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21561A - 이중보안 도어락 연동 시스템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이중보안 도어락 연동 시스템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21561A
KR20210121561A KR1020200038427A KR20200038427A KR20210121561A KR 20210121561 A KR20210121561 A KR 20210121561A KR 1020200038427 A KR1020200038427 A KR 1020200038427A KR 20200038427 A KR20200038427 A KR 20200038427A KR 20210121561 A KR20210121561 A KR 2021012156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authentication information
locking module
module
ope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384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45168B1 (ko
Inventor
송영민
Original Assignee
송영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송영민 filed Critical 송영민
Priority to KR10202000384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45168B1/ko
Publication of KR202101215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2156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451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4516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00174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 G07C9/00309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operated with bidirectional data transmission between data carrier and lock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00174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 G07C9/00563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using personal physical data of the operator, e.g. finger prints, retinal images, voicepatter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00174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 G07C9/00571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operated by interacting with a central unit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중보안 도어락 연동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제1 도어 및 제2 도어에 각각 잠금모듈을 설치하여, 댁내 거주자가 출입하는 경우에는 제1 도어 및 제2 도어가 모두 개방되고, 전실에만 출입이 허용된 자가 출입하는 경우에는 제1 도어만이 개방되는 이중보안 도어락 연동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이중보안 도어락 연동 시스템은 전실(前室)의 출입을 차단하는 제1 도어의 개폐를 위한 제1 잠금모듈, 후실(後室)의 출입을 차단하는 제2 도어의 개폐가 가능하고, 상기 제1 잠금모듈과 통신이 가능한 제2 잠금모듈, 상기 제2 잠금모듈과 통신이 가능하며, 상기 제1 잠금모듈에 의한 제1 도어의 개폐가 가능한 인증정보를 생성하는 서버 및 상기 서버로부터 상기 인증정보를 수신하는 사용자단말기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이중보안 도어락 연동 방법은, 전실의 출입을 차단하는 제1 도어의 개폐를 위한 제1 잠금모듈에, 상기 제1 도어의 개폐가 가능한 인증정보가 감응되는 단계, 상기 인증정보가 감응되면, 상기 제1 도어가 개방되는 단계, 상기 제1 잠금모듈에 감응된 상기 인증정보가, 상기 제1 도어 및 후실의 출입을 위한 제2 도어의 개폐가 모두 가능한 제1 인증정보인지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인증정보가 제1 인증정보인 경우, 후실의 출입을 차단하는 제2 도어의 개폐가 가능하고, 상기 제1 잠금모듈과 통신이 가능한 제2 잠금모듈에 의해 상기 제2 도어가 개방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이중보안 도어락 연동 시스템 및 그 방법{DOUBLE SECURE DOOR LOCK INTERWORKING SYSTEM AND METHOD THE SAME}
본 발명은 출입문에 설치되는 도어락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제1 도어와 제2 도어에 각각 설치되며 서로 통신이 가능한 이중보안 도어락 연동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정용 주택이나 사무실 등에서는 디지털 인증정보 신호(이하, ‘인증정보’)의 감응에 의하여 도어의 잠금 해지가 이루어지도록 하고, 내부에서 외부의 방문자를 확인하여 선택적으로 문의 개폐를 행사할 수 있게 되는 디지털 도어락(이하, ‘잠금모듈’)이 설치되어 있다.
종래의 잠금모듈은 비밀번호 입력 또는 지문 인식 등의 수단을 이용하여 잠금이 해제되거나 RFID 카드 또는 버스카드 등과 같은 전자식 열쇠의 접촉 또는 근접 등에 의해 잠금이 해제된다. 즉, 종래의 잠금모듈은 사용자가 잠금모듈이 구비하는 버튼 입력부를 통해 비밀번호를 입력하거나 RFID 카드 등의 전자식 열쇠를 잠금모듈에 가까이 위치시키면, 잠금모듈이 구비하는 제어부에서 비밀번호가 일치하는지의 여부 또는 전자키의 ID가 이미 저장되어 있는 ID 중 하나인 것인지를 판단하여 도어를 개폐하는 것이다.
이러한 종래의 잠금모듈은 개폐를 인증하는 코드(즉, ‘인증정보’), 예를 들어, 비밀번호의 경우 사전에 비밀번호를 알고 있거나, 잠금모듈에 구비된 자체 메모리에 저장되어 있는 인증정보와 감응하는 인증정보가 저장된 전자키를 가지고 있어야 내부공간으로 출입할 수 있다. 그렇기 때문에 주택이나 사무실을 이용하는 사용자가 아닌 일시적 또는 한시적으로 방문하는 임시 사용자에게도 비밀번호를 알려주거나, 인증정보가 저장된 전자키를 가지고 있어야하기 때문에 비밀번호가 유출되는 문제가 발생하거나, 전자키의 분실 등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는 주기적으로 비밀번호를 변경해야 하는 등 불편함이 있었다.
또한, 근래에는 택배 등 배달을 받을 때, 댁내에 거주자가 없거나, 새벽배송 또는 사전에 현관문 앞에 배송물품을 놓고 가도록 주문받는 경우, 배송물품 등을 현관문 앞에 두고 가는 경우가 빈번히 발생한다. 이와 같이, 배송물품 등을 현관문 앞에 두고 가는 경우, 보안상 매우 취약하며, 배송물품의 도난이 발생할 여지가 있다.
한편, 최근 가정용 주택이나 사무실 등에는, 현관문으로 불리며 댁내 공간의 출입구에 설치되는 제1 도어 및 중문으로 불리며 댁내 공간 중심에 가깝게 설치되는 제2 도어가 함께 설치되는 것이 보편화되고 있다. 제1 도어와 제2 도어 사이에는 전실(또는 현관)이라 불리는 공간이 형성된다. 따라서, 배송물품 등의 배달이 있는 경우, 배송물품을 현관문 앞에 두고 가도록 하는 것이 아닌, 전술한 전실에 배송물품을 두고 가도록 하는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623743호 (공고 2016. 05. 25.)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제1 도어 및 제2 도어에 각각 서로 통신가능한 잠금모듈을 설치하여, 댁내 거주자가 출입하는 경우에는 제1 도어 및 제2 도어가 모두 개방되고, 전실에만 출입이 허용된 자가 출입하는 경우에는 제1 도어만이 개방되는 이중보안 도어락 연동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이중보안 도어락 연동 시스템은 전실(前室)의 출입을 차단하는 제1 도어의 개폐를 위한 제1 잠금모듈, 후실(後室)의 출입을 차단하는 제2 도어의 개폐가 가능하고, 상기 제1 잠금모듈과 통신이 가능한 제2 잠금모듈, 상기 제2 잠금모듈과 통신이 가능하며, 상기 제1 잠금모듈에 의한 제1 도어의 개폐가 가능한 인증정보를 생성하는 서버 및 상기 서버로부터 상기 인증정보를 수신하는 사용자단말기를 포함한다.
상기 인증정보는, 상기 제1 도어 및 상기 제2 도어의 개폐가 가능한 제1 인증정보 및 전실의 출입만이 가능하도록 상기 제1 도어의 일시적 개폐만이 가능한 제2 인증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제2 잠금모듈은, 상기 제1 인증정보의 신호가 상기 제1 잠금모듈에 감응되어 상기 제1 잠금모듈에 의해 상기 제1 도어가 개방될 때에는, 상기 제1 도어의 개방과 함께 상기 제2 도어를 개방시키고, 상기 제2 인증정보의 신호가 상기 제1 잠금모듈에 감응되어 상기 제1 잠금모듈에 의해 상기 제1 도어가 개방될 때에는, 상기 제2 도어의 폐쇄된 상태를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2 인증정보는, 상기 서버로부터 운송장 정보를 조회 또는 제공받아 생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2 잠금모듈은, 상기 제1 도어가 개방된 경우 상기 전실을 촬영하는 카메라부 및 상기 제1 도어가 개방된 경우 상기 전실의 동작물체를 감지하는 센서부를 더 포함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이중보안 도어락 연동 방법은 전실의 출입을 차단하는 제1 도어의 개폐를 위한 제1 잠금모듈에, 상기 제1 도어의 개폐가 가능한 인증정보가 감응되는 단계, 상기 인증정보가 감응되면, 상기 제1 도어가 개방되는 단계, 상기 제1 잠금모듈에 감응된 상기 인증정보가, 상기 제1 도어 및 후실의 출입을 위한 제2 도어의 개폐가 모두 가능한 제1 인증정보인지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인증정보가 제1 인증정보인 경우, 후실의 출입을 차단하는 제2 도어의 개폐가 가능하고, 상기 제1 잠금모듈과 통신이 가능한 제2 잠금모듈에 의해 상기 제2 도어가 개방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인 이중보안 도어락 연동 시스템 및 그 방법에 따르면, 주택에 거주하는 거주자나, 사무실을 이용하는 주된 사용자가 아닌 일시적 또는 한시적으로 방문하는 임시 방문자 또는 임시 사용자에게 임시 인증정보를 발급하는 것이 가능하여 거주자 또는 주된 사용자가 주기적으로 인증정보를 변경해야 하는 불편함을 해소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인 이중보안 도어락 연동 시스템 및 그 방법에 따르면, 주택에 거주하는 거주자나 사무실을 이용하는 주된 사용자가 제1 도어를 개방하는 경우, 제1 도어와 통신가능한 제2 도어가 자동적으로 개방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인 이중보안 도어락 연동 시스템 및 그 방법에 따르면, 임시 방문자 또는 임시 사용자에게 발급되는 임시 인증정보는, 배송업체의 서버에서 조회 또는 제공받은 운송장 정보를 통해 생성될 수 있어 배송기사의 전실 출입을 용이하게 함과 동시에 배송기사는 배송물품을 전실에 두고 갈 수 있어 배송물품의 보안 상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이중보안 도어락 연동 시스템의 구성을 간략히 보여주는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이중보안 도어락 연동 방법의 일 실시예를 보여주는 순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 요소들에 참조 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1, 제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이중보안 도어락 연동 시스템(1000)의 구성을 간략히 보여주는 블록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이중보안 도어락 연동 시스템(1000)은, 전실(前室)의 출입을 차단하는 제1 도어의 개폐를 위한 제1 잠금모듈(100), 후실(後室)의 출입을 차단하는 제2 도어의 개폐가 가능하고, 제1 잠금모듈(100)과 통신이 가능한 제2 잠금모듈(200), 제2 잠금모듈(200)과 통신이 가능하며, 제1 잠금모듈(100)에 의한 제1 도어의 개폐가 가능한 인증정보를 생성하는 서버(300) 및 서버(300)로부터 인증정보를 수신하는 사용자단말기(400)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제1 잠금모듈(100)은 제1 도어 또는 제1 도어 근방에 설치될 수 있다. 제1 도어는, 건물 내 복도와 댁내 전실 사이를 분리하는 문이다. 제1 도어는 일반적으로 현관문으로 통칭될 수 있다. 제1 도어는 폐쇄된 상태에서 전실의 출입을 차단할 수 있다. 제1 도어가 개방되는 경우, 출입자는 제1 도어의 내외부로 출입이 가능하다. 제1 잠금모듈(100)은, 통상 제1 도어를 폐쇄된 상태로 유지한다.
제1 잠금모듈(100)에 인증정보가 감응되는 경우 제1 잠금모듈(100)은 제1 도어를 개방하기 위해 동작한다. 제1 잠금모듈(100)은 인증정보의 감응을 위한 인증정보감응부(11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1 잠금모듈(100)은 제2 잠금모듈(200)과 통신가능하기 위해 양방향 무선 통신을 제공하는 제1 통신부(12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1 잠금모듈(100)과 제2 잠금모듈(200)의 무선 통신은, BLE(Bluetooth Low Energy) 방식으로 통신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제1 통신부(120)는 BluetoothTM, 지그비(Zigbee), UWB(Ultra Wide Band), Wireless USB, NFC(Near Field Communication), Wireless LAN 또는 RF(Radio Frequency) 등의 방식으로도 통신할 수 있으며, 제1 통신부(120)는 BluetoothTM, 지그비(Zigbee), UWB(Ultra Wide Band), Wireless USB, NFC(Near Field Communication), Wireless LAN 또는 RF(Radio Frequency)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위한 전자 부품을 포함할 수 있다. 후술하게 될 제2 통신부(220) 또한, 제1 통신부(120)와 동일한 방식으로 통신할 수 있으며, 제1 통신부(120)와 동일한 전자 부품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인증정보는, 비밀번호, 바코드, QR코드, RFID, 마그네틱카드, 스마트카드, 홍채인식 또는 지문인식 등에 관한 정보일 수 있다.
제1 잠금모듈(100)은, 기계식 또는 전자식 도어락일 수 있다. 제1 잠금모듈(100)은 모터에 의해 구동되어 자동 또는 수동으로 열리거나 닫히는 제1 잠금장치(1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1 잠금장치(130)는 제1 도어가 설치된 일측 내부에 구비된 제1 홈(131) 및 제1 홈(131)에 삽입되는 제1 걸림수단(133)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잠금장치(130)의 동작에 의해 제1 잠금모듈(100)은 제1 도어를 개폐할 수 있다.
종래에는 제1 도어에만 잠금모듈(즉, 제1 잠금모듈(100))이 설치되었다. 제1 도어에만 잠금모듈이 설치되어 전술한 바와 같이 배송물품을 현관문 앞에만 놓아둘 수 있는 등의 문제가 발생하였다. 본 발명에서는 제2 도어에도 잠금모듈(즉, 제2 잠금모듈(200))이 더 설치되어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제2 잠금모듈(200)은 제2 도어 또는 제2 도어 근방에 설치될 수 있다. 제2 도어는, 전실과 후실을 분리 차단한다. 제2 도어는, 일반적으로 중문으로 통칭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후실이란 전실에 반대되는 공간을 칭하는 명칭으로 사용되며, 댁내에서 전실을 제외한 모든 거주공간을 뜻한다. 제2 도어는 폐쇄된 상태에서 후실의 출입을 차단할 수 있다. 즉, 제1 도어가 개방된 상태에서도 제2 도어는 폐쇄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으며, 이 상태에서는 출입자는 복도에서 전실까지의 출입만 가능하다. 제2 도어가 개방되는 경우, 출입자는 마침내 댁내 또는 댁외로 출입이 가능하다. 제2 잠금모듈(200)은, 통상 제2 도어를 폐쇄한 상태로 유지한다. 제2 잠금모듈(200)은, 전술한 바와 같이, 제1 잠금모듈(100)과 양방향 무선 통신이 가능하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제1 잠금모듈(100)과 제2 잠금모듈(200)이 통신 케이블로 연결되면, 유선 통신도 가능할 수 있다. 제2 잠금모듈(200)은 제1 잠금모듈(100)과 양방향 유무선통신이 가능한 제2 통신부(22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2 잠금모듈(200)은, 기계식 또는 전자식 도어락일 수 있다. 제2 잠금모듈(200)은 모터에 의해 구동되어 자동 또는 수동으로 열리거나 닫히는 제2 잠금장치(2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2 잠금장치(230)는 제2 도어가 설치된 일측 내부에 구비된 제2 홈(231) 및 제2 홈(231)에 삽입되는 제2 걸림수단(233)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잠금장치(230)의 동작에 의해 제2 잠금모듈(200)은 제2 도어를 개폐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제1 잠금모듈(100) 및 제2 잠금모듈(200)은 각각 제1 개폐센서모듈(140) 및 제2 개폐센서모듈(24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개폐센서모듈은 열림과 닫힘을 감지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제1 잠금모듈(100) 및 제2 잠금모듈(200)은 각각 제1 잠금모듈(100) 및 제2 잠금모듈(200)의 각 구성을 제어하는 제1 제어부(150) 및 제2 제어부(2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제1 잠금모듈(100) 및 제2 잠금모듈(200)은 각각 제1 유무선도어스위치(160) 및 제2 유무선도어스위치(2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1 유무선도어스위치(160) 및 제2 유무선도어스위치(260)는 각각 제1 잠금모듈(100) 및 제2 잠금모듈(200)의 일면에 설치될 수 있으며, 후술하게될, 제1 사용자단말기(410)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 또는 버튼의 눌림에 의해 도어를 개폐할 수 있다. 즉, 제1 잠금모듈(100) 및 제2 잠금모듈(200)은 자동 및 수동으로 개폐 가능하며, 유무선통신 가능한 제1 제어부(150) 또는 제2 제어부(250)(바람직하게는 제2 제어부(250))를 통한 원격의 조작이 가능하다. 제1 제어부(150) 또는 제2 제어부(250)(바람직하게는 제2 제어부(250))는 원격으로 제1 잠금모듈(100) 및 제2 잠금모듈(200)의 개폐동작을 제어할 수 있으므로, 임시 출입자에 대한 출입통제 및 인증처리 기능을 수행할 수 있어 보안성능을 극대화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인증정보는, 제1 인증정보 및 제2 인증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제1 인증정보는, 제1 도어 및 제2 도어의 개폐가 모두 가능하다. 제1 인증정보는, 통상 댁내 거주자(후술하게될, 제1 사용자단말기(410) 소지자)에게 발급되고, 통상 댁내 거주자가 사용하는 인증정보일 수 있다. 제1 인증정보가 제1 잠금모듈(100)(바람직하게는, 인증정보감응부(110))과 감응하면, 본 발명에 따른 이중보안 도어락 연동 시스템(1000)은, 제1 잠금모듈(100)에 의해 제1 도어가 개방됨과 동시에 제2 잠금모듈(200)에 의해 제2 도어도 함께 개방되는 제1 모드로 돌입한다. 예를 들어, 댁내 거주자가 댁내로 들어올 때에는 제1 인증정보를 통해 제1 잠금모듈(100)만 개방하면, 제2 잠금모듈(200)도 함께 동작하여, 제1 도어 및 제2 도어가 동시에 개방된다. 제1 모드에서 제2 도어가 개방된 경우, 일정 시간 제2 도어의 움직임이 없는 경우 제2 도어는 다시 자동으로 폐쇄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제2 인증정보는, 전실의 출입만이 가능한 인증정보이다. 제2 인증정보는, 제1 도어의 일시적, 한시적 또는 임시적 개폐만이 가능한 인증정보이다. 제2 인증정보는, 통상 전실내부까지만 출입이 허락된 방문자에게만 발급될 수 있는 인증정보일 수 있다. 제2 인증정보가 제1 잠금모듈(100)(바람직하게는, 인증정보감응부(110))에 감응되면, 본 발명에 따른 이중보안 도어락 연동 시스템(1000)은, 제1 잠금모듈(100)에 의해 제1 도어만이 개방되고, 제2 잠금모듈(200)은 여전히 제2 도어를 폐쇄한 상태를 유지하는 제2 모드로 돌입한다. 제2 모드에서는, 제1 도어만이 개방되고, 제2 도어는 계속 폐쇄된 상태를 유지함에 따라, 제2 인증정보를 발급받은 방문자는 전실까지의 출입만이 허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택배기사 등 배송물품을 배달하는 방문자는 전실까지 출입하여, 배송물품 등을 전실에 놓아두고 다시 복도로 나갈 수 있어 배송물품을 전실에 보관하는 것이 가능하다.
한편, 제1 도어 또는 제2 도어가 열린 후, 다시 닫히는 경우 자동으로 제1 잠금모듈(100) 또는 제2 잠금모듈(200)이 동작하여 제1 도어 및 제2 도어를 폐쇄시키는 것은 종래의 것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서버(300)는, 전술한 제1 인증정보 및 제2 인증정보를 생성하는 인증정보생성부(310)를 포함할 수 있다. 인증정보생성부(310)가 생성한 제1 인증정보 및 제2 인증정보는 모두 제1 잠금모듈(100)에 의한 제1 도어의 개폐가 가능하다. 서버(300)는 일시적, 한시적 또는 임시적으로 전실 내 출입이 허락된 방문자에 대한 인증정보 및 입출입 정보를 수신하고 저장하는 서버메모리부(32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서버(300)는, 인증정보를 생성하며, 후술하게 될, 사용자단말기(400)로 생성한 인증정보를 송신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서버(300)는, 제2 잠금모듈(200)과 양방향 유무선 통신이 가능한 서버통신부(3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로서, 제2 잠금모듈(200)은 댁내 WIFI에 연결될 수 있으며, 제2 잠금모듈(200)과 서버(300)는 WIFI회선을 통해 양방향 통신이 가능할 수 있다. 제2 잠금모듈(200)은 제1 잠금모듈(100)에 비해 상대적으로 댁내의 중심에 더욱 가깝기 때문에 WIFI와 연결이 더 용이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장거리 통신이 가능한 모든 공지된 통신 방식이 가능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서버(300)는, 전술한 서버통신부(330)에 의해 후술하게 될 사용자단말기(400)와 무선통신이 가능하다. 서버(300)는, 생성한 인증정보를 사용자단말기(400)로 송신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단말기(400)는, 사용자 ID, 닫힘 유지 모드 설정시간, 도어 닫힘 속도, 도어 열림 속도, 전실 내 동작물체 감지 영역 설정, 출입 정보/보안 상태 알림 서비스, 출입 정보 알림 설정, 제1 잠금모듈(100) 및 제2 잠금모듈(200)의 연동설정을 포함하는 사용자설정 정보를 입력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단말기(400)는, 서버(300)가 생성한 인증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사용자단말기(400)는 필요에 따라 서버(300)가 생성한 인증정보를 수신하고, 인증정보에 대응되는 전기적 신호 및 시각적 신호를 표출할 수 있는 별도의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될 수 있다. 사용자단말기(400)는 제1 인증정보를 수신한 제1 사용자단말기(410)와, 제2 인증정보를 수신한 제2 사용자단말기(420)를 포함한다. 제1 사용자단말기(410)와 제2 사용자단말기(420)는 각각 복수개일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단말기(400)는 댁내 거주자용 사용자단말기(이하, 제1 사용자단말기(410)) 및 전실 내 방문자용 사용자단말기(이하, 제2 사용자단말기(42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제1 사용자단말기(410)는, 제1 인증정보를 가지는 사용자단말기(400)이다. 제1 사용자단말기(410)는, 서버(300)를 향해 제1 인증정보의 발급을 요청하고, 서버(300)로부터 제1 인증정보를 수신한다. 제1 사용자단말기(410)는, 제1 도어를 통해 전실에 출입하는 출입인원에 대한 인증정보 및 입출입 정보를 수신하여 시각적으로 표시장치에 표시하는 것이 가능하다. 제1 사용자단말기(410)는, 제1 도어의 개폐 및 동작상태에 대한 모니터링 정보의 시각적 표시가 가능하며, 제1 도어의 개폐동작을 제어하는 제어신호를 제1 잠금모듈(100) 또는 제2 잠금모듈(200)을 향해 전송하는 것이 가능하다.
제1 사용자단말기(410)는, 제1 인증정보가 수신된 사용자단말기(400)로서 통상 댁내 거주자의 사용자단말기(400)일 수 있다. 제1 사용자단말기(410)는, 서버(300)와 통신할 수 있으며, 서버(300)로부터 제2 인증정보의 발급을 신청하고, 발급된 제2 인증정보를 수신 받을 제2 사용자단말기(420)의 정보를 입력할 수 있다. 제1 사용자단말기(410)로부터 입력된 제2 사용자단말기(420)로 제2 인증정보가 수신되면, 제2 사용자단말기(420)를 소지한 방문자는 본 발명에 따른 이중보안 도어락 연동 시스템(1000)을 제2 모드로 돌입시켜 전실 내 출입이 가능할 수 있다. 한편, 제1 사용자단말기(410)로의 신청으로부터 발급된 제2 인증정보의 출입권한은, 제1 사용자단말기(410)의 입력에 따라 확장될 수도 있다. 즉, 댁내에 반드시 들어와야 하는 상황이 되었을 때, 예를 들어, 친척 또는 지인의 댁내방문 또는 댁내 공사를 위한 출입 등에 따라 제1 잠금모듈(100) 뿐만 아니라 제2 잠금모듈(200)의 일시적 해제도 가능할 수 있다. 다만, 이때에도, 후술하게 될, 전실을 촬영하는 카메라부(280)는 여전히 동작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이중보안 도어락 연동 시스템(1000)의 일 실시예로서, 전술한 서버(300)는, 택배회사의 서버(300)일 수도 있다. 택배회사의 서버(300)는 배송과 관련한 운송장 정보를 저장하는 정보저장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제2 잠금모듈(200)은 서버(300)의 정보저장수단에 접근하여, 서버(300)로부터 운송장 정보의 조회가 가능할 수 있다. 제2 잠금모듈(200)은 서버(300)로부터 운송장 정보를 조회하고, 운송장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운송장정보에는 운송장번호정보, 화물 분류정보, 배송지 정보, 배송기사정보 및 택배가격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잠금모듈(200)은 배송지 정보 및 배송기사정보의 조회 또는 제공받는 것이 가능하다. 제2 잠금모듈(200)이 조회 또는 제공받은 배송지 정보 및 배송기사정보는 서버(300)가 발급한(또는 발급하게될) 인증정보와 대응되는 정보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이중보안 도어락 연동 시스템(1000)은 인증정보판단부(21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인증정보판단부(210)는 제1 잠금모듈(100)에 감응된 인증정보가 제1 인증정보인지 아니면 제2 인증정보인지 판단할 수 있다. 인증정보판단부(210)는 제1 잠금모듈(100) 또는 제2 잠금모듈(200)에 포함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제2 잠금모듈(200)에 포함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서버(300)가 생성한 제1 인증정보 및 제2 인증정보는, 제2 잠금모듈(200)이 포함하는 제2 메모리부(299)에 저장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서버(300)가 생성한 제1 인증정보 및 제2 인증정보는, 제1 잠금모듈(100)이 포함하는 제1 메모리부(199)에 저장될 수도 있다.
사용자단말기(400)가 수신한 인증정보가 제1 잠금모듈(100)에 감응되면, 제1 잠금모듈(100)과 연결된 인증정보판단부(210)는 제1 잠금모듈(100)에 감응된 인증정보의 정보와 제2 잠금모듈(200)이 조회한 배송지 정보 및 배송기사정보의 데이터를 서로 비교하여 감응된 인증정보가 제1 인증정보인지 제2 인증정보인지 판단한다. 택배회사의 서버(300)에서 조회되거나 제공받은 배송지 정보 및 배송기사정보로부터 생성되는 인증정보는 제2 인증정보일 수 있다.
제2 잠금모듈(200)은 배송지 정보가 기 설정된 댁내 주소와 일치하는 지 판단할 수 있으며, 조회되거나 제공받은 배송지 정보가 기 설정된 댁내 주소와 일치하는 경우 서버(300)를 향해 제2 인증정보의 발급을 요청할 수 있다. 제2 잠금모듈(200)은 배송기사정보를 조회하거나 제공받아 배송기사정보 내에 저장된 배송예상시각정보의 조회 또는 제공받을 수 있다. 제2 잠금모듈(200)이 조회 또는 제공받은 배송예상시각정보에 따라, 한시적, 일시적 또는 임시적으로 일정시간 동안만 제2 인증정보에 의한 제2 모드를 허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조회 또는 제공받은 배송예상시각정보가 14시~16시인 경우, 배송기사가 소지한 제2 사용자단말기(420)가 수신한 제2 인증정보는 14시~16시 동안만 효력이 있을 수 있다. 즉 14시~16시에서만 제1 잠금모듈(100)이 동작할 수 있다. 또는, 시간에 한정되는 것이 아닌, 배송기사가 소지한 제2 사용자단말기(420)가 수신한 제2 인증정보는 배송 당일동안 효력이 있도록 설정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제2 잠금모듈(200)은 제1 도어가 개방된 경우 전실을 촬영하는 카메라부(280) 및 제1 도어가 개방된 경우 전실의 동작물체를 감지하는 센서부(290)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카메라부(280)는, 전실을 촬영한다. 카메라부(280)에 의해 촬영된 데이터는 카메라부(280)가 포함하는 카메라메모리부에 저장될 수 있다. 카메라부(280)에 의해 촬영된 데이터는 제1 사용자단말기(410)로 송신될 수 있다. 제1 사용자단말기(410)로 송신되는 촬영 데이터는 동영상 또는 정지영상일 수 있다. 카메라부(280)는, 제1 도어가 개방된 경우 동작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센서부(290)는, 전실의 동작 물체를 감지한다. 제2 모드에서, 제1 도어가 열린 후 다시 제1 도어가 닫힌 경우, 센서부(290)에 의해 전실의 동작 물체가 감지된 경우, 제2 잠금모듈(200)은 제1 사용자단말기(410)에 동작 물체의 감지사실을 알릴 수 있다. 또한, 동작 물체의 감지사실은 기 설정된 경비실 등에도 통보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이중보안 도어락 연동 시스템(1000)은, 제1 모드 또는 제2 모드의 돌입여부를 제1 사용자단말기(410)의 소지자가 알 수 있도록 하는 피드백수단(295)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피드백수단(295)은 향기부 및 발광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이중보안 도어락 연동 시스템(1000)은, 본 발명에 따른 제1 모드 및 제2 모드에 돌입하는 경우, 서로 다른 향기를 방출하는 향기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향기부는 제1 향기모듈 및 제2 향기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향기모듈 및 제2 향기모듈은 서로 방출하는 향기의 종류가 다르다. 예를 들어, 제1 모드에서는 제1 향기모듈이 동작하고, 제2 모드에서는 제2 향기모듈이 동작할 수 있다. 따라서, 제1 사용자단말기(410)를 소지한 댁내 거주자가 댁내 출입할 때, 제1 향기모듈 및 제2 향기모듈의 동작에 따라 부재 시 제1 모드 또는 제2 모드에 돌입하였는 지 여부를 알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향기부는 공지의 방향제 또는 향수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또는, 본 발명에 따른 향기부는 본 발명에 따른 이중보안 도어락 연동 시스템(1000)이 제2 모드에 돌입하였을 때에만 동작할 수도 있다. 따라서 평상시에는 무향이었다가, 임시 방문자 등(제2 인증정보 소지자)이 전실에 출입한 경우에만 특정 향기가 방출되어 댁내 거주자로 하여금 임시 방문자가 전실에 출입하였던 상황을 향기로서 알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향기에 의한 피드백을 통해 임시 방문자가 전실에 출입하였으나, 전실에 배송물품이 없을 시 임시 방문자의 전실 출입을 알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이중보안 도어락 연동 시스템(1000)은, 본 발명에 따른 제1 모드 및 제2 모드에 돌입하는 경우, 서로 다른 색으로 발광하는 발광장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발광장치는 전술한 향기부와 같이, 제1 모드 또는 제2 모드로 돌입하였을 시 서로 다른 색으로 발광하는 것이 가능하여, 전실에 출입한 임시 방문자가 있었다는 사실을 댁내 거주자에게 피드백할 수 있다. 또는, 본 발명에 따른 발광장치는, 본 발명에 따른 이중보안 도어락 연동시스템이 제2 모드에 돌입하였을 때에만 작동할 수도 있다. 발광장치는, 향기부의 동작과 같이 발광에 의한 피드백을 통해 임시 방문자가 전실에 출입하였으나, 전실에 배송물품이 없을 시 임시 방문자의 전실 출입을 알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발광장치는, 복수개의 발광다이오드(light emitting diode)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제1 잠금모듈(100) 및 제2 잠금모듈(200)은 각각 제1 통신부(120) 및 제2 통신부(220), 제1 개폐센서모듈(140) 및 제2 개폐센서모듈(240), 제1 유무선도어스위치(160) 및 제2 유무선도어스위치(260), 제1 제어부(150) 및 제2 제어부(250), 제1 메모리부(199) 및 제2 메모리부(299)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제1 잠금모듈(100) 및 제2 잠금모듈(200)은, 제1 도어 및 제2 도어 각각에 설치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제1 도어 및 제2 도어의 일측에 각각 인접한 제1 도어프레임 및 제2 도어프레임에 설치되거나, 제1 도어프레임 및 제2 도어프레임이 설치된 일측의 벽 또는 벽 내에 설치될 수도 있다. 제1 잠금모듈(100) 및 제2 잠금모듈(200)이 각각 제1 도어프레임 및 제2 도어프레임에 설치되거나, 제1 잠금모듈(100) 및 제2 잠금모듈(200)이 각각 제1 도어프레임 및 제2 도어프레임이 설치된 일측의 벽 또는 벽 내에 설치되는 경우 제1 잠금모듈(100) 및 제2 잠금모듈(200)과 연결되는 전력 및 유무선통신을 위한 케이블 결속에 유리한 장점이 있다. 특히, 제2 도어의 경우, 미닫이 방식인 경우가 많은데, 제2 도어가 미닫이 방식인 경우, 제2 잠금모듈(200)이 제2 도어에 설치되는 것이 어려울 수 있다. 제2 잠금모듈(200)이 제2 도어의 일측에 인접한 제2 도어프레임, 또는 제2 도어프레임의 일측에 인접한 벽 또는 벽내에 설치되는 경우, 즉 제2 잠금모듈(200)이 제2 도어에 설치되기 어려운 형태일 경우 제2 도어프레임, 벽 또는 벽내에 설치되는 것이 더욱 바람직 할 수 있다. 제2 잠금모듈(200)이 벽내에 설치되는 경우 벽부에 매립되어 설치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단말기(400)는, 스마트폰(smartphone), 태블릿 PC(tablet personalcomputer), 이동 전화기(mobile phone), 영상 전화기, 데스크탑 PC(desktoppersonal computer), 랩탑 PC(laptop personal computer), 넷북 컴퓨터(netbook computer),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웨어러블 장치(wearable device)(예: 스마트 안경, 머리 착용형 장치(head-mounted-device(HMD) 등) 또는 스마트 와치(smart watch))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제1 메모리부(199) 및 제2 메모리부(299)는 각각 제1 제어부(150) 및 제2 제어부(250)의 동작을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할 수 있고, 입/출력되는 데이터들(예를 들어, 폰북, 메시지, 정지영상, 동영상 등)을 임시 저장할 수도 있다. 제1 메모리부(199) 및 제2 메모리부(299)는 각각 운영 체제(Operating System), 무선통신부 기능을 수행하는 모듈, 사용자단말기(400)와 함께 동작하는 모듈, A/V 입력부와 함께 동작하는 모듈, 출력부와 함께 동작하는 모듈을 포함하는 소프트웨어 컴포넌트들이 저장될 수 있다. 운영 체제(예를 들어, LINUX, UNIX, OS X, WINDOWS, Chrome, Symbian, iOS, Android, VxWorks 또는 기타 임베디드 운영체제)는 메모리 관리, 전력 관리 등과 같이 시스템 작업(tasks)들을 제어하기 위한 다양한 소프트웨어 컴포넌트들 및/또는 드라이버들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1 메모리부(199) 및 제2 메모리부(299)는 무선 전력 전송 또는 무선 충전과 관련된 설정 프로그램을 저장할 수 있다. 설정 프로그램은 제1 제어부(150) 또는 제2 제어부(250)에 의하여 실행될 수 있다. 또한, 제1 메모리부(199) 및 제2 메모리부(299)는 어플리케이션 제공 서버(300)(예: 앱스토어)로부터 다운로드한 어플리케이션(application)을 저장할 수 있다. 제1 메모리부(199) 및 제2 메모리부(299)는 플래시 메모리 타입(flash memory type), 하드디스크 타입(hard disk type),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multimedia card micro type),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어 SD 또는 xD 메모리 등), 램(Random Access Memory, RAM),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 롬(Read-Only Memory, RO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PROM(Programmable Read-Only Memory), 자기 메모리, 자기 디스크, 광디스크 중 적어도 하나의 타입의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단말기(400)는 인터넷(Internet) 상에서 메모리부의 저장 기능을 수행하는 웹 스토리지(web storage)와 관련되어 동작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제1 잠금모듈(100) 및 제2 잠금모듈(200)은 각각 전원의 공급을 위한 제1 전원공급부(170) 및 제2 전원공급부(27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각 전원 공급부는 유선의 전원 케이블을 포함한 유선 방식의 유선전원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별도의 배터리팩을 포함하여 전원이 공급될 수 있다. 배터리팩은, 제1 잠금모듈(100) 및 제2 잠금모듈(200)의 일측에 설치될 수 있으며, 공지된 건전지 등이 결합되어 제1 잠금모듈(100) 및 제2 잠금모듈(200)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제1 잠금모듈(100) 및 제2 잠금모듈(200)은 전원의 상태를 표시하는 상태표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제2 잠금모듈(200)은 제1 사용자단말기(410)로부터 원격으로 신호를 받아, 제2 잠금모듈(200) 및 제1 잠금모듈(100)의 개폐가 가능하다.
본 발명에 따른 제2 잠금모듈(200)은 제1 사용자단말기(410)와 로라(LoRa)망을 통해 통신할 수도 있다. 로라(LoRa)망은 저전력으로 통신할 수 있는 저전력 장거리 통신망이다. 최소한의 전력 소모로 10km 이상 통신한다. 초고속, 광대역 네트워크 장비를 필요로 하는 통신망과 다르게 별도의 기지국이나 중계 장비도 필요없다. 기기에 바로 칩을 올려 데이터를 주고 받을 수 있다. 3G나 LTE에 비해 인프라 구축 비용히 낮다. 동시에 높은 확장성을 갖고 있는 통신망이다. 로라망은 블루투스나 지그비 같은 기존 저전력 무선통신 프로토콜에 비해 통신 범위가 긴 특징이 있다. 로라를 이용해 통신을 하면 전력 소모가 적어 기기 배터리 수명을 수년간 유지할 수 있다. 제2 잠금모듈(200) 및 제1 사용자단말기(410)가 로라망을 통해 통신하여 실시간으로 제2 잠금모듈(200) 및 전실의 상황을 파악하는데 용이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제1 잠금모듈(100), 제2 잠금모듈(200), 서버(300) 및 사용자단말기(400)는 서로 양방향통신이 가능하도록 각각 무선인터넷모듈, 근거리통신모듈 및 유선통신모듈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한 통신부를 각각 포함할 수 있다. 무선인터넷모듈, 근거리통신모듈 및 유선통신모듈은 제1 잠금모듈(100), 제2 잠금모듈(200), 서버(300) 및 사용자단말기(400)에 각각 내장되거나 외장될 수 있다.
무선 인터넷 모듈은 무선 인터넷 접속을 위한 모듈을 말하는 것으로, 무선 인터넷 기술로는 WLAN(Wireless LAN)(Wi-Fi), Wibro(Wireless broadband),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등이 이용될 수 있다. 근거리 통신 모듈은 근거리 통신을 위한 모듈을 말한다. 무선의 근거리 통신(short range communication) 기술로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UWB(Ultra Wideband), ZigBee® 등이 이용될 수 있다. 한편, 유선의 근거리 통신으로는 USB(Universal Serial Bus), IEEE 1394, 썬더볼트(ThunderboltTM)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이중보안 도어락 연동 방법의 일 실시예를 보여주는 순서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이중보안 도어락 연동 방법은, 도 3을 참조하면, 전실의 출입을 차단하는 제1 도어의 개폐를 위한 제1 잠금모듈(100)에, 제1 도어의 개폐가 가능한 인증정보가 감응되는 단계(S110), 인증정보가 감응되면, 제1 도어가 개방되는 단계(S120), 제1 잠금모듈(100)에 감응된 인증정보가, 제1 도어 및 후실의 출입을 위한 제2 도어의 개폐가 모두 가능한 제1 인증정보인지 판단하는 단계(S130) 및 인증정보가 제1 인증정보인 경우, 후실의 출입을 차단하는 제2 도어의 개폐가 가능하고, 제1 잠금모듈(100)과 통신이 가능한 제2 잠금모듈(200)에 의해 제2 도어가 개방되는 단계(S140)를 포함한다.
S110 단계는, 제1 잠금모듈(100)에 인증정보가 감응되는 단계이다. 제1 잠금모듈(100)에 감응되는 인증정보는, 전술한 바와 같이, 제1 잠금모듈(100) 및 제2 잠금모듈(200) 모두를 동작시켜 제1 도어 및 제2 도어를 개방하는 제1 인증정보와, 제1 잠금모듈(100)만을 동작시켜 제1 도어만을 개방하는 제2 인증정보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이중보안 도어락 연동 방법은, S110 단계 이전에, 제1 잠금모듈(100) 및 제2 잠금모듈(200)이 각각 제1 도어 및 제2 도어(또는 제1 도어 및 제2 도어의 근방)에 설치되는 단계(S101)를 더 포함할 수 있다.
S101 단계 이후, 본 발명에 따른 이중보안 도어락 연동 방법은, 제1 잠금모듈(100) 및 제2 잠금모듈(200)이 서로 동기화되는 단계(S103)를 더 포함한다. S103 단계에서, 제1 잠금모듈(100) 및 제2 잠금모듈(200)은 서로 유무선통신을 통해 서로 연결된다.
S103 단계 이후, 본 발명에 따른 이중보안 도어락 연동 방법은, 제2 잠금모듈(200)이 포함하는 제2 메모리부(299)에 제1 잠금모듈(100) 및 제2 잠금모듈(200)이 설치된 거주지의 주소, 댁내 거주자의 정보 또는 경비실 전화번호가 입력되고, 제1 사용자단말기(410)가 서버(300)로부터 제1 인증정보를 수신받는 단계(S10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S105 단계에서, 제2 메모리부(299)에는 댁내 설치된 WIFI 주소 및 비밀번호가 저장될 수 있다. S105 단계에서, 제2 잠금모듈(200)은 댁내 설치된 WIFI 에 무선으로 연결되고, 전술한, 서버(300)에도 연결될 수 있다. S105 단계에서, 제2 잠금모듈(200)은 제1 사용자단말기(410)와 연결될 수 있다. 제1 사용자단말기(410)는 제2 잠금모듈(200)과 무선통신이 가능하도록 연결될 수 있다. 제1 사용자단말기(410)는 서버(300)와 무선통신이 가능하도록 연결될 수 있다. 제1 사용자단말기(410)는, 서버(300)를 향해 제1 인증정보의 발급을 신청할 수 있다. 서버(300)는, 제1 사용자단말기(410)를 향해 제1 인증정보를 송신한다. 제1 사용자단말기(410)에는 제1 인증정보가 저장되고, 전기적 또는 시각적으로 제1 인증정보가 표출되는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될 수 있다.
S105 단계 이후, 본 발명에 따른 이중보안 도어락 연동 방법은, 서버(300)가 제2 인증정보를 제2 사용자단말기(420)로 전송하는 단계(S107)를 더 포함할 수 있다. S107 단계에서 서버(300)가 제2 사용자단말기(420)로 제2 인증정보를 전송할 때에는, 제1 사용자단말기(410)가 특정 사용자단말기(400)의 정보(예를 들어, 전화번호)를 서버(300)로 전송함과 동시에, 제1 사용자단말기(410)가 서버(300)를 향해 제2 인증정보의 발급을 신청하고, 서버(300)는 제2 인증정보를 특정 사용자단말기(400)로 송신할 수도 있다. S107 단계에서, 제1 사용자단말기(410)의 서버(300)로의 신청에 의해 댁내 출입을 가능하도록 하는 제2 사용자단말기(420)를 지정할 수 있는 것이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전술한 바와 같이, 서버(300)가 택배회사의 서버(300)인 경우, 제2 잠금모듈(200)은 매일 기 설정된 특정 시간에 서버(300)에 접속하여 거주자의 주소 등 정보와 일치하는 운송장정보를 조회할 수 있다. 제2 잠금모듈(200)이 조회된 운송장정보에서 거주자의 주소 등 정보와 일치하는 정보를 조회한 경우, 서버(300)를 향해 제2 인증정보의 발급을 신청하고, 서버(300)에 저장된 운송장정보에 의해 배송기사의 단말기로 제2 인증정보가 송신되어, 배송기사의 단말기가 제2 사용자단말기(420)가 될 수도 있다. 제2 인증정보가 제2 사용자단말기(420)로 송신되기 전 제2 인증정보가 저장되고, 전기적 또는 시각적으로 제2 인증정보의 표출이 가능한 어플리케이션의 설치될 수도 있다. 한편, S105 및 S107에서 발급된 제1 인증정보 및 제2 인증정보는 제2 잠금모듈(200)이 포함하는 제2 메모리부(299)에 저장될 수 있다.
S120 단계는, 인증정보가 감응되면, 제1 도어가 개방되는 단계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인증정보는, 제1 인증정보 및 제2 인증정보일 수 있으며, 제1 인증정보 및 제2 인증정보는 제1 잠금모듈(100)을 동작하도록 하여 제1 도어를 개방시킨다. 제1 도어가 개방될 때, 전실을 촬영하는 카메라부(280) 및 전실의 동작물체를 감지하는 센서부(290)가 동작될 수 있다.
S130 단계는, 제1 잠금모듈(100)에 감응된 인증정보가 제1 인증정보인지 또는 제2 인증정보인지 판단하는 단계이다. 즉, S130 단계는, 제1 잠금모듈(100)에 감응된 인증정보가, 제1 도어 및 후실의 출입을 위한 제2 도어의 개폐가 모두 가능한 제1 인증정보 인지 또는 임시로 발급되며 제1 도어의 일시적 개폐만이 가능한 제2 인증정보인지 판단한다. 제2 잠금모듈(200)은 제1 잠금모듈(100)에 감응된 인증정보를 수신받는다. 제2 잠금모듈(200)(바람직하게는 인증정보판단부(210))은 수신된 인증정보와 기 제2 메모리부(299)에 저장된 인증정보가 일치하는지 판단할 수 있다.
S140 단계는, 인증정보가 제1 인증정보인 경우, 후실의 출입을 차단하는 제2 도어의 개폐가 가능하고, 제1 잠금모듈(100)과 통신이 가능한 제2 잠금모듈(200) 및 제1 잠금모듈(100)에 의해 제2 도어 및 제1 도어가 함께 개방되고, 인증정보가 제2 인증정보인 경우, 제1 잠금모듈(100)에 의한 제1 도어만이 개방되는 단계이다.
S140 단계에서, 제1 잠금모듈(100)에 감응된 인증정보가 제1 인증정보인 경우, 제2 잠금모듈(200)의 잠금장치가 동작하여 제2 도어를 개방한다. 제1 잠금모듈(100)에 감응된 인증정보가 제2 인증정보인 경우, 제2 잠금모듈(200)은 동작하지 않는다. 제1 잠금모듈(100)에 감응된 인증정보가 제2 인증정보인 경우, 제2 사용자단말기(420)의 소지자는 전실까지의 출입만 허용된다. 제1 잠금모듈(100)에 감응된 인증정보가 제2 인증정보인 경우, 제1 잠금모듈(100)은 제1 도어가 기 지정된 시간동안 1회에 한해 개방될 수 있도록 동작할 수 있다. 제1 잠금모듈(100)에 감응된 인증정보가 제2 인증정보인 경우, 전술한 카메라부(280) 및 센서부(290)가 동작한다. 카메라부(280)의 동작의 경우, 카메라부(280)는 전실의 모습을 촬영하여 저장하는 한편, 저장된 정보를 제1 사용자단말기(410)로 송신할 수 있다. 센서부(290)의 동작의 경우, 센서부(290)는 전실 내 동작물체를 감지한다. 센서부(290)는 제1 도어가 개방된 후 폐쇄?을 때 동작할 수 있으며, 기 설정된 거리만큼의 구역의 동작물체를 감지한다. 센서부(290)에 의해 동작물체가 감지된 경우. 동작물체의 감지 정보를 제1 사용자단말기(410)로 송신할 수 있다. 센서부(290)에 의해 동작물체가 감지된 경우, 제2 잠금모듈(200)에 기 저장된 경비실에도 동작물체의 감지 정보가 송신될 수 있다. 제2 잠금모듈(200)은 제1 사용자단말기(410)의 소지자, 즉 댁내 거주자가 댁내로 출입하고자 할 경우 외에는 항상 제2 도어의 폐쇄를 유지한다. 댁내 거주자가 제1 도어를 통해 전실에 들어오는 경우 제1 잠금모듈(100)은 댁내 거주자가 제1 인증정보를 제1 잠금모듈(100)에 감응시켜 제1 잠금모듈(100)을 동작시킨 정보를 제2 잠금모듈(200)에 송신하고, 제2 잠금모듈(200)은 송신받은 정보를 토대로 동작하여 제2 도어를 개방한다. 개방된 제1 도어 및 제2 도어는 기 설정된 일정시간 이후 자동으로 폐쇄될 수 있다. 한편, 댁내 거주자는 제2 잠금모듈(200)의 수동버튼 혹은 제1 사용자단말기(410)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제1 도어 및 제2 도어를 폐쇄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연결되었다 함은 전기적 또는 통신망으로 연결된 것을 모두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인증정보감응부(110), 제1 통신부(120), 제1 개폐센서모듈(140), 제2 제어부(250), 제1 유무선도어스위치(160), 인증정보판단부(210), 제2 통신부(220), 제2 개폐센서모듈(240), 제2 제어부(250), 제2 유무선도어스위치(260), 카메라부(280), 센서부(290), 피드백수단(295), 서버(300), 인증정보생성부(310), 서버메모리부(320), 서버통신부(330), 사용자단말기(400)는 메모리에 저장된 연속된 수행과정들을 실행하는 프로세서들일 수 있다. 또는, 프로세서에 의해 구동되고 제어되는 소프트웨어 모듈들로서 동작할 수 있다. 나아가, 프로세서는 하드웨어 장치일 수 있다.
참고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중보안 도어락 연동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가능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컴퓨터 판독가능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가능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 및 ROM, 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될 수 있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언어코드를 포함한다. 상술한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부(部)'란, 하드웨어에 의해 실현되는 유닛(unit), 소프트웨어에 의해 실현되는 유닛, 양방을 이용하여 실현되는 유닛을 포함한다. 또한, 1개의 유닛이 2개 이상의 하드웨어를 이용하여 실현되어도 되고, 2개 이상의 유닛이 1개의 하드웨어에 의해 실현되어도 된다.
본 발명의 보호범위가 이상에서 명시적으로 설명한 실시예의 기재와 표현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자명한 변경이나 치환으로 말미암아 본 발명이 보호범위가 제한될 수도 없음을 다시 한 번 첨언한다.
100 : 제1 잠금모듈 110 : 인증정보감응부
120 : 제1 통신부 130 : 제1 잠금장치
131 : 제1 홈 133 : 제1 걸림수단
140 : 제1 개폐센서모듈 150 : 제1 제어부
160 : 제1 유무선도어스위치 170 : 제1 전원공급부
199 : 제1 메모리부 200 : 제2 잠금모듈
210 : 인증정보판단부 220 : 제2 통신부
230 : 제2 잠금장치 231 : 제2 홈
233 : 제2 걸림수단 240 : 제2 개폐센서모듈
250 : 제2 제어부 260 : 제2 유무선도어스위치
270 : 제2 전원공급부 280 : 카메라부
290 : 센서부 295 : 피드백수단
299 : 제2 메모리부 300 : 서버
310 : 인증정보생성부 320 : 서버메모리부
330 : 서버통신부 400 : 사용자단말기
410 : 제1 사용자단말기 420 : 제2 사용자단말기
1000 : 이중보안 도어락 연동 시스템

Claims (5)

  1. 전실(前室)의 출입을 차단하는 제1 도어의 개폐를 위한 제1 잠금모듈;
    후실(後室)의 출입을 차단하는 제2 도어의 개폐가 가능하고, 상기 제1 잠금모듈과 통신이 가능한 제2 잠금모듈;
    상기 제2 잠금모듈과 통신이 가능하며, 상기 제1 잠금모듈에 의한 제1 도어의 개폐가 가능한 인증정보를 생성하는 서버; 및
    상기 서버로부터 상기 인증정보를 수신하는 사용자단말기;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보안 도어락 연동 시스템.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인증정보는,
    상기 제1 도어 및 상기 제2 도어의 개폐가 가능한 제1 인증정보; 및
    전실의 출입만이 가능하도록 상기 제1 도어의 일시적 개폐만이 가능한 제2 인증정보;
    를 포함하며,
    상기 제2 잠금모듈은,
    상기 제1 인증정보의 신호가 상기 제1 잠금모듈에 감응되어 상기 제1 잠금모듈에 의해 상기 제1 도어가 개방될 때에는, 상기 제1 도어의 개방과 함께 상기 제2 도어를 개방시키고,
    상기 제2 인증정보의 신호가 상기 제1 잠금모듈에 감응되어 상기 제1 잠금모듈에 의해 상기 제1 도어가 개방될 때에는, 상기 제2 도어의 폐쇄된 상태를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보안 도어락 연동 시스템.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2 인증정보는,
    상기 서버로부터 운송장 정보를 조회 또는 제공받아 생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보안 도어락 연동 시스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2 잠금모듈은,
    상기 제1 도어가 개방된 경우 상기 전실을 촬영하는 카메라부; 및
    상기 제1 도어가 개방된 경우 상기 전실의 동작물체를 감지하는 센서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보안 도어락 연동 시스템.
  5. 전실의 출입을 차단하는 제1 도어의 개폐를 위한 제1 잠금모듈에, 상기 제1 도어의 개폐가 가능한 인증정보가 감응되는 단계;
    상기 인증정보가 감응되면, 상기 제1 도어가 개방되는 단계;
    상기 제1 잠금모듈에 감응된 상기 인증정보가, 상기 제1 도어 및 후실의 출입을 위한 제2 도어의 개폐가 모두 가능한 제1 인증정보인지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인증정보가 제1 인증정보인 경우, 후실의 출입을 차단하는 제2 도어의 개폐가 가능하고, 상기 제1 잠금모듈과 통신이 가능한 제2 잠금모듈에 의해 상기 제2 도어가 개방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보안 도어락 연동 방법.
KR1020200038427A 2020-03-30 2020-03-30 이중보안 도어락 연동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234516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38427A KR102345168B1 (ko) 2020-03-30 2020-03-30 이중보안 도어락 연동 시스템 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38427A KR102345168B1 (ko) 2020-03-30 2020-03-30 이중보안 도어락 연동 시스템 및 그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21561A true KR20210121561A (ko) 2021-10-08
KR102345168B1 KR102345168B1 (ko) 2021-12-29

Family

ID=786099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38427A KR102345168B1 (ko) 2020-03-30 2020-03-30 이중보안 도어락 연동 시스템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4516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11113B1 (ko) * 2023-08-03 2023-12-07 주식회사 아이디테크 이중 출입문 인터로킹 시스템 및 방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74360A (ko) * 2006-01-09 2007-07-12 삼성전자주식회사 스마트 커뮤니케이터를 이용한 지능형 출입 인증 시스템 및방법
KR101623743B1 (ko) 2015-09-22 2016-05-25 전용준 홈 네트워크 시스템용 도어락의 제어방법
KR20190027063A (ko) * 2017-09-05 2019-03-14 주식회사 슈프리마 출입 관리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출입 관리 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74360A (ko) * 2006-01-09 2007-07-12 삼성전자주식회사 스마트 커뮤니케이터를 이용한 지능형 출입 인증 시스템 및방법
KR101623743B1 (ko) 2015-09-22 2016-05-25 전용준 홈 네트워크 시스템용 도어락의 제어방법
KR20190027063A (ko) * 2017-09-05 2019-03-14 주식회사 슈프리마 출입 관리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출입 관리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11113B1 (ko) * 2023-08-03 2023-12-07 주식회사 아이디테크 이중 출입문 인터로킹 시스템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45168B1 (ko) 2021-12-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536922B1 (ko) 비콘 신호를 이용하여 도어 출입을 관리하기 위한 방법 및 시스템
US10158968B2 (en) Communication method and system
CA2924381C (en) Access control using portable electronic devices
KR101710065B1 (ko) 사용자 휴대 단말을 이용한 무인 물품 보관 시스템 및 방법
KR20190084983A (ko) 휴대용 열쇠장치의 활성신호 및 위치에 기초한 잠금장치 제어
KR100917718B1 (ko) 스마트 태그를 이용한 출입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912349B1 (ko) 출입구 종합 통제시스템
KR101698679B1 (ko) 가시광 통신을 이용한 출입 제어 장치 및 방법
US20190197866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cting an emergency situation in a room
KR102328402B1 (ko) 스마트 도어락 제어 시스템 및 제어 방법
EP2833330A1 (en) Communication method and system
KR102345168B1 (ko) 이중보안 도어락 연동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40021874A (ko) 스마트 코드를 이용한 출입 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20190113372A (ko) 무인 택배 관리 시스템 및 방법
US20180322268A1 (en) Challenge and response system for identifying non-credentialed occupants and method
JP5785013B2 (ja) ロックシステム
KR102109669B1 (ko) 택배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
KR100869293B1 (ko) 키홀더 카드를 이용한 통합보안 시스템 및 방법
JP5988189B2 (ja) 電気錠システム
KR101687232B1 (ko) 중앙컨트롤러를 갖는 무선 온라인 잠금 시스템
KR101770261B1 (ko) 존 기반 서비스 제공 방법, 이를 수행하는 서버 및 시스템
US11501620B2 (en) Method for activating an alert when an object is left proximate a room entryway
KR20190129220A (ko) 실내위치기반 서비스를 이용한 스마트 팩토리 제어 시스템
KR20160060445A (ko) 신원확인카드를 이용한 사용자 위치확인 방법, 신원확인카드의 사용자 위치확인을 위한 비콘신호 제공방법 및 신원확인카드용 또는 서버용 프로그램
KR20220084855A (ko) 생체 정보를 활용한 출입 통제 시스템 및 통제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