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23868A - Vehicle Display Apparatus and Display Brightness Adjusting Method Using the Same - Google Patents

Vehicle Display Apparatus and Display Brightness Adjusting Method Using the Sa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23868A
KR20210123868A KR1020200041620A KR20200041620A KR20210123868A KR 20210123868 A KR20210123868 A KR 20210123868A KR 1020200041620 A KR1020200041620 A KR 1020200041620A KR 20200041620 A KR20200041620 A KR 20200041620A KR 20210123868 A KR20210123868 A KR 2021012386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nglasses
brightness
unit
display
vehic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41620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이중영
Original Assignee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0416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123868A/en
Publication of KR202101238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23868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35/00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f instruments in or on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35/00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f instruments in or on vehicles
    • B60K35/20Output arrangements, i.e. from vehicle to user, associated with vehicle functions or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60K35/21Output arrangements, i.e. from vehicle to user, associated with vehicle functions or specially adapted therefor using visual output, e.g. blinking lights or matrix displays
    • B60K35/22Display scree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35/00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f instruments in or on vehicles
    • B60K35/20Output arrangements, i.e. from vehicle to user, associated with vehicle functions or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60K35/28Output arrangements, i.e. from vehicle to user, associated with vehicle functions or specially adapted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the output information, e.g. video entertainment or vehicle dynamics information;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of the output information, e.g. for attracting the attention of the driv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35/00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f instruments in or on vehicles
    • B60K35/65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vehicle types or users, e.g. for left- or right-hand drive
    • B60K35/654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vehicle types or users, e.g. for left- or right-hand drive the user being the driv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50/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e.g. process diagnostic or vehicle driver interfaces
    • B60W50/08Interaction between the driver and the control system
    • B60W50/14Means for informing the driver, warning the driver or prompting a driver intervention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7/00Optical parts
    • G02C7/10Filters, e.g. for facilitating adaptation of the eyes to the dark; Sunglas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2360/0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groups B60K35/00 or B60K37/00 relating to details of instruments or dashboards
    • B60K2360/20Optical features of instruments
    • B60K2360/21Optical features of instruments using camera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2360/0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groups B60K35/00 or B60K37/00 relating to details of instruments or dashboards
    • B60K2360/20Optical features of instruments
    • B60K2360/33Illumination features
    • B60K2360/349Adjustment of brightness
    • B60K2370/152
    • B60K2370/176
    • B60K2370/21
    • B60K2370/349
    • B60K2370/736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50/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e.g. process diagnostic or vehicle driver interfaces
    • B60W50/08Interaction between the driver and the control system
    • B60W50/14Means for informing the driver, warning the driver or prompting a driver intervention
    • B60W2050/146Display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ntrols And Circuits For Display Device (AREA)

Abstract

Disclosed is a display apparatus for a vehicle and a display brightness control method using the same.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the display apparatus for a vehicle, comprising: a display unit constituted to display driving information of the vehicle; a sunglass determination unit constituted to determine whether a user wears sunglasses; and a brightness control unit constituted to control brightness of the display unit based on the determination of the sunglass determination unit. The present invention controls the brightness of the display unit regarding the wearing of sunglasses of the user to increase visibility of the display unit.

Description

차량용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차량용 디스플레이 밝기 조절 방법{Vehicle Display Apparatus and Display Brightness Adjusting Method Using the Same}Vehicle Display Apparatus and Display Brightness Adjusting Method Using the Same

본 개시는 차량용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차량용 디스플레이 밝기 조절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disclosure relates to a vehicle display apparatus and a vehicle display brightness control method using the same.

이 부분에 기술된 내용은 단순히 본 개시에 대한 배경정보를 제공할 뿐 종래기술을 구성하는 것은 아니다.The content described in this section merely provides background information for the present disclosure and does not constitute the prior art.

차량의 안전성 향상 및 운전자 편의 제공을 위해, 다양한 첨단 전자기술들이 차량에 적용되고 있다. 그러한 첨단 전자기술 중 하나가 차량의 레오스텟(rheostat)의 변화를 통한 디스플레이부(display unit)의 밝기(brightness) 조절 기능이다. 디스플레이부의 밝기 조절 기능은, 차량의 외부 환경에 맞추어, 디스플레이부, 예컨대, 계기판(cluster), AVN(Audio/Video/Navigation unit), 및 CID(center information display) 등의 밝기를 조절하는 기능을 일컫는다.In order to improve vehicle safety and provide driver convenience, various advanced electronic technologies are being applied to vehicles. One of such advanced electronic technologies is a function of adjusting the brightness of a display unit through a change in a vehicle's rheostat. The brightness control function of the display unit refers to a function of adjusting the brightness of a display unit, for example, a cluster, an audio/video/navigation unit (AVN), and a center information display (CID) according to the external environment of the vehicle. .

도 1은 종래의 차량용 디스플레이 장치의 동작을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차량의 계기판, AVN, 또는, CID의 패널은, 디스플레이부의 밝기 조절 기능을 통해, 야간보다 주간에 더 높은 밝기를 가지게 된다.1 is an exemplary diagram illustrating an operation of a conventional display device for a vehicle. Referring to FIG. 1 , a vehicle dashboard, AVN, or CID panel has a higher brightness during the day than at night through the brightness control function of the display unit.

이렇듯, 디스플레이부의 밝기 조절 기능은 차량의 외부 환경에 따라 디스플레이부의 밝기를 조절함으로써, 디스플레이부의 시인성(visibility)을 높이게 된다. 이를 통해,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된 정보는 사용자에게 보다 원활하게 전달된다.As such, the brightness control function of the display unit increases the visibility of the display unit by adjusting the brightness of the display unit according to the external environment of the vehicle. Through this, the information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is more smoothly transmitted to the user.

이러한 디스플레이부의 밝기 조절 기능은 차량 외부의 조도를 감지하여 자동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고, 사용자가 직접 버튼을 조작하는 방식으로 수동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The brightness control function of the display unit may be performed automatically by sensing the illuminance outside the vehicle, or may be performed manually by a user directly operating a button.

한편, 운전자가 선글라스를 착용할 경우, 디스플레이부에 대한 시인성이 감소하게 된다. 그러나 종래의 디스플레이부의 밝기 조절 기능은, 선글라스 착용에 의한 시인성 감소를 반영하지 않아, 선글라스를 착용한 사용자가 디스플레이부의 내용을 확인하는 데 어려움을 느끼는 문제점이 있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driver wears sunglasses, visibility of the display unit is reduced. However, the conventional brightness control function of the display unit does not reflect a decrease in visibility caused by wearing sunglasses, so there is a problem in that a user wearing sunglasses feels difficulty in checking the contents of the display unit.

이에, 본 개시는 사용자의 선글라스 착용을 반영하여 디스플레이부의 밝기를 조절함으로써 디스플레이부의 시인성(visibilty)을 높이고, 이를 통해, 사용자에게 편의를 제공하는 데 주된 목적이 있다.Accordingly, an object of the present disclosure is to increase the visibility of the display unit by adjusting the brightness of the display unit by reflecting the user's wearing of sunglasses, and thereby, provide convenience to the user.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차량의 주행 정보를 표시하도록 구성된 디스플레이부; 사용자의 선글라스의 착용 여부를 판단하도록 구성된 선글라스 판단부; 및 선글라스 판단부의 판단을 기초로 하여 디스플레이부의 밝기를 조절하도록 구성된 밝기 조절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한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a display unit configured to display driving information of a vehicle; Sunglasses determination unit configured to determine whether the user wears sunglasses; and a brightness control unit configured to adjust the brightness of the display unit based on the determination of the sunglasses determination unit.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의하면, 차량용 디스플레이 장치는 운전자의 선글라스 착용을 반영하여 디스플레이부의 밝기를 조절함으로써 디스플레이부의 시인성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the vehicle display apparatus has the effect of further improving the visibility of the display unit by adjusting the brightness of the display unit by reflecting the driver's wearing of sunglasses.

도 1은 종래의 차량용 디스플레이 장치의 동작을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2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디스플레이 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3은 선글라스 모드 및 선글라스 자동인식 기능에 따른 밝기 조절부의 동작을 나타낸 표이다.
도 4는 제1카메라의 눈 인식 여부 및 제2카메라의 눈 인식 여부에 따른 밝기 조절부의 동작을 나타낸 표이다.
도 5는 선글라스의 렌즈 색상에 따른 톤 조절부의 UI 변경 동작을 나타낸 표이다.
도 6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디스플레이 밝기 조절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1 is an exemplary diagram illustrating an operation of a conventional display device for a vehicle.
2 is a block diagram of a display device for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3 is a table showing the operation of the brightness control unit according to the sunglasses mode and the automatic sunglasses recognition function.
4 is a table showing the operation of the brightness control unit according to whether the first camera recognizes the eyes and the second camera recognizes the eyes.
5 is a table showing the UI change operation of the tone control unit according to the lens color of sunglasses.
6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for adjusting the brightness of a vehicle displa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이하, 본 개시의 일부 실시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 요소들에 참조 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개시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개시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Hereinafter, some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exemplary drawings. In adding reference numerals to components in each drawing, it should be noted that the same components are given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s much as possible even though they are indicated in different drawings. In addition, in describing the present disclosure, if it is determined that a detailed description of a related known configuration or function may obscure the gist of the present disclosure, th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본 개시에 따른 실시예의 구성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1, 제2, i), ii), a), b) 등의 부호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부호는 그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부호에 의해 해당 구성요소의 본질 또는 차례나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명세서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 또는 '구비'한다고 할 때, 이는 명시적으로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In describing the components of the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disclosure, reference numerals such as first, second, i), ii), a), b) may be used. These signs are only for distinguishing the elements from other elements, and the nature, order, or order of the elements are not limited by the signs. When a part in the specification 'includes' or 'includes' a certain component, it means that other components may be further included, rather than excluding other components, unless explicitly stated to the contrary. .

도 2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디스플레이 장치(10)의 블록도이다.2 is a block diagram of a vehicle display apparatus 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도 2를 참조하면, 차량용 디스플레이 장치(vehicle display apparatus, 10)은 디스플레이부(display unit, 110), 선글라스 판단부(sunglasses determining unit, 120), 및 밝기 조절부(brightness adjusting unit, 130)를 전부 또는 일부 포함한다.Referring to FIG. 2 , the vehicle display apparatus 10 includes all of the display unit 110 , the sunglasses determining unit 120 , and the brightness adjusting unit 130 . or in part.

디스플레이부(110)는 차량의 주행 정보를 표시한다. 디스플레이부(110)는 계기판(cluster), AVN(Audio/Video/Navigation unit), 및 CID(Center Information Display)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The display unit 110 displays driving information of the vehicle. The display unit 110 includes at least one of a cluster, an audio/video/navigation unit (AVN), and a center information display (CID).

계기판은 디지털 방식 또는 아날로그 방식의 계기판을 포함하며, 주행속도, 엔진의 분당 회전수(RPM: revolutions per minute), 엔진 온도, 및 연료량 등의 정보를 표시한다.The instrument panel includes a digital or analog instrument panel, and displays information such as driving speed, revolutions per minute (RPM), engine temperature, and fuel amount.

선글라스 판단부(120)는 사용자(P)의 선글라스의 착용 여부를 판단한다. 사용자(P)는 차량의 운전자일 수 있으나, 조수석 탑승자일 수도 있다.The sunglasses determination unit 120 determines whether the user P wears sunglasses. The user P may be a driver of the vehicle, but may also be a passenger in the passenger seat.

선글라스 판단부(120)는 제1카메라(first camera, 122), 제2카메라(second camera, 124), 및 이미지 프로세서(image processor, 126)를 전부 또는 일부 포함한다.The sunglasses determining unit 120 includes all or part of a first camera 122 , a second camera 124 , and an image processor 126 .

제1카메라(122)는 가시광 영역(visible light region)의 이미지를 촬영하며, 제2카메라(124)는 적외선(infrared) 이미지를 촬영한다. 구체적으로, 제1카메라(122) 및 제2카메라(124)는 사용자(P)의 안면 이미지(facial image)를 촬영한 데이터를 획득한다.The first camera 122 captures an image in a visible light region, and the second camera 124 captures an infrared image. Specifically, the first camera 122 and the second camera 124 acquire data obtained by photographing a facial image of the user P.

이미지 프로세서(126)는 제1카메라(122) 및 제2카메라(124)로부터 획득한 이미지를 기초로 하여 사용자(P)의 선글라스의 착용 여부를 판단한다. 이미지 프로세서(126)는, 각 카메라(122, 124)의 이미지에서 사용자(P)의 눈이 인식되는지 여부를 통해, 사용자(P)의 선글라스 착용 여부를 판단한다.The image processor 126 determines whether the user P wears sunglasses based on the images obtained from the first camera 122 and the second camera 124 . The image processor 126 determines whether the user P wears sunglasses through whether the user P's eyes are recognized in the images of the respective cameras 122 and 124 .

사용자(P)가 선글라스를 착용한 경우, 사용자(P)의 눈은 선글라스에 가려지게 된다. 제1카메라(122)는 가시광 영역의 이미지를 촬영하므로, 선글라스 착용시, 사용자(P)의 눈은 제1카메라(122)의 이미지 상에서 인식되지 않거나 매우 약하게 인식된다.When the user P wears sunglasses, the eyes of the user P are covered by the sunglasses. Since the first camera 122 captures an image in the visible light region, when wearing sunglasses, the eyes of the user P are not recognized or very weakly recognized on the image of the first camera 122 .

반대로, 제2카메라(124)는 적외선 이미지를 촬영하므로 투과 촬영이 가능하다. 따라서, 선글라스 착용시, 사용자(P)의 눈은 제2카메라(124)의 이미지 상에서 인식되게 된다.Conversely, since the second camera 124 captures an infrared image, transmission photography is possible. Accordingly, when wearing sunglasses, the eyes of the user P are recognized on the image of the second camera 124 .

이러한 측면에서, 제1카메라(122)의 이미지에서 사용자(P)의 눈이 인식되지 않는 한편 제2카메라(124)의 이미지에서 사용자(P)의 눈이 인식되는 경우, 이미지 프로세서(126)는 사용자(P)가 선글라스를 착용하고 있다고 판단하게 된다.In this aspect, when the eyes of the user P are not recognized in the image of the first camera 122 while the eyes of the user P are recognized in the image of the second camera 124, the image processor 126 is It is determined that the user P is wearing sunglasses.

밝기 조절부(130)는 선글라스 판단부(120)의 판단을 기초로 하여 디스플레이부(110)의 밝기(brightness)를 조절한다.The brightness adjusting unit 130 adjusts the brightness of the display unit 110 based on the determination of the sunglasses determining unit 120 .

예를 들어, 밝기 조절부(130)는 레오스탯(rheostat)을 변화시킴으로써 디스플레이부(110)의 밝기를 조절할 수 있으나, 본 개시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For example, the brightness control unit 130 may adjust the brightness of the display unit 110 by changing a rheostat, but the present disclosure is not limited thereto.

디스플레이부(110)의 밝기 조절 기능은, 차량 외부의 환경에 따라, 계기판, AVN, 또는, CID의 패널의 밝기를 조절하는 기능을 일컫는다. 예를 들어, 계기판, AVN, 또는, CID 의 패널은, 디스플레이부(110)의 밝기 조절 기능을 통해, 야간보다 주간에 더 높은 밝기를 가지게 된다.The brightness control function of the display unit 110 refers to a function of adjusting the brightness of the panel of the instrument panel, AVN, or CID according to the environment outside the vehicle. For example, the instrument panel, AVN, or CID panel has a higher brightness during the day than at night through the brightness control function of the display unit 110 .

사용자(P)가 선글라스를 착용하게 되면, 계기판, AVN, 또는, CID에 대한 시인성이 저하된다. 따라서, 사용자(P)가 선글라스를 착용한 경우, 밝기 조절부(130)는 디스플레이부(110)의 밝기를 높여 디스플레이부(110)의 시인성을 높인다.When the user P wears sunglasses, visibility of the instrument panel, AVN, or CID is reduced. Accordingly, when the user P wears sunglasses, the brightness control unit 130 increases the brightness of the display unit 110 to increase the visibility of the display unit 110 .

한편, 이미지 프로세서(126)는 제1카메라(122) 및 제2카메라(124)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획득한 이미지를 기초로 하여 사용자(P)가 착용한 선글라스의 렌즈 색상(lens color)을 인식한다.Meanwhile, the image processor 126 recognizes the lens color of the sunglasses worn by the user P based on the image obtained from at least one of the first camera 122 and the second camera 124 . .

한편, 차량용 디스플레이 장치(10)는 톤 조절부(tone adjusting unit, 150)를 추가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Meanwhile, the vehicle display device 10 may additionally include a tone adjusting unit 150 .

톤 조절부(150)는 이미지 프로세서(126)로부터 인식된 선글라스의 렌즈 색상을 기초로 하여 디스플레이부(110)의 톤(tone)을 조절한다. 예를 들어, 이미지 프로세서(126)가 선글라스의 렌즈 색상을 갈색(brown)과 같은 적색 계열로 인식한다면, 톤 조절부(150)는 디스플레이부(110) 상에서 녹색광 및 청색광 중 하나 이상을 강조하게 된다.The tone control unit 150 adjusts the tone of the display unit 110 based on the lens color of the sunglasses recognized by the image processor 126 . For example, if the image processor 126 recognizes the lens color of sunglasses as a red color such as brown, the tone control unit 150 emphasizes at least one of green light and blue light on the display unit 110 . .

반대로, 이미지 프로세서(126)가 선글라스의 렌즈 색상을 녹색 계열 또는 청색 계열로 인식한다면, 톤 조절부(150)는 디스플레이부(110) 상에서 적색광을 강조하게 된다.Conversely, if the image processor 126 recognizes the lens color of the sunglasses as a green series or a blue series, the tone adjuster 150 emphasizes the red light on the display unit 110 .

선글라스의 렌즈 색상은 선글라스 판단부(120)에 의해 인식될 수 있으나, 본 개시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사용자(P)는 선글라스의 렌즈 색상을 밝기 조절부(130)에 직접 입력할 수도 있다.The lens color of the sunglasses may be recognized by the sunglasses determination unit 120 , but the present disclosure is not limited thereto. For example, the user P may directly input the lens color of the sunglasses into the brightness control unit 130 .

차량용 디스플레이 장치(10)는 주야간 판단부(day/night determining unit, 140)를 추가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The vehicle display apparatus 10 may additionally include a day/night determining unit 140 .

주야간 판단부(140)는 차량의 외부 환경이 주간 및 야간 중 어느 것인지 판단한다. 주야간 판단부(140)는 예컨대 조도센서(illumination sensor)를 포함한다. 주야간 판단부(140)는 조도센서가 기준 조도(reference illuminance) 이상의 조도를 감지할 경우 주간이라 판단하게 되고, 조도센서가 기준 조도 미만의 조도를 감지할 경우 야간이라 판단하게 된다.The day/night determination unit 140 determines whether the external environment of the vehicle is day or night. The day/night determination unit 140 includes, for example, an illumination sensor. The day/night determination unit 140 determines that it is daytime when the illuminance sensor detects an illuminance greater than or equal to a reference illuminance, and determines that it is nighttime when the illuminance sensor detects an illuminance that is less than the reference illuminance.

따라서, 차량의 외부 환경이 실제로 야간인 경우뿐만 아니라, 차량이 터널, 옥내 주차장 등 다소 어두운 장소에 위치한 경우에도, 주야간 판단부(140)는 차량 외부의 환경이 야간인 것으로 판단하게 된다.Accordingly, not only when the external environment of the vehicle is actually at night, but also when the vehicle is located in a rather dark place such as a tunnel or an indoor parking lot, the day/night determination unit 140 determines that the environment outside the vehicle is at night.

밝기 조절부(130)는 주야간 판단부(140)의 판단을 기초로 하여 디스플레이부(110)의 밝기를 조절한다. 또한, 밝기 조절부(130)는, 여기에 선글라스 판단부(120)의 판단을 더하여, 디스플레이부(110)의 밝기를 조절한다.The brightness control unit 130 adjusts the brightness of the display unit 110 based on the determination of the day/night determination unit 140 . In addition, the brightness control unit 130 adjusts the brightness of the display unit 110 by adding the determination of the sunglasses determination unit 120 thereto.

예를 들면, 선글라스를 착용하지 않은 상태에서의 디스플레이부(110)의 밝기는 주간에서 80, 야간에서 10이라고 할 경우, 선글라스 착용한 상태에서의 디스플레이부(110)의 밝기는 주간에서 90, 야간에서 60이 될 수 있다. 상술한 수치는 예시적인 것이므로, 각 상태에서의 디스플레이의 밝기는 상술한 수치 이외의 비율을 가질 수 있다.For example, if the brightness of the display unit 110 in a state in which sunglasses are not worn is 80 in the daytime and 10 in the night, the brightness of the display unit 110 in a state in which sunglasses are worn is 90 in the daytime and at night. can be 60. Since the above-described numerical values are exemplary, the brightness of the display in each state may have a ratio other than the above-described numerical values.

각 상태에서의 디스플레이의 밝기는 차량용 디스플레이 장치(10) 상에 기 설정된 고정된 수치에 따라 조절된다. 그러나 본 개시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각 상태에서의 디스플레이의 밝기는 사용자에 의해 가변적으로 조절될 수도 있다.The brightness of the display in each state is adjusted according to a fixed value preset on the vehicle display device 10 . However, the present disclosure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brightness of the display in each state may be variably adjusted by the user.

도 3은 선글라스 모드(sunglasses mode) 및 선글라스 자동인식 기능(automatic sunglasses recognition function)에 따른 밝기 조절부(130)의 동작을 나타낸 표이다.3 is a table showing the operation of the brightness control unit 130 according to the sunglasses mode (sunglasses mode) and the automatic sunglasses recognition function (automatic sunglasses recognition function).

도 3을 참조하면, 밝기 조절부(130)는 선글라스 모드를 가진다. 여기서, 선글라스 모드는 사용자의 선글라스 착용 여부를 반영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밝기를 조절하는 모드를 지칭한다.Referring to FIG. 3 , the brightness adjusting unit 130 has a sunglasses mode. Here, the sunglasses mode refers to a mode in which the brightness of the display unit is adjusted by reflecting whether the user wears sunglasses.

선글라스 모드는 선글라스 판단부(120)에 의해 사용자의 선글라스 착용이 인식되거나, AVN 기능의 활성화를 통해 자동으로 액티브(active) 상태가 될 수 있다. 그러나 본 개시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선글라스 모드는 사용자의 버튼 조작 등을 통해 수동적으로 액티브 상태가 될 수 있다.In the sunglasses mode, the user's wearing of sunglasses is recognized by the sunglasses determination unit 120 , or an AVN function may be activated to automatically become an active state. However, the present disclosure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sunglasses mode may be passively activated through a user's button manipulation or the like.

밝기 조절부(130)는, 선글라스 모드가 액티브 상태인 경우, 선글라스 레오스탯 모드를 적용하여 디스플레이부(110)의 밝기를 조절한다. 여기서, 선글라스 레오스탯 모드(sunglasses rheostat mode)는 선글라스 착용이 반영된 레오스탯 모드를 지칭하며, 후술되는 일반 레오스탯 모드(normal rheostat mode)는 선글라스 착용이 반영되지 않은 레오스탯 모드를 지칭한다.The brightness adjusting unit 130 adjusts the brightness of the display unit 110 by applying the sunglasses reostat mode when the sunglasses mode is active. Here, sunglasses rheostat mode (sunglasses rheostat mode) refers to a rheostat mode in which wearing sunglasses is reflected, and a normal rheostat mode to be described later refers to a rheostat mode in which wearing sunglasses is not reflected.

한편, 밝기 조절부(130)는, 선글라스 모드가 액티브인 상태에서, 수동 기능(manual function) 및 선글라스 자동인식 기능 중 하나를 설정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Meanwhile, the brightness control unit 130 is configured to set one of a manual function and an automatic sunglasses recognition function while the sunglasses mode is active.

수동 기능이 액티브인 상태에서, 밝기 조절부(130)는 사용자의 선글라스 착용과 관계없이, 선글라스 레오스탯 모드를 강제적으로 적용하게 된다.In a state in which the manual function is active, the brightness control unit 130 forcibly applies the sunglasses rheostat mode regardless of the user's wearing of sunglasses.

선글라스 자동인식 기능이 액티브인 상태에서, 밝기 조절부(130)는 선글라스 판단부(120)의 판단을 기초로 하여 디스플레이부(110)의 밝기를 조절한다.In a state in which the automatic sunglasses recognition function is active, the brightness adjusting unit 130 adjusts the brightness of the display unit 110 based on the determination of the sunglasses determining unit 120 .

구체적으로, 밝기 조절부(130)는 선글라스 판단부(120)의 판단에 따라 선글라스 레오스탯 모드 및 일반 레오스탯 모드 중 하나를 선택적으로 적용하게 된다.Specifically, the brightness control unit 130 selectively applies one of the sunglasses rheostat mode and the general rheostat mode according to the determination of the sunglasses determination unit 120 .

다시 도 3을 참조하면, 선글라스 모드가 비활성화(inactive)인 상태에서, 밝기 조절부(130)는 사용자의 선글라스 착용 여부와 관계없이 일반 레오스탯 모드를 적용하여 디스플레이부(110)의 밝기를 조정하게 된다.Referring back to FIG. 3 , in a state in which the sunglasses mode is inactive, the brightness control unit 130 adjusts the brightness of the display unit 110 by applying the general rheostat mode regardless of whether the user wears sunglasses. do.

선글라스 모드가 액티브인 상태이고 선글라스 자동인식 기능이 비활성인 상태(즉, 수동 기능이 액티브인 상태)에서, 밝기 조절부(130)는 사용자의 선글라스 착용 여부와 관계없이 선글라스 레오스탯 모드를 적용하게 된다.In a state in which the sunglasses mode is active and the automatic sunglasses recognition function is inactive (ie, the manual function is active), the brightness control unit 130 applies the sunglasses rheostat mode regardless of whether the user wears sunglasses. .

선글라스 모드가 액티브인 선글라스 자동인식 기능이 액티브인 상태(즉, 수동 기능이 비활성인 상태)에서, 밝기 조절부(130)는 선글라스 판단부(120)의 판단을 기초로 하여 선글라스 레오스탯 모드 및 일반 레오스탯 모드 중 하나를 선택적으로 적용하게 된다.In a state in which the sunglasses automatic recognition function in which the sunglasses mode is active is active (that is, the manual function is inactive), the brightness adjustment unit 130 is based on the determination of the sunglasses determination unit 120, sunglasses rheostat mode and general One of the rheostat modes will be selectively applied.

구체적으로, 밝기 조절부(130)는 선글라스 판단부(120)가 사용자의 선글라스 착용을 인식한 경우 선글라스 레오스탯 모드를 적용하게 되고, 반대로, 선글라스 판단부(120)가 사용자의 선글라스 착용을 인식하지 못한 경우 일반 레오스탯 모드를 적용하게 된다.Specifically, the brightness control unit 130 applies the sunglasses rheostat mode when the sunglasses determination unit 120 recognizes the user's wearing of sunglasses, and on the contrary, the sunglasses determination unit 120 does not recognize the user's wearing sunglasses. If not, the normal rheostat mode will be applied.

도 4는 제1카메라(122)의 눈 인식 여부 및 제2카메라(124)의 눈 인식 여부에 따른 밝기 조절부(130)의 동작을 나타낸 표이다.FIG. 4 is a table showing the operation of the brightness control unit 130 according to whether the first camera 122 recognizes the eyes and whether the second camera 124 recognizes the eyes.

도 4를 참조하면, 선글라스 판단부(120)의 이미지 프로세서(126)는 제1카메라(122) 및 제2카메라(124)로부터 획득한 이미지를 기초로 하여 사용자의 선글라스의 착용 여부를 판단한다. 또한, 밝기 조절부(130)는 이미지 프로세서(126)의 판단을 기초로 하여 디스플레이부(110)의 밝기(brightness)를 조절한다.Referring to FIG. 4 , the image processor 126 of the sunglasses determining unit 120 determines whether the user wears sunglasses based on images acquired from the first camera 122 and the second camera 124 . Also, the brightness control unit 130 adjusts the brightness of the display unit 110 based on the determination of the image processor 126 .

예를 들어, 제1카메라(122)의 이미지로부터 사용자의 눈을 인식하지 못하고, 제2카메라(124)의 이미지로부터 사용자의 눈을 인식하지 못한 경우, 이미지 프로세서(126)는 사용자의 선글라스 착용에 대하여 인식 불가의 상태(irrecognizable state)로 인지하게 된다. 이 경우, 밝기 조절부(130)는 일반 레오스탯 모드를 적용하게 된다.For example, when the user's eyes are not recognized from the image of the first camera 122 and the user's eyes are not recognized from the image of the second camera 124 , the image processor 126 is used for the user to wear sunglasses. is recognized as an unrecognizable state. In this case, the brightness control unit 130 applies the general reostat mode.

제1카메라(122)의 이미지로부터 사용자의 눈을 인식하지 못하고, 제2카메라(124)의 이미지로부터 사용자의 눈을 인식한 경우, 이미지 프로세서(126)는 사용자가 선글라스를 착용한 것으로 인지하게 된다. 이 경우, 밝기 조절부(130)는 선글라스 레오스탯 모드를 적용하게 된다.When the user's eyes are not recognized from the image of the first camera 122 and the user's eyes are recognized from the image of the second camera 124 , the image processor 126 recognizes that the user is wearing sunglasses. . In this case, the brightness control unit 130 applies the sunglasses rheostat mode.

제1카메라(122)의 이미지로부터 사용자의 눈을 인식하고, 제2카메라(124)의 이미지로부터 사용자의 눈을 인식하지 못한 경우, 이미지 프로세서(126)는 사용자의 선글라스 착용에 대하여 인식 불가 상태로 인지하게 된다. 이 경우, 밝기 조절부(130)는 일반 레오스탯 모드를 적용하게 된다.When the user's eyes are recognized from the image of the first camera 122 and the user's eyes are not recognized from the image of the second camera 124 , the image processor 126 returns to an unrecognized state with respect to the user's wearing of sunglasses. become aware In this case, the brightness control unit 130 applies the general reostat mode.

제1카메라(122)의 이미지로부터 사용자의 눈을 인식하고, 제2카메라(124)의 이미지로부터 사용자의 눈을 인식한 경우, 이미지 프로세서(126)는 사용자가 선글라스를 착용하지 않은 것으로 인지하게 된다. 이 경우, 밝기 조절부(130)는 일반 레오스탯 모드를 적용하게 된다.When the user's eyes are recognized from the image of the first camera 122 and the user's eyes are recognized from the image of the second camera 124 , the image processor 126 recognizes that the user does not wear sunglasses. . In this case, the brightness control unit 130 applies the general reostat mode.

도 5는 선글라스의 렌즈 색상에 따른 톤 조절부(150)의 UI(user interface) 변경 동작을 나타낸 표이다.5 is a table showing a UI (user interface) change operation of the tone control unit 150 according to the lens color of the sunglasses.

도 5를 참조하면, 톤 조절부(150)는, 밝기 조절부(130)가 수동 기능을 액티브한 상태에서, 선글라스의 렌즈 색상을 설정하도록 구성된다. 톤 조절부(150)는, 설정된 선글라스의 렌즈 색상에 적합하도록 UI를 변경하여, 이를 디스플레이부(110)의 톤을 조절하게 된다.Referring to FIG. 5 , the tone control unit 150 is configured to set the lens color of the sunglasses while the brightness control unit 130 activates the manual function. The tone control unit 150 adjusts the tone of the display unit 110 by changing the UI to suit the set lens color of the sunglasses.

예를 들어, 선글라스의 렌즈 색상이 회색으로 설정된 경우, 톤 조절부(150)는 일반 UI를 적용하게 된다.For example, when the lens color of sunglasses is set to gray, the tone control unit 150 applies a general UI.

또한, 선글라스의 렌즈 색상이 갈색으로 설정된 경우, 톤 조절부(150)는 청색 및 녹색이 강조된 UI를 적용하게 된다.Also, when the lens color of the sunglasses is set to brown, the tone control unit 150 applies a UI emphasizing blue and green.

또한, 이미지 프로세서(126)로부터 인식된 선글라스 렌즈의 색상이 적색 계열인 경우, 톤 조절부(150)는 디스플레이부(110) 상에서 녹색광 및 청색광 중 하나 이상을 강조하게 된다.Also, when the color of the sunglasses lens recognized by the image processor 126 is red, the tone control unit 150 emphasizes at least one of green light and blue light on the display unit 110 .

반대로, 이미지 프로세서(126)로부터 인식된 선글라스 렌즈의 색상이 녹색 계열 또는 청색 계열인 경우, 톤 조절부(150)는 디스플레이부(110) 상에서 적색광을 강조하게 된다.Conversely, when the color of the sunglasses lens recognized by the image processor 126 is green or blue, the tone control unit 150 emphasizes the red light on the display unit 110 .

UI에서 강조되는 색상은 선글라스의 렌즈 색상의 보색(complementary color)일 수 있다. 그러나 본 개시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선글라스의 렌즈 색상의 보색이 아닌 다른 색상이 UI에서 강조될 수도 있다.The color emphasized in the UI may be a complementary color of the lens color of the sunglasses. However, the present disclosure is not limited thereto, and a color other than the complementary color of the lens color of the sunglasses may be emphasized in the UI.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디스플레이 장치(10)는 선글라스의 렌즈 색상을 반영하여 디스플레이부(110)의 톤을 조절함으로써, 사용자에게 보다 개선된 시인성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The vehicle display apparatus 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has the effect of providing more improved visibility to the user by adjusting the tone of the display unit 110 by reflecting the lens color of the sunglasses.

한편, 톤 조절부(150)는 UI에서 강조되는 색상의 채도(chroma), 명도(brightness) 등을 설정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Meanwhile, the tone control unit 150 may be configured to set chroma, brightness, etc. of a color emphasized in the UI.

도 6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디스플레이 밝기 조절 방법(brightness adjusting method)을 나타낸 순서도이다.6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for adjusting the brightness of a vehicle displa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도 6을 참조하면, 차량용 디스플레이 밝기 조절 방법에서, 우선적으로, 선글라스 모드가 액티브인 상태인지 확인하는 단계(S10)가 수행된다.Referring to FIG. 6 , in the method for adjusting the brightness of a vehicle display, first, checking whether the sunglasses mode is active ( S10 ) is performed.

선글라스 모드가 액티브인 상태에서만, 선글라스 레오스탯 모드를 적용하여 디스플레이부(110)의 밝기를 조절하는 단계가 수행된다.Only in the state in which the sunglasses mode is active, the step of adjusting the brightness of the display unit 110 by applying the sunglasses reostat mode is performed.

반대로, 선글라스 모드가 비활성화 상태인 경우, 사용자의 선글라스 착용 여부와 관계없이, 일반 레오스탯 모드(normal rheostat mode)를 적용하는 단계(S70)가 수행된다.Conversely, if the sunglasses mode is inactive, regardless of whether the user wears sunglasses, the step of applying a normal rheostat mode (S70) is performed.

선글라스 모드가 액티브인 상태인 경우, 선글라스 자동인식 기능이 액티브인 상태에 있는지 확인하는 단계(S20)가 수행된다.When the sunglasses mode is in the active state, a step (S20) of checking whether the automatic sunglasses recognition function is in the active state is performed.

선글라스 모드가 액티브인 상태이고 선글라스 자동인식 기능이 비활성화인 상태에서, 사용자의 선글라스 착용 여부와 관계없이, 선글라스 레오스탯 모드(sunglasses rheostat mode)를 적용하는 단계(S60)가 수행된다.In a state in which the sunglasses mode is active and the automatic sunglasses recognition function is inactive, regardless of whether the user wears sunglasses, the step of applying the sunglasses rheostat mode (S60) is performed.

선글라스 모드가 액티브인 상태이고 선글라스 자동인식 기능이 액티브인 상태인 경우, 선글라스 판단부(120)의 판단을 기초로 하여, 디스플레이부(110)의 밝기를 조절하게 된다.When the sunglasses mode is active and the sunglasses automatic recognition function is active, the brightness of the display unit 110 is adjusted based on the determination of the sunglasses determination unit 120 .

이 경우, 제1카메라(122)가 사용자의 안면을 촬영하는 단계(S30) 및 제2카메라(124)가 사용자의 안면을 촬영하는 단계(S40)가 수행된다. 두 단계(S30, S40)는 순서가 바뀌어서 수행되거나 동시에 수행되어도 무방하다.In this case, a step (S30) of the first camera 122 photographing the user's face and a step (S40) of the second camera 124 photographing the user's face are performed. The two steps (S30 and S40) may be performed in a reversed order or may be performed simultaneously.

이후, 제1카메라(122) 및 제2카메라(124)로부터 획득한 이미지를 기초로 하여 사용자의 선글라스의 착용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S50)가 수행된다.Thereafter, based on the images obtained from the first camera 122 and the second camera 124, a step (S50) of determining whether the user wears sunglasses is performed.

사용자가 선글라스를 착용하고 있다고 판단된 경우, 선글라스 레오스탯 모드를 적용하는 단계(S60)가 수행되며, 사용자가 선글라스를 착용하고 있지 않다고 판단되거나 인식 불가의 상태로 판단된 경우, 일반 레오스탯 모드를 적용하는 단계(S70)가 수행된다.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user is wearing sunglasses, the step (S60) of applying the sunglasses rheostat mode is performed, and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user is not wearing sunglasses or it is determined that the state is unrecognizable, the general rheostat mode is performed. The applying step (S70) is performed.

이상의 설명은 본 실시예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실시예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실시예들은 본 실시예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실시예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실시예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실시예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The above description is merely illustrative of the technical idea of this embodiment, and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will be possible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is embodiment belongs without departing from the essential characteristics of the present embodiment. Accordingly, the present embodiments are intended to explain rather than limit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embodiment, and the scope of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embodiment is not limited by these embodiments. The protection scope of this embodiment should be interpreted by the following claims, and all technical ideas within the equivalent range should be interprete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embodiment.

10: 차량용 디스플레이 장치 110: 디스플레이부
120: 선글라스 판단부 122: 제1카메라
124: 제2카메라 124: 이미지 프로세서
130: 밝기 조절부 140: 주야간 판단부
150: 톤 조절부
10: vehicle display device 110: display unit
120: sunglasses determination unit 122: first camera
124: second camera 124: image processor
130: brightness control unit 140: day/night determination unit
150: tone control unit

Claims (13)

차량의 주행 정보를 표시하도록 구성된 디스플레이부(display unit);
사용자의 선글라스의 착용 여부를 판단하도록 구성된 선글라스 판단부(sunglasses determining unit); 및
상기 선글라스 판단부의 판단을 기초로 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밝기를 조절하도록 구성된 밝기 조절부(brightness adjusting unit)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디스플레이 장치(vehicle display apparatus).
a display unit configured to display driving information of the vehicle;
a sunglasses determining unit configured to determine whether the user wears sunglasses; and
a brightness adjusting unit configured to adjust the brightness of the display unit based on the determination of the sunglasses determining unit
A vehicle display apparatus comprising a (vehicle display apparatu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선글라스 판단부는,
가시광 영역(visible light region)의 이미지를 촬영하도록 구성된 제1카메라(first camera);
적외선(infrared) 이미지를 촬영하도록 구성된 제2카메라(second camera); 및
상기 제1카메라 및 상기 제2카메라로부터 획득한 이미지를 기초로 하여 사용자의 선글라스의 착용 여부를 판단하도록 구성된 이미지 프로세서(image processor)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디스플레이 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sunglasses determination unit,
a first camera configured to take an image in a visible light region;
a second camera configured to take infrared images; and
an image processor configured to determine whether the user wears sunglasses based on images obtained from the first camera and the second camera
A vehicle display device comprising a.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이미지 프로세서는,
상기 제1카메라의 이미지로부터 사용자의 눈을 인식하지 못하고 상기 제2카메라의 이미지로부터 상기 사용자의 눈을 인식하였을 때, 사용자가 선글라스를 착용하고 있다고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디스플레이 장치.
3. The method of claim 2,
The image processor is
When the user's eyes are not recognized from the image of the first camera and the user's eyes are recognized from the image of the second camera, it is determined that the user is wearing sunglasses.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톤(tone)을 조정하도록 구성된 톤 조절부(tone adjusting unit)를 더 포함하되,
상기 이미지 프로세서는 상기 제1카메라 및 상기 제2카메라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획득한 이미지를 기초로 하여 사용자가 착용한 선글라스의 렌즈 색상(lens color)을 인식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톤 조절부는 상기 이미지 프로세서로부터 인식된 선글라스 렌즈의 색상을 기초로 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톤을 조절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디스플레이 장치.
3. The method of claim 2,
Further comprising a tone adjusting unit configured to adjust the tone of the display unit,
The image processor is configured to recognize a lens color of sunglasses worn by a user based on an image obtained from at least one of the first camera and the second camera,
The display device for a vehicle, characterized in that the tone control unit is configured to adjust the tone of the display unit based on the color of the sunglasses lens recognized by the image processor.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톤 조절부는,
상기 이미지 프로세서로부터 인식된 선글라스 렌즈의 색상이 적색 계열인 경우, 상기 디스플레이부 상에서 녹색광 및 청색광 중 하나 이상을 강조하고,
상기 이미지 프로세서로부터 인식된 선글라스 렌즈의 색상이 녹색 계열 또는 청색 계열인 경우, 상기 디스플레이부 상에서 적색광을 강조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디스플레이 장치.
5. The method of claim 4,
The tone control unit,
When the color of the sunglasses lens recognized by the image processor is red, at least one of green light and blue light is emphasized on the display unit,
When the color of the sunglasses lens recognized by the image processor is a green series or a blue series, the display device for a vehicle is configured to emphasize the red light on the display uni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밝기 조절부는 레오스탯(rheostat)을 변화시킴으로써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밝기를 조절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디스플레이 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display device for a vehicle, characterized in that the brightness control unit is configured to adjust the brightness of the display unit by changing a rheostat (rheostat).
제1항에 있어서,
차량의 외부 환경이 주간 및 야간 중 어느 것인지 판단하도록 구성된 주야간 판단부(day/night determining unit)를 더 포함하되,
상기 밝기 조절부는 상기 선글라스 판단부의 판단 및 상기 주야간 판단부의 판단을 기초로 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밝기를 조절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디스플레이 장치.
According to claim 1,
Further comprising a day/night determining unit configured to determine whether the external environment of the vehicle is day or night,
and the brightness adjusting unit is configured to adjust the brightness of the display unit based on the determination of the sunglasses determination unit and the determination of the day/night determination uni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계기판(cluster), AVN(Audio/Video/Navigation unit), 및 CID(center information display)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디스플레이 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display unit includes at least one of a cluster, an audio/video/navigation unit (AVN), and a center information display (CID).
차량의 주행 정보를 표시하도록 구성된 디스플레이부(display unit); 및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밝기를 조절하도록 구성된 밝기 조절부(brightness adjusting unit)를 포함하되,
상기 밝기 조절부는,
사용자의 선글라스 착용 여부를 반영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밝기를 조절하는 모드인 선글라스 모드(sunglasses mode)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디스플레이 장치.
a display unit configured to display driving information of the vehicle; and
a brightness adjusting unit configured to adjust the brightness of the display unit;
The brightness control unit,
A display device for a vehicle, characterized in that it has a sunglasses mode, which is a mode for adjusting the brightness of the display unit by reflecting whether the user wears sunglasses.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밝기 조절부는,
상기 선글라스 모드가 액티브(active)인 상태에서, 수동 기능(manual function) 및 선글라스 자동인식 기능(automatic sunglasses recognition function) 중 하나를 설정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디스플레이 장치.
10. The method of claim 9,
The brightness control unit,
In a state in which the sunglasses mode is active, a display device for a vehicle, characterized in that it is configured to set one of a manual function and an automatic sunglasses recognition function.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톤을 조정하도록 구성된 톤 조절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톤 조절부는,
상기 밝기 조절부가 상기 수동 기능을 액티브한 상태에서, 선글라스의 렌즈 색상(lens color)을 설정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디스플레이 장치.
11. The method of claim 10,
Further comprising a tone control unit configured to adjust the tone of the display unit,
The tone control unit,
and the brightness control unit is configured to set a lens color of sunglasses while the manual function is active.
제10항에 있어서,
사용자의 선글라스의 착용 여부를 판단하도록 구성된 선글라스 판단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밝기 조절부는,
상기 선글라스 자동인식 기능이 액티브인 상태에서, 상기 선글라스 판단부의 판단을 기초로 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밝기를 조절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디스플레이 장치.
11. The method of claim 10,
Further comprising a sunglasses determination unit configured to determine whether the user wears sunglasses,
The brightness control unit,
In a state in which the automatic sunglasses recognition function is active, the display device for a vehicle is configured to adjust the brightness of the display unit based on the determination of the sunglasses determination unit.
가시광 영역(visible light region)의 이미지를 촬영하도록 구성된 제1카메라(first camera)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안면을 촬영하는 과정;
적외선(infrared) 이미지를 촬영하도록 구성된 제2카메라(second camera)를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의 안면을 촬영하는 과정;
상기 제1카메라 및 상기 제2카메라로부터 획득한 이미지를 기초로 하여 사용자의 선글라스의 착용 여부를 판단하는 과정; 및
사용자가 선글라스를 착용하고 있다고 판단한 경우, 선글라스 착용을 반영하여 디스플레이부의 밝기를 조절하는 선글라스 레오스탯 모드(sunglasses rheostat mode)를 적용하고, 사용자가 선글라스를 착용하고 있지 않다고 판단한 경우, 선글라스 착용을 반영하지 않고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밝기를 조절하는 일반 레오스탯 모드(normal rheostat mode)를 적용하는 과정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디스플레이 밝기 조절 방법(display brightness adjusting method).
A process of photographing a user's face using a first camera (first camera) configured to photograph an image of a visible light region;
photographing the user's face using a second camera configured to photograph an infrared image;
determining whether the user wears sunglasses on the basis of the images obtained from the first camera and the second camera; and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user is wearing sunglasses, sunglasses rheostat mode that adjusts the brightness of the display unit by reflecting wearing sunglasses is applied, and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user is not wearing sunglasses, wearing sunglasses is not reflected The process of applying a normal rheostat mode for controlling the brightness of the display unit without
A vehicle display brightness adjusting method comprising a.
KR1020200041620A 2020-04-06 2020-04-06 Vehicle Display Apparatus and Display Brightness Adjusting Method Using the Same KR20210123868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41620A KR20210123868A (en) 2020-04-06 2020-04-06 Vehicle Display Apparatus and Display Brightness Adjusting Method Us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41620A KR20210123868A (en) 2020-04-06 2020-04-06 Vehicle Display Apparatus and Display Brightness Adjusting Method Using the Sam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23868A true KR20210123868A (en) 2021-10-14

Family

ID=781515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41620A KR20210123868A (en) 2020-04-06 2020-04-06 Vehicle Display Apparatus and Display Brightness Adjusting Method Using the Sam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10123868A (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537602B2 (en) Head mounted display and head up display
US9598013B2 (en) Device and method for displaying head-up display (HUD) information
CN113168798B (en) Display control device, display control method, and display control program
US7045759B2 (en) Night vision system and control method thereof
JP4399174B2 (en) Vehicle equipped with automobile display unit, automobile night vision device and automobile infrared night vision device
JP4655030B2 (en) Image display device
US11077793B2 (en) Rearview display device, rearview display method, and program
JP6464729B2 (en) Display device and control method of display device
US20160253971A1 (en) Dynamic visor
WO2019113887A1 (en) Method, device and system for adjusting image, as well as computer readable storage medium
KR20210123868A (en) Vehicle Display Apparatus and Display Brightness Adjusting Method Using the Same
CN116758875A (en) Brightness adjusting method of vehicle display device and related equipment
JP6201720B2 (en) Image display device and control device
WO2022116663A1 (en) Method and device for adjusting backlight brightness of display
CN114167613A (en) Control method, device and equipment of head-up display and storage medium
WO2021064791A1 (en) Image display device, display control device, display control method, program, and recording medium
JP2004243891A (en) Head-up display
GB2527091A (en) Anti-glare mirror
CN115775549A (en) Vehicle-mounted display adjusting method and system based on Helmholtz-Colourlet effect
KR102613205B1 (en) Vehicle and controlling method for the vehicle
JP7213732B2 (en) image display device
WO2006049270A1 (en) Head-mounted display
CN115871561A (en) Human-vehicle interaction method, system, electronic device and medium
TW202019736A (en) Method for modifying display of dashboard of vehicle
JP2024053297A (en) Vehicle display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