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22987A - 스마트 팩토리가 가능한 창고 관리 시스템 및 그 시스템을 이용한 물품 배치 방법 - Google Patents

스마트 팩토리가 가능한 창고 관리 시스템 및 그 시스템을 이용한 물품 배치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22987A
KR20210122987A KR1020200040082A KR20200040082A KR20210122987A KR 20210122987 A KR20210122987 A KR 20210122987A KR 1020200040082 A KR1020200040082 A KR 1020200040082A KR 20200040082 A KR20200040082 A KR 20200040082A KR 20210122987 A KR20210122987 A KR 2021012298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rticle
warehouse
relative movement
entropy
movement distan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400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42462B1 (ko
Inventor
이진성
윤대영
Original Assignee
(주)에스피에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에스피에스 filed Critical (주)에스피에스
Priority to KR10202000400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42462B1/ko
Publication of KR202101229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2298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424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4246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8Logistics, e.g. warehousing, loading or distribution; Inventory or stock management
    • G06Q10/087Inventory or stock management, e.g. order filling, procurement or balancing against ord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00Storing articles, individually or in orderly arrangement, in warehouses or magazines
    • B65G1/02Storage devices
    • B65G1/04Storage devices mechanical
    • B65G1/137Storage devices mechanical with arrangements or automatic control means for selecting which articles are to be removed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8Logistics, e.g. warehousing, loading or distribution; Inventory or stock management
    • G06Q50/28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90/00Enabling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contribution to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P90/30Computing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conomics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Finance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창고 관리 시스템은 창고에 입고되는 물품별 위치정보를 저장하고, 위치정보를 기준으로 출고시 상대적 이동거리를 계산하고, 물품별 출고확률에 따라 상대적 이동 거리를 고려하여 입고되는 물품의 적재 위치를 결정하는 관리서버;상기 관리서버로부터 적재 위치를 전송받아 해당 물품을 선반 내 적재 위치에 이송하는 물품이송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스마트 팩토리가 가능한 창고 관리 시스템 및 그 시스템을 이용한 물품 배치 방법{Warehouse management system capable of smart factory and material arrangement method using the system}
본 발명은 창고 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스마트 팩토리가 가능한 창고 관리 시스템 및 그 시스템을 이용한 물품 배치 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물류 이동 시스템은 물품을 출고하기 위한 최적의 이동 경로에 초점이 맞춰져 있다.
이는 외판원 문제(traveling salesman problem)으로 알려져 있고, 해를 구하기가 쉽지 않다고 알려져 있다. 창고 안에서 이 문제의 해를 구하기 위해 AI와 같은 방법이 도입 되고 있으나 많은 계산 양을 필요로 한다.
즉, 이동 경로에 초점을 맞추지 않고 배치에 초점을 맞춰 전체적인 이동 경로의 평균값을 낮춰서 작업 효율을 높일 수 있는 방안이 필요하다.
특히, 계산 양을 줄이면서 창고 내에서 작업 효율을 개선하는 방법이 필요한 실정이다.
따라서, 전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창고 관리 시스템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게 되었다.
대한민국 공개 특허 제10-2016-0122430호(2016년10월24일 공개)
본 발명의 목적은 물품별 출고 확률에 따라 물품별 상대적 이동거리를 고려하여, 효율적인 물품 배치 위치를 결정할 수 있는 창고 관리 시스템 및 그 시스템을 이용한 물품 배치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창고 관리 시스템은, 창고에 입고되는 물품별 위치정보를 저장하고, 위치정보를 기준으로 출고시 상대적 이동거리를 계산하고, 물품별 출고확률에 따라 상대적 이동 거리를 고려하여 입고되는 물품의 적재 위치를 결정하는 관리서버; 상기 관리서버로부터 적재 위치를 전송받아 해당 물품을 선반 내 적재 위치에 이송하는 물품이송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에 있어서, 상기 물품별 출고확률은 설정기간 동안 창고 내 모든 물품이 출고된 총 횟수와 해당 설정기간 동안 해당 물품이 출고된 총 횟수를 이용하여 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 있어서, 상기 관리서버는 상기 물품별 출고 확률에 따라 물품 배치 위치를 결정하기 위해 각 물품별 상대적 이동거리(Di) 및 엔트로피(H)를 계산하고, 엔트로피와 엔트로피를 기준으로 한 상대적 이동거리는 창고의 배치도에 표시하며, 특정 물품의 상대적 이동거리를 배치도 표시와 비교하여 특정 물품의 배치가 물품이송장치를 통하여 수행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물품 배치 방법은, 관리서버는 설정기간 동안 창고 내 모든 물품이 출고된 총 횟수와 해당 설정기간 동안 해당 물품이 출고된 총 횟수를 이용하여 물품별 출고확률(Pi)을 계산하는 단계; 상기 관리서버는 물품별 출고 확률에 따라 효율적인 물품 배치 위치를 결정하기 위해 각 물품별 상대적 이동거리(Di) 및 엔트로피(H)를 계산하는 단계; 상기 관리서버는 엔트로피와 엔트로피를 기준으로 한 상대적 이동거리를 창고의 배치도에 표시하는 단계; 특정 물품의 상대적 이동거리를 배치도 표시와 비교하여 특정 물품의 배치가 물품이송장치를 통하여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에 있어서, 엔트로피는 선반에 위치한 특정 물품을 출고하기 위해서 이동해야 하는 평균 이동거리를 계산 후 평균 이동거리를 정규화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에 있어서, 상기 관리서버(100)는 산출된 상대적 이동거리(Di)가 엔트로피(H) 보다 클 경우, 각 복도에서 물품을 엔트로피(H) 보다 먼 곳에 배치하고, 상대적 이동거리가 엔트로피(H) 보다 작을 경우, 각 복도에서 물품을 엔트로피(H) 보다 가까운 곳에 배치하도록 물품 배치 위치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창고 관리 시스템(Warehouse management system)의 위치정보를 기초로 계산된 상대적 이동거리를 적용하여 새롭게 입고되는 물품을 새로운 작업하기에 좋은 최적의 물품 배치 위치로 이동할 수 있게 제안하는 장점이 있다.
또한, 물품 출고확률에 따라 배치에 초점을 맞춰 전체적인 이동 경로의 평균값을 낮춰서 작업 효율을 높이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창고 관리 시스템의 구성을 보인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물품 배치 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3은 물품 출고시 창고 내 입구에서 선반이 위치한 복도까지 이동거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에서 산출된 평균 이동거리가 표시된 창고 배치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사상은 제시되는 실시예에 제한되지 아니하고,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른 구성요소를 추가, 변경, 삭제 등을 통하여, 퇴보적인 다른 발명이나 본 발명 사상의 범위 내에 포함되는 다른 실시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원 발명 사상 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또한, 각 실시예의 도면에 나타나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의 기능이 동일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창고 관리 시스템의 구성을 보인 블록도이다.
본 발명의 창고 관리 시스템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관리서버(100), 물품이송장치(300)를 포함한다.
관리서버(100)는, 창고에 입고되는 물품별 위치정보를 저장하고, 위치정보를 기준으로 출고시 물품 이동거리를 계산하고, 물품별 출고확률에 따라 물품 이동 거리를 고려하여 입고되는 물품의 적재 위치를 결정한다.
물품별 출고확률은 설정기간 동안 창고 내 모든 물품이 출고된 총 횟수와 해당 설정기간 동안 해당 물품이 출고된 총 횟수를 이용하여 산출된다.
구체적으로, 물품별 출고확률 Pi은 하기의 수학식 1을 이용해 산출된다.
Figure pat00001
여기서, N은 설정기간 동안 창고 내 모든 물품이 출고된 총 횟수이며, mi는 해당 설정기간 동안 해당 물품(i)이 출고된 총 횟수이며, 물품별 출고확률 Pi는 물품 출고 시 해당 물품(i)이 출고될 확률이고, 1-Pi는 해당 물품이 출고되지 않은 확률이다. 또한, 물품 확률은 이항 분포를 가질 수 있다.
물품을 출고하기 위해서 이동해야 하는 상대적 이동거리 Di를 다음 수학식 2와 같이 정의한다.
Figure pat00002
여기서, 로그(Log)의 밑이 2인 이유는 Pi의 확률 분포가 이항 분포를 따르기 때문이며, 만일 다른 확률 분포를 따른다면 로그(Log)에 다른 밑이 적용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이 특정 확률 분포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상대적 이동거리를 이용하여 다음 수학식 3과 같은 엔트로피 H를 산출할 수 있다.
Figure pat00003
여기서, 엔트로피 H의 의미는 창고 내 물품에 대하여 출고시 물품 이동 거리의 평균값을 의미한다.
도 3을 참조하면, 물품 출고시 창고 내 입구에서 선반이 위치한 복도까지 이동거리를 계산할 수 있다.
즉, n번째 복도에서 물품을 출고하기 위한 평균 이동거리 path n은 입구에서 복도 시작 지점까지 거리와 복도의 ㅍ 지점까지의 거리 합으로 나타낼 수 있다.
또한, 도 1에서 창고 내 선반에 위치한 특정 물품을 출고하기 위해서 이동해야 하는 평균 이동거리는 입구에서 선반이 위치한 각 복도 입구까지의 평균 거리와 복도의 입구에서 복도의 ㅍ 지점까지의 거리 합이 된다.
또한, 도 4를 참조하면 평균 이동 거리를 엔트로피 H로 정규화(Nomalization)하고, 도 4에는 창고 배치도에서 각 복도에 산출된 엔트로피 H를 표시하고 있다.
이를 이용하여 산출된 상대적 이동거리 Di가 엔트로피 H 보다 클 경우, 각 복도에서 물품을 엔트로피 H 보다 먼 곳에 배치하고, 상대적 이동거리 Di가 엔트로피 H 보다 작을 경우, 각 복도에서 물품을 엔트로피 H 보다 가까운 곳에 배치하면 물품을 출고할 때 이동하는 시간을 줄일 수 있다.
또한, 유사하게 같은 복도 지점에서도 상대적 이동거리 Di가 큰 물품을 먼 곳으로 배치하고, 상대적 이동거리 Di가 작은 물품은 가까운 곳으로 배치한다.
물품이송장치(300)는 관리서버(100)로부터 적재 위치를 통신망(200)을 통하여 전송받아 해당 물품을 선반 내 적재 위치에 이송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물품 배치 방법의 순서도이다.
먼저, 관리서버(100)는 설정기간 동안 창고 내 모든 물품이 출고된 총 횟수와 해당 설정기간 동안 해당 물품이 출고된 총 횟수를 이용하여 물품별 출고확률(Pi)을 계산한다(S401).
다음 물품별 출고 확률에 따라 효율적인 물품 배치 위치를 결정하기 위해 각 물품별 상대적 이동거리(Di) 및 엔트로피(H)를 계산한다(S402).
엔트로피는 선반에 위치한 특정 물품을 출고하기 위해서 이동해야 하는 평균 이동거리를 계산 후 평균 이동거리를 정규화한다(S403, S404).
관리서버(100)에서 엔트로피와 엔트로피를 기준으로 한 상대적 이동거리는 창고의 배치도에 표시된다(S405, S406).
특정 물품의 상대적 이동거리를 배치도 표시와 비교하여 특정 물품의 배치가 물품이송장치(300)를 통하여 수행된다(S407).
물품이송장치(300)를 제어하기 위해 관리서버(100)는 통신망(200)을 통하여 명령을 전달할 수 있다.
100 ; 관리서버
200 ; 통신망
300 ; 물품이송장치

Claims (6)

  1. 창고에 입고되는 물품별 위치정보를 저장하고, 위치정보를 기준으로 출고시 상대적 이동거리를 계산하고, 물품별 출고확률에 따라 상대적 이동 거리를 고려하여 입고되는 물품의 적재 위치를 결정하는 관리서버;
    상기 관리서버로부터 적재 위치를 전송받아 해당 물품을 선반 내 적재 위치에 이송하는 물품이송장치;
    를 포함하는 창고 관리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물품별 출고확률은 설정기간 동안 창고 내 모든 물품이 출고된 총 횟수와 해당 설정기간 동안 해당 물품이 출고된 총 횟수를 이용하여 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고 관리 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서버는
    상기 물품별 출고확률에 따라 물품 배치 위치를 결정하기 위해 각 물품별 상대적 이동거리(Di) 및 엔트로피(H)를 계산하고,
    엔트로피와 엔트로피를 기준으로 한 상대적 이동거리는 창고의 배치도에 표시하며,
    특정 물품의 상대적 이동거리를 배치도 표시와 비교하여 특정 물품의 배치가 물품이송장치를 통하여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고 관리 시스템.
  4. 관리서버는 설정기간 동안 창고 내 모든 물품이 출고된 총 횟수와 해당 설정기간 동안 해당 물품이 출고된 총 횟수를 이용하여 물품별 출고확률(Pi)을 계산하는 단계;
    상기 관리서버는 물품별 출고 확률에 따라 효율적인 물품 배치 위치를 결정하기 위해 각 물품별 상대적 이동거리(Di) 및 엔트로피(H)를 계산하는 단계;
    상기 관리서버는 엔트로피와 엔트로피를 기준으로 한 상대적 이동거리를 창고의 배치도에 표시하는 단계;
    특정 물품의 상대적 이동거리를 배치도 표시와 비교하여 특정 물품의 배치가 물품이송장치를 통하여 수행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물품 배치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엔트로피는 선반에 위치한 특정 물품을 출고하기 위해서 이동해야 하는 평균 이동거리를 계산 후 평균 이동거리를 정규화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물품 배치 방법.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서버는
    산출된 상대적 이동거리(Di)가 엔트로피(H) 보다 클 경우, 각 복도에서 물품을 엔트로피(H) 보다 먼 곳에 배치하고, 상대적 이동거리가 엔트로피(H) 보다 작을 경우, 각 복도에서 물품을 엔트로피(H) 보다 가까운 곳에 배치하도록 물품 배치 위치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품 배치 방법.
KR1020200040082A 2020-04-02 2020-04-02 스마트 팩토리가 가능한 창고 관리 시스템 및 그 시스템을 이용한 물품 배치 방법 KR10244246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40082A KR102442462B1 (ko) 2020-04-02 2020-04-02 스마트 팩토리가 가능한 창고 관리 시스템 및 그 시스템을 이용한 물품 배치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40082A KR102442462B1 (ko) 2020-04-02 2020-04-02 스마트 팩토리가 가능한 창고 관리 시스템 및 그 시스템을 이용한 물품 배치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22987A true KR20210122987A (ko) 2021-10-13
KR102442462B1 KR102442462B1 (ko) 2022-09-13

Family

ID=781152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40082A KR102442462B1 (ko) 2020-04-02 2020-04-02 스마트 팩토리가 가능한 창고 관리 시스템 및 그 시스템을 이용한 물품 배치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42462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22430A (ko) 2015-04-14 2016-10-24 삼성에스디에스 주식회사 창고 내 최적 위치 안내 방법 및 그 장치
KR101974312B1 (ko) * 2018-09-03 2019-04-30 이현만 물류 창고 상품의 최적 배치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22430A (ko) 2015-04-14 2016-10-24 삼성에스디에스 주식회사 창고 내 최적 위치 안내 방법 및 그 장치
KR101974312B1 (ko) * 2018-09-03 2019-04-30 이현만 물류 창고 상품의 최적 배치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42462B1 (ko) 2022-09-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397979B2 (en) Order processing method and device, server, and storage medium
US11709464B1 (en) Dynamic adjustment of a presentation area
CN106980955B (zh) 用于输出信息的方法和装置
Alyahya et al. Application and integration of an RFID-enabled warehousing management system–a feasibility study
US10229385B2 (en) Free location item and storage retrieval
JP2021535053A (ja) 荷物搬送システムおよび方法
KR101778758B1 (ko) 창고 관리 시스템,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
US20230334421A1 (en) Optimizing pallet location in a warehouse
CN110533353B (zh) 用于搬运货架的方法和装置
TWI717259B (zh) 用於批次揀選最佳化的電腦實施的系統與方法
CN109685403A (zh) 信息处理方法和装置
CN113651009B (zh) 物品盘点的方法、装置、电子设备和存储介质
JP6651611B2 (ja) 搬送システム、搬送方法及び管理システム
CN111553548B (zh) 一种拣货方法和装置
CN110599075A (zh) 仓库货物周转管理装置、系统、方法和存储介质
JP2019529289A (ja) 物品仕分けシステムおよび物品仕分け方法
WO2023020105A1 (zh) 物资盘点方法、装置、设备以及存储介质
CN112446665A (zh) 一种物品运输实现方法、系统、机器人和存储介质
CN111747008B (zh) 出库定位方法、装置和系统
CN111507664A (zh) 一种用于货物越库的方法、装置
CN113393193B (zh) 出库方法及装置
KR102442462B1 (ko) 스마트 팩토리가 가능한 창고 관리 시스템 및 그 시스템을 이용한 물품 배치 방법
CN113650997B (zh) 一种物品出库定位方法和装置
KR102579899B1 (ko) 대체 가능성 로직을 사용하는 인공 지능(ai)-기반 인바운드 계획 생성을 위한 컴퓨터 구현 시스템 및 방법
CN114841646A (zh) 仓储管理方法、装置、计算机设备、系统和存储介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