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20677A - Auxiliary unit for impression acquisitioning of implant - Google Patents

Auxiliary unit for impression acquisitioning of implant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20677A
KR20210120677A KR1020200037683A KR20200037683A KR20210120677A KR 20210120677 A KR20210120677 A KR 20210120677A KR 1020200037683 A KR1020200037683 A KR 1020200037683A KR 20200037683 A KR20200037683 A KR 20200037683A KR 20210120677 A KR20210120677 A KR 2021012067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upling
column
groove
impression
impression tak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37683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325416B1 (en
Inventor
최병열
Original Assignee
최병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병열 filed Critical 최병열
Priority to KR10202000376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25416B1/en
Publication of KR202101206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20677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254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25416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01Impression means for implants, e.g. impression cop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9/00Impression cups, i.e. impression trays; Impression methods
    • A61C9/0006Impression tray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Dentistry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Dental Prosthetic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uxiliary unit for impression acquisitioning of an implant, and more specifically, to an auxiliary unit for impression acquisitioning of an impla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auxiliary unit for impression acquisitioning of the implant includes: a coupling part through which a fastening hole is formed and is coupled by a screw and a fixture placed in an alveolar bone; and a plate part detachably coupled to the coupling part, wherein the plate part is laminated on an upper surface of the coupling part in one or multiple stages according to a separation distance between the coupling part and opposing teeth. Therefore, since height is adjustable, operator's convenience can be improved.

Description

임플란트용 인상 채득 보조구{AUXILIARY UNIT FOR IMPRESSION ACQUISITIONING OF IMPLANT}Impression taking aid for implants

본 발명은 임플란트용 인상 채득 보조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픽스쳐에 결합되어 대합치의 인상을 채득하기 위한 임플란트용 인상 채득 보조구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impression taking aid for implants, and more particularly, to an impression taking aid for implants for acquiring an impression of an opposing tooth by being coupled to a fixture.

치아용 임플란트(dental implant)는 전체적으로 자연 치아가 상실된 부분에 식립되어 치아를 대신하는 인공치아 구조 또는 시술방법을 의미한다.A dental implant refers to an artificial tooth structure or a surgical method that is implanted in a portion where natural teeth are lost as a whole to replace teeth.

임플란트는 피시술자의 치조골에 식립되어 자연 치아의 치근에 상응하는 구조체인 픽스쳐(Fixture), 자연 치아의 치관에 상응하는 구조체인 크라운(Crown) 및 픽스쳐 및 크라운 사이에 개재되어 이들을 연결하는 어버트먼트(Abutment)로 구성된다. 이때, 크라운의 외형은 상실치아와 교합하는 대합치의 형상에 의해 결정된다.The implant is placed in the alveolar bone of the recipient and is interposed between the fixture, which is a structure corresponding to the root of a natural tooth, a crown, which is a structure corresponding to the crown of a natural tooth, and an abutment ( Abutment). At this time, the appearance of the crown is determined by the shape of the opposing teeth that occlude the missing teeth.

크라운의 제작을 위해선 인상재를 이용해 대합치의 정보를 획득하는 인상 채득 과정이 필수적으로 진행되어야 하며, 피술자의 치조골에 픽스쳐가 식립된 상태에서 픽스쳐에 보조구를 체결한 후 그 위에 인상재를 얹어 채득을 실시한다.In order to manufacture the crown, the impression taking process of acquiring information on the opposing tooth using an impression material is essential. After the auxiliary tool is fastened to the fixture with the fixture placed in the alveolar bone of the subject, the impression material is placed on it to take the impression. Conduct.

이때, 보조구 상에 얹어지는 인상재의 두께가 두꺼워질수록 크라운 제작 시 오차가 커질 수 있어, 최적의 두께(0.5~1.5mm)로 인상 채득을 진행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종래의 보조구는 높이 조절이 불가능한 구조로 형성되어 시술자는 다양한 높이의 보조구를 하나하나 갈아 끼워가며 피시술자에게 적합한 높이의 보조구를 찾는 과정을 반복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At this time, as the thickness of the impression material placed on the auxiliary tool becomes thicker, the error in crown manufacturing may increase, so it is preferable to proceed with the impression taking with the optimum thickness (0.5 to 1.5 mm). Since it is formed in an impossible structure, the operator has the inconvenience of having to repeat the process of finding an auxiliary tool of a suitable height for the person to be treated while changing the auxiliary tools of various heights one by one.

따라서, 높이 조절이 가능한 임플란트용 인상 채득 보조구에 대한 요구가 생기게 되었다.Accordingly, there has been a demand for an impression taking aid for implants capable of height adjustment.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높이 조절이 가능한 임플란트용 인상 채득 보조구를 제공하는 것이다.The technical problem to be achie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impression taking aid for implants capable of height adjustment.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technical problems to be achieved by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technical problems mentioned above, and other technical problems not mentioned can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from the description below. There will be.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체결공이 관통 형성되어 치조골에 식립된 픽스쳐와 스크류에 의해 결합되는 결합부와, 결합부와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플레이트부를 포함하고, 플레이트부는 결합부와 대합치 간의 이격거리에 따라 일단 또는 다단으로 결합부의 상면에 적층되는 임플란트용 인상 채득 보조구를 제공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technical object,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oupling part through which a fastening hole is formed and coupled by a screw and a fixture implanted in the alveolar bone, and a plate part detachably coupled to the coupling part, and the plate part It provides an impression taking aid for implants that are stack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coupling part in one or multiple stages according to the separation distance between the coupling part and the opposing teeth.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결합부는 픽스쳐의 상단부에 삽입 가능한 다각형 기둥 형태의 하부기둥과, 하부기둥의 상면에서 제1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며, 점차 증가하는 단면적을 갖는 중간기둥과, 중간기둥의 상면에서 제1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상부기둥을 포함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upling portion is formed to extend in the first direction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lower column and the lower column in the form of a polygonal column that can be inserted into the upper end of the fixture, the intermediate column having a gradually increasing cross-sectional area, and the middle It may include an upper column formed extending in the first direction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column.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부기둥은 상면에 체결공 보다 넓은 직경을 갖는 제1결합홈이 체결공을 중심으로 함몰 형성되고, 제1방향과 수직한 제2방향을 따라 한 쌍의 제2결합홈이 함몰 형성되며, 제2결합홈은 제1결합홈을 기준으로 상호 대칭되는 구조를 가지며, 플레이트부는 하면에 제1결합홈과 결합 가능한 제1결합돌기가 돌출 형성되고, 제2결합홈과 각각 결합 가능한 한 쌍의 제2결합돌기가 돌출 형성되며, 상면에 제1결합돌기와 대응하는 제3결합홈 및 제2결합돌기와 각각 대응하는 한 쌍의 제4결합홈이 함몰 형성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upper column has a first coupling groove having a wider diameter than the fastening hole on the upper surface is recessed around the fastening hole, and a pair of first coupling grooves are formed along the second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first direction. 2 coupling grooves are recessed, the second coupling grooves have a structure symmetrical to each other with respect to the first coupling grooves, and a first coupling protrusion capable of being engaged with the first coupling recesses is form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plate portion to protrude, and the second coupling grooves are formed to protrude. A pair of second coupling protrusions that can be engaged with the grooves are formed to protrude, and a third coupling groove corresponding to the first coupling protrusion and a pair of fourth coupling grooves respectively corresponding to the second coupling protrusions may be recessed in the upper surface. .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결합부 및 플레이트부는 상면과 측면에 걸쳐 삼각형의 단면을 갖는 한 쌍의 기준홈이 함몰 형성되되, 상호 대향 배치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pair of reference grooves having a triangular cross section over the upper surface and the side surface of the coupling part and the plate part are recessed, and may be disposed opposite to each other.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결합부의 상면 및 플레이트부의 상, 하면은 테두리를 따라 테이퍼진 경사면이 형성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upper surface of the coupling portion and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of the plate portion may be tapered inclined surfaces along the edges.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은 픽스쳐에 체결된 상태에서 높이가 조절 가능하기 때문에, 시술자의 편의성이 향상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present invention can adjust the height in a state fastened to the fixture, the operator's convenience can be improved.

본 발명의 효과는 상기한 효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 또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구성으로부터 추론 가능한 모든 효과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The 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above effects, but it should be understood to include all effects that can be inferred from the configuration of the invention described in the detailed description or claims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인상 채득 보조구를 도시하는 분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인상 채득 보조구의 결합부를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인상 채득 보조구의 플레이트부를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인상 채득 보조구를 도시하는 분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인상 채득 보조구의 결합부를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인상 채득 보조구의 사용 상태도이다.
1 is an exploded view showing an impression taking aid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plan view showing a coupling portion of the impression taking aid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plan view showing the plate portion of the impression taking aid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n exploded view showing an impression taking aid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plan view showing a coupling portion of the impression taking aid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6 is a state diagram of the use of the impression taking aid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따라서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embodied in several different forms, and thus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herein. And in order to clearly explain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drawings, parts irrelevant to the description are omitted, and similar reference numerals are attached to similar part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접속, 접촉, 결합)"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부재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구비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Throughout the specification, when a part is said to be “connected (connected, contacted, coupled)” with another part, it is not only “directly connected” but also “indirectly connected” with another member interposed therebetween. Including cases where In addition, when it is said that a part "includes" a certain component, it means that other components may be further provided without excluding other components unless otherwise stated.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The terms used herein are used only to describe specific embodiments,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The singular expression includes the plural expression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In this specification, terms such as "comprises" or "have" are intended to designate that the features, numb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exist, but one or more other features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is does not preclude the existence or addition of numb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인상 채득 보조구(1)를 도시하는 분해도이다.1 is an exploded view showing an impression taking assisting tool 1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인상 채득 보조구(1)는 상실치와 대응하는 대합치의 인상 채득을 위해 인상재(I)를 지지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치조골에 식립된 픽스쳐(F)와 결합되는 결합부(10) 및 결합부(10)의 상부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어 인상재(I)를 지지하는 하나 이상의 플레이트부(2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결합부(10) 및 플레이트부(20)는 세라믹, 금속, 금속합금과 같이 인체에 무해한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Impression taking aid (1) serves to support the impression material (I) for taking impressions of the lost teeth and the corresponding opposing teeth, and the coupling portion 10 and the coupling portion coupled to the fixture (F) placed in the alveolar bone It may include one or more plate portions 20 detachably coupl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portion 10 to support the impression material (I). At this time, the coupling part 10 and the plate part 20 may be made of a material harmless to the human body, such as ceramic, metal, or metal alloy.

한편, 플레이트부(20)는 결합부(10)와 대합치 간의 이격거리에 따라 일단 또는 다단으로 결합부(10)의 상면에 적층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최상층에 위치한 플레이트부(20)의 상면에 인상재(I)가 배치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plate part 20 may be lamina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coupling part 10 in one or multiple stages according to the separation distance between the coupling part 10 and the opposing teeth, and in this case, the upper surface of the plate part 20 located in the uppermost layer The impression material (I) may be disposed.

이하에서는 도 2를 참조하여 결합부(10)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Hereinafter, the coupling unit 10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2 .

결합부(10)는 제1방향으로 체결공(11)이 관통 형성될 수 있으며, 체결공(11)에 삽입된 스크류(S)에 의해 치조골에 식립된 픽스쳐(F)와 결합될 수 있다. 이때, 체결공(11)은 원형 기둥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내주연을 따라 스크류(S)와 치합되는 나사산이 형성될 수 있다.The coupling part 10 may be formed through the fastening hole 11 in the first direction, and may be coupled with the fixture F implanted in the alveolar bone by the screw S inserted into the fastening hole 11 . At this time, the fastening hole 11 may be formed in the shape of a circular column, and a screw thread engaged with the screw S may be formed along the inner periphery.

결합부(10)는 픽스쳐(F)의 상단부에 형성된 홈과 대응되는 형상을 가지며, 제1방향으로 체결공(11)이 관통 형성되는 하부기둥(12), 하부기둥(12)의 상면에서 제1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며, 점차 증가하는 단면적을 갖는 중간기둥(13) 및 중간기둥(13)의 상면에서 제1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며, 일정한 단면적을 갖는 상부기둥(14)을 포함할 수 있다.The coupling portion 10 has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groove formed at the upper end of the fixture (F), and the lower column 12 through which the fastening hole 11 is formed in the first direction, and the second in the upper surface of the lower column 12 . It is formed to extend in one direction, is formed to extend in the first direction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intermediate pillar 13 and the intermediate pillar 13 having a gradually increasing cross-sectional area, and may include an upper pillar 14 having a constant cross-sectional area. have.

중간기둥(13)은 하부기둥(12)과 연결된 일단에서 상부기둥(14)과 연결된 타단으로 갈수록 점차 증가하는 단면적을 가지며, 잇몸이나 인접한 치아 등의 손상을 방지하기 위해 측면부가 라운드지게 굴곡될 수 있다.The intermediate column 13 has a cross-sectional area that gradually increases from one end connected to the lower column 12 to the other end connected to the upper column 14, and the side portion can be rounded to prevent damage to the gums or adjacent teeth. have.

상부기둥(14)은 사각 평판부재(141), 사각 평판부재(141)의 일측면에서 연장되어 형성되는 제1반원 평판부재(142) 및 사각 평판부재(141)의 타측면에서 연장되어 형성되되, 사각 평판부재(141)를 사이에 두고 제1반원 평판부재(142)와 대칭되는 제2반원 평판부재(143)로 구분될 수 있다. 즉, 상부기둥(14)은 일측과 그와 평행한 타측이 잘린 원형의 평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The upper pillar 14 is formed by extending from the other side of the square plate member 141, the first semi-circular plate member 142 formed by extending from one side of the square plate member 141, and the square plate member 141. , may be divided into a second semi-circular plate member 143 symmetrical to the first semi-circular plate member 142 with the square plate member 141 interposed therebetween. That is, the upper pillar 14 may be formed in a circular flat plate shape in which one side and the other side parallel to it are cut off.

이로 인해, 시술자는 치아가 식립될 공간의 크기에 따라 결합부(10)의 방향을 전환하여 이용할 수 있다. 충분한 공간이 확보된 경우, 제1반원 평판부재(142)와 제2반원 평판부재(143)가 각각 서로 다른 인접치를 향하도록 배치될 수 있으며, 공간이 협소하여 상술한 배치가 불가능한 경우, 제1 반원 평판부재(142) 및 제2 반원 평판부재(143)가 각각 설측과 볼측을 향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For this reason, the operator can change the direction of the coupling portion 10 according to the size of the space in which the teeth are to be implanted. When sufficient space is secured, the first semi-circular flat plate member 142 and the second semi-circular flat plate member 143 may be disposed to face different adjacent teeth, respectively. The semi-circular flat plate member 142 and the second semi-circular flat plate member 143 may be disposed to face the lingual side and the ball side, respectively.

한편, 하부기둥(12)의 높이는 픽스쳐(F)의 상단부에 형성된 홈의 높이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며, 중간기둥(13)과 상부기둥(14)을 합한 높이(b)는 4mm 내지 6mm 일 수 있다. 중간기둥(13)과 상부기둥을 합한 높이가 4mm미만 인 경우, 그 높이가 너무 낮아 많은 수의 플레이트부(20)가 필요할 수 있으며, 6mm를 초과하는 경우, 인접치의 높이보다 높을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height of the lower pillar 12 may vary depending on the height of the groove formed at the upper end of the fixture (F), and the combined height (b) of the middle pillar 13 and the upper pillar 14 may be 4mm to 6mm. . If the combined height of the middle column 13 and the upper column is less than 4 mm, the height is too low and a large number of plate portions 20 may be required, and if it exceeds 6 mm, it may be higher than the height of the adjacent teeth.

이하에서는 도 3을 참조하여 플레이트부(20)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Hereinafter, the plate part 20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3 .

플레이트부(20)는 하부에 결합부(10)가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으며, 상부에 인상재(I)가 배치될 수 있다.The plate portion 20 may be detachably coupled to the coupling portion 10 at the lower portion, and the impression material I may be disposed on the upper portion.

플레이트부(20)는 사각 평판부재(21), 사각 평판부재(21)의 일측면에서 연장되어 형성되는 제1반원 평판부재(22), 사각 평판부재(21)의 타측면에서 연장되어 형성되되, 사각 평판부재(21)를 사이에 두고 제1반원 평판부재(22)와 대칭되는 제2반원 평판부재(23)로 구분될 수 있다. 즉, 플레이트부(20)는 일측과 그와 평행한 타측이 잘린 원형의 평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The plate part 20 is formed by extending from the other side of the square plate member 21, the first semicircular plate member 22 extending from one side of the square plate member 21, and the other side of the square plate member 21. , it can be divided into a second semi-circular plate member 23 symmetrical to the first semi-circular plate member 22 with the square plate member 21 interposed therebetween. That is, the plate part 20 may be formed in a circular flat plate shape in which one side and the other side parallel to it are cut off.

플레이트부(20)의 높이(a)는 1mm 내지 3mm일 수 있다. 플레이트부(20)의 높이가 1mm미만 인 경우, 결합부(10)에 결합 또는 분리 중 쉽게 파손될 수 있으며, 3mm를 초과하는 경우, 높이 조절의 정밀성이 떨어질 수 있다.The height (a) of the plate part 20 may be 1 mm to 3 mm. If the height of the plate portion 20 is less than 1 mm, it may be easily damaged during coupling or separation to the coupling portion 10, and if it exceeds 3 mm, the precision of height adjustment may be deteriorated.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상부기둥(14)의 상면과 플레이트부(20)의 상, 하면에는 각각 테두리를 따라 테이퍼진 경사면(144, 24)이 형성될 수 있다. 테이퍼진 경사면(144, 24)에 의해 결합부(10)와 플레이트부(20) 사이 및 상호 인접한 한 쌍의 플레이트부(20) 사이에는 분리홈이 형성될 수 있으며, 사용자는 분리홈에 의해 비교적 쉽게 결합부(10)와 플레이트부(20) 또는 상호 인접한 한 쌍이 플레이트부(20)를 분리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upper surface of the upper column 14 and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of the plate portion 20 may be respectively formed with tapered inclined surfaces 144 and 24 along the edges. A separation groove may be formed between the coupling portion 10 and the plate portion 20 by the tapered inclined surfaces 144 and 24 and between a pair of mutually adjacent plate portions 20, and the user can use the separation groove to relatively The coupling part 10 and the plate part 20 or a pair adjacent to each other can easily separate the plate part 20 .

이하에서는 결합부(10)와 플레이트부(20)간의 결합 구조에 대해서 설명하도록 한다.Hereinafter, a coupling structure between the coupling part 10 and the plate part 20 will be described.

상부기둥(14)은 사각 평판부재(141)의 상면에 체결공(11)보다 넓은 단면적을 갖는 원형 기둥 형상의 제1결합홈(1411)이 체결공(11)을 중심으로 함몰 형성될 수 있다. The upper column 14 may have a circular column-shaped first coupling groove 1411 having a larger cross-sectional area than the fastening hole 11 on the upper surface of the square plate member 141 , and may be recessed around the fastening hole 11 . .

또한, 상부기둥(14)은 사각 평판부재(141)의 상면에 제1방향과 수직한 제2방향을 따라 한 쌍의 제2결합홈(1412)이 상호 이격되어 함몰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제1결합홈(1411)은 사각 평판부재(141)의 상면 중심부에 형성되며, 제2결합홈(1412)은 사각 평판부재(141)의 상면에 반원 평판부재(142, 143)와의 경계를 따라 형성되고, 제1결합홈(1411)을 기준으로 상호 대칭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upper column 14 , a pair of second coupling grooves 1412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nd recessed in a second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first direction on the upper surface of the square plate member 141 . At this time, the first coupling groove 1411 is formed in the center of the upper surface of the square flat plate member 141, and the second coupling groove 1412 is on the upper surface of the square flat plate member 141 and the boundary with the semi-circular flat plate members 142 and 143. It is formed along the, and may be formed to be symmetrical to each other with respect to the first coupling groove (1411).

플레이트부(20)는 사각 평판부재(21)의 하면에 제1결합홈(1411)에 결합 가능한 제1결합돌기(211)가 돌출 형성되고, 제2결합홈(1412)에 각각 결합 가능한 한 쌍의 제2결합돌기(212)가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제1결합돌기(211)는 사각 평판부재(21)의 하면의 중심부에 형성되며, 한 쌍의 제2결합돌기(212)는 사각 평판부재(21)의 하면에 반원 평판부재(22, 23)와의 경계를 따라 형성되고, 제1결합돌기(211)를 기준으로 상호 대칭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The plate part 20 has a pair of first coupling protrusions 211 that can be coupled to the first coupling groove 1411 on the lower surface of the square plate member 21 protrudingly, and can be coupled to the second coupling recess 1412, respectively. of the second coupling protrusion 212 may be formed to protrude. At this time, the first coupling protrusion 211 is formed in the center of the lower surface of the square flat plate member 21, and a pair of second coupling protrusions 212 are form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square flat plate member 21 by a semi-circular plate member 22, 23) and may be formed to be symmetrical to each other with respect to the first coupling protrusion 211 .

즉, 결합부(10)와 플레이트부(20)는 제1결합홈(1411)과 제1결합돌기(211), 제2결합홈(1412)과 제2결합돌기(212)에 의해 결합이 이루어질 수 있다.That is, the coupling part 10 and the plate part 20 are coupled by the first coupling groove 1411 and the first coupling protrusion 211 , the second coupling groove 1412 and the second coupling protrusion 212 . can

이하에서는 상호 인접한 한 쌍의 플레이트부(20)간의 결합 구조에 대해서 설명하도록 한다.Hereinafter, a coupling structure between a pair of adjacent plate portions 20 will be described.

플레이트부(20)는 사각 평판부재(21)의 상면에 제1결합돌기(211)와 대응하는 제3결합홈(213)이 함몰 형성되고, 제2결합돌기(212)와 각각 대응하는 한 쌍의 제4결합홈(214)이 함몰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제3결합홈(213)은 사각 평판부재(21)의 상면의 중심부에 형성될 수 있으며, 제4결합홈(214)은 사각 평판부재(21)의 상면에 반원 평판부재(22, 23)와의 경계를 따라 형성될 수 있다.The plate portion 20 has a first coupling protrusion 211 and a third coupling groove 213 corresponding to the upper surface of the square plate member 21 recessed, and a pair of corresponding second coupling protrusions 212, respectively. The fourth coupling groove 214 of the may be recessed. At this time, the third coupling groove 213 may be formed in the center of the upper surface of the square flat plate member 21 , and the fourth coupling groove 214 is semi-circular flat plate members 22 and 23 on the upper surface of the square flat plate member 21 . ) can be formed along the boundary with

즉, 상호 인접한 한 쌍의 플레이트부(20)는 제1결합돌기(211)와 제3결합홈(213), 제2결합돌기(212)와 제4결합홈(214)에 의해 결합이 이루어질 수 있다.That is, the pair of adjacent plate portions 20 may be coupled by the first coupling protrusion 211 and the third coupling groove 213 , the second coupling protrusion 212 and the fourth coupling groove 214 . hav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플레이트부(20)는 상면에 위치를 확인하는 기준으로 작용하는 하나 이상의 안내홈(221)이 함몰 또는 돌출 형성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one or more guide grooves 221 serving as a reference for confirming the position of the plate part 20 may be recessed or protruded on the upper surface.

또한, 플레이트부(20)는 사각 평판부재(21)에 인상재 스캔 시 기준 좌표값 설정 위치를 안내하는 한 쌍의 기준홈(215)이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plate unit 20 may be formed with a pair of reference grooves 215 for guiding the reference coordinate value setting position when scanning the impression material on the square plate member 21 .

기준홈(215)은 한 쌍의 제4결합홈(214) 사이 이격공간에 상면과 측면에 걸쳐 함몰 형성될 수 있으며, 제3결합홈(213)을 사이에 두고 상호 대칭되게 배치될 수 있다. 이때, 기준홈(215)은 정삼각형 또는 이등변삼각형의 단면을 가질 수 있으며, 그 꼭지각이 서로를 향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The reference groove 215 may be recessed over the upper surface and the side surface in the space between the pair of fourth coupling grooves 214, and may be disposed symmetrically with the third coupling groove 213 interposed therebetween. In this case, the reference groove 215 may have a cross section of an equilateral triangle or an isosceles triangle, and may be disposed so that the vertices face each other.

즉, 사각 평판부재(21)는 상면의 중심부에 제3결합홈(213)이 형성될 수 있고, 상면의 일측 및 타측에 반원 평판부재(22, 23)와의 경계면을 따라 나란하게 한 쌍의 제4결합홈(214)이 형성될 수 있고, 상면의 전측 및 후측에 한 쌍의 기준홈(215)이 형성될 수 있다.That is, the rectangular flat plate member 21 may have a third coupling groove 213 formed in the center of the upper surface, and a pair of second coupling grooves 213 may be formed in parallel along the boundary surface with the semi-circular flat plate members 22 and 23 on one side and the other side of the upper surface. Four coupling grooves 214 may be formed, and a pair of reference grooves 215 may be formed on the front and rear sides of the upper surface.

한편, 결합부(10)도 동일한 기능의 기준홈(1414) 및 안내홈(1415)이 형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On the other hand, it goes without saying that the coupling portion 10 may also have a reference groove 1414 and a guide groove 1415 having the same function.

도 4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인상 채득 보조구(1)를 도시하는 분해도이다.4 is an exploded view showing an impression taking assisting tool 1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제2실시예에 대해서는 제1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하고, 해당 실시예에서 부가되거나 변경된 구성을 중점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With respect to the second embodiment, a description of the same configuration as that of the first embodiment will be omitted, and a configuration added or changed in the corresponding embodiment will be mainly described.

인상 채득 보조구(1)는 결합부(10)와 플레이트부(20) 사이에 배치되어, 필요에 따라 이들의 결합을 해제하는 이탈부(30)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부기둥(14)은 제1결합홈(1411)의 하부에 이탈부(30)가 안착 가능하며, 필요에 따라 이탈부(30)가 분리 가능하도록 개방된 구조를 갖는 안착홈부(1413)가 형성될 수 있다.The impression taking aid 1 is disposed between the coupling part 10 and the plate part 20, and may further include a departure part 30 for releasing these couplings as necessary, and the upper pillar 14 The detachable part 30 can be seated in the lower portion of the silver first coupling groove 1411 , and a seating groove 1413 having an open structure so that the detachable part 30 can be separated can be formed as needed.

도 5를 참조하면, 안착홈부(1413)는 제1결합홈(1411)보다 작은 단면적을 가지되 체결공(11)보다 넓은 단면적을 가지며, 제1결합홈(1411)의 바닥면에 형성되는 제1홈부재(1413a) 및 상부기둥(14)의 중심부에서 측면까지 일직선으로 형성되며, 제1홈부재(1413a)와 동일한 높이의 바닥면을 갖는 제2홈부재(1413b)를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5 , the seating groove 1413 has a smaller cross-sectional area than the first coupling groove 1411 , but has a larger cross-sectional area than the fastening hole 11 , and is form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first coupling groove 1411 . A first groove member 1413a and a second groove member 1413b formed in a straight line from the center to the side surface of the upper pillar 14 and having a bottom surface at the same height as the first groove member 1413a may be included.

제1홈부재(1413a)는 체결공(11)을 중심으로 형성될 수 있다. 다시 말해, 체결공(11), 제1결합홈(1411) 및 제1홈부재(1413a)는 다단 구조를 형성할 수 있으며, 이들의 중심은 상호 동일선상에 위치할 수 있다.The first groove member 1413a may be formed around the fastening hole 11 . In other words, the fastening hole 11 , the first coupling groove 1411 , and the first groove member 1413a may form a multi-stage structure, and their centers may be located on the same line with each other.

또한, 제1홈부재(1413a)는 사각형 기둥 형상으로 형성되고, 체경공(11) 및 제1결합홈(1411)은 원형 기둥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체결공(11)은 제1홈부재(1413a)의 바닥면에 내접할 수 있고, 제1홈부재(1413a)는 제1결합홈(1411)의 바닥면에 내접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first groove member 1413a may be formed in a rectangular column shape, and the body diameter hole 11 and the first coupling groove 1411 may be formed in a circular column shape. In this case, the fastening hole 11 may be inscribed with the bottom surface of the first groove member 1413a , and the first groove member 1413a may be inscribed with the bottom surface of the first coupling groove 1411 .

한편, 이탈부(30)는 제1홈부재(1413a)의 높이와 동일한 높이로 형성될 수 있으며, 제1홈부재(1413a)에 안착되는 사각형 기둥 형상의 받침부재(31) 및 받침부재(31)의 일측면에 연결되며, 제2홈부재(1413b)에 안착되는 누름부재(32)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누름부재(32)의 일영역은 제2홈부재(1413b)의 외부로 돌출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departure part 30 may be formed to have the same height as the height of the first groove member 1413a, and the support member 31 and the support member 31 in the shape of a rectangular column seated on the first groove member 1413a. ) connected to one side, and may include a pressing member 32 seated on the second groove member 1413b. At this time, one region of the pressing member 32 may protrude to the outside of the second groove member 1413b.

이에 따라, 시술자는 안착홈부(1413)에 이탈부(30)를 안착한 후, 결합부(10)에 플레이트부(20)를 결합할 수 있으며, 이후 인상 채득 과정이 완료되면 이탈부(30)를 하측으로 가압하여 결합부(10)의 상부에 위치한 플레이트부(20)를 분리할 수 있다.Accordingly, the operator may seat the detachment portion 30 in the seating groove portion 1413, and then couple the plate portion 20 to the coupling portion 10, and then, when the impression taking process is completed, the detachment portion 30 is removed. It is possible to separate the plate portion 20 locat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coupling portion 10 by pressing downward.

도 6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인상 채득 보조구(1)의 사용 상태도이다. 6 is a state diagram of the use of the impression taking assisting tool 1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시술자는 픽스쳐(F)에 스크류를 이용해 결합부(10)를 체결한 후, 결합부(10)와 대합치(T)간의 이격거리에 따라 결합부(10)의 상면에 하나 이상의 플레이트부(20)를 결합하고, 최상층에 위치한 플레이트부(20)의 상면에 인상재를 배치하여, 인상 채득 과정을 진행할 수 있다.After the operator fastens the coupling part 10 using a screw to the fixture (F), one or more plate parts 20 on the upper surface of the coupling part 10 according to the separation distance between the coupling part 10 and the opposing tooth T ), and placing the impression material on the upper surface of the plate part 20 located on the uppermost layer, the impression taking process can be performed.

본 발명은 플레이트부(20)의 결합 개수에 따라 인상재를 지지하는 면의 높이가 조절 가능하기 때문에, 크라운 제작의 오차율이 감소될 뿐만 아니라, 시술자의 편의성이 향상될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height of the surface supporting the impression material is adjustable according to the number of couplings of the plate portion 20, the error rate of crown manufacturing is reduced, and the operator's convenience can be improved.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The above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or illustration, and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can understand that it can be easily modified into other specific forms without changing the technical spirit or essential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Therefore,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are illustrative in all respects and not restrictive. For example, each component described as a single type may be implemented in a dispersed form, and likewise components described as distributed may be implemented in a combined form.

본 발명의 범위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dicated by the following claims, and all changes or modifications derived from the meaning and scope of the claims and their equivalent concepts should be construe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 : 임플란트용 인상 채득 보조구
10 : 결합부
20 : 플레이트부
1: Impression taking aid for implant
10: coupling part
20: plate part

Claims (5)

체결공이 관통 형성되어 치조골에 식립된 픽스쳐와 스크류에 의해 결합되는 결합부와, 상기 결합부와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플레이트부를 포함하는 임플란트용 인상 채득 보조구에 있어서,
상기 플레이트부는,
상기 결합부와 대합치 간의 이격거리에 따라 일단 또는 다단으로 상기 결합부의 상면에 적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임플란트용 인상 채득 보조구.
In an impression taking aid for implants comprising a coupling part through which a fastening hole is formed and coupled by a screw to a fixture placed in the alveolar bone, and a plate part detachably coupled to the coupling part,
The plate part,
Impression taking aid for implants, characterized in that stack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coupling part in one or multiple stages according to the separation distance between the coupling part and the opposing teeth.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는,
상기 픽스쳐의 상단부에 삽입 가능한 다각형 기둥 형태의 하부기둥과,
상기 하부기둥의 상면에서 제1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며, 점차 증가하는 단면적을 갖는 중간기둥과,
상기 중간기둥의 상면에서 상기 제1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상부기둥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임플란트용 인상 채득 보조구.
According to claim 1,
The coupling part,
A lower column in the form of a polygonal column that can be inserted into the upper end of the fixture,
an intermediate column extending in the first direction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lower column and having a gradually increasing cross-sectional area;
Impression taking aid for implant,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n upper column formed extending in the first direction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intermediate column.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기둥은,
상면에 상기 체결공 보다 넓은 직경을 갖는 제1결합홈이 상기 체결공을 중심으로 함몰 형성되고, 상기 제1방향과 수직한 제2방향을 따라 한 쌍의 제2결합홈이 함몰 형성되며,
상기 제2결합홈은 상기 제1결합홈을 기준으로 상호 대칭되는 구조를 가지고,
상기 플레이트부는,
하면에 상기 제1결합홈과 결합 가능한 제1결합돌기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제2결합홈과 각각 결합 가능한 한 쌍의 제2결합돌기가 돌출 형성되며,
상면에 상기 제1결합돌기와 대응하는 제3결합홈 및 상기 제2결합돌기와 각각 대응하는 한 쌍의 제4결합홈이 함몰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임플란트용 인상 채득 보조구.
3. The method of claim 2,
The upper column is
A first coupling groove having a larger diameter than the fastening hole is recessed around the fastening hole on the upper surface, and a pair of second coupling grooves are recessed along a second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first direction,
The second coupling groove has a structure symmetrical to each other with respect to the first coupling groove,
The plate part,
A first coupling protrusion capable of being engaged with the first coupling groove is protruded from the lower surface, and a pair of second coupling protrusions capable of being engaged with the second coupling groove are formed to protrude,
Impression taking aid for implants, characterized in that a pair of fourth coupling grooves respectively corresponding to the third coupling groove and the second coupling projection corresponding to the first coupling protrusion are recessed in the upper surfac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 및 상기 플레이트부는,
상면과 측면에 걸쳐 삼각형의 단면을 갖는 한 쌍의 기준홈이 함몰 형성되되, 상호 대향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임플란트용 인상 채득 보조구.
According to claim 1,
The coupling part and the plate part,
A pair of reference grooves having a triangular cross section over the upper surface and the side surface are recessed, characterized in that they are disposed opposite to each other, impression taking aid for implant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의 상면 및 상기 플레이트부의 상, 하면은, 테두리를 따라 테이퍼진 경사면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임플란트용 인상 채득 보조구.
According to claim 1,
The upper surface of the coupling part and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of the plate part, an impression taking aid for implant, characterized in that a tapered inclined surface is formed along the edge.
KR1020200037683A 2020-03-27 2020-03-27 Auxiliary unit for impression acquisitioning of implant KR102325416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37683A KR102325416B1 (en) 2020-03-27 2020-03-27 Auxiliary unit for impression acquisitioning of implan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37683A KR102325416B1 (en) 2020-03-27 2020-03-27 Auxiliary unit for impression acquisitioning of implant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20677A true KR20210120677A (en) 2021-10-07
KR102325416B1 KR102325416B1 (en) 2021-11-10

Family

ID=781146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37683A KR102325416B1 (en) 2020-03-27 2020-03-27 Auxiliary unit for impression acquisitioning of implant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25416B1 (en)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20052463A1 (en) * 2010-08-24 2012-03-01 Alan Pollet Device and Method for Capturing Dental Records
KR101320484B1 (en) * 2012-04-18 2013-10-29 인하대학교 산학협력단 Record jig
KR101910053B1 (en) * 2017-06-19 2018-10-19 주식회사 디오 impression taking apparatus for intra oral
KR101994119B1 (en) * 2018-08-24 2019-07-02 주식회사 올뎃덴탈 Occlusion meter for implant
KR20190089338A (en) 2018-01-22 2019-07-31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Healing abutment/impression cap assembly for dental implant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20052463A1 (en) * 2010-08-24 2012-03-01 Alan Pollet Device and Method for Capturing Dental Records
KR101320484B1 (en) * 2012-04-18 2013-10-29 인하대학교 산학협력단 Record jig
KR101910053B1 (en) * 2017-06-19 2018-10-19 주식회사 디오 impression taking apparatus for intra oral
KR20190089338A (en) 2018-01-22 2019-07-31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Healing abutment/impression cap assembly for dental implant
KR101994119B1 (en) * 2018-08-24 2019-07-02 주식회사 올뎃덴탈 Occlusion meter for implan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25416B1 (en) 2021-11-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630717A (en) Dental implant bar system and method
US20110065065A1 (en) Blank and method for producing a dental prosthesis
US20020039718A1 (en) Dental implant system and additional methods of attachment
US20110171603A1 (en) Implant abutment material for tailor-mad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abutment using the same
US20030108845A1 (en) Framework assembly for providing a passive fit with divergent implants
US20090298015A1 (en) Digital Abutment For Dental Implant System
KR20030089602A (en) Structure of dental implant
KR101469833B1 (en) Link for customized zirconia abutment of dental implant
EP1733698A2 (en) Abutment for dental implant
US9504540B2 (en) Dental implant with positioning marker and index portions
US9877809B2 (en) Abutment system for immediate implants for producing a dental prosthesis
KR102407250B1 (en) Lab Analog for Implant 3D Printing Models
KR102325416B1 (en) Auxiliary unit for impression acquisitioning of implant
US4802847A (en) Dental implant
KR102389090B1 (en) Assembled Healing Abutment
CN110547886A (en) Dental implant
US9872749B2 (en) Bite registration block and bite registration kit including the same
KR101525397B1 (en) Tool for adjusting an angle of a dental implant
CN210330790U (en) Bolt-channel type denture attachment and retention structure
JPH0191856A (en) Holding plate for denture
TWI615133B (en) Healing abutment, healing abutment assembly and selection method thereof
EP2179706B1 (en) Plate element for manufacturing a dental prosthesis
KR20210017176A (en) Guide drill assembly for implant
KR102479467B1 (en) Dental scan body holder
KR101498197B1 (en) Tool for adjusting an angle of a dental implan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