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23382A - 폭이 다른 2개의 관형 세그먼트 사이에 연결부를 형성하는 방법 및 그에 따라 생성된 연결부 - Google Patents

폭이 다른 2개의 관형 세그먼트 사이에 연결부를 형성하는 방법 및 그에 따라 생성된 연결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23382A
KR20210123382A KR1020217028399A KR20217028399A KR20210123382A KR 20210123382 A KR20210123382 A KR 20210123382A KR 1020217028399 A KR1020217028399 A KR 1020217028399A KR 20217028399 A KR20217028399 A KR 20217028399A KR 20210123382 A KR20210123382 A KR 2021012338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segments
connection
annular gap
pipe
segment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70283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다니엘 바르트민
Original Assignee
알더블유이 리뉴어블스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알더블유이 리뉴어블스 게엠베하 filed Critical 알더블유이 리뉴어블스 게엠베하
Publication of KR202101233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2338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5/00Bulkheads, piles, or other structural elements specially adapted to foundation engineering
    • E02D5/22Piles
    • E02D5/52Piles composed of separable parts, e.g. telescopic tubes ; Piles composed of segments
    • E02D5/523Piles composed of separable parts, e.g. telescopic tubes ; Piles composed of segments composed of segments
    • E02D5/526Connection means between pile seg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17/00Artificial islands mounted on piles or like supports, e.g. platforms on raisable legs or offshore constructions; Construction methods therefor
    • E02B17/0008Methods for grouting offshore structures; apparatus therefor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17/00Artificial islands mounted on piles or like supports, e.g. platforms on raisable legs or offshore constructions; Construction methods therefor
    • E02B17/02Artificial islands mounted on piles or like supports, e.g. platforms on raisable legs or offshore constructions; Construction methods therefor placed by lowering the supporting construction to the bottom, e.g. with subsequent fixing thereto
    • E02B17/027Artificial islands mounted on piles or like supports, e.g. platforms on raisable legs or offshore constructions; Construction methods therefor placed by lowering the supporting construction to the bottom, e.g. with subsequent fixing thereto steel structur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7/00Foundations as substructures
    • E02D27/32Foundations for special purposes
    • E02D27/42Foundations for poles, masts or chimneys
    • E02D27/425Foundations for poles, masts or chimneys specially adapted for wind motors mas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2/00Towers; Masts or poles; Chimney stacks; Water-towers; Methods of erecting such structures
    • E04H12/02Structures made of specified materials
    • E04H12/08Structures made of specified materials of metal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2/00Towers; Masts or poles; Chimney stacks; Water-towers; Methods of erecting such structures
    • E04H12/02Structures made of specified materials
    • E04H12/12Structures made of specified materials of concrete or other stone-like material, with or without internal or external reinforcements, e.g. with metal coverings, with permanent form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2/00Towers; Masts or poles; Chimney stacks; Water-towers; Methods of erecting such structures
    • E04H12/34Arrangements for erecting or lowering towers, masts, poles, chimney stacks, or the like
    • E04H12/342Arrangements for stacking tower sections on top of each oth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3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WIND, SPRING, OR WEIGHT MOTORS; PRODUCING MECHANICAL POWER OR A REACTIVE PROPULSIVE THRUS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3DWIND MOTORS
    • F03D13/00Assembly, mounting or commissioning of wind motors;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transporting wind motor components
    • F03D13/20Arrangements for mounting or supporting wind motors; Masts or towers for wind motors
    • F03D13/25Arrangements for mounting or supporting wind motors; Masts or towers for wind motors specially adapted for offshore installa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17/00Artificial islands mounted on piles or like supports, e.g. platforms on raisable legs or offshore constructions; Construction methods therefor
    • E02B2017/0056Platforms with supporting legs
    • E02B2017/0065Monopile structur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17/00Artificial islands mounted on piles or like supports, e.g. platforms on raisable legs or offshore constructions; Construction methods therefor
    • E02B2017/0091Offshore structures for wind turbin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600/00Miscellaneous
    • E02D2600/20Miscellaneous comprising details of connection between el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5INDEXING SCHEMES RELATING TO ENGINES OR PUMPS IN VARIOUS SUBCLASSES OF CLASSES F01-F04
    • F05BINDEXING SCHEME RELATING TO WIND, SPRING, WEIGHT, INERTIA OR LIKE MOTORS, TO 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COVERED BY SUBCLASSES F03B, F03D AND F03G
    • F05B2240/00Components
    • F05B2240/90Mounting on supporting structures or systems
    • F05B2240/91Mounting on supporting structures or systems on a stationary structure
    • F05B2240/912Mounting on supporting structures or systems on a stationary structure on a tow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5INDEXING SCHEMES RELATING TO ENGINES OR PUMPS IN VARIOUS SUBCLASSES OF CLASSES F01-F04
    • F05BINDEXING SCHEME RELATING TO WIND, SPRING, WEIGHT, INERTIA OR LIKE MOTORS, TO 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COVERED BY SUBCLASSES F03B, F03D AND F03G
    • F05B2240/00Components
    • F05B2240/90Mounting on supporting structures or systems
    • F05B2240/95Mounting on supporting structures or systems offshor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70Wind energy
    • Y02E10/72Wind turbines with rotation axis in wind direc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70Wind energy
    • Y02E10/727Offshore wind turbin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70Wind energy
    • Y02E10/728Onshore wind turbin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aleontology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Wind Mo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바람직하게는 타워형 구조물, 특히 풍력 터빈의 폭이 다른 2개의 파이프 세그먼트(1, 2, 21, 22) 사이에 연결부(3, 20)를 형성하기 위한 방법에 관한 것이다. 폭이 다른 파이프 세그먼트를 더 쉽고 안정적이며 비용 효율적으로 서로 연결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넓은 파이프 세그먼트(1, 31)의 일 단부가 좁은 파이프 세그먼트(2, 32)의 단부 위로 부분적으로 푸시되고, 파이프 세그먼트(1, 2, 21, 22)가 서로 거리를 두고 배치되어 파이프 세그먼트(1, 2, 21, 22) 사이에 환형 갭(5, 27)을 형성하고, 파이프 세그먼트(1, 2, 21, 22)의 길이 방향(L) 및/또는 반경 방향(R)으로 연장되는 분리 층(4, 14)이 2개의 파이프 세그먼트(1, 2, 21, 22) 사이의 환형 갭(5, 27)에 제공되고, 분리 층(4, 14)에 인접하고 그리고 분리 층(4, 14)의 적어도 하나의 측면 상에 있는 환형 갭(5, 27)이 적어도 부분적으로 주조 화합물(9, 30)로 채워지고, 주조 화합물(9, 30)이 경화될 때, 분리 층(4, 14)의 하나의 측면 상에 있는 주조 화합물(9, 30)은 오직 파이프 세그먼트(1, 2, 21, 22) 중 하나와 고정 연결부(3, 20)를 형성하거나 및/또는 주조 화합물(9, 30)의 다른 측면 상에 있는 주조 화합물(9, 30)은 오직 다른 파이프 세그먼트(1, 2, 21, 22)와 고정 연결부를 형성하고, 주조 화합물(9, 30)의 경화 후 파이프 세그먼트(1, 2, 21, 22)가 특히 경화된 주조 화합물(9, 30)에 의해 형성된 연관된 개별 연결 부재(10, 11, 21, 22)와 함께 분리 층(4, 14)을 따라 다시 분리된다.

Description

폭이 다른 2개의 관형 세그먼트 사이에 연결부를 형성하는 방법 및 그에 따라 생성된 연결부
본 발명은 바람직하게는 타워형 구조물, 특히 풍력 터빈의 폭이 다른 2개의 파이프 세그먼트 사이에 연결부를 형성하기 위한 방법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넓은 외부 파이프 세그먼트와 좁은 내부 파이프 세그먼트의 중첩 단부 사이에 환형 갭을 갖는, 바람직하게는 타워형 구조물, 특히 풍력 터빈의 폭이 다른 2개의 파이프 세그먼트의 연결부에 관한 것이다.
폭이 다른 2개의 파이프 세그먼트를 서로 연결할 수 있는 다양한 방법이 공지되어 있다. 본 이해에 따르면, 파이프 세그먼트의 폭은 파이프 세그먼트의 해당 단부가 적어도 섹션에서 서로 삽입될 수 있을 정도로 상이하다. 예를 들어, 플러그 연결부는 이러한 파이프 세그먼트의 연결부로 공지되어 있다. 이러한 플러그 연결부는 단부를 갖는 파이프 세그먼트가 다른 파이프 세그먼트의 단부에 부착되는 방식으로 결합된다. 해당 파이프 단부가 원추형으로 서로 대응하여 형성되는 경우, 이러한 방식으로 강제-맞춤(force-fitting) 및 형태-맞춤(form-fitting) 연결이 생성된다. 필요한 경우, 파이프 세그먼트의 단부 사이에 실런트가 적용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파이프 세그먼트의 중첩 단부는 함께 용접되거나 또는 볼트를 이용하여 서로 연결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연결부는 특히 타워형 구조물에 정기적으로 사용되는 큰 직경의 파이프 세그먼트에 대해 상대적으로 복잡하고 제조 비용이 많이 든다. 스틸과 스틸의 볼트 체결, 용접 또는 마찰 결합을 기반으로 하는 연결부의 경우, 추정된 이상적인 기하학적 구조에서 파이프 세그먼트가 약간만 벗어나도 연결부가 크게 약화될 수 있으므로 연결부를 정확하게 계산하기 어려울 수 있다.
그라우트 연결부는 매우 쉽고 빠르고 비용 효율적으로 제공될 수 있기 때문에 특히 풍력 터빈, 특히 해상 풍력 터빈의 건설에 사용된다. 이 유형의 연결부에 대한 유지 관리 요구 사항도 관리 가능하다. 그라우트 연결부의 생성을 위해 폭이 다른 파이프 세그먼트의 해당 단부가 서로 삽입되어서, 파이프 세그먼트 사이에 환형 갭이 형성되고 그런 다음 주조 화합물, 특히 그라우트로 채워진다. 그라우트가 경화되면, 2개의 파이프 단부가 서로 단단히 연결된다. 그러나, 주조 화합물로 환형 갭을 채우는 것은 현장에서 이루어져야 하며, 이는 비교적 복잡하다. 또한, 현장 그라우팅 중에 결함이 있는 연결부가 발생할 수 있으며, 이는 나중에 감지하기 어렵고 더 이상 재작업할 수 없다. 반면에, 치수 정확도에 대한 요구 사항은 볼트, 용접 또는 마찰 연결부만큼 높지 않다.
위에서 언급한 단점을 상쇄하기 위해, 원통형 파이프 세그먼트에 2개의 상호 이격되고 원주 방향의 금속 링을 장착하는 것이 제안되었고, 파이프 세그먼트가 파이프 세그먼트의 길이 방향으로 서로 삽입될 때 금속 링의 해당 원추형 내부 측면이 형태-맞춤 방식으로 놓이도록 금속 링의 해당 내부 측면이 원추형으로 밀링된다. 이것은 예를 들어, 유럽 특허공개공보 EP 2 910 682 A2에 설명되어 있다. 그러나, 특히 원추형 내부 표면의 생성에서 매우 작은 공차만 허용될 수 있기 때문에, 링의 제공은 여전히 매우 복잡하고 따라서 비용이 많이 든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폭이 다른 파이프 세그먼트가 서로 더 쉽고, 안정적이며 비용 효율적으로 연결될 수 있도록 처음에 더 자세히 언급되고 설명된 각 유형의 방법 및 연결부를 설계하고 추가로 개발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청구항 제1항에 따라 바람직하게는 타워형 구조물, 특히 풍력 터빈의 폭이 다른 2개의 파이프 세그먼트 사이에 연결부를 형성하기 위한 방법에 의해 달성되되,
- 넓은 파이프 세그먼트의 일 단부가 좁은 파이프 세그먼트의 단부 위로 부분적으로 푸시되고,
- 파이프 세그먼트가 서로 거리를 두고 배치되어 파이프 세그먼트 사이에 환형 갭을 형성하고,
- 파이프 세그먼트의 길이 방향 및/또는 반경 방향으로 연장되는 분리 층이 2개의 파이프 세그먼트 사이의 환형 갭에 제공되고,
- 분리 층에 인접하고 그리고 분리 층의 적어도 하나의 측면 상에 있는 환형 갭이 적어도 부분적으로 주조 화합물로 채워지고,
- 주조 화합물이 경화될 때, 분리 층의 하나의 측면 상에 있는 주조 화합물은 오직 파이프 세그먼트 중 하나와 고정 연결을 형성하거나 및/또는 주조 화합물의 다른 측면 상에 있는 주조 화합물은 오직 다른 파이프 세그먼트와 고정 연결을 형성하고,
- 주조 화합물의 경화 후 파이프 세그먼트가 특히 경화된 주조 화합물에 의해 형성된 연관된 개별 연결 부재와 함께 분리 층을 따라 다시 분리된다.
또한, 상기 목적은 연결 부재가 환형 갭에서 내부 파이프 세그먼트의 외주 측면에 견고하게 연결되고, 다른 연결 부재가 환형 갭에서 외부 파이프 세그먼트의 내주 측면에 견고하게 연결되고, 연결 부재 중 적어도 하나가 경화된 주조 화합물에 의해 형성되고, 적어도 2개의 연결 부재가 파이프 세그먼트의 길이 방향에서 형태-맞춤 및/또는 강제-맞춤 방식으로 파이프 세그먼트를 연결시키는 청구항 제13항의 전제부에 따른 연결부에 의해 달성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연결부가 분리 층의 하나의 측면에 제공되는 적어도 하나의 주조 화합물로 파이프 세그먼트 사이의 환형 갭을 채움으로써 매우 효과적이고 신뢰성 있게 사전 제작될 수 있음을 인식하였다. 연결 부재는 적어도 하나의 분리 층에 의해 분리된다. 그러나, 환형 갭이 주조 화합물에 의해 분리 층의 양 측면에 채워지는 것이 특히 유리하다. 그런 다음, 주조 화합물은 적어도 하나의 분리 층에 의해 적어도 2개의 개별 영역으로 분할되어서, 주조 화합물의 각각의 부분이 환형 갭에서 경화되는 동안 상이한 연결 부재를 형성하고, 연결 부재는 후속적으로 분리 층을 따라 분리될 수 있다. 하나의 연결 부재만 주조 화합물로부터 형성되는 경우, 이 연결 부재는 분리 층에 의해 다른 추가 연결 부재로부터 분리된다.
그런 다음 설치 현장에서 2개의 파이프 세그먼트를 서로 다시 간단하게 삽입함으로써 조립식 연결부가 현장에서 쉽게 결합될 수 있다. 그런 다음 연결 부재는 파이프 세그먼트의 길이 방향에서 형태-맞춤 및/또는 강제-맞춤 연결을 형성한다. 2개의 연결 부재는 환형 갭의 이전의 적어도 부분적인 주조에 의해 각각의 연관된 파이프 세그먼트에 견고하게 연결된다. 따라서, 파이프 세그먼트는 연결 부재에 영구적으로 연결된다. 연결 부재 및 파이프 세그먼트가 상이한 재료로 형성되더라도, 연결 부재 및 파이프 세그먼트는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실질적으로 함께 접합되거나 서로 단단히 접착된다.
연결부를 사전 제작하기 위해, 파이프 세그먼트 사이에 환형 간격이 형성되는 방식으로, 2개의 파이프 세그먼트가 단부가 서로 할당된 상태로 다른 파이프 세그먼트 위에 하나의 파이프 세그먼트가 삽입된다. 적어도 하나의 분리 층이 상기 환형 갭에 제공되고, 길이 방향 및/또는 반경 방향으로 연장되며, 따라서, 환형 갭을 적어도 하나의 분리 층의 상이한 측면 상에서 적어도 2개의 상이한 섹션으로 분할한다. 이들 2개의 상이한 영역 중 적어도 하나의 영역은 그 다음 적어도 부분적으로 주조 화합물로 채워진다. 그러나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2개의 상이한 영역은 각각 주조 화합물로 채워지고, 그 후 환형 갭에서 경화된다. 이 경우, 주조 화합물은 적어도 하나의 개별 연결 부재 또는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2개의 개별 연결 부재를 형성한다. 분리 층의 양 측면에 있는 연결 부재는 분리 층에 의해 서로 분리되지만 각각 할당된 파이프 세그먼트에 견고하게 연결된다. 분리 층의 결과로서, 파이프 세그먼트는 적어도 하나의 주조 화합물의 경화 후에 서로에 대해 다시 당겨질 수 있고, 그런 다음 적어도 2개의 연결 부재는 적어도 하나의 분리 층을 따라 다시 서로 분리될 수 있다. 나중에, 해당 파이프 세그먼트가 서로 다시 삽입되어 형태-맞춤 및/또는 강제-맞춤 연결을 생성할 수 있다.
원칙적으로, 복수의 분리 층이 환형 갭에 제공될 수 있고, 그런 다음 필요 시에 주조 화합물을 경화시키기 위한 2개 초과의 개별 영역 및/또는 2개 초과의 상이한 연결 부재로 이어진다. 그러나, 연결부 및 그 제조는 가능한 간단하고 비용 효율적이어야 하므로 이는 아마도 매우 특별한 경우에만 발생한다. 대조적으로, 적어도 하나의 분리 층이 환형 갭에 원주 방향으로 제공되는 것이 특히 바람직할 것이다. 이는 방법을 단순화하고 단순한 방식으로 적어도 하나의 실질적으로 균일한 원주 방향 연결 부재의 형성을 가능하게 한다.
경화 동안 링 세그먼트의 재료를 고려하여 해당 파이프 세그먼트와 충분히 강한 연결부를 형성하는 주조 화합물은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있거나 간단한 테스트에 의해 당업자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또한, 설명된 연결부의 이점은 특히 풍력 터빈, 특히 해상 풍력 터빈의 타워형 구조물과 관련이 있다. 이러한 구조물에서는 직경이 큰 파이프 세그먼트가 사용되며 해당 연결부는 비용 효율적이어야 하고 높은 하중을 안정적으로 흡수할 수 있어야 한다.
이해의 편의와 불필요한 반복을 피하기 위해, 각각의 경우에 방법과 연결부를 항상 자세히 구분하지 않고 방법과 연결부를 함께 설명한다. 그러나, 당업자에게는 문맥이 방법 및 연결부와 관련하여 특히 바람직한 특징을 결정한다.
방법의 특히 바람직한 제1 실시예의 경우, 이미 경화된 주조 화합물로부터 형성된 적어도 개별 연결 부재가 파이프 세그먼트의 길이 방향에서 형태-맞춤 및/또는 강제-맞춤 연결을 형성하도록 분리된 파이프 세그먼트는 분리 층을 따라 파이프 세그먼트의 분리 이후에 다시 연결된다. 하나의 연결 부재만이 경화된 주조 화합물에 의해 형성되는 경우에도 연결 부재는 파이프 세그먼트의 길이 방향에서 형태-맞춤 및/또는 강제-맞춤 연결을 형성한다. 이는 결정적이고 정의된 방식으로 2개의 파이프 세그먼트를 결합하기 위해 타워형 구조물의 설치 위치에서 간단히 수행될 수 있다. 이 경우, 환형 갭을 형성하고 환형 갭 내의 적어도 하나의 주조 화합물을 경화시키기 위해 서로 삽입된 동일한 파이프 세그먼트가 다시 서로 삽입되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적어도 하나의 주조 화합물이 경화될 때와 동일한 방식으로 파이프 세그먼트가 길이 방향 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것이 더욱 유리하다. 이는 해당 연결 부재가 최대한 서로 일치하도록 설계되는 것을 보장한다.
특히, 스틸 파이프 세그먼트 또는 철근 콘크리트 파이프 세그먼트가 파이프 세그먼트로 사용되는 경우, 타워형 구조물의 건설 및 해당 연결부의 제공에 특히 유리하다. 이는 높은 타워를 제조할 수 있고 연결부에서 높은 하중을 안정적으로 흡수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타워형 구조물의 연결 및 생산을 단순화하기 위해, 적어도 환형 갭 영역에서 원통형 또는 원추형 파이프 세그먼트를 파이프 세그먼트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또한 더 복잡한 구조물에 비해 비용을 절감한다. 해상 구조물의 파이프 세그먼트가 파이프 세그먼트로 사용되는 경우 및/또는 풍력 터빈, 특히 해상 풍력 터빈의 타워 세그먼트가 파이프 세그먼트로 사용되는 경우, 연결부는 전술한 이유로 특별한 이점을 갖는다.
대안적으로 또는 추가적으로, 파이프 세그먼트 사이에 환형 갭이 형성된 상태로 파이프 세그먼트가 서로 동심으로 배치되는 경우, 방법 및 연결부가 단순화된다. 이는 또한 필요에 따라 타워형 구조물에서 힘의 균등한 흡수 및 소산을 촉진한다.
적어도 하나의 주조 화합물이 경화된 후 파이프 세그먼트를 서로 쉽게 분리할 수 있고, 서로 및/또는 추가 연결 부재에 대한 과도한 접착을 방지하기 위해, 필름, 바람직하게는 플라스틱 필름, 특히 분리 층으로서 폴리염화비닐(PVC) 및/또는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PTFE)으로 제조된 필름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환형 갭에서 분리 층의 배열은 분리 층의 적어도 하나의 영역이 적어도 섹션에서 환형 갭 내에 원통형으로 배치되는 경우를 보장히기 위해 특히 쉽고 신속하다. 이 경우에, 적어도 하나의 주조 화합물은 또한 분리 층의 하나의 측면 또는 바람직하게는 분리 층의 반대 측면 상의 적어도 하나의 남아 있는 자유 공간으로 매우 쉽고 빠르게 도입될 수 있다. 이는 특히 분리 층의 적어도 원통형 섹션이 내부 파이프 세그먼트 및/또는 외부 파이프 세그먼트에 대해 적어도 실질적으로 동심으로 연장되는 경우에 적용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생성된 연결 부재는 연결을 형성하지 않거나 약간의 형태-맞춤 연결만을 형성한다. 그러나 팽창성 주조 화합물, 즉, 경화 후에도 여전히 팽창하는 주조 화합물을 사용하는 경우, 파이프 세그먼트의 길이 방향에서 강제-맞춤 연결이 얻어질 수 있고, 높은 힘을 흡수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또는 추가적으로, 환형 갭에서 분리 층은 2개의 파이프 세그먼트 사이의 환형 갭에 제공된 분리 층 또는 분리 층의 영역이 파이프 세그먼트의 길이 방향에서 환형 갭을 적어도 실질적으로 폐쇄하도록 제공될 수 있다. 이 경우에, 적어도 하나의 주조 화합물은 또한 분리 층의 하나의 측면 상의 적어도 하나의 자유 공간 또는 바람직하게는 분리 층의 반대 측면 상의 남아 있는 자유 공간으로 특히 쉽고 빠르게 도입될 수 있다.
분리 층의 적어도 국부적인 원통형 배열에 대안적으로 또는 추가적으로, 분리 층은 또한 적어도 섹션에서 파이프 세그먼트의 길이 방향에 대해 반경 방향으로 원추형으로 및/또는 비스듬하게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파이프 세그먼트의 길이 방향에서 파이프 세그먼트 사이에 뚜렷한 형태-맞춤 연결을 유도하는 원추형 또는 각각 성형된 연결 부재가 간단하게 생성될 수 있다. 이는 특히, 파이프 세그먼트의 길이 방향에서 환형 갭의 외부 에지부보다 환형 갭에 할당된 내부 파이프 세그먼트의 단부에 가까운 환형 갭의 내부 에지부 상에 및/또는 파이프 세그먼트의 길이 방향에서 환형 갭의 내부 에지부보다 환형 갭에 할당된 외부 파이프 세그먼트의 단부에 가까운 환형 갭의 외부 에지부 상의 적어도 원추형 섹션에 분리 층이 제공되는 경우에 적용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상부 및 외부 파이프 세그먼트의 적어도 하나의 연결 부재가 형태-맞춤 방식으로 하부 및 내부 파이프 세그먼트의 적어도 하나의 연결 부재와 내측으로 중첩되는 것을 보장하는 것이 가능하다. 대안적으로, 상부 및 내부 파이프 세그먼트의 적어도 하나의 연결 부재가 형태-맞춤 방식으로 하부 및 외부 파이프 세그먼트의 적어도 하나의 연결 부재와 내측으로 중첩되는 것을 보장하는 것이 가능하다.
파이프 세그먼트 사이의 연결부에 대한 높은 강제-맞춤 연결을 보장하기 위해, 외부 파이프 세그먼트가 가열되거나 및/또는 내부 파이프 세그먼트가 냉각되는 경우에 환형 갭이 주조 화합물에 의해 적어도 부분적으로 채워지고 및/또는 외부 파이프 세그먼트가 가열되거나 및/또는 내부 파이프 세그먼트가 냉각되는 경우에 주조 화합물의 경화 후에 외부 파이프 세그먼트 및 내부 파이프 세그먼트가 서로에 대해 다시 삽입될 수 있다. 열적 길이 방향 팽창의 결과로, 파이프 세그먼트의 연결 부재는 연결된 상태에서 서로 가압된다.
적어도 하나의 주조 화합물이 경화된 후 파이프 세그먼트가 서로 더 쉽게 분리되도록 하기 위해, 외부 파이프 세그먼트가 가열되거나 및/또는 내부 파이프 세그먼트가 냉각되는 경우에, 환형 갭이 분리 층을 따라 서로 분리될 수 있다. 해당 파이프 세그먼트의 가열 또는 냉각은 열적 길이 방향 팽창의 결과로서 적어도 2개의 해당 연결 부재 사이에 갭 형성을 유도하거나, 이는 적어도 해당 갭 형성을 초래한다.
이와 관련하여, 냉각된 외부 파이프 세그먼트 및/또는 내부 파이프 세그먼트가 20℃ 미만, 바람직하게는 15℃ 미만, 특히 10℃ 미만의 온도로 냉각되는 경우 및/또는 가열된 외부 파이프 세그먼트 및/또는 내부 파이프 세그먼트가 20℃ 초과, 바람직하게는 30℃ 초과, 특히 40℃ 초과의 온도로 가열되는 경우에 특히 유리할 수 있다.
외부 파이프 세그먼트 및/또는 내부 파이프 세그먼트가 환형 갭의 영역에 적어도 하나의 스러스트 리브를 갖는 경우 연결부가 강화되고 내구성이 향상될 수 있다. 이 경우, 적어도 하나의 스러스트 리브가 적어도 실질적으로 원주 방향으로 제공되는 것을 실현하는 것이 특히 유리하고 간단하다. 수직 방향으로 높은 힘을 흡수하고 균일한 방식으로 힘을 분산시킬 수 있도록, 적어도 하나의 스러스트 리브가 적어도 실질적으로 환형으로 제공되는 것이 더 바람직하다.
다른 재료가 주조 화합물로서 사용될 수 있다. 주조 화합물은 예를 들어, 유리하게는 적어도 25 중량%의 알루민산삼칼슘 또는 3CaO·SiO2 및/또는 규산이칼슘(벨라이트) 또는 2CaO·SiO2를 가질 수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주조 화합물이 입방 미터(kg/m3) 당 적어도 200kg의 시멘트 함량 및/또는 예를 들어, 회백색, 부싯돌, 단백석 및/또는 백운석 형태의 알칼리 실리카 반응성 골재 및/또는 예를 들어, 몬모릴로나이트 형태의 적어도 2 중량% 함량의 벤토나이트를 갖는 경우에 특히 적절하다. 그러나, 주조 모르타르 및/또는 그라우트는 특히 안정적이고 내구성이 있으며 적용하기 쉽다. 그라우트는 예를 들어, 고강도 그라우트 콘크리트, 고강도 주조 모르타르 또는 시멘트 현탁액이며, 이는 다양한 조성으로 알려져 있다. 그라우트 콘크리트 또는 주조 모르타르는 골재, 특히 자갈, 화강암, 회백질 및/또는 부싯돌과 같은 세립 골재를 첨가하는 것이 특징이다. 시멘트 현탁액은 일반적으로 EN 197에 따라 수성 코팅된 포틀랜드 시멘트를 기반으로 한다. 대안적으로, 특수 모르타르가 사용된다. 입방체 압축 강도는 일반적으로 제곱 밀리미터 당 20N 이상이지만 보통 제곱 밀리미터(N/mm2) 당 40N 이상이다. 이 경우, 팽창성 주조 화합물, 팽창성 주조 화합물로 알려진 물질, 특히 경화 중에 팽창하는 그라우트, 팽창성 그라우트로 알려진 물질은 강제-맞춤 연결을 강화하기 위해 필요에 따라 사용될 수 있다. 알칼리 실리카 반응성 골재 또는 벤토나이트의 첨가로 제조된 그라우트가 특히 바람직하다. 그러나, 칼슘 설포알루미네이트 시멘트 또는 알루미네이트도 사용될 수 있다.
연결부의 특히 바람직한 제1 실시예의 경우, 연결부를 생성하기 위한 연결 부재 사이에 분리 층이 제공된다. 따라서, 연결부가 최종적으로 결합되기 전에 분리 층은 제거될 필요가 없다. 그러나, 이는 여전히 그럴 수 있다. 분리 층은 밀봉 화합물로서 및/또는 연결부의 둘레에 힘을 균일하게 분배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필름, 바람직하게는 플라스틱 필름, 특히 폴리비닐 클로라이드(PVC) 및/또는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PTFE)으로 제조된 필름 형태의 적어도 하나의 분리 층의 사용은 특히 간단하고 유리하다. 그러나, 분리 층은 또한 예를 들어, 알루미늄, 철 또는 스틸, 및/또는 탄소 섬유 직물 및/또는 유리 섬유 직물 및/또는 섬유 강화 복합 재료 형태의 금속에 의해 적어도 부분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추가 실시예에서, 연결부를 확립하기 위해 사용된 분리 층은 연결부가 후속적으로 설치되기 전에 풍화의 영향 하에 해상으로 팽창하는 분리 층에 의해 대체되거나 보충될 수 있다. 특히, 벤토나이트, 바람직하게는 벤토나이트 매트로 제조된 분리 층이 여기에서 고려된다.
대안적으로 또는 추가적으로, 연결 부재 및/또는 환형 갭에서 연결 부재 사이의 분리 층은 적어도 섹션에서 적어도 실질적으로 원통형으로 및/또는 적어도 실질적으로 원추형으로 설계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연결부를 쉽게 결합할 수 있으며 동시에 높은 힘을 흡수할 수 있는 연결부를 제공할 수 있다.
다른 모든 측면에서, 파이프 세그먼트는 적어도 환형 갭의 영역에서 원통형 또는 원추형으로 설계될 수 있다. 따라서, 원통형 파이프 세그먼트는 제공하는 것이 간단하고 비용 효율적이며, 원추형 파이프 세그먼트는 필요에 따라 더 큰 힘을 전달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또는 추가적으로, 연결부의 이점이 특히 작용하기 때문에 파이프 세그먼트는 해상 구조물의 파이프 세그먼트일 수 있다. 해당 해상 구조물은 예를 들어, 석유 또는 가스 플랫폼일 수 있다. 해당 비용 압력 및 시간 압력으로 인해, 파이프 세그먼트가 풍력 터빈, 특히 해상 풍력 터빈의 타워 세그먼트 또는 기초 세그먼트로 설계되는 경우 해당 타워를 설치하는 것이 특히 유리하다.
본 발명은 단지 예시적인 실시예를 도시하는 도면에 의해 이하에서 더 상세히 설명된다.
도 1은 해상 풍력 터빈의 개략적인 측면도이다.
도 2a 내지 도 2f는 본 발명에 따른 제1 연결부를 형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제1 방법의 방법 단계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3a 내지 도 3f는 본 발명에 따른 제1 연결부를 형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제1 방법의 방법 단계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1은 해상 풍력 터빈(W)을 도시한다. 풍력 터빈(W)은 해저(M)에 매립된 금속 파이프 형태의 기초 파일(P)에 의해 형성된 모노파일 기초(F)를 포함한다. 기초 파일(P)은 해수면(S) 위로 돌출되어, 풍력 터빈(W)의 나셀(G) 및 로터(O)를 지지하는 풍력 터빈(W)의 타워(T)에 대한 연결부를 통해 타워에 연결된다. 본 풍력 터빈(W)에서, 타워(T)의 하부는 원통형 파이프 세그먼트(1)로 설계되고, 기초 파일(P)의 상부는 원통형 파이프 세그먼트(2)로 설계된다. 두 파이프 세그먼트(1, 2)는 모두 스틸 파이프로 설계된다. 또한, 상부 파이프 세그먼트(1)의 직경은 하부 파이프 세그먼트(2)의 직경보다 크므로, 상부 파이프 세그먼트(1)의 하부 단부가 하부 파이프 세그먼트(2)의 상부 단부로 푸시될 수 있다.
도 2a 내지 도 2f는 2개의 파이프 세그먼트(1, 2) 사이에 연결부(3)가 형성되는 방법을 단계별로 도시한다. 좁은 파이프 세그먼트(2)의 단부에서, 길이 방향(L)으로 연장되는 분리 층(4)은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라스틱 필름의 형태로 초기에 적용된다. 이제, 서로 할당된 2개의 파이프 세그먼트(1, 2)의 단부는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파이프 세그먼트(1, 2)의 길이 방향(L)으로 섹션에서 함께 푸시된다. 원형 단면을 갖는 동심 파이프 세그먼트(1, 2)가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환형 갭(5)이 반경 방향(R)으로 형성된다. 다음 단계에서, 분리 층(4)은 상기 분리 층(4)이 도 2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적어도 섹션에서 원추형을 취하는 방식으로 다른 파이프 세그먼트(1)의 단부에 연결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분리 층(4)은 환형 갭(5)의 2개의 영역(6, 7)을 서로 분리한다. 하측 방향으로 개방된 영역(6)은 링(8) 또는 그라우트 실로 공지된 것과 같은 실로 밀봉되며, 분리 층(4)에 인접하고 그리고 분리 층의 양 측면에 있는 두 영역(6, 7)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주조 화합물(9)로 채워지고, 그런 다음 환형 갭(5)에서 경화되며, 주조 화합물(9)은 도 2d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 할당된 파이프 세그먼트(1, 2)에 견고하게 연결된 2개의 개별 연결 부재(10, 11)를 형성한다. 이러한 연결부(3)를 강화하기 위해, 각각의 경우에 복수의 스러스트 리브(12)가 좁은 내부 파이프 세그먼트(2)의 외부 측면과 넓은 외부 파이프 세그먼트(1)의 내부 측면 상에 제공되며, 각각의 파이프 세그먼트(1, 2)의 내부 측면 또는 외부 측면을 원형 방식으로 둘러싼다. 그러나, 파이프 세그먼트(1, 2) 및 할당된 연결 부재(10, 11)는 도 2e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동일한 길이 방향(L)으로 파이프 세그먼트(1, 2)를 서로 다시 잡아당김으로써 분리 층(4)을 따라 다시 서로 분리될 수 있다.
이제 파이프 세그먼트(1, 2)는 도 2f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해상 풍력 터빈(W)의 연결부(3)를 결합하기 위해 이전과 같이 해상 풍력 터빈(W)의 설치 위치로 개별적으로 이동되고 그곳에서 다시 삽입될 수 있다. 동일한 파이프 세그먼트(1, 2)가 이를 위해 주조 화합물(9)로부터 연결 부재(10, 11)를 형성하기 위해 사용되고, 파이프 세그먼트(1, 2)가 또한 주조 화합물(9)로부터 연결 부재(10, 11)를 형성하기 위해 다시 서로에 대해 회전되기 때문에, 정의되고 매우 정확한 연결부(3)가 얻어진다. 2개의 파이프 세그먼트(1, 2)는 2개의 연결 부재(10, 11)를 통해 파이프 세그먼트(1, 2)의 길이 방향(L)으로 형태-맞춤 방식으로 유지된다. 연결부(3)의 강제-맞춤 연결로 상부 파이프 세그먼트(1, 2)의 자중으로 인해 뒤틀림이 방지된다.
연결되는 파이프 세그먼트(1, 2)의 배향도 반대로 할 수 있다. 좁은 파이프 세그먼트(2)가 상부 파이프 세그먼트이고, 넓은 파이프 세그먼트(1)가 하부 파이프 세그먼트인 경우, 연결부(3)는 동일한 방식으로 설정될 수 있다. 길이 방향(L)으로 파이프 세그먼트(1, 2)의 배열은 연결부(3)가 최종적으로 결합될 때만 서로에 대해 반대로 되어야 한다. 대안적으로 또는 추가적으로, 연결되는 파이프 세그먼트(1, 2)의 배향은 또한 분리 층(4) 및/또는 적어도 하나의 주조 화합물(9)의 삽입 전에 반대로 할 수 있다. 따라서, 좁은 파이프 세그먼트(2)를 위에서부터 넓은 파이프 세그먼트(1)로 삽입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도 3a 내지 도 3f는 폭이 다른 2개의 파이프 세그먼트(21, 22) 사이에 대안적인 연결부(20)가 형성되는 방법을 단계별로 도시한다. 좁은 파이프(22)의 단부에서, 링(23)이 먼저 분리 가능하게 고정되고, 링(23)은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라스틱 필름의 형태로 길이 방향(L)으로 연장되는 분리 층(24)을 원주방향으로 유지한다. 더 아래에, 다른 링(25)이 플라스틱 필름 상에 유지된다. 이제, 서로 할당된 2개의 파이프 세그먼트(21, 22)의 단부는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파이프 세그먼트(21, 22)의 길이 방향(L)으로 섹션에서 함께 푸시된다. 원형 단면을 갖는 동심 파이프 세그먼트(21, 22)가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도 3c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환형 갭이 반경 방향(R)으로 형성된다. 분리 층(24)은 환형 갭(27)에 원통형 섹션(26)을 형성하고, 2개의 링(23, 25)은 분리 층(24)이 원통형 섹션(26)에서 두 파이프 세그먼트(21, 22)로부터 이격되는 것을 보장한다. 또한, 링(23, 25)은 상측 및 하측으로 환형 갭(27)을 폐쇄하여, 분리 층(24)의 양 측면에 있는 영역(28, 29)이 폐쇄되고, 주조 화합물(30)로 채워질 수 있으며, 그런 다음 환형 갭(27)에서 경화되고, 주조 화합물(30)은 도 3d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 할당된 파이프 세그먼트(21, 22)에 견고하게 연결된 2개의 개별 연결 부재(31, 32)를 형성한다. 이러한 연결부(20)를 강화하기 위해, 각각의 경우에 복수의 스러스트 리브(33)가 좁은 내부 파이프 세그먼트(22)의 외부 측면과 넓은 외부 파이프 세그먼트(21)의 내부 측면 상에 제공되며, 각각의 파이프 세그먼트(21, 22)의 내부 측면 또는 외부 측면을 원형 방식으로 둘러싼다. 그러나, 파이프 세그먼트(21, 22) 및 할당된 연결 부재(31, 32)는 도 3e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동일한 길이 방향(L)으로 파이프 세그먼트(21, 22)를 서로 다시 잡아당김으로써 분리 층(24)을 따라 다시 서로 분리될 수 있다.
이제 파이프 세그먼트(21, 22)는 도 3f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해상 풍력 터빈(W)의 연결부(20)를 결합하기 위해 이전과 같이 해상 풍력 터빈(W)의 설치 위치로 개별적으로 이동되고 그곳에서 다시 삽입될 수 있다. 동일한 파이프 세그먼트(21, 22)가 이를 위해 주조 화합물(30)로부터 연결 부재(31, 32)를 형성하기 위해 사용되고, 파이프 세그먼트(21, 22)가 또한 주조 화합물(30)로부터 연결 부재(31, 32)를 형성하기 위해 다시 서로에 대해 회전되기 때문에, 정의되고 매우 정확한 연결부(20)가 얻어진다. 길이 방향(L)에서, 파이프 세그먼트(21, 22)는 특히 강제-맞춤 연결의 결과로 서로에 대해 유지된다. 이는 팽창성 주조 화합물(30)로 인해 야기된다. 주조 화합물(30)은 원리 경화 후 일정 시간 동안 팽창한다. 결과적으로, 연결 부재(31, 32)는 연결부(20)를 결합한 후에 팽창한다. 해당 연결 부재(31, 32)는 결합된 상태에서 팽창의 결과로 서로에 대해 점점 더 눌려지고, 이는 강력한 강제-맞춤 연결을 초래한다.
기본적으로 연결부의 제조 및/또는 파이프 세그먼트(1, 2)의 후속 설치에서 좁은 파이프 세그먼트(2)가 위로부터 넓은 파이프 세그먼트(1)로 삽입되는지 또는 그 반대로 삽입되는지 여부는 이차적으로 중요하다.
1.2 파이프 세그먼트
3 연결부
4 분리 층
5 환형 갭
6, 7 영역
8 링
9 주조 화합물
10, 11 연결 부재
12 스러스트 리브
20 연결부
21, 22 파이프 세그먼트
23 링
24 분리 층
25 링
26 원통형 섹션
27 환형 갭
28, 29 영역
30 주조 화합물
31, 32 연결 부재
33 스러스트 리브
F 기초
G 나셀
L 길이 방향
M 해저
O 로터
P 기초 파일
R 반경 방향
S 해수면
T 타워
W 풍력 터빈

Claims (16)

  1. 바람직하게는 타워형 구조물, 특히 풍력 터빈의 폭이 다른 2개의 파이프 세그먼트(1, 2, 21, 22) 사이에 연결부(3, 20)를 형성하는 방법으로,
    - 넓은 파이프 세그먼트(1, 31)의 일 단부가 좁은 파이프 세그먼트(2, 32)의 단부 위로 부분적으로 푸시되고,
    - 파이프 세그먼트(1, 2, 21, 22)가 서로 거리를 두고 배치되어 파이프 세그먼트(1, 2, 21, 22) 사이에 환형 갭(5, 27)을 형성하고,
    - 파이프 세그먼트(1, 2, 21, 22)의 길이 방향(L) 및/또는 반경 방향(R)으로 연장되는 분리 층(4, 14)이 2개의 파이프 세그먼트(1, 2, 21, 22) 사이의 환형 갭(5, 27)에 제공되고,
    - 분리 층(4, 14)에 인접하고 그리고 분리 층(4, 14)의 적어도 하나의 측면 상에 있는 환형 갭(5, 27)이 적어도 부분적으로 주조 화합물(9, 30)로 채워지고,
    - 주조 화합물(9, 30)이 경화될 때, 분리 층(4, 14)의 하나의 측면 상에 있는 주조 화합물(9, 30)은 오직 파이프 세그먼트(1, 2, 21, 22) 중 하나와 고정 연결부(3, 20)를 형성하거나 및/또는 주조 화합물(9, 30)의 다른 측면 상에 있는 주조 화합물(9, 30)은 오직 다른 파이프 세그먼트(1, 2, 21, 22)와 고정 연결부를 형성하고, 및
    - 주조 화합물(9, 30)의 경화 후 파이프 세그먼트(1, 2, 21, 22)가 특히 경화된 주조 화합물(9, 30)에 의해 형성된 연관된 개별 연결 부재(10, 11, 21, 22)와 함께 분리 층(4, 14)을 따라 다시 분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부 형성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분리 층(4, 14)을 따라 파이프 세그먼트(1, 2, 21, 22)를 분리한 후, 이미 경화된 주조 화합물(9, 30)로부터 형성된 적어도 개별 연결 부재(10, 11, 31, 32)가 파이프 세그먼트(1, 2, 21, 22)의 길이 방향(L)에서 형태-맞춤 연결 및/또는 강제-맞춤 연결을 형성하는 방식으로 분리된 파이프 세그먼트(1, 2, 21, 22)가 다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부 형성 방법.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 스틸 파이프 세그먼트 또는 철근 콘크리트가 파이프 세그먼트(1, 2, 21, 22)로 사용되고, 및/또는
    - 원통형 또는 원추형 파이프 세그먼트(1, 2, 21, 22)가 적어도 환형 갭(5, 27)의 영역에서 파이프 세그먼트(1, 2, 21, 22)로 사용되고, 및/또는
    - 해상 구조물의 파이프 세그먼트(1, 2, 21, 22)가 파이프 세그먼트(1, 2, 21, 22)로 사용되고, 및/또는
    - 풍력 터빈(W), 특히 해상 풍력 터빈의 타워 세그먼트가 파이프 세그먼트(1, 2, 21, 22)로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부 형성 방법.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파이프 세그먼트(1, 2, 21, 22)가 서로 동심으로 배치되어 파이프 세그먼트(1, 2, 21, 22) 사이에 환형 갭(5, 27)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부 형성 방법.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 필름, 바람직하게는 플라스틱 필름, 특히 폴리비닐 클로라이드(PVC) 및/또는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PTFE)으로 제조된 필름이 분리 층(4, 14)으로 사용되고, 및/또는
    - 분리 층(4, 14)이 예를 들어, 알루미늄, 철 또는 스틸, 및/또는 탄소 섬유 직물 및/또는 유리 섬유 직물 및/또는 섬유 강화 복합 재료 형태의 금속에 의해 적어도 부분적으로 형성되고, 및/또는
    - 분리 층(4, 14)이 적어도 하나의 연결 부재(10, 11, 31, 32)의 제조 후에 특히, 벤토나이트 매트로 제조된 팽창성 분리 층에 의해 대체되거나 보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부 형성 방법.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 분리 층(4, 14)이 환형 갭(5, 27)의 적어도 섹션에서 원통형으로 배치되고,
    - 바람직하게는 분리 층(4, 14)의 적어도 원통형 섹션이 내부 파이프 세그먼트(2, 32) 및/또는 외부 파이프 세그먼트(1, 31)에 대해 적어도 실질적으로 동심으로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부 형성 방법.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 2개의 파이프 세그먼트(1, 2, 21, 22) 사이의 환형 갭(5, 27)에서, 파이프 세그먼트(1, 2, 21, 22)의 길이 방향(L)으로 환형 갭(5, 27)을 적어도 실질적으로 폐쇄하는 분리 층(4, 14)이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부 형성 방법.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 분리 층(4, 14)이 적어도 섹션에서 파이프 세그먼트(1, 2, 21, 22)의 길이 방향(L)에 대한 반경 방향(R)에서 원추형으로 및/또는 비스듬하게 형성되고,
    - 바람직하게는, 파이프 세그먼트(1, 2)의 길이 방향(L)에서 환형 갭(5)의 외부 에지부보다 환형 갭(5)에 할당된 내부 파이프 세그먼트(1, 2)의 단부에 가까운 환형 갭(5)의 내부 에지부 및/또는 파이프 세그먼트(1, 2)의 길이 방향(L)에서 환형 갭(5)의 내부 에지부보다 환형 갭(5)에 할당된 외부 파이프 세그먼트(1, 2)의 단부에 가까운 환형 갭(5)의 외부 에지부 상의 적어도 원추형 섹션에 분리 층(4)이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부 형성 방법.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 외부 파이프 세그먼트(1, 21)가 가열될 때 및/또는 내부 파이프 세그먼트(2, 32)가 냉각될 때 환형 갭(5, 27)이 적어도 부분적으로 주조 화합물(9, 30)로 채워지거나 및/또는 외부 파이프 세그먼트 및 내부 파이프 세그먼트는 주조 화합물(9, 30)이 경화된 후에 서로 다시 삽입되고, 및/또는
    - 경화된 연결 부재(10, 11, 31, 32)는 외부 파이프 세그먼트(1, 21)가 가열될 때 및/또는 내부 파이프 세그먼트(2, 22) 냉각될 때 분리 층(4, 14)을 따라 서로 분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부 형성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 냉각된 외부 파이프 세그먼트(1, 21) 및/또는 내부 파이프 세그먼트(2, 22)가 20℃ 미만, 바람직하게는 15℃ 미만, 특히 10℃ 미만의 온도로 냉각되고, 및/또는
    - 가열된 외부 파이프 세그먼트(1, 21) 및/또는 내부 파이프 세그먼트(2, 22)가 20℃ 초과, 바람직하게는 30 ℃ 초과, 특히 40℃ 초과의 온도로 가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부 형성 방법.
  11.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 외부 파이프 세그먼트(1, 21) 및/또는 내부 파이프 세그먼트(2, 22)가 환형 갭(5, 27)의 영역에 적어도 하나의 스러스트 리브(12, 33)를 갖고,
    -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하나의 스러스트 리브(12, 33)가 적어도 실질적으로 원주 방향으로 제공되고, 및
    - 더욱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하나의 스러스트 리브(12, 33)가 적어도 실질적으로 환형으로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부 형성 방법.
  12. 제1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 그라우트 및/또는 주조 모르타르가 주조 화합물(9, 30)로 사용되고,
    - 바람직하게는 경화 동안 팽창하는 그라우트, 팽창성 그라우트로 알려진 물질이 사용되고,
    - 더욱 바람직하게는, 알칼리 실리카 반응성 골재를 갖고 그라우트, 벤토나이트, 황산칼슘 알루미네이트 시멘트 및/또는 알루미네이트가 첨가된 그라우트가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부 형성 방법.
  13. 바람직하게는 타워형 구조물, 특히 풍력 터빈(W)의 폭이 다른 2개의 파이프 세그먼트(1, 2, 21, 22)의 연결부(3, 20)로,
    상기 연결부(3, 20)는 바람직하게는 제1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방법을 사용하여, 넓은 외부 파이프 세그먼트(1, 21)와 좁은 내부 파이프 세그먼트(2, 22)의 중첩 단부 사이에 환형 갭(5, 27)을 갖는, 연결부에 있어서,
    연결 부재(11, 32)가 환형 갭(5, 27)에서 내부 파이프 세그먼트(1, 31)의 외주 측면에 견고하게 연결되고, 다른 연결 부재(10, 31)가 환형 갭(5, 27)에서 외부 파이프 세그먼트(2, 22)의 내주 측면에 견고하게 연결되고, 연결 부재(10, 11, 31, 32) 중 적어도 하나가 경화된 주조 화합물(9, 30)에 의해 형성되고, 적어도 2개의 연결 부재(10, 11, 31, 32)가 파이프 세그먼트(1, 2, 21, 22)의 길이 방향(L)에서 형태-맞춤 및/또는 강제-맞춤 방식으로 파이프 세그먼트(1, 2, 21, 22)를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부.
  14. 제13항에 있어서,
    연결부(3, 20)를 생성하기 위해 연결 부재(10, 11, 31, 32) 사이에 분리 층(4, 14)이 제공되고, 바람직하게는 분리 층(4, 14)이 필름, 바람직하게는 플라스틱 필름, 특히 폴리비닐 클로라이드(PVC) 및/또는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PTFE)으로 제조된 필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부.
  15. 제13항 또는 제14항에 있어서,
    환형 갭(5, 27)의 연결 부재(10, 11, 31, 32)는 적어도 섹션에서 적어도 실질적으로 원통형으로 및/또는 적어도 실질적으로 원추형으로 설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부.
  16. 제13항 내지 제1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파이프 세그먼트(1, 2, 21, 22)가 적어도 환형 갭(5, 27)의 영역에서 원통형 또는 원추형으로 설계되고, 및/또는 파이프 세그먼트(1, 2, 21, 22)가 해상 구조물의 파이프 세그먼트(1, 2, 21, 22)이고, 및/또는 파이프 세그먼트(1, 2, 21, 22)가 풍력 터빈(W), 특히 해상 풍력 터빈의 타워 세그먼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부.
KR1020217028399A 2019-02-07 2020-01-07 폭이 다른 2개의 관형 세그먼트 사이에 연결부를 형성하는 방법 및 그에 따라 생성된 연결부 KR20210123382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19103070.6 2019-02-07
DE102019103070.6A DE102019103070A1 (de) 2019-02-07 2019-02-07 Verfahren zur Bildung einer Verbindung zwischen zwei Rohrsegmenten unterschiedlicher Weite und entsprechend hergestellte Verbindung
PCT/EP2020/050177 WO2020160857A1 (de) 2019-02-07 2020-01-07 Verfahren zur bildung einer verbindung zwischen zwei rohrsegmenten unterschiedlicher weite und entsprechend hergestellte verbindung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23382A true KR20210123382A (ko) 2021-10-13

Family

ID=691677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7028399A KR20210123382A (ko) 2019-02-07 2020-01-07 폭이 다른 2개의 관형 세그먼트 사이에 연결부를 형성하는 방법 및 그에 따라 생성된 연결부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20220106757A1 (ko)
EP (1) EP3921475B1 (ko)
JP (1) JP2022520056A (ko)
KR (1) KR20210123382A (ko)
DE (1) DE102019103070A1 (ko)
PL (1) PL3921475T3 (ko)
WO (1) WO202016085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032403A1 (es) * 2020-08-13 2022-02-17 Mecal Intellectual Property And Standards B.V. Metodo para llevar a cabo una union de trabado (shear key) entre elementos prefabricados para la construcción de una torre de turbina eólica de concreto o similar
WO2022203518A1 (en) * 2021-03-26 2022-09-29 Isq As Outrigger system for transportation and installation of fixed foundation wind turbines
EP4370415A1 (en) * 2021-07-12 2024-05-22 Stiesdal Offshore A/S A floating offshore support structure, especially for an offshore wind turbine, its assembly method and use as well as a precursor frame structure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38082A (en) * 1890-10-07 Foster milliken
US1475090A (en) * 1922-06-19 1923-11-20 Lynchburg Foundry Company Flexible pipe joint
US1781682A (en) * 1928-03-15 1930-11-18 Universal Pipe And Radiator Co Soil pipe
AT151477B (de) * 1932-12-15 1937-11-10 Josef Ing Pfistershammer Auskegeligen, dünnwandigen Blechrohrstücken zusammengesetzter rohrförmiger Mast, insbesondere Freileitungsmast.
US3034209A (en) * 1956-07-31 1962-05-15 Bianca Edoardo Giuseppe Method of making tapered tubular sections
US3936206A (en) * 1975-02-18 1976-02-03 Bruce-Lake Company Tubular pole slip joint construction
US5784851A (en) * 1996-04-23 1998-07-28 Waugh; Tom W. Centrifugally cast pole and method
US20040094903A1 (en) * 2002-11-19 2004-05-20 Bruce Sutherland Self-lubricating sealing ring
DE10330963A1 (de) * 2003-07-08 2005-01-27 Repower Systems Ag Gründung für Bauwerke
US8555600B2 (en) * 2008-12-10 2013-10-15 Cortina Innovations, S.A. De C.V. Method for mounting in sections an annular tower for wind power generator, heliostatic power generator or chimney composed from three concrete segments or more
JP5136726B2 (ja) * 2011-03-02 2013-02-06 新日鐵住金株式会社 振動が生じる構造物のモノパイル式基礎構造。
DE102011107804A1 (de) * 2011-07-17 2013-01-17 Philipp Wagner Bauprinzip für Turmkonstruktion für Windenergieanlagen
PT2785921T (pt) * 2011-11-28 2017-09-13 Keystone Eng Inc Conexão cilíndrica acafelada utilizando superfícies de apoio para fundações monoestaca offshore
DE102012016092A1 (de) * 2012-08-14 2014-02-20 Rwe Innogy Gmbh Verfahren zur Gründung eines Offshore-Bauwerks sowie Fundament für ein Offshore-Bauwerk
DE102014102166A1 (de) 2014-02-20 2015-09-03 Reinhold Storti Flächige Schallschutzkonstruktion
EP2910686B1 (en) * 2014-02-25 2018-10-31 KCI the engineers B.V. In-line connection for an offshore onstruction; offshore construction; method for installing
NL2017594B1 (en) * 2016-10-10 2018-04-16 Delft Offshore Turbine B V Offshore structure comprising a coated slip joint and method for forming the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0160857A1 (de) 2020-08-13
EP3921475B1 (de) 2023-02-22
DE102019103070A1 (de) 2020-08-13
US20220106757A1 (en) 2022-04-07
PL3921475T3 (pl) 2023-07-10
JP2022520056A (ja) 2022-03-28
EP3921475A1 (de) 2021-12-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10123382A (ko) 폭이 다른 2개의 관형 세그먼트 사이에 연결부를 형성하는 방법 및 그에 따라 생성된 연결부
RU2564328C2 (ru) Башня с переходной частью и способ изготовления башни с переходной частью
AU2010241529B2 (en) Tower foundatio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such system
DK2242885T3 (en) Wind energy plant and method for its construction
CN1965165B (zh) 建造塔的方法
CN109184737A (zh) 可让压吸能的隧道预应力约束充填衬砌支护体系及工艺
US20210018093A1 (en) Sealing Arrangement for a Connection Between Two Connecting Elements of an Offshore Structure and Method for Producing Same
US10697488B2 (en) Connection between two joining partners, and method for establishing said connection
CN110985764A (zh) 一种减振防水穿墙管结构及其施工方法
AU2011347635A1 (en) Pipe repair method and repaired pipe
CN201400938Y (zh) 一种灌浆套管连接节点
JP4644972B2 (ja) 鋼管の継手構造
US11788273B2 (en) Device and method for anchoring an equipment to a civil engineering structure
CN210660137U (zh) 一种盾构端头环梁与管片接缝处渗漏维修结构
RU152410U1 (ru) Облицованный канализационный колодец
JP2011026879A (ja) 既製コンクリート杭のせん断耐力強化方法
CN113279781A (zh) 一种预制地铁盾构管片及其检测和安装方法
JP6290491B1 (ja) コンクリート構造物の接合方法
JP3242618U (ja) 曲面樹脂コンクリートパネル連結薄肉円筒構造体
CN105229354A (zh) 附着有自动锁止器的埋入管的伸缩连接部
US11808003B2 (en) Method of rehabilitating a manhole
CN109184734A (zh) 一种用于矩形地下空间的装配式护壳衬砌结构及施作方法
CN218761890U (zh) 一种管材穿墙套管密封防水结构
RU2718765C1 (ru) Термоизолирующее направление
Ehsani et al. A New FRP Solution for Reconstruction of Deteriorated Pipes and Culvert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