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23990A - 교체가 용이한 화장품용기 - Google Patents

교체가 용이한 화장품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23990A
KR20210123990A KR1020200137910A KR20200137910A KR20210123990A KR 20210123990 A KR20210123990 A KR 20210123990A KR 1020200137910 A KR1020200137910 A KR 1020200137910A KR 20200137910 A KR20200137910 A KR 20200137910A KR 20210123990 A KR20210123990 A KR 2021012399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uter body
button
protrusion
refill container
contai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379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85651B1 (ko
Inventor
이기성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삼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삼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삼화
Publication of KR202101239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2399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856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8565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3/00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powder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 A45D33/006Vanity boxes or cases, compacts, i.e. containing a powder receptacle and a puff or applicator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4/00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liquid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perfume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0/00Casing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toring or handling solid or past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shaving soaps or lipsticks
    • A45D40/0068Ja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7/00Packages formed by enclosing articles or materials in preformed containers, e.g. boxes, cartons, sacks or bags
    • B65D77/04Articles or materials enclosed in two or more containers disposed one within another
    • B65D77/048Articles or materials enclosed in two or more containers disposed one within another the inner and outer containers being rigid and the outer container being of curved cross-section, e.g. cylindrical
    • B65D77/0486Articles or materials enclosed in two or more containers disposed one within another the inner and outer containers being rigid and the outer container being of curved cross-section, e.g. cylindrical the inner container being coaxially disposed within the outer contain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3/00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 B65D83/0005Containers or packages provided with a piston or with a movable bottom or partition having approximately the same section as the container
    • B65D83/0022Containers or packages provided with a piston or with a movable bottom or partition having approximately the same section as the container moved by a reciprocable plung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화장품용기는, 리필용기를 수용하는 내부공간을 형성하는 안착면을 구비하는 외부바디와, 결합둘레면에 결합해서 내부공간을 커버하는 상부캡과, 외부바디의 하부에 승하강 가능하게 결합하는 버튼을 구비하고, 버튼은 상향 돌출되 돌출부재를 구비하고, 안착면은 돌출부재가 관통할 수 있는 돌출홀을 구비하며, 버튼이 상승하면 돌출부재가 돌출홀을 통해서 안착면의 상부로 돌출되어 리필용기를 상향 가압한다.

Description

교체가 용이한 화장품용기{COSMETIC CONTAINER FOR EASY REPLACEMENT}
본 발명은 사용을 완료한 리필용기를 용이하게 교체할 수 있는 화장품용기에 관한 것이다.
화장품은 다양한 종류가 있지만 그 물상으로 구분하면 액상(liquid) 및 고상(solid) 그리고 액상 및 고상의 중간 형태에 해당하는 크림(cream) 또는 겔(gel) 타입이 있다. 이 중에서 고상의 화장품은 일반적으로 파우더 형상 또는 스틱 형상을 가질 수 있다. 파우더 형상의 화장품 내용물은 압축되어 생산 및 보관되기 때문에 사용자가 퍼프(puff) 등과 같은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해서 내용물을 취하는 방식을 이용한다. 그러나 퍼프에 압축 파우더를 묻혀서 사용하는 경우 파우더가 골고루 묻지 않거나 또는 입자가 불균일한 문제점이 있다.
종래의 파우더 용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파우더를 분쇄(grinding)할 수 있는 분쇄 용기가 사용되고 있다. 분쇄 용기는 압축 파우더의 입자를 균일하게 분쇄할 수 있는 장점을 제공한다. 이와 같은 분쇄 용기는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158910호 등에 의해 개시되어 있다.
한편, 최근의 화장품용기 외형은 미관을 위해서 심미적인 측면을 많이 강조한 디자인을 갖는다. 그리고 화장품용기의 리필용기는 원가 절감을 위해서 외형에 비해서 다소 저렴한 소재를 사용하고 단순한 디자인을 채용하는 경우가 많다. 따라서 내용물을 모두 사용한 경우 용기의 외형을 리필용기와 함께 폐기하는 것은 소비자에게 경제적인 부담이 될 수 있고 자원의 재활용 측면에서도 부정적인 결과를 초래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도출된 것으로서, 내용물을 보관하는 리필용기를 용이하게 교체할 수 있는 화장품용기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들은 이하에 서술되는 실시예를 통하여 더욱 명확해질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화장품용기는, 리필용기를 수용하는 내부공간을 형성하는 결합둘레면 및 안착면을 구비하는 외부바디와, 결합둘레면에 결합해서 내부공간을 커버하는 상부캡과, 외부바디의 하부에 승하강 가능하게 결합하는 버튼을 구비하고, 버튼은 상향 돌출되 돌출부재를 구비하고, 안착면은 돌출부재가 관통할 수 있는 돌출홀을 구비하며, 버튼이 상승하면 돌출부재가 돌출홀을 통해서 안착면의 상부로 돌출되어 리필용기를 상향 가압한다.
본 발명에 따른 화장품용기는 다음과 같은 실시예들을 하나 또는 그 이상 구비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안착면은 하향 돌출되어 돌출부재가 이동 삽입되는 가이드를 구비할 수 있다.
버튼은 하부둘레면을 구비하고, 외부바디의 내주면에는 걸림단턱이 형성되어 있으며, 버튼이 상승하는 경우 하부둘레면은 걸림단턱에 걸릴 수 있다.
돌출홀에는 가이드가 결합되고, 버튼은 가이드의 내부에 결합할 수 있다.
리필용기는 하부돌기를 구비하고, 가이드는 하부돌기가 걸리는 걸림돌기를 구비할 수 있다.
리필용기의 입구에 결합하는 플레이트커버를 추가로 포함하고, 플레이트커버는 그 상부에 수용공간을 구비하며, 상부캡은 외부바디와 나사 결합하는 상부내캡을 구비하고, 상부내캡은 하향 돌출된 가압부를 구비하며, 상부캡이 외부바디에 나사 결합할 때, 가압부가 수용공간에 삽입되면서 플레이트커버를 하향 가압할 수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은 본 발명의 과제 해결 수단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사항을 포함하는 다양한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은 아래의 효과를 모두 발휘해야 성립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은 내용물을 보관하는 리필용기를 용이하게 교체할 수 있는 화장품용기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실링 효과가 우수한 화장품 용기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용기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AA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2에서 상부캡을 제거한 상태를 예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3에서 버튼이 상승해서 리필용기가 분리된 상태를 예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4에서 리필용기를 외부바디에서 완전히 분리한 상태를 예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용기를 예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7은 도 6에서 버튼이 상승해서 리필용기가 분리된 상태를 예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를 예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9는 도 8에 예시된 화장품 용기의 상부내캡을 예시하는 사시 단면도이다.
도 10은 도 8에 예시된 화장품 용기의 플레이트커버를 예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11은 도 8에 예시된 화장품 용기의 버튼 및 가이드를 예시하는 단면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 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서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도면 부호에 상관없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용기(100)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AA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그리고 도 3은 도 2에서 상부캡(110)을 제거한 상태를 예시하는 단면도이고, 도 4는 도 3에서 버튼(240)이 상승해서 리필용기(190)가 분리된 상태를 예시하는 단면도이다. 또한, 도 5는 도 4에서 리필용기(190)를 외부바디(220)에서 완전히 분리한 상태를 예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5를 참고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용기(100)는 내용물(도시하지 않음)이 보관되는 리필용기(190)를 용이하게 교체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버튼(240)을 상승시키면 돌출부재(244)가 결합된 리필용기(190)를 밀어 올려서 외부바디(220)에서 분리할 수 있기 때문에, 사용이 편리하다는 장점을 갖는다.
본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용기(100)는 상부캡(110), 외부바디(220) 및 버튼(240)을 포함한다. 그리고 상부캡(110)과 버튼(240)에 의해서 형성되는 내부공간에는 리필용기(190)가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다.
이하에서는, 본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용기(100)에 대해서 설명하기 이전에 리필용기(190)의 일 예에 대해서 우선 설명하기로 한다.
상부캡(110)은 외부바디(220)의 상부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해서 리필용기(190)을 폐쇄하는 역할을 한다. 상부캡(110)의 내주면에는 캡나사산(112)이 형성되어 있고, 캡나사산(112)은 외부바디(220)의 둘레에 형성된 외부나사산(224)과 나사 결합한다.
상부캡(110)이 외부바디(220)에 결합된 경우, 그 내면은 리필용기(190)의 다이얼(120)과 접할 수 있다.
상부캡(110)을 리필용기(190)에서 분리하면 다이얼(120)이 외부로 노출된다. 다이얼(120)은 리필용기(190)의 상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서, 그 회전에 의해서 피스톤(150)을 상승시키고 내용물을 분쇄하는 역할을 한다.
다이얼(120)의 상부에는 원형의 배출면(122)이 형성되어 있고, 배출면(122)에는 분쇄된 내용물이 배출되는 통로에 해당하는 배출홀(도시하지 않음)이 형성되어 있다. 배출홀은 직선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고, 일정한 간격을 두고 다수 개가 형성될 수 있다.
배출면(122)의 가장자리에는 내부둘레면(130)이 상향 돌출 형성된다. 이로 인해, 다이얼(120)의 상부는 내부둘레면(130)에 의해서 오목한 형상을 가져서 배출된 내용물이 외부로 쉽게 유출되지 않게 된다.
배출면(122)의 하부에는 내용물을 분쇄하는 커터(126)가 구비되어 있다. 커터(126)는 배출홀에 인접하게 위치하는데, 이로 인해 분쇄된 내용물이 배출홀에 바로 유입될 수 있게 된다. 커터(126)의 길이는 배출홀의 길이와 동일하거나 다소 작게 형성될 수 있다.
배출면(122)의 하부 중앙에는 결합돌기(128)가 돌출 형성되어 있다. 결합돌기(128)는 일정한 길이를 갖고 사각형 등과 같은 다각형의 단면 형상을 갖는다. 결합돌기(128)는 스크류(180)의 상부에 형성된 결합홈(184)에 삽입되는데, 이로 인해 다이얼(120)의 회전이 스크류(180)에 그대로 전달된다.
배출면(122)의 하부 가장자리 전체에는 하부둘레면(140)이 형성되어 있다. 하부둘레면(140)은 리필용기(190)의 상부에 형성되는 내부홈(196)에 회전 가능하게 삽입된다. 그리고 하부둘레면(140)의 내주면은 내부홈(196)의 내부면과 접하는데, 이로 인해 분쇄된 내용물이 외부로 유출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내부둘레면(130)의 외측에는 외부둘레면(132)이 형성되어 있다. 외부둘레면(132)은 사용자에 의해서 파지되는 부분이다.
내부둘레면(130)과 외부둘레면(132)의 사이에는 회전홈(136)이 형성된다. 회전홈(136)의 내부에는 리필용기(190)의 상부에 형성된 회전돌기(194)가 회전 가능하게 삽입된다. 그리고 회전돌기(194)의 외측면에는 돌기(도면부호 없음)가 형성되고, 회전홈(136)의 내측에는 상기 돌기가 삽입되는 걸림홈(도면부호 없음)이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돌기 및 걸림홈에 의해서 다이얼(120)이 리필용기(190)에서 쉽게 이탈되지 않는다.
리필용기(190)의 내부에서 다이얼(120)의 하부에는 스크류(180)가 구비되어 있다. 스크류(180)는 다이얼(120)과 일체로 회전하면서 그 둘레에 나사 결합된 피스톤(150)을 상승 또는 하강시키는 역할을 한다.
스크류(180)는 중공의 원기둥 형상을 갖고 그 상부에는 결합홈(184)이 형성되어 있다. 결합홈(184)에는 다이얼(120)의 결합돌기(128)가 결합되는데, 이로 인해 다이얼(120)과 스크류(180)가 일체로 회전하게 된다.
스크류(180)의 외주면에는 외부나사산(182)이 형성되어 있다. 외부나사산(182)은 피스톤(150)의 중앙에 형성된 내부나사산(158)과 나사 결합한다. 이로 인해 스크류(180)의 회전 운동이 피스톤(150)에 전달되어 피스톤(150)이 승하강 운동을 할 수 있다.
스크류(180)의 하부는 리필용기(190)의 바닥면에 회전 가능하게 위치한다. 그리고 스크류(180)의 하부에는 원형의 플레이트(186)가 형성되어 있는데, 플레이트(186)에 의해서 스크류(180)가 안정적으로 회전할 수 있다. 또한, 플레이트(186)의 중앙에는 관통공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관통공에는 리필용기(190)의 바닥면에 형성된 센터돌기(212)가 삽입된다. 센터돌기(212)에 의해서 스크류(180)의 위치 이동이 방지되어 스크류(180)가 안정적으로 회전할 수 있게 된다.
피스톤(150)은 원형의 승하강면(152)을 구비한다. 그리고 승하강면(152)의 상부에는 내용물이 위치한다.
피스톤(150)의 중앙에는 센터돌기(156)가 하향 돌출된다. 센터돌기(156)는 양단부가 모두 개방된 중공의 원기둥 형상을 갖는다. 그리고 센터돌기(156)의 내주면에는 내부나사산(158)이 형성되어 있다. 내부나사산(158)은 스크류(180)의 외주면에 형성된 외부나사산(182)과 나사 결합한다. 이로 인해, 스크류(180)의 회전이 피스톤(150)에 전달된다.
피스톤(150)의 하부에서 센터돌기(156)의 둘레에는 가이드돌기(160)가 형성되어 있다. 가이드돌기(160)는 하단이 개방된 중공의 원기둥 형상을 갖고, 그 직경은 센터돌기(156)에 비해서 크게 형성된다.
피스톤(150)의 둘레에는 접촉면(166)이 형성되어 있다. 접촉면(166)은 승하강면(152)의 가장자리에서 하향 돌출되어서 리필용기(190)의 내주면과 접한다. 이로 인해, 분쇄된 내용물이 피스톤(150)의 하부로 유출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리필용기(190)는 내용물을 수용하는 내부공간을 구비하고, 그 내부공간에 스크류(180) 및 피스톤(150)이 위치한다. 그리고 리필용기(190)의 상부에는 다이얼(120)이 회전 가능하게 결합하고 그 하부는 안착면(230)과 접한다.
리필용기(190)의 상단에는 회전돌기(194)가 상향 돌출되어 있다. 회전돌기(194)는 다이얼(120)에 형성된 회전홈(136)에 회전 가능하게 삽입된다. 그리고 회전돌기(194)의 내측 하부에는 내부홈(196)이 형성되어 있다. 내부홈(196)에는 다이얼(120)의 하부둘레면(140)이 회전 가능하게 삽입된다.
리필용기(190)의 하면에는 바디돌기(202)가 형성되어 있다. 바디돌기(202)는 원형의 단면을 갖고 그 상단부는 개방되어 있다. 그리고 바디돌기(202)의 내부에는 피스톤(150)의 가이드돌기(160)가 삽입될 수 있다.
리필용기(190)의 둘레에는 플랜지(206)가 외향 돌출되어 있다. 플랜지(206)는 외부바디(220)의 상단부에 안착된다. 그리고 플랜지(206)의 하부에는 결합돌기(208)가 하향 돌출되어 있다. 결합돌기(208)는 외부바디(220)의 결합둘레면(222)의 내주면(226)에 삽입되는데, 이로 인해 리필용기(190)가 외부바디(220)에서 쉽게 분리되지 않게 된다.
이상에서는 외부바디(220)에 결합하는 리필용기(190)가 다이얼(120), 피스톤(150), 스크류(180) 등을 포함하는 그라인딩 용기인 것으로 예시하였지만,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용기(100)의 내부에 결합하는 리필용기(190)는 다양한 형상, 구조 및 기능을 구비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리필용기는 펌프 타입의 용기이거나 또는 튜브 타입의 용기에 해당할 수 있다.
외부바디(220)는 리필용기(190)를 수용할 수 있는 내부공간을 구비한다. 즉, 외부바디(220)는 결합둘레면(222)과 안착면(230)을 가져서 그 상부에 리필용기(190)를 수용할 수 있는 내부공간을 구비한다. 그리고 외부바디(220)의 하부에는 버튼(240)이 이동 가능하게 삽입된다. 이와 같이, 외부바디(220)는 상부캡(110)과 함께 화장품용기(100)의 외체를 형성한다.
외부바디(220)는 안착면(230)의 상부에 형성된 결합둘레면(222)을 구비한다. 그리고 결합둘레면(222)의 외주면에는 외부나사산(224)이 형성되어 있다. 외부나사산(224)에는 상부캡(110)의 내부에 형성된 캡나사산(112)이 나사 결합한다.
외부바디(220)의 안착면(230)은 약간 오목하게 형성된 면으로서 그 상부에는 리필용기(190)가 놓여진다. 안착면(230)은 결합둘레면(222)과 함께 리필용기(190)를 수용할 수 있는 내부공간을 형성한다. 그리고 안착면(230)에는 돌출홀(232)이 형성되어 있고, 돌출홀(232)을 통해서 버튼(240)의 돌출부재(244)가 안착면(230)의 상부로 상향 돌출될 수 있다.
안착면(230)의 하부에는 가이드(234)가 형성되어 있다. 가이드(234)는 중공의 원기둥 형상을 갖고 그 내부에는 돌출부재(244)가 삽입되어 있다. 가이드(234)는 돌출부재(244)의 상승 및 하강을 가이드 해서 안착면(230)의 상부로 원활하게 돌출되거나 후퇴할 수 있게 한다.
안착면(230)의 하부에는 외부둘레면(236)이 형성되어 있다. 외부둘레면(236)은 버튼(240)이 이동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한다. 그리고 외부둘레면(236)의 하부 내주면에는 걸림돌기(238)가 형성되어 있는데, 걸림돌기(238)는 버튼(240)의 둘레에 형성된 오목한 홈(도면부호 없음)에 삽입된다.
외부둘레면(236)의 내주면에는 걸림단턱(239)이 형성되어 있다. 걸림단턱(239)에는 버튼(240)이 상향 이동하는 경우 하부둘레면(242)이 걸리게 되는데, 이로 인해 버튼(240)의 상승이 제한된다.
버튼(240)은 외부바디(220)의 하부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해서 리필용기(190)를 외부바디(220)에서 분리하는 역할을 한다. 버튼(240)은 원형의 플레이트 형상을 갖고 그 상면에는 돌출부재(244)가 구비되어 있다.
버튼(240)의 둘레에는 하부둘레면(242)이 구비되어 있다. 하부둘레면(242)은 약간의 높이를 갖는 측면으로서, 외부바디(220)의 내주면과 접한다.
버튼(240)의 상면에는 돌출부재(244)가 상향 돌출되어 있고, 돌출부재(244)는 가이드(234)에 이동 가능하게 삽입되어 있다. 돌출부재(244)는 버튼(240)이 상승하는 경우 안착면(230)의 상부로 돌출되어서 리필용기(190)를 분리하는 역할을 한다.
도 4 내지 도 5를 참고하면, 리필용기(190)를 분리하기 위해서 버튼(240)을 상승시키면, 돌출부재(244)가 안착면(230)의 돌출홀(232)을 통해서 상승하면서 리필용기(190)를 상향 가압한다. 이로 인해, 리필용기(190)의 결합돌기(208)가 내주면(226)에서 분리되면서 외부바디(220)에서 분리된다.
그리고 새로운 리필용기(190)를 외부바디(220)의 상부에 결합하는 경우, 상승한 상태에 있는 돌출부재(244)는 리필용기(190)에 의해 하향 가압되어 도1과 같이 원래의 위치에 복귀하게 된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용기(100)는 리필용기(190)의 분리 및 결합이 용이하다는 장점을 갖는다. 특히, 상부캡(110) 및 외부바디(220)를 교체하지 않고 리필용기(190)만 교체할 수 있기 때문에 경제적이고 친환경적인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용기(300)를 예시하는 단면도이고, 도 7은 도 6에서 버튼(360)이 상승해서 리필용기(350)가 분리된 상태를 예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6 내지 도 7을 참고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용기(300)는 상부캡(310), 외부바디(320), 리필용기(350) 및 버튼(360)을 포함한다.
상부캡(310)은 외부바디(320)의 상부에 결합해서 리필용기(350)의 내부로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는 역할을 한다. 상부캡(310)은 상부외캡(312) 및 상부내캡(314)을 포함한다.
상부외캡(312)은 상부캡(310)의 외체를 형성하는 것으로, 원형의 단면 형상을 갖는다.
상부내캡(314)은 상부외캡(312)의 내부에 결합해서 외부로 노출되지 않는다. 상부내캡(314)은 상부외캡(312)의 둘레면에 밀착되어 고정된다. 그리고 상부내캡(314)은 캡나사산(316)을 구비하는데, 이는 외부바디(320)의 상부에 형성된 외부나사산(324)에 나사 결합한다.
외부바디(320)는 리필용기(350)를 수용할 수 있는 내부공간을 구비한다. 내부공간은 안착면(330)에 의해서 형성되는데, 이는 리필용기(350)의 형상에 대응한다. 따라서 리필용기(350)는 안착면(330)에 밀착되어 보관될 수 있다.
안착면(330)의 하부에는 보강부(334)가 구비되어 있는데, 이는 안착면(330)의 다른 부분에 비해서 두껍게 형성되는 부분이다. 보강부(334)의 상면은 편평하게 형성될 수 있고, 안착면(330)의 하부에서 다소 돌출 형성될 수 있다. 리필용기(350)는 보강부(334)의 편평한 상면에 대응하는 편평한 바닥면(352)을 구비할 수 있다.
보강부(334)에는 두 개의 돌출홀(332)이 형성되어 있다. 돌출홀(332)을 통해서 버튼(360)의 돌출부재(364)가 안착면(330)의 상부로 돌출될 수 있다. 그리고 보강부(334)의 두께가 안착면(330)의 다른 부분에 비해 두껍게 형성되기 때문에, 돌출홀(332)을 통과하는 돌출부재(364)가 안정적으로 이동할 수 있다.
안착면(330)의 둘레에는 결합둘레면(322) 및 외부둘레면(336)이 구비되어 있다.
결합둘레면(322)은 안착면(330)의 상단부와 연결되어 일체로 형성된다. 그리고 결합둘레면(322)의 외주면에는 외부나사산(324)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결합둘레면(322)과 외부둘레면(336)은 단턱(340)에 의해서 구분된다.
단턱(340)은 결합둘레면(322)의 하단에서 외향 돌출 형성되는 부분이다. 단턱(340)의 상면에는 상부캡(310)이 위치할 수 있다(도 6 참조).
외부둘레면(336)은 단턱(340)의 단부에서 하향 연장된 것으로 내부공간을 구비하고 그 내부공간에는 안착면(330)이 구비되어 있다. 외부둘레면(336)의 하부 내주면에는 걸림돌기(338)가 형성되어 있는데, 걸림돌기(338)는 버튼(360)의 하부둘레면(362)에 삽입된다. 이와 같은 걸림돌기(338)에 의해서 버튼(360)이 하부둘레면(336)에서 쉽게 이탈되지 않는다.
외부바디(320)의 결합둘레면(322), 안착면(330) 및 외부둘레면(336)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리필용기(350)는 내용물을 보관하는 것으로 안착면(330)에 대응하는 단면 형상을 갖는다. 특히, 리필용기(350)의 하부에는 편평하게 형성된 바닥면(352)이 구비되어 있는데, 이는 안착면(330) 하부의 보강부(334)에 대응한다.
리필용기(350)의 상부 외주면에는 플랜지(356)가 형성될 수 있다. 플랜지(356)는 안착면(330)과 결합둘레면(322)의 연결 부분에 해당하는 걸림단턱(326)에 걸리게 된다.
리필용기(350)의 개방된 상부에는 리필커버(354)가 구비될 수 있다.
제2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용기(300)의 버튼(360)은 외부둘레면(336)의 내부에서 승하강하면서 리필용기(350)를 안착면(330)에서 분리하는 역할을 한다. 버튼(360)은 원형의 디스크 형상을 갖고 그 상면에는 두 개의 돌출부재(364)가 형성되어 있으며, 그 가장자리에는 하부둘레면(362)이 형성되어 있다.
하부둘레면(362)은 제1 실시예에 따른 버튼(240)의 하부둘레면(242)과 구성이 동일하기 때문에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돌출부재(364)는 안착면(330)에 형성된 돌출홀(332)에 삽입되어 상승 또는 하강한다. 도 7과 같이 버튼(360)이 상승한 경우 돌출부재(364)는 안착면(330)의 상부로 돌출되면서 리필용기(350)를 상향 가압한다. 이로 인해, 리필용기(350)가 외부바디(320)에서 용이하게 분리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400)를 예시하는 단면도이고, 도 9는 화장품 용기(400)의 상부내캡(414)을 예시하는 사시 단면도이다. 그리고 도 10은 화장품 용기(400)의 플레이트커버(480)를 예시하는 사시도이고, 도 11은 화장품 용기(400)의 버튼(460) 및 가이드(470)를 예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8 내지 도 11을 참고하면, 제3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400)는 제2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300)와 구성이 유사하고, 다만 가이드(470) 및 플레이트커버(480)를 구비하는 점에서 차이점을 갖는다. 가이드(470)는 버튼(460)의 이동을 가이드하고, 플레이트커버(480)는 리필용기(450)의 상부 입구에 결합되어서 내용물의 유출을 방지하고 외부 이물질의 유입을 차단한다.
제3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400)는 상부캡(410), 외부바디(420), 리필용기(450), 버튼(460), 가이드(470) 및 플레이트커버(480)를 포함한다.
상부캡(410)은 상부외캡((412) 및 상부내캡(414)을 구비하는데, 이는 제3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300)의 상부캡(310)에서 상부외캡(312) 및 상부내캡(314)과 유사하기 때문에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다만, 상부내캡(414)은 하향 돌출된 가압부(418)를 갖는데, 이는 플레이트커버(480)의 상부에 형성된 수용공간(481)에 대응하는 형상을 갖고 수용공간(481)의 내부에 삽입되어 면접촉하면서 플레이트커버(480)의 실링을 더욱 강화한다.
가압부(418)의 외주면에는 패킹홈(417)이 형성되어 있고, 패킹홈(417)에는 가압패킹(419)이 삽입될 수 있다. 가압패킹(419)은 플레이트커버(480)의 수용공간(481)의 내면을 가압하면서 밀폐 기능을 강화하는 역할을 한다.
상부내캡(414)의 내주면에는 캡나사산(416)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는 외부바디(420)의 결합둘레면(422)에 형성된 외부나사산(424)에 나사 결합한다. 이로 인해, 본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400)는 상부캡(410)이 외부바디(420)에서 결합 및 분리 가능하게 된다.
외부바디(420)는 제3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300)의 외부바디(320)와 유사하고 다만 안착면(330), 보강부(334) 및 걸림돌기(338)를 구비하지 않는 점에서 차이점을 갖는다.
외부바디(420)는 상부에 결합둘레면(422), 외부나사산(424) 및 걸림단턱(426)을 갖는데, 이는 제3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300)의 결합둘레면(322), 외부나사산(324) 및 걸림단턱(326)과 유사하기 때문에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외부바디(420)의 하부 중앙에는 돌출홀(432)이 형성되어 있다. 돌출홀(432)에는 가이드(470)가 결합된다. 또한, 가이드(470)의 내부에는 버튼(460)이 상하 이동 가능하게 결합된다.
외부바디(420)의 상부에는 수평으로 형성된 단턱(440)이 구비되어 있다. 단턱(440)에는 상부외캡(412) 및 상부내캡(414)의 하단부가 안착될 수 있다.
리필용기(450)는 일정한 내부 공간을 가져서 그 내부에 내용물을 수납하는 것으로, 버튼(460)의 작동에 의해서 외부바디(420)에서 분리되어 교체될 수 있다. 리필용기(450)는 제3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300)의 리필용기(350)와 구성이 유사하고 다만, 리필커버(354)를 대신해서 플레이트커버(480)가 결합하고 하부에 하부돌기(458)가 돌출 형성되어 있다는 점에서 차이점을 갖는다.
리필용기(450)는 편평하게 형성된 바닥면(452)을 갖고, 바닥면(452)은 버튼(460)의 돌출부재(462)에 의해서 가압될 수 있다. 그리고 바닥면(452)에는 하부돌기(458)가 형성되어 있는데, 하부돌기(458)는 가이드(470)의 상부에 구비되어 있는 걸림돌기(478)에 걸리게 된다. 이로 인해, 리필용기(450)가 외부바디(420)에서 이탈하지 않게 된다.
물론, 버튼(460)의 상향 가압에 의해서 하부돌기(458)는 걸림돌기(478)의 걸림 상태에서 벗어날 수 있는데, 이로 인해 리필용기(450)의 교체가 가능하게 된다.
리필용기(450)의 상단부 외주면에는 플랜지(456)가 형성되어 있다. 플랜지(456)는 외부바디(420)의 상단부에 형성된 걸림단턱(426)에 안착된다.
리필용기(450)의 상부 내주면에는 내부경사면(454)이 형성되어 있다. 내부경사면(454)은 일정한 경사각을 갖는 평면 또는 곡면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플레이트커버(480)의 외부경사면(482)과 면접촉할 수 있다. 내부경사면(454)과 외부경사면(482)과의 면접촉에 의해서, 리필용기(450)의 상부 입구에 대한 플레이트커버(480)의 밀폐력이 더욱 강화된다.
가이드(470)는 외부바디(420)의 돌출홀(432)의 내부에 결합되어 그 내부에 결합된 버튼(460)의 이동을 가이드 한다. 가이드(470)는 중공의 원통 형상을 갖고 상단 및 하단은 모두 개방된 구조를 갖는다.
가이드(470)의 하단에는 외향 돌출된 걸림돌기(472)가 형성되어 있는데, 걸림돌기(472)는 돌출홀(432)의 하단부에 형성된 단턱(도면부호 없음)에 걸리게 된다. 이로 인해, 가이드(470)가 외부바디(420)의 내부공간으로 삽입되는 것이 방지된다.
가이드(470)의 상부에는 가이드면(476)이 구비되어 있고, 가이드면(476)의 중앙에는 센터홀(474)이 형성되어 있다. 버튼(460)은 가이드면(476)의 하부에 위치하고 돌출부재(462)는 센터홀(474)을 통해서 외부바디(420)의 내부공간으로 돌출된다.
가이드(470)의 상부 외주면에는 걸림돌기(478)가 외향 돌출되어 있다. 걸림돌기478)는 돌출홀(432)의 상부에 걸려서 가이드(470)가 아래로 빠지는 것을 방지한다.
버튼(460)은 사용자에 의해 가압되어 리필용기(450)를 상향 가압하는 것으로, 이로 인해 리필용기(450)는 가이드(470)에서 이탈해서 외부바디(420)의 외부로 분리될 수 있다. 버튼(460)은 원형의 베이스(464)와, 베이스(464)의 중앙에 형성된 돌출부재(462)를 포함한다.
베이스(464)는 가이드(470)의 내부에 이동 가능하게 삽입된다. 그리고 베이스(464)의 둘레에는 상향 돌출된 버튼플랜지(466)이 형성되어 있는데, 이는 베이스(464)의 이동을 원활하게 한다.
돌출부재(462)는 가이드(470)의 센터홀(474)을 관통해서 외부바디(420)의 내부 공간으로 돌출되고 그 단부는 리필용기(450)의 바닥면(452)과 접하고 있다. 돌출부재(462)의 외주면에는 돌기(도면부호 없음)가 형성되어 있고, 돌기는 가이드면(476)에 걸려서 버튼(460)이 가이드(470)에서 빠지는 것을 방지한다.
플레이트커버(480)는 리필용기(450)의 상부에 결합되어 내용물의 유출을 방지하고 외부 이물질의 유입을 차단하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플레이트커버(480)는 상부내캡(414)에 의해서 리필용기(450) 방향으로 가압되는데, 이로 인해 플레이트커버(480)의 밀폐력이 더욱 강화된다.
플레이트커버(480)의 상부에는 수용공간(481)이 형성되어 있다. 수용공간(481)의 내부에는 상부내캡(414)의 가압부(418)가 삽입되어 면접촉 한다. 상부캡(410)이 외부바디(420)에 결합하는 과정에서 상부내캡(414)은 플레이트커버(480)를 하향 가압해서 플레이트커버(480)의 가압력을 더욱 강화한다.
플레이트커버(480)의 상부에는 외부경사면(482)이 형성되어 있는데, 외부경사면(482)은 수용공간(481)의 둘레면에 해당한다. 외부경사면(482)은 리필용기(450)의 내부경사면(454)에 걸리게 된다.
플레이트커버(480)는 둘레면(484)을 구비하고, 둘레면(484)은 리필용기(450)의 상부 입구와 동일한 직경을 가져서 억지끼워맞춤 될 수 있다.
플레이트커버(480)의 중앙에는 배출플레이트(486)가 결합된다. 배출플레이트(486)는 다수 개의 배출홀(도면부호 없음)을 갖는 금속 플레이트 또는 메쉬 등에 의해서 제작될 수 있다. 배출홀을 통해서 리필용기(450)의 내부에 있는 내용물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배출플레이트(486)는 플레이트커버(480)와 다른 재질에 의해서 형성될 수 있고, 이때 초음파 융착 또는 이중 사출 등에 의해서 결합할 수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0, 300, 400: 화장품용기
110, 310, 410: 상부캡
120: 다이얼
150: 피스톤
180: 스크류
190, 350, 450: 리필용기
220, 320, 420: 외부바디
230, 330: 안착면
240, 360, 460: 버튼

Claims (7)

  1. 리필용기를 수용하는 내부공간을 구비하는 외부바디;
    상기 외부바디에 결합해서 상기 내부공간을 커버하는 상부캡;
    상기 외부바디의 하부에 승하강 가능하게 결합하는 버튼을 구비하고,
    상기 버튼은 상향 돌출되는 돌출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외부바디는 상기 돌출부재가 관통할 수 있는 돌출홀을 구비하며,
    상기 버튼이 상승하면 상기 돌출부재가 상기 돌출홀을 통해서 상기 내부공간으로 돌출되어 상기 리필용기를 상향 가압하는 교체가 용이한 화장품용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안착면은 하향 돌출되어 상기 돌출부재가 이동 삽입되는 가이드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체가 용이한 화장품용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버튼은 하부둘레면을 구비하고,
    상기 외부바디의 내주면에는 걸림단턱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버튼이 상승하는 경우, 상기 하부둘레면은 상기 걸림단턱에 걸리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체가 용이한 화장품용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리필용기는 편평한 바닥면을 구비하고,
    상기 외부바디는 상기 바닥면과 접하는 보강부를 구비하며,
    상기 보강부에 상기 돌출홀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체가 용이한 화장품용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홀에는 가이드가 결합되고, 상기 버튼은 상기 가이드의 내부에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체가 용이한 화장품용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리필용기는 하부돌기를 구비하고, 상기 가이드는 상기 하부돌기가 걸리는 걸림돌기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체가 용이한 화장품 용기.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리필용기의 입구에 결합하는 플레이트커버를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플레이트커버는 그 상부에 수용공간을 구비하며,
    상기 상부캡은 상기 외부바디와 나사 결합하는 상부내캡을 구비하고, 상기 상부내캡은 하향 돌출된 가압부를 구비하며,
    상기 상부캡이 상기 외부바디에 나사 결합할 때, 상기 가압부가 상기 수용공간에 삽입되면서 상기 플레이트커버를 하향 가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체가 용이한 화장품 용기.
KR1020200137910A 2020-04-02 2020-10-23 교체가 용이한 화장품용기 KR10238565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40027 2020-04-02
KR1020200040027 2020-04-02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23990A true KR20210123990A (ko) 2021-10-14
KR102385651B1 KR102385651B1 (ko) 2022-04-13

Family

ID=781514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37910A KR102385651B1 (ko) 2020-04-02 2020-10-23 교체가 용이한 화장품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85651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363831B2 (ja) * 2009-02-23 2013-12-11 エム・エフ・ヴィ株式会社 容器装置
KR101562915B1 (ko) * 2015-09-01 2015-10-26 이성환 화장품 용기
JP2017197274A (ja) * 2016-04-28 2017-11-02 株式会社吉野工業所 レフィール容器を有する二重容器
JP2019026346A (ja) * 2017-07-31 2019-02-21 株式会社吉野工業所 二重容器および蓋付レフィル容器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363831B2 (ja) * 2009-02-23 2013-12-11 エム・エフ・ヴィ株式会社 容器装置
KR101562915B1 (ko) * 2015-09-01 2015-10-26 이성환 화장품 용기
JP2017197274A (ja) * 2016-04-28 2017-11-02 株式会社吉野工業所 レフィール容器を有する二重容器
JP2019026346A (ja) * 2017-07-31 2019-02-21 株式会社吉野工業所 二重容器および蓋付レフィル容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85651B1 (ko) 2022-04-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7105866B (zh) 旋转挤压式化妆品容器
KR101631827B1 (ko) 펌프 타입 컴팩트 용기
KR101590936B1 (ko) 회전식 화장품 용기
US20190357656A1 (en) Receptacle for mixing of different materials
KR102317355B1 (ko) 화장품 용기
CN111712329B (zh) 双重容器
CN101496671A (zh) 移位筛件
KR200490927Y1 (ko) 화장품 용기
KR101355654B1 (ko) 공기분출형 화장품 용기
KR102271373B1 (ko) 이중 용기
CN106175031A (zh) 包括具有短行程的泵的粉盒容器
KR102279516B1 (ko) 분쇄 용기
KR20210158272A (ko) 내용물 용기
KR102385651B1 (ko) 교체가 용이한 화장품용기
KR102356605B1 (ko) 화장품 용기
FR3124173A1 (fr) rÉcipient avec tamis Élastique
JP5179990B2 (ja) 注出栓
KR102356590B1 (ko) 화장품 용기
KR102077606B1 (ko) 오리피스 및 이를 포함하는 스프레이 용기
KR102015622B1 (ko) 유체 용기
US10737870B2 (en) Container for discharging liquid
JP7437234B2 (ja) ポンプ式吐出器
JP6982845B2 (ja) キャップ
JP6654490B2 (ja) ポンプ式液体吐出器
KR101727237B1 (ko) 화장품 케이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