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22738A - 사용자 맞춤형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사용자 맞춤형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22738A
KR20210122738A KR1020210126541A KR20210126541A KR20210122738A KR 20210122738 A KR20210122738 A KR 20210122738A KR 1020210126541 A KR1020210126541 A KR 1020210126541A KR 20210126541 A KR20210126541 A KR 20210126541A KR 20210122738 A KR20210122738 A KR 2021012273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terminal
user
application
ti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265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26783B1 (ko
Inventor
여해동
김항규
박치현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KR1020200139761A external-priority patent/KR102307357B1/ko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1265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26783B1/ko
Publication of KR202101227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22738A/ko
Priority to KR1020220092066A priority patent/KR10255229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267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2678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48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adapting the functionality of the device according to specific condi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90Details of database functions independent of the retrieved data types
    • G06F16/95Retrieval from the web
    • G06F16/953Querying, e.g. by the use of web search engines
    • G06F16/9537Spatial or temporal dependent retrieval, e.g. spatiotemporal queri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 H04W4/029Location-based management or tracking 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arketing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Information Retrieval, Db Structures And Fs Structures Therefor (AREA)
  • Optical Recording Or Reproduction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사용자 맞춤형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이 개시된다. 사용자 맞춤형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은, 단말기가 위치하고 있는 장소 정보 및 장소 정보가 획득된 시간 정보를 획득하고, 장소 정보 및 시간 정보를 기초로 예측된 단말기의 사용자의 상황 정보를 획득하여, 획득한 사용자의 상황 정보, 기저장된 사용자의 프로파일 정보 및 장소 정보가 획득된 시간에서의 단말기의 상태 정보를 기초로 사용자의 상황에 대응되는 상황 적응적 정보를 서버에 요청하여, 서버로부터 상황 적응적 정보를 획득하여 사용자의 상홍에 적합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사용자 맞춤형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user centric information and recording medium thereof}
본 발명은 사용자 맞춤형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단말기 또는 서버에서 사용자의 상황에 기초하여 사용자에게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전자 장치의 급격한 발달에 따라 무선 음성 통화 및 정보 교환이 가능한 전자 장치는 생활 필수품이 되었다. 전자 장치는 보급 초기에 단순히 무선 통화가 가능한 휴대 장치로 인식되었으나, 그 기술이 발달하고 무선 인터넷이 도입됨에 따라 단순히 무선 통화가 가능한 휴대 장치에서 벗어나 일정관리, 게임, 리모컨, 이미지 촬영 등의 기능을 수행하는 멀티미디어 장치로 발전하여 사용자의 욕구를 충족시키고 있다.
특히, 최근에는 사용자 등의 위치 정보를 제공 가능한 전자 장치가 출시되고 있다. 전자 장치가 위치 정보를 제공할 수 있게 되면서, 위치 정보를 기반으로 사용자에게 다양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어플리케이션 또한 출시되고 있다. 하지만, 위치 정보만을 이용하여 사용자에게 정보를 제공하는 경우, 사용자의 상황을 구체적으로 파악하는 것이 용이하지 않아, 실질적으로 사용자의 상황에 적절한 정보를 제공하기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다.
전자 장치에서 획득 가능한 위치 정보 이외에, 시간 정보 및 전자 장치의 상태 정보 등의 다양한 정보를 기초로 사용자의 상황에 보다 적절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가 사용자 맞춤형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은, 단말기가 위치하고 있는 장소 정보 및 상기 장소 정보가 획득된 시간 정보를 서버에 전송하는 단계; 상기 서버로부터 상기 장소 정보 및 상기 시간 정보를 기초로 예측된 상기 단말기의 사용자의 상황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획득된 사용자의 상황 정보, 기저장된 상기 사용자의 프로파일 정보 및 상기 장소 정보가 획득된 시간에서의 상기 단말기의 상태 정보를 기초로 상기 사용자의 상황에 대응되는 상황 적응적 정보를 상기 서버에 요청하는 단계; 및 상기 서버로부터 상기 상황 적응적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가 사용자 맞춤형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상황 적응적 정보를 상기 서버에 요청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의 프로파일 정보 및 상기 단말기의 상태 정보를 기초로 상기 사용자의 상황에서의 사용자 의도를 예측하는 단계; 및 상기 예측된 사용자 의도를 구현하기 위해 요구되는 상황 적응적 정보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가 사용자 맞춤형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상황 적응적 정보를 상기 서버에 요청하는 단계는, 상기 상황 적응적 정보를 추출 가능한 질의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생성된 질의를 상기 서버에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가 사용자 맞춤형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은 기설정된 시간 간격에 기초하여 상기 장소 정보 및 상기 시간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가 사용자 맞춤형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은 제 1 시점에 획득한 제 1 장소 정보 및 제 1 시간 정보와 상기 제 1 시점 이후에 획득한 제 2 장소 정보 및 제 2 시간 정보 중 적어도 하나가 각각 대응되지 않는 경우, 상기 제 2 장소 정보 및 상기 제 2 시간 정보를 상기 서버에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버가 사용자 맞춤형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은 단말기로부터 상기 단말기가 위치하고 있는 장소 정보 및 상기 장소 정보가 획득된 시간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장소 정보 및 상기 시간 정보에 기초하여 결정된 상기 단말기의 사용자의 상황 정보를 상기 단말기에 전송하는 단계; 상기 단말기로부터 상기 사용자의 상황에 대응되는 상황 적응적 정보의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단말기로부터 획득한 적어도 하나의 장소 정보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장소 정보를 획득한 시간 정보를 기설정된 시간 간격에 기초하여 분류한 상황 패턴 정보로부터 추출된 상기 요청에 대응되는 상황 적응적 정보를 상기 단말기에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버가 사용자 맞춤형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의 사용자의 상황 정보를 상기 단말기에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장소 정보 및 상기 시간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의 상황을 예측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버가 사용자 맞춤형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의 상황을 예측하는 단계는, 상기 장소 정보가 기설정된 횟수 이상으로 획득된 장소 정보인 경우, 상기 장소 정보를 획득한 시간 이전의 제 1 기간 내에 획득한 장소 정보 및 상기 제 1 기간 내에 획득한 시간 정보를 기초로 상기 사용자의 상황을 예측하는 단계; 및 상기 장소 정보가 기설정된 횟수 미만으로 획득된 장소 정보인 경우, 상기 장소 정보를 획득한 시간 이전의 제 2 기간 내에 획득한 장소 정보 및 상기 제 2 기간 내에 획득한 시간 정보를 기초로 상기 사용자의 상황을 예측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기간은 상기 제 2 기간보다 상대적으로 짧은 기간으로 설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버가 사용자 맞춤형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은 상기 단말기로부터 획득한 적어도 하나의 장소 정보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시간 정보 중에서 일정한 시간 간격에 기초하여 반복되는 정보를 추출하는 단계; 및 상기 추출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상황 패턴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버가 사용자 맞춤형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은 적어도 하나의 다른 단말기 각각으로부터 획득한 적어도 하나의 참고 장소 정보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참고 장소 정보를 획득한 적어도 하나의 참고 시간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단말기의 상황을 예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는 단말기가 위치하고 있는 장소 정보 및 상기 장소 정보가 획득된 시간 정보 를 서버에 전송하는 송신부; 상기 서버로부터 상기 장소 정보 및 상기 시간 정보를 기초로 예측된 상기 단말기의 사용자의 상황 정보를 획득하는 수신부; 상기 획득된 사용자의 상황 정보, 기저장된 상기 사용자의 프로파일 정보 및 상기 장소 정보가 획득된 시간에서의 상기 단말기의 상태 정보를 기초로 상기 사용자의 상황에 대응되는 상황 적응적 정보를 상기 서버에 요청하는 제어부; 및 상기 수신부는 상기 서버로부터 상기 상황 적응적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의 프로파일 정보 및 상기 단말기의 상태 정보를 기초로 상기 사용자의 상황에서의 사용자 의도를 예측하고 상기 예측된 사용자 의도를 구현하기 위해 요구되는 상황 적응적 정보를 결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상황 적응적 정보를 추출 가능한 질의를 생성하고, 상기 송신부는, 상기 생성된 질의를 상기 서버에 전송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는 기설정된 시간 간격에 기초하여 상기 장소 정보 및 상기 시간 정보를 획득하는 센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에 있어서, 상기 송신부는. 제 1 시점에 획득한 제 1 장소 정보 및 제 1 시간 정보와 상기 제 1 시점 이후에 획득한 제 2 장소 정보 및 제 2 시간 정보 중 적어도 하나가 각각 대응되지 않는 경우, 상기 제 2 장소 정보 및 상기 제 2 시간 정보를 상기 서버에 전송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버는 단말기로부터 상기 단말기가 위치하고 있는 장소 정보 및 상기 장소 정보가 획득된 시간 정보를 수신하는 획득부; 상기 장소 정보 및 상기 시간 정보에 기초하여 결정된 상기 단말기의 사용자의 상황 정보를 상기 단말기에 전송하는 전송부; 및 상기 단말기로부터 획득한 적어도 하나의 장소 정보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장소 정보를 획득한 시간 정보를 기설정된 시간 간격에 기초하여 분류한 상황 패턴 정보로부터 상황 적응적 정보를 추출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획득부는 상기 단말기로부터 상기 사용자의 상황에 대응되는 상황 적응적 정보의 요청을 수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버에 있어서, 제어부는 장소 정보 및 상기 시간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의 상황을 예측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버에 있어서, 제어부는 상기 장소 정보가 기설정된 횟수 이상으로 획득된 장소 정보인 경우, 상기 장소 정보를 획득한 시간 이전의 제 1 기간 내에 획득한 장소 정보 및 상기 제 1 기간 내에 획득한 시간 정보를 기초로 상기 사용자의 상황을 예측하고, 상기 장소 정보가 기설정된 횟수 미만으로 획득된 장소 정보인 경우, 상기 장소 정보를 획득한 시간 이전의 제 2 기간 내에 획득한 장소 정보 및 상기 제 2 기간 내에 획득한 시간 정보를 기초로 상기 사용자의 상황을 예측하며, 상기 제 1 기간은 상기 제 2 기간보다 상대적으로 짧은 기간으로 설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버에 있어서, 제어부는 상기 단말기로부터 획득한 적어도 하나의 장소 정보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시간 정보 중에서 일정한 시간 간격에 기초하여 반복되는 정보를 추출하고, 상기 추출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상황 패턴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버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적어도 하나의 다른 단말기 각각으로부터 획득한 적어도 하나의 참고 장소 정보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참고 장소 정보를 획득한 적어도 하나의 참고 시간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단말기의 상황을 예측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맞춤형 정보를 제공하는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가 사용자 맞춤형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가 상황 적응적 정보를 서버에 요청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가 주변 환경의 정보를 기초로 단말기(100)가 위치하고 있는 장소 정보를 획득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버가 사용자 맞춤형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버가 장소 정보 및 시간 정보를 기초로 사용자의 상황을 예측하는 구체적인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 및 서버에서 사용자 맞춤형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8 및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맞춤형 정보를 제공하는 단말기의 블록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맞춤형 정보를 제공하는 서버의 블록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맞춤형 정보를 제공하는 시스템(10)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사용자 맞춤형 정보를 제공하는 시스템(10)에는 본 실시예와 관련된 구성요소들만이 도시되어 있다. 따라서, 도 1에 도시된 구성요소들 외에 다른 범용적인 구성요소들이 더 포함될 수 있음을 본 실시예와 관련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해할 수 있다.
도 1을 참고하면, 사용자 맞춤형 정보를 제공하는 시스템(10)은 단말기(100)와 서버(20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100)는 적어도 하나의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단말기(100)는 적어도 하나의 센서를 이용하여, 단말기(100)의 장소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여기에서, 장소 정보는 단말기(100)가 위치하고 있는 장소에 대한 정보일 수 있다. 단말기(100)는 센서로부터 획득한 지리 정보, 날씨 정보, 온도 정보, 습도 정보, 조도 정보, 소음 정보 및 소리 정보 등을 기초로, 단말기(100)의 장소 정보를 결정할 수 있다. 한편, 이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일 뿐, 사용자가 센서로부터 획득하는 정보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한편, 단말기(100)는 장소 정보와 함께 단말기(100)가 장소 정보를 획득한 시점의 시간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단말기(100)는 지리 정보, 날씨 정보, 온도 정보, 습도 정보, 조도 정보, 소음 정보 및 소리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획득한 시점의 시간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또한, 단말기(100)는 서버(200)와 통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단말기(100)는 획득한 장소 정보 및 시간 정보를 서버(200)에 전송할 수 있다. 또한, 단말기(100)는 서버(200)로부터 상황 적응적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상황 적응적 정보는 전술한 장소 정보 및 시간 정보를 획득한 시점에서 예측된 사용자의 상황에서 사용자에게 필요하다고 판단되는 정보일 수 있다. 여기에서, 사용자에게 필요하다고 판단되는 정보는 단말기(100)에 저장되어 있는 사용자의 프로파일 정보 또는 단말기(100)의 상태 정보를 기초로 결정될 수 있다. 상황 적응적 정보의 구체적인 실시예에 대해서는 도 2를 참고하여 구체적으로 후술하도록 한다.
단말기(100)는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명세서에서 기술되는 단말기(100)는 휴대폰, 스마트 폰(smart phone), 노트북 컴퓨터(laptop computer), 태블릿 PC, 전자책 단말기, 디지털 방송용 단말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네비게이션, MP3 플레이어, 디지털 카메라 등이 있을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서버(200)는 단말기(100)와 통신할 수 있다. 서버(200)는 단말기(100)로부터 장소 정보 및 시간 정보 등을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서버(200)는 획득한 장소 정보 및 시간 정보를 기초로 생성된 정보를 단말기(100)에 전송할 수도 있다.
다른 예에 따르면, 서버(200)는 단말기(100)의 센서로부터 감지된 다양한 정보들을 기초로 단말기(100)가 위치하고 있는 장소를 예측할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 서버(200)는 단말기(100)로부터 획득한 지리 정보, 날씨 정보, 온도 정보, 습도 정보, 조도 정보, 소음 정보 및 소리 정보 등을 기초로 단말기(100)가 위치하고 있는 장소를 예측할 수도 있다.
서버(200)에서 장소 정보 및 시간 정보를 기초로 생성가능한 정보에 대해서는 도 5를 참고하여 구체적으로 후술하도록 한다.
한편, 서버(200)는 단말기(100)로부터 획득한 정보들을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서버(200)는 저장된 정보들을 소정 기준에 따라 분류할 수도 있다. 단말기(100)로부터 획득한 정보들에는 장소 또는 시간을 확인할 수 있는 태그가 포함될 수 있다. 서버(200)는 단말기(100)로부터 획득한 정보에 포함되는 태그를 기초로 획득한 정보들 중 반복되어 획득되는 정보들에 대해서는 패턴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서버(200)는 단말기(100) 이외의 다른 단말기들과도 통신할 수 있다. 서버(200)는 복수개의 단말기로부터 획득한 정보들을 저장하여, 기설정된 기준에 따라 분류할 수 있다. 서버(200)는 단말기(100)로부터 획득한 정보들을 분류하는 것과 유사한 방식으로 복수개의 단말기로부터 획득한 정보에 포함되는 태그를 기초로 획득한 정보들에 대해 패턴을 형성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단말기(100)가 획득한 장소 정보, 시간 정보 및 상태 정보를 기초로 서버(200)로부터 상황 적응적 정보를 획득하는 동작에 대해서 도 2 를 참고하여 자세히 살펴보도록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100)가 사용자 맞춤형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단계 210에서, 단말기(100)는 단말기(100)가 위치하고 있는 장소 정보 및 장소 정보가 획득된 시간 정보를 서버(200)에 전송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100)는 적어도 하나의 센서를 이용하여 획득한 주변 환경의 정보를 기초로 장소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단말기(100)는 위치 센서(예를 들어, GPS)를 이용하여 단말기(100)가 A 건물에 위치하고 있다는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또한, 단말기(100)는 지리 정보와 함께 RGB 센서를 이용하여 획득한 조도 정보 및 온도 센서를 이용하여 획득한 온도 정보를 기초로, 단말기(100)가 A 건물의 내부에 위치하고 있다는 보다 구체적인 장소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한편, 단말기(100)는 위치 센서, RGB 센서 및 온도 센서 뿐만 아니라, 습도 센서 및 마이크로폰 등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센서를 이용하여 보다 구체적인 장소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그리고 단말기(100)는 A 건물 내부에 단말기(100)가 위치하고 있는 시간이 수요일 오전 열 시라는 시간 정보 또한 획득할 수 있다. 단말기(100)는 A 건물 내부에 오전 10시에 위치하고 있다는 장소 정보 및 시간 정보를 서버(200)에 전송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4를 참고하여, 단말기(100)가 획득한 주변 환경의 정보를 기초로 단말기(100)가 위치하고 있는 장소를 결정하는 방법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100)가 주변 환경의 정보를 기초로 단말기(100)가 위치하고 있는 장소 정보를 획득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를 참고하면 단말기(100)는 적어도 하나의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단말기(100)는 근접(proximity) 센서, 움직임(gesture) 센서, RGB 센서(illuminance sensor), 자이로스코프 센서, 가속도 센서, 습도 센서, 온도 센서, 마이크, 와이파이 센서, 셀룰러(cellular) 센서 및 위치 센서(예컨대, GPS)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각 센서들의 기능은 그 명칭으로부터 당업자가 직관적으로 추론할 수 있으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단말기(100)는 적어도 하나의 센서를 이용하여, 주변 환경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또한, 단말기(100)는 획득한 주변 환경 정보에 기초하여, 단말기(100)가 위치하고 있는 장소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단말기(100)는 획득한 주변 환경 정보를 기설정된 기준에 따라 분류하여 단말기(100)가 위치하고 있는 장소에 대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단말기(100)는 적어도 하나의 센서로부터 획득한 주변 환경 정보를 이동성에 기초하여 분류할 수 있다. 위치 센서로부터 수집되는 지리 정보가 계속적으로 변화할 경우, 서버(200)는 단말기(100)가 이동 중이라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단말기(100)는 시간에 따라 지리 정보가 변화하는 비율을 고려하여, 단말기(100)의 사용자가 걸어서 이동하는 중인지 또는 자동차 등의 교통 수단을 이용하고 있는지 여부에 대한 구체적인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단말기(100)는 이동성을 기초로 단말기(100)의 위치가 변하지 않는다고 판단되는 제 1 장소 및 제 2 장소와 단말기(100)의 위치가 변한다고 판단되는 제 3 장소를 분류할 수 있다. 또한, 단말기(100)의 위치의 변화율을 기초로 제 3 장소가 자동차 또는 버스 내부라는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한편, 이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일 뿐 단말기(100)는 이동성 이외에도, 지리 정보, 날씨 정보, 온도 정보, 습도 정보, 조도 정보, 소음 정보 및 소리 정보 등을 기초로, 단말기가 위치하고 있는 장소 정보를 분류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단말기(100)가 이동성을 기초로 획득한 주변 정보를 분류한 이후에 세부적으로 단말기(100)의 장소 정보를 획득하는 실시예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단말기(100)는 제 1 장소에 대해 수집된 주변 환경 정보를 분석한 결과, GPS 정보를 기초로 제 1 장소가 Z 연구소 내에 위치하고 있고, 조도가 낮고, 소음 정도가 낮다는 등의 정보를 기초로, 제 1 장소가 실험실이라고 예측할 수 있다.
또한, 단말기(100)는 제 2 장소에 대해 수집된 주변 환경 정보를 분석한 결과, 제 2 장소의 GPS 정보, 주변에서 발생되는 소리가 크다는 정보 및 온도가 낮다는 정보, 단말기(100)가 이동하고 있지 않다는 정보 등을 기초로 제 2 장소가 버스 정류장이라고 예측할 수 있다.
단말기(100)는 제 3 장소에 대해 수집된 주변 환경 정보를 분석한 결과 , 제 3 장소의 GPS 정보, 온도가 높다는 정보, 단말기(100)가 빠른 속도로 이동하고 있다는 정보 등을 기초로 제 3 장소가 버스 내부라고 예측할 수 있다.
한편, 단말기(100)는 획득한 주변 환경을 기초로 단말기(100)가 위치하고 있는 장소 예측을 완료한 경우, 단말기(100)의 장소 정보를 나타내는 장소 인덱스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서버(200)가 단말기(100)가 획득한 주변 환경 정보로부터 단말기(100)가 위치하고 있는 장소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서버(200)가 단말기(100)로부터 획득한 주변 환경 정보에 기초하여 단말기(100)가 위치하고 있는 장소 정보를 획득하는 방법은 단말기(100)가 주변 환경 정보로부터 장소 정보를 획득하는 방법과 대응될 수 있다.
다시 도 2를 참고하면, 단계 220에서, 단말기(100)는 서버(200)로부터 장소 정보 및 시간 정보를 기초로 예측된 단말기의 사용자의 상황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여기에서, 상황 정보는 단말기(100)의 장소 정보 및 시간 정보가 획득된 때에 사용자의 상황에 대한 정보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수요일 오전 열시에 A건물의 내부에 위치하고 있다는 장소 정보 및 시간 정보로부터 서버(200)는 사용자가 회사에서 업무를 수행하고 있는 상황이라는 것을 예측할 수 있다. 서버(200)내에는 단말기(100)로부터 기설정된 주기에 기초하여 획득한 단말기(100)의 적어도 하나의 장소 정보 및 시간 정보가 저장될 수 있다. 서버(200)는 저장된 적어도 하나의 장소 정보 및 시간 정보를 기초로 A 건물이 사용자가 매일 출근하는 회사라는 정보와 오전 열시가 근무시간이라는 정보를 추출하여, 사용자가 업무를 수행하는 상황이라는 것을 예측할 수 있다.
단말기(100)는 서버(200)로부터 사용자가 업무를 수행하는 상황이라는 상황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단계 230에서, 단말기(100)는 획득된 사용자의 상황 정보, 기저장된 사용자의 프로파일 정보 및 장소 정보가 획득된 시간에서의 단말기의 상태 정보를 기초로 사용자의 상황에 대응되는 상황 적응적 정보를 서버(200)에 요청할 수 있다. 상황 적응적 정보는 전술한 장소 정보 및 시간 정보를 획득한 시점에서 예측된 사용자의 상황에서 사용자에게 필요하다고 판단되는 정보일 수 있다.
여기에서 사용자의 프로파일 정보는 사용자의 직업, 가족관계, 나이, 성별, 주소, 취미 및 스케쥴 등 사용자의 특징을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단말기(100)의 상태 정보는 단말기(100)의 모드 정보(예컨대, 소리 모드, 진동 모드, 무음 모드, 절전 모드, 차단 모드, 멀티 윈도우 모드, 자동 회전 모드 등), 통신 모듈의 활성화 정보(예컨대, WiFi ON/ Bluetooth OFF/ GPS ON/ NFC ON 등), 단말기(100)의 네트워크 접속 상태 정보, 단말기(100)에서 실행되는 애플리케이션 정보(예컨대, 애플리케이션의 식별 정보, 애플리케이션 종류, 애플리케이션 이용 시간, 애플리케이션 이용 주기)등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한편, 명세서 전체에서 애플리케이션은 특정한 업무를 수행하기 위해 고안된 일련의 컴퓨터 프로그램 집합을 말한다. 본 명세서에 기술되는 애플리케이션은 다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게임 애플리케이션, 동영상 재생 애플리케이션, 지도 애플리케이션, 메모 애플리케이션, 캘린더 애플리케이션, 폰 북 애플리케이션, 방송 애플리케이션, 운동 지원 애플리케이션, 결제 애플리케이션, 사진 폴더 애플리케이션 등이 있을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한편, 단말기(100)는 현재 실행 중인 애플리케이션이 맛집 추천 애플리케이션이고, 사용자가 웹 서버에서 사용한 검색어가 B 맛집이라는 상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단말기(100)는 사용자가 A 건물의 내부에서 오전 열 시에 맛집 추천 애플리케이션을 검색하고, 캘린더 애플리케이션에 저장된 거래처와의 미팅이라는 메모 정보를 통해, 사용자가 고객과의 미팅을 준비중이라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다.
단말기(100)는 단말기(100)의 상태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상황에서의 사용자의 의도를 예측할 수 있다. 즉, 단말기(100)의 상태 정보로부터 사용자가 고객과의 미팅을 준비하고 있다는 사용자의 의도를 예측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단말기(100)는 이러한 상황에서 사용자에게 필요하다고 판단되는 상황 적응적 정보를 서버(200)에 요청할 수 있다. 단말기(100)는 상황 적응적 정보를 추출 가능한 질의를 생성하여 서버(200)에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단말기(100)는 A건물 근처에 조용하고 깨끗한 분위기의 식당이 있는지 여부에 대한 질의를 생성하여, 서버(200)에 전송할 수 있다.
단계 240에서, 단말기(100)는 서버(200)로부터 상황 적응적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단말기(100)는 상황 적응적 정보를 추출하기 위해 전송하였던 질의에 대한 응답으로서 상황 적응적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단말기(100)는 획득한 상황 적응적 정보에 기초하여 단말기(10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A 건물 근처에 조용하고 깨끗한 분위기의 B 식당에 대한 상황 적응적 정보를 수신한 경우, B 식당에 대한 정보를 단말기(100)의 화면에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100)는 서버(200)로부터 획득한 상황 적응적 정보를 디스플레이 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100)가 상황 적응적 정보를 서버(200)에 요청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단계 310에서, 단말기(100)는 서버(200)로부터 장소 정보 및 시간 정보를 기초로 예측된 단말기의 사용자의 상황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여기에서, 상황 정보는 단말기(100)의 장소 정보 및 시간 정보가 획득된 때에 사용자의 상황에 대한 정보일 수 있다.
한편, 도 3의 단계 310은 도 2의 단계 220과 대응될 수 있다.
단계 320에서, 단말기(100)는 사용자의 프로파일 정보 및 단말기의 상태 정보를 기초로 사용자의 상황에서의 사용자 의도를 예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일요일 오후 한시에 B 건물 앞에 있는 버스 정류장에 위치하고 있다는 시간 정보 및 장소 정보를 기초로 서버(200)로부터 사용자가 학원을 가기 위해 버스를 기다리고 있는 상황이라는 상황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서버(200)에는 기설정된 기간 동안 단말기(100)로부터 획득한 적어도 하나의 장소 정보 및 적어도 하나의 장소 정보 각각을 획득한 시점에서의 시간 정보들이 저장되어 있다. 서버(200)는 저장되어 있는 경험적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가 학원을 가기 위해 버스를 기다리고 있는 상황이라는 것을 예측할 수 있다.
한편, 단말기(100)는 버스 노선 검색 애플리케이션이 실행되고 있다는 단말기(100)의 상태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가 학원까지 이동하는데 소요되는 시간에 대한 정보를 알아보고 있는 중이라는 사용자 의도를 예측할 수 있다.
단계 330에서, 단말기(100)는 예측된 사용자 의도에 기초하여, 상황 적응적 정보를 추출 가능한 질의를 생성할 수 있다.
전술한 예에서 단말기(100)는 목적지까지 이동하는데 소요되는 시간에 대한 정보를 상황 적응적 정보로서 서버(200)에 요청할 수 있다. 단말기(100)는 목적지까지 이동하는데 소요되는 시간에 대한 정보를 추출하기 위한 질의를 생성할 수 있다. 단말기(100)는 서버(200)가 처리 가능한 형태로 질의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단말기(100)는 단말기(100)와 서버(200) 모두 처리 가능한 형태로 목적지까지 이동하는데 소요되는 시간이라는 정보를 포함한 키워드를 생성할 수 있다.
한편, 도 2를 참고하여 전술한 예에서 단말기(100)는 사용자의 프로파일 정보 또는 단말기(100)의 상태 정보를 기초로 보다 구체적인 질의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단말기(100)의 메모 애플리케이션 또는 스케쥴 애플리케이션에 과거에 동일한 고객과의 점심 약속으로 B 식당을 방문한 적이 있다면, A 건물 주변의 조용하고 깨끗한 식당에 대한 정보를 요청하는 질의를 생성하는데 있어 B 식당은 제외한다는 제한을 설정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100)는 사용자 개개인에 따른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에게 필요한 상황 적응적 정보를 보다 구체적으로 예측할 수 있다.
단계 340에서, 단말기(100)는 생성한 질의를 서버(200)에 전송할 수 있다.
단말기(100)는 단말기(100)와 서버(200) 모두 처리 가능한 형태로 생성된 키워드를 서버(200)에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단말기(100)는 목적지까지 이동하는데 소요되는 시간이라는 정보를 포함한 키워드를 서버(200)에 전송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버(200)가 사용자 맞춤형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단계 510에서, 서버(200)는 단말기(100)로부터 단말기(100)가 위치하고 있는 장소 정보 및 장소 정보가 획득된 시간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여기에서, 장소 정보는 단말기(100)가 위치하고 있는 장소에 대한 정보일 수 있다. 장소 정보는 단말기(100)의 센서로부터 획득된 지리 정보, 날씨 정보, 온도 정보, 습도 정보, 조도 정보, 소음 정보 및 소리 정보 등을 기초로 결정될 수 있다. 한편, 서버(200)는 장소 정보와 함께 단말기(100)가 장소 정보를 획득한 시점의 시간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시간 정보는 단말기(100)의 센서로부터 지리 정보, 날씨 정보, 온도 정보, 습도 정보, 조도 정보, 소음 정보 및 소리 정보 중 적어도 하나가 획득된 시점의 시간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서버(200)는 다른 적어도 하나의 단말기로부터 각각의 단말기의 장소 정보 및 각각의 단말기의 장소 정보가 획득된 시간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서버(200)내에는 단말기 별로 획득한 장소 정보 및 시간 정보가 저장될 수 있다.
단계 520에서, 서버(200)는 단말기(100)로부터 획득한 장소 정보 및 시간 정보에 기초하여 결정된 단말기(100)의 사용자의 상황 정보를 단말기(100)에 전송할 수 있다.
서버(200)는 장소 정보, 시간 정보를 기저장되어 있는 사용자 데이터 베이스와 비교하여 단말기(100)의 사용자의 상황을 예측할 수 있다. 여기에서, 사용자 데이터 베이스는 서버(200)가 이전에 단말기(100)로부터 획득한 단말기(100)의 적어도 하나의 과거 장소 정보 및 각각의 적어도 하나의 과거 장소 정보에 대응되는 적어도 하나의 과거 시간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서버(200)의 데이터 베이스에는 과거 정소 정보 및 과거 시간 정보를 획득한 때에 단말기(100)로부터 수신하였던 상황 적응적 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질의에 대한 정보가 저장될 수 있다. 그리고 서버(200)의 데이터 베이스에는 사용자의 프로파일 정보가 저장될 수 있다.
단말기(100)의 적어도 하나의 과거 장소 정보는, 이전에 단말기(100)가 위치했던 적어도 하나의 장소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단말기(100)의 적어도 하나의 과거 시간 정보는 이전에 단말기(100)의 적어도 하나의 장소 정보가 획득된 시간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단말기(100)는 사용자 데이터 베이스에 현재 획득된 단말기(100)의 장소 정보 및 시간 정보와 일치하는 정보가 존재하는 경우, 이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상황을 예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버(200)는 현재 단말기(100)로부터 획득한 장소 정보 및 시간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가 오후 1시에 B 건물 앞에 있는 버스 정류장에 위치하고 있다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다. 서버(200)는 사용자 데이터 베이스를 검색한 결과, 현재 획득한 장소 정보, 시간 정보 및 상태 정보와 일치하는 각각의 과거 장소 정보, 과거 시간 정보 및 과거 상태 정보가 존재하는 경우, 과거에 판단했던 상황과 현재 상황이 동일한 것으로 예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과거에 사용자가 오후 1시에 B 건물 앞에 있는 버스 정류장에서 학원을 가려고 버스를 기다리는 상황이 존재하였다면, 이에 기초하여 서버(200)는 현재 사용자가 학원을 가기 위해 버스를 기다리는 상황으로 예측할 수 있다.
다른 예에 따르면, 서버(200)는 단말기(100)로부터 기설정된 기간 동안 획득한 단말기(100)의 장소 정보, 기설정된 기간 동안 획득한 단말기(100)의 시간 정보 및 기설정된 기간 동안 획득한 단말기(100)의 상태 정보를 기초로 사용자 데이터 베이스를 생성할 수 있다.
사용자 데이터 베이스에는 서버(200)가 기설정된 기간 동안 획득한 각각의 정보들을 적어도 하나의 주기에 기초하여 분류한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버(200)는 일, 월, 년 등의 단위로 사용자가 방문한 장소를 분류할 수 있다. 또한, 서버(200)는 같은 장소라고 하더라도 시간이 다른 경우, 사용자의 상황을 서로 다르게 예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동일한 C 건물에 사용자가 방문하는 경우에도, 오전에는 C 건물에 있는 스포츠 센터를 방문할 수도 있고, 오후에는 C 건물에 있는 술집을 방문할 수도 있다. 서버(200)는 장소 정보 및 시간 정보를 고려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사용자의 상황을 예측할 수 있다.
단계 530에서, 서버(200)는 단말기(100)로부터 사용자의 상황에 대응되는 상황 적응적 정보의 요청을 수신할 수 있다. 상황 적응적 정보는 전술한 장소 정보 및 시간 정보를 획득한 시점에서 예측된 사용자의 상황에서 사용자에게 필요하다고 판단되는 정보일 수 있다. 여기에서, 사용자에게 필요하다고 판단되는 정보는 단말기(100)에 저장되어 있는 사용자의 프로파일 정보 또는 단말기(100)의 상태 정보를 기초로 결정될 수 있다.
단말기(100)는 상황 적응적 정보를 추출 가능한 질의를 생성하여 서버(200)에 전송할 수 있다. 여기에서 질의는 단말기(100)와 서버(200) 모두 처리 가능한 형태로 생성된 키워드로 구성될 수 있다.
단계 540에서, 서버(200)는 단말기(100)로부터 획득한 적어도 하나의 장소 정보 및 적어도 하나의 장소 정보를 획득한 시간 정보를 기설정된 시간 간격에 기초하여 분류한 상황 패턴 정보로부터 추출된 상황 적응적 정보를 단말기에 전송할 수 있다. 한편, 상황 패턴 정보는 수집된 장소 정보 및 시간 정보를 기초로 사용자가 선호하는 장소 정보 및 선호하는 장소에 위치하는 시점의 시간 정보를 포함할 수도 있다. 서버(200)는 사용자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된 상황 패턴 정보 뿐만 아니라 외부 디바이스, 예를 들어 웹 서버, 로부터 획득한 정보를 기초로 사용자에게 상황 적응적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2를 참고하여 전술한 실시예에 따라 단말기(100)는 A건물 근처에 조용하고 깨끗한 분위기의 식당이 있는지 여부에 대한 질의를 서버(200)에 전송한 경우, 서버(200)는 질의에 대응되는 상황 적응적 정보를 단말기(100)에 전송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기설정된 기간 동안 단말기(100)로부터 획득된 장소 정보 및 시간 정보를 기초로 생성된 상황 패턴 정보로부터 A 건물 근처에서 사용자가 선호하는 식당을 추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되어 있는 사용자가 자주 방문하는 식당 정보로부터 사용자가 선호하는 식당의 유형을 검출할 수 있다. 서버(200)는 A 건물 근처에 위치한 여러 개의 식당들 중에서 검출된 식당의 유형과 비슷한 유형에 속하는 식당들에 대한 정보를 질의에 대응되는 상황 적응적 정보로서 단말기(100)에 전송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사용자가 밤 10시에 C 건물에 있는 것으로 확인되는 경우에는 서버(200)는 장소 정보 및 시간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가 술집에서 술을 마시고 있는 상황이라고 예측할 수 있다. 한편, 단말기(100)는 서버(200)로부터 수신한 상황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에게 필요하다고 판단되는 대리 운전 번호에 대한 정보를 상황 적응적 정보로서 서버(200)에 요청할 수 있다. 이 때, 단말기(100)는 대리운전 정보를 요청하는 내용을 담은 키워드로 구성된 질의를 서버(200)에 전송할 수 있다. 서버(200)는 이러한 경우 웹 서버 또는 사용자 데이터 베이스로부터 사용자가 자주 이용하는 대리 운전 정보를 추출하여 이를 상황 적응적 정보로서 단말기(100)에 전송할 수 있다.
한편, 서버(200)는 적어도 하나의 다른 단말기로부터 획득한 적어도 하나의 다른 단말기의 장소 정보 및 시간 정보를 고려하여 사용자에게 상황 적응적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버(200)가 단말기(100)의 장소 정보 및 상태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가 오후 8시에 D 건물의 영화관 내에 위치하고 있다는 상황을 예측한 경우, 단말기(100)는 현재 단말기의 상태 정보를 기초로 서버(200)에 상황 적응적 정보를 요청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단말기(100)는 현재 단말기의 알림 모드가 벨소리 모드라는 상태 정보를 기초로 서버(200)에 단말기(100)의 모드를 진동으로 변경해야 하는지 여부에 대한 질의를 생성하여 전송할 수 있다.
서버(200)는 수신한 질의에 대한 응답으로 단말기(100)와 동일한 시간 및 동일한 장소에 존재하는 적어도 하나의 단말기의 알림 모드가 진동 모드라는 정보에 기초하여 단말기(100)에 알림 모드를 진동 모드로 바꿔야 한다는 상황 적응적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단말기(100)는 서버(200)로부터 수신한 상황 적응적 정보를 기초로 단말기(100)의 알림 모드를 진동 모드로 변경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버(200)가 장소 정보 및 시간 정보를 기초로 사용자의 상황을 예측하는 구체적인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단계 610에서, 서버(200)는 단말기(100)의 장소 정보 및 시간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여기에서, 장소 정보는 단말기(100)가 위치하고 있는 장소에 대한 정보일 수 있다. 또한, 서버(200)는 장소 정보와 함께 단말기(100)가 장소 정보를 획득한 시점의 시간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한편, 도 6의 단계 610은 도 5의 단계 510과 대응될 수 있다.
단계 620에서, 서버(200)는 단말기(100)로부터 획득한 장소 정보가 이전에 기설정된 횟수 이상으로 획득한 장소 정보와 일치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사용자가 자주 방문하는 장소인지 여부에 따라 사용자의 상황이 상이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의 상황을 예측하기에 앞서, 서버(200)는 현재 단말기(100)가 위치하고 있는 장소가 사용자가 자주 방문하는 장소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단계 630에서, 서버(200)는 현재 위치하고 있는 장소가 기설정된 횟수 이상 위치했던 제 1 장소인 단말기(100)에 대해 장소 정보를 획득한 시간 이전의 제 1 기간 내에 획득된 단말기(100)의 상태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상황을 예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현재 위치하고 있는 장소가 사용자가 기설정된 횟수 이상 위치했던 사용자의 직장인 경우, 사용자는 현재 장소 정보를 획득한 시간 이전의 하루동안 획득된 단말기(100)의 상태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상황을 예측할 수 있다.
단계 640에서, 서버(200)는 현재 위치하고 있는 장소가 기설정된 횟수 미만 위치했던 제 2 장소인 단말기(100)에 대해 제 2 장소 정보를 획득한 시간 이전의 제 2 기간 내에 획득된 단말기(100)의 상태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상황을 예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현재 위치하고 있는 장소가 사용자가 기설정된 횟수 미만 위치했던 휴양지 리조트인 경우, 사용자는 과거에 휴양지 리조트를 방문한 시간 이전의 일주일 동안 획득된 단말기(100)의 상태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상황을 예측할 수 있다.
여기에서, 제 1 기간은 제 2 기간보다 상대적으로 짧은 기간으로 설정될 수 있다. 한편, 이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일 뿐,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100) 및 서버(200)에서 사용자 맞춤형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단계 710에서, 단말기(100)는 단말기(100)가 위치하고 있는 장소 정보 및 장소 정보가 획득된 시간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단계 720에서, 단말기(100)는 획득한 장소 정보 및 시간 정보를 서버(200)에 전송할 수 있다.
단계 730에서, 서버(200)는 단말기(100)로부터 획득된 장소 정보 및 시간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상황을 예측할 수 있다.
단계 740에서, 서버(200)는 예측된 사용자의 상황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사용자의 상황 정보를 단말기(100)에 전송할 수 있다. 여기에서, 상황 정보는 단말기(100)의 장소 정보 및 시간 정보가 획득된 때에 사용자의 상황에 대한 정보일 수 있다.
단계 750에서, 단말기(100)는 서버(200)로부터 수신한 사용자의 상황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의도를 예측할 수 있다.
단계 760에서, 단말기(100)는 예측된 사용자의 의도에 기초하여 서버(200)에 상황 적응적 정보를 요청할 수 있다. 단말기(100)는 서버(200)에 상황 적응적 정보를 추출할 수 있는 키워드를 포함하는 질의를 생성하여 전송할 수 있다. 여기에서, 상황 적응적 정보는 전술한 장소 정보 및 시간 정보를 획득한 시점에서 예측된 사용자의 상황에서 사용자의 의도를 고려한 결과 사용자에게 필요하다고 판단되는 정보일 수 있다.
단계 770에서, 서버(200)는 단말기(100)로부터 수신한 요청에 대응되는 상황 적응적 정보를 사용자 데이터 베이스로부터 추출할 수 있다. 사용자 데이터 베이스에는 서버(200)가 기설정된 기간 동안 획득한 각각의 정보들을 적어도 하나의 주기에 기초하여 분류한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단계 780에서, 서버(200)는 단말기(100)에 사용자 데이터 베이스로부터 추출한 상황 적응적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단계 790에서, 단말기(100)는 서버(200)로부터 수신한 상황 적응적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여기에서 단말기(100)는 상황 적응적 정보를 사용자가 가독할 수 있도록 단말기(100)의 화면에 디스플레이 하거나, 상황 적응적 정보에 기초하여 단말기(100)의 상태를 변경할 수 있다.
도 8 및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맞춤형 정보를 제공하는 단말기(100)의 블록도이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100)는 송신부(110), 수신부(120) 및 제어부(130)를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도시된 구성요소 모두가 필수구성요소인 것은 아니다. 도시된 구성요소보다 많은 구성요소에 의해 단말기(100)가 구현될 수도 있고, 그보다 적은 구성요소에 의해서도 단말기(100)는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100)는 송신부(110), 수신부(120) 및 제어부(130) 이외에 센서부(140) 및 메모리(150)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이하 상기 구성요소들에 대해 차례로 살펴본다.
송신부(110)는 단말기(100)가 위치하고 있는 장소 정보 및 장소 정보가 획득된 시간 정보를 서버(200)에 전송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130)는 센서부(140)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센서로부터 획득된 주변 환경의 정보를 기초로 장소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송신부(110)는 제어부(130)로부터 획득된 장소 정보 및 장소 정보를 획득된 시점의 시간 정보를 서버(200)에 전송할 수 있다.
수신부(120)는 서버(200)로부터 장소 정보 및 시간 정보를 기초로 예측된 단말기의 사용자의 상황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여기에서, 상황 정보는 단말기(100)의 장소 정보 및 시간 정보가 획득된 때에 사용자의 상황에 대한 정보일 수 있다.
제어부(130)는 수신된 사용자의 상황 정보 및 기저장된 사용자의 프로파일 정보와 장소 정보가 획득된 시간에서의 단말기의 상태 정보를 기초로 사용자의 상황에 대응되는 상황 적응적 정보를 결정할 수 있다. 한편, 송신부(110)는 제어부(230)에서 생성된 상황 적응적 정보의 요청을 서버(200)에 전송할 수 있다. 상황 적응적 정보는 전술한 장소 정보 및 시간 정보를 획득한 시점에서 예측된 사용자의 상황에서 사용자에게 필요하다고 판단되는 정보일 수 있다.
제어부(130)는 단말기(100)의 상태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상황에서의 사용자의 의도를 예측할 수 있다. 제어부(130)는 사용자의 프로파일 정보 및 단말기의 상태 정보를 기초로 사용자의 상황에서의 사용자 의도를 예측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어부(130)는 이러한 상황에서 사용자에게 필요하다고 판단되는 상황 적응적 정보를 결정하고, 송신부(110)가 서버(200)에 상황 적응적 정보를 요청하도록 송신부(110)를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30)는 사용자 의도에 기초하여, 상황 적응적 정보를 추출 가능한 질의를 생성하여, 송신부(110)가 서버(200)에 질의를 전송하도록 송신부(110)를 제어할 수 있다.
수신부(120)는 서버(200)로부터 상황 적응적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단말기(100)는 상황 적응적 정보를 추출하기 위해 전송하였던 질의에 대한 응답으로서 상황 적응적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130)는 획득한 상황 적응적 정보에 기초하여 단말기(10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센서부(140)는 지자기 센서(Magnetic sensor)(141), 가속도 센서(Acceleration sensor)(142), 온/습도 센서(143), 적외선 센서(144), 자이로스코프 센서(145), 위치 센서(예컨대, GPS)(146), 기압 센서(147), 근접 센서(148), 및 RGB 센서(illuminance sensor)(149)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각 센서들의 기능은 그 명칭으로부터 당업자가 직관적으로 추론할 수 있으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센서부(140)는 적어도 하나의 센서를 이용하여, 주변 환경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또한, 단말기(100)는 획득한 주변 환경 정보에 기초하여, 단말기(100)가 위치하고 있는 장소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센서부(140)는 단말기(100)가 위치하고 있는 주변 환경 정보로서 지리 정보, 날씨 정보, 온도 정보, 습도 정보, 조도 정보, 소음 정보 및 소리 정보 등을 획득할 수 있다.
메모리(150)는, 제어부(130)의 처리 및 제어를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할 수도 있고, 입/출력되는 데이터들을 저장할 수도 있다.
메모리(150)는 플래시 메모리 타입(flash memory type), 하드디스크 타입(hard disk type),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multimedia card micro type),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어 SD 또는 XD 메모리 등), 램(RAM, Random Access Memory)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 롬(ROM, Read-Only Memory),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PROM(Programmable Read-Only Memory), 자기 메모리, 자기 디스크, 광디스크 중 적어도 하나의 타입의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150)에 저장된 프로그램들은 그 기능에 따라 복수 개의 모듈들로 분류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UI 모듈(151), 터치 스크린 모듈(152), 알림 모듈(153) 등으로 분류될 수 있다.
UI 모듈(151)은, 애플리케이션 별로 디바이스(100)와 연동되는 특화된 UI, GUI 등을 제공할 수 있다. 터치 스크린 모듈(152)은 사용자의 터치 스크린 상의 터치 제스처를 감지하고, 터치 제스처에 관한 정보를 제어부(130)로 전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터치 스크린 모듈(152)은 터치 코드를 인식하고 분석할 수 있다. 터치 스크린 모듈(152)은 컨트롤러를 포함하는 별도의 하드웨어로 구성될 수도 있다.
터치스크린의 터치 또는 근접 터치를 감지하기 위해 터치스크린의 내부 또는 근처에 다양한 센서가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장치는 프로세서, 프로그램 데이터를 저장하고 실행하는 메모리, 디스크 드라이브와 같은 영구 저장부(permanent storage), 외부 장치와 통신하는 통신 포트, 터치 패널, 키(key), 버튼 등과 같은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맞춤형 정보를 제공하는 서버(200)의 블록도이다.
도 10에 도시된 사용자 맞춤형 정보를 제공하는 서버(200)에는 본 실시예와 관련된 구성요소들만이 도시되어 있다. 따라서, 도 10에 도시된 구성요소들 외에 다른 범용적인 구성요소들이 더 포함될 수 있음을 본 실시예와 관련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해할 수 있다.
도 10을 참고하면, 사용자 맞춤형 정보를 제공하는 서버(200)는 획득부(210), 제어부(220) 및 전송부(230)를 포함할 수 있다.
획득부(210)는 단말기(100)로부터 단말기(100)가 위치하고 있는 장소 정보 및 장소 정보가 획득된 시간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여기에서, 장소 정보는 단말기(100)가 위치하고 있는 장소에 대한 정보일 수 있다. 장소 정보는 단말기(100)의 센서로부터 획득된 지리 정보, 날씨 정보, 온도 정보, 습도 정보, 조도 정보, 소음 정보 및 소리 정보 등을 기초로 결정될 수 있다. 한편, 서버(200)는 장소 정보와 함께 단말기(100)가 장소 정보를 획득한 시점의 시간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한편, 획득부(210)는 다른 적어도 하나의 단말기로부터 각각의 단말기의 장소 정보 및 각각의 단말기의 장소 정보가 획득된 시간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서버(200)의 메모리(미도시)에는 단말기 별로 획득한 장소 정보 및 시간 정보가 저장될 수 있다.
제어부(220)는 단말기(100)로부터 획득한 장소 정보 및 시간 정보에 기초하여 결정된 단말기(100)의 사용자의 상황 정보를 예측할 수 있다. 제어부(220)는 메모리에 저장되어 있는 장소 정보, 시간 정보에 대한 사용자 데이터 베이스와 비교하여 단말기(100)의 사용자의 상황을 예측할 수 있다. 여기에서, 사용자 데이터 베이스는 획득부(210)가 이전에 단말기(100)로부터 획득한 단말기(100)의 적어도 하나의 과거 장소 정보 및 각각의 적어도 하나의 과거 장소 정보에 대응되는 적어도 하나의 과거 시간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데이터 베이스에는 과거 정소 정보 및 과거 시간 정보를 획득한 때에 단말기(100)로부터 수신하였던 상황 적응적 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질의에 대한 정보가 저장될 수 있다. 그리고 서버(200)의 사용자 데이터 베이스에는 사용자의 프로파일 정보가 저장될 수 있다.
제어부(220)는 사용자 데이터 베이스에 현재 획득된 단말기(100)의 장소 정보 및 시간 정보와 일치하는 정보가 존재하는 경우, 이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상황을 예측할 수 있다.
다른 예에 따르면 제어부(220)는 단말기(100)로부터 획득한 장소 정보가 이전에 기설정된 횟수 이상으로 획득한 장소 정보와 일치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사용자가 자주 방문하는 장소인지 여부에 따라 사용자의 상황이 상이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의 상황을 예측하기에 앞서, 제어부(220)는 현재 단말기(100)가 위치하고 있는 장소가 사용자가 자주 방문하는 장소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한편, 다른 예에 따르면, 제어부(220)는 단말기(100)로부터 기설정된 기간 동안 획득한 단말기(100)의 장소 정보, 기설정된 기간 동안 획득한 단말기(100)의 시간 정보 및 기설정된 기간 동안 획득한 단말기(100)의 상태 정보를 기초로 사용자 데이터 베이스를 생성할 수 있다.
사용자 데이터 베이스에는 획득부(210)에서 기설정된 기간 동안 획득한 각각의 정보들을 적어도 하나의 주기에 기초하여 분류한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220)는 일, 월, 년 등의 단위로 사용자가 방문한 장소를 분류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200)는 같은 장소라고 하더라도 시간이 다른 경우, 사용자의 상황을 서로 다르게 예측할 수 있다.
전송부(230)는 예측된 단말기(100)의 사용자의 상황 정보를 단말기(100)에 전송할 수 있다. 상황 적응적 정보는 전술한 장소 정보 및 시간 정보를 획득한 시점에서 예측된 사용자의 상황에서 사용자에게 필요하다고 판단되는 정보일 수 있다. 여기에서, 사용자에게 필요하다고 판단되는 정보는 단말기(100)에 저장되어 있는 사용자의 프로파일 정보 또는 단말기(100)의 상태 정보를 기초로 결정될 수 있다.
한편, 획득부(210)는 단말기(100)로부터 사용자의 상황에 대응되는 상황 적응적 정보의 요청을 수신할 수 있다. 획득부(210)는 단말기(100)로부터 상황 적응적 정보를 추출 가능한 질의를 수신할 수 있다. 여기에서 질의는 단말기(100)와 서버(200)의 제어부(220)에서 모두 처리 가능한 형태로 생성된 키워드로 구성될 수 있다.
제어부(220)는 단말기(100)로부터 획득한 적어도 하나의 장소 정보 및 적어도 하나의 장소 정보를 획득한 시간 정보를 기설정된 시간 간격에 기초하여 분류한 상황 패턴 정보로부터 상황 적응적 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
전송부(230)는 추출된 상황 적응적 정보를 단말기(100)에 전송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제어부(220)는 적어도 하나의 다른 단말기로부터 획득한 적어도 하나의 다른 단말기의 장소 정보 및 시간 정보를 고려하여 단말기(100)의 상황 적응적 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장치는 프로세서, 프로그램 데이터를 저장하고 실행하는 메모리, 디스크 드라이브와 같은 영구 저장부(permanent storage), 외부 장치와 통신하는 통신 포트, 터치 패널, 키(key), 버튼 등과 같은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모듈 또는 알고리즘으로 구현되는 방법들은 상기 프로세서상에서 실행 가능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들 또는 프로그램 명령들로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 상에 저장될 수 있다.  여기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로 마그네틱 저장 매체(예컨대, ROM(read-only memory), RAM(random-access memory), 플로피 디스크, 하드 디스크 등) 및 광학적 판독 매체(예컨대, 시디롬(CD-ROM), 디브이디(DVD: Digital Versatile Disc)) 등이 있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들에 분산되어, 분산 방식으로 컴퓨터가 판독 가능한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매체는 컴퓨터에 의해 판독가능하며, 메모리에 저장되고, 프로세서에서 실행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인용하는 공개 문헌, 특허 출원, 특허 등을 포함하는 모든 문헌들은 각 인용 문헌이 개별적으로 및 구체적으로 병합하여 나타내는 것 또는 본 발명에서 전체적으로 병합하여 나타낸 것과 동일하게 본 발명에 병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이해를 위하여, 도면에 도시된 바람직한 실시 예들에서 참조 부호를 기재하였으며,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설명하기 위하여 특정 용어들을 사용하였으나, 특정 용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은 당업자에 있어서 통상적으로 생각할 수 있는 모든 구성 요소들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기능적인 블록 구성들 및 다양한 처리 단계들로 나타내어질 수 있다.  이러한 기능 블록들은 특정 기능들을 실행하는 다양한 개수의 하드웨어 또는/및 소프트웨어 구성들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은 하나 이상의 마이크로프로세서들의 제어 또는 다른 제어 장치들에 의해서 다양한 기능들을 실행할 수 있는, 메모리, 프로세싱, 로직(logic), 룩업 테이블(look-up table) 등과 같은 직접 회로 구성들을 채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의 구성 요소들이 소프트웨어 프로그래밍 또는 소프트웨어 요소들로 실행될 수 있는 것과 유사하게, 본 발명은 데이터 구조, 프로세스들, 루틴들 또는 다른 프로그래밍 구성들의 조합으로 구현되는 다양한 알고리즘을 포함하여, C, C++, 자바(Java), 어셈블러(assembler) 등과 같은 프로그래밍 또는 스크립팅 언어로 구현될 수 있다.  기능적인 측면들은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에서 실행되는 알고리즘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전자적인 환경 설정, 신호 처리, 및/또는 데이터 처리 등을 위하여 종래 기술을 채용할 수 있다.  “매커니즘”, “요소”, “수단”, “구성”과 같은 용어는 넓게 사용될 수 있으며, 기계적이고 물리적인 구성들로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용어는 프로세서 등과 연계하여 소프트웨어의 일련의 처리들(routines)의 의미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설명하는 특정 실행들은 일 실시 예들로서, 어떠한 방법으로도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명세서의 간결함을 위하여, 종래 전자적인 구성들, 제어 시스템들, 소프트웨어, 상기 시스템들의 다른 기능적인 측면들의 기재는 생략될 수 있다.  또한, 도면에 도시된 구성 요소들 간의 선들의 연결 또는 연결 부재들은 기능적인 연결 및/또는 물리적 또는 회로적 연결들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것으로서, 실제 장치에서는 대체 가능하거나 추가의 다양한 기능적인 연결, 물리적인 연결, 또는 회로 연결들로서 나타내어질 수 있다.  또한, “필수적인”, “중요하게” 등과 같이 구체적인 언급이 없다면 본 발명의 적용을 위하여 반드시 필요한 구성 요소가 아닐 수 있다.
10: 사용자 맞춤형 정보를 제공하는 시스템
100: 단말기
200: 서버

Claims (15)

  1. 단말기가 사용자 맞춤형 방법을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에 의해 과거 실행되었던 애플리케이션에 관련된, 애플리케이션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단말기에 의해 과거 실행되었던 상기 애플리케이션에 관련된, 상기 단말기의 과거 위치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단말기에 의해 과거 실행되었던 상기 애플리케이션에 관련된 시간에 대한 과거 시간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단말기의 현재 시간 및 현재 위치를 포함하는 현재 상황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애플리케이션 정보, 상기 과거 위치 정보, 상기 과거 시간 정보 및 상기 현재 상황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애플리케이션에 관련된 서비스를 예측하는 단계; 및
    현재 시간에서 상기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상기 애플리케이션에 관련된 상기 서비스에 대응되는 정보를 상기 단말기의 디스플레이에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상기 애플리케이션에 관련된 상기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상기 단말기의 동작을 제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애플리케이션에 관련된 서비스를 예측하는 단계는,
    상기 현재 위치를 상기 과거 위치 정보와 비교하고, 상기 현재 시간을 상기 과거 시간 정보와 비교하는 단계; 및
    상기 비교의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현재 시간에서 상기 애플리케이션에 관련된 상기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상기 현재 위치 및 상기 현재 시간에 대응되는 애플리케이션에 관련된 상기 서비스를 예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비교하는 단계는,
    상기 단말기의 상기 사용자가 상기 서비스를 요청한 패턴을 나타내는 패턴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애플리케이션에 관련된 서비스를 예측하는 단계는,
    상기 패턴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애플리케이션에 관련된 상기 서비스를 예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애플리케이션 정보는,
    상기 서비스를 예측하기 위해 쿼리를 생성하기 위한 파라미터들을 포함하는,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애플리케이션에 관련된 서비스를 예측하는 단계는,
    상기 단말기의 상기 과거 위치 정보의 빈도에 기초하여 상기 애플리케이션에 관련된 서비스를 예측하는 것인,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에 대응되는 정보는,
    상기 서비스와 관련된 애플리케이션에 대응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포함하는, 방법.
  8. 사용자 맞춤형 정보를 제공하는 단말기에 있어서,
    디스플레이;
    하나 이상의 인스트럭션들을 저장하는 메모리; 및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상기 하나 이상의 인스트럭션들을 실행하도록 구성된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하나 이상의 인스트럭션들을 실행함으로써,
    상기 단말기에 의해 과거 실행되었던 애플리케이션에 관련된, 애플리케이션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단말기에 의해 과거 실행되었던 상기 애플리케이션에 관련된, 상기 단말기의 과거 위치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단말기에 의해 과거 실행되었던 상기 애플리케이션에 관련된 시간에 대한 과거 시간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단말기의 현재 시간 및 현재 위치를 포함하는 현재 상황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애플리케이션 정보, 상기 과거 위치 정보, 상기 과거 시간 정보 및 상기 현재 상황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애플리케이션에 관련된 서비스를 예측하고,
    현재 시간에서 상기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상기 애플리케이션에 관련된 상기 서비스에 대응되는 정보를 상기 단말기의 디스플레이에 표시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를 제어하는, 단말기.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하나 이상의 인스트럭션들을 실행함으로써,
    상기 애플리케이션에 관련된 상기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상기 단말기의 동작을 제어하는, 단말기.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하나 이상의 인스트럭션들을 실행함으로써,
    상기 현재 위치를 상기 과거 위치 정보와 비교하고, 상기 현재 시간을 상기 과거 시간 정보와 비교하고,
    상기 비교의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현재 시간에서 상기 애플리케이션에 관련된 상기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상기 현재 위치 및 상기 현재 시간에 대응되는 애플리케이션에 관련된 상기 서비스를 예측하는, 단말기.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하나 이상의 인스트럭션들을 실행함으로써,
    상기 단말기의 상기 사용자가 상기 서비스를 요청한 패턴을 나타내는 패턴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패턴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애플리케이션에 관련된 상기 서비스를 예측하는, 단말기.
  12.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애플리케이션 정보는,
    상기 서비스를 예측하기 위해 쿼리를 생성하기 위한 파라미터들을 포함하는, 단말기.
  13.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하나 이상의 인스트럭션들을 실행함으로써,
    상기 단말기의 상기 과거 위치 정보의 빈도에 기초하여 상기 애플리케이션에 관련된 서비스를 예측하는, 단말기.
  14.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에 대응되는 정보는,
    상기 서비스와 관련된 애플리케이션에 대응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포함하는, 단말기.
  15.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을 컴퓨터에서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KR1020210126541A 2020-10-26 2021-09-24 사용자 맞춤형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 KR102426783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26541A KR102426783B1 (ko) 2020-10-26 2021-09-24 사용자 맞춤형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
KR1020220092066A KR102552292B1 (ko) 2020-10-26 2022-07-25 사용자 맞춤형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39761A KR102307357B1 (ko) 2014-01-20 2020-10-26 사용자 맞춤형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
KR1020210126541A KR102426783B1 (ko) 2020-10-26 2021-09-24 사용자 맞춤형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39761A Division KR102307357B1 (ko) 2014-01-20 2020-10-26 사용자 맞춤형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92066A Division KR102552292B1 (ko) 2020-10-26 2022-07-25 사용자 맞춤형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22738A true KR20210122738A (ko) 2021-10-12
KR102426783B1 KR102426783B1 (ko) 2022-07-28

Family

ID=78078720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26541A KR102426783B1 (ko) 2020-10-26 2021-09-24 사용자 맞춤형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
KR1020220092066A KR102552292B1 (ko) 2020-10-26 2022-07-25 사용자 맞춤형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92066A KR102552292B1 (ko) 2020-10-26 2022-07-25 사용자 맞춤형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102426783B1 (ko)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026738A (ja) * 2003-06-30 2005-01-27 Kyocera Corp 移動通信装置
US20060089792A1 (en) * 2004-10-25 2006-04-27 Udi Manber System and method for displaying location-specific images on a mobile device
KR20080069077A (ko) * 2007-01-22 2008-07-25 포항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통계적 자동 번역 방식에 기반한 음성 자동 통역 시스템 및그에 적용되는 번역 처리 방법 및 그 훈련방법
US20100131335A1 (en) * 2008-11-25 2010-05-27 Roh Dong-Hyun User interest mining method based on user behavior sensed in mobile device
KR20110032394A (ko) * 2009-09-23 2011-03-30 삼성전자주식회사 사용자의 상황에 기반한 휴대용 통역 장치 및 방법
KR20120111592A (ko) * 2011-04-01 2012-10-10 한국과학기술원 모바일 단말기의 사용자 행동패턴을 이용하여 개인화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모바일 단말기
KR20130033492A (ko) * 2011-09-01 2013-04-04 인포뱅크 주식회사 정보처리 방법 및 시스템과 기록매체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026738A (ja) * 2003-06-30 2005-01-27 Kyocera Corp 移動通信装置
US20060089792A1 (en) * 2004-10-25 2006-04-27 Udi Manber System and method for displaying location-specific images on a mobile device
KR20080069077A (ko) * 2007-01-22 2008-07-25 포항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통계적 자동 번역 방식에 기반한 음성 자동 통역 시스템 및그에 적용되는 번역 처리 방법 및 그 훈련방법
US20100131335A1 (en) * 2008-11-25 2010-05-27 Roh Dong-Hyun User interest mining method based on user behavior sensed in mobile device
KR20110032394A (ko) * 2009-09-23 2011-03-30 삼성전자주식회사 사용자의 상황에 기반한 휴대용 통역 장치 및 방법
KR20120111592A (ko) * 2011-04-01 2012-10-10 한국과학기술원 모바일 단말기의 사용자 행동패턴을 이용하여 개인화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모바일 단말기
KR20130033492A (ko) * 2011-09-01 2013-04-04 인포뱅크 주식회사 정보처리 방법 및 시스템과 기록매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26783B1 (ko) 2022-07-28
KR102552292B1 (ko) 2023-07-06
KR20220112719A (ko) 2022-08-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72367B1 (ko) 사용자 맞춤형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
KR101674852B1 (ko) 클라이언트 디바이스 상의 애플리케이션들 관리
CN110574057B (zh) 基于机器学习建议动作
US10013670B2 (en) Automatic profile selection on mobile devices
EP2847978B1 (en) Calendar matching of inferred contexts and label propagation
JP6791569B2 (ja) ユーザプロファイル生成方法および端末
US20160343060A1 (en) Information providing system and mobile electronic device
US20200118191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recommending place
US20130210480A1 (en) State detection
CN103916473A (zh) 行程信息处理方法及相关装置
US20170187862A1 (en) Voice assisted requests between user devices
JP7086785B2 (ja) 算出装置、算出方法及び算出プログラム
KR102426783B1 (ko) 사용자 맞춤형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
KR102307357B1 (ko) 사용자 맞춤형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
US20190090197A1 (en) Saving battery life with inferred location
KR20240033476A (ko) 사용자 맞춤형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
US11075975B2 (en) Personalization framework
JP6796190B2 (ja) データ共有判断装置
US20160127294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Location Related Social Reminder Provision
KR20160018990A (ko) 사용자 단말 장치, 관리 서버 및 이들의 제어 방법
US20160247215A1 (en) Method of providing recommended dining options, method of selecting recommended dining options and electronic apparatus, computer readable medium, server apparatus thereof
EP3868135A1 (en) Saving battery life using an inferred location
KR20100065011A (ko) Rfid 시스템에서 태스크 추천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