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27200A - 이동 단말 및 사운드 출력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이동 단말 및 사운드 출력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27200A
KR20210127200A KR1020217029051A KR20217029051A KR20210127200A KR 20210127200 A KR20210127200 A KR 20210127200A KR 1020217029051 A KR1020217029051 A KR 1020217029051A KR 20217029051 A KR20217029051 A KR 20217029051A KR 20210127200 A KR20210127200 A KR 2021012720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und output
target
handset
determining
mobile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70290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52874B1 (ko
Inventor
한종 린
준후이 첸
Original Assignee
비보 모바일 커뮤니케이션 컴퍼니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비보 모바일 커뮤니케이션 컴퍼니 리미티드 filed Critical 비보 모바일 커뮤니케이션 컴퍼니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2101272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2720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528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5287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3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transmitters or receivers, e.g. telephone hand-sets
    • H04M1/035Improving the acoustic characteristics by means of constructional features of the housing, e.g. ribs, walls, resonating chambers or cavit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3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transmitters or receivers, e.g. telephone hand-se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6Sound input; Sound outpu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6Sound input; Sound output
    • G06F3/165Management of the audio stream, e.g. setting of volume, audio stream path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6Sound input; Sound output
    • G06F3/167Audio in a user interface, e.g. using voice commands for navigating, audio feedbac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48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adapting the functionality of the device according to specific conditions
    • H04M1/7245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adapting the functionality of the device according to specific conditions according to context-related or environment-related condi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3/00Circuits for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3/005Circuits for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for combining the signals of two or more microphon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5/00Stereophonic arrangements
    • H04R5/04Circuit arrangements, e.g. for selective connection of amplifier inputs/outputs to loudspeakers, for loudspeaker detection, or for adaptation of settings to personal preferences or hearing impair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 H04M1/026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for a display module assembl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6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including speech amplifiers
    • H04M1/6033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including speech amplifiers for providing handsfree use or a loudspeaker mode in telephone sets
    • H04M1/6041Portable telephones adapted for handsfree use
    • H04M1/605Portable telephones adapted for handsfree use involving control of the receiver volume to provide a dual operational mode at close or far distance from the us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48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adapting the functionality of the device according to specific condi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ultimedia (AREA)
  • Otolaryngology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 Circuit For Audible Band Transduc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동 단말 및 사운드 출력 제어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이동 단말은 디스플레이 스크린; 디스플레이 스크린의 상단 가장자리에 형성된 바 형태의 사운드 출력 홀; 사운드 가이드 채널을 통해 사운드 출력 홀과 각각 연결되는 적어도 두 개의 수화기; 를 포함하되, 여기서 적어도 하나의 수화기는 사운드 출력 홀의 제1 단에 인접하게 배치되고, 다른 적어도 하나의 수화기는 사운드 출력 홀의 제2 단에 인접하게 배치된다.

Description

이동 단말 및 사운드 출력 제어 방법
관련 출원에 대한 참조
본 출원은 2019년 2월 28일 중국에 제출된 중국 특허 출원 제201910151709.4호의 우선권을 주장하며, 그 전체 내용을 본 출원에 원용한다.
본 개시는 통신 기술 분야에 관한 것으로, 특히 이동 단말 및 사운드 출력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동 단말 기술의 발전으로 풀 스크린, 물방울 노치, 양면 스크린 등과 같은 디자인 형태의 이동 단말이 사람들의 눈길을 끌고 있다. 최적의 외관을 추구하기 위해 이동 단말의 수화기(또는 리시버)의 사운드 출력도 점차적으로 초소형 슬릿 또는 좁은 슬릿에 의한 사운드 출력으로 디자인 되고 있다. 예를 들면, 이동 단말의 카메라는 이동 단말의 상단 중앙(물방울 노치)에 배치되고, 사운드 출력 홀을 초소형 슬릿/좁은 슬릿의 형태로 이동 단말의 상단 중앙에서 카메라와 인접한 위치에 배치되고, 수화기는 이동 단말의 사운드 출력 홀의 일단 위치(즉, 수화기는 카메라의 좌측/우측에 배치됨)에 배치된다. 이때 수화기는 이동 단말의 상단 중앙에 위치하지 않으며, 이로 인해 사용자가 상이한 파지 자세로 통화 동작을 진행할 때, 사용자가 전화기의 한쪽으로 전화를 받으면 사용자의 귀에 대응되는 일측에 있는 수화기의 사운드 출력 홀이 사용자의 귀에 막혀 사용자에게 들리는 사운드 볼륨이 작아지게 되고, 심지어 사운드 왜곡(잡음/전동음이 존재하는 문제)도 발생하지만, 전화기의 다른 한쪽으로 전화를 받으면 볼륨 및 음질도 정상인 경우가 종종 발생한다.
다시 말해서, 종래 기술에서, 수화기의 사운드 출력이 초소형 슬릿/좁은 슬릿 방식으로 디자인된 이동 단말은, 수화기가 이동 단말의 상단 중앙에 배치되지 않음으로 인해 수화기의 해당 일측의 사운드 출력 홀이 사용자의 귀에 쉽게 막혀 볼륨이 작아지고 음질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이동 단말 및 사운드 출력 제어 방법을 제공하여 종래 기술에서 수화기의 해당 일측의 사운드 출력 홀이 사용자의 귓불에 쉽게 막혀 볼륨이 작아질 뿐만 아니라 심지어 음질도 저하되는 문제를 해결하고자 한다.
상기 기술적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기술 방안은 다음과 같이 구현된다.
제1 양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이동 단말을 제공함에 있어서, 해당 이동 단말은,
디스플레이 스크린;
디스플레이 스크린의 상단 가장자리에 형성된 바 형태의 사운드 출력 홀;
사운드 가이드 채널을 통해 사운드 출력 홀과 각각 연결되는 적어도 두 개의 수화기; 를 포함하되, 여기서 적어도 하나의 수화기는 사운드 출력 홀의 제1 단에 인접하게 배치되고, 다른 적어도 하나의 수화기는 사운드 출력 홀의 제2 단에 인접하게 배치된다.
제2 양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상기 이동 단말에 적용되는 사운드 출력 제어 방법을 제공함에 있어서, 해당 제어 방법은,
이동 단말의 현재 작동 상태를 모니터링하는 단계;
현재 작동 상태가 적어도 두 개의 수화기가 사운드 출력을 수행하기 위한 미리 설정된 활성화 조건을 충족함이 감지된 경우, 적어도 두 개의 수화기에서 목표 수화기를 결정하고, 목표 수화기가 사운드 출력 기능을 활성화하도록 제어하는 단계; 를 포함하되,
여기서, 현재 작동 상태는 미리 설정된 이벤트 활성화 상태를 포함한다.
제3 양상에서, 본 발명 실시예는 이동 단말을 제공함에 있어서, 해당 이동 단말은 상기 이동 단말이고, 해당 이동 단말은,
이동 단말의 현재 작동 상태를 모니터링하기 위한 모니터링 모듈;
현재 작동 상태가 적어도 두 개의 수화기가 사운드 출력을 수행하기 위한 미리 설정된 활성화 조건을 충족함이 감지된 경우, 적어도 두 개의 수화기에서 목표 수화기를 결정하고, 목표 수화기가 사운드 출력 기능을 활성화하도록 제어하기 위한 제1 제어 모듈; 을 포함하되,
여기서, 현재 작동 상태는 미리 설정된 이벤트 활성화 상태를 포함한다.
제4 양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이동 단말을 제공함에 있어서, 해당 이동 단말은 프로세서, 메모리 및 메모리에 저장되고 프로세서에서 실행될 수 있는 컴퓨터 프로그램을 포함하며, 해당 컴퓨터 프로그램이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상기 사운드 출력 제어 방법의 단계를 구현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적어도 두 개의 수화기를 배치하고, 적어도 하나의 수화기는 사운드 출력 홀의 제1 단에 인접하게 배치되고, 다른 적어도 하나의 수화기는 사운드 출력 홀의 제2 단에 인접하게 배치되는 것을 통해, 실제 상황에 따라 적어도 두 개의 수화기 중에서 해당되는 수화기를 사용하여 사운드 출력을 수행함으로써, 사운드 출력 홀의 일측이 사용자의 귓불에 막혀 볼륨이 작아지는 문제 뿐만 아니라 심지어 음질도 저하되는 문제를 방지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 구조의 개략도 1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운드 출력 제어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 구조의 개략도 2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의 하드웨어 구조 개략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는 첨부된 도면을 결부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의 기술적 수단에 대해 명확하고 완전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여기서 설명된 실시예는 본 발명의 모든 실시예가 아니라 일부 실시예에 불과함이 분명하다. 본 발명의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실시예를 기반으로 창의적인 노동을 거치지 않고 얻은 기타의 모든 실시예는 모두 본 발명의 보호 범위에 속한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 구조의 개략도 1이 도시되었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이동 단말을 제공함에 있어서, 상기 이동 단말은,
디스플레이 스크린(13);
디스플레이 스크린(13)의 상부 가장자리에 설치된 바 모양의 사운드 출력 홀(11);
사운드 가이드 채널을 통해 사운드 출력 홀(11)과 각각 연결되는 적어도 두 개의 수화기(12); 를 포함하되, 여기서 적어도 하나의 수화기(12)는 사운드 출력 홀(11)의 제1 단에 인접하게 배치되고, 다른 적어도 하나의 수화기(12)는 사운드 출력 홀(11)의 제2 단에 인접하게 배치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해당 사운드 출력 홀(11)의 양단은 각각 제1 단과 제2 단이고, 적어도 두 개의 수화기(12)는 사운드 출력 홀(11)의 양단에 배치되는 것 즉, 적어도 하나의 수화기(12)는 사운드 출력 홀(11)의 제1 단에 인접하게 배치되고, 다른 적어도 하나의 수화기(12)는 사운드 출력 홀(11)의 제2 단에 인접하게 배치됨으로써 적어도 두 개의 수화기(12)는 사운드 가이드 채널을 통해 사운드 출력 홀(11)과 연결되어, 적어도 두 개의 수화기(12)에 의해 발생된 사운드가 모두 사운드 출력 홀(11)을 통해 출력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실제 수요에 따라 적어도 두 개의 수화기(12) 중에서 해당되는 수화기(12)를 사용하여 사운드를 출력함으로써, 사운드 출력 홀의 일측이 사용자의 귓불에 막혀 볼륨이 작아지는 문제 뿐만 아니라 심지어 음질도 저하되는 문제를 방지한다.
여기서, 본 발명의 일부 선택 가능한 실시예에서, 해당 이동 단말은 디스플레이 스크린(13)을 둘러싸는 프레임(14)을 더 포함할 수 있고, 해당 사운드 출력 홀(11)은 디스플레이 스크린(13)의 상단 가장자리와 프레임(14) 사이에 배치되고, 또 상단 가장자리의 중앙에 위치할 수 있다.
여기서, 본 발명의 일부 선택 가능한 실시예에서, 이동 단말은 적어도 두 개의 수화기(12) 사이에 배치될 수 있는 감광 모듈(15)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해당 적어도 두 개의 수화기(12)는 감광 모듈(15)의 주위에 배치될 수 있고, 해당 감광 모듈(15)은 카메라 모듈 및 안면인식 모듈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유리하게,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디자인 원가와 구조 배치 공간의 제한을 고려하여,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해당 적어도 두 개의 수화기(12)의 개수는 두 개일 수 있고, 두 개의 수화기(12)는 사운드 출력 홀(11)의 양단에 인접하게 각각 하나씩 배치될 수 있다. 진일보로, 일 예에서, 두 개의 수화기(12)는 감광 모듈(15) 양측에 대칭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부 선택 가능한 실시예에서, 디스플레이 스크린(13)의 개수는 두 개일 수 있고, 두 개의 디스플레이 스크린(13)은 서로 등지게 배치된다. 사운드 출력 홀(11) 개수는 두 개일 수 있고, 각 디스플레이 스크린(13)마다 한 개의 사운드 출력 홀(11)이 배치되고, 각 사운드 출력 홀(11)은 사운드 가이드 채널을 통해 적어도 두 개의 수화기(12)와 각각 연결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서로 등지게 배치된 두 개의 디스플레이 스크린(13)에는 대응되는 사운드 출력 홀(11)이 각각 하나씩 배치되고, 해당 두 개의 사운드 출력 홀(11)의 위치는 대향되며, 각 사운드 출력 홀(11)은 대응되는 디스플레이 스크린(13)의 상단 가장자리에 배치되고, 또한 각 사운드 출력 홀(11)의 양단에는 적어도 하나의 수화기(12)가 각각 인접하게 배치된다. 이로써, 실제 수요에 따라, 임의의 일측의 디스플레이 스크린(13)에 대해 적어도 두 개의 수화기(12) 중에서 해당되는 수화기(12)를 사용하여 사운드를 출력함으로써, 사운드 출력 홀의 일측이 사용자의 귓불에 막혀 볼륨이 작아지는 문제 뿐만 아니라 심지어 음질도 저하되는 문제를 방지한다. 선택적으로, 해당 적어도 두 개의 수화기(12)의 개수는 두 개이다. 다시 말해서, 해당 두 개의 사운드 출력 홀(11)은 두 개의 수화기(12)를 공유한다.
여기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각 사운드 출력 홀(11)과 적어도 두 개의 수화기(12) 사이에 연결되는 각 사운드 가이드 채널에는 가림판이 설치되고, 가림판이 제1 위치에 있을 때 사운드 가이드 채널은 열리고, 가림판이 제2 위치에 있을 때 사운드 가이드 채널은 닫힌다. 이로써, 해당되는 사운드 출력 홀(11)을 사용하여 사운드를 출력해야 하는 경우, 가림판의 위치를 전환하여 해당되는 사운드 출력 홀(11)에 대응되는 사운드 가이드 채널이 열리거나 닫히도록 함으로써, 사용해야 하는 사운드 출력 홀(11)이 사운드 출력을 수행하도록 하는 동시에 사용할 필요가 없는 사운드 출력 홀(11)이 사운드 출력을 수행하지 않도록 하는 것을 구현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공되는 이동 단말은, 적어도 두 개의 수화기를 배치하되, 적어도 하나의 수화기는 사운드 출력 홀의 제1 단에 인접하게 배치하고, 다른 적어도 하나의 수화기는 사운드 출력 홀의 제2 단에 인접하게 설치하는 것을 통해, 실제 상황에 따라 적어도 두 개의 수화기 중에서 해당되는 수화기를 사용하여 사운드 출력을 수행함으로써, 사운드 출력 홀의 일측이 사용자의 귓불에 막혀 볼륨이 작아지는 문제 뿐만 아니라 심지어 음질도 저하되는 문제를 방지한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운드 출력 제어 방법의 흐름도가 도시되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운드 출력 제어 방법은 상기 이동 단말에 적용되며, 상기 제어 방법은 이하 단계들을 포함할 수 있다.
단계 101: 이동 단말의 현재 작동 상태를 모니터링한다.
본 단계에서, 이동 단말의 사용 과정에서, 해당 이동 단말의 현재 작동 상태를 모니터링함으로써, 현재 이동 단말이 적어도 두 개의 수화기가 사운드 출력을 수행하도록 미리 설정된 활성화 조건에 부합되는지를 판단하여 후속 단계를 위해 준비한다. 여기서, 현재 작동 상태는 미리 설정된 이벤트 활성화 상태를 포함할 수 있고, 해당 단계에서 구체적으로, 미리 설정된 이벤트 활성화 상태를 감지하고, 미리 설정된 이벤트 활성화 상태가 미리 설정된 활성화 조건에 부합되는지 여부를 판단하되, 해당 미리 설정된 이벤트는 음성 통화 이벤트 또는 수화기를 통해 음성을 출력하는 다른 이벤트일 수 있다.
단계 102: 현재 작동 상태가 적어도 두 개의 수화기가 사운드 출력을 수행하기 위한 미리 설정된 활성화 조건을 충족함이 감지된 경우, 적어도 두 개의 수화기에서 목표 수화기를 결정하고, 목표 수화기가 사운드 출력 기능을 활성화하도록 제어한다.
본 단계에서, 단계 101에서 감지된 현재 작동 상태에 기초하여, 현재 작동 상태가 미리 설정된 활성화 조건에 부합되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이동 단말의 현재 작동 상태가 미리 설정된 활성화 조건에 부합되는 경우, 적어도 두 개의 수화기에서 사운드 출력을 수행하기 위한 목표 수화기를 결정하며, 구체적으로, 적어도 두 개의 수화기를 목표 수화기로 결정하거나, 또는 이동 단말의 파지 자세에 기초하여 파지 자세와 대응되는 적어도 하나의 수화기를 목표 수화기로 결정한 다음, 목표 수화기가 사운드 출력 기능을 활성화하여 오디오를 출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실제 수요에 따라 적어도 두 개의 수화기에서 해당되는 수화기를 사용하여 사운드 출력을 수행함으로써, 사운드 출력 홀의 일측이 사용자의 귓불에 막혀 볼륨이 작아지는 문제 뿐만 아니라 심지어 음질도 저하되는 문제를 방지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이동 단말의 현재 작동 상태가 적어도 두 개의 수화기가 사운드 출력을 수행하기 위한 미리 설정된 활성화 조건을 충족함이 감지된 경우, 적어도 두 개의 수화기에서 목표 수화기를 결정하고, 목표 수화기가 사운드 출력 기능을 활성화하도록 제어함으로써, 사운드 출력 홀의 일측이 막혀도 사운드 출력의 품질에 영향을 주지 않도록 하며, 볼륨이 작아지는 문제 뿐만 아니라 심지어 음질도 저하되는 문제를 방지할 수 있다.
여기서, 본 발명의 일부 선택 가능한 실시예에서, 현재 작동 상태가 적어도 두 개의 수화기가 사운드 출력을 수행하기 위한 미리 설정된 활성화 조건을 충족함이 감지된 경우, 적어도 두 개의 수화기에서 목표 수화기를 결정하는 단계 102는, 이동 단말의 파지 자세를 검출하는 단계; 파지 자세와 목표 수화기 간의 대응 관계에 근거하여 적어도 두 개의 수화기에서 목표 수화기를 결정하는 단계; 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이동 단말의 파지 자세와 사운드 출력을 수행하는 수화기 간의 대응 관계를 미리 설정할 수 있다. 이로써, 이동 단말의 파지 자세에 대한 검출을 통해, 적어도 두 개의 수화기에서 파지 자세와 대응되는 적어도 하나의 수화기를 목표 수화기로 결정할 수 있으며, 나아가 목표 수화기가 사운드 출력 기능을 활성화하여 오디오 출력을 수행하도록 제어함으로써, 이동 단말의 오디오 출력이 사용자의 파지 자세의 영향을 받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사운드 출력 홀의 일측이 막혀도 수화기의 사운드 출력 품질에 영향을 주지 않게 되어 볼륨이 작아지는 문제 뿐만 아니라 심지어 음질도 저하되는 문제를 방지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다양한 방식을 적용하여 이동 단말의 파지 자세에 대한 검출을 구현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일부 선택 가능한 실시예에서, 이동 단말에 중력 센서 또는 자이로스코프와 같은 중력 감지 모듈을 구성한 다음, 디스플레이 스크린이 위치한 평면에 평행되는 평면을 X-Y축 평면으로 결정하고 디스플레이 스크린이 위치한 평면에 수직되는 평면을 Z축 평면으로 결정하여 삼차원 직각 좌표계를 미리 구축하고, 삼차원 직각 좌표계에서 이동 단말의 한 장변 방향을 미리 표기하고, 중력 감지 묘듈을 통해 이동 단말의 장변 방향과 수평면 간의 경사각을 측정하고, 그 다음 측정된 경사각에 근거하여 이동 단말의 파지 자세가 오른손 파지 자세인지 아니면 왼손 파지 자세인지를 결정할 수 있다. 즉, 장변 방향과 수평면 간의 경사각이 제1 각도 범위 내에 있는 경우, 이동 단말의 파지 자세를 오른손 파지 자세로 결정하고, 장변 방향과 수평면 간의 경사각이 제2 각도 범위 내에 있는 경우, 이동 단말의 파지 자세를 왼손 파지 자세로 결정한다.
또는, 일부 선택 가능한 실시예에서, 이동 단말의 프레임에 정전식 감지 센서 또는 압력 센서와 같은 센서를 구성하고, 센서를 통해 이동 단말이 파지될 때의 손가락 파지 위치를 획득하여 사용자 손가락의 파지 위치 분포를 결정하며, 오른손 파지 자세와 왼손 파지 자세에서 사용자 손가락의 파지 위치 분포는 다소 상이하므로, 이때 해당 파지 위치 분포에 근거하여 이동 단말의 파지 자세가 오른손 파지 자세인지 아니면 왼손 파지 자세인지를 결정할 수 있다.
또는, 다른 일부 선택 가능한 실시예에서, 이동 단말의 카메라를 작동시키고, 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사용자 귀의 현재 형상을 획득하고, 획득된 현재 형상을 적어도 두 가지 미리 설정된 형상 즉, 매 한 가지 파지 자세와 매칭되는 각 미리 설정된 형상을 비교하여 현재 형상에 대응되는 파지 자세를 결정할 수도 있다.
진일보로, 파지 자세와 대응되는 목표 수화기를 결정하는 방식도 다양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본 발명의 일부 선택 가능한 실시예에서, 적어도 두 개의 수화기에 수화기 번호를 미리 부여하고, 이동 단말의 파지 자세와 수화기 번호 간의 대응 관계를 미리 설정한 다음, 해당 파지 자세에서 수화기 번호에 기초하여 적어도 두 개의 수화기에서 파지 자세와 대응되는 적어도 하나의 수화기를 선택하여 목표 수화기로 결정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파지 자세와 목표 수화기 간의 대응 관계에 근거하여 적어도 두 개의 수화기에서 목표 수화기를 결정하는 단계는, 미리 설정된 이동 단말의 파지 자세와 수화기 번호 간의 대응 관계에 근거하여, 파지 자세와 대응되는 목표 수화기 번호를 결정하고, 목표 수화기 번호에 기초하여 목표 수화기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는, 본 발명의 일부 선택 가능한 실시예에서, 파지 자세와 사운드 출력 홀 양단 간의 대응 관계를 미리 설정하고, 파지 자세에 기초하여 사운드 출력 홀에 대응되는 목표 단을 결정함으로써, 적어도 두 개의 수화기에서 목표 단에 대응되는 적어도 하나의 수화기를 목표 수화기로 결정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파지 자세와 목표 수화기 간의 대응 관계에 근거하여 적어도 두 개의 수화기에서 목표 수화기를 결정하는 단계는, 파지 자세에 근거하여 파지 자세와 대응되는 사운드 출력 홀의 제1 목표 단을 결정하는 단계; 제1 목표 단에 인접한 적어도 하나의 수화기를 목표 수화기로 결정하는 단계; 를 포함한다.
여기서, 파지 자세와 대응되는 사운드 출력 홀의 제1 목표 단을 결정하는 방식은 다양할 수 있다.
일 예에서, 사운드 출력 홀의 양단에 번호를 미리 부여하고, 이동 단말의 파지 자세와 사운드 출력 홀의 각 단의 번호 간의 대응 관계를 설정한 다음, 해당 파지 자세에서 사운드 출력 홀의 각 단의 번호에 기초하여, 파지 자세와 대응되는 제1 목표 단을 결정하고, 나아가 적어도 두 개의 수화기에서 목표 수화기를 결정한다. 다시 말해서, 파지 자세에 근거하여 파지 자세와 대응되는 사운드 출력 홀의 제1 목표 단을 결정하는 단계는, 파지 자세와 미리 설정된 사운드 출력 홀의 각 단의 번호 간의 대응 관계에 근거하여 파지 자세와 대응되는 사운드 출력 홀의 제1 목표 단을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는, 다른 일 예에서, 센서를 통해 이동 단말이 파지될 때의 손가락 파지 위치를 획득하여 사용자 손가락의 파지 위치 분포를 결정하고, 그 다음 해당 파지 위치 분포에 기초하여 사용자 엄지손가락의 파지 위치를 결정하며, 사용자 엄지손가락에서 멀리 떨어진 일측의 일단을 파지 자세와 대응되는 제1 목표 단으로 결정하고, 나아가 적어도 두 개의 수화기에서 목표 수화기를 결정한다. 다시 말해서, 파지 자세에 근거하여 파지 자세와 대응되는 사운드 출력 홀의 제1 목표 단을 결정하는 단계는, 이동 단말에서의 사용자 엄지손가락 파지 위치를 결정하는 단계; 엄지손가락 파지 위치에서 멀리 떨어진 사운드 출력 홀의 일단을 제1 목표 단으로 결정하는 단계; 를 포함할 수 있다.
또는, 다른 일 예에서, 카메라로 사용자 귀의 현재 형상을 획득하고, 사용자 귀의 현재 형상에 기초하여 귓바퀴 위치를 결정함으로써, 귓바퀴 위치와 사운드 출력 홀의 목표 단 간의 대응 관계에 기초하여, 귓바퀴 위치와 대응되는 사운드 출력 홀의 제1 목표 단을 결정하며, 나아가 적어도 두 개의 수화기에서 목표 수화기를 결정한다. 다시 말해서, 파지 자세에 근거하여 파지 자세와 대응되는 사운드 출력 홀의 제1 목표 단을 결정하는 단계는, 사용자 귀의 귓바퀴 위치를 결정하는 단계; 귓바퀴에서 멀리 떨어진 사운드 출력 홀의 일단을 제1 목표 단으로 결정하는 단계; 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실제 사용 시, 특정 수요에 따라 상기 몇 가지 이동 단말 파지 자세 검출 방식에서 하나의 방식을 사용하거나 다수의 방식을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상기 몇 가지 목표 수화기 결정 방식에서 하나의 방식을 사용하거나 다수의 방식을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부 선택 가능한 실시예에서, 디스플레이 스크린의 개수는 두 개이고, 두 개의 디스플레이 스크린은 서로 등지게 배치되며, 사운드 출력 홀의 개수는 두 개이고, 각 디스플레이 스크린에 하나의 사운드 출력 홀이 각각 배치되고, 각 사운드 출력 홀은 사운드 가이드 채널을 통해 적어도 두 개의 수화기와 연결되며, 이때, 현재 작동 상태가 적어도 두 개의 수화기가 사운드 출력을 수행하기 위한 미리 설정된 활성화 조건을 충족함이 감지된 경우, 적어도 두 개의 수화기에서 목표 수화기를 결정하는 단계 102는, 사용자 귀에 가까운 디스플레이 스크린을 목표 디스플레이 스크린으로 결정하는 단계; 목표 디스플레이 스크린과 이동 단말의 파지 자세에 근거하여, 적어도 두 개의 수화기에서 목표 수화기를 결정하는 단계; 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이동 단말이 서로 등지게 배치된 두 개의 디스플레이 스크린을 구비하고, 두 개의 디스플레이 스크린에 대응하여 두 개의 일대일 대응이 되는 사운드 출력 홀이 배치된 경우, 두 개의 디스플레이 스크린에서 사용자의 귀에 가까운 목표 디스플레이 스크린 즉, 사용자가 사용하는 디스플레이 스크린을 결정하고, 목표 디스플레이 스크린과 이동 단말의 파지 자세를 결합하여 적어도 두 개의 수화기에서 목표 수화기를 결정하며, 나아가 목표 수화기가 사운드 출력 기능을 활성화하여 오디오를 출력하도록 제어함으로써, 이동 단말의 오디오 출력이 사용자 파지 자세의 영향을 받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사운드 출력 홀의 일측이 막혀도 수화기의 사운드 출력 품질에 영향을 주지 않게 되어 볼륨이 작아지는 문제 뿐만 아니라 심지어 음질도 저하되는 문제를 방지한다. 여기서, 목표 디스플레이 스크린의 결정에 있어서, 거리 센서(예: 적외선 거리 센서)를 통해 사용자 귀와의 거리가 미리 설정된 값보다 작은 디스플레이 스크린을 목표 디스플레이 스크린으로 결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목표 디스플레이 스크린이 결정된 후, 중력 감지 모듈을 통해 이동 단말의 장변 방향과 수평면 간의 경사각을 측정한 다음, 측정된 경사각에 근거하여 이동 단말의 파지 자세가 오른손 파지 자세인지 아니면 왼손 파지 자세인지를 결정할 수 있다. 또는, 센서를 통해 이동 단말이 파지될 때의 손가락 파지 위치를 획득하여 사용자 손가락의 파지 위치 분포를 결정하고, 해당 파지 위치 분포에 근거하여 이동 단말의 파지 자세가 오른손 파지 자세인지 아니면 왼손 파지 자세인지를 결정한다. 그 다음 적어도 두 개의 수화기에 미리 부여된 수화기 번호에 기초하여 적어도 두 개의 수화기에서 목표 디스플레이 스크린 및 파지 자세에 대응되는 적어도 하나의 수화기를 선택하여 목표 수화기로 결정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목표 디스플레이 스크린과 이동 단말의 파지 자세에 근거하여 적어도 두 개의 수화기에서 목표 수화기를 결정하는 단계는, 미리 설정된 목표 디스플레이 스크린 및 파지 자세와 수화기 번호 간의 대응 관계에 근거하여, 목표 디스플레이 스크린 및 파지 자세와 대응되는 목표 수화기 번호를 결정하고, 해당 목표 수화기 번호에 기초하여 목표 수화기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일부 선택 가능한 실시예에서, 목표 디스플레이 스크린 및 이동 단말의 파지 자세에 근거하여 적어도 두 개의 수화기에서 목표 수화기를 결정하는 단계는, 목표 디스플레이 스크린에 대응되는 사운드 출력 홀을 목표 사운드 출력 홀로 결정하는 단계; 파지 자세에 근거하여 파지 자세와 대응되는 목표 사운드 출력 홀의 제2 목표 단을 결정하는 단계; 제2 목표 단에 인접한 적어도 하나의 수화기를 목표 수화기로 결정하는 단계; 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목표 디스플레이 스크린 상의 사운드 출력 홀을 목표 사운드 출력 홀 즉, 사용자가 실제로 사용하는 사운드 출력 홀로 결정한 다음, 파지 자세에 기초하여 목표 사운드 출력 홀과 대응되는 제2 목표 단을 결정하고, 나아가 제2 목표 단과 대응되는 목표 수화기를 적어도 두 개의 수화기에서 결정한다. 이를 통해, 사용자가 실제로 사용하는 사운드 출력 홀에 기초하여 이동 단말의 파지 자세와 대응되는 목표 수화기를 결정함으로써, 이동 단말의 오디오 출력이 사용자 파지 자세의 영향을 받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사운드 출력 홀의 일측이 막혀도 수화기의 사운드 출력 품질에 영향을 주지 않게 되어 볼륨이 작아지는 문제 뿐만 아니라 심지어 음질도 저하되는 문제를 방지한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목표 사운드 출력 홀이 결정된 후, 사운드 출력 홀의 양단에 번호를 미리 부여하고, 이동 단말의 파지 자세와 사운드 출력 홀의 각 단의 번호 간의 대응 관계를 미리 설정하고, 그 다음 해당 파지 자세에서 사운드 출력 홀의 각 단의 번호에 기초하여 파지 자세와 대응되는 목표 사운드 출력 홀의 제2 목표 단을 결정하고, 나아가 적어도 두 개의 수화기에서 목표 수화기를 결정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파지 자세에 근거하여 파지 자세와 대응되는 목표 사운드 출력 홀의 제2 목표 단을 결정하는 단계는, 파지 자세와 미리 설정된 사운드 출력 홀의 각 단의 번호 간의 대응 관계에 근거하여, 파지 자세와 대응되는 목표 사운드 출력 홀의 제2 목표 단을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는, 목표 사운드 출력 홀이 결정된 후, 센서를 통해 이동 단말이 파지될 때의 손가락 파지 위치를 획득하여 사용자 손가락의 파지 위치 분포를 결정하고, 그 다음 해당 파지 위치 분포에 기초하여 사용자 엄지손가락의 파지 위치를 결정하며, 사용자 엄지손가락에서 멀리 떨어진 일측의 일단을 파지 자세와 대응되는 제2 목표 단으로 결정하고, 나아가 적어도 두 개의 수화기에서 목표 수화기를 결정한다. 다시 말해서, 파지 자세에 근거하여 파지 자세와 대응되는 사운드 출력 홀의 제2 목표 단을 결정하는 단계는, 이동 단말에서의 사용자 엄지손가락 파지 위치를 결정하는 단계; 엄지손가락 파지 위치에서 멀리 떨어진 사운드 출력 홀의 일단을 제2 목표 단으로 결정하는 단계; 를 포함할 수 있다. 또는, 목표 사운드 출력 홀이 결정된 후, 카메라로 사용자 귀의 현재 형상을 획득하고, 사용자 귀의 현재 형상에 기초하여 귓바퀴 위치를 결정함으로써, 귓바퀴 위치와 사운드 출력 홀의 목표 단 간의 대응 관계에 기초하여, 귓바퀴 위치와 대응되는 사운드 출력 홀의 제2 목표 단을 결정하며, 나아가 적어도 두 개의 수화기에서 목표 수화기를 결정한다. 다시 말해서, 파지 자세에 근거하여 파지 자세와 대응되는 사운드 출력 홀의 제2 목표 단을 결정하는 단계는, 사용자 귀의 귓바퀴 위치를 결정하는 단계; 귓바퀴에서 멀리 떨어진 사운드 출력 홀의 일단을 제2 목표 단으로 결정하는 단계; 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부 선택 가능한 실시예에서, 현재 작동 상태가 적어도 두 개의 수화기가 사운드 출력을 수행하기 위한 미리 설정된 활성화 조건을 충족함이 감지된 경우, 적어도 두 개의 수화기에서 목표 수화기를 결정하고, 목표 수화기가 사운드 출력 기능을 활성화하도록 제어하는 단계 102 이후에, 목표 수화기와 목표 사운드 출력 홀 사이의 사운드 가이드 채널이 열리도록 제어하고, 목표 수화기와 목표 사운드 출력 홀 이외의 다른 사운드 출력 홀 사이의 사운드 가이드 채널이 닫히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현재 사용 중인 목표 사운드 출력 홀을 판단하고, 대응되는 사운드 출력 채널이 열리게 함으로써, 두 개의 사운드 출력 홀이 동시에 사운드를 출력하여 소리가 분산됨으로 인해 발생되는 음질 저하 문제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부 선택 가능한 실시예에서, 현재 작동 상태가 적어도 두 개의 수화기가 사운드 출력을 수행하기 위한 미리 설정된 활성화 조건을 충족함이 감지된 경우, 적어도 두 개의 수화기에서 목표 수화기를 결정하고, 목표 수화기가 사운드 출력 기능을 활성화하도록 제어하는 단계 102는, 적어도 두 개의 수화기를 목표 수화기로 결정하는 단계; 목표 수화기가 사운드 출력 기능을 활성화하도록 하고, 목표 수화기의 출력 볼륨을 낮추도록 제어하는 단계; 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현재 작동 상태가 적어도 두 개의 수화기가 사운드 출력을 수행하기 위한 미리 설정된 활성화 조건을 충족하는 경우, 적어도 두 개의 수화기를 모두 목표 수화기로 결정할 수 있다. 이때, 목표 수화기가 사운드 출력 기능을 활성화하여 오디오 출력을 수행하도록 제어하는 동시에, 과도한 출력 볼륨을 방지하기 위해 목표 수화기의 출력 볼륨을 줄임으로써, 사운드 누출 수준을 고려하고, 사용자의 프라이버시를 보호한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일부 선택 가능한 실시예에서, 목표 수화기의 출력 볼륨을 낮추도록 제어하는 단계는, 사용자 귀와 이동 단말의 디스플레이 스크린 사이의 거리를 획득하는 단계; 미리 설정된 거리와 볼륨 조절 비례 간의 대응 관계에 근거하여, 거리와 대응되는 볼륨 조절 비례를 결정하는 단계; 볼륨 조절 비례에 따라 목표 수화기 출력 볼륨을 낮추도록 제어하는 단계; 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사용자 귀와 이동 단말의 디스플레이 스크린 간의 거리와 볼륨 조절 비례 간의 대응 관계를 미리 설정하고, 해당 거리에 기초하여 필요한 볼륨 조절 비례를 결정함으로써, 출력 볼륨을 보다 정확하게 결정하여, 목표 수화기가 출력하는 오디오의 명료도를 보장함과 동시에 사용자의 프라이버시도 보호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운드 출력 제어 방법에 있어서, 이동 단말의 현재 작동 상태가 적어도 두 개의 수화기가 사운드 출력을 수행하기 위한 미리 설정된 활성화 조건을 충족함이 감지된 경우, 적어도 두 개의 수화기에서 목표 수화기를 결정하고, 목표 수화기가 사운드 출력 기능을 활성화하도록 제어함으로써, 사운드 출력 홀의 일측이 막혀도 수화기의 사운드 출력 품질에 영향을 주지 않도록 하며, 볼륨이 작아지는 문제 뿐만 아니라 심지어 음질도 저하되는 문제를 방지할 수 있다.
상기 방법에 기초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이동 단말이 제공된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 구조의 개략도 2가 도시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이동 단말(300)을 제공함에 있어서, 해당 이동 단말은 전술한 이동 단말이고, 해당 이동 단말(300)은,
이동 단말의 현재 작동 상태를 모니터링하기 위한 모니터링 모듈(310);
현재 작동 상태가 적어도 두 개의 수화기가 사운드 출력을 수행하기 위한 미리 설정된 활성화 조건을 충족함이 감지된 경우, 적어도 두 개의 수화기에서 목표 수화기를 결정하고, 목표 수화기가 사운드 출력 기능을 활성화하도록 제어하기 위한 제1 제어 모듈(320); 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현재 작동 상태는 미리 설정된 이벤트 활성화 상태를 포함한다.
여기서, 본 발명의 일부 선택 가능한 실시예에서, 제1 제어 모듈(320)은,
이동 단말의 파지 자세를 검출하기 위한 검출 서브 모듈;
파지 자세와 목표 수화기 간의 대응 관계에 근거하여 적어도 두 개의 수화기에서 목표 수화기를 결정하기 위한 제1 결정 서브 모듈; 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선택 가능한 실시예에서, 제1 결정 서브 모듈은,
파지 자세에 근거하여 파지 자세와 대응되는 사운드 출력 홀의 제1 목표 단을 결정하기 위한 제1 결정 유닛;
제1 목표 단과 인접한 적어도 하나의 수화기를 목표 수화기로 결정하기 위한 제2 결정 유닛; 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파지 자세와 대응되는 사운드 출력 홀의 제1 목표 단을 결정하는 방식은 다양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본 발명의 일부 선택 가능한 실시예에서, 제1 결정 유닛은,
파지 자세와 미리 설정된 사운드 출력 홀의 각 단의 번호 간의 대응 관계에 근거하여, 파지 자세와 대응되는 사운드 출력 홀의 제1 목표 단을 결정하기 위한 제1 결정 서브 유닛;
또는,
이동 단말에서의 사용자 엄지손가락 파지 위치를 결정하기 위한 제2 결정 서브 유닛;
엄지손가락 파지 위치에서 멀리 떨어진 사운드 출력 홀의 일단을 제1 목표 단으로 결정하기 위한 제3 결정 서브 유닛;
또는,
사용자 귀의 귓바퀴 위치를 결정하기 위한 제4 결정 서브 유닛;
귓바퀴에서 멀리 떨어진 사운드 출력 홀의 일단을 제1 목표 단으로 결정하기 위한 제5 결정 서브 유닛; 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부 선택 가능한 실시예에서, 디스플레이 스크린의 개수는 두 개이고, 두 개의 디스플레이 스크린은 서로 등지게 배치되며, 사운드 출력 홀의 개수는 두 개이고, 각 디스플레이 스크린에 하나의 사운드 출력 홀이 각각 배치되고, 각 사운드 출력 홀은 사운드 가이드 채널을 통해 적어도 두 개의 수화기와 연결되며, 여기서, 제1 제어 모듈(320)은,
사용자 귀에 가까운 디스플레이 스크린을 목표 디스플레이 스크린으로 결정하기 위한 제2 결정 서브 모듈;
목표 디스플레이 스크린과 이동 단말의 파지 자세에 근거하여, 적어도 두 개의 수화기에서 목표 수화기를 결정하기 위한 제3 결정 서브 모듈; 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일부 선택 가능한 실시예에서, 제3 결정 서브 모듈은,
목표 디스플레이 스크린에 대응되는 사운드 출력 홀을 목표 사운드 출력 홀로 결정하기 위한 제3 결정 유닛;
파지 자세에 근거하여 파지 자세와 대응되는 목표 사운드 출력 홀의 제2 목표 단을 결정하기 위한 제4 결정 유닛;
제2 목표 단에 인접한 적어도 하나의 수화기를 목표 수화기로 결정하기 위한 제5 결정 유닛; 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부 선택 가능한 실시예에서, 이동 단말(300)은,
목표 수화기와 목표 사운드 출력 홀 사이의 사운드 가이드 채널이 열리도록 제어하고, 목표 수화기와 목표 사운드 출력 홀 이외의 다른 사운드 출력 홀 사이의 사운드 가이드 채널이 닫히도록 제어하기 위한 제2 제어 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부 선택 가능한 실시예에서, 제1 제어 모듈(320)은,
적어도 두 개의 수화기를 목표 수화기로 결정하기 위한 제4 결정 서브 모듈;
목표 수화기가 사운드 출력 기능을 활성화하도록 하고, 목표 수화기의 출력 볼륨을 낮추도록 제어하기 위한 제어 서브 모듈; 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일부 선택 가능한 실시예에서, 제어 서브 모듈은,
사용자 귀와 이동 단말의 디스플레이 스크린 사이의 거리를 획득하기 위한 획득 유닛;
미리 설정된 거리와 볼륨 조절 비례 간의 대응 관계에 근거하여, 거리와 대응되는 볼륨 조절 비례를 결정하기 위한 제6 결정 유닛;
볼륨 조절 비례에 따라 목표 수화기 출력 볼륨을 낮추도록 제어하기 위한 제어 유닛; 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은 도 2의 방법 실시예에서 이동 단말이 구현하는 각 단계를 구현할 수 있으므로, 반복을 피하기 위해 여기서는 추가 설명을 생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은, 이동 단말의 현재 작동 상태가 적어도 두 개의 수화기가 사운드 출력을 수행하기 위한 미리 설정된 활성화 조건을 충족함이 감지된 경우, 적어도 두 개의 수화기에서 목표 수화기를 결정하고, 목표 수화기가 사운드 출력 기능을 활성화하도록 제어함으로써, 사운드 출력 홀의 일측이 막혀도 수화기의 사운드 출력 품질에 영향을 주지 않도록 하며, 볼륨이 작아지는 문제 뿐만 아니라 심지어 음질도 저하되는 문제를 방지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각 실시예를 구현하는 이동 단말의 하드웨어 구조 개략도이다.
해당 이동 단말(400)은 무선 주파수 장치(401), 네트워크 모듈(402), 오디오 출력 장치(403), 입력 장치(404), 센서(405), 디스플레이 장치(406), 사용자 입력 장치(407), 인터페이스 장치(408), 메모리(409), 프로세서(410) 및 전원(411) 등 부품을 포함한다. 본 분야에 숙련된 자라면 도 4에 도시된 이동 단말의 구조가 이동 단말에 어떠한 제한도 구성하지 않으며, 이동 단말은 도에 도시된 구성 요소의 수를 늘리거나 줄일 수 있으며, 일부 구성 요소의 조합이나 배치를 다르게 변경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이동 단말은 휴대폰, 태블릿 PC, 노트북, 개인 휴대 정보 단말기, 차량탑재 단말기, 웨어러블 단말기 및 계보계 등을 포함하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무선 주파수 장치(401)는 정보의 송수신 과정 또는 통화 과정에서 신호의 송신과 수신을 수행하도록 구성되며, 구체적으로, 기지국으로부터 하향링크 데이터를 수신한 후, 처리를 위해 프로세서(410)에 전달하고, 또한 상향링크 데이터를 기지국에 전송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무선 주파수 장치(401)에는 안테나, 적어도 하나의 증폭기, 송수신기, 연결기, 저소음 증폭기, 이중화기 등이 포함되지만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또한, 무선 주파수 장치(401)는 무선 통신 시스템을 통해 네트워크 및 기타 장치와 통신할 수 있다.
이동 단말은 네트워크 모듈(402)을 통해 사용자에게 무선 광대역 인터넷 액세스를 제공한다. 예를 들자면, 사용자가 전자 메일을 송수신하고 웹 페이지를 검색하며 스트리밍 미디어에 액세스하도록 도울 수 있다.
오디오 출력 장치(403)는 무선 주파수 장치(401) 또는 네트워크 모듈(402)이 수신하거나 메모리(409)에 저장된 오디오 데이터를 오디오 신호로 변환하여 소리로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오디오 출력 장치(403)는 이동 단말(400)에 의해 수행되는 특정 기능과 관련된 오디오 출력(예컨대, 호출 신호 수신 소리, 메시지 수신 소리 등)을 제공할 수도 있다. 오디오 출력 장치(403)에는 스피커, 부저, 수화기 등이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수화기(즉 리시버)의 개수는 적어도 두 개이고, 사운드 가이드 채널을 통해 사운드 출력 홀과 각각 연결되며, 여기서 적어도 하나의 수화기는 사운드 출력 홀의 제1 단에 인접하게 배치되고, 다른 적어도 하나의 수화기는 사운드 출력 홀의 제2 단에 인접하게 배치된다.
여기서, 프로세서(410)는 이동 단말의 현재 작동 상태를 모니터링하는 단계; 현재 작동 상태가 적어도 두 개의 수화기가 사운드 출력을 수행하기 위한 미리 설정된 활성화 조건을 충족함이 감지된 경우, 적어도 두 개의 수화기에서 목표 수화기를 결정하고, 목표 수화기가 사운드 출력 기능을 활성화하도록 제어하는 단계; 를 구현하되, 여기서 현재 작동 상태는 미리 설정된 이벤트 활성화 상태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현재 작동 상태가 적어도 두 개의 수화기가 사운드 출력을 수행하기 위한 미리 설정된 활성화 조건을 충족함이 감지된 경우, 적어도 두 개의 수화기에서 목표 수화기를 결정하고, 목표 수화기가 사운드 출력 기능을 활성화하도록 제어함으로써, 사운드 출력 홀의 일측이 막혀도 수화기의 사운드 출력 품질에 영향을 주지 않도록 하며, 볼륨이 작아지는 문제 뿐만 아니라 심지어 음질도 저하되는 문제를 방지할 수 있다.
입력 장치(404)는 오디오 또는 비디오 신호를 수신하는 데 사용된다. 입력 장치(404)에는 그래픽 처리 장치(Graphics Processing Unit, GPU)(4041)와 마이크로폰(4042)이 포함될 수 있고, 그래픽 처리 장치(4041)는 비디오 캡처 모드 또는 이미지 캡처 모드에서 이미지 캡처 장치(예컨대 카메라)가 획득한 정적 이미지 또는 비디오의 이미지 데이터를 처리한다. 처리된 이미지 프레임은 디스플레이 장치(406)에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그래픽 처리 장치(4041)에 의해 처리된 이미지 프레임은 메모리(409)(또는 기타 저장 매체)에 저장하거나 무선 주파수 장치(401) 또는 네트워크 모듈(402)에 의해 전송될 수 있다. 마이크로폰(4042)은 소리를 수신하고 그러한 소리를 오디오 데이터로 처리할 수 있다. 처리된 오디오 데이터는 전화 통화 모드에서 무선 주파수 장치(401)를 통해 이동 통신 기지국으로 전송될 수 있는 포맷으로 변환되어 출력될 수 있다.
이동 단말(400)에는 적어도 하나의 센서(405)가 추가로 포함될 수 있으며, 예를 들자면 광학 센서, 모션 센서 및 기타 센서가 있다. 구체적으로, 광학 센서에는 주변 조도 센서 및 근접 센서가 포함될 수 있다. 그중, 주변 조도 센서는 주변 조도의 밝기에 따라 디스플레이 패널(4061)의 밝기를 조정할 수 있으며, 이동 단말(400)이 귀 가까이 이동할 때 근접 센서가 디스플레이 패널(4061) 및/또는 백라이트를 끌 수 있다. 가속도계 센서는 모션 센서의 일종으로 모든 방향(보통 3축)의 가속도의 크기를 감지할 수 있고, 정지 상태일 때 중력의 크기와 방향을 감지할 수 있으며, 이동 단말의 자세 인식(예를 들어 세로와 가로 화면 전환, 관련 게임, 자력계 자세 보정), 진동 인식 관련 기능(보행계 및 두드리기) 등에 사용될 수 있다. 센서(405)에는 지문 센서, 압력 센서, 홍채 센서, 분자 센서, 자이로스코프, 기압계, 습도계, 온도계, 적외선 센서 등이 포함될 수 있으며, 여기서 추가 설명은 생략한다.
디스플레이 장치(406)는 사용자가 입력한 정보 또는 사용자에게 제공한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데 사용된다. 디스플레이 장치(406)는 디스플레이 패널(4061)을 포함할 수 있으며, 디스플레이 패널(4061)은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LCD),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 OLED) 등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사용자 입력 장치(407)는 입력된 숫자 또는 문자 정보를 수신하고 이동 단말의 사용자 설정 및 기능 제어와 관련된 주요 신호 입력을 생성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사용자 입력 장치(407)에는 터치 패널(4071)과 기타 입력 장치(4072)가 포함된다. 터치 패널(4071)은 터치 디스플레이 스크린이라고도 말하며, 사용자가 그 위에서 또는 근처에서 진행하는 터치 동작(예컨대 사용자가 손가락, 스타일러스 펜 등 임의의 적절한 물체 또는 부속품을 사용하여 터치 패널(4071) 위에서 또는 터치 패널(4071) 근처에서 진행하는 동작)을 수집할 수 있다. 터치 패널(4071)에는 터치 감지 장치와 터치 제어 장치 두 부분이 포함될 수 있다. 그중, 터치 감지 장치는 사용자의 터치 방향을 감지하고 터치 동작에 의한 신호를 감지하고, 이 신호를 터치 제어 장치로 전송한다. 터치 제어 장치는 터치 감지 장치로부터 터치 정보를 수신하여 터치 정보를 터치 포인트 좌표로 변환한 후 다시 프로세서(410)에 전송하고 프로세서(410)에서 보낸 명령을 수신하여 실행한다. 또한, 저항식, 정전식, 적외선 또는 표면 음파 등 다양한 형태로 터치 패널(4071)을 구현할 수 있다. 사용자 입력 장치(407)는 터치 패널(4071) 외에도 기타 입력 장치(4072)를 포함할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 기타 입력 장치(4072)에는 물리적 키보드, 기능 버튼(예를 들어 볼륨 조절 버튼, 전원 켜기/끄기 버튼 등), 트랙볼, 마우스, 조이스틱 등이 포함되지만 이에 제한되지는 아니하며, 여기서 추가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터치 패널(4071)은 디스플레이 패널(4061)의 위에 장착되어 터치 패널(4071)이 그 위 또는 근처의 터치 동작을 감지한 후 프로세서(410)로 전송하여 터치 이벤트 유형을 확정한다. 그런 다음, 프로세서(410)는 터치 이벤트 유형에 따라 디스플레이 패널(4061)에 해당 시각적 출력을 제공한다. 도 4에서 터치 패널(4071)과 디스플레이 패널(4061)은 두 개의 독립 부품으로 이동 단말의 입출력 기능을 구현하지만, 일부 실시예에서는 터치 패널(4071)과 디스플레이 패널(4061)을 통합하여 이동 단말의 입출력 기능을 구현할 수 있는 바, 여기서는 구체적으로 한정하지 아니한다.
인터페이스 장치(408)는 외부 장치와 이동 단말(400) 사이의 인터페이스이다. 예를 들어, 주변 장치에는 유선 또는 무선 헤드셋 포트, 외부 전원(또는 배터리 충전기) 포트, 유선 또는 무선 데이터 포트, 메모리 카드 포트, 인식 모듈이 있는 장치를 연결하는 데 사용되는 포트, 오디오 입력/출력(input/output, I/O) 포트, 비디오 I/O 포트, 이어폰 포트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 장치(408)는 외부 장치로부터 오는 입력(예: 데이터 정보 또는 전력 등)을 수신하여 이동 단말(400) 내부에 있는 한 개 또는 복수 개의 요소에 수신한 입력을 전송하도록 구성되거나, 이동 단말(400)과 외부 장치 간에 데이터를 전송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메모리(409)는 소프트웨어 프로그램과 다양한 데이터를 저장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메모리(409)에는 주로 프로그램 저장 영역과 데이터 저장 영역을 포함할 수 있고 여기서 프로그램 저장 영역에는 운영체제, 적어도 하나의 기능에 필요한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예컨대 오디오 재생 기능, 이미지 재생 기능 등) 등을 저장할 수 있다; 데이터 저장 영역에는 휴대폰의 사용에 따라 생성된 데이터(예를 들어 오디오 데이터, 전화 번호부 등) 등을 저장할 수 있다. 또한 메모리(409)는 고속 액세스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고 디스크 저장 장치, 플래시 메모리 부품 중 적어도 하나의 비휘발성 메모리 또는 기타 휘발성 솔리드 스테이드 메모리를 포함할 수도 있다.
프로세서(410)는 이동 단말의 제어 센터이며, 다양한 인터페이스와 회로를 사용하여 이동 단말의 모든 구성 요소에 연결된다. 메모리(409)에 저장된 소프트웨어 프로그램 및/또는 모듈을 운영 또는 실행하고 메모리(409)에 저장된 데이터를 호출함으로써 이동 단말의 다양한 기능을 실행하고 데이터를 처리하여 이동 단말에 관한 전반적인 모니터링을 수행한다. 프로세서(410)에는 한 개 또는 복수 개의 처리 장치가 포함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애플리케이션 프로세서와 모뎀 프로세서를 프로세서(410)에 통합할 수 있고 여기서 애플리케이션 프로세서는 주로 운영체제, 사용자 인터페이스,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 등을 처리하고 모뎀 프로세서는 주로 무선 통신을 처리한다. 상기 모뎀 프로세서는 프로세서(410)에 통합되지 않을 수도 있다는 점을 이해해야 한다.
이동 단말(400)에는 모든 부품에 전력을 공급하는 전원(411)(예컨대 배터리)이 포함될 수도 있고, 선택적으로 전원(411)은 전원 관리 시스템을 통해 프로세서(410)에 로직 연결이 될 수 있으므로 전원 관리 시스템을 통해 충전, 방전, 전력 소비 관리 등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이동 단말(400)에는 표시되지 않은 일부 기능 모듈이 포함되어 있으며, 여기서는 추가 설명을 생략한다.
선택적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일 이동 단말을 더 제공함에 있어서, 프로세서(410), 메모리(409), 메모리(409)에 저장되고 프로세서(410)에서 실행될 수 있는 컴퓨터 프로그램을 포함하며, 해당 컴퓨터 프로그램이 프로세서(410)에 의해 실행될 때, 상기 사운드 출력 제어 방법 실시예의 각 단계를 구현하고, 또한 동일한 기술적 효과를 달성할 수 있으므로, 반복을 피하기 위해 여기서는 추가 설명을 생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는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를 더 제공함에 있어서,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에는 컴퓨터 프로그램이 포함되며, 해당 컴퓨터 프로그램이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상기 사운드 출력 제어 방법 실시예의 각 단계를 구현하고, 또한 동일한 기술적 효과를 달성할 수 있으므로, 반복을 피하기 위해 여기서는 추가 설명을 생략한다. 그중, 상기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에는 읽기 전용 메모리(Read-Only Memory, ROM), 임의 접근 메모리(Random Access Memory, RAM), 자기 디스크 또는 광학 디스크 등이 있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한다’, ‘구비한다’ 또는 다른 변형은 비배타적 포함을 가리키며, 일련의 요소를 포함하는 프로세스, 방법, 물품 또는 장치가 그 요소뿐만 아니라 명확하게 나열되지 않은 다른 요소도 포함하며, 또는 이러한 프로세스, 방법, 물품 또는 장치의 고유한 요소도 포함한다. 별도로 제한이 없는 한, ‘~을 포함한다’로 정의된 요소는 해당 요소를 포함하는 프로세스, 방법, 물품 또는 장치에서 다른 동일한 요소의 존재를 배제하지 않는다.
상기 실시예의 설명을 통해, 당업자라면 상기 실시예의 방법이 소프트웨어와 필요한 일반 하드웨어 플랫폼을 결부하는 방식에 의해 구현되거나 또는 하드웨어에 의해 구현될 수 있지만, 많은 경우에 소프트웨어와 필요한 일반 하드웨어 플랫폼을 결부하는 방식이 더 바람직하다는 것을 명백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이해에 기초하면, 본 발명의 기술적 수단의 본질적 부분 또는 관련 기술에 기여한 부분 또는 해당 기술적 수단의 전부 또는 일부분을 소프트웨어 제품의 형태로 구현할 수 있고, 단말(휴대폰, 컴퓨터, 서버, 에어컨 또는 네트워크 장치 등)에 의해 본 발명의 각 실시예에 따른 방법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해당 컴퓨터 소프트웨어 제품에 복수의 명령을 포함시켜 저장 매체(예컨대 ROM/RAM, 자기 디스크, 광 디스크)에 저장할 수 있다.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실시예와 결합하여 설명된 각 예시의 유닛과 알고리즘 단계는 전자 하드웨어, 또는 컴퓨터 소프트웨어와 전자 하드웨어의 조합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는 점을 인식할 수 있다. 이러한 기능이 하드웨어 형태로 구현될지 아니면 소프트웨어 형태로 구현될지는 기술적 수단의 특정 애플리케이션과 설계의 제약 조건에 의해 결정된다. 전문 기술자는 소개된 기능을 구현하기 위해 각각의 특정 애플리케이션에 대해 서로 다른 방법을 사용할 수 있지만, 이러한 구현은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는 것으로 간주되어서는 안된다.
당업자라면 설명의 편의성 및 간결성을 위해 상기 시스템, 장치와 유닛의 구체적인 작업 과정은 상기 방법 실시예에서 대응되는 프로세스를 참조할 수 있음을 명확하게 이해할 수 있으며, 여기서는 추가 설명을 생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에서 공개되는 장치와 방법은 다른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해야 한다. 예컨대, 이상 설명한 장치의 실시예는 단지 예시에 불과하며, 예컨대 상기 유닛의 분할은 하나의 논리 기능의 분할일 뿐 실제로 구현할 때 다른 분할 방식이 있을 수 있다. 예컨대, 복수 개의 유닛이나 컴포넌트는 서로 결합되거나 다른 시스템에 통합될 수 있거나, 또는 일부 특징을 무시하거나 실행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표시되거나 논의된 상호 결합 또는 직접 결합 또는 통신 연결은 일부 인터페이스를 통한 장치 또는 유닛의 간접 결합 또는 통신 연결일 수 있으며, 전기적, 기계적 또는 다른 형식일 수 있다.
상기 분할 부품으로 소개된 유닛은 물리적으로 분리되거나 물리적으로 분리되지 않을 수 있으며, 유닛으로 표시되는 부품은 물리적 유닛일 수도 있고 아닐 수도 있다. 한 곳에 위치할 수 있고 또는 여러 개의 네트워크 유닛에 분산되어 있을 수도 있다. 실제 필요에 따라 그중의 일부 또는 전부 유닛을 선택하여 본 실시예 솔루션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여러 실시예에서의 여러 기능 유닛은 한 개의 처리 장치에 통합될 수 있고, 각각의 유닛이 물리적으로 단독으로 존재할 수도 있으며, 2개 또는 2개 이상의 유닛이 한 개의 유닛에 통합될 수도 있다.
상기 기능이 소프트웨어 기능 유닛의 형식으로 구현되어 독립적인 제품으로 판매되거나 사용되는 경우,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에 저장할 수 있다. 이러한 이해에 기초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수단의 본질적인 부분 또는 관련 기술에 기여하는 부분은 소프트웨어 제품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해당 컴퓨터 소프트웨어 제품은 하나의 저장 매체에 저장되고, 한 컴퓨터 장치(개인용 컴퓨터, 서버 또는 네트워크 장치 등일 수 있음)가 본 발명의 각 실시예에 따른 방법의 전부 또는 일부 단계를 실행하도록 몇몇 명령을 포함한다. 전술한 저장 매체에는 USB 메모리, 외장 하드, ROM, RAM, 디스켓 또는 시디롬 등 프로그램 코드를 저장할 수 있는 여러 가지 매체를 포함한다.
본 분야의 일반 기술자라면 상기 실시예 방법 중의 전부 또는 일부 프로세스에 대한 구현은 컴퓨터 프로그램을 통해 관련 하드웨어를 제어함으로써 완성될 수 있다는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 상기 프로그램은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에 저장될 수 있으며, 해당 프로그램이 실행될 때 전술한 각 방법 실시예의 절차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저장 매체는 디스켓, 시디롬, 읽기 전용 메모리(Read-Only Memory, ROM) 또는 랜덤 기억 장치(Random Access Memory, RAM) 등일 수 있다.
본 발명에 설명된 실시예들은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펌웨어, 미들웨어, 마이크로 코드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하드웨어의 구현에 있어서, 모듈, 유닛, 서브 유닛, 서브 모듈 등은 하나 또는 다수의 전용 집적회로(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s, ASIC),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igital Signal Processor, DSP), 디지털 신호 프로세싱 장치(DSP Device, DSPD), 프로그래머블 로직 장치(Programmable Logic Device, PLD), 현장 프로그래머블 게이트 어레이(Field-Programmable Gate Array, FPGA), 범용 프로세서, 컨트롤러, 마이크로 컨트롤러, 마이크로 프로세서, 본 발명에 따른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다른 전자 유닛 또는 그 조합에서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의 구현에 있어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설명된 기능의 모듈(예컨대 과정, 함수 등)을 실행하는 것을 통해 본 발명 실시예에 따른 기술을 구현할 수 있다. 소프트웨어 코드는 메모리에 저장되고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수 있다. 메모리는 프로세서에서 구현되거나 프로세서 외부에서 구현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첨부된 도면을 결부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전술된 특정 실시예에만 한정되지 않으며, 전술된 특정 실시예는 제한적이 아니라 예시적일 뿐이다.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주지 및 청구 범위에 따른 보호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본 발명에 기반하여 다양한 변형을 실시할 수 있으며, 이러한 변형은 모두 본 발명의 보호 범위에 속해야 한다.

Claims (21)

  1. 이동 단말에 있어서,
    디스플레이 스크린;
    상기 디스플레이 스크린의 상단 가장자리에 형성된 바 형태의 사운드 출력 홀;
    사운드 가이드 채널을 통해 상기 사운드 출력 홀과 각각 연결되는 적어도 두 개의 수화기; 를 포함하되, 적어도 하나의 수화기는 상기 사운드 출력 홀의 제1 단에 인접하게 배치되고, 다른 적어도 하나의 수화기는 상기 사운드 출력 홀의 제2 단에 인접하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스크린의 개수는 두 개이고, 두 개의 디스플레이 스크린은 서로 등지게 배치되며,
    상기 사운드 출력 홀의 개수는 두 개이고, 각 상기 디스플레이 스크린에 하나의 상기 사운드 출력 홀이 각각 배치되고, 각 상기 사운드 출력 홀은 사운드 가이드 채널을 통해 상기 적어도 두 개의 수화기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
  3. 사운드 출력 제어 방법에 있어서, 제1항 또는 제2항에 의한 이동 단말에 적용되고,
    상기 이동 단말의 현재 작동 상태를 모니터링하는 단계;
    상기 현재 작동 상태가 적어도 두 개의 수화기가 사운드 출력을 수행하기 위한 미리 설정된 활성화 조건을 충족함이 감지된 경우, 상기 적어도 두 개의 수화기에서 목표 수화기를 결정하고, 상기 목표 수화기가 사운드 출력 기능을 활성화하도록 제어하는 단계; 를 포함하되,
    상기 현재 작동 상태는 미리 설정된 이벤트 활성화 상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운드 출력 제어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현재 작동 상태가 적어도 두 개의 수화기가 사운드 출력을 수행하기 위한 미리 설정된 활성화 조건을 충족함이 감지된 경우, 상기 적어도 두 개의 수화기에서 목표 수화기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이동 단말의 파지 자세를 검출하는 단계;
    상기 파지 자세와 목표 수화기 간의 대응 관계에 근거하여 상기 적어도 두 개의 수화기에서 상기 목표 수화기를 결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운드 출력 제어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파지 자세와 목표 수화기 간의 대응 관계에 근거하여 상기 적어도 두 개의 수화기에서 상기 목표 수화기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파지 자세에 근거하여 상기 파지 자세와 대응되는 사운드 출력 홀의 제1 목표 단을 결정하는 단계;
    상기 제1 목표 단에 인접한 적어도 하나의 수화기를 목표 수화기로 결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운드 출력 제어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파지 자세에 근거하여 상기 파지 자세와 대응되는 사운드 출력 홀의 제1 목표 단을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파지 자세와 미리 설정된 상기 사운드 출력 홀의 각 단의 번호 간의 대응 관계에 근거하여, 상기 파지 자세와 대응되는 상기 사운드 출력 홀의 제1 목표 단을 결정하는 단계;
    또는,
    상기 이동 단말에서의 사용자 엄지손가락 파지 위치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엄지손가락 파지 위치에서 멀리 떨어진 상기 사운드 출력 홀의 일단을 제1 목표 단으로 결정하는 단계;
    또는,
    사용자 귀의 귓바퀴 위치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귓바퀴에서 멀리 떨어진 상기 사운드 출력 홀의 일단을 제1 목표 단으로 결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운드 출력 제어 방법.
  7.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스크린의 개수는 두 개이고, 두 개의 디스플레이 스크린은 서로 등지게 배치되며, 상기 사운드 출력 홀의 개수는 두 개이고, 각 상기 디스플레이 스크린에 하나의 상기 사운드 출력 홀이 각각 배치되고, 각 상기 사운드 출력 홀은 사운드 가이드 채널을 통해 상기 적어도 두 개의 수화기와 연결되며,
    상기 현재 작동 상태가 적어도 두 개의 수화기가 사운드 출력을 수행하기 위한 미리 설정된 활성화 조건을 충족함이 감지된 경우, 상기 적어도 두 개의 수화기에서 목표 수화기를 결정하는 단계는,
    사용자 귀에 가까운 디스플레이 스크린을 목표 디스플레이 스크린으로 결정하는 단계;
    상기 목표 디스플레이 스크린과 상기 이동 단말의 파지 자세에 근거하여, 상기 적어도 두 개의 수화기에서 상기 목표 수화기를 결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운드 출력 제어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목표 디스플레이 스크린과 상기 이동 단말의 파지 자세에 근거하여, 상기 적어도 두 개의 수화기에서 상기 목표 수화기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목표 디스플레이 스크린에 대응되는 사운드 출력 홀을 목표 사운드 출력 홀로 결정하는 단계;
    상기 파지 자세에 근거하여 상기 파지 자세와 대응되는 상기 목표 사운드 출력 홀의 제2 목표 단을 결정하는 단계;
    상기 제2 목표 단에 인접한 적어도 하나의 수화기를 목표 수화기로 결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운드 출력 제어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현재 작동 상태가 적어도 두 개의 수화기가 사운드 출력을 수행하기 위한 미리 설정된 활성화 조건을 충족함이 감지된 경우, 상기 적어도 두 개의 수화기에서 목표 수화기를 결정하고, 상기 목표 수화기가 사운드 출력 기능을 활성화하도록 제어하는 단계 이후에,
    상기 목표 수화기와 상기 목표 사운드 출력 홀 사이의 사운드 가이드 채널이 열리도록 제어하고, 상기 목표 수화기와 상기 목표 사운드 출력 홀 이외의 다른 사운드 출력 홀 사이의 사운드 가이드 채널이 닫히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운드 출력 제어 방법.
  10.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현재 작동 상태가 적어도 두 개의 수화기가 사운드 출력을 수행하기 위한 미리 설정된 활성화 조건을 충족함이 감지된 경우, 상기 적어도 두 개의 수화기에서 목표 수화기를 결정하고, 상기 목표 수화기가 사운드 출력 기능을 활성화하도록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적어도 두 개의 수화기를 목표 수화기로 결정하는 단계;
    상기 목표 수화기가 사운드 출력 기능을 활성화하도록 하고, 상기 목표 수화기의 출력 볼륨을 낮추도록 제어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운드 출력 제어 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목표 수화기의 출력 볼륨을 낮추도록 제어하는 단계는,
    사용자 귀와 상기 이동 단말의 디스플레이 스크린 사이의 거리를 획득하는 단계;
    미리 설정된 상기 거리와 볼륨 조절 비례 간의 대응 관계에 근거하여, 상기 거리와 대응되는 볼륨 조절 비례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볼륨 조절 비례에 따라 상기 목표 수화기 출력 볼륨을 낮추도록 제어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운드 출력 제어 방법.
  12. 이동 단말에 있어서, 상기 이동 단말은 제1항 또는 제2항에 의한 이동 단말이고,
    상기 이동 단말의 현재 작동 상태를 모니터링하기 위한 모니터링 모듈;
    상기 현재 작동 상태가 적어도 두 개의 수화기가 사운드 출력을 수행하기 위한 미리 설정된 활성화 조건을 충족함이 감지된 경우, 상기 적어도 두 개의 수화기에서 목표 수화기를 결정하고, 상기 목표 수화기가 사운드 출력 기능을 활성화하도록 제어하기 위한 제1 제어 모듈; 을 포함하되,
    상기 현재 작동 상태는 미리 설정된 이벤트 활성화 상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제어 모듈은,
    상기 이동 단말의 파지 자세를 검출하기 위한 검출 서브 모듈;
    상기 파지 자세와 목표 수화기 간의 대응 관계에 근거하여 상기 적어도 두 개의 수화기에서 상기 목표 수화기를 결정하기 위한 제1 결정 서브 모듈;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결정 서브 모듈은,
    상기 파지 자세에 근거하여 상기 파지 자세와 대응되는 사운드 출력 홀의 제1 목표 단을 결정하기 위한 제1 결정 유닛;
    상기 제1 목표 단과 인접한 적어도 하나의 수화기를 목표 수화기로 결정하기 위한 제2 결정 유닛;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결정 유닛은,
    상기 파지 자세와 미리 설정된 상기 사운드 출력 홀의 각 단의 번호 간의 대응 관계에 근거하여, 상기 파지 자세와 대응되는 상기 사운드 출력 홀의 제1 목표 단을 결정하기 위한 제1 결정 서브 유닛;
    또는,
    상기 이동 단말에서의 사용자 엄지손가락 파지 위치를 결정하기 위한 제2 결정 서브 유닛;
    상기 엄지손가락 파지 위치에서 멀리 떨어진 상기 사운드 출력 홀의 일단을 제1 목표 단으로 결정하기 위한 제3 결정 서브 유닛;
    또는,
    사용자 귀의 귓바퀴 위치를 결정하기 위한 제4 결정 서브 유닛;
    상기 귓바퀴에서 멀리 떨어진 상기 사운드 출력 홀의 일단을 제1 목표 단으로 결정하기 위한 제5 결정 서브 유닛;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
  16.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스크린의 개수는 두 개이고, 두 개의 디스플레이 스크린은 서로 등지게 배치되며, 상기 사운드 출력 홀의 개수는 두 개이고, 각 상기 디스플레이 스크린에 하나의 상기 사운드 출력 홀이 각각 배치되고, 각 상기 사운드 출력 홀은 사운드 가이드 채널을 통해 상기 적어도 두 개의 수화기와 연결되며,
    상기 제1 제어 모듈은,
    사용자 귀에 가까운 디스플레이 스크린을 목표 디스플레이 스크린으로 결정하기 위한 제2 결정 서브 모듈;
    상기 목표 디스플레이 스크린과 상기 이동 단말의 파지 자세에 근거하여, 상기 적어도 두 개의 수화기에서 상기 목표 수화기를 결정하기 위한 제3 결정 서브 모듈;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제3 결정 서브 모듈은,
    상기 목표 디스플레이 스크린에 대응되는 사운드 출력 홀을 목표 사운드 출력 홀로 결정하기 위한 제3 결정 유닛;
    상기 파지 자세에 근거하여 상기 파지 자세와 대응되는 상기 목표 사운드 출력 홀의 제2 목표 단을 결정하기 위한 제4 결정 유닛;
    상기 제2 목표 단에 인접한 적어도 하나의 수화기를 목표 수화기로 결정하기 위한 제5 결정 유닛;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목표 수화기와 상기 목표 사운드 출력 홀 사이의 사운드 가이드 채널이 열리도록 제어하고, 상기 목표 수화기와 상기 목표 사운드 출력 홀 이외의 다른 사운드 출력 홀 사이의 사운드 가이드 채널이 닫히도록 제어하기 위한 제2 제어 모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
  19.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제어 모듈은,
    상기 적어도 두 개의 수화기를 목표 수화기로 결정하기 위한 제4 결정 서브 모듈;
    상기 목표 수화기가 사운드 출력 기능을 활성화하도록 하고, 상기 목표 수화기의 출력 볼륨을 낮추도록 제어하기 위한 제어 서브 모듈;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서브 모듈은,
    사용자 귀와 상기 이동 단말의 디스플레이 스크린 사이의 거리를 획득하기 위한 획득 유닛;
    미리 설정된 상기 거리와 볼륨 조절 비례 간의 대응 관계에 근거하여, 상기 거리와 대응되는 볼륨 조절 비례를 결정하기 위한 제6 결정 유닛;
    상기 볼륨 조절 비례에 따라 상기 목표 수화기 출력 볼륨을 낮추도록 제어하기 위한 제어 유닛;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
  21. 이동 단말에 있어서, 프로세서, 메모리 및 상기 메모리에 저장되고 상기 프로세서에서 실행될 수 있는 컴퓨터 프로그램을 포함하며,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이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제3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의한 사운드 출력 제어 방법의 단계를 구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
KR1020217029051A 2019-02-28 2020-02-21 이동 단말 및 사운드 출력 제어 방법 KR10255287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1910151709.4A CN109951582B (zh) 2019-02-28 2019-02-28 一种移动终端及声音输出控制方法
CN201910151709.4 2019-02-28
PCT/CN2020/076144 WO2020173396A1 (zh) 2019-02-28 2020-02-21 移动终端及声音输出控制方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27200A true KR20210127200A (ko) 2021-10-21
KR102552874B1 KR102552874B1 (ko) 2023-07-06

Family

ID=670081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7029051A KR102552874B1 (ko) 2019-02-28 2020-02-21 이동 단말 및 사운드 출력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20210392221A1 (ko)
EP (1) EP3934213B1 (ko)
JP (1) JP7271699B2 (ko)
KR (1) KR102552874B1 (ko)
CN (1) CN109951582B (ko)
ES (1) ES2963689T3 (ko)
WO (1) WO202017339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951582B (zh) * 2019-02-28 2021-02-19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移动终端及声音输出控制方法
CN111225086B (zh) * 2019-11-29 2021-06-22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电子设备
CN211266908U (zh) * 2020-01-21 2020-08-14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电子设备
CN216904953U (zh) * 2021-12-29 2022-07-05 瑞声光电科技(常州)有限公司 电子终端
CN114173002A (zh) * 2022-02-09 2022-03-11 荣耀终端有限公司 通话音量设置方法及电子设备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100194A (ko) * 2008-03-19 2009-09-23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및 그 제어방법
US20140308910A1 (en) * 2013-04-16 2014-10-16 Chiun Mai Communication Systems, Inc. Receiver control circuit and portable electronic device employing same
KR20150082032A (ko) * 2014-01-07 2015-07-15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의 제어 방법
CN108804071A (zh) * 2018-05-29 2018-11-13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受话器驱动方法及移动终端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279260A (ja) 2005-03-28 2006-10-12 Nec Saitama Ltd 携帯端末
CN101453846A (zh) * 2007-12-03 2009-06-10 深圳富泰宏精密工业有限公司 外壳及具有该外壳的便携式电子装置
US8918146B2 (en) * 2010-05-10 2014-12-23 Microsoft Corporation Automatic gain control based on detected pressure
CN201893826U (zh) * 2010-12-17 2011-07-06 英华达(南京)科技有限公司 一种双面接听手机
US20130260839A1 (en) * 2012-03-30 2013-10-03 Research In Motion Limited Apparatus, and associated method, for controlling volumetric output level of a handset receiver
CN104113614A (zh) * 2013-04-16 2014-10-22 深圳富泰宏精密工业有限公司 受话器控制电路及具有该控制电路的便携式电子装置
CN104717351B (zh) * 2013-12-16 2019-03-15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终端音频通道处理方法、装置及终端
US20150205400A1 (en) 2014-01-21 2015-07-23 Microsoft Corporation Grip Detection
CN106131759A (zh) * 2016-08-31 2016-11-16 苏州倍声声学技术有限公司 动铁双单元受话器
CN106973170B (zh) * 2017-06-02 2020-06-30 青岛海信移动通信技术股份有限公司 移动终端及其听筒控制方法
CN108965522B (zh) * 2018-07-10 2020-10-16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受话器模组及终端设备
CN109121047B (zh) * 2018-08-16 2021-03-26 努比亚技术有限公司 双屏终端立体声实现方法、终端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CN109195082A (zh) * 2018-09-12 2019-01-11 歌尔股份有限公司 电子终端
CN109951582B (zh) * 2019-02-28 2021-02-19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移动终端及声音输出控制方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100194A (ko) * 2008-03-19 2009-09-23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및 그 제어방법
US20140308910A1 (en) * 2013-04-16 2014-10-16 Chiun Mai Communication Systems, Inc. Receiver control circuit and portable electronic device employing same
KR20150082032A (ko) * 2014-01-07 2015-07-15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의 제어 방법
CN108804071A (zh) * 2018-05-29 2018-11-13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受话器驱动方法及移动终端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934213A1 (en) 2022-01-05
JP7271699B2 (ja) 2023-05-11
KR102552874B1 (ko) 2023-07-06
JP2022522208A (ja) 2022-04-14
WO2020173396A1 (zh) 2020-09-03
CN109951582B (zh) 2021-02-19
CN109951582A (zh) 2019-06-28
ES2963689T3 (es) 2024-04-01
EP3934213A4 (en) 2022-04-20
EP3934213B1 (en) 2023-10-04
US20210392221A1 (en) 2021-12-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552874B1 (ko) 이동 단말 및 사운드 출력 제어 방법
JP7301956B2 (ja) 情報処理方法および端末
WO2021204045A1 (zh) 音频的控制方法及电子设备
CN110730260B (zh) 电子设备的控制方法及电子设备
WO2019154182A1 (zh) 应用程序的音量设置方法及移动终端
CN109327672B (zh) 一种视频通话方法及终端
WO2020134811A1 (zh) 按键控制方法及终端
CN111432071B (zh) 通话控制方法及电子设备
CN108196815B (zh) 一种通话声音的调节方法和移动终端
CN110166610A (zh) 一种移动终端及出音口的切换方法
CN110891217B (zh) 一种耳机、耳机控制方法及电子设备
WO2021197311A1 (zh) 音量调节显示方法及电子设备
WO2020025034A1 (zh) 一种可穿戴设备主从切换方法及相关产品
WO2021129835A1 (zh) 音量控制方法、设备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CN111078186A (zh) 一种播放方法及电子设备
US20220174146A1 (en) Incoming call processing method and electronic device
CN110460717B (zh) 终端控制方法和移动终端
EP4138375A1 (en) Audio output mode switching method and electronic device
CN110673761B (zh) 一种触摸按键的检测方法及其终端设备
KR20220166853A (ko) 디스플레이 방법 및 전자기기
CN108804071B (zh) 一种受话器驱动方法及移动终端
CN109309741B (zh) 终端及其控制方法
CN108900942B (zh) 一种播放控制方法及电子设备
CN109361792B (zh) 一种移动终端、控制方法及装置
CN109788142B (zh) 一种通话处理方法及移动终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