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25293A - 신체 운동 장치 - Google Patents

신체 운동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25293A
KR20210125293A KR1020200042828A KR20200042828A KR20210125293A KR 20210125293 A KR20210125293 A KR 20210125293A KR 1020200042828 A KR1020200042828 A KR 1020200042828A KR 20200042828 A KR20200042828 A KR 20200042828A KR 20210125293 A KR20210125293 A KR 2021012529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ear
connection part
rotation
foot
exercise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428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78634B1 (ko
Inventor
조순구
고근순
Original Assignee
조순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순구 filed Critical 조순구
Priority to KR10202000428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78634B1/ko
Priority to PCT/KR2021/003700 priority patent/WO2021206327A1/ko
Publication of KR202101252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2529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786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7863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3/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 A63B23/035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limbs, i.e. upper or lower limbs, e.g. simultaneously
    • A63B23/04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limbs, i.e. upper or lower limbs, e.g. simultaneously for lower limbs
    • A63B23/08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limbs, i.e. upper or lower limbs, e.g. simultaneously for lower limbs for ankle joint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00058Mechanical means for varying the resistance
    • A63B21/00069Setting or adjusting the resistance level; Compensating for a preload prior to use, e.g. changing length of resistance or adjusting a valve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012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using frictional force-resister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012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using frictional force-resisters
    • A63B21/0125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using frictional force-resisters with surfaces rolling against each other without substantial slip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40Interfaces with the user related to strength training; Details thereof
    • A63B21/4027Specific exercise interfaces
    • A63B21/4033Handles, pedals, bars or platforms
    • A63B21/4034Handles, pedals, bars or platforms for operation by fee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1/00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F16H1/02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out gears having orbital motion
    • F16H1/20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out gears having orbital motion involving more than two intermeshing membe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phys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ehabilitation Tool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체 운동 장치는 나란히 차례로 배치되어 인접한 기어가 치 결합되는 제1 기어, 제2 기어, 제3 기어 및 제4 기어, 제1 기어의 회전축과 결합되어 제1 기어의 회전에 따라 회전운동하는 제1 연결부, 및 제4 기어의 회전축과 결합되어 제4 기어의 회전에 따라 회전운동하는 제2 연결부를 포함하고, 제1 기어 및 제4 기어의 크기는 동일하고, 제2 기어 및 제3 기어의 크기는 동일하며, 제1 기어 및 제4 기어의 크기는 제2 기어 및 제3 기어의 크기보다 클 수 있다. 이에, 제1 연결부 및 제2 연결부에 안착된 두 발의 회전 각도가 자유롭게 조절될 수 있고, 보다 효과적인 발목 운동이 수행될 수 있다.

Description

신체 운동 장치{PHYSICAL EXERCISE DEVICE}
본 발명은 신체 운동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자세하게는 나란히 치 결합된 복수의 기어들 중 일부와 결합된 회전판이 기어의 회전에 따라 회전함에 따라 회전판 상에 안착된 신체 일부가 회전운동할 수 있는 신체 운동 장치에 관한 것이다.
신체의 균형과 안정성을 유지하기 위하여 관절은 중요한 역할을 수행한다. 머리, 팔, 다리의 움직임을 조절하고, 움직임에서 발생되는 충격을 완화하는 역할을 수행하는 신체의 다양한 관절은 부상을 당할 위험이 있고, 나이가 들수록 가동범위가 감소될 수 있다. 따라서, 목 관절, 팔 관절, 발목 관절, 다리 관절, 손목 관절, 손가락 관절 등의 가동범위를 넓히고 유연성을 강화할 수 있는 운동 장치에 대한 수요가 발생하고 있다.
기존의 신체 운동 장치는 운동 장치에 고정된 신체의 위치 및 각도가 고정된 상태에서 신체를 좌우 회전시키는데 국한되었다. 그러나, 예를 들어 두 발이 운동 장치에 고정된 경우, 발목의 운동은 두 발의 이격거리, 발바닥과 다리의 각도, 발의 좌우 회전 각도, 발의 좌우 회전 속도에 따라 달라질 수 있고, 이를 반영한 신체 운동 장치는 개발되지 못하였다. 이에, 운동 장치에 결합된 신체의 위치, 각도, 회전 각도 및 회전 속도를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는 신체 운동 장치에 대한 필요성이 존재하였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크기가 상대적으로 큰 제1 기어 및 제4 기어와, 크기가 상대적으로 작은 제2 기어 및 제3 기어가 존재하고, 제1 내지 제4 기어를 차례로 나란히 배치하여 치 결합시키고, 제1 기어에 하나의 연결부를 배치하고 제4 기어에 하나의 연결부를 배치함으로써, 연결부에 안착되는 신체, 예를 들면, 두 발의 이격거리를 조절하고 양 발의 회전 각도를 서로 상이하거나 동일하게 변경하며 연결부에 안착된 신체의 운동을 수행할 수 있는 신체 운동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전술한 바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신체 운동 장치는, 나란히 차례로 배치되어 인접한 기어가 치 결합되는 제1 기어, 제2 기어, 제3 기어 및 제4 기어, 제1 기어의 회전축과 결합되어 제1 기어의 회전에 따라 회전운동하는 제1 연결부, 및 제4 기어의 회전축과 결합되어 제4 기어의 회전에 따라 회전운동하는 제2 연결부를 포함하고, 제1 기어 및 제4 기어의 크기는 동일하고, 제2 기어 및 제3 기어의 크기는 동일하며, 제1 기어 및 제4 기어의 크기는 제2 기어 및 제3 기어의 크기보다 클 수 있다. 이에, 제1 연결부 및 제2 연결부에 안착된 신체의 회전 각도가 자유롭게 조절될 수 있고, 보다 효과적인 신체 운동이 수행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신체 운동 장치는 제1 직경의 제1 기어 및 제4 기어, 제1 직경보다 작은 제2 직경의 제2 기어 및 제3기어, 제1 기어의 회전축과 결합하여 제1 기어의 회전에 대응하여 회전하는 제1 연결부, 제4 기어의 회전축과 결합하여 제4 기어의 회전에 대응하여 회전하는 제2 연결부를 포함하고, 제1 기어는 제2 기어와 치 결합되고, 제2 기어는 제3 기어와 치 결합되고, 제3 기어는 제4 기어와 치결합될 수 있다. 이에, 제1 연결부 및 제2 연결부의 이격된 거리가 조절될 수 있고, 사용자는 제1 연결부 및 제2 연결부의 이격거리와 회전 각도를 조절하며 신체의 회전 운동을 수행할 수 있다.
기타 실시예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아래와 같은 다양한 효과들을 가진다.
본 발명은 신체 운동 장치와 연결된 신체의 회전 각도를 조절하여 안정적이고 효과적으로 신체의 회전 운동을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연결부의 지면을 기준으로 기울어진 정도가 조절될 수 있고, 연결부의 회전축의 위치가 조절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효과는 이상에서 예시된 내용에 의해 제한되지 않으며, 더욱 다양한 효과들이 본 명세서 내에 포함되어 있다.
도 1a 및 1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체 운동 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1c는 도 1b의 Ic-Ic'에 대한 단면도이다.
도 2a 내지 도 2d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체 운동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신체 운동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신체 운동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5a 내지 도 5d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신체 운동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에 개시된 형상, 크기, 비율, 각도, 개수 등은 예시적인 것이므로 본 발명이 도시된 사항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명세서 상에서 언급된 '포함한다', '갖는다', '이루어진다' 등이 사용되는 경우 '~만'이 사용되지 않는 이상 다른 부분이 추가될 수 있다. 구성 요소를 단수로 표현한 경우에 특별히 명시적인 기재 사항이 없는 한 복수를 포함하는 경우를 포함한다.
구성 요소를 해석함에 있어서, 별도의 명시적 기재가 없더라도 오차 범위를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한다.
위치 관계에 대한 설명일 경우, 예를 들어, '~상에', '~상부에', '~하부에', '~옆에' 등으로 두 부분의 위치 관계가 설명되는 경우, '바로' 또는 '직접'이 사용되지 않는 이상 두 부분 사이에 하나 이상의 다른 부분이 위치할 수도 있다.
소자 또는 층이 다른 소자 또는 층 "위 (on)"로 지칭되는 것은 다른 소자 바로 위에 또는 중간에 다른 층 또는 다른 소자를 개재한 경우를 모두 포함한다.
비록 제1, 제2 등이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들 구성요소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하에서 언급되는 제1 구성요소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제2 구성요소일 수도 있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도면에서 나타난 각 구성의 크기 및 두께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도시된 것이며, 본 발명이 도시된 구성의 크기 및 두께에 반드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여러 실시예들의 각각 특징들이 부분적으로 또는 전체적으로 서로 결합 또는 조합 가능하며, 당업자가 충분히 이해할 수 있듯이 기술적으로 다양한 연동 및 구동이 가능하며, 각 실시예들이 서로에 대하여 독립적으로 실시 가능할 수도 있고 연관 관계로 함께 실시 가능할 수도 있다.
도 1a 및 1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체 운동 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1c는 도 1b의 Ic-Ic'에 대한 단면도이다. 도 2a 내지 도 2d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체 운동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이다. 도 1a는 복수의 연결부(151, 152)를 생략하여 도시하였다.
도 1a 내지 도 2d를 참조하면, 신체 운동 장치(100)는 기준으로 신체의 일부를 회전되도록 함으로써 회전되는 신체와 연결된 관전을 운동시킬 수 있는 장치이다. 신체 운동 장치(100)는 복수의 기어(111, 112, 113, 114), 복수의 결합부(121, 122, 123, 124), 복수의 지지축(131, 132), 복수의 연결부(151, 152)를 포함한다.
신체 운동 장치(100)의 복수의 기어(111, 112, 113, 114)는 제1 기어(111), 제2 기어(112), 제3 기어(113) 및 제4 기어(114)를 포함한다. 복수의 기어(111, 112, 113, 114)의 외주면 각각에는 기어 치가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제1 기어(111), 제2 기어(112), 제3 기어(113) 및 제4 기어(114)는 차례로 나란히 배치되어 인접한 기어가 치 결합될 수 있다. 제1 기어(111)는 제2 기어(112)와 치 결합되고, 제2 기어(112)는 제3 기어(113)와 치 결합되고, 제3 기어(113)는 제4 기어(114)와 치 결합될 수 있다. 이에, 제1 기어(111)가 회전함 따라 제2 기어(112), 제3 기어(113) 및 제4 기어(114)는 치가 서로 맞물여 회전될 수 있다.
제1 기어(111)가 시계 방향인 제1 방향(D1)으로 회전할 경우, 치 결합된 제2 기어(112)는 반 시계 방향인 제2 방향(D2)으로 회전할 수 있다. 그리고, 제2 기어(112)와 치 결합된 제3 기어(113)는 제1 방향(D1), 제3 기어(113)와 치 결합된 제4 기어(114)는 제2 방향(D2)으로 회전할 수 있다. 이처럼 제1 기어(111) 및 제3 기어(113)는 동일한 제1 방향(D1)으로 회전하고, 제2 기어(112) 및 제4 기어(114)는 동일한 제2 방향(D2)으로 회전할 수 있다. 이와 달리, 제1 기어(111) 및 제3 기어(113)가 제2 방향(D2)으로 회전할 경우, 제2 기어(112) 및 제4 기어(114)는 제1 방향(D1)으로 회전할 수 있다.
제1 기어(111), 제2 기어(112), 제3 기어(113) 및 제4 기어(114)는 제1 방향(D1)으로 일정 각도만큼 회전하다가 제2 방향(D2)으로 상기 일정 각도만큼 회전하여 제 자리로 돌아올 수 있고, 이러한 왕복 회전운동을 반복할 수 있다.
제1 기어(111) 및 제4 기어(114)는 크기가 동일하고, 제2 기어(112) 및 제3 기어(113)는 크기가 동일할 수 있다. 이때, 제1 기어(111) 및 제4 기어(114)의 크기, 즉, 기어의 직경은 상대적으로 크고 제2 기어(112) 및 제3 기어(113)의 크기, 즉 기어의 직경은 상대적으로 작을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기어(111) 및 제4 기어(114)의 제1 직경은 제2 기어(112) 및 제3 기어(113)의 제2 직경보다 클 수 있다. 이때, 예를 들면, 제1 직경은 제2 직경의 두 배일 수 있다. 그러나, 이에 제한되지 않으며, 제1 기어(111), 제2 기어(112), 제3 기어(113) 및 제4 기어(114)의 직경은 기어들의 회전 반경 또는 기어들의 회전축의 이격 거리를 조절하기 위하여 필요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이처럼, 제2 기어(112) 및 제3 기어(113)의 직경이 제1 기어(111) 및 제4 기어(114)의 직경보다 작음으로써, 기어들의 회전 각도는 상이할 수 있다. 기어의 회전 각도는, 기어가 제1 방향(D1)으로 회전하고 다시 제2 방향(D2)으로 회전하여 원래의 위치로 돌아오는 동안 기어가 원래의 위치에서 최대로 회전한 각도를 의미할 수 있다. 서로 치 결합되어 있는 복수의 기어들(111, 112, 113, 114) 중 직경이 동일한 제1 기어(111) 및 제4 기어(114)의 회전 각도는 동일하고, 직경이 동일한 제2 기어(112) 및 제3 기어(113)의 회전 각도는 동일하다. 이때, 제1 기어(111) 및 제4 기어(114)의 직경이 제2 기어(112) 및 제3 기어(113)의 직경보다 크기 때문에, 제1 기어(111) 및 제4 기어(114)의 회전 각도는 제2 기어(112) 및 제3 기어(113)의 회전 각도보다 작을 수 있다. 즉, 제1 기어(111) 및 제4 기어(114)는 상대적으로 작은 각도만큼 왕복 회전운동하고, 제2 기어(112) 및 제3 기어(113)는 상대적으로 큰 각도만큼 왕복 회전운동할 수 있다. 만약, 제1 기어(111) 및 제4 기어(114)의 직경이 제2 기어(112) 및 제3 기어(113)의 직경의 두 배일 경우, 제1 기어(111) 및 제4 기어(114)의 회전 각도는 제2 기어(112) 및 제3 기어(113)의 회전 각도의 두 배일 수 있다.
신체 운동 장치(100)의 복수의 결합부(121, 122, 123, 124)는 복수의 기어(111, 112, 113, 114) 각각과 복수의 지지축(131, 132) 각각을 결합하기 위한 구성이다. 복수의 결합부(121, 122, 123, 124)는 제1 결합부(121), 제2 결합부(122), 제3 결합부(123) 및 제4 결합부(124)를 포함하고, 각각은 제1 기어(111), 제2 기어(112), 제3 기어(113) 및 제4 기어(114)의 회전축에 대응되어 상부에 설치될 수 있다. 제1 결합부(121), 제2 결합부(122), 제3 결합부(123) 및 제4 결합부(124)는 지지축(131, 132)이 끼워질 수 있도록 상부에 홈이 형성될 수 있다.
신체 운동 장치(100)의 복수의 지지축(131, 132)은 복수의 연결부(151, 152)를 지지하는 구성이다. 복수의 지지축(131, 132)은 제1 지지축(131) 및 제2 지지축(132)을 포함한다. 제1 지지축(131)은 지면과 수직인 방향으로 길게 연장되고, 상부 일측이 제1 연결부(151)의 하면과 연결되어 제1 연결부(151)를 지지하고, 하부 타측이 제1 결합부(121) 또는 제2 결합부(122)의 홈에 끼워져 제1 기어(111) 또는 제2 기어(112)와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제2 지지축(132)은 지면과 수직인 방향으로 길게 연장되고, 상부 일측이 제2 연결부(152)의 하면과 연결되어 제2 연결부(152)를 지지하고, 하부 타측이 제3 결합부(123) 또는 제4 결합부(124)의 홈에 끼워져 제3 기어(113) 또는 제4 기어(114)와 연결될 수 있다.
복수의 지지축(131, 132)은 제1 내지 제4 결합부(121, 122, 123, 124) 각각과 결합되는 면에 기어 이빨이 형성되어 보다 안정적으로 결합될 수도 있다.
또한, 이와 달리, 복수의 지지축(131, 132)과 제1 내지 제4 결합부(121, 122, 123, 124) 각각이 결합되는 부분에는 볼 조인트 형태의 연결부분이 존재할 수 있다. 볼 조인트가 형성됨에 따라 복수의 지지축(131, 132)은 결합된 제1 내지 제4 결합부(121, 122, 123, 124)를 기준으로 자유롭게 축 회전이 가능할 수 있다. 이에, 복수의 지지축(131, 132) 각각에 연결된 복수의 연결부(151, 152)는 사용자의 움직임에 따라 자유롭게 축이 회전할 수 있다. 그러나, 이와 달리, 복수의 지지축(131, 132)은 1 내지 제4 결합부(121, 122, 123, 124) 각각이 결합되는 부분에는 볼 조인트 형태의 연결부분이 존재하지 않을 수도 있다.
신체 운동 장치(100)의 복수의 연결부(151, 152)는 사용자의 신체의 일부가 안착될 수 있는 구성이다. 예를 들면, 사용자의 두 발이 복수의 연결부(151, 152)에 안착될 수 있다. 복수의 연결부(151, 152)에는 사용자의 두 발이 안착되는 것으로 후술하였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으며, 사용자의 두 손이 복수의 연결부(151, 152)에 안착될 수도 있다. 또한, 사용자의 머리가 복수의 연결부(151, 152) 중 하나와 연결되고 나머지 하나에는 사용자의 신체가 안착되지 않을 수도 있다.
복수의 연결부(151, 152)는 제1 연결부(151) 및 제2 연결부(152)를 포함한다. 제1 연결부(151)는 좌측에 배치되어 상면에 왼쪽 발이 안착될 수 있고, 제2 연결부(152)는 우측에 배치되어 상면에 오른쪽 발이 안착될 수 있다. 제1 연결부(151) 및 제2 연결부(152)는 발이 안정적으로 안착될 수 있도록 발의 모양과 유사하게 형성된 평평한 상면을 가질 수 있고, 상면의 테두리에 상면보다 올라온 가드가 형성될 수 있다.
도 2a 내지 도 2d를 참조하면, 신체 운동 장치(100)의 제1 연결부(151) 및 제2 연결부(152)는 사용자에 의하여 위치가 변경될 수 있다. 제1 연결부(151)는 사용자에 의하여 제1 기어(111)와 중첩되도록 위치되거나, 제1 기어(111)로부터 분리되어 제2 기어(112)와 중첩되도록 위치할 수 있다. 그리고, 제2 연결부(152)는 사용자에 의하여 제3 기어(113)와 중첩되도록 위치되거나, 제3 기어(113)로부터 분리되어 제4 기어(114)와 중첩되도록 위치할 수 있다.
도 2a를 참조하면, 제1 연결부(151)는 제1 기어(111)와 중첩되도록 위치할 수 있다. 제1 연결부(151)와 연결된 제1 지지축(131)은 제1 기어(111)의 제1 결합부(121)의 홈에 끼워질 수 있고, 이에, 제1 기어(111)의 회전에 대응하여 제1 연결부(151)는 제1 지지축(131)을 기준으로 회전운동할 수 있다. 제2 연결부(152)는 제4 기어(114)와 중첩되도록 위치할 수 있다. 제2 연결부(152)와 연결된 제2 지지축(132)은 제4 기어(114)의 제4 결합부(124)의 홈에 끼워질 수 있고, 이에, 제4 기어(114)의 회전에 대응하여 제2 연결부(152)는 제2 지지축(132)을 기준으로 회전운동할 수 있다. 이 경우, 제1 연결부(151)와 제2 연결부(152)는 동일한 제1 회전 각도(A1)로 회전할 수 있다. 앞서 설명한 것과 같이, 제1 기어(111)가 제1 방향(D1)으로 회전할 경우 제4 기어(114)는 제2 방향(D2)으로 회전하고, 제1 기어(111)가 다시 제2 방향(D2)으로 회전하여 본래의 자리로 돌아올 경우 제4 기어(114)는 제1 방향(D1)으로 회전하여 본래의 자리로 돌아올 수 있다. 이에, 제1 연결부(151) 및 제2 연결부(152)는 서로 반대의 방향으로 제1 회전 각도(A1)만큼 왕복 회전운동할 수 있다. 따라서, 제1 연결부(151) 및 제2 연결부(152) 각각에 안착되는 왼발과 오른발은 제1 회전 각도(A1)만큼 왕복 회전운동됨으로써, 발목 운동이 수행될 수 있다.
또한, 제1 연결부(151) 및 제2 연결부(152) 각각이 제1 기어(111) 및 제4 기어(114) 각각의 위치에 배치될 경우, 사용자는 더 안정적으로 발목 회전운동을 수행할 수 있다. 제1 연결부(151) 및 제2 연결부(152) 각각이 제2 기어(112) 및 제3 기어(113) 각각에 위치되는 경우보다, 제1 연결부(151) 및 제2 연결부(152) 각각이 도 2a와 같이 위치되는 경우 두 발의 이격 거리는 더 멀어질 수 있다. 따라서, 제1 연결부(151) 및 제2 연결부(152)에 왼발과 오른발을 위치하고 서 있는 사용자는 발목 회전운동을 수행함에 있어 신체의 균형을 효과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도 2b를 참조하면, 제1 연결부(151)는 제2 기어(112)와 중첩되도록 위치할 수 있다. 제1 연결부(151)와 연결된 제1 지지축(131)은 제2 기어(112)의 제2 결합부(122)의 홈에 끼워질 수 있고, 이에, 제2 기어(112)의 회전에 대응하여 제1 연결부(151)는 제1 지지축(131)을 기준으로 회전운동할 수 있다. 제2 연결부(152)는 제3 기어(113)와 중첩되도록 위치할 수 있다. 제2 연결부(152)와 연결된 제2 지지축(132)은 제3 기어(113)의 제3 결합부(123)의 홈에 끼워질 수 있고, 이에, 제3 기어(113)의 회전에 대응하여 제2 연결부(152)는 제2 지지축(132)을 기준으로 회전운동할 수 있다. 이 경우, 제1 연결부(151)와 제2 연결부(152)는 동일한 제2 회전 각도(A2)로 회전할 수 있다. 앞서 설명한 것과 같이, 제2 기어(112)가 제1 방향(D1)으로 회전할 경우 제3 기어(113)는 제2 방향(D2)으로 회전하고, 제2 기어(112)가 다시 제2 방향(D2)으로 회전하여 본래의 자리로 돌아올 경우 제3 기어(113)는 제1 방향(D1)으로 회전하여 본래의 자리로 돌아올 수 있다. 이에, 제1 연결부(151) 및 제2 연결부(152)는 서로 반대의 방향으로 제2 회전 각도(A2)만큼 왕복 회전운동할 수 있다. 따라서, 제1 연결부(151) 및 제2 연결부(152) 각각에 안착되는 왼발과 오른발은 제2 회전 각도(A2)만큼 왕복 회전운동됨으로써, 발목 운동이 수행될 수 있다.
이때, 제2 회전 각도(A2)는 제1 회전 각도(A1)보다 클 수 있다. 앞서 설명한 것과 같이 제2 기어(112) 및 제3 기어(113)의 크기는 제1 기어(111) 및 제4 기어(114)의 크기보다 작을 수 있다. 따라서, 차례로 치 결합된 제1 기어(111), 제2 기어(112), 제3 기어(113) 및 제4 기어(114)의 회전운동에 따라 제1 기어(111) 및 제4 기어(114)의 회전 각도는 제2 기어(112) 및 제3 기어(113)의 회전 각도보다 작을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도 2a와 같이 배치된 제1 연결부(151) 및 제2 연결부(152)에 두 발을 위치할 때 보다, 도 2b와 같이 배치된 제1 연결부(151) 및 제2 연결부(152)에 두 발을 위치할 때에 더 큰 회전 반경으로 발목 회전운동을 수행할 수 있다. 이에, 신체 운동 장치(100)의 사용자는 제1 회전 각도(A1)보다 더 큰 제2 회전 각도(A2)로 발목 회전운동을 수행하고자 하는 경우, 제1 연결부(151) 및 제2 연결부(152)를 제2 기어(112) 및 제3 기어(113)의 위치에 각각 배치하여 보다 회전이 큰 발목 회전운동을 수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2c 및 도 2d를 참조하면, 제1 연결부(151) 및 제2 연결부(152)의 회전 방향은 동일하고, 회전 각도는 서로 상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2c를 참조하면, 제1 연결부(151)는 제1 기어(111)와 중첩되도록 위치할 수 있다. 제1 연결부(151)와 연결된 제1 지지축(131)은 제1 기어(111)의 제1 결합부(121)의 홈에 끼워질 수 있고, 이에, 제1 기어(111)의 회전에 대응하여 제1 연결부(151)는 제1 지지축(131)을 기준으로 회전운동할 수 있다. 제2 연결부(152)는 제3 기어(113)와 중첩되도록 위치할 수 있다. 제2 연결부(152)와 연결된 제2 지지축(132)은 제3 기어(113)의 제3 결합부(123)의 홈에 끼워질 수 있고, 이에, 제3 기어(113)의 회전에 대응하여 제2 연결부(152)는 제2 지지축(132)을 기준으로 회전운동할 수 있다.
이 경우, 제1 연결부(151)와 제2 연결부(152)는 상이한 회전 각도로 회전할 수 있다. 제1 연결부(151)가 제1 회전 각도(A1)로 회전할 경우, 제2 연결부(152)는 제1 회전 각도(A1)보다 큰 제2 회전 각도(A2)로 회전할 수 있다.
또한, 제1 연결부(151)와 제2 연결부(152)의 회전 방향은 동일한 방향으로 방향일 수 있다. 제1 기어(111)와 제3 기어(113) 사이에는 제2 기어(112)가 배치되어 서로 치 결합될 수 있고, 이에, 제1 기어(111)와 제3 기어(113)는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따라서, 제1 연결부(151) 및 제2 연결부(152) 각각에 안착되는 왼발과 오른발은 서로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운동할 수 있고, 왼발은 제1 회전 각도(A1)로 회전운동하고 오른발은 더 큰 제2 회전 각도(A2)로 회전운동할 수 있다.
도 2d를 참조하면, 제1 연결부(151)는 제2 기어(112)와 중첩되도록 위치할 수 있다. 제1 연결부(151)와 연결된 제1 지지축(131)은 제2 기어(112)의 제2 결합부(122)의 홈에 끼워질 수 있고, 이에, 제2 기어(112)의 회전에 대응하여 제1 연결부(151)는 제1 지지축(131)을 기준으로 회전운동할 수 있다. 제2 연결부(152)는 제4 기어(114)와 중첩되도록 위치할 수 있다. 제2 연결부(152)와 연결된 제2 지지축(132)은 제4 기어(114)의 제4 결합부(124)의 홈에 끼워질 수 있고, 이에, 제4 기어(114)의 회전에 대응하여 제2 연결부(152)는 제2 지지축(132)을 기준으로 회전운동할 수 있다.
이 경우, 제1 연결부(151)와 제2 연결부(152)는 상이한 회전 각도로 회전할 수 있다. 제1 연결부(151)가 제2 회전 각도(A2)로 회전할 경우, 제2 연결부(152)는 제2 회전 각도(A2)보다 작은 제1 회전 각도(A1)로 회전할 수 있다.
또한, 제1 연결부(151)와 제2 연결부(152)의 회전 방향은 동일한 방향으로 방향일 수 있다. 제2 기어(112)와 제4 기어(114) 사이에는 제3 기어(113)가 배치되어 서로 치 결합될 수 있고, 이에, 제2 기어(112)와 제4 기어(114)는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따라서, 제1 연결부(151) 및 제2 연결부(152) 각각에 안착되는 왼발과 오른발은 서로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운동할 수 있고, 왼발은 제2 회전 각도(A2)로 회전운동하고 오른발은 더 작은 제1 회전 각도(A1)로 회전운동할 수 있다.
제1 연결부(151) 및 제2 연결부(152)의 크기는 제1 기어(111) 내지 제4 기어(114)의 직경보다 클 수 있다. 즉, 도 1b에 도시된 것과 달리, 제1 연결부(151) 및 제2 연결부(152)의 크기는 제1 기어(111) 및 제4 기어(114)의 크기보다 더 클 수도 있다. 그러나, 이에 제한되지 않으며, 제1 연결부(151) 및 제2 연결부(152)의 크기는 필요에 따라 조절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체 운동 장치(100)는 제2 기어(112) 및 제3 기어(113)의 직경이 제1 기어(111) 및 제4 기어(114)의 직경보다 작고, 제1 기어(111), 제2 기어(112), 제3 기어(113) 및 제4 기어(114)가 나란히 배치되서 서로 치 결합되어 있다. 그리고, 제1 연결부(151)는 제1 기어(111) 또는 제2 기어(112)의 회전축과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자유롭게 결합될 수 있고, 제2 연결부(152)는 제3 기어(113) 또는 제4 기어(114)의 회전축과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자유롭게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제1 연결부(151)와 제2 연결부(152)는 서로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서로 상이한 회전 각도로 회전될 수도 있다. 이와 달리 제1 연결부(151)와 제2 연결부(152)는 서로 상이한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상대적으로 작은 제1 회전 각도(A1)로 회전하거나 상대적으로 큰 제2 회전 각도(A2)록 회전할 수 있다. 이처럼 사용자는 필요에 따라 자유롭게 제1 연결부(151) 및 제2 연결부(152)의 위치를 변경하여 보다 효과적이고 사용자의 연령과 관절의 유연 능력에 맞추어진 신체 회전 운동을 수행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신체 운동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3의 신체 운동 장치(200)는 도 1a 내지 도 2d의 신체 운동 장치(100)와 비교하여 제1 연결부(251) 및 제2 연결부가 상이하고 제1 기울기 조절부(241) 및 제2 기울기 조절부가 추가되었다는 것을 제외하면 실질적으로 동일한 바, 중복 설명은 생략한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도 1a 내지 도 2d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3을 참조하면, 제1 연결부(251)와 제1 지지축(131) 사이에는 제1 기울기 조절부(241)가 배치된다. 제1 기울기 조절부(241)는 제1 연결부(251)와 지면 사이의 기울기를 조절할 수 있는 구성이다. 제1 연결부(251)는 지면과 평행하도록 배치될 수 있으나, 제1 기울기 조절부(241)에 의하여 발 길이 방향으로의 기면과의 기울기가 변화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연결부(251)의 발가락 안착 부분은 발꿈치 안착 부분보다 높에 위치될 수 있고, 기울어진 정도는 조절될 수 있다. 이와 달리, 제1 연결부(251)의 발가락 안착 부분은 발꿈치 안착 부분보다 낮게 위치될 수 있고, 기울어진 정도는 조절될 수 있다.
또한, 제2 연결부와 제2 지지축(132) 사이에는 제2 기울기 조절부가 배치된다. 제2 기울기 조절부는 제2 연결부와 지면 사이의 기울기를 조절할 수 있는 구성이다. 제2 연결부는 지면과 평행하도록 배치될 수 있으나, 제2 기울기 조절부에 의하여 발 길이 방향으로의 기면과의 기울기가 변화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2 연결부의 발가락 안착 부분은 발꿈치 안착 부분보다 높에 위치될 수 있고, 기울어진 정도는 조절될 수 있다. 이와 달리, 제2 연결부의 발가락 안착 부분은 발꿈치 안착 부분보다 낮게 위치될 수 이쏙, 기울어진 정도는 조절될 수 있다.
제2 연결부와 지면 사이의 발 길이 방향으로의 기울기는 제1 연결부(251)와 지면 사이의 발 길이 방향으로의 기울기와 서로 상이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연결부(251)는 발가락 안착 부분이 발꿈치 안착 부분보다 낮게 조절될 수 있고, 이와 달리, 제2 연결부는 발가락 안착 부분이 발꿈치 안착 부분보다 높게 조절될 수 있다. 또한, 제1 연결부(251) 및 제2 연결부 모두 발가락 안착 부분이 발꿈치 안착 부분보다 높게 조절된 상태에서, 제1 연결부(251)의 기울기가 제2 연결부의 기울기보다 더 클 수도 있다.
이처럼 제1 연결부(251)와 제2 연결부의 발 길이 방향으로의 지면과의 기울기가 자유롭게 조절됨으로써, 다리를 기준으로 왼발과 오른발의 기울기와 기울어진 방향이 조절될 수 있다. 또한, 왼발과 오른발이 지면과 수평으로 고정된 상태에서만 발목의 회전운동이 수행되는 경우보다, 기울기가 변화된 상태에서 발목의 회전운동이 수행될 경우 발목의 유연성과 가동 범위가 효과적으로 개선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신체 운동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5a 내지 도 5d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신체 운동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이다. 도 4 내지 도 5d의 신체 운동 장치(300)는 도 1a 내지 도 2d의 신체 운동 장치(100)와 비교하여 제1 연결부(351) 및 제2 연결부(352)이 상이하다는 것을 제외하면 실질적으로 동일한 바, 중복 설명은 생략한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도 1a 내지 도 2d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4 내지 도 5d를 참조하면, 제1 연결부(351)는 발 길이 방향으로 슬라이딩되어 제1 지지축(131)과의 연결 부분이 자유롭게 변경될 수 있다. 사용자는 발가락 방향, 즉, 정면 방향으로 제1 연결부(351)를 슬라이딩시킬 수 있고, 제1 연결부(351)는 사용자의 정면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이에, 제1 지지축(131)은 제1 연결부(351)의 발가락 안착 부분과 인접하도록 위치가 변경될 수 있고, 왼발은 제1 지지축(131)을 중심으로 회전운동할 수 있다.
이와 달리, 사용자는 발꿈치 방향, 즉, 후면 방향으로 제1 연결부(351)를 슬라이딩시킬 수 있고, 제1 연결부(351)는 사용자의 후면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이에, 제1 지지축(131)은 제1 연결부(351)의 발꿈치 안착 부분과 인접하도록 위치가 변경될 수 있고, 왼발은 제1 지지축(131)을 중심으로 회전운동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사용자는 제2 연결부(352)를 정면이나 후면으로, 즉, 발 길이 방향으로 슬라이딩시킬 수 있고, 제2 지지축(132)은 제1 연결부(351)의 발꿈치 안착 부분이나 발가락 안착 부분과 인접하도록 위치가 변경될 수 있고, 오른발은 제2 지지축(132)을 중심으로 회전운동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5a를 참조하면, 제1 연결부(351)는 발의 중심 부분이 제1 지지축(131), 즉, 제1 기어(111)의 회전축과 일치되도록 위치가 조절될 수 있다. 그리고, 제2 연결부(352)는 발의 중심 부분이 제2 지지축(132), 즉, 제4 기어(114)의 회전축과 일치되도록 위치가 조절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왼발과 오른발은 발의 중심 부분을 회전축으로 회전운동할 수 있고, 이에, 발가락과 발꿈치가 동일한 회전 각도로 회전할 수 있다.
도 5b를 참조하면, 제1 연결부(351)와 제2 연결부(352)는 사용자에 의하여 발 길이 방향으로 슬라이딩되어 사용자의 정면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제1 연결부(351)는 발꿈치가 제1 지지축(131), 즉, 제1 기어(111)의 회전축과 일치되도록 위치가 조절될 수 있다. 그리고, 제2 연결부(352)는 발꿈치가 제2 지지축(132), 즉, 제4 기어(114)의 회전축과 일치되도록 위치가 조절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왼발과 오른발은 발꿈치를 회전축으로 회전운동할 수 있다. 이에, 발꿈치는 회전을 거의하지 않을 수 있고, 발가락 부분, 즉, 발의 앞쪽 부분이 큰 회전 각도로 회전운동할 수 있다.
또는, 제1 연결부(351)와 제2 연결부(352)는 왼다리와 오른다리의 연장선에 제1 지지축(131) 및 제2 지지축(132)이 일치되도록 위치가 조절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왼발과 오른발은 왼다리와 오른다리 각각을 회전축으로 발목 회전운동을 수행할 수 있다.
도 5c를 참조하면, 제1 연결부(351)와 제2 연결부(352)는 사용자에 의하여 발 길이 방향으로 슬라이딩되어 사용자의 후면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제1 연결부(351)는 발가락 인접 부분이 제1 지지축(131), 즉, 제1 기어(111)의 회전축과 일치되도록 위치가 조절될 수 있다. 그리고, 제2 연결부(352)는 발가락 인접 부분이 제2 지지축(132), 즉, 제4 기어(114)의 회전축과 일치되도록 위치가 조절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왼발과 오른발은 발의 앞쪽 부분, 즉, 발가락과 인접한 부분을 회전축으로 회전운동할 수 있다. 이에, 발가락은 회전을 거의하지 않을 수 있고, 발꿈치 부분 즉, 발의 뒤쪽 부분이 큰 회전 각도로 회전운동할 수 있다.
도 5d를 참조하면, 제1 연결부(351)와 제2 연결부(352)는 서로 다른 방향으로 슬라이딩될 수 있다. 제1 연결부(351)는 사용자의 정면 방향으로 이동되고, 제2 연결부(352)는 사용자의 후면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이에, 제1 연결부(351)는 발꿈치 인접 부분이 제1 기어(111)의 회전축과 일치되고, 제2 연결부(352)는 발가락 인접 부분이 제4 기어(114)의 회전축과 일치되도록 위치가 조절될 수 있다. 제1 연결부(351)에 안착되는 왼발은 발의 뒤쪽 부분을 회전축으로 회전운동하고, 제2 연결부(352)에 안착되는 오른발은 발의 앞쪽 부분을 회전축으로 회전운동할 수 있다.
이처럼, 제1 연결부(351)와 제2 연결부(352)는 발 길이 방향으로 사용자의 정면 또는 후면으로 슬라이딩될 수 있고, 슬라이딩되는 정도 또한 자유롭게 조절될 수 있다. 이에, 제1 연결부(351) 및 제2 연결부(352)에 안착되는 왼발 및 오른발의 회전축은 발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될 수 있다. 이처럼 제1 연결부(351)와 제1 지지축(131)의 연결 부분 및 제2 연결부(352)와 제2 지지축(132)의 연결 부분이 발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됨으로써, 보다 다양한 발목의 회전을 유도할 수 있고, 사용자의 발목 가동 범위와 각도를 다양하게 발전시킬 수 있다.
도 4 내지 도 5d의 신체 운동 장치(300)에는 도 3에서 설명한 발 길이 방향으로의 지면과의 기울기가 조절되는 연결부의 기술적 특징이 결합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신체 운동 장치의 연결부는 발 길이 방향으로 지면과의 기울기가 자유롭게 조절됨과 동시에, 발 길이 방향으로 회전축의 위치가 조절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신체 운동 장치는 연결부의 회전 속도와 회전 각도가 조절될 수 있다. 신체 운동 장치는 사용자로부터 연결부의 회전 속도를 낮추거나 높이는 신호를 수신하고, 이에 대응하여 연결부의 회전 속도를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신체 운동 장치는 사용자로부터 연결부의 회전 각도를 낮추거나 높이는 신호를 수신하고, 이에 대응하여 연결부의 회전 각도를 조절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신체 운동 장치는, 사용자의 연령, 성별, 관절 가동 범위에 대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신체 운동 장치는 제1 연결부(151) 및 제2 연결부(152)가 제1 기어(111), 제2 기어(112), 제3 기어(113) 및 제4 기어(114) 중 어느 기어와 중첩되도록 위치하는지 저장할 수 있다. 그리고, 신체 운동 장치는 제1 연결부(151) 및 제2 연결부(152)의 지면을 기준으로 기울어진 정도나 지지축의 결합 위치를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신체 운동 장치는 각 위치에서의 제1 연결부(151) 및 제2 연결부(152) 각각의 회전 가능 각도를 저장할 수 있다. 회전 가능 각도는 특정 사용자의 최대 회전 각도로서 관절이 최대로 회전될 경우의 회전 각도일 수 있다. 이러한 사용자의 데이터는 날짜 및 시간과 함께 저장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신체 운동 장치는 사용자의 운동 데이터를 외부 데이터 베이스에 송신할 수 있다. 외부 데이터 베이스에는 다른 사용자의 과거 운동 데이터가 저장되어 있을 수 있고, 신체 운동 장치는 다른 사용자의 과거 운동 데이터를 수신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신체 운동 장치는 사용자의 운동 데이터 및 다른 사용자의 운동 데이터를 이용하여 성별과 연령별 손가락, 손목, 발목, 목 등의 다양한 관절 가동 범위에 대한 데이터를 제공할 수 있다. 관절의 가동 범위에 대한 데이터는 표나 그래프의 형태로 제공될 수 있으며, 특정 성별과 연령의 전체 사용자의 제1 연결부(151) 및 제2 연결부(152)의 특정 위치와 기울기에서의 관절 가동 범위의 평균 데이터를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가 다른 사용자의 평균 데이터 중 상위 또는 하위 몇 퍼센트에 위치하는지에 대한 정보를 더 제공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신체 운동 장치는 다른 사용자의 평균 데이터 및 사용자의 과거 운동 데이터를 이용하여 추천 관절 회전 운동을 제공할 수 있다. 추천 회전 운동은 제1 연결부(151) 및 제2 연결부(152)의 위치, 기울어진 정도 및 회전 각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신체 운동 장치는 추천 관절 회전 운동에 따라 운동한 사용자의 피드백을 더 수신할 수 있다. 사용자의 피드백은 추천 회전 운동의 만족도, 추천 발목 운동을 수행하는 도중 연결부의 위치, 기울어진 정도, 연결부의 회전 각도, 회전 속도 등의 변경에 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신체 운동 장치는 이러한 사용자의 피드백을 반영하여 후에 새로운 추천 회전 운동을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사용자가 추천 회전 운동 중 회전 속도과 회전 각도를 작게 변경한 경우, 새로운 추천 회전 운동은 회전 속도와 회전 각도가 작게 조절된 운동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신체 운동 장치는, 나란히 차례로 배치되어 인접한 기어가 치 결합되는 제1 기어, 제2 기어, 제3 기어 및 제4 기어, 제1 기어의 회전축과 결합되어 제1 기어의 회전에 따라 회전운동하는 제1 연결부, 및 제4 기어의 회전축과 결합되어 제4 기어의 회전에 따라 회전운동하는 제2 연결부를 포함하고, 제1 기어 및 제4 기어의 크기는 동일하고, 제2 기어 및 제3 기어의 크기는 동일하며, 제1 기어 및 제4 기어의 크기는 제2 기어 및 제3 기어의 크기보다 클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제1 기어 및 제4 기어는 회전 각도가 동일하고, 제2 기어 및 제3 기어는 회전 각도가 동일하며, 제1 기어 및 제4 기어의 회전 각도는 제2 기어 및 제3 기어의 회전 각도보다 클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신체 운동 장치는 제1 연결부의 발 길이 방향으로의 지면과의 기울기를 조절하는 제1 기울기 조절부, 및 제2 연결부의 발 길이 방향으로의 지면과의 기울기를 조절하는 제2 기울기 조절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신체 운동 장치는 제1 직경의 제1 기어 및 제4 기어, 제1 직경보다 작은 제2 직경의 제2 기어 및 제3기어, 제1 기어의 회전축과 결합하여 제1 기어의 회전에 대응하여 회전하는 제1 연결부, 제4 기어의 회전축과 결합하여 제4 기어의 회전에 대응하여 회전하는 제2 연결부를 포함하고, 제1 기어는 제2 기어와 치 결합되고, 제2 기어는 제3 기어와 치 결합되고, 제3 기어는 제4 기어와 치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제1 연결부 및 제2 연결부는 발 길이 방향으로 지면과의 기울기가 조절 가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제1 연결부 및 제2 연결부는 발 길이 방향으로 회전축이 이동 가능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이 구체적인 구성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 예 및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이 상기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을 꾀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상기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되며, 후술하는 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청구범위와 균등하게 또는 등가적으로 변형된 모든 것들은 본 발명의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00, 200, 300: 신체 운동 장치
111: 제1 기어
112: 제2 기어
113: 제3 기어
114: 제4 기어
121: 제1 결합부
122: 제2 결합부
123: 제3 결합부
124: 제4 결합부
131: 제1 지지축
132: 제2 지지축
241: 제1 기울기 조절부
151, 251, 351: 제1 연결부
152, 352: 제2 연결부
D1: 제1 방향
D2: 제2 방향
A1: 제1 회전 각도
A2: 제2 회전 각도

Claims (6)

  1. 나란히 차례로 배치되어 인접한 기어가 치 결합되는 제1 기어, 제2 기어, 제3 기어 및 제4 기어;
    상기 제1 기어의 회전축과 결합되어 상기 제1 기어의 회전에 따라 회전운동하는 제1 연결부; 및
    상기 제4 기어의 회전축과 결합되어 상기 제4 기어의 회전에 따라 회전운동하는 제2 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기어 및 상기 제4 기어의 크기는 동일하고, 상기 제2 기어 및 상기 제3 기어의 크기는 동일하며,
    상기 제1 기어 및 상기 제4 기어의 크기는 상기 제2 기어 및 상기 제3 기어의 크기보다 큰, 신체 운동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기어 및 상기 제4 기어는 회전 각도가 동일하고, 상기 제2 기어 및 상기 제3 기어는 회전 각도가 동일하며,
    상기 제1 기어 및 상기 제4 기어의 상기 회전 각도는 상기 제2 기어 및 상기 제3 기어의 상기 회전 각도보다 큰, 신체 운동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연결부의 발 길이 방향으로의 지면과의 기울기를 조절하는 제1 기울기 조절부; 및
    상기 제2 연결부의 발 길이 방향으로의 상기 지면과의 기울기를 조절하는 제2 기울기 조절부를 더 포함하는, 신체 운동 장치.
  4. 제1 직경의 제1 기어 및 제4 기어;
    상기 제1 직경보다 작은 제2 직경의 제2 기어 및 제3기어;
    상기 제1 기어의 회전축과 결합하여 상기 제1 기어의 회전에 대응하여 회전하는 제1 연결부;
    상기 제4 기어의 회전축과 결합하여 상기 제4 기어의 회전에 대응하여 회전하는 제2 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기어는 상기 제2 기어와 치 결합되고, 상기 제2 기어는 상기 제3 기어와 치 결합되고, 상기 제3 기어는 상기 제4 기어와 치결합되는, 신체 운동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연결부 및 상기 제2 연결부는 발 길이 방향으로 지면과의 기울기가 조절 가능한, 신체 운동 장치.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연결부 및 상기 제2 연결부는 발 길이 방향으로 회전축이 이동 가능한, 신체 운동 장치.
KR1020200042828A 2020-04-08 2020-04-08 신체 운동 장치 KR102478634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42828A KR102478634B1 (ko) 2020-04-08 2020-04-08 신체 운동 장치
PCT/KR2021/003700 WO2021206327A1 (ko) 2020-04-08 2021-03-25 신체 운동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42828A KR102478634B1 (ko) 2020-04-08 2020-04-08 신체 운동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25293A true KR20210125293A (ko) 2021-10-18
KR102478634B1 KR102478634B1 (ko) 2022-12-15

Family

ID=780240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42828A KR102478634B1 (ko) 2020-04-08 2020-04-08 신체 운동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478634B1 (ko)
WO (1) WO2021206327A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126191A (ja) * 2001-10-26 2003-05-07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訓練装置
JP2004261256A (ja) * 2003-02-28 2004-09-24 Shinwa Seiko:Kk 足首運動装置
KR20160086564A (ko) * 2015-01-12 2016-07-20 하보경 발치기 운동기구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92064B1 (ko) * 2001-09-11 2003-07-23 주식회사 지인텍 다리 운동장치
KR101619745B1 (ko) * 2014-09-25 2016-05-12 신광의료기산업(주) 발목 운동기구
KR20160062275A (ko) * 2014-11-24 2016-06-02 주식회사 코너스톤 발운동 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126191A (ja) * 2001-10-26 2003-05-07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訓練装置
JP2004261256A (ja) * 2003-02-28 2004-09-24 Shinwa Seiko:Kk 足首運動装置
KR20160086564A (ko) * 2015-01-12 2016-07-20 하보경 발치기 운동기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78634B1 (ko) 2022-12-15
WO2021206327A1 (ko) 2021-10-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220246B2 (en) Portable sit-stand elliptical exercise machine
US9700756B2 (en) Balance board for exercise and physical therapy
US7097591B2 (en) Adjustable stride elliptical motion exercise machine and associated methods
US7645216B2 (en) Dual cam exercise device method and apparatus
US7094182B1 (en) Wrist and forearm exercising apparatus
US8758205B2 (en) Reversibly slide-swingable balance-training apparatus
US10625113B2 (en) Upper leg and hip exercise method and device to preserve knee and ankle joint while exercising
US7455623B2 (en) Elliptical machine
US20090111660A1 (en) Rehabilitation and exercise apparatus
WO2014099181A1 (en) Total body exercise device
JP3200800U (ja) 運動用器具
KR20210125293A (ko) 신체 운동 장치
KR101711208B1 (ko) 허리트위스트가 가능한 물구나무서기 운동기구용 등받이
KR101595535B1 (ko) 발끝치기 운동장치
CN208552976U (zh) 一种护理康复锻炼仪器
US20190217152A1 (en) Exercise method and exercise device for exercising upper leg portions and hips while protecting knee and ankle joints
TWI664993B (zh) 腳踏器結構
US20150335976A1 (en) Golf swing wrist condition training device
US11883712B2 (en) Foot-pedaling exercise apparatus
JP2019130274A (ja) 指力トレーニング器
CN203404233U (zh) 滑动枢纽器及具有该滑动枢纽器的电子设备
TWM513712U (zh) 運動裝置
KR102530248B1 (ko) 다리 교정 장치
CN219481496U (zh) 腿部支撑机构及具有其的游泳训练装置
KR102474097B1 (ko) 다리 교정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