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24100B1 - 실험대 - Google Patents

실험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24100B1
KR102024100B1 KR1020180127110A KR20180127110A KR102024100B1 KR 102024100 B1 KR102024100 B1 KR 102024100B1 KR 1020180127110 A KR1020180127110 A KR 1020180127110A KR 20180127110 A KR20180127110 A KR 20180127110A KR 102024100 B1 KR102024100 B1 KR 10202410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elf
bench
suction pipe
lower shelf
side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271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진선
Original Assignee
최진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진선 filed Critical 최진선
Priority to KR10201801271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2410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241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2410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L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FOR GENERAL USE
    • B01L9/00Supporting devices; Holding devices
    • B01L9/02Laboratory benches or tables; Fitting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37/00Tables adapted for other particular purpos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83/00Combinations comprising two or more pieces of furniture of different kinds
    • A47B83/04Tables combined with other pieces of furnitur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37/00Tables adapted for other particular purposes
    • A47B2037/005Tables specially adapted for laborator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L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FOR GENERAL USE
    • B01L2200/00Solutions for specific problems relating to 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 B01L2200/06Fluid handling related problems
    • B01L2200/0631Purification arrangements, e.g. solid phase extraction [SP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L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FOR GENERAL USE
    • B01L2200/00Solutions for specific problems relating to 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 B01L2200/08Ergonomic or safety aspects of handling devices
    • B01L2200/082Handling hazardous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L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FOR GENERAL USE
    • B01L2200/00Solutions for specific problems relating to 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 B01L2200/08Ergonomic or safety aspects of handling devices
    • B01L2200/085Protection against injuring the user

Abstract

본 발명은, 실험대 상판의 상부 및 측면부로 확산되는 유해 가스를 용이하게 흡입할 수 있고, 실험위치에 따라 전후 방향으로 흡입 위치를 조정할 수 있으며, 흡입 위치를 변경시키더라도 흡입력을 안정적으로 유지하고 흡입계통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실험대 상판 상부의 측면 공간 확보가 용이한 실험대에 관한 것으로서, 실험대 상판; 상기 실험대 상판을 지지하는 실험대 레그; 상기 실험대 상판 또는 상기 실험대 레그의 양측면에 결합되어 그 상단이 상기 실험대 상판의 연직 높이보다 높게 연장되는 수직 설치 프레임; 상기 수직 설치 프레임에 결합되어 상기 실험대 상판의 상부 공기를 흡입하는 가변 덕트 선반; 상기 가변 덕트 선반에 음압을 제공하는 진공 펌프;를 포함하되, 상기 가변 덕트 선반은, 상기 수직 설치 프레임에 고정되는 상부 선반; 상기 상부 선반의 하방에서 상기 상부 선반을 따라 전후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구비되되 내측에 중공부가 형성된 하부 선반; 상기 하부 선반의 측단부에 일단이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측판과, 상기 측판의 내부에 형성되는 유로와, 상기 측판의 일면에 관통 형성되어 상기 유로와 연통되는 흡입구와, 상기 측판의 일단부에 구비되어 일측이 상기 유로와 연통되고 타단이 상기 하부 선반의 중공부와 연통되는 호형 흡입관을 포함하는 측면 선반;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실험대{Laboratory table}
본 발명은, 실험대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실험대 상판의 상부 및 측면부로 확산되는 유해 가스를 용이하게 흡입할 수 있고, 실험위치에 따라 전후 방향으로 흡입 위치를 조정할 수 있으며, 흡입 위치를 변경시키더라도 흡입력을 안정적으로 유지하고 흡입계통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실험대 상판 상부의 측면 공간 확보가 용이한 실험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각종 실험실에서 사용되는 흄 후드는 실험자 및 실험실 내부의 안전한 환경을 위하여 실험실 내부에서 발생되는 유해가스를 외부로 배출시키기 위한 덕트가 실험실 외부로 연결되어 있고, 실험실에는 외부로 유해가스를 배출시키기 위한 배기 장치가 설치되어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이 덕트식 흄 후드에는 배기장치가 구비되어 있으나, 간단한 실험, 즉, 상대적으로 위험이 덜한 안전한 실험, 예컨대, 휘발성이 강한 알코올을 제거할 경우, 덕트식 흄 후드에서 작업을 하기에는 흄 후드를 동작하여야 하는 등 번거로운 문제점이 발생되었으며, 그렇다고 간이 실험대에서 직접 작업을 하면 알코올 냄새를 작업자가 직접 맡아야 하는 문제점이 발생되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고자 실험대의 상부에 흡입 장치를 구비하여 유해가스를 흡입 및 배출할 수 있도록 하는 기구가 개발되었으나, 흡입 위치가 고정적이고 또한 실험대의 측면으로 확산되는 유해가스를 흡입하지 못하는 문제가 있었다.
따라서, 실험대의 어느 위치에서 실험을 하여도 유해 가스의 흡입 위치를 가변하여 안정적으로 유해 가스가 흡입될 수 있도록 하고, 또한, 실험대의 측면 방향으로 확산되는 유해가스도 용이하게 흡입 가능한 실험대의 개발이 필요로 하게 되었다.
또한, 실험대는 다양한 종류의 실험을 하며, 이중에는 유해가스가 발생되지 않는 경우도 다수 있으나, 종래의 기술은 유해가스 흡입 장치가 펼쳐져 있어 흡입 장치로의 먼지와 이물질이 고착되어 흡입력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유해 가스 흡입장치는 통상 측면과 후면에 동시에 설치되는바, 이렇게 측면에 설치되면 실험 공간이 적어지고 시야가 방해되어 실험 중 토론이나 이론 수업에 방해가 되는 경우가 많았다.
KR10-0956016(등록번호) 2010.04.27.
본 발명은, 실험대 상판의 상부 및 측면부로 확산되는 유해 가스를 용이하게 흡입할 수 있는 실험대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실험대상에 따라 유해가스가 발생되지 않는 실험의 경우 흡입부를 접어 실험대를 넓게 사용하고, 유해가스가 발생되는 실험의 경우 흡입부를 펼쳐 안전사고를 대비할 수 있는 실험대를 제공하는 것이 목적이다.
또한, 본 발명은, 시약을 안전하게 수납 또는 거치할 수 있는 실험대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필요시에만 유해 가스 흡입부를 펼쳐 사용하고, 흡입된 유해가스를 실험자에게서 떨어진 위치까지 이동한 후에 노출시켜 실험자가 유해가스가 발생할 시 대피 시간을 갖을 수 있도록 한 실험대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흡입 위치를 변경시키더라도 흡입력을 안정적으로 유지하고, 흡입계통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실험대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실험대 상판 상부의 측면 공간 확보가 용이한 실험대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실험대 상판; 상기 실험대 상판을 지지하는 실험대 레그; 상기 실험대 상판 또는 상기 실험대 레그의 양측면에 결합되어 그 상단이 상기 실험대 상판의 연직 높이보다 높게 연장되는 수직 설치 프레임; 상기 수직 설치 프레임에 결합되어 상기 실험대 상판의 상부 공기를 흡입하는 가변 덕트 선반; 상기 가변 덕트 선반에 음압을 제공하는 진공 펌프;를 포함하되, 상기 가변 덕트 선반은, 상기 수직 설치 프레임에 고정되는 상부 선반; 상기 상부 선반의 하방에서 상기 상부 선반을 따라 전후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구비되되 내측에 중공부가 형성된 하부 선반; 상기 하부 선반의 측단부에 일단이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측판과, 상기 측판의 내부에 형성되는 유로와, 상기 측판의 일면에 관통 형성되어 상기 유로와 연통되는 흡입구와, 상기 측판의 일단부에 구비되어 일측이 상기 유로와 연통되고 타단이 상기 하부 선반의 중공부와 연통되는 호형 흡입관을 포함하는 측면 선반;을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수직 설치 프레임에 결합되어 상기 가변 덕트 선반의 상방에 구비되는 수납장; 상기 상부 선반의 적어도 상면 전단의 상부에 구비되어 상기 상부 선반에 거치된 물품의 외부 이탈을 방지하는 가이드 바;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수직 설치 프레임에 결합되어 상기 가변 덕트 선반의 하방에 구비되는 센터 프레임; 상기 센터 프레임의 전면 또는 하면에 상용 전원 콘센트 또는 USB 전원 콘센트 형태로 구비되는 다기능 전원 장치;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하부 선반의 후면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관통 삽입되어 상기 하부 선반의 중공부와 연통되는 수평 흡입관; 상기 수평 흡입관의 후단에 연통 결합되어 하방으로 연장되며, 하단이 상기 진공 펌프에 결합되는 수직 흡입관;을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하부 선반은, 전방으로 최대 슬라이딩 시켰을때 상기 수평 흡입관이 후단 외측으로 이탈되지 않도록, 전후방향 슬라이딩 길이가 상기 수평 흡입관의 길이보다 짧게 형성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측면 선반은, 상기 측판이 상기 하부 선반에 접하도록 회동되었을 때 상기 하부 선반에 부착되어 상기 측판의 위치가 고정될 수 있도록 일면에 자석이 구비된다.
본 발명은, 가변 덕트 선반이 구비되어 실험대 상판의 상부 및 측면부로 확산되는 유해 가스를 용이하게 흡입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가변 덕트 선반이 구비되어 실험위치에 따라 전후 방향으로 흡입 위치를 조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수납장 및 가이드바가 구비되어 시약을 안전하게 수납 또는 거치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실험대상에 따라 유해가스가 발생되지 않는 실험의 경우 흡입부를 접어 실험대를 넓게 사용하고, 유해가스가 발생되는 실험의 경우 흡입부를 펼쳐 안전사고를 대비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하부 선반의 내측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구비되는 수평 흡입관이 구비됨으로써, 하부 선반을 인출 또는 인입시키더라도 흡입력을 안정적으로 유지하고, 흡입계통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필요시에만 유해 가스 흡입부를 펼쳐 사용하고, 흡입된 유해가스를 실험자에게서 떨어진 위치까지 이동한 후에 노출시켜 실험자가 유해가스가 발생할 시 대피 시간을 갖을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 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실험대의 사시도.
도 2 는 도 1 의 하부 선반을 후방으로 슬라이딩 시키고 측면 선반을 접철 보관한 사시도.
도 3 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실험대의 정면도.
도 4 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실험대의 측면도.
도 5 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실험대의 사용 상태도.
도 6 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실험대의 가변 덕트 선반의 요부 저면 사시도.
도 7 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실험대의 하부 선반의 상면을 절개한 요부 사시도.
이하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도 1 내지 도 7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험대 상판(100)과, 실험대 상판(100)을 지지하는 실험대 레그(110)와, 실험대 상판(100) 또는 실험대 레그(110)의 양측면에 결합되어 그 상단이 실험대 상판(100)의 연직 높이보다 높게 연장되는 수직 설치 프레임(120)과, 수직 설치 프레임(120)에 결합되어 실험대 상판(100)의 상부 공기를 흡입하는 가변 덕트 선반(200)과, 가변 덕트 선반(200)에 음압을 제공하는 진공 펌프와, 수직 설치 프레임(120)에 결합되어 가변 덕트 선반(200)의 상방에 구비되는 수납장(13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실험대 상판(100)은, 각종 실험 도구 및 실험 약품을 올려놓고 실험을 수행하는 장소를 제공하며, 이를 위하여 상면이 지면과 평행한 판형으로 형성되며, 실험대 레그(110)에 의해 지지되어 지면으로부터 이격된다.
실험대 레그(110)는, 실험대 상판(100)을 지지하는 역할을 하며, 이를 위하여 실험대 상판(100)의 하단 또는 측면에 결합되어 하방으로 연장되며, 일반적인 테이블의 지지 다리와 같은 형상으로 구비된다.
실험대 레그(110)의 내측, 즉, 양측 실험대 레그(110)의 사이에는 서랍장(140)이 더 구비되어 실험 도구 또는 기록지, 필기 도구 등을 수납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서랍장은 하단에 이동 바퀴가 구비되어 이동식으로 구비되나, 경우에 따라 서랍장(140)을 실험대 레그(110) 또는 수직 설치 프레임(120)에 고정식으로 설치하여서 그 내부에 진공 펌프를 구비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이런 경우 유해가스는 실험대의 하단으로 배출된다. 또한, 진공펌프는 상부의 수납장(130) 내부에 설치될 수 있으며, 이런 경우에 유해 가스는 실험대의 상부로 배출된다. 이하 는 유해가스가 실험대의 하단으로 배출되는 경우를 기본으로 설명한다.
수직 설치 프레임(120)은, 수납장(130), 가변 덕트 선반(200) 등을 설치할 수 있도록 설치대 역할을 하며, 이를 위하여 기둥형으로 형성되어 실험대 상판(100) 또는 실험대 레그(110)의 양측면에 결합되어 그 상단이 실험대 상판(100)의 연직 높이보다 높게 연장되도록 구비된다.
수직 설치 프레임(120)은 그 내부로 전선 또는 수직 흡입관(241)이 지나도록 하여 미려한 외관과 외부 충격에 의한 파손을 방지하기 위하여 내부가 중공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수직 설치 프레임(120)은, 내측 방향 면, 즉, 설치가 완료된 상태에서 실험대 상판(100) 방향을 향하고 있는 면에 상하 방향으로 복수의 걸림홀이 형성될 수 있다. 걸림홀은 가변 덕트 선반(200) 또는 수납장(130)의 양 측면에 외측으로 형성된 걸림돌기가 삽입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하며, 이에 따라 가변 덕트 선반(200) 또는 수납장(130)을 높이 가변하여 설치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수납장(130)은, 시약 또는 실험 도구 등을 수납하는 역할을 하며, 이를 위하여 수직 설치 프레임(120)에 결합되어 가변 덕트 선반(200)의 상부에 구비된다. 수납장(130)의 도어는 좌우 또는 상하로 여닫을 수 있으며, 또는 슬라이딩 도어로 형성될 수 있다.
가변 덕트 선반(200)은, 실험대 상판(100)의 상부 공기를 흡입하여 외부로 배출하는 역할을 하며, 이를 위하여 수직 설치 프레임(120)에 결합되어 수납장(130)과 실험대 상판(100)의 사이에 구비된다.
가변 덕트 선반(200)은, 수직 설치 프레임(120)에 고정되는 상부 선반(210)과, 상부 선반(210)의 하방에서 상부 선반(210)을 따라 전후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구비되되 내측에 중공부(221)가 형성된 하부 선반(220)과, 하부 선반(220)의 측단부에 일단이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측면 선반(23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부 선반(210)은, 시약 또는 실험 도구를 상면에 거치할 수 있도록 상면이 지면과 평행한 판형으로 형성되며, 양측이 수직 설치 프레임(120)에 고정되어 구비된다.
상부 선반(210)의 상부에는 상부 선반(210)에 거치된 물품의 외부 이탈을 방지하는 가이드 바(212)가 구비된다. 가이드 바(212)는 상부 선반(210)의 적어도 상면 전단의 상부에 구비되며, 바람직하게는 상부 선반(210)의 전단 및 양측단의 상면 상부에 구비된다.
이러한 상부 선반(210)의 하단 양측에는 하부 선반(220)이 슬라이딩될 수 있도록 레일 가이드(211)가 설치된다. 이를 위하여 상부 선반(210)은 하면 내측이 상방으로 인입된 형상으로 형성되거나 또는 하면 양측단의 하단에 레일 가이드(211)를 설치하기 위한 막대형 블럭이 결합될 수 있다.
하부 선반(220)은, 상부 선반(210)의 하방에서 상부 선반(210)을 따라 전후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구비된다. 하부 선반(220)은 진공 펌프로부터 생성된 음압을 측면 선반(230)에 전달하여 측면 선반(230)에서 실험대 상판(100) 상부의 공기가 흡입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하며, 이를 위하여 내부에 중공부(221)가 형성되고, 양측단에는 상부 선반(210)의 레일 가이드(211)에 안내되는 레일 롤러(미도시)가 구비된다.
이때, 상부 선반(210)의 하방에 하부 선반(220)이 위치된다는 기재의 의미는 상부 선반(210)의 모든 부분보다 하부 선반(220)의 모든 부분이 하부에 위치되는 것이 아니라, 상부 선반(210)의 상단보다 하부 선반(220)의 상단 위치가 하방에 위치되는 것을 뜻하며, 상부 선반(210)의 하단이 하부 선반(220)의 하단보다 낮은 위치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하부 선반(220)은 측면 선반(230)의 흡입 위치를 가변시키는 역할을 하는데, 이를 위하여 하부 선반(220)은 양측단 방향의 하면에 측면 선반(230)의 일단이 힌지 결합된다.
하부 선반(220)의 내측 중공부(221)는 측면 선반(230)으로부터 흡입된 공기가 진공 펌프에 전달될 수 있도록 구성되는데, 이를 위하여 하부 선반(220)의 하면으로부터 호형 흡입관(233)이 중공부(221)를 향하여 관통 결합되고, 하부 선반(220)의 후면으로는 수평 흡입관(240)이 관통 결합된다. 이때, 호형 흡입관(233)과 수평 흡입관(240)은 슬라이딩 가능한 형태, 즉, 완전 결합되지 않고 하부 선반(220)의 내측으로 입출 가능한 형태가 된다. 따라서, 도 7 과 같이 호형 흡입관(233)을 통해 이동된 공기는 하부 선반(220)의 내측 중공부(221)로 전달되며, 중공부(221)의 공기는 다시 수평 흡입관(240)에 흡입되어 수직 흡입관(241)을 통해 진공 펌프로 전달된다.
이때, 하부 선반(220)이 전방으로 최대한 슬라이딩되었을 때 하부 선반(220)의 후면 외측으로 수평 흡입관(240)이 이탈되면 흡입이 제대로 이루어질 수 없고, 향후 하부 선반(220)을 후방으로 슬라이딩시킬 때 수평 흡입관(240)이 파손된다. 따라서, 하부 선반(220)의 최대 슬라이딩 길이는 수평 흡입관(240)의 길이보다 짧은 것이 바람직하며, 하부 선반(220)이 최대로 전방으로 슬라이딩 되었을 대 하부 선반(220)의 후면 내측 중공부(221)로 수평 흡입관(240)의 전단이 위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수평 흡입관(240)의 후단에는 수직 흡입관(241)이 연통 결합되며, 수직 흡입관(241)의 하단은 진공 펌프에 연통 결합된다. 이때, 수직 흡입관(241)은 수직 설치 프레임(120)의 내측에 구비되거나 또는 실험대 상판(100)을 관통하여 구비될 수 있으며, 수직 흡입관(241)에 의해 수평 흡입관(240)의 전후좌우 위치가 고정되고, 따라서 하부 선반(220)이 슬라이딩되더라도 수평 흡입관(240)이 하부 선반(220)을 따라 이동되지 않고 하부 선반(220)의 후면 내측으로 인입 또는 인출되도록 구성된다.
측면 선반(230)은, 실험대 상판(100)의 상부에서 발생된 유해 가스를 흡입하는 역할을 하며, 이를 위하여 하부 선반(220)의 측단부 하면에 일단이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측판(235)과, 측판(235)의 내부에 형성되는 유로(231)와, 측판(235)의 일면에 관통 형성되어 유로(231)와 연통되는 흡입구(232)와, 측판(235)의 일단부에 구비되어 일측이 유로(231)와 연통되고 타단이 하부 선반(220)의 중공부(221)와 연통되는 호형 흡입관(233)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측판(235)은, 실험대 상판(100)의 상부 여러 높이에서 공기가 흡입될 수 있도록 유로(231)를 연장시켜주는 역할을 하며, 또한, 실험대 상판(100)에서 발생된 유해 가스가 측면 방향으로 발산되지 못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이를 위하여 측판(235)은 판형으로 형성되어 일단부가 하부 선반(220)의 하면에 회동 가능하게 힌지 결합되고, 내부의 유로(231)가 일단부에서 타단부에 이르도록 형성된다. 또한, 내측면, 즉, 측판(235)이 하부 선반(220)과 수직하게 회동되었을 때 실험대 상판(100) 방향을 향하는 면에는 실험대 상판(100)의 공기가 내부의 유로(231)에 흡입될 수 있도록 흡입구(232)가 형성된다. 흡입구(232)는 유로(231)의 길이 방향으로 길게 절개된 형태 또는 복수의 통공이 유로(231)의 길이 방향으로 정렬된 형태 등 다양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도면에는 흡입구(232)가 측판(235)의 타단부측에 길게 형성된 것을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하지 아니하고 측판(235)의 양측단부측에도 형성될 수 있고, 또한, 복수의 통공 형태로도 형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호형 흡입관(233)은, 측판(235)의 일단부 내측면에 유로(231)와 연통되도록 구비되며, 측판(235)이 하부 선반(220)의 하면에 접하도록 회동되면 하부 선반(220)의 내부로 인입되고, 측판(235)이 하부 선반(220)과 수직을 이루도록 회동되면 하부 선반(220)의 내부로부터 인출된다. 이때, 측판(235)이 하부 선반(220)과 수직을 이루도록 회동되더라도 호형 흡입관(233)의 끝단은 하부 선반(220)의 내부에 위치되어 중공부(221)와 연통됨으로써 흡입구(232)로부터 흡입된 공기가 중공부(221)에 전달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한편, 측판(235)의 내측면에는 자석(234)이 구비되어 측판(235)이 하부 선반(220)의 하면에 접하도록 회동되었을 때 측판(235)을 하부 선반(220)에 위치 고정하도록 구성된다. 자석(234)은 측판(235)의 내측면에 복수개 구비될 수 있으며, 하부 선반(220)이 비자성 물질로 구성되는 경우 자석(234)과 대응되는 위치의 하부 선반(220) 하면에 철판 등이 더 구비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측판(235)을 하부 선반(220)과 수직하게 회동시켰을 때, 측판(235)이 실험대 상판(100)의 측단으로부터 내측으로 위치되게 된다. 그 이유는 실험실의 문이 열리는 순간 또는 실험실 창문이 열려있는 때에 실험대 레그(110) 또는 실험대 상판(100)의 측면을 타고 흐르는 기체의 흐름에 의한 유해 가스의 유실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측판(235)이 수직하게 펼쳐졌을 때 측판(235)의 외측면이 실험대 상판(100)의 양측 단부와 일렬로 정렬되는 경우, 이러한 기체의 흐름이 실험대 상판(100)과 측판(235)의 틈새에 작용하게 되면 베르누이 효과에 의해 측판(235) 내측의 유해 가스가 실험대 상판(100)과 측판(235)의 사이로 빨려들어가 유출될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측판(235)이 하부 선반(220)으로부터 수직하게 회동되었을 때 그 외측면이 실험대 상판(100)의 측단으로부터 내측으로 위치되도록 구성되며, 또한, 이로 인해 본 발명의 실험대를 좌우 일렬로 복수 개 설치했을 경우 본 실험대의 측판(135)이 이어지는 다른 실험대의 다른 측판(135)과 밀착되지 않아 측판(135) 사이에 손을 넣어 접철하기 용이한 구조가 되는 효과를 동시에 갖게 된다.
진공 펌프는, 음압을 형성하여 생성된 음압을 수직 흡입관(241)을 통해 수평 흡입관(240)에 제공하며, 수평 흡입관(240)과 연통된 하부 선반(220)의 중공부(221) 및 측면 선반(230)의 유로(231)를 통해 흡입구(232)로부터 실험대 상판(100) 상방의 공기가 흡입될 수 있도록 한다.
진공 펌프는 실험대 상판(100)의 하면에 설치될 수 있고, 서랍장(140)이 실험대 레그(110) 또는 수직 설치 프레임(120)에 고정식으로 설치되는 경우 서랍장(140)의 내부 일측에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진공 펌프와 수직 흡입관(241)의 사이에는 필터(미도시)가 구비되어 흡입되는 공기 내의 이물질 또는 유해 물질을 제거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진공 펌프의 후단은 흡입된 유해 가스를 외부로 배출하거나 또는 정화 장치로 배출할 수 있도록 별도의 배출 덕트(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필터는 유해가스가 배출되는 위치의 전단에 배치될수도 있다.
한편, 실험을 진행하다 보면 전원 장치가 필요한 실험 도구를 활용하는 경우가 있을 수 있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220V의 상용 전원, 5V 등의 USB전원 등을 활용할 수 있도록 다기능 전원 장치(251)가 더 구비된다.
이를 위하여 수직 설치 프레임(120)의 사이에는 센터 프레임(250)이 고정되며, 센터 프레임(250)은 실험 도구의 전원선이 꺾이거나 또는 실험 도구의 전원 플러그를 꽂기 용이하도록 가변 덕트 선반(200)의 하방에 구비된다.
센터 프레임(250)의 내부는 중공되어 각종 전원선이 내부에 구비될 수 있도록 구성되며, 이러한 센터 프레임(250)의 전면 또는 하면에 상용 전원 또는 USB전원의 콘센트로 구성된 다기능 전원 장치(251)가 구비된다.
한편, 센터 프레임(250)의 전면 또는 하면에는 실험대 상판의 상부 공기를 흡입할 수 있도록 센터 흡입부(미도시)가 구비된다. 센터 흡입부는 센터 프레임의 전면 또는 하면에 관통 형성되며, 센터 흡입부의 후단에는 진공 펌프로부터 생성된 음압을 센터 흡입부에 제공하기 위한 센터 흡입관(미도시)이 구비된다. 센터 흡입관은 센터 프레임의 내부에 구비되며, 일측 단부가 센터 흡입부에 연통 결합되고, 타측 단부가 수직 흡입관(241)에 연통 결합되거나 또는 직접 진공 펌프에 연통 결합된다.
이러한 센터 흡입부는 수직 설치 프레임(120)의 사이, 가변 덕트 선반(200)의 하방에 위치되므로, 즉, 실험대 상판(100)의 후단 상방에 위치되게 되며, 따라서, 가변 덕트 선반(200)의 측면 선반(230)과 함께 실험대 상판(100)의 상부 공기를 측방 및 후방에서 흡입 가능하여 신속하고 전체적으로 흡입, 배출할 수 있게 된다.
상술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사용 상태를 살펴보면, 도 5 의 <a>와 같이 하부 선반(220)을 당겨 하부 선반(220)이 상부 선반(210)으로부터 전방으로 인출되도록 한다. 그리고 측면 선반(230)을 회동시켜 측면 선반(230)이 하부 선반(220)과 수직을 이루도록 한다. 이러한 상태의 사시도가 도 1 에 도시되어 있다.
이후 스위치 등을 동작하여 진공 펌프를 구동시키게 되면, 측면 선반(230)에 형성된 흡입구(232)를 통해 실험대 상판(100) 상부의 공기가 흡입되어 배출되게 된다. 이때, 하부 선반(220)을 전후방으로 당기거나 밀어서 전후방 흡입 위치를 가변시킬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실험이 종료되거나 또는 유해 가스가 발생되지 않는 종류의 실험을 할 때에는 측면 선반(230)을 하부 선반(220) 방향으로 접철하여 부착시키고, 하부 선반(220)을 후방으로 밀어 상부 선반(210)의 아래에 수납시킨다. 이러한 상태가 도 5 의 <b> 및 도 2 에 도시되어 있다. 이 경우 하부 선반(220)을 후방으로 슬라이딩 시킴으로써 실험대 상판(100) 상부의 시야 확보가 용이하며, 또한, 측면 선반(230)을 접철 보관함으로써 실험대 상판(100) 상부의 측면 방향이 개방되어 공간 확보가 용이하게 된다.
상술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은, 가변 덕트 선반(200)이 구비되어 실험대 상판(100)의 상부 및 측면부로 확산되는 유해 가스를 용이하게 흡입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가변 덕트 선반(200)이 구비되어 실험위치에 따라 전후 방향으로 흡입 위치를 조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수납장(130) 및 가이드바가 구비되어 시약을 안전하게 수납 또는 거치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다기능 전원 장치(251)가 구비되어 실험 도구를 용이하게 활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하부 선반(220)의 내측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구비되는 수평 흡입관(240)이 구비됨으로써, 하부 선반(220)을 인출 또는 인입시키더라도 흡입력을 안정적으로 유지하고, 흡입계통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측면 선반(230)을 사용하지 않을 때 하부 선반(220) 방향으로 접어 보관할 수 있으므로 실험대 상판(100) 상부의 공간 확보가 용이한 효과가 있다.
100 : 실험대 상판 110 : 실험대 레그
120 : 수직 설치 프레임 130 : 수납장
140 : 서랍장
200 : 가변 덕트 선반
210 : 상부 선반 211 : 레일 가이드
212 : 가이드 바
220 : 하부 선반 221 : 중공부
230 : 측면 선반 231 : 유로
232 : 흡입구 233 : 호형 흡입관
234 : 자석 235 : 측판
240 : 수평 흡입관 241 : 수직 흡입관
250 : 센터 프레임 251 : 다기능 전원 장치

Claims (6)

  1. 실험대 상판;
    상기 실험대 상판을 지지하는 실험대 레그;
    상기 실험대 상판 또는 상기 실험대 레그의 양측면에 결합되어 그 상단이 상기 실험대 상판의 연직 높이보다 높게 연장되는 수직 설치 프레임;
    상기 수직 설치 프레임에 결합되어 상기 실험대 상판의 상부 공기를 흡입하는 가변 덕트 선반;
    상기 가변 덕트 선반에 음압을 제공하는 진공 펌프;
    를 포함하되,
    상기 가변 덕트 선반은,
    상기 수직 설치 프레임에 고정되는 상부 선반;
    상기 상부 선반의 하방에서 상기 상부 선반을 따라 전후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구비되되 내측에 중공부가 형성된 하부 선반;
    상기 하부 선반의 측단부에 일단이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측판과, 상기 측판의 내부에 형성되는 유로와, 상기 측판의 일면에 관통 형성되어 상기 유로와 연통되는 흡입구와, 상기 측판의 일단부에 구비되어 일측이 상기 유로와 연통되고 타단이 상기 하부 선반의 중공부와 연통되는 호형 흡입관을 포함하는 측면 선반;
    을 포함하는 실험대.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 설치 프레임에 결합되어 상기 가변 덕트 선반의 상방에 구비되는 수납장;
    상기 상부 선반의 적어도 상면 전단의 상부에 구비되어 상기 상부 선반에 거치된 물품의 외부 이탈을 방지하는 가이드 바;
    를 포함하는 실험대.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 설치 프레임에 결합되어 상기 가변 덕트 선반의 하방에 구비되는 센터 프레임;
    상기 센터 프레임의 전면 또는 하면에 상용 전원 콘센트 또는 USB 전원 콘센트 형태로 구비되는 다기능 전원 장치;
    를 포함하는 실험대.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선반의 후면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관통 삽입되어 상기 하부 선반의 중공부와 연통되는 수평 흡입관;
    상기 수평 흡입관의 후단에 연통 결합되어 하방으로 연장되며, 하단이 상기 진공 펌프에 결합되는 수직 흡입관;
    을 포함하는 실험대.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선반은, 전방으로 최대 슬라이딩 시켰을때 상기 수평 흡입관이 후단 외측으로 이탈되지 않도록, 전후방향 슬라이딩 길이가 상기 수평 흡입관의 길이보다 짧게 형성되는 실험대.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측면 선반은, 상기 측판이 상기 하부 선반에 접하도록 회동되었을 때 상기 하부 선반에 부착되어 상기 측판의 위치가 고정될 수 있도록 일면에 자석이 구비된 실험대.
KR1020180127110A 2018-10-24 2018-10-24 실험대 KR10202410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27110A KR102024100B1 (ko) 2018-10-24 2018-10-24 실험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27110A KR102024100B1 (ko) 2018-10-24 2018-10-24 실험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24100B1 true KR102024100B1 (ko) 2019-09-23

Family

ID=680693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27110A KR102024100B1 (ko) 2018-10-24 2018-10-24 실험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24100B1 (ko)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743641A (zh) * 2019-11-01 2020-02-04 江苏北方永磁科技有限公司 一种氧化镝生产技术研发台
CN110772047A (zh) * 2019-10-28 2020-02-11 邳州市蒂奥斯农业发展有限公司 一种农业技术研发用工作台
CN112107130A (zh) * 2020-10-31 2020-12-22 江西新汉力实业有限公司 一种学校实验室用具有防护功能的学生实验桌
CN112403550A (zh) * 2020-10-19 2021-02-26 佛山市乙太医疗用品有限公司 一种便于移动的医学研究用试验台
CN112492830A (zh) * 2020-12-10 2021-03-12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一种变频器主控框架
CN115888871A (zh) * 2022-12-14 2023-04-04 江苏省盐城中学 一种组合型化学实验桌
KR20230061614A (ko) * 2021-10-28 2023-05-09 김학배 출몰형 가림막을 갖는 실험대
KR102541049B1 (ko) * 2022-11-17 2023-06-13 주식회사 아카 공기정화시스템을 구비한 실험대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56016B1 (ko) 2009-09-02 2010-05-06 주식회사씨애치씨랩 배기장치가 구비된 간이 실험대
KR101167891B1 (ko) * 2012-02-23 2012-07-30 (주)유나 개인용 후드가 장착된 실험대
KR20170099559A (ko) * 2016-02-24 2017-09-01 박찬원 실험대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56016B1 (ko) 2009-09-02 2010-05-06 주식회사씨애치씨랩 배기장치가 구비된 간이 실험대
KR101167891B1 (ko) * 2012-02-23 2012-07-30 (주)유나 개인용 후드가 장착된 실험대
KR20170099559A (ko) * 2016-02-24 2017-09-01 박찬원 실험대

Cited B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772047A (zh) * 2019-10-28 2020-02-11 邳州市蒂奥斯农业发展有限公司 一种农业技术研发用工作台
CN110743641A (zh) * 2019-11-01 2020-02-04 江苏北方永磁科技有限公司 一种氧化镝生产技术研发台
CN112403550A (zh) * 2020-10-19 2021-02-26 佛山市乙太医疗用品有限公司 一种便于移动的医学研究用试验台
CN112107130A (zh) * 2020-10-31 2020-12-22 江西新汉力实业有限公司 一种学校实验室用具有防护功能的学生实验桌
CN112107130B (zh) * 2020-10-31 2022-11-29 云阳县高阳镇高阳小学 一种学校实验室用具有防护功能的学生实验桌
CN112492830A (zh) * 2020-12-10 2021-03-12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一种变频器主控框架
CN112492830B (zh) * 2020-12-10 2024-03-22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一种变频器主控框架
KR20230061614A (ko) * 2021-10-28 2023-05-09 김학배 출몰형 가림막을 갖는 실험대
KR102575055B1 (ko) 2021-10-28 2023-09-07 김학배 출몰형 가림막을 갖는 실험대
KR102541049B1 (ko) * 2022-11-17 2023-06-13 주식회사 아카 공기정화시스템을 구비한 실험대
CN115888871A (zh) * 2022-12-14 2023-04-04 江苏省盐城中学 一种组合型化学实验桌
CN115888871B (zh) * 2022-12-14 2024-01-30 江苏省盐城中学 一种组合型化学实验桌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24100B1 (ko) 실험대
KR101281113B1 (ko) 밀폐 배기형 시약선반과 건조수단이 구비된 실험대
CA2389886A1 (en) Double sided work station
KR101410430B1 (ko) 정화장치가 부착된 실험대
KR101816732B1 (ko) 실험대
US20190084109A1 (en) Dust extractor
US20100281647A1 (en) Vacuum cleaner
CN112274261A (zh) 一种普外科户外便携式清创箱
KR100956016B1 (ko) 배기장치가 구비된 간이 실험대
KR101167891B1 (ko) 개인용 후드가 장착된 실험대
KR101538367B1 (ko) 환기형 밀폐 시약대를 가지는 실험 테이블
KR101449522B1 (ko) 환기형 실험 테이블
KR100981158B1 (ko) 오염물 하부 배출형 실험대
KR20100060138A (ko) 광분배함
JP2005095708A (ja) 集塵フード付き作業台
EP3470170B1 (en) Dust extractor
CN217638955U (zh) 便携式空气检测装置
AU2018220163B1 (en) Saw
CN115781836B (zh) 无尘台锯
CN220179126U (zh) 一种led屏板定位装置
CN216884437U (zh) 一种木材加工用碎木屑提升收集装置
JP2009119343A (ja) タンク収納装置
KR20040052754A (ko) 공기정화기능을 구비하는 책상
JP4700799B2 (ja) ドラフトチャンバ
CN219590773U (zh) 一种便携式计算机机箱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