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21890A - 오일미스트 크리너 - Google Patents

오일미스트 크리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21890A
KR20210121890A KR1020200039311A KR20200039311A KR20210121890A KR 20210121890 A KR20210121890 A KR 20210121890A KR 1020200039311 A KR1020200039311 A KR 1020200039311A KR 20200039311 A KR20200039311 A KR 20200039311A KR 20210121890 A KR20210121890 A KR 2021012189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il mist
case
cover
air
indu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393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14180B1 (ko
Inventor
윤홍범
윤하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와이에이치비에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와이에이치비에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와이에이치비에코
Priority to KR10202000393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14180B1/ko
Publication of KR202101218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2189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141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1418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3/00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 B01D53/002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by condens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0002Casings; Housings; Frame constructions
    • B01D46/0004Details of removable closures, lids, caps or filter hea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0027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with additional separating or treating func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0039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with flow guiding by feed or discharge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24Particle separators, e.g. dust precipitators, using rigid hollow filter bodies
    • B01D46/2403Particle separators, e.g. dust precipitators, using rigid hollow filter bodies characterised by the physical shape or structure of the filtering ele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42Auxiliary equipment or operation thereof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ometry (AREA)
  • Filtering Of Dispersed Particles In Ga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미스트크리너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CNC선반, 원통연삭기, 머시닝센터, 프레스기계, 연마기, 고속가공기 등 공작기계와 도장기계를 이용한 작업과정에서 발생하는 오일미스트(mist)를 효과적으로 포집하여 작업장의 환경을 쾌적하게 유지하기 위한 오일미스트 크리너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오일미스트 크리너는 가공기계 또는 공작기계 가동중 발생하여 공기중에 편승하는 오일미스트를 흡입하고, 오일미스트가 함유된 공기가 흐르는 경로 상에 오일미스트를 응축, 응결, 액화시킬 수 있는 전처리필터를 배치함으로써 1차로 오일미스트를 필터링할 수 있고, 전처리필터를 통과한 공기를 후처리필터 및 보조필터를 통해 재차 필터링함으로써 오일미스트 및 분진을 효과적으로 필터링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오일미스트 크리너{Oil mist cleaner}
본 발명은 미스트크리너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CNC선반, 원통연삭기, 머시닝센터, 프레스기계, 연마기, 고속가공기 등 공작기계와 도장기계를 이용한 작업과정에서 발생하는 오일미스트(mist)를 효과적으로 포집하여 작업장의 환경을 쾌적하게 유지하기 위한 오일미스트 크리너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공작기계로 가공물을 가공할 때에는 윤활과 냉각을 위하여 다양한 종류의 금속가공유(절삭유, 윤활유, 방청유 등)를 사용하게 되므로 금속가공유가 비산되어 오일미스트가 발생하게 되고, 이와 함께 가공물이 절삭되면서 가공칩이 발생하게 된다.
오일미스트는 포름 알데히드, 니트로스아민, 염화파라핀 등의 발암물질이 포함되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어 작업자와 환경보호를 위해서 효율적인 배기가 요구되므로 작업환경에는 보통 오일미스트 집진기가 설치된다.
상기 오일 미스트 집진기는 CNC선반, 원통연삭기, 머시닝센터, 볼트홈, 프레스기계, 센타레스 연마기, 치절반, 세정조, 고속가공기 등 공작기계의 절삭 가공시에 발생하는 오일 미스트로부터 오일을 분리시키고 공기중에 오일입자가 유동되는 것을 방지하기 하고 작업자의 건강을 보호하기 위한 장치이다.
종래부터 자동화 공작 기계에 있어서 발생하는 오일 안개를 흡입팬에 의하여 흡입하고 오일 필터를 통과하는 사이에 유분과 공기분을 분리하여 기름을 회수하는 오일 미스트 집진기가 공지로 되어 있다.
또한, 용접기 근처로부터 발생되는 용접흄(fume)은 다량의 오일분과 고농도 분진을 포함하고 있다. 이와 같은 공기로부터 오일분과 고농도 분진을 제거하는 경우 전기 집진기로 처리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러나 전기 집진기는 단기간 중에 극판에 다량의 오일분과 고농도 분진이 부착해 버리는 문제가 있다. 이 때문에 주머니 모양 여과포를 이용한 여과식 집진기를 이용하는 경우가 많은데 이 경우 여과포는 단기간으로 분진이 쌓이게 됨으로 여과포에 부착한 분진 등을 빈번하게 털어버릴 필요가 있다. 이렇게 길이방향으로 골이 형성된 여과포를 설치하면 필터 표면에 오일미스트와 함께 오일칩이 바로 부착됨으로 여과포가 손상되어 짧은 주기로 필터를 교체해야 하는 문제가 있다.
대한민국 등록실용 제20-0448063호 대한민국 등록실용 제20-0343306호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03-0084987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가공 및 공작기계에서 확산 및 비산되는 오일미스트를 전처리필터 및 후처리필터를 이용하여 효과적으로 포집하여 작업장의 환경을 쾌적하게 유지할 수 있는 오일미스트 크리너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가공 및 공작기계에서 발생하는 오일미스트의 대부분을 전처리필터를 통해 수거 및 필터링함으로써 후처리필터의 교체 주기를 연장시켜 유지보수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오일미스트 크리너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오일미스트 크리너는 내부에 공기가 흐를수 있게 상하로 연장된 메인유로가 형성되고, 하부와 상부에 각각 하부개구부와 상부개구부가 마련된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의 메인유로 중앙 측에 설치되어 상기 하부개구부 측의 공기를 흡입하여 상기 상부개구부 측으로 배출시키는 송풍유닛과; 상기 송풍유닛에 의해 상기 케이스의 메인유로를 경유하는 공기에 간섭되어 공기에 포함된 오일미스트를 응결시켜 필터링하는 전처리필터유닛과; 상기 전처리필터유닛의 상측의 상기 케이스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전처리필터유닛을 통과한 공기에 포함된 오일미스트 및 분진을 필터링하는 후처리필터유닛;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전처리필터유닛은 상부와 하부가 각각 개방되고, 상기 송풍유닛에 의해 상기 케이스 내부로 흡입되는 공기가 상기 케이스의 메인유로 가장자리 측을 경유하여 상기 케이스의 메인유로 상측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안내하는 유도커버와, 상기 유도커버 내측에 복수가 상하로 이격되고, 서로 엇갈리게 설치되어 상기 유도커버 내측으로 유입되는 공기가 상기 유도커버 내부에서 상기 유도커버의 폭 방향을 따라 왕복 이동하면서 상기 유도커버 상부로 이동할 수 있도록 안내하는 복수의 내부 유도플레이트와, 상기 유도커버를 통과하여 상기 케이스 상방으로 이동하는 공기에 간섭되게 상기 유도커버의 상부에 설치되는 외부 유도플레이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내부 유도플레이트 각각은 일 측이 상기 유도커버의 내측에 고정되고, 타 측은 상기 유도커버의 상측을 향해 상향 경사지게 설치되며, 타 측 단부에는 상기 유도커버의 하측을 향해 하방으로 일정 부분 절곡된 절곡부가 구비되고, 상기 외부 유도플레이트는 일 단이 상기 메인유로의 중앙 측을 향하는 상기 유도커버의 상부 일 측에 고정되고, 타 단은 상기 유도커버의 상방을 향해 상향 경사지게 설치되며, 타 단에는 상기 유도커버를 향해 하방으로 일정 부분 절곡된 절곡부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케이스의 하부개구부에 설치되어 상기 메인유로의 중앙 측으로 공기가 유입될 수 있도록 중앙에 흡입홀이 형성되고, 상기 전처리필터유닛에 의해 응축 및 포집된 오일을 수거하기 위한 하부커버플레이트;를 더 구비하고, 상구 하부커버플레이트 하부에는 수거된 오일을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드레인 파이프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케이스의 상부개구부에 설치되어 상기 유도커버에 의해 상기 메인유로의 가장자리 측을 경유하여 상기 케이스 상부로 이동하는 공기가 상기 케이스의 상부개구부 중앙 측을 통해 상기 케이스 외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 중앙에 배출홀이 형성된 상부커버플레이트와; 상기 상부커버플레이트에 결합되어 상기 배출홀을 통해 상기 케이스 외부로 배출되는 공기에 포함된 오일 및 분진을 필터링하기 위한 보조필터유닛;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보조필터유닛은 상기 상부커버플레이트에 하부가 결합되고, 상부는 상기 케이스 상방으로 연장되며, 내부에 상하로 보조유로가 형성된 필터지지부와, 상기 필터지지부에 하부가 거치 및 장착되어 상기 배출홀을 통해 상기 필터지지부의 보조유로를 통과하는 공기에 포함된 오일미스트 및 분진을 필터링하는 보조필터부와, 상기 보조필터부의 상부에 결합되어 상기 보조유로 및 상기 보조필터부의 상부를 밀폐시키는 필터커버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오일미스트 크리너는 가공기계 또는 공작기계 가동중 발생하여 공기중에 편승하는 오일미스트를 흡입하고, 오일미스트가 함유된 공기가 흐르는 경로 상에 오일미스트를 응축, 응결, 액화시킬 수 있는 전처리필터를 배치함으로써 1차로 오일미스트를 필터링할 수 있고, 전처리필터를 통과한 공기를 후처리필터 및 보조필터를 통해 재차 필터링함으로써 오일미스트 및 분진을 효과적으로 필터링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오일미스트 크리너의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오일미스트 크리너의 전처리필터유닛을 나타낸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오일미스트 크리너의 하부커버플레이트를 나타낸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오일미스트 크리너 상부커버플레이트를 나타낸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오일미스트 크리너의 보조필터유닛을 나타낸 단면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오일미스트 크리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5에는 본 발명에 따른 오일미스트 크리너가 도시되어 있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오일미스트 크리너(1)는 케이스(10)와, 송풍유닛(20)과, 전처리필터유닛(30)과, 후처리필터유닛(40)과, 하부커버플레이트(50)와, 상부커버플레이트(60)와, 보조필터유닛(70)을 구비한다.
케이스(10)는 가공기계 또는 공작기계 상부에 구비된 개구부에 설치되고, 내부에는 공기가 흐를수 있게 상하로 연장된 메인유로가 형성되고, 하부와 상부에 각각 메인유로와 연통되는 하부개구부와 상부개구부가 마련된다.
케이스(10)는 상부와 하부가 개방된 원통 형상으로 형성된다. 케이스(10)의 하부개구부에는 후술하는 하부커버플레이트(50)가 설치되고, 케이스(10)의 상부개구부에는 후술하는 상부커버플레이트(60)가 설치된다.
메인유로의 중앙 측과 대응되는 하부커버플레이트(50)와 상부커버플레이트(60)의 중앙 부분에는 각각 흡입홀(51)과 배출홀(61)이 형성된다.
그리고, 하부개구부로부터 일정 높이로 이격된 케이스(10) 내부에는 송풍유닛(20)의 구동모터(21)를 케이스(10)의 중앙 측에 설치 고정하기 위한 설치대(15)가 설치되어 있으며, 이 설치대(15)의 중앙부에 구동모터(21)가 고정되고, 중앙부 주변에는 하부개구부를 통과하여 케이스(10) 내부로 흡입된 공기가 케이스(10) 상부로 이동할 수 있도록 상하를 관통하고 설치대(15)의 원주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 이격되는 복수의 관통홀(16)이 형성된다.
송풍유닛(20)은 케이스(10)의 메인유로 중앙 측에 설치되어 하부개구부 측의 공기를 흡입하여 상부개구부 측으로 배출시키는 것으로서, 구동모터(21)와, 구동모터(21)에 의해 회전되면서 케이스(10)의 하부개구부 측의 공기를 케이스(10) 내부로 흡입하는 송풍팬(25)을 구비한다. 송풍팬(25)은 케이스(10) 하부 중앙 부분 즉, 메인유로 중앙 측으로 공기를 흡입한 뒤 설치대(15)의 관통홀을 통해 메인유로의 가장자리 측으로 공기를 흘려보낼 수 있도록 중앙 부분에 공기통로가 형성된 것을 적용한다.
전처리필터유닛(30)은 송풍유닛(20)에 의해 케이스(10)의 메인유로를 경유하여 케이스(10) 상부로 이동하는 공기에 간섭되어 공기에 포함된 오일미스트를 응결 또는 응축 또는 액화시켜 필터링하는 것으로서, 유도커버(31)와, 복수의 내부 유도플레이트와, 외부 유도플레이트(35)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유도커버(31)는 설치대(15)의 가장자리측 원주방향을 따라 형성된 복수의 관통홀을 통해 유입되는 공기가 케이스(10)의 가장자리 즉, 케이스(10)의 메인유로 가장자리 측을 경유하여 케이스(10)의 메인유로 상측으로 이동할 수 있게 안내하는 것으로서, 설치대(15)의 가장자리 측에 설치된다.
유도커버(31)는 설치대(15)를 향하는 하부가 개방된 구조를 갖고, 내측벽(311), 외측벽(312), 상측벽(313)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유도커버(31)는 일체로 형성된 구조이나 설명의 편의를 위해 내측벽(311), 외측벽(312), 상측벽(313)으로 각각 구분하여 설명한다.
내측벽(311)은 구동모터(21)와 인접하는 설치대(15)의 중앙부 주변을 따라 원주 방향으로 연장 및 상하로 연장된 원통형으로 형성된다.
외측벽(312)은 케이스(10)의 내주면과 인접하는 설치대(15)의 가장자리 측을 따라 원주 방향으로 연장 및 내측벽(311)과 나란하도록 상하로 연장된 원통형으로 형성된다. 외측벽(312)은 내측벽(311)과 일정 거리 이격되고, 케이스(10)의 내주면과 일정 거리 이격되게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측벽(313)은 일 단이 내측벽(311)의 상단부에 연결되고 타 단이 외측벽(312)의 상단부에 연결되어 내측벽(311)의 상단부와 외측벽(312)의 상단부를 연결시킨다. 그리고, 상측벽(313)에는 내측벽(311)과 외측벽(312) 사이를 따라 흐르는 공기가 유도커버(31) 외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 복수의 통과홀(313A)이 형성된다. 상측벽(313)에 형성된 통과홀(313A)은 설치대(15)에 형성된 관통홀과 대응되는 위치에 설치된다. 통과홀(313A)은 관통홀과 대응되는 사이즈로 설치될 수도 있으나, 관통홀보다 작은 사이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내부 유도플레이트는 유도커버(31) 내측에 복수가 상하로 이격되고, 서로 엇갈리게 설치되어 유도커버(31) 내측으로 유입되는 공기가 유도커버(31) 내부에서 유도커버(31)의 폭 방향을 따라 왕복 이동하면서 유도커버(31) 상부로 이동할 수 있도록 안내하는 것으로서, 복수개가 구비된다. 본 실시 예에서는 제1 내부 유도플레이트(321)와 제2 내부 유도플레이트(322)를 구비하는 것을 적용하였으나, 이와 다르게 더 많은 수의 내부 유도플레이트를 구비할 수도 있다.
제1 내부 유도플레이트(321) 및 제2 내부 유도플레이트(322) 각각은 일 측이 유도커버(31)의 내측에 고정되고, 타 측은 상유도커버(31)의 상측을 향해 상향 경사지게 설치되며, 타 측 단부에는 유도커버(31)의 하측을 향해 하방으로 일정 부분 절곡된 절곡부가 구비된다.
더욱 상세하게 제1 내부 유도플레이트(321)는 일 단이 유도커버(31)의 내측벽(311) 하부에 고정되고 타 단은 외측벽(312) 상부를 향해 상방으로 경사지게 설치되며, 유도커버(31) 내부를 통과하는 공기에 간섭될 수 있게 타 단에 하방으로 절곡된 제1절곡부(321A)가 유도커버(31)의 폭 방향 중앙 부분에 위치하도록 설치된다.
그리고, 제2 내부 유도플레이트(322)는 일 단이 제1 내부 유도플레이트(321)의 하단보다 높은 위치의 유도커버(31)의 외측벽(312) 하부에 고정되고, 타 단은 내측벽(311) 상부를 향해 상방으로 경사지게 설치되며, 유도커버(31) 내부를 통과하는 공기에 간섭될 수 있게 타 단에 하방으로 절곡된 제2절곡부(322A)가 유도커버(31)의 폭 방향 중앙 부분에 위치하도록 설치딘다.
제1 내부 유도플레이트(321)는 유도커버(31) 내부로 유입되는 공기에 간섭되어 공기에 포함된 오일미스트를 응결, 응축, 액화시켜 그 표면에 오일미스트가 맺히도록 하여 공기로부터 오일미스트를 필터링한다. 그리고, 제2 내부 유도플레이트(322)는 제1 내주 유도플레이트를 통과하여 유도커버(31) 상부로 이동하는 공기에 간섭되어 공기에 포함된 오일미스트를 응결, 응축, 액화시켜 그 표면에 오일미스트가 맺히도록 하여 공기로부터 오일미스트를 필터링한다.
내부 유도플레이트는 복수가 유도커버(31) 내부에 상하로 이격되게 설치되고 서로 교차하는 방향으로 설치되어 유도커버(31) 내부로 유입되는 공기를 유도커버(31)의 폭 방향을 따라서 왕복 이동되게 안내함으로써 공기의 경로를 증가시키며, 이를 통해 오일미스트의 필터링 효과를 높일 수 있도록 한다.
외부 유도플레이트(35)는 유도커버(31)의 상부에 설치되어 유도커버(31)를 통과하여 케이스(10) 상방으로 이동하는 공기에 간섭되는 것으로서, 일 단이 메인유로의 중앙 측을 향하는 유도커버(31)의 상부 일 측 더욱 상세하게는 상측벽(313)의 내측에 고정되고, 타 단은 케이스(10)의 내주면을 향하는 유도커버(31)의 상방을 향해 상향 경사지게 설치된다. 외부 유도플레이트(35)의 타 단에는 유도커버(31)를 향해 하방으로 일정 부분 절곡된 절곡부(35A)가 구비되어 유도커버(31)의 통과홀(313A)을 통과하여 유도커버(31) 상방으로 배출되는 공기에 간섭된다. 외부 유도플레이트(35)는 내부 유도플레이트들(321, 322)과 마찬가지로 유도커버(31) 상부로 배출되는 공기에 간섭되어 공기에 포함된 오일미스트를 응결, 응축, 액화시켜 그 표면에 오일미스트가 맺히도록 하여 공기로부터 오일미스트를 필터링한다
후처리필터유닛(40)은 전처리필터유닛(30)의 상측의 케이스(10) 내부에 설치되어 전처리필터유닛(30)을 통과한 공기에 포함된 오일미스트 및 분진을 필터링하는 것으로서, 케이스(10)의 내경에 대응되는 외경을 갖고, 구동모터(21)가 통과 및 공기가 통과할 수 있도록 케이스(10)의 배출구와 대응되는 위치의 내측 중앙부가 개방된 구조를 가진다. 후처리필터유닛(40)은 케이스(10)의 형상과 대응되는 원통형 필터를 적용하였다.
하부커버플레이트(50)는 케이스(10)의 하부개구부에 설치되어 메인유로 하부의 중앙 측 또는 송풍팬(25)이 위치하는 부근으로 공기가 유입될 수 있도록 안내한다.
하부커버플레이트(50)는 원판 형상으로 형성되고, 그 중앙에 흡입홀(51)이 형성된다. 하부커버플레이트(50)는 상부에 설치된 전처리필터유닛(30)에 의해 응축 및 포집된 오일을 수거하며, 흡입홀(51) 주변으로 오일이 모일 수 있도록 흡입홀(51)이 형성된 중앙부가 상방으로 일정 높이로 융기된 구조를 가진다.
하부커버플레이트(50)는 가장자리 측에서 중앙부 측으로 갈수록 하방으로 경사져 오목한 구조를 갖고, 흡입홀(51)이 형성된 중앙부는 상방으로 일정 높이로 솟아 오른 구조를 가져 가장자리 측과 중앙부 측의 흡입홀(51) 사이에 오일이 모일 수 있게 되어 있다.
그리고, 하부커버플레이트(50) 하부에는 하부커버플레이트(50) 상에 수거된 오일을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드레인 파이프(55)가 설치된다. 드레인 파이프(55)는 하부커버플레이트(50)의 가장 오목한 부분에 설치되어 하부커버플레이트(50)에 수거된 오일을 모두 배출시킬 수 있게 한다.
상부커버플레이트(60)는 케이스(10)의 상부개구부에 설치되어 유도커버(31)에 의해 메인유로의 가장자리 측을 경유하여 케이스(10) 상부로 이동하는 공기가 케이스(10)의 상부개구부 중앙 측을 통해 케이스(10) 외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 중앙에 배출홀(61)이 형성된다.
상부커버플레이트(60)는 후술하는 보조필터유닛(70)을 설치 및 케이스(10) 상부로 배출되는 공기가 배출홀(61)을 통해 보조필터유닛(70)의 보조필터부(72) 내측으로 이동할 수 있게 한다.
그리고, 상부커버플레이트(60) 상면에는 손잡이(61)가 설치되어 있으며, 가장자리에는 케이스(10)와의 결합을 위해 고리부(62)가 복수개 구비되어 있다. 고리부(62)는 케이스(10)의 상측 외주면에 설치된 토글클램프를 체결할 수 있도록 하방으로 연장되게 설치된다.
보조필터유닛(70)은 상부커버플레이트(60)에 결합되어 배출홀(61)을 통해 케이스(10) 외부로 배출되는 공기에 포함된 오일 및 분진을 필터링하기 위한 것으로서, 필터지지부(71)와, 보조필터부(72)와, 필터커버부(7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필터지지부(71)는 상부커버플레이트(60)에 하부가 결합되고, 상부는 케이스(10) 상방으로 연장되며, 내부에 상하로 보조유로가 형성된다. 필터지지부(71)는 상부커버플레이트(60)에 결합되는 하부에서 보조필터부(72)가 설치 및 안착되는 상부로 갈수록 내경이 점진적으로 확장되는 확장부가 구비되고, 상단에는 보조필터부(72)가 안착되는 필터장착부가 구비된다.
보조필터부(72)는 필터지지부(71)에 구비된 필터장착부에 하부가 거치 및 장착되어 배출홀(61)을 통해 필터지지부(71)의 보조유로를 통과하는 공기에 포함된 오일미스트 및 분진을 필터링하는 것으로서, 원통형 필터를 적용하였다.
필터커버부(73)는 보조필터부(72)의 상부에 결합되어 보조유로 및 보조필터부(72)의 상부를 밀폐시켜 보조유로 및 보조필터부(72) 내부로 유입된 공기가 보조필터부(72) 측면을 통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 보조필터부(72)의 개방된 중앙부를 통해 공기가 배출되는 것을 차단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오일미스트 크리너는 가공 및 공작기계 가동중 발생하여 공기중에 편승하는 오일미스트를 흡입하고, 오일미스트가 함유된 공기가 흐르는 경로 상에 오일미스트를 응축, 응결, 액화시킬 수 있는 전처리필터를 배치함으로써 1차로 오일미스트를 필터링할 수 있고, 전처리필터를 통과한 공기를 후처리필터 및 보조필터를 통해 재차 필터링함으로써 오일미스트 및 분진을 효과적으로 필터링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에 따른 오일미스트 크리너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서만 정해져야 할 것이다.
1 : 오일미스트 크리너
10 : 케이스
15 : 설치대
20 : 송풍유닛
21 : 구동모터
25 : 송풍팬
30 : 전처리필터유닛
31 : 유도커버
321 : 제1 내부 유도플레이트
322 : 제2 내부 유도플레이트
35 : 외부 유도플레이트
40 : 후처리필터유닛
50 : 하부커버플레이트
60 : 상부커버플레이트
70 : 보조필터유닛

Claims (6)

  1. 내부에 공기가 흐를수 있게 상하로 연장된 메인유로가 형성되고, 하부와 상부에 각각 하부개구부와 상부개구부가 마련된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의 메인유로 중앙 측에 설치되어 상기 하부개구부 측의 공기를 흡입하여 상기 상부개구부 측으로 배출시키는 송풍유닛과;
    상기 송풍유닛에 의해 상기 케이스의 메인유로를 경유하는 공기에 간섭되어 공기에 포함된 오일미스트를 응결시켜 필터링하는 전처리필터유닛과;
    상기 전처리필터유닛의 상측의 상기 케이스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전처리필터유닛을 통과한 공기에 포함된 오일미스트 및 분진을 필터링하는 후처리필터유닛;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일미스트 크리너.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처리필터유닛은
    상부와 하부가 각각 개방되고, 상기 송풍유닛에 의해 상기 케이스 내부로 흡입되는 공기가 상기 케이스의 메인유로 가장자리 측을 경유하여 상기 케이스의 메인유로 상측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안내하는 유도커버와,
    상기 유도커버 내측에 복수가 상하로 이격되고, 서로 엇갈리게 설치되어 상기 유도커버 내측으로 유입되는 공기가 상기 유도커버 내부에서 상기 유도커버의 폭 방향을 따라 왕복 이동하면서 상기 유도커버 상부로 이동할 수 있도록 안내하는 복수의 내부 유도플레이트와,
    상기 유도커버를 통과하여 상기 케이스 상방으로 이동하는 공기에 간섭되게 상기 유도커버의 상부에 설치되는 외부 유도플레이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일미스트 크리너.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 유도플레이트 각각은 일 측이 상기 유도커버의 내측에 고정되고, 타 측은 상기 유도커버의 상측을 향해 상향 경사지게 설치되며, 타 측 단부에는 상기 유도커버의 하측을 향해 하방으로 일정 부분 절곡된 절곡부가 구비되고,
    상기 외부 유도플레이트는 일 단이 상기 메인유로의 중앙 측을 향하는 상기 유도커버의 상부 일 측에 고정되고, 타 단은 상기 유도커버의 상방을 향해 상향 경사지게 설치되며, 타 단에는 상기 유도커버를 향해 하방으로 일정 부분 절곡된 절곡부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일미스트 크리너.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의 하부개구부에 설치되어 상기 메인유로의 중앙 측으로 공기가 유입될 수 있도록 중앙에 흡입홀이 형성되고, 상기 전처리필터유닛에 의해 응축 및 포집된 오일을 수거하기 위한 하부커버플레이트;를 더 구비하고,
    상구 하부커버플레이트 하부에는 수거된 오일을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드레인 파이프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일미스트 크리너.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의 상부개구부에 설치되어 상기 유도커버에 의해 상기 메인유로의 가장자리 측을 경유하여 상기 케이스 상부로 이동하는 공기가 상기 케이스의 상부개구부 중앙 측을 통해 상기 케이스 외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 중앙에 배출홀이 형성된 상부커버플레이트와;
    상기 상부커버플레이트에 결합되어 상기 배출홀을 통해 상기 케이스 외부로 배출되는 공기에 포함된 오일 및 분진을 필터링하기 위한 보조필터유닛;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일미스트 크리너.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필터유닛은
    상기 상부커버플레이트에 하부가 결합되고, 상부는 상기 케이스 상방으로 연장되며, 내부에 상하로 보조유로가 형성된 필터지지부와,
    상기 필터지지부에 하부가 거치 및 장착되어 상기 배출홀을 통해 상기 필터지지부의 보조유로를 통과하는 공기에 포함된 오일미스트 및 분진을 필터링하는 보조필터부와,
    상기 보조필터부의 상부에 결합되어 상기 보조유로 및 상기 보조필터부의 상부를 밀폐시키는 필터커버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일미스트 크리너.
KR1020200039311A 2020-03-31 2020-03-31 오일미스트 크리너 KR10231418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39311A KR102314180B1 (ko) 2020-03-31 2020-03-31 오일미스트 크리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39311A KR102314180B1 (ko) 2020-03-31 2020-03-31 오일미스트 크리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21890A true KR20210121890A (ko) 2021-10-08
KR102314180B1 KR102314180B1 (ko) 2021-10-18

Family

ID=781158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39311A KR102314180B1 (ko) 2020-03-31 2020-03-31 오일미스트 크리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14180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84987A (ko) 2001-03-12 2003-11-01 시에라 와이어리스 인코포레이티드 인터넷 기반 이동 단말기 제공
KR200343306Y1 (ko) 2003-11-28 2004-02-27 주식회사 영풍기계 오일미스트 집진기
KR20090114662A (ko) * 2008-04-30 2009-11-04 주식회사 청호씨에이 오일 미스트 집진기
KR200448063Y1 (ko) 2009-04-30 2010-03-12 (주)동명엔터프라이즈 유증기 응축회수장치
KR20180123240A (ko) * 2017-05-08 2018-11-16 (주)삼우필텍 오일미스트 집진기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84987A (ko) 2001-03-12 2003-11-01 시에라 와이어리스 인코포레이티드 인터넷 기반 이동 단말기 제공
KR200343306Y1 (ko) 2003-11-28 2004-02-27 주식회사 영풍기계 오일미스트 집진기
KR20090114662A (ko) * 2008-04-30 2009-11-04 주식회사 청호씨에이 오일 미스트 집진기
KR200448063Y1 (ko) 2009-04-30 2010-03-12 (주)동명엔터프라이즈 유증기 응축회수장치
KR20180123240A (ko) * 2017-05-08 2018-11-16 (주)삼우필텍 오일미스트 집진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14180B1 (ko) 2021-10-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455130C2 (ru) Пылеулавливающие устройства для устройств механической обработки
KR20110102074A (ko) 오일미스트용 포터블 집진기
JP4060860B2 (ja) 工作機械におけるエアブロー及びミスト捕集装置
EP1859898A1 (en) Extractor device for machine tools, welding and manufacturing machines and the like
KR20120055225A (ko) 오일미스트용 포터블 집진기
KR20140120877A (ko) 칩 및 절삭유를 진공 사이클론 기반으로 회수하는 절삭 장치
KR101680450B1 (ko) Cnc 장치용 헤드 및 이를 구비하는 cnc 장치
JP4106351B2 (ja) オイルミスト集塵器
KR102314180B1 (ko) 오일미스트 크리너
JP5357228B2 (ja) ミスト除去装置
KR101604923B1 (ko) 공기노즐을 이용한 동시 흡배기 방식의 절삭유 흡입청소기와 공작기계의 연결기구
JP2016221463A (ja) ミスト捕集装置
JP2003089032A (ja) 切削屑除去エア吹出装置
KR102155700B1 (ko) 오일미스트 집진장치
KR20120076975A (ko) 스크류 사이클론 오일미스트 집진기
JP6836683B1 (ja) ミストコレクタ
CN210335487U (zh) 一种集尘式砂轮切割机
KR101274261B1 (ko) 오일 미스트 집진장치
KR101508175B1 (ko) 자동 공작기계의 집진장치
KR102049757B1 (ko) 오일 미스트 집진기의 애프터필터 조립체
KR100942900B1 (ko) 오일 미스트 집진기
KR20070067055A (ko) 전기 드릴링 머신의 칩 제거 장치
CN215845881U (zh) 一种台钻的排屑机构
KR101930630B1 (ko) 오일미스트 집진기
KR200383263Y1 (ko) 오일미스트 처리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