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26534A - 섬유편조 케이블 - Google Patents

섬유편조 케이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26534A
KR20210126534A KR1020210132818A KR20210132818A KR20210126534A KR 20210126534 A KR20210126534 A KR 20210126534A KR 1020210132818 A KR1020210132818 A KR 1020210132818A KR 20210132818 A KR20210132818 A KR 20210132818A KR 20210126534 A KR20210126534 A KR 2021012653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er
fiber
cable
shielding
fiber braid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328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위동윤
손순일
양훈철
정승
Original Assignee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1328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126534A/ko
Publication of KR202101265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2653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7/00Insulated conductors or cable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 H01B7/17Protection against damage caused by external factors, e.g. sheaths or armouring
    • H01B7/18Protection against damage caused by wear, mechanical force or pressure; Sheaths; Armouring
    • H01B7/1865Sheaths comprising braided non-metallic lay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1/00Conductors or conductive bodies characterised by the conductive materials; Selection of materials as conductors
    • H01B1/02Conductors or conductive bodies characterised by the conductive materials; Selection of materials as conductors mainly consisting of metals or alloys
    • H01B1/026Alloys based on coppe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3/00Insulators or insulating bodies characterised by the insulating material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3/18Insulators or insulating bodies characterised by the insulating material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mainly consisting of organic substances
    • H01B3/30Insulators or insulating bodies characterised by the insulating material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mainly consisting of organic substances plastics; resins; waxes
    • H01B3/303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linkage containing nitrogen with or without oxygen or carbon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1B3/38 or H01B3/302
    • H01B3/305Polyamides or polyesteramid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7/00Insulated conductors or cable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 H01B7/02Disposition of insulation
    • H01B7/0208Cables with several layers of insulating materia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7/00Insulated conductors or cable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 H01B7/17Protection against damage caused by external factors, e.g. sheaths or armouring
    • H01B7/18Protection against damage caused by wear, mechanical force or pressure; Sheaths; Armouring
    • H01B7/1875Multi-layer sheath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Spectroscopy & Molecular Phys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Insulated Conductors (AREA)

Abstract

섬유편조 케이블이 개시된다. 본 발명에 따른 섬유편조 케이블은 신호용/제어용 케이블에 섬유편조 보강층을 적용하는 경우 도전성이 낮아 발생할 수 있는 차폐성능 저하를 방지하고, 일정 수준 이상의 차폐효과를 유지할 수 있으며, 우수한 차폐효과와 함께 굽힘반경이 일정 수치 이상 넘어가지 않도록 유연성을 확보함으로써 포설 시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차폐성능이 떨어져 신호 간섭 현상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케이블의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고, 케이블의 전체 중량을 줄임으로써 케이블의 운송과 설치를 용이하게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섬유편조 케이블{fiber braided cable}
본 발명은 케이블용 섬유편조 케이블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우수한 차폐성능을 발휘함과 함께 굽힘반경을 일정 수치 이하로 유지하여 유연성을 만족시킬 수 있고, 전체 중량을 낮춤으로써 케이블 포설 및 설치의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섬유편조 케이블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선박용이나 해양용 케이블 등과 같이 용도나 사용 상태에 따라 신호 및/또는 전력을 전달하면서도 일정 수준 이상의 기계적인 인장강도가 요구되는 케이블이 있다.
구체적으로, 전력/통신용 케이블 제품에서 용도에 따라 포설이나 제품의 운용 과정에서 외부에서 인장방향으로의 장력이 작용하는 경우가 있으며, 이러한 인장력에 대한 보강층이 없을 경우 전력과 신호를 전달하는 도체, 광섬유 등이 파손되어 케이블의 기능을 상실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케이블 중에서 신호용/제어용 케이블은 전자기파에 민감하기 때문에 일정 수준 이상의 차폐효과를 요구하는데, 이러한 인장강도의 보강과 차폐효과 확보를 위해 기존에는 금속의 와이어나 금속 편조 차폐층을 적용하였다.
그러나, 케이블의 기계적, 전기적 특성을 보강하기 위해 금속 보강재를 사용할 경우 케이블의 중량이 증가하고 유연성이 떨어지기 때문에 포설 시 작업성이 저하되고 심한 경우, 케이블에 손상이 가는 경우가 발생한다. 즉, 케이블의 금속 보강재를 사용할 경우 케이블의 중량이 증가하고 유연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을 발생하는 것이다.
이러한 금속 보강재의 단점을 보완하기 위해 최근에는 기계적인 특성이 우수하면서도 가볍고 유연한 섬유재질의 보강재를 케이블에 적용한 기술이 널리 알려져 있는데, 섬유편조를 적용함으로써 기존 금속 편조에 비해 가볍고 기계적 성질이 우수한 케이블을 생산할 수 있다. 여기서 섬유 보강층은 한쪽 방향의 나선형으로 배치된 횡권형이나 양쪽방향으로 매듭지어져 배치된 편조형태로 적용된다.
그러나 섬유 보강재를 차폐층으로 사용할 경우, 금속 보강재에 비해 차폐층의 도전성이 낮아 차폐효과가 낮아지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실제, 섬유 차폐층을 사용할 경우는 금속 차폐층에 비해 차폐효과가 평균 30dB이 감소하는 현상이 확인되었다.
이 경우, 차폐효과의 저하로 인해 신호 간섭 현상이 발생하여 신호/제어용 케이블에 적용하기 어렵기 때문에 차폐효과를 보완할 필요성이 있으며, 특히 선박용 케이블은 IEC 60092-352 규격에 의해 굽힘반경이 6D 이하로 제한되어 있으므로, 위와 같은 규격을 만족하기 위해서는 충분한 유연성도 확보할 필요가 있다.
또한, 편조층의 설계구조를 통해 편조밀도가 결정되는데, 편조밀도가 증가할 때 차폐효과는 증가하지만 유연성이 저하되는 단점이 있으므로, 편조밀도가 일정수준 이상 증가할 경우, 굽힘반경이 증가함으로써 유연성이 저하되어 해당 케이블 규격을 만족시키지 못하는 문제점도 고려하여야 한다.
따라서 전술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고, 차폐효과와 유연성을 동시에 만족시킬 수 있고, 전체 중량을 낮춤으로써 케이블 포설 및 설치의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섬유편조 케이블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신호용/제어용 케이블에 섬유편조 보강층을 적용하는 경우 도전성이 낮아 발생할 수 있는 차폐성능 저하를 방지하고, 일정 수준 이상의 차폐효과를 유지하고자 한다.
또한, 우수한 차폐효과와 함께 굽힘반경이 일정 수치 이상 넘어가지 않도록 유연성을 확보함으로써 포설 시 작업성을 향상시키고자 한다.
또한, 차폐성능이 떨어져 신호 간섭 현상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케이블의 신뢰성을 확보하고자 한다.
또한, 케이블의 전체 중량을 줄임으로써 케이블의 운송과 설치를 용이하게 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적어도 하나의 도체층; 상기 도체층을 절연하는 절연층; 및 상기 절연층 외측에 강도 보강을 위하여 적어도 한층 이상으로 구비되는 섬유 보강층;을 포함하며, 상기 섬유 보강층은 Ni-Cu 도금 코팅이 적용된 적어도 한 가닥 이상으로 이루어진 섬유의 다수개 합을 편조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섬유 보강층의 편조밀도는 80% 내지 93.2%이며, 편조각은 20도 내지 59도 사이의 값을 갖고, 상기 섬유 보강층의 최대 전기저항은 10-1Ω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섬유편조 케이블이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섬유는 Polyamide, Polyarylate 또는 UHMW-PE(Ultra High Molecular Weight Polyethylen) 중 어느 하나의 재질이거나 둘 이상이 혼합된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섬유는 500Denier 내지 2000Denier의 섬도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도체층 및 절연층을 보호하기 위하여 구비되는 내부 쉬스층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섬유 보강층은 상기 내부 쉬스층 외측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섬유 보강층 외측에 형성되는 외부 쉬스층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Ni-Cu 도금은 무전해 도금 방식으로 이루어지고, 1차로 Cu를 도금한 후, 2차로 Cu의 산화를 막기 위해 Ni을 도금을 실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신호용/제어용 케이블에 섬유편조 보강층을 적용하는 경우 도전성이 낮아 발생할 수 있는 차폐성능 저하를 방지하고, 일정 수준 이상의 차폐효과를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우수한 차폐효과와 함께 굽힘반경이 일정 수치 이상 넘어가지 않도록 유연성을 확보함으로써 포설 시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차폐성능이 떨어져 신호 간섭 현상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케이블의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케이블의 전체 중량을 줄임으로써 케이블의 운송과 설치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의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의 절개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의 섬유 보강층 구조를 도시한 평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의 섬유 보강층과 기존 편조 구조의 차폐성능을 비교한 그래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의 섬유 보강층의 편조밀도별 굽힘반경 및 차폐효과를 도시한 그래프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오히려, 여기서 소개되는 실시예들은 개시된 내용이 철저하고 완전해질 수 있도록, 그리고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번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의 단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의 절개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의 섬유 보강층 구조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의 섬유 보강층과 기존 편조 구조의 차폐성능을 비교한 그래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의 섬유 보강층 편조밀도별 굽힘반경 및 차폐효과를 도시한 그래프이고,
도 1 내지 도 5를 참초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1000)은 크게 적어도 하나의 도체층(112)과, 상기 도체층(112)을 절연하는 절연층(116) 및, 상기 절연층(116) 외측에 강도 보강을 위하여 적어도 한층 이상으로 구비되는 섬유 보강층(140)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도체층(112)은 구리, 알루미늄, 알루미늄 합금 또는 동복 알루미늄 선재와 같은 도체 중 어느 하나의 재질로 이루어진 소선(20)이 연선, 집합 또는 복합되어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도체층(112) 외측에는 상기 도체층(112)을 감싸는 세퍼레이트 테이프(seperate tape, 114)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세퍼레이트 테이프(114)는 필수는 아니며, 특히 도체층(112)이 세선(細線)으로 이루어지는 경우에는 생략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세퍼레이트 테이프(114)가 구비되는 경우 상기 절연층(116)은 상기 세퍼레이트 테이프(114)를 감싸도록 압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절연층(116)은 절연성 및 내충격성 특성을 갖는 물질로 이루어지며, 상기 도체층(112)을 피복하여 보호하고 절연시키는 역할을 수행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절연층(116)은 실리콘(Silicone), 가교 폴리에틸렌(Cross-linked polyethylene; XLPE), 가교 폴리올레핀(Cross Linked Polyollefin; XLPO), 에틸렌프로필렌고무(ethylene-propylene rubber; EPR), 폴리염화비닐(polyvinyl chloride; PVC) 또는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도체층(112), 세퍼레이트 테이프(114) 및 절연층(116)은 하나의 코어(110)를 이루는데, 도 1과 도 2에 도시된 케이블(1000)에서와 같이 3 개의 코어(110)가 구비될 수 있으며, 케이블(1000)이 적용되는 분야나 사용환경, 용도 등에 따라 그 개수는 달라질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코어(110) 사이에는 원형을 유지하기 위하여 충진제(122)가 충진되며, 그 외측에는 상기 복수의 코어(110)와 충진제(122)의 둘레를 감싸는 바인더 테이프(124)가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복수의 코어(110), 충진제(122) 및 바인더 테이프(124)는 코어부(120)를 이룬다.
상기 충진제(122)는 코어부(120)의 원형 유지 및 가스침투를 방지하는 역할을 수행하며, 습기를 흡수하지 않는 재질(Non-hygroscopic material)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바인더 테이프(124)는 PET 재질이 주로 사용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코어부(120) 최외곽에서 형태를 고정하는 코어 고정용으로서의 역할을 수행한다.
상기 코어부(120) 외측에는 내부 쉬스층(130)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내부 쉬스층(130)은 외부 충격을 흡수함으로써 그 내부의 도체층(112)을 보호하는 역할 이외에 난연 등의 목적으로 사용되지만, 필수 요소는 아니며 생략 가능하다.
상기 내부 쉬스층(130)으로는 PVC, HF4-1, SHF1, Chloroprene 등 열가소성 및 열경화성 원료가 모두 사용 가능하다.
상기 내부 쉬스층(130) 외측에는 섬유 보강층(140)이 구비될 수 있는데, 내부 쉬스층(130)이 생략되는 경우에는 코어부(120) 외측 즉, 연합 반제품이나 절연층(116) 외측을 감싸도록 섬유 보강층(140)이 구비될 수 있다.
한편, 외부 쉬스층(150)은 상기 섬유 보강층(140) 외측 즉, 케이블(1000)의 최외곽에 구비되어 외부 충격이나 부식 작용으로부터 케이블(1000)을 보호한다. 상기 외부 쉬스층(150)은 내부 쉬스층(130)과 마찬가지로 PVC, HF4-1, SHF1, Chloroprene 등 열가소성 및 열경화성 원료가 모두 사용 가능하다. 상기 외부 쉬스층(150) 또한 필수 요소는 아니며 생략 가능하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섬유 보강층(140)은 케이블(1000)의 축방향을 기준으로 양쪽 방향으로 일정 각도 기울어져 매듭지어진 형태 즉, 편조 형태로 적용될 수 있다. 물론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예를 들어 중심축을 기준으로 일정 거리에 평행하게 배치되는 다수의 경사 및 상기 경사와 일정 각도를 이루며 원주방향을 따라 감기는 위사로 이루어진 횡권형이 적용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섬유 보강층(140)으로 사용되는 섬유는 500 내지 2000Denier의 섬도를 갖는 1가닥 또는 2가닥 이상을 합사하여 사용할 수 있다. 여기서 1Denier는 9000m를 늘여 놓았을 때 1g을 가지는 섬도의 단위이다.
그리고 상기 섬유 보강층(140)을 이루는 섬유는 Polyamide, Polyarylate 또는 UHMW-PE(Ultra High Molecular Weight Polyethylen) 중 어느 하나의 재질이거나 둘 이상이 혼합된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는데, 인장강도 2.5~4Gpa, 탄성율 70~130Gpa인 섬유 소재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섬유 보강층(140)을 이루는 섬유의 표면에는 도전성 물질 코팅이 적용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상기 도전성 물질 코팅은 Ni-Cu 도금을 통해 이루어져 최대 전기저항 10-1Ω 이하가 되도록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본 발명의 편조 즉 섬유 보강층(140)에 사용되는 사용되는 섬유는 최대 전기저항이 10-1Ω를 만족해야 하며, 이를 위해 본 발명에서는 섬유에 무전해 도금과 UV경화코팅을 연계하여 전기저항을 감소시킨다. 무전해 도금의 경우 1차 Cu를 도금한 후, Cu의 산화를 막기 위해 Ni을 도금한다. 그 후, UV경화코팅으로 섬유표면에 금속코팅을 완료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섬유 보강층(140)을 이루는 섬유의 표면에 Ni-Cu 도금을 적용하면 기존의 단순 섬유 차폐층을 사용할 때, 차폐효과가 감소하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일반적인 규격을 따를 때, 신호용/제어용 케이블에서 40dB 이상의 차폐성능이 요구되는데,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일반적인 섬유 차폐층은 거의 모든 주파수 영역에서 40dB 이하로서, 차폐성능이 미달됨을 확인할 수 있다.
반면에, 본 발명에 따른 Ni-Cu 도금에 의해 도전성 물질 코팅이 이루어진 섬유를 적용한 섬유 보강층(140)은 거의 모든 주파수 영역에서 40dB 이상으로 기존의 금속 차폐층과 동등 내지 더 우수한 차폐효과를 발휘한다.
상기 섬유 보강층(140) 구조는 N가닥의 섬유를 합하여 C개의 합을 일정 각도를 유지하며 서로 꼬이게 제조한다. 여기서 N가닥을 지수라 하고, C개의 합을 타수라 하며, 일정 각도를 편조각(α)이라고 한다.
한편, 편조층 즉, 본 발명에 있어서 섬유 보강층(140)이 편조 하부구조를 덮는 상대적 비율을 편조밀도(Kc)라고 하는데 편조밀도(Kc)는 아래와 같은 식으로 계산할 수 있다.
Figure pat00001
N : 지수 C : 타수 d : 소선경 Dm : 편조하경(편조내측)
P : pitch
Figure pat00002
도 5는 동일 섬도의 아라미드 섬유로 짜여진 편조, 원형제직 제품의 편조밀도에에 따른 차폐성능과 굽힘반경의 변화를 측정한 결과로서, 편조밀도가 증가할수록 차폐성능이 증가하지만, 동시에 굽힘반경도 증가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규격을 따를 때, 신호/제어용 케이블로 사용하기 위해서는 40dB 이상의 차폐성능이 요구되는 한편, 굽힘반경의 상한값은 6D로 요구되므로, 이러한 사항들을 고려하여 섬유 보강층(140)의 편조밀도를 결정하여야 한다.
항목 Case 1 Case 2 Case 3


구성
도체 3CX1.5SQ 3CX1.5SQ 3CX1.5SQ
절연 ETFE ETFE ETFE
내부쉬스 TPU TPU TPU
섬유 보강층 Cu 편조 Ni-Cu 코팅 Aramid 섬유 편조 순수 Aramid 섬유 편조
외부쉬스 TPU TPU TPU

차폐층
구조
소선경(mm) 0.13 0.11 0.11
지수(개) 8 8 8
타수(개) 16 24 24
편조각(°) 28.47 35 35
편조밀도(%) 65.3 80.1 80.1
차폐층
평가
중량(kg/km) 25.351 3.29 3.29
굽힘 반경 8 4.96 4.96
차폐성능(50MHz) 43.01 dB 42.91 dB 19.82 dB
표 1은 동일 구조의 케이블에 대하여 차폐층의 소재, 구조의 변화에 따른 케이블의 기계적 성능과 차폐성능을 평가한 결과이다. 기계적 성능의 경우, 차폐층으로서 섬유 보강층을 적용한 제품은 기존 금속 차폐층에 비해 차폐층 중량이 80% 가량 감소하며 굽힘반경이 3D 외경만큼 감소하는 효과가 있다.한편, 차폐성능의 경우, 기계적 성능과 달리 섬유 보강층의 금속코팅 유무에 따라 차폐성능 차이가 발생한다. Case 3의 일반 아라미드 섬유의 차폐성능은 50MHz에서 19.82 dB로 기존 금속 차폐층의 43.01dB에 비해 차폐성능이 현저하게 감소하는 문제점이 있다.
반면, 본 발명에 따른 도전성 물질이 코팅된 섬유 보강층(140)의 경우, 기존 금속 차폐층과의 차이가 1dB 이내로 동등한 차폐성능을 나타낸다.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른 섬유 보강층(140)의 차폐효과는 도 4에서도 확인할 수 있는데, 10kHz ~ 200MHz 주파수 대역에서 차폐성능을 측정한 결과, 본 발명에 따른 도전성 물질이 코팅된 섬유 보강층(140)은 기존의 금속 차폐층과 유사 내지 우수한 차폐성능을 보인다.
편조밀도(%) 70 75 80 85 90 93.2 95
차폐층
구조
소선경(mm) 0.11 0.11 0.11 0.11 0.11 0.11 0.11
지수(개) 7 8 8 8 8 8 8
타수(개) 24 24 24 24 24 24 24
편조각(°) 27 24 35 41.5 47 51.7 54
차폐층
평가
굽힘 반경(D) 4.03 4.54 4.96 5.02 5.36 5.91 6.03
차폐성능(dB) 36.39 39.24 43.83 42.77 45.00 45.12 44.82
표 2는 본 발명에 따른 섬유 보강층(140)의 구체적인 구조에 따른 굽힘반경과 차폐성능을 평가한 결과이다. 표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편조밀도가 증가함에 따라 차폐성능이 증가하다가 80%가 넘어서면서 차폐성능 기준인 40dB을 넘게 된다.한편 굽힘 반경의 경우, 편조밀도가 93.2%까지 6D보다 작은 값을 가지지만, 편조밀도 95%를 넘으면서 6이상으로 규격에 미달하는 유연성을 가진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섬유 보강층(140)은 차폐성능과 유연성 조건을 동시에 만족시키기 위해 편조밀도가 80~93.2%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차폐층
구조
소선경(mm) 0.11 0.11 0.11 0.11 0.11 0.11 0.11 0.11
지수(개) 5 6 7 8 9 10 11 12
타수(개) 24 24 24 24 24 24 24 24
편조각(°) 59 52 45 35 20 20 20 20
편조밀도(%) 80 80.6 80.6 80.6 80 84.7 89.1 92.7
표 3은 동일 편조밀도 하에서 지수 변화에 따른 편조각(α)의 변화를 계산한 결과이다. 주로 사용하는 5 ~ 12 사이에서 지수를 변화시켰다. 계산 결과 타수를 24로, 편조밀도를 80%로 고정시킨 상태에서 지수가 증가함에 따라 편조각(α)이 감소한다. 10 이상의 지수를 가질 경우, 최소 편조각(α) 20도에서도 편조밀도는 84.7%로 80%를 상회한다.

차폐층
구조
소선경(mm) 0.11 0.11 0.11
지수(개) 8 8 8
타수(개) 16 24 36
편조각(°) 57 35 20
편조밀도(%) 80.6 80.6 92.7
표 4는 동일 편조밀도 하에서 타수 변화에 따른 편조각의 변화를 계산한 결과이다. 타수는 주로 사용하는 16, 24, 36 세 가지로 변화시켰다. 지수는 8, 편조밀도를 80%로 고정시킨 상태에서 타수가 증가함에 따라 편조각(α)이 감소한다. 타수가 36일 경우, 최소 편조각(α) 20도에서도 편조밀도는 92.7%로 80%를 상회한다.따라서 표 3과 표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지수와 타수가 각각 변화하더라도 편조각(α)을 20도 내지 59도 범위 내에서 결정함으로써 편조밀도를 전술한 바와 같이 80% 내지 93.2% 사이로 유지할 수 있다.
지금까지 설명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섬유편조 케이블(1000)은 신호용/제어용 케이블에 섬유편조 보강층을 적용하는 경우 도전성이 낮아 발생할 수 있는 차폐성능 저하를 방지하고, 일정 수준 이상의 차폐효과를 유지할 수 있으며, 우수한 차폐효과와 함께 굽힘반경이 일정 수치 이상 넘어가지 않도록 유연성을 확보함으로써 포설 시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차폐성능이 떨어져 신호 간섭 현상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케이블의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고, 케이블의 전체 중량을 줄임으로써 케이블의 운송과 설치를 용이하게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이하에서 서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변형된 실시가 기본적으로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의 구성요소를 포함한다면 모두 본 발명의 기술적 범주에 포함된다고 보아야 한다.
20: 소선 110: 코어
112: 도체층 114: 세퍼레이트 테이프
116: 절연층 120: 코어부
122: 충진재 124: 바인더 테이프
130: 내부 쉬스층 140: 섬유 보강층
150: 외부 쉬스층

Claims (7)

  1. 적어도 하나의 도체층;
    상기 도체층을 절연하는 절연층; 및
    상기 절연층 외측에 강도 보강을 위하여 적어도 한층 이상으로 구비되는 섬유 보강층;을 포함하며,
    상기 섬유 보강층은 Ni-Cu 도금 코팅이 적용된 적어도 한 가닥 이상으로 이루어진 섬유의 다수개 합을 편조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섬유 보강층의 편조밀도는 80% 내지 93.2%이며, 편조각은 20도 내지 59도 사이의 값을 갖고,
    상기 섬유 보강층의 최대 전기저항은 10-1Ω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섬유편조 케이블.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섬유는 Polyamide, Polyarylate 또는 UHMW-PE(Ultra High Molecular Weight Polyethylen) 중 어느 하나의 재질이거나 둘 이상이 혼합된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섬유편조 케이블.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섬유는 500Denier 내지 2000Denier의 섬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섬유편조 케이블.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도체층 및 절연층을 보호하기 위하여 구비되는 내부 쉬스층을 더 포함하는 섬유편조 케이블.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섬유 보강층은 상기 내부 쉬스층 외측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섬유편조 케이블.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섬유 보강층 외측에 형성되는 외부 쉬스층을 더 포함하는 섬유편조 케이블.
  7.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Ni-Cu 도금은 무전해 도금 방식으로 이루어지고, 1차로 Cu를 도금한 후, 2차로 Cu의 산화를 막기 위해 Ni을 도금을 실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섬유편조 케이블.
KR1020210132818A 2014-11-05 2021-10-07 섬유편조 케이블 KR2021012653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32818A KR20210126534A (ko) 2014-11-05 2021-10-07 섬유편조 케이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52804A KR20160054103A (ko) 2014-11-05 2014-11-05 섬유편조 케이블
KR1020210132818A KR20210126534A (ko) 2014-11-05 2021-10-07 섬유편조 케이블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52804A Division KR20160054103A (ko) 2014-11-05 2014-11-05 섬유편조 케이블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26534A true KR20210126534A (ko) 2021-10-20

Family

ID=56108909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52804A KR20160054103A (ko) 2014-11-05 2014-11-05 섬유편조 케이블
KR1020210132818A KR20210126534A (ko) 2014-11-05 2021-10-07 섬유편조 케이블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52804A KR20160054103A (ko) 2014-11-05 2014-11-05 섬유편조 케이블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20160054103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63059B1 (ko) * 2016-12-12 2022-02-15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탄소섬유를 이용한 차폐 케이블
CN107195360B (zh) * 2017-06-02 2024-02-13 上海仪耐新材料科技有限公司 一种用于水下智能数据传导的导电绳
KR102022982B1 (ko) * 2018-03-09 2019-09-19 블루메탈(주) 고차폐성을 갖는 동철 합금 케이블
KR102207956B1 (ko) * 2019-05-10 2021-01-26 블루메탈(주) 고차폐성 및 고절연성을 갖는 오디오케이블 제작 방법 및 이에 의해 제작된 오디오케이블
CN110010277A (zh) * 2019-05-16 2019-07-12 江苏港通电缆有限公司 一种止水抗老化电缆
CN114171248B (zh) * 2020-09-11 2024-03-26 中国石油天然气集团有限公司 管缆结构及管缆结构的制造方法
KR102456500B1 (ko) * 2022-03-11 2022-10-21 주식회사 포엠비 도전성 아라미드섬유를 이용한 와이어의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54103A (ko) 2016-05-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10126534A (ko) 섬유편조 케이블
US8530745B2 (en) Cable including elemental wires with different angles
US10340058B2 (en) Cable with braided shield
US10249412B2 (en) Composite cable
WO2018059434A1 (zh) 一种搜寻成像用电缆
CN201374221Y (zh) 3kV及以下舰船用耐火变频电缆
KR20180067104A (ko) 탄소섬유를 이용한 차폐 케이블
KR20180067098A (ko) 탄소섬유를 이용한 차폐 케이블
KR102363059B1 (ko) 탄소섬유를 이용한 차폐 케이블
CN203966616U (zh) 一种舰船用高抗拉柔性耐腐型消磁电缆
CN104036854A (zh) 一种舰船用高抗拉柔性耐腐型消磁电缆
CN201522882U (zh) 一种用于传感器的电缆
CN111009342A (zh) 一种耐温电缆
CN202694975U (zh) 油井专用电力电缆
CN104036852A (zh) 机械臂用耐疲劳高速数据线缆
CN105702325A (zh) 船舶及海上石油平台用轻型化电力电缆
RU170627U1 (ru) Гибкий грузонесущий кабель
CN205645310U (zh) 一种抗拉耐扭轻型抗核电磁脉冲软电缆
KR20150025720A (ko) 케이블용 강도 보강층 및 이를 포함하는 케이블
CN107516554A (zh) 一种高强度数字通信电缆
CN204463850U (zh) 一种水上承载综合数字电缆
KR20210109762A (ko) 탄소섬유를 이용한 차폐제
CN210627969U (zh) 一种具有石墨烯纤维屏蔽层的超柔型信号电缆
KR20210109763A (ko) 탄소섬유에 금속을 추가한 차폐제
CN203397736U (zh) 一种用于水下频繁移动的扁平水密电缆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