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23072A - 양치컵 - Google Patents
양치컵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10123072A KR20210123072A KR1020200040347A KR20200040347A KR20210123072A KR 20210123072 A KR20210123072 A KR 20210123072A KR 1020200040347 A KR1020200040347 A KR 1020200040347A KR 20200040347 A KR20200040347 A KR 20200040347A KR 20210123072 A KR20210123072 A KR 20210123072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up
- lid
- cup body
- holding
- toothbrush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1/00—Wash-stands; Appurtenances therefor
- A47K1/08—Accessories for toilet tables, e.g. glass plates, supports therefor
- A47K1/09—Holders for drinking glasses, tooth brushes, hair brushes, or the like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19/00—Table service
- A47G19/22—Drinking vessels or saucers used for table service
- A47G19/2205—Drinking glasses or vessel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4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7G19/00-A47G23/16
- A47G2400/02—Hygien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Dent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Supports Or Holders For Household Us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양치질을 할 때 사용하는 양치컵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거꾸로 거치가 가능하면서도 본래의 목적을 위한 사용시 안정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내부가 비고 상단에 입구가 형성된 통 형태를 이루는 컵본체; 및 판 형태를 이루며 상기 컵본체의 바닥면을 밀폐하도록 체결수단에 의해 컵본체에 결합되는 거치뚜껑;을 포함하되, 상기 거치뚜껑은 컵본체와 힌지결합되고 거치수단이 형성되어, 상기 체결수단에 의한 결합을 해제하여 거치뚜껑을 회전시킨 후 상기 거치수단을 통해 입구가 하방을 향하게끔 뒤집어진 상태로 거치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치컵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양치질을 할 때 사용하는 양치컵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거꾸로 거치가 가능한 양치컵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양치란 이를 닦고 물로 입 안을 가심을 의미하며, 이러한 양치를 함에 있어 통상 칫솔, 치약, 양치컵 등을 사용한다.
양치컵은 치약을 묻힌 칫솔을 통해 이를 닦은 후 물로 입을 가시는데 사용하는 것으로, 양치하는 과정에서 물을 담게 되므로 사용 후 젖은 상태를 이루게 되며, 이러한 상태에서 입구가 상방을 향하도록 세워놓을 시 먼지 등 이물질이 상기 입구를 통해 양치컵 내부에 쌓이게 되어 세균이 번식하게 되는 등 문제가 발생된다.
이에 따라,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 제20-2009-0006673호(이하, '인용발명'이라 함)에는 양치 후 입구가 하방을 향하도록 거치할 수 있는 양치용 컵이 제안되고 있다. 구체적으로 인용발명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부(10) 하부에 걸림부(20)가 돌출형성되어 걸림부(20)를 통해 거꾸로 거치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인용발명은 몸체부(10)를 거꾸로 거치하여 위생적이기는 하나, 걸림부(20)가 고리 형태로 몸체부(10)로부터 돌출형성되어 있는바, 양치컵을 본래의 목적으로 사용시 이로 인해 걸림이 발생되거나 쉽게 균형을 잃을 수 있다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거꾸로 거치가 가능하면서도 본래의 목적을 위한 사용시 안정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양치컵을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인 양치컵은, 내부가 비고 상단에 입구가 형성된 통 형태를 이루는 컵본체; 및 판 형태를 이루며 상기 컵본체의 바닥면을 밀폐하도록 체결수단에 의해 컵본체에 결합되는 거치뚜껑;을 포함하되, 상기 거치뚜껑은 컵본체와 힌지결합되고 거치수단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거치뚜껑은 칫솔을 꽂을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칫솔거치홀이 관통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거치뚜껑은 상기 체결수단에 의한 결합을 해제시 탄성적으로 열릴 수 있다.
또한, 상기 컵본체와 거치뚜껑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는 거치뚜껑의 탄성적인 열림시 열리는 각도가 컵본체의 바닥면과 둔각을 이루도록 하는 각도제한부재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거치수단은 거치뚜껑에서 컵본체와 힌지결합되는 부분의 반대편 측에 관통형성된 본체거치홀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체결수단에 의해 컵본체와 결합된 거치뚜껑의 결합을 해제하고 거치수단을 통해 입구가 하방을 향하게끔 뒤집어진 상태로 거치할 수 있으므로 컵본체를 효과적으로 건조시키고 위생적인 상태를 유지할 수 있으며, 본래의 목적을 위해 물을 내부에 채운 상태에서도 판 형태를 이루는 거치뚜껑은 본체에 결합되어 안정적으로 컵본체를 지지할 수 있다.
또한, 거치뚜껑에 형성된 칫솔거치홀을 이용하여 칫솔을 꽂을 수 있으며, 거치뚜껑의 탄성적인 열림과 각도제한부를 통해 거치된 거치뚜껑의 하방으로 칫솔이 들어갈 수 있는 공간이 자연스레 형성되어, 칫솔의 손쉬운 거치가 가능하다.
도 1은 종래 양치컵의 구조와 사용예를 보여주는 예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양치컵이 똑바로 놓여진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양치컵에 적용되는 컵본체의 하단부에 거치뚜껑이 결합된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양치컵에 적용되는 거치뚜껑이 열려진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양치컵에 적용되는 거치뚜껑이 탄성적으로 열리게끔 컵본체에 결합된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양치컵에 적용되는 거치뚜껑을 통해 컵본체가 뒤집어진 상태로 거치되고 거치뚜껑에 칫솔이 끼워지는 것을 보여주는 예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양치컵에 적용되는 해제버튼의 작동시 거치뚜껑이 열리는 것을 보여주는 예시도,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양치컵에 적용되는 거치뚜껑을 컵본체와 결합시킬 수 있는 고정돌기가 컵본체에 형성된 것을 보여주는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에 의한 양치컵에 적용되는 거치뚜껑이 각도제한부재에 의해 열리는 각도가 제한되는 것을 보여주는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에 의한 양치컵에 적용되는 컵본체의 바닥면에 거울이 구비된 것을 보여주는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양치컵이 똑바로 놓여진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양치컵에 적용되는 컵본체의 하단부에 거치뚜껑이 결합된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양치컵에 적용되는 거치뚜껑이 열려진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양치컵에 적용되는 거치뚜껑이 탄성적으로 열리게끔 컵본체에 결합된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양치컵에 적용되는 거치뚜껑을 통해 컵본체가 뒤집어진 상태로 거치되고 거치뚜껑에 칫솔이 끼워지는 것을 보여주는 예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양치컵에 적용되는 해제버튼의 작동시 거치뚜껑이 열리는 것을 보여주는 예시도,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양치컵에 적용되는 거치뚜껑을 컵본체와 결합시킬 수 있는 고정돌기가 컵본체에 형성된 것을 보여주는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에 의한 양치컵에 적용되는 거치뚜껑이 각도제한부재에 의해 열리는 각도가 제한되는 것을 보여주는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에 의한 양치컵에 적용되는 컵본체의 바닥면에 거울이 구비된 것을 보여주는 사시도.
본 발명에서는 거꾸로 거치가 가능하면서도 본래의 목적을 위한 사용시 안정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내부가 비고 상단에 입구가 형성된 통 형태를 이루는 컵본체; 및 판 형태를 이루며 상기 컵본체의 바닥면을 밀폐하도록 체결수단에 의해 컵본체에 결합되는 거치뚜껑;을 포함하되, 상기 거치뚜껑은 컵본체와 힌지결합되고 거치수단이 형성되어, 상기 체결수단에 의한 결합을 해제하여 거치뚜껑을 회전시킨 후 상기 거치수단을 통해 입구가 하방을 향하게끔 뒤집어진 상태로 거치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치컵을 제안한다.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하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기술분야의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자에 의하여 다양하게 변형 실시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인 양치컵은 첨부된 도 2 내지 도 10을 참고로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인 양치컵은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컵본체(100)와, 컵본체(100)와 결합되는 거치뚜껑(200)을 포함한다.
컵본체(100)는 통상 양치질을 할 때 사용되는 컵으로, 내부가 비고 상단에 입구가 형성된 통 형태를 이루며, 횡단면이 원형 또는 다각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거치뚜껑(200)은 판 형태를 이루어,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컵본체(100)의 바닥면을 밀폐하도록 체결수단에 의해 컵본체(100)와 결합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을 본래의 목적을 위해 물을 내부에 채운 상태에서도 안정적으로 컵본체(100)를 지지할 수 있다. 이러한 거치뚜껑(200)은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판 형태로만 이루어질 수 있음은 물론, 판 형태를 이루는 거치뚜껑의 바닥면과, 상기 거치뚜껑의 바닥면을 둘러싸는 측벽을 포함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거치뚜껑(200)은 다양한 크기와 형태를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으나, 본 발명을 사용시, 보다 안정적으로 컵본체(100)가 지지될 수 있도록 컵본체(100)의 바닥면과 대응되는 크기와 형태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거치뚜껑(200)은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컵본체(100)와 힌지결합되고, 상기 체결수단에 의해 컵본체(100)의 바닥면을 밀폐한 상태를 유지한다. 구체적인 일 예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컵본체(100)의 바닥면 일측에는 소정의 간격 이격되어 축고정구(150)가 돌출 형성될 수 있으며, 축고정구(150)에는 회전축이 고정될 수 있다. 또한, 거치뚜껑(200)은 두 개의 축고정구(150) 사이에 대응되는 길이를 가지며 내부에 상기 회전축이 삽입될 수 있는 축삽입구(240)가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거치뚜껑(200)에 대하여, 체결수단에 의한 컵본체(100)와의 결합을 해제하고 힌지결합된 부분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소정의 각도를 이루며 열리도록 할 수 있다.
또한, 거치뚜껑(200)은 거치수단이 형성된다. 상기 거치수단은 욕실 등의 벽면에 설치된 고리에 걸거나, 벽면에 부착할 수 있도록 다양하게 구성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거치수단은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거치뚜껑(200)에서 컵본체(100)와 힌지결합되는 부분의 반대편 측에 관통형성된 본체거치홀(220)일 수 있다. 이러한 본체거치홀(220)를 통해 거치뚜껑(200)이 열려진 상태를 이루는 본 발명을 벽면에 설치된 고리에 걸어 거치할 수 있다.
다른 일 예로, 도면에 도시되지 않았으나, 상기 거치수단은 흡착고무(압착고무, 흡착판)일 수 있으며, 상기 흡착고무를 이용하여 욕실의 벽면이나 거울 등에 본 발명을 거치할 수 있다. 다만, 흡착고무와 같은 거치수단은 거치뚜껑(200)에 돌출되게끔 구비될 수밖에 없어, 본 발명을 본래의 목적으로 사용시 제대로 지지되지 못할 가능성이 있는바, 본체거치홀(220)과 같이 돌출되지 않도록 형성되는 거치수단을 채택함이 보다 바람직하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인 양치컵은, 컵본체(100)의 바닥면을 밀폐하도록 상기 체결수단에 의해 결합된 거치뚜껑(200)의 결합을 해제하고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거치수단을 통해 입구가 하방을 향하게끔 뒤집어진 상태로 거치할 수 있어, 컵본체(100) 내부가 용이하게 건조될 수 있으며 컵본체(100) 내부로 먼지 등과 같은 이물질이 인입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체결수단은 다양한 방식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체결수단의 일 예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컵본체(100)의 바닥면에서 힌지지결합되는 부분의 반대편 측에 컵본체(100)의 바닥면으로부터 돌출되게끔 체결돌기(110)가 구비될 수 있으며, 체결돌기(110)와 인접한 컵본체(100)의 측면에는 컵본체(100)의 측면으로부터 돌출되게끔 해제버튼(120)이 구비될 수 있다. 해제버튼(120)은 탄성적으로 작동이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체결돌기(110)와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체결돌기(110)와 대응되는 거치뚜껑(200) 부분에는 체결돌기(110)에 의한 걸림이 발생될 수 있도록 체결홈(230)이 함입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거치뚜껑(200)이 컵본체(100)의 바닥면을 밀폐하도록 하면, 체결돌기(110)과 체결홈(230)에 걸려 거치뚜껑(200)은 고정된 상태를 이루므로 사용자는 양치를 한 후 컵본체(100)의 내부에 물을 담아 입을 행구는데, 거치뚜껑(200)으로부터 간섭을 받지 않을 수 있다. 이처럼 본 발명에 의한 양치컵을 사용한 후, 사용자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해제버튼(120)을 누름으로써 체결홈(230)에 대한 체결돌기(110)의 걸림이 해제하여 거치뚜껑(200)이 열리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체결수단의 다른 일 예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거치뚜껑(200)이 컵본체(100)의 바닥면을 밀폐하였을 때, 거치뚜껑(200)에 형성된 본체거치홀(220)이 위치하는 부분과 대응되는 컵본체(100)의 바닥면에 고정돌기(140)가 돌출형성될 수 있다. 고정돌기(140)는 본체거치홀(220)과 대응되는 형태와 크기로 형성되어, 본체거치홀(220)에 억지끼워짐으로써 거치뚜껑(200)을 고정시킬 수 있다.
한편, 거치뚜껑(200)에는 칫솔, 혀클리너 등과 같은 도구를 꽂을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칫솔거치홀(210)이 관통형성될 수 있다. 칫솔거치홀(210)은 거치뚜껑(200)의 다양한 위치에 형성될 수 있으나, 거치뚜껑(200)에 본체거치홀(220)이 형성된 경우 이보다 내측에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칫솔거치홀(210)은 칫솔이나 혀클리너 등과 같은 도구의 헤드가 걸릴 수 있을 정도의 크기를 가지도록 형성됨이 바람직하며, 상이한 크기를 가지도록 복수 개가 형성될 수도 있다. 이를 통해 본 발명인 양치컵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거치뚜껑(200)을 열어 컵본체(100)가 뒤집어진 상태로 거치할 때, 칫솔거치홀(210)에 칫솔을 끼움으로써 벽면과 컵본체(100) 사이에 칫솔을 거치할 수 있다. 즉, 별도의 칫솔거치대를 마련하지 않아도 양치를 한 후 칫솔을 위생적이면서도 간편하게 거치할 수 있다.
그리고 거치뚜껑(200)은 상기 체결수단에 의한 결합을 해제시 탄성적으로 열리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 예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회전축이 구비되는 부분에 스프링(130)을 설치하여,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해제버튼(120)을 누르면 거치뚜껑(200)이 탄성에 의해 열리도록 할 수 있다. 이때 탄성은 거치뚜껑(200)이 열리는 방향으로 작용하게 되므로, 이러한 상태에서 도 6과 같이 양치컵을 거치하면 스프링(130)의 탄성에 의해 자연스레 거치뚜껑(200)의 하방으로 칫솔이 삽입될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되므로, 칫솔을 칫솔거치홀(210)에 꽂는 과정에서 사용자가 별도로 컵본체(100)를 들어올리거나 하는 등의 동작을 취할 필요가 없는바, 칫솔 거치의 편의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
이에 더하여, 컵본체(100)와 거치뚜껑(20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는 거치뚜껑(200)의 탄성적인 열림시, 열리는 각도가 컵본체(100)의 바닥면과 둔각을 이루도록 하는 각도제한부재(300)가 더 구비될 수 있다. 각도제한부재(300)는 다양한 형태로 구비될 수 있으며, 일 예로,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끈 형태를 이루며 양단이 컵본체(100)와 거치뚜껑(200)을 연결하며, 최대로 펴지면 거치뚜껑(200)이 컵본체(100)의 바닥면과 둔각을 이루도록 하는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다른 일 예로, 도면에 도시되지 않았으나 컵본체(100) 하단 측면에 거치뚜껑(200)이 안착되어 일정 각도를 초과하여 열리지 않도록 하는 안착돌기가 돌출형성될 수 있다. 다만, 상기 안착돌기는 거치뚜껑(200)이 상기 체결수단에 의해 컵본체(100)와 결합되어 닫힌 상태를 이룰 시 거치뚜껑(200)의 바닥면으로부터 돌출되지 않도록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즉, 본 발명은 거치뚜껑(200)의 탄성적인 열림과 각도제한부재(300)를 통해 거꾸로 거치된 컵본체(100)와 벽면 사이에 칫솔이 들어갈 수 있는 공간을 자연스레형성할 수 있는바, 칫솔의 손쉬운 거치가 가능하다.
한편, 컵본체(100)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측 바닥면에 거울(400)을 구비할 수 있으며, 거울(400)은 평면 거울, 볼록 거울, 오목 거울 등을 포함하며, 특히 볼록 거울을 채택하여 사용자의 특정 부위를 확대되도록 할 수 있다. 거울(400)은 거치뚜껑(200)이 열릴 시 외부로 노출되며, 본 발명을 거치한 상태에서 사용자가 거울을 보며 자신의 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이는 야외에서 캠핑 등을 할 때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100 : 컵본체
110 : 체결돌기
120 : 해제버튼 130 : 스프링
140 : 고정돌기 150 : 축고정구
200 : 거치뚜껑 210 : 칫솔거치홀
220 : 본체거치홀 230 : 체결홈
240 : 축삽입구
300 : 각도제한부재
400 : 거울
120 : 해제버튼 130 : 스프링
140 : 고정돌기 150 : 축고정구
200 : 거치뚜껑 210 : 칫솔거치홀
220 : 본체거치홀 230 : 체결홈
240 : 축삽입구
300 : 각도제한부재
400 : 거울
Claims (5)
- 내부가 비고 상단에 입구가 형성된 통 형태를 이루는 컵본체(100); 및
판 형태를 이루며 상기 컵본체(100)의 바닥면을 밀폐하도록 체결수단에 의해 컵본체(100)에 결합되는 거치뚜껑(200);을 포함하되,
상기 거치뚜껑(200)은 컵본체(100)와 힌지결합되고 거치수단이 형성되어, 상기 체결수단에 의한 결합을 해제하여 거치뚜껑(200)을 회전시킨 후 상기 거치수단을 통해 입구가 하방을 향하게끔 뒤집어진 상태로 거치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치컵.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거치뚜껑(200)은 칫솔을 꽂을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칫솔거치홀(210)이 관통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치컵.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거치뚜껑(200)은 상기 체결수단에 의한 결합을 해제시 탄성적으로 열리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치컵.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컵본체(100)와 거치뚜껑(20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는 거치뚜껑(200)의 탄성적인 열림시 열리는 각도가 컵본체(100)의 바닥면과 둔각을 이루도록 하는 각도제한부재(300)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치컵.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거치수단은 거치뚜껑(200)에서 컵본체(100)와 힌지결합되는 부분의 반대편 측에 관통형성된 본체거치홀(22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치컵.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040347A KR102347097B1 (ko) | 2020-04-02 | 2020-04-02 | 양치컵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040347A KR102347097B1 (ko) | 2020-04-02 | 2020-04-02 | 양치컵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10123072A true KR20210123072A (ko) | 2021-10-13 |
KR102347097B1 KR102347097B1 (ko) | 2022-01-04 |
Family
ID=781152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00040347A KR102347097B1 (ko) | 2020-04-02 | 2020-04-02 | 양치컵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347097B1 (ko)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90006673U (ko) | 2007-12-28 | 2009-07-02 | 박준성 | 양치용 컵 |
CN202313049U (zh) * | 2011-11-22 | 2012-07-11 | 丁铭跃 | 消毒杀菌牙杯 |
CN207928253U (zh) * | 2017-08-19 | 2018-10-02 | 林坚 | 一种可倒挂及安插牙刷的刷牙杯 |
CN208822627U (zh) * | 2017-07-31 | 2019-05-07 | 中山大学新华学院 | 一种易清洗牙刷杯 |
-
2020
- 2020-04-02 KR KR1020200040347A patent/KR102347097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90006673U (ko) | 2007-12-28 | 2009-07-02 | 박준성 | 양치용 컵 |
CN202313049U (zh) * | 2011-11-22 | 2012-07-11 | 丁铭跃 | 消毒杀菌牙杯 |
CN208822627U (zh) * | 2017-07-31 | 2019-05-07 | 中山大学新华学院 | 一种易清洗牙刷杯 |
CN207928253U (zh) * | 2017-08-19 | 2018-10-02 | 林坚 | 一种可倒挂及安插牙刷的刷牙杯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347097B1 (ko) | 2022-01-04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7861858B2 (en) | Holding device for use in a bathroom | |
JP5378533B2 (ja) | 歯ブラシ収納装置付き歯ブラシ充電ステーション | |
US8522973B2 (en) | Toothbrush holder having illuminating means | |
US4053960A (en) | Back scrubber | |
KR200405861Y1 (ko) | 칫솔걸이 | |
KR101109003B1 (ko) | 휴대용 칫솔 살균기 | |
KR102347097B1 (ko) | 양치컵 | |
KR101648375B1 (ko) | 착탈식 칫솔꽂이 | |
US4927011A (en) | Storage device for personal dental hygiene and oral care products | |
KR100980071B1 (ko) | 휴대용 칫솔살균기 | |
KR200497000Y1 (ko) | 자석식 칫솔 거치대 | |
KR20120105287A (ko) | 칫솔살균기 | |
KR200401763Y1 (ko) | 휴대용 칫솔 | |
JP3145888U (ja) | 歯ブラシ掛け | |
KR102214587B1 (ko) | 양치용 컵 결합형 칫솔세트 | |
KR200414452Y1 (ko) | 양치도구 보관함 | |
KR100464626B1 (ko) | 흡착구가 구비된 칫솔 | |
KR101426326B1 (ko) | 수도꼭지 연장탭 | |
KR200462561Y1 (ko) | 변기 세척 브러쉬 | |
KR200474491Y1 (ko) | 칫솔걸이 | |
KR20210121397A (ko) | 물통 일체형 분리형 칫솔 | |
KR20130006445U (ko) | 다기능 칫솔 | |
KR200376363Y1 (ko) | 치약 수납이 가능한 휴대용 칫솔 | |
KR200373499Y1 (ko) | 컵과 이를 위한 컵행거 및 그 세트 | |
JP2000083737A (ja) | トイレブラシ収納容器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