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19633A - 반려 동물의 집모 장치 - Google Patents

반려 동물의 집모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19633A
KR20210119633A KR1020200035959A KR20200035959A KR20210119633A KR 20210119633 A KR20210119633 A KR 20210119633A KR 1020200035959 A KR1020200035959 A KR 1020200035959A KR 20200035959 A KR20200035959 A KR 20200035959A KR 20210119633 A KR20210119633 A KR 2021011963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main frame
disposed
bent
filter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359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91309B1 (ko
Inventor
이신호
Original Assignee
이신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신호 filed Critical 이신호
Priority to KR10202000359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91309B1/ko
Publication of KR202101196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1963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913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9130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13/00Devices for grooming or caring of animals, e.g. curry-combs; Fetlock rings; Tail-holders; Devices for preventing crib-biting; Washing devices; Protection against weather conditions or insects
    • A01K13/001Washing, cleaning, or drying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13/00Devices for grooming or caring of animals, e.g. curry-combs; Fetlock rings; Tail-holders; Devices for preventing crib-biting; Washing devices; Protection against weather conditions or insects
    • A01K13/002Curry-combs; Brush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7/00Suction cleaners adapted for additional purposes; Tables with suction openings for cleaning purposes; Containers for cleaning articles by suction; Suction cleaners adapted to cleaning of brushes; Suction cleaners adapted to taking-up liquids
    • A47L7/0066Suction cleaners adapted for additional purposes; Tables with suction openings for cleaning purposes; Containers for cleaning articles by suction; Suction cleaners adapted to cleaning of brushes; Suction cleaners adapted to taking-up liquids adapted for removing nail dust, hair or the lik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9/00Filtering material for liquid or gaseous fluids
    • B01D39/14Other self-supporting filtering material ; Other filtering material
    • B01D39/20Other self-supporting filtering material ; Other filtering material of inorganic material, e.g. asbestos paper, metallic filtering material of non-woven wires
    • B01D39/2068Other inorganic materials, e.g. ceramics
    • B01D39/2093Ceramic foa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42Auxiliary equipment or operation thereof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Zoology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Ge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Filtering Of Dispersed Particles In Ga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반려 동물의 털을 집모할 수 있는 장치로서, 특히 ㄷ 자 형상의 메인 프레임과, 상기 메인 프레임의 내부에 구비되어 반려 동물의 모발이 잔존하는 공기를 흡입하는 석션부와, 상기 메인 프레임의 전면에 배치되어 상기 반려 동물의 모발을 필터링하는 필터부와, 상기 메인 프레임의 배면에 위치하여 흡입된 공기를 메인 프레임의 전면측으로 되돌리는 가이드 프레임을 포함하여 실내 특정 공간에 구비되어 보다 편리하게 반려동물의 모발을 집모할 수 있는 반려 동물의 집모 장치이다.

Description

반려 동물의 집모 장치{HAIR COLLECTING DEVICE FOR ANIMAL COMPANION}
본 발명은 반려 동물의 털을 집모할 수 있는 장치로서, 특히 ㄷ 자 형상의 메인 프레임과, 상기 메인 프레임의 내부에 구비되어 반려 동물의 모발이 잔존하는 공기를 흡입하는 석션부와, 상기 메인 프레임의 전면에 배치되어 상기 반려 동물의 모발을 필터링하는 필터부와, 상기 메인 프레임의 배면에 위치하여 흡입된 공기를 메인 프레임의 전면측으로 되돌리는 가이드 프레임을 포함하여 실내 특정 공간에 구비되어 보다 편리하게 반려동물의 모발을 집모할 수 있는 반려 동물의 집모 장치이다.
일반적으로 개나 고양이 등과 같은 반려 동물을 관리함에 있어 털을 깎고 정리하는 것이 중요하다. 그런데, 반려 동물의 털을 정리하는 경우 절단된 털이 부유하여 정리하기가 쉽지 않고 사용자의 건강에 악영향을 미치는 문제점 있었다.
또한, 반려 동물을 목욕시키고 나서 건조하는 경우에도 털이 부유하여 사용자의 건강에 악영향을 미치는 경우가 많았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종래에는 청소기 등과 같은 집모 장치를 이용하여 털을 모으는 경우가 많았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 기술의 경우 사용자가 직접 집모 장치를 이동하며 사용해야 해서 사용상의 불편이 많은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상술한 집모 장치 자체는 널리 알려진 것으로서 특히 아래의 선행기술문헌에 자세히 기재되어 있는 바, 이에 대한 설명과 도시는 생략한다.
한국 등록 실용신안 제20-0278406호 한국 등록 실용신안 제20-0267484호 한국 공개 특허 제10-2007-0021922호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ㄷ 자 형상의 메인 프레임과, 상기 메인 프레임의 내부에 구비되어 반려 동물의 모발이 잔존하는 공기를 흡입하는 석션부와, 상기 메인 프레임의 전면에 배치되어 상기 반려 동물의 모발을 필터링하는 필터부와, 상기 메인 프레임의 배면에 위치하여 흡입된 공기를 메인 프레임의 전면측으로 되돌리는 가이드 프레임을 포함하여 실내 특정 공간에 구비되어 보다 편리하게 반려 동물의 모발을 집모할 수 있는 반려 동물의 집모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에 언급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ㄷ 자 형상의 메인 프레임(100)과, 상기 메인 프레임(100)의 내부에 구비되어 반려 동물의 모발이 잔존하는 공기를 흡입하는 석션부(400)와, 상기 메인 프레임(100)의 전면에 배치되어 상기 반려 동물의 모발을 필터링하는 필터부(500)와, 상기 메인 프레임(100)의 배면에 위치하여 흡입된 공기를 메인 프레임(100)의 전면측으로 되돌리는 가이드 프레임(G)을 포함하는 반려 동물의 집모 장치를 제공한다.
상기에서, 상기 메인 프레임(100)은 ㄷ 자 형상을 가지고 공기가 흡입되는 측면은 개방된 형상인 메인 프레임 본체(110)와, 상기 메인 프레임 본체(110)의 일 측에 형성되는 다수 개의 개방부(120)를 포함하고, 상기 메인 프레임 본체(110)는 상기 공기의 흡입 방향과 직교되는 직교부(111)와, 상기 직교부(111) 양 측단에 공기의 흡입 방향으로 각각 절곡되는 한 쌍의 절곡부(112)와, 상기 절곡부(112)와 직교부(111) 사이를 연결하고 경사지게 배치되며 직교부(111)의 길이 방향으로 대칭되게 형성되는 경사부(114)를 포함하며, 상기 개방부(120)는 메인 프레임 본체(110)의 직교부(111)에 형성된다.
상기에서, 상기 석션부(400)는 다수 개의 통공이 형성되고 중공 형상의 케이스(410)와, 상기 케이스(410) 내부에 배치되어 공기를 흡입하는 석션유닛(420)을 포함하고, 상기 케이스(410)는 육면체 형상을 가지고 메인 프레임(100)의 개방부(120)에 배치되는 케이스 본체(411)와, 상기 케이스 본체(411) 일 측에서 돌출되어 상기 메인 프레임(100)의 직교부(111)에 고정되는 연결편(412)을 포함한다.
상기에서, 상기 가이드 프레임(G)은 상기 메인 프레임(100)의 공기 흡입 방향 배면에 배치되는 제1가이드 프레임(200)과, 상기 제1가이드 프레임(200)의 양 측에 배치되고 메인 프레임(100)의 절곡부(112) 외측에 배치되는 한 쌍의 제2가이드 프레임(300)을 포함하며, 상기 제1가이드 프레임(200)은 상기 메인 프레임(100)의 직교부(111)와 동일 방향으로 배치되는 제1수평 프레임(210)과, 상기 제1수평 프레임(210) 양 측단에서 메인 프레임(100)측으로 각각 절곡되는 제1절곡 프레임(220)과, 상기 제1절곡 프레임(220)의 끝단에서 ㄱ 자 형상으로 절곡되는 제1연결부(230)를 포함하고, 상기 제2가이드 프레임(300)은 상기 메인 프레임(100)의 메인 프레임 본체(110)의 양 측단 모서리에 배치되는 것으로서 제2수평 프레임(310)과 제2수직 프레임(320)을 포함하고, 상기 제2수평 프레임(310)은 상기 메인 프래임 본체(110)의 직교부(111)와 동일 방향으로 배치되고 일정 간격 이격되며, 상기 제2수직 프레임(320)은 상기 메인 프레임(100)의 절곡부(112)와 동일 방향으로 배치되고 일정 간격 이격된다.
상기에서, 상기 제1연결부(230)는 제1수평 프레임(210)과 동일한 방향으로 배치되는 수평 연결부(231)과, 상기 수평 연결부(231) 끝단에서 메인 프레임(100) 방향으로 절곡되는 수직 연결부(232)를 포함하고, 상기 제2가이드 프레임(300)의 제2수평 프레임(310)은 고정구에 의해 상호 고정된다.
상기에서, 상기 필터부(500)는 중공으로서 메쉬 형상을 가지는 다수 개의 메쉬 필터부(510)와, 상기 메쉬 필터부(510) 내부에 구비되는 폼 필터부(520)와, 상기 메쉬 필터부(510) 사이에 배치되는 지지 프레임(530)을 포함하고, 상기 지지 프레임(530)은 상기 메쉬 필터부(510)의 끝단에 각각 구비되고 ㄷ 자 형상을 가져 상기 메쉬 필터부(510)가 삽입되는 수용 프레임(531)과, 상기 수용 프레임(531)을 연결하며 공기의 흡입을 방지하는 차단 프레임(532)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특징 및 이점들은 첨부도면에 의거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으로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고 사전적인 의미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가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이상 설명한 본 발명에 의해 종래보다 반려 동물을 털을 편리하게 집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집모 장치의 개략도,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에에 따른 집모 장치의 개략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하여 내려져야 할 것이다.
아울러, 아래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청구범위에 제시된 구성요소의 예시적인 사항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명세서 전반에 걸친 기술사상에 포함되고 청구범위의 구성요소에서 균등물로서 치환 가능한 구성요소를 포함하는 실시예는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반려 동물의 집모 장치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ㄷ 자 형상의 메인 프레임(100)과, 상기 메인 프레임(100)의 내부에 구비되어 반려 동물의 모발이 잔존하는 공기를 흡입하는 석션부(400)와, 상기 메인 프레임(100)의 전면에 배치되어 상기 반려 동물의 모발을 필터링하는 필터부(500)를 포함한다. 도 1 및 도 2에서 공기가 도면상 하측에서 상측으로 흡입되고 도면상 하측을 집모 장치(10)의 전면(全面)으로 하고, 도면상 상측을 집모 장치(10)의 후면(後面)으로 한다. 즉,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기는 상기 석션부(400)에 의해 도면상 하측에서 상측으로 흡입된다. 이때, 상기 공기는 필터부(500)에 의해 필터링 된다. 예를 들어 상기 메인 프레임(100)을 실내 공간의 천장에 배치하면 상기 석션부(400)에 의해 공기가 하측에서 상측으로 석션되면서 공기 중에 부유하는 반려 동물의 털이 상기 필터부(500)에 의해 필터링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사용자가 별도의 흡입 장치를 이동하며 털을 흡입할 필요가 없어 사용상의 편의성이 증진된다.
한편, 상기 메인 프레임(100)의 배면(후면)에 위치하여 흡입된 공기를 메인 프레임(100)의 전면측으로 되돌리는 가이드 프레임(G)을 포함한다. 즉, 도면상 하측에서 상측 방향으로 흡입되는 공기는 필터부(500)를 통해 필터링되고 나서 상기 가이드 프레임(G)을 통해 메인 프레임(100)의 전면측, 즉, 도면상 하측 방향으로 복귀시킨다. 이렇한 본 발명에 의해 공기의 순환이 보다 원활해진다.
상기 메인 프레임(100)은 ㄷ 자 형상을 가지고 공기가 흡입되는 측면은 개방된 형상인 메인 프레임 본체(110)와, 상기 메인 프레임 본체(110)의 일 측에 형성되는 다수 개의 개방부(120)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메인 프레임 본체(110)는 상기 공기의 흡입 방향과 직교되는 직교부(111)와, 상기 직교부(111) 양 측단에 공기의 흡입 방향으로 각각 절곡되는 한 쌍의 절곡부(112)와, 상기 절곡부(112)와 직교부(111) 사이를 연결하고 경사지게 배치되며 직교부(111)의 길이 방향으로 대칭되게 형성되는 경사부(114)를 포함한다. 즉, 상기 직교부(111)는 공기 흡입 방향(도면상 상하 방향)과 직교되므로 도면상 수평 방향으로 배치된다. 상기 절곡부(112)는 직교부(111)의 양 측단에서 공기 흡입 방향으로 절곡되므로, 상기 절곡부(112)는 도면상 상하 방향으로 절곡된다. 상기 경사부(114)는 절곡부(112)와 직교부(111) 사이를 경사지게 배치되는 방향으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개방부(120)는 메인 프레임 본체(110)의 직교부(111)에 특정 개수 만큼 형성된다. 도 1 및 도 2에는 개방부(120)가 2개 형성된 것이 예시되어 있으나, 이는 실시예에 불과하며 2개 이상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상기 경사부(114)는 일 측은 상기 직교부(111)에 배치되고 타 측은 절곡부(112)에 배치되며, 상기 절곡부(112)와 경사부(114)를 연결하기 위해 연결 프레임(113)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연결 프레임(113)은 상기 절곡부(112)의 하단에서 수평 방향으로 배치되는 제1수평부(113-1)와, 상기 제1수평부(113-1)의 끝단에서 상방향으로 절곡되는 제1수직부(113-2)와, 상기 제1수직부(113-2) 일 측에서 수평 방향으로 절곡되는 제2수평부(113-3) 및 상기 제2수평부(113-3) 끝단에서 상방향 절곡되어 상기 경사부(114)와 연결되는 제2수직부(113-4)를 포함한다. 이러한 연결 프레임(113)에 의해 경사부(114)와 절곡부(112)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석션부(400)는 공기를 흡입하기 위한 것으로서, 다수 개의 통공이 형성되고 중공 형상의 케이스(410)와, 상기 케이스(410) 내부에 배치되어 공기를 흡입하는 석션 유닛(420)을 포함한다.
이러한 케이스(410)는 육면체 형상을 가지고 메인 프레임(100)의 개방부(120)에 배치되는 케이스 본체(411)와, 상기 케이스 본체(411) 일 측에서 돌출되어 상기 메인 프레임(100)의 직교부(111)에 고정되는 연결편(412)을 포함한다. 즉, 상기 케이스(410) 내부에 석션 유닛(420)이 배치되며, 상기 케이스(410)는 연결편(412)이 개방부(120) 일 측의 직교부(111)에 고정된다. 상기 석션 유닛(420)은 널리 알려진 석션 펌프 등을 이용할 수 있다.
상기 가이드 프레임(G)은 상기 메인 프레임(100)의 공기 흡입 방향 배면에 배치되는 제1가이드 프레임(200)과, 상기 제1가이드 프레임(200)의 양 측에 배치되고 메인 프레임(100)의 절곡부(112) 외측에 배치되는 한 쌍의 제2가이드 프레임(300)을 포함한다. 즉, 상기 석션 유닛(420)에 의해 흡입되는 공기는 상기 다공성의 케이스(410)와 개방부(120)를 통해 제1가이드 프레임(200)측으로 유동하여 상기 제1가이드 프레임(200)과 충돌한다. 이후, 상기 제1가이드 프레임(200)과 충돌된 공기는 도면상 좌우 방향으로 유동한 후 제2가이드 프레임(300)을 통해 공기의 흐름이 공기의 흡입된 방향 즉, 도면상 하측 방향으로 전환되어 공기의 순환이 이루어지게 된다.
상기 제1가이드 프레임(200)은 상기 메인 프레임(100)의 직교부(111)와 동일 방향으로 배치되는 제1수평 프레임(210)과, 상기 제1수평 프레임(210) 양 측단에서 메인 프레임(100)측으로 각각 절곡되는 제1절곡 프레임(220)과, 상기 제1절곡 프레임(220)의 끝단에서 ㄱ 자 형상으로 절곡되는 제1연결부(230)를 포함한다. 즉, 상기 제1수평 프레임(210)은 직교부(111)와 동일한 방향으로 배치되므로 도면상 수평 방향으로 배치된다. 이때 상기 개방부(120)를 통과한 공기는 상기 제1수평 프레임(210)에 충돌하게 되고 상기 제1절곡 프레임(220) 방향으로 상기 공기가 유동한다. 또한, 제1가이드 프레임(200)의 제1수평 프레임(210)을 천정에 고정하여 본 발명의 집모 장치를 천장에 고정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제2가이드 프레임(300)은 상기 메인 프레임(100)의 메인 프레임 본체(110)의 양 측단 모서리에 배치되는 것으로서 제2수평 프레임(310)과 제2수직 프레임(320)을 포함한다. 상기 제2수평 프레임(310)은 상기 메인 프래임 본체(110)의 직교부(111)와 동일 방향으로 배치되고 일정 간격 이격되며, 상기 제2수직 프레임(320)은 상기 메인 프레임(100)의 절곡부(112)와 동일 방향으로 배치되고 일정 간격 이격된다. 즉, 상기 제1수평 프레임(210)에 충돌한 공기는 제1절곡 프레임(220) 방향으로 유동하다가 제2수평프레임(310)과 직교부(111) 사이 공간으로 유동한 후, 제2수직 프레임(320)과 절곡부(112) 사이 공간을 통해 도면상 하측 방향으로 유동한다.
한편, 상기 제1가이드 프레임(200)의 제1연결부(230)는 제1절곡 프레임(220)의 끝단에서 수평 방향으로 절곡되는 제1수평 연결부(231)와, 상기 제1수평 연결부(231)의 끝단에서 수직 방향(메인 프레임 방향)으로 절곡되는 제1수직 연결부(232)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제1수평 연결부(231)와 제2수평 프레임(310) 사이에 고정구(도시되지 않음)가 구비되어 제1가이드 프레임(200)과 제2가이드 프레임(300)이 상호 고정된다.
상기 필터부(500)는 중공으로서 메쉬 형상을 가지는 다수 개의 메쉬 필터부(510)와, 상기 메쉬 필터부(510) 내부에 구비되는 폼 필터부(520)와, 상기 메쉬 필터부(510) 사이에 배치되는 지지 프레임(530)을 포함한다. 즉, 다수 개의 구멍이 형성된 메쉬 형상의 메쉬 필터부(510) 내부에 폼 필터부(520)가 배치된다.
상기 폼 필터부(520)는 널리 알려진 바와 같이 세라믹스를 거품(foam) 모양으로 성형하여 필터로 사용하는 것을 말한다. 이러한 폼 필터부 자체는 한국 등록 특허 제10-1218587호, 한국 등록 특허 제10-1400937호 등에 자세히 기재되어 있는 바,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은 상술된 바와 같이 메쉬 필터부(510)에 의해 1차 필터링되고 폼 필터부(520)에 의해 2차 필터링되어 큰 크기의 털 뿐만 아니라 미세한 크기의 털 및 이물질 등을 필터링할 수 있다.
상기 지지 프레임(530)은 상기 메쉬 필터부(510)의 끝단에 각각 구비되고 ㄷ 자 형상을 가져 상기 메쉬 필터부(510)가 삽입되는 수용 프레임(531)과, 상기 수용 프레임(531)을 연결하며 공기의 흡입을 방지하는 차단 프레임(532)을 포함한다. 즉, 상기 메쉬 필터부(510)는 다수 개 구비되고 그 사이에 간극이 발생하므로 상기 메쉬 필터부(510) 사이를 연결하는 한편, 상기 간극을 막아서 공기가 침투하지 않도록 해야 한다. 이는 상기 간극을 통해서 공기가 유입되면 메쉬 필터부(510)와 폼 필터부(520)를 통과하지 않아 필터링되지 않기 때문이다. 상기 수용 프레임(531)은 상술된 바와 같이 ㄷ 자 형상을 가져 메쉬 필터부(510)가 삽입되고 차단 프레임(532)은 수용 프레임(531)를 연결하여 외부 공기의 흡입을 방지하게 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집모 장치는 천정에 부착하는 것도 가능하고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스(600) 외측에 상기 필터부(500)를 구비하고 내부에 석션부(도시되지 않음)하여 특정 장소, 예를 들어 테이블 위해 거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때, 상기 케이스(600)의 저면에는 탄성 재질의 레그(800)를 구비하여 안정적으로 거치하는 것도 가능하고, 케이스(600)의 상면에 사용자가 파지할 수 있는 파지부(700)를 구비하여 편리하게 이동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을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당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그 변형이나 개량이 가능함이 명백하다.
본 발명의 단순한 변형 내지 변경은 모두 본 발명의 범주에 속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구체적인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명확해질 것이다.
100 : 메인 프레임 110 : 메인 프레임 본체
120 : 개방부 200 : 제1가이드 프레임
210 : 제1수평 프레임 220 : 제1절곡 프레임
230 : 제1연결부 300 : 제2가이드 프레임
310 : 제2수평 프레임 320 : 제2수직 프레임
400 : 석션부 410 : 케이스
420 : 석션 유닛 500 : 필터부
510 : 메쉬 필터부 520 : 폼 필터부

Claims (6)

  1. ㄷ 자 형상의 메인 프레임(100)과, 상기 메인 프레임(100)의 내부에 구비되어 반려 동물의 모발이 잔존하는 공기를 흡입하는 석션부(400)와, 상기 메인 프레임(100)의 전면에 배치되어 상기 반려 동물의 모발을 필터링하는 필터부(500)와, 상기 메인 프레임(100)의 배면에 위치하여 흡입된 공기를 메인 프레임(100)의 전면측으로 되돌리는 가이드 프레임(G)을 포함하는 반려 동물의 집모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프레임(100)은 ㄷ 자 형상을 가지고 공기가 흡입되는 측면은 개방된 형상인 메인 프레임 본체(110)와, 상기 메인 프레임 본체(110)의 일 측에 형성되는 다수 개의 개방부(120)를 포함하고,
    상기 메인 프레임 본체(110)는 상기 공기의 흡입 방향과 직교되는 직교부(111)와, 상기 직교부(111) 양 측단에 공기의 흡입 방향으로 각각 절곡되는 한 쌍의 절곡부(112)와, 상기 절곡부(112)와 직교부(111) 사이를 연결하고 경사지게 배치되며 직교부(111)의 길이 방향으로 대칭되게 형성되는 경사부(114)를 포함하며,
    상기 개방부(120)는 메인 프레임 본체(110)의 직교부(111)에 형성되는 반려 동물의 집모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석션부(400)는 다수 개의 통공이 형성되고 중공 형상의 케이스(410)와, 상기 케이스(410) 내부에 배치되어 공기를 흡입하는 석션유닛(420)을 포함하고,
    상기 케이스(410)는 육면체 형상을 가지고 메인 프레임(100)의 개방부(120)에 배치되는 케이스 본체(411)와, 상기 케이스 본체(411) 일 측에서 돌출되어 상기 메인 프레임(100)의 직교부(111)에 고정되는 연결편(412)을 포함하는 반려 동물의 집모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프레임(G)은 상기 메인 프레임(100)의 공기 흡입 방향 배면에 배치되는 제1가이드 프레임(200)과, 상기 제1가이드 프레임(200)의 양 측에 배치되고 메인 프레임(100)의 절곡부(112) 외측에 배치되는 한 쌍의 제2가이드 프레임(300)을 포함하며,
    상기 제1가이드 프레임(200)은 상기 메인 프레임(100)의 직교부(111)와 동일 방향으로 배치되는 제1수평 프레임(210)과, 상기 제1수평 프레임(210) 양 측단에서 메인 프레임(100)측으로 각각 절곡되는 제1절곡 프레임(220)과, 상기 제1절곡 프레임(220)의 끝단에서 ㄱ 자 형상으로 절곡되는 제1연결부(230)를 포함하고,
    상기 제2가이드 프레임(300)은 상기 메인 프레임(100)의 메인 프레임 본체(110)의 양 측단 모서리에 배치되는 것으로서 제2수평 프레임(310)과 제2수직 프레임(320)을 포함하고, 상기 제2수평 프레임(310)은 상기 메인 프래임 본체(110)의 직교부(111)와 동일 방향으로 배치되고 일정 간격 이격되며, 상기 제2수직 프레임(320)은 상기 메인 프레임(100)의 절곡부(112)와 동일 방향으로 배치되고 일정 간격 이격되는 반려 동물의 집모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연결부(230)는 제1수평 프레임(210)과 동일한 방향으로 배치되는 수평 연결부(231)과, 상기 수평 연결부(231) 끝단에서 메인 프레임(100) 방향으로 절곡되는 수직 연결부(232)를 포함하고,
    상기 제2가이드 프레임(300)의 제2수평 프레임(310)은 고정구에 의해 상호 고정되는 반려 동물의 집모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부(500)는 중공으로서 메쉬 형상을 가지는 다수 개의 메쉬 필터부(510)와, 상기 메쉬 필터부(510) 내부에 구비되는 폼 필터부(520)와, 상기 메쉬 필터부(510) 사이에 배치되는 지지 프레임(530)을 포함하고,
    상기 지지 프레임(530)은 상기 메쉬 필터부(510)의 끝단에 각각 구비되고 ㄷ 자 형상을 가져 상기 메쉬 필터부(510)가 삽입되는 수용 프레임(531)과, 상기 수용 프레임(531)을 연결하며 공기의 흡입을 방지하는 차단 프레임(532)을 포함하는 반려 동물의 집모 장치.
KR1020200035959A 2020-03-25 2020-03-25 반려 동물의 집모 장치 KR10239130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35959A KR102391309B1 (ko) 2020-03-25 2020-03-25 반려 동물의 집모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35959A KR102391309B1 (ko) 2020-03-25 2020-03-25 반려 동물의 집모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19633A true KR20210119633A (ko) 2021-10-06
KR102391309B1 KR102391309B1 (ko) 2022-04-26

Family

ID=780773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35959A KR102391309B1 (ko) 2020-03-25 2020-03-25 반려 동물의 집모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91309B1 (ko)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54938Y1 (ko) * 2001-08-24 2001-11-27 박종웅 집진기능을 갖는 애완동물 미용 테이블
US6321637B1 (en) * 1999-12-30 2001-11-27 Honeywell International Inc. Low-profile air filter module
KR200267484Y1 (ko) 2001-09-11 2002-03-09 메디파크(주) 애완동물 털깎이용 털수거장치
KR200278406Y1 (ko) 2002-02-28 2002-06-20 (주)유림정보통신 애완동물 털 흡입장치
KR100564648B1 (ko) * 2004-06-03 2006-03-29 주식회사 하츠 공기청정기능이 구비된 재순환레인지후드
KR100601363B1 (ko) * 2005-06-21 2006-07-13 박영순 대류현상을 이용한 실내부유먼지집진장치
KR20070021922A (ko) 2005-08-18 2007-02-23 삼성전자주식회사 아이스 메이커 및 이를 갖는 냉장고
JP2008142665A (ja) * 2006-12-12 2008-06-26 Daikin Ind Ltd 空気清浄機
KR101427848B1 (ko) * 2013-02-13 2014-08-08 주식회사 센텍에어코리아 멀티 대류환기장치

Patent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321637B1 (en) * 1999-12-30 2001-11-27 Honeywell International Inc. Low-profile air filter module
KR200254938Y1 (ko) * 2001-08-24 2001-11-27 박종웅 집진기능을 갖는 애완동물 미용 테이블
KR200267484Y1 (ko) 2001-09-11 2002-03-09 메디파크(주) 애완동물 털깎이용 털수거장치
KR200278406Y1 (ko) 2002-02-28 2002-06-20 (주)유림정보통신 애완동물 털 흡입장치
KR100564648B1 (ko) * 2004-06-03 2006-03-29 주식회사 하츠 공기청정기능이 구비된 재순환레인지후드
KR100601363B1 (ko) * 2005-06-21 2006-07-13 박영순 대류현상을 이용한 실내부유먼지집진장치
KR20070021922A (ko) 2005-08-18 2007-02-23 삼성전자주식회사 아이스 메이커 및 이를 갖는 냉장고
JP2008142665A (ja) * 2006-12-12 2008-06-26 Daikin Ind Ltd 空気清浄機
KR101427848B1 (ko) * 2013-02-13 2014-08-08 주식회사 센텍에어코리아 멀티 대류환기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91309B1 (ko) 2022-04-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048625B2 (en) Clean bench for cleaning atmosphere of partitioned space
KR102024100B1 (ko) 실험대
KR102391309B1 (ko) 반려 동물의 집모 장치
CN208211193U (zh) 一种逮猪笼
CN212006046U (zh) 一种感染科清洁用通风换气装置
CN210924376U (zh) 一种计算机机箱清扫装置
KR20090088187A (ko) 공기정화장치
RU95122470A (ru) Пылесос, имеющий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влажной уборки
CN109750469B (zh) 一种干衣机
CN112888908B (zh) 浴室干燥机
CN113069836A (zh) 一种可除尘除杂的计算机用空气净化装置
CN210425421U (zh) 一种洁净车间用风量调节装置
KR100917128B1 (ko) 기능성 책상
CN215372720U (zh) 一种带有臭氧消毒装置的新风机
CN214980302U (zh) 吸尘工作台
CN216557256U (zh) 一种吸油烟机
CN212233674U (zh) 一种经济管理用文件存放装置
CN215809169U (zh) 一种可降噪的多功能手术室净化装置
CN214238526U (zh) 一种泡沫切割机
CN215969222U (zh) 一种家具生产板材用切割装置
CN213896065U (zh) 高效除杂的羽绒加工装置
CN220369889U (zh) 一种新型无烟牛排机结构
CN214243193U (zh) 一种面料展布装置
CN208351170U (zh) 一种液晶显示模组加工用清洁装置
CN217809889U (zh) 一种织布机用麻絮收集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