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25069A - 렌즈 오더 시스템, 렌즈 오더 방법, 프로그램 및 데이터 구조 - Google Patents

렌즈 오더 시스템, 렌즈 오더 방법, 프로그램 및 데이터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25069A
KR20210125069A KR1020217028979A KR20217028979A KR20210125069A KR 20210125069 A KR20210125069 A KR 20210125069A KR 1020217028979 A KR1020217028979 A KR 1020217028979A KR 20217028979 A KR20217028979 A KR 20217028979A KR 20210125069 A KR20210125069 A KR 2021012506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lens
user
storage unit
mi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70289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79621B1 (ko
Inventor
신스케 이토
Original Assignee
미쯔이가가꾸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쯔이가가꾸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미쯔이가가꾸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101250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2506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796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7962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7/00Optical parts
    • G02C7/02Lenses; Lens systems ; Methods of designing lenses
    • G02C7/024Methods of designing ophthalmic lenses
    • G02C7/027Methods of designing ophthalmic lenses considering wearer's parameter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MTESTING STATIC OR DYNAMIC BALANCE OF MACHINES OR STRUCTURES; TESTING OF STRUCTURES OR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M11/00Testing of optical apparatus; Testing structures by optical metho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M11/02Testing optical properties
    • G01M11/0228Testing optical properties by measuring refractive power
    • G01M11/0235Testing optical properties by measuring refractive power by measuring multiple properties of lenses, automatic lens meters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7/00Optical parts
    • G02C7/02Lenses; Lens systems ; Methods of designing lenses
    • G02C7/024Methods of designing ophthalmic lenses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7/00Optical parts
    • G02C7/10Filters, e.g. for facilitating adaptation of the eyes to the dark; Sunglass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NCOMPUTING ARRANGEMENTS BASED ON SPECIFIC COMPUTATIONAL MODELS
    • G06N3/00Computing arrangements based on biological models
    • G06N3/02Neural networks
    • G06N3/08Learning metho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06Q30/0621Item configuration or customization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2202/00Generic optical aspects applicable to one or more of the subgroups of G02C7/00
    • G02C2202/06Special ophthalmologic or optometric aspects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7/00Optical parts
    • G02C7/10Filters, e.g. for facilitating adaptation of the eyes to the dark; Sunglasses
    • G02C7/104Filters, e.g. for facilitating adaptation of the eyes to the dark; Sunglasses having spectral characteristics for purposes other than sun-protection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Financ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Marketing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Biophys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Evolutionary Computation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Eyeglasses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렌즈 오더 시스템은 컴퓨터를 구비하고 있고, 상기 컴퓨터는 CPU와, 기억부와, 상기 CPU에 의해 실행되는 선정부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기억부에는, 유저에 관한 기본 정보와, 유저가 원하는 렌즈의 용도에 관한 용도 정보, 그리고 유저의 눈을 포함하는 심신의 증상 및 상태를 포함하는 심신 정보 중 적어도 한쪽을 포함하는 유저 정보에 기초하여, 렌즈의 재료에 사용되는 수지의 재료의 종류, 색소의 종류 및 코팅의 종류를 포함하는 렌즈 정보를 결정할 수 있는 데이터가 기억되어 있다. 상기 선정부는, 유저에 대하여 취득한 상기 유저 정보와, 상기 기억부에 기억되어 있는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렌즈 정보를 결정하고 출력한다.

Description

렌즈 오더 시스템, 렌즈 오더 방법, 프로그램 및 데이터 구조
본 개시는, 렌즈 오더 시스템, 렌즈 오더 방법, 프로그램 및 데이터 구조에 관한 것이다.
종래, 렌즈의 착색에 관한 착색 정보에 기초하여, 렌즈를 착색하는 시스템에 관한 일본 특허 공개 제2000-325840호 공보의 기술이 있다.
렌즈는, 렌즈를 조립하는 안경을 착용하는 유저의 용도 및 심신의 상태에 맞게 적절한 재료, 색소, 코팅을 선택하여 렌즈 가공을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디지털 디바이스의 디스플레이가 발하는 광(예를 들어 460nm 부근의 파장을 갖는 광)은, 안정(眼精) 피로 등의 원인이 되는 것이 시사되어 있고, 인체에 대하여 바람직하지 않은 광이라고 생각된다. 이러한 인체에 대하여 바람직하지 않은 광을 차폐하는 렌즈 가공을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안정 피로 등에 고민하는 유저의 요구에 따른 렌즈 가공은, 소위 퀄러티·오브·라이프를 향상시키기 위해 필요한 사회적인 과제라고도 할 수 있다.
렌즈 가공은 렌즈를 특정한 색소 및 두께로 하고, 특정한 파장을 커트하는 기술이 있다.
예를 들어, 국제 공개 WO2014-133111호 공보에는, 디스플레이 등의 사용에 수반되는 눈의 피로, 통증이 발생하는 경우 등의 심신의 상태를 고려한 렌즈 가공에 대하여, 소위 블루 라이트 커트를 실시하는 렌즈 가공이 제안되어 있다. 또한, 눈의 장애(노인성 황반 변성 등) 예방을 고려한 렌즈 가공이 제안되어 있다.
또한, 국제 공개 WO2015-37628호 공보에는, 개일(槪日) 리듬을 정상적으로 유지하는 렌즈 가공이 제안되어 있다. 수면 장애에 대하여, 야간의 광 폭로에 의한 멜라토닌 분비 저해를 억제하는 렌즈 가공이 제안되어 있다.
또한, 국제 공개 WO2015-37627호 공보에는, 편두통을 예방, 억제하는 렌즈 가공이 제안되어 있다. 나이트 드라이브 등의 용도로서 사용할 수 있는 동공 광반사를 억제하는 렌즈 가공이 제안되어 있다.
이상과 같이, 렌즈 가공에 있어서 고려해야 할 요소는 다방면에 걸쳐 있고, 이들을 모두 고려하여 어떻게 렌즈 가공을 실시하면 좋을지를 판단하기가 곤란하다. 그래서, 렌즈 가공을 서포트 또는 제안하는 시스템이 요구된다.
본 개시의 과제는, 복수의 항목을 고려하여, 유저에게 권장되는 렌즈 정보를 제시할 수 있는 렌즈 오더 시스템, 렌즈 오더 방법, 프로그램 및 데이터 구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개시의 렌즈 오더 시스템은 컴퓨터를 구비하고 있고, 상기 컴퓨터는 CPU와, 기억부와, 상기 CPU에 의해 실행되는 선정부를 구비하고 있고, 상기 기억부에는, 유저에 관한 기본 정보와, 유저가 원하는 렌즈의 용도에 관한 용도 정보, 그리고 유저의 눈을 포함하는 심신의 증상 및 상태를 포함하는 심신 정보 중 적어도 한쪽을 포함하는 유저 정보에 기초하여, 렌즈의 재료에 사용되는 수지의 재료의 종류, 색소의 종류 및 코팅의 종류를 포함하는 렌즈 정보를 결정할 수 있는 데이터가 기억되고, 상기 선정부는, 유저에 대하여 취득한 상기 유저 정보와, 상기 기억부에 기억되어 있는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렌즈 정보를 결정하고 출력하는 렌즈 오더 시스템이다.
또한, 본 개시의 렌즈 오더 시스템은, 상기 컴퓨터는 취득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취득부는 입력에 의해, 상기 유저 정보 중, 상기 용도 정보 및 상기 심신 정보 중 적어도 한쪽을 소정의 순서로 취득할 수 있다.
또한, 본 개시의 렌즈 오더 시스템은, 상기 데이터는, 상기 용도 정보 및 상기 심신 정보 중 적어도 한쪽을 포함하는 상기 유저 정보로부터 상기 렌즈 정보를 출력하도록 미리 학습한 학습 완료 모델이며, 상기 용도 정보 및 상기 심신 정보의 각각의 가중치와, 상기 렌즈의 상기 재료의 종류, 상기 색소의 종류 및 상기 코팅의 종류의 정해 데이터를 학습 데이터로서 사용하여, 뉴럴 네트워크 모델의 가중치 파라미터를 심층 학습의 방법에 의해 학습한 학습 완료 모델로 하고, 상기 선정부는, 유저에 대하여 취득한 상기 유저 정보를 상기 학습 완료 모델에의 입력으로 하여, 상기 학습 완료 모델로부터 출력된 상기 렌즈 정보로서 결정할 수 있다.
또한, 본 개시의 렌즈 오더 시스템은, 상기 컴퓨터는 수집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수집부는, 단말기에 있어서 입력된, 유저의 상기 유저 정보를 네트워크를 통해 수집하고, 상기 기억부에 기록하고, 상기 선정부는, 상기 기억부에 기록된 유저의 상기 유저 정보와, 상기 기억부에 기록된 상기 데이터를 대조하여, 유저의 상기 렌즈 정보를 결정할 수 있다.
또한, 본 개시의 렌즈 오더 방법은, 컴퓨터의 기억부에 기억된, 유저에 관한 기본 정보와, 유저가 원하는 렌즈의 용도에 관한 용도 정보, 그리고 유저의 눈을 포함하는 심신의 증상 및 상태를 포함하는 심신 정보 중 적어도 한쪽을 포함하는 유저 정보에 기초하여, 렌즈의 재료에 사용되는 수지의 재료의 종류, 색소의 종류 및 코팅의 종류를 포함하는 렌즈 정보를 결정할 수 있는 데이터와, 유저에 대하여 취득한 상기 유저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렌즈 정보를 결정하고 출력하는 처리를 컴퓨터에 실행시킨다.
또한, 본 개시의 프로그램은 컴퓨터를, 기억부와 선정부를 구비하는 렌즈 오더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컴퓨터의 기억부에 기억된, 유저에 관한 기본 정보와, 유저가 원하는 렌즈의 용도에 관한 용도 정보, 그리고 유저의 눈을 포함하는 심신의 증상 및 상태를 포함하는 심신 정보 중 적어도 한쪽을 포함하는 유저 정보에 기초하여, 렌즈의 재료에 사용되는 수지의 재료의 종류, 색소의 종류 및 코팅의 종류를 포함하는 렌즈 정보를 결정할 수 있는 데이터와, 유저에 대하여 취득한 상기 유저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렌즈 정보를 결정하고 출력하는 상기 선정부로서 기능시키는 프로그램이다.
또한, 본 개시의 데이터 구조는, 기억부와 선정부와 표시부를 갖는 렌즈 오더 시스템이, 렌즈의 가공에 관한 정보를 결정하는 처리를 행할 때에 사용되는, 유저 정보를 포함하는 데이터 구조이며, 당해 데이터 구조는, 유저에 관한 기본 정보와, 유저가 원하는 렌즈의 용도에 관한 용도 정보, 그리고 유저의 눈을 포함하는 심신의 증상 및 상태를 포함하는 심신 정보 중 적어도 한쪽을 포함하는 유저 정보와, 렌즈의 재료에 사용되는 수지의 재료의 종류, 색소의 종류 및 코팅의 종류를 포함하는 렌즈 정보를 갖고, 상기 기억부에는, 상기 유저 정보로부터, 상기 렌즈 정보를 결정할 수 있는 데이터가 미리 기억되고, 상기 선정부에, 유저에 대하여 취득한 상기 유저 정보가 입력되면, 상기 기억부에 기억되어 있는 상기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렌즈 정보를 결정시키고, 상기 표시부에, 상기 선정부에서 결정시킨 상기 렌즈 정보를 출력시키는 데이터 구조이다.
본 개시의 생체 정보 취득 방법, 렌즈 오더 시스템, 렌즈 오더 방법, 프로그램 및 데이터 구조에 의하면, 복수의 항목을 고려하여, 유저에게 권장되는 렌즈 정보를 제시할 수 있다는 효과가 얻어진다.
도 1은 제1 실시 형태의 렌즈 오더 장치의 시스템 구성의 일례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실시 형태의 렌즈 오더 장치로서 기능하는 컴퓨터의 개략 블록도이다.
도 3은 모델의 입출력의 이미지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취득부의 입력 인터페이스의 화면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취득부의 입력 인터페이스의 화면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취득부의 입력 인터페이스의 화면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취득부에 있어서 증상의 입력을 접수하는 경우의 입력 인터페이스의 화면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취득부에 있어서 증상의 입력을 접수하는 경우의 입력 인터페이스의 화면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는 취득부에 있어서 증상의 입력을 접수하는 경우의 입력 인터페이스의 화면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은 취득부에 있어서 증상의 입력을 접수하는 경우의 입력 인터페이스의 화면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은 취득부에 있어서 증상의 입력을 접수하는 경우의 입력 인터페이스의 화면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2는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렌즈 오더 장치에 의해 실행되는 처리 루틴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3은 제2 실시 형태의 렌즈 오더 시스템의 시스템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14는 제2 실시 형태에 따른 렌즈 오더 장치에 의해 실행되는 처리 루틴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본 실시 형태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실시 형태의 렌즈 오더 장치는, 입력된 유저에 관한 유저 정보에 기초하여, 권장되는 렌즈 정보를 출력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의 유저는, 예를 들어 안경점에서 커스텀 오더의 렌즈를 구입하려고 하는 고객이다.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시스템 구성>
도 1은, 제1 실시 형태의 렌즈 오더 장치(10)의 시스템 구성의 일례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1에 나타내는 구성의 렌즈 오더 장치(10)는, CPU와, RAM과, 후술하는 각 처리 루틴을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 및 각종 데이터를 기억한 ROM을 포함하는 컴퓨터로 구성할 수 있다. 렌즈 오더 장치(10)가 렌즈 오더 시스템의 일례이다.
예를 들어, 렌즈 오더 장치(10)는 도 2에 나타내는 컴퓨터(50)로 실현할 수 있다. 컴퓨터(50)는 CPU(51), 일시 기억 영역으로서의 메모리(52), 및 불휘발성의 기억부(53)를 구비한다. 또한, 컴퓨터(50)는, 입출력 장치 등(도시 생략)이 접속되는 입출력 interface(I/F)(54) 및 기록 매체에 대한 데이터의 읽어들임 및 기입을 제어하는 read/write(R/W)부(55)를 구비한다. 또한, 컴퓨터(50)는 인터넷 등의 네트워크에 접속되는 네트워크 I/F(56)를 구비한다. CPU(51), 메모리(52), 기억부(53), 입출력 I/F54, R/W부(55) 및 네트워크 I/F(56)는, 버스(57)를 통해 서로 접속된다.
기억부(53)는 Hard Disk Drive(HDD), solid state drive(SSD), 플래시 메모리 등에 의해 실현할 수 있다. 기억 매체로서의 기억부(53)에는, 컴퓨터(50)를 기능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억되어 있다. CPU(51)는 프로그램을 기억부(53)로부터 독출하여 메모리(52)에 전개하고, 프로그램이 갖는 프로세스를 순차로 실행한다.
이상이 도 2에 있어서의 컴퓨터의 전기적인 구성의 일례의 설명이다.
이하, 도 1의 렌즈 오더 장치(10)에 있어서의 각 처리부에 대하여 설명한다. 렌즈 오더 장치(10)는 기능적으로는 도 1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데이터 기억부(22)와, 취득부(28)와, 선정부(30)와, 표시부(32)를 구비하고 있다.
데이터 기억부(22)에는, 유저 정보를 입력으로 하여, 렌즈 정보를 출력하는 학습 완료 모델이 저장되어 있다. 유저 정보는 기본 정보와 용도 정보와 심신 정보를 포함한다. 기본 정보는 유저의 시력에 따른 도수, 난시, 연령, 성별, 처방전, 프레임 종류 등의 정보이다. 용도 정보는 유저가 원하는 렌즈의 용도의 종류, 예를 들어 「드라이브」, 「스포츠」, 「사무 작업(PC 작업)」 등에 관한 정보이다. 심신 정보는 유저의 눈을 포함하는 심신의 증상 및 상태를 포함하는 정보이며, 예를 들어 「백내장」, 「편두통」, 「안정 피로」 등의 정보이다. 렌즈 정보는 렌즈의 재료에 사용되는 수지의 재료의 종류, 색소의 종류 및 코팅의 종류 등을 포함한다. 수지의 재료의 종류로서는, 예를 들어 폴리우레탄, 아크릴레이트, 폴리올레핀 등을 들 수 있다. 색소의 종류로서는, 예를 들어 Tinuvin326(BASF 재팬 가부시키가이샤제), FDB-001 등의 FDB 시리즈(야마다 가가쿠 고교 가부시키가이샤제), FDG-001 등의 FDG 시리즈(야마다 가가쿠 고교 가부시키가이샤제), FDR-001 등의 FDR 시리즈(야마다 가가쿠 고교 가부시키가이샤제) 등을 들 수 있다. 코팅의 종류로서는, 예를 들어 코팅층으로서의, 프라이머층, 하드 코팅층, 반사 방지층, 방담 코팅층, 방오염층, 발수층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재료의 종류, 색소의 종류 및 코팅의 종류를 조합함으로써, 용도 정보 및 심신 정보에 따른 렌즈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특허문헌 2 등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블루 라이트의 파장 커트, 노인성 황반 변성 등의 눈의 장애 예방, 수면 장애, 동공 반사의 억제와 같은 가공이 되는 렌즈 정보이다. 또한, 렌즈 정보에는, 또한 렌즈의 염색성에 관한 정보, 및 특정한 색소와 특정한 수지의 상성을 나타내는 수지의 용해성에 관한 정보를 포함한다. 렌즈의 염색성에 관한 정보란, 예를 들어 렌즈의 수지종에 따른 컬러 렌즈의 색 견본에 대응한 렌즈의 배색, 농도 및 톤 등을 나타내는 정보이다. 이러한 염색성에 관한 정보를 포함함으로써, 렌즈를 염색하는 용도, 또는 옵션이 지정된 경우 등의 피드백이 가능해진다. 특정한 색소와 특정한 수지의 상성을 나타내는 수지의 용해성에 관한 정보란, 예를 들어 어떤 색소는 어떤 수지의 모노머에 용해되지 않는 특성이 있는 등의 관계를 나타내는 정보이다. 이러한 용해성에 관한 정보를 포함함으로써, 증상에 따라서 특정한 색소가 필요한 경우 등의 피드백이 가능해진다. 또한, 이들 렌즈 정보는 어디까지나 예시이다.
모델의 학습은, 용도 정보 및 심신 정보의 각각의 가중치와, 렌즈의 재료의 종류, 색소의 종류 및 코팅의 종류 등의 정해 데이터를 학습 데이터로서 사용하여, 심층 학습의 방법에 의해, 뉴럴 네트워크 모델의 가중치 파라미터를 학습해두면 된다. 심층 학습의 방법은 GAN(Generative Adversarial Network) 또는 LSTM(Long Short-Term Memory) 등 어떠한 방법을 사용해도 된다.
도 3은 모델의 입출력의 이미지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입력되는 유저 정보는, 안과 병원의 진찰로부터 취득할 수 있는 정보의 요소와, 점포에서 유저에 대한 앙케이트 등에 의해 취득할 수 있는 정보의 요소로 나뉜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입력의 요소의 각각이, 복수의 출력의 요소의 조정 파라미터가 되는 경우도 있다. 예를 들어, 안과 병원의 정보에서, 눈의 영향에 의한 「편두통」이라는 진단이 있었을 경우에는, 입력의 심신 정보인 「편두통」이라는 요소가, 색소의 종류로서 「색소의 종류·기능」 및 「색소의 양」의 요소의 파라미터에 영향을 미친다. 「색소의 종류·기능」 및 「색소의 양」의 요소는, 「편두통」을 완화시키는 파라미터로 조정되도록 모델의 가중치를 학습해둔다. 이렇게 학습해둔 학습 완료 모델을 사용함으로써, 유저 정보의 심신 정보로서 「편두통」을 포함하는 입력을 접수한 경우에, 학습 완료 모델은 「편두통」에 대응한 색소의 종류를 출력할 수 있다. 모델은 복수의 입력의 요소가 있기 때문에, 입력의 요소 각각의 영향을 조정하도록 학습해둔다. 예를 들어, 학습용 데이터의 입력의 요소에, 우선도 및 가중치 파라미터를 정하여 모델을 학습한다. 우선도 및 가중치 파라미터는 유저가 최종적으로 선택한 렌즈 정보에 기초하여 조정한다. 또한, 예를 들어 점포에서 유저에 대한 앙케이트 등으로부터 얻어진 정보에 기초하여, 유저의 「두통」의 증상이 광과민성 편두통일 가능성이 높다고 판단되는 경우가 있다. 그 경우에는, 학습 완료 모델의 출력에 있어서, 안과의의 진단을 재촉함과 함께, 상기 안과 병원의 정보에 기초하여 학습 완료 모델이 「편두통」에 대응한 색소의 종류를 출력하는 경우와 마찬가지의 처리를 행해도 된다.
또한, 데이터 기억부(22)에는, 학습 완료 모델 대신에, 유저 정보와, 렌즈 정보의 조합의 각각을 기록한 테이블 형식의 데이터를 기억해두게 해도 된다. 이 경우에는, 조합에 대한 조정을 부여하는 항목으로서, 입력의 각 요소의 조합에 따른 출력의 요소의 룰을 기억해두게 해도 된다.
또한, 데이터 기억부(22)에는, 취득된 유저 정보 중 기본 정보의 이력을 기록한 고객 데이터베이스를 갖는다. 또한, 고객 데이터베이스에는, 최종적으로 결정된 렌즈 정보도 기록해둔다.
취득부(28)는 입력에 의해, 유저 정보 중, 용도 정보 및 심신 정보 중 적어도 한쪽을 소정의 순서로 취득한다. 또한, 취득부(28)는, 유저의 유저 정보 중 기본 정보가 없을 경우에는, 전제가 되는 유저의 기본 정보를 취득하고, 데이터 기억부(22)의 고객 데이터베이스에 기록한다.
도 4 내지 도 6은, 취득부(28)의 입력 인터페이스의 화면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 내지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취득부(28)의 인터페이스는, 유저가 각 항목의 입력이 가능한 터치 패널 등의 인터페이스이다. 도 4에 나타내는 인터페이스 화면에서는, 「용도」, 「증상 등」, 「용도, 증상 등」 중 어느 것을 선택한다. 유저가, 예를 들어 「용도」를 선택하면, 다음은 도 5의 좌측에 나타내는 인터페이스 화면으로 천이한다. 도 5에 나타내는 인터페이스 화면에서는, 용도로서 대항목의 「드라이브」, 「스포츠」, 「사무 작업(PC 작업)」 등의 용도의 종류의 선택을 접수한다. 유저가, 예를 들어 「스포츠」를 선택한 후에 「다음으로」를 터치하면, 다음 인터페이스 화면으로 천이한다. 다음 인터페이스 화면에서는, 「스포츠」 용도의 종류의 중·소 항목의 상세 선택을 접수한다. 도 5의 우측의 다음의 인터페이스 화면에서, 용도의 종류 상세를 선택한 후에 「다음으로」를 터치하면, 다음은 도 6에 나타내는 인터페이스 화면으로 천이한다. 도 6에 나타내는 인터페이스 화면에서는, 렌즈 사양의 옵션을 선택한다.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옵션으로서는, 예를 들어 「광투과율」, 「컬러 콘트라스트」, 「기타 등」의 선택을 접수한다. 또한, 선택에 따라서 주석을 표시한다. 예를 들어, 「편광」을 선택하면 「편광 필름을 추가하면, 노면 상의 웅덩이가 잘 보이지 않게 됩니다.」라는 주석을 표시한다. 이 밖에도, 코팅 사양으로서, 블루 라이트 커트, 하드 코팅, 발수, 포토크로믹 등의 선택을 접수하도록 해도 된다. 또한,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사양 결정 보이는 방식을 시뮬레이트한다」를 터치하면, 선정부(30)의 처리의 실행상, 보이는 방식의 시뮬레이트가 실행된다. 시뮬레이트의 예로서는, 예를 들어 외관 또는 보이는 방식 등이다. 외관은, 예를 들어 유저 또는 아바타가 렌즈 정보에 기초하는 렌즈를 구비하는 안경을 쓴 상태의 외관을 표시한다. 또한, 유저가 프레임 정보를 입력하고 있는 경우에는, 렌즈 정보에 기초하는 렌즈와 프레임을 조합한 외관이나, 당해 렌즈와 프레임을 조합한 안경을 쓴 유저 또는 아바타의 외관을 표시한다. 보이는 방식은, 예를 들어 유저가 조작하고 있는 디스플레이에, 화상 또는 영상을 표시하고, 렌즈 정보에 기초하는 렌즈를 사용한 경우와 당해 렌즈를 사용하지 않은 경우의 유저가 보이는 방식의 차이를 표시한다. 화상 또는 영상은 미리 보존해두거나 또는 촬영해둔다. 이 경우, 렌즈 정보에 기초하는 렌즈를 사용하는 경우와 사용하지 않은 경우를 조작 화면 상에서 전환하여 보이는 방식을 비교하는 조작을 유저가 행하도록 해도 되고, 양자를 동일 화면 상에 배열하여 보이는 방식을 비교하는 조작을 유저가 행하도록 해도 된다.
도 7 내지 11은 취득부(28)에 있어서 증상의 입력을 접수하는 경우의 입력 인터페이스의 화면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예를 들어, 도 4에 있어서, 유저가, 예를 들어 「증상 등」을 선택하면, 다음은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증상의 선택 항목을 표시한다. 도 7의 좌측에 나타내는 인터페이스 화면에서는, 증상으로서 「눈부심을 느끼기 쉽다」, 「종종 머리가 아파진다」, 「눈이 피로하기 쉽다」 등의 증상의 종류의 선택을 접수한다. 유저가, 예를 들어 「종종 머리가 아파진다」를 선택한 후에 「다음으로」를 터치하면, 다음 도 7의 우측에 나타내는 인터페이스 화면으로 천이한다. 당해 선택은 유저의 증상인 「두통」에 대응하기 위해서, 이하에서는 증상이 두통인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도 7의 우측에 나타내는 인터페이스 화면에서는, 증상의 부위로서, 「머리의 편측이나 양측」, 「머리의 양측」, 「머리 전체」 등의 부위의 선택을 접수한다. 유저가, 예를 들어 「종종 머리가 아파진다」를 선택한 후에 「다음으로」를 터치하면, 다음 도 8의 좌측에 나타내는 인터페이스 화면으로 천이한다. 도 8의 좌측에 나타내는 인터페이스 화면에서는, 증상의 상태로서, 「맥박이나 혈류에 따른 욱신욱신한 강한 통증」, 「무겁게 조이는 듯한 비교적 가벼운 통증」 등의 상태의 선택을 접수한다. 유저가, 예를 들어 「맥박이나 혈류에 따른 욱신욱신한 강한 통증」을 선택한 후에 「다음으로」를 터치하면, 다음 도 8의 우측에 나타내는 인터페이스 화면으로 천이한다. 도 8의 우측에 나타내는 인터페이스 화면에서는, 관련 증상으로서, 「구역질이 난다」, 「광에 민감해진다」 등의 관련 상태의 선택을 복수 선택 가능하게 하여 접수한다. 관련 증상에 상세가 있는 경우도 있고, 또한 도 8의 우측에는, 「광에 민감해진다」의 선택 항목에 「상세」 버튼이 병설되어 있다.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세」 버튼을 누르면, 관련 증상의 상세를 팝업(또는 다른 화면)으로 표시한다. 유저가, 예를 들어 「종종 머리가 아파진다」를 선택한 후에 「다음으로」를 터치하면, 다음의 인터페이스 화면으로 천이한다. 다음의 인터페이스 화면에서는 증상의 상태를 선택하기 위한 선택 항목이 표시된다. 유저가 임의의 선택 항목을 선택하여 「다음으로」를 터치하면, 다음 도 10의 좌측에 나타내는 인터페이스 화면으로 천이한다. 도 10의 좌측에 나타내는 인터페이스 화면에서는, 증상의 원인에 관한 질문으로서, 「없음」, 「광(눈부심)을 느낄 때」 등의 짐작되는 어느 증상의 원인의 선택을 접수한다. 유저가, 예를 들어 「광(눈부심)을 느낄 때」를 선택한 후에 「다음으로」를 터치하면, 다음 도 10의 우측에 나타내는 인터페이스 화면으로 천이한다. 도 10의 좌측에 나타내는 인터페이스 화면에서는, 선택한 원인에 관한 자각 증상으로서, 「자주 느껴진다」, 「종종 느껴진다」 등의 원인에 관한 자각 증상의 선택을 접수한다. 유저가 임의의 자각 증상을 선택한 후에 「다음으로」를 터치하면, 다음 도 11에 나타내는 인터페이스 화면으로 천이한다. 도 10의 좌측에 나타내는 인터페이스 화면에서는, 증상에 관한 판단 결과를 표시함과 함께, 렌즈 정보 및 렌즈의 오더로의 유도를 표시한다. 도 11은, 상기 선택에 따른 결과로서, 광과민성 편두통의 가능성이 있는 취지가 판단 결과로서 표시되어 있는 경우의 예이다.
이상과 같이, 취득부(28)의 데이터의 접수의 순서는, 용도에 대항목 및 중·소 항목의 계층을 마련하고, 상위의 계층을 선택하고 하위의 계층을 선택해가도록 설정한다. 또한, 증상에 따라서, 단계적인 데이터의 선택의 접수의 순서를 설정하여, 증상의 진단 결과를 표시하고, 선택에 따라서는 진단 결과에 있어서 안과의로의 수진을 재촉한다. 상기 인터페이스 화면은 기본 정보, 증상 등의 심신 정보를 취득하는 경우에 대해서도 마찬가지이다. 또한, 취득부(28)는 옵션으로서 렌즈 사양을 접수한다. 옵션에서 선택된 렌즈 사양은 출력이 고정된다. 또한, 계층은 상기 우선 순위 및 가중치 등을 고려하여 적절히 설계하면 된다.
선정부(30)는, 취득부(28)에서 취득한 유저 정보를 데이터 기억부(22)에 기억된 학습 완료 모델에의 입력으로 하여, 학습 완료 모델로부터 출력된 렌즈 정보를 결정한다. 선정부(30)는 결정된 렌즈 정보에 의해 시뮬레이트를 실행한다. 선정부(30)는 시뮬레이트 결과를 표시부(32)에 표시시킨다. 선정부(30)는 시뮬레이트 결과가 OK라면, 최종적인 렌즈 정보를 표시부(32)로 출력하고, NG라면, 취득부(28)에 의한 유저 정보의 취득으로 되돌아간다. 학습 완료 모델에 유저 정보인 기본 정보, 용도 정보 및 심신 정보를 입력하면, 학습 완료 모델의 뉴럴 네트워크의 가중치 파라미터에 따라서, 권장되는 렌즈 정보가 출력된다.
표시부(32)는 선정부(30)에 의한 렌즈 정보의 시뮬레이트 결과를 출력한다. 표시부(32)는 선정부(30)에서 최종적으로 결정된 렌즈 정보, 취득한 유저 정보 및 시뮬레이트 결과를 출력한다.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작용>
도 12는, 렌즈 오더 장치(10)에 의해 실행되는 처리 루틴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2를 참조하여, 렌즈 오더 장치(10)의 작용을 설명한다.
스텝 S100에서는, 취득부(28)가 유저에 관한 렌즈의 오더 리퀘스트를 접수하고, 신규 오더인지 여부를 판정한다. 신규 오더인지 여부의 판정은, 데이터 기억부(22)의 고객 데이터베이스를 참조하여 행한다. 신규 오더인 경우에는, 스텝 S102로 이행한다. 신규 오더가 아닐 경우에는, 스텝 S104로 이행한다.
스텝 S102에서는, 취득부(28)가 데이터 기억부(22)의 고객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유저의 기본 정보를 참조한다.
스텝 S104에서는, 취득부(28)가 기본 정보를 취득하기 위한 인터페이스 화면에 의해 입력 및 선택을 접수하고, 유저의 기본 정보를 취득한다.
스텝 S106에서는, 취득부(28)가 용도 정보, 심신 정보, 그리고 용도 정보 및 심신 정보 중 어떤 유저 정보의 종별로부터 렌즈를 선택할지의 선택을 접수한다. 종별은 상기 도 4에 대하여 설명한 인터페이스 화면에 의해 선택을 접수한다.
스텝 S108에서는, 취득부(28)가 선택한 종별에 대하여 대항목의 종류의 선택을 취득한다. 대항목은 도 5에 대하여 설명한 인터페이스 화면에 의한 취득한다. 용도 정보 및 심신 정보의 종별이 선택된 경우에는, 각각에 대하여 취득한다. 다음 스텝에 대해서도 마찬가지이다.
스텝 S110에서는, 취득부(28)가 선택한 종별에 대하여 대항목의 하위 항목인 중·소 항목의 상세 선택을 취득한다.
스텝 S112에서는, 취득부(28)가 옵션의 선택을 취득한다. 옵션은 도 6에 대하여 설명한 인터페이스 화면에 의해 취득한다.
스텝 S114에서는, 선정부(30)가, 취득부(28)에서 취득한 유저 정보를 데이터 기억부(22)에 기억된 학습 완료 모델에의 입력으로 하여, 학습 완료 모델로부터 출력된 렌즈 정보를 시뮬레이트하는 렌즈 정보로서 결정한다.
스텝 S116에서는, 선정부(30)가 결정된 렌즈 정보에 기초하여 시뮬레이트를 실행한다.
스텝 S118에서는, 표시부(32)가 시뮬레이트 결과를 표시한다.
스텝 S120에서는, 취득부(28)가 시뮬레이트 결과가 OK인지 NG인지를 취득하고, OK인 경우에는 스텝 S122로 이행하고, NG인 경우에는 스텝 S106으로 되돌아가서 처리를 반복한다. 또한, 반복에서는, 전회의 선택 이력을 반영해두어도 된다.
스텝 S122에서는, 표시부(32)는 선정부(30)에서 최종적으로 결정된 렌즈 정보, 취득한 유저 정보 및 시뮬레이트 결과를 출력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렌즈 오더 장치(10)에 의하면, 복수의 항목을 고려하여, 유저에게 권장되는 렌즈 정보를 제시할 수 있다.
<제2 실시 형태에 따른 시스템 구성>
제2 실시 형태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3은 제2 실시 형태의 렌즈 오더 시스템의 시스템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1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렌즈 오더 시스템(200)은 복수의 단말기(210)와 렌즈 오더 장치(220)가 네트워크 N을 통해 접속되어 있다. 제2 실시 형태는 상기 제1 실시 형태의 렌즈 오더 장치(10)와 비교하여, 수집부(228)에 의해 유저마다 유저 정보를 수집하고, 렌즈 정보를 단말기(210)에 제시하는 점이 다르다.
단말기(210)는, 유저가 소유하는 스마트폰 단말기, 및 안경의 판매 점포에 할당된 태블릿 단말기 등이다. 단말기(210)는 제1 실시 형태의 취득부(28) 및 표시부(32)와 마찬가지의 인터페이스를 갖는다. 당해 인터페이스에 의해, 유저 정보인 기본 정보, 그리고 용도 정보 및 심신 정보 중 적어도 한쪽의 각각을 취득한다. 또한 당해 인터페이스에 의해, 렌즈 오더 장치(220)로부터 수신한 렌즈 정보를 표시한다. 단말기(210)는 당해 단말기(210)에 취득마다 할당된 식별 정보와 함께 유저 정보를, 렌즈 오더 장치(220)에 송신한다. 식별 정보는 당해 단말기(210)의 식별 정보 및 정보를 취득한 유저의 식별 정보이다.
렌즈 오더 장치(220)의 수집부(228)는 단말기(210)의 각각으로부터, 당해 단말기(210)의 식별 정보와, 유저 정보인 기본 정보, 그리고 용도 정보 및 심신 정보 증 적어도 한쪽의 각각을 수집하고, 식별 정보마다, 유저 정보인 기본 정보, 그리고 용도 정보 및 심신 정보의 각각을 데이터 기억부(22)에 기억한다. 선정부(30)는 데이터 기억부(22)에 기억된 식별 정보마다, 제1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의 처리에 의해, 유저에게 권장되는 렌즈 정보를 결정한다. 송신부(232)는, 식별 정보가 할당되어 있는 단말기(210)에, 당해 식별 정보에 대하여 결정한 렌즈 정보를 송신한다.
<제2 실시 형태에 따른 작용>
도 14는, 제2 실시 형태에 따른 렌즈 오더 장치에 의해 실행되는 처리 루틴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4를 참조하여, 렌즈 오더 장치(220)의 작용을 설명한다. 또한, 단말기(210)는 상술한 스텝 S102 내지 112와 마찬가지의 처리를 행한다. 또한, 시뮬레이트 결과를 받아, 새롭게 유저 정보의 입력을 수정하는 경우에는, 마찬가지의 처리를 하여 송신하면 된다.
스텝 S200에 있어서, 수집부(228)는 단말기(210) 각각으로부터, 당해 단말기(210)의 식별 정보와, 유저 정보인 기본 정보, 용도 정보 및 심신 정보의 각각을 수집한다.
스텝 S202에 있어서, 수집부(228)는 식별 정보마다, 유저 정보인 기본 정보, 용도 정보 및 심신 정보의 각각을 데이터 기억부(22)에 기억한다.
스텝 S204에 있어서, 선정부(30)는 데이터 기억부(22)에 기억된 식별 정보마다, 유저 정보인 기본 정보, 그리고 용도 정보 및 심신 정보 중 적어도 한쪽의 각각을 데이터 기억부(22)에 기억된 학습 완료 모델에의 입력으로 하여, 학습 완료 모델로부터 출력된 렌즈 정보를, 식별 정보의 유저 렌즈 정보로서 결정한다. 또한, 스텝 S204의 처리는 미리 정한 소정의 간격(5분, 10분 또는 20분 등)으로 행하면 된다.
스텝 S206에 있어서, 선정부(30)는 데이터 기억부(22)에 기억된 식별 정보마다, 결정된 렌즈 정보에 기초하여 시뮬레이트를 실행한다.
스텝 S208에 있어서, 송신부(232)는 식별 정보가 할당되어 있는 단말기(210)에, 당해 식별 정보의 유저에 대하여 결정한 렌즈 정보 및 시뮬레이트 결과를 송신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제2 실시 형태에 따른 렌즈 오더 시스템(200)에 의하면, 복수의 항목을 고려하여, 유저마다 권장되는 렌즈 정보를 제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 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요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각종 변형이나 응용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상술한 실시 형태의 선정부에 의한 시뮬레이트 결과에 대하여, 렌즈 오더 장치 또는 단말기에 표시를 하는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였지만 이것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시뮬레이트 결과를, VR(Virtual Reality)에 의한 가상 공간에 렌즈 정보에 기초하는 안경의 3D 모델을 묘화하거나, AR(Augmented Reality)에 의한 확장 현실의 방법에 의해 렌즈 정보에 기초하는 안경을 가상적인 안경으로서 현실 공간에 묘화하는 방법으로 표시를 하도록 해도 된다.
또한, 예를 들어 외부의 렌즈 가공업자용으로, 결정한 렌즈 정보에 대하여, 당해 렌즈 정보의 일부의 데이터에 대해서만 부분적으로 정보를 개시하는 표시 제어 및 액세스 제어를 마련해도 된다.
또한, 본원 명세서 중에 있어서, 프로그램이 미리 인스톨되어 있는 실시 형태로서 설명하였지만, 당해 프로그램을,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저장하여 제공하는 것도 가능하다.
2019년 3월 14일에 출원된 일본 특허 출원 2019-047275의 개시는 그 전체가 참조에 의해 본 명세서에 원용된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모든 문헌, 특허 출원 및 기술 규격은, 개개의 문헌, 특허 출원 및 기술 규격이 참조에 의해 원용되는 것이 구체적이면서 또한 개별적으로 기재된 경우와 동일한 정도로, 본 명세서 중에 참조에 의해 원용된다.

Claims (8)

  1. 렌즈 오더 시스템이며,
    컴퓨터를 구비하고 있고,
    상기 컴퓨터는 CPU와, 기억부와, 상기 CPU에 의해 실행되는 선정부를 구비하고 있고,
    상기 기억부에는, 유저에 관한 기본 정보와, 유저가 원하는 렌즈의 용도에 관한 용도 정보, 그리고 유저의 눈을 포함하는 심신의 증상 및 상태를 포함하는 심신 정보 중 적어도 한쪽을 포함하는 유저 정보에 기초하여, 렌즈의 재료에 사용되는 수지의 재료의 종류, 색소의 종류 및 코팅의 종류를 포함하는 렌즈 정보를 결정할 수 있는 데이터가 기억되고,
    상기 선정부는, 유저에 대하여 취득한 상기 유저 정보와, 상기 기억부에 기억되어 있는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렌즈 정보를 결정하고 출력하는
    렌즈 오더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컴퓨터는 취득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취득부는 입력에 의해, 상기 유저 정보 중, 상기 용도 정보 및 상기 심신 정보 중 적어도 한쪽을 소정의 순서로 취득하는
    렌즈 오더 시스템.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는, 상기 용도 정보 및 상기 심신 정보 중 적어도 한쪽을 포함하는 상기 유저 정보로부터 상기 렌즈 정보를 출력하도록 미리 학습한 학습 완료 모델이며, 상기 용도 정보 및 상기 심신 정보의 각각의 가중치와, 상기 렌즈의 상기 재료의 종류, 상기 색소의 종류 및 상기 코팅의 종류의 정해 데이터를 학습 데이터로서 사용하여, 뉴럴 네트워크 모델의 가중치 파라미터를 심층 학습의 방법에 의해 학습한 학습 완료 모델로 하고,
    상기 선정부는, 유저에 대하여 취득한 상기 유저 정보를 상기 학습 완료 모델에의 입력으로 하여, 상기 학습 완료 모델로부터 출력된 상기 렌즈 정보로서 결정하는
    렌즈 오더 시스템.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컴퓨터는 수집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수집부는, 단말기에 있어서 입력된, 유저의 상기 유저 정보를 네트워크를 통해 수집하고, 상기 기억부에 기록하고,
    상기 선정부는, 상기 기억부에 기록된 유저의 상기 유저 정보와, 상기 기억부에 기록된 상기 데이터를 대조하여, 유저의 상기 렌즈 정보를 결정하는 렌즈 오더 시스템.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렌즈 정보에는, 또한 렌즈의 염색성에 관한 정보, 및 특정한 색소와 특정한 수지의 상성을 나타내는 수지의 용해성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렌즈 오더 시스템.
  6. 컴퓨터의 기억부에 기억된, 유저에 관한 기본 정보와, 유저가 원하는 렌즈의 용도에 관한 용도 정보, 그리고 유저의 눈을 포함하는 심신의 증상 및 상태를 포함하는 심신 정보 중 적어도 한쪽을 포함하는 유저 정보에 기초하여, 렌즈의 재료에 사용되는 수지의 재료의 종류, 색소의 종류 및 코팅의 종류를 포함하는 렌즈 정보를 결정할 수 있는 데이터와, 유저에 대하여 취득한 상기 유저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렌즈 정보를 결정하고 출력하는,
    처리를 컴퓨터에 실행시키는 렌즈 오더 방법.
  7. 컴퓨터를,
    기억부와 선정부를 구비하는 렌즈 오더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컴퓨터의 기억부에 기억된, 유저에 관한 기본 정보와, 유저가 원하는 렌즈의 용도에 관한 용도 정보, 그리고 유저의 눈을 포함하는 심신의 증상 및 상태를 포함하는 심신 정보 중 적어도 한쪽을 포함하는 유저 정보에 기초하여, 렌즈의 재료에 사용되는 수지의 재료의 종류, 색소의 종류 및 코팅의 종류를 포함하는 렌즈 정보를 결정할 수 있는 데이터와, 유저에 대하여 취득한 상기 유저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렌즈 정보를 결정하고 출력하는 상기 선정부로서 기능시키기 위한 프로그램.
  8. 기억부와 선정부와 표시부를 갖는 렌즈 오더 시스템이, 렌즈의 가공에 관한 정보를 결정하는 처리를 행할 때에 사용되는, 유저 정보를 포함하는 데이터 구조이며,
    당해 데이터 구조는, 유저에 관한 기본 정보와, 유저가 원하는 렌즈의 용도에 관한 용도 정보, 그리고 유저의 눈을 포함하는 심신의 증상 및 상태를 포함하는 심신 정보 중 적어도 한쪽을 포함하는 유저 정보와, 렌즈의 재료에 사용되는 수지의 재료의 종류, 색소의 종류 및 코팅의 종류를 포함하는 렌즈 정보를 갖고,
    상기 기억부에는, 상기 유저 정보로부터, 상기 렌즈 정보를 결정할 수 있는 데이터가 미리 기억되고,
    상기 선정부에, 유저에 대하여 취득한 상기 유저 정보가 입력되면, 상기 기억부에 기억되어 있는 상기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렌즈 정보를 결정시키고,
    상기 표시부에, 상기 선정부에서 결정시킨 상기 렌즈 정보를 출력시키는
    데이터 구조.
KR1020217028979A 2019-03-14 2020-03-10 렌즈 오더 시스템, 렌즈 오더 방법, 프로그램 및 데이터 구조 KR10257962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9-047275 2019-03-14
JP2019047275 2019-03-14
PCT/JP2020/010398 WO2020184590A1 (ja) 2019-03-14 2020-03-10 レンズオーダーシステム、レンズオーダー方法、プログラム、およびデータ構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25069A true KR20210125069A (ko) 2021-10-15
KR102579621B1 KR102579621B1 (ko) 2023-09-18

Family

ID=724275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7028979A KR102579621B1 (ko) 2019-03-14 2020-03-10 렌즈 오더 시스템, 렌즈 오더 방법, 프로그램 및 데이터 구조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220146859A1 (ko)
EP (1) EP3940448A4 (ko)
JP (1) JPWO2020184590A1 (ko)
KR (1) KR102579621B1 (ko)
CN (1) CN113631992B (ko)
WO (1) WO202018459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095577A1 (ja) * 2021-11-25 2023-06-01 三井化学株式会社 網膜感度調整部材の提供方法、設計方法及び提供装置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54519A (ja) * 1989-02-16 1991-03-08 Pilkington Visioncare Holdings Inc 着色コンタクトレンズ及びその製造法
JP2010517088A (ja) * 2007-01-25 2010-05-20 ローデンストック.ゲゼルシャフト.ミット.ベシュレンクテル.ハフツング 遠用部および近用部の基準点を決定する方法
WO2012057096A1 (ja) * 2010-10-25 2012-05-03 株式会社メニコン アゾ色素、眼用レンズ材料、眼用レンズ材料の製造方法及び眼用レンズ
JP2016537716A (ja) * 2013-08-22 2016-12-01 ビスポーク,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カスタム製品を創作するための方法及びシステム
US20170371178A1 (en) * 2016-06-22 2017-12-28 Indizen Optical Technologies of America, LLC Custom ophthalmic lens design derived from multiple data sources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874569B2 (ja) 1999-05-20 2007-01-31 Hoya株式会社 光学用プラスチックレンズの着色システム
US20020044254A1 (en) * 2000-10-12 2002-04-18 Kathleen Saathoff Tinted contact lens and method for treatment of migraine headaches
AU2002316611A1 (en) * 2001-07-06 2003-01-21 Digital Vision, Inc. Electronic ordering system, such as for use by eye care professionals
JP4306702B2 (ja) * 2006-08-03 2009-08-05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メガネレンズ発注システム
JP5905248B2 (ja) * 2011-12-12 2016-04-20 Hoya株式会社 眼鏡レンズ受発注システム、眼鏡レンズ発注プログラムおよび眼鏡レンズ発注方法
EP2637135A1 (en) * 2012-03-08 2013-09-11 Essilor International (Compagnie Générale D'Optique) Method for ordering a spectacle lens and associated system
WO2014133111A1 (ja) 2013-02-27 2014-09-04 三井化学株式会社 光学材料、光学材料用組成物およびその用途
US9857503B2 (en) 2013-09-10 2018-01-02 Mitsui Chemicals, Inc. Optical material and use thereof
KR101849862B1 (ko) 2013-09-10 2018-05-31 미쯔이가가꾸가부시끼가이샤 광학 재료 및 그 용도
FR3031816B1 (fr) * 2015-01-16 2018-02-16 Essilor International Procede de determination d'un filtre pour une lentille ophtalmique et lentille ophtalmique comportant un tel filtre
US20190153146A1 (en) * 2015-09-16 2019-05-23 Mitsui Chemicals, Inc. Method of manufacturing polymerizable composition for optical material and method of manufacturing optical material
FR3051262B1 (fr) * 2016-05-13 2022-08-12 Essilor Int Procede de determination d'un filtre pour une lentille ophtalmique en fonction d'une grandeur representative d'une sensibilite dynamique de l'œil d'un porteur a une variation d'un flux lumineux
JP2019047275A (ja) 2017-08-31 2019-03-22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方法、画像形成装置及びプログラム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54519A (ja) * 1989-02-16 1991-03-08 Pilkington Visioncare Holdings Inc 着色コンタクトレンズ及びその製造法
JP2010517088A (ja) * 2007-01-25 2010-05-20 ローデンストック.ゲゼルシャフト.ミット.ベシュレンクテル.ハフツング 遠用部および近用部の基準点を決定する方法
WO2012057096A1 (ja) * 2010-10-25 2012-05-03 株式会社メニコン アゾ色素、眼用レンズ材料、眼用レンズ材料の製造方法及び眼用レンズ
JP2016537716A (ja) * 2013-08-22 2016-12-01 ビスポーク,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カスタム製品を創作するための方法及びシステム
US20170371178A1 (en) * 2016-06-22 2017-12-28 Indizen Optical Technologies of America, LLC Custom ophthalmic lens design derived from multiple data sourc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3631992B (zh) 2023-09-15
WO2020184590A1 (ja) 2020-09-17
KR102579621B1 (ko) 2023-09-18
EP3940448A1 (en) 2022-01-19
CN113631992A (zh) 2021-11-09
EP3940448A4 (en) 2022-12-14
US20220146859A1 (en) 2022-05-12
JPWO2020184590A1 (ko) 2020-09-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0462048C (zh) 眼镜选定系统及其方法
EP2989628B1 (fr) Procede de personnalisation d&#39;un dispositif electronique afficheur d&#39;image et dispositif electronique afficheur d&#39;image l&#39;utilisant
US9513494B2 (en) Method for manufacturing a corrective ophthalmic glasses lens personalised for a wearer
US20210271117A1 (en) Method for determining an ophthalmic equipment and system associated
US10146064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ascertaining a type of spectacle lens and apparatus and method for determining a refractive power distribution of a progressive spectacle lens
KR20130103153A (ko) 고객 맞춤형 안경 및 콘택트렌즈 버추얼 피팅 방법 및 그 시스템
WO2017177425A1 (zh) 一种虚拟现实设备中的图像处理方法和装置
KR20210125069A (ko) 렌즈 오더 시스템, 렌즈 오더 방법, 프로그램 및 데이터 구조
EP3283986B1 (en) Frame optimization system and method
CN110892311B (zh) 用于确定个人的姿势和视觉行为的方法
JP3897058B2 (ja) 眼鏡の疑似体験装置、眼鏡の疑似体験方法及び記録媒体
JP2023513714A (ja) 所与の個人のための光学機器の予測
WO2022014689A1 (ja) 頭痛原因判定システム、頭痛原因判定方法、プログラム、及びデータ構造
KR102462481B1 (ko) 키오스크를 이용하는 안경착용 시뮬레이션 시스템
EP4220282A1 (en) Determining a lens shape for producing an optical lens for an eye of a person
US20210097412A1 (en) Learning model generation method, recording medium, eyeglass lens selection support method, and eyeglass lens selection support system
KR20130103216A (ko) 원격안경주문방법
WO2020016384A1 (en) Method for determining an ophthalmic component
Renee Jacobs Anti-eyestrain lenses: Optical solutions for our new reality
TW200304606A (en) System for determining level of magnification of eyeglasses and contact lenses and method thereof
JPH04272741A (ja) 眼鏡レンズの選定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