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21797A - 자가 고장 진단 기능을 구비한 스마트 독서실 관리 시스템 - Google Patents

자가 고장 진단 기능을 구비한 스마트 독서실 관리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21797A
KR20210121797A KR1020200039106A KR20200039106A KR20210121797A KR 20210121797 A KR20210121797 A KR 20210121797A KR 1020200039106 A KR1020200039106 A KR 1020200039106A KR 20200039106 A KR20200039106 A KR 20200039106A KR 20210121797 A KR20210121797 A KR 2021012179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learning
user
attendance
fail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391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백태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잇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잇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잇올
Priority to KR102020003910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121797A/ko
Publication of KR202101217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2179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2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of structured data, e.g. relational data
    • G06F16/24Querying
    • G06F16/245Query processing
    • G06F16/2457Query processing with adaptation to user needs
    • G06F16/24578Query processing with adaptation to user needs using rank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0Education
    • G06Q50/30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50Business processes related to the communications industry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Marketing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Time Recorders, Dirve Recorders, Access Control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용자별로 학습습관과 학습능력을 분석하여 분석결과를 사용자가 확인할 수 있고, 시스템에 고장 발생 시 신속하게 고장을 진단하여 사용자에게 정확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자가 고장 진단 기능을 구비한 스마트 독서실 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사용자의 출결사항과 학습시간정보를 확인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학습습관 분석부와, 사용자의 학습능력을 확인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학습능력 평가부를 포함하여, 사용자가 자신의 학습습관을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게 되어 학습습관 개선을 유도하며, 동시에 사용자가 자신의 학습능력을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게 되어 자신의 학습능력에 맞춰 향후 학습방향을 조절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자가 고장 진단 기능을 구비한 스마트 독서실 관리 시스템{Smart reading room management system having self-diagnosing function}
본 발명은 자가 고장 진단 기능을 구비한 스마트 독서실 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사용자별로 학습습관과 학습능력을 분석하여 분석결과를 사용자가 확인할 수 있고, 시스템에 고장 발생 시 신속하게 고장을 진단하여 사용자에게 정확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자가 고장 진단 기능을 구비한 스마트 독서실 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는 중고등학생을 비롯하여, 대학생, 취업준비생, 직장인까지 학습을 꾸준히 이어나감에 따라 학습을 위해 독서실을 찾는 사람들의 수가 증가되고 있다.
이에 따라, 증가된 수요에 대응하여 실시간으로 독서실 관리를 위한 소프트웨어 개발을 필요로 하고 있으며, 한국공개특허 제10-2018-0106594호와 같이, 독서실 좌석예약 등 독서실 운영에 있어서의 효율성 향상시킬 수 있는 독서실 관리 시스템에 대한 기술개발이 주로 이루어지고 있으나, 사용자의 학습 효율 향상을 지원할 수 있도록 사용자 맞춤 학습 환경을 제공할 수 있는 독서실 관리 시스템에 대한 개발은 거의 이루어지고 있지 않는 실정이다.
또한, 사용자의 학습 효율 향상을 지원하기 위한 독서실 관리 시스템의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사용자별 자료 또는 독서실에서 입력된 자료 간의 전송 오류가 발생하게 될 경우, 사용자에게 부정확한 학습 정보를 제공할 수도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자가 스스로 학습습관 및 학습능력을 용이하게 관리할 수 있도록 사용자별로 학습습관 및 학습능력을 분석하여 분석결과를 제공하고, 사용자에게 정확한 정보를 제공하도록 시스템 전반적으로 고장 발생 여부를 신속하게 파악할 수 있는 자가 고장 진단 기능을 구비한 스마트 독서실 관리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주요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지닌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컴퓨터 또는 휴대단말기로 이루어지는 사용자 단말기와, 독서실 내의 책상에 구비되어 사용자의 출결정보를 기록하여 전송하는 출결 기록기기와, 독서실 내의 책상에 구비되어 사용자가 학습을 진행한 학습시간정보를 기록하여 전송하는 학습시간 기록기기와, 상기 사용자 단말기를 통해 사용자로부터 사용자성명을 포함하는 회원가입정보를 입력받아 회원가입을 진행하는 회원가입부와, 상기 회원가입부를 통해 입력된 회원가입정보가 사용자별로 분류되어 저장되는 회원정보DB부와, 상기 출결 기록기기로부터 전송되는 상기 출결정보가 사용자별로 저장되는 출결정보DB부와, 상기 학습시간 기록기기부터 전송되는 상기 학습시간정보가 사용자별로 저장되는 학습시간정보DB부와, 상기 출결정보DB부 및 학습시간정보DB부에 저장되는 출결정보 및 학습시간정보를 기반으로 사용자의 출결여부와 학습시간을 분석하여 사용자별로 학습습관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제공하는 학습습관 분석부 및 실시간 또는 사용자에 의해 기설정되는 주기마다 상기 학습습관 분석부에서 생성되는 학습습관정보를 기저장된 메시지발송기준과 비교 분석하여, 분석 결과에 따라 부합하는 안내메시지를 생성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되도록 구성되는 메시지 발송부를 포함하는 관리서버 및 상기 출결 기록기기, 학습시간 기록기기 및 관리서버와 무선 통신이 가능하며, 상기 출결 기록기기, 학습시간 기록기기 및 관리 서버 간에 전송 여부를 판단하여 고장진단 결과를 생성하는 고장 진단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고장 진단부는 상기 출결 기록기기, 학습시간 기록기기 및 관리서버 간에 전송 성공 또는 전송 실패를 판단하는 고장판단 모듈과, 상기 고장판단 모듈에서 전송 실패로 판단될 경우, 고장부품정보를 검출하는 고장검출 모듈과, 상기 고장검출 모듈에서 검출된 고장부품정보를 포함하는 고장진단결과를 생성하며, 상기 고장진단결과를 부호화하여 무선신호형태의 고장신호로 변환하는 고장신호생성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불어, 상기 출결정보, 학습시간정보, 학습습관정보 및 학습능력정보를 바탕으로 사용자들의 순위를 산출하여 랭킹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제공하도록 구성되는 랭킹정보 생성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사용자의 출결사항과 학습시간정보를 확인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학습습관 분석부와, 사용자의 학습능력을 확인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학습능력 평가부를 포함하여, 사용자가 자신의 학습습관을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게 되어 학습습관 개선을 유도하며, 동시에 사용자가 자신의 학습능력을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게 되어 자신의 학습능력에 맞춰 향후 학습방향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고장 진단부를 통해 사용자의 학습능력을 확인할 수 있도록 입력 및 전송 기능을 가지는 출결 기록기기, 학습시간 기록 기기 및 관리 서버의 고장 발생한 고장부품정보를 파악하여 신속하게 수리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누락된 정보가 발생되어 사용자에게 불확실한 학습정보를 제공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자가 고장 진단 기능을 구비한 스마트 독서실 관리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아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를 위한 구체적인 내용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면에 관계없이 동일한 부재번호는 동일한 구성요소를 지칭하며, "및/또는"은 언급된 아이템들의 각각 및 하나 이상의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
비록 제1, 제2 등이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들 구성요소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하에서 언급되는 제1 구성요소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제2 구성요소일 수도있음은 물론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외에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는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자가 고장 진단 기능을 구비한 스마트 독서실 관리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자가 고장 진단 기능을 구비한 스마트 독서실 관리 시스템(1000)은 크게 사용자 단말기(100), 출결 기록기기(200), 학습시간 기록기기(300), 관리서버(400) 및 고장 진단부(500)를 포함한다.
우선, 사용자 단말기(100)는 사용자가 소지하거나 사용하는 기기를 말하는 것으로, 컴퓨터 또는 휴대단말기기로 이루어지며, 이때 휴대단말기기는 스마트폰, 태블릿PC 등과 같이 사용자가 휴대하면서 사용할 수 있는 기기를 이른다.
또한, 사용자 단말기(100)에는 사용자의 출결정보, 학습정보 및 학습습관정보를 확인할 수 있도록 제작되는 전용 애플리케이션이 설치되어, 전용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관리서버(400)와 연동되어 사용자의 출결정보 및 학습습관정보를 확인하여 사용자의 학습습관을 확인하고 관리하는데 도움을 받을 수 있도록 구성된다.
다음으로, 출결 기록기기(200)는 사용자의 출결정보를 기록하여 관리서버(400)로 전송하기 위한 것으로, 독서실 내의 책상(D)에 구비되어 사용자가 출석한 경우 출결정보를 입력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례로 출결 기록기기(200)는 사용자의 출결정보를 기록하면서 동시에 사용자 인증을 수행할 수 있도록 지문인식기로 이루어져, 지문인식기에 사용자의 지문이 인식됨에 따라 해당 사용자의 출결정보가 기록 및 저장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출결정보는 출석일자, 출석시각, 독서실명, 좌석번호, 사용자의 로그인정보가 포함될 수 있으며, 사용자의 로그인정보는 관리서버(400)의 회원가입부(410)에서 회원가입을 진행하는 경우 입력되는 회원가입정보 중 사용자에 의해 설정되는 로그인정보로, 로그인정보가 설정됨에 따라 사용자가 출결 기록기기(200)을 통해 사용자의 로그인정보를 포함하는 출결정보를 기록할 수 있도록 하여, 출결 기록기기(200)에 출결정보가 기록되어 통신수단을 통해 관리서버(400)로 전송됨에 따라 관리서버(400)에 구비되는 출결정보DB부(430)에 각 사용자별로 출결정보가 분류되어 저장될 수 있게 되며, 상기 출결 기록기기(200)의 출석인증수단이 지문인식기로 이루어지는 경우에는 로그인정보가 사용자의 지문으로 구성될 수 있다.
다음으로, 학습시간 기록기기(300)는 사용자의 학습시간정보를 기록하여 관리서버(400)로 전송하기 위한 것으로, 독서실 내의 책상(D)에 구비되어 사용자가 학습을 진행한 학습시간정보를 기록하여 전송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때, 학습시간정보는 사용자의 학습시작시각, 학습종료시각, 독서실명, 좌석번호, 사용자의 로그인정보가 포함될 수 있으며, 이때 로그인정보는 상기한 바와 같이 관리서버(400)의 회원가입부(410)에서 회원가입을 진행하는 경우 입력되는 회원가입정보 중 사용자에 의해 설정되는 로그인정보로, 로그인정보가 설정됨에 따라 사용자가 학습시간 기록기기(300)을 통해 사용자의 로그인정보를 포함하는 학습시간정보를 기록할 수 있도록 하여, 학습시간 기록기기(300)에 출결정보가 기록되어 통신수단을 통해 관리서버(400)로 전송됨에 따라 관리서버(400)에 구비되는 학습시간정보DB부(440)에 각 사용자별로 학습시간정보가 분류되어 저장될 수 있게 된다.
또한, 학습시간 기록기기(300)는, 일례로,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학습의 시작시각과 종료시각을 기록할 수 있도록 시작입력버튼과 종료입력버튼이 구비되는 스톱워치기기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학습시간 기록기기(300)는, 다른 예로, 사용자의 행동을 인식하는 카메라, 광센서, 압력센서, 무게센서 등 각종 센서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여, 구비된 센서를 통해 감지되는 신호를 관리서버(400)로 전송하여 사용자의 학습시간을 분석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사용자가 앉게 되는 의자 착좌부에 압력센서가 구비되어, 사용자가 착좌부에 앉음으로써 착좌부에 가해지는 압력 크기에 따라 사용자의 착석여부를 감지함에 따라 학습시간을 체크할 수 있도록 구성되거나, 책상(D)에 구비되는 카메라, 광센서 등을 통해 책상(D)에 앉아있는 사용자의 신체 움직임을 감지하여 분석함으로써 사용자가 졸거나 자고 있는 상태를 감지하여 졸거나 자고 있는 동안은 학습시간으로 기록되지 않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이와 같이 각종 센서를 구비함으로써 센서를 통해 사용자의 행동을 감지함에 따라 학습시간을 기록하게 되는 경우에는 사용자가 자거나 휴식을 취한 시간을 학습시간에서 제외할 수 있게 되어 사용자의 실제 학습시간을 보다 정확하게 기록할 수 있게 된다.
다음으로, 관리서버(400)는 회원가입부(410), 회원정보DB부(420), 출결정보DB부(430), 학습시간정보DB부(440), 학습습관 분석부(450) 및 메시지 발송부(460)를 포함한다.
회원가입부(410)는 사용자 단말기를 통해 사용자로부터 사용자성명을 포함하는 회원가입정보를 입력받아 회원가입을 진행하도록 구성된다.
회원정보DB부(420)는 회원가입부(410)를 통해 입력된 회원가입정보가 저장되며, 각 사용자별로 회원가입정보가 분류되어 저장되며, 이때 회원가입정보는 사용자성명, 학습목표, 로그인정보를 포함할 수 있으며, 학습목표는 사용자의 학습하고자 하는 목표에 대한 정보를 의미하는 것으로, 예시적으로 학습목표는 각종 자격증시험, 공무원시험, 수능시험 등 시험명이나 학년명을 포함하는 다수의 학습목표항목 중에서 하나의 항목이 선택되어 지정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로그인정보는 사용자가 독서실을 이용할 때 사용자별 출결사항 및 학습시간 체크를 위해 사용자를 구분하는데 사용되는 정보로, 사용자의 성명으로 이루어지거나, 별도로 설정되는 아이디와 비밀번호로 이루어지거나, 지문과 같은 생체정보로 이루어질 수 있고, 로그인정보를 통해 출결사항 및 학습시간을 사용자별로 분류하고 저장하고, 사용자별 분석을 할 수 있게 된다.
출결정보DB부(430)는 출결 기록기기(200)로부터 전송되는 출결정보가 저장되며, 사용자별로 분류되어 저장되도록 구성된다.
학습시간정보DB부(440)는 학습시간 기록기기(300)로부터 전송되는 학습시간정보가 저장되며, 사용자별로 분류되어 저장되도록 구성된다.
학습습관 분석부(450)는 사용자별로 출결정보DB부(430) 및 학습시간정보DB부(440)에 저장된 출결정보 및 학습시간정보를 기반으로 출결사항과 학습시간을 통계 분석하여 사용자별로 학습습관정보를 생성하여 사용자 단말기(100)로 제공하는 것으로, 이때, 학습습관정보는 출결사항인 주별 출석일수, 주별 출석률, 월별 출석일수, 월별 출석률, 연별 출석일수, 연별 출석률을 포함할 수 있으며, 학습시간은 일별 총학습시간, 주별 누적학습시간, 주별 평균학습시간, 월별 누적학습시간, 월별 평균학습시간, 연별 누적학습시간, 연별 평균학습시간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학습습관 분석부(450)는 사용자 단말기(200)를 통해 사용자에 의해 학습습관정보에 대한 제공요청이 있는 경우에 학습습관정보를 생성하여 사용자 단말기(200)로 전송되도록 구성되거나, 사용자에 의해 기설정되는 정보제공 설정옵션에 따라 해당되는 때에 자동으로 학습습관정보를 생성하여 사용자 단말기(100)로 제공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정보제공 설정옵션은 학습습관정보가 제공되는 요일, 주기, 시각을 설정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메시지 발송부(460)는 사용자가 학습습관 개선에 도움을 받을 수 있도록 안내메시지를 생성하여 발송하기 위한 것으로, 실시간 또는 기설정되는 주기마다 학습습관 분석부(450)에서 생성되는 학습습관정보를 기저장된 메시지 발송기준과 비교 분석하여, 분석 결과에 따라 부합하는 안내메시지를 생성하여 사용자 단말기(100)로 전송하도록 구성된다.
이때, 메시지 발송기준은 복수의 소정범위로 이루어지고, 각 소정범위 별로 생성되는 안내메시지 내용이 상이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학습습관정보는 주별 출석률을 포함하고, 주별 출석률에 대응되는 메시지 발송기준은 주별 출석률이 90%이상, 75%이하부터 50%초과, 50%이하로 구성되는 경우, 메시지 발송부(460)는 매일 지정된 시각에 사용자의 주별 출석률을 분석하여, 분석결과에 해당하는 메시지 발송기준에 따라 해당하는 메시지 발송기준에 대응되어 안내메시지를 생성하여 전송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일례로, 주별 출석률이 90%이상인 경우 칭찬내용의 안내메시지가, 주별 출석률이 75%이하 50%초과인 경우 주의내용의 안내메시지가, 주별 출석률이 50%이하인 경우 경고내용의 안내메시지가 생성되도록 구성될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상기 고장 진단부(500)는 상기 출결 기록기기(200), 학습시간 기록기기(300) 및 관리 서버(400)와 무선 통신이 가능하며, 상기 출결 기록기기(200), 학습시간 기록기기(300) 및 관리 서버(400) 간에 전송 여부를 판단하여 고장진단 결과를 생성한다.
상세하게는, 상기 고장 진단부(500)는 출결 기록기기(200), 학습시간 기록기기(300) 및 관리 서버(400) 간에 전송 또는 실패를 판단하는 고장판단 모듈(510)과, 상기 고장판단 모듈(510)에서 전송 실패로 판단될 경우, 고장부품정보를 검출하는 고장검출 모듈(520)과, 상기 고장검출 모듈(520)에서 검출된 고장부품정보를 포함하는 고장진단결과를 생성하며, 상기 고장진단결과를 부호화하여 무선신호형태의 고장신호로 변환하는 고장신호생성 모듈(530)을 포함한다.
일예로,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출결정보를 전송하는 출결 기록기기(200) 또는 사용자가 학습을 진행한 학습시간정보를 전송하는 학습시간 기록기기(300)로부터 관리 서버(400)로 전송 오류가 발생할 경우, 고장판단 모듈(510)에서 전송 오류를 판단하고, 고장검출 모듈(520)에서 전송 오류가 발생한 출결 기록기기(200) 또는 학습시간 기록기기(300)를 검출하게 되며, 고장신호생성 모듈(530)에서 고장 발생에 따른 고장신호를 생성하게 된다.
이때, 고장신호생성 모듈(530)에서 생성된 고장신호는 관리자 단말기(미도시)로 전송하여 관리자로부터 진단된 고장을 해결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자가 고장 진단 기능을 구비한 스마트 독서실 관리 시스템(1000)은 랭킹정보 생성부(60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으며, 랭킹정보 생성부(600)는 출결정보, 학습시간정보, 학습습관정보 및 학습능력정보를 바탕으로 사용자들의 순위를 산출하여 랭킹정보를 생성하여 사용자 단말기(100)로 제공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상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1000 : 자가 고장 진단 기능을 구비한 스마트 독서실 관리 시스템
100 : 사용자 단말기
200 : 출결기록기기
300 : 학습시간기록기기
400 : 관리서버
410 : 회원가입부
420 : 회원정보DB부
430 : 출결정보DB부
440 : 학습시간정보DB부
450 : 학습습관 분석부
460 : 메시지 발송부
500 : 고장 진단부
510 : 고장판단 모듈
520 : 고장검출 모듈
530 : 고장신호생성 모듈

Claims (3)

  1. 컴퓨터 또는 휴대단말기로 이루어지는 사용자 단말기;
    독서실 내의 책상에 구비되어 사용자의 출결정보를 기록하여 전송하는 출결 기록기기;
    독서실 내의 책상에 구비되어 사용자가 학습을 진행한 학습시간정보를 기록하여 전송하는 학습시간 기록기기;
    상기 사용자 단말기를 통해 사용자로부터 사용자성명을 포함하는 회원가입정보를 입력받아 회원가입을 진행하는 회원가입부와, 상기 회원가입부를 통해 입력된 회원가입정보가 사용자별로 분류되어 저장되는 회원정보DB부와, 상기 출결 기록기기로부터 전송되는 상기 출결정보가 사용자별로 저장되는 출결정보DB부와, 상기 학습시간 기록기기부터 전송되는 상기 학습시간정보가 사용자별로 저장되는 학습시간정보DB부와, 상기 출결정보DB부 및 학습시간정보DB부에 저장되는 출결정보 및 학습시간정보를 기반으로 사용자의 출결여부와 학습시간을 분석하여 사용자별로 학습습관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제공하는 학습습관 분석부 및 실시간 또는 사용자에 의해 기설정되는 주기마다 상기 학습습관 분석부에서 생성되는 학습습관정보를 기저장된 메시지발송기준과 비교 분석하여, 분석 결과에 따라 부합하는 안내메시지를 생성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되도록 구성되는 메시지 발송부를 포함하는 관리서버; 및
    상기 출결 기록기기, 학습시간 기록기기 및 관리서버와 무선 통신이 가능하며, 상기 출결 기록기기, 학습시간 기록기기 및 관리 서버 간에 전송 여부를 판단하여 고장진단 결과를 생성하는 고장 진단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가 고장 진단 기능을 구비한 스마트 독서실 관리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장 진단부는,
    상기 출결 기록기기, 학습시간 기록기기 및 관리서버 간에 전송 성공 또는 전송 실패를 판단하는 고장판단 모듈과,
    상기 고장판단 모듈에서 전송 실패로 판단될 경우, 고장부품정보를 검출하는 고장검출 모듈과,
    상기 고장검출 모듈에서 검출된 고장부품정보를 포함하는 고장진단결과를 생성하며, 상기 고장진단결과를 부호화하여 무선신호형태의 고장신호로 변환하는 고장신호생성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가 고장 진단 기능을 구비한 스마트 독서실 관리 시스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출결정보, 학습시간정보, 학습습관정보 및 학습능력정보를 바탕으로 사용자들의 순위를 산출하여 랭킹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제공하도록 구성되는 랭킹정보 생성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가 고장 진단 기능을 구비한 스마트 독서실 관리 시스템.
KR1020200039106A 2020-03-31 2020-03-31 자가 고장 진단 기능을 구비한 스마트 독서실 관리 시스템 KR2021012179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39106A KR20210121797A (ko) 2020-03-31 2020-03-31 자가 고장 진단 기능을 구비한 스마트 독서실 관리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39106A KR20210121797A (ko) 2020-03-31 2020-03-31 자가 고장 진단 기능을 구비한 스마트 독서실 관리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21797A true KR20210121797A (ko) 2021-10-08

Family

ID=786100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39106A KR20210121797A (ko) 2020-03-31 2020-03-31 자가 고장 진단 기능을 구비한 스마트 독서실 관리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10121797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80050968A (ko) 온라인 시험 관리 방법
CN112932402A (zh) 一种基于人工智能及智能感知的自助视力筛查系统
US20070158410A1 (en) Employer notification system
EP3716167A1 (en) Systems and methods of tracking distributed tasks
US10740447B2 (en) Using biometric user-specific attributes
WO2017180634A1 (en) Automated parole, probation, and community supervision system
US11769324B2 (en) System for detecting unauthorized activity
US20240041372A1 (en) Psychomotor vigilance testing for persons tasked with monitoring autonomous vehicles
US20220335796A1 (en) System for detecting and tracking an unauthorized person
US20220335791A1 (en) Automatic switching of device security protocols based on the detection of an unauthorized event
KR20200077772A (ko) 학습습관 분석을 제공하는 독서실 관리시스템
KR20200013826A (ko) 자기주도학습을 위한 스마트 독서실 관리 시스템
KR20210121797A (ko) 자가 고장 진단 기능을 구비한 스마트 독서실 관리 시스템
CN115331346B (zh) 一种校园门禁管理方法、装置、电子设备及存储介质
US20200110954A1 (en) System for characterization of biometric station metrics
KR102103088B1 (ko) 스마트 단말기를 이용한 시험 및 채점 시스템
US10506949B2 (en) Device for determining the level of illicit substances in the breath of a person
KR102459002B1 (ko) 광대역 통신 기반의 IoT 체온 모니터링 시스템 및 장치
KR20060068796A (ko) 얼굴인식 시스템의 성능시험 방법 및 시스템
Lassmann Some results on robustness, security and usability of biometric systems
CN112017779A (zh) 一种基于体检数据分析人体健康预警系统
JP2016095817A (ja) 自動受験システム及びこれに用いる受験不正行為検出装置
Ani et al. Classroom Attendance Monitoring System Using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with Web Application
KR20200013825A (ko) 사용자의 학습습관 개선을 유도하는 독서실 관리 시스템
US8902043B1 (en) Mitigating conformational bias in authentication system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