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23482A - Fcm 공법으로 교량을 시공하기 위한 폼 트래블러 및 이를 이용한 시공 방법 - Google Patents

Fcm 공법으로 교량을 시공하기 위한 폼 트래블러 및 이를 이용한 시공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23482A
KR20210123482A KR1020200040635A KR20200040635A KR20210123482A KR 20210123482 A KR20210123482 A KR 20210123482A KR 1020200040635 A KR1020200040635 A KR 1020200040635A KR 20200040635 A KR20200040635 A KR 20200040635A KR 20210123482 A KR20210123482 A KR 2021012348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lab
traveler
bridge
constructing
fc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406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82032B1 (ko
Inventor
손경식
이태훈
Original Assignee
다올이앤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다올이앤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다올이앤씨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0406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82032B1/ko
Publication of KR202101234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2348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820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8203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21/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erecting or assembling bridge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9/00Structural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brid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ridges Or Land Brid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FCM 공법으로 교량을 시공하기 위한 폼 트래블러 및 이를 이용한 시공 방법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FCM 공법으로 교량을 시공하기 위해 폼 트래블러를 사용하는 경우에도 간단한 방식으로 폼 트래블러의 후방을 고정 지지할 수 있고, 시공 이후에도 이러한 폼 트래블러의 후방이 고정된 부분을 간단하게 보수할 수 있는 FCM 공법으로 교량을 시공하기 위한 폼 트래블러 및 이를 이용한 시공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한 본 발명에 따른 FCM 공법으로 교량을 시공하기 위한 폼 트래블러는 본체, 및 상기 본체를 거더에 연결하는 고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부에는 전방에 집중되는 하중을 지지하도록 슬라브에 연결 지지되는 강봉 부재가 구비되며, 상기 슬라브에는 상기 강봉 부재가 연결 지지되는 연결부가 구비된다.

Description

FCM 공법으로 교량을 시공하기 위한 폼 트래블러 및 이를 이용한 시공 방법{FORM TRAVELER FOR FCM BRIDGE CONSTRUCTION AND CONSTRUCTION METHOD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FCM 공법으로 교량을 시공하기 위한 폼 트래블러 및 이를 이용한 시공 방법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FCM 공법으로 교량을 시공하기 위해 폼 트래블러를 사용하는 경우에도 간단한 방식으로 폼 트래블러의 후방을 고정 지지할 수 있고, 시공 이후에도 이러한 폼 트래블러의 후방이 고정된 부분을 간단하게 보수할 수 있는 FCM 공법으로 교량을 시공하기 위한 폼 트래블러 및 이를 이용한 시공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FCM 교량시공방법(FCM 공법)은 교각을 기준으로 종방향으로 PSC 박스 거더와 같은 세그먼트 거더를 연속하여 연결 시공하는 방법으로, 세그먼트 거더가 교각을 기준으로 캔틸 레버 형태의 구조물로 연속적으로 연결 설치되는 프리 캔틸 레버 방법(Free Cantilever Method)을 지칭한다.
이러한 FCM 공법은 교각을 기준으로 주두부(Pier Table)로부터 좌우 평형을 유지하면서 3 ~ 5 m의 세그먼트 거더를 순차적으로 종방향으로 연결 시공하는 공법으로 동바리 설치가 어려운 깊은 계곡, 해상, 하천 등에 건설되는 장 경간의 교량 시공에 적합한 공법이다.
이에 최종 교대에서는 폼 트래블러(Form Traveler)와 같은 이동식 작업차 혹은 이동식 크레인 등을 이용하여 순차적으로 연결 시공된 세그먼트 거더에 단부 세그먼트 거더를 연결시켜 최종 교대, 교각 사이의 교량 상부 구조물을 완성시키게 된다.
이러한 FCM 공법에 폼 트래블러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미리 시공된 슬라브 부분에 폼 트래블러의 후방을 고정할 필요가 있다. 이는 폼 트래블러의 전방에는 거푸집과 타설되는 콘크리트 등의 중량물에 의하여 큰 하중이 걸리게 되고, 이로 인해 폼 트래블러의 전방 쏠림 현상이나, 전복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종래에는 이러한 폼 트래블러의 후방 지지를 위해서 폼 트래블러의 후방에 구비된 강봉의 일단이 슬라브의 상면에서 하면까지 관통하도록 관통홀을 형성하고, 강봉의 일단이 이러한 관통홀을 관통한 상태에서 스페이서와 너트를 이용해서 고정하는 방식으로 폼 트래블러의 후방을 지지하도록 구성했다.
이와 같은 방식으로 폼 트래블러의 후방을 고정하게 되면 슬라브에 형성된 관통홀을 다시 메워야 하는데, 이러한 관통홀이 슬라브의 상면에서 하면까지 연장 형성되므로 슬라브의 하면을 막아둔 상태에서 슬라브의 상면에 콘크리트 등을 추가로 타설하는 방식으로 관통홀을 메우게 된다.
다만, 이를 위해서는 슬라브의 하면을 막는 동시에 세그먼트 거더 하부로 콘크리트 등이 낙하하지 않도록 시공된 세그먼트 거더 하부에 별도의 트러스 구조물을 배치하게 되는데, 교량 시공 이후에 슬라브에 형성된 관통홀을 메우기 위해서 별도의 트러스 구조물을 배치하게 되면 그 과정이 번거롭고, 관통홀을 메우는 콘크리트가 양생될 때까지 트러스 구조물을 유지해야 하므로 시공 기간이 증가하게 되는 문제가 있었다.
따라서 이러한 부분에 대한 개선이 필요한 실정이다.
본 발명에서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FCM 공법으로 교량을 시공하기 위해 폼 트래블러를 사용하는 경우에도 간단한 방식으로 폼 트래블러의 후방을 고정 지지할 수 있고, 시공 이후에도 이러한 폼 트래블러의 후방이 고정된 부분을 간단하게 보수할 수 있는 FCM 공법으로 교량을 시공하기 위한 폼 트래블러 및 이를 이용한 시공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여기에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다른 기술적 과제는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한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FCM 공법으로 교량을 시공하기 위한 폼 트래블러는 본체, 및 상기 본체를 거더에 연결하는 고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부에는 전방에 집중되는 하중을 지지하도록 슬라브에 연결 지지되는 강봉 부재가 구비되며, 상기 슬라브에는 상기 강봉 부재가 연결 지지되는 연결부가 구비된다.
이때, 상기 연결부는, 상기 슬라브의 내부에 배치되는 앵커 부재와, 일측은 상기 앵커 부재에 연결되고, 타측은 상기 슬라브의 외부에 배치되는 연결 부재, 및 상기 연결 부재의 타측에 구비되어 상기 강봉 부재가 연결 지지되는 커플링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슬라브에는 상기 슬라브의 강도 보강을 위한 기본 철근 부재와, 상기 앵커 부재에 하중 인가 시 균열 발생을 방지하는 제1 보강 부재가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 보강 부재는 상기 기본 철근 부재와 상기 앵커 부재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 보강 부재는 상기 앵커 부재의 양측에서 연장되되, 상기 연결 부재와 일정 경사를 이루는 연장선과 교차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슬라브에는 상기 연결 부재가 상기 슬라브로부터 분리된 상태가 유지되도록 상기 연결 부재를 감싸는 캡 부재가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캡 부재는 상기 앵커 부재의 상부에 구비되어 상기 연결 부재를 감싸는 제1 캡과, 상기 앵커 부재의 하부를 감싸는 제2 캡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폼 트래블러를 이용해서 FCM 공법으로 교량을 시공하는 방법은 본체와 고정부가 구비된 폼 트래블러를 슬라브에 연결하는 단계와, 상기 폼 트래블러를 이용해서 거푸집을 형성하고, 기본 철근 부재를 배근하는 단계, 및 상기 거푸집에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양생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본체와 고정부가 구비된 폼 트래블러를 슬라브에 연결하는 단계는, 상기 고정부에 구비된 강봉 부재를 상기 슬라브에 형성된 연결부에 연결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본체와 고정부가 구비된 폼 트래블러를 슬라브에 연결하는 단계 이전에는, 상기 슬라브에 앵커 부재, 연결 부재, 커플링 부재를 포함하는 상기 연결부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슬라브에 연결부를 형성하는 단계는, 상기 연결 부재의 일측을 상기 앵커 부재에 조립하고, 상기 연결 부재의 타측이 상기 슬라브의 외부로 노출되도록 배치한 상태에서 상기 슬라브를 형성하는 단계일 수 있다.
이때, 상기 기본 철근 부재를 배근하는 단계는, 상기 앵커 부재에 하중 인가 시 균열 발생을 방지하도록 제1 보강 부재를 배근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한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FCM 공법으로 교량을 시공하기 위한 폼 트래블러 및 이를 이용한 시공 방법은 폼 트래블러의 후방에 구비된 강봉 부재를 슬라브에 구비된 연결부에 간단하게 연결하는 방식으로 폼 트래블러의 후방을 고정 지지할 수 있으며, 시공 이후에는 별도의 트러스 구조물이 없어도 슬라브의 연결부를 간단하게 보수할 수 있으므로 그 구성이 단순화되고, 시공 기간이 단축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상기한 효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 또는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구성으로부터 추론 가능한 모든 효과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FCM 공법으로 교량을 시공하기 위한 폼 트래블러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FCM 공법으로 교량을 시공하기 위한 폼 트래블러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FCM 공법으로 교량을 시공하기 위한 폼 트래블러의 고정부를 분리해서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슬라브에 구비된 연결부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슬라브에 기본 철근 부재와 제1 보강 부재가 배근된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6 내지 도 8은 시공 이후에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슬라브에 구비된 연결부를 보수하는 과정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슬라브에 구비된 연결부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폼 트래블러를 이용해서 FCM 공법으로 교량을 시공하는 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고부호를 붙였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층, 막, 영역, 판 등의 부분이 다른 부분 "위에" 있다고 할 경우, 이는 다른 부분 "바로 위에"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또 다른 부분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반대로 층, 막, 영역, 판 등의 부분이 다른 부분 "아래에" 있다고 할 경우, 이는 다른 부분 "바로 아래에"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또 다른 부분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FCM 공법으로 교량을 시공하기 위한 폼 트래블러를 도시한 정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FCM 공법으로 교량을 시공하기 위한 폼 트래블러를 도시한 측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FCM 공법으로 교량을 시공하기 위한 폼 트래블러의 고정부를 분리해서 도시한 정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슬라브에 구비된 연결부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슬라브에 기본 철근 부재와 제1 보강 부재가 배근된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6 내지 도 8은 시공 이후에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슬라브에 구비된 연결부를 보수하는 과정을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슬라브에 구비된 연결부를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폼 트래블러를 이용해서 FCM 공법으로 교량을 시공하는 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FCM 공법으로 교량을 시공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폼 트래블러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100), 및 이러한 본체(100)를 거더(20)에 연결하는 고정부(200)를 포함하고, 이러한 고정부(200)에는 전방에 집중되는 하중을 지지하도록 슬라브(21)에 연결 지지되는 강봉 부재(210)가 구비되며, 슬라브(21)에는 강봉 부재(210)가 연결 지지되는 연결부(300)가 구비된다.
본체(100)는 폼 트래블러의 중심적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부분으로서, FCM 공법에 의해 점진적으로 형성되는 거더(20) 연장부를 형성하는 거푸집(30)을 지지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본체(100)는 고정부(200)에 의해 기 형성된 거더(20)에 고정되고, 거푸집(30)은 본체(100)에 고정되어 지지될 수 있다.
본체(100)에 의해 지지되는 거푸집(30)에 콘크리트를 타설하고, 이를 양생하여 거더의 연장부를 형성하고, 연장부에 다시 고정부(200)를 이용해서 본체(100)를 고정하고 거푸집(30)을 설치한 후 콘크리트를 타설 및 양생하면 또 다른 거더(20)의 연장부가 형성되어 거더(20)를 종방향으로 연결하여 나갈 수 있게 된다.
거더(20)에는 슬라브(21)와, 바닥(22)과, 벽체(23)가 형성되고, 전술한 바와 같이, 폼 트래블러(10)를 고정하기 위한 강봉 부재(210)는 이러한 슬라브(21)에 고정되며,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라브(21)에는 이러한 강봉 부재(210)가 연결 지지되는 연결부(300)가 구비된다.
즉, 폼 트래블러(10)의 후방에 구비된 강봉 부재(210)를 슬라브(21)에 구비된 연결부(300)에 간단하게 연결하는 방식으로 폼 트래블러(10)의 후방을 고정 지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슬라브(21)에 구비된 연결부(300)는 거더(20) 시공 과정에서 함께 형성되므로 강봉 부재(210)를 고정 지지하기 위해 슬라브(21)에 관통홀을 형성할 필요가 없게 되어 강봉 부재(210)의 고정 작업이 간단하게 진행될 수 있다.
아울러 슬라브(21)의 연결부(300)는 시공 이후에 별도의 트러스 구조물이 없어도 간단하게 보수할 수 있으므로 그 구성이 단순화되고, 시공 기간이 단축될 수 있게 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부(300)는 슬라브(21)의 내부에 배치되는 앵커 부재(310)와, 일측은 앵커 부재(310)에 연결되고, 타측은 슬라브(21)의 외부에 배치되는 연결 부재(320), 및 연결 부재(320)의 타측에 구비되어 강봉 부재(210)가 연결 지지되는 커플링 부재(330)를 포함할 수 있다.
앵커 부재(310)의 내주면에는 나사산이 형성되고, 연결 부재(320)의 외주면에는 이러한 나사산에 대응되는 대응 나사산이 형성되므로 연결 부재(320)의 일측을 앵커 부재(310)에 나사 결합하게 된다. 이와 같이 앵커 부재(310)와 연결 부재(320)가 연결된 상태에서 슬라브(21) 형성을 위한 배근 과정에서 슬라브(21) 내부에 배치된다. 다만, 연결 부재(320)의 타측은 슬라브(21)의 외부에 배치되도록 하며, 연결 부재(320)의 타측에는 커플링 부재(330)가 구비된다. 커플링 부재(330)의 내주면에는 나사산이 형성되고, 연결 부재(320)의 타측에도 대응 나사산이 형성되어 커플링 부재(330)와 연결 부재(320)는 나사 결합하게 된다. 커플링 부재(330)는 전체 길이 중에서 대략 절반 정도의 길이만 연결 부재(320)의 타측과 나사 결합하게 되며, 나머지 절반 정도의 길이는 강봉 부재(210)와 나사 결합하게 된다. 강봉 부재(210)의 외주면에도 커플링 부재(330)와 나사 결합하기 위한 나사산이 형성될 수 있다.
즉, 이와 같이 배치된 상태에서 슬라브(21) 시공을 위해 콘크리트를 타설하게 되면 앵커 부재(310)와 연결 부재(320)가 콘크리트의 내부에 매립된 상태로 양생되고, 양생 이후에는 앵커 부재(310)와 연결 부재(320)가 견고하게 고정되므로 커플링 부재(330)를 통해 강봉 부재(210)를 안정적으로 고정 지지하게 되는 것이다.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라브(21)에는 슬라브(21)의 강도 보강을 위한 기본 철근 부재(21a)와, 앵커 부재(310)에 하중 인가 시 균열 발생을 방지하는 제1 보강 부재(340)가 구비될 수 있다.
즉, 슬라브(21) 시공을 위한 배근 시에는 기본 철근 부재(21a) 뿐만 아니라 강봉 부재(210)가 연결부(300)에 연결 지지되면 폼 트래블러(10) 전방에 인가되는 하중을 지지하는 과정에서 앵커 부재(310)에 하중이 인가되는데, 이러한 하중 인가로 인해 슬라브(21) 내부에서 균열이 발생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이러한 균열이 발생하지 않도록 제1 보강 부재(340)를 구비하면 폼 트래블러(10)를 안정적이고, 견고하게 지지할 수 있게 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보강 부재(340)는 기본 철근 부재(21a)와 앵커 부재(310)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즉, 앵커 부재(310)와 기본 철근 부재(21a)가 일정 거리 상호 이격된 상태로 배치되는 경우에는 앵커 부재(310)에 하중 인가 시 균열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기본 철근 부재(21a)와 앵커 부재(310)의 사이에 제1 보강 부재(340)를 배치하는 것이다.
특히, 이러한 제1 보강 부재(340)는 앵커 부재(310)의 양측에서 연장되되, 연결 부재(320)와 일정 경사를 이루는 연장선(a)과 교차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즉,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앵커 부재(310)에 하중이 인가되면 연결 부재(320)와 일정 경사를 이루는 연장선(a)을 따라 균열이 발생하게 되므로 이러한 균열이 발생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도록 제1 보강 부재(340)가 이러한 연장선(a)과 교차하도록 배치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방식으로 폼 트래블러(10)의 후방을 고정해서 시공을 완료하게 되면 연결부(300)로부터 강봉 부재(210)를 분리하게 된다. 이때,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앵커 부재(310)나 제1 보강 부재(340)는 슬라브(21) 내부에 매립된 상태이므로 별도로 제거할 필요가 없으나, 슬라브(21)의 외부에 노출되는 연결 부재(320)의 타측과 커플링 부재(330)는 제거할 필요가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커플링 부재(330)의 경우 연결 부재(320)와 나사 결합되므로 간단하게 분리가 가능하다. 다만, 연결 부재(320)는 일측이 슬라브(21)에 매립된 상태이므로 이와 같이 노출되는 부분을 절단할 필요가 있다.
연결 부재(320)의 노출 부분을 절단하기 위해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라브(21) 상면으로부터 연결 부재(32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약 50 mm 정도 홈을 형성하게 된다. 이러한 홈은 슬라브(21) 시공 과정에서 미리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후에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 부재(320)를 절단하게 되며, 연결 부재(320)의 절단 부분(b)은 홈의 하단과 동일한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연결 부재(320)의 절단 과정이 종료하게 되면 슬라브(21)에 형성된 홈에 무수축 몰탈을 타설해서 메우게 된다.
이와 같이 구성하면 슬라브(21)의 하면이 막혀 있는 상태이므로 거더(20) 하부로 콘크리트 등이 낙하할 염려가 없으며, 따라서 거더(20) 하부에 별도의 트러스 구조물을 배치할 필요가 없게 된다. 또한, 슬라브(21)에 형성된 홈을 메우기 위한 무수축 몰탈이 양생될 때까지 기다리지 않고 계속해서 다른 시공 작업을 수행할 수 있으므로 시공 기간이 단축될 수 있게 된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라브(21)에는 연결 부재(320)가 슬라브(21)로부터 분리된 상태가 유지되도록 연결 부재(320)를 감싸는 캡 부재(350)가 구비될 수 있다.
즉, 폼 트래블러(10)의 후방을 고정해서 시공을 완료하게 되면 연결부(300)로부터 강봉 부재(210)를 분리하게 되는데, 슬라브(21)의 외부에 노출되는 연결 부재(320)의 타측과 커플링 부재(330)는 제거할 필요가 있으며, 커플링 부재(330)의 경우 연결 부재(320)와 나사 결합되므로 간단하게 분리가 가능하다. 이때, 전술한 바와 같이, 연결 부재(320)가 슬라브(21)와 분리된 상태가 유지되도록 캡 부재(350)가 구비되면 연결 부재(320)를 절단할 필요 없이 단순히 앵커 부재(310)와의 나사 결합을 해제하는 간단한 방식으로 제거가 가능하게 되므로 작업이 단순화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캡 부재(350)는 앵커 부재(310)의 상부에 구비되어 연결 부재(320)를 감싸는 제1 캡(351)과, 앵커 부재(310)의 하부를 감싸는 제2 캡(352)을 포함할 수 있다. 즉, 제1 캡(351)의 경우 하단이 앵커 부재(310)의 상면과 용접 등의 방식으로 고정되며, 상단은 슬라브(21)의 상면까지 연장 형성된다. 이러한 제1 캡(351)의 내부에는 슬라브(21)와 분리된 공간이 형성된다. 또한, 제2 캡(352)의 경우에도 상단은 앵커 부재(310)의 하면과 용접 등의 방식으로 고정되고, 내부에는 슬라브(21)와 분리된 공간이 형성된다. 따라서 연결 부재(320)는 제1 캡(351)의 내부 공간과 제2 캡(352)의 내부 공간에 배치되므로 슬라브(21)와 분리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으므로 시공을 완료하게 되면 연결 부재(320)와 앵커 부재(310)의 나사 결합을 해제하는 방식으로 연결 부재(320)를 제거할 수 있으며, 연결 부재(320)가 제거되면 제1 캡(351)과 제2 캡(352)의 내부 공간이 비어 있게 되므로 이러한 내부 공간에는 무수축 몰탈을 타설해서 간단하게 메우는 것이 가능하다.
전술한 바와 같이, 캡 부재(350)가 구비되는 경우 연결 부재(320)가 슬라브(21)와 분리된 상태이므로 앵커 부재(310)가 슬라브(21)에 견고하게 고정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강봉 부재(210)를 통해 인가되는 하중이 연결 부재(320)에 전달되더라도 연결 부재(320)가 슬라브(21)와 분리된 상태이므로 연결 부재(320) 자체적으로 이러한 하중을 지지할 수 없고, 연결 부재(320)가 나사 결합되어 있는 앵커 부재(310)를 통해 하중을 지지하게 되기 때문이다. 이를 위해 앵커 부재(310)의 상면에는 제1 캡(351)이 용접 등의 방식으로 고정된 부분을 제외하더라도 슬라브(21)에 매립될 수 있는 매립 부분이 충분한 면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폼 트래블러(10)를 이용해서 FCM 공법으로 교량을 시공하는 방법은 본체(100)와 고정부(200)가 구비된 폼 트래블러(10)를 슬라브(21)에 연결하는 단계(S100)와, 폼 트래블러(10)를 이용해서 거푸집(30)을 형성하고, 기본 철근 부재(21a)를 배근하는 단계(S200), 및 거푸집(30)에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양생하는 단계(S300)를 포함한다.
이때, 본체(100)와 고정부(200)가 구비된 폼 트래블러(10)를 슬라브(21)에 연결하는 단계(S100)는, 고정부(200)에 구비된 강봉 부재(210)를 슬라브(21)에 형성된 연결부(300)에 연결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즉, 폼 트래블러(10)의 후방에 구비된 강봉 부재(210)를 슬라브(21)에 구비된 연결부(300)에 간단하게 연결하는 방식으로 폼 트래블러(10)의 후방을 고정 지지할 수 있게 된다.
이때, 본체(100)와 고정부(200)가 구비된 폼 트래블러(10)를 슬라브(21)에 연결하는 단계(S100) 이전에는, 슬라브(21)에 앵커 부재(310), 연결 부재(320), 커플링 부재(330)를 포함하는 연결부(300)를 형성하는 단계(S10)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슬라브(21)에 구비된 연결부(300)는 거더(20) 시공 과정에서 함께 형성되므로 강봉 부재(210)를 고정 지지하기 위해 슬라브(21)에 관통홀을 형성할 필요가 없게 되어 강봉 부재(210)의 고정 작업이 간단하게 진행될 수 있다.
이때, 슬라브(21)에 연결부(300)를 형성하는 단계(S10)는, 연결 부재(320)의 일측을 앵커 부재(310)에 조립하고, 연결 부재(320)의 타측이 슬라브(21)의 외부로 노출되도록 배치한 상태에서 슬라브(21)를 형성하는 단계일 수 있다.
즉, 전술한 바와 같이, 앵커 부재(310)의 내주면에는 나사산이 형성되고, 연결 부재(320)의 외주면에는 이러한 나사산에 대응되는 대응 나사산이 형성되므로 연결 부재(320)의 일측을 앵커 부재(310)에 나사 결합하게 된다. 이와 같이 앵커 부재(310)와 연결 부재(320)가 연결된 상태에서 슬라브(21) 형성을 위한 배근 과정에서 슬라브(21) 내부에 배치된다. 다만, 연결 부재(320)의 타측은 슬라브(21)의 외부에 배치되도록 하며, 연결 부재(320)의 타측에는 커플링 부재(330)가 구비된다. 커플링 부재(330)의 내주면에는 나사산이 형성되고, 연결 부재(320)의 타측에도 대응 나사산이 형성되어 커플링 부재(330)와 연결 부재(320)는 나사 결합하게 된다. 커플링 부재(330)는 전체 길이 중에서 대략 절반 정도의 길이만 연결 부재(320)의 타측과 나사 결합하게 되며, 나머지 절반 정도의 길이는 강봉 부재(210)와 나사 결합하게 된다. 강봉 부재(210)의 외주면에도 커플링 부재(330)와 나사 결합하기 위한 나사산이 형성될 수 있다.
즉, 이와 같이 배치된 상태에서 슬라브(21) 시공을 위해 콘크리트를 타설하게 되면 앵커 부재(310)와 연결 부재(320)가 콘크리트의 내부에 매립된 상태로 양생되고, 양생 이후에는 앵커 부재(310)와 연결 부재(320)가 견고하게 고정되므로 커플링 부재(330)를 통해 강봉 부재(210)를 안정적으로 고정 지지하게 되는 것이다.
이때, 기본 철근 부재(21a)를 배근하는 단계는, 앵커 부재(310)에 하중 인가 시 균열 발생을 방지하도록 제1 보강 부재(340)를 배근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슬라브(21) 시공을 위한 배근 시에는 기본 철근 부재(21a) 뿐만 아니라 강봉 부재(210)가 연결부(300)에 연결 지지되면 폼 트래블러(10) 전방에 인가되는 하중을 지지하는 과정에서 앵커 부재(310)에 하중이 인가되는데, 이러한 하중 인가로 인해 슬라브(21) 내부에서 균열이 발생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이러한 균열이 발생하지 않도록 제1 보강 부재(340)를 구비하면 폼 트래블러(10)를 안정적이고, 견고하게 지지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사상은 본 명세서에 제시되는 실시 예에 제한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구성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추가 등에 의해서 다른 실시 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 발명의 사상범위 내에 든다고 할 것이다.
10 : 폼 트래블러 20 : 거더
21 : 슬라브 21a : 기본 철근 부재
22 : 바닥 23 : 벽체
30 : 거푸집 100 : 본체
200 : 고정부 210 : 강봉 부재
300 : 연결부 310 : 앵커 부재
320 : 연결 부재 330 : 커플링 부재
340 : 제1 보강 부재 350 : 캡 부재
351 : 제1 캡 352 : 제2 캡
a : 연장선 b : 절단 부분
c : 매립 부분

Claims (12)

  1. FCM 공법으로 교량을 시공하기 위한 폼 트래블러에 있어서,
    상기 폼 트래블러는,
    본체; 및
    상기 본체를 거더에 연결하는 고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부에는 전방에 집중되는 하중을 지지하도록 슬라브에 연결 지지되는 강봉 부재가 구비되며,
    상기 슬라브에는 상기 강봉 부재가 연결 지지되는 연결부가 구비되는 FCM 공법으로 교량을 시공하기 위한 폼 트래블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는,
    상기 슬라브의 내부에 배치되는 앵커 부재;
    일측은 상기 앵커 부재에 연결되고, 타측은 상기 슬라브의 외부에 배치되는 연결 부재; 및
    상기 연결 부재의 타측에 구비되어 상기 강봉 부재가 연결 지지되는 커플링 부재를 포함하는 FCM 공법으로 교량을 시공하기 위한 폼 트래블러.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브에는 상기 슬라브의 강도 보강을 위한 기본 철근 부재와, 상기 앵커 부재에 하중 인가 시 균열 발생을 방지하는 제1 보강 부재가 구비되는 FCM 공법으로 교량을 시공하기 위한 폼 트래블러.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보강 부재는 상기 기본 철근 부재와 상기 앵커 부재의 사이에 배치되는 FCM 공법으로 교량을 시공하기 위한 폼 트래블러.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보강 부재는 상기 앵커 부재의 양측에서 연장되되, 상기 연결 부재와 일정 경사를 이루는 연장선과 교차하도록 배치되는 FCM 공법으로 교량을 시공하기 위한 폼 트래블러.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브에는 상기 연결 부재가 상기 슬라브로부터 분리된 상태가 유지되도록 상기 연결 부재를 감싸는 캡 부재가 구비되는 FCM 공법으로 교량을 시공하기 위한 폼 트래블러.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캡 부재는 상기 앵커 부재의 상부에 구비되어 상기 연결 부재를 감싸는 제1 캡과, 상기 앵커 부재의 하부를 감싸는 제2 캡을 포함하는 FCM 공법으로 교량을 시공하기 위한 폼 트래블러.
  8. 폼 트래블러를 이용해서 FCM 공법으로 교량을 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본체와 고정부가 구비된 폼 트래블러를 슬라브에 연결하는 단계;
    상기 폼 트래블러를 이용해서 거푸집을 형성하고, 기본 철근 부재를 배근하는 단계; 및
    상기 거푸집에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양생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폼 트래블러를 이용해서 FCM 공법으로 교량을 시공하는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와 고정부가 구비된 폼 트래블러를 슬라브에 연결하는 단계는,
    상기 고정부에 구비된 강봉 부재를 상기 슬라브에 형성된 연결부에 연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폼 트래블러를 이용해서 FCM 공법으로 교량을 시공하는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와 고정부가 구비된 폼 트래블러를 슬라브에 연결하는 단계 이전에는,
    상기 슬라브에 앵커 부재, 연결 부재, 커플링 부재를 포함하는 상기 연결부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폼 트래블러를 이용해서 FCM 공법으로 교량을 시공하는 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브에 연결부를 형성하는 단계는,
    상기 연결 부재의 일측을 상기 앵커 부재에 조립하고, 상기 연결 부재의 타측이 상기 슬라브의 외부로 노출되도록 배치한 상태에서 상기 슬라브를 형성하는 단계인 폼 트래블러를 이용해서 FCM 공법으로 교량을 시공하는 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기본 철근 부재를 배근하는 단계는,
    상기 앵커 부재에 하중 인가 시 균열 발생을 방지하도록 제1 보강 부재를 배근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폼 트래블러를 이용해서 FCM 공법으로 교량을 시공하는 방법.
KR1020200040635A 2020-04-03 2020-04-03 Fcm 공법으로 교량을 시공하기 위한 폼 트래블러 및 이를 이용한 시공 방법 KR10238203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40635A KR102382032B1 (ko) 2020-04-03 2020-04-03 Fcm 공법으로 교량을 시공하기 위한 폼 트래블러 및 이를 이용한 시공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40635A KR102382032B1 (ko) 2020-04-03 2020-04-03 Fcm 공법으로 교량을 시공하기 위한 폼 트래블러 및 이를 이용한 시공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23482A true KR20210123482A (ko) 2021-10-14
KR102382032B1 KR102382032B1 (ko) 2022-04-01

Family

ID=781512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40635A KR102382032B1 (ko) 2020-04-03 2020-04-03 Fcm 공법으로 교량을 시공하기 위한 폼 트래블러 및 이를 이용한 시공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82032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41826A (ja) * 1994-07-29 1996-02-13 Shimizu Corp 橋の施工方法および橋の施工装置ならびに主桁ユニット
KR20150144384A (ko) * 2014-06-16 2015-12-28 삼성물산 주식회사 폼 트레블러 및 이를 이용한 다단 긴장 방식으로 fcm 교량을 시공하는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41826A (ja) * 1994-07-29 1996-02-13 Shimizu Corp 橋の施工方法および橋の施工装置ならびに主桁ユニット
KR20150144384A (ko) * 2014-06-16 2015-12-28 삼성물산 주식회사 폼 트레블러 및 이를 이용한 다단 긴장 방식으로 fcm 교량을 시공하는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82032B1 (ko) 2022-04-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5863046A (zh) 一种预制装配式梁柱节点连接工艺
CN111364350B (zh) 一种大挑臂快速安装的轻型钢-砼组合盖梁
CN111042185B (zh) 一种带塔吊基础的地下室筏板基础施工方法
JP6645894B2 (ja) 柱梁接合構造の施工方法
JP7172916B2 (ja) 橋梁上部工撤去工法
CN109235662A (zh) 一种包含多重剪力键的柱板连接装置
CN113605771A (zh) 一种预应力装配式框架结构体系
KR102382032B1 (ko) Fcm 공법으로 교량을 시공하기 위한 폼 트래블러 및 이를 이용한 시공 방법
KR20060041078A (ko)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바닥판을 갖는 강주형 연속합성형교량및 그 시공방법
CN212427235U (zh) 一种地下室侧墙后浇带结构
CN113005919A (zh) 一种桥墩施工装置及桥墩施工方法
CN106088757A (zh) 一种用于超大规模筒仓中部环梁及上部筒壁的施工方法
CN209907420U (zh) 桥梁桥墩、承台及桩基间的湿式接头结构
KR101636471B1 (ko) 연결부가 구비된 콘크리트 충전 기둥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충전 기둥의 시공방법
KR100955657B1 (ko) 선조립철근을 이용한 cft기둥과 rc부재의 접합부시공방법
CN111022080A (zh) 轨道梁与盾构隧道的连接结构及其施工方法、盾构隧道
KR20200043293A (ko)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형교에 있어서의 힌지부의 보강 방법 및 보강 구조
CN110043060A (zh) 一种落地框架柱改为梁上柱结构的方法
CN113668369B (zh) 一种预制节段钢筋混凝土桥墩承插式连接构造及制作方法
CN214831975U (zh) 一种桥墩施工装置
JP6918469B2 (ja) プレキャスト部材、プレキャスト部材の架設構造、プレキャスト部材の架設構造の構築方法
CN109812001A (zh) 一种超高层双层工字钢悬挑支撑体系的施工方法
CN105604248B (zh) 一种钢管柱的钢管柱筒对接保护焊接方法
JPH0674621B2 (ja) 綱管コンクリート柱の継手構造、綱管コンクリート柱及びその施工方法
KR101625593B1 (ko) 분할 시공이 가능한 콘크리트 충전 기둥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충전 기둥의 시공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