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22227A - 증가된 인터 블레이드 스팬을 갖는 면도 헤드 - Google Patents

증가된 인터 블레이드 스팬을 갖는 면도 헤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22227A
KR20210122227A KR1020217017611A KR20217017611A KR20210122227A KR 20210122227 A KR20210122227 A KR 20210122227A KR 1020217017611 A KR1020217017611 A KR 1020217017611A KR 20217017611 A KR20217017611 A KR 20217017611A KR 20210122227 A KR20210122227 A KR 2021012222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ade
razor cartridge
cutting blade
cutting
shav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70176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오아니스 보지키스
Original Assignee
빅-비올렉스 에스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빅-비올렉스 에스아 filed Critical 빅-비올렉스 에스아
Publication of KR202101222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2222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BHAND-HELD CUTTING TOO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6B21/00Razors of the open or knife type; Safety razors or other shaving implements of the planing type; Hair-trimming devices involving a razor-blade; Equipment therefor
    • B26B21/40Details or accessories
    • B26B21/4012Housing details, e.g. for cartridges
    • B26B21/4031Housing details, e.g. for cartridges characterised by special geometric shaving parameters, e.g. blade span or expos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BHAND-HELD CUTTING TOO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6B21/00Razors of the open or knife type; Safety razors or other shaving implements of the planing type; Hair-trimming devices involving a razor-blade; Equipment therefor
    • B26B21/54Razor-blades
    • B26B21/56Razor-blade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B26B21/565Bent razor blades; Razor blades with bent carrier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ometry (AREA)
  • Dry Shavers And Clipp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제1 블레이드 지지체(120) 및 제2 블레이드 지지체(120)를 포함하는 면도기 카트리지(2)에 관한 것이다. 제1 및 제2 블레이드 지지체(120) 각각은 면도 표면(S)으로부터 멀어지게 향하는 내측 표면(120b'')을 갖는 평편 부분(120b)을 포함한다. 제1 블레이드(140)는 제1 블레이드 지지체(120)의 평편 부분(120b)의 내측 표면(120b'')에 부착되며, 제1 블레이드(140)는 제1 절단 날(140c)을 포함한다. 제2 블레이드(140)는 제2 블레이드 지지체(120)의 평편 부분(120b)의 내측 표면(120b'')에 부착되며, 제2 블레이드(140)는 제2 절단 날(140c)을 포함한다. 제1 절단 날(140c)과 제2 절단 날(140c) 사이의 거리는 1.6㎜ 내지 2.2㎜ 범위 내에 있다.

Description

증가된 인터 블레이드 스팬을 갖는 면도 헤드
이 출원은, 2020년 1월 29일자로 출원되고, 현재 국제공개 WO 2020/157130호로 공개된 국제출원 PCT/EP2020/052164호의 국내 단계 출원이며, 이 국제출원은 2019년 1월 31일자로 출원된 발명의 명칭이 "SHAVING HEAD WITH INCREASED INTER BLADE SPAN"인 유럽 특허출원 EP 19154897.3호에 대한 우선권을 주장하며, 이의 전체 내용은 본 명세서에 인용되어 포함된다.
기술분야
다음의 설명은 면도 디바이스용 면도기 카트리지에 관한 것으로, 좀 더 구체적으로, 연속적인 블레이드 조립체의 인터 블레이드 스팬(IBS: inter-blade span)의 증가를 가능하게 하는 적어도 2개의 블레이드 조립체를 갖는 면도기 카트리지에 관한 것이다.
면도 디바이스는 일반적으로 내부에 유지되는 하나 이상의 절단 부재 또는 블레이드를 갖는 헤드 유닛을 포함한다.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절단 부재 또는 블레이드는 헤드 유닛 내에 유지될 때 평행하게 정렬되는 절단 날들을 갖는다.
기존의 면도 헤드는 블레이드 지지체의 상측 표면 상에 장착된 블레이드를 포함한다. 상측 표면은 사용 시 면도 표면을 향하는 블레이드 지지체의 평편 부분으로서 이해된다. 이러한 구성을 사용하여 흠집 및 베임을 방지하기 위해서, 블레이드 조립체를 서로 더 가깝게 하는 것이 알려져 있다. 이것은 또한 자극감(sense of irritation)을 감소시키고, 면도 중에 사용자의 미끄러짐(glideness) 경험을 향상시킨다. 문서 미국 특허 US 8,117,753호는 평균 인터 블레이드 스팬이 1.25㎜ 이하인 면도 헤드를 개시한다.
그러나, 1.25㎜보다 더 작은 인터 블레이드 스팬은 물 및 면도 잔해가 절단 부재들 사이와 면도기(및 면도 표면) 외부로 유동되기 위해, 즉 헹굼성을 위해 이용 가능한 상대적으로 작은 공간을 포함하는 상대적으로 작은 인터 블레이드 스팬이다.
바람직하지 않은 피부 자극을 줄이면서도 헹굼성을 개선하려는 이전 시도는 다음을 포함한다:
1) 피부 가드로서 작용하는 인터 블레이드 가드. 인터 블레이드 가드는 블레이드들 사이의 좁은 공간을 완화시키기 위해서 블레이드 길이를 가로질러 린스 스루(rinse-through) 갭을 제공한다. 피부 가드로서 작용하는 인터 블레이드 가드의 사용은 피부 돌출을 방지하도록 피부 스트레칭 및 헹굼성을 지원한다.
2) 스킨 결합 캡 부분을 획정하는, 블레이드의 표면 위에 형성된 금속 스페이서; 및/또는
3) 피부 가드로서 작용하는 면도기 블레이드 상에 인쇄된 잉크 객체.
본 개시내용은 2개 이상의 블레이드 조립체를 포함하는 면도기 카트리지를 제공한다. 면도기 카트리지는 제1 블레이드 지지체와 제2 블레이드 지지체를 포함한다. 제1 및 제2 블레이드 지지체 각각은 면도 표면으로부터 멀어지게 향하는 내측 표면을 갖는 평편 부분을 포함한다. 제1 블레이드 지지체의 평편 부분의 내측 표면에 부착된 제1 블레이드가 제공되며, 제1 블레이드는 제1 절단 날을 포함한다. 제2 블레이드 지지체의 평편 부분의 내측 표면에 부착된 제2 블레이드가 제공되며, 제2 블레이드는 제2 절단 날을 포함한다. 제1 절단 날과 제2 절단 날 사이의 거리는 1.6㎜ 내지 2.2㎜ 범위 내에 있다.
제1 절단 날과 제2 절단 날 사이의 거리는 1.70㎜ 내지 2㎜ 범위 내에 있을 수 있다.
제1 절단 날과 제2 절단 날 사이의 거리는 1.75 내지 1.95 범위 내에 있을 수 있다.
제1 및 제2 블레이드 지지체 각각은 피부와 접촉되도록 구성된 전방 단부를 포함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전방 단부는 원형일 수 있다.
제1 및 제2 블레이드 지지체 각각은 평편 부분으로부터 각도 β로 연장되는 베이스 부분을 포함할 수 있으며, 각도 β는 제1 및 제2 블레이드 지지체 각각의 평편 부분과 베이스 부분 사이에 형성될 수 있고, 104° 내지 120°의 범위 내에 있을 수 있다.
면도기 카트리지는 제3 블레이드 지지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3 블레이드 지지체는 면도 표면으로부터 멀어지게 향하는 내측 표면을 갖는 평편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제3 블레이드는 제3 블레이드 지지체의 평편 부분의 내측 표면에 부착될 수 있다. 제3 블레이드는 제3 절단 날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절단 날과 제3 절단 날 사이의 거리는 1.6㎜ 내지 2.2㎜ 범위 내에 있을 수 있다.
제2 절단 날과 제3 절단 날 사이의 거리는 1.70㎜ 내지 2㎜ 범위 내에 있을 수 있다.
제2 절단 날과 제3 절단 날 사이의 거리는 1.75㎜ 내지 1.95㎜ 범위 내에 있을 수 있다.
면도기 카트리지는 제4 블레이드 지지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4 블레이드 지지체는 면도 표면으로부터 멀어지게 향하는 내측 표면을 갖는 평편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제4 블레이드는 제4 블레이드 지지체의 평편 부분의 내측 표면에 부착될 수 있다. 제4 블레이드는 제4 절단 날을 포함할 수 있다. 제3 절단 날과 제4 절단 날 사이의 거리는 1.6㎜ 내지 2.2㎜ 범위 내에 있을 수 있다.
제3 절단 날과 제4 절단 날 사이의 거리는 1.70㎜ 내지 2㎜ 범위 내에 있을 수 있다.
제3 절단 날과 제4 절단 날 사이의 거리는 1.75 내지 1.95 범위 내에 있을 수 있다.
제3 및/또는 제4 블레이드 지지체는 피부와 접촉되도록 구성될 수 있는 전방 단부를 포함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전방 단부는 원형일 수 있다.
쉐이버는 핸들 및 전술한 면도기 카트리지를 포함한다. 면도기 카트리지는 핸들에 연결 가능하다. 면도기 카트리지는 4개의 블레이드 조립체를 포함하며, 연속적인 절단 날들 사이의 거리는 1.85㎜±0.1㎜이다.
블레이드가 블레이드 지지체의 내측 표면 상에, 즉 사용 중에 면도 표면으로부터 멀어지게 향하는 표면 상에 장착되는 면도기 카트리지를 갖는 양태는 면도 중에 피부가 블레이드 절단 날에 의해서 그리고 블레이드 지지체 단부에 의해서 지지되는 점이다. 이것은 추가 피부 접촉 지점을 제공하며, 전통적으로는 절단 날만 피부 접촉 지점이었다. 피부 접촉 지점은 이제 두 배가 되므로, 피부가 추가 피부 접촉 지점에 의해 지지되는 동시에 인터 블레이드 스팬(IBS)이 증가될 수 있다. 피부가 블레이드 지지체 단부에 의해 추가로 지지되기 때문에, IBS가 증가되더라도 피부가 두 개의 연속적인 블레이드 절단 날들 사이에 돌출("돌출 효과")을 생성할 가능성이 감소되어 흠집 및 절단이 또한 감소된다.
또한, IBS를 늘리고 이에 따라 블레이드들 사이의 개구 또는 간격을 넓힘으로써, 면도 경험 중에 면도 잔해의 효과적인 제거가 달성된다. 이로써, 증가된 IBS가 물, 면도 잔해, 면도 거품(foam)의 연속적인 유동을 허용하여 막힘 발생을 줄이므로 면도 경험 중에 쉐이버를 헹굴 필요가 줄어든다. 이것은, 면도 경험 중에 면도 잔해가 더 큰 개구(IBS)를 통해 쉽게 유동될 수 있기 때문에 전반적인 면도 경험을 향상시킨다. 또한, 사용자는 헹구는 동안 잔해를 제거하기 위해 쉐이버를 휘젓거나(싱크대에 대고) 칠 필요가 없다. 이는, 특히 잔해를 제거하기 위해 쉐이버를 부딪히는 것은 어떤 경우 블레이드 노출을 바람직하지 않게 변경할 수 있기 때문에, 쉐이버의 수명을 연장한다.
도 1은 블레이드 지지체의 상측 표면에 장착된 블레이드를 갖는 기존의 면도기의 복수의 블레이드 조립체의 측면도를 상세히 도시한다.
도 2는 블레이드 지지체의 하측 표면에 장착된 블레이드를 갖는 복수의 블레이드 조립체의 측면도를 상세히 도시한다.
도 3a는 도 2의 복수의 블레이드 조립체를 포함하는 면도기 카트리지 및 핸들을 포함하는 면도기의 사시도를 상세히 도시한다.
도 3b는 평면 A를 따른 도 3a의 면도기 카트리지의 단면을 상세히 도시한다.
도 1은 복수의 기존 블레이드 조립체를 도시하고, 각각의 블레이드 조립체(10)는 블레이드 지지체(12) 및 블레이드(14)를 포함한다. 복수의 통상적인 블레이드 조립체 각각은 면도기 카트리지(미도시)로 조립되도록 구성된다.
블레이드 지지체(12)는 베이스 부분(12a) 및 평편 부분(12b)을 포함할 수 있다. 평편 부분(12b)은 전방 단부(12c)를 가질 수 있다. 평편 부분(12b)은 베이스 부분(12a)에 대해 각도 α로 연장될 수 있다. 평편 부분(12b)은 사용 시 면도 표면(S)을 향하는 상측 표면(12b') 및 상측 표면(12b')에 반대편의 하측 표면(12b")을 가질 수 있다.
블레이드(14)는 면도 표면(S)을 향하는 상측 표면(14a), 상측 표면(14a)에 반대편의 하측 표면(14b), 및 절단 날(14c)을 포함할 수 있다. 블레이드(14)의 하측 표면(14b)은 블레이드 지지체(12)의 상측 표면(12b')에 부착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이 실시예에서 피부인 면도 표면(S)과의 유일한 접촉 지점은 절단 날(14c)이다. 따라서 이 구성은 피부에 과잉 블레이드 압력을 가할 수 있으며, 이는 흠집 및 베임으로 이어질 수 있다. 따라서, 기존의 면도기에서, 인접한 블레이드 조립체들(IBS) 사이의 거리 A는, 피부에 대한 블레이드 압력이 더 넓은 표면 면적에 걸쳐 확산되도록 1.25㎜보다 더 작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도 2에는 복수의 블레이드 조립체가 도시되며, 각각의 블레이드 조립체(100)는 블레이드 지지체(120) 및 블레이드(140)를 포함한다. 도 2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4개의 블레이드 조립체(100)가 도시된다. 대안적인 실시예에서, 2개의 연속적인 블레이드 절단 날들(IBS) 사이의 본원에 개시된 거리를 설정하기 위해 2개의 연속적인 블레이드 조립체가 있는 한, 다른 수의 블레이드 조립체가 예견될 수 있다.
블레이드 지지체(120)는 베이스 부분(120a) 및 평편 부분(120b)을 포함할 수 있다. 평편 부분(120b)은 베이스 부분(120a)에 대해 각도 β로 연장될 수 있다. 평편 부분(120b)과 베이스 부분(120a) 사이의 각도는 예를 들어 104° 내지 120°일 수 있다. 평편 부분(120b)은 사용 시 면도 표면(S)을 향하는 상측 표면(120b') 및 상측 표면(120b')에 반대편의 하측 표면(120b")을 가질 수 있다. 따라서, 하측 표면(120'')은 사용 시 면도 표면(S)으로부터 멀어지게 향할 수 있다.
블레이드(140)는 상측 표면(140a), 상측 표면(140a)에 반대편의 하측 표면(140b), 및 절단 날(140c)을 포함할 수 있다. 블레이드(140)의 상측 표면(140a)은 블레이드 지지체(120)의 하측 표면(120b'')에 부착될 수 있다. 블레이드는 0.04 내지 0.12㎜의 두께를 가질 수 있다.
블레이드 지지체(120)의 평편 부분(120b)은 전방 단부(120c)를 가질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전방 단부(120c) 및 블레이드 절단 날(140c)은 모두 면도 표면(S), 예를 들어, 피부와의 접촉 지점으로서 작용한다. 이 구성은 블레이드 압력을 피부의 더 넓은 표면 면적에 걸쳐 확산시키며, 이는 피부에 대한 블레이드 압력을 감소시켜 자극을 줄인다. 환언하면, 이것은 면도 중 피부 접촉을 더욱 매끄럽게 하는 데 기여한다. 또한, 추가 피부(면도 표면) 접촉 지점이 있다는 사실은 피부/면도 표면의 윤곽을 따라가는 데 도움이 되며, 따라서 잘 알려진 돌출 효과, 즉 면도 중에 연속적인 블레이드 절단 날들 사이에서 피부가 돌출될 가능성을 감소시킨다. 이것은 흠집 및 베임을 감소시킨다.
또한, 이러한 구성은 IBS, 즉 인접한 블레이드 조립체들(100)의 연속적인 절단 날들 사이의 거리 A의 증가를 허용한다. 전술한 구성에 의해서, 거리 A(IBS)는 1.6㎜ 내지 2.2㎜, 보다 구체적으로 1.70㎜ 내지 2㎜, 가장 구체적으로 1.75 내지 1.95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IBS는 1.85㎜±0.1㎜일 수 있다. 이는, 피부에 대한 압력이 감소되며 동시에, 카트리지가 막히는 경향이 적어 헹굼 필요성이 감소되는 점을 의미한다.
전방 단부(120c)는 평편하거나 원형일 수 있다. 원형 전방 단부(120c)를 갖는 일 양태는 피부(면도 표면) 상에서 블레이드 조립체의 슬라이딩을 더욱 높인다는 점이다. 이것은 미끄러짐을 향상시키는 데 더 기여한다.
또한, 도 2에서 절단 날(140c)과 인접 블레이드 지지체(120)의 전방 단부(120c) 사이의 거리인 거리 B가 도시된다. 본 개시내용의 구성에 의해서, 거리 B는 1.2㎜ 내지 1.8㎜의 범위일 수 있다.
도 3a에서, 핸들(6) 및 헤드 유닛(5)에 장착된 실질적으로 본원에 개시된 바와 같은 복수의 블레이드 조립체(100)를 포함하는 면도기 카트리지(2)를 포함한 쉐이버(1)가 도시된다. 기존 면도기의 IBS로 인해, 헤드 유닛이 5 개의 블레이드 조립체를 포함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러나, 본 개시내용에 의해서, 전통적으로 5개의 블레이드를 포함했던 동일한 헤드 유닛(5) 내에 둘러싸인 4개의 블레이드 조립체(100)를 포함하는 면도기 카트리지(2)를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것은, 성능이 적어도 유지되거나 심지어 개선되면서, 면도기 카트리지(2)의 비용을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이러한 블레이드 조립체(100)는 기존의 표준 헤드 유닛(5)에 통합될 수 있으며, 따라서 제조업체는 기존 제조 공정을 크게 변경할 필요가 없으므로, 변경과 연관된 비용을 감소시킨다.
도 3a 및 도 3b에서, 4개의 이동 가능한 면도 블레이드 조립체(100)를 갖는 면도 헤드 유닛(5)을 포함하는 예시적인 면도기 카트리지(2)가 도시된다. 대안적인 실시예에서, 임의의 적절한 수의 블레이드, 예를 들어 2개 이상의 블레이드가 사용될 수 있다는 점이 예상된다. 대안적인 실시예에서, 면도 블레이드 조립체(100)는 고정된 블레이드일 수 있다. 블레이드 조립체, 예를 들어, 4개의 면도 블레이드 조립체(100)를 포함하는 것은 면도 경험을 촉진할 뿐만 아니라 면도기 헤드의 수명을 연장시킨다.
면도기 카트리지(1)는 가드 바(3) 및 후방 캡(4)을 가질 수 있다. 대안적인 실시예에서, 면도기 카트리지(1)는 가드 바(3) 및/또는 후방 캡(4)을 포함하지 않을 수 있다.
면도 방향에서, 가드 바(3)는 블레이드 조립체(100)의 전방에 도시되고, 후방 캡(4)은 블레이드 조립체(100)의 뒤에 제공된다.
전술된 바와 같이, 면도기 카트리지(2)는 각각의 블레이드 조립체(100)를 휴지 위치를 향해 탄성적으로 편향시키는 4개의 탄성 요소(7)(예를 들어, 스프링 핑거)를 포함한다. 면도기 카트리지(2)가 상이한 수의 블레이드 조립체(100)를 포함하는 대안적인 실시예에서, 대응되는 수의 탄성 요소(7)가 예견될 수 있다. 따라서, 블레이드 조립체(100)는 면도 중에 직면되는 힘 아래에서 이동 가능할 수 있다. 탄성 요소(7)는 헤드 유닛(5)과 함께 단일 편으로 성형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면도기 카트리지(2)는 탄성 요소(7)를 갖지 않을 수 있는 고정 블레이드 조립체(10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3b의 실시예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속적인 각각의 절단 날 사이의 IBS가 1.85㎜±0.1㎜이고, 블레이드가 블레이드 지지체의 하측 표면에 장착되는, 4개의 이동 가능한 블레이드 조립체를 포함하는 면도기 카트리지(2)에 의해, 절단 날(140c)에 의해서 면도 중 사용자의 피부에 가해지는 압력이, 블레이드 지지체의 상측 표면 상에 장착된 절단 날 및 약 1.0 - 1.4㎜의 IBS를 갖는 5개의 이동 가능한 블레이드의 종래 면도기 카트리지에 의해서 가해지는 압력보다 10배 더 적다는 점이 발견되었다.
또한, 도 3b의 실시예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속적인 각각의 절단 날 사이의 IBS가 1.85㎜±0.1㎜이고, 블레이드가 블레이드 지지체의 하측 표면에 장착되는, 4개의 이동 가능한 블레이드 조립체를 포함하는 면도기 카트리지(2)에 의해, 절단 날(140c)에 의해서 면도 중 사용자의 피부에 가해지는 압력이, 블레이드 지지체의 상측 표면 상에 장착된 절단 날 및 약 1.85±0.1㎜의 IBS를 갖는 4개의 이동 가능한 블레이드의 면도기 카트리지에 의해서 가해지는 압력보다 10배 더 적다는 점이 발견되었다. 면도 중에 사용자의 피부에 가해지는 압력의 이러한 감소는 증가된 IBS로 인한 잔해, 물 및 면도 거품의 증가된 유동을 동반한다.

Claims (15)

  1. 면도기 카트리지(2)로서서,
    제1 블레이드 지지체(120) 및 제2 블레이드 지지체(120)로서, 상기 제1 및 제2 블레이드 지지체(120) 각각은 사용 중에 면도 표면(S)으로부터 멀어지게 향하는 내측 표면(120b'')을 갖는 평편 부분(120b)을 포함하는, 상기 제1 블레이드 지지체(120) 및 제2 블레이드 지지체(120);
    상기 제1 블레이드 지지체(120)의 상기 평편 부분(120b)의 상기 내측 표면(120b'')에 부착된 제1 블레이드(140)로서, 제1 절단 날(140c)을 포함하는, 상기 제1 블레이드(140); 및
    상기 제2 블레이드 지지체(120)의 상기 평편 부분(120b)의 상기 내측 표면(120b'')에 부착된 제2 블레이드(140)로서, 제2 절단 날(140c)을 포함하는, 상기 제2 블레이드(140)
    를 포함하되; 상기 제1 절단 날(140c)과 상기 제2 절단 날(140c) 사이의 거리(A)는 1.6㎜ 내지 2.2㎜ 범위 내에 있는, 면도기 카트리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절단 날(140c)과 상기 제2 절단 날(140c) 사이의 거리(A)는 1.70㎜ 내지 2㎜의 범위 내에 있는, 면도기 카트리지(2).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절단 날(140c)과 상기 제2 절단 날(140c) 사이의 거리(A)는 1.75㎜ 내지 1.95㎜의 범위 내에 있는, 면도기 카트리지(2).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블레이드 지지체(120) 각각은 피부와 접촉되도록 구성된 전방 단부(120c)를 포함하는, 면도기 카트리지(2).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전방 단부(120c)는 원형인, 면도기 카트리지(2).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블레이드 지지체(120) 각각은 상기 평편 부분(120b)으로부터 각도 β로 연장되는 베이스 부분(120a)을 포함하며, 상기 제1 및 제2 블레이드 지지체(120) 각각의 상기 평편 부분(120b)과 상기 베이스 부분(120a) 사이에 형성된 각도 β는 104° 내지 120°의 범위 내에 있는, 면도기 카트리지(2).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면도 표면(S)로부터 멀어지게 향하는 내측 표면(120b'')을 갖는 평편 부분(120b)을 포함하는 제3 블레이드 지지체(120); 및
    상기 제3 블레이드 지지체(120)의 상기 평편 부분(120b)의 상기 내측 표면(120b'')에 부착된 제3 블레이드(140)로서, 제3 절단 날(140c)을 포함하는, 상기 제3 블레이드(140)
    를 더 포함하되; 상기 제2 절단 날(140c)과 상기 제3 절단 날(140c) 사이의 거리는 1.6㎜ 내지 2.2㎜ 범위 내에 있는, 면도기 카트리지(2).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절단 날(140c)과 상기 제3 절단 날(140c) 사이의 거리는 1.70㎜ 내지 2㎜의 범위 내에 있는, 면도기 카트리지(2).
  9. 제7항 또는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절단 날(140c)과 상기 제3 절단 날(140c) 사이의 거리는 1.75㎜ 내지 1.95㎜의 범위 내에 있는, 면도기 카트리지(2).
  10. 제7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면도 표면(S)로부터 멀어지게 향하는 내측 표면(120b'')을 갖는 평편 부분(120b)을 포함하는 제4 블레이드 지지체(120); 및
    상기 제4 블레이드 지지체(120)의 상기 평편 부분(120b)의 상기 내측 표면(120b'')에 부착된 제4 블레이드(140)로서, 제4 절단 날(140c)을 포함하는, 상기 제4 블레이드(140)
    를 더 포함하되; 상기 제3 절단 날(140c)과 상기 제4 절단 날(140c) 사이의 거리는 1.6㎜ 내지 2.2㎜ 범위 내에 있는, 면도기 카트리지(2).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3 절단 날(140c)과 상기 제4 절단 날(140c) 사이의 거리는 1.70㎜ 내지 2㎜의 범위 내에 있는, 면도기 카트리지(2).
  12. 제10항 또는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3 절단 날(140c)과 상기 제4 절단 날(140c) 사이의 거리는 1.75 내지 1.95의 범위 내에 있는, 면도기 카트리지(2).
  13. 제7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3 및/또는 제4 블레이드 지지체(120)는 피부와 접촉되도록 구성된 전방 단부(120c)를 포함하는, 면도기 카트리지(2).
  14. 제13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전방 단부(120c)는 원형인, 면도기 카트리지(2).
  15. 제1항 내지 제14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면도기 카트리지(2) 및 핸들(6)을 포함하는 쉐이버(shaver)(1)에 있어서, 상기 면도기 카트리지(2)는 상기 핸들에 연결 가능하며, 상기 면도기 카트리지(2)는 4개의 블레이드 조립체(100)를 포함하며, 연속적인 절단 날들(140c) 사이의 거리는 1.85㎜±0.1㎜인, 쉐이버.
KR1020217017611A 2019-01-31 2020-01-29 증가된 인터 블레이드 스팬을 갖는 면도 헤드 KR20210122227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19154897.3A EP3689560A1 (en) 2019-01-31 2019-01-31 Shaving head with increased inter blade span
EP19154897.3 2019-01-31
PCT/EP2020/052164 WO2020157130A1 (en) 2019-01-31 2020-01-29 Shaving head with increased inter blade span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22227A true KR20210122227A (ko) 2021-10-08

Family

ID=652760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7017611A KR20210122227A (ko) 2019-01-31 2020-01-29 증가된 인터 블레이드 스팬을 갖는 면도 헤드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20220063119A1 (ko)
EP (2) EP3689560A1 (ko)
JP (1) JP2022518667A (ko)
KR (1) KR20210122227A (ko)
CN (1) CN113165197A (ko)
BR (1) BR112021011474A2 (ko)
IL (1) IL283953A (ko)
MX (1) MX2021007040A (ko)
WO (1) WO2020157130A1 (ko)

Family Cites Families (3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A1140321A (en) * 1979-05-25 1983-02-01 John F. Francis Safety razor heads
GB9106860D0 (en) * 1991-04-02 1991-05-22 Gillette Co Safety razor
GB9320058D0 (en) * 1993-09-29 1993-11-17 Gillette Co Savety razors
US6295734B1 (en) * 1995-03-23 2001-10-02 The Gillette Company Safety razors
US6173498B1 (en) * 1996-08-05 2001-01-16 The Gillette Company Razor
US6009624A (en) * 1997-09-30 2000-01-04 The Gillette Company Razor cartridge with movable blades
US6161287A (en) * 1998-04-24 2000-12-19 The Gillette Company Razor blade system
GB2354474B8 (en) 1999-09-27 2008-01-29 Gillette Co Safety razors
US20100218381A1 (en) * 2005-06-10 2010-09-02 Follo Thomas A Inter-Blade Guard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ame
US7681314B2 (en) * 2005-06-10 2010-03-23 Eveready Battery Company Inc. Inter-blade guard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ame
RU2008150012A (ru) * 2008-12-10 2010-06-20 Александр Тарасович Володин (RU) Лезвийный блок безопасной бритвы
US9032628B2 (en) * 2009-07-15 2015-05-19 Eveready Battery Company, Inc. Razor blade technology
AU2010331917A1 (en) * 2009-12-18 2012-07-12 The Gillette Company Razor cartridge with non-cutting element
JP2011152361A (ja) * 2010-01-28 2011-08-11 Olympus Corp 内視鏡の可撓管部と、この可撓管部を有する内視鏡
EP2707180B1 (en) * 2011-05-13 2016-12-14 Edgewell Personal Care Brands, LLC Razor blade supports
US9457486B2 (en) * 2013-03-13 2016-10-04 Rolling Razor, Inc Shaving cartridge with individual blade guards
DE202013101460U1 (de) * 2013-04-05 2013-04-22 Igus Gmbh Leitungsführung aus mehrachsig abwinkelbaren Gliedern
US9718200B2 (en) * 2014-01-31 2017-08-01 Dryfhout Enterprises, Llc Safety razor with comb and integrated blade and associated methods
BR112018068899A2 (pt) * 2016-03-18 2019-01-22 Personal Care Marketing And Res Inc cartucho de lâminas de barbear
US10493643B1 (en) * 2016-05-17 2019-12-03 Dryfhout Properties, Llc Leveled back shaver
US9937629B1 (en) * 2016-05-17 2018-04-10 Dryfhout Enterprises, Llc Two-point discrimination safety razor assembly
US10384360B2 (en) * 2016-06-29 2019-08-20 The Gillette Company Llc Razor blade with a printed object
JP7004676B2 (ja) * 2016-07-06 2022-01-21 ビック・バイオレクス・エス・エー カミソリシステム
WO2018007132A1 (en) * 2016-07-06 2018-01-11 Bic-Violex Sa Razor system
US11045965B2 (en) * 2016-07-28 2021-06-29 Bic Violex S.A. Shaving cartridge including a masking foil
US20190224874A1 (en) * 2016-09-14 2019-07-25 Edgewell Personal Care Brands, Llc Bidirectional Shaving Device
CN208246877U (zh) * 2017-08-25 2018-12-18 宁波开利控股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矩阵式排列的漏须刀头
KR102063770B1 (ko) * 2018-07-27 2020-01-08 주식회사 도루코 면도기 카트리지
JP2022519991A (ja) * 2019-01-31 2022-03-28 ビック・バイオレクス・エス・エー かみそりカートリッジ
EP3689559A1 (en) * 2019-01-31 2020-08-05 Bic Violex S.A. Razor cartridge
EP3771532B1 (en) * 2019-07-31 2023-10-25 BIC Violex Single Member S.A. Razor cartridge
EP3771531A1 (en) * 2019-07-31 2021-02-03 BIC-Violex S.A. Razor cartridge
EP3771533B1 (en) * 2019-07-31 2022-09-21 BIC Violex Single Member S.A. Razor cartridge
EP4000823B1 (en) * 2020-11-17 2024-05-08 BIC Violex Single Member S.A. Double direction shaving head
EP4067025B1 (en) * 2021-03-31 2024-02-28 BIC Violex Single Member S.A. Blade elements
EP4067024A1 (en) * 2021-03-31 2022-10-05 BIC Violex Single Member S.A. Shaving razor cartridg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3165197A (zh) 2021-07-23
JP2022518667A (ja) 2022-03-16
EP3917732A1 (en) 2021-12-08
US20220063119A1 (en) 2022-03-03
WO2020157130A1 (en) 2020-08-06
IL283953A (en) 2021-07-29
EP3689560A1 (en) 2020-08-05
BR112021011474A2 (pt) 2021-08-31
MX2021007040A (es) 2021-08-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646481B1 (en) Safety razors
JP5047954B2 (ja) インターブレードガード及びその製造方法
KR20210122228A (ko) 면도기 카트리지
US20160279815A1 (en) Shaving razor cartridge
US6769180B2 (en) Shaving implement having static and dynamic blades
US11794363B2 (en) Method of assembling a razor cartridge
US20160279816A1 (en) Shaving razor cartridge
KR20210122227A (ko) 증가된 인터 블레이드 스팬을 갖는 면도 헤드
RU2804498C2 (ru) Бритвенная головка с увеличенным межлезвийным расстоянием
RU2804499C2 (ru) Бритвенный картридж