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20241A - 뽕잎 또는 청매실과육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바이러스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뽕잎 또는 청매실과육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바이러스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20241A
KR20210120241A KR1020200036677A KR20200036677A KR20210120241A KR 20210120241 A KR20210120241 A KR 20210120241A KR 1020200036677 A KR1020200036677 A KR 1020200036677A KR 20200036677 A KR20200036677 A KR 20200036677A KR 20210120241 A KR20210120241 A KR 2021012024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irus
influenza
extract
active ingredient
antivir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366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순일
최화정
Original Assignee
(주)케이엘에스바이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케이엘에스바이오 filed Critical (주)케이엘에스바이오
Priority to KR10202000366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120241A/ko
Publication of KR202101202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2024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60Moraceae (Mulberry family), e.g. breadfruit or fig
    • A61K36/605Morus (mulberry)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05Plant extracts, their artificial duplicates or their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73Rosaceae (Rose family), e.g. strawberry, chokeberry, blackberry, pear or firethorn
    • A61K36/736Prunus, e.g. plum, cherry, peach, apricot or almon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1/00Antiinfectives, i.e. antibiotics, antiseptics, chemotherapeutics
    • A61P31/12Antivirals
    • A61P31/14Antivirals for RNA viruses
    • A61P31/16Antivirals for RNA viruses for influenza or rhinovirus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24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an effect on the immune system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Botan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ycology (AREA)
  • Vir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Biotechn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Pulmonology (AREA)
  • Communicable Disease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Oncology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 Coloring Foods And Improving Nutritive Qualit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A형 인플루엔자 바이러스에 대하여 우수한 항바이러스 활성을 나타내면서도 내성 바이러스 및 인체에 부작용이 없는 항바이러스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뽕잎 또는 청매실과육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뽕잎 또는 청매실과육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바이러스용 조성물{Antiviral composition for influenza A virus comprising morus alba or prunus mume extract as an active ingredient}
본 발명은 항바이러스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뽕잎 또는 청매실과육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A형 인플루엔자 바이러스에 대한 항바이러스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인플루엔자 바이러스는 세계적으로 매년 수많은 사람들의 목숨을 빼앗고 국가 경제적 손실을 야기하는 심각한 글로벌 질환을 유발한다.
인플루엔자 바이러스는 RNA 외피 바이러스이며 사람과 동물을 감염시켜 높은 이환율과 사망률을 나타내는 호흡기 합병증을 유발한다.
통상, 인플루엔자는 오한, 발열, 근육통, 기침 등을 동반하는 급성 호흡기 질환으로 주로 감염자의 기침이나 재채기를 통해 공기 중으로 배출되는 에어로졸을 통해서 인체-인체 전파에 따라 감염된다.
현재,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감염에 대한 바람직한 치료법은 뉴라미니다아제(neuraminidase)의 억제제인 오셀타미비르(oseltamivir)와 자나미비르(zanamivir)의 사용이다.
그러나 오셀타미비르는 심각한 구토증세가 나타나는 부작용이 있으며 자나미비르는 항바이러스 효과는 높지만 생체 이용율이 낮고 신장에서의 배출이 빠르다는 단점이 있으며, 내성 바이러스 균주의 출현으로 인해 한계가 있다.
이와 관련하여 아래의 특허문헌 1 내지 3의 종래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상기 특허문헌 1은 지구자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선천면역 증진 및 항바이러스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고, 상기 특허문헌 2는 귤나무속 열매 발효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바이러스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며, 상기 특허문헌 3은 유동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바이러스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A형 인플루엔자 바이러스에 대하여 뛰어난 항바이러스 활성을 나타내면서도 내성 바이러스 및 인체에 부작용이 없는 생물학적 제제인 정유를 개발하기 위해 A형 인플루엔자 바이러스에 대한 다양한 식물 추출물들을 이용하여 항바이러스 활성을 세포변성효과(cytopathic effect, CPE) 감소 방법으로 분석하였고, 그 중에서 뽕잎 및 청매실과육이 우수한 항바이러스 활성을 나타내는 것을 확인하여 본 발명을 안출하게 되었다.
등록특허공보 제10-1782847호(2017. 09. 29. 공고) 등록특허공보 제10-1828562호(2018. 02. 14. 공고) 등록특허공보 제10-1331148호(2013. 11. 20. 공고)
본 발명에서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A형 인플루엔자 바이러스에 대하여 우수한 항바이러스 활성을 나타내면서도 내성 바이러스 및 인체에 부작용이 없는 뽕잎 또는 청매실과육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바이러스용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항바이러스용 조성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이나 A형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감염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항바이러스용 조성물은, 뽕잎 또는 청매실과육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고, A형 인플루엔자 바이러스에 대하여 항바이러스 효과를 발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항바이러스용 조성물은, 상기 A형 인플루엔자 바이러스가 A형 인플루엔자 H1N1 바이러스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A형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감염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은, 뽕잎 또는 청매실과육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A형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감염 질환의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기능식품은, 뽕잎 또는 청매실과육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항바이러스용 조성물에 의하면, A형 인플루엔자 바이러스에 대하여 우수한 항바이러스 활성을 나타내면서도 뽕잎이나 청매실과육의 천연 식물 추출물을 포함하고 있으므로 인체에 부작용이 없어 안전성이 우수하다.
또한, 상기 항바이러스 활성이 오셀타미비르와 대등하거나 보다 뛰어나므로 A형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감염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로 활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한 바와 같은 항바이러스 효과로 인하여 A형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감염 질환의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기능식품으로 활용될 수 있다.
도 1은 인플루엔자 A/WS/33 바이러스 감염에 의한 세포 변형에 대한 2종 추출물의 효과를 나타내는 사진이다.
도 2는 인플루엔자 A/PR/8/34 바이러스 감염에 의한 세포 변형에 대한 2종 추출물의 효과를 나타내는 사진이다.
본 명세서에 기술된 모든 기술적 및 과학적 용어들은 다른 식으로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서 통상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갖고,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명명법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잘 알려져 있으며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는, A형 인플루엔자 바이러스에 대하여 뛰어난 항바이러스 활성을 나타내면서도 내성 및 인체에 부작용이 없는 생물학적 제제인 식물 소재를 개발하고자, 인플루엔자 A/WS/33 및 A/PR/8/34 바이러스에 대한 식물 추출물들의 항바이러스 활성 및 세포 독성을 세포변성효과 감소 방법으로 분석하였다.
그 결과, 뽕잎 및 청매실과육 추출물이 양성 대조물로 시판 중인 오셀타미비르(oseltamivir)에 동등하거나 뛰어난 항바이러스 활성을 나타내면서도 세포 독성이 없는 것을 확인하였다.
본 발명에 있어서, 항바이러스 조성물은 바람직하게는 인간을 포함하는 포유류에 투여되는 의약 조성물의 형태이거나 식품 조성물, 식기, 주방용품, 생활용품, 기타 각종 물건의 세척제, 소독제, 통상의 항바이러스제 등 통상적으로 알려진 모든 형태로 제조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뽕잎 및 청매실과육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식물 추출물을 0.001 중량% 내지 99.9 중량%, 바람직하게는 0.1 중량% 내지 99 중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1 중량% 내지 50 중량%로 포함할 수 있다.
A형 인플루엔자 바이러스의 아형(subtype)에는 H1N1, H1N2, H2N2, H2N3, H3N1, H3N2, H3N8, H5N1, H5N2, H5N3, H5N8, H5N9, H7N1, H7N2, H7N3, H7N4, H7N7, H7N9, H9N2 또는 H10N7 등을 포함하며, 바람직하게는 H1N1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A형 인플루엔자 H1N1 바이러스의 구체적인 종류로는 A/PR/8(H1N1), A/WSN/33(H1N1), A/Bervig-Mission/1/18(rvH1N1), A/Singapore/6/86(H1N1) 등이 있다.
본 발명의 용어 "인플루엔자 A/WS/33 바이러스"란, A형 인플루엔자 중에서 18개의 HA 아형(subtype) 중 헤마글루티닌(hemagglutinin, HA) 단백질이 1형이고(H1), 11개의 NA 아형(subtype) 중 뉴라미니다제(neuraminidase, NA) 단백질이 1형인(N1)인 H1N1 바이러스이며, Strain이 A/WILSON-SMITH/33인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에서, 상기 인플루엔자 A/WS/33 바이러스에 대하여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뽕잎 및 청매실과육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조성물이 항바이러스 활성을 나타내는 것으로 확인되었으나, 이에 특별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은 다른 관점에서, 뽕잎 및 청매실과육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고 A형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감염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에 효과를 발휘하는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다.
A형 인플루엔자 바이러스의 감염에 의해 생길 수 있는 질병에는 독감, 감기, 인후염, 기관지염, 폐렴, 조류독감, 돼지독감, 염소독감 등이 포함된다.
본 발명에서 "예방"은 질환 또는 질병을 보유하고 있다고 진단된 적은 없으나, 이러한 질환 또는 질병에 걸릴 가능성이 있는 대상체에서 질환 또는 질병의 발생을 억제하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서 "치료"는 (a) 질환, 질병 또는 증상의 발전의 억제; (b)질환, 질병 또는 증상의 경감; 또는 (c) 질환, 질병 또는 증상을 제거하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A형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감염을 원인으로 하는 호흡기 질환에 걸린 개체에서 증상의 발전을 억제하거나, 이를 제거하거나 또는 경감시키는 역할을 하므로 그 자체로 A형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감염을 원인으로 하는 호흡기 질환의 치료 조성물이 될 수도 있고, 혹은 다른 약리성분과 함께 투여되어 상기 질환에 대한 치료 보조제로 적용될 수도 있다.
이에, 상기 "치료" 또는 "치료제"는 "치료 보조" 또는 "치료 보조제"의 의미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 부형제 또는 희석제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은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는 방법에 따라,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 및/또는 부형제를 이용하여 제형화함으로써 단위 용량 형태로 제조되거나 또는 대용량 용기 내에 내입시켜 제조될 수 있다.
이때의 제형은 통상의 방법에 따라 산제, 과립제, 정제, 캡슐제, 현탁액, 에멀젼, 시럽, 에어로졸 등의 경구형 제형, 외용제, 좌제 및 멸균 주사용액의 형태로 제형화하여 사용될 수 있고, 당해 기술분야에 알려진 적합한 제제는 문헌(Remington's Pharmaceutical Science, Mack Publishing Company, EastonPA)에 개시되어 있는 것을 사용할 수 있다.
경구투여를 위한 고형제제에는 정제, 환제, 산제, 과립제, 캡슐제 등이 포함되며, 이러한 고형제제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부형제 예를 들면, 전분, 칼슘카보네이트, 수크로오스(sucrose), 락토오스(lactose), 젤라틴 등을 섞어 조제되고, 단순한 부형제 이외에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Magnesium Stearate), 탈크(talc) 같은 윤활제들도 사용된다.
경구투여를 위한 액상 제제로는 현탁제, 내용액제, 유제, 시럽제 등이 해당되는데 흔히 사용되는 단순 희석제인 물, 리퀴드 파라핀 이외에 여러 가지 부형제, 예를 들면 습윤제, 감미제, 방향제, 보존제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비경구 투여를 위한 제제에는 멸균된 수용액, 비수성용제, 현탁제, 유제, 동결건조 제제, 좌제가 포함되고, 상기 좌제의 기제로는 위텝솔(witepsol), 마크로골(Macrogol), 트윈(tween) 61, 카카오지, 라우린지(laurinum), 글리세로젤라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의 최적의 투여량은 피검체에서 적합한 면역 반응의 관찰을 포함하는 표준 연구에 의해 확인될 수 있는데,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의 적합한 투여량은 제제화 방법, 투여 방식, 환자의 연령, 체중, 성, 병적 상태, 음식, 투여 시간, 투여 경로, 배설 속도 및 반응 감응성과 같은 요인들에 의해 그 범위가 다양하며, 상기 사항을 고려하여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전문가가 결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은 의약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이용되는 경로를 통해 투여될 수 있으며, 비경구 투여가 바람직하고, 예를 들어 정맥내, 복강내, 근육내, 동맥내, 구강, 심장내, 골수내, 경막내, 경피, 장관, 피하, 설하 또는 국소 투여용 경로를 통하여 투여할 수 있으며, 일반적으로 활성 성분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뽕잎 및 청매실과육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추출물을 치료 유효량으로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또 다른 관점에서, 뽕잎 및 청매실과육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고 A형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감염 질환의 예방 또는 개선에 효과를 발휘하는 건강기능식품을 제공한다.
본 명세서에서 용어 "식품"이라 함은 영양소를 한 가지 또는 그 이상 함유하고 있는 천연물 또는 가공품을 의미하며, 바람직하게는 어느 정도의 가공 공정을 거쳐 직접 먹을 수 있는 상태가 된 것을 의미하며, 통상적인 의미로서의 식품, 식품 첨가제, 건강 기능성 식품, 음료 및 음료 첨가제 등을 모두 포함하는 의미이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다만, 본 발명이 하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인플루엔자 A/WS/33바이러스 감염에 의한 세포 변형에 대한 2종 추출물의 효과를 나타내는 사진이다.
여기서, (A) 무처리군; (B) 바이러스 감염군; (C) 뽕잎 추출물 처리군 (100 μg/mL); (D) 뽕잎 추출물(100 μg/mL)과 바이러스 처리군; (E) 청매실과육 추출물(100 μg/mL) 처리군; (F) 청매실과육 추출물(100 μg/mL)과 바이러스 처리군; (G) 오셀타미비르(100 μg/mL) 처리군; (H) 오셀타미비르(100 μg/mL)와 바이러스 처리군을 나타낸다.
(A)와 같은 정상적인 MDCK 세포에 인플루엔자 A/WS/33 바이러스를 감염시키면 (B)와 같이 세포의 변형을 일으킨다.
또한, 정상적인 MDCK 세포에 뽕잎 추출물(100 μg/mL)만을 처리하였을 때 (C)와 같이 세포독성을 일으키지 않고 정상적인 MDCK 세포 모양을 유지하고 있으며, (D)와 같이 정상적인 MDCK 세포에 뽕잎 추출물(100 μg/mL)과 바이러스를 함께 처리하였을 때도 바이러스 처리군(B)에 비하여 세포변형을 거의 일으키지 않았다.
또한, 정상적인 MDCK 세포에 청매실과육 추출물(100 μg/mL)만을 처리하였을 때 (E)와 같이 50% 정도의 세포독성을 일으켰으며, 정상적인 MDCK 세포에 청매실과육 추출물(100 μg/mL)과 바이러스를 처리하였을 때 (F)와 같이 바이러스 처리군(B)에 비하여 세포변형을 약 30%만 일으키지 않았다.
또한, 정상적인 MDCK 세포에 오셀타미비르 (100 μg/mL)만을 처리하였을 때 (G)와 같이 세포독성을 일으키지 않고 정상적인 MDCK 세포 모양을 유지하고 있으며, 정상적인 MDCK 세포에 오셀타미비르 (100 μg/mL)과 바이러스를 처리하였을 때 (H)와 같이 바이러스 처리군(B)에 비하여 세포변형을 거의 일으키지 않았다.
도 2는 인플루엔자 A/PR/8/34 바이러스 감염에 의한 세포 변형에 대한 2종 추출물의 효과를 나타내는 사진이다.
여기서, (A) 무처리군; (B) 바이러스 감염군; (C) 뽕잎 추출물 처리군 (100 μg/mL); (D) 뽕잎 추출물(100 μg/mL)과 바이러스 처리군; (E) 청매실과육 추출물(100 μg/mL) 처리군; (F) 청매실과육 추출물(100 μg/mL)과 바이러스 처리군; (G) 오셀타미비르(100 μg/mL) 처리군; (H) 오셀타미비르(100 μg/mL)와 바이러스 처리군을 나타낸다.
(A)와 같은 정상적인 MDCK 세포에 인플루엔자 A/PR/33 바이러스를 감염시키면 (B)와 같이 세포의 변형을 일으킨다.
또한, 정상적인 MDCK 세포에 뽕잎 추출물(100 μg/mL)만을 처리하였을 때 (C)와 같이 세포독성을 일으키지 않고 정상적인 MDCK 세포 모양을 유지하고 있으며, (D)와 같이 정상적인 MDCK 세포에 뽕잎 추출물(100 μg/mL)과 바이러스를 함께 처리하였을 때도 바이러스 처리군(B)에 비하여 세포변형을 거의 일으키지 않았다.
또한, 정상적인 MDCK 세포에 청매실과육 추출물(100 μg/mL)만을 처리하였을 때 (E)와 같이 50% 정도의 세포독성을 일으켰으며, 정상적인 MDCK 세포에 청매실과육 추출물(100 μg/mL)과 바이러스를 처리하였을 때 (F)와 같이 바이러스 처리군(B)에 비하여 세포변형을 약 30%만 일으키지 않았다.
또한, 정상적인 MDCK 세포에 오셀타미비르 (100 μg/mL)만을 처리하였을 때 (G)와 같이 세포독성을 일으키지 않고 정상적인 MDCK 세포 모양을 유지하고 있으며, 정상적인 MDCK 세포에 오셀타미비르 (100 μg/mL)과 바이러스를 처리하였을 때 (H)와 같이 바이러스 처리군(B)에 비하여 세포변형을 거의 일으키지 않았다.
이하,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를 제시하여 설명한다.
<실시예 1>
시료 조제
뽕잎은 장흥군 장흥읍 토요시장에서 구입하였고 청매실 열매는 장흥군 소재 청매실 농가로부터 직접 구입하여 사용하였다. 뽕잎과 청매실 과육 각 시료 1㎏을 음건하여 마쇄하였고 청매실 500g 역시 마쇄기로 고르게 마쇄하여 2~3ℓ의 에탄올에 2일 동안 침지하였다. 침지액을 2회 여과하고, 그 여과액을 농축기로 농축하여 각 식물체 에탄올 추출물을 수득하여 각 추출물의 수율을 표 1에 제시하였다.
구분 뽕잎 청매실과육
Dry/Raw weight (g) 128.85 500
1st Yield (g) 9.31 42.32
% 7.23 8.46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인플루엔자 A/WS/33 바이러스와 A/PR/8/34 바이러스는 ATCC(American Type Culture Collection, Manassas, VA, USA)로부터 제공받았으며 Madin-Darby canine kidney(MDCK) 세포에서 37℃로 배양하였다. MDCK 세포는 10% 태아 소 혈청(FBS)과 0.01% 항생제-항진균 용액이 첨가된 최소 필수 배지(MEM)에서 보관하였다. 항생제-항진균 용액, 트립신-EDTA, FBS 및 MEM은 Gibco BRL(Grand Island, NY)로부터 공급받았다. 조직 배양 플레이트는 Falcon(BD Biosciences, Franklin Lakes, NJ)에서 구입하였고, Sulforhodamine B(SRB)는 Sigma-Aldrich (St. Louis, MO)에서 구입하였으며, 오셀타미비르(oseltamivir)(F. Hofmann-La Roche Ltd, Switzerland)는 의사의 지시에 따라 약국에서 구입하였다.
바이러스 억제능 분석
인플루엔자 바이러스에서 각 식물 추출물의 바이러스 증식억제능을 측정하기 위해서, MDCK세포를 96 웰 플레이트(well plate)에서 배양하고 각 세포들이 90% 이상 웰의 바닥에 차있을 때 기존 배양액을 제거하여 인플루엔자 바이러스가 포함된 새 배양액을 각 웰에 투여한 후, 실험 식물 추출물을 농도별(0.1, 1, 10, 100 ㎍/mL media)로 웰에 투여하였다.
각 식물 추출물의 바이러스 증식 억제능 측정은 인플루엔자 바이러스를 48 시간 동안 MDCK 세포에 감염시킨 후, 각 웰에 살아 있는 세포를 SRB (sulforhodamine B) 분석법으로 측정하였다. 각 웰에 70% 아세톤액을 100 ㎕씩 첨가한 후 1시간 동안 4 ℃에 방치하고 증류수로 수회 세척하였다. 실온에서 건조시킨 후 1% (v/v) acetic acid에 녹인 0.4% (w/v) SRB 용액 100 ㎕를 첨가해 30분 동안 염색시켰다. 세포와 결합하지 않은 SRB염색액은 1 %(v/v) acetic acid로 수회 세척한 다음 다시 건조시켰다.
각 웰 바닥에 있는 세포의 형태를 형미경카메라(Zeiss사, Model Axivert10)를 이용하여 촬영하고 10 mM Tris용액(pH 10.5) 100 ㎕를 각 웰에 가하여 세포와 결합되어 있는 염색제를 충분히 녹인 후 560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각 처리군은 바이러스를 처리하지 않은 군(A), 식물추출물만을 처리한 군(B), 바이러스만을 처리한 군(C), 바이러스와 식물추출물을 같이 처리한 군(D)으로 표기하였고 각 식물추출물의 세포독성비율과 식물추출물의 바이러스 증식억제비율을 계산하였다.
각 식물추출물의 세포독성능은 다음 식(1)에 따라 구하였다.
식(1) 세포독성능(%) =
Figure pat00001
각 식물 추출물의 바이러스 증식억제능은 다음 식(2)에 따라 구하였다.
식(2) 바이러스 증식억제능(%) =
Figure pat00002
각 식물추출물의 세포독성 및 항바이러스(A/ WS / 33와 A/PR/8/34) 활성
뽕잎 및 청매실과육 추출물들에 대한 세포독성능은 농도별(0.1, 1, 10, 100 ㎍/mL media)로 추출물을 가하지 않는 웰의 세포와 비교하였다. 2종의 추출물 중에서 MDCK세포에 대해 청매실과육 추출물만이 100 ㎍/mL의 농도에서 약간의 세포독성을 나타내었고 뽕잎 추출물은 독성을 나타내지 않았다(표 1과 2).
또한, 뽕잎 및 청매실과육 추출물들은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A/WS/33 타입에 대해 우수한 항바이러스력을 나타냈는데, 뽕잎 추출물은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A/WS/33에 대해 양성대조구인 오셀타미비르 치료지수농도(TI, >1.16)와 비슷했고(TI, 1.17), 청매실과육 추출물은 TI 4.26의 치료지수를 나타냈다(표 2).
아래의 표 2는 뽕잎과 청매실과육 추출물 및 오셀타미비르의 인플루엔자 A/WS/33 바이러스에 대한 항바이러스 활성 및 세포독성 결과이다.
Test material CC50 a IC50 b TI c
뽕잎 >100 85.18 ± 7.42 >1.17
청매실과육 5.71 1.34 ± 2.71 4.26
오셀타미비르 >100 85.85 ± 1.60 >1.16
결과는 3번의 S.D.에서 수행된 3개의 독립적인 실험으로부터 얻은 평균 IC50값으로 제시된다.
a 50% 세포독성능(CC50)은 세포 독성 효과를 확인하기 위한 세포의 성장을 50% 감소시키는데 필요한 농도(μg/mL)를 의미한다.
b 50% 바이러스 증식억제능(IC50)은 항바이러스 효과를 확인하기 위한 바이러스-유도의 세포변성효과(CPE)를 50% 억제하는데 필요한 농도(μg/mL)를 의미한다.
c 치료 지수(TI)는 CC50 / IC50 으로 계산한다.
더욱이 뽕잎 및 청매실과육 추출물들은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A/PR/8/34 타입에 대해 우수한 항바이러스력을 나타냈는데, 뽕잎 추출물은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A/PR/8/34에 대해 양성대조구인 오셀타미비르 치료지수농도(TI, >1.07) 와 비슷했고(TI, 1.19), 청매실과육 추출물은 TI 4.26의 치료지수를 나타냈다(표 3).
아래의 표 3은 뽕잎, 청매실 과육 에탄올 추출물 및 오셀타미비르(oseltamivir)의 인플루엔자 A/PR/8/34 바이러스에 대한 항바이러스 활성 및 세포독성의 실험결과이다.
Test material CC50 a IC50 b TI c
뽕잎 >100 93.39 ± 4.69 >1.07
청매실과육 5.71 1.50 ± 3.51 3.81
오셀타미비르 >100 84.13 ± 8.33 >1.19
결과는 수행된 3개의 독립적인 실험으로부터 얻은 평균 IC50값으로 제시된다.
a 50% 세포독성능(CC50)은 세포 독성 효과를 확인하기 위한 세포의 성장을 50% 감소시키는데 필요한 농도(μg/mL)를 의미한다.
b 50% 바이러스 증식억제능(IC50)은 항바이러스 효과를 확인하기 위한 바이러스-유도의 세포변성효과(CPE)를 50% 억제하는데 필요한 농도(μg/mL)를 의미한다.
c 치료 지수(TI)는 CC50 / IC50 으로 계산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실시예와 실질적으로 균등한 범위에 있는 것까지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미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본 발명의 정신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다.

Claims (4)

  1. 뽕잎 또는 청매실과육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A형 인플루엔자 바이러스에 대한 항바이러스용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A형 인플루엔자 바이러스는 A형 인플루엔자 H1N1 바이러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바이러스용 조성물.
  3. 뽕잎 또는 청매실과육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A형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감염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4. 뽕잎 또는 청매실과육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A형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감염 질환의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KR1020200036677A 2020-03-26 2020-03-26 뽕잎 또는 청매실과육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바이러스용 조성물 KR2021012024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36677A KR20210120241A (ko) 2020-03-26 2020-03-26 뽕잎 또는 청매실과육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바이러스용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36677A KR20210120241A (ko) 2020-03-26 2020-03-26 뽕잎 또는 청매실과육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바이러스용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20241A true KR20210120241A (ko) 2021-10-07

Family

ID=781147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36677A KR20210120241A (ko) 2020-03-26 2020-03-26 뽕잎 또는 청매실과육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바이러스용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10120241A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31148B1 (ko) 2009-11-03 2013-11-20 한국생명공학연구원 유동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바이러스용 조성물
KR101782847B1 (ko) 2017-03-09 2017-09-29 한국 한의학 연구원 지구자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선천면역 증진 및 항바이러스용 조성물
KR101828562B1 (ko) 2017-04-11 2018-02-14 (주)휴럼 귤나무속 열매 발효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바이러스용 조성물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31148B1 (ko) 2009-11-03 2013-11-20 한국생명공학연구원 유동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바이러스용 조성물
KR101782847B1 (ko) 2017-03-09 2017-09-29 한국 한의학 연구원 지구자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선천면역 증진 및 항바이러스용 조성물
KR101828562B1 (ko) 2017-04-11 2018-02-14 (주)휴럼 귤나무속 열매 발효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바이러스용 조성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642387B2 (en) Composition for preventing or inhibiting influenza virus infection, containing ginseng berry polysaccharides
KR101782532B1 (ko) 백지 추출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된 퓨라노쿠마린을 함유하는 조류 인플루엔자, 돼지 인플루엔자 또는 코로나 바이러스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US8470378B2 (en) Anti-influenza viral composition containing bark or stem extract of Alnus japonica
KR101534616B1 (ko) 낙지다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인플루엔자용 조성물
WO2011055931A2 (ko)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유래 질병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TW200826954A (en) Herbal extract with anti-influenza virus activity and preparation of same
KR101976528B1 (ko) 미역 추출물을 함유하는 코로나 바이러스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210120241A (ko) 뽕잎 또는 청매실과육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바이러스용 조성물
JP5713484B2 (ja) 植物抽出物からなるウイルス感染症の予防及び/又は治療用組成物、それらを有効成分とするウイルス感染症の予防及び/又は治療剤、並びにウイルスの細胞への吸着阻害剤
KR101637476B1 (ko) 청고추 추출물을 유효 성분으로 포함하는 인플라마좀 매개 염증성 질환 및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감염 예방, 개선용 조성물
KR101595889B1 (ko) 복분자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인플루엔자 바이러스에 대한 항바이러스 조성물
KR101521010B1 (ko) 왕호장 추출물 및 이로부터 분리된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인플루엔자 바이러스에 기인한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102353119B1 (ko) 시아노박테리아 추출물, 이의 제조 방법 및 그 용도
KR101487302B1 (ko) 막걸리 추출물을 유효 성분으로 포함하는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감염 및 염증성 질환 예방, 개선용 조성물
KR100792626B1 (ko) 카테킨 유도체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독감 바이러스감염성 질환 예방 및 치료제
CN107158005B (zh) 救必应酸在制备抗流感病毒药物中的应用
KR102070040B1 (ko) 톳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인플루엔자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520428B1 (ko) 대극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인플루엔자용 조성물
KR101285933B1 (ko) 항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활성을 가지는 산성 전리수 및 이의 용도
KR102578871B1 (ko) 한약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526308B1 (ko) 한약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594706B1 (ko) 한약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540814B1 (ko) 한약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529571B1 (ko) 한약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CN104840477B (zh) 落叶松脂素-4-O-β-D-葡萄糖苷的药物应用及其药物组合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