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23454A - 입력 감지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 Google Patents

입력 감지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23454A
KR20210123454A KR1020200040433A KR20200040433A KR20210123454A KR 20210123454 A KR20210123454 A KR 20210123454A KR 1020200040433 A KR1020200040433 A KR 1020200040433A KR 20200040433 A KR20200040433 A KR 20200040433A KR 20210123454 A KR20210123454 A KR 2021012345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sensing
output
signals
driv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404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인남
김장희
이춘협
Original Assignee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0404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123454A/ko
Priority to US17/198,885 priority patent/US11502141B2/en
Priority to CN202110356200.0A priority patent/CN113495647A/zh
Publication of KR202101234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23454A/ko
Priority to US17/985,913 priority patent/US11903296B2/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6Control or interface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digitisers
    • G06F3/04166Details of scanning methods, e.g. sampling time, grouping of sub areas or time sharing with display driv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6Control or interface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digitisers
    • G06F3/04164Connections between sensors and controllers, e.g. routing lines between electrodes and connection pa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2Digitisers structurally integrated in a displa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6Control or interface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digitisers
    • G06F3/0418Control or interface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digitisers for error correction or compensation, e.g. based on parallax, calibration or alignment
    • G06F3/04182Filtering of noise external to the device and not generated by digitiser compon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6Control or interface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digitisers
    • G06F3/0418Control or interface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digitisers for error correction or compensation, e.g. based on parallax, calibration or alignment
    • G06F3/04184Synchronisation with the driving of the display or the backlighting unit to avoid interferences generated internall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4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4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 G06F3/0443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using a single layer of sensing electrod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4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 G06F3/0446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using a grid-like structure of electrodes in at least two directions, e.g. using row and column electrode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FAMPLIFIERS
    • H03F3/00Amplifiers with only discharge tubes or only semiconductor devices as amplifying elements
    • H03F3/005Amplifiers with only discharge tubes or only semiconductor devices as amplifying elements using switched capacitors, e.g. dynamic amplifiers; using switched capacitors as resistors in differential amplifier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0/84Passivation; Containers; Encapsulations
    • H10K50/844Encapsul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1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1 - G06F3/045
    • G06F2203/04112Electrode mesh in capacitive digitiser: electrode for touch sensing is formed of a mesh of very fine, normally metallic, interconnected lines that are almost invisible to see. This provides a quite large but transparent electrode surface, without need for ITO or similar transparent conductive material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40OLEDs integrated with touch screens

Abstract

표시 장치는, 프레임 단위로 발광하는 화소들을 포함하는 표시 패널을 포함한다. 입력 감지 유닛은 구동 전극들 및 센싱 전극들을 포함한다. 구동 신호 생성부는 상기 구동 전극들에 구동 신호들을 제공한다. 아날로그 전단들(analog front-ends)은 센싱 전극들로부터 구동 신호들에 따른 센싱 신호들을 수신한다. 신호 처리부는 아날로그 전단들의 차동 출력 값들에 따라 터치 여부를 판단한다. 구동 신호 생성부는 프레임의 시작을 정의하는 수직 동기 신호의 펄스가 발생하는 구간을 회피하여 구동 신호들을 구동 전극들에 제공한다.

Description

입력 감지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INPUT SENSING DEVICE AND DISPLAY DEVICE HAVING THE SAME}
본 발명의 실시예는 입력 감지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에 관한 것이다.
표시 장치는 영상을 표시하는 표시 패널, 표시 패널 상에 배치되어 터치 입력을 수신하는 터치 패널을 포함할 수 있다.
터치 패널은 복수의 감지 전극들을 포함하고, 복수의 터치 전극들에 형성되는 커패시턴스의 변화를 감지하여 터치된 지점을 찾는다.
표시 패널을 구동하는 표시 구동 신호는 터치 패널에 노이즈로 작용하므로, 터치 패널을 구동하는 터치 구동 신호는 표시 구동 신호(예를 들어, 수평 동기 신호)를 회피하도록 설정된다.
그러나, 표시 장치의 고속 구동화에 따라, 표시 구동 신호의 주파수가 증가하고(예를 들어, 구동 속도가 60Hz에서 120Hz 등으로 증가하고, 달리 말해, 표시 구동 신호의 주기가 감소되고),이에 대응하여 터치 구동 신호의 주기가 감소되며, 터치 센싱을 위한 시간이 감소될 수 있다.
또한, 표시 장치의 박형화(thinning) 및 대형화에 따라, 표시 패널 및 터치 패널(또는, 터치 전극들) 사이의 간격이 감소하고 표시 패널 및 터치 패널 간의 중첩 면적이 증가하면서 기생 커패시턴스가 증가하며, 터치 센싱 감도가 저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목적은 터치 센서의 성능이 열화되는 환경(예를 들어, 표시 장치의 고속 구동화, 박형화, 대형화)에서도 향상된 터치 센싱 감도를 가지는 입력 감지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표시 장치는, 프레임 단위로 발광하는 화소들을 포함하는 표시 패널; 구동 전극들 및 센싱 전극들을 포함하는 입력 감지 유닛; 상기 구동 전극들에 구동 신호들을 제공하는 구동 신호 생성부; 상기 센싱 전극들로부터 상기 구동 신호들에 따른 센싱 신호들을 수신하는 아날로그 전단들(analog front-ends); 및 상기 아날로그 전단들의 차동 출력 값들에 따라 터치 여부를 판단하는 신호 처리부를 포함한다. 상기 구동 신호 생성부는 상기 프레임의 시작을 정의하는 수직 동기 신호의 펄스가 발생하는 구간을 회피하여 상기 구동 신호들을 상기 구동 전극들에 제공한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구동 신호 생성부는, 상기 수직 동기 신호의 펄스가 발생하는 구간에서, 상기 구동 신호들의 공급을 차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구동 신호들은 상기 수직 동기 신호에 동기화되고, 상기 구동 신호 생성부는 상기 구동 신호들을 상기 센싱 전극들에 동시에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구동 신호들 각각은 사인파를 가지며, 상기 수직 동기 신호의 펄스가 발생하는 구간에서 기준(reference) 값을 가질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구동 신호들은 수평 동기 신호와 비동기(asynchronous)이며, 상기 수평 동기 신호는 상기 화소들 중 동일한 라인에 포함된 화소들을 통해 라인 영상이 출력되는 구간을 정의하고, 상기 구동 신호들 각각은 상기 수평 동기 신호의 펄스가 발생하는 구간과 중첩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구동 신호들의 주기는 상기 수평 동기 신호의 주기와 다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구동 신호들 각각은, 하나의 프레임 내에서 상기 화소들에 데이터 신호가 제공되지 않는 블랭크 구간과 중첩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구동 신호들 각각이 기준 값을 가지는 구간은, 상기 수직 동기 신호의 펄스가 발생하는 구간과 일치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구동 신호들은 상호 동일한 위상의 구형파를 가지되, 상기 구동 신호들의 펄스는 상기 수직 동기 신호의 펄스와 중첩하지 않을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구동 신호들의 펄스는 수평 동기 신호의 펄스와 부분적으로 중첩하며, 상기 수평 동기 신호는 상기 화소들 중 동일한 라인에 포함된 화소들을 통해 라인 영상이 출력되는 구간을 정의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아날로그 전단들 각각은, 상기 센싱 전극들 중 상호 인접한 2개의 센싱 전극들로부터 각각 제공되는 제1 센싱 신호 및 제2 센싱 신호를 차동 증폭하여, 상보적인 제1 차동 신호 및 제2 차동 신호를 출력하는 전하 증폭기; 상기 제1 차동 신호 및 상기 제2 차동 신호를 각각 필터링하여 제1 필터링된 신호 및 제2 필터링된 신호를 출력하는 밴드 패스 필터; 상기 제1 필터링된 신호 및 상기 제2 필터링된 신호의 주파수를 각각 변화시켜 제1 복조 신호 및 제2 복조 신호를 출력하는 믹서; 상기 제1 복조 신호 및 상기 제2 복조 신호로부터 노이즈를 각각 필터링하여 제1 출력 신호 및 제2 출력 신호를 출력하는 로우 패스 필터; 및 상기 제1 출력 신호 및 상기 제2 출력 신호 간의 차이에 대응하는 차동 출력 값을 출력하는 아날로그 디지털 컨버터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전하 증폭기는 완전 차동 증폭기(fully differential amplifier)로 구현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전하 증폭기는, 제1 입력 단자를 통해 인가되는 상기 제1 센싱 신호 및 제1 입력 단자를 통해 인가되는 상기 제2 센싱 신호를 차동 증폭하여 상기 제1 차동 신호를 제1 출력 단자를 통해 출력하며, 상기 제1 차동 신호가 반전된 파형을 가지는 제2 차동 신호를 제2 출력 단자를 통해 출력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표시 장치는, 상기 센싱 전극들 중 적어도 일부 및 상기 아날로그 전달들 사이에 각각 배치되고, 상기 센싱 전극들 중 적어도 일부로부터 제공되는 센싱 신호들 각각을 상기 아날로그 전달들 중 인접한 2개의 아날로그 전단들에 제공하는 분배 회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표시 장치는, 상기 아날로그 전단들 각각의 전단에 연결되는 네거티브 커패시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아날로그 전단들 각각은, 상기 센싱 전극들 중 상호 인접한 3개의 센싱 전극들로부터 제공되는 센싱 신호들 중 2개의 센싱 신호들을 선택하는 멀티플렉서; 상기 센싱 신호들 중 선택된 상기 2개의 센싱 신호들을 차동 증폭하여, 상보적인 제1 차동 신호 및 제2 차동 신호를 출력하는 전하 증폭기; 상기 제1 차동 신호 및 상기 제2 차동 신호를 각각 필터링하여 제1 필터링된 신호 및 제2 필터링된 신호를 출력하는 밴드 패스 필터; 상기 제1 필터링된 신호 및 상기 제2 필터링된 신호의 주파수를 각각 변화시켜 제1 복조 신호 및 제2 복조 신호를 출력하는 믹서; 상기 제1 복조 신호 및 상기 제2 복조 신호로부터 노이즈를 각각 필터링하여 제1 출력 신호 및 제2 출력 신호를 출력하는 로우 패스 필터; 및 상기 제1 출력 신호 및 상기 제2 출력 신호 간의 차이에 대응하는 차동 출력 값을 출력하는 아날로그 디지털 컨버터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멀티플렉서는, 제1 구간에서 상기 센싱 신호들 중 제1 센싱 신호 및 제2 센싱 신호를 선택하고, 상기 제1 구간과 다른 제2 구간에서 상기 센싱 신호들 중 상기 제2 센싱 신호 및 제3 센싱 신호를 선택하며, 상기 제1 내지 제3 센싱 신호들은 상기 3개의 센싱 전극들로부터 각각 제공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아날로그 전단들 각각은, 멀티플렉서의 입력 단자들 각각에 연결되는 네거티브 커패시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표시 패널은, 베이스층; 상기 베이스층 상에 형성되며 상기 화소들 각각을 구성하는 발광 소자; 및 상기 발광 소자를 커버하는 박막 봉지층을 더 포함하고, 상기 입력 감지 유닛은 상기 박막 봉지층 상에 직접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입력 감지 유닛은, 상기 박막 봉지층 상에 형성되고 제1 패턴을 포함하는 제1 도전층; 상기 제1 도전층 상에 배치되는 절연층; 및 상기 절연층 상에 배치되며 제2 패턴을 포함하는 제2 도전층을 더 포함하며, 상기 구동 전극들 및 상기 센싱 전극들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제1 패턴 및 상기 제2 패턴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제1 패턴 및 상기 제2 패턴 각각은 메쉬(mesh)구조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입력 감지 장치는, 구동 전극들 및 센싱 전극들을 포함하는 입력 감지 유닛; 상기 구동 전극들에 구동 신호들을 제공하는 구동 신호 생성부; 상기 센싱 전극들로부터 상기 구동 신호들에 따른 센싱 신호들을 수신하는 아날로그 전단들(analog front-ends); 및 상기 아날로그 전단들의 차동 출력 값들에 따라 터치 여부를 판단하는 신호 처리부를 포함한다. 상기 아날로그 전단들 각각은, 상기 센싱 전극들 중 2개의 센싱 전극들로부터 각각 제공되는 제1 센싱 신호 및 제2 센싱 신호를 차동 증폭하여, 상보적인 제1 차동 신호 및 제2 차동 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제1 차동 신호 및 상기 제2 차동 신호로부터 터치 입력에 대응하는 제1 출력 신호 및 제2 출력 신호를 추출하며, 아날로그 디지털 컨버터에 상기 제1 출력 신호 및 상기 제2 출력 신호를 제공한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아날로그 전단들 각각은, 상기 제1 센싱 신호 및 제2 센싱 신호를 차동 증폭하여, 상기 제1 차동 신호 및 상기 제2 차동 신호를 출력하는 전하 증폭기를 포함하고, 상기 전하 증폭기는, 제1 입력 단자를 통해 인가되는 상기 제1 센싱 신호 및 제2 입력 단자를 통해 인가되는 상기 제2 센싱 신호를 차동 증폭하여 상기 제1 차동 신호를 제1 출력 단자를 통해 출력하며, 상기 제1 차동 신호가 반전된 파형을 가지는 제2 차동 신호를 제2 출력 단자를 통해 출력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아날로그 전단들 각각은, 상기 제1 차동 신호 및 상기 제2 차동 신호를 각각 필터링하여 제1 필터링된 신호 및 제2 필터링된 신호를 출력하는 밴드 패스 필터; 상기 제1 필터링된 신호 및 상기 제2 필터링된 신호의 주파수를 각각 변화시켜 제1 복조 신호 및 제2 복조 신호를 출력하는 믹서; 및 상기 제1 복조 신호 및 상기 제2 복조 신호로부터 노이즈를 각각 필터링하여 상기 제1 출력 신호 및 상기 제2 출력 신호를 출력하는 로우 패스 필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아날로그 전단들 각각은, 상기 센싱 전극들 중 상호 인접한 3개의 센싱 전극들로부터 제공되는 센싱 신호들 중 2개의 센싱 신호들을 선택하여 상기 제1 센싱 신호 및 상기 제2 센싱 신호로서 상기 전하 증폭기에 제공하는 멀티플렉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아날로그 전단들 각각은, 멀티플렉서의 입력 단자들 각각에 연결되는 네거티브 커패시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입력 감지 장치 및 표시 장치는 입력 감지 유닛 및 입력 감지 회로를 포함하고, 입력 감지 회로는, 완전 차동 아날로그 전단(fully differential analog front-end)를 이용하여, 인접한 센싱 신호들을 차동 증폭하고 노이즈(예를 들어, 수평 동기 신호에 기인한 노이즈)를 제거할 수 있다. 따라서, 수평 동기 신호의 주파수와 무관하게 터치 구동 신호의 주파수가 자유롭게 설정되고, 터치 구동 신호의 밴드폭(bandwidth)의 감소가 방지되며, 센싱 신호의 다이나믹 레인지(dynamic range)가 넓어지고, 터치 센싱 감도의 저하가 방지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입력 감지 장치 및 표시 장치는 수직 동기 신호의 펄스를 회피하여 설정되고 사인파를 가지는 터치 구동 신호를 이용함으로써, 터치 센싱 감도를 보다 향상시키며, 전력 소비 및 노이즈(또는, 노이즈에 대한 영향)을 감소시킬 수 있다.
나아가, 상기 입력 감지 장치 및 표시 장치는 완전 차동 아날로그 전단의 입력 단자들에 연결된 네거티브 커패시터를 이용하여, 입력 감지 유닛 내 감지전극들에 대한 기생 커패시턴스를 감소시킬 수 있다. 따라서, 터치 센싱 감도가 보다 향상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표시 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표시 장치에 포함된 표시 패널의 일 예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표시 장치에 포함된 입력 감지 유닛의 일 예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4는 도 3의 입력 감지 유닛의 제1 영역(FF)을 확대한 평면도이다.
도 5는 도 4의 I-I' 선을 따라 자른 표시 장치의 일 예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6a 및 도 6b는 도 1의 표시 장치에 포함된 입력 감지 유닛 및 입력 감지 회로의 일 예를 나타내는 회로도이다.
도 7a, 도 7b, 및 도 7c는 도 6a의 입력 감지 회로에 포함된 구동 신호 생성부의 동작을 설명하는 파형도들이다.
도 8은 도 6a의 입력 감지 회로에 포함된 아날로그 전단의 일 예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9a는 도 8의 아날로그 전단에 포함된 전하 증폭기의 일 예를 나타내는 회로도이다.
도 9b는 도 8의 아날로그 전단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신호들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은 도 1의 표시 장치에 포함된 입력 감지 유닛 및 입력 감지 회로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회로도이다.
도 11은 도 10의 입력 감지 회로에 포함된 아날로그 전단의 일 예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12는 도 11의 아날로그 전단에 포함된 멀티플렉서의 동작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3은 도 10의 입력 감지 회로에 포함된 아날로그 전단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14는 도 6a의 입력 감지 회로에 포함된 아날로그 전단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를 도면에 예시하고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다만,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는 않으며, 다양한 형태로 변경되어 실시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도면에서 본 발명의 특징과 직접적으로 관계되지 않은 일부 구성 요소는 본 발명을 명확하게 나타내기 위하여 생략되었을 수 있다. 또한, 도면 상의 일부 구성 요소는 그 크기나 비율 등이 다소 과장되어 도시되었을 수 있다. 도면 전반에서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 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 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참조 번호 및 부호를 부여하고,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표시 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표시 장치(DD)는 다양한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서로 평행한 두 쌍의 변들을 가지는 사각형의 판상으로 제공될 수 있다. 표시 장치(DD)가 직사각형의 판상으로 제공되는 경우, 두 쌍의 변들 중 어느 한 쌍의 변이 다른 한 쌍의 변보다 길게 제공될 수 있다.
표시 장치(DD)는 표시면을 통해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표시면은 제1 방향(DR1)에 대응하는 제1 방향축 및 제2 방향(DR2)에 대응하는 제2 방향축이 정의하는 면과 평행할 수 있다. 표시면의 법선 방향, 즉 표시 장치(DD)의 두께 방향은 제3 방향(DR3)으로 정의하기로 한다.
이하에서 설명되는 각 부재들, 층들, 또는 유닛들의 전면(또는 상면)과 배면(또는 하면)은 제3 방향(DR3)을 따라 구분될 수 있다. 그러나, 제1 내지 제3 방향들(DR1, DR2, DR3)은 예시에 불과하며, 제1 내지 제3 방향들(DR1, DR2, DR3)은 상대적인 개념으로서 다른 방향들로 변환될 수 있다.
표시 장치(DD)는 평면형 표시면을 구비할 수 있다. 다만, 표시면이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예를 들어, 표시 장치(DD)는 곡면형 표시면 또는 입체형 표시면 등 화상을 표시할 수 있는 다양한 형태의 표시면을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DD)가 입체형 표시면을 갖는 경우, 입체형 표시면은 일 예로서 서로 다른 방향을 향하는 복수 개의 표시 영역들을 포함할 수 있다. 입체형 표시면은 다각 기둥형 표시면으로 구현될 수 있다.
표시 장치(DD)는 플렉서블 표시 장치일 수 있다. 예를 들어, 표시 장치(DD)는 폴더블 표시 장치, 벤더블 표시 장치, 롤러블 표시 장치 등에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리지드 표시 장치일 수도 있다.
표시 장치(DD)는 텔레비전, 모니터, 전광판 등과 같은 대형 전자 장치를 비롯하여, 핸드폰, 태블릿, 내비게이션, 게임기, 스마트 와치 등과 같은 중소형 전자 장치 등에 적용될 수 있다. 또한, 표시 장치(DD)는 헤드-마운트(head-mount) 디스플레이 등 웨어러블(wearable) 전자 장치에 적용될 수도 있다.
표시 장치(DD)는 표시 패널(DP) 및 입력 감지 유닛(ISU)(또는, 입력 감지층)을 포함할 수 있다.
표시 패널(DP) 및 입력 감지 유닛(ISU)은 연속 공정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다만, 표시 패널(DP) 및 입력 감지 유닛(ISU)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예를 들어, 표시 패널(DP) 및 입력 감지 유닛(ISU)은 접착 부재를 통해 서로 결합될 수도 있다. 접착 부재는 통상의 접착제 또는 점착제를 포함하며,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접착 부재는 광학 투명 접착 부재일 수 있다.
다른 구성과 연속 공정을 통해 형성된 해당 구성은 "층"으로 표현되며, 다른 구성과 접착 부재를 통해 결합된 구성은 "패널"로 표현된다. 패널은 베이스면을 제공하는 베이스층, 예컨대 합성수지 필름, 복합재료 필름, 유리 기판 등을 포함하지만, "층"은 베이스층이 생략될 수 있다. 다시 말해, "층"으로 표현되는 입력 감지 유닛(ISU)은 표시 패널(DP)이 제공하는 베이스면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입력 감지 유닛(ISU)은 표시 장치(DD)의 표시면에 대한 손이나 펜과 같은 외부 매체에 의한 접촉 또는 입력을 감지할 수 있다.
표시 패널(DP)은 발광형 표시 패널일 수 있다. 예를 들어, 표시 패널(DP)은 유기 발광 표시 패널 또는 퀀텀닷 발광 표시 패널일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표시 장치(DD)는 반사 방지 패널 및 윈도우 패널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반사 방지 패널은 입력 감지 유닛(ISU) 상에 배치되며, 외부로부터 표시 장치(DD)의 표시면에 입사되는 외부광의 반사율을 감소시킨다. 예를 들어, 반사 방지 패널은 컬러 필터들을 포함할 수 있다. 컬러 필터들은 소정의 배열을 가질 수 있다. 표시 패널(DP)에 포함된 화소들의 발광 컬러들을 고려하여 컬러 필터들의 배열이 결정될 수 있다.
윈도우 패널은 입력 감지 유닛(ISU) 상에 배치되며, 외부(예를 들어, 외부 충격)로부터 표시 패널(DP) 및 입력 감지 유닛(ISU)을 보호할 수 있다. 윈도우 패널은 합성수지 필름 및/또는 유리 기판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윈도우 패널은 접착부재로 결합된 2 이상의 필름들을 포함할 수 있다.
도 2는 도 1의 표시 장치에 포함된 표시 패널의 일 예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표시 패널(DP)은 영상이 표시되는 표시 영역(DP-DA) 및 표시 영역(DP-DA)에 인접한 비표시 영역(DP-NDA)을 포함할 수 있다. 비표시 영역(DP-NDA)은 영상이 표시되지 않는 영역이다. 비표시 영역(DP-NDA)은 표시 영역(DP-DA)의 외측에 배치될 수 있다.
표시 영역(DP-DA)은 화소들(PX)이 제공된 화소 영역들을 포함할 수 있다. 비표시 영역(DP-NDA)에는 배선들의 패드들이 제공되는 패드부(DP-PD)가 제공될 수 있다. 비표시 영역(DP-NDA)에는 화소들(PX)에 데이터 신호를 제공하는 데이터 구동부(미도시)가 제공될 수 있다. 데이터 구동부는 데이터 배선들을 통해 화소들(PX) 각각에 데이터 신호를 제공할 수 있다. 데이터 구동부는 후술하는 타이밍 제어회로(TC)에 포함될 수도 있다.
표시 패널(DP)은 구동회로(GDC), 신호 라인들(SGL), 신호패드들(DP-PD) 및 화소들(PX)을 포함할 수 있다.
화소들(PX)은 표시 영역(DP-DA)에 배치될 수 있다. 화소들(PX) 각각은 발광 소자 및 발광 소자에 연결된 화소 구동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발광 소자는 유기 발광 다이오드 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구동회로(GDC)는 주사 구동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주사 구동회로는 주사 신호들을 생성하고, 주사 신호들을 주사 라인들(GL)에 순차적으로 제공하거나 출력할 수 있다. 주사 구동회로는 화소들(PX)의 구동회로에 다른 제어신호를 더 제공할 수도 있다.
주사 구동회로는 화소들(PX)의 구동회로와 동일한 공정, 예컨대 LTPS(Low Temperature Polycrystalline Silicon) 공정 또는 LTPO(Low Temperature Polycrystalline Oxide) 공정을 통해 형성된 박막 트랜지스터들을 포함할 수 있다.
신호 라인들(SGL)은 주사 라인들(GL), 데이터 라인들(DL), 전원 라인(PL), 및 제어신호 라인(CSL)을 포함할 수 있다. 주사 라인들(GL) 각각은 화소들(PX) 중 대응하는 화소에 연결되고, 데이터 라인들(DL) 각각은 화소들(PX) 중 대응하는 화소에 연결될 수 있다. 전원 라인(PL)은 화소들(PX)에 연결될 수 있다. 제어신호 라인(CSL)은 주사 구동회로에 제어신호들을 제공할 수 있다.
신호 라인들(SGL)은 표시 영역(DP-DA) 및 비표시 영역(DP-NDA)에 중첩할 수 있다. 신호 라인들(SGL)은 패드부(또는, 패드 부분) 및 라인부(또는, 라인 부분)를 포함할 수 있다. 라인부는 표시 영역(DP-DA) 및 비표시 영역(DP-NDA)에 중첩할 수 있다. 패드부는 라인부의 말단에 연결될 수 있다. 패드부는 비표시 영역(DP-NDA)에 배치되고, 신호패드들(DP-PD) 중 대응하는 신호패드에 중첩할 수 있다. 비표시 영역(DP-NDA) 중 신호패드들(DP-PD)이 배치된 영역은 패드영역(NDA-PD)으로 정의될 수 있다.
화소들(PX)에 연결된 라인부가 신호 라인들(SGL)의 대부분을 구성할 수 있다. 라인부는 화소들(PX)의 트랜지스터들에 연결될 수 있다. 라인부는 단층/다층 구조를 가질 수 있고, 라인부는 일체의 형상(single body)이거나, 2 이상의 부분들을 포함할 수 있다. 2 이상의 부분들은 서로 다른 층 상에 배치되고, 2 이상의 부분들 사이에 배치된 절연층을 관통하는 컨택홀을 통해 서로 연결될 수 있다.
표시 패널(DP)은 패드영역(NDA-PD)에 배치된 더미 패드들(IS-DPD)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더미 패드들(IS-DPD)은 신호 라인들(SGL)과 동일한 공정을 통해 형성되므로 신호 라인들(SGL)과 동일한 층 상에 배치될 수 있다. 더미 패드들(IS-DPD)은 입력 감지층을 포함하는 표시 장치(DD)에서 선택적으로 구비되고, 입력 감지 패널을 포함하는 표시 장치(DD)에서는 생략될 수 있다.
도 2에는 표시 패널(DP)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회로기판(PCB)이 추가로 도시되어 있다. 회로기판(PCB)은 플렉서블 회로기판 또는 리지드 회로기판일 수 있다. 회로기판(PCB)은 표시 패널(DP)에 직접 결합되거나, 또 다른 회로기판을 통해 표시 패널(DP)에 연결될 수 있다.
회로기판(PCB)에는 표시 패널(DP)의 동작을 제어하는 타이밍 제어회로(TC)가 배치될 수 있다. 타이밍 제어회로(TC)는 외부(예를 들어, application processor와 같은 호스트 시스템)로부터 입력 영상 데이터 및 타이밍 신호들(예를 들어, 수직 동기 신호, 수평 동기 신호, 클럭 신호들)을 수신하고, 타이밍 신호들에 기초하여 구동회로(GDC)를 제어하는 게이트 구동 제어 신호를 생성하며, 게이트 구동 제어 신호를 구동회로(GDC)에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타이밍 신호들 중 수직 동기 신호는 한 프레임의 영상(또는, 프레임 영상)이 표시되는 하나의 표시 구간(또는, 한 프레임)의 시작을 정의하거나, 한 프레임에 대응하는 영상 데이터의 시작(또는, 전송 시작)을 정의하며, 타이밍 신호들 중 수평 동기 신호는 한 프레임의 영상에 포함된 수평 라인의 영상들 각각이(예를 들어, 동일한 행에 포함된 화소들을 통해 영상이) 출력되는 구간을 정의할 수 있다. 또한, 타이밍 제어회로(TC)는 데이터 구동부를 제어하는 데이터 구동 제어 신호를 생성하며, 데이터 구동 제어 신호를 데이터 구동부에 제공하며, 입력 영상 데이터를 재정렬하여 데이터 구동부에 제공할 수 있다.
또한, 회로기판(PCB)에는 입력 감지 유닛(ISU)(또는, 입력 감지 유닛)을 제어하는 입력 감지 회로(IS-C)가 배치될 수 있다. 입력 감지 회로(IS-C)는 외부(예를 들어, application processor와 같은 호스트 시스템)로부터 타이밍 신호(예를 들어, 수직 동기 신호)를 수신하고, 수직 동기 신호에 기초하여 터치 구동 신호(또는, 구동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입력 감지 유닛(ISU)으로부터 터치 입력(예를 들어, 사용자의 터치)에 대응하는 감지 신호를 수신하며, 터치 입력의 위치를 산출하거나 인식할 수 있다.
타이밍 제어회로(TC)와 입력 감지 회로(IS-C) 각각은 집적 칩의 형태로 회로기판(PCB)에 실장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타이밍 제어회로(TC)와 입력 감지 회로(IS-C)는 하나의 집적 칩의 형태로 회로기판(PCB)에 실장될 수 있다. 회로기판(PCB)은 표시 패널(DP)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회로기판 패드들(PCB-P)을 포함할 수 있다. 미도시되었으나, 회로기판(PCB)은 회로기판 패드들(PCB-P)과 타이밍 제어회로(TC) 및/또는 입력 감지 회로(IS-C)를 연결하는 신호 라인들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3은 도 1의 표시 장치에 포함된 입력 감지 유닛의 일 예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4는 도 3의 입력 감지 유닛의 제1 영역(FF)을 확대한 평면도이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입력 감지 유닛(ISU)은 사용자의 입력, 예를 들어, 터치 및/또는 터치 시의 압력을 감지하는 감지영역(SA), 및 감지영역(SA)의 적어도 일측에 제공된 주변영역(PA)을 포함할 수 있다.
감지영역(SA)은 표시 패널(DP)의 표시 영역(DP-DA)에 대응하며, 표시 영역(DP-DA)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면적을 가지거나, 더 큰 면적을 가질 수도 있다. 주변영역(PA)은 감지영역(SA)에 인접하여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주변영역(PA)은 표시 패널(DP)의 비표시 영역(DP-NDA)에 대응할 수 있다.
입력 감지 유닛(ISU)은 감지영역(SA)에 제공되는 제1 감지전극들(IE1-1 내지 IE1-5)(또는, 구동 전극들)과 제2 감지전극들(IE2-1 내지 IE2-4)(또는, 센싱 전극들), 및 주변영역(PA)에 제공되는 제1 신호 라인들(SL1-1 내지 SL1-5)과 제2 신호 라인들(SL2-1 내지 SL2-4)을 포함할 수 있다.
하나의 제1 감지전극 내에서 제1 센서부들(SP1)은 제2 방향(DR2)을 따라 배열되고, 하나의 제2 감지전극 내에서 제2 센서부들(SP2)은 제1 방향(DR1)을 따라 배열될 수 있다. 제1 연결부들(CP1) 각각은 인접한 제1 센서부들(SP1)을 연결하고, 제2 연결부들(CP2) 각각은 인접한 제2 센서부들(SP2)을 연결할 수 있다.
제1 감지전극들(IE1-1 내지 IE1-5) 및 제2 감지전극들(IE2-1 내지 IE2-4)은 메쉬(mesh)패턴 또는 메쉬구조를 가질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쉬패턴은 적어도 하나의 메쉬홀(IS-OPR, IS-OPG, IS-OPB)(또는, 개구)을 형성하는 금속라인인 메쉬라인들을 포함할 수 있다. 메쉬라인들에 의해 메쉬홀(IS-OPR, IS-OPG, IS-OPB)은 마름모의 평면 형상을 가질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1 감지전극들(IE1-1 내지 IE1-5) 및 제2 감지전극들(IE2-1 내지 IE2-4)이 메쉬패턴을 가짐으로써 표시 패널(DP)의 전극들과의 기생 커패시턴스가 감소될 수 있다.
또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영역(FF)에서, 제1 감지전극들(IE1-1 내지 IE1-5) 및 제2 감지전극들(IE2-1 내지 IE2-4)은 발광 영역들(PXA-R, PXA-G, PXA-B)에 비중첩할 수 있다. 여기서, 발광 영역들(PXA-R, PXA-G, PXA-B)은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한 화소들(PX)(또는, 화소들(PX)이 제공되는 화소 영역들)에 각각 포함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감지전극들(IE1-1 내지 IE1-5) 및 제2 감지전극들(IE2-1 내지 IE2-4)이 표시 장치(DD)의 사용자에게 시인되지 않을 수 있다.
제1 감지전극들(IE1-1 내지 IE1-5) 및 제2 감지전극들(IE2-1 내지 IE2-4)은, 알루미늄, 구리, 크롬, 니켈, 티타늄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감지전극들은 다양한 금속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1 감지전극들(IE1-1 내지 IE1-5) 및 제2 감지전극들(IE2-1 내지 IE2-4)이 일 예로서 저온 공정이 가능한 금속으로 이루어지는 경우, 표시 패널(DP) 제조 공정 후 연속공정으로 입력 감지 유닛(ISU)을 형성하더라도 발광 소자의 손상이 방지될 수 있다.
제1 감지전극들(IE1-1 내지 IE1-5) 및 제2 감지전극들(IE2-1 내지 IE2-4)이 메쉬패턴으로 표시 패널(DP) 상에 직접 배치되는 경우, 표시 장치(DD)의 플렉서블리티(flexibility)가 향상될 수 있다.
도 3에서 제1 감지전극들(IE1-1 내지 IE1-5)과 제2 감지전극들(IE2-1 내지 IE2-4)은 마름모 형상의 제1 센서부들(SP1)과 제2 센서부들(SP2)을 포함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제1 센서부들(SP1)과 제2 센서부들(SP2)은 다각형상을 가질 수 있다. 제1 감지전극들(IE1-1 내지 IE1-5)과 제2 감지전극들(IE2-1 내지 IE2-4)은 센서부와 연결부의 구분이 없는 형상(예를 들어, 바 형상)을 가질 수도 있다.
제1 신호 라인들(SL1-1 내지 SL1-5)은 제1 감지전극들(IE1-1 내지 IE1-5)의 일단에 각각 연결될 수 있다. 제2 신호 라인들(SL2-1 내지 SL2-4)은 제2 감지전극들(IE2-1 내지 IE2-4)의 양단에 연결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예를 들어, 제1 신호 라인들(SL1-1 내지 SL1-5)은 제1 감지전극들(IE1-1 내지 IE1-5)의 양단에 연결될 수 있다. 다른 예로, 제2 신호 라인들(SL2-1 내지 SL2-4)은 제2 감지전극들(IE2-1 내지 IE2-4)의 일단에만 각각 연결될 수도 있다.
제2 감지전극들(IE2-1 내지 IE2-4)은 제1 감지전극들(IE1-1 내지 IE1-5) 대비 길이가 길기 때문에 검출신호(또는 송신신호)의 전압강하가 더 크게 발생하며, 이에 따라 센싱 감도가 저하될 수 있다. 제2 감지전극들(IE2-1 내지 IE2-4)의 양단에 연결된 제2 신호 라인들(SL2-1 내지 SL2-4)을 통해 검출신호(또는 전송신호)가 전송되므로, 검출신호(또는 송신신호)의 전압 강하 및 센싱 감도의 저하가 방지될 수 있다.
제1 신호 라인들(SL1-1 내지 SL1-5) 및 제2 신호 라인들(SL2-1 내지 SL2-4)은 라인부(SL-L)와 패드부(SL-P)를 포함할 수 있다. 패드부(SL-P)는 패드영역(NDA-PD)에 정렬될 수 있다. 패드부(SL-P)는 도 2에 도시된 더미 패드들(IS-DPD)에 중첩할 수 있다.
입력 감지 유닛(ISU)은 신호패드들(DP-PD)을 포함할 수 있다. 신호패드들(DP-PD)은 패드영역(NDA-PD)에 정렬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제1 센서부들(SP1)은 발광 영역들(PXA-R, PXA-G, PXA-B)에 비중첩하고, 비발광 영역(NPXA)에 중첩할 수 있다.
제1 센서부들(SP1)의 메쉬라인들(예를 들어, 금속라인)은 메쉬홀들(IS-OPR, IS-OPG, IS-OPB)을 정의할 수 있다. 메쉬홀들(IS-OPR, IS-OPG, IS-OPB)은 발광 영역들(PXA-R, PXA-G, PXA-B)에 일대일 대응할 수 있다. 발광 영역들(PXA-R, PXA-G, PXA-B)은 메쉬홀들(IS-OPR, IS-OPG, IS-OPB)에 의해 노출될 수 있다.
메쉬라인들의 선폭은 비발광 영역(NPXA)에 대응되는 화소 정의막(즉, 발광 영역들(PXA-R, PXA-G, PXA-B)을 정의하는 화소 정의막)의 폭보다 작을 수 있다.
따라서, 발광 영역들(PXA-R, PXA-G, PXA-B)에서 방출되는 빛이 메쉬라인들에 의해 차단되는 것이 최소화되고, 메쉬라인들이 사용자에게 시인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메쉬라인들은 티타늄/알루미늄/티타늄의 3층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발광 영역들(PXA-R, PXA-G, PXA-B)은 발광 소자에서 생성되는 광의 컬러에 따라 복수 개의 그룹들로 구분될 수 있다. 도 4에는 발광 컬러에 따라 3개의 그룹들로 구분되는 발광 영역들(PXA-R, PXA-G, PXA-B)이 도시되었다.
발광 영역들(PXA-R, PXA-G, PXA-B)은 유기 발광 다이오드에서 발광하는 컬러에 따라 다른 면적을 가질 수 있다. 유기 발광 다이오드의 종류에 따라 발광 영역들(PXA-R, PXA-G, PXA-B)의 면적이 결정될 수 있다.
메쉬홀들(IS-OPR, IS-OPG, IS-OPB)은 서로 다른 면적을 갖는 복수 개의 그룹들로 구분될 수 있다. 메쉬홀들(IS-OPR, IS-OPG, IS-OPB)은 대응하는 발광 영역들(PXA-R, PXA-G, PXA-B)에 따라 3개의 그룹들로 구분될 수 있다.
도 4에서 메쉬홀들(IS-OPR, IS-OPG, IS-OPB)이 발광 영역들(PXA-R, PXA-G, PXA-B)에 일대일 대응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메쉬홀들(IS-OPR, IS-OPG, IS-OPB) 각각은 2 이상의 발광 영역들(PXA-R, PXA-G, PXA-B)에 대응할 수도 있다.
도 4에서 발광 영역들(PXA-R, PXA-G, PXA-B)의 면적이 다양한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으로,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발광 영역들(PXA-R, PXA-G, PXA-B)의 크기는 서로 동일할 수 있고, 또한 메쉬홀들(IS-OPR, IS-OPG, IS-OPB)의 크기도 서로 동일할 수도 있다. 메쉬홀들(IS-OPR, IS-OPG, IS-OPB)의 평면상 형상은 제한되지 않고, 마름모와 다른 다각형상을 가질 수 있다. 메쉬홀들(IS-OPR, IS-OPG, IS-OPB)의 평면상 형상은 코너부가 라운드된 다각형상을 가질 수도 있다.
한편, 도 3에서 입력 감지 유닛(ISU)은 5개의 제1 감지전극들(IE1-1 내지 IE1-5) 및 4개의 제2 감지전극들(IE2-1 내지 IE2-4)을 포함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제1 감지전극들(IE1-1 내지 IE1-5)의 개수 및 제2 감지전극들(IE2-1 내지 IE2-4)의 개수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입력 감지 유닛(ISU)은 6개 이상의 제1 감지전극들 및/또는 5개 이상의 제2 감지전극들을 포함할 수 있다.
도 5는 도 4의 I-I' 선을 따라 자른 표시 장치의 일 예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표시 장치는 베이스층(BL)(또는, 기판), 버퍼층(BFL), 화소 회로층(PCL), 발광 소자층(LDL), 박막 봉지층(TFE) 및 입력 감지 유닛(ISU)을 포함할 수 있다.
베이스층(BL)은 합성수지 필름을 포함할 수 있다. 합성 수지층은 폴리이미드계 수지층일 수 있고, 그 재료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그밖에 베이스층(BL)은 유리 기판, 금속 기판, 또는 유/무기 복합재료 기판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베이스층(BL) 상에 버퍼층(BFL)이 제공될 수 있다. 버퍼층(BFL)은 베이스층(BL) 상에 제공되는 트랜지스터(T)에 불순물이 확산되는 것을 방지하며 베이스층(BL)의 평탄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버퍼층(BFL)은 단일층으로 제공될 수 있으나, 적어도 2중층 이상의 다중층으로 제공될 수도 있다. 버퍼층(BFL)은 무기 재료로 이루어진 무기 절연막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버퍼층(BFL)은 실리콘 질화물, 실리콘 산화물, 실리콘산질화물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버퍼층(BFL)은 다중층으로 제공될 경우, 각 층은 동일한 재료로 형성되거나 또는 서로 다른 재료로 형성될 수도 있다. 버퍼층(BFL)은 경우에 따라 생략될 수도 있다.
화소 회로층(PCL)은 적어도 하나의 절연층과 회로 소자를 포함할 수 있다. 절연층은 적어도 하나의 무기막과 적어도 하나의 유기막을 포함할 수 있다. 회로 소자는 신호 라인, 화소의 구동 회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버퍼층(BFL) 상에는 트랜지스터(T)의 반도체 패턴(ODP)이 배치될 수 있다. 반도체 패턴(ODP)은 아모포스 실리콘, 폴리 실리콘, 또는 금속 산화물 반도체에서 선택될 수 있다.
반도체 패턴(ODP) 상에 제1 절연층(INS1)이 배치될 수 있다. 제1 절연층(INS1)은 무기 재료로 이루어진 무기 절연막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절연층(INS1)은 실리콘 질화물, 실리콘 산화물, 실리콘 산질화물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1 절연층(INS1) 상에는 트랜지스터(T)의 제어전극(GE)이 배치될 수 있다. 제어전극(GE)은 주사 라인들(도 2의 GL)과 동일한 포토리소그래피 공정에 따라 제조될 수 있다.
제1 절연층(INS1) 상에는 제어전극(GE)을 커버하는 제2 절연층(INS2)이 배치될 수 있다. 제2 절연층(INS2)은 무기 재료로 이루어진 무기 절연막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절연층(INS2)은 실리콘 질화물, 실리콘 산화물, 실리콘 산질화물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2 절연층(INS2) 상에 트랜지스터(T)의 제1 트랜지스터 전극(DE)(또는, 드레인 전극) 및 제2 트랜지스터 전극(SE)(또는, 소스 전극)이 배치될 수 있다.
제1 트랜지스터 전극(DE) 및 제2 트랜지스터 전극(SE)은 제1 절연층(INS1)과 제2 절연층(INS2)을 관통하는 제1 관통홀(CH1)과 제2 관통홀(CH2)을 통해 반도체 패턴(ODP)에 각각 연결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트랜지스터(T)는 바텀 게이트 구조로 변형되어 실시될 수 있다.
제2 절연층(INS2) 상에 제1 트랜지스터 전극(DE)과 제2 트랜지스터 전극(SE)을 커버하는 제3 절연층(INS3)이 배치될 수 있다. 제3 절연층(INS3)은 평탄면을 제공할 수 있다. 제3 절연층(INS3)은 아크릴 수지(acryl resin), 에폭시 수지(epoxy resin), 페놀 수지(phenolic resin), 폴리아미드 수지(polyamide resin), 폴리이미드 수지(polyimide resin) 등의 유기막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3 절연층(INS3) 상에는 발광 소자층(LDL)이 배치된다. 발광 소자층(LDL)은 화소 정의막(PDL) 및 발광 소자(OLED)를 포함할 수 있다.
화소 정의막(PDL)은 유기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제3 절연층(INS3) 상에 제1 전극(AE)이 배치될 수 있다. 제1 전극(AE)은 제3 절연층(INS3)을 관통하는 제3 관통홀(CH3)을 통해 제2 트랜지스터 전극(SE)에 연결될 수 있다. 화소 정의막(PDL)은 개구부(OP)를 포함하고, 개구부(OP)는 발광 영역들(PXA-R, PXA-G, PXA-B)을 정의할 수 있다. 화소 정의막(PDL)의 개구부(OP)는 제1 전극(AE)의 적어도 일부분을 노출시킬 수 있다. 변형예로서 화소 정의막(PDL)은 생략될 수도 있다.
화소(PX, 도 2 참조)는 표시 영역(DP-DA)에 배치될 수 있다. 표시 영역(DP-DA)은 발광 영역(PXA)과 발광 영역(PXA)에 인접한 비발광 영역(NPXA)을 포함할 수 있다. 비발광 영역(NPXA)은 발광 영역(PXA)을 에워쌀 수 있다. 발광 영역(PXA)은 개구부(OP)에 의해 노출된 제1 전극(AE)의 일부영역에 대응하도록 정의될 수 있다. 비발광 영역(NPXA)은 화소 정의막(PDL)에 대응하도록 정의될 수 있다.
발광 소자(OLED)는 제2 트랜지스터 전극(SE)에 접속하는 제1 전극(AE), 제1 전극(AE) 상에 배치되는 발광층(EML), 및 발광층(EML) 상에 배치되는 제2 전극(CE)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발광 소자(OLED)는 유기 발광 다이오드 일 수 있다.
제1 전극(AE) 및 제2 전극(CE) 중 하나는 애노드(anode) 전극일 수 있으며, 다른 하나는 캐소드(cathode) 전극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전극(AE)은 애노드 전극일 수 있으며, 제2 전극(CE)은 캐소드 전극일 수 있다.
제1 전극(AE) 및 제2 전극(CE) 중 적어도 하나는 투과형 전극일 수 있다. 예를 들면, 표시 소자(OLED)가 배면 발광형 유기 발광 소자인 경우, 제1 전극(AE)이 투과형 전극이며, 제2 전극(CE)이 반사형 전극일 수 있다. 표시 소자(OLED)가 전면 발광형 유기 발광 소자인 경우, 제1 전극이 반사형 전극이며, 제2 전극이 투과형 전극일 수 있다. 표시 소자(OLED)가 양면 발광형 유기 발광 소자인 경우, 제1 전극(AE) 및 제2 전극(CE) 모두 투과형 전극일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표시 소자(OLED)가 전면 발광형 유기 발광 소자이며, 제1 전극(AE)이 애노드 전극인 경우를 예로서 설명한다.
각 화소 영역에서, 제1 전극(AE)은 제3 절연층(INS3)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전극(AE)은 광을 반사시킬 수 있는 반사막, 및 반사막의 상부 또는 하부에 배치되는 투명 도전막을 포함할 수 있다. 투명 도전막 및 반사막 중 적어도 하나는 제2 트랜지스터 전극(SE)과 접속할 수 있다.
반사막은 광을 반사시킬 수 있는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반사막은 알루미늄(Al), 은(Ag), 크롬(Cr), 몰리브덴(Mo), 백금(Pt), 니켈(Ni) 및 이들의 합금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투명 도전막은 투명 도전성 산화물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투명 도전막은 ITO(Indium Tin Oxide), IZO(Indium Zinc Oxide), AZO(Aluminum Zinc Oxide), GZO(gallium doped zinc oxide), ZTO(zinc tin oxide), GTO(Gallium tin oxide) 및 FTO(fluorine doped tin oxide) 중 적어도 하나의 투명 도전성 산화물을 포함할 수 있다.
발광층(EML)은 제1 전극(AE)의 노출된 표면 상에 배치될 수 있다. 발광층(EML)은 적어도 광 생성층(light generation layer, LGL)을 포함하는 다층 박막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면, 발광층(EML)은 정공을 주입하는 정공 주입층(hole injection layer, HIL), 정공의 수송성이 우수하고 광 생성층에서 결합하지 못한 전자의 이동을 억제하여 정공과 전자의 재결합 기회를 증가시키기 위한 정공 수송층(hole transport layer, HTL), 주입된 전자와 정공의 재결합에 의하여 광을 발하는 광 생성층, 광 생성층에서 결합하지 못한 정공의 이동을 억제하기 위한 정공 억제층(hole blocking layer, HBL), 전자를 광 생성층으로 원활히 수송하기 위한 전자 수송층(electron transport layer, ETL), 및 전자를 주입하는 전자 주입층(electron injection layer, EIL)을 구비할 수 있다.
광 생성층에서 생성되는 광의 색상은 적색(red), 녹색(green), 청색(blue) 및 백색(white) 중 하나일 수 있으나, 본 실시예에서 이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발광층(EML)의 광 생성층에서 생성되는 광의 색상은 마젠타(magenta), 시안(cyan), 옐로(yellow) 중 하나일 수 있다.
정공 주입층, 정공 수송층, 정공 억제층, 전자 수송층 및 전자 주입층은 서로 인접하는 화소 영역들에서 연결되는 공통막일 수 있다.
제2 전극(CE)은 발광층(EML)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제2 전극(CE)은 반투과 반사막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제2 전극(CE)은 광을 투과시킬 수 있을 정도의 두께를 가지는 박형 금속층일 수 있다. 제2 전극(CE)은 광 생성층에서 생성된 광의 일부는 투과시키고, 광 생성층에서 생성된 광의 나머지는 반사시킬 수 있다.
제2 전극(CE)은 투명 도전막에 비하여 일함수가 낮은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2 전극(CE)은 몰리브덴(Mo), 텅스텐(W), 은(Ag), 마그네슘(Mg), 알루미늄(Al), 백금(Pt), 팔라듐(Pd), 금(Au), 니켈(Ni), 네오디뮴(Nd), 이리듐(Ir), 크롬(Cr), 리튬(Li), 칼슘(Ca) 및 이들의 합금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발광층(EML)에서 출사된 광 중 일부는 제2 전극(CE)을 투과하지 못하고, 제2 전극(CE)에서 반사된 광은 반사막(미도시)에서 다시 반사될 수 있다. 즉, 반사막 및 제2 전극(CE) 사이에서, 발광층(EML)에서 출사된 광은 공진할 수 있다. 광의 공진에 의하여 표시 소자(OLED)의 광 추출 효율은 향상될 수 있다.
반사막 및 제2 전극(CE) 사이의 거리는 광 생성층에서 생성된 광의 색상에 따라 상이할 수 있다. 즉, 광 생성층에서 생성된 광의 색상에 따라, 반사막 및 제2 전극(CE) 사이의 거리는 공진 거리에 부합되도록 조절될 수 있다.
제2 전극(CE) 상에 박막 봉지층(TFE)이 배치될 수 있다. 박막 봉지층(TFE)은 화소들(PX)에 공통적으로 배치된다. 박막 봉지층(TFE)은 제2 전극(CE)을 직접 커버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박막 봉지층(TFE)과 제2 전극(CE) 사이에는, 제2 전극(CE)을 커버하는 캡핑층이 더 배치될 수 있다. 이때 박막 봉지층(TFE)은 캡핑층을 직접 커버할 수 있다.
박막 봉지층(TFE)은 제2 전극(CE) 상에 순차적으로 적층된 제1 봉지 무기막(IOL1), 봉지 유기막(OL), 및 제2 봉지 무기막(IOL2)을 포함할 수 있다. 봉지 무기막은 폴리실록산, 실리콘 질화물, 실리콘 산화물, 실리콘산질화물 등의 무기 절연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봉지 유기막은 폴리아크릴계 화합물, 폴리이미드계 화합물, 테프론과 같은 불소계 탄소 화합물, 벤조시클로부텐 화합물 등과 같은 유기 절연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박막 봉지층(TFE)(또는, 봉지 유기막(OL))의 두께(T1)는 표시 소자층(DP-OLED)의 구성들에 의해 발생한 노이즈가 입력 감지 유닛(ISU)에 영향을 주지 않도록 조절될 수 있다. 다만, 표시 장치의 박형화에 따라 박막 봉지층(TFE)의 두께(T1)가 작아지고(예를 들어, 두께(T1)는 10μm 이하이고), 발광 소자층(LDL)의 구성들에 의해 발생한 노이즈가 입력 감지 유닛(ISU)에 영향을 줄 수 있다.
박막 봉지층(TFE) 상에는 입력 감지 유닛(ISU)이 제공될 수 있다. 입력 감지 유닛(ISU)은 제1 도전층(IS-CL1), 제4 절연층(IS-IL1), 제2 도전층(IS-CL2), 및 제5 절연층(IS-IL2)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도전층(IS-CL1) 및 제2 도전층(IS-CL2) 각각은 단층구조 또는 다층구조를 가질 수 있다.
단층구조의 도전층은 금속층 또는 투명 도전층을 포함할 수 있다. 금속층은 몰리브덴, 은, 티타늄, 구리, 알루미늄, 및 이들의 합금을 포함할 수 있다. 투명 도전층은 ITO(indium tin oxide), IZO(indium zinc oxide), ZnO(zinc oxide), ITZO(indium tin zinc oxide) 등과 같은 투명한 전도성 산화물을 포함할 수 있다. 그밖에 투명 도전층은 PEDOT과 같은 전도성 고분자, 금속 나노 와이어, 그라핀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다층구조의 도전층은 다층의 금속층들을 포함할 수 있다. 다층의 금속층들은 예컨대 티타늄/알루미늄/티타늄의 3층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다층구조의 도전층은 적어도 하나의 금속층 및 적어도 하나의 투명 도전층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도전층(IS-CL1) 및 제2 도전층(IS-CL2) 각각은 복수 개의 패턴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이하, 제1 도전층(IS-CL1)은 제1 도전패턴들을 포함하고, 제2 도전층(IS-CL2)은 제2 도전패턴들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도전패턴들과 제2 도전패턴들 각각은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 감지전극들 및 신호 라인들을 포함할 수 있다.
제4 절연층(IS-IL1) 및 제5 절연층(IS-IL2) 각각은 단층 또는 다층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제4 절연층(IS-IL1) 및 제5 절연층(IS-IL2) 각각은 무기물 또는 유기물 또는 복합재료를 포함할 수 있다.
제4 절연층(IS-IL1) 및 제5 절연층(IS-IL2)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무기막을 포함할 수 있다. 무기막은 알루미늄 옥사이드, 티타늄 옥사이드, 실리콘 옥사이드 실리콘옥시나이트라이드, 지르코늄옥사이드, 및 하프늄 옥사이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제4 절연층(IS-IL1) 및 제5 절연층(IS-IL2)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유기막을 포함할 수 있다. 유기막은 아크릴계 수지, 메타크릴계 수지, 폴리이소프렌, 비닐계 수지, 에폭시계 수지, 우레탄계 수지, 셀룰로오스계 수지, 실록산계 수지, 폴리이미드계 수지, 폴리아미드계 수지 및 페릴렌계 수지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도 3 내지 5를 참조하면, 제1 감지전극들(IE1-1 내지 IE1-5)의 제1 센서부(SP1)는 제1 메쉬패턴(SP1-1) 및 제2 메쉬패턴(SP1-2)을 포함하는 2개 층의 메쉬 형상의 금속 레이어로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제2 메쉬패턴(SP1-2)은 제1 메쉬패턴(SP1-1) 상에 위치할 수 있으며, 제2 메쉬패턴(SP1-2)과 제1 메쉬패턴(SP1-1) 사이에 제4 절연층(IS-IL1)이 게재될 수 있다. 제4 절연층(IS-IL1)에는 연결컨택홀(CNT-D)이 형성되고, 연결컨택홀(CNT-D)에 컨택부(SP1-0)가 형성되어 제1 메쉬패턴(SP1-1)과 제2 메쉬패턴(SP1-2)을 전기적으로 연결할 수 있다. 컨택부(SP1-0)는 도전성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일 예로서, 컨택부(SP1-D)는 공정의 편의성을 위해 제1 메쉬패턴(SP1-1) 또는 제2 메쉬패턴(SP1-2)과 동일한 물질로 형성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컨택부(SP1-D)는 제1 메쉬패턴(SP1-1) 또는 제2 메쉬패턴(SP1-2) 보다 전기 전도도가 높은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2 메쉬패턴(SP1-2) 상에는 제5 절연층(IS-IL2)이 형성될 수 있다. 제5 절연층(IS-IL2)은 제2 메쉬패턴(SP1-2)을 모두 덮으며 평탄화층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제2 감지전극들(IE2-1 내지 IE2-4)의 제2 센서부(SP2)도 제1 감지전극들(IE1-1 내지 IE1-4)의 제1 센서부(SP1)와 마찬가지로 2개 층의 메쉬패턴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2개 층의 메쉬패턴은 제4 절연층(IS-IL1)을 사이에 두고 배치되며, 제4 절연층(IS-IL1)에 형성된 연결컨택홀(CNT-D)을 통해 컨택부에 의해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감지전극은 다른 예로서 1개 층의 메쉬패턴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도 6a 및 도 6b는 도 1의 표시 장치에 포함된 입력 감지 유닛 및 입력 감지 회로의 일 예를 나타내는 회로도이다. 입력 감지 유닛 및 입력 감지 회로는 하나의 입력 감지 장치를 구성할 수 있다.
도 3, 도 6a 및 도 6b를 참조하면, 제1 감지전극들(IE1-1 내지 IE1-5)과 제2 감지전극들(IE2-1 내지 IE2-4), 및 제1 신호 라인들(SL1-1 내지 SL1-5)과 제2 신호 라인들(SL2-1 내지 SL2-4)은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으므로, 중복되는 설명은 반복하지 않기로 한다.
입력 감지 회로(IS-C)는 구동 신호 생성부(TXD), 아날로그 전단들(analog front-ends, AFE1 내지 AFE4), 및 신호 처리부(DSP)를 포함할 수 있다.
구동 신호 생성부(TXD)는 터치 구동 신호(TX)(또는, 구동 신호)를 생성하며, 터치 구동 신호(TX)를 제1 감지전극들(IE1-1 내지 IE1-5)에 제공할 수 있다. 터치 구동 신호(TX)는 사인파(sine wave) 또는 구형파(square wave)의 교류 전압을 가질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제1 감지전극들(IE1-1 내지 IE1-5)에 제공되는 터치 구동 신호(TX)는 동일한 파형 및 위상을 가질 수 있으며, 제1 감지전극들(IE1-1 내지 IE1-5)에 동시에 제공될 수 있다. 즉, 터치 구동 신호(TX)(또는, 병렬 구동 신호)는 제1 감지전극들(IE1-1 내지 IE1-5)에 병렬 구동 방식으로 제공될 수 있다.
실시예들에서, 구동 신호 생성부(TXD)는 수직 동기 신호(즉,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application processor로부터 제공되는 수직 동기 신호)에 동기화된 터치 구동 신호(TX)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구동 신호 생성부(TXD)는 수직 동기 신호의 펄스를 회피하여 터치 구동 신호(TX)를 생성하며, 수직 동기 신호가 펄스를 가지는 구간에서 제1 감지전극들(IE1-1 내지 IE1-5)에 터치 구동 신호(TX)를 제공하지 않거나(또는, 구동 신호(TX)의 공급을 차단하거나), 일정한 전압(예를 들어, 기준(reference) 전압)의 터치 구동 신호(TX)를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기준 전압은 O, 양의 전압 레벨, 또는, 음의 전압 레벨을 가질 수 있으며, 기준 전압의 전압 레벨이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수직 동기 신호의 펄스들 사이의 구간에서 터치 구동 신호(TX)는 변하며, 예를 들어, 교류 전압을 가질 수 있다. 한편, 터치 구동 신호(TX)는 수평 동기 신호와 비동기(asynchronous)일 수 있다.
참고로, 수평 동기 신호(즉,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application processor로부터 제공되는 수평 동기 신호)의 주기는 상대적으로 짧아, 수평 동기 신호에 기인한 노이즈(예를 들어, 상대적으로 고주파의 노이즈)는 아날로그 전단들(AFE1 내지 AFE4)을 통해 유효하게 필터링될 수 있다. 그러나, 수직 동기 신호의 주기는 상대적으로 길어, 수직 동기 신호에 기인한 노이즈(즉, 상대적으로 저주파의 노이즈)는 아날로그 전단들(AFE1 내지 AFE4)을 통해 필터링되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구동 신호 생성부(TXD)는 수직 동기 신호에 동기화된, 즉, 수직 동기 신호의 펄스를 회피한, 터치 구동 신호(TX)를 생성함으로써, 터치 센싱 감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제1 감지전극들(IE1-1 내지 IE1-5)에 제공된 터치 구동 신호(TX)에 따라, 제1 감지전극들(IE1-1 내지 IE1-5) 및 제2 감지전극들(IE2-1 내지 IE2-4) 사이에 센싱 커패시턴스(sensing capacitance)가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첫 번째 제1 감지전극(IE1-1)(또는, 제1 구동 전극)과 첫 번째 제2 감지전극(IE2-1)(또는, 제1 센싱 전극) 사이에 제1-1 센싱 커패시턴스가 형성될 수 있다.
아날로그 전단들(AFE1 내지 AFE4) 각각은 제2 감지전극들(IE2-1 내지 IE2-4) 중 상호 인접한 2개의 제2 감지전극들(또는, 제2 신호 라인들)에 연결되며, 센싱 커패시턴스들의 차이에 대응하는 센싱 값(또는, 차동 출력 값)을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아날로그 전단(AFE1)은 첫 번째 제2 감지전극(IE2-1)(또는, 제1 센싱 전극) 및 두 번째 제2 감지전극(IE2-2)(또는, 제2 센싱 전극)에 연결되고, 첫 번째 제2 감지전극(IE2-1)에 형성된 센싱 커패시턴스 및 두 번째 제2 감지전극(IE2-2)에 형성된 센싱 커패시턴스 간의 차이에 대응하는 제1 센싱 값을 출력할 수 있다. 유사하게, 제2 아날로그 전단(AFE2)은 두 번째 제2 감지전극(IE2-2)(또는, 제2 센싱 전극) 및 세 번째 제3 감지전극(IE2-2)(또는, 제3 센싱 전극)에 연결되고, 두 번째 제2 감지전극(IE2-2)에 형성된 센싱 커패시턴스 및 세 번째 제3 감지전극(IE2-3)에 형성된 센싱 커패시턴스 간의 차이에 대응하는 제2 센싱 값을 출력할 수 있다.
입력 감지 유닛(ISU)의 특정 영역에 터치 이벤트가 발생한 경우, 해당 영역에 위치하는 제1 감지전극 및 제2 감지전극 사이의 센싱 커패시턴스가 변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첫 번째 제1 감지전극(IE1-1)과 첫 번째 제2 감지전극(IE2-1)이 교차하는 영역에 터치 이벤트가 발생한 경우, 제1 감지전극(IE1-1)과 첫 번째 제2 감지전극(IE2-1) 사이의 제1-1 센싱 커패시턴스의 크기가 변할 수 있다. 한편, 첫 번째 제1 감지전극(IE1-1) 및 첫 번째 제2 감지전극(IE2-1)에 인접한 두 번째 제2 감지전극(IE2-2) 사이의 제1-2 센싱 커패시턴스의 크기는 변하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제1 아날로그 전단(AFE1)을 통해 출력되는 제1 센싱 값이 변할 수 있으며, 변화된 제1 센싱 값에 기초하여 터치가 발생한 위치가 검출될 수 있다.
아날로그 전단들(AFE1 내지 AFE4) 각각은 증폭기, 필터, 아날로그 디지털 변환기 등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으며, 아날로그 전단들(AFE1 내지 AFE4) 각각의 구체적인 구성에 대해서는 도 8을 참조하여 후술하기로 한다.
실시예들에서, 아날로그 전단들(AFE1 내지 AFE4) 각각은 완전 차동 아날로그 전단(fully differential analog front-end)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아날로그 전달(AFE1)이 순차적으로 연결된, 전하 증폭기, 쵸핑 회로, 필터들, 및 아날로그 디지털 컨버터를 포함하는 경우, 제1 아날로그 전단(AFE1)은 전하 증폭기를 이용하여 첫 번째 제2 감지전극(IE2-1)(또는, 제1 센싱 전극)의 센싱 커패시턴스에 대응하는 제1 수신 신호 및 두 번째 제2 감지전극(IE2-2)(또는, 제2 센싱 전극)의 센싱 커패시턴스에 대응하는 제2 수신 신호를 차동 증폭하여 2개의 차동 신호들을 출력하고, 쵸핑 회로 및 필터들을 이용하여 2개의 차동 신호들 각각을 복조(modulation)하고, 복조된 2개의 차동 신호들을 각각 필터링하며, 필터링된 2개의 차동 신호들을 아날로그 디지털 컨버터에 제공할 수 있다. 이 경우, 아날로그 컨버터는 필터링된 2개의 차동 신호들의 차이에 기초하여 제1 센싱 값을 출력할 수 있다. 즉, 완전 차동 아날로그 전단은, 감지전극들로부터 제공되는 아날로그 형태의 수신 신호들을, 아날로그 디지털 컨버터의 전단까지(즉, 아날로그 형태의 신호를 디지털 형태의 신호로 변환하기 전까지), 복수의 차동 신호들로 변환 및 유지하여 출력하는 아날로그 전단일 수 있다. 참고로, 전하 증폭기 및 필터들은 증폭기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저전압 시스템에서 전하 증폭기 및 필터들의 전압 범위는 제한적이며, 일반적인 아날로그 전단은 아날로그 디지털 컨버터의 다이나믹 레인지(dynamic range)를 모두 활용하지 못할 수 있다. 따라서, 완전 차동 아날로그 전단은 아날로그 디지털 컨버터에 2개의 차동 신호들을 제공함으로써, 아날로그 디지털 컨버터의 다이나믹 레인지 또는 다이나믹 레인지의 활용 범위를 2배로 증가시키고, 터치 센싱 감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아날로그 전단들(AFE1 내지 AFE4)에서 출력된 센싱 값들은 신호 처리부(DSP)에 제공되며, 신호 처리부(DSP)는 센싱 값들에 기초하여 터치 여부를 판단하거나, 터치가 발생한 위치를 산출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입력 감지 유닛(ISU)은 분배 회로들(DC1, DC2, DC3)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분배 회로들(DC1, DC2, DC3)은 제2 감지전극들(IE2-1 내지 IE2-4) 중 적어도 일부와 아날로그 전단들(AFE1 내지 AFE4) 사이에 배치되며, 제2 감지전극들(IE2-1 내지 IE2-4) 중 적어도 일부로부터 제공되는 센싱 신호들 각각에 기초하여 동일한 크기(예를 들어, 동일한 전압 레벨, 동일한 전류량)를 가지는 복수의 신호들을 생성하고, 생성된 신호들을 아날로그 전단들(AFE1 내지 AFE4)에 분배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분배 회로들(DC1, DC2, DC3)는 증폭기, 버퍼 등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센싱 신호들 각각을 증폭하거나 미러링하여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분배 회로(DC1)는 두 번째 제2 감지 전극(IE2-2)으로부터 제공되는 제2 센싱 신호를 수신하고, 제2 센싱 신호와 동일하거나 상호 동일한 크기를 가지는 신호들을 제1 아날로그 전단(AFE1) 및 제2 아날로그 전단(AFE2)에 각각 제공할 수 있다. 참고로, 제2 센싱 신호가 제1 분배 회로(DC1)를 거치지 않는 경우, 제2 센싱 신호가 제1 아날로그 전단(AFE1) 및 제2 아날로그 전단(AFE2)에 동시에 공급되며, 제2 센싱 신호에 대한 부하의 상대적인 증가로 인해 제2 센싱 신호의 크기(또는, 최대 크기, 예를 들어, 전압 레벨, 전류량)은 제1 센싱 신호(즉, 첫 번째 제1 감지 전극(IE2-1)으로부터 제공되는 센싱 신호)과 다를 수 있다. 따라서, 입력 감지 유닛(ISU)은 제1 분배 회로(DC1)를 이용하여 제2 센싱 신호와 동일하거나 상호 동일한 크기를 가지는 신호들을 제1 아날로그 전단(AFE1) 및 제2 아날로그 전단(AFE2)에 각각 제공할 수 있다.
유사하게, 제2 분배 회로(DC2)는 세 번째 제3 감지 전극(IE2-3)으로부터 제공되는 제3 센싱 신호를 수신하고, 제3 센싱 신호와 동일하거나 상호 동일한 크기를 가지는 신호들을 제2 아날로그 전단(AFE2) 및 제3 아날로그 전단(AFE3)에 각각 제공할 수 있다. 제3 분배 회로(DC3)는 네 번째 제2 감지 전극(IE2-4)으로부터 제공되는 제4 센싱 신호를 수신하고, 제4 센싱 신호와 동일하거나 상호 동일한 크기를 가지는 신호들을 제3 아날로그 전단(AFE3) 및 제4 아날로그 전단(AFE4)에 각각 제공할 수 있다.
도 6a 및 도 6b를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입력 감지 회로는, 완전 차동 아날로그 전단을 이용하여, 인접한 센싱 신호들을 차동 증폭하고 노이즈(예를 들어, 수평 동기 신호에 기인한 노이즈)를 제거할 수 있다. 따라서, 수평 동기 신호와 무관하게 터치 구동 신호의 설정되고, 터치 구동 신호의 밴드폭(bandwidth)의 감소 및 터치 센싱 감도의 저하가 방지될 수 있다.
도 7a, 도 7b, 및 도 7c는 도 6의 입력 감지 회로에 포함된 구동 신호 생성부의 동작을 설명하는 파형도들이다.
도 7a, 도 7b, 및 도 7c를 참조하면, 수직 동기 신호(Vsync)는 외부(예를 들어, application processor와 같은 호스트 시스템)로부터 입력 감지 회로(IS-C, 도 2 참조) 및 타이밍 제어회로(TC)에 제공되며, 한 프레임의 시작을 정의할 수 있다. 한 프레임은 액티브 구간(active period)(또는, 표시 구간) 및 블랭크 구간(blank period)을 포함할 수 있다. 액티브 구간에서,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한 화소들(PX)에 데이터 신호가 순차적으로 기록되며, 화소들(PX)은 데이터 신호에 응답하여 발광하거나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블랭크 구간은 하나의 프레임 내 액티브 구간이 종료되고, 다음 프레임(또는, 다음 액티브 구간)이 시작하기 전까지의 구간이며, 실시예에 따라 표시 장치는 블랭크 구간에서 화소의 발광 특성 등을 센싱할 수 있다.
수평 동기 신호(Hsync)는 외부(예를 들어, application processor와 같은 호스트 시스템)로부터 타이밍 제어회로(TC)에 제공되며, 입력 감지 회로(IS-C)에는 제공되지 않을 수 있다. 수평 동기 신호(Hsync)는 한 프레임의 영상에 포함된 수평 라인의 영상들 각각이 출력되는 구간을 정의할 수 있다.
표시 장치가 60Hz의 재생률을 가지고 구동되는 경우(또는, 표시 장치가 1초의 60개의 프레임 영상들을 표시하는 경우), 수직 동기 신호(Vsync)의 주기(T_Vsync)는 16.67ms(즉, 1/60초)이며, 표시 장치가 2280개의 라인들(또는, 3040개의 라인들)을 포함하는 경우, 수평 동기 신호(Hsync)의 주기(T_Hsync)는 7.3μs(또는, 5.5μs)일 수 있다.
표시 장치가 120Hz의 재생률을 가지고 구동되는 경우, 수직 동기 신호(Vsync)의 주기(T_Vsync)는 8.33ms 일 수 있다. 수평 동기 신호(Hsync)의 주기(T_Hsync)는 3.7μs(또는, 2.7μs)일 수 있다.
터치 구동 신호(TX)는 사인파(또는, 사인파형) 또는 구형파(또는, 구형파형)를 가질 수 있다. 도 7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터치 구동 신호(TX)는 사인파를 가질 수 있다.
수직 동기 신호(Vsync)의 펄스(PLS_V)가 발생한 구간에서, 터치 구동 신호(TX)는 기준(reference) 값(또는, 직류 전압)을 가질 수 있다. 도 6a를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구동 신호 생성부(TXD)는, 수직 동기 신호(Vsync)의 펄스(PLS_V)가 발생한 구간에서, 터치 구동 신호(TX)를 출력하지 않거나 특정 값(예를 들어, 0V)를 가지는 터치 구동 신호(TX)를 출력할 수 있다.
수직 동기 신호(Vsync)의 라이징 에지가 발생하는 시점 직전에(또는, 펄스(PLS_V)가 발생하는 시점 이전에), 터치 구동 신호(TX)는 기준 값을 가지며, 수직 동기 신호(Vsync)의 폴링 에지가 발생한 시점 이후에(또는, 펄스(PLS_V)가 종료된 시점 이후에), 터치 구동 신호(TX)는 사인파로 변할 수 있다.
터치 구동 신호(TX)는 수평 동기 신호(Hsync)와 비동기일 수 있다. 즉, 터치 구동 신호(TX)는 수평 동기 신호(Hsync)와 중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수평 동기 신호(Hsync)의 펄스가 발생하는 구간에서, 터치 구동 신호(TX)는 변화하거나 교류 값(또는, 교류 전압)을 가지며, 또한, 수평 동기 신호(Hsync)의 펄스가 발생하지 않는 구간에서도, 터치 구동 신호(TX)는 변화할 수 있다. 터치 구동 신호(TX)는 수평 동기 신호(Hsync)와 무관하게 변화하며, 예를 들어, 터치 구동 신호(TX)의 주기(T_TX)는 5μs, 4μs, 2.9μs이며(또는, 터치 구동 신호(TX)는 200KHz, 250KHz, 350kHz의 주파수를 가지며), 수평 동기 신호(Hsync)의 주기(T_Hsync)인 3.7μs(또는, 2.7μs) 또는 이의 배수와 다를 수 있다. 터치 구동 신호(TX)의 주파수는 수평 동기 신호(Hsync)의 주파수보다 작을 수 있다.
터치 구동 신호(TX)는 블랭크 구간에서도 변화하거나 사인파를 가지며, 또한, 블랭크 구간 내 수평 동기 신호(Hsync)의 펄스가 발생하지 않는 구간에서도 사인파를 가질 수 있다.
한편, 도 7a에서, 터치 구동 신호(TX)는 수직 동기 신호(Vsync)의 라이징 에지가 발생하는 시점으로부터 일정 시간 이전에 터치 구동 신호(TX)는 기준 값을 가지며, 수직 동기 신호(Vsync)의 폴링 에지가 발생한 시점으로부터 일정 시간 이후에 터치 구동 신호(TX)는 사인파로 변하는 것으로 도시되었다. 다만, 터치 구동 신호(TX)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터치 구동 신호(TX)가 기준 값을 가지는 구간은 수직 동기 신호(Vsync)의 펄스(PLS_V)가 발생하는 구간과 일치하며, 터치 구동 신호(TX)가 기준 값을 가지기 시작한 시점은 수직 동기 신호(Vsync)의 라이징 에지와 일치하며, 터치 구동 신호(TX)가 교류값을 가지기 시작한 시점(또는, 사인파의 시작점)은 수직 동기 신호(Vsync)의 폴링 에지와 일치할 수도 있다.
또한, 도 7a에서, 터치 구동 신호(TX)는 사인파를 가지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터치 구동 신호(TX)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7c에 도시된 바와 같이, 터치 구동 신호(TX_1)는 구형파를 가질 수 있다. 터치 구동 신호(TX_1)의 주기(T_TX_1)는 도 7a의 터치 구동 신호(TX)의 주기(T_TX)와 동일하며, 수직 동기 신호(Vsync)가 발생하는 구간에서, 터치 구동 신호(TX_1)의 펄스가 발생하지 않을 수 있다. 한편, 터치 구동 신호(TX_1)의 펄스는 수직 동기 신호(Vsync)의 펄스와 부분적으로 중첩할 수 있다.
도 7a 내지 도 7c를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터치 구동 신호(TX)(및 터치 구동 신호(TX_1))는 수직 동기 신호(Vsync)에 동기화되고, 수직 동기 신호(Vsync)의 펄스(PLS_V)를 회피하여 교류 값을 가지며, 수직 동기 신호(Vsync)의 펄스(PLS_V)가 발생하는 구간에서 기준 값을 가질 수 있다. 또한, 터치 구동 신호(TX)(및 터치 구동 신호(TX_1))는 수평 동기 신호(Hsync)와 비동기일 수 있다. 따라서, 터치 구동 신호(TX)의 주기(T_TX)(또는, 주기(T_TX_1))는 수평 동기 신호(Hsync)와 무관하게, 보다 자유롭게 설정되며, 터치 구동 신호(TX)의 주기(T_TX)에 대응하여 터치 센싱 시간이 보다 충분히 확보될 수 있다.
도 8은 도 6a의 입력 감지 회로에 포함된 아날로그 전단의 일 예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9a는 도 8의 아날로그 전단에 포함된 전하 증폭기의 일 예를 나타내는 회로도이다. 도 9b는 도 8의 아날로그 전단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신호들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b에는 도 8의 아날로그 전단에 인가되거나 아날로그 전단에서 생성되는 신호들이 주파수 영역(frequency domain)에서 도시되어 있다.
도 6a 및 도 8을 참조하면, 아날로그 전단들(AFE1 내지 AFE4)은 상호 동일하므로, 아날로그 전단들(AFE1 내지 AFE4)을 포괄하여 아날로그 전단(AFEn)(단, n은 양의 정수)을 설명하기로 한다.
아날로그 전단(AFEn)은 전하 증폭기(CA), 밴드 패스 필터(BPF), 믹서(MX), 로우 패스 필터(LPF), 및 아날로그 디지털 컨버터(ADC)를 포함할 수 있다.
전하 증폭기(CA)는 n번째 제2 신호 라인(SL2-n)(또는, 제n 센싱 라인)을 통해 제공되는 제n 센싱 신호(RXn) 및 n+1번째 제2 신호 라인(SL2-(n+1))(또는, 제n+1 센싱 라인)을 통해 제공되는 제n+1 센싱 신호(RXn+1)를 수신하고, 제n 센싱 신호(RXn) 및 제n+1 센싱 신호(RXn+1)를 차동 증폭하여, 상보적인(complementary) 제1 차동 신호(CA_OUT1) 및 제2 차동 신호(CA_OUT2)를 출력할 수 있다.
실시예들에서, 전하 증폭기(CA)는 완전 차동 증폭기(fully differential amplifier)로 구현될 수 있다. 일반적인 차동 증폭기는 2개의 입력 신호들을 차동하여 하나의 신호를 출력하며, 완전 차동 증폭기는 2개의 입력 신호들을 차동하여 2개의 차동 신호들(즉, 상보적인 신호들)을 출력하는 차동 증폭기로 정의될 수 있다. 완전 차동 증폭기로 구현된 전하 증폭기(CA)는 아날로그 디지털 컨버터(ADC)(예를 들어, 2개의 아날로그 신호들을 차동하여 디지털 값을 출력하는 차동 아날로그 디지털 컨버터)와 관련하여, 센싱 신호들의 크기를 극대화할 수 있다.
도 8 및 도 9a를 참조하면, 증폭기(AMP), 제1 커패시터(C1), 제1 저항(R1), 제2 커패시터(C2), 및 제2 저항(R2)을 포함할 수 있다.
증폭기(AMP)는 제2 입력 단자(IN_P)(즉, "+" 입력 단자), 제1 입력 단자(IN_N)(즉, "-" 입력 단자), 제1 출력 단자(OUT_P)(즉, "+" 출력 단자), 및 제2 출력 단자(OUT_N)(즉, "-" 출력 단자)를 포함할 수 있다. 경우에 따라, 증폭기(AMP)는 제2 입력 단자(IN_P), 제1 입력 단자(IN_N), 및 제1 출력 단자(OUT_P)에 대응하는 입출력 단자들을 포함하는 제1 서브 증폭기와, 제2 입력 단자(IN_P), 제1 입력 단자(IN_N), 및 제2 출력 단자(OUT_N)에 대응하는 입출력 단자들을 포함하는 제2 서브 증폭기를 포함할 수도 있다.
증폭기(AMP)의 제1 입력 단자(IN_N)는 n번째 제2 신호 라인(SL2-n)에 연결되며, 증폭기(AMP)의 제1 입력 단자(IN_N)에는 제n 센싱 신호(RXn)가 인가될 수 있다. 증폭기(AMP)의 제2 입력 단자(IN_P)는 n+1번째 제2 신호 라인(SL2-(n+1))에 연결되며, 증폭기(AMP)의 제2 입력 단자(IN_P)에는 제n+1 센싱 신호(RXn+1)가 인가될 수 있다.
제1 커패시터(C1) 및 제1 저항(R1)은 증폭기(AMP)의 제1 입력 단자(IN_N) 및 제1 출력 단자(OUT_P) 사이에 병렬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증폭기(AMP)의 제1 출력 단자(OUT_P)를 통해 제n 센싱 신호(RXn) 및 제n+1 센싱 신호(RXn+1)의 차이에 대응하는 제1 차동 신호(CA_OUT1)가 출력될 수 있다.
유사하게, 제2 커패시터(C2) 및 제2 저항(R2)은 증폭기(AMP)의 제1 입력 단자(IN_N) 및 제1 출력 단자(OUT_P) 사이에 병렬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증폭기(AMP)의 제1 출력 단자(OUT_N)를 통해 제n+1 센싱 신호(RXn+1) 및 제n 센싱 신호(RXn)의 차이에 대응하는 제2 차동 신호(CA_OUT2)가 출력될 수 있다. 제2 차동 신호(CA_OUT2)는 제1 차동 신호(CA_OUT1)가 반전된 파형을 가질 수 있다.
전하 증폭기(CA)는 차동 방식으로 제1 차동 신호(CA_OUT1) 및 제2 차동 신호(CA_OUT2)를 출력함으로써, 교류 오프셋(AC offset) 및 공통 노이즈를 제거할 수 있다.
다시 도 8을 참조하면, 밴드 패스 필터(BPF)는 제1 차동 신호(CA_OUT1) 및 제2 차동 신호(CA_OUT2) 각각의 특정 주파수 대역의 신호만을 선택하여, 제1 필터링된 신호(BPF_OUT1) 및 제2 필터링된 신호(BPF_OUT2)를 출력할 수 있다.
도 9b를 참조하면, 터치 신호(TS)는 입력 감지 유닛(IS-C, 도 6)의 구동 주파수(또는, 센싱 주기)에 따라 기준 대역폭(예를 들어, -ωB 내지 ωB) 내의 주파수를 가질 수 있다. 감지전극들(IE2-1 내지 IE2-4, 도 6 참조)로부터 아날로그 전단(AFEn)에 제공되는 센싱 신호(RX)는 터치 구동 신호(TX)에 의해 변조(modulation)되며, 터치 구동 신호(TX)의 주파수(ω0)를 중심으로 기준 대역폭(2ω0) 내의 주파수를 가질 수 있다. 센싱 신호(RX)는 음의 주파수 성분(예를 들어, -ω0)을 포함하나, 음의 주파수 성분은 양의 주파수 성분과 크기는 같고 180도의 위상 차이를 가지며, 음의 주파수 성분은 물리적으로 의미가 없으므로 고려하지 않는다. 밴드 패스 필터(BPF)는 센싱 신호(RX)의 주파수 대역에 대응하는 제1 전달 함수(F_BPF)를 가지며, 해당 주파수 대역 내 신호만을 증폭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밴드 패스 필터(BPF)는 차동 증폭기(또는, 완전 차동 증폭기), 커패시터, 및 저항을 포함하여 구현되고, 터치 구동 신호(TX, 도 7a 참조)의 주파수 대역(예를 들어, 200KHz 내지 350KHz)에 대응하는 신호만을 증폭시킬 수 있다.
다시 도 8을 참조하면, 밴드 패스 필터(BPF)는 제1 차동 신호(CA_OUT1)를 선별적으로 증폭시켜 제1 필터링된 신호(BPF_OUT1)를 출력하고, 제2 차동 신호(CA_OUT2)를 선별적으로 증폭시켜 제2 필터링된 신호(BPF_OUT2)를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밴드 패스 필터(BPF)는 완전 차동 증폭기의 부극성 입력 단자에 인가된 제1 차동 신호(CA_OUT1)를 선별적으로 증폭시켜 완전 차동 증폭기의 정극성 출력 단자를 통해 제1 필터링된 신호(BPF_OUT1)를 출력하고, 완전 차동 증폭기의 제2 입력 단자에 인가된 제2 차동 신호(CA_OUT2)를 완전 차동 증폭기의 부극성 출력 단자를 통해 제2 필터링된 신호(BPF_OUT2)를 출력할 수 있다.
제2 필터링된 신호(BPF_OUT2)는 제1 필터링된 신호(BPF_OUT1)가 반전된 파형을 가질 수 있다.
믹서(MX)는 제1 필터링된 신호(BPF_OUT1) 및 제2 필터링된 신호(BPF_OUT2) 각각의 주파수를 변화시켜, 제1 복조 신호(MX_OUT1) 및 제2 복조 신호(MX_OUT2)를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믹서(MX)는 제1 필터링된 신호(BPF_OUT1)를 복조(demodulation)하여 제1 복조 신호(MX_OUT1)를 출력하고, 제2 필터링된 신호(BPF_OUT2)를 복조하여 제2 복조 신호(MX_OUT2)를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믹서(MX)는 2개의 입력 단자들과 2개의 출력 단자들을 포함하는 쵸핑 회로(또는, chopper)로 구현되고, 2개의 입력 단자들에 제공되는 제1 필터링된 신호(BPF_OUT1) 및 제2 필터링된 신호(BPF_OUT2)를 2개의 출력 단자들에 교번하여 연결함으로써, 제1 복조 신호(MX_OUT1) 및 제2 복조 신호(MX_OUT2)를 생성할 수 있다. 즉, 믹서(MX)는 제1 필터링된 신호(BPF_OUT1) 및 제2 필터링된 신호(BPF_OUT2)로부터 터치 신호(TS, 도 9b 참조)를 추출할 수 있다.
도 9b를 참조하면, 믹서(MX)는 상대적으로 고주파 대역에 있는 신호(즉, 밴드 패스 필터(BPF)에 대응하는 주파수 대역 내 신호)를 저주파 대역 내 복조 신호(MX_OUT)(즉, 터치 신호(TS)에 대응하는 주파수 대역 내 신호)로 변환시킬 수 있다. 또한, 믹서(MX)는 상대적으로 저주파 대역에 있는 노이즈를 고주파 대역 내 고주파 노이즈(NS)로 변환시킬 수 있다. 참고로, 아날로그 전단(AFEn) 등을 구성하는 반도체 소자들(예를 들어, 트랜지스터)에는 기본적으로 저주파 노이즈(예를 들어, "1/f 노이즈"라 불리는 노이즈)가 발생하며, 믹서(MX)는 이러한 저주파 노이즈를 쵸핑 동작을 통해 고주파 대역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다시 도 8을 참조하면, 로우 패스 필터(LPF)는 제1 복조 신호(MX_OUT1) 및 제2 복조 신호(MX_OUT2) 각각의 고주파 대역에 분포된 노이즈를 필터링하여, 제1 출력 신호(LPF_OUT1)(또는, 제3 필터링된 신호) 및 제2 출력 신호(LPF_OUT2)(또는, 제4 필터링된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로우 패스 필터(LPF)는 차동 증폭기(또는, 완전 차동 증폭기), 저항, 및 커패시터를 포함하여 구현되고, 상대적으로 저주파 대역의 신호만을 증폭시킬 수 있다. 로우 패스 필터(LPF)는 제1 복조 신호(MX_OUT1)의 노이즈를 필터링하여 제1 출력 신호(LPF_OUT1)를 출력하고, 제2 복조 신호(MX_OUT2)의 노이즈를 필터링하여 제2 출력 신호(LPF_OUT2)를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로우 패스 필터(LPF)는 완전 차동 증폭기의 부극성 단자에 인가된 제1 복조 신호(MX_OUT1)의 노이즈를 필터링하여 완전 차동 증폭기의 정극성 출력 단자를 통해 제1 출력 신호(LPF_OUT1)를 출력하고, 완전 차동 증폭기의 정극성 단자에 인가된 제2 복조 신호(MX_OUT2)의 노이즈를 필터링하여 완전 차동 증폭기의 정극성 출력 단자를 통해 제2 출력 신호(LPF_OUT2)를 출력할 수 있다. 제2 출력 신호(LPF_OUT2)는 제1 출력 신호(LPF_OUT1)와 다른 극성을 가질 수 있다.
도 9b를 참조하면, 로우 패스 필터(LPF)는 터치 신호(TS)의 주파수 대역에 대응하는 제2 전달 함수(F_LPF)를 가지며, 예를 들어, 제2 전달 함수(F_LPF)의 게인(GAIN_LPF)은 ωB 이하의 주파수 대역에서 약 2 일 수 있다. 이 경우, 로우 패스 필터(LPF)는 저주파 대역 내 복조 신호(MX_OUT)만을 증폭시켜, 출력 신호(LPF_OUT)로서 출력할 수 있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밴드 패스 필터(BPF), 믹서(MIX), 및 로우 패스 필터(LPF)는 복조기의 기능을 구현하여, 제n 센싱 신호(RXn) 및 제n+1 센싱 신호(RXn+1)로부터 터치 구동 신호(TX)에 대응하는 신호(즉, 제1 출력 신호(LPF_OUT1) 및 제2 출력 신호(LPF_OUT2))만을 복원시키거나 추출할 수 있다.
아날로그 디지털 컨버터(ADC)는 제1 출력 신호(LPF_OUT1) 및 제2 출력 신호(LPF_OUT2)를 수신하고, 제1 출력 신호(LPF_OUT1) 및 제2 출력 신호(LPF_OUT2) 간의 차이(예를 들어, |LFP_OUT1-LPF_OUT2|)에 대응하는 센싱 값(또는, 차동 출력 값)을 신호 처리부(DSP)에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아날로그 디지털 컨버터(ADC)는 제1 출력 신호(LPF_OUT1)를 제1 출력 값으로 변환하고, 제2 출력 신호(LPF_OUT2)를 제2 출력 값으로 변환하며, 제1 출력 값 및 제2 출력 값을 차동하여 센싱 값을 출력할 수 있다.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아날로그 전단(AFEn)은 전하 증폭기(CA), 밴드 패스 필터(BPF), 믹서(MIX), 및 로우 패스 필터(LPF)를 이용하여, 제n 센싱 신호(RXn) 및 제n+1 센싱 신호(RXn+1)로부터 노이즈(예를 들어, 도 7a를 참조하여 설명한 수평 동기 신호(Hsync)에 기인한 노이즈)를 제거할 수 있다. 또한, 아날로그 전단(AFEn)은 전하 증폭기(CA)로부터 아날로그 디지털 컨버터(ADC)의 전단(즉, 로우 패스 필터(LPF))까지, 2개의 차동 신호들을 유지하여 출력하는 완전 차동 회로(또는, 완전 차동 아날로그 전단)로 구현될 수 있다. 아날로그 전단(AFEn)은 아날로그 디지털 컨버터(ADC)에 2개의 차동 신호들을 제공함으로써, 아날로그 디지털 컨버터의 다이나믹 레인지 또는 다이나믹 레인지의 활용 범위를 2배로 증가시키고, 터치 센싱 감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0은 도 1의 표시 장치에 포함된 입력 감지 회로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회로도이다.
도 6a 및 도 10을 참조하면, 입력 감지 회로(IS-C_1)는 아날로그 전단들(AFE1_1, AFE2_1)을 포함한다는 점에서, 도 6a의 입력 감지 회로(IS-C)와 상이하다. 아날로그 전단들(AFE1_1, AFE2_1)을 제외하고, 입력 감지 회로(IS-C_1)는 도 6a의 입력 감지 회로(IS-C)와 유사하므로, 중복되는 설명은 반복하지 않기로 한다.
아날로그 전단들(AFE1_1, AFE2_1) 각각은 제2 감지전극들(IE2-1 내지 IE2-4) 중 상호 인접한 3개의 제2 감지전극들(또는, 제2 신호 라인들)에 연결되며, 3개의 제2 감지전극들 중 2개의 감지전극들을 선택하며, 선택된 2개의 감지전극들에 대응하는 센싱 커패시턴스들의 차이에 대응하는 센싱 값을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아날로그 전단(AFE1_1)은 첫 번째 제2 감지전극(IE2-1)(또는, 제1 센싱 전극), 두 번째 제2 감지전극(IE2-2)(또는, 제2 센싱 전극), 및 세 번째 제2 감지전극(IE2-3)(또는, 제3 센싱 전극)에 연결되고, 제1 구간에서 첫 번째 제2 감지전극(IE2-1)에 형성된 센싱 커패시턴스 및 두 번째 제2 감지전극(IE2-2)에 형성된 센싱 커패시턴스 간의 차이에 대응하는 제1 센싱 값을 출력하며, 제2 구간(즉, 제1 구간과 다른 제2 구간)에서 두 번째 제2 감지전극(IE2-2)에 형성된 센싱 커패시턴스 및 세 번째 제3 감지전극(IE2-3)에 형성된 센싱 커패시턴스 간의 차이에 대응하는 제2 센싱 값을 출력할 수 있다.
유사하게, 제2 아날로그 전단(AFE2_1)은 세 번째 제2 감지전극(IE2-3)(또는, 제3 센싱 전극), 네 번째 제2 감지전극(IE2-4)(또는, 제4 센싱 전극), 및 다섯 번째 제2 감지전극(또는, 제5 센싱 전극)에 연결되고, 제1 구간에서 세 번째 제2 감지전극(IE2-3)에 형성된 센싱 커패시턴스 및 네 번째 제2 감지전극(IE2-4)에 형성된 센싱 커패시턴스 간의 차이에 대응하는 제3 센싱 값을 출력하며, 제2 구간에서 네 번째 제2 감지전극(IE2-4)에 형성된 센싱 커패시턴스 및 다섯 번째 제2 감지전극(미도시)에 형성된 센싱 커패시턴스 간의 차이에 대응하는 제4 센싱 값을 출력할 수 있다.
즉, 아날로그 전단들(AFE1_1, AFE2_1)은 3개의 제2 감지전극들에 연결되어, 시분할 구동을 통해 센싱 값들을 순차적으로 출력할 수 있다. 도 6a의 입력 감지 회로(IS-C)와 비교하여, 입력 감지 회로(IS-C_1) 내 아날로그 전단들(AFE1_1, AFE2_1)의 개수가 감소될 수 있다.
도 11은 도 10의 입력 감지 회로에 포함된 아날로그 전단의 일 예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10 및 도 11을 참조하면, 아날로그 전단들(AFE1_1, AFE2_1)은 상호 동일하므로, 아날로그 전단들(AFE1_1, AFE2_1)을 포괄하여 아날로그 전단(AFEn_1)을 설명하기로 한다.
아날로그 전단(AFEn_1)은 멀티플렉서(MUX)를 더 포함한다는 점에서, 도 8의 아날로그 전단(AFEn)과 상이하다. 멀티플렉서(MUX)를 제외하고, 아날로그 전단(AFEn_1)은 도 8의 아날로그 전단(AFEn)과 실질적으로 동일하거나 유사하므로, 중복되는 설명은 반복하지 않기로 한다.
멀티플렉서(MUX)는 n번째 제2 신호 라인(SL2-n)(또는, 제n 센싱 라인)을 통해 제공되는 제n 센싱 신호(RXn), n+1번째 제2 신호 라인(SL2-(n+1))(또는, 제n+1 센싱 라인)을 통해 제공되는 제n+1 센싱 신호(RXn+1), 및 n+2번째 제2 신호 라인(SL2-(n+2))(또는, 제n+2 센싱 라인)을 통해 제공되는 제n+2 센싱 신호(RXn+2)를 수신하고, 제n 센싱 신호(RXn), 제n+1 센싱 신호(RXn+1), 및 제n+2 센싱 신호(RXn+2) 중 2개의 센싱 신호들을 선택하여 출력할 수 있다. 제n 센싱 신호(RXn), 제n+1 센싱 신호(RXn+1), 및 제n+2 센싱 신호(RXn+2) 중 2개의 센싱 신호들은 입력 신호들(CA_IN1, CA_IN2)로서 전하 증폭기(CA)에 제공될 수 있다. 멀티플렉서(MUX)는 3:2의 입출력 비를 가지는 멀티플렉서로 구현될 수 있다.
멀티플렉서(MUX)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해 도 12가 참조될 수 있다.
도 12는 도 11의 아날로그 전단에 포함된 멀티플렉서의 동작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2에는 도 10의 아날로그 전단들(AFE1_1, AFE2_1)에 포함된 제1 멀티플렉서(MUX1) 및 제2 멀티플렉서(MUX2)가 예시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첫 번째 경우(CASE1)에서(또는, 제1 구간에서), 제1 멀티플렉서(MUX1) 및 제2 멀티플렉서(MUX2)에 제1 선택 신호(SEL1)가 제공될 수 있다. 제1 선택 신호(SEL1)는 외부(예를 들어, 신호 처리부(DSP), 구동 신호 생성부(TXD))로부터 제공될 수 있다.
제1 멀티플렉서(MUX1)는 제1 선택 신호(SEL1)에 응답하여 첫 번째 제2 신호 라인(SL2-1)(또는, 제1 센싱 라인) 및 두 번째 제2 신호 라인(SL2-2)(또는, 제2 센싱 라인)을 제1 채널(CH1) 및 제2 채널(CH2)에 각각 연결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채널(CH1) 및 제2 채널(CH2)은 전하 증폭기(CA, 도 11 참조)의 입력 단자들에 각각 대응하거나, 이들에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첫 번째 제2 신호 라인(SL2-1)을 통해 제1 채널(CH1)로 제1 센싱 신호(RX1)가 제공되고, 두 번째 제2 신호 라인(SL2-2)을 통해 제2 채널(CH2)로 제2 센싱 신호(RX2)가 제공될 수 있다. 이 경우, 제1 멀티플렉서(MUX1)를 포함하는 제1 아날로그 전단(AFE1_1, 도 10 참조)은 제1 센싱 신호(RX1) 및 제2 센싱 신호(RX2)의 차이에 대응하는 제1 센싱 값을 출력할 수 있다.
유사하게, 제2 멀티플렉서(MUX2)는 제1 선택 신호(SEL1)에 응답하여 세 번째 제2 신호 라인(SL2-3)(또는, 제3 센싱 라인) 및 네 번째 제2 신호 라인(SL2-4)(또는, 제4 센싱 라인)을 제3 채널(CH3) 및 제4 채널(CH4)에 각각 연결할 수 있다. 여기서, 제3 채널(CH3) 및 제4 채널(CH4)은 전하 증폭기(CA, 도 11 참조)의 입력 단자들에 각각 대응하거나, 이들에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세 번째 제2 신호 라인(SL2-3)을 통해 제3 채널(CH3)로 제3 센싱 신호(RX3)가 제공되고, 네 번째 제2 신호 라인(SL2-4)을 통해 제4 채널(CH4)로 제4 센싱 신호(RX4)가 제공될 수 있다. 이 경우, 제2 멀티플렉서(MUX2)를 포함하는 제2 아날로그 전단(AFE2_1, 도 10 참조)은 제3 센싱 신호(RX3) 및 제4 센싱 신호(RX4)의 차이에 대응하는 제3 센싱 값을 출력할 수 있다.
즉, 첫 번째 경우(CASE1)에서(또는, 제1 구간에서), 아날로그 전단들(AFE1_1, AFE2_1)은 홀수번째 센싱 값들을 출력할 수 있다.
두 번째 경우(CASE2)에서(또는, 제2 구간에서), 제1 멀티플렉서(MUX1) 및 제2 멀티플렉서(MUX2)에 제2 선택 신호(SEL2)가 제공될 수 있다.
제1 멀티플렉서(MUX1)는 제2 선택 신호(SEL2)에 응답하여 두 번째 제2 신호 라인(SL2-2) 및 세 번째 제2 신호 라인(SL2-3)을 제1 채널(CH1) 및 제2 채널(CH2)에 각각 연결할 수 있다. 따라서, 두 번째 제2 신호 라인(SL2-2)을 통해 제1 채널(CH1)로 제2 센싱 신호(RX2)가 제공되고, 세 번째 제2 신호 라인(SL2-3)을 통해 제2 채널(CH2)로 제3 센싱 신호(RX3)가 제공될 수 있다. 이 경우, 제1 멀티플렉서(MUX1)를 포함하는 제1 아날로그 전단(AFE1_1, 도 10 참조)은 제2 센싱 신호(RX2) 및 제3 센싱 신호(RX3)의 차이에 대응하는 제2 센싱 값을 출력할 수 있다.
유사하게, 제2 멀티플렉서(MUX2)는 제2 선택 신호(SEL2)에 응답하여 네 번째 제2 신호 라인(SL2-4) 및 다섯 번째 제2 신호 라인(SL2-5)(또는, 제5 센싱 라인)을 제3 채널(CH3) 및 제4 채널(CH4)에 각각 연결할 수 있다. 따라서, 네 번째 제2 신호 라인(SL2-4)을 통해 제3 채널(CH3)로 제4 센싱 신호(RX4)가 제공되고, 다섯 번째 제2 신호 라인(SL2-5)을 통해 제4 채널(CH4)로 제5 센싱 신호(RX5)가 제공될 수 있다. 이 경우, 제2 멀티플렉서(MUX2)를 포함하는 제2 아날로그 전단(AFE2_1, 도 10 참조)은 제4 센싱 신호(RX4) 및 제5 센싱 신호(RX5)의 차이에 대응하는 제4 센싱 값을 출력할 수 있다.
즉, 두 번째 경우(CASE2)에서(또는, 제2 구간에서), 아날로그 전단들(AFE1_1, AFE2_1)은 짝수번째 센싱 값들을 출력할 수 있다.
도 11 및 도 12를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아날로그 전단(AFEn_1)은 3:2의 입출력 비를 가지는 멀티플렉서(MUX)를 포함하고, 시분할 구동을 통해 센싱 값들을 출력할 수 있다. 따라서, 입력 감지 회로(IS-C_1, 도 10 참조) 내 아날로그 전단들(AFE1_1, AFE2_1)의 개수가 감소되고, 입력 감지 회로(IS-C_1)의 집적화가 보다 용이해질 수 있다.
도 13은 도 10의 입력 감지 회로에 포함된 아날로그 전단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10, 도 11, 및 도 13을 참조하면, 아날로그 전단(AFEn_2)은 네거티브 커패시터(C_N)를 더 포함한다는 점에서, 도 11의 아날로그 전단(AFEn_1)과 상이하다. 네거티브 커패시터(C_N)를 제외하고, 아날로그 전단(AFEn_2)은 도 11의 아날로그 전단(AFEn_1)과 실질적으로 동일하거나 유사하므로, 중복되는 설명은 반복하지 않기로 한다.
네거티브 커패시터(C_N)(또는, 네거티브 커패시터 회로, 기생 커패시턴스 보상 회로)는 멀티플렉서(MUX)의 입력 단자들에 각각 연결되거나, 제2 신호 라인들 각각에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네거티브 커패시터(C_N)는 멀티플렉서(MUX)의 첫 번째 입력 단자 또는 n번째 제2 신호 라인(SL2-n)(또는, 제n 센싱 라인)에 연결될 수 있다. 또한, 네거티브 커패시터(C_N)는 멀티플렉서(MUX)의 두 번째 입력 단자(또는 n+1번째 제2 신호 라인(SL2-(n+1)), 제n+1 센싱 라인) 및 멀티플렉서(MUX)의 세 번째 입력 단자(또는 n+2번째 제2 신호 라인(SL2-(n+2)), 제n+2 센싱 라인)에 각각 연결될 수 있다.
참고로,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박막 봉지층(TFE)(또는, 봉지 유기막(OL))의 두께(T1)가 감소함에 따라, 입력 감지 유닛(ISU) 내 감지전극들 및 발광 소자(OLED)의 제2 전극(CE)(또는, 공통 전극) 사이의 간격이 좁아지고, 이들 사이에 형성된 기생 커패시턴스가 증가될 수 있다. 또한, 표시 장치가 대면적화되면서 입력 감지 유닛(ISU) 내 감지전극들 및 발광 소자(OLED)의 제2 전극(CE) 간의 중첩 면적이 증가하고, 기생 커패시턴스가 증가될 수 있다. 기생 커패시턴스는 터치 구동 신호 및 센싱 신호의 응답 지연을 발생시키고, 터치 센싱 감도를 저하시킬 수 있다.
네거티브 커패시터(C_N)는 네거티브 커패시터 FET(field effect transistor) 등으로 구현되고, 해당 라인의 전압이 증가할 때 방전되고, 해당 라인의 전압이 감소할 때 충전될 수 있다. 이를 통해, 네거티브 커패시터(C_N)는 기생 커패시턴스를 상쇄할 수 있다.
도 13을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아날로그 전단(AFEn_2)은 네거티브 커패시터(C_N)를 이용하여 입력 감지 유닛 내 감지전극들에 대한 기생 커패시턴스를 감소시킬 수 있다. 따라서, 터치 센싱 감도가 향상될 수 있다.
한편, 도 13에서 아날로그 전단(AFEn_2)은 멀티플렉서(MUX)를 포함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4는 도 6a의 입력 감지 회로에 포함된 아날로그 전단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한 아날로그 전단(AFEn)에 네거티브 커패시터(C_N)가 적용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명세서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내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특허 청구범위에 의해 정해져야만 할 것이다. 또한, 특허 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AE: 제1 전극
BFL: 버퍼층
BL: 베이스층
CE: 제2 전극
CP1: 제1 연결부들
CP2: 제1 연결부들
CSL: 제어신호 라인
DD: 표시 장치
DL: 데이터 라인들
DP: 표시 패널
EML: 발광층
GDC: 구동회로
GL: 주사 라인들
IE1: 제1 감지전극들
IE2: 제2 감지전극들
IOL: 봉지 무기막
IS-C: 입력 감지 회로
ISU: 입력 감지 유닛
LDL: 발광 소자층
OL: 봉지 유기막
PCB: 회로기판
PCL: 화소 회로층
PL: 전원 라인
PX: 화소들
SL1: 제1 신호 라인들
SL2: 제2 신호 라인들
SP1: 제1 센서부들
SP2: 제2 센서부들
TC: 타이밍 제어회로
TFE: 박막 봉지층

Claims (26)

  1. 프레임 단위로 발광하는 화소들을 포함하는 표시 패널;
    구동 전극들 및 센싱 전극들을 포함하는 입력 감지 유닛;
    상기 구동 전극들에 구동 신호들을 제공하는 구동 신호 생성부;
    상기 센싱 전극들로부터 상기 구동 신호들에 따른 센싱 신호들을 수신하는 아날로그 전단들(analog front-ends); 및
    상기 아날로그 전단들의 차동 출력 값들에 따라 터치 여부를 판단하는 신호 처리부를 포함하고,
    상기 구동 신호 생성부는 상기 프레임의 시작을 정의하는 수직 동기 신호의 펄스가 발생하는 구간을 회피하여 상기 구동 신호들을 상기 구동 전극들에 제공하는, 표시 장치.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신호 생성부는, 상기 수직 동기 신호의 펄스가 발생하는 구간에서, 상기 구동 신호들의 공급을 차단하는, 표시 장치.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신호들은 상기 수직 동기 신호에 동기화되고,
    상기 구동 신호 생성부는 상기 구동 신호들을 상기 센싱 전극들에 동시에 제공하는, 표시 장치.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신호들 각각은 사인파를 가지며, 상기 수직 동기 신호의 펄스가 발생하는 구간에서 기준(reference) 값을 가지는, 표시 장치.
  5.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신호들은 수평 동기 신호와 비동기(asynchronous)이며,
    상기 수평 동기 신호는 상기 화소들 중 동일한 라인에 포함된 화소들을 통해 라인 영상이 출력되는 구간을 정의하고,
    상기 구동 신호들 각각은 상기 수평 동기 신호의 펄스가 발생하는 구간과 중첩하는, 표시 장치.
  6.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신호들의 주기는 상기 수평 동기 신호의 주기와 다른, 표시 장치.
  7.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신호들 각각은, 하나의 프레임 내에서 상기 화소들에 데이터 신호가 제공되지 않는 블랭크 구간과 중첩하는, 표시 장치.
  8.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신호들 각각이 기준 값을 가지는 구간은, 상기 수직 동기 신호의 펄스가 발생하는 구간과 일치하는, 표시 장치.
  9.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신호들은 상호 동일한 위상의 구형파를 가지되, 상기 구동 신호들의 펄스는 상기 수직 동기 신호의 펄스와 중첩하지 않는, 표시 장치.
  10.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신호들의 펄스는 수평 동기 신호의 펄스와 부분적으로 중첩하며,
    상기 수평 동기 신호는 상기 화소들 중 동일한 라인에 포함된 화소들을 통해 라인 영상이 출력되는 구간을 정의하는, 표시 장치.
  11.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아날로그 전단들 각각은,
    상기 센싱 전극들 중 상호 인접한 2개의 센싱 전극들로부터 각각 제공되는 제1 센싱 신호 및 제2 센싱 신호를 차동 증폭하여, 상보적인 제1 차동 신호 및 제2 차동 신호를 출력하는 전하 증폭기;
    상기 제1 차동 신호 및 상기 제2 차동 신호를 각각 필터링하여 제1 필터링된 신호 및 제2 필터링된 신호를 출력하는 밴드 패스 필터;
    상기 제1 필터링된 신호 및 상기 제2 필터링된 신호의 주파수를 각각 변화시켜 제1 복조 신호 및 제2 복조 신호를 출력하는 믹서;
    상기 제1 복조 신호 및 상기 제2 복조 신호로부터 노이즈를 각각 필터링하여 제1 출력 신호 및 제2 출력 신호를 출력하는 로우 패스 필터; 및
    상기 제1 출력 신호 및 상기 제2 출력 신호 간의 차이에 대응하는 차동 출력 값을 출력하는 아날로그 디지털 컨버터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12.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전하 증폭기는 완전 차동 증폭기(fully differential amplifier)로 구현되는, 표시 장치.
  13. 제12 항에 있어서, 상기 전하 증폭기는, 제1 입력 단자를 통해 인가되는 상기 제1 센싱 신호 및 제2 입력 단자를 통해 인가되는 상기 제2 센싱 신호를 차동 증폭하여 상기 제1 차동 신호를 제1 출력 단자를 통해 출력하며, 상기 제1 차동 신호가 반전된 파형을 가지는 제2 차동 신호를 제2 출력 단자를 통해 출력하는, 표시 장치.
  14.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센싱 전극들 중 적어도 일부 및 상기 아날로그 전달들 사이에 각각 배치되고, 상기 센싱 전극들 중 적어도 일부로부터 제공되는 센싱 신호들 각각을 상기 아날로그 전달들 중 인접한 2개의 아날로그 전단들에 제공하는 분배 회로를 더 포함하는, 표시 장치.
  15.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아날로그 전단들 각각의 전단에 연결되는 네거티브 커패시터를 더 포함하는, 표시 장치.
  1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아날로그 전단들 각각은,
    상기 센싱 전극들 중 상호 인접한 3개의 센싱 전극들로부터 제공되는 센싱 신호들 중 2개의 센싱 신호들을 선택하는 멀티플렉서;
    상기 센싱 신호들 중 선택된 상기 2개의 센싱 신호들을 차동 증폭하여, 상보적인 제1 차동 신호 및 제2 차동 신호를 출력하는 전하 증폭기;
    상기 제1 차동 신호 및 상기 제2 차동 신호를 각각 필터링하여 제1 필터링된 신호 및 제2 필터링된 신호를 출력하는 밴드 패스 필터;
    상기 제1 필터링된 신호 및 상기 제2 필터링된 신호의 주파수를 각각 변화시켜 제1 복조 신호 및 제2 복조 신호를 출력하는 믹서;
    상기 제1 복조 신호 및 상기 제2 복조 신호로부터 노이즈를 각각 필터링하여 제1 출력 신호 및 제2 출력 신호를 출력하는 로우 패스 필터; 및
    상기 제1 출력 신호 및 상기 제2 출력 신호 간의 차이에 대응하는 차동 출력 값을 출력하는 아날로그 디지털 컨버터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17. 제16 항에 있어서, 상기 멀티플렉서는, 제1 구간에서 상기 센싱 신호들 중 제1 센싱 신호 및 제2 센싱 신호를 선택하고, 상기 제1 구간과 다른 제2 구간에서 상기 센싱 신호들 중 상기 제2 센싱 신호 및 제3 센싱 신호를 선택하며,
    상기 제1 내지 제3 센싱 신호들은 상기 3개의 센싱 전극들로부터 각각 제공되는, 표시 장치.
  18. 제17 항에 있어서, 상기 아날로그 전단들 각각은, 멀티플렉서의 입력 단자들 각각에 연결되는 네거티브 커패시터를 더 포함하는, 표시 장치.
  19.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패널은,
    베이스층;
    상기 베이스층 상에 형성되며 상기 화소들 각각을 구성하는 발광 소자; 및
    상기 발광 소자를 커버하는 박막 봉지층을 더 포함하고,
    상기 입력 감지 유닛은 상기 박막 봉지층 상에 직접적으로 형성되는, 표시 장치.
  20. 제19 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 감지 유닛은,
    상기 박막 봉지층 상에 형성되고 제1 패턴을 포함하는 제1 도전층;
    상기 제1 도전층 상에 배치되는 절연층; 및
    상기 절연층 상에 배치되며 제2 패턴을 포함하는 제2 도전층을 더 포함하며,
    상기 구동 전극들 및 상기 센싱 전극들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제1 패턴 및 상기 제2 패턴을 포함하는, 표시 장치.
  21. 제20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패턴 및 상기 제2 패턴 각각은 메쉬(mesh)구조를 가지는, 표시 장치.
  22. 구동 전극들 및 센싱 전극들을 포함하는 입력 감지 유닛;
    상기 구동 전극들에 구동 신호들을 제공하는 구동 신호 생성부;
    상기 센싱 전극들로부터 상기 구동 신호들에 따른 센싱 신호들을 수신하는 아날로그 전단들(analog front-ends); 및
    상기 아날로그 전단들의 차동 출력 값들에 따라 터치 여부를 판단하는 신호 처리부를 포함하고,
    상기 아날로그 전단들 각각은, 상기 센싱 전극들 중 2개의 센싱 전극들로부터 각각 제공되는 제1 센싱 신호 및 제2 센싱 신호를 차동 증폭하여, 상보적인 제1 차동 신호 및 제2 차동 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제1 차동 신호 및 상기 제2 차동 신호로부터 터치 입력에 대응하는 제1 출력 신호 및 제2 출력 신호를 추출하며, 아날로그 디지털 컨버터에 상기 제1 출력 신호 및 상기 제2 출력 신호를 제공하는, 입력 감지 장치.
  23. 제22 항에 있어서, 상기 아날로그 전단들 각각은, 상기 제1 센싱 신호 및 제2 센싱 신호를 차동 증폭하여, 상기 제1 차동 신호 및 상기 제2 차동 신호를 출력하는 전하 증폭기를 포함하고,
    상기 전하 증폭기는, 제1 입력 단자를 통해 인가되는 상기 제1 센싱 신호 및 제2 입력 단자를 통해 인가되는 상기 제2 센싱 신호를 차동 증폭하여 상기 제1 차동 신호를 제1 출력 단자를 통해 출력하며, 상기 제1 차동 신호가 반전된 파형을 가지는 제2 차동 신호를 제2 출력 단자를 통해 출력하는, 입력 감지 장치.
  24. 제23 항에 있어서, 상기 아날로그 전단들 각각은,
    상기 제1 차동 신호 및 상기 제2 차동 신호를 각각 필터링하여 제1 필터링된 신호 및 제2 필터링된 신호를 출력하는 밴드 패스 필터;
    상기 제1 필터링된 신호 및 상기 제2 필터링된 신호의 주파수를 각각 변화시켜 제1 복조 신호 및 제2 복조 신호를 출력하는 믹서; 및
    상기 제1 복조 신호 및 상기 제2 복조 신호로부터 노이즈를 각각 필터링하여 상기 제1 출력 신호 및 상기 제2 출력 신호를 출력하는 로우 패스 필터를 더 포함하는, 입력 감지 장치.
  25. 제24 항에 있어서, 상기 아날로그 전단들 각각은, 상기 센싱 전극들 중 상호 인접한 3개의 센싱 전극들로부터 제공되는 센싱 신호들 중 2개의 센싱 신호들을 선택하여 상기 제1 센싱 신호 및 상기 제2 센싱 신호로서 상기 전하 증폭기에 제공하는 멀티플렉서를 더 포함하는, 입력 감지 장치.
  26. 제25 항에 있어서, 상기 아날로그 전단들 각각은, 멀티플렉서의 입력 단자들 각각에 연결되는 네거티브 커패시터를 더 포함하는, 입력 감지 장치.
KR1020200040433A 2020-04-02 2020-04-02 입력 감지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KR20210123454A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40433A KR20210123454A (ko) 2020-04-02 2020-04-02 입력 감지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US17/198,885 US11502141B2 (en) 2020-04-02 2021-03-11 Input sensing device and display device having the same
CN202110356200.0A CN113495647A (zh) 2020-04-02 2021-04-01 输入感测装置和具有该输入感测装置的显示装置
US17/985,913 US11903296B2 (en) 2020-04-02 2022-11-14 Input sensing device and display device hav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40433A KR20210123454A (ko) 2020-04-02 2020-04-02 입력 감지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23454A true KR20210123454A (ko) 2021-10-14

Family

ID=779222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40433A KR20210123454A (ko) 2020-04-02 2020-04-02 입력 감지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2) US11502141B2 (ko)
KR (1) KR20210123454A (ko)
CN (1) CN113495647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537252B2 (en) 2020-08-20 2022-12-27 Samsung Display Co., Ltd. Input sensing and display device with sinusoidal driving signals with different frequencies
US11543914B2 (en) 2021-04-08 2023-01-03 Samsung Display Co., Ltd. Input sensing device and display device having the same
US11709567B2 (en) 2021-06-29 2023-07-25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including an input sensing part
US11921961B2 (en) 2021-09-28 2024-03-05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953523B2 (en) * 2021-11-30 2024-04-09 Novatek Microelectronics Corp. AFE circuit and related gain amplifier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93803B1 (ko) 2009-10-23 2011-12-19 한국과학기술원 터치 센싱 장치
KR20110112128A (ko) 2010-04-06 2011-10-12 삼성전자주식회사 터치 패널의 기생 커패시턴스 보상 방법 및 장치
KR101239103B1 (ko) 2011-04-19 2013-03-06 주식회사 동부하이텍 차동 신호 처리를 이용한 터치스크린 컨트롤러
US8780074B2 (en) 2011-07-06 2014-07-15 Sharp Kabushiki Kaisha Dual-function transducer for a touch panel
TWI507957B (zh) * 2013-07-22 2015-11-11 Chunghwa Picture Tubes Ltd 驅動觸控顯示器的方法及提升訊雜比的觸控顯示器
US10156945B2 (en) * 2015-11-09 2018-12-18 Stmicroelectronics Asia Pacific Pte Ltd Suppression of display noise in touch screen controllers
KR102511952B1 (ko) 2016-01-18 2023-03-23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터치 스크린 패널 및 그의 구동 방법
US10365775B2 (en) 2016-01-21 2019-07-30 Microchip Technology Incorporated Method and system for sensing impedance change in the local space between electrodes
US10175839B2 (en) 2016-12-30 2019-01-08 Qualcomm Incorporated Highly configurable front end for touch controllers
KR102448435B1 (ko) * 2017-09-29 2022-10-04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입력감지유닛, 입력감지유닛의 제조 방법, 및 입력감지유닛을 구비한 표시장치
US10831321B2 (en) * 2018-04-19 2020-11-10 Pixart Imaging Inc. Parallel sensing touch control device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KR102559962B1 (ko) * 2018-05-02 2023-07-26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터치 패널
CN111919193A (zh) * 2019-03-08 2020-11-10 深圳市汇顶科技股份有限公司 触控芯片、触控检测方法、触控检测系统及电子设备
CN113168268B (zh) * 2019-11-08 2023-05-26 深圳市汇顶科技股份有限公司 触控检测方法、触控检测电路、触控芯片以及电子设备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537252B2 (en) 2020-08-20 2022-12-27 Samsung Display Co., Ltd. Input sensing and display device with sinusoidal driving signals with different frequencies
US11543914B2 (en) 2021-04-08 2023-01-03 Samsung Display Co., Ltd. Input sensing device and display device having the same
US11899878B2 (en) 2021-04-08 2024-02-13 Samsung Display Co., Ltd. Input sensing device and display device having the same
US11709567B2 (en) 2021-06-29 2023-07-25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including an input sensing part
US11921961B2 (en) 2021-09-28 2024-03-05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1903296B2 (en) 2024-02-13
US20230070619A1 (en) 2023-03-09
US11502141B2 (en) 2022-11-15
US20210313401A1 (en) 2021-10-07
CN113495647A (zh) 2021-10-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10123454A (ko) 입력 감지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US11899878B2 (en) Input sensing device and display device having the same
US11537252B2 (en) Input sensing and display device with sinusoidal driving signals with different frequencies
KR20190038711A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구동 방법
US20220020333A1 (en) Display device and driving method thereof
CN113821117A (zh) 电子装置
US20230259236A1 (en) Input sensing device and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US11735103B2 (en) Input sensing device having an analog front-end
KR20220141964A (ko) 터치 센서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US11256360B2 (en) Display device
US11983360B2 (en) Touch sensor and a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US11921961B2 (en) Display device
US11809660B2 (en) Electronic device
KR102530493B1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구동 방법
US20240119877A1 (en) Display device
KR20230071918A (ko) 센서 장치 및 그 구동 방법
CN115497414A (zh) 显示装置
KR20190038744A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구동 방법
KR20220111818A (ko) 표시 장치 및 이의 구동방법
CN117729276A (zh) 电子装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