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74312B1 - 물류 창고 상품의 최적 배치 방법 - Google Patents

물류 창고 상품의 최적 배치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74312B1
KR101974312B1 KR1020180104661A KR20180104661A KR101974312B1 KR 101974312 B1 KR101974312 B1 KR 101974312B1 KR 1020180104661 A KR1020180104661 A KR 1020180104661A KR 20180104661 A KR20180104661 A KR 20180104661A KR 101974312 B1 KR101974312 B1 KR 10197431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duct
placement
goods
warehouse
new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046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현만
Original Assignee
이현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현만 filed Critical 이현만
Priority to KR10201801046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7431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743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7431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4Forecasting or optimisation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or management purposes, e.g. linear programming or "cutting stock problem"
    • G06Q10/043Optimisation of two dimensional placement, e.g. cutting of clothes or woo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00Storing articles, individually or in orderly arrangement, in warehouses or magazines
    • B65G1/02Storage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00Storing articles, individually or in orderly arrangement, in warehouses or magazines
    • B65G1/02Storage devices
    • B65G1/04Storage devices mechanical
    • B65G1/137Storage devices mechanical with arrangements or automatic control means for selecting which articles are to be removed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8Logistics, e.g. warehousing, loading or distribution; Inventory or stock managem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28Logistics, e.g. warehousing, loading, distribution or shipping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Econom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arketing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는 물류 창고 상품의 최적 배치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물류 창고에서 상품의 최적 배치를 결정하는 상품 배치 장치를 이용한 물류 창고 상품의 최적 배치 방법은 상기 상품 배치 장치가, 상기 물류 창고에서 이벤트 발생을 검출하는 단계; 상기 상품 배치 장치가, 상기 검출한 이벤트에 기반하여 현재 물류 창고 정보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상품 배치 장치가, 상기 현재 물류 창고 정보에 기반하여 상품 별 일일 판매 개수, 상품의 이송 거리, 상품 별 분산도, 및 상품 별 현재 수량 중 적어도 하나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상품 배치 장치가, 상기 상품 별 일일 판매 개수, 상기 상품의 이송 거리, 상기 상품 별 분산도, 및 상기 상품 별 현재 수량 중 적어도 하나에 기반하여 상품 배치 지수를 연산하는 단계; 및 상기 상품 배치 장치가, 상기 상품 배치 지수에 기반하여 상기 물류 창고에서 상품을 배치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실시 예들도 가능할 수 있다.

Description

물류 창고 상품의 최적 배치 방법{METHOD FOR ARRAINGING AN OPTIMAL POSITION OF PRODUCT IN A WAREHOUSE}
본 발명은 물류 창고 상품의 최적 배치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물류 창고 내 입고 상품 또는 적치된 상품을 상품 배치 지수에 따라 배치함으로써 물류 창고 내 상품 배치 영역을 효율적으로 관리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효율적인 상품 보관을 위해, 물류 창고는 복수의 상품 배치 영역을 갖는다. 상기 상품 배치 영역은, 예를 들어 랙(rack)으로 구획되거나 벌크(bulk) 형태로 구획될 수 있다. 물류 창고에 상품이 입고될 때, 관리의 효율성을 위해 최적의 위치로 입고 상품이 배치된다. 그러나, 입고와 출고가 반복됨에 따라 물류 창고의 상품 배치 상태는 점점 비효율적으로 변하게 된다.
또한, 최근 소비자들의 상품 선호 성향이 다변화됨에 따라 1개의 상품 주문도 배송을 할 수 있는 소량 다품종 상품을 관리하는 물류 창고의 필요성이 높아지고 있다. 그러나 소량 다품종 상품은 입고와 출고가 반복됨에 따라 기존 대량 상품보다 훨씬 상품 배치 상태가 비효율적으로 변하게 되고, 물류 창고에서 상품을 이송하는 작업자의 동선이 복잡해짐에 따라 입고 및 출고 처리 시간이 길어진다.
따라서, 물류 창고 내 상품 배치 상태를 최적화하기 위하여 상품들을 배치할 필요가 있다.
참고로, 선행기술문헌으로 스마트 단말기와 연계한 물류창고 관리 방법, 및 이를 위한 물류창고 관리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판독가능한 기록매체(제10-2011-0097854호)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 물류 창고에서 상품의 입고 또는 출고가 발생할 때 마다 상품 배치 지수에 기반하여 상품들을 배치함으로써 물류 창고를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물류 창고 상품의 최적 배치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물류 창고에서 상품의 최적 배치를 결정하는 상품 배치 장치를 이용한 물류 창고 상품의 최적 배치 방법은 상기 상품 배치 장치가, 상기 물류 창고에서 이벤트 발생을 검출하는 단계; 상기 상품 배치 장치가, 상기 검출한 이벤트에 기반하여 현재 물류 창고 정보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상품 배치 장치가, 상기 현재 물류 창고 정보에 기반하여 상품 별 일일 판매 개수, 상품의 이송 거리, 상품 별 분산도, 및 상품 별 현재 수량 중 적어도 하나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상품 배치 장치가, 상기 상품 별 일일 판매 개수, 상기 상품의 이송 거리, 상기 상품 별 분산도, 및 상기 상품 별 현재 수량 중 적어도 하나에 기반하여 상품 배치 지수를 연산하는 단계; 및 상기 상품 배치 장치가, 상기 상품 배치 지수에 기반하여 상기 물류 창고에서 상품을 배치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물류 창고 상품의 최적 배치 방법은 신규 입고 상품을 상품 배치 지수에 따라 배치함으로써 물류창고를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다.
또한, 물류 창고 상품의 최적 배치 방법은 상품이 출고될 때 마다 상품들을 재배치함으로써 작업자의 동선을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다.
도 1 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물류 창고 상품의 최적 배치 방법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2 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물류 창고의 상품 배치 영역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 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물류 창고의 상품 배치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물류 창고의 상품 배치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5 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물류 창고의 신규 상품 입고에 따른 상품 배치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물류 창고의 신규 상품 입고에 따른 상품 배치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8 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물류 창고의 배송 상품 출고에 따른 상품 배치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9 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물류 창고의 배송 상품 출고에 따른 상품 배치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10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우선순위에 따라 적치된 상품들을 재배치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된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물류 창고의 상품에 대한 최적 배치 방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예들은 기기(machine)(예: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machine-readable storage media))에 저장된 명령어를 포함하는 소프트웨어(예: 프로그램)로 구현될 수 있다. 기기는, 저장 매체로부터 저장된 명령어를 호출하고, 호출된 명령어에 따라 동작이 가능한 장치로서, 개시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예: 서버)를 포함할 수 있다. 명령은 컴파일러 또는 인터프리터에 의해 생성 또는 실행되는 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기기로 읽을 수 있는 저장매체는, 비일시적(non-transitory) 저장매체의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여기서, ‘비일시적’은 저장매체가 신호(signal)를 포함하지 않으며 실재(tangible)한다는 것을 의미할 뿐 데이터가 저장매체에 반영구적 또는 임시적으로 저장됨을 구분하지 않는다.
일시예에 따르면, 본 문서에 개시된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방법은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computer program product)에 포함되어 제공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은 상품으로서 판매자 및 구매자 간에 거래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은 기기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예: compact disc read only memory (CD-ROM))의 형태로, 또는 어플리케이션 스토어(예: 플레이 스토어TM)를 통해 온라인으로 배포될 수 있다. 온라인 배포의 경우에,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의 적어도 일부는 제조사의 서버, 어플리케이션 스토어의 서버, 또는 중계 서버의 메모리와 같은 저장 매체에 적어도 일시 저장되거나, 임시적으로 생성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구성 요소(예: 모듈 또는 프로그램) 각각은 단수 또는 복수의 개체로 구성될 수 있으며, 전술한 해당 서브 구성 요소들 중 일부 서브 구성 요소가 생략되거나, 또는 다른 서브 구성 요소가 다양한 실시예에 더 포함될 수 있다. 대체적으로 또는 추가적으로, 일부 구성 요소들(예: 모듈 또는 프로그램)은 하나의 개체로 통합되어, 통합되기 이전의 각각의 해당 구성 요소에 의해 수행되는 기능을 동일 또는 유사하게 수행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모듈, 프로그램 또는 다른 구성 요소에 의해 수행되는 동작들은 순차적, 병렬적, 반복적 또는 휴리스틱하게 실행되거나, 적어도 일부 동작이 다른 순서로 실행되거나, 생략되거나, 또는 다른 동작이 추가될 수 있다.
도 1 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물류 창고 상품의 최적 배치 방법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물류 창고의 상품 배치 영역을 나타낸 도면이다. 하기에서 도 2의 상품들의 배치 현황은 본 발명의 동작들과 효과를 설명하기 위해 상품들이 비효율적으로 배치된 일 예를 가정하여 도시한 것이고, 본 발명의 동작이 원활하게 실행된 상황을 가정하여 도시한 것은 아니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물류 창고 상품의 최적 배치 방법은 상품 배치 장치(100), 물류 창고 센서(200), 및 작업자 단말(300)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상품 배치 장치(100)는 서버 또는 컴퓨팅 장치로 구성될 수 있다. 상품 배치 장치(100)는 도 2에 도시된 물류 창고의 상품 배치 영역(10)을 관리할 수 있다.
하기에서 설명의 편의를 위해, 상품 배치 영역(10)은 제1 영역 내지 제4 영역으로 구획된 일 예로 설명하고, 상품이 배치된 영역은 상품 적치 영역(20)으로 정의하고, 상품이 배치되지 않은 영역은 상품 배치 가능 영역(30)으로 정의하여 설명한다. 또한, 설명의 편의를 위해 제1 상품(40), 제2 상품(50), 제3 상품(60)이 배치된 현황을 일 예로 설명한다.
또한, 도 2에서 제1 영역 내지 제 4 영역을 구성하는 사각형 형상의 단위 영역은 최소 상품 배치 영역으로서 다양한 물류 창고의 목적 및 구조를 고려하여 결정될 수 있다. 예컨대, 단위 영역은 물류 창고 적치의 효율성 및 물류 창고에 적치될 대상 상품들의 종류, 사이즈 및 수량 등을 고려하여 적절한 면적을 가질 수 있다. 즉, 단위 영역은 상품들의 종류 별 사이즈에 따라 한 덩어리로 적치할 상품들의 개수가 달라질 수 있다.
또한,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상품이 배치되지 않은 경우에 단위 영역이자 최소 상품 배치 영역은 상품 적치 영역(20)이 되고, 상품이 배치된 경우에 단위 영역이자 최소 상품 배치 영역은 상품 배치 가능 영역(30)이 된다. 하기에선 설명의 편의를 위해 상품 적치 영역(20)과 상품 배치 가능 영역(30) 용어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하기에서 입고 상품이라 함은 물류 창고에 새로 들어오는 상품을 의미하고 적치된 상품이란 물류창고에 현재 보관되어 있는 상품을 의미하고, 출고 상품은 배송 포장되어 물류 창고를 나간 상품을 의미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품 배치 장치(100)는 상품들의 배치 위치를 결정할 수 있고, 상품들의 배치 현황을 데이터베이스화하여 저장할 수 있고, 작업자에게 상품의 위치 및 상품의 이송을 안내할 수 있다. 또한, 상품 배치 장치(100)는 상품의 입고 또는 출고에 기반하여 물류 창고의 상품 배치 현황을 확인할 수 있고, 입고 상품의 배치 또는 적치된 상품들의 재배치를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상품 배치 장치(100)는 상품 배치 지수를 연산하고 입고 상품의 배치 및 적치된 상품의 재배치 동작들을 전반적으로 관리하는 제어부(110)와 상품 배치 현황이 저장된 데이터베이스(120)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상품 배치 장치(100)는 상품 배치 영역(10)에 배치된 물류 창고 센서(200)를 통해 실시간으로 물류 창고의 상품 배치 현황을 획득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작업자 장치(300)는 물류 창고에서 상품 배치 작업을 수행하는 작업자에게 입고 상품의 배치 또는 적치된 상품의 재배치를 안내하기 위한 장치일 수 있다. 작업자 장치(300)는 상품 배치 장치(300)로부터 작업 모드를 수신받을 수 있다. 여기서 작업 모드는 입고 상품 배치, 적치된 상품들 재배치, 배송 상품 이송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작업자 장치(300)는 스마트폰(Smart Phone), 태블릿(Tablet), 패블릿(Phablet) 등과 같은 모바일 장치(Mobile Device) 또는 스 마트 시계(Smart Watch), 스마트 팔찌(Smart Band), 스마트 반지(Smart Ring), 스마트 안경(Smart Glasses) 등과 같은 웨어러블 장치(Wearable Device) 중 어느 하나가 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상품 배치 장치(100), 물류 창고 센서(200), 및 작업자 장치(300)는 네트워크를 통해 서로 통신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 네트워크는 무선 네트워크 및 유선 네트워크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네트워크는 근거리 통신 네트워크(예: 블루투스, WiFi direct 또는 IrDA(infrared data association)) 또는 원거리 통신 네트워크(예: 셀룰러 네트워크, 인터넷, 또는 컴퓨터 네트워크(예: LAN 또는 WAN))일 수 있다.
도 3 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물류 창고의 상품 배치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물류 창고의 상품 배치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3의 동작들은 도 1의 상품 배치 장치(100)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일 실시 예에서, 상품 배치 장치(100)는 동작 31에서, 물류 창고에서 이벤트 발생을 검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품 배치 장치(100)는 물류 창고 센서(200)를 이용하여 상품의 입고 또는 적치된 상품들의 출고를 검출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상품 배치 장치(100)는 동작 32에서, 검출한 이벤트에 기반하여 현재 물류 창고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품 배치 장치(100)는 입고 상품의 종류 및 수량, 적치된 상품들의 수량 및 종류, 상품 배치 영역(10)의 현재 상품 배치 현황 등을 확인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상품 배치 장치(100)는 동작 33에서, 현재 물류 창고 정보에 기반하여 상품 별 일일 판매 개수, 상품의 이송 거리, 상품 별 분산도, 및 상품 별 현재 수량 중 적어도 하나를 획득할 수 있다. 여기서 상품 별 일일 판매 개수는 물류 창고에서 매일 배송 상품으로 출고되는 개수 또는 판매자가 집계한 일일 판매 개수일 수 있고, 상품의 이송 거리는 상품 적치 영역(20)에 배치된 상품이 배송 포장 위치로 이송하는 거리일 수 있고, 상품 별 분산도는 동일 상품들이 서로 떨어진 정도(예:도 2의 제1 상품(40)들간 떨어진 정도 : 4 덩어리)를 의미할 수 있고, 상품 별 현재 수량은 현재 물류 창고에 적치된 상품 별 수량일 수 있다. 여기서, 하나의 덩어리라 함은 상품 적치 영역(20)이 서로 인접된 동종 상품들을 의미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상품 배치 장치(100)는 동작 34에서, 상품 별 일일 판매 개수, 상품의 이송 거리, 상품 별 분산도, 및 상품 별 현재 수량 중 적어도 하나에 기반하여 상품 배치 지수를 연산할 수 있다. 여기서 상품 배치 지수는 어떤 상품이 우선적으로 배송 포장 위치에 가까운 영역으로 배치할 지 결정할 수 있는 기준 값일 수 있다. 즉, 물류 창고를 효율적으로 관리하기 위해서는 보다 많이 팔리는 상품을 배송 포장 위치에 가까운 영역으로 배치함에 따라 작업자의 동선을 줄여 주는 것이 필요하다. 따라서, 입고 상품을 배치 또는 적치된 상품을 재배치를 할 때, 상품 별 일일 판매 개수가 많은 상품이 배송 포장 위치에서 멀리 떨어져 있다면 이를 가까운 영역으로 재배치하는 것이 효율적이다. 또한, 상품 별 일일 판매 개수가 많은 상품이 이곳 저곳에 서로 떨어져 있다면 작업자의 동선이 비효율적으로 형성되므로 서로 인접한 영역으로 모아놓을수록 작업 효율이 올라갈 수 있다. 따라서, 상품별 일일 판매 개수, 상품의 이송 거리, 상품별 분산도, 상품 별 현재 수량을 나타내는 수치들이 높은 값을 갖는 상품은 재배치할 필요성이 높은 상품일 수 있다. 이러한 상품을 결정하기 위한 기준 값으로서 상품 배치 지수가 활용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상품 배치 장치(100)는 하기 수식에 기반해서 상품 배치 지수(Lt)를 연산할 수 있다.
예를 들어, n은 이벤트 발생 횟수일 수 있다. 예컨대, 현재 입고 또는 출고가 발생할 경우, 해당 상품이 현재 발생한 이벤트 1회를 포함해서 총 입고 또는 출고가 10회 이루어졌다면 n=t=10 이 된다. 입고와 출고 발생은 동일 상품 기준으로 동시에 발생할 수 없다고 가정한다. r은 기준 시점의 이벤트 발생 횟수, t는 현재 시점의 이벤트 발생 횟수(예: 현재 입고 또는 출고 이벤트 발생 시, 현재 시점의 이벤트 발생 횟수 = 그동안 누적된 횟수 + 현재 발생한 1 회)이다.
또한, (t-(r-1)은 기준 시점부터 현재까지 발생한 이벤트 횟수일 수 있다. 예컨대, 기준 시점이 6개월 전일 경우, 그 당시에 이벤트 발생 횟수가 20회이고 현재 발생한 이벤트 횟수가 100회일 경우, 기준 시점부터 현재까지 발생한 이벤트 횟수는 80회일 수 있다. 물론, 기준 시점이 최초 입고일 경우, 기준 시점부터 현재까지 발생한 이벤트 횟수는 그대로 100회가 된다. 기준 시점부터 현재까지 발생한 이벤트 발생 횟수를 상품 배치 지수에 포함할 경우, 관리자가 원하는 기간 동안 입고 및 출고가 빈번하게 이루어지는 상품에 가중치를 부여할 수 있다.
또한, Pn는 이벤트 발생 시점의 상품별 일일 판매 개수로서 많은 수량이 팔리는 인기 상품에 가중치를 부여할 수 있다.
또한, In는 이벤트 발생 시점의 상품 입고 수량, En는 이벤트 발생 시점의 상품 출고 수량, Ro는 기준 시점의 상품 수량으로서, (In-En+R0)는 현재 수량을 의미한다. 따라서, 현재 많은 수량이 창고에 남아있는 상품에 가중치를 부여할 수 있다.
또한, D는 동일 상품의 분산도(예컨대, 몇 덩어리로 배치된지 여부, 여기서 덩어리라 함은 동일 상품이 서로 인접하여 함께 배치된 경우를 의미한다.), S는 상품의 이송 거리를 의미한다. 분산도와 이송 거리를 고려함으로서 작업자의 동선의 비효율적인 상태에 가중치를 부여할 수 있다.
한편, 상품 배치 지수는 빈번하게 많이 팔리는 상품을 우선적으로 배송 포장 위치에 가깝게 위치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설계되어야 하므로, 이송 거리는 곱하기가 아닌 더하기로 수식에 포함시킴에 따라 다른 인자들보다 가중치를 낮출 수 있고, 실제 연산 시 단위는 m로 계산할 수 있다.
한편, r로 정의된 기준 시점의 이벤트 발생 횟수는 물류 창고의 목적 및 효과를 고려하여 선택할 수 있다. 예컨대, 최근 새로 지어진 물류 창고일 경우, 최초 이벤트 발생(최초 입고 즉 r=1부터 연산)때부터 누적하여 상품 배치 지수를 연산할 수 있고, 이와 달리 최근 6개월 경향 내지는 1년 등 관리자가 원하는 기간을 고려하여 r을 설정(예: r=6개월 전 이벤트 발생 횟수부터 연산) 할 수 있다.
Figure 112018087406446-pat00001
상기 수식 및 상기 수식의 인자에 대한 설명에 기반하여, 사과 1 박스의 실제 연산을 예를 들어 설명한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숫자는 실제와 다르게 단순하게 적용한다. 관리자는 최근 6개월 간의 물류 흐름에 기반하여 상품 배치를 하고 싶다고 가정하고, 기준 시점의 이벤트 발생 횟수는 6개월 전의 이벤트 발생 횟수로 설정할 수 있다. 예컨대, 6개월 전 사과 1박스가 입고 또는 출고된 횟수는 2회(물론 이 횟수는 최초 입고부터 누적된 횟수이다)이고, 현재 사과 1 박스가 입고 출고된 횟수가 4회라고 가정하고, 2회 때 출고, 3회 때 출고, 4회 때 입고라고 가정할 경우,
Pn = 2회 때 사과 1박스 일일 판매 개수(5개) + 3회 때 사과 1박스 일일 판매 개수(5개) + 4회 때 사과 1박스 일일 판매 개수(0개) = 10
In-En+Ro = 2회 때 수량(입고 0개 - 출고 5개) + 3회 때 수량(입고 0개 - 출고 5개) + 4회 때 수량(입고 5개 - 출고 0개) + 기준 시점의 수량 100개 = 95
t-(r-1) = 4-(2-1) = 3
D = 3 덩어리로 사과 전체 품목이 분산되 있다고 가정함.
S = 상품 배치 지수 연산 대상 사과 1박스가 배송 포장 위치가 10m 거리에 있다고 가정
이와 같이 연산할 경우, 해당 사과 1박스의 상품 배치 지수는 8560이 될 수 있다. 이러한 상품 배치 지수 연산 값은 일 예에 불과하고, 상기와 같이 연산할 경우, 상품별 일일 판매 개수, 상품의 이벤트 발생 횟수, 상품의 현재 수량, 상품의 분산도, 상품의 이송 거리 등이 반영된 상품 배치 지수를 얻을 수 있고, 이러한 상품 배치 지수에 따라 우선적으로 상품들을 배송 포장 위치와 가까운 위치에 배치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상품 배치 장치(100)는 동작 35에서, 상품 배치 지수에 기반하여 물류 창고에서 상품을 배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적치된 상품의 재배치 일 예를 도 2와 도 4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이는 입고와 출고를 반복함에 따라 비효율적으로 변해버린 적치된 상품들의 배치 상태를 다시 효율적인 상태로 바꾸는 일 예이다.
예를 들어, 상품 배치 장치(100)는 상품 배치 지수가 높은 상품들을 우선적으로 배송 포장 위치와 가까운 영역에 배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2에 도시된 제1 상품(40)이 상품 배치 지수가 제일 높을 수 있고, 제3 상품(60)이 상품 배치 지수가 가장 낮을 수 있다. 이러할 경우, 상품 배치 장치(100)는 작업자 동선의 효율성을 고려하여 도 4와 같이 배송 포장 위치에 가까운 영역에 제1 상품(40)을 모아놓을 수 있고, 그다음 제2 상품(50) 및 제3 상품(60)을 순차적으로 배치할 수 있다. 도 4의 배치 예는 일 예에 불과하고 보다 다양한 기준을 적용하여 상품들이 재배치될 수 있다. 하기에서 보다 다양한 상황을 예로 들어 설명한다.
도 5 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물류 창고의 신규 상품 입고에 따른 상품 배치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6 및 도 7 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물류 창고의 신규 상품 입고에 따른 상품 배치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5의 동작들은 도 1의 상품 배치 장치(100)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일 실시 예에서, 상품 배치 장치(100)는 동작 51에서, 검출한 이벤트가 신규 상품의 입고임을 확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신규 상품의 입고는 적치된 상품들이 있을 경우에 발생하거나 적치된 상품들이 모두 출고된 이후에 발생할 수 있다. 도 6은 적치된 상품들이 존재할 경우를 일 예로 도시하고 있고 중앙에 표시된 제1 영역이 현재 상품 배치 현황에 해당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품 배치 장치(100)는 동작 52에서, 신규 상품의 입고에 기반하여 신규 상품의 배치 필요 영역과 복수의 상품 배치 가능 영역들을 비교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신규 상품의 배치 필요 영역은 신규 상품의 동종 별 배치 필요 영역일 수 있다. 예컨대, 신규 상품은 사과(61) 10 박스(box)와 콜라(62) 10 박스일 수 있고, 신규 상품의 배치 필요 영역은 사과(61) 10 박스 또는 콜라(62) 10 박스가 서로 모여서 한 덩어리로 배치될 수 있는 영역일 수 있다. 상품 배치 가능 영역(31, 32)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품이 배치되지 않은 영역일 수 있고, 설명의 편의를 위해 상품 배치 가능 영역은 콜라(62) 10 박스는 모두 배치될 수 있는 면적을 가지지만, 사과(61) 10 박스는 모두 배치될 수 없는 면적이라고 가정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품 배치 장치(100)는 동작 53에서, 신규 상품의 배치 필요 영역보다 복수의 상품 배치 가능 영역이 더 큰지 확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품 배치 장치(100)는 사과(61) 10 박스의 경우 신규 상품의 배치 필요 영역이 복수의 상품 배치 가능 영역보다 크다고 확인할 수 있고, 콜라(62) 10 박스의 경우 신규 상품의 배치 필요 영역이 복수의 상품 배치 가능 영역보다 작다고 확인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복수의 상품 배치 가능 영역이 신규 상품의 배치 필요 영역과 동일하거나 더 클 경우, 상품 배치 장치(100)는 동작 54에서, 신규 상품의 배치 지수를 연산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신규 상품의 일일 판매 개수, 상품의 이송 거리, 상품별 분산도, 상품 별 현재 수량 등을 고려하여 신규 상품의 배치 지수를 연산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상품 배치 장치(100)는 동작 55에서, 배치 지수에 기반하여 복수의 상품 배치 가능 영역들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신규 상품을 배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상품(40)이 콜라(62)일 경우, 도 6 의 우측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콜라(62) 10 박스는 제1 영역 중 배송 포장 위치와 가장 가까운 상품 배치 가능 영역(31)에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복수의 상품 배치 가능 영역이 신규 상품의 배치 필요 영역보다 작을 경우 상품 배치 장치(100)는 동작 56에서, 신규 상품을 분할하고 신규 상품의 배치 지수를 연산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과(61) 10박스를 2개의 덩어리(5 박스)로 분할할 수 있다. 여기서 상품 배치 가능 영역은 적어도 사과(61) 5 박스를 수용할 수 있는 면적을 가진다고 가정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품 배치 장치(100)는 동작 57에서, 배치 지수에 기반하여 복수의 상품 배치 가능 영역들에 분할된 신규 상품을 배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상품(50)이 사과(61)일 경우, 도 6 의 좌측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영역의 상품 배치 가능 영역들(31, 32)에 분할하여 배치할 수 있다.
한편, 도 5 및 도 6의 설명은 사과(61) 또는 콜라(62) 중 어느 하나가 입고된 상황을 가정하여 설명한 일 예이다. 도 7의 경우는 사과(61)와 콜라(62)가 동시에 입고된 상황을 가정하여 도시한 일 예이다. 즉, 본 발명의 물류 창고 상품의 최적 배치 방법은 입고 상품들을 배치할 경우, 상품 배치 지수가 높은 상품부터 상품 배치 가능 영역들에 순차적으로 배치하게 된다. 예컨대, 사과(61)가 콜라(62)보다 상품 배치 지수가 높을 경우, 상품 배치 지수가 더 높은 상품인 사롸(61)를 우선 배치하게 된다. 예컨대, 도 7 과 같이 사과(61)를 분할하여 배송 포장 위치와 가까운 영역부터 순차적으로 배치하고, 이후에 콜라(62)를 배치할 수 있다.
도 8 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물류 창고의 배송 상품 출고에 따른 상품 배치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9 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물류 창고의 배송 상품 출고에 따른 상품 배치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6의 동작들은 도 1의 상품 배치 장치(100)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제1 영역의 배치만을 예를 들어 설명한다.
도 8을 참조하면, 일 실시 예에서, 상품 배치 장치(100)는 동작 81에서, 검출한 이벤트가 배송 상품의 출고임을 확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3 상품(60)의 출고를 확인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상품 배치 장치(100)는 동작 82에서, 배송 상품의 출고에 기반하여 복수의 상품 배치 가능 영역을 확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품 배치 장치(100)는 제1 영역의 4개의 상품 배치 가능 영역(30)을 확인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상품 배치 장치(100)는 동작 83에서, 확인한 복수의 상품 배치 가능 영역들 중 일부가 서로 인접하는 지 확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품 배치 장치(100)는 제1 영역의 4개의 상품 배치 가능 영역(30)이 서로 인접한 지 확인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상품 배치 장치(100)는 동작 84에서, 서로 인접한 상품 배치 가능 영역들이 존재하는 지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품 배치 장치(100)는 3개의 상품 배치 가능 영역(30)이 서로 인접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상품 배치 장치(100)는 동작 85에서, 서로 인접한 상품 배치 가능 영역들을 합쳐서 신규 상품 배치 가능 영역으로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품 배치 장치(100)는 3개의 상품 배치 가능 영역(30)을 신규 상품 배치 가능 영역(70)으로 설정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상품 배치 장치(100)는 동작 86에서, 물류 창고에 적치된 상품들의 배치 지수를 연산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품 배치 장치(100)는 제1 상품(40), 제2 상품(50), 제3 상품(60)의 배치 지수를 연산할 수 있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상기 상품 순서대로 배치 지수가 높다고 가정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품 배치 장치(100)는 동작 87에서, 배치 지수에 기반하여 적치된 상품들을 순차적으로 재배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품 재배치 장치(100)는 도 9의 오른쪽과 같이 제1 영역을 재배치할 수 있고, 이러한 재배치를 작업자 장치(300)로 전달하여 작업자에게 재배치를 안내할 수 있다.
도 10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우선순위에 따라 적치된 상품들을 재배치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10 의 동작들은 도 1의 상품 배치 장치(100)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도 10의 동작들은 도 8 및 도 9의 상품 배치 동작을 구체화한 동작들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일 실시 예에서, 상품 배치 장치(100)는 동작 1001에서, 상품 배치 지수에 기반하여 적치된 상품들의 우선순위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품 배치 장치(100)는 제1 상품(40), 제2 상품(50), 제3 상품(60) 순서대로 우선순위를 결정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상품 배치 장치(100)는 동작 1002에서, 복수의 상품 배치 가능 영역들 및 신규 상품 배치 가능 영역과 배송 포장 위치간 이격 거리를 확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품 배치 장치(100)는 제1 영역에 포함된 각 영역들과 배송 포장 위치간 거리를 확인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상품 배치 장치(100)는 동작 1003에서, 배송 포장 위치와 가까운 영역부터 순차적으로 우선순위에 따라 적치 상품들을 배치할 수 있다. 즉, 상품 배치 장치(100)는 제1 상품(40), 제2 상품(50), 제3 상품(60) 순서대로 배송 포장 위치에 가깝게 제1 영역에 상품들을 재배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물류 창고에서 상품의 최적 배치를 결정하는 상품 배치 장치를 이용한 물류 창고 상품의 최적 배치 방법은 상기 상품 배치 장치가, 상기 물류 창고에서 이벤트 발생을 검출하는 단계; 상기 상품 배치 장치가, 상기 검출한 이벤트에 기반하여 현재 물류 창고 정보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상품 배치 장치가, 상기 현재 물류 창고 정보에 기반하여 상품 별 일일 판매 개수, 상품의 이송 거리, 상품 별 분산도, 및 상품 별 현재 수량 중 적어도 하나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상품 배치 장치가, 상기 상품 별 일일 판매 개수, 상기 상품의 이송 거리, 상기 상품 별 분산도, 및 상기 상품 별 현재 수량 중 적어도 하나에 기반하여 상품 배치 지수를 연산하는 단계; 및 상기 상품 배치 장치가, 상기 상품 배치 지수에 기반하여 상기 물류 창고에서 상품을 배치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물류 창고 상품의 최적 배치 방법은, 상기 상품 배치 장치가, 상기 검출한 이벤트가 신규 상품의 입고임을 확인하는 단계; 상기 상품 배치 장치가, 상기 신규 상품의 입고에 기반하여 신규 상품의 배치 필요 영역과 복수의 상품 배치 가능 영역들을 비교하는 단계; 비교 결과 상기 복수의 상품 배치 가능 영역들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상기 신규 상품의 배치 필요 영역보다 크거나 동일할 경우, 상기 상품 배치 장치가, 상기 상품 별 일일 판매 개수, 상기 상품의 이송 거리, 상기 상품 별 분산도 및 상기 상품 별 현재 수량에 기반하여, 상기 신규 상품의 배치 지수를 연산하는 단계; 및 상기 상품 배치 장치가, 상기 배치 지수에 기반하여 상기 복수의 상품 배치 가능 영역들 중 상기 적어도 어느 하나에 상기 신규 상품을 배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물류 창고 상품의 최적 배치 방법은, 비교 결과 상기 복수의 상품 배치 가능 영역들이 모두 상기 신규 상품의 배치 필요 영역보다 작을 경우, 상기 상품 배치 장치가, 상기 신규 상품을 분할하는 단계; 상기 상품 배치 장치가, 상기 상품 별 일일 판매 개수, 상기 상품의 이송 거리, 상기 상품 별 분산도 및 상기 상품 별 현재 수량에 기반하여, 상기 신규 상품의 배치 지수를 연산하는 단계; 및 상기 상품 배치 장치가, 상기 배치 지수에 기반하여 상기 복수의 상품 배치 가능 영역들에 상기 분할된 신규 상품을 배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물류 창고 상품의 최적 배치 방법은, 상기 상품 배치 장치가, 상기 복수의 상품 배치 가능 영역들과 배송 포장 위치간 이격 거리를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상품 배치 장치가, 상기 배송 포장 위치와 가까운 영역부터 순차적으로 상기 분할된 신규 상품을 배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물류 창고 상품의 최적 배치 방법은, 상기 상품 배치 장치가, 상기 검출한 이벤트가 배송 상품의 출고임을 확인하는 단계; 상기 상품 배치 장치가, 상기 배송 상품의 출고에 기반하여 복수의 상품 배치 가능 영역을 확인하는 단계; 상기 상품 배치 장치가, 상기 확인한 복수의 상품 배치 가능 영역들 중 일부가 서로 인접하는 지 확인하는 단계; 서로 인접한 상품 배치 가능 영역들이 존재할 경우, 상기 상품 배치 장치가, 상기 서로 인접한 상품 배치 가능 영역들을 합쳐서 신규 상품 배치 가능 영역으로 설정하는 단계; 상기 상품 배치 장치가, 상기 상품 별 일일 판매 개수, 상기 상품의 이송 거리, 상기 상품 별 분산도 및 상기 상품 별 현재 수량에 기반하여, 상기 물류 창고에 적치된 상품들의 배치 지수를 연산하는 단계; 및 상기 상품 배치 장치가, 상기 배치 지수에 기반하여 상기 적치된 상품들을 순차적으로 재배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물류 창고 상품의 최적 배치 방법은, 상기 상품 배치 장치가, 상기 상품 배치 지수에 기반하여 상기 적치된 상품들의 우선순위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상품 배치 장치가, 상기 복수의 상품 배치 가능 영역들 및 상기 신규 상품 배치 가능 영역과 배송 포장 위치간 이격 거리를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상품 배치 장치가, 상기 배송 포장 위치와 가까운 영역부터 순차적으로 상기 우선순위에 따라 상기 적치 상품들을 배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이 구체적인 구성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 예 및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이 상기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을 꾀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상기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되며, 후술하는 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청구범위와 균등하게 또는 등가적으로 변형된 모든 것들은 본 발명의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Claims (7)

  1. 물류 창고에서 상품의 최적 배치를 결정하는 상품 배치 장치를 이용한 물류 창고 상품의 최적 배치 방법에 있어서,
    상기 상품 배치 장치가, 상기 물류 창고에서 이벤트 발생을 검출하는 단계;
    상기 상품 배치 장치가, 상기 검출한 이벤트에 기반하여 현재 물류 창고 정보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상품 배치 장치가, 상기 현재 물류 창고 정보에 기반하여 상품 별 일일 판매 개수, 상품의 이송 거리, 상품 별 분산도, 및 상품 별 현재 수량 중 적어도 하나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상품 배치 장치가, 상기 상품 별 일일 판매 개수, 상기 상품의 이송 거리, 상기 상품 별 분산도, 및 상기 상품 별 현재 수량 중 적어도 하나에 기반하여 상품 배치 지수를 연산하는 단계; 및
    상기 상품 배치 장치가, 상기 상품 배치 지수에 기반하여 상기 물류 창고에서 상품을 배치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상품 별 분산도는 동종 상품 별로 함께 배치된 정도를 나타내며, 상기 이벤트 발생 시점에서의 특정 상품 배치 지수는 특정 상품의 현재 수량, 특정 상품의 일일 판매 개수, 기준 시점에서부터 현재까지 발생한 이벤트 횟수, 특정 상품의 분산도 및 특정 상품의 이송 거리를 인자로 하는 수식에 의해 연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류 창고 상품의 최적 배치 방법.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상품 배치 지수는 하기 수식에 의해 연산되고,
    Figure 112018087406446-pat00002

    상기 Lt는 t 횟수의 상품 배치 지수, t는 현재 이벤트 발생 횟수, r은 기준 시점의 이벤트 발생 횟수, Pn는 n 시점의 상품별 일일 판매 개수, In은 n 횟수의 입고 수량, En은 n 횟수의 출고 수량, Ro는 기준 시점의 상품 수량, D는 상품 별 분산도, 및 S는 상품의 이송 거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류 창고 상품의 최적 배치 방법.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물류 창고 상품의 최적 배치 방법은,
    상기 상품 배치 장치가, 상기 검출한 이벤트가 신규 상품의 입고임을 확인하는 단계;
    상기 상품 배치 장치가, 상기 신규 상품의 입고에 기반하여 신규 상품의 배치 필요 영역과 복수의 상품 배치 가능 영역들을 비교하는 단계;
    비교 결과 상기 복수의 상품 배치 가능 영역들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상기 신규 상품의 배치 필요 영역보다 크거나 동일할 경우, 상기 상품 배치 장치가, 상기 상품 별 일일 판매 개수, 상기 상품의 이송 거리, 상기 상품 별 분산도 및 상기 상품 별 현재 수량에 기반하여, 상기 신규 상품의 배치 지수를 연산하는 단계; 및
    상기 상품 배치 장치가, 상기 배치 지수에 기반하여 상기 복수의 상품 배치 가능 영역들 중 상기 적어도 어느 하나에 상기 신규 상품을 배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류 창고 상품의 최적 배치 방법.
  4.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물류 창고 상품의 최적 배치 방법은,
    비교 결과 상기 복수의 상품 배치 가능 영역들이 모두 상기 신규 상품의 배치 필요 영역보다 작을 경우, 상기 상품 배치 장치가, 상기 신규 상품을 분할하는 단계;
    상기 상품 배치 장치가, 상기 상품 별 일일 판매 개수, 상기 상품의 이송 거리, 상기 상품 별 분산도 및 상기 상품 별 현재 수량에 기반하여, 상기 신규 상품의 배치 지수를 연산하는 단계; 및
    상기 상품 배치 장치가, 상기 배치 지수에 기반하여 상기 복수의 상품 배치 가능 영역들에 상기 분할된 신규 상품을 배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류 창고 상품의 최적 배치 방법.
  5.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물류 창고 상품의 최적 배치 방법은,
    상기 상품 배치 장치가, 상기 복수의 상품 배치 가능 영역들과 배송 포장 위치간 이격 거리를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상품 배치 장치가, 상기 배송 포장 위치와 가까운 영역부터 순차적으로 상기 분할된 신규 상품을 배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류 창고 상품의 최적 배치 방법.
  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물류 창고 상품의 최적 배치 방법은,
    상기 상품 배치 장치가, 상기 검출한 이벤트가 배송 상품의 출고임을 확인하는 단계;
    상기 상품 배치 장치가, 상기 배송 상품의 출고에 기반하여 복수의 상품 배치 가능 영역을 확인하는 단계;
    상기 상품 배치 장치가, 상기 확인한 복수의 상품 배치 가능 영역들 중 일부가 서로 인접하는 지 확인하는 단계;
    서로 인접한 상품 배치 가능 영역들이 존재할 경우, 상기 상품 배치 장치가, 상기 서로 인접한 상품 배치 가능 영역들을 합쳐서 신규 상품 배치 가능 영역으로 설정하는 단계;
    상기 상품 배치 장치가, 상기 상품 별 일일 판매 개수, 상기 상품의 이송 거리, 상기 상품 별 분산도 및 상기 상품 별 현재 수량에 기반하여, 상기 물류 창고에 적치된 상품들의 배치 지수를 연산하는 단계; 및
    상기 상품 배치 장치가, 상기 배치 지수에 기반하여 상기 적치된 상품들을 순차적으로 재배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류 창고 상품의 최적 배치 방법.
  7.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물류 창고 상품의 최적 배치 방법은,
    상기 상품 배치 장치가, 상기 상품 배치 지수에 기반하여 상기 적치된 상품들의 우선순위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상품 배치 장치가, 상기 복수의 상품 배치 가능 영역들 및 상기 신규 상품 배치 가능 영역과 배송 포장 위치간 이격 거리를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상품 배치 장치가, 상기 배송 포장 위치와 가까운 영역부터 순차적으로 상기 우선순위에 따라 상기 적치 상품들을 배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류 창고 상품의 최적 배치 방법.
KR1020180104661A 2018-09-03 2018-09-03 물류 창고 상품의 최적 배치 방법 KR10197431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04661A KR101974312B1 (ko) 2018-09-03 2018-09-03 물류 창고 상품의 최적 배치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04661A KR101974312B1 (ko) 2018-09-03 2018-09-03 물류 창고 상품의 최적 배치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74312B1 true KR101974312B1 (ko) 2019-04-30

Family

ID=662855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04661A KR101974312B1 (ko) 2018-09-03 2018-09-03 물류 창고 상품의 최적 배치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74312B1 (ko)

Cited B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72426B1 (ko) * 2020-02-05 2020-10-30 쿠팡 주식회사 컨베이어를 제어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전자 장치
KR102180868B1 (ko) * 2020-07-29 2020-11-19 쿠팡 주식회사 컨베이어를 제어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전자 장치
KR102196411B1 (ko) * 2020-10-22 2020-12-30 쿠팡 주식회사 컨베이어를 제어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전자 장치
KR20210011314A (ko) * 2019-07-22 2021-02-01 쿠팡 주식회사 인바운드 제품 스케줄링, 인바운드 제품 적재, 및 인바운드 에러 모니터링을 위한 시스템 및 방법
KR102231076B1 (ko) * 2020-07-29 2021-03-24 쿠팡 주식회사 컨베이어를 제어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전자 장치
KR20210086376A (ko) * 2019-12-30 2021-07-08 쿠팡 주식회사 사이클 및 안전 재고 결정 시스템
CN113177765A (zh) * 2021-05-31 2021-07-27 深圳市海柔创新科技有限公司 货物入库方法、装置、设备、仓储系统及存储介质
KR20210122987A (ko) * 2020-04-02 2021-10-13 (주)에스피에스 스마트 팩토리가 가능한 창고 관리 시스템 및 그 시스템을 이용한 물품 배치 방법
KR20220010409A (ko) * 2020-07-17 2022-01-25 쿠팡 주식회사 제품 할당 검증을 이용한 인바운드 제품의 지능적 분배에 의해 제품 재고를 최적화하는 컴퓨터 구현 시스템 및 방법
US11416815B1 (en) 2021-06-11 2022-08-16 Coupang Corp. Systems and computerized methods for balancing inventory
WO2023167365A1 (ko) * 2022-03-04 2023-09-07 쿠팡 주식회사 풀필먼트 센터에서 물품 공급자 단말기의 할당 요청에 따른 물품 배송 기계를 위한 슬롯을 할당하는 방법 및 그 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212316A (ja) * 2002-01-28 2003-07-30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物品棚割り付け支援方法、物品棚割り付け支援装置及び記録媒体
JP6017693B2 (ja) * 2013-08-02 2016-11-02 株式会社日立製作所 物流管理装置、物流管理方法及び物流管理プログラム
KR20170059248A (ko) * 2015-11-20 2017-05-30 쿠팡 주식회사 창고 관리 시스템,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
KR20180073220A (ko) * 2016-12-22 2018-07-02 쿠팡 주식회사 상품 분류 장치,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212316A (ja) * 2002-01-28 2003-07-30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物品棚割り付け支援方法、物品棚割り付け支援装置及び記録媒体
JP6017693B2 (ja) * 2013-08-02 2016-11-02 株式会社日立製作所 物流管理装置、物流管理方法及び物流管理プログラム
KR20170059248A (ko) * 2015-11-20 2017-05-30 쿠팡 주식회사 창고 관리 시스템,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
KR20180073220A (ko) * 2016-12-22 2018-07-02 쿠팡 주식회사 상품 분류 장치,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

Cited By (3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055663B2 (en) 2019-07-22 2021-07-06 Coupang Corp. Systems and methods for scheduling inbound products, stowing inbound products, and monitoring inbound error
US11783290B2 (en) 2019-07-22 2023-10-10 Coupang Corp. Systems and methods for scheduling inbound products, stowing inbound products, and monitoring inbound error
KR20210111198A (ko) * 2019-07-22 2021-09-10 쿠팡 주식회사 인바운드 제품 스케줄링, 인바운드 제품 적재, 및 인바운드 에러 모니터링을 위한 시스템 및 방법
KR20210011314A (ko) * 2019-07-22 2021-02-01 쿠팡 주식회사 인바운드 제품 스케줄링, 인바운드 제품 적재, 및 인바운드 에러 모니터링을 위한 시스템 및 방법
KR102296553B1 (ko) * 2019-07-22 2021-09-02 쿠팡 주식회사 인바운드 제품 스케줄링, 인바운드 제품 적재, 및 인바운드 에러 모니터링을 위한 시스템 및 방법
KR102419998B1 (ko) * 2019-07-22 2022-07-12 쿠팡 주식회사 인바운드 제품 스케줄링, 인바운드 제품 적재, 및 인바운드 에러 모니터링을 위한 시스템 및 방법
KR102515834B1 (ko) * 2019-12-30 2023-03-30 쿠팡 주식회사 사이클 및 안전 재고 결정 시스템
KR102365136B1 (ko) * 2019-12-30 2022-02-18 쿠팡 주식회사 사이클 및 안전 재고 결정 시스템
KR20210086376A (ko) * 2019-12-30 2021-07-08 쿠팡 주식회사 사이클 및 안전 재고 결정 시스템
US11321651B2 (en) 2019-12-30 2022-05-03 Coupang Corp. Cycle and safety stock determination systems
KR20220026560A (ko) * 2019-12-30 2022-03-04 쿠팡 주식회사 사이클 및 안전 재고 결정 시스템
KR102172426B1 (ko) * 2020-02-05 2020-10-30 쿠팡 주식회사 컨베이어를 제어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전자 장치
WO2021157793A1 (ko) * 2020-02-05 2021-08-12 쿠팡 주식회사 컨베이어를 제어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전자 장치
US11045839B1 (en) 2020-02-05 2021-06-29 Coupang Corp. Method of controlling conveyer and electronic apparatus therefor
US11745222B2 (en) 2020-02-05 2023-09-05 Coupang Corp. Method of controlling conveyer and electronic apparatus therefor
KR102442462B1 (ko) * 2020-04-02 2022-09-13 (주)에스피에스 스마트 팩토리가 가능한 창고 관리 시스템 및 그 시스템을 이용한 물품 배치 방법
KR20210122987A (ko) * 2020-04-02 2021-10-13 (주)에스피에스 스마트 팩토리가 가능한 창고 관리 시스템 및 그 시스템을 이용한 물품 배치 방법
KR102451182B1 (ko) * 2020-07-17 2022-10-06 쿠팡 주식회사 제품 할당 검증을 이용한 인바운드 제품의 지능적 분배에 의해 제품 재고를 최적화하는 컴퓨터 구현 시스템 및 방법
KR20220010409A (ko) * 2020-07-17 2022-01-25 쿠팡 주식회사 제품 할당 검증을 이용한 인바운드 제품의 지능적 분배에 의해 제품 재고를 최적화하는 컴퓨터 구현 시스템 및 방법
US11250380B2 (en) 2020-07-17 2022-02-15 Coupang Corp. Computer-implemented systems and methods for optimization of a product inventory by intelligent distribution of inbound products using product assignment validation
US11810016B2 (en) 2020-07-17 2023-11-07 Coupang Corp. Computer-implemented systems and methods for optimization of a product inventory by intelligent distribution of inbound products using product assignment validation
KR20210100037A (ko) * 2020-07-29 2021-08-13 쿠팡 주식회사 컨베이어를 제어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전자 장치
KR102486509B1 (ko) 2020-07-29 2023-01-10 쿠팡 주식회사 컨베이어를 제어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전자 장치
KR102231076B1 (ko) * 2020-07-29 2021-03-24 쿠팡 주식회사 컨베이어를 제어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전자 장치
KR102180868B1 (ko) * 2020-07-29 2020-11-19 쿠팡 주식회사 컨베이어를 제어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전자 장치
KR102196411B1 (ko) * 2020-10-22 2020-12-30 쿠팡 주식회사 컨베이어를 제어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전자 장치
CN113177765A (zh) * 2021-05-31 2021-07-27 深圳市海柔创新科技有限公司 货物入库方法、装置、设备、仓储系统及存储介质
WO2022259035A1 (en) * 2021-06-11 2022-12-15 Coupang Corp. Systems and computerized methods for balancing inventory
US11416815B1 (en) 2021-06-11 2022-08-16 Coupang Corp. Systems and computerized methods for balancing inventory
WO2023167365A1 (ko) * 2022-03-04 2023-09-07 쿠팡 주식회사 풀필먼트 센터에서 물품 공급자 단말기의 할당 요청에 따른 물품 배송 기계를 위한 슬롯을 할당하는 방법 및 그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74312B1 (ko) 물류 창고 상품의 최적 배치 방법
Alawneh et al. Dual-channel warehouse and inventory management with stochastic demand
CN110689290B (zh) 商品售卖方法以及装置
JP6405007B2 (ja) マテリアルハンドリング施設におけるプロセス管理のシステムおよび方法
JP6856135B2 (ja) 搬送作業制御装置、搬送作業制御方法、及び、搬送作業制御プログラム
KR20170059248A (ko) 창고 관리 시스템,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
GB2542676A (en) Overstock inventory sorting at retail sales facilities
JP2018205862A (ja) 在庫管理発注装置および在庫管理発注方法、ならびにプログラム
CN108573422B (zh) 库存信息处理方法、装置及系统
CN111160820A (zh) 库存管理装置及库存管理方法、可读存储介质、电子设备
JPWO2017081739A1 (ja) 在庫解析装置および在庫解析方法
WO2019064790A1 (ja) 推奨発注数決定装置、推奨発注数決定方法および推奨発注数決定プログラム
JP4680656B2 (ja) 自動発注勧告装置、自動発注勧告プログラム
KR20050014813A (ko) 배분 처리 시스템, 배분 처리 장치 및 배분 처리 방법
US20160104088A1 (en) Demand-supply adjusting device and demand-supply condition consolidating method
KR102205214B1 (ko) 이원화 관리 유저 인터페이스 및 이를 이용한 상품 정보 관리 시스템
CN111445297A (zh) 采购量的确定方法、装置、存储介质及电子设备
WO2016208030A1 (ja) 作業指導割当システム及び作業指導割当方法
KR102554831B1 (ko) 아이템 수거 정보를 제공하는 전자 장치 및 그 방법
CN111612385A (zh) 一种对待配送物品进行聚类的方法和装置
JPWO2018008303A1 (ja) 機会損失算出システム、機会損失算出方法および機会損失算出プログラム
JP2022108172A (ja) 商品発注支援システム
JP2004171592A (ja) 配分処理システム、配分処理装置および配分処理方法
JPH0676149A (ja) 自動販売機の商品管理システム
Yan et al. Managing backlog variation in order fulfillment: The case of Internet retailer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