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20580A - 미용 시술 보조용 레이저 레벨 장치 - Google Patents

미용 시술 보조용 레이저 레벨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20580A
KR20210120580A KR1020200037475A KR20200037475A KR20210120580A KR 20210120580 A KR20210120580 A KR 20210120580A KR 1020200037475 A KR1020200037475 A KR 1020200037475A KR 20200037475 A KR20200037475 A KR 20200037475A KR 20210120580 A KR20210120580 A KR 2021012058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laser light
laser
light emitting
horizont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374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80889B1 (ko
Inventor
우한나
Original Assignee
우한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우한나 filed Critical 우한나
Priority to KR10202000374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80889B1/ko
Publication of KR202101205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2058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808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8088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37/00Other apparatus for introducing media into the body; Percutany, i.e. introducing medicines into the body by diffusion through the skin
    • A61M37/0076Tattooing apparatu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4/00Other cosmetic or toiletry articles, e.g. for hairdressers' rooms
    • A45D44/005Other cosmetic or toiletry articles, e.g. for hairdressers' rooms for selecting or displaying personal cosmetic colours or hairstyl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03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devices for testing the shape, pattern, colour, size or movement of the body or parts thereof, for diagnostic purposes
    • A61B5/107Measuring physical dimensions, e.g. size of the entire body or parts thereof
    • A61B5/1079Measuring physical dimensions, e.g. size of the entire body or parts thereof using optical or photographic mea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4/00Other cosmetic or toiletry articles, e.g. for hairdressers' rooms
    • A45D2044/007Devices for determining the condition of hair or skin or for selecting the appropriate cosmetic or hair treatm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90/00Instruments, implement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urgery or diagnosis and not covered by any of the groups A61B1/00 - A61B50/00, e.g. for luxation treatment or for protecting wound edges
    • A61B90/10Instruments, implement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urgery or diagnosis and not covered by any of the groups A61B1/00 - A61B50/00, e.g. for luxation treatment or for protecting wound edges for stereotaxic surgery, e.g. frame-based stereotaxis
    • A61B90/11Instruments, implement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urgery or diagnosis and not covered by any of the groups A61B1/00 - A61B50/00, e.g. for luxation treatment or for protecting wound edges for stereotaxic surgery, e.g. frame-based stereotaxis with guides for needles or instruments, e.g. arcuate slides or ball joints
    • A61B90/13Instruments, implement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urgery or diagnosis and not covered by any of the groups A61B1/00 - A61B50/00, e.g. for luxation treatment or for protecting wound edges for stereotaxic surgery, e.g. frame-based stereotaxis with guides for needles or instruments, e.g. arcuate slides or ball joints guided by light, e.g. laser point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05/00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 A61M2205/33Controlling, regulating or measuring
    • A61M2205/3306Optical measur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05/00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 A61M2205/58Means for facilitating use, e.g. by people with impaired vision
    • A61M2205/587Lighting arrangemen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ublic Health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Surgery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Path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Dermatology (AREA)
  • Dentistry (AREA)
  • Biophysics (AREA)
  • Virology (AREA)
  • Hematology (AREA)
  • Anesthesiology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Radiation-Therapy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미용 시술 보조용 레이저 레벨 장치에 관한 것으로,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레이저 레벨기를 이용하여 미용 시술 시 미간 중심, 눈썹 아랫선, 눈썹 윗선, 눈의 틀어짐, 입술 중심, 입술의 좌우대칭, 얼굴 틀어짐 및 헤어라인의 좌우대칭을 정확히 잡을 수 있도록 보조함으로써 미용 시술을 좀 더 편하게 진행할 수 있고, 더불어 더 나은 미용 시술 결과를 얻을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일례로, 레이저 광을 발산하고, 발산된 레이저 광의 수평 및 수직에 대한 중심을 유지하는 레이저 광 발산부; 상기 레이저 광 발산부가 설치된 케이스부; 및 상기 케이스부의 전방 면에 설치되어 상기 레이저 광 발산부로부터 발산되는 레이저 광을 투과 및 확산시켜 적어도 하나의 연직선과 수평선의 레이저 광으로 각각 표시하기 위한 레이저 광 투과 확산부를 포함하는 미용 시술 보조용 레이저 레벨 장치를 개시한다.

Description

미용 시술 보조용 레이저 레벨 장치{LASER LEVEL DEVICE FOR BEAUTY TREATMENT ASISTANT}
본 발명의 실시예는 미용 시술 보조용 레이저 레벨 장치에 관한 것이다.
메이크업(make-up)은 주로 얼굴에 관한 화장의 기술로서, 이는 기초화장 및 색조화장 등 그 종류와 기술이 다양하며, 특히 눈 부위에 화장에 있어서는 좌우 대칭 및 균형을 이루는 것이 특히 난도가 높아 일반인은 물론 메이크업 아티스트들도 반복된 연습을 필요로 한다.
특히, 눈썹 화장의 경우 다른 부위의 화장과는 달리 사람의 인상을 크게 좌우하게 되므로, 메이크업 때마다 눈썹의 일부를 핀셋으로 뽑은 뒤 아이브로우 펜슬 등을 이용하여 원하는 스타일대로 눈썹을 다시 그리게 되는데, 이 경우 양쪽 눈썹의 대칭을 맞추는데 적잖은 어려움이 있어 불편함을 초래하였다.
더불어, 눈썹이 거의 없거나 희미한 경우에는 인상이 흐릿하게 보이거나, 깔끔하지 않은 인상을 전달할 수 있어 스타일링에 많은 관심을 기울이는 현대인들에게 있어 스트레스의 요인이 되고 있어, 그에 따라 외출 시마다 눈썹을 그리는데 많은 시간을 소요하고 있다.
이에 따라 현재 바늘을 이용하여 눈썹 부위의 피부 내에 직접 색소가 침적되도록 하는 반영구화장, 즉 눈썹 문 신이 도입되어 이용되고 있는데, 이와 같은 눈썹 문신의 경우 사람에게 직접 시술하기 이전에 많은 연습을 통해 숙련된 기술을 습득해야만이 자연스러운 눈썹 문신 시술이 가능하다.
그러나, 종래의 눈썹이나 입술, 헤어라인 등의 미용 시술 시 좌우의 수평 대칭을 정확히 파악해야 하지만, 대부분의 시술사의 경우 대부분 직접 자로 재거나 눈대중으로 디자인을 그리게 되는데 특히 노하우가 부족한 시술사의 경우 상당한 번거로움을 느낄 수 있고, 작은 실수에 의해 비대칭 시술 결과를 초래할 가능성이 있어 좀 더 정확한 대칭 확인을 위한 장치의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
공개특허공보 제10-2015-0142642호(2015년12월12일) 등록특허공보 제10-1566685호(2015년11월02일)
본 발명의 실시예는, 레이저 레벨기를 이용하여 미용 시술(반영구화장) 시 미간 중심, 눈썹 아랫선, 눈썹 윗선, 눈의 틀어짐, 입술 중심, 입술의 좌우대칭, 얼굴 틀어짐 및 헤어라인의 좌우대칭을 정확히 잡을 수 있도록 보조함으로써 미용 시술을 좀 더 편하게 진행할 수 있고, 더불어 더 나은 미용 시술 결과를 얻을 수 있도록 하는 미용 시술 보조용 레이저 레벨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미용 시술 보조용 레이저 레벨 장치는, 레이저 광을 발산하고, 발산된 레이저 광의 수평 및 수직에 대한 중심을 유지하는 레이저 광 발산부; 상기 레이저 광 발산부가 설치된 케이스부; 및 상기 케이스부의 전방 면에 설치되어 상기 레이저 광 발산부로부터 발산되는 레이저 광을 투과 및 확산시켜 적어도 하나의 연직선과 수평선의 레이저 광으로 각각 표시하기 위한 레이저 광 투과 확산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레이저 광 투과 확산부는, 종 방향으로 설치되고, 상기 레이저 광 발산부로부터 발산되는 레이저 광을 투과 및 확산시켜 피사체에 적어도 하나의 연직선을 표시하기 위한 제1 광 투과 확산부; 및 횡 방향으로 설치되고, 상기 레이저 광 발산부로부터 발산되는 레이저 광을 투과 및 확산시켜 피사체에 적어도 하나의 수평선을 표시하기 위한 제2 광 투과 확산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레이저 광 발산부는, 상기 제1 광 투과 확산부로 레이저 광을 발산하는 제1 광 발산부; 상기 제2 광 투과 확산부로 레이저 광을 발산하는 제2 광 발산부; 및 상기 제1 광 발산부와 상기 제2 광 발산부가 설치되고, 상기 케이스부의 내측 상부에 연결되어 추의 원리를 이용해 상기 레이저 광 발산부를 수평 및 수직에 대하여 중심을 유지하기 위한 수평 수직 유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케이스부는, 케이스 본체부; 상기 케이스 본체부의 외부에 설치되어 사용자 조작에 따라 상기 레이저 광 발산부의 전원을 온/오프하는 전원 스위치부; 상기 전원 스위치부의 스위칭 조작에 따라 상기 레이저 광 발산부로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공급부; 및 상기 케이스 본체부의 바닥면 중 상기 레이저 광 발산부와 대향 이격되는 위치에 설치되어 상기 수평 수직 유지부가 움직이지 않도록 자력을 이용하여 홀딩시키기 위한 마그네틱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광 투과 확산부 및 상기 제2 광 투과 확산부 중 적어도 하나는, 미용 시술 대상자의 얼굴에 표시되는 레이저 광을 해당 얼굴의 미간 중심, 눈썹 아랫선, 눈썹 윗선, 눈의 틀어짐, 입술 중심, 입술의 좌우대칭, 얼굴 틀어짐 및 헤어라인의 좌우대칭을 파악하기 위한 대칭 기준선으로 이용할 수 있도록 두 개의 라인으로 분리하여 표시되도록 하되, 분리된 두 개의 라인 간의 간격이 조절되도록 동작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광 투과 확산부는, 상기 제1 광 발산부로부터 발산되는 레이저 광을 투과 및 확산시켜 수직 레이저 라인으로 표시되도록 하는 제1 투과 확산 렌즈부; 상기 제1 투과 확산 렌즈부의 후면 중앙을 종 방향으로 가로지르도록 설치되어 상기 제1 투과 확산 렌즈부를 통해 투과 확산되는 레이저 광을 두 개의 수직 레이저 라인으로 나누되, 제1 제어신호에 따라 두 개의 수직 레이저 라인 간의 간격이 조절되도록 폴딩 및 언폴딩 동작하는 제1 광 디바이더 구동부; 및 상기 케이스부의 외측에 설치되어 다이얼 조작에 따라 상기 제1 제어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제1 광 디바이더 구동부로 출력하는 제1 레이저 라인 간격 조절 다이얼 버튼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광 투과 확산부는, 상기 제2 광 발산부로부터 발산되는 레이저 광을 투과 및 확산시켜 수평 레이저 라인으로 표시되도록 하는 제2 투과 확산 렌즈부; 상기 제2 투과 확산 렌즈부의 후면 중앙을 횡 방향으로 가로지르도록 설치되어 상기 제2 투과 확산 렌즈부를 통해 투과 확산되는 레이저 광을 두 개의 수평 레이저 라인으로 나누되, 제2 제어신호에 따라 두 개의 수평 레이저 라인 간의 간격이 조절되도록 폴딩 및 언폴딩 동작하는 제2 광 디바이더 구동부; 및 상기 케이스부의 외측에 설치되어 다이얼 조작에 따라 상기 제2 제어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제2 광 디바이더 구동부로 출력하는 제2 레이저 라인 간격 조절 다이얼 버튼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케이스부의 하부에 설치되어 상기 케이스부를 지지하고, 상기 케이스부가 좌우 방향으로 틸팅되도록 구성되어 상기 광 투과 확산부를 통한 크로스 타입의 레이저 광이 X자 형태로 표시되도록 하는 케이스 받침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레이저 레벨기를 이용하여 미용 시술(반영구화장) 시 미간 중심, 눈썹 아랫선, 눈썹 윗선, 눈의 틀어짐, 입술 중심, 입술의 좌우대칭, 얼굴 틀어짐 및 헤어라인의 좌우대칭을 정확히 잡을 수 있도록 보조함으로써 미용 시술을 좀 더 편하게 진행할 수 있고, 더불어 더 나은 미용 시술 결과를 얻을 수 있도록 하는 미용 시술 보조용 레이저 레벨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미용 시술 보조용 레이저 레벨 장치의 외관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레이저 광 발산부와 케이스부의 내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1 광 투과 확산부의 구성과 수직 레이저 라인의 폭 조절을 위한 구동 방식을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도면이다.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1 광 투과 확산부의 구성과 수직 레이저 라인의 폭 조절을 위한 구동 방식을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도면이다.
도 7 내지 도 9는 폭 조절에 따라 얼굴에 표시되는 수직 레이저 라인과 수평 레이저 라인을 나타낸 도면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에 대해 간략히 설명하고, 본 발명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들을 선택하였으나, 이는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판례,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발명의 설명 부분에서 상세히 그 의미를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의미와 본 발명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정의되어야 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되거나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미용 시술 보조용 레이저 레벨 장치의 외관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레이저 광 발산부와 케이스부의 내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미용 시술 보조용 레이저 레벨 장치(1000)는 레이저 광 발산부(100), 케이스부(200), 레이저 광 투과 확산부(300) 및 케이스 받침부(400)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레이저 광 발산부(100)는 2개의 레이저 광을 각각 발산하며 발상된 레이저 광의 수평 및 수직에 대한 중심이 유지될 수 있도록 구성되며, 이렇게 발산된 각각의 레이저 광은 레이저 광 투과 확산부(300)에 의해 피사체 즉 눈썹이나 입술 시술 대상자의 얼굴에 연직선의 레이저 광과 수평선의 레이저 광이 교차되도록 표시될 수 있다. 이를 위해 레이저 광 발산부(100)는 제1 광 발산부(110), 제2 광 발산부(120) 및 수평 수직 유지부(13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광 발산부(110)는, 레이저 광 투과 확산부(300)의 제1 광 투과 확산부(310)로 레이저 광을 발산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제2 광 발산부(120)의 상부에 위치하고 상부를 향해 소정의 각도로 경사지게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제2 광 발산부(120)는, 레이저 광 투과 확산부(300)의 제2 광 투과 확산부(320)로 레이저 광을 발산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제1 광 발산부(110)의 하부에 위치하며 수평 방향으로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수평 수직 유지부(130)는, 제1 광 발산부(110)와 제2 광 발산부(120)가 각각 일측에 설치되고, 케이스부(200)의 내측 상부에 연결되어 추의 원리를 이용해 레이저 광 발산부(100)를 수평 및 수직에 대하여 중심을 유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수평 수직 유지부(130)는 추 방식(마그네틱 방식)은 레벨기 본체 내부의 추 원리를 적용하고 있으며, 내부의 추(131)가 중력으로 수직, 수평이 잡히는 방식으로 동작할 수 있다. 수평 수직 유지부(130)의 하부에는 마그네틱부(240)가 배치되어 중력에 흔들리는 추(131)를 멈추게 할 수 있다. 해당 추(131)와 마그네틱부(240)가 적절한 간격이 유지되면서 작동되는데, 즉 중력과 적당한 자력에 의해 수평, 수직이 유지될 수 있다.
한편, 수평 수직 유지부(130)는 수평 및 수직 상태가 유지되지 않고 흔들리는 상태에서는 제1 광 발산부(110)와 제2 광 발산부(120)가 점멸하도록 제어하여 수평과 수직 상태의 여부를 사용자에게 직관적으로 알려줄 수 있다. 이러한 기능을 실현하기 위해서는 움직임 감지 센서(자이로센서, 가속도센서)와 점멸 제어기를 구성하여 수평 수직 유지부(130)가 흔들리고 있음을 감지하여 점멸 제어기로 소정의 제어신호를 출력하여 제1 광 발산부(110)와 제2 광 발산부(120)가 점멸하도록 하고, 수평 수직 유지부(130)가 흔들리지 않은 즉 수평과 수직 상태가 안정적으로 유지된 상태에서는 해당 제어신호의 출력을 오프시켜 제1 광 발산부(110)와 제2 광 발산부(120)가 점멸되지 않도록 제어할 수 있다. 다만, 이러한 점멸 기능 또한 별도의 스위치를 구비하여 수평 수직 유지부(130)가 흔들리는 상태라도 제1 광 발산부(110)와 제2 광 발산부(120)가 점멸하지 않도록 제어할 수도 있다.
상기 케이스부(200)는, 내부에 레이저 광 발산부(100)가 설치되며, 그 바닥면에는 수평 수직 유지부(130)의 추(131)와 대향 이격 배치된 마그네틱이 배치되어 흔들리는 레이저 광 발산부(100)의 수평과 수직 위치를 고정 및 유지시켜줄 수 있다. 이를 위해 케이스부(200)는 케이스 본체부(210), 전원 스위치부(220), 전원 공급부(230) 및 마그네틱부(24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케이스 본체부(210)는 대략 직육면체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본 실시예에서는 케이스 본체부(210)의 구체적인 형상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사용자가 안정적으로 잡을 수 있도록 그립감을 고려한 외형 구조를 갖도록 이루어지며, 일반적인 레이저 레벨기와는 용도가 상이함에 따라 불필요한 기능이 탑재되지 않으므로, 그에 따라 보다 작고 가볍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전원 스위치부(220)는, 케이스 본체부(210)의 외부에 노출되도록 설치되어 사용자 조작에 따라 레이저 광 발산부(100)의 전원을 온/오프할 수 있다. 이러한 전원 스위치부(220)는 레이저 광 발산부(100) 자체에 대한 전원의 온/오프를 스위칭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또한 미용 시술 보조용 레이저 레벨 장치(1000) 자체에 대한 전원 제어를 담당하도록 구성될 경우, 레이저 광 발산부(100)의 전원을 일시적으로 오프시킬 수 있다. 즉, 미용 시술 보조용 레이저 레벨 장치(1000)의 전원이 켜진 상태에서 전원 스위치부(220)가 턴온된 경우 일정 시간 이후 레이저 광 발산부(100)의 전원을 일시적으로 턴오프시키고, 수평 수직 유지부(130)의 움직임 감지 센서(자이로센서, 가속도센서)에 의해 미용 시술 보조용 레이저 레벨 장치(1000)가 다시 흔들림이 감지되면 레이저 광 발산부(100)의 전원을 다시 턴온시켜 사용 가능한 상태로 전환하도록 할 수도 있다.
상기 전원 공급부(230)는, 전원 스위치부(220)의 스위칭 조작에 따라 레이저 광 발산부(100)로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이러한 전원 공급부(230)는 이차전지(또는 건전지)로부터 전원을 공급 받기 위한 장치 및 제어 회로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상술한 바와 같이 전원 스위치부(220)가 미용 시술 보조용 레이저 레벨 장치(1000) 자체에 대한 전원 제어를 담당하도록 구성될 경우, 전원 공급부(230)는 별도의 전원 버튼에 의해 기본적으로 전원을 공급하되, 수평 수직 유지부(130)의 움직임 감지 센서(자이로센서, 가속도센서)에 감지 결과에 따라 유동적으로 레이저 광 발산부(100)에 전원을 공급하도록 동작할 수도 있다.
상기 마그네틱부(240)는, 케이스 본체부(210)의 바닥면 중 레이저 광 발산부(100)의 추(131)와 대향 이격되는 위치에 설치되어 수평 수직 유지부(130)가 움직이지 않도록 자력을 이용하여 홀딩시킬 수 있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1 광 투과 확산부의 구성과 수직 레이저 라인의 폭 조절을 위한 구동 방식을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도면이고,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1 광 투과 확산부의 구성과 수직 레이저 라인의 폭 조절을 위한 구동 방식을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도면이며, 도 7 내지 도 9는 폭 조절에 따라 얼굴에 표시되는 수직 레이저 라인과 수평 레이저 라인을 나타낸 도면이다.
상기 레이저 광 투과 확산부(300)는, 케이스부(200)의 전방 면에 설치되어 레이저 광 발산부(100)로부터 발산되는 각각의 레이저 광을 투과 및 확산시켜 적어도 하나의 연직선과 수평선의 레이저 광으로 각각 표시할 수 있도록 한다. 이를 위해, 레이저 광 투과 확산부(300)는 제1 광 투과 확산부(310)와 제2 광 투과 확산부(32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광 투과 확산부(310)는, 미용 시술 보조용 레이저 레벨 장치(1000)를 기준으로 종 방향으로 설치되고, 레이저 광 발산부(100)로부터 발산되는 레이저 광을 투과 및 확산시켜 피사체에 적어도 하나의 연직선(수직 레이저 라인)을 표시할 수 있으며, 제2 광 투과 확산부(320)는, 미용 시술 보조용 레이저 레벨 장치(1000)를 기준으로 횡 방향으로 설치되고, 레이저 광 발산부(100)로부터 발산되는 레이저 광을 투과 및 확산시켜 피사체에 적어도 하나의 수평선(수평 레이저 라인)을 표시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1 광 투과 확산부(310)와 제2 광 투과 확산부(320)는 배치 방향이 종 방향과 횡 방향과 같이 서로 직교하는 방향으로 배치되나, 직접적으로 교차되지 않고, 상, 하부에 떨어져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 광 투과 확산부(310)와 제2 광 투과 확산부(320) 중 적어도 하나는, 미용 시술 대상자의 얼굴에 표시되는 레이저 광을 해당 얼굴의 미간 중심, 눈썹 아랫선, 눈썹 윗선, 눈의 틀어짐, 입술 중심, 입술의 좌우대칭, 얼굴 틀어짐 및 헤어라인의 좌우대칭을 파악하기 위한 대칭 기준선으로 이용할 수 있도록 두 개의 라인으로 분리하여 표시되도록 하되, 분리된 두 개의 라인 간의 간격이 조절되도록 동작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1 광 투과 확산부(310)는, 제1 투과 확산 렌즈부(311), 제1 광 디바이더 구동부(312) 및 제1 레이저 라인 간격 조절 다이얼 버튼부(31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투과 확산 렌즈부(311)는, 제1 광 발산부(110)로부터 발산되는 레이저 광을 투과 및 확산시켜 수직 레이저 라인으로 표시되도록 한다. 이러한 제1 투과 확산 렌즈부(311)는 소정의 폭과 길이를 갖는 대략 직사각형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케이스부(200)의 전방 상측 개구에 세로 방향으로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제1 투과 확산 렌즈부(311)는 기존의 레이저 레벨기보다 두께가 두꺼운 레이저 라인을 표시하도록 레이저 광을 확산시킬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광 디바이더 구동부(312)는, 제1 투과 확산 렌즈부(311)의 후면 중앙을 종 방향으로 가로지르도록 설치되어, 제1 투과 확산 렌즈부(311)를 통해 투과 확산되는 레이저 광을 두 개의 수직 레이저 라인으로 나누되, 제1 레이저 라인 간격 조절 다이얼 버튼부(313)으로부터 수신되는 제1 제어신호에 따라 두 개의 수직 레이저 라인 간의 간격이 조절되도록 폴딩 및 언폴딩 동작을 수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제1 레이저 라인 간격 조절 다이얼 버튼부(312)는, 케이스부(200)의 외측에 설치되어 다이얼 조작에 따라 제1 제어신호를 생성하여 제1 광 디바이더 구동부(312)로 출력할 수 있다.
이러한 제1 광 디바이더 구동부(312)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레이저 라인 간격 조절 다이얼 버튼부(312)이 '0'레벨의 위치로 조정되어 있을 때 폴딩 및 언폴딩 수단이 최대한으로 접히도록 동작함에 따라 그 간격(D11)이 최소화되도록 한다. 이러한 경우, 도 3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직 레이저 라인(LV_0)이 폴딩 및 언폴딩 수단에 의해 두 개의 라인으로 형성되지만, 육안으로 확인했을 때 그 간격(D11)이 수 밀리미터 수준으로 실질적으로 하나의 라인처럼 인식될 수 있다. 따라서, 이와 같이 제1 레이저 라인 간격 조절 다이얼 버튼부(312)이 '0'레벨의 위치로 조정되는 경우, 제1 광 디바이더 구동부(312)의 폴딩 및 언폴딩 수단이 최대한으로 접히도록 동작함으로써, 하나의 수직 레이저 라인(LV_0)이 형성되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왼쪽부터 오른쪽 순서로), 제1 레이저 라인 간격 조절 다이얼 버튼부(312)을 '1'레벨, '2'레벨, '3'레벨로 단계적으로 조정하는 경우, 제1 광 디바이더 구동부(312)의 폴딩 및 언폴딩 수단이 점차 펴지는 동작이 이루어짐으로써 즉, 폭이 점차 넓어짐으로써(이때, D12<D13<D14), 수직 레이저 라인(LV_1, LV_2, LV_3)의 간격(d12, d13, d14)도 점차 넓어질 수 있다. 이에 따라,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직 레이저 라인의 폭이 LV_3으로서 최대 d14까지 조절될 수 있다.
상기 제2 광 투과 확산부(320)는, 제1 투과 확산 렌즈부(321), 제2 광 디바이더 구동부(322) 및 제2 레이저 라인 간격 조절 다이얼 버튼부(32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투과 확산 렌즈부(321)는, 제2 광 발산부(120)로부터 발산되는 레이저 광을 투과 및 확산시켜 수평 레이저 라인으로 표시되도록 한다. 이러한 제2 투과 확산 렌즈부(321)는 소정의 폭과 길이를 갖는 대략 직사각형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케이스부(200)의 전방 하측 개구에 가로 방향으로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제2 투과 확산 렌즈부(321)는 기존의 레이저 레벨기보다 두께가 두꺼운 레이저 라인을 표시하도록 레이저 광을 확산시킬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2 광 디바이더 구동부(322)는, 제2 투과 확산 렌즈부(321)의 후면 중앙을 종 방향으로 가로지르도록 설치되어, 제2 투과 확산 렌즈부(321)를 통해 투과 확산되는 레이저 광을 두 개의 수평 레이저 라인으로 나누되, 제2 레이저 라인 간격 조절 다이얼 버튼부(323)으로부터 수신되는 제2 제어신호에 따라 두 개의 수평 레이저 라인 간의 간격이 조절되도록 폴딩 및 언폴딩 동작을 수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제2 레이저 라인 간격 조절 다이얼 버튼부(322)는, 케이스부(200)의 외측에 설치되어 다이얼 조작에 따라 제2 제어신호를 생성하여 제2 광 디바이더 구동부(322)로 출력할 수 있다.
이러한 제2 광 디바이더 구동부(322)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레이저 라인 간격 조절 다이얼 버튼부(322)이 '0'레벨의 위치로 조정되어 있을 때 폴딩 및 언폴딩 수단이 최대한으로 접히도록 동작함에 따라 그 간격(D21)이 최소화되도록 한다. 이러한 경우, 도 5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평 레이저 라인(LH_0)이 폴딩 및 언폴딩 수단에 의해 두 개의 라인으로 형성되지만, 육안으로 확인했을 때 그 간격(D21)이 수 밀리미터 수준으로 실질적으로 하나의 라인처럼 인식될 수 있다. 따라서, 이와 같이 제2 레이저 라인 간격 조절 다이얼 버튼부(322)이 '0'레벨의 위치로 조정되는 경우, 제2 광 디바이더 구동부(322)의 폴딩 및 언폴딩 수단이 최대한으로 접히도록 동작함으로써, 하나의 수평 레이저 라인(LH_0)이 형성되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왼쪽부터 오른쪽 순서로), 제2 레이저 라인 간격 조절 다이얼 버튼부(322)을 '1'레벨, '2'레벨, '3'레벨로 단계적으로 조정하는 경우, 제2 광 디바이더 구동부(322)의 폴딩 및 언폴딩 수단이 점차 펴지는 동작이 이루어짐으로써 즉, 폭이 점차 넓어짐으로써(이때, D22<D23<D24), 수평 레이저 라인(LH_1, LH_2, LH_3)의 간격(d22, d23, d24)도 점차 넓어질 수 있다. 이에 따라,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직 레이저 라인의 폭이 LH_3으로서 최대 d24까지 조절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1 광 디바이더 구동부(312)와 제2 광 디바이더 구동부(322)의 폭이 단계적으로 조정됨으로써 수직 레이저 라인과 수평 레이저 선의 간격이 자유롭게 조절되기 위하여, 제1 광 디바이더 구동부(312)와 제2 광 디바이더 구동부(322)는 상술한 바와 같이 폴딩 및 언폴딩 수단이 구성되어야 하며, 이와 동시에 폴딩 및 언폴딩 수단을 가동하기 위한 양방향 소형 모터와 각종 소형 기어 장치들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케이스 받침부(400)는, 케이스부(200)의 하부에 설치되어 케이스부(200)를 지지하고, 케이스부(200)가 좌우 방향으로 틸팅되도록 구성되어 광 투과 확산부(300)를 통해 외부로 투과되는 크로스 타입의 레이저 광이 X자 형태로 표시되도록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X자 형태로 표시되는 레이저 광을 이용해 얼굴의 미용 시술 시 X자 크로스 라인이 얼굴의 특정 지점에 표시되거나 조준되어 시술을 위한 기준점이나 가이드라인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케이스 받침부(400)는, 수직 및 수평 레이저 라인의 조사 위치를 미세하게 조정할 수 있도록 수평 회전을 위한 구성을 추가적으로 구비할 수 있다. 이와 같은, 틸팅과 수평 회전을 위해서는 볼 조인트, 유니버셜 조인트, 각종 기어 장치 등을 이용하여 원하는 동작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으며, 이러한 구성은 주지 관용의 기술에 해당하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도시되지 않았으나, 케이스 받침부(400)를 대신하여 삼각대 등의 지지부재 상부에 미용 시술 보조용 레이저 레벨 장치(1000)를 고정시키고, 힌지 등의 경첩 구조를 적용하여 해당 레이저 레벨 장치(1000)가 소정의 각도만큼 좌, 우로 경사지도록 회전하여 레이저 레벨 장치(1000)에서 조사되는 크로스 라인의 레이저 광이 미용 시술 대상인 사용자의 얼굴에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X'자 형태로 표시되어 다양한 시술을 위한 기준점을 제공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것은 본 발명에 의한 미용 시술 보조용 레이저 레벨 장치를 실시하기 위한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 실시가 가능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기술적 정신이 있다고 할 것이다.
1000: 미용 시술 보조용 레이저 레벨 장치
100: 레이저 광 발산부
110: 제1 광 발산부
120: 제2 광 발산부
130: 수평 수직 유지부
131: 추
200: 케이스부
210: 케이스 본체부
220: 전원 스위치부
230: 전원 공급부
240: 마그네틱부
300: 레이저 광 투과 확산부
310: 제1 광 투과 확산부
311: 제1 투과 확산 렌즈부
312: 제1 광 디바이더 구동부
313: 제1 레이저 라인 간격 조절 다이얼 버튼부
320: 제2 광 투과 확산부
321: 제2 투과 확산 렌즈부
322: 제2 광 디바이더 구동부
323: 제2 레이저 라인 간격 조절 다이얼 버튼부
400: 케이스 받침부
LV: 수직 레이저 라인(연직선: LV_0~LV3)
LH: 수평 레이저 라인(수평선: LH_0~LH3)

Claims (6)

  1. 레이저 광을 발산하고, 발산된 레이저 광의 수평 및 수직에 대한 중심을 유지하는 레이저 광 발산부;
    상기 레이저 광 발산부가 설치된 케이스부; 및
    상기 케이스부의 전방 면에 설치되어 상기 레이저 광 발산부로부터 발산되는 레이저 광을 투과 및 확산시켜 적어도 하나의 연직선과 수평선의 레이저 광으로 각각 표시하기 위한 레이저 광 투과 확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용 시술 보조용 레이저 레벨 장치.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레이저 광 투과 확산부는,
    종 방향으로 설치되고, 상기 레이저 광 발산부로부터 발산되는 레이저 광을 투과 및 확산시켜 피사체에 적어도 하나의 연직선을 표시하기 위한 제1 광 투과 확산부; 및
    횡 방향으로 설치되고, 상기 레이저 광 발산부로부터 발산되는 레이저 광을 투과 및 확산시켜 피사체에 적어도 하나의 수평선을 표시하기 위한 제2 광 투과 확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용 시술 보조용 레이저 레벨 장치.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레이저 광 발산부는,
    상기 제1 광 투과 확산부로 레이저 광을 발산하는 제1 광 발산부;
    상기 제2 광 투과 확산부로 레이저 광을 발산하는 제2 광 발산부; 및
    상기 제1 광 발산부와 상기 제2 광 발산부가 설치되고, 상기 케이스부의 내측 상부에 연결되어 추의 원리를 이용해 상기 레이저 광 발산부를 수평 및 수직에 대하여 중심을 유지하기 위한 수평 수직 유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용 시술 보조용 레이저 레벨 장치.
  4.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부는,
    케이스 본체부;
    상기 케이스 본체부의 외부에 설치되어 사용자 조작에 따라 상기 레이저 광 발산부의 전원을 온/오프하는 전원 스위치부;
    상기 전원 스위치부의 스위칭 조작에 따라 상기 레이저 광 발산부로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공급부; 및
    상기 케이스 본체부의 바닥면 중 상기 레이저 광 발산부와 대향 이격되는 위치에 설치되어 상기 수평 수직 유지부가 움직이지 않도록 자력을 이용하여 홀딩시키기 위한 마그네틱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용 시술 보조용 레이저 레벨 장치.
  5.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광 투과 확산부 및 상기 제2 광 투과 확산부 중 적어도 하나는, 미용 시술 대상자의 얼굴에 표시되는 레이저 광을 해당 얼굴의 미간 중심, 눈썹 아랫선, 눈썹 윗선, 눈의 틀어짐, 입술 중심, 입술의 좌우대칭, 얼굴 틀어짐 및 헤어라인의 좌우대칭을 파악하기 위한 대칭 기준선으로 이용할 수 있도록 두 개의 라인으로 분리하여 표시되도록 하되, 분리된 두 개의 라인 간의 간격이 조절되도록 동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용 시술 보조용 레이저 레벨 장치.
  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부의 하부에 설치되어 상기 케이스부를 지지하고, 상기 케이스부가 좌우 방향으로 틸팅되도록 구성되어 상기 광 투과 확산부를 통한 크로스 타입의 레이저 광이 X자 형태로 표시되도록 하는 케이스 받침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용 시술 보조용 레이저 레벨 장치.
KR1020200037475A 2020-03-27 2020-03-27 미용 시술 보조용 레이저 레벨 장치 KR10238088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37475A KR102380889B1 (ko) 2020-03-27 2020-03-27 미용 시술 보조용 레이저 레벨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37475A KR102380889B1 (ko) 2020-03-27 2020-03-27 미용 시술 보조용 레이저 레벨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20580A true KR20210120580A (ko) 2021-10-07
KR102380889B1 KR102380889B1 (ko) 2022-03-31

Family

ID=781146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37475A KR102380889B1 (ko) 2020-03-27 2020-03-27 미용 시술 보조용 레이저 레벨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80889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66685B1 (ko) 2015-06-11 2015-11-09 이기훈 레이저빔 포인팅 장치의 수평 유지 장치
KR20150142642A (ko) 2015-06-24 2015-12-22 정민시 가정용 소형 레이저 레벨기
KR101568639B1 (ko) * 2015-06-09 2016-07-20 정민시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레이저 레벨기
WO2017134385A1 (fr) * 2016-02-01 2017-08-10 One Ortho Procede de controle de l'alignement, de l'equilibrage et de la symetrie d'un visage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68639B1 (ko) * 2015-06-09 2016-07-20 정민시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레이저 레벨기
KR101566685B1 (ko) 2015-06-11 2015-11-09 이기훈 레이저빔 포인팅 장치의 수평 유지 장치
KR20150142642A (ko) 2015-06-24 2015-12-22 정민시 가정용 소형 레이저 레벨기
WO2017134385A1 (fr) * 2016-02-01 2017-08-10 One Ortho Procede de controle de l'alignement, de l'equilibrage et de la symetrie d'un visag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80889B1 (ko) 2022-03-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174006B2 (ja) 小型静脈像エンハンサ及び標的領域の皮下血管を撮像するための装置
JP5748268B2 (ja) マイボーム腺観察装置
US20090303320A1 (en) Personal grooming visual display system
JPH07114812B2 (ja) 光を利用した睡眠等の誘導補助具
US8591031B2 (en) Device and method for determining the visual field
KR102380889B1 (ko) 미용 시술 보조용 레이저 레벨 장치
US9445802B2 (en) Ophthalmic tool for eye imaging device
JP2016220880A (ja) 検眼装置
KR102133219B1 (ko) 움직임감지 증강현실 글라스
JP2016067818A (ja) 細隙灯顕微鏡
KR102003615B1 (ko) 눈 피로 회복을 위한 눈 마사지 겸용 온열기
WO2001019236A1 (en) Ophthalmoscope attachment
JP6490472B2 (ja) 眼科撮影装置、およびその制御方法
JP4587741B2 (ja) 眼科装置
JP7029259B2 (ja) 検眼装置
KR20210070886A (ko) 휴대 단말기용 무선 충전 거치대
CN206671686U (zh) 智能近眼设备
JP7227795B2 (ja) 眼科装置
JP7117091B2 (ja) 検眼装置
WO2023013369A1 (ja) 眼科装置
JP6421265B1 (ja) 眼球測定装置および接顔フレーム
CN209032645U (zh) 一种便携的手持设备滑台
CN210742610U (zh) 放大镜装置
JPH08229005A (ja) 眼科装置
JP6393894B1 (ja) 眼球測定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