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25833A - 클라우드 기반의 에너지 분양형 플랫폼 및 분양방법 - Google Patents

클라우드 기반의 에너지 분양형 플랫폼 및 분양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25833A
KR20210125833A KR1020200043551A KR20200043551A KR20210125833A KR 20210125833 A KR20210125833 A KR 20210125833A KR 1020200043551 A KR1020200043551 A KR 1020200043551A KR 20200043551 A KR20200043551 A KR 20200043551A KR 20210125833 A KR20210125833 A KR 2021012583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er generation
platform
sale
cloud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435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80659B1 (ko
Inventor
김정욱
정승원
Original Assignee
상명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상명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상명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2000435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80659B1/ko
Publication of KR202101258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2583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806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8065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6Energy or water suppl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7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40/00Finance; Insurance; Tax strategies; Processing of corporate or income taxes
    • G06Q40/06Asset management; Financial planning or analysi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4INFORMATION OR COMMUNICATION TECHNOLOGIES HAVING AN IMPACT ON OTHER TECHNOLOGY AREAS
    • Y04SSYSTEMS INTEGRATING TECHNOLOGIES RELATED TO POWER NETWORK OPERATION,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FOR IMPROVING THE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DISTRIBUTION, MANAGEMENT OR USAGE, i.e. SMART GRIDS
    • Y04S10/00Systems supporting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4S10/50Systems or methods supporting the power network operation or management, involving a certain degree of interaction with the load-side end user applicatio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4INFORMATION OR COMMUNICATION TECHNOLOGIES HAVING AN IMPACT ON OTHER TECHNOLOGY AREAS
    • Y04SSYSTEMS INTEGRATING TECHNOLOGIES RELATED TO POWER NETWORK OPERATION,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FOR IMPROVING THE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DISTRIBUTION, MANAGEMENT OR USAGE, i.e. SMART GRIDS
    • Y04S50/00Market activities related to the operation of systems integrating technologies related to power network operation or related to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 Y04S50/12Billing, invoicing, buying or selling transactions or other related activities, e.g. cost or usage evalua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4INFORMATION OR COMMUNICATION TECHNOLOGIES HAVING AN IMPACT ON OTHER TECHNOLOGY AREAS
    • Y04SSYSTEMS INTEGRATING TECHNOLOGIES RELATED TO POWER NETWORK OPERATION,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FOR IMPROVING THE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DISTRIBUTION, MANAGEMENT OR USAGE, i.e. SMART GRIDS
    • Y04S50/00Market activities related to the operation of systems integrating technologies related to power network operation or related to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 Y04S50/14Marketing, i.e. market research and analysis, surveying, promotions, advertising, buyer profiling, customer management or reward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arketing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Finance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Public Health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Technology Law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에너지 공급 효율성 향상을 위한 클라우드 기반의 발전 플랫폼 분양 시스템 및 분양방법에 관한 것으로, 화력, 원자력, 태양열, 풍력, 지열, 신재생에너지 플랜트를 포함하여 발전 플랜트를 개인, 사업자 등 다수의 투자자들이 금융투자 또는 현물(플랜트 부지)투자를 통해 투자 지분 비율에 따라 발전 플랜트 보유 지분을 획득하여 건설 및 운영되는 발전 플랫폼, 상기 발전 플랫폼에서 발전되는 에너지원의 발전량, 발전 플랫폼의 유지보수, 에너지 소비에 따른 모니터링을 포함하고, 발전량과 소비량에 따라 상기 발전 플랫폼을 관리 감독하는 운영관리서버, 상기 운영관리서버와 네트워크망(인터넷망)을 통해 접속하여 상기 발전 플랫폼에서 발전되는 발전량을 모니터링하고, 상기 발전 플랫폼에 투자한 투자자들의 보유 지분에 따라서 에너지 발전량과 소비량에 근거하여 투자 배당 데이터를 산출 및 관리감독하며, 상기 투자자들과 발전 플랫폼 운영 주체기관과의 기 계약 조건에 따른 투자자들의 발전 에너지 사용량을 검출하여 관리하고, 외부 기관(사업자, 개인)로부터 에너지 구매 요청이 발생된 경우 계약 기준에 근거하여 구매자측과 에너지 납품 계약을 통해 에너지 공급과 비용 정산을 관리 운영하는 클라우드 서버, 상기 클라우드 서버와 접속하여 상기 운영관리서버를 통해 운영되는 각각의 발전 플랫폼에 대한 분양 정보를 관리하며, 발전 플랫폼에 대한 분양 요청, 분양 해지와 같은 사업자와의 계약을 관리하고, 분양 시세에 따른 분양가 변동 정보와 시세 정보를 실시간으로 관리하는 분리관리서버 및 상기 투자자들이 사용하는 단말기로써, 금융투자 또는 현물 투자에 따른 발전 플랫폼을 통한 투자 수익률을 모니터링하고, 상기 클라우드 서버를 통해 산출되는 투자 배당에 따른 배당정보를 모니터링하며, 지분상향, 지분하향을 포함하는 투자 조건 변경, 투자 해지, 투자 재계약, 발전 플랫폼 분양을 위하여 상기 클라우드 서버와 접속하여 발전 플랫폼 운영에 따른 계약 내용을 관리 및 운영하는 사업자 단말기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Description

클라우드 기반의 에너지 분양형 플랫폼 및 분양방법{Cloud-based energy distribution platform and pre-sale method}
본 발명은 에너지 공급 효율성 향상을 위한 클라우드 기반의 발전 플랫폼 분양 시스템 및 그 분양방법에 관한 것으로, 좀 더 상세하게는 앞으로 다가올 다양한 에너지 문제를 효율적으로 해결할 수 있도록 발전 플랫폼 건설에서부터 운영까지 분양 시스템을 도입함으로써 투자에서부터 운영까지 안정적인 발전 플랫폼 운영을 위한 클라우드 기반의 에너지 분양형 플랫폼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자원의 고갈 및 탄소 배출량 감소 등의 친환경적인 동향에 따라 신재생에너지(재생 가능한 에너지)에 대한 관심이 급증하였다. 뿐만 아니라 발전 원가와 매수 가격과의 차액 발생으로 신재생 발전 사업자들이 급격하게 늘어나면서 국내외적으로 신재생 에너지 관리 시스템의 수요가 급증하였다.
그러나, 국가적 차원에서의 기술 개발 및 사업 지원과 신재생 에너지 인프라의 확충을 노력하는 세계의 선진 각국과 다르게, 국내의 경우 신재생 에너지와 관련한 사업이 개인 사업장을 위주로 한 소규모 발전이 대다수였다.
이러한 이유로 종래의 국내에서 운영되는 소규모 단위의 에너지 관리 시스템들은 개선 및 유지를 위한 비용의 부담으로 인해 시스템의 지속적인 고도화와 보완이 어려운 실정이며, 여러 가지 문제점을 안고 있다.
특히, 종래의 신재생 에너지 관리 시스템이 개선되어야 하는 가장 큰 보완점은 중단이 없는 안정적인 운영이다. 이는 발전소의 수익 여부와 직결되는 계통 한계 가격(System Marginal Price : SMP)에 영향을 미치기 때문이다. 계통 한계 가격은 발전소에서 생산된 전력의 시간대별 가격으로서, 거래 대상인 전력 거래소의 발전 원가 협상을 위해 매달 제출되는 시간대 별 발전량에 근거하여 산정되기 때문이다.
또한, 시스템 장애(예를 들어, 신재생 에너지 관리 시스템의 관련 프로그램 다운 및 하드웨어 불량 등) 마다 발생되는 유지 보수에 대한 관리 정책도 개선되어야 한다. 일반적으로, 소규모 발전 사업장은 신재생 에너지 관리 시스템을 위한 유지 보수 인력이 상시 상주하지 않는 실정이다. 그러므로 관리 시스템의 장애 발생 시, 전문 인력이 현장에 파견되어 장애 처리 업무를 수행하며, 계약된 정책(예를 들어, 건별 처리, 월별 처리 등)에 따라 비용을 산정 받는다. 그 결과, 소규모 발전 사업자는 이로 인한 비용적 부담이 적지 않다.
따라서, 세계적으로 에너지 소비 증가와 더불어 발생되는 에너지 발전 산업의 문제를 생산적이고 효율적인 개선해야 시급한 과제에 이르고 있다.
발전 플랫폼 산업은 막대한 자금 투자와 운영 체제를 갖춰야 할 중ㅇ대형 산업에 해당한다. 현재까지 발전 플랫폼은 원자력 발전, 수력 발전 등의 대형 플랫폼으로 국가 발전 산업으로 이루어지고 있었으나, 태양광, 풍력, 지열 등과 같은 비교적 소형 발전 플랫폼의 추세에 따라 민간 발전 참여 비중이 크게 높아지고 있다.
이에 따라, 국가 에너지 산업의 성장과 안정적인 운영을 위한 다양한 운영 방법과 민간사업 확대를 통한 산업 전반의 효율성을 제고할 수 있는 운영 모델이 필요한 실정이다.
KR 10-1762061호 KR 10-2018-0128498호 KR 10-2056077호 KR 10-2018-0116774호 KR 10-0454808호 KR 10-0592538호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에너지 산업의 민간 시장 확대와 안정적인 운영 모델을 제시하고자 하는데 목적이 있으며, 더불어 에너지 소비의 증가에 따른 에너지 공급 효율성과 친환경 신재생 에너지 산업 확대에 따른 다양한 발전 플랫폼 산업의 성장 효율성을 제고하고자 에너지 수요와 공급 체계를 개선을 통한 에너지 산업 성장에 기여할 수 있는 에너지 발전 플랫폼의 효율적인 산업 활성화를 위한 클라우드 기반의 에너지 분양형 플랫폼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고자 하는데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클라우드 기반의 운영을 통해 에너지 수요에 공급과 효율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발전 에너지 운영 모델을 제공하고자 하는데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발전 플랫폼 건설과 운영에 필요한 투자 효율성을 제고하여 에너지 산업의 긍정적인 발전에 도모할 수 있는 운영 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화력, 원자력, 태양열, 풍력, 지열, 신재생에너지 플랜트를 포함하여 발전 플랜트를 개인, 사업자 등 다수의 투자자들이 금융투자 또는 현물(플랜트 부지)투자를 통해 투자 지분 비율에 따라 발전 플랜트 보유 지분을 획득하여 건설 및 운영되는 발전 플랫폼, 상기 발전 플랫폼에서 발전되는 에너지원의 발전량, 발전 플랫폼의 유지보수, 에너지 소비에 따른 모니터링을 포함하고, 발전량과 소비량에 따라 상기 발전 플랫폼을 관리 감독하는 운영관리서버, 상기 운영관리서버와 네트워크망(인터넷망)을 통해 접속하여 상기 발전 플랫폼에서 발전되는 발전량을 모니터링하고, 상기 발전 플랫폼에 투자한 투자자들의 보유 지분에 따라서 에너지 발전량과 소비량에 근거하여 투자 배당 데이터를 산출 및 관리감독하며, 상기 투자자들과 발전 플랫폼 운영 주체기관과의 기 계약 조건에 따른 투자자들의 발전 에너지 사용량을 검출하여 관리하고, 외부 기관(사업자, 개인)로부터 에너지 구매 요청이 발생된 경우 계약 기준에 근거하여 구매자측과 에너지 납품 계약을 통해 에너지 공급과 비용 정산을 관리 운영하는 클라우드 서버, 상기 클라우드 서버와 접속하여 상기 운영관리서버를 통해 운영되는 각각의 발전 플랫폼에 대한 분양 정보를 관리하며, 발전 플랫폼에 대한 분양 요청, 분양 해지와 같은 사업자와의 계약을 관리하고, 분양 시세에 따른 분양가 변동 정보와 시세 정보를 실시간으로 관리하는 분리관리서버 및 상기 투자자들이 사용하는 단말기로써, 금융투자 또는 현물 투자에 따른 발전 플랫폼을 통한 투자 수익률을 모니터링하고, 상기 클라우드 서버를 통해 산출되는 투자 배당에 따른 배당정보를 모니터링하며, 지분상향, 지분하향을 포함하는 투자 조건 변경, 투자 해지, 투자 재계약, 발전 플랫폼 분양을 위하여 상기 클라우드 서버와 접속하여 발전 플랫폼 운영에 따른 계약 내용을 관리 및 운영하는 사업자 단말기;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상기 운영관리서버는, 상기 발전 플랫폼에서 생산되는 발전량 정보와 발전 플랫폼 운영 정보(발전 플랫폼 운영에 관한 정보)를 사업자별(투자자별)로 분류하여 해당 데이터를 추출하고, 상기 사업자별 발전 플랫폼에 변동정보(발전 운영을 해당하는 정보)를 상기 클라우드 서버로 제공하도록 제어한다.
또한, 상기 운영관리서버는, 상기 사업자별로 추출된 데이터 정보를 기반으로 사업자별 발전량에 따른 소비 전력량을 계산하여 상기 클라우드 서버로 제공한다.
또한, 상기 클라우드 서버는, 상기 운영관리서버로부터 제공받은 상기 발전 플랫폼의 발전량 정보와 소비량에 근거하여 수익 데이터를 계산하고, 여기서 계산된 수익 정보를 통해 사업자에게 제공할 최종 정산 금액을 상기 사업자 단말기로 제공되도록 정산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클라우드 서버는, 신규 발전 플랫폼 건설을 위한 예정 부지 정보와 발전 플랫폼 건설에 관련된 종합적인 정보를 기 저장하고 있으며, 상기 사업자 단말기를 통해 신규 투자 유치에 따른 추가 발전 플랫폼 건설 조건이 만족될 경우 해당 투자 유치에 따른 발전 플랫폼 건설 정보(부지 정보, 건설 타당성, 발전 플랜트 종류, 예상 발전량, 예상 수익율)를 상기 사업자 단말기로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발전 플랫폼 분양을 위하여 사업자 단말기를 통해 분양관리서버로 분양 관련 정보 요청하는 단계(S100), 상기 사업자 단말기를 통해 요청된 분양 정보에 따라 상기 분양관리서버에서 분양 가능 정보와 발전 플랫폼 현황 정보를 클라우드 서버에 요청하는 단계(S200), 상기 분양관리서버에서 요청된 분양 요청 정보를 상기 클라우드서버로부터 수신받아 현재 분양 가능 발전 플랫폼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S300), 분양 정보를 수신받은 상기 분양관리서버에서 상기 사업자 단말기로 분양 가능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S400), 수신받은 분양 가능 정보를 사업자 단말기로 제공하여 사업자가 해당 정보를 검토하는 단계(S500), 상기 사업자 단말기를 통해 분양 가능한 발전 플랫폼 분양을 위하여 계약 정보를 입력 후 분양 계약을 체결하는 단계(S600), 분양 완료 후 해당 발전 플랫폼에서 발생되는 발전 배당금을 상기 분양관리서버에서 산출하는 단계(S700) 및 상기 분양관리서버에서 산출된 발전 배당금을 상기 사업자 단말기로 제공하는 단계(S8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상기 분양 계약을 체결하는 단계는, 상기 사업자 단말기로부터 발전 플랫폼에 대한 현금 투자 분양 모델과 부지 임대를 실시하는 현물 투자 분양 모델로 구성되어 분양 계약을 체결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상기 사업자 단말기는, 상기 발전 플랫폼 투자 사업자 단말기와, 발전 플랫폼이 설치되는 부지 임대사업자 단말기로 각각 구성되어 금융 투자 사업자와 부지 임대사업자에 대한 운영 정보(발전 플랫폼 운영에 따른 금융 운영 정보와 부지 임대 정보)를 각각 제공받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클라우드 기반의 발전 플랫폼 분양방법은, 상기 발전 플랫폼이 설치된 부지를 임대해준 부지 임대사업자에 대하여 해당 발전 플랫폼의 발전량과 에너지 소비량을 계산하고 이를 기반으로 사전에 계약된 조건에 따라 수익을 할당하도록 수익 데이터를 산출하여 배당금을 지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클라우드 기반의 발전 플랫폼 분양방법은, 에너지 구매 사업자(고객사)로부터 에너지 구매 요청이 발생한 경우 상기 발전 플랫폼에서 규정된 발전량 조건에 따라 산출된 발전비용 대비 소비량에 따른 가격을 산출하여 계산하고, 이를 근거로 상기 사업자 단말기에 정산 비용 정보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클라우드 기반의 발전 플랫폼 분양방법은, 상기 에너지 구매 사업자가 상기 발전 플랫폼 임대 사업자 또는 부지 임대사업자에 해당하는 경우, 해당 사업자가 제공한 임대 조건(배당 조건)과 소비 에너지량에 따른 비용을 차감 산출하여 정산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상기 클라우드 기반의 발전 플랫폼 분양방법은, 상기 사업자가 투자한 발전 플랫폼 투자 지분(또는 투자처)에 대한 변경 요청이 발생하였을 경우 투자 지분 변경에 따른 수익률, 발전량, 발전 플랫폼 관련정보를 포함하여 투자 수익 정보를 가상화 정보 처리를 통해 제공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고 작용되는 본 발명은 에너지 공급 효율성을 위하여 분양형 방식의 에너지 공급 모델을 제공함으로써, 에너지 산업의 발전에 크게 도모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특히, 본 발명은 발전 플랫폼을 쉽게 거래할 수 있는 분양형 구조의 비즈니스 모델을 제공하여 유형 자산의 발전 플랫폼을 쉽게 거래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클라우드 기반의 에너지 공급 시스템을 채택함으로써, 에를 들어 중앙 집중식 열원 설비를 설치하고 개별 건축물에 열원 설비를 두지 않아 전체적인 투자비를 감소시키며, 개별 건축물의 운영 및 유지보수 비용을 절감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분양 모델의 에너지 생산 및 공급 구조를 제안함으로써, 설비 투자 효율 향상을 제고할 수 있기 때문에 국가 에너지 산업에 전반적으로 크게 기여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에너지 공급 효율성 향상을 위한 클라우드 기반의 발전 플랫폼 분양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에너지 공급 효율성 향상을 위한 클라우드 기반의 발전 플랫폼 분양 시스템의 사업자 형태의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에너지 공급 효율성 향상을 위한 클라우드 기반의 발전 플랫폼 분양 시스템에서 단일 형태의 클라우드 서버 상세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에너지 공급 효율성 향상을 위한 클라우드 기반의 발전 플랫폼 분양 시스템에서 복수 형태의 클라우드 서버 상세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에너지 공급 효율성 향상을 위한 클라우드 기반의 발전 플랫폼 분양 시스템에서 신규 발전 플랫폼 추진을 위한 클라우드 서버의 구성 상세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에너지 공급 효율성 향상을 위한 클라우드 기반의 발전 플랫폼 분양 방법의 순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에너지 공급 효율성 향상을 위한 클라우드 기반의 발전 플랫폼 분양 시스템 및 분양방법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발전 플랫폼 분양 시스템 및 분양방법은 발전 플랫폼 건설과 운영을 위하여 공공 기관과 민간(개인, 사업자 모두 포함)이 함께 발전 플랫폼 건설에서부터 운영에 이르기까지 공동으로 투자에 참여하여 현금, 현물 투자와 함께 해당 투자에 따른 발전 플랫폼을 분양받고, 발전 플랫폼에 발생되는 발전 수익을 배당받는 분양 플랫폼을 모델을 제공하고자 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에너지 공급 효율성 향상을 위한 클라우드 기반의 발전 플랫폼 분양 시스템은, 화력, 원자력, 태양열, 풍력, 지열, 신재생에너지 플랜트를 포함하여 발전 플랜트를 개인, 사업자 등 다수의 투자자들이 금융투자 또는 현물(플랜트 부지)투자를 통해 투자 지분 비율에 따라 발전 플랜트 보유 지분을 획득하여 건설 및 운영되는 발전 플랫폼, 상기 발전 플랫폼에서 발전되는 에너지원의 발전량, 발전 플랫폼의 유지보수, 에너지 소비에 따른 모니터링을 포함하고, 발전량과 소비량에 따라 상기 발전 플랫폼을 관리 감독하는 운영관리서버, 상기 운영관리서버와 네트워크망(인터넷망)을 통해 접속하여 상기 발전 플랫폼에서 발전되는 발전량을 모니터링하고, 상기 발전 플랫폼에 투자한 투자자들의 보유 지분에 따라서 에너지 발전량과 소비량에 근거하여 투자 배당 데이터를 산출 및 관리감독하며, 상기 투자자들과 발전 플랫폼 운영 주체기관과의 기 계약 조건에 따른 투자자들의 발전 에너지 사용량을 검출하여 관리하고, 외부 기관(사업자, 개인)로부터 에너지 구매 요청이 발생된 경우 계약 기준에 근거하여 구매자측과 에너지 납품 계약을 통해 에너지 공급과 비용 정산을 관리 운영하는 클라우드 서버, 상기 클라우드 서버와 접속하여 상기 운영관리서버를 통해 운영되는 각각의 발전 플랫폼에 대한 분양 정보를 관리하며, 발전 플랫폼에 대한 분양 요청, 분양 해지와 같은 사업자와의 계약을 관리하고, 분양 시세에 따른 분양가 변동 정보와 시세 정보를 실시간으로 관리하는 분리관리서버 및 상기 투자자들이 사용하는 단말기로써, 금융투자 또는 현물 투자에 따른 발전 플랫폼을 통한 투자 수익률을 모니터링하고, 상기 클라우드 서버를 통해 산출되는 투자 배당에 따른 배당정보를 모니터링하며, 지분상향, 지분하향을 포함하는 투자 조건 변경, 투자 해지, 투자 재계약, 발전 플랫폼 분양을 위하여 상기 클라우드 서버와 접속하여 발전 플랫폼 운영에 따른 계약 내용을 관리 및 운영하는 사업자 단말기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본 발명은 클라우드 기반의 발전 플랫폼 분양 방법을 제안하는 것으로, 발전 플랫폼 분양을 위하여 사업자(사업자 단말기)로부터 분양 요청 정보를 수신받아 분양 가능한 발전 플랫폼 정보를 포함하는 분양 정보를 수신하여 사업자(투자자)가 분양 여부를 결정하여 분양할 수 있는 분양 방법 플랫폼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에너지 공급 효율성 향상을 위한 클라우드 기반의 발전 플랫폼 분양 시스템은, 국가 에너지 문제를 효율적으로 해소하고자 에너지 공급과 수요 체계를 개선하기 위하여 다양한 발전 플랫폼의 운영 방식을 혁신적으로 개선하고 운영함으로써 산업 전반적으로 효율성을 제공할 수 있는 분양형 발전 플랫폼 운영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에 기술적 요지로 한다.
특히, 본 발명은 클라우드 기반의 에너지 운영 시스템을 제공하고자 발전 설비 투자를 분양형 모델로 제시함으로써 투자비용을 크게 절감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에너지 공급과 수요 체계를 효율적으로 개선함으로써 산업 성장에 이바지 할 수 있는 분양형 발전 플랫폼 운영 시스템을 제공한다.
우선, 발전 플랫폼 분양 시스템을 아래와 같이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에너지 공급 효율성 향상을 위한 클라우드 기반의 발전 플랫폼 분양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클라우드 기반의 분양형 발전 플랫폼 운영 시스템은 다양한 방식 발전 플랜트로 이루어지는 발전 플랫폼(100)을 건설에서부터 운영 및 관리까지 클라우드 기반을 통해 운영하고자 하기 위함이다.
여기서, 상기 발전 플랫폼(100)은 화력, 수력, 원자력, 태양열, 태양광, 풍력, 지열, 신재생, 연료전지 등과 같은 현재까지 기술적 개발을 통해 에너지 발전으로 이어지는 모든 발전 수단을 포함한다. 이와 상기 발전 플랫폼을 통한 전기에너지원 뿐만 아니라, 열에너지, 바이오 에너지 등 복합 에너지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세계적으로 에너지 수요 증가에 따른 환경적, 사회적 문제가 대두되고 있는 추세에 따라 에너지 공급과 수요의 원활한 성장을 위하여 다양한 발전 플랜트가 개발 및 건설되고 있다. 특히, 태양열, 풍력과 같은 친환경 에너지나 신재생 에너지 기술에 따른 다양한 발전 플랫폼은 에너지 수요에 계속적으로 대처하고 있는 추세이다.
이러한 다양한 발전 플랫폼을 보다 효율적으로 운영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발전 플랫폼의 건설에서부터 운영까지 효율적으로 운영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발전 플랫폼(100)은 기존의 기 건설 및 운영 중인 발전 플랫폼과 신규 건설 대상에 해당하는 발전 플랫폼을 모두 포함한다. 특히, 발전 플랫폼을 건설하기 위해서는 막대한 설비 투자를 필요하기 때문에 국가적은 프로젝트로 수행되었으나 본 발명에서는 분산 투자를 활용하여 효율적인 발전 플랫폼 건설과 더불어 운영의 효율성을 제고한다.
다수의 발전 플랫폼에는 물리적으로 구성되는 복수의 발전 플랜트가 구성되며, 하나의 발전 플랫폼을 총괄 운영하는 운영관리서버(200)를 포함한다.
상기 운영관리서버(200)는 발전 플랫폼을 전반적으로 운영하기 위한 구성으로써, 발전 플랫폼의 동작 감시, 유지 보지, 발전 모니터링 등 전반적으로 발전 플랫폼을 운영하는 서버에 해당하며, 발전 플랫폼 운영에 관한 데이터 정보를 수집 및 관리한다.
상기 운영관리서버(200)는 하나의 발전 플랫폼마다 각각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러한 물리적 구성 요소는 발전 플랫폼의 운영방식과 규모에 따라 상이할 수 있지만, 본 발명에서는 설명의 편의성을 위하여 하나의 발전 플랫폼을 하나의 운영관리서버에서 관리되는 것으로 간주한다.
한편, 본 발명은 클라우드 기반의 운영 시스템으로써, 상기 운영관리서버(200)는 모두 클라우드 서버(300)와 접속하여 발전 플랫폼 운영에 관한 모든 정보를 수집 및 저장/관리한다.
상기 클라우드 서버(300)는 발전 플랫폼을 통해 생산되는 에너지를 효율적으로 운영하기 위하여 통제한다. 기본적으로 에너지의 효율적인 운영이라 하면, 생산 에너지의 분산 공급을 통해 에너지 소비의 원활함을 제공하는 것에 기초하는 것으로, 소비란 발전 에너지를 공급받아 사용하는 산업용, 건물용, 가정용, 설비용 등 전체 에너지 수요범위를 모두 포함한다.
따라서, 상기 클라우드 서버(300)는 상기 운영관리서버(200)와 통신망으로 접속하여 발전 플랫폼(100)의 전체적인 운영 상황을 모니터링 할 수 있으며, 통제 권한 부여를 통해 제어모드에서 전체 운영을 통제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클라우드 서버(300)는 에너지 수요와 공급의 원활함을 위하여 에너지 공급 정보(발전 플랫폼의 발전량 등) 수요 정보(에너지 소비측)를 통합적으로 운영한다. 클라우드 기반의 발전 설비 운영 시스템은 최적화된 에너지 운영을 위하여 온라인상에서 모든 기능을 부여하여 제어할 수 있는 클라우드 기반의 모델을 제시하는 것이다.
아래 클라우드 서버에 대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사업자 단말기(400)는 본 발명의 주요 기술적 요지에 따라 발전 플랫폼 분양 운영을 위한 주요 구성요소에 해당한다.
본 발명에 따른 발전 플랫폼 운영 시스템의 분양형 방식의 운영 시스템으로써, 신설 발전 플랫폼 또는 기 건설된 발전 플랫폼의 안정적이고 원활한 운영을 위하여 분양형 운영 방식을 채택한다.
하나의 발전 플랫폼을 건설하기 위해서는 높은 설비 투자가 필요로 하기 때문에 국가적 지원 또는 대형 기관(기업)이나 펀드를 통해 운영되었으나, 다수의 투자 사업자들을 통해 발전 플랫폼에 투자하여 투자에 따른 지분을 보유하고 운영 및 수익 확보를 위한 시스템으로 구성된다.
기본적으로 하나의 발전 플랫폼을 건설하기 위해 필요한 설비 투자금을 다수의 사업자(기업, 개인을 모두 포함)를 통해 확보한 후 투자 비율에 따른 발전 플랫폼을 자산화하고 여기에서 발생되는 수익구조를 제공하게 된다. 따라서, 투자자(사업자)는 상기 사업자 단말기(400)를 통해 발전 플랫폼 투자에서부터 발전 플랫폼 운영에 대한 전반적인 사항을 모니터링하고 운영할 수 있는 것이다.
즉, 상기 사업자 단말기(400)는 발전 플랫폼의 실질적 소유주에 해당하는 투자자의 단말기에 해당하며, 상기 사업자 단말기(400)를 통해 발전 플랫폼 운영에 관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분양관리서버(500)는 상기 발전 플랫폼의 분양 정보를 전체적으로 관리 감독한다. 상기 분양관리서버는 투자자들을 통해 건설된 발전 플랫폼의 분양 거래를 담당하는 관리 서버에 해당하는 것으로, 기존의 투자자들이 자신이 보유한 발전 플랫폼을 매도하고자 할 경우 발전 플랫폼에 대한 분양 요청, 분양 해지와 같은 사업자와의 계약을 관리하거나, 분양 시세에 따른 분양가 변동 정보와 시세 정보를 실시간으로 관리하여 사업자(투자자)와의 거래를 중개 관리하는 서버에 해당한다. 즉, 유형 자산(발전 플랫폼)의 거래 활성화를 위한 중개기관으로 쉽게 이해할 수 있으며, 투자자들은 온라인을 통해 보유한 자산(발전 플랫폼)을 쉽게 거래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에너지 공급 효율성 향상을 위한 클라우드 기반의 발전 플랫폼 분양 시스템의 사업자 형태의 구성도이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사업자 단말기(400)는 발전 플랫폼 운영을 위한 투자자 단말기에 해당하는데, 여기서 발전 플랫폼 투자에는 크게 두 가지 방식의 투자 모델이 구성된다. 첫 번째는 금융적 투자로써 발전 플랫폼 건설에 필요한 자금(현금)을 투자하는 사업자에 해당한다.
두 번째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발전 플랫폼 설비를 건설하기 위한 부지(토지)를 투자하는 사업자를 부지를 소유한 사업자(사용자)가 발전 플랫폼 건설에 필요한 부지를 직접 투자(현물 투자) 하게 된다.
태양광 발전, 풍력 발전, 지열 발전과 같은 발전 플랫폼의 경우 상당한 면적의 부지가 요구되는 것이 사업상 조건이기 때문에 이러한 건설부지 확보의 효율성을 만족시키기 위하여 부지 임대 사업자를 구성한다. 따라서, 상기 사업자 단말기는 금융 투자자와 부지 투자자(현물 투자)로 분류 구성함으로써 본 발명에 따른 분양형 발전 플랫폼 운영 시스템을 제공한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사업자의 투자 발전 플랜트의 수익률을 극대화시킬 수 있도록 분양 플랜트의 실시간 거래(매도, 매수)를 담당하는 가상화 운영서버(60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가상화 운영서버(600)는 사업자(투자자)가 최초 투자한 발전 플랫폼 보유량(보유 지분)에 대하여 실시간으로 발전 플랜트 보유 지분을 선택적으로 변경할 수 있도록 가상화 공간을 통해 선택할 수 있다. 이것은 예를 들어 쉽게 설명하자면, A 사업자(투자자)가 태양광 발전 플랜트(A 지역에 대하여)의 지분을 50% 보유하고 있을 경우 상기 A 사업자가 이 해당 지분율의 일부를 타지역의 풍력 발전 지분으로 변경하고자 할 경우 변경된 지분에 따른(가상 변경) 수익률 정보를 제공하여 준다. 이것은 발전 플랫폼은 환경에 따라 발전량이 항상 상이하기 때문에 사업자가 최초 지분범위(플랜트, 지분율)에서 수익률을 변경하고자 할 경우에는 상기 가상화 운영서버(600)를 통해서 해당 지분율을 변경하였을 때 발생되는 수익률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이 과정은 어디까지나 가상화에 따른 정보를 확인할 수 있으며, 실제 해당 지분에 대한 매도, 매수를 발생시킬 경우 매수자와 매도자의 지분 매수, 매도가 매칭되었을 때 발생할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가상화 운영서버(600)는 사업자의 지분 변경(투자 플랜트 변경)에 따른 발전량, 수익률, 운영 정보 등에 따른 관련 정보를 제공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서 해당 정보를 사업자 단말기를 통해 제공받을 수 있는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에너지 공급 효율성 향상을 위한 클라우드 기반의 발전 플랫폼 분양 시스템에서 단일 형태의 클라우드 서버 상세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발전 플랫폼 운영 시스템은 클라우드 기반을 통해 빅데이터 수집을 활용하여 사업자에 정확한 운영 결과를 제공한다. 분양형 운영 시스템은 사업자들에 발전 플랫폼 운영에 따른 투자금 배당의 정확성과 체계적 관리를 위하여 클라우드 서버(300)는 이에 관련된 모든 정보를 관리 및 운영한다.
우선적으로, 상기 클라우드 서버(300)는 해당 발전 플랫폼(100)의 발전량과 소비전력량을 산출하는데, 이때 사업자별 소유한 발전 플랜트에 해당하는 발전량을 검출한다. 분양 운영에 따라 투자 사업자의 투자 배당금 산출을 위하여 해당 사업자가 소유한 발전 플랜트에서 생산되는 발전량을 발전량 계산부(310)를 통해 산출하는 것이다.
클라우드 기반의 발전 플랫폼 운영시스템은 발전 에너지의 분산 공급을 효율적으로 수행함으로써 수요측에 원만한 에너지 공급을 달성할 뿐만 아니라, 발전 플랜트의 부하율 안정성도 만족시킬 수 있다. 이때, 상기 클라우드 서버(300)는 효율적인 분산 공급 제어를 수행하면서 사업자별 생산량 대비 소비량을 산출하는 소비전력 계산부(320)를 통해 생산된 에너지의 소비량을 계산한다.
따라서, 상기 발전량 계산부(310)와 소비량 계산부(320)를 통해 산출된 에너지율을 근거로 사업자의 투자금에 대한 배당 금액을 산출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클라우드 서버(300)는 부지 임대사업자 관리부(330)를 구성하여 상기 발전 플랫폼이 설치된 부지를 임대해준 부지 임대사업자에 대하여 해당 발전 플랫폼의 발전량과 에너지 소비량을 계산하고 사전에 계약된 조건에 따라 수익을 배당하도록 배당금을 산정하게 된다. 부지 임대사업자는 최초 부지 공급 계약 체결 시 공시지가와 가치율 등 부지에 관한 기초정보를 산정하여 계약이 이루어지며, 발전량에 따른 수익률을 함께 반영하여 투자에 대한 투자배당이 이루어지는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에너지 공급 효율성 향상을 위한 클라우드 기반의 발전 플랫폼 분양 시스템에서 복수 형태의 클라우드 서버 상세도이다.
상기 클라우드 서버(300)는 발전 플랫폼을 각각 운영하는 운영관리서버(200)와 모두 연동하여 각 발전 플랫폼의 제어를 총괄한다. 앞서 도 3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사업자들의 투자에 따른 해당 정보를 관리할 뿐만 아니라, 기본적으로 클라우드 기반의 발전 플랫폼을 운영하는 기초 모델로 에너지 수요와 공급의 분산 제어를 위해 상기 운영관리서버(200)와 연동한다.
이때, 해당 발전 플랫폼의 전반적인 정보를 관리하는 플랜트 정보 관리부(340)와 발전량에 따른 공급 제어를 담당하는 에너지 공급 제어부(350)의 기능을 통해 분산 에너지 공급을 수행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클라우드 서버(300)는 발전 플랫폼의 에너지 발전 성격에 따라 효율적인 운영을 위하여 분산 공급하는 기능을 수행하여 이를 통해서 수요와 공급의 효율성을 최적화시킨다. 최적화라 하면, 발전 플랫폼의 발전량, 발전특성, 발전 에너지량, 예비 에너지량 등 종합적인 발전 구조에 따라서 수요측 정보와 매칭하여 공급을 제어할 수 있도록 관리 및 운영하게 된다.
또한,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전력 발전뿐만 아니라, 열에너지 발전 플랫폼, 신재생 에너지 발전 플랫폼 등의 발전 특성에 따라 공급을 제어하는데, 예를 들어 열원 발전 플랫폼에서 생산되는 열에너지나 폐열 에너지와 같은 재생성 에너지는 열에너지를 필요로 하는 수요측으로 공급할 수 있도록 있도록 제어한다. 이때, 상기 클라우드 서버는 수요측 정보를 사전에 저장하고 있으며, 이를 통해 수요와 공급 간의 효율성을 제어 메커니즘을 통해 운용하게 되는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에너지 공급 효율성 향상을 위한 클라우드 기반의 발전 플랫폼 분양 시스템에서 신규 발전 플랫폼 추진을 위한 클라우드 서버의 구성 상세도이다.
도 5의 도시는 신규 발전 플랫폼 건설에 따른 사업자(투자자)와의 정보 매칭과 사업 추진을 위한 모델을 제시한다. 상기 클라우드 서버(400)는 사전에 수집되는 다양한 발전 계획 정보를 클라우드 DB(360)에 기저장하고 있으며, 예비 투자자들의 요청이나 추진 계획이 수립될 경우 사업자 단말기(400)로 신규 건설에 따른 정보를 제공한다.
이때, 부지 정보, 건설 타당성, 플랜트 입지조건, 예상 발전량, 예상 수익률 등을 포함하는 종합적인 정보를 상기 사업자 단말기(400)로 제공하게 되고, 사업에 참여하는 복수의 사업자들은 해당 정보를 검토하여 참여 여부를 결정할 수 있는 것이다.
여기서, 사업자와 주관기관의 추진 협의가 결정되면 발전 플랫폼 건설과 운영이 추진되고 추후 발전 플랫폼 운영에 따른 수익 배당과 함께 클라우드 서버를 통해 발전 에너지의 수요와 공급을 제어하여 에너지 공급 효율성을 제고한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발전 플랫폼 분양을 위한 분양 방법의 순서도를 도시하고 있다.
발전 플랫폼 분양을 위하여 사업자 단말기를 통해 분양관리서버로 분양 관련 정보 요청하는 단계(S100)이다. 발전 플랫폼 투자를 위한 개인, 민간 사업자, 공공사업자 등 다양한 투자자들은 발전 플랫폼에 투자 후 수익 보장을 위하여 건설되는 발전 플랫폼에 투자 검토를 위해 사업자 단말기(400, 410)로 분양관리서버(500)에 접속하여 투자 정보를 요청한다.
상기 사업자 단말기로부터 투자 요청 정보를 수신받은 분양 관리서버(500)는 상기 사업자 단말기를 통해 요청된 분양 정보에 따라 상기 분양관리서버에서 분양 가능 정보와 발전 플랫폼 현황 정보를 클라우드 서버에 요청하는 단계(S200)이다. 여기서 상기 분양관리서버(500)는 현재 개발중이거나 개발 예정인 발전 플랫폼 정보를 보유하고 있으며, 현재 세부 분양정보를 요청받기 위해 상기 클라우드 서버(300)에 접속하여 해당 정보를 요청한다. 이때, 상기 클라우드 서버(300)는 전국 각지의 분양중이거나 분양 예정중인 분양 플랫폼 정보를 모두 수집하고 가지고 있으며, 사용자(사업자)의 요청에 따라 분양 정보가 요청되면 해당 정보를 상기 클라우드 서버에 요청하여 관련 정보를 수집 받는다.
상기 분양관리서버에서 요청된 분양 요청 정보를 상기 클라우드서버로부터 수신받아 현재 분양 가능 발전 플랫폼 정보를 수신하고(S300), 분양 정보를 수신받은 상기 분양관리서버에서 상기 사업자 단말기로 분양 가능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S400)이다.
상기 단계 S400를 통해 수신받은 분양 가능 정보를 사업자 단말기로 제공하여 사업자가 해당 정보를 검토한 후(S500) 상기 사업자 단말기를 통해 분양 가능한 발전 플랫폼 분양을 위하여 계약 정보를 입력 후 분양 계약을 체결하는 단계(S600)이다. 이때, 해당 사업자는 발전 플랫폼 투자 형태를 결정할 수 있다. 현금 투자로 발전 플랫폼 건설에 따른 일정 부분을 분양받는 형태일 수 있고, 해당 발전 부지의 부지 임대 방식의 투자 형태를 취할 수 있다.
상기 분양 계약을 체결하는 단계(S600)에서는 투자 사업자가 현금 형태의 투자 방식과 부지 형태의 부자 방식으로 구분되며, 이에 따라서, 상기 사업자 단말기로부터 발전 플랫폼에 대한 현금 투자 분양 모델과 부지 임대를 실시하는 현물 투자 분양 모델로 구성되어 분양 계약을 체결하는 단계로 분리 구성될 수 있다.
이것으로, 상기 과정을 거쳐 사업자(투자자)는 분양 발전 플랫폼에 대해서 투자 및 분양을 완료한다.
분양 완료 후 해당 발전 플랫폼에서 발생되는 발전 배당금을 상기 분양관리서버에서 산출하는 단계(S700)이다. 발전 배당금은 투자자들의 투자에 따른 발전 플랫폼에 발전 거래액에 대한 수익금을 배당하는 것으로, 발전 플랫폼의 지분이나 투자 범위에 따라서 사전에 규정된 투자 계약 조건에 따라서 배당금을 지급받게 되는 것이다.
일정 기간의 발전 플랫폼 운영을 통해서 발생된 수익금에 대해서는 상기 분양관리서버에서 산출된 투자자들의 발전 배당금을 상기 사업자 단말기로 제공한다(S800).
따라서, 이러한 과정을 통해서 분양형 발전 플랫폼에 투자를 희망하는 투자자들은 발전 플랫폼에 현금 또는 현물 방식으로 투자를 실시할 수 있고, 발전 이익을 통해서 배당 이익을 확보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은 에너지 공급 효율성을 위하여 분양형 방식의 에너지 공급 모델을 제공함으로써, 에너지 산업의 발전에 크게 도모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특히, 본 발명은 클라우드 기반의 에너지 공급 시스템을 채택함으로써, 에를 들어 중앙 집중식 열원 설비를 설치하고 개별 건축물에 열원 설비를 두지 않아 전체적인 투자비를 감소시키며, 개별 건축물의 운영 및 유지보수 비용을 절감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원리를 예시하기 위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하고 도시하였지만, 본 발명은 그와 같이 도시되고 설명된 그대로의 구성 및 작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오히려, 첨부된 청구범위의 사상 및 범주를 일탈함이 없이 본 발명에 대한 다수의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당업자들은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그러한 모든 적절한 변경 및 수정과 균등물들도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되어야 할 것이다.
100 : 발전 플랫폼 200 : 운영기관서버
300 : 클라우드 서버 310 : 사업자별 발전량 계산부
320 : 사업자별 소비전력 계산부 330 : 부지임대 사업자 관리부
340 : 플랜트 정보 관리부 350 : 에너지 공급 제어부
360 : 클라우드 DB 400 : 사업자 단말기(임대 사업자)
410 : 사업자 단말기(부지 임대 사업자)
500 : 분양관리서버

Claims (12)

  1. 발전 플랫폼과
    상기 발전 플랫폼을 관리 감독하는 운영관리서버;
    상기 운영관리서버와 네트워크망(인터넷망)을 통해 접속하여 상기 발전 플랫폼에서 발전되는 발전량을 모니터링하고, 운영하는 클라우드 서버;
    상기 클라우드 서버와 접속하여 발전되는 발전량의 시세를 관리하는 분리관리서버; 및
    상기 클라우드 서버와 접속하여 발전 플랫폼 운영에 따른 계약 내용을 관리 및 운영하는 사업자 단말기;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에너지 공급 효율성 향상을 위한 클라우드 기반의 에너지 분양형 플랫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발전 플렛폼은,
    화력, 원자력, 태양열, 풍력, 지열, 신재생에너지 플랜트를 포함하여 발전 플랜트를 다수의 투자자들이 금융투자 또는 현물(플랜트 부지)투자를 통해 투자 지분 비율에 따라 발전 플랜트 보유 지분을 획득하여 건설 되거나 운영되는 플랫폼이며,
    상기 운영관리서버는
    상기 발전 플랫폼에서 발전되는 에너지원의 발전량, 발전 플랫폼의 유지보수, 에너지 소비에 따른 모니터링을 포함하고, 발전량과 소비량에 따라 상기 발전 플랫폼을 관리 감독하고,
    상기 클라우드 서버는,
    상기 운영관리서버와 네트워크망(인터넷망)을 통해 접속하여 상기 발전 플랫폼에서 발전되는 발전량을 모니터링하고, 상기 발전 플랫폼에 투자한 투자자들의 보유 지분에 따라서 에너지 발전량과 소비량에 근거하여 투자 배당 데이터를 산출 및 관리 감독하는 에너지 공급 효율성 향상을 위한 클라우드 기반의 에너지 분양형 플랫폼.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클라우드 서버는
    상기 투자자들과 발전 플랫폼 운영 주체기관과의 기 계약 조건에 따른 투자자들의 발전 에너지 사용량을 검출하여 관리하고, 외부 기관(사업자, 개인)로부터 에너지 구매 요청이 발생된 경우 계약 기준에 근거하여 구매자측과 에너지 납품 계약을 통해 에너지 공급과 비용 정산을 관리 운영하는 것을 더 포함하여 에너지 공급 효율성 향상을 위한 클라우드 기반의 에너지 분양형 플랫폼.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관리서버는
    상기 클라우드 서버와 접속하여 상기 운영관리서버를 통해 운영되는 각각의 발전 플랫폼에 대한 분양 정보를 관리하며, 발전 플랫폼에 대한 분양 요청, 분양 해지와 같은 사업자와의 계약을 관리하고, 분양 시세에 따른 분양가 변동 정보와 시세 정보를 실시간으로 관리하는 에너지 공급 효율성 향상을 위한 클라우드 기반의 에너지 분양형 플랫폼.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사업자 단말기는
    상기 투자자들이 사용하는 단말기로써, 금융투자 또는 현물 투자에 따른 발전 플랫폼을 통한 투자 수익률을 모니터링하고,
    상기 클라우드 서버를 통해 산출되는 투자 배당에 따른 배당정보를 모니터링하며, 지분상향, 지분하향을 포함하는 투자 조건 변경과 투자 해지와 투자 재계약 및 발전 플랫폼 분양을 위하여 상기 클라우드 서버와 접속하여 발전 플랫폼 운영에 따른 계약 내용을 관리 및 운영하는 에너지 공급 효율성 향상을 위한 클라우드 기반의 에너지 분양형 플랫폼.
  6. 발전 플랫폼 분양을 위하여 사업자 단말기를 통해 분양관리서버로 분양 관련 정보 요청하는 단계(S100);
    상기 사업자 단말기를 통해 요청된 분양 정보에 따라 상기 분양관리서버에서 분양 가능 정보와 발전 플랫폼 현황 정보를 클라우드 서버에 요청하는 단계(S200);
    상기 분양관리서버에서 요청된 분양 요청 정보를 상기 클라우드서버로부터 수신받아 현재 분양 가능 발전 플랫폼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S300);
    분양 정보를 수신받은 상기 분양관리서버에서 상기 사업자 단말기로 분양 가능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S400);
    수신받은 분양 가능 정보를 사업자 단말기로 제공하여 사업자가 해당 정보를 검토하는 단계(S500);
    상기 사업자 단말기를 통해 분양 가능한 발전 플랫폼 분양을 위하여 계약 정보를 입력 후 분양 계약을 체결하는 단계(S600);
    분양 완료 후 해당 발전 플랫폼에서 발생되는 발전 배당금을 상기 분양관리서버에서 산출하는 단계(S700); 및
    상기 분양관리서버에서 산출된 발전 배당금을 상기 사업자 단말기로 제공하는 단계(S80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에너지 공급 효율성 향상을 위한 클라우드 기반의 에너지 분양형 플랫폼.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분양 계약을 체결하는 단계는,
    상기 사업자 단말기로부터 발전 플랫폼에 대한 현금 투자 분양 모델과 부지 임대를 실시하는 현물 투자 분양 모델로 구성되어 분양 계약을 체결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에너지 공급 효율성 향상을 위한 클라우드 기반의 에너지 분양형 플랫폼.
  8.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사업자 단말기는,
    상기 발전 플랫폼 투자 사업자 단말기와, 발전 플랫폼이 설치되는 부지 임대사업자 단말기로 각각 구성되어 금융 투자 사업자와 부지 임대사업자에 대한 운영 정보(발전 플랫폼 운영에 따른 금융 운영 정보와 부지 임대 정보)를 각각 제공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너지 공급 효율성 향상을 위한 클라우드 기반의 에너지 분양형 플랫폼.
  9.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클라우드 기반의 발전 플랫폼 분양방법은,
    상기 발전 플랫폼이 설치된 부지를 임대해준 부지 임대사업자에 대하여 해당 발전 플랫폼의 발전량과 에너지 소비량을 계산하고 이를 기반으로 사전에 계약된 조건에 따라 수익을 할당하도록 수익 데이터를 산출하여 배당금을 지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너지 공급 효율성 향상을 위한 클라우드 기반의 에너지 분양형 플랫폼 분양방법.
  10.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클라우드 기반의 발전 플랫폼 분양방법은,
    에너지 구매 사업자(고객사)로부터 에너지 구매 요청이 발생한 경우 상기 발전 플랫폼에서 규정된 발전량 조건에 따라 산출된 발전비용 대비 소비량에 따른 가격을 산출하여 계산하고, 이를 근거로 상기 사업자 단말기에 정산 비용 정보를 제공하는 에너지 공급 효율성 향상을 위한 클라우드 기반의 에너지 분양형 플랫폼 분양방법.
  11.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클라우드 기반의 발전 플랫폼 분양방법은,
    상기 에너지 구매 사업자가 상기 발전 플랫폼 임대 사업자 또는 부지 임대사업자에 해당하는 경우, 해당 사업자가 제공한 임대 조건(배당 조건)과 소비 에너지량에 따른 비용을 차감 산출하여 정산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에너지 공급 효율성 향상을 위한 클라우드 기반의 에너지 분양형 플랫폼 분양방법.
  12.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클라우드 기반의 발전 플랫폼 분양방법은,
    상기 사업자가 투자한 발전 플랫폼 투자 지분(또는 투자처)에 대한 변경 요청이 발생하였을 경우 투자 지분 변경에 따른 수익률, 발전량, 발전 플랫폼 관련정보를 포함하여 투자 수익 정보를 가상화 정보 처리를 통해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너지 공급 효율성 향상을 위한 클라우드 기반의 에너지 분양형 플랫폼 분양방법.
KR1020200043551A 2020-04-09 2020-04-09 클라우드 기반의 에너지 분양형 플랫폼 및 분양방법 KR10238065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43551A KR102380659B1 (ko) 2020-04-09 2020-04-09 클라우드 기반의 에너지 분양형 플랫폼 및 분양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43551A KR102380659B1 (ko) 2020-04-09 2020-04-09 클라우드 기반의 에너지 분양형 플랫폼 및 분양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25833A true KR20210125833A (ko) 2021-10-19
KR102380659B1 KR102380659B1 (ko) 2022-03-29

Family

ID=782284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43551A KR102380659B1 (ko) 2020-04-09 2020-04-09 클라우드 기반의 에너지 분양형 플랫폼 및 분양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80659B1 (ko)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54808B1 (ko) 2001-11-17 2004-11-05 주식회사 포스코건설 인터넷을 이용한 부동산 분양방법
KR100592538B1 (ko) 2000-12-01 2006-06-23 주식회사 아이쓰리샵 웹 사이트 분양을 통한 쇼핑몰 운영방법
JP2014010729A (ja) * 2012-07-02 2014-01-20 Mitaden Co Ltd 太陽光発電設備の分譲管理システム
KR101762061B1 (ko) 2015-12-31 2017-07-27 주식회사 포스코아이씨티 클라우드 기반 에너지 사용량 예측 시스템 및 방법
KR20170119373A (ko) * 2016-04-19 2017-10-27 심헌 마이크로 그리드 크라우드 펀딩 시스템
KR20180116774A (ko) 2017-04-07 2018-10-26 주식회사 써스테라인비젼 Ess 임대를 이용한 신재생에너지 발전 통합 관리 시스템
KR20180128498A (ko) 2011-09-20 2018-12-03 에보니크 룀 게엠베하 경량 세라믹 물질의 제조 방법
KR102056077B1 (ko) 2017-10-27 2019-12-16 주식회사 다원전자 가정용 태양광발전장치의 임대서비스 제공시스템
KR20200033074A (ko) * 2018-09-19 2020-03-27 지앤이파트너스 유한책임회사 신재생에너지 발전설비 최적배치 시스템 및 사업비의 주민참여금액 전환구조를 통한 사업성 개선 장치 및 방법

Patent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92538B1 (ko) 2000-12-01 2006-06-23 주식회사 아이쓰리샵 웹 사이트 분양을 통한 쇼핑몰 운영방법
KR100454808B1 (ko) 2001-11-17 2004-11-05 주식회사 포스코건설 인터넷을 이용한 부동산 분양방법
KR20180128498A (ko) 2011-09-20 2018-12-03 에보니크 룀 게엠베하 경량 세라믹 물질의 제조 방법
JP2014010729A (ja) * 2012-07-02 2014-01-20 Mitaden Co Ltd 太陽光発電設備の分譲管理システム
KR101762061B1 (ko) 2015-12-31 2017-07-27 주식회사 포스코아이씨티 클라우드 기반 에너지 사용량 예측 시스템 및 방법
KR20170119373A (ko) * 2016-04-19 2017-10-27 심헌 마이크로 그리드 크라우드 펀딩 시스템
KR20180116774A (ko) 2017-04-07 2018-10-26 주식회사 써스테라인비젼 Ess 임대를 이용한 신재생에너지 발전 통합 관리 시스템
KR102056077B1 (ko) 2017-10-27 2019-12-16 주식회사 다원전자 가정용 태양광발전장치의 임대서비스 제공시스템
KR20200033074A (ko) * 2018-09-19 2020-03-27 지앤이파트너스 유한책임회사 신재생에너지 발전설비 최적배치 시스템 및 사업비의 주민참여금액 전환구조를 통한 사업성 개선 장치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80659B1 (ko) 2022-03-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Mengelkamp et al. A blockchain-based smart grid: towards sustainable local energy markets
US20030074244A1 (en) Distributed energy technology assurance
US20030144864A1 (en) System and method for creating and operating an enhanced distributed energy network or virtual power plant
KR102462089B1 (ko) 재생에너지 수익의 주민 배당 시스템
JP2007518197A (ja) 排出削減を取引するための方法及びシステム
Lee et al. Learning from power sector reform experiences: The case of Vietnam
KR102387318B1 (ko) 에너지 공급 효율성 향상을 위한 클라우드 기반의 발전 플랫폼 분양 시스템
Cheung Standard market design for ISO New England wholesale electricity market: An overview
KR102380659B1 (ko) 클라우드 기반의 에너지 분양형 플랫폼 및 분양방법
Kahrl et al. Policy and Regulatory Recommendations to Support a Least-Cost Pathway for India’s Power Sector
Patel et al. Infrastructure Management Contracts: Improving Energy Asset Management in Displacement Settings
CN113971611A (zh) 一种基于智能合约的中长期电力交易方法和系统
Moye et al. Redesign of US electricity capacity markets
Sahraei et al. Proposing a Dynamic Tender Mechanism for Distributed Generation Expansion Planning
Vaahedi et al. Decision support tools in restructured electricity systems: An overview
Jain et al. A strategy for FTR bidding in deregulated electricity markets
Hurlbut et al. Regulatory Foundations for Cross-Border Electricity Trading: Nepal
Market EDUR
Hurlbut et al. Regulatory Foundations for Cross-Border Electricity Trading: Bangladesh
WO2023162656A1 (ja) 情報処理装置
JP7403264B2 (ja) エネルギー管理システム、統括管理装置およびエネルギー管理方法
Lampropoulos et al. A system perspective to the deployment of flexibility through aggregator companies
Camfield et al. Pricing transmission services efficiently
Kirshenberg et al. Roadmap to Implementing Climate and Resilience Goals: Federal Agency Solutions
Haves Presentation Outlin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