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09669B1 - 택배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 - Google Patents

택배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09669B1
KR102109669B1 KR1020190167668A KR20190167668A KR102109669B1 KR 102109669 B1 KR102109669 B1 KR 102109669B1 KR 1020190167668 A KR1020190167668 A KR 1020190167668A KR 20190167668 A KR20190167668 A KR 20190167668A KR 102109669 B1 KR102109669 B1 KR 10210966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storage box
terminal
authentication
delive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676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경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한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한줌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한줌
Priority to KR10201901676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0966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096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0966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8Logistics, e.g. warehousing, loading or distribution; Inventory or stock managem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28Logistics, e.g. warehousing, loading, distribution or shipping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9/00Supports, holders, or containers for household use,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7G1/00-A47G27/00 or A47G33/00 
    • A47G29/14Deposit receptacles for food, e.g. breakfast, milk, or large parcels; Similar receptacles for food or large parcels with appliances for preventing unauthorised removal of the deposited articles, i.e. food or large parcels
    • A47G29/141Deposit receptacles for food, e.g. breakfast, milk, or large parcels; Similar receptacles for food or large parcels with appliances for preventing unauthorised removal of the deposited articles, i.e. food or large parcels comprising electronically controlled locking mea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00174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 G07C9/00309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operated with bidirectional data transmission between data carrier and loc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9/00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 H04L9/06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the encryption apparatus using shift registers or memories for block-wise or stream coding, e.g. DES systems or RC4; Hash functions; Pseudorandom sequence generators
    • H04L9/065Encryption by serially and continuously modifying data stream elements, e.g. stream cipher systems, RC4, SEAL or A5/3
    • H04L9/0656Pseudorandom key sequence combined element-for-element with data sequence, e.g. one-time-pad [OTP] or Vernam's ciph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9/00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 H04L9/32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including means for verifying the identity or authority of a user of the system or for message authentication, e.g. authorization, entity authentication, data integrity or data verification, non-repudiation, key authentication or verification of credentials
    • H04L9/3263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including means for verifying the identity or authority of a user of the system or for message authentication, e.g. authorization, entity authentication, data integrity or data verification, non-repudiation, key authentication or verification of credentials involving certificates, e.g. public key certificate [PKC] or attribute certificate [AC]; Public key infrastructure [PKI] arrangemen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9/00Supports, holders, or containers for household use,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7G1/00-A47G27/00 or A47G33/00 
    • A47G29/14Deposit receptacles for food, e.g. breakfast, milk, or large parcels; Similar receptacles for food or large parcels with appliances for preventing unauthorised removal of the deposited articles, i.e. food or large parcels
    • A47G29/141Deposit receptacles for food, e.g. breakfast, milk, or large parcels; Similar receptacles for food or large parcels with appliances for preventing unauthorised removal of the deposited articles, i.e. food or large parcels comprising electronically controlled locking means
    • A47G2029/149Deposit receptacles for food, e.g. breakfast, milk, or large parcels; Similar receptacles for food or large parcels with appliances for preventing unauthorised removal of the deposited articles, i.e. food or large parcels comprising electronically controlled locking means with central server link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Economic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arketing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 Supports Or Holders For Household Us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시설물 사용자 인증 방법 및 이를 이용한 택배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택배 서비스 방법은, 배송인 단말이 배송인 정보 및 송장정보를 택배 관리 서버에 전송하여 상기 송장정보에 해당하는 주소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배송인 단말이 상기 주소정보를 복수개의 보관함들을 관리하는 보관함 관리장치에 전송하는 단계; 상기 보관함 관리장치에서 상기 복수개의 보관함들 중 사용 가능한 보관함에 대응되는 시리얼정보를 상기 배송인 단말에 전송하는 단계; 상기 배송인 단말이 상기 시리얼정보를 인증서버로 전송하여 상기 시리얼정보에 해당하는 인증키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배송인 단말이 상기 인증키를 상기 보관함 관리장치에 전송하여 인증을 요청하는 단계; 및 상기 보관함 관리장치에서 상기 인증키를 기저장된 인증키와 비교하여 인증하고 인증에 성공한 경우 상기 사용 가능한 보관함의 도어를 개방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택배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PARCEL SERVICE METHOD AND SYSTEM}
본 발명은 택배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택배 보관함과 사용자 단말 간의 근거리 통신을 통해 OTP(One Time Password)/PKI(Public Key Infrastructure) 등의 보안키를 이용하여 사용권한을 부여하고 무인으로 택배물품을 수령할 수 있도록 한 택배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택배 서비스는 우체국 혹은 사설 서비스 업체에서 배송인이 수령인의 주소지에 방문하여 배송 물품을 수령인에게 직접 전달하고 있다.
이때, 수령인이 부재중인 경우에는 배송 물품에 붙은 송장을 통해 수령인의 개인정보를 이용하여 전화 또는 문자를 통해 수령 가능한 일시를 확인한 후 재방문 하거나 수령인이 지정한 장소에 배송 물품을 두고 가야 한다. 이로 인해 집배원이나 택배기사의 업무량이 과중해지고 배송 물품이 분실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배송인과 직접 대면할 필요 없이 배송 물품을 전달할 수 있는 무인 보관함이 제안되고 있다. 무인 보관함은 키입력장치를 통해 비밀번호를 입력하거나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태그 등을 이용하여 사용자 인증을 수행한 후 도어를 개방할 수 있다. 그러나 기존의 무인 보관함의 사용자 인증 방법은 비밀번호가 노출되거나, 복제, 인식불량, 분실 등의 문제점을 안고 있다.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택배 배송 시 수령인이 부재중인 경우에도 안전하게 배달 물품을 전달할 수 있도록 하는 택배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또 다른 기술적 과제는, 배송인이 배달 물품을 수납할 수령인의 택배 보관함을 신속하고 용이하게 찾을 수 있도록 하여 배송 시 편의를 제공할 수 있는 택배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전술한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택배 서비스 방법은, 배송인 단말이 배송인 정보 및 송장정보를 택배 관리 서버에 전송하여 상기 송장정보에 해당하는 주소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배송인 단말이 상기 주소정보를 복수개의 보관함들을 관리하는 보관함 관리장치에 전송하는 단계; 상기 보관함 관리장치에서 상기 복수개의 보관함들 중 사용 가능한 보관함에 대응되는 시리얼정보를 상기 배송인 단말에 전송하는 단계; 상기 배송인 단말이 상기 시리얼정보를 인증서버로 전송하여 상기 시리얼정보에 해당하는 인증키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배송인 단말이 상기 인증키를 상기 보관함 관리장치에 전송하여 인증을 요청하는 단계; 및 상기 보관함 관리장치에서 상기 인증키를 기저장된 인증키와 비교하여 인증하고 인증에 성공한 경우 상기 사용 가능한 보관함의 도어를 개방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배송인 단말이 배송인 정보 및 송장정보를 택배 관리 서버에 전송하여 상기 송장정보에 해당하는 주소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배송인 단말에서 배송물에 부착되어 상기 송장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코드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코드와 상기 배송인 정보를 상기 택배 관리 서버에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택배 관리 서버에서 상기 배송인 정보가 기저장된 배송인 정보와 일치하는 유효한 정보인지 판단하고, 상기 배송인 정보가 유효하면 상기 코드에 해당되는 상기 주소정보를 상기 배송인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보관함 관리장치에서 상기 복수개의 보관함들 중 사용 가능한 보관함에 대응되는 시리얼정보를 상기 배송인 단말에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배송인 단말로부터 근거리 통신 방식으로 상기 주소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수신된 상기 주소정보를 기 저장된 세대원들의 주소정보와 비교하여 유효성을 판단하는 단계; 상기 수신된 상기 주소정보가 유효한 것으로 판단된 경우 사용 가능한 보관함을 검색하는 단계; 및 검색된 보관함의 시리얼 정보를 상기 배송인 단말에 근거리 통신 방식으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배송인 단말이 상기 시리얼정보를 인증서버로 전송하여 상기 시리얼정보에 해당하는 인증키를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배송인 단말이 상기 시리얼정보를 상기 인증서버에 전송하여 상기 인증키를 요청하는 단계; 및 상기 인증서버에서 상기 시리얼정보에 해당하는 인증키를 생성하여 상기 배송인 단말에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보관함이 상기 인증키를 인증하여 도어를 개방하는 단계는, 상기 보관함이 상기 수신된 인증키가 기저장된 인증키와 일치하는 유효한 인증키인지 판단하는 단계; 상기 인증키가 유효한 경우 상기 보관함과 상기 배송인 단말 간 블루투스 페어링을 수행하는 단계; 및 페어링이 완료되면 상기 보관함이 도어를 개방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배송인 단말과 블루투스 통신이 단절되면 상기 도어를 잠금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배송인 단말이 상기 보관함에 웨이크업 신호를 송신하는 단계; 및 상기 웨이크업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보관함이 활성화 상태로 전환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상기 배송인 단말이 배송완료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 및 메시지 관리 서버에서 상기 배송완료 정보에 따라 수령인 단말에 배송정보를 송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상기 인증키는, OTP(One Time Password), PKI(Public Key Infrastructure)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택배 서비스 시스템은, 배송인 정보, 송장정보와 상기 송장정보에 대응되는 코드를 관리하는 택배 관리 서버; 보관함의 시리얼정보가 저장되고 상기 시리얼정보에 대응되는 인증키를 제공하는 인증서버; 상기 배송인 정보 및 상기 송장정보를 상기 택배 관리 서버에 전송하여 상기 송장정보에 해당하는 주소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주소정보를 상기 보관함으로 전송하여 상기 주소정보에 대응되는 보관함의 시리얼정보를 수신하며, 상기 시리얼정보를 상기 인증서버로 전송하여 상기 시리얼정보에 해당하는 인증키를 수신하여 상기 보관함에 인증을 요청하는 배송인 단말; 및 근거리 통신을 통해 상기 배송인 단말로부터 상기 주소정보가 수신되면 복수개의 보관함들 중 사용 가능한 보관함에 대응되는 시리얼정보를 상기 배송인 단말에 전송하고, 상기 근거리 통신을 통해 상기 배송인 단말로부터 수신된 인증키를 기저장된 인증키와 비교하여 인증에 성공하면 상기 사용 가능한 보관함의 도어를 개방하는 보관함 관리장치;를 포함한다.
상기 배송인 단말은, 배송물에 부착되어 상기 송장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코드정보를 획득하여 상기 배송인 정보와 상기 송장정보가 저장된 상기 코드정보를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택배 관리 서버에 전송할 수 있다.
상기 보관함은, 상기 인증키 인증에 성공한 경우 상기 배송인 단말과 블루투스 페어링을 수행하고, 상기 도어를 개방한 후 상기 배송인 단말과 블루투스 통신이 단절되면 상기 도어를 장금 상태로 전환할 수 있다.
상기 배송인 단말은 웨이크업 신호를 전송하고, 상기 보관함은 상기 웨이크업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최소한의 전원으로 구동되는 슬립모드를 유지하고, 상기 웨이크업 신호가 수신된 경우 활성화 상태로 전환할 수 있다.
상기 배송인 단말로부터 배송완료 신호가 수신되면 수령인 단말에 배송정보를 송신하는 메시지 관리 서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인증키는, OTP(One Time Password), PKI(Public Key Infrastructure)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택배함과 배송자 단말 간의 근거리 통신을 통해 OTP(One Time Password)/PKI(Public Key Infrastructure) 등의 인증키를 이용하여 보관함의 사용 권한을 인증함으로써, 수령인 부재시에도 안전하고 편리하게 배송물품을 배송할 수 있다.
또한, 배송인 단말에서 송장정보가 저장된 코드를 획득하여 전송하는 동작만으로 택배함과 배송자 단말 간의 일련의 인증 과정이 자동으로 수행되도록 하여 배송 시 편의를 증진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택배 서비스 시스템의 네트워크 구성도,
도 2는 도 1의 택배 보관함의 제어 블럭도,
도 3은 도 1의 배송인 단말의 제어 블럭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택배 서비스 시스템의 배송 방법의 흐름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택배 서비스 시스템의 네트워크 구성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택배 서비스 시스템의 배송 방법의 흐름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시설물 사용자 인증 시스템의 네트워크 구성도,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시설물 사용자 인증 방법의 흐름도이다.
이상의 본 발명의 목적들, 다른 목적들, 특징들 및 이점들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된 이하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통해서 쉽게 이해될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오히려, 여기서 소개되는 실시 예들은 개시된 내용이 철저하고 완전해질 수 있도록 그리고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 상에 있다고 언급되는 경우에 그것은 다른 구성요소 상에 직접 형성될 수 있거나 또는 그들 사이에 제 3의 구성요소가 개재될 수도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도면들에 있어서, 구성요소들의 두께는 기술적 내용의 효과적인 설명을 위해 과장된 것이다.
어떤 엘리먼트, 구성요소, 장치, 또는 시스템이 프로그램 또는 소프트웨어로 이루어진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언급되는 경우, 명시적인 언급이 없더라도, 그 엘리먼트, 구성요소, 장치, 또는 시스템은 그 프로그램 또는 소프트웨어가 실행 또는 동작하는데 필요한 하드웨어(예를 들면, 메모리, CPU 등)나 다른 프로그램 또는 소프트웨어(예를 들면 운영체제나 하드웨어를 구동하는데 필요한 드라이버 등)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어떤 엘리먼트(또는 구성요소)가 구현됨에 있어서 특별한 언급이 없다면, 그 엘리먼트(또는 구성요소)는 소프트웨어,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 및 하드웨어 어떤 형태로도 구현될 수 있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 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택배 서비스 시스템의 네트워크 구성도이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택배 서비스 시스템은, 택배 보관함(100), 택배 관리 서버(310), 인증서버(320) 및 배송인 단말(200)을 포함한다.
택배 보관함(100)은 배달물품을 수령하는 용도로 사용될 수 있고 디지털 락 장치가 장착된 다양한 형태의 보관함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택배 보관함(100)은 각 보관함에 대해 고유한 시리얼정보가 설정되고 디지털 락 방식으로 잠금 및 해제가 가능하다. 또한, 근거리 무선통신을 이용한 인증 기능을 수행하여 인증 여부에 따라 디지털 락 방식으로 도어의 잠금 및 해제 기능이 제어될 수 있다. 여기서, 근거리무선통신은 NFC(Near field communication), 와이파이(Wi-Fi), 지그비(Zigbee)통신 및 ISA100, WirelessHART, 블루투스, Wave 등 상대적으로 근접한 거리의 단말 간에 무선으로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다양한 통신 방식이 적용될 수 있다. 이하 설명에서는 상기 근거리무선통신 방식들 중 블루투스 방식을 이용하는 경우를 예시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택배 보관함(100)은 배송인 단말(200)로부터 근거리 통신을 통해 주소정보를 수신하고, 수신된 주소정보를 기저장된 주소정보들과 비교하여 유효한 주소정보인지 판단한다. 유효한 주소정보가 수신된 경우 택배 보관함(100)의 시리얼정보를 배송인 단말(200) 측에 송신한다. 이 후, 배송인 단말(200)로부터 근거리 통신을 통해 인증키가 수신되면 택배 보관함(100)은 기저장된 인증키와 수신된 인증키를 확인하여 인증키의 유효성을 인증한다. 인증에 성공하면 택배 보관함(100)은 도어를 개방한다. 여기서, 택배 보관함(100)은 인증에 성공한 배송인 단말(200)과 블루투스 페어링을 설정하고, 도어를 개방한 후 배송인 단말(200)이 일정 거리 이상 이격되어 페어링이 해제되면 택배 보관함(100)의 도어를 다시 잠금 상태로 전환시킬 수 있다. 이러한 택배 보관함(100)은 평상시에는 전원 절약을 위한 슬립(sleep)상태를 유지하고, 외부 이벤트, 예컨대, 배송인 단말(200)의 웨이크업 신호가 수신되거나 사용자의 입력이 수신되면 택배 보관함(100)의 기능들을 수행하기 위한 대기상태로 웨이크업 될 수 있다. 이러한 택배 보관함(100)의 동작에 관하여는 후술하는 도 2에서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택배 관리 서버(310)는 배달물품을 배송하는 배송인 정보, 배달물품의 발신인, 수신인, 주소정보 등을 포함하는 송장정보, 송장정보에 따라 생성되는 바코드 혹은 QR코드 등의 코드정보를 저장 및 관리한다. 택배 관리 서버(310)는 배송인 단말(200)로부터 배송인 정보와 코드정보가 수신되면 배송인 정보를 기 저장된 정보와 비교하여 유효한 배송인인지 여부를 판단한다. 유효한 배송인으로 판단되면 택배 관리 서버(310)는 배송인 정보와 함께 수신된 코드정보에 해당되는 주소정보를 판독하여 배송인 단말(200)로 전송한다.
인증서버(320)는 택배 보관함(100)과 배송인 단말(200)이 서로 상대를 인증할 때 사용되는 인증키를 생성하여 제공한다. 인증서버(320)는 택배 보관함(100)의 시리얼정보를 저장하여 각각의 시리얼정보에 대응되는 인증키를 생성한다. 인증서버(320)는 네트워크를 통해 배송인 단말(200)로부터 택배 보관함(100)의 시리얼정보와 함께 인증키 생성 요청을 수신하면, 수신된 시리얼정보에 따른 인증키를 생성하여 배송인 단말(200)로 전송한다. 인증서버(320)는 시리얼정보에 따라 OTP(One Time Password)를 생성하여 전송할 수 있으며, 혹은, PKI(Public Key Infrastructure) 방식으로 인증키를 생성하여 전송할 수 있다.
배송인 단말(200)은 근거리 통신과 이동통신 네트워크 통신이 모두 가능한 스마트폰, 태블릿 등의 휴대형 통신단말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배송인 단말(200)은 배송물에 부착되어 송장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바코드, QR코드 등을 획득할 수 있는 수단, 예컨대, 카메라나 코드 스캐너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본 택배 서비스 시스템에 적용되기 위해, 배송인 단말(200)에는 전용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될 수 있다. 배송인 단말(200)은 바코드, QR코드 등의 코드형태로 부착된 송장정보를 카메라로 촬영하거나 스캐너로 스캔하여 배송인 정보 및 송장정보를 이동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택배 관리 서버(310)에 전송함으로써 송장정보에 해당하는 주소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배송인 단말(200)은 수신된 주소정보를 근거리 통신을 통해 택배 보관함(100)으로 전송하여 주소정보에 대응되는 택배 보관함(100)의 시리얼정보를 수신한다. 배송인 단말(200)은 수신된 시리얼정보를 이동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인증서버(320)로 전송하여 인증키를 요청한다. 배송인 단말(200)은 인증서버(320)로부터 수신된 인증키를 택배 보관함(100)에 근거리 통신 방식으로 송신하여 인증을 요청한다. 택배 보관함(100)과의 인증에 성공하면 택배 보관함(100)의 도어가 개방된다. 이상의 일련의 과정이 배송인 단말(200) 내의 애플리케이션에 의해 진행되어 실재 배송인은 배송물에 부착된 코드를 스캔하는 동작만으로 택배 보관함(100)의 도어를 개방할 수 있다. 택배 보관함(100)에 배송물을 수납한 후 배송인이 배송인 단말(200)에서 배송완료를 선택하면, 택배 관리 서버(310) 혹은 전용 메시지 관리 서버(330)에서 배송완료 정보를 수신하여 수신인 단말(250)에 배송완료 메시지가 발신될 수 있다.
여기서, 택배 보관함(100)과의 인증에 성공하면 택배 보관함(100)과 배송인 단말(200) 사이에 블루투스 페어링이 설정될 수 있다. 배달이 완료된 후 배송인 단말(200)이 택배 보관함(100)으로부터 일정 거리 이상 멀어지면 블루투스 페어링이 해제된다. 블루투스 페어링이 해제됨을 신호로 하여 택배 보관함(100)은 도어를 잠금 상태로 전환할 수 있다. 또한, 블루투스 페어링이 해제됨을 신호로 하여 배송인 단말(200)에서 배송완료 정보를 택배 관리 서버(310) 또는 전용 메시지 관리 서버(330)로 자동 송신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러한 구성에 따라,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택배 서비스 시스템은, 배송물에 부착된 송장정보를 포함한 코드를 배송인 단말(200)로 촬영하거나 스캔하여 배송인 정보 및 송장정보를 이동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택배 관리 서버(310)에 전송하면, 택배 관리 서버(310)로부터 송장정보에 해당하는 주소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배송인 단말(200)이 주소정보를 근거리 통신을 통해 택배 보관함(100)으로 전송하면 해당 주소정보에 대응되는 택배 보관함(100)에서 배송인 단말(200)에 시리얼정보를 전송한다. 배송인 단말(200)은 택배 보관함(100)의 시리얼정보를 이동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인증서버(320)로 전송하여 인증키를 요청하고, 인증서버(320)로부터 수신된 인증키를 택배 보관함(100)에 근거리 통신 방식으로 송신한다. 택배 보관함(100)은 배송인 단말(200)로부터 수신된 인증키와 기저장된 정보를 비교하여 인증키의 유효성을 판단하고, 유효한 것으로 인증되면 도어를 개방한다. 배송이 완료되면 배송인 단말(200)은 택배 관리 서버(310) 혹은 전용 메시지 관리 서버(330)에서 배송완료 정보를 전송하여 수신인 단말(250)에 배송완료 메시지가 발신될 수 있다.
도 2는 도 1의 택배 보관함(100)의 제어 블럭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택배 보관함(100)은 전원부(110), 모터부(112), 메모리부(114), 통신부(118), 사용자 인터페이스(120), 및 보관함 제어부(116)를 포함할 수 있다.
전원부(110)는 택배 보관함(100)의 동작을 위한 전원을 공급한다. 택배 보관함(100)은 무선으로 구성하기 위해 배터리를 통해 전원을 공급받을 수 있다.
모터부(112)는 택배 보관함(100)의 디지털 락을 구동하기 위한 하드웨어적 구성으로, 보관함 제어부(116)의 제어에 따라 디지털 락의 잠금을 동작시키거나 해제시킨다.
메모리부(114)는 택배 보관함(100)의 동작에 필요한 모든 정보를 저장한다. 예를 들면, 메모리부(114)는 택배 보관함(100)에 부여된 시리얼정보와, 인증키를 저장할 수 있다.
통신부(118)는 택배 보관함(100)이 배송인 단말(200)와 근거리 무선통신을 수행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것으로, 블루투스일 수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120)는 택배 보관함(100)의 동작 상태를 시각적 혹은 청각적으로 표시하는 출력장치와 사용자 입력을 위한 입력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출력장치로는 색상 별로 구비된 LED, 디스플레이장치, 스피커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입력장치로는 키패드 혹은 터치패드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입출력이 모두 가능한 터치패널을 구비하는 것도 가능하다.
보관함 제어부(116)는 택배 보관함(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즉, 컨트롤러(270)는 전원부(110), 모터부(220), 메모리부(230), 통신부(240), 사용자 인터페이스(120)들 간의 신호 입출력을 제어한다. 보관함 제어부(116)는 평상시에는 외부입력을 수신하기 위한 최소 전원만을 사용하는 슬립(sleep) 상태를 유지하고 배송인 단말(200)로부터 웨이크업 신호가 수신되거나 사용자 인터페이스(120)를 통한 입력이 감지되면 활성화 상태로 전환될 수 있다.
도 3은 도 1의 배송인 단말(200)의 제어 블럭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배송인 단말(200)는 앱 구동부(210), 근거리 통신부(212), 코드 획득부(214), 사용자 인터페이스부(216),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218), 저장부(220) 및 단말 제어부(222)를 포함한다.
앱 구동부(210)는 전용 앱을 구동시키는 것으로, 본 택배 서비스 시스템에서 배송인 단말(200)이 해당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모든 동작들이 전용 앱을 통해 이루어진다. 예를 들면, 배송인이 배송물품을 전달하기 위해 수행하는 각종 요청들은 전용 앱을 통해 처리될 수 있다.
근거리 통신부(212)는 근거리 무선통신을 지원하는 것으로, 배송인 단말(200)과 택배 보관함(100)이 근거리 무선통신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 근거리 통신부(212)는 배송인 단말(200)와 택배 보관함(100)이 근거리 통신범위 내에서 존재할 경우에만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코드 획득부(214)는 배송물에 부착되어 송장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바코드, QR코드 등을 획득할 수 있는 수단, 예컨대, 카메라나 바코드 스캐너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부(216)는 사용자의 입출력을 위한 터치스크린 등을 포함하여 앱 구동부(210)에서 제공하는 전용 앱에서 지원하는 각종 기능을 선택하기 위한 메뉴를 제공할 수 있다.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218)는 유무선의 네트워크를 지원하는 것으로, 배송인 단말(200)이 택배 관리 서버(310), 인증서버(320), 메시지 관리 서버(330)와 소정 정보를 주고받을 수 있도록 한다.
저장부(220)는 배송인 단말(200)의 동작에 필요한 모든 정보를 저장한다. 예를 들면, 앱 구동부(210)에 의해 실행되는 전용 앱이 저장될 수 있다.
단말 제어부(214)는 배송인 단말(2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즉, 단말 제어부(214)는 앱 구동부(210), 근거리통신부(320), 사용자 인터페이스부(216),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218), 저장부(220)들 간의 신호 입출력을 제어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택배 서비스 시스템의 배송 방법의 흐름도이다.
배송인 단말(200)은 바코드, QR코드 등의 코드형태로 부착된 송장정보를 카메라로 촬영하거나 스캐너로 스캔하여 코드정보를 획득한다(S110).
배송인 단말(200)은 획득된 코드정보와 배송인 정보를 이동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택배 관리 서버(310)에 전송한다(S112). 배송인 정보는 배송인의 ID, 전화번호 등 배송인을 식별할 수 있는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전용 앱에 배송인 식별을 위한 배송인 정보가 미리 저장되어 있는 경우, 별도의 추가 입력 과정 없이 코드 스캔 후 전송 메뉴를 선택하면 배송인 정보와 코드정보가 택배 관리 서버(310)로 전송된다.
택배 관리 서버(310)는 배송인 단말(200)로부터 배송인 정보와 코드정보가 수신되면 배송인 정보를 기 저장된 정보와 비교하여 사전에 등록된 배송인인지 여부를 판단한다. 유효한 배송인으로 판단되면 택배 관리 서버(310)는 배송인 정보와 함께 수신된 코드정보에 해당되는 주소정보를 판독하여 배송인 단말(200)로 전송한다(S114).
배송인 단말(200)은 수신된 주소정보를 근거리 통신을 통해 택배 보관함(100)으로 전송하여(S115), 주소정보에 대응되는 택배 보관함(100)의 시리얼정보를 수신한다(S116). 여기서, 택배 보관함(100)이 슬립(sleep)상태인 경우 택배 보관함(100)과 배송인 단말(200) 간의 근거리 통신을 위한 웨이크업 단계가 수행될 수 있다(S113).
배송인 단말(200)은 수신된 시리얼정보를 이동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인증서버(320)로 전송하여 인증키를 요청한다(S118).
인증서버(320)는 네트워크를 통해 배송인 단말(200)로부터 택배 보관함(100)의 시리얼정보와 함께 인증키 생성 요청을 수신하면, 시리얼정보에 따라 인증키를 생성하여 배송인 단말(200)로 전송한다(S120). 인증서버(320)는 시리얼정보에 따라 OTP(One Time Password)를 생성하여 전송할 수 있으며, 혹은, PKI(Public Key Infrastructure) 방식으로 인증키를 생성하여 전송할 수 있다.
배송인 단말(200)은 인증서버(320)로부터 수신된 인증키를 택배 보관함(100)에 근거리 통신 방식으로 송신하여 인증을 요청한다(S122).
택배 보관함(100)과의 인증에 성공하면 택배 보관함(100)과 배송인 단말(200) 간에 블루투스 페어링이 설정되고(S124), 택배 보관함(100)은 도어를 개방한다(S126). 이상의 일련의 과정이 배송인 단말(200) 내의 애플리케이션에 의해 진행되어 실재 배송인은 배송물에 부착된 코드를 스캔하는 동작만으로 택배 보관함(100)의 도어를 개방할 수 있다.
택배 보관함(100)에 배송물을 수납한 후 배송인이 배송인 단말(200)에서 배송완료를 전송하면(S128), 메시지 관리 서버(330)에서 배송완료 정보를 수신하여 수신인 단말(250)에 택배 배달 완료 메시지를 전송한다(S130).
한편, 택배 보관함(100)은 도어를 개방한 후 배송인 단말(200)이 일정 거리 이상 이격되어 블루투스 페어링이 해제되면 도어를 다시 잠금 상태로 전환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택배 서비스 시스템의 네트워크 구성도이다. 본 발명의 제2실시예는 택배 보관함(100)이 각 주소지 당 하나씩 지정되지 않고, 배달 시점에 비어있는 보관함을 랜덤 할당하여 배달물품을 수령하는 방식으로 운영되는 경우를 예시한 것이다. 이러한 제2실시예는 우편 서비스 및 택배 서비스에 모두 적용 가능하며, 이하 설명에서는 택배 서비스에 적용하는 경우를 예시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제2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제1실시예의 택배 서비스 시스템에서와 같은 기능을 수행하는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명칭 및 참조부호를 적용하기로 한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택배 서비스 시스템, 택배 보관함(105), 택배 관리 서버(310), 인증서버(320) 및 배송인 단말(200)을 포함한다.
택배 보관함(105)은 각기 고유한 시리얼정보가 부여되고 디지털 락 장치가 장착된 복수개의 보관함들과 각 보관함들의 사용 및 비사용 상태를 관리하고 디지털 락 잠금장치를 개방 혹은 폐쇄상태로 제어하는 보관함 관리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택배 보관함(105)의 보관함 관리장치는 근거리 무선통신을 이용한 인증 기능을 수행하여 인증 여부에 따라 특정 보관함의 도어를 잠금 혹은 개방할 수 있다. 여기서, 근거리무선통신은 NFC(Near field communication), 와이파이(Wi-Fi), 지그비(Zigbee)통신 및 ISA100, WirelessHART, 블루투스, Wave 등 상대적으로 근접한 거리의 단말 간에 무선으로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다양한 통신 방식이 적용될 수 있다. 이하 설명에서는 상기 근거리무선통신 방식들 중 블루투스 방식을 이용하는 경우를 예시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택배 보관함(105)의 보관함 관리장치는 배송인 단말(200)로부터 근거리 통신을 통해 택배물품의 주소정보를 수신하고, 수신된 주소정보를 기저장된 주소정보들과 비교하여 유효한 주소정보인지 판단한다. 유효한 주소정보가 수신된 경우 전체 보관함들 중 비사용 상태인 보관함을 판단하여 해당 보관함의 시리얼정보를 배송인 단말(200) 측에 송신한다.
이 후, 배송인 단말(200)로부터 근거리 통신을 통해 인증키가 수신되면 보관함의 시리얼정보와 수신된 인증키를 확인하여 인증키의 유효성을 인증한다. 인증키의 인증에 성공하면 해당 시리얼정보에 대응되는 보관함의 도어를 개방한다. 여기서, 보관함 관리장치는 인증에 성공한 배송인 단말(200)과 블루투스 페어링을 설정하고, 도어를 개방한 후 배송인 단말(200)이 일정 거리 이상 이격되어 페어링이 해제되면 해당 보관함의 도어를 다시 잠금 상태로 전환시킬 수 있다. 이러한 택배 보관함(105)의 보관함 관리장치는 평상시에는 전원 절약을 위한 슬립(sleep)상태로 유지되고 외부 이벤트, 예컨대, 배송인 단말(200)의 웨이크업 신호가 수신되거나 사용자의 입력이 수신되면 택배 보관함(105)의 기능들을 수행하기 위한 대기상태로 웨이크업 될 수 있다.
택배 관리 서버(310)는 배송인 단말(200)로부터 배송인 정보와 코드정보가 수신되면 배송인 정보를 기 저장된 정보와 비교하여 유효한 배송인인지 여부를 판단한다. 유효한 배송인으로 판단되면 택배 관리 서버(310)는 배송인 정보와 함께 수신된 코드정보에 해당되는 주소정보를 판독하여 배송인 단말(200)로 전송한다.
인증서버(320)는 택배 보관함(105)과 배송인 단말(200)이 서로 상대를 인증할 때 사용되는 인증키를 생성하여 제공한다. 인증서버(320)는 택배 보관함(105)이 관리하는 각 보관함의 시리얼정보를 저장하여 각각의 시리얼정보에 대응되는 인증키를 생성한다. 인증서버(320)는 네트워크를 통해 배송인 단말(200)로부터 시리얼정보와 함께 인증키 생성 요청을 수신하면, 수신된 시리얼정보에 따른 인증키를 생성하여 배송인 단말(200)로 전송한다. 인증서버(320)는 시리얼정보에 따라 OTP(One Time Password)를 생성하여 전송할 수 있으며, 혹은, PKI(Public Key Infrastructure) 방식으로 인증키를 생성하여 전송할 수 있다.
배송인 단말(200)은 근거리 통신과 이동통신 네트워크 통신이 모두 가능한 스마트폰, 태블릿 등의 휴대형 통신단말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배송인 단말(200)은 배송물에 부착되어 송장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바코드, QR코드 등을 획득할 수 있는 수단, 예컨대, 카메라나 코드 스캐너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본 택배 서비스 시스템에 적용되기 위해, 배송인 단말(200)에는 전용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될 수 있다. 배송인 단말(200)은 바코드, QR코드 등의 코드형태로 부착된 송장정보를 카메라로 촬영하거나 스캐너로 스캔하여 배송인 정보 및 송장정보를 이동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택배 관리 서버(310)에 전송함으로써 송장정보에 해당하는 주소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배송인 단말(200)은 수신된 주소정보를 근거리 통신을 통해 택배 보관함(105)으로 전송하여 주소정보에 대응되는 택배 보관함(105)의 시리얼정보를 수신한다. 배송인 단말(200)은 수신된 시리얼정보를 이동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인증서버(320)로 전송하여 인증키를 요청한다. 배송인 단말(200)은 인증서버(320)로부터 수신된 인증키를 택배 보관함(105)에 근거리 통신 방식으로 송신하여 인증을 요청한다. 택배 보관함(105)과의 인증에 성공하면 택배 보관함(105)의 도어가 개방된다. 이상의 일련의 과정이 배송인 단말(200) 내의 애플리케이션에 의해 진행되어 실재 배송인은 배송물에 부착된 코드를 스캔하는 동작만으로 택배 보관함(105)의 도어를 개방할 수 있다. 택배 보관함(105)에 배송물을 수납한 후 배송인이 배송인 단말(200)에서 배송완료를 선택하면, 택배 관리 서버(310) 혹은 전용 메시지 관리 서버(330)에서 배송완료 정보를 수신하여 수신인 단말(250)에 배송완료 메시지가 발신될 수 있다.
여기서, 택배 보관함(105)과의 인증에 성공하면 택배 보관함(105)과 배송인 단말(200) 사이에 블루투스 페어링이 설정될 수 있다. 배달이 완료된 후 배송인 단말(200)이 택배 보관함(105)으로부터 일정 거리 이상 멀어지면 블루투스 페어링이 해제된다. 블루투스 페어링이 해제됨을 신호로 하여 택배 보관함(105)은 도어를 잠금 상태로 전환할 수 있다. 또한, 블루투스 페어링이 해제됨을 신호로 하여 배송인 단말(200)에서 배송완료 정보를 택배 관리 서버(310) 또는 전용 메시지 관리 서버(330)로 송신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러한 구성에 따라,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택배 서비스 시스템은, 배송물에 부착된 송장정보를 포함한 코드를 배송인 단말(200)로 촬영하거나 스캔하여 배송인 정보 및 송장정보를 이동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택배 관리 서버(310)에 전송하면, 택배 관리 서버(310)로부터 송장정보에 해당하는 주소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배송인 단말(200)이 주소정보를 근거리 통신을 통해 택배 보관함(105)으로 전송하면 택배 보관함(105)에서 비어 있는 보관함의 시리얼정보를 배송인 단말(200)에 전송한다. 배송인 단말(200)은 비어 있는 보관함의 시리얼정보를 이동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인증서버(320)로 전송하여 인증키를 요청하고, 인증서버(320)로부터 수신된 인증키를 택배 보관함(105)에 근거리 통신 방식으로 송신한다. 택배 보관함(105)은 배송인 단말(200)로부터 수신된 인증키와 기저장된 정보를 비교하여 인증키의 유효성을 판단하고, 유효한 것으로 인증되면 도어를 개방한다. 배송이 완료되면 배송인 단말(200)은 택배 관리 서버(310) 혹은 전용 메시지 관리 서버(330)에서 배송완료 정보를 전송하여 수신인 단말(250)에 배송완료 메시지가 발신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택배 서비스 시스템의 배송 방법의 흐름도이다.
배송인 단말(200)은 바코드, QR코드 등의 코드형태로 부착된 송장정보를 카메라로 촬영하거나 스캐너로 스캔하여 코드정보를 획득한다(S210).
배송인 단말(200)은 획득된 코드정보와 배송인 정보를 이동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택배 관리 서버(310)에 전송한다(S212). 배송인 정보는 배송인의 ID, 전화번호 등 배송인을 식별할 수 있는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전용 앱에 배송인 식별을 위한 배송인 정보가 미리 저장되어 있는 경우, 별도의 추가 입력 과정 없이 코드 스캔 후 전송 메뉴를 선택하면 배송인 정보와 코드정보가 택배 관리 서버(310)로 전송된다.
택배 관리 서버(310)는 배송인 단말(200)로부터 배송인 정보와 코드정보가 수신되면 배송인 정보를 기 저장된 정보와 비교하여 사전에 등록된 배송인인지 여부를 판단한다. 유효한 배송인으로 판단되면 택배 관리 서버(310)는 배송인 정보와 함께 수신된 코드정보에 해당되는 주소정보를 판독하여 배송인 단말(200)로 전송한다(S214).
배송인 단말(200)은 수신된 주소정보를 근거리 통신을 통해 택배 보관함(105)으로 전송한다(S216).
택배 보관함(105)은 수신된 주소정보의 유효한 주소정보인지 판단하고, 유효한 주소정보인 경우 사용 가능한 보관함을 검색한다(S218). 택배 보관함(105)은 전체 보관함들 중 비사용 상태인 보관함을 사용 가능한 보관함으로 판단할 수 있다.
택배 보관함(105)은 사용 가능한 보관함의 시리얼정보를 배송인 단말(200) 측에 송신한다(S220).
배송인 단말(200)은 수신된 시리얼정보를 이동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인증서버(320)로 전송하여 인증키를 요청한다(S222).
인증서버(320)는 네트워크를 통해 배송인 단말(200)로부터 택배 보관함(105)의 시리얼정보와 함께 인증키 생성 요청을 수신하면, 시리얼정보에 따라 인증키를 생성하여 배송인 단말(200)로 전송한다(S224). 인증서버(320)는 시리얼정보에 따라 OTP(One Time Password)를 생성하여 전송할 수 있으며, 혹은, PKI(Public Key Infrastructure) 방식으로 인증키를 생성하여 전송할 수 있다.
배송인 단말(200)은 인증서버(320)로부터 수신된 인증키를 택배 보관함(105)에 근거리 통신 방식으로 송신하여 인증을 요청한다(S226).
택배 보관함(105)과의 인증에 성공하면 택배 보관함(105)과 배송인 단말(200) 간에 블루투스 페어링이 설정되고(S228), 택배 보관함(105)은 해당 시리얼정보에 대응되는 보관함의 도어를 개방한다(S230). 택배 보관함(105)은 도어를 개방한 후 배송인 단말(200)이 일정 거리 이상 이격되어 블루투스 페어링이 해제되면 도어를 다시 잠금 상태로 전환할 수 있다.
택배 보관함(105)에 배송물을 수납한 후 배송인이 배송인 단말(200)에서 배송완료를 전송하면(S232), 메시지 관리 서버(330)에서 배송완료 정보를 수신하여 수신인 단말(250)에 택배 배달 완료 메시지를 전송한다(S234).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택배 서비스 시스템에 따르면, 택배 보관함(100)과 배송자 단말 간의 근거리 통신을 통해 OTP(One Time Password)/PKI(Public Key Infrastructure) 등의 인증키를 이용하여 보관함의 사용 권한을 인증함으로써, 수령인 부재시에도 안전하고 편리하게 배송물품을 배송할 수 있다. 또한, 배송인 단말(200)에서 송장정보가 저장된 코드를 획득하여 전송하는 동작만으로 택배함과 배송자 단말 간의 일련의 인증 과정이 자동으로 수행되도록 하여 배송 시 편의를 증진시킬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택배 서비스 시스템에 적용된 택배 보관함(100)과 배송자 단말 간의 사용 권한 인증방식은 택배 보관함(100)과 같이 공동주택에서 사용되는 공용 시설물, 예컨대, 공용 현관의 출입문, 방화문, 주차장의 차단기, 엘리베이터, 단지 내에 설치된 자전거 보관대, 쓰레기 종량기 등에도 적용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시설물 사용자 인증 시스템의 네트워크 구성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시설물 사용자 인증 시스템은, 세대원 인증이 필요한 시설물(400), 인증서버(320) 및 세대원 단말(260)을 포함한다.
시설물(400)은 아파트, 빌라, 오피스텔과 같은 공동주택에 마련되어 세대원들이 공용으로 사용하는 택배 보관함, 공용 현관의 출입문, 방화문, 주차장의 차단기, 엘리베이터, 단지 내에 설치된 자전거 보관대, 쓰레기 종량기 등의 다양한 시설들을 포함할 수 있다. 시설물(400)은 근거리 무선통신을 이용한 인증 기능을 수행하여 인증 여부에 따라 사용을 허가 또는 차단할 수 있다. 택배 보관함, 공용 현관의 출입문, 방화문, 주차장의 차단기, 엘리베이터는 도어의 잠금 및 해제 기능이 제어될 수 있고, 자전거 보관대는 잠금장치의 잠금 및 해제 기능이 제어될 수 있으며, 쓰레기 종량기는 쓰레기 중량을 승인 혹은 불승인할 수 있다. 시설물(400)은 근거리 통신을 통해 세대원 단말(260)에 OTP 보안인증 정보를 전송하고, 이 후, 세대원 단말(260)로부터 근거리 통신을 통해 인증키가 수신되면 기저장된 인증키와 수신된 인증키를 확인하여 시설물(400)에 대한 사용을 허여하거나 차단한다.
인증서버(320)는 시설물(400)과 세대원 단말(260)이 서로 상대를 인증할 때 사용되는 인증키를 생성하여 제공한다. 인증서버(320)는 시설물(400)의 OTP 보안인증 정보를 저장하여 각각의 OTP 보안인증 정보에 대응되는 인증키를 생성한다. 인증서버(320)는 네트워크를 통해 세대원 단말(260)로부터 시설물(400)의 OTP 보안인증 정보와 함께 인증키 생성 요청을 수신하고, 수신된 OTP 보안인증 정보에 따른 인증키를 생성하여 세대원 단말(260)로 전송한다.
세대원 단말(260)은 근거리 통신과 이동통신 네트워크 통신이 모두 가능한 스마트폰, 태블릿 등의 휴대형 통신단말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시설물 사용자 인증 시스템에 적용되기 위해, 세대원 단말(260)에는 전용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될 수 있다. 세대원 단말(260)은 시설물(400)로부터 수신된 OTP 보안인증 정보를 이동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인증서버(320)로 전송하여 인증키를 요청한다. 세대원 단말(260)은 인증서버(320)로부터 수신된 인증키를 시설물(400)에 근거리 통신 방식으로 송신하여 인증을 요청한다. 시설물(400)과의 인증에 성공하면 시설물(400)을 이용할 수 있다. 여기서, 시설물(400)과의 인증에 성공하면 시설물(400)과 세대원 단말(260) 사이에 블루투스 페어링이 설정될 수 있다. 세대원이 시설 이용 후 시설물(400)로부터 일정 거리 이상 멀어지면 블루투스 페어링이 해제된다. 블루투스 페어링이 해제됨을 신호로 하여 시설물(400)은 사용되기 이전 상태로 전환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따라,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시설물 사용자 인증 시스템은, 세대원 단말(260)에서 시설물(400)로부터 근거리 통신 방식으로 OTP 보안인증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된 OTP 보안인증 정보를 이동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인증서버(320)로 전송하여 인증키를 요청할 수 있다. 세대원 단말(260)은 인증서버(320)로부터 수신된 인증키를 시설물(400)에 근거리 통신 방식으로 송신함으로써 해당 시설물(400)의 사용 권한을 인증받을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시설물 사용자 인증 방법의 흐름도이다.
시설물(400)은 근거리 통신을 통해 세대원 단말(260)에 OTP 보안인증 정보를 전송한다(S310). OTP 보안인증 정보는 인증서버(320)에 인증키를 요청하기 위해 전송하는 정보로서, 인증서버(320)에 저장된 해당 시설물(400)의 시리얼정보, 고유ID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세대원 단말(260)은 시설물(400)로부터 수신된 OTP 보안인증 정보를 이동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인증서버(320)로 전송하여 인증키를 요청한다(S312).
인증서버(320)는 세대원 단말(260)의 인증키 요청에 응답하여 수신된 OTP 보안인증 정보에 대응되는 인증키를 세대원 단말(260)로 전송한다(S314). 여기서 인증키는, OTP 보안인증 정보에 따라 미리 설정된 인증키, 세대원에 따라 설정된 인증키, 혹은, 일회성 인증키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세대원 단말(260)은 인증서버(320)로부터 수신된 인증키를 시설물(400)에 근거리 통신 방식으로 송신하여 인증을 요청한다(S316).
시설물(400)은 수신된 인증키를 기저장된 인증키와 비교하여 인증하고, 인증 성공 시 해당 세대원이 시설물(400)을 사용할 수 있도록 기설정된 기능을 수행한다(S318).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시설물 사용자 인증 시스템은 세대원 단말에서 시설물로부터 근거리 통신 방식으로 OTP 보안인증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된 OTP 보안인증 정보를 이동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인증서버로 전송하여 인증키를 요청할 수 있다. 시설물과 세대원 단말 간에는 근거리 통신을 통해 인증키를 이용하여 사용 권한을 인증함으로써 공동주택에서 사용되는 공용 시설물에 대한 보안 관리 시스템을 용이하게 구축할 수 있다. 또한, 세대원들은 별도의 패스워드를 설정하거나 물리적인 키를 구비하지 않더라도 단말에 설치된 전용 앱을 이용하여 시설물에 대한 사용을 인증 받을 수 있으므로 사용상 편의가 증진된다.
100 : 택배 보관함 105 : 택배 보관함
200 : 배송인 단말 250 : 수신인 단말
260 : 세대원 단말 310 : 택배 관리 서버
320 : 인증서버 330 : 메시지 관리 서버
400 : 시설물

Claims (14)

  1. 배송인 단말이 배송인 정보 및 송장정보를 택배 관리 서버에 전송하여 상기 송장정보에 해당하는 주소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배송인 단말이 상기 주소정보를 복수개의 보관함들을 관리하는 보관함 관리장치에 전송하는 단계;
    상기 보관함 관리장치에서 상기 복수개의 보관함들 중 사용 가능한 보관함에 대응되는 시리얼정보를 상기 배송인 단말에 전송하는 단계;
    상기 배송인 단말이 상기 시리얼정보를 인증서버로 전송하여 상기 시리얼정보에 해당하는 인증키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배송인 단말이 상기 인증키를 상기 보관함 관리장치에 전송하여 인증을 요청하는 단계; 및
    상기 보관함 관리장치에서 상기 인증키를 기저장된 인증키와 비교하여 인증하고 인증에 성공한 경우 상기 사용 가능한 보관함의 도어를 개방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배송인 단말이 배송인 정보 및 송장정보를 택배 관리 서버에 전송하여 상기 송장정보에 해당하는 주소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배송인 단말에서 배송물에 부착되어 상기 송장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코드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코드와 상기 배송인 정보를 상기 택배 관리 서버에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택배 관리 서버에서 상기 배송인 정보가 기저장된 배송인 정보와 일치하는 유효한 정보인지 판단하고, 상기 배송인 정보가 유효하면 상기 코드에 해당되는 상기 주소정보를 상기 배송인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보관함이 상기 인증키를 인증하여 도어를 개방하는 단계는,
    상기 보관함이 상기 수신된 인증키가 기저장된 인증키와 일치하는 유효한 인증키인지 판단하는 단계; 상기 인증키가 유효한 경우 상기 보관함과 상기 배송인 단말 간 블루투스 페어링을 수행하는 단계; 및 페어링이 완료되면 상기 보관함이 도어를 개방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배송인 단말과 블루투스 통신이 단절되면 상기 도어를 잠금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택배 서비스 방법.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관함 관리장치에서 상기 복수개의 보관함들 중 사용 가능한 보관함에 대응되는 시리얼정보를 상기 배송인 단말에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배송인 단말로부터 근거리 통신 방식으로 상기 주소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수신된 상기 주소정보를 기 저장된 세대원들의 주소정보와 비교하여 유효성을 판단하는 단계;
    상기 수신된 상기 주소정보가 유효한 것으로 판단된 경우 사용 가능한 보관함을 검색하는 단계;
    검색된 보관함의 시리얼 정보를 상기 배송인 단말에 근거리 통신 방식으로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택배 서비스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송인 단말이 상기 시리얼정보를 인증서버로 전송하여 상기 시리얼정보에 해당하는 인증키를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배송인 단말이 상기 시리얼정보를 상기 인증서버에 전송하여 상기 인증키를 요청하는 단계; 및
    상기 인증서버에서 상기 시리얼정보에 해당하는 인증키를 생성하여 상기 배송인 단말에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택배 서비스 방법.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배송인 단말이 상기 보관함에 웨이크업 신호를 송신하는 단계; 및
    상기 웨이크업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보관함이 활성화 상태로 전환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택배 서비스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송인 단말이 배송완료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 및
    메시지 관리 서버에서 상기 배송완료 정보에 따라 수령인 단말에 배송정보를 송신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택배 서비스 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증키는,
    OTP(One Time Password), PKI(Public Key Infrastructure)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택배 서비스 방법.
  9. 배송인 정보, 송장정보와 상기 송장정보에 대응되는 코드를 관리하는 택배 관리 서버;
    보관함의 시리얼정보가 저장되고 상기 시리얼정보에 대응되는 인증키를 제공하는 인증서버;
    배송물에 부착되어 상기 송장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코드정보를 획득하여 상기 배송인 정보와 상기 송장정보가 저장된 상기 코드정보를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택배 관리 서버로 전송하여, 상기 송장정보에 해당하는 주소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주소정보를 상기 보관함으로 전송하여 상기 주소정보에 대응되는 보관함의 시리얼정보를 수신하며, 상기 시리얼정보를 상기 인증서버로 전송하여 상기 시리얼정보에 해당하는 인증키를 수신하여 상기 보관함에 인증을 요청하는 배송인 단말; 및
    근거리 통신을 통해 상기 배송인 단말로부터 상기 주소정보가 수신되면 복수개의 보관함들 중 사용 가능한 보관함에 대응되는 시리얼정보를 상기 배송인 단말에 전송하고, 상기 근거리 통신을 통해 상기 배송인 단말로부터 수신된 인증키를 기저장된 인증키와 비교하여 인증에 성공하면 상기 사용 가능한 보관함의 도어를 개방하는 보관함 관리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택배 관리 서버는, 상기 배송인 단말로부터 상기 배송인 정보 및 상기 송장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코드를 획득하면, 상기 배송인 정보가 기저장된 배송인 정보와 일치하는 유효한 정보인지 판단하고, 상기 배송인 정보가 유효하면 상기 코드에 해당되는 상기 주소정보를 상기 배송인 단말로 전송하며,
    상기 보관함은, 상기 배송인 단말로부터 인증키를 수신한 후 상기 수신된 인증키가 기저장된 인증키와 일치하는 유효한 인증키인지 판단하고,
    상기 인증키가 유효한 경우 상기 보관함과 상기 배송인 단말 간 블루투스 페어링이 작업이 진행되어 페어링이 완료되면 상기 보관함이 도어를 개방하고, 상기 배송인 단말과 블루투스 통신이 단절되면 상기 도어를 잠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택배 서비스 시스템.
  10. 삭제
  11. 삭제
  12.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배송인 단말은 웨이크업 신호를 전송하고,
    상기 보관함은 상기 웨이크업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최소한의 전원으로 구동되는 슬립모드를 유지하고, 상기 웨이크업 신호가 수신된 경우 활성화 상태로 전환되는 택배 서비스 시스템.
  13.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배송인 단말로부터 배송완료 신호가 수신되면 수령인 단말에 배송정보를 송신하는 메시지 관리 서버를 더 포함하는 택배 서비스 시스템.
  14.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인증키는,
    OTP(One Time Password), PKI(Public Key Infrastructure)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택배 서비스 시스템.
KR1020190167668A 2019-12-16 2019-12-16 택배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 KR10210966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67668A KR102109669B1 (ko) 2019-12-16 2019-12-16 택배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67668A KR102109669B1 (ko) 2019-12-16 2019-12-16 택배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09669B1 true KR102109669B1 (ko) 2020-05-12

Family

ID=706795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67668A KR102109669B1 (ko) 2019-12-16 2019-12-16 택배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09669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884403A (zh) * 2021-02-04 2021-06-01 纳恩博(北京)科技有限公司 物品配送方法、装置、电子设备及存储介质
KR20220081716A (ko) 2020-12-09 2022-06-16 김영민 택배기사 건강 상태에 따른 업무량 조정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75282B1 (ko) * 2016-09-13 2018-07-05 이재용 개인용 무인 보관함 및 이를 이용한 우편/택배 관리 시스템
KR101921564B1 (ko) * 2017-06-08 2019-02-13 동명대학교 산학협력단 택배물품 오배송 방지 장치
KR101995874B1 (ko) * 2018-07-19 2019-07-04 정화찬 공동주택의 무인택배 시스템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75282B1 (ko) * 2016-09-13 2018-07-05 이재용 개인용 무인 보관함 및 이를 이용한 우편/택배 관리 시스템
KR101921564B1 (ko) * 2017-06-08 2019-02-13 동명대학교 산학협력단 택배물품 오배송 방지 장치
KR101995874B1 (ko) * 2018-07-19 2019-07-04 정화찬 공동주택의 무인택배 시스템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81716A (ko) 2020-12-09 2022-06-16 김영민 택배기사 건강 상태에 따른 업무량 조정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CN112884403A (zh) * 2021-02-04 2021-06-01 纳恩博(北京)科技有限公司 物品配送方法、装置、电子设备及存储介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181231B2 (en) Controlling access to a location
US9449448B2 (en) Controlling access to a location
US11657365B2 (en) Secured parcel locker system with improved security
CA2924381C (en) Access control using portable electronic devices
CN106375091B (zh) 经由访问控制设备建立到用户设备的通信链路
US20170181559A1 (en) Delivery freight deposit box and method for receiving delivery freight using the same and method for certificatting password
KR20150020926A (ko) 무인택배 보관함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US11256222B2 (en) Assistance for the causing of actions
KR102109669B1 (ko) 택배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
JP2009187183A (ja) 認証チェックシステム、携帯端末、認証チェックサーバ、認証チェック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2007052513A (ja) 対象装置、認証デバイスおよび認証方法
KR20120086614A (ko) 자동 택배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US20220338658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providing secure access to a receptacle
CA3047797C (en) Method, system and software product for providing temporary access to an area controlled by network-connected endpoint devices
KR102109666B1 (ko) 우편/택배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
KR102344137B1 (ko) 시설물 사용자 인증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US20210358247A1 (en) Access control system with wireless communication
WO2016079860A1 (ja) 来訪者認証システム、及び来訪者認証方法
WO2018095182A1 (zh) 一种数据交互方法及系统
KR20200045158A (ko) 무인 택배 시스템
US20230122764A1 (en) Secure Package Delivery
KR102295905B1 (ko) 배송자의 정보확인이 가능한 물품배송방법
JP2019191884A (ja) 共用システム及び機器共用方法
KR20160015551A (ko) 무선네트워크망을 이용한 위치기반의 기업 출결관리 시스템
KR20080078128A (ko) Rfid를 이용한 비밀문서 관리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