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66853A - 디스플레이 방법 및 전자기기 - Google Patents

디스플레이 방법 및 전자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66853A
KR20220166853A KR1020227039259A KR20227039259A KR20220166853A KR 20220166853 A KR20220166853 A KR 20220166853A KR 1020227039259 A KR1020227039259 A KR 1020227039259A KR 20227039259 A KR20227039259 A KR 20227039259A KR 20220166853 A KR20220166853 A KR 2022016685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rea
display screen
edge
electronic device
camera modu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70392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펑 첸
Original Assignee
비보 모바일 커뮤니케이션 컴퍼니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비보 모바일 커뮤니케이션 컴퍼니 리미티드 filed Critical 비보 모바일 커뮤니케이션 컴퍼니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2201668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6685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3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by using electronic viewfinders
    • H04N23/631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image capture or setting capture parameters
    • H04N23/632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image capture or setting capture parameters for displaying or modifying preview images prior to image capturing, e.g. variety of image resolutions or capturing parameters
    • H04N5/2257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9/00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 G06F9/06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using stored programs, i.e. using an internal store of processing equipment to receive or retain programs
    • G06F9/44Arrangements for executing specific programs
    • G06F9/451Execution arrangements for user interfa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37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37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 G06F1/1641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the display being formed by a plurality of foldable display compon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56Details related to functional adaptations of the enclosure, e.g. to provide protection against EMI, shock, water, or to host detachable peripherals like a mouse or removable expansions units like PCMCIA cards, or to provide access to internal components for maintenance or to removable storage supports like CDs or DVDs, or to mechanically mount accessori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84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related to integrated I/O peripherals not covered by groups G06F1/1635 - G06F1/1675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84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related to integrated I/O peripherals not covered by groups G06F1/1635 - G06F1/1675
    • G06F1/168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related to integrated I/O peripherals not covered by groups G06F1/1635 - G06F1/1675 the I/O peripheral being an integrated camera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6Control or interface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digitis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4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06F3/04886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by partitioning the display area of the touch-screen or the surface of the digitising tablet into independently controllable areas, e.g. virtual keyboards or menu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7Mechanical or electrical details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specially adapted for being embedded in other de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222Studio circuitry; Studio devices; Studio equipment
    • H04N5/262Studio circuits, e.g. for mixing, switching-over, change of character of image, other special effects ; Cameras specially adapted for the electronic generation of special effects
    • H04N5/2628Alteration of picture size, shape, position or orientation, e.g. zooming, rotation, rolling, perspective, transl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4Systems for two-way working
    • H04N7/141Systems for two-way working between two video terminals, e.g. videophone
    • H04N7/142Constructional details of the terminal equipment, e.g. arrangements of the camera and the display
    • H04N7/144Constructional details of the terminal equipment, e.g. arrangements of the camera and the display camera and display on the same optical axis, e.g. optically multiplexing the camera and display for eye to eye contac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4Systems for two-way working
    • H04N7/141Systems for two-way working between two video terminals, e.g. videophone
    • H04N7/147Communication arrangements, e.g. identifying the communication as a video-communication, intermediate storage of the signal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8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8
    • G06F2203/04803Split screen, i.e. subdividing the display area or the window area into separate subarea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0Constructional details
    • H04N23/53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onic viewfinders, e.g. rotatable or detachable

Abstract

디스플레이 방법 및 전자기기(600)에 있어서, 상기 전자기기(600)는, 본체 및 상기 본체에 탈착 가능하게 연결된 카메라 모듈(30)을 포함하고, 상기 본체에는 디스플레이 스크린(31)이 설치되며; 상기 방법은, 상기 카메라 모듈(30)이 상기 디스플레이 스크린(31)의 제1 영역에 합착되는 경우, 상기 카메라 모듈(30)을 통해 이미지 정보를 수집하는 단계; 상기 디스플레이 스크린(31)의 제2 영역에 상기 이미지 정보를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여기서, 상기 제2 영역은 상기 디스플레이 스크린(31)에서 상기 제1 영역을 제외한 영역이다.

Description

디스플레이 방법 및 전자기기
본 발명의 실시예는 통신 기술분야에 관한 것으로, 특히 디스플레이 방법 및 전자기기에 관한 것이다.
관련 출원의 교차 인용
본 출원은 2020년 4월 10일에 중국에서 출원된 중국특허출원 No. 202010280290.5의 우선권을 주장하고, 그 전체 내용은 인용을 통해 여기에 포함된다.
전자기기의 발전으로, 전자기기의 기능은 점점 더 풍부해지고 있고, 예를 들어 전자기기에는 카메라 모듈 및 디스플레이 스크린이 설치되며, 카메라 모듈은 이미지 정보를 수집할 수 있고, 전자기기는 디스플레이 스크린을 통해 카메라 모듈에 의해 수집된 이미지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현재, 이미지 정보를 표시하기 위한 디스플레이 스크린의 디스플레이 영역은 고정된다. 이 경우, 물체가 이미지 정보를 표시하기 위한 디스플레이 영역과 접촉하면, 사용자는 완전한 이미지 정보를 볼 수 없어, 이미지 정보의 디스플레이 효과가 좋지 않게 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선행기술에서 이미지 정보를 표시하기 위한 디스플레이 스크린의 디스플레이 영역이 고정되고, 물체가 상기 디스플레이 영역을 가리면 사용자는 완전한 이미지 정보를 볼 수 없어, 이미지 정보의 디스플레이 효과가 좋지 않은 문제를 해결하는 디스플레이 방법 및 전자기기를 제공한다.
상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이 구현된다.
제1양태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는 본체 및 상기 본체에 탈착 가능하게 연결된 카메라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본체에는 디스플레이 스크린이 설치되는 전자기기에 적용되는 디스플레이 방법을 제공하며; 상기 방법은,
상기 카메라 모듈이 상기 디스플레이 스크린의 제1 영역에 합착되는 경우, 상기 카메라 모듈을 통해 이미지 정보를 수집하는 단계;
상기 디스플레이 스크린의 제2 영역에 상기 이미지 정보를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여기서, 상기 제2 영역은 상기 디스플레이 스크린에서 상기 제1 영역을 제외한 영역이다.
제2양태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는, 본체 및 상기 본체에 탈착 가능하게 연결된 카메라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본체에는 디스플레이 스크린이 설치되는 전자기기를 더 제공하며; 상기 전자기기는,
상기 카메라 모듈이 상기 디스플레이 스크린의 제1 영역에 합착되는 경우, 상기 카메라 모듈을 통해 이미지 정보를 수집하기 위한 수집 모듈;
상기 디스플레이 스크린의 제2 영역에 상기 이미지 정보를 표시하기 위한 제1 디스플레이 모듈을 포함하되;
여기서, 상기 제2 영역은 상기 디스플레이 스크린에서 상기 제1 영역을 제외한 영역이다.
제3양태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는, 프로세서, 메모리 및 상기 메모리에 저장되고 상기 프로세서에서 실행 가능한 프로그램을 포함하며, 상기 프로그램이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면 상술한 디스플레이 방법의 단계가 구현되는 전자기기를 더 제공한다.
제4양태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는,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면 상술한 전자기기에 적용되는 디스플레이 방법의 단계가 구현되는 컴퓨터 프로그램이 저장되어 있는 컴퓨터 판독 가능한 저장매체를 더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전자기기는, 본체 및 상기 본체에 탈착 가능하게 연결된 카메라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본체에는 디스플레이 스크린이 설치된다. 상기 카메라 모듈이 상기 디스플레이 스크린의 제1 영역에 합착되는 경우, 전자기기는 상기 카메라 모듈을 통해 이미지 정보를 수집하고, 상기 디스플레이 스크린의 제2 영역에 상기 이미지 정보를 표시하되; 여기서, 상기 제2 영역은 상기 디스플레이 스크린에서 상기 제1 영역을 제외한 영역이다. 이 경우, 카메라 모듈이 디스플레이 스크린의 제1 영역을 가리더라도, 사용자는 여전히 제2 영역에서 완전한 이미지 정보를 볼 수 있음으로써, 이미지 정보의 디스플레이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기술적 해결수단을 보다 명확하게 하기 위하여,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의 설명에 필요한 첨부 도면을 간략하게 소개하고, 이하 설명의 첨부 도면은 단지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에 불과하며, 본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진보성 창출에 힘쓰지 않는 전제 하에서, 이러한 첨부 도면에 근거하여 다른 도면을 획득할 수도 있는 것은 자명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디스플레이 방법의 흐름도1이고;
도 2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카메라 모듈의 저면도이며;
도 2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카메라 모듈의 평면도이고;
도 2c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카메라 모듈의 측면도이며;
도 3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이미지 미리보기 인터페이스의 모식도1이고;
도 3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이미지 미리보기 인터페이스의 모식도2이며;
도 3c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이미지 미리보기 인터페이스의 모식도3이고;
도 3d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이미지 미리보기 인터페이스의 모식도4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디스플레이 방법의 흐름도2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전자기기의 구조도1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전자기기의 구조도2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의 첨부 도면에 결부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의 기술적 해결수단을 명확하고 완전하게 설명하며, 설명된 실시예는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에 불과하고, 전부 실시예가 아닌 것은 명백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기반하여, 본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진보성 창출에 힘쓰지 않는 전제 하에서 획득한 모든 다른 실시예는 모두 본 발명의 보호 범위에 속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용어 “제1”, “제2” 등은 유사한 대상을 구별하기 위한 것으로, 특정된 순서 또는 선후 순서를 설명하기 위한 것이 아니다. 이 외에, 용어 “포함” 및 “구비” 및 이들의 임의의 변형은 비배타적인 포함을 포괄하도록 의도되고, 예를 들어, 일련의 단계 또는 유닛을 포함하는 과정, 방법, 시스템, 제품 또는 기기는 명확하게 나열된 그러한 단계 또는 유닛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명시적으로 나열되지 않았거나 이러한 과정, 방법, 제품 또는 기기에 고유한 다른 단계 또는 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디스플레이 방법은 전자기기에 적용되고, 여기서, 상기 전자기기는 본체 및 상기 본체에 탈착 가능하게 연결된 카메라 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본체에는 디스플레이 스크린이 설치된다.
구체적인 구현에서, 상기 본체에는 상기 카메라 모듈을 수용하기 위한 수용홈이 설치될 수 있다. 사용자가 상기 카메라 모듈을 사용할 필요가 없으면, 상기 카메라 모듈을 상기 수용홈에 수용할 수 있고; 사용자가 상기 카메라 모듈을 사용해야 하면, 상기 수용홈으로부터 상기 카메라 모듈을 꺼내어 사용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카메라 모듈은 상기 본체에 고정될 수 있고, 예를 들어, 본체의 디스플레이 스크린에 고정되어, 전면 카메라 모듈로서 사용되거나, 상기 디스플레이 스크린에 대한 상기 본체의 다른 일면에 고정되어, 후방 카메라 모듈로서 사용될 수 있다. 전자기기의 디스플레이 스크린은 사용자가 카메라 모듈에 의해 수집된 이미지 정보를 열람하도록 카메라 모듈에 의해 수집된 이미지 정보를 표시하기 위한 것일 수 있다.
실제 응용에서, 전자기기는 휴대폰, 태블릿 컴퓨터(Tablet Personal Computer), 랩톱 컴퓨터(Laptop Computer), 개인 휴대 정보 단말기(Personal Digital Assistant, PDA), 모바일 인터넷 장치(Mobile Internet Device, MID), 웨어러블 기기(Wearable Device) 또는 차량 탑재 기기 등일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의 디스플레이 방법을 설명한다.
도 1을 참조하면, 도 1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디스플레이 방법의 흐름도1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방법은 이하의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단계 101: 상기 카메라 모듈이 상기 디스플레이 스크린의 제1 영역에 합착되는 경우, 상기 카메라 모듈을 통해 이미지 정보를 수집한다.
구체적인 구현에서, 카메라 모듈은 접착 또는 흡착 등 방식을 통해 상기 제1 영역에 합착될 수 있고, 본 실시예는 카메라 모듈이 상기 제1 영역에 합착되는 방식을 한정하지 않는다. 이 밖에, 카메라 모듈은 제1 영역에 합착되기 전에, 합착될 때 또는 합착된 후에 이미지 정보 수집을 시작할 수 있다.
단계 102: 상기 디스플레이 스크린의 제2 영역에 상기 이미지 정보를 표시하되; 여기서, 상기 제2 영역은 상기 디스플레이 스크린에서 상기 제1 영역을 제외한 영역이다.
구체적인 구현에서, 상기 제2 영역은 상기 디스플레이 스크린에서 상기 제1 영역을 제외한 부분 영역 또는 전부 영역을 포함할 수 있고, 구체적인 설명은 다음과 같다.
상기 카메라 모듈이 상기 디스플레이 스크린의 제1 영역에 합착되기 전에, 전자기기가 디스플레이 스크린의 목표 영역을 통해 상기 이미지 정보를 표시하는 것으로 가정한다. 상기 목표 영역은 상기 디스플레이 스크린의 일부 디스플레이 영역 또는 전부 디스플레이 영역일 수 있음을 유의해야 한다.
경우1: 상기 목표 영역은 상기 디스플레이 스크린의 전부 디스플레이 영역이다.
경우1에서, 상기 카메라 모듈이 상기 디스플레이 스크린의 제1 영역에 합착되기 전에, 상기 디스플레이 스크린은 상기 목표 영역만을 포함하고, 상기 디스플레이 스크린은 상기 이미지 정보를 전체 스크린으로 표시한다.
이 경우, 상기 카메라 모듈이 상기 제1 영역에 합착되면, 상기 제1 영역은 상기 목표 영역에 위치한다. 따라서, 상기 제2 영역은 상기 디스플레이 스크린에서 상기 제1 영역을 제외한 일부 또는 전부 디스플레이 영역일 수 있다.
예시적으로, 상기 카메라 모듈이 상기 디스플레이 스크린의 제1 영역에 합착되기 전에, 전자기기가 디스플레이 스크린을 통해 상기 이미지 정보를 전체 스크린으로 표시한다고 가정하면, 상기 카메라 모듈이 상기 디스플레이 스크린의 제1 영역에 합착되는 경우, 상기 이미지 정보는 상기 디스플레이 스크린에서 상기 제1 영역을 제외한 일부 또는 전부 디스플레이 영역에 의해 표시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카메라 모듈이 상기 제1 영역에 합착되는 경우, 전자기기는 상기 이미지 정보의 디스플레이 영역을 원활하게 조정하여, 사용자가 완전한 이미지 정보를 볼 수 있도록 보장할 수 있음으로써, 이미지 정보의 디스플레이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다.
경우2: 상기 목표 영역은 상기 디스플레이 스크린의 일부 디스플레이 영역이다.
선택적으로, 상기 카메라 모듈이 상기 디스플레이 스크린의 제1 영역에 합착되기 전에, 전자기기의 디스플레이 스크린은 상기 목표 영역 및 제3 영역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제3 영역은 설정 컨트롤, 촬영 컨트롤 등과 같은 기능 컨트롤을 표시하기 위한 것일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카메라 모듈이 상기 제1 영역에 합착되면, 상기 제1 영역은 상기 목표 영역과 중첩될 수 있거나, 중첩되지 않을 수 있다. 실제 응용에서, 상기 제1 영역이 상기 목표 영역의 일부 또는 전부 영역을 포함하는 경우, 상기 제1 영역이 상기 목표 영역과 중첩되는 것으로 간주할 수 있고; 상기 제1 영역이 상기 목표 영역을 포함하지 않는 경우, 상기 제1 영역이 상기 목표 영역과 중첩되지 않는 것으로 간주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상기 목표 영역이 상기 제1 영역과 중첩되는 경우, 상기 제2 영역은 상기 목표 영역에서 상기 제1 영역을 제외한 부분 영역 또는 전부 영역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목표 영역이 상기 제1 영역과 중첩되지 않는 경우, 상기 제2 영역은 상기 목표 영역의 부분 영역 또는 전부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카메라 모듈이 상기 제1 영역에 합착되는 경우, 전자기기는 상기 이미지 정보의 디스플레이 영역을 원활하게 조정하여, 사용자가 완전한 이미지 정보를 볼 수 있도록 보장할 수 있음으로써, 이미지 정보의 디스플레이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이 경우, 상기 제1 영역은 상기 제3 영역과 중첩될 수 있거나, 중첩되지 않을 수 있다. 선택적으로, 상기 제1 영역이 제3 영역과 중첩이 있는 경우, 즉 상기 제1 영역이 상기 제3 영역의 부분 영역 또는 전부 영역을 포함하는 경우, 상기 방법은, 상기 디스플레이 스크린의 제4 영역에 상기 기능 컨트롤을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되; 여기서, 상기 제4 영역은 상기 디스플레이 스크린에서 상기 제1 영역과 상기 제2 영역을 제외한 영역이다. 상기 제1 영역이 상기 제3 영역과 중첩되지 않는 경우, 상기 제4 영역은 상기 제3 영역일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카메라 모듈이 상기 제1 영역에 합착되는 경우, 전자기기는 또한 제1 영역과 제3 영역이 중첩될 때 상기 기능 컨트롤의 디스플레이 영역을 추가로 조정하여, 디스플레이 스크린에서 카메라 모듈과 합착되는 영역, 상기 이미지 정보를 표시하는 영역 및 상기 기능 컨트롤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영역이 독립적이도록 한다. 한편으로, 사용자가 디스플레이 스크린에 합착된 카메라 모듈의 영향을 받지 않고, 완전한 이미지 정보를 볼 수 있도록 보장함으로써, 이미지 정보의 디스플레이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으며; 다른 한편으로, 사용자가 디스플레이 스크린에 합착된 카메라 모듈의 영향을 받지 않고, 완전한 기능 컨트롤을 볼 수 있도록 보장함으로써, 이미지 정보의 작동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다.
이해의 편의를 위해, 예시적인 설명은 다음과 같다.
상기 카메라 모듈이 상기 디스플레이 스크린의 제1 영역에 합착되기 전에, 전자기기가 디스플레이 스크린의 영역(a)을 통해 상기 이미지 정보를 표시하고, 디스플레이 스크린의 영역(b)을 통해 상기 기능 컨트롤을 표시하는 것으로 가정한다. 즉 목표 영역은 영역(a)이고, 제3 영역은 영역(b)이다.
상기 제1 영역이 영역(a)에 위치하고, 영역(a)의 면적이 상기 제1 영역의 면적보다 크면, 다시 말해서, 카메라 모듈이 영역(a)의 부분 영역에 합착되면, 상기 이미지 정보는 영역(a)에서 상기 제1 영역을 제외한 영역에 의해 표시되도록 업데이트될 수 있으며, 상기 기능 컨트롤의 디스플레이 영역은 변경되지 않고, 여전히 영역(b)에 표시된다. 이 경우, 상기 제2 영역은 영역(a)에서 상기 제1 영역을 제외한 전부 영역이고, 상기 제4 영역은 영역(b)임을 알 수 있다.
상기 제1 영역의 부분 영역이 영역(a)에 위치하고, 다른 부분 영역이 영역(b)에 위치하면, 상기 이미지 정보는 영역(a)에서 상기 제1 영역을 제외한 영역에 의해 표시되도록 업데이트될 수 있으며, 상기 기능 컨트롤은 영역(b)에서 상기 제1 영역을 제외한 영역에 의해 표시되도록 업데이트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2 영역은 영역(a)에서 상기 제1 영역을 제외한 영역이고, 상기 제4 영역은 영역(b)에서 상기 제1 영역을 제외한 영역임을 알 수 있다.
상기 제1 영역이 영역(b)에 위치한다고 가정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이미지 정보는 영역(a)의 제1 부분 영역에 의해 표시되도록 업데이트될 수 있고, 상기 기능 컨트롤은 영역(a)의 제2 부분 영역에 의해 표시되도록 업데이트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2 영역은 영역(a)의 제1 부분 영역이고, 상기 제4 영역은 영역(a)의 제2 부분 영역임을 알 수 있다.
본 실시예의 디스플레이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전자기기는, 본체 및 상기 본체에 탈착 가능하게 연결된 카메라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본체에는 디스플레이 스크린이 설치된다. 상기 카메라 모듈이 상기 디스플레이 스크린의 제1 영역에 합착되는 경우, 전자기기는 상기 카메라 모듈을 통해 이미지 정보를 수집하고, 상기 디스플레이 스크린의 제2 영역에 상기 이미지 정보를 표시하되; 여기서, 상기 제2 영역은 상기 디스플레이 스크린에서 상기 제1 영역을 제외한 영역이다. 이와 같이, 카메라 모듈이 디스플레이 스크린의 제1 영역을 가리더라도, 사용자는 여전히 제2 영역에서 완전한 이미지 정보를 볼 수 있음으로써, 이미지 정보의 디스플레이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선택적으로, 상기 카메라 모듈에는 연결 접점이 설치되고, 상기 카메라 모듈은 상기 연결 접점을 통해 상기 제1 영역에 합착되며; 상기 본체에는 검출 모듈이 설치되고;
상기 디스플레이 스크린의 제2 영역에 상기 이미지 정보를 표시하는 상기 단계 이전에, 상기 방법은,
상기 검출 모듈을 통해 상기 연결 접점을 검출하여, 상기 제1 영역을 결정하는 단계;
상기 제1 영역에 근거하여, 상기 제2 영역을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1. 이하 상기 제1 영역의 결정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카메라 모듈이 상기 디스플레이 스크린에 합착되는 제1 단부면에는 N개의 상기 연결 접점이 설치되고, N은 양의 정수이며;
상기 검출 모듈을 통해 상기 연결 접점을 검출하여, 상기 제1 영역을 결정하는 상기 단계는,
상기 검출 모듈을 통해 상기 디스플레이 스크린의 제1 좌표점을 검출하고, 상기 제1 좌표점은 상기 연결 접점과 상기 디스플레이 스크린에 합착된 위치에 대응되는 좌표점인 단계;
검출된 상기 제1 좌표점의 개수가 N이고, N개의 상기 제1 좌표점으로 구성된 제1 패턴이 N개의 상기 연결 접점으로 구성된 제2 패턴과 일치하는 경우, N개의 상기 제1 좌표점에 근거하여, 상기 제1 단부면에 대응되는 상기 제1 영역을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구체적인 구현에서, 상기 검출 모듈이 상기 제1 좌표점에서의 검출 결과는 다른 좌표점에서의 검출 결과와 상이하므로, 전자기기는 검출 모듈을 통해 상기 제1 좌표점을 검출할 수 있다.
상이한 표현 형태의 연결 접점에 있어서, 상기 본체 내에 설치된 검출 모듈은 상이할 수 있고, 검출 모듈이 상기 제1 좌표점을 검출하는 방식은 상이할 수 있음을 이해해야 하며, 구체적인 설명은 다음과 같다.
실시형태1. 상기 연결 접점은 금속 접점이고, 상기 검출 모듈은 정전 용량 검출 모듈이며;
상기 카메라 모듈이 상기 연결 접점을 통해 상기 제1 영역에 합착되는 경우, 상기 본체는 상기 정전 용량 검출 모듈을 통해 상기 디스플레이 스크린의 복수개의 영역의 정전 용량값을 검출하고, 상기 정전 용량값에 근거하여 상기 제1 좌표점을 결정한다.
실시형태1에서, 상기 카메라 모듈의 제1 단부면이 상기 디스플레이 스크린에 합착되는 경우, 디스플레이 스크린에서 상기 N개의 금속 접점과 접촉하는 위치의 정전 용량값은 변경될 수 있다. 따라서, 전자기기는 정전 용량 검출 모듈에 의해 검출된 정전 용량값이 변경되는 좌표점을 상기 제1 좌표점으로 결정할 수 있다.
실시형태1에서, 상기 카메라 모듈의 적어도 하나의 카메라는 상기 카메라 모듈에서 상기 제1 단부면을 제외한 적어도 하나의 단부면에 설치될 수 있다. 이 밖에, 선택적으로, 상기 카메라 모듈에서 상기 제1 단부면을 제외한 적어도 하나의 단부면에는 금속 전도성 부재가 설치될 수 있고, 상기 금속 전도성 부재는 상기 N개의 금속 접점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N개의 금속 접점을 접지시키기 위한 것이다. 이와 같이, 상기 카메라 모듈의 제1 단부면이 상기 디스플레이 스크린에 합착되고, 사용자의 손가락이 상기 금속 전도성 부재를 접촉할 경우, 금속 접점은 금속 전도성 부재를 통해 인체와 접지될 수 있음으로써, 디스플레이 스크린에서 상기 N개의 금속 접점과 접촉하는 위치의 정전 용량이 변경될 수 있다.
예시적으로, 상기 카메라 모듈의 제1 단부면에는 N개의 금속 접점이 설치되고, 상기 제1 단부면과 대향되는 상기 카메라 모듈의 제2 단부면에는 적어도 하나의 카메라가 설치되며, 상기 카메라 모듈의 측면에는 금속 전도성 링이 설치된다. 이해의 편의를 위해, 도 2a 내지 도 2c를 함께 참조하고, 도 2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카메라 모듈의 저면도이며; 도 2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카메라 모듈의 평면도이며; 도 2b에 도시된 단부면은 상기 카메라 모듈의 제2 단부면이다.
도 2a에 도시된 단부면은 상기 카메라 모듈의 제1 단부면이고, 도 2a에서, 상기 제1 단부면에는 4개의 금속 접점(21)에 설치되며, 상기 4개의 금속 접점으로 구성된 도형은 정사각형이다. 도 2b에 도시된 단부면은 상기 카메라 모듈의 제2 단부면이고, 도 2b에서, 상기 제2 단부면에는 4개의 카메라(22)가 설치되며, 상기 4개의 카메라로 구성된 도형은 정사각형이다. 도 2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카메라 모듈의 측면에는 금속 전도성 링(23)이 설치된다.
도 2a의 금속 접점의 설정 개수 및 설정 위치는 예시일 뿐, 이로써 상기 제1 단부면에서 금속 접점의 설치를 제한하지 않음을 이해해야 한다. 도 2b의 카메라의 설정 개수 및 설정 위치는 예시일 뿐, 이로써 상기 제2 단부면에서 카메라의 설치를 제한하지 않음을 이해해야 한다.
실시형태2. 상기 연결 접점은 자기 접점이고, 상기 검출 모듈은 홀 센서이며;
상기 카메라 모듈이 상기 연결 접점을 통해 상기 제1 영역에 합착되는 경우, 상기 본체는 상기 홀 센서를 통해 상기 디스플레이 스크린의 복수개의 영역의 자기 유도 세기값을 검출하고, 상기 자기 유도 세기값에 근거하여 상기 제1 좌표점을 결정한다.
실시형태2에서, 상기 카메라 모듈의 제1 단부면이 상기 디스플레이 스크린에 합착되는 경우, 디스플레이 스크린에서 상기 N개의 자기 접점과 접촉하는 위치의 자기 유도 세기값은 변경될 수 있다. 따라서, 전자기기는 홀 센서에 의해 검출된 자기 유도 세기값이 변경되는 좌표점을 상기 제1 좌표점으로 결정할 수 있다.
실시형태3. 상기 연결 접점은 광학 접점이고, 상기 검출 모듈은 광학 센서이며;
상기 카메라 모듈이 상기 연결 접점을 통해 상기 제1 영역에 합착되는 경우, 상기 본체는 상기 광학 센서를 통해 상기 디스플레이 스크린의 복수개의 영역의 광도값을 검출하고, 상기 광도값에 근거하여 상기 제1 좌표점을 결정한다.
실시형태3에서, 상기 카메라 모듈의 제1 단부면이 상기 디스플레이 스크린에 합착되는 경우, 디스플레이 스크린에서 상기 N개의 광학 접점과 접촉하는 위치의 광도값은 변경될 수 있다. 따라서, 전자기기는 광학 센서에 의해 검출된 광도값이 변경되는 좌표점을 상기 제1 좌표점으로 결정할 수 있다.
상술한 실시형태는 단지 예시에 불과하고, 다른 실시형태에서, 상기 연결 접점 및 상기 검출 모듈은 다른 구현형태일 수 있음을 이해해야 한다.
전자기기가 적어도 하나의 상기 제1 좌표점을 검출한 후, 이하의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검출된 상기 제1 좌표점의 개수가 N인지 여부를 판정하고; 검출된 상기 제1 좌표점의 개수가 N이면, N개의 상기 제1 좌표점으로 구성된 제1 도형이 상기 N개의 금속 접점으로 구성된 제2 도형과 일치하는지 여부를 판정한다. 상기 제1 도형이 상기 제2 도형과 일치하면, N개의 상기 제1 좌표점에 근거하여, 상기 제1 영역을 결정한다.
구체적인 구현에서, 상기 제1 도형과 상기 제2 도형의 형상이 동일하고, 크기가 동일한 경우에만, 상기 제1 도형이 상기 제2 도형과 일치하다고 간주할 수 있고, 예를 들어, 상기 제1 도형과 상기 제2 도형이 모두 변의 길이가 2cm인 정사각형인 경우, 상기 제1 도형이 상기 제2 도형과 일치하는 것으로 간주할 수 있다. 그렇지 않으면, 상기 제1 도형이 상기 제2 도형과 일치하지 않는 것으로 간주한다.
검출된 상기 제1 좌표점의 개수가 N이고, N개의 상기 제1 좌표점으로 구성된 제1 도형이 상기 N개의 연결 접점으로 구성된 제2 도형과 일치하는 경우에만, 상기 카메라 모듈이 상기 디스플레이 스크린에 합착되는 것으로 간주할 수 있고, N개의 상기 제1 좌표점에 근거하여, 상기 제1 영역을 결정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제1 영역의 오인식률을 줄이고, 상기 제1 영역의 결정 정확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선택적으로, N개의 상기 제1 좌표점에 근거하여, 상기 제1 단부면에 대응되는 상기 제1 영역을 결정하는 상기 단계는,
상기 제1 단부면에서의 N개의 상기 제1 좌표점, 및 N개의 상기 연결 접점의 설정 위치에 근거하여, 상기 제1 단부면에 대응되는 상기 제1 영역을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여기서, 상기 제1 영역의 면적은 상기 제1 단부면의 면적보다 크거나 같다.
구체적인 구현에서, 전자기기는 상기 제1 영역의 위치 및 상기 제1 영역의 면적을 결정하여, 상기 제1 영역을 결정할 수 있다.
이하 상기 제1 영역의 위치의 결정에 대해 설명한다.
상기 제1 영역은 카메라 모듈이 상기 디스플레이 스크린에 합착되는 영역이고, N개의 상기 제1 좌표점은 상기 디스플레이 스크린에서 상기 카메라 모듈의 N개의 연결 접점과 접촉하는 위치에 대응되는 N개의 좌표점이다. 따라서, 상기 제1 영역은 상기 디스플레이 스크린에서 상기 N개의 상기 제1 좌표점에 대응되는 위치를 포함하는 것을 이해하기 어렵지 않다.
이하 상기 제1 영역의 면적의 결정에 대해 설명한다.
전자기기는 먼저 상기 제1 단부면에서 N개의 상기 연결 접점의 설정 위치에 근거하여, N개의 상기 연결 접점으로 구성된 제2 도형의 면적(S2)을 결정한 후, 상기 제2 도형의 면적(S2)과 상기 제1 단부면의 면적의 비율(K)을 얻는다.
전술한 내용으로부터 알 수 있다 시피, 상기 제1 도형과 상기 제2 도형의 형상이 동일하고, 크기가 동일하다는 것은, 상기 제1 도형과 상기 제2 도형의 면적이 동일한 것을 설명한다. 따라서, 전자기기는 상기 제1 영역의 면적(S≥S2/K)을 결정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제1 영역의 면적은 상기 카메라 모듈이 상기 디스플레이 스크린에서의 직교 투영의 면적 이상일 수 있다.
전자기기에 의해 최종적으로 결정된 상기 제1 영역의 형상은 카메라 모듈이 상기 디스플레이 스크린에서의 직교 투영의 형상과 동일하거나 상이할 수 있음을 유의해야 한다. 예를 들어, 전자기기에 의해 최종적으로 결정된 상기 제1 영역은 카메라 모듈이 상기 디스플레이 스크린에서의 직교 투영 영역과 중첩되거나, 전자기기에 의해 최종적으로 결정된 상기 제1 영역은 카메라 모듈이 상기 디스플레이 스크린에서의 직교 투영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영역의 면적은 상기 직교 투영 영역의 면적보다 크다.
2. 이하 상기 제2 영역의 결정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제1 영역에 근거하여, 상기 제2 영역을 결정하는 상기 단계는,
상기 제1 영역의 적어도 하나의 목표 포인트와 상기 디스플레이 스크린의 목표 가장자리 사이의 목표 거리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목표 거리에 근거하여, 상기 제2 영역을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여기서, 상기 목표 포인트는 상기 제1 영역의 가장자리 상의 포인트이고; 상기 목표 거리는, 상기 제1 영역에서 상기 제1 가장자리에 가장 가까운 포인트인 제1 목표 포인트와 상기 디스플레이 스크린의 제1 가장자리 사이의 제1 목표 거리; 상기 제1 영역에서 상기 제2 가장자리에 가장 가까운 포인트인 제2 목표 포인트와 상기 디스플레이 스크린의 제2 가장자리 사이의 제2 목표 거리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며; 상기 제2 가장자리는 상기 제1 가장자리에 인접한다.
나아가, 상기 목표 거리가 상기 제1 목표 거리 또는 상기 제2 목표 거리를 포함하는 경우, 상기 목표 거리에 근거하여, 상기 제2 영역을 결정하는 상기 단계는,
상기 목표 거리가 제1 임계값보다 큰 경우, 상기 제2 영역이 상기 제1 영역과 상기 목표 가장자리 사이에 위치하는 것을 결정하는 단계;
상기 목표 거리가 상기 제1 임계값보다 작거나 같은 경우, 상기 제2 영역이 상기 제1 영역과 제3 가장자리 사이에 위치하는 것을 결정하는 단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되;
여기서, 상기 제3 가장자리는 상기 디스플레이 스크린에서 상기 목표 가장자리와 대향되는 제4 가장자리이거나, 상기 디스플레이 스크린이 기능 컨트롤을 표시하는 제3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제3 영역의 가장자리가 상기 제4 가장자리를 포함하는 경우, 상기 제3 가장자리는 상기 제3 영역에서 상기 제4 가장자리와 대향되는 가장자리이다.
구체적인 구현에서, 상기 목표 거리와 상기 제1 임계값의 비교 결과는 상기 제1 영역이 상기 목표 가장자리에 더 가까운지 아니면 상기 제3 가장자리에 더 가까운지를 반영하기 위한 것일 수 있다.
선택적으로, 상기 목표 거리가 제1 임계값보다 큰 경우, 상기 제1 영역과 상기 목표 가장자리의 거리가 상기 제1 영역과 상기 제3 가장자리의 거리보다 크다는 것을 의미하므로, 전자기기는 상기 제1 영역과 상기 목표 가장자리 사이에 상기 이미지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상기 목표 거리가 상기 제1 임계값보다 작거나 같은 경우, 상기 제1 영역과 상기 목표 가장자리의 거리가 상기 제1 영역과 상기 제3 가장자리의 거리보다 작다는 것을 의미하므로, 전자기기는 상기 제1 영역과 상기 제3 가장자리 사이에 상기 이미지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사용자가 완전한 이미지 정보를 볼 수 있도록 보장하는 기초 상에서, 상기 이미지 정보의 디스플레이 영역을 최대화함으로써, 상기 이미지 정보의 디스플레이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다.
물론, 다른 실시형태에서, 상기 목표 거리와 상기 제1 임계값의 비교 결과는 상기 제1 영역이 상기 목표 가장자리에 더 가까운지 아니면 상기 제3 가장자리에 더 가까운지를 반영하기 위한 것이 아닐 수 있고, 상기 제1 임계값은 임의의 기설정된 임계값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1 영역과 상기 목표 가장자리의 거리가 상기 제1 영역과 상기 제3 가장자리의 거리보다 크더라도, 상기 목표 거리가 상기 제1 임계값 이하이면, 전자기기는 여전히 상기 제1 영역과 제3 가장자리 사이에 위치하는 상기 제2 영역에 상기 이미지 정보를 표시한다.
실제 응용에서, 상기 제2 영역이 상기 제1 영역과 상기 목표 가장자리에 위치하는 시나리오1에 있어서, 일부 실시형태에서, 상기 제2 영역은 상기 목표 가장자리에 가까운 상기 제1 영역의 가장자리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목표 가장자리를 포함할 수도 있으며; 다른 실시형태에서, 상기 제2 영역과 상기 목표 가장자리에 가까운 상기 제1 영역의 가장자리 사이에 간격이 존재할 수 있고, 및/또는 상기 제2 영역과 상기 목표 가장자리 사이에 간격이 존재할 수 있다. 유사하게, 상기 제2 영역이 상기 제1 영역과 상기 제3 가장자리에 위치하는 시나리오2에 있어서, 일부 실시형태에서, 상기 제2 영역은 상기 제3 가장자리에 가까운 상기 제1 영역의 가장자리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제3 가장자리를 포함할 수도 있으며; 다른 실시형태에서, 상기 제2 영역과 상기 제3 가장자리에 가까운 상기 제1 영역의 가장자리 사이에 간격이 존재할 수 있고, 및/또는 상기 제2 영역과 상기 제3 가장자리 사이에 간격이 존재할 수 있다.
이해의 편의를 위해, 도 3a 내지 도 3d를 참조한다. 도 3a 내지 도 3d에서, 카메라 모듈(30)은 디스플레이 스크린(31)에 수평으로 고정된다. 디스플레이 스크린(31)은 제1 단변(311) 및 제2 단변(312)를 포함하고, 이 밖에, 디스플레이 스크린(31)은 기능 컨트롤을 표시하는 제3 영역(313)을 포함하며, 제3 영역(313)은 제2 단변(312)을 포함하고, 제3 가장자리(314)는 제3 영역(313)에서 제2 단변(312)과 대향되는 하나의 가장자리이다. 디스플레이 스크린(31)의 제1 영역은 카메라 모듈(30)이 디스플레이 스크린에서의 직교 투영 영역이다. 상기 제1 목표 거리 d1은 상기 카메라 모듈(30)의 상부 가장자리(301)에서의 임의의 포인트와 제1 단변(311) 사이의 거리이다.
도 3a 및 도 3b에서, d1은 모두 상기 제1 임계값보다 작으므로, 상기 이미지 정보의 디스플레이 영역, 즉 제2 영역(315)은 상기 제1 영역과 제3 가장자리(314) 사이에 위치한다.
도 3c에서, d1은 상기 제1 임계값보다 크므로, 상기 이미지 정보의 디스플레이 영역, 즉 제2 영역(315)은 상기 제1 영역과 제1 단변(311) 사이에 위치한다.
본 실시예에서, 선택적으로, 상기 제2 영역의 개수는 P이고, P는 양의 정수이며; P가 1보다 큰 경우,
P개의 상기 제2 영역은 하나의 상기 이미지 정보를 표시하고, 각각의 상기 제2 영역은 상기 이미지 정보의 일부 정보를 표시하거나;
P개의 상기 제2 영역 중 적어도 하나의 상기 제2 영역은 상기 이미지 정보를 표시한다.
구체적인 구현에서, 전자기기는 P개의 상기 제2 영역을 결정할 수 있고, P는 양의 정수이다.
P가 1보다 큰 경우, 즉 전자기기에 의해 결정된 상기 제2 영역의 개수가 1보다 큰 경우, 전자기기는 이하의 방식을 통해 P개의 상기 제2 영역에 상기 이미지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방식1에서, P개의 상기 제2 영역은 하나의 상기 이미지 정보를 표시하고, 각각의 상기 제2 영역은 상기 이미지 정보의 일부 정보를 표시한다.
본 방식에서, 상기 이미지 정보는 P개의 서브 이미지 정보로 분할되고, 각각의 서브 이미지 정보는 P개의 상기 제2 영역 중 하나의 상기 제2 영역에 의해 표시되며, P개의 상기 제2 영역에 각각 표시된 서브 이미지 정보를 카메라 모듈에 의해 수집된 완전한 이미지 정보로 결합시킨다.
예시적으로, 이미지 정보의 이미지가 a이고, 전자기기가 3개의 제2 영역을 결정했다고 가정하면, 전자기기는 이미지 a를 3개의 서브 이미지로 분할하며, 3개의 제2 영역 중 각각의 제2 영역에 서브 이미지를 표시할 수 있다.
각각의 상기 제2 영역에 표시된 서브 이미지 정보의 크기는 상기 제2 영역의 면적과 양의 관계가 있음을 이해해야 하고, 즉 제2 영역의 면적이 클수록, 표시되는 서브 이미지 정보의 크기도 크며, 반대인 경우 더 작다.
방식2에서, P개의 상기 제2 영역 중 적어도 하나의 상기 제2 영역은 상기 이미지 정보를 표시한다.
본 방식에서, 상기 이미지 정보가 표시되는 각각의 제2 영역에 표시되는 것은 카메라 모듈에 의해 수집된 완전한 이미지 정보일 수 있다. 그러나 상기 이미지 정보가 표시되는 제2 영역은 P개의 상기 제2 영역 중 일부 제2 영역 또는 전부 제2 영역일 수 있다. 상기 이미지 정보가 표시되는 제2 영역이 P개의 상기 제2 영역 중 일부 제2 영역일 경우, P개의 상기 제2 영역에서 상기 이미지 정보가 표시되지 않는 다른 제2 영역은 임의의 콘텐츠도 표시하지 않을 수 있고, 나아가, 전자기기는 임의의 콘텐츠도 표시하지 않는 상기 제2 영역이 꺼지도록 제어하여, 단말의 전기 소비량을 줄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미지 정보가 이미지 a이고, 전자기기가 3개의 제2 영역을 결정했다고 가정하면, 하나의 실시형태에서, 전자기기는 3개의 제2 영역 중 각각의 제2 영역에 각각 이미지 a를 표시하며; 다른 실시형태에서, 전자기기는 3개의 제2 영역 중 2개의 제2 영역에 각각 이미지 a를 표시하고, 다른 제2 영역은 임의의 콘텐츠도 표시하지 않을 수 있고, 나아가, 전자기기는 임의의 콘텐츠도 표시하지 않는 상기 제2 영역이 꺼지도록 제어하여, 단말의 전기 소비량을 줄일 수 있다.
상술한 실시형태는 예시에 불과하고, 방식2의 일부 실시형태에서, P개의 상기 제2 영역에서 적어도 두 개의 제2 영역을 통해 하나의 완전한 이미지 정보를 표시할 수 있고, 적어도 하나의 영역을 통해 하나의 완전한 이미지 정보를 각각 표시하는 것을 유의해야 한다.
본 실시예에서, 선택적으로, 상기 전자기기는 접이식 전자기기이고, 디스플레이 스크린은 제1 디스플레이 스크린 및 제2 디스플레이 스크린을 포함하며, 상기 디스플레이 스크린은 접힌 상태 및 전개 상태를 갖고;
상기 디스플레이 스크린이 상기 전개 상태에 있으며, 상기 제1 영역의 일부 또는 전부가 상기 제1 디스플레이 스크린에 위치하는 경우, 상기 제2 영역은 상기 제1 디스플레이 스크린 및 상기 제2 디스플레이 스크린 중 적어도 하나에 위치한다.
구체적인 설명은 다음과 같다.
1)상기 제1 영역의 제1 부분은 상기 제1 디스플레이 스크린에 위치하고, 상기 제1 영역의 제2 부분은 상기 제2 디스플레이 스크린에 위치한다.
이 경우, 상기 제2 영역은 이하의 적어도 하나의 구현형태를 포함할 수 있다.
구현형태1: 상기 제2 영역은 상기 제1 디스플레이 스크린에 위치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2 영역은 상기 제1 디스플레이 스크린에서 상기 제1 영역을 제외한 일부 또는 전부 영역일 수 있다.
구현형태2: 상기 제2 영역은 상기 제2 디스플레이 스크린에 위치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2 영역은 상기 제2 디스플레이 스크린에서 상기 제1 영역을 제외한 일부 또는 전부 영역일 수 있다.
구현형태3: 상기 제2 영역은 상기 제1 디스플레이 스크린 및 상기 제2 디스플레이 스크린에 위치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2 영역은 상기 제1 디스플레이 스크린 및 상기 제2 디스플레이 스크린에서 상기 제1 영역을 제외한 일부 또는 전부 영역일 수 있다.
나아가, 상기 제1 디스플레이 스크린 및 상기 제2 디스플레이 스크린은 각각 적어도 하나의 상기 제2 영역을 포함할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2)상기 제1 영역은 모두 상기 제1 디스플레이 스크린에 위치한다.
이 경우, 상기 제2 영역은 이하의 적어도 하나의 구현형태를 포함할 수 있다.
구현형태1: 상기 제1 디스플레이 스크린의 면적이 상기 제1 영역의 면적보다 큰 경우, 상기 제2 영역은 상기 제1 디스플레이 스크린에 위치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2 영역은 상기 제1 디스플레이 스크린에서 상기 제1 영역을 제외한 일부 또는 전부 영역일 수 있다.
구현형태2: 상기 제2 영역은 상기 제2 디스플레이 스크린에 위치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2 영역은 상기 제2 디스플레이 스크린의 일부 또는 전부 영역일 수 있다.
구현형태3: 상기 제1 디스플레이 스크린의 면적이 상기 제1 영역의 면적보다 큰 경우, 상기 제2 영역은 상기 제1 디스플레이 스크린 및 상기 제2 디스플레이 스크린에 위치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2 영역은 상기 제1 디스플레이 스크린 및 상기 제2 디스플레이 스크린에서 상기 제1 영역을 제외한 일부 또는 전부 영역일 수 있다.
나아가, 상기 제1 디스플레이 스크린 및 상기 제2 디스플레이 스크린은 각각 적어도 하나의 상기 제2 영역을 포함할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카메라 모듈 이외의 다른 물체가 디스플레이 스크린을 가리는 경우, 전자기기도 동일한 방식으로 이미지 정보의 디스플레이 영역을 조정하여, 상기 이미지 정보가 물체에 가려지지 않도록 함으로써, 이미지 정보의 디스플레이 효과를 보장할 수 있음을 유의해야 한다.
이 밖에,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소개된 다양한 선택적인 실시형태는 서로 충돌되지 않는 한 조합되어 구현될 수 있고, 독립적으로 구현될 수도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는 이에 대해 한정하지 않는다.
이해의 편의를 위해, 예시적인 설명은 다음과 같다.
하기 터치 스크린 및 스크린은 모두 디스플레이 스크린으로 대체될 수 있음을 이해해야 한다.
본 예시는 주로 사용자가 분리 가능한 카메라 모듈을 제거하고, 디스플레이 스크린에 접착하여 전면 카메라로서 셀카를 찍는 시나리오에 관한 것이고, 이 시나리오에서 큰 카메라 모듈은 스크린에서 디스플레이 영역의 가시 영역을 가려, 사용자 구성 및 작동에 영향을 미친다. 따라서, 본 예시는 사용자에 대한 이러한 오클루전의 영향을 해결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구체적으로, 이하의 수단을 통해 상술한 문제를 해결한다. 터치 스크린을 결합하여, 사용자가 카메라 모듈을 스크린에 접착할 때, 좌표 위치 결정을 수행하고; 위치 결정된 좌표에 기반하여, 가시 영역(즉 이미지 미리 보기 인터페이스)을 동적으로 변경하여, 카메라 모듈이 가시 영역을 가리지 않도록 하여, 사용자에게 100%의 가시 범위를 표시할 수 있다.
본 예시에서, 카메라 모듈은 도 2a 내지 도 2c를 참조할 수 있다. 분리식 카메라 모듈에서 터치 스크린의 포인트 보고를 트리거하는 설계는, 4개의 금속 접점이 있어, 사용자의 손과 접촉할 때 정전식 터치 스크린이 4개의 좌표점을 검출하도록 트리거할 수 있다. 저부의 4개의 금속 접점과 평면도의 금속 전도성 링 사이에는 금속 와이어가 연결되어 있다. 상기 분리식 카메라 모듈을 손에 잡을 경우, 손은 금속 전도성 링을 접촉할 수 있음으로써, 저부의 4개의 금속 접점이 스크린에 합착되는 순간 터치 스크린이 4개의 좌표점을 보고하도록 트리거할 수 있다.
4개의 금속 접점은 소프트웨어 인식을 위한 측면 길이가 N인 직사각형 방향으로 설계되고, 가시 영역에서 사용자의 정상적인 작동이 가시 영역의 동적 전환을 트리거하는 작동으로 잘못 인식되는 것을 방지한다.
터치 스크린은 4개의 직사각형 방향과 동일한 거리를 갖는 4개의 좌표점을 검출해야만이, 가시 영역의 동적 조정을 트리거할 수 있다.
도 3a 내지 도 3d는 각각 분리식 카메라 모듈이 스크린에 합착되어 전면 카메라 역할을 하는 경우의 몇 가지 일반적인 배치 방법이다. 그러나 실제로는, 카메라 모듈은 반드시 수평으로 배치되는 것이 아니고, 사용자가 원하는 각도로 배치할 수 있다. 전자기기는 상이한 배치 위치에 근거하여, 가시 영역의 위치 및 범위를 동적으로 조정할 수 있고, 구체적으로 다음과 같다.
사용자가 스크린에 합착하는 순간, 터치 스크린은 분리식 카메라 모듈의 저부의 4개의 금속 접점의 좌표를 검출할 수 있고;
카메라 애플리케이션은 검출된 좌표에 근거하여, 4개의 포인트인지 여부, 및 이 4개의 포인트가 측면 길이가 N인 직사각형 방향인지 여부를 판정하며, 만약 조건이 성립되면, 스크린에서의 상기 직사각형의 위치를 계산한 후, 상기 위치에 근거하여, 가시 영역을 동적으로 조정하여, 가시 영역이 카메라 모듈에 의해 가려지지 않도록 보장하고, 가시 영역이 모든 가능한 상황에서 가장 큰 범위를 획득하도록 보장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적용 판단 흐름도는 다음과 같다.
단계 401: 보고 포인트가 있는지 여부를 검출한다.
예이면, 단계(402)를 수행하고; 아니면 단계(401)를 다시 수행할 수 있다.
단계 402: 4개의 포인트가 있는지 여부를 검출한다.
예이면, 단계(403)를 수행하고; 아니면 단계(401)를 다시 수행할 수 있다.
단계 403: 4개의 포인트가 측면 길이가 N인 직사각형인지 여부를 검출한다.
예이면, 단계(404)를 수행하고; 아니면 단계(401)를 다시 수행할 수 있다.
단계 404: 직사각형 위치를 결정하고, 가시 영역을 직사각형 영역 외부로 동적으로 조정하고, 가시 영역이 가장 큰 범위를 획득하도록 보장한다.
본 예시에서, 분리 가능한 카메라 모듈에 기반하여, 스크린에 합착하여 전면 셀카 카메라로 사용하는 경우, 스크린에서의 카메라 모듈의 위치를 자동으로 검출할 수 있고, 사용된 위치 결정 방식은 간단하고 신뢰적이며 비용이 적고; 전자기기는 검출된 카메라 모듈의 위치에 근거하여, 가시 영역의 위치와 범위를 동적으로 조정할 수 있어, 가시 영역이 카메라 모듈에 의해 가려지지 않도록 함으로써, 사용자의 셀카 체험을 향상시킨다.
도 5를 참조하면,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전자기기의 구조도1이다. 전자기기(500)는 본체 및 상기 본체에 탈착 가능하게 연결된 카메라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본체에는 디스플레이 스크린이 설치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자기기(500)는,
상기 카메라 모듈이 상기 디스플레이 스크린의 제1 영역에 합착되는 경우, 상기 카메라 모듈을 통해 이미지 정보를 수집하기 위한 수집 모듈(501);
상기 디스플레이 스크린의 제2 영역에 상기 이미지 정보를 표시하기 위한 제1 디스플레이 모듈(502)을 포함하되;
여기서, 상기 제2 영역은 상기 디스플레이 스크린에서 상기 제1 영역을 제외한 영역이다.
선택적으로, 상기 카메라 모듈에는 연결 접점이 설치되고, 상기 카메라 모듈은 상기 연결 접점을 통해 상기 제1 영역에 합착되며; 상기 본체에는 검출 모듈이 설치되고;
상기 전자기기(500)는,
상기 검출 모듈을 통해 상기 연결 접점을 검출하여, 상기 제1 영역을 결정하기 위한 제1 결정 모듈;
상기 제1 영역에 근거하여, 상기 제2 영역을 결정하기 위한 제2 결정 모듈을 더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카메라 모듈이 상기 디스플레이 스크린에 합착되는 제1 단부면에는 N개의 상기 연결 접점이 설치되고, N은 양의 정수이며;
상기 제1 결정 모듈은,
상기 검출 모듈을 통해 상기 디스플레이 스크린의 제1 좌표점을 검출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제1 좌표점은 상기 연결 접점과 상기 디스플레이 스크린에 합착된 위치에 대응되는 좌표점인 검출 유닛;
검출된 상기 제1 좌표점의 개수가 N이고, N개의 상기 제1 좌표점으로 구성된 제1 패턴이 N개의 상기 연결 접점으로 구성된 제2 패턴과 일치하는 경우, N개의 상기 제1 좌표점에 근거하여, 상기 제1 단부면에 대응되는 상기 제1 영역을 결정하기 위한 제1 결정 유닛을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검출 유닛은 구체적으로, 상기 제1 단부면에서의 N개의 상기 제1 좌표점, 및 N개의 상기 연결 접점의 설정 위치에 근거하여, 상기 제1 단부면에 대응되는 상기 제1 영역을 결정하기 위한 것이고;
여기서, 상기 제1 영역의 면적은 상기 제1 단부면의 면적보다 크거나 같다.
선택적으로, 상기 연결 접점은 금속 접점이고, 상기 검출 모듈은 정전 용량 검출 모듈이며;
상기 카메라 모듈이 상기 연결 접점을 통해 상기 제1 영역에 합착되는 경우, 상기 본체는 상기 정전 용량 검출 모듈을 통해 상기 디스플레이 스크린의 복수개의 영역의 정전 용량값을 검출하고, 상기 정전 용량값에 근거하여 상기 제1 좌표점을 결정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제2 결정 모듈은,
상기 제1 영역의 적어도 하나의 목표 포인트와 상기 디스플레이 스크린의 목표 가장자리 사이의 목표 거리를 획득하기 위한 획득 유닛;
상기 목표 거리에 근거하여, 상기 제2 영역을 결정하기 위한 제2 결정 유닛을 포함하되;
여기서, 상기 목표 포인트는 상기 제1 영역의 가장자리 상의 포인트이고; 상기 목표 거리는, 상기 제1 영역에서 상기 제1 가장자리에 가장 가까운 포인트인 제1 목표 포인트와 상기 디스플레이 스크린의 제1 가장자리 사이의 제1 목표 거리; 상기 제1 영역에서 상기 제2 가장자리에 가장 가까운 포인트인 제2 목표 포인트와 상기 디스플레이 스크린의 제2 가장자리 사이의 제2 목표 거리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며; 상기 제2 가장자리는 상기 제1 가장자리에 인접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목표 거리가 상기 제1 목표 거리 또는 상기 제2 목표 거리를 포함하는 경우, 상기 제2 결정 유닛은 구체적으로,
상기 목표 거리가 제1 임계값보다 큰 경우, 상기 제2 영역이 상기 제1 영역과 상기 목표 가장자리 사이에 위치하는 것을 결정하기 위한 것;
상기 목표 거리가 상기 제1 임계값보다 작거나 같은 경우, 상기 제2 영역이 상기 제1 영역과 제3 가장자리 사이에 위치하는 것을 결정하기 위한 것;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되;
여기서, 상기 제3 가장자리는 상기 디스플레이 스크린에서 상기 목표 가장자리와 대향되는 제4 가장자리이거나, 상기 디스플레이 스크린이 기능 컨트롤을 표시하는 제3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제3 영역의 가장자리가 상기 제4 가장자리를 포함하는 경우, 상기 제3 가장자리는 상기 제3 영역에서 상기 제4 가장자리와 대향되는 가장자리이다.
선택적으로, 상기 제2 영역의 개수는 P이고, P는 양의 정수이며; P가 1보다 큰 경우,
P개의 상기 제2 영역은 하나의 상기 이미지 정보를 표시하고, 각각의 상기 제2 영역은 상기 이미지 정보의 일부 정보를 표시하거나,
P개의 상기 제2 영역 중 적어도 하나의 상기 제2 영역은 상기 이미지 정보를 표시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전자기기는 접이식 전자기기이고, 디스플레이 스크린은 제1 디스플레이 스크린 및 제2 디스플레이 스크린을 포함하며, 상기 디스플레이 스크린은 접힌 상태 및 전개 상태를 갖고;
상기 디스플레이 스크린이 상기 전개 상태에 있으며, 상기 제1 영역의 일부 또는 전부가 상기 제1 디스플레이 스크린에 위치하는 경우, 상기 제2 영역은 상기 제1 디스플레이 스크린 및 상기 제2 디스플레이 스크린 중 적어도 하나에 위치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디스플레이 스크린이 기능 컨트롤을 표시하는 제3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영역이 상기 제3 영역의 부분 영역 또는 전부 영역을 포함하는 경우, 상기 전자기기(500)는,
상기 디스플레이 스크린의 제4 영역에 상기 기능 컨트롤을 표시하기 위한 제2 디스플레이 모듈을 더 포함하되;
여기서, 상기 제4 영역은 상기 디스플레이 스크린에서 상기 제1 영역과 상기 제2 영역을 제외한 영역이다.
전자기기(500)는 본 발명의 방법 실시예에서 전자기기에 의해 구현될 수 있는 각 과정을 구현하고, 동일한 유리한 효과를 달성할 수 있으며, 중복을 피하기 위해, 여기서 더 반복하지 않는다.
도 6을 참조하면,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전자기기의 구조도2이고, 상기 전자기기는 본 발명의 각 실시예를 구현하는 전자기기의 하드웨어 구조 모식도이다. 전자기기(600)는 본체 및 상기 본체에 탈착 가능하게 연결된 카메라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본체에는 디스플레이 스크린이 설치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자기기(600)는 무선 주파수 유닛(601), 네트워크 모듈(602), 오디오 출력 유닛(603), 입력 유닛(604), 센서(605), 디스플레이 유닛(606), 사용자 입력 유닛(607), 인터페이스 유닛(608), 메모리(609), 프로세서(610), 및 전원(611) 등 부재를 포함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도 6에 도시된 전자기기 구조가 전자기기에 대한 한정을 구성하지 않음을 이해할 수 있고, 전자기기는 도시된 것보다 더 많거나 더 적은 부재를 포함하거나, 일부 부재를 조합하거나, 상이한 부재 배치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전자기기는 휴대폰, 태블릿 컴퓨터, 노트북 컴퓨터, 팜탑 컴퓨터, 차량 탑재 전자기기, 웨어러블 기기, 만보기 등을 포함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여기서, 프로세서(610)는,
상기 카메라 모듈이 상기 디스플레이 스크린의 제1 영역에 합착되는 경우, 상기 카메라 모듈을 통해 이미지 정보를 수집하기 위한 것이고;
디스플레이 유닛(606)을 통해 상기 디스플레이 스크린의 제2 영역에 상기 이미지 정보를 표시하기 위한 것이며;
여기서, 상기 제2 영역은 상기 디스플레이 스크린에서 상기 제1 영역을 제외한 영역이다.
선택적으로, 상기 카메라 모듈에는 연결 접점이 설치되고, 상기 카메라 모듈은 상기 연결 접점을 통해 상기 제1 영역에 합착되며; 상기 본체에는 검출 모듈이 설치되고;
프로세서(610)는 또한,
상기 검출 모듈을 통해 상기 연결 접점을 검출하여, 상기 제1 영역을 결정하기 위한 것이고;
상기 제1 영역에 근거하여, 상기 제2 영역을 결정하기 위한 것이다.
선택적으로, 상기 카메라 모듈이 상기 디스플레이 스크린에 합착되는 제1 단부면에는 N개의 상기 연결 접점이 설치되고, N은 양의 정수이며;
프로세서(610)는 또한,
상기 검출 모듈을 통해 상기 디스플레이 스크린의 제1 좌표점을 검출하기 위한 것이고, 상기 제1 좌표점은 상기 연결 접점과 상기 디스플레이 스크린에 합착된 위치에 대응되는 좌표점이며;
검출된 상기 제1 좌표점의 개수가 N이고, N개의 상기 제1 좌표점으로 구성된 제1 패턴이 N개의 상기 연결 접점으로 구성된 제2 패턴과 일치하는 경우, N개의 상기 제1 좌표점에 근거하여, 상기 제1 단부면에 대응되는 상기 제1 영역을 결정하기 위한 것이다.
선택적으로, 프로세서(610)는 또한,
상기 제1 단부면에서의 N개의 상기 제1 좌표점, 및 N개의 상기 연결 접점의 설정 위치에 근거하여, 상기 제1 단부면에 대응되는 상기 제1 영역을 결정하기 위한 것이고;
여기서, 상기 제1 영역의 면적은 상기 제1 단부면의 면적보다 크거나 같다.
선택적으로, 상기 연결 접점은 금속 접점이고, 상기 검출 모듈은 정전 용량 검출 모듈이며;
상기 카메라 모듈이 상기 연결 접점을 통해 상기 제1 영역에 합착되는 경우, 상기 본체는 상기 정전 용량 검출 모듈을 통해 상기 디스플레이 스크린의 복수개의 영역의 정전 용량값을 검출하고, 상기 정전 용량값에 근거하여 상기 제1 좌표점을 결정한다.
선택적으로, 프로세서(610)는 또한,
상기 제1 영역의 적어도 하나의 목표 포인트와 상기 디스플레이 스크린의 목표 가장자리 사이의 목표 거리를 획득하기 위한 것이고;
상기 목표 거리에 근거하여, 상기 제2 영역을 결정하기 위한 것이며;
여기서, 상기 목표 포인트는 상기 제1 영역의 가장자리 상의 포인트이고; 상기 목표 거리는, 상기 제1 영역에서 상기 제1 가장자리에 가장 가까운 포인트인 제1 목표 포인트와 상기 디스플레이 스크린의 제1 가장자리 사이의 제1 목표 거리; 상기 제1 영역에서 상기 제2 가장자리에 가장 가까운 포인트인 제2 목표 포인트와 상기 디스플레이 스크린의 제2 가장자리 사이의 제2 목표 거리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며; 상기 제2 가장자리는 상기 제1 가장자리에 인접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목표 거리가 상기 제1 목표 거리 또는 상기 제2 목표 거리를 포함하는 경우, 프로세서(610)는 또한,
상기 목표 거리가 제1 임계값보다 큰 경우, 상기 제2 영역이 상기 제1 영역과 상기 목표 가장자리 사이에 위치하는 것을 결정하기 위한 것;
상기 목표 거리가 상기 제1 임계값보다 작거나 같은 경우, 상기 제2 영역이 상기 제1 영역과 제3 가장자리 사이에 위치하는 것을 결정하기 위한 것;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되;
여기서, 상기 제3 가장자리는 상기 디스플레이 스크린에서 상기 목표 가장자리와 대향되는 제4 가장자리이거나, 상기 디스플레이 스크린이 기능 컨트롤을 표시하는 제3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제3 영역의 가장자리가 상기 제4 가장자리를 포함하는 경우, 상기 제3 가장자리는 상기 제3 영역에서 상기 제4 가장자리와 대향되는 가장자리이다.
선택적으로, 상기 제2 영역의 개수는 P이고, P는 양의 정수이며; P가 1보다 큰 경우,
P개의 상기 제2 영역은 하나의 상기 이미지 정보를 표시하고, 각각의 상기 제2 영역은 상기 이미지 정보의 일부 정보를 표시하거나;
P개의 상기 제2 영역 중 적어도 하나의 상기 제2 영역은 상기 이미지 정보를 표시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전자기기는 접이식 전자기기이고, 디스플레이 스크린은 제1 디스플레이 스크린 및 제2 디스플레이 스크린을 포함하며, 상기 디스플레이 스크린은 접힌 상태 및 전개 상태를 갖고;
상기 디스플레이 스크린이 상기 전개 상태에 있으며, 상기 제1 영역의 일부 또는 전부가 상기 제1 디스플레이 스크린에 위치하는 경우, 상기 제2 영역은 상기 제1 디스플레이 스크린 및 상기 제2 디스플레이 스크린 중 적어도 하나에 위치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디스플레이 스크린이 기능 컨트롤을 표시하는 제3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영역이 상기 제3 영역의 부분 영역 또는 전부 영역을 포함하는 경우, 프로세서(610)는 또한,
디스플레이 유닛(606)을 통해 상기 디스플레이 스크린의 제4 영역에 상기 기능 컨트롤을 표시하기 위한 것이고;
여기서, 상기 제4 영역은 상기 디스플레이 스크린에서 상기 제1 영역과 상기 제2 영역을 제외한 영역이다.
본 실시예에서 상술한 전자기기(600)는 본 발명의 실시예의 방법 실시예의 각 과정을 구현하고, 동일한 유리한 효과를 달성할 수 있는 것을 유의해야 하며, 중복을 피하기 위해, 여기서 더 반복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무선 주파수 유닛(601)은 정보의 송수신 또는 통화 과정에서, 신호를 송수신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음을 이해해야 하고, 구체적으로, 기지국으로부터의 다운링크를 수신한 후, 프로세서(610)에 의해 처리되며; 이 밖에, 업링크 데이터를 기지국에 발송한다. 일반적으로, 무선 주파수 유닛(601)은 안테나, 적어도 하나의 증폭기, 트랜시버, 커플러, 저잡음 증폭기, 듀플렉서 등을 포함하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이 외에, 무선 주파수 유닛(601)은 또한 무선 통신 시스템을 통해 네트워크 및 다른 기기와 통신할 수 있다.
전자기기는 네트워크 모듈(602)을 통해 사용자가 이메일을 보내고 받으며, 웹 페이지를 찾아보고 스트리밍 미디어에 액세스하는 것을 돕는 것과 같이 사용자에게 무선 광대역 인터넷 액세스를 제공한다.
오디오 출력 유닛(603)은 무선 주파수 유닛(601) 또는 네트워크 모듈(602)에 의해 수신되거나 메모리(609)에 저장된 오디오 데이터를 오디오 신호로 변환시켜 소리로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오디오 출력 유닛(603)은 전자기기(600)에서 실행되는 특정 기능과 관련된 오디오 출력(예를 들어, 호신호 수신음, 메시지 수신음 등)을 제공할 수도 있다. 오디오 출력 유닛(603)은 스피커, 버저 및 리시버 등을 포함한다.
입력 유닛(604)은 오디오 또는 비디오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것이다. 입력 유닛(604)은 그래픽 처리 유닛(Graphics Processing Unit, GPU)(6041) 및 마이크(6042)를 포함할 수 있고, 그래픽 처리 유닛(6041)은 비디오 캡쳐 또는 이미지 캡쳐 모드에서 이미지 캡쳐 모드(예: 카메라)에 의해 획득된 정지 사진 또는 비디오의 이미지 데이터를 처리한다. 처리된 이미지 프레임은 디스플레이 유닛(606)에 표시될 수 있다. 그래픽 처리 유닛(6041)에 의해 처리된 이미지 프레임은 메모리(609)(또는 기타 저장매체)에 저장되거나 무선 주파수 유닛(601) 또는 네트워크 모듈(602)을 통해 발송될 수 있다. 마이크(6042)는 소리를 수신할 수 있고, 이러한 소리를 오디오 데이터로 처리할 수 있다. 처리된 오디오 데이터는 전화 통화 모드의 경우 무선 주파수 유닛(601)을 통해 이동 통신 기지국으로 발송할 수 있는 포맷 출력으로 변환될 수 있다.
전자기기(600)은 광 센서, 모션 센서 및 기타 센서와 같은 적어도 하나의 센서(605)포함한다. 구체적으로, 광 센서는 환경광 센서 및 근접 센서를 포함하고, 여기서, 환경광 센서는 환경 광선의 밝기에 따라 디스플레이 패널(6061)의 밝기를 조절할 수 있으며, 근접 센서는 전자기기(600)가 귀에 닿았을 경우, 디스플레이 패널(6061) 및/또는 백라이트를 끌 수 있다. 모션 센서의 일종으로, 가속도 센서는 각 방향의(일반적으로 3축) 가속도의 크기를 검출할 수 있고, 정지 시 중력의 크기 및 방향을 검출할 수 있으며, 전자기기의 자세 인식(예를 들어 수평 및 수직 디스플레이 스크린 전환, 관련 게임, 자력계 자세 보정), 관련 기능 진동 인식(예를 들어 보수계, 탭) 등에 사용될 수 있고; 센서(605)는 지문 센서, 압력 센서, 홍채 센서, 분자 센서, 자이로스코프, 기압계, 습도계, 온도계, 적외선 센서 등을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여기서 더 반복하지 않는다.
디스플레이 유닛(606)은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정보 또는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정보를 표시하기 위한 것이다. 디스플레이 유닛(606)은 디스플레이 패널(6061)을 포함할 수 있고, 디스플레이 패널(6061)은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LCD),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 OLED) 등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사용자 입력 유닛(607)은 입력된 숫자 또는 문자 정보를 수신하고, 전자기기의 사용자 설정 및 기능 제어와 관련된 키 신호 입력을 생성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사용자 입력 유닛(607)은 터치 패널(6071) 및 다른 입력 기기(6072)를 포함한다. 터치 패널(6071)은, 터치 디스플레이 스크린이라고도 지칭되고, 터치 디스플레이 스크린 상에 또는 근처에 있는 사용자의 터치 동작(예를 들어 손가락, 스타일러스 등 임의의 적절한 물체 또는 터치 패널(6071) 상에 또는 터치 패널(6071) 근처에 부가되는 사용자의 동작)을 수집할 수 있다. 터치 패널(6071)은 터치 검출 장치 및 터치 컨트롤러 두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터치 검출 장치는 사용자의 터치 방향을 검출하고, 터치 동작에 의해 발생하는 신호를 검출하여, 신호를 터치 컨트롤러에 전송하며; 터치 컨트롤러는 터치 검출 장치로부터 터치 정보를 수신하여, 접촉 좌표로 변환시키고, 다시 프로세서(610)에 전송하여, 프로세서(610)에 의해 전송된 명령을 수신하여 실행한다. 이 외에, 저항성, 정전 용량, 적외선 및 표면 탄성파 등 다양한 유형으로 터치 패널(6071)을 구현할 수 있다. 터치 패널(6071) 외에, 사용자 입력 유닛(607)은 다른 입력 기기(607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다른 입력 기기(6072)는 물리적 키보드, 기능 키(예를 들어 볼륨 제어 키, 스위치 키 등), 트랙볼, 마우스, 동작 스틱을 포함할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여기서 더 반복하지 않는다.
나아가, 터치 패널(6071)은 디스플레이 패널(6061) 상에 피복될 수 있고, 터치 패널(6071)이 그 위 또는 근처의 터치 동작을 검출하면, 프로세서(610)에 전송하여 터치 이벤트의 유형을 결정한 후, 프로세서(610)는 터치 이벤트의 유형에 따라 디스플레이 패널(6061) 상에 상응한 시각적 출력을 제공한다. 도 6에서, 터치 패널(6071)과 디스플레이 패널(6061)이 두 개의 독립된 부재로서 전자기기의 입력 및 출력 기능을 구현하지만, 일부 실시예에서, 터치 패널(6071)과 디스플레이 패널(6061)은 통합되어 전자기기의 입력 및 출력 기능을 구현할 수 있고, 구체적으로 여기서 특별히 한정하지 않는다.
인터페이스 유닛(608)은 외부 장치를 전자기기(600)에 연결하는 인터페이스이다. 예를 들어, 외부 장치는 유선 또는 무선 헤드셋 포트, 외부 전원(또는 배터리 충전기) 포트, 유선 또는 무선 데이터 포트, 메모리 카드 포트, 인식 모듈을 갖는 장치를 연결하기 위한 포트, 오디오 입력/출력(I/O) 포트, 비디오 I/O 포트, 헤드폰 포트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 유닛(608)은 외부 장치로부터의 입력(예를 들어, 데이터 정보, 전력 등)을 수신하고 수신된 입력을 전자기기(600) 내의 하나 또는 복수개의 구성요소로 전송하는데 사용될 수 있거나 전자기기(600)와 외부 장치 사이에서 데이터를 전송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메모리(609)는 소프트웨어 프로그램 및 다양한 데이터를 저장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메모리(609)는 주로 저장 프로그램 영역 및 저장 데이터 영역을 포함할 수 있고, 여기서, 저장 프로그램 영역은 운영 체제, 적어도 하나의 기능에 필요한 응용 프로그램(예를 들어 사운드 재생 기능, 이미지 재생 기능 등) 등을 저장할 수 있으며; 저장 데이터 영역은 휴대폰 사용에 따라 구축된 데이터(예를 들어 오디오 데이터, 전화번호부 등) 등을 저장할 수 있다. 이 외에, 메모리(609)는 고속 랜덤 액세스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고, 적어도 하나의 자기 디스크 저장 장치, 플래시 메모리 장치, 또는 기타 휘발성 고체 상태 저장 장치와 같은 비휘발성 메모리를 포함할 수도 있다.
프로세서(610)는 전자기기의 제어 센터이고, 다양한 인터페이스 및 라인을 사용하여 전체 전자기기의 각 부분을 연결하며, 메모리(609)에 저장된 소프트웨어 프로그램 및/또는 모듈을 통해 실행 또는 수행하고, 메모리(609)에 저장된 데이터를 호출하여, 전자기기의 다양한 기능을 수행하며 데이터를 처리함으로써, 전자기기에 대해 전반적인 모니터링을 수행한다. 프로세서(610)는 하나 또는 복수개의 처리 유닛을 포함할 수 있고; 바람직하게, 프로세서(610)는 응용 프로세서와 모뎀 프로세서를 통합할 수 있으며, 여기서, 응용 프로세서는 주로 운영 체제, 사용자 인터페이스 및 응용 프로그램 등을 처리하고, 모뎀 프로세서는 주로 무선 통신을 처리한다. 상기 모뎀 프로세서는 또한 프로세서(610)에 통합되지 않을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다.
전자기기(600)는 각 부재에 전기를 제공하는 전원(911)(예를 들어 배터리)을 더 포함할 수 있고, 바람직하게, 전원(611)은 전원 관리 시스템을 통해 프로세서(610)와 논리적으로 연결될 수 있음으로써, 전원 관리 시스템을 통해 충전, 방전 관리 및 전력 손실 관리 등 기능을 구현한다.
이 밖에, 전자기기(600)는 도시되지 않은 일부 기능 모듈을 포함하고, 여기서 더 반복하지 않는다.
바람직하게, 본 발명의 실시예는 프로세서(610), 메모리(609), 메모리(609)에 저장되고 상기 프로세서(610)에서 실행 가능한 프로그램을 포함하며, 상기 프로그램이 프로세서(610)에 의해 실행되면 상술한 디스플레이 방법 실시예의 각 과정이 구현되는 전자기기를 더 제공하고, 동일한 기술적 효과를 달성할 수 있으며, 중복을 피하기 위해, 여기서 더 반복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면 상술한 디스플레이 방법 실시예의 각 과정이 구현되는 컴퓨터 프로그램이 저장되어 있는 컴퓨터 판독 가능한 저장매체를 더 제공하고, 동일한 기술적 효과를 달성할 수 있으며, 중복을 피하기 위해, 여기서 더 반복하지 않는다. 여기서, 상술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저장매체는 읽기 전용 메모리(Read-Only Memory, ROM), 랜덤 액세스 메모리(Random Access Memory, RAM), 자기 디스크 또는 광 디스크 등이다.
본 명세서에서, 용어 “포함”, “구비” 또는 이들의 임의의 다른 변형은 비배타적인 포함을 포괄하도록 의도됨으로써, 일련의 요소를 포함하는 과정, 방법, 물품 또는 장치로 하여금 요소를 포함할 뿐만 아니라, 명확하게 나열되지 않은 다른 요소를 더 포함하거나, 이러한 과정, 방법, 물품 또는 장치에 고유한 요소를 더 포함하도록 하는 것을 유의해야 한다. 추가 제한이 없는 경우, 문구 “...하나를 포함하는”에 의해 한정되는 요소는, 상기 요소를 포함하는 과정, 방법, 물품 또는 장치에 별도의 동일한 요소가 더 존재하는 것을 배제하지 않는다.
이상 기기의 각 모듈의 분할은 단지 논리적 기능의 분할일 뿐, 실제 구현에서 물리적 개체에 전부 또는 부분적으로 통합될 수 있고, 물리적으로 분리될 수도 있음을 이해해야 한다. 이러한 모듈은 모두 처리 소자를 통해 소프트웨어를 호출하는 형태로 구현될 수 있고; 전부가 하드웨어 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으며; 일부 모듈이 처리 소자를 통해 소프트웨어를 호출하는 형태로 구현되고, 일부 모듈이 하드웨어 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수집 모듈은 별도로 설정된 처리 소자일 수 있고, 상술한 장치의 특정 칩에 통합되어 구현될 수도 있고, 이 외에, 프로그램 코드 형태로 상술한 장치의 메모리에 저장되어, 상술한 장치의 특정 처리 소자에 의해 호출되어 이상의 수집 모듈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다른 모듈의 구현도 유사하다. 이 외에, 이러한 모듈은 전부 또는 부분적으로 함께 통합될 수 있고, 독립적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여기서 설명된 처리 소자는 신호의 처리 능력을 갖는 집적 회로일 수 있다. 구현 과정에서, 상술한 방법의 각 단계 또는 이상의 각 모듈은 프로세서 소자의 하드웨어의 집적 논리 회로 또는 소프트웨어 형태의 명령에 의해 완료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각 모듈, 유닛, 서브 유닛 또는 서브 모듈은 상술한 방법을 구현하도록 구성된 하나 또는 복수개의 집적 회로, 예를 들어, 하나 또는 복수개의 특정 집적 회로(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 ASIC), 또는, 하나 또는 복수개의 마이크로프로세서(digital signal processor, DSP), 또는, 하나 또는 복수개의 현장 프로그램 가능 게이트 어레이(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FPGA) 등일 수 있다. 또 예를 들어, 이상의 특정 모듈이 처리 소자를 통해 프로그램 코드를 스케줄링하는 형태로 구현될 경우, 상기 처리 소자는 중앙 처리 장치(Central Processing Unit, CPU) 또는 프로그램 코드를 호출할 수 있는 기타 프로세서와 같은 범용 프로세서일 수 있다. 또 예를 들어, 이러한 모듈은 함께 통합되어, 시스템-온-칩(system-on-a-chip, SOC)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본 출원의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서 사용된 “및/또는”은 연결된 대상의 적어도 하나를 나타낸다. 예를 들어, “A 및/또는 B”는, “오로지 A, 오로지 B, 및 A 및 B가 모두 존재”하는 세 가지 경우를 나타내고, “A 및 B 중 적어도 하나”도 “오로지 A, 오로지 B, 및 A 및 B가 모두 존재”하는 세 가지 경우를 나타낸다.
이상 실시형태의 설명을 통해, 본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기 실시예 방법이 소프트웨어와 필요한 일반 하드웨어 플랫폼에 의해 구현될 수 있고, 물론 하드웨어를 통해서도 구현될 수 있지만, 많은 경우에 전자가 더 우수한 실시형태임을 명확하게 이해할 수 있다. 이러한 이해에 기반하여, 본 발명의 본질적인 기술적 해결수단 또는 선행기술에 기여하는 부분은 소프트웨어 제품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고, 상기 컴퓨터 소프트웨어 제품은 하나의 저장매체(예: ROM/RAM, 자기 디스크, 광 디스크)에 저장되며, 전자기기(휴대폰, 컴퓨터, 서버, 에어컨, 또는 네트워크 기기 등일 수 있음)로 하여금 본 발명의 각 실시예에서 설명된 방법을 수행하도록 하는 여러 명령을 포함한다.
이상 도면에 결부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구체적인 실시형태에 한정되지 않고, 상술한 구체적인 실시형태는 한정적이 아닌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시사 하에, 본 발명의 사상 및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보호되는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많은 형태를 이룰 수도 있으며, 모두 본 발명의 보호에 속한다.

Claims (24)

  1. 본체 및 상기 본체에 탈착 가능하게 연결된 카메라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본체에는 디스플레이 스크린이 설치되는 전자기기에 적용되는 디스플레이 방법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상기 카메라 모듈이 상기 디스플레이 스크린의 제1 영역에 합착되는 경우, 상기 카메라 모듈을 통해 이미지 정보를 수집하는 단계;
    상기 디스플레이 스크린의 제2 영역에 상기 이미지 정보를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제2 영역은 상기 디스플레이 스크린에서 상기 제1 영역을 제외한 영역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 모듈에는 연결 접점이 설치되고, 상기 카메라 모듈은 상기 연결 접점을 통해 상기 제1 영역에 합착되며; 상기 본체에는 검출 모듈이 설치되고;
    상기 디스플레이 스크린의 제2 영역에 상기 이미지 정보를 표시하는 상기 단계 이전에, 상기 방법은,
    상기 검출 모듈을 통해 상기 연결 접점을 검출하여, 상기 제1 영역을 결정하는 단계;
    상기 제1 영역에 근거하여, 상기 제2 영역을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 모듈이 상기 디스플레이 스크린에 합착되는 제1 단부면에는 N개의 상기 연결 접점이 설치되고, N은 양의 정수이며;
    상기 검출 모듈을 통해 상기 연결 접점을 검출하여, 상기 제1 영역을 결정하는 상기 단계는,
    상기 검출 모듈을 통해 상기 디스플레이 스크린의 제1 좌표점을 검출하고, 상기 제1 좌표점은 상기 연결 접점과 상기 디스플레이 스크린에 합착된 위치에 대응되는 좌표점인 단계;
    검출된 상기 제1 좌표점의 개수가 N이고, N개의 상기 제1 좌표점으로 구성된 제1 패턴이 N개의 상기 연결 접점으로 구성된 제2 패턴과 일치하는 경우, N개의 상기 제1 좌표점에 근거하여, 상기 제1 단부면에 대응되는 상기 제1 영역을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N개의 상기 제1 좌표점에 근거하여, 상기 제1 단부면에 대응되는 상기 제1 영역을 결정하는 상기 단계는,
    상기 제1 단부면에서의 N개의 상기 제1 좌표점, 및 N개의 상기 연결 접점의 설정 위치에 근거하여, 상기 제1 단부면에 대응되는 상기 제1 영역을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제1 영역의 면적은 상기 제1 단부면의 면적보다 크거나 같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접점은 금속 접점이고, 상기 검출 모듈은 정전 용량 검출 모듈이며;
    상기 카메라 모듈이 상기 연결 접점을 통해 상기 제1 영역에 합착되는 경우, 상기 본체는 상기 정전 용량 검출 모듈을 통해 상기 디스플레이 스크린의 복수개의 영역의 정전 용량값을 검출하고, 상기 정전 용량값에 근거하여 상기 제1 좌표점을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영역에 근거하여, 상기 제2 영역을 결정하는 상기 단계는,
    상기 제1 영역의 적어도 하나의 목표 포인트와 상기 디스플레이 스크린의 목표 가장자리 사이의 목표 거리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목표 거리에 근거하여, 상기 제2 영역을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목표 포인트는 상기 제1 영역의 가장자리 상의 포인트이고; 상기 목표 거리는, 상기 제1 영역에서 상기 제1 가장자리에 가장 가까운 포인트인 제1 목표 포인트와 상기 디스플레이 스크린의 제1 가장자리 사이의 제1 목표 거리; 상기 제1 영역에서 상기 제2 가장자리에 가장 가까운 포인트인 제2 목표 포인트와 상기 디스플레이 스크린의 제2 가장자리 사이의 제2 목표 거리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며; 상기 제2 가장자리는 상기 제1 가장자리에 인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목표 거리가 상기 제1 목표 거리 또는 상기 제2 목표 거리를 포함하는 경우, 상기 목표 거리에 근거하여, 상기 제2 영역을 결정하는 상기 단계는,
    상기 목표 거리가 제1 임계값보다 큰 경우, 상기 제2 영역이 상기 제1 영역과 상기 목표 가장자리 사이에 위치하는 것을 결정하는 단계;
    상기 목표 거리가 상기 제1 임계값보다 작거나 같은 경우, 상기 제2 영역이 상기 제1 영역과 제3 가장자리 사이에 위치하는 것을 결정하는 단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되;
    상기 제3 가장자리는 상기 디스플레이 스크린에서 상기 목표 가장자리와 대향되는 제4 가장자리이거나, 상기 디스플레이 스크린이 기능 컨트롤을 표시하는 제3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제3 영역의 가장자리가 상기 제4 가장자리를 포함하는 경우, 상기 제3 가장자리는 상기 제3 영역에서 상기 제4 가장자리와 대향되는 가장자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영역의 개수는 P이고, P는 양의 정수이며; P가 1보다 큰 경우,
    P개의 상기 제2 영역은 하나의 상기 이미지 정보를 표시하고, 각각의 상기 제2 영역은 상기 이미지 정보의 일부 정보를 표시하거나,
    P개의 상기 제2 영역 중 적어도 하나의 상기 제2 영역은 상기 이미지 정보를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기기는 접이식 전자기기이고, 디스플레이 스크린은 제1 디스플레이 스크린 및 제2 디스플레이 스크린을 포함하며, 상기 디스플레이 스크린은 접힌 상태 및 전개 상태를 갖고;
    상기 디스플레이 스크린이 상기 전개 상태에 있으며, 상기 제1 영역의 일부 또는 전부가 상기 제1 디스플레이 스크린에 위치하는 경우, 상기 제2 영역은 상기 제1 디스플레이 스크린 및 상기 제2 디스플레이 스크린 중 적어도 하나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스크린이 기능 컨트롤을 표시하는 제3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영역이 상기 제3 영역의 부분 영역 또는 전부 영역을 포함하는 경우, 상기 방법은,
    상기 디스플레이 스크린의 제4 영역에 상기 기능 컨트롤을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되;
    상기 제4 영역은 상기 디스플레이 스크린에서 상기 제1 영역과 상기 제2 영역을 제외한 영역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1. 본체 및 상기 본체에 탈착 가능하게 연결된 카메라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본체에는 디스플레이 스크린이 설치되는 전자기기에 있어서,
    상기 전자기기는,
    상기 카메라 모듈이 상기 디스플레이 스크린의 제1 영역에 합착되는 경우, 상기 카메라 모듈을 통해 이미지 정보를 수집하기 위한 수집 모듈;
    상기 디스플레이 스크린의 제2 영역에 상기 이미지 정보를 표시하기 위한 제1 디스플레이 모듈을 포함하되;
    상기 제2 영역은 상기 디스플레이 스크린에서 상기 제1 영역을 제외한 영역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 모듈에는 연결 접점이 설치되고, 상기 카메라 모듈은 상기 연결 접점을 통해 상기 제1 영역에 합착되며; 상기 본체에는 검출 모듈이 설치되고;
    상기 전자기기는,
    상기 검출 모듈을 통해 상기 연결 접점을 검출하여, 상기 제1 영역을 결정하기 위한 제1 결정 모듈;
    상기 제1 영역에 근거하여, 상기 제2 영역을 결정하기 위한 제2 결정 모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 모듈이 상기 디스플레이 스크린에 합착되는 제1 단부면에는 N개의 상기 연결 접점이 설치되고, N은 양의 정수이며;
    상기 제1 결정 모듈은,
    상기 검출 모듈을 통해 상기 디스플레이 스크린의 제1 좌표점을 검출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제1 좌표점은 상기 연결 접점과 상기 디스플레이 스크린에 합착된 위치에 대응되는 좌표점인 검출 유닛;
    검출된 상기 제1 좌표점의 개수가 N이고, N개의 상기 제1 좌표점으로 구성된 제1 패턴이 N개의 상기 연결 접점으로 구성된 제2 패턴과 일치하는 경우, N개의 상기 제1 좌표점에 근거하여, 상기 제1 단부면에 대응되는 상기 제1 영역을 결정하기 위한 제1 결정 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검출 유닛은 구체적으로, 상기 제1 단부면에서의 N개의 상기 제1 좌표점, 및 N개의 상기 연결 접점의 설정 위치에 근거하여, 상기 제1 단부면에 대응되는 상기 제1 영역을 결정하기 위한 것이고;
    상기 제1 영역의 면적은 상기 제1 단부면의 면적보다 크거나 같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접점은 금속 접점이고, 상기 검출 모듈은 정전 용량 검출 모듈이며;
    상기 카메라 모듈이 상기 연결 접점을 통해 상기 제1 영역에 합착되는 경우, 상기 본체는 상기 정전 용량 검출 모듈을 통해 상기 디스플레이 스크린의 복수개의 영역의 정전 용량값을 검출하고, 상기 정전 용량값에 근거하여 상기 제1 좌표점을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
  16.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결정 모듈은,
    상기 제1 영역의 적어도 하나의 목표 포인트와 상기 디스플레이 스크린의 목표 가장자리 사이의 목표 거리를 획득하기 위한 획득 유닛;
    상기 목표 거리에 근거하여, 상기 제2 영역을 결정하기 위한 제2 결정 유닛을 포함하되;
    상기 목표 포인트는 상기 제1 영역의 가장자리 상의 포인트이고; 상기 목표 거리는, 상기 제1 영역에서 상기 제1 가장자리에 가장 가까운 포인트인 제1 목표 포인트와 상기 디스플레이 스크린의 제1 가장자리 사이의 제1 목표 거리; 상기 제1 영역에서 상기 제2 가장자리에 가장 가까운 포인트인 제2 목표 포인트와 상기 디스플레이 스크린의 제2 가장자리 사이의 제2 목표 거리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며; 상기 제2 가장자리는 상기 제1 가장자리에 인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목표 거리가 상기 제1 목표 거리 또는 상기 제2 목표 거리를 포함하는 경우, 상기 제2 결정 유닛은 구체적으로,
    상기 목표 거리가 제1 임계값보다 큰 경우, 상기 제2 영역이 상기 제1 영역과 상기 목표 가장자리 사이에 위치하는 것을 결정하기 위한 것;
    상기 목표 거리가 상기 제1 임계값보다 작거나 같은 경우, 상기 제2 영역이 상기 제1 영역과 제3 가장자리 사이에 위치하는 것을 결정하기 위한 것;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되;
    상기 제3 가장자리는 상기 디스플레이 스크린에서 상기 목표 가장자리와 대향되는 제4 가장자리이거나, 상기 디스플레이 스크린이 기능 컨트롤을 표시하는 제3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제3 영역의 가장자리가 상기 제4 가장자리를 포함하는 경우, 상기 제3 가장자리는 상기 제3 영역에서 상기 제4 가장자리와 대향되는 가장자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
  18.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영역의 개수는 P이고, P는 양의 정수이며; P가 1보다 큰 경우,
    P개의 상기 제2 영역은 하나의 상기 이미지 정보를 표시하고, 각각의 상기 제2 영역은 상기 이미지 정보의 일부 정보를 표시하거나,
    P개의 상기 제2 영역 중 적어도 하나의 상기 제2 영역은 상기 이미지 정보를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
  19.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기기는 접이식 전자기기이고, 디스플레이 스크린은 제1 디스플레이 스크린 및 제2 디스플레이 스크린을 포함하며, 상기 디스플레이 스크린은 접힌 상태 및 전개 상태를 갖고;
    상기 디스플레이 스크린이 상기 전개 상태에 있으며, 상기 제1 영역의 일부 또는 전부가 상기 제1 디스플레이 스크린에 위치하는 경우, 상기 제2 영역은 상기 제1 디스플레이 스크린 및 상기 제2 디스플레이 스크린 중 적어도 하나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
  20.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스크린이 기능 컨트롤을 표시하는 제3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영역이 상기 제3 영역의 부분 영역 또는 전부 영역을 포함하는 경우, 상기 전자기기는,
    상기 디스플레이 스크린의 제4 영역에 상기 기능 컨트롤을 표시하기 위한 제2 디스플레이 모듈을 더 포함하되;
    상기 제4 영역은 상기 디스플레이 스크린에서 상기 제1 영역과 상기 제2 영역을 제외한 영역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
  21. 프로세서, 메모리 및 상기 메모리에 저장되고 상기 프로세서에서 실행 가능한 프로그램을 포함하는 전자기기에 있어서,
    상기 프로그램이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면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디스플레이 방법의 단계가 구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
  22.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면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디스플레이 방법의 단계가 구현되는 컴퓨터 프로그램이 저장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한 저장매체.
  23. 프로세서 및 통신 인터페이스를 포함하는 칩에 있어서,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는 상기 프로세서에 결합되고, 상기 프로세서는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디스플레이 방법의 단계가 구현되는 프로그램을 실행하기 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칩.
  24. 비휘발성 저장매체에 저장되고,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어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디스플레이 방법의 단계가 구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
KR1020227039259A 2020-04-10 2021-04-06 디스플레이 방법 및 전자기기 KR20220166853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2010280290.5A CN111475247B (zh) 2020-04-10 2020-04-10 显示方法及电子设备
CN202010280290.5 2020-04-10
PCT/CN2021/085543 WO2021204101A1 (zh) 2020-04-10 2021-04-06 显示方法及电子设备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66853A true KR20220166853A (ko) 2022-12-19

Family

ID=717515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7039259A KR20220166853A (ko) 2020-04-10 2021-04-06 디스플레이 방법 및 전자기기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230025705A1 (ko)
EP (1) EP4134820A4 (ko)
JP (1) JP2023521661A (ko)
KR (1) KR20220166853A (ko)
CN (1) CN111475247B (ko)
WO (1) WO202120410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475247B (zh) * 2020-04-10 2023-09-26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显示方法及电子设备
US11388324B2 (en) * 2020-06-15 2022-07-12 Intel Corporation Camera device, base unit, computation device, and corresponding methods and computer programs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025841A (en) * 1997-07-15 2000-02-15 Microsoft Corporation Method for managing simultaneous display of multiple windows in a graphical user interface
US6943843B2 (en) * 2001-09-27 2005-09-13 Digeo, Inc. Camera positioning system and method for eye-to eye communication
KR100801026B1 (ko) * 2006-11-28 2008-02-04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통신단말기의 카메라기능 제어방법
WO2012157272A1 (ja) * 2011-05-16 2012-11-22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表示装置、表示制御方法及び表示制御プログラム、並びに、入力装置、入力支援方法及びプログラム
CN103535051B (zh) * 2012-08-02 2017-01-11 庞博文 带互动显示屏的耳机
CN104378465B (zh) * 2014-11-06 2018-05-29 广东欧珀移动通信有限公司 移动终端
CN104320585A (zh) * 2014-11-06 2015-01-28 广东欧珀移动通信有限公司 移动终端的拍照方法、移动终端、摄像头及移动设备
CN105808040B (zh) * 2014-12-30 2019-01-15 华为终端(东莞)有限公司 一种图形用户界面的显示方法及移动终端
CN105702204B (zh) * 2016-03-31 2018-07-06 广东欧珀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充电显示的方法、装置以及终端
CN108696688A (zh) * 2018-07-13 2018-10-23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摄像头、终端及拍摄方法
CN208445604U (zh) * 2018-07-13 2019-01-29 北京小米移动软件有限公司 电子设备
CN109274792A (zh) * 2018-09-30 2019-01-25 联想(北京)有限公司 电子设备和显示方法
CN109298844B (zh) * 2018-10-19 2022-05-06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显示组件、电子设备和电子设备的控制方法
CN209390119U (zh) * 2019-02-01 2019-09-13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显示屏组件及电子设备
CN109936733B (zh) * 2019-04-17 2021-02-02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分离式摄像系统及其摄像头、显示设备和显示屏
CN110753175B (zh) * 2019-11-05 2021-01-12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电子设备
CN111475247B (zh) * 2020-04-10 2023-09-26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显示方法及电子设备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4134820A4 (en) 2023-10-11
US20230025705A1 (en) 2023-01-26
JP2023521661A (ja) 2023-05-25
EP4134820A1 (en) 2023-02-15
CN111475247B (zh) 2023-09-26
CN111475247A (zh) 2020-07-31
WO2021204101A1 (zh) 2021-10-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10027037A1 (en) Fingerprint recognition method and mobile terminal
EP4161111A1 (en) Searching and positioning method and apparatus, electronic device, and storage medium
US11373054B2 (en) Object recognition method and mobile terminal
JP7254949B2 (ja) 光電指紋識別装置、端末及び指紋識別方法
US11496835B2 (en) Speaker control method and mobile terminal
CN108459797B (zh) 一种折叠屏的控制方法及移动终端
EP3691234B1 (en) Photographing method and terminal
CN109257505B (zh) 一种屏幕控制方法及移动终端
KR20220092937A (ko) 화면 표시의 제어 방법 및 전자기기
CN109407948B (zh) 一种界面显示方法及移动终端
WO2020134811A1 (zh) 按键控制方法及终端
CN108008859B (zh) 一种屏幕控制方法及移动终端
US20230025705A1 (en) Display method and electronic device
US20220360709A1 (en) Mobile terminal, shooting mode detection method, and storage medium
CN110018805A (zh) 一种显示控制方法及移动终端
CN107728923B (zh) 一种操作的处理方法及移动终端
CN109521937B (zh) 一种屏幕显示控制方法及移动终端
CN108984099B (zh) 一种人机交互方法及终端
JP7329150B2 (ja) タッチボタン、制御方法及び電子機器
CN109443261A (zh) 折叠屏移动终端折叠角度的获取方法及移动终端
CN111522613B (zh) 截屏方法及电子设备
KR20220136472A (ko) 전자기기 및 제어 방법
WO2022048623A1 (zh) 电子设备及其控制方法和控制装置
WO2019076378A1 (zh) 图像传感器、拍摄方法和移动终端
CN108897467A (zh) 一种显示控制方法及终端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