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24135A - 생체인증용 패널부 및 이를 구비하는 생체인증장치 - Google Patents

생체인증용 패널부 및 이를 구비하는 생체인증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24135A
KR20210124135A KR1020210130377A KR20210130377A KR20210124135A KR 20210124135 A KR20210124135 A KR 20210124135A KR 1020210130377 A KR1020210130377 A KR 1020210130377A KR 20210130377 A KR20210130377 A KR 20210130377A KR 20210124135 A KR20210124135 A KR 2021012413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ngerprint sensing
sensing electrode
unit
fingerprint
electrode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303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48781B1 (ko
KR102448781B9 (ko
Inventor
정성훈
이섬규
박성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리얼아이덴티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리얼아이덴티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리얼아이덴티티
Priority to KR10202101303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48781B1/ko
Publication of KR202101241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2413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487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48781B1/ko
Publication of KR102448781B9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48781B9/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30Authentication, i.e. establishing the identity or authorisation of security principals
    • G06F21/31User authentication
    • G06F21/32User authentication using biometric data, e.g. fingerprints, iris scans or voicepri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30Authentication, i.e. establishing the identity or authorisation of security principals
    • G06F21/45Structures or tools for the administration of authentic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4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 G06K9/0002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40/00Recognition of biometric, human-related or animal-related patterns in image or video data
    • G06V40/10Human or animal bodies, e.g. vehicle occupants or pedestrians; Body parts, e.g. hands
    • G06V40/12Fingerprints or palmprints
    • G06V40/13Sensors therefor
    • G06V40/1306Sensors therefor non-optical, e.g. ultrasonic or capacitive sens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Multimedia (AREA)
  • Measurement Of The Respiration, Hearing Ability, Form, And Blood Characteristics Of Living Organisms (AREA)
  • Image Inpu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생체인증용 패널부 및 이를 구비하는 생체인증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는 평면 형상이 가로변보다 세로변 길이가 더 긴 직사각 형상을 갖는 제1지문감지전극부와, 제1지문감지전극부의 세로변으로부터 제1거리만큼 이격된 거리에 놓여지며, 평면 형상이 가로변보다 세로변 길이가 더 긴 직사각 형상을 갖는 제2지문감지전극부와, 제1지문감지전극부 및 제2지문감지전극부 사이의 이격 공간에 상호 전기적으로 이격되도록 설치되는 제1생체전극 및 제2생체전극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체인증용 패널부가 개시된다.
본 발명에 따른 패널부 및 이를 갖는 생체인증장치에 의하면 형성된 위조지문을 국부적으로 손가락 일부 영역에만 부착하는 방식을 적용하기 어려우므로 위조지문을 보다 높은 확률로 제거할 수 있어 인증의 신뢰성을 높일 수 있게 되었다.

Description

생체인증용 패널부 및 이를 구비하는 생체인증장치{PANEL FOR BIOMETRIC AUTHENTICATION AND BIOMETRIC AUTHENTICATION DEVICE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생체인증용 패널부 및 이를 구비하는 생체인증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두 개의 장방향 지문센서를 위치시키고 그 사이공간에 생체 인증용 전극을 형성하는 생체인증용 패널부 및 이를 구비하는 생체인증장치에 관한 것이다.
소형 정보 기기에서 보안을 확보하는 방법으로 패스워드나 ID(IDentification) 카드 등을 이용한 개인 인증을 실시하는 방법이 사용된다. 그러나, 패스워드나 ID 카드는 도용될 위험성이 비교적 높아 금융거래 등과 같은 분야에서는 보다 강화된 개인 인증(기기의 사용자가 미리 등록된 사용자 본인인 것의 인증)을 요구하고 있다. 이러한 요구에 대응하기 위하여 생체 정보(바이오메트릭스 정보)를 사용하는 경우가 늘고 있으며, 생체 정보 중에서는 편리하다는 이유로 지문이 주로 사용되고 있다.
그런데, 지문의 경우는 실리콘이나 구미(Gummi)로 만들어진 위조 지문에 의해서 인증이 쉽게 뚫리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지문이 가진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홍채, 혈류 또는 임피던스 등을 이용한 다양한 생체 정보를 이용하자는 제안이 있으며 일부 생체 정보의 경우 기술적으로는 구현되었으나 경제적인 이유로 아직 상업적으로 보급하지 못하고 있는 상태이다.
예를 들어, 임피던스를 이용한 생체 인증 기술에 대해 간략하게 정리하면, 생체에 주파수를 가변시키면서 전압을 인가하고, 주파수 변화에 따른 생체의 임피던스 크기와 위상을 측정함으로써 생체 인증을 수행한다. 이와 같이 임피던스를 이용하여 생체를 인증하기 위해서는 (1) 복수 개 주파수를 갖는 입력 전원을 인가하는 회로를 구비하여야 하고, (2) 각 주파수에 따른 생체의 임피던스 크기와 위상을 측정할 수 있는 회로를 구비하여야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특히 임피던스의 크기와 위상을 측정하기 위해서는 측정신호에 사인(sine) 정현파와 코사인(cosine) 정현파를 곱한 후 저역통과필터를 통과시켜서 임피던스 응답의 실수 부분과 허수 부분을 구하고 이를 이용하여 크기와 위상을 측정해야 한다. 이러한 회로를 신뢰성 있는 수준으로 구축하기 위해서는 하드웨어 구성이 복잡해져서 상용화에 어려움이 있었다.
본원 발명자는 이러한 하드웨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아래 선행기술문헌(특허문헌)에 개시된 바와 같이 두 건의 특허를 출원하여 등록받은 바 있다. 도 1 및 도 2는 아래 특허문헌들에서 제안된 생체인증장치의 회로구성도 및 패널부에 구비되는 전극의 실시 형태를 도시한다. 특허문헌에 제시된 생체인증장치는 구동부(200), 패널부(100), 생체센싱부(300), 생체제어부(510) 및 생체신호처리부(530)로 구성된다. 패널부(100)는 생체 인증을 위한 제1생체전극(101) 및 제2생체전극(103)과 지문을 인식하기 위한 지문감지전극부가 형성되며, 사람의 손가락(측정하고자 하는 다른 신체부위도 물론 가능함, Z)이 놓여지는 소자이다. 도 1에 제시된 패널부(100)에는 지문감지전극부가 생략되어 도시되었다. 제1생체전극(101)과 제2생체전극(103) 사이에 생체 인증을 위한 물체를 위치시킨 상태에서, 제1생체전극(101)에 단일 주기를 갖는 구형파를 인가하고, 제1생체전극(101)에서 측정되는 전압의 최고치(측정전압최고치)와 최저치(측정전압최저치)의 차인 측정전압폭과 제1생체전극(101)에서 측정되는 전압이 측정전압최저치에서부터 측정전압최고치의 특정 범위까지 도달하는 데까지 소요되는 도달시간을 이용하여 생체 인증을 수행하는 방식이다. 도 2는 특허문헌의 패널부에 형성되는 제1생체전극(101), 제2생체전극(103) 및 지문감지전극부(105) 배치를 보여주는 평면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패널부는 지문감지전극부(105) 외부에 생체인증을 위한 제1생체전극(101)과 제2생체전극(103)이 형성되는 구조를 갖는다. 그런데 이러한 전극 구조로 인해서 생체 손가락에 지문감지전극부(105)가 맞닿는 부분에만 실리콘 등으로 만든 위조지문을 부착하고 제1생체전극(101) 및 제2생체전극(103)과 접촉되는 생체 손가락은 그대로 생체 부분을 노출시켜 접촉시킬 경우 손쉽게 생체인증을 통과하는 문제점이 노출되었다.
1. 한국공개특허 제10-2018-0114364호 (2018.10.18. 공개) 2. 한국등록특허 제10-2009463호 (2019.08.05. 등록)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하는 것으로서, 위조지문을 이용하여 손쉽게 생체인증을 통과하기 어려운 구조를 갖는 전극으로 형성되는 패널부 및 이를 갖는 생체인증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상기 목적은 평면 형상이 가로변보다 세로변 길이가 더 긴 직사각 형상을 갖는 제1지문감지전극부와, 제1지문감지전극부의 세로변으로부터 제1거리만큼 이격된 거리에 놓여지며, 평면 형상이 가로변보다 세로변 길이가 더 긴 직사각 형상을 갖는 제2지문감지전극부와, 제1지문감지전극부 및 상기 제2지문감지전극부 사이의 이격 공간에 상호 전기적으로 이격되도록 설치되는 제1생체전극 및 제2생체전극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체인증용 패널부에 의해서 달성 가능하다.
본 발명의 상기 목적은 평면 형상이 가로변보다 세로변 길이가 더 긴 직사각 형상을 갖는 제1지문감지전극부와, 제1지문감지전극부의 세로변으로부터 제1거리만큼 이격된 거리에 놓여지며, 평면 형상이 가로변보다 세로변 길이가 더 긴 직사각 형상을 갖는 제2지문감지전극부와, 제2지문감지전극부의 세로변으로부터 제2거리만큼 이격된 거리에 놓여지며, 평면 형상이 가로변보다 세로변 길이가 더 긴 직사각 형상을 갖는 제3지문감지전극부와, 제1지문감지전극부 및 상기 제2지문감지전극부 사이의 이격 공간에 설치되는 제1생체전극 및 제2지문감지전극부 및 제3지문감지전극부 사이의 이격 공간에 설치되는 제2생체전극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체인증용 패널부에 의해서도 달성가능하다.
제1생체전극 또는 제2생체전극의 높이를 제1지문감지전극부 또는 제2지문감지전극부의 높이보다 낮게 형성함으로써 위조지문을 생체 일부에 부착할 경우 생체가 제1생체전극 또는 제2생체전극에 쉽게 접촉하지 못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전술한 패널부와, 제1생체전극에 단일 주기를 갖는 구형파를 인가하는 구동부와, 제1생체전극에서 측정되는 전압이 안정화된 상태에서 제1전극에서 검출된 전압의 최고치인 측정전압최고치와 검출된 전압의 최저치인 측정전압최저치를 검출하고, 검출된 전압이 측정전압최저치에서 측정전압최고치와 측정전압최저치의 차로 구해지는 측정전압폭의 특정 범위까지 도달하는 데까지 소요되는 시간인 도달시간을 출력하는 센싱부 및 센싱부로부터 입력되는 상기 측정전압폭 및 상기 도달시간을 이용하여 생체 여부를 판별하는 신호처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체 인증장치에 의해서 달성 가능하다.
생체 인증장치에는 일 단은 구동부와 연결되고, 타 단은 제1생체전극과 연결되는 부가 저항(Re)을 더 포함하는 것이 좋다.
본 발명에 따른 패널부 및 이를 갖는 생체인증장치에 의하면 형성된 위조지문을 국부적으로 손가락 일부 영역에만 부착하기 어렵고 부착하더라도 위조지문 재료의 두께로 생체가 제1생체전극과 제2생체전극에 접촉이 잘 되지 않아 위조지문을 부착한 상태로 생체인증을 통과하기 어렵기 때문에 인증의 신뢰성을 높일 수 있게 되었다.
도 1은 본 발명자가 종래 특허문헌들에서 제안한 생체인증장치의 회로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자가 종래 특허문헌들에서 제안한 생체인증장치를 구성하는 패널부에 구비되는 전극의 구성예.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인 생체인증장치의 회로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생체인증장치를 구성하는 패널부에 구비되는 지문감지전극부와 생체인증용 전극의 배면도 및 평면도.
도 5는 도 4에 따른 패널부를 이용하여 위조지문을 형성하기 어려운 상황을 설명하는 설명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로서 생체전극 및 지문감지전극부룰 구비하는 패널부의 배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또 다른 실시예의 패널부.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제1지문감지전극부, 제2지문감지전극부 및 생체전극을 이용하여 지문 및 생체인증을 수행하는 흐름도.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 상에 또는 ~ 상부에" 라 함은 대상 부분의 위 또는 아래에 위치함을 의미하는 것이며, 반드시 중력 방향을 기준으로 상 측에 위치하는 것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영역, 판 등의 부분이 다른 부분 "상에 또는 상부에" 있다고 할 때, 이는 다른 부분 "바로 상에 또는 상부에" 접촉하여 있거나 간격을 두고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또 다른 부분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일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와 "연결된다" 거나 "접속된다" 등으로 언급된 때에는, 상기 일 구성요소가 상기 다른 구성요소와 직접 연결되거나 또는 직접 접속될 수도 있지만,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존재하지 않는 이상, 중간에 또 다른 구성요소를 매개하여 연결되거나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인 생체인증장치의 회로구성도이다. 생체인증장치는 구동부(200), 패널부(100), 생체센싱부(300a), 생체제어부(510a) 및 생체신호처리부(530a)로 구성된다. 패널부(100)는 생체 인증을 위한 제1생체전극(101), 제2생체전극(103), 지문을 인식하기 위한 지문감지전극부(105a, 105b)가 구비되며, 사람의 손가락이 놓여지는 소자이다. 도 3에서 도면 참조 기호 'Z'는 사람 손가락을 등가회로로 표현한 것이며, 'Z-1'은 사람 손가락이 제1생체전극(101), 제2생체전극(103) 및 지문감지전극부(105a, 105b) 상부에 놓여지는 가상의 위치를 나타내는 참조 기호이다.
서로 전기적으로 이격하여 형성되는 제1생체전극(101)과 제2생체전극(103) 사이에 생체 인증을 위한 물체를 위치시킨 상태에서, 제1생체전극(101)에 단일 주기를 갖는 구형파를 인가하고, 제1생체전극(101)에서 측정되는 전압의 최고치(측정전압최고치)와 최저치(측정전압최저치)의 차인 측정전압폭과 제1생체전극(101)에서 측정되는 전압이 측정전압최저치에서부터 측정전압최고치의 특정 범위까지 도달하는 데까지 소요되는 도달시간을 이용하여 생체 인증을 수행하는 방식이다.
도 3에 제시된 회로구성도에서는 지문감지전극부(105a, 105b)로부터 출력되는 신호를 센싱하는 지문센싱부와, 지문센싱부로부터 출력되는 신호를 처리하는 지문신호처리부 및 지문과 관련된 소자를 제어하는 지문제어부는 생략하여 도시하였다. 지문을 처리하는 회로 및 방법은 다양하게 상용화되어 있고 본 발명의 목적 범위를 벗어나는 것이므로 설명을 생략하였다. 복잡한 생체인증장치의 회로는 생체센싱부(300a), 생체제어부(510a) 및 생체신호처리부(530a)와는 별도로 지문센싱부, 지문제어부, 지문신호처리부를 구비하는 것이다. 이에 비해 간단한 생체인증장치 회로를 구현할 경우에는 생체센싱부(300a), 생체제어부(510a) 및 생체신호처리부(530a)는 각각 대응되는 지문센싱부, 지문제어부, 지문신호처리부와 유사한 기능을 수행하므로 양자의 소자를 통합하여 생체인증과 지문인증을 함께 수행하도록 구현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3에 제시된 생체인증장치에서 지문감지전극부 및 생체인증전극(제1생체전극 및 제2생체전극)을 평면 방향에서 도시한 것이다. 도 3에 제시된 생체인증장치는 지문감지전극부를 제1지문감지전극부(105a) 및 제2지문감지전극부(105b)로 분할 구성하고, 분할된 제1지문감지전극부(105a) 및 제2지문감지전극부(105b) 사이공간에 제1생체전극(101a) 및 제2생체전극(101b)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지문감지전극부는 정전용량방식, 저항방식, 초음파 방식 등으로 다양한 방식으로 구현할 수 있으나, 최근에는 대부분 정전용량방식을 적용하고 있다. 정전용량방식으로 구현된 지문감지전극부는 복수 개 전극을 구비하고, 해당 복수 개 전극에 손가락의 골과 마루에 의해 유도되는 정전용량값을 센싱하여 지문의 특징점을 추출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생체인증장치를 구성하는 패널부에 구비되는 지문감지전극부와 생체인증용 전극의 배면도 및 평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4(a)는 패널부의 배면도를 도시한 것이며, 도 4(b)는 패널부의 평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지문감지전극부를 손가락 외피와 접촉하는 면(평면) 형상이 폭이 좁고 길이가 긴 직사각 형상을 갖는 제1지문감지전극부(105a) 및 제2지문감지전극부(105b)로 분할되도록 형성하고, 제1지문감지전극부(105a) 및 제2지문감지전극부(105b) 사이에 형성되는 사이 공간에 생체인증용 전극인 제1생체전극(101)과 제2생체전극(103)을 서로 전기적으로 이격되도록 상하로 배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제1지문감지전극부(105a) 및 제2지문감지전극부(105b)의 형상은 동일하게 형성하는 것이 좋다.
도 5는 도 4에 따른 패널부를 이용하여 위조지문을 형성하기 어려운 상황을 설명하는 설명도이다. 도 5에는 Z2는 패널부와 접촉하는 손가락 외피를 나타낸 것이며, f1 및 f2로 표시한 것은 손가락 외피에 접착되는 실리콘, 구아검 또는 크레이 등으로 형성된 위조지문을 도시한 것이다. 도 5에서 실제 상황에서는 위조지문(f1, f2)는 손가락 외피(Z2)와 밀착되도록 구비될 것이나 설명의 편의상 도면상에서는 이격되도록 도시하였다. 도 4에 제시된 본 발명의 패널부를 이용하여 생체인증을 통과하기 위해서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생체전극(101, 103) 상부에는 사람의 손가락이 직접 닿아야 하므로 해당 영역을 제외한 나머지 손가락 외피에만 실리콘, 구아검 또는 크레이로 형성된 위조지문(f1, f2)을 정교하게 분할하여 부착하여야 한다. 실질적으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은 형태의 위조지문(f1, f2)을 형성하는 것은 쉽지 않으므로 본 발명에 의해서 생체 인증을 보다 정밀하게 수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로서 생체전극 및 지문감지전극부룰 구비하는 패널부의 배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5와 비교할 때, 두 개의 지문감지전극부 사이공간에 형성되는 생체전극의 높이를 지문감지전극부의 높이보다 더 낮게 형성한 구성상 차이가 있다. 도 6에 도시된 패널부 상단에 생체 지문이 놓여질 경우에는 조금 높은 압력을 가할 경우 손가락 외피가 사이공간으로 돌출되어 생체전극(101, 103)에 손쉽게 닿을 수 있다. 이에 비해 생체 지문에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은 위조지문(f1, f2)을 부착 등의 방식으로 개재시킬 경우에는 패널부 상단에 위조지문을 착용한 상태에서 손가락에 압력을 가하더라도 실리콘, 구아검 또는 크레이로 형성되는 위조지문의 두께로 생체전극(101, 103) 상단까지 지문이 닿을 수 없어 인증을 보다 엄격하게 수행할 수 있게 된다. 본원 발명자의 다양한 실험에 의하면 지문감지전극부 사이의 이격으로 생기는 사이공간의 폭(dL)은 2mm 이하로 형성하는 게 바람직하며 생체전극과 지문감지전극부의 높이 차(dt)는 약 0.3mm 이하로 형성하는게 좋았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또 다른 실시예의 패널부이다. 패널부에는 지문감지전극부(105a, 105b, 105c)를 세 개로 분할 형성하고, 제1지문감지전극부(105a)와 제2지문감지전극부(105b) 사이에 제1생체전극(101)를 구비하고, 제2지문감지전극부05b)와 제3지문감지전극부(105c) 사이에 제2생체전극(103)을 형성하였다. 도 7(a) 및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생체전극은 서로 전기적으로 이격 형성하면 되므로 수평 위치는 다양하게 배치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하에서는 도 4에 제시된 제1지문감지전극부(105a), 제2지문감지전극부(105b) 및 생체전극(101, 103)을 이용하여 지문 및 생체인증을 수행하는 흐름을 도 8을 이용하여 간략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은 두 개로 분할된 지문감지전극부를 사용하므로 사용자가 손가락을 접촉시키는 형태가 다양하게 나타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손가락 지문이 대부분 제1지문감지전극부(105a)에만 접촉되고 제2지문감지전극부(105b)에는 거의 접촉되지 않을 수도 있고, 그 반대의 상황이 발생될 수도 있다. 또는, 사용자 손가락 지문이 제1지문감지전극부(105a)과 제2지문감지전극부(105b) 양자에 걸쳐 거의 동일한 면적을 차지하는 정도로도 놓여질 수 있다.
이러한 여러 가지 상황을 고려하여 최초 사용자 지문을 등록을 진행할 때 (1) 지문을 제1지문감지전극부(105a) 및 제2지문감지전극부(105b) 양측에 걸치도록 위치시키되 제1지문감지전극부(105a)에 더 많이 놓여지도록 접촉시킨 상태에서 사용자 지문을 등록하고, (2) 지문을 지문을 제1지문감지전극부(105a) 및 제2지문감지전극부(105b) 양측에 걸치도록 위치시키되 제2지문감지전극부(105b)에 더 많이 놓여지도록 접촉시킨 상태에서 사용자 지문을 등록하고, (3) 지문을 제1지문감지전극부(105a) 및 제2지문감지전극부(105b) 양측에 걸치도록 위치시키되 가능한 두 군데 지문감지전극부에 균등하게 놓여진 상태의 지문을 등록을 받는 등 가능한 다양한 상태의 지문 인식 상태를 저장해 두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지문감지전극부(105a)를 이용하여 지문을 센싱하고(S10), 기등록된 지문 데이터와 비교하여 제1매칭점수를 산출한다(S20). 제2지문감지전극부(105b)를 이용하여 지문을 센싱하고(S30), 기등록된 지문 데이터와 비교하여 제2매칭점수를 산출한다(S40). S20단계 및 S40단계는 S10단계 및 S30단계보다 각각 먼저 수행되어야 하는 조건을 만족하는 한 순서에 상관없이 수행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예를 들어, S10, S30, S40 및 S20 순으로 수행되는 것도 가능하고, S10, S30, S20 및 S40 순으로 수행되는 것도 가능하다.
제1매칭점수 및 제2매칭점수를 이용하여 지문 인증 여부를 판별한다(S50). 지문 인증은 다양한 알고리즘으로 수행할 수 있다. 제1방식은 제1매칭점수 및 제2매칭점수 중에서 높은 값의 매칭점수가 제1임계값보다 크고 낮은 값의 매칭점수가 제2임계값보다 큰 값을 가질 경우 지문을 인증하는 방식이다. 또 다른 제2방식은 제1매칭점수 및 제2매칭점수가 모두 제3임계값보다 큰 경우 지문을 인증하는 방식이다. 마지막으로 제3방식은 제1매칭점수 및 제2매칭점수 중에서 높은 값의 매칭점수가 제4임계값보다 큰 경우에 지문을 인증하는 방식이다. 구체적인 예로서, 제1임계값, 제2임계값, 제3임계값 및 제4임계값을 각각 80%, 50%, 70% 및 88%로 가정한다. 이러한 가정 하에서 제1매칭점수 및 제2매칭점수가 85% 및 61%로 산출된 경우를 가정하기로 설명하기로 한다. 매칭점수 및 임계값은 등록된 지문과 지문감지전극부에서 센싱된 지문이 완전 일치할 경우 100%라 하고 전혀 일치하지 않을 경우를 0%로 산출되는 것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이러한 가정에서 위에서 제시된 제1방식 내지 제3방식에 따라 지문이 어떻게 인증되는지 설명하기로 한다.
제1방식에 의하면, 제1매칭점수(85%) 및 제2매칭점수(61%) 중에서 높은 값의 매칭점수(제1매칭점수, 85%)가 제1임계값(80%)보다 크고 낮은 값의 매칭점수(제2매칭점수, 61%)가 제2임계값(50%)보다 큰 값을 가지므로 지문이 매칭된다고 인증될 것이다. 제2방식에 의하면, 제1매칭점수(85%)는 제3임계값(70%)보다 크지만, 제2매칭점수(61%)의 경우 제3임계값(70%)보다 작으므로 지문이 매칭되지 않는다고 판별하여 인증을 통과하지 못하게 된다. 제3방식에 의하면, 제1매칭점수(85%) 및 제2매칭점수(61%) 중에서 높은 값의 매칭점수(제1매칭점수, 85%)가 제4임계값(88%) 보다 작으므로 지문이 매칭되지 않는다고 판별하여 인증을 통과하지 못하게 된다.
이와 같이 적용되는 인증 방식에 따라 동일한 상황에서 감지된 지문이더라도 인증 통과 여부가 달라짐을 알 수 있다. 또한, 지문 인증시 제1방식부터 제3방식을 모두 적용하고 느슨한 인증을 채택할 경우에는 이중에서 어느 한 가지 방식만 통과하여도 지문 인증이 통과되었다고 판별할 수 있고, 엄격한 인증을 채택할 경우에는 세 가지 방식이 모두 일치할 경우에 지문 인증이 통과되었다고 판별할 수도 있으며, 양자의 중간 정도로서 두 가지 방식의 인증이 통과되는지 여부를 이용하여 판별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도 8에서는 지문인증 이후에 생체인증을 수행하는 순으로 설명하였으나 생체인증을 먼저 수행하고 이후에 지문인증을 수행하는 것도 가능함은 물론이다.
상기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특정 용어들을 사용하여 설명되었지만 그러한 용어는 오로지 본 발명을 명확히 설명하기 위한 것일 뿐이며, 본 발명의 실시예 및 기술된 용어는 다음의 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 및 범위로부터 이탈되지 않고서 여러가지 변경 및 변화가 가해질 수 있는 것은 자명한 일이다. 이와 같이 변형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되며, 본 발명의 청구범위 안에 속한다고 해야 할 것이다.
100: 패널부 101: 제1생체전극
103: 제2생체전극 105: 지문감지전극부
105a: 제1지문감지전극 105b: 제2지문감지전극
105c: 제3지문감지전극
200: 구동부 300, 300a: 생체센싱부
510a: 생체제어부 530a: 생체신호처리부

Claims (5)

  1. 평면 형상이 가로변보다 세로변 길이가 더 긴 직사각 형상을 갖는 제1지문감지전극부와,
    상기 제1지문감지전극부의 세로변으로부터 제1거리만큼 이격된 거리에 놓여지며, 평면 형상이 가로변보다 세로변 길이가 더 긴 직사각 형상을 갖는 제2지문감지전극부와,
    상기 제1지문감지전극부 및 상기 제2지문감지전극부 사이의 이격 공간에 상호 전기적으로 이격되도록 설치되는 제1생체전극 및 제2생체전극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체인증용 패널부.
  2. 평면 형상이 가로변보다 세로변 길이가 더 긴 직사각 형상을 갖는 제1지문감지전극부와,
    상기 제1지문감지전극부의 세로변으로부터 제1거리만큼 이격된 거리에 놓여지며, 평면 형상이 가로변보다 세로변 길이가 더 긴 직사각 형상을 갖는 제2지문감지전극부와,
    상기 제2지문감지전극부의 세로변으로부터 제2거리만큼 이격된 거리에 놓여지며, 평면 형상이 가로변보다 세로변 길이가 더 긴 직사각 형상을 갖는 제3지문감지전극부와,
    상기 제1지문감지전극부 및 상기 제2지문감지전극부 사이의 이격 공간에 설치되는 제1생체전극 및
    상기 제2지문감지전극부 및 상기 제3지문감지전극부 사이의 이격 공간에 설치되는 제2생체전극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체인증용 패널부.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생체전극 또는 상기 제2생체전극의 높이는 상기 제1지문감지전극부 또는 상기 제2지문감지전극부의 높이보다 낮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체인증용 패널부.
  4. 제1항 또는 제2항의 패널부와,
    상기 제1생체전극에 단일 주기를 갖는 구형파를 인가하는 구동부와,
    상기 제1생체전극에서 측정되는 전압이 안정화된 상태에서 상기 제1전극에서 검출된 전압의 최고치인 측정전압최고치와 검출된 전압의 최저치인 측정전압최저치를 검출하고, 상기 검출된 전압이 상기 측정전압최저치에서 상기 측정전압최고치와 상기 측정전압최저치의 차로 구해지는 측정전압폭의 특정 범위까지 도달하는 데까지 소요되는 시간인 도달시간을 출력하는 센싱부 및
    상기 센싱부로부터 입력되는 상기 측정전압폭 및 상기 도달시간을 이용하여 생체 여부를 판별하는 신호처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체 인증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일 단은 상기 구동부와 연결되고, 타 단은 상기 제1생체전극과 연결되는 부가 저항(Re)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체 인증장치.
KR1020210130377A 2020-02-19 2021-09-30 생체인증용 패널부 및 이를 구비하는 생체인증장치 KR10244878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30377A KR102448781B1 (ko) 2020-02-19 2021-09-30 생체인증용 패널부 및 이를 구비하는 생체인증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20593A KR20210106068A (ko) 2020-02-19 2020-02-19 생체인증용 패널부 및 이를 구비하는 생체인증장치
KR1020210130377A KR102448781B1 (ko) 2020-02-19 2021-09-30 생체인증용 패널부 및 이를 구비하는 생체인증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20593A Division KR20210106068A (ko) 2020-02-19 2020-02-19 생체인증용 패널부 및 이를 구비하는 생체인증장치

Publications (3)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24135A true KR20210124135A (ko) 2021-10-14
KR102448781B1 KR102448781B1 (ko) 2022-10-04
KR102448781B9 KR102448781B9 (ko) 2023-05-11

Family

ID=77502007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20593A KR20210106068A (ko) 2020-02-19 2020-02-19 생체인증용 패널부 및 이를 구비하는 생체인증장치
KR1020210130377A KR102448781B1 (ko) 2020-02-19 2021-09-30 생체인증용 패널부 및 이를 구비하는 생체인증장치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20593A KR20210106068A (ko) 2020-02-19 2020-02-19 생체인증용 패널부 및 이를 구비하는 생체인증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20210106068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054742A1 (ko) * 2021-09-29 2023-04-06 주식회사 리얼아이덴티티 생체및지문인식센서 구조체 및 이를 이용한 전자카드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02373A (ko) * 2009-07-01 2011-01-07 주식회사 슈프리마 생체신호를 감지하여 위조지문을 식별하는 지문인증장치 및 방법
KR20180114364A (ko) 2017-04-10 2018-10-18 주식회사 리얼아이덴티티 생체 인증장치 및 생체 인증방법
KR101931100B1 (ko) * 2017-06-19 2018-12-20 한국인터넷진흥원 생체신호를 이용한 멀티-모달형 웨어러블 사용자 인증 장치
KR102009463B1 (ko) 2018-03-08 2019-08-09 주식회사 리얼아이덴티티 생체 인증장치 및 생체 인증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02373A (ko) * 2009-07-01 2011-01-07 주식회사 슈프리마 생체신호를 감지하여 위조지문을 식별하는 지문인증장치 및 방법
KR20180114364A (ko) 2017-04-10 2018-10-18 주식회사 리얼아이덴티티 생체 인증장치 및 생체 인증방법
KR101931100B1 (ko) * 2017-06-19 2018-12-20 한국인터넷진흥원 생체신호를 이용한 멀티-모달형 웨어러블 사용자 인증 장치
KR102009463B1 (ko) 2018-03-08 2019-08-09 주식회사 리얼아이덴티티 생체 인증장치 및 생체 인증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48781B1 (ko) 2022-10-04
KR20210106068A (ko) 2021-08-30
KR102448781B9 (ko) 2023-05-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5981045B (zh) 使用触摸传感器数据的指纹认证
US9542590B2 (en) Fingerprint scanning method
CN100449565C (zh) 本人对照装置、卡式信息记录介质及使用其的信息处理系统
US8694793B2 (en) Biometric access control transactions
US10076920B2 (en) Card with integrated fingerprint authentication
CN106415610B (zh) 个人识别系统和方法
JP7026701B2 (ja) スマートカードおよびスマートカードの制御方法
US20140362013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ensing touch
US10366271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uthenticating fingerprints using reflected wave
US20240061540A1 (en) Fingerprint imaging device incorporating electrodes and drive-sense circuitry
JP2006331239A (ja) 個人認証装置および個人認証システム
KR102570385B1 (ko) 사용자 접속 허용 여부를 결정하기 위한 방법 및 전자 디바이스
KR102448781B1 (ko) 생체인증용 패널부 및 이를 구비하는 생체인증장치
KR101850378B1 (ko) 생체 정보 인식을 통한 인증 장치 및 방법
JP4247656B2 (ja) 生体パターン検出方法及び生体パターン検出装置
JP2001084051A (ja) 触覚インタフェース装置及びその方法
TWI732172B (zh) 微針及指紋的辨識模組
KR102398969B1 (ko) 생체인증모듈
Ivanciu et al. A review of ECG based biometric systems
JP6035452B2 (ja) 生体登録・認証システムおよび生体登録・認証方法
KR102398972B1 (ko) 발한 감지 장치, 감지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인증장치
TWI646474B (zh) 用於身分核實系統中的造假生物特徵過濾裝置
KR200399917Y1 (ko) 지문인식부를 가지는 체지방 측정기
JP2004215807A (ja) 生体判別器及び指紋認証装置
KR20230036939A (ko) 위조지문 식별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Re-publication after modification of scope of protection [pat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