택트(2)는 상기 기판에 실장된 상태에서 상기 전자기기의 내부로 삽입된 플러그 커넥터에 접속됨으로써, 상기 플러그 커넥터 및 상기 기판을 전기적으로 연결할 수 있다. 상기 컨택트(2)는 도전성(導電性)을 갖는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컨택트(2)들은 상기 절연부(3)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절연부(3)에는 상기 컨택트(2)가 복수개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컨택트(2)들은 각각 접속부재(21, 도 3에 도시됨), 및 실장부재(22, 도 3에 도시됨)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접속부재(21)는 상기 플러그 커넥터에 접속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컨택트(2)들 중에서 일부는, 상기 접속부재(21)가 상기 절연부(3)의 일면에 위치하도록 상기 절연부(3)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컨택트(2) 중에서 나머지 일부는, 상기 접속부재(21)가 상기 절연부(3)의 타면에 위치하도록 상기 절연부(3)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절연부(3)의 일면 및 타면은 서로 반대되는 면(面)이다. 상기 절연부(3)의 일면은, 상기 절연부(3)의 상면(上面)일 수 있다. 상기 절연부(3)의 타면은, 상기 절연부(3)의 하면(下面)일 수 있다.
상기 실장부재(22)는 상기 기판에 실장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컨택트(2)들은 각각 상기 실장부재(22)가 상기 기판에 실장된 상태에서 상기 접속부재(21)에 상기 플러그 커넥터가 접속됨에 따라 상기 플러그 커넥터 및 상기 기판을 전기적으로 연결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접속부재(21)에 접속된 플러그 커넥터는, 상기 실장부재(22)를 통해 상기 기판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컨택트(2)들 중에서 상기 절연부(3)의 일면에 위치한 컨택트(2)들은, 제1축방향(X축 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도록 상기 절연부(3)의 일면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컨택트(2)들 중에서 상기 절연부(3)의 타면에 위치한 컨택트(2)들은,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도록 상기 절연부(3)의 타면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컨택트(2)들은 각각 연결부재(23, 도 3에 도시됨)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연결부재(23)는 상기 접속부재(21) 및 상기 실장부재(22)를 연결하는 것이다. 상기 연결부재(23)는 상기 접속부재(21) 및 상기 실장부재(22) 각각에 결합됨으로써, 상기 접속부재(21) 및 상기 실장부재(22)를 연결할 수 있다. 상기 연결부재(23)는 상기 접속부재(21) 및 상기 실장부재(22)의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연결부재(23), 상기 실장부재(22), 및 상기 접속부재(21)는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도 2 및 도 4를 참고하면, 상기 절연부(3)는 상기 컨택트(2)들을 지지하는 것이다. 상기 절연부(3)는 상기 쉘본체(41)의 내부에 위치하도록 상기 쉘본체(41)에 결합될 수 있다. 도 5와 같이, 상기 절연부(3)는 상기 실장부재(22)들이 상기 쉘본체(41)의 외부에 위치하도록 상기 쉘본체(41)에 결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컨택트(2)들은 상기 쉘본체(41)의 외부에 위치한 실장부재(22)들이 상기 기판에 실장된 상태에서, 상기 전자기기의 내부로 삽입된 플러그 커넥터가 상기 접속부재(21)들에 접속됨으로써, 상기 플러그 커넥터 및 상기 기판을 전기적으로 연결할 수 있다. 상기 플러그 커넥터는 상기 쉘본체(41)로부터 전방(FD 화살표 방향)으로 이격된 위치에 배치된 상태에서, 후방(BD 화살표 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전자기기 내부로 삽입됨으로써, 상기 접속부재(21)들에 접속될 수 있다. 상기 절연부(3)는 상기 실장부재(22)들이 상기 쉘본체(41)로부터 후방(BD 화살표 방향)으로 이격된 위치에 배치되도록 상기 쉘본체(41)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절연부(3)는 절연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절연부(3)는 절연돌기(31)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절연돌기(31)는 상기 쉘본체(41)로부터 전방(FD 화살표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절연돌기(31)는 상기 컨택트(2)들이 상기 쉘본체(41)의 외부에서도 상기 플러그 커넥터에 접속되도록 상기 컨택트(2)들을 지지할 수 있다. 즉, 상기 컨택트(2)들은 상기 쉘본체(41)의 내부 및 상기 쉘본체(41)의 외부 모두에서 상기 플러그 커넥터에 접속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1)는 상기 컨택트(2)들 및 상기 플러그 커넥터가 충분한 접속면적을 유지하면서 접속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절연부(3)에 비해 상대적으로 큰 크기를 갖는 쉘본체(41)의 길이를 감소시킴으로써 상기 쉘본체(41)가 상기 전자기기에서 차지하는 체적을 감소시킬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1)는 상기 전자기기의 소형화 구현에 기여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쉘본체(41)의 길이는 제2축방향(Y축 방향)을 기준으로 하는 것이다. 상기 제2축방향(Y축 방향) 및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은 하나의 수평면에서 서로 수직한 축 방향이다.
상기 절연돌기(31)는 상기 컨택트(2)들의 접속부재(21)를 지지할 수 있다. 상기 절연부(3)는 상기 접속부재(21)들에서 상기 절연돌기(31)에 지지된 부분이 상기 쉘본체(41)로부터 전방(FD 화살표 방향)으로 돌출됨과 아울러, 상기 접속부재(21)들에서 상기 절연돌기(31)에 지지된 부분을 제외한 나머지 부분이 상기 쉘본체(41)의 내부에 위치하도록 상기 쉘본체(41)에 결합될 수 있다.
도 2 내지 도 4를 참고하면, 상기 절연부(3)는 제1절연부재(32, 도 5에 도시됨) 및 제2절연부재(33, 도 5에 도시됨)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절연부재(32)는 상기 컨택트(2)들을 지지하는 것이다. 상기 제1절연부재(32)는 상기 제2축방향(Y축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절연돌기(31) 및 상기 제2절연부재(33)의 사이에 위치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절연부(3)는 상기 제1절연부재(32)가 상기 쉘본체(41)의 내부에 위치하도록 상기 쉘본체(41)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1절연부재(32)는 일부가 상기 쉘본체(41)의 내벽에 접촉되도록 상기 쉘본체(41)에 결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1절연부재(32) 및 상기 쉘본체(41)의 내벽 사이는 밀폐될 수 있다. 상기 제1절연부재(32)에는 상기 절연돌기(31)가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절연돌기(31)는 상기 제1절연부재(32)에 대해 전방(FD 화살표 방향)에 위치하도록 상기 제1절연부재(32)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1절연부재(32) 및 상기 절연돌기(31)는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절연부재(32), 상기 절연돌기(31), 및 상기 컨택트(2)들은 인서트 몰딩(Insert Molding)을 통해 서로 결합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제2절연부재(33)는 상기 컨택트(2)들을 지지하는 것이다. 상기 제2절연부재(33)는 상기 제1절연부재(32)에 대해 후방(BD 화살표 방향)에 위치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컨택트(2)들은 상기 실장부재(22)들이 상기 제2절연부재(33)의 외부에 위치하도록 상기 제2절연부재(33)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2절연부재(33) 및 상기 컨택트(2)들은 인서트 몰딩을 통해 서로 결합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절연부(3)는 상기 제2절연부재(33)가 상기 쉘본체(41)의 외부에 위치하도록 상기 쉘본체(41)에 결합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2절연부재(33)는 상기 쉘본체(41)의 후방(BD 화살표 방향)으로 돌출될 수 있다.
상기 제2절연부재(33) 및 상기 제1절연부재(32)는 상기 제2축방향(Y축 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컨택트(2)들은 상기 제1절연부재(32) 및 상기 제2절연부재(33)에 각각 결합됨으로써, 상기 제1절연부재(32)와 상기 제2절연부재(33)가 연결된 상태로 유지되도록 지지할 수 있다. 도시되진 않았지만, 상기 절연부(3)는 상기 제2절연부재(33) 및 상기 제1절연부재(32) 각각에 결합된 미드플레이트(Mid-Plate)를 포함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상기 미드플레이트 및 상기 컨택트(2)들은 상기 제2절연부재(33) 및 상기 제1절연부재(32) 각각에 결합됨으로써, 상기 제2절연부재(33) 및 상기 제1절연부재(32)가 연결된 상태로 유지되도록 지지할 수 있다. 도시되지 않았지만, 상기 제2절연부재(33)는 상기 제1절연부재(32)에 대해 후방(BD 화살표 방향)에 위치하도록 상기 제1절연부재(32)에 결합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상기 제2절연부재(33), 상기 제1절연부재(32), 및 상기 절연돌기(31)는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도 2 내지 도 5를 참고하면, 상기 쉘(4)은 상기 절연부(3)를 지지하는 것이다. 상기 절연부(3)는 일부가 상기 쉘(4의 내부에 위치하도록 상기 쉘(4)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쉘(4)은 딥드로잉(Deep Drawing) 공법을 통해 가공되어서 이음매가 없도록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쉘(4)은 상기 쉘본체(41) 및 상기 지지부(42)를 포함한다.
상기 쉘본체(41)는 상기 절연부(3)를 수용하는 것이다. 상기 절연부(3)는 일부가 상기 쉘본체(41)의 내부에 위치하도록 상기 쉘본체(41)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절연부(3)는 상기 컨택트(2)들이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쉘본체(41)의 내부에 삽입됨으로써, 상기 쉘본체(41)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쉘본체(41)는 내부에 위치한 컨택트(2)들 및 상기 절연부(3)를 외부로부터 보호할 수 있다. 상기 쉘본체(41)는 전체적으로 비어있는 타원형의 장방체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상기 컨택트(2)들 및 상기 절연부(3)를 외부로부터 보호할 수 있는 형태이면 다른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절연부(3)는 상기 절연돌기(31)가 상기 쉘본체(41)로부터 전방(FD 화살표 방향)으로 돌출되고, 상기 제1절연부재(32)가 상기 쉘본체(41)의 내부에 위치되며, 상기 제2절연부재(33)가 상기 쉘본체(41)로부터 후방(BD 화살표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상기 쉘본체(41)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쉘본체(41)는 수용공(411)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수용공(411)은 상기 쉘본체(41)를 절개하여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절연부(3)는 상기 제1절연부재(32)가 상기 수용공(411)에 위치하도록 상기 쉘본체(41)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지지부(42)는 상기 쉘본체(41)에 결합되어서 상기 실링부(5)를 지지하는 것이다. 상기 지지부(42)는 상기 쉘본체(41)의 전방에 배치되도록 상기 쉘본체(41)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지지부(42)에는 상기 실링부(5)가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실링부(5)는 상기 전자기기와 상기 지지부(42) 사이에서 상기 전자기기와 상기 쉘(4) 사이를 밀폐할 수 있다. 상기 지지부(42)는 상기 실링부(5)가 후방으로 이동가능한 거리가 제한되도록 상기 실링부(5)를 전방 쪽으로 지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플러그 커넥터가 삽입됨에 따라 상기 실링부(5)가 후방 쪽으로 삽입력을 받더라도, 상기 실링부(5)는 후방으로 밀려나지 않고 탄성적으로 압축되어서 상기 플러그 커넥터와 상기 쉘(4) 사이를 밀폐할 수 있다. 상기 지지부(42)는 상기 쉘본체(41)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지지부(42) 및 상기 쉘본체(41)는 딥드로잉 공법을 통해 가공되어서 이음매가 없도록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지지부(42)는 전체적으로 내측이 비어 있는 타원형의 고리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도 5 및 도 6을 참고하면, 상기 지지부(42)는 후방지지부재(421), 외측지지부재(422), 연결부재(423), 및 내측지지부재(424)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후방지지부재(421)는 상기 실링부(5)가 후방으로 이동가능한 거리가 제한되도록 상기 실링부(5)의 후방에서 상기 실링부(5)를 지지하는 것이다. 상기 외측지지부재(422)는 상기 후방지지부재(421)로부터 전방으로 돌출되어서 상기 실링부(5)의 내측면을 지지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후방지지부재(421)는 상기 외측지지부재(422)로부터 상기 쉘본체(41)의 바깥쪽 방향을 향해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후방지지부재(421)와 상기 외측지지부재(422)는 수직하게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연결부재(423)는 상기 외측지지부재(422)의 전방에 위치하도록 상기 외측지지부재(422)에 결합된 것이다. 상기 내측지지부재(424)는 상기 연결부재(423)와 상기 쉘본체(41) 각각에 결합되고, 상기 외측지지부재(422)로부터 이격되어 배치된 것이다. 상기 내측지지부재(424)는 상기 쉘본체(41)로부터 전방으로 돌출되어서 상기 연결부재(423)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내측지지부재(424)의 바깥쪽에는 상기 외측지지부재(422)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외측지지부재(422)는 상기 내측지지부재(424)의 외부를 감싸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쉘본체(41)를 기준으로, 상기 내측지지부재(424)는 상기 쉘본체(41)로부터 전방으로 돌출되고, 상기 연결부재(423)가 상기 내측지지부재(424)로부터 상기 쉘본체(41)의 바깥쪽으로 돌출되며, 상기 외측지지부재(422)가 상기 연결부재로부터 후방으로 돌출되고, 상기 후방지지부재(421)가 상기 외측지지부재(422)로부터 상기 쉘본체(41)의 바깥쪽으로 돌출되어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실링부(5)는 상기 후방지지부재(421)와 상기 외측지지부재(422) 사이에 형성된 삽입홈(미도시)에 삽입되어서 상기 지지부(42)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후방지지부재(421)는 상기 외측지지부재(422)에 대해 후방에 위치하므로, 상기 후방지지부재(421)에 의해 지지될 때까지 후방으로 이동하여서 상기 삽입홈에 삽입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1)는 상기 제2축방향(Y축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외측지지부재(422)의 길이에 해당하는 만큼 상기 실링부(5)가 상기 쉘(4)로부터 전방으로 돌출되는 정도를 경감할 수 있으므로, 제품의 소형화에 기여할 수 있다.
도 2 내지 도 6을 참고하면, 상기 실링부(5)는 실링본체(51, 도 6에 도시됨) 및 돌출부재(52, 도 6에 도시됨)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실링본체(51)는 상기 지지부(42)로부터 전방(FD 화살표 방향)으로 돌출된 것이다. 상기 실링본체(51)는 상기 지지부(42) 및 상기 전자기기의 사이를 밀폐시키기 위한 밀폐력을 구현할 수 있다.
상기 실링돌출부재(52)는 상기 실링본체(51)로부터 후방(BD 화살표 방향)으로 돌출된 것이다. 상기 실링돌출부재(52)는 상기 지지부(42)의 전방면에 형성된 돌출지지홈(미도시)에 삽입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지지부(42)는 상기 돌출지지홈에 삽입된 실링돌출부재(52)를 지지함으로써, 상기 실링본체(51)를 지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1)는 상기 실링부(5)가 상기 지지부(42)의 전방면 및 상기 전자기기 사이를 밀폐시키는 위치에서 더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도록 구현될 수 있다. 상기 돌출지지홈은 상기 지지부(42)의 전방면에서 후방으로 일정 깊이를 갖는 홈으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돌출지지홈은 전체적으로 내측이 비어 있는 타원형의 고리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상기 실링돌출부재(52)가 삽입될 수 있는 형태이면 다른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실링돌출부재(52)는 상기 실링본체(51)에 비해 더 작은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실링돌출부재(52)는 상기 실링본체(51)로부터 후방(BD 화살표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상기 실링본체(51)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실링돌출부재(52) 및 상기 실링본체(51)는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상기 실링부(5)는 실링재료를 상기 지지부(42)의 전방면에 디스펜싱(Dispensing)한 후에 경화시킴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돌출지지홈에는 실링재료가 채워진 상태로 경화됨으로써 상기 실링돌출부재(52)로 형성되고, 상기 지지부(42)의 전방면에는 실링재료가 전방(FD 화살표 방향)을 돌출된 상태로 경화됨으로써 상기 실링본체(51)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1)는 상기 실링부(5) 및 상기 지지부(42) 간의 접착면적 증대를 통해 결합력을 증대시킴으로써, 상기 실링부(5)가 상기 지지부(42)의 전방면 및 상기 전자기기의 사이를 밀폐시키는 위치에서 더 견고하게 고정되도록 구현될 수 있다.
도 2 내지 도 11을 참고하면, 상기 커버(6)는 상기 쉘(4)을 보호하는 것이다. 상기 커버(6)는 상기 쉘(4)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커버(6)는 상기 기판에 고정되도록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커버(6)는 표면실장기술(Suface Mount Technology)을 이용하여 상기 기판에 실장됨으로써, 상기 기판에 고정되도록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커버(6)는 부분적으로 용접이 수행됨으로써, 상기 쉘(4)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커버(6)는 상기 커버본체(61)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커버본체(61)는 상기 쉘본체(41)를 수용하는 것이다. 상기 커버본체(61)는 내부에 상기 쉘본체(41)가 위치하도록 상기 쉘본체(41)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커버본체(61)는 상기 지지부(42)의 후방(BD 화살표 방향)에 위치하도록 상기 쉘본체(41)에 결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커버본체(61)는 상기 후방지지부재(421)의 후방면을 지지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1)는 상기 실링부(5)가 상기 전자기기와 상기 후방지지부재(421)의 전방면 사이에서 압착되는 경우, 상기 커버본체(61)가 상기 후방지지부재(421)의 후방면을 지지함으로써 상기 후방지지부재(421)가 상기 실링부(5)에 의해 밀려서 후방(BD 화살표 방향)으로 이동하는 거리를 감소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1)는 상기 전자기기와 상기 후방지지부재(421)의 전방면 사이에서 상기 실링부(5)를 강하게 압착할 수 있으므로, 상기 전자기기와 상기 쉘(4) 사이를 밀폐시키는 밀폐력을 강화할 수 있다. 상기 커버본체(61)는 전체적으로 내부가 비어있는 타원형의 장방체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커버본체(61)는 전방면(611)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방면(611)은 상기 커버본체(61)에서 전방(FD 화살표 방향)을 향하도록 배치된 면(面)일 수 있다.
상기 커버본체(61)는 상기 전방면(611)으로 상기 후방지지부재(421)의 후방면을 지지함으로써 상기 지지부(42)가 상기 실링부(5)에 의해 밀려서 후방(BD 화살표 방향)으로 이동하는 거리를 감소시킬 수 있다.
상기 커버본체(61)는 일체로 형성될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복수개의 구성이 결합되어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1)의 일 실시예로서, 상기 커버본체(61)가 복수개의 구성으로 결합되는 경우, 상기 커버본체(61)는 제1커버(613), 및 제2커버(614)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커버(613)는 상기 쉘본체(41)의 일측에 배치된 것이다. 예컨대, 상기 제1커버(613)는 상기 쉘본체(41)의 상측 및 상기 쉘본체(41)의 양측면 일부를 가리도록 상기 쉘본체(41)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2커버(614)는 상기 쉘본체(41)의 타측에 배치된 것이다. 예컨대, 상기 제2커버(614)는 상기 쉘본체(41)의 하측 및 상기 쉘본체(41)의 양측면 일부를 가리도록 상기 쉘본체(41)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1커버(613) 및 상기 제2커버(614)가 결합됨에 따라, 상기 쉘본체(41)는 상기 제1커버(613) 및 상기 제2커버(614)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커버(6)는 상기 후퇴홈(62, 도 11에 도시됨)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후퇴홈(62)은 상기 지지부(42)의 후방(BD 화살표 방향)에 위치하도록 상기 커버본체(61)를 절개하여 형성된 것이다. 상기 후퇴홈(62)은 상기 커버본체(61)의 전방면(611)에서 후방으로 소정거리만큼 함몰되어서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커버본체(61)는 후퇴면(612)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후퇴면(612)은 상기 커버본체(61)에서 상기 후퇴홈(62)을 향하도록 배치된 면이다. 상기 후퇴홈(62)이 상기 전방면(611)에서 후방으로 일정 깊이를 갖도록 형성됨에 따라, 상기 후퇴면(612)은 상기 전방면(611)에 비해 후방에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1)는 상기 커버본체(61)와 상기 쉘본체(41) 사이에 형성되는 경계선 중에서 상기 후퇴면(612)과 상기 쉘본체(41)의 쉘외면(43)에 형성되는 경계선이 상기 전방면(611)과 상기 쉘본체(41)의 쉘외면(43)에 형성되는 경계선으로부터 후방으로 이동하도록 구현된다.
상기 고정부(7)는 상기 후퇴면(612)과 상기 쉘외면(43) 간의 경계선을 따라 형성되어서 상기 커버본체(61)와 상기 쉘본체(41)를 고정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1)는 상기 커버본체(61)의 전방면(611)을 통해 상기 후방지지부재(421)의 후방면을 지지하여 상기 전자기기와 상기 쉘(4) 사이의 밀폐력을 향상시키면서도, 상기 커버본체(61)의 후퇴면(612)을 통해 상기 쉘본체(41)와 상기 커버본체(61) 사이에 고정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후퇴면(612)과 상기 쉘외면(43)은 서로 수직하게 배치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쉘외면(43)은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 및 상기 제2축방향(Y축 방향)에 각각 평행한 평면상에 배치되고, 상기 후퇴면은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 및 제3축방향(Z축 방향)에 각각 평행한 평면상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3축방향(Z축 방향)은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 및 상기 제2축방향(Y축 방향)에 각각 수직한 방향이다. 상기 제3축방향(Z축 방향)은 높이방향일 수 있다.
상기 후퇴홈(62)은 전체적으로 사각형의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상기 후퇴면(612)이 상기 전방면(611)으로부터 후방(BD 화살표 방향)에 위치할 수 있다면 다른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도 6 및 도 7을 참고하면, 상기 고정부(7)는 상기 쉘외면(43)과 상기 후퇴면(612) 각각에 대해 기울어진 사선방향으로 조사되는 레이저(Laser)에 의해 용접됨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레이저는 레이저장치(R)에 의해 조사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1)는 상기 후퇴면(612)이 상기 지지부(42)의 후방지지부재(421)로부터 후방으로 충분히 이격되도록 구현되므로, 상기 후방지지부재(421)에 의해 경로를 방해받는 정도가 경감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병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1)는 상기 고정부(7)를 형성하기 위해 상기 레이저를 조사하는 작업에 대한 용이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6 및 도 8을 참고하면, 상기 후퇴면(612)과 상기 쉘외면(43) 간의 경계선을 기준으로 상기 쉘외면을 따라 연장된 가상의 선인 제1연결선(L1)과 상기 경계선과 상기 지지부(42)의 최상단을 최단거리로 잇는 가상의 선인 제2연결선(L2) 간의 끼인각은 예각(Acute Angle)일 수 있다. 상기 지지부(42)의 최상단은 상기 후방지지부재(421)의 최상단에 배치된 단부일 수 있다. 상기 후퇴면(612)이 상기 후방지지부재(421)의 후방면으로부터 후방(BD 화살표 방향)으로 이격될수록 상기 제1연결선(L1)과 상기 제2연결선(L2) 사이의 끼인각은 작아질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1)는 상기 고정부(7)를 형성하기 위한 레이저에 있어서 상기 후방지지부재(421)에 의해 경로를 방해받지 않는 조사각 범위를 증대시킬 수 있으므로 제조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0 및 도 12를 참고하면, 상기 후퇴홈(62)의 폭방향의 길이(C, 도 10에 도시됨)는 상기 수용공(411)의 폭방향의 길이(S, 도 12에 도시됨)의 1/2에 비해 더 크도록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폭방향은 제1축방향(X축 방향)과 평행한 방향일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쉘(4)은 상기 플러그 삽입 시 인가되는 삽입력이 후방(BD 화살표 방향)에서 전방(FD 화살표 방향)으로 갈수록 더 큰 삽입력을 받는 구조이므로 상기 플러그가 삽입되는 과정에서 상기 쉘(4)과 상기 커버(6)가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충분한 접합력을 제공하는 최소한의 용접 가능 면적 길이를 제공할 수 있다. 도 6을 참고하면, 상기 커버본체(61)와 상기 쉘본체(41)는 상이한 두께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쉘본체(41)의 두께(W2)는 상기 커버본체(61)의 두께(W1)에 비해 더 얇은 두께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1)는 상기 쉘본체(41)와 상기 커버본체(61)의 두께가 동일한 비교예와 대비하여 상기 쉘본체(41)의 두께와 상기 커버본체(61)의 두께의 차이, 즉 W1-W2만큼 전체적인 크기가 경감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1)는 제품의 소형화에 더 기여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쉘본체(41)와 상기 커버본체(61)를 용접하기 위한 레이저는 상기 쉘본체(41)와 상기 커버본체(61)에 직접 조사되기 때문에, 상기 쉘본체(41)와 상기 커버본체(61)의 두께 차이에 대응하여 상기 쉘본체(41)와 상기 커버본체(61) 각각에 상기 고정부(7)의 양을 별도로 형성할 수 있다.
도 10을 참고하면, 상기 고정부(7)는 복수개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고정부(7)들은 상기 후퇴면(612)과 상기 쉘외면(43) 간의 경계선을 따라 서로 이격된 위치에서 상기 쉘본체(41)와 상기 커버본체(61)를 고정시킬 수 있다.
도 11을 참고하면, 본 발명에 따른 또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7)는 상기 후퇴면(612)과 상기 쉘외면(43) 간의 경계선을 따라 연속적으로 형성되어서 상기 쉘본체(41)와 상기 커버본체(61)를 고정시킬 수도 있다.
도 9를 참고하면, 상기 커버(6)는 후퇴홈(62)을 복수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후퇴홈(62)들은 상기 커버본체(61)의 상측과 상기 커버본체(61)의 하측에 각각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고정부(7)는 상기 커버본체(61)의 상측에 배치된 후퇴면(612)과 상기 쉘본체(41)의 쉘외면(43)간의 경계선을 따라 형성됨과 아울러 상기 커버본체(61)의 하측에 배치된 후퇴면(612)과 상기 쉘본체(41)의 쉘외면(43)간의 경계선을 따라 형성되어서 상기 커버본체(61)와 상기 쉘본체(41)를 고정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고정부(7)는 상기 쉘본체(41)를 기준으로 상측과 하측에서 상기 커버본체(61)와 상기 쉘본체(41)를 고정시킬 수 있다.
도 9 및 도 10을 참고하면, 상기 후퇴홈(62)은 폭방향의 크기(C, 도 10에 도시됨)가 길이방향의 크기(H, 도 10에 도시됨)에 비해 더 큰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후퇴홈(62)의 폭방향은 제1축(X축 방향)과 평행한 방향이고, 상기 후퇴홈(62)의 길이방향은 제2축(Y축 방향)과 평행한 방향이다.
도 4 내지 도 7을 참고하면, 상기 고정부(7)는 상기 커버본체(61)와 상기 쉘본체(41)를 고정시키기 위한 것이다. 상기 고정부(7)는 상기 지지부(42)의 후방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고정부(7)는 상기 후방지지부재(421)의 후방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고정부(7)는 상기 커버본체(61)의 후퇴면(612)에 결합됨과 아울러 상기 쉘외면(43)에 결합되어서 상기 커버본체(61)와 상기 쉘본체(41)를 고정시킬 수 있다. 상기 고정부(7)는 레이저가 상기 커버본체(61)에 조사되어서 상기 커버본체(61)를 용융시키거나 레이저가 상기 쉘본체(41)에 조사되어서 상기 쉘본체(41)를 용융시킴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고정부(7)는 접착부재로 형성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상기 고정부(7)는 상기 커버본체(61)의 후퇴면(612)과 상기 쉘외면(43)에 각각 부착되어서 상기 커버본체(61)와 상기 쉘본체(41)를 접착시킬 수 있다.
상기 고정부(7)는 초음파장치를 통해 상기 커버본체(61)와 상기 쉘본체(41)에 초음파를 주사함으로써 형성될 수도 있다.
도 3 및 도 5를 참고하면, 본 발명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1)는 방수부(8)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방수부(8)는 상기 쉘(4)의 내부에 대한 방수구조를 구현하는 것이다. 상기 방수부(8)는 상기 절연부(3)의 외면 및 상기 쉘(4)의 내면 사이를 밀폐시킴으로써, 상기 쉘(4)의 내부에 대한 방수구조를 구현할 수 있다. 상기 방수부(8)는 상기 컨택트(2)들을 부분적으로 둘러싸도록 형성됨으로써, 상기 컨택트(2)들에 대한 방수구조를 구현할 수 있다. 상기 컨택트(2)들이 결합된 절연부(3)가 상기 쉘(4)의 내부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쉘(4)의 내부에 포팅액을 도포한 후에 경화시킴으로써, 상기 방수부(8)가 형성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다.
1 : 리셉터클 커넥터 2 : 컨택트
3 : 절연부 4 : 쉘
5 : 실링부 6 : 커버
7 : 고정부 8 : 방수부
21 : 접속부재 22 : 실장부재
23 : 연결부재 31 : 절연돌기
32 : 제1절연부 33 : 제2절연부
41 : 쉘본체 42 : 지지부
43 : 쉘외면 51 : 실링본체
52 : 실링돌출부재 61 : 제1커버본체
62 : 후퇴홈

Claims (10)

  1. 플러그 커넥터 및 전자기기에 마련된 기판을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한 복수개의 컨택트(Contact);
    상기 컨택트들이 결합된 절연부;
    상기 절연부가 결합된 쉘(Shell);
    상기 쉘이 결합된 커버;
    상기 전자기기 및 상기 쉘 사이를 밀폐시키기 위한 실링부; 및
    상기 커버와 상기 쉘을 고정시키는 고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쉘은 상기 절연부를 수용하기 위한 쉘본체, 및 상기 실링부가 후방으로 이동 가능한 거리를 제한하기 위한 지지부를 포함하며,
    상기 커버는 상기 쉘본체에 결합되는 커버본체, 및 상기 커버본체를 절개하여 형성된 후퇴홈을 포함하고,
    상기 커버본체는 상기 후퇴홈을 향하도록 배치된 후퇴면을 포함하며,
    상기 고정부는 상기 후퇴홈에 위치한 상기 후퇴면과 상기 쉘본체의 쉘외면 간의 경계선을 따라 형성되어서 상기 커버본체와 상기 쉘본체를 고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셉터클 커넥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후퇴면과 상기 쉘본체의 쉘외면은 서로 수직하게 배치되고,
    상기 고정부는 상기 쉘외면과 상기 후퇴면 각각이 레이져(Laser)에 의해 용접됨으로써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셉터클 커넥터.
  3. 제1항에 있어서,
    제1연결선과 제2연결선 간의 끼인각은 예각(Acute Angle)을 이루고,
    상기 제1연결선은 상기 경계선을 기준으로 상기 쉘외면을 따라 연장된 가상의 선이며,
    상기 제2연결선은 상기 경계선과 상기 지지부의 최상단을 최단거리로 잇는 가상의 선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셉터클 커넥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쉘본체에는 상기 절연부가 수용되는 수용공이 형성되고,
    상기 후퇴홈의 폭방향의 길이는 상기 수용공의 폭방향의 길이의 1/2에 비해 더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셉터클 커넥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본체와 상기 쉘본체는 상이한 두께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셉터클 커넥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쉘본체는 상기 커버본체에 비해 더 얇은 두께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셉터클 커넥터.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는 복수개로 형성되고,
    상기 고정부들은 상기 경계선을 따라 서로 이격된 위치에서 상기 쉘본체와 상기 커버본체를 고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셉터클 커넥터.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본체는 전방을 향하도록 배치된 전방면을 포함하고,
    상기 후퇴홈은 상기 전방면에서 후방으로 소정거리만큼 함몰되어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셉터클 커넥터.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는 상기 후퇴홈을 복수개 포함하고,
    상기 후퇴홈들은 상기 커버본체의 상측과 상기 커버본체의 하측에 각각 배치되며,
    상기 고정부는 상기 커버본체의 상측에 배치된 후퇴면과 상기 쉘본체의 쉘외면간의 경계선을 따라 형성됨과 아울러 상기 커버본체의 하측에 배치된 후퇴면과 상기 쉘본체의 쉘외면간의 경계선을 따라 형성되어서 상기 커버본체와 상기 쉘본체를 고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셉터클 커넥터.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후퇴홈은 폭방향의 크기가 길이방향의 크기에 비해 더 긴 크기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셉터클 커넥터.
KR1020210042619A 2020-04-14 2021-04-01 리셉터클 커넥터 KR20210127619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45225 2020-04-14
KR20200045225 2020-04-14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27619A true KR20210127619A (ko) 2021-10-22

Family

ID=782756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42619A KR20210127619A (ko) 2020-04-14 2021-04-01 리셉터클 커넥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10127619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231356B1 (en) Electrical connector for transferring high frequency signal
JP7175392B2 (ja) レセプタクルコネクタ
TWM504375U (zh) 電連接器
TWM509995U (zh) 電連接器
CN102148458A (zh) 音频连接器
CN211238649U (zh) 插座连接器
JP7557830B2 (ja) コネクタ及び相手側コネクタ
CN108933353B (zh) 电连接器及其制造方法
CN108475878B (zh) 插座连接器
KR102158267B1 (ko) 리셉터클 커넥터
KR102654771B1 (ko) 리셉터클 커넥터
KR102654772B1 (ko) 리셉터클 커넥터
KR20210127619A (ko) 리셉터클 커넥터
CN108987968A (zh) 电连接器及电子装置
KR102308129B1 (ko) 리셉터클 커넥터
KR102446231B1 (ko) 리셉터클 커넥터
KR20170123174A (ko) 리셉터클 커넥터 및 리셉터클 커넥터 제조방법
CN208385715U (zh) 电子设备
CN110364864B (zh) 电连接器
KR20170100393A (ko) 리셉터클 커넥터
TW201926812A (zh) 電連接器及其組合
CN108232701B (zh) 电连接器
KR102337132B1 (ko) 리셉터클 커넥터
KR102583336B1 (ko) 커넥터 어셈블리
KR102266624B1 (ko) 리셉터클 커넥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