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18675A - Method and Apparatus for Informing of Arrival Time of Goods - Google Patents

Method and Apparatus for Informing of Arrival Time of Good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18675A
KR20210118675A KR1020200035239A KR20200035239A KR20210118675A KR 20210118675 A KR20210118675 A KR 20210118675A KR 1020200035239 A KR1020200035239 A KR 1020200035239A KR 20200035239 A KR20200035239 A KR 20200035239A KR 20210118675 A KR20210118675 A KR 2021011867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livery
time
customer
arrival time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35239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유영웅
Original Assignee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자통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to KR10202000352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118675A/en
Publication of KR202101186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18675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8Logistics, e.g. warehousing, loading or distribution; Inventory or stock managem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28Logistics, e.g. warehousing, loading, distribution or shipp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8Logistics, e.g. warehousing, loading or distribution; Inventory or stock management
    • G06Q10/083Shipping
    • G06Q10/0833Track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30Transportation; Communications
    • G06Q50/50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and device for informing the arrival time of goods.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method for informing the arrival time of goods includes the steps of: determining a travel time between intermediate stops determined from addresses of delivery points of goods; determining the delivery business processing time at each of the intermediate stops; determining the expected arrival time to the delivery points based on the travel time and the delivery business processing time; and transmitting the expected arrival time to a customer terminal.

Description

물품 도착 시간을 알리기 위한 방법 및 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Informing of Arrival Time of Goods} Method and Apparatus for Informing of Arrival Time of Goods

본 발명은 물품 도착 시간을 알리기 위한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and apparatus for announcing the arrival time of an article.

일반적인 편지나 소포 등과 같이 고객의 서명을 받을 필요가 없는 우편물의 경우 지정된 우편함에 투함하는 것에 의해 배달이 완료된다. 또한, 소포나 택배 등의 경우, 일반 우편물 수취함이 아니더라도 고객의 부재 상황 등에 의해 고객에게 전달하기 어려운 상황에서, 경비실이나 무인함(예: 택배함 등) 및 현관 앞 보관이나 이웃집 또는 고객이 원하는 인근 제3의 장소에 보관하는 것, 즉, 비대면 배달에 의해 배달이 완료되는 것으로 간주될 수 있다. 배달이 완료되었다는 것은 특정 배달을 위하여 해당 고객의 주소지를 재방문을 하지 아니하여도 됨을 의미한다.In the case of mail that does not require a customer's signature, such as a regular letter or parcel, delivery is completed by mailing it to a designated mailbox. In addition, in the case of parcels or couriers, even if it is not a regular mail box, it is difficult to deliver to the customer due to the absence of the customer. Delivery may be considered complete by storage in a third location, ie, non-face-to-face delivery. The completion of delivery means that there is no need to revisit the customer's address for specific delivery.

현재의 택배 배달 서비스에 의하면, 고객 부재 시 위탁 보관 장소를 선택할 수 있는 알림 정보가 고객에게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알림 정보는 도 1과 같이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알림 정보는, 도 1의 (a) 또는 (b)와 같이, 보관 장소 선택을 요구하는 안내 문구(112 또는 122), 보관 장소를 선택하기 위한 인터페이스 아이템들(114 또는 124), 기타 요청 사항을 입력하기 위한 입력 인터페이스(116 또는 126), 저장 버튼(118 또는 128)을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알림 정보는, 도 1의 (c)와 같이, 메시지 상세 내용(132) 및 배달 메시지를 입력하기 위한 버튼(134)을 포함할 수 있다. 비대면(untact) 배달이 가능한 일반 택배 업체 등에서 고객 부재 시 특정 장소에 보관함으로써 배달을 완료하고, 이에 따라 동일한 배달을 위해 해당 고객을 2회 이상 방문하지 않기 위해, 도 1과 같은 인터페이스들이 활용되고 있다.According to the current courier delivery service, notification information for selecting a consignment storage location when the customer is absent may be provided to the customer. For example, the notification information may be configured as shown in FIG. 1 . For example, the notification information, as shown in Fig. 1 (a) or (b), a guide phrase 112 or 122 for requesting a storage location selection, interface items 114 or 124 for selecting a storage location, It may include an input interface 116 or 126 for entering other requests, and a save button 118 or 128 . As another example, the notification information may include a button 134 for inputting message details 132 and a delivery message, as shown in FIG. 1C . In order not to visit the customer more than twice for the same delivery, the interfaces as shown in Fig. 1 are used to complete the delivery by storing it in a specific place when the customer is absent, such as a general courier company that can deliver untact delivery. have.

그러나, 등기 우편물이나 현금 배달 서비스 등과 같이 반드시 고객 본인의 서명을 받은 후 고객에게 우편물이나 물품 등을 전달해야 하거나, 결제 등이 필요한 배달 등 대면 배달이 이루어져야 하는 환경이라면, 고객의 부재 상황 등에 따라 배달이 완료되지 못하면 재방문이 요구되는 경우가 발생한다. 따라서, 물품 등의 배달 담당자 및 고객 모두에게 보다 편리하고 효율적으로 배달을 수행하기 위한 대안이 필요하다.However, in an environment where mail or goods must be delivered to the customer after receiving the customer's signature, such as registered mail or cash delivery service, or in an environment where face-to-face delivery such as delivery that requires payment, etc., delivery is required depending on the customer's absence If this is not completed, a re-visit may be required. Accordingly, there is a need for an alternative for more convenient and efficient delivery of goods and the like to both the person in charge of delivery and the customer.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대면이 요구되는 물품의 배달을 보다 효과적으로 수행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Accordingly,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method and apparatus for more effectively carrying out the delivery of a face-to-face item.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물품의 도착 시간대 또는 시각을 결정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It is also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rmining the time of arrival or time of arrival of an article.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물품의 도착 시간대 또는 시각을 알리기 위한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It is also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method and apparatus for informing the arrival time or time of arrival of an article.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고객의 요청에 따라 물품의 도착 시간을 변경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It is also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method and apparatus for changing the arrival time of an article at the request of a customer.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하기의 설명에 의해서 이해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해 보다 분명하게 알게 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 및 장점들은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낸 수단 및 그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음을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Other objects and advant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understood by the following description, and will be more clearly understood by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it will be readily apparent that the objects and advant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realized by the means and combinations thereof indicated in the claims.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물품 도착 시간을 알리기 위한 방법은, 물품들의 배달점들의 주소들로부터 결정된 중간 경유지들 간 이동 시간을 결정하는 단계, 상기 중간 경유지들 각각에서의 배달 업무 처리 시간을 결정하는 단계, 상기 이동 시간 및 상기 배달 업무 처리 시간에 기반하여 상기 배달점들로의 도착 예정 시간을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도착 예정 시간을 고객 단말에게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method for notifying the arrival time of good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the steps of: determining a transit time between intermediate stops determined from addresses of delivery points of goods; delivery at each of the intermediate stops; Determining a business processing time, determining an expected arrival time to the delivery points based on the moving time and the delivery business processing time, and transmitting the estimated arrival time to a customer terminal. .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물품 도착 시간을 알리기 위한 방법 및 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method and apparatus for notifying the arrival time of an article may be provided.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고객을 직접 만나서 물품을 전달해야 하는 배달 환경에서 배달 담당자가 특정 고객의 당일 부재 상황을 사전에 확인함으로써, 고객 부재 여부를 확인하기 위한 전화 통화 시간을 줄일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 delivery environment in which the product must be delivered by meeting the customer in person, the delivery person in charge checks the absence status of a specific customer on the day in advance, thereby reducing the phone call time for checking whether the customer is absent. can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배달 업무 수행 과정에서 해당 배달점은 제외하고 배달 경로 계획을 수립함으로써, 부재 중인 고객 방문을 위해 낭비되는 시간도 크게 감소할 수 있다. In addi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by establishing a delivery route plan excluding the corresponding delivery point in the course of performing the delivery task, the time wasted for visiting the absent customer can also be greatly reduced.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고객이 직접 수취 가능 여부와 자신에게 허용된 변경 가능 시간대 내에서 원하는 배달 시간을 선택함으로써, 1회 배달 성공률과 함께 고객 만족도 또한 크게 높아질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by selecting a desired delivery time within the availability of direct receipt and the changeable time period allowed for the customer, the customer satisfaction along with the one-time delivery success rate can also be significantly increased.

도 1은 배달되는 물품의 위탁 보관 장소를 지정하기 위한 인터페이스 화면의 예들을 도시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응답형 부재 상황 및 수취 가능 시각 설정 서비스 제공하기 위한 시스템을 도시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중간 경유지 식별에 대한 예를 도시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주 배달점 식별에 대한 예를 도시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배달점으로의 도착 예정 시각을 계산하기 위한 흐름도를 도시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배달 경로를 기반으로 구간별 이동시간, 중간 경유지 도착시각 및 출발시각, 중간 경유지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배달점에서 배달 업무 처리에 소요되는 시간 표현에 대한 예를 도시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중간 경유지에 포함된 하나의 주 배달점 단위로 상세 배달점 별 도착 예정 시각 계산 및 배달 업무 처리 시간 계산에 대한 예를 도시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알림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흐름도를 도시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배달 관련 정보의 제공 및 부재 상황이나 도착 예정 시각 변경을 위하여 고객에게 제공되는 인터페이스 화면의 예를 도시한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도착 예정 시각에 대한 구간 정보 및 도착 예정 시점에 대한 부가적인 정보를 표시하는 인터페이스 항목의 예를 도시한다.
1 shows examples of an interface screen for designating a consignment storage place of a delivered article.
2 illustrates a system for providing a user responsive absence situation and receivable time setting ser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shows an example of intermediate waypoint identific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shows an example of the main delivery point identific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flowchart for calculating an expected arrival time to a delivery poi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n example of the time required for delivery business processing at at least one delivery point included in the transit time for each section, the arrival time and departure time of the intermediate stopover, and the intermediate stopover based on the delivery rout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how
7 shows an example of calculating the estimated arrival time and delivery service processing time for each detailed delivery point in units of one main delivery point included in the intermediate stopov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flowchart for providing notification inform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illustrates an example of an interface screen provided to a customer in order to provide delivery-related information and change an absence situation or scheduled arrival tim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0 illustrates an example of an interface item for displaying section information on an expected arrival time and additional information on an expected arrival tim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so that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can easily implement them.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embodied in various different forms and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herein.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에 대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In describing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f it is determined that a detailed description of a well-known configuration or function may obscure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And, in the drawings, parts not related to the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omitted, and similar reference numerals are attached to similar parts.

본 발명에 있어서, 서로 구별되는 구성요소들은 각각의 특징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함이며, 구성요소들이 반드시 분리되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즉, 복수의 구성요소가 통합되어 하나의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 단위로 이루어질 수도 있고, 하나의 구성요소가 분산되어 복수의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 단위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따라서, 별도로 언급하지 않더라도 이와 같이 통합된 또는 분산된 실시 예도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components that are distinguished from each other are for clearly explaining their respective characteristics, and do not necessarily mean that the components are separated. That is, a plurality of components may be integrated to form one hardware or software unit, or one component may be distributed to form a plurality of hardware or software units. Accordingly, even if not specifically mentioned, such integrated or dispersed embodiments are also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에 있어서, 다양한 실시 예에서 설명하는 구성요소들이 반드시 필수적인 구성요소들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며, 일부는 선택적인 구성요소일 수 있다. 따라서, 일 실시 예에서 설명하는 구성요소들의 부분집합으로 구성되는 실시 예도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또한, 다양한 실시 예에서 설명하는 구성요소들에 추가적으로 다른 구성요소를 포함하는 실시 예도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In the present invention, components described in various embodiments do not necessarily mean essential components, and some may be optional components. Accordingly, an embodiment composed of a subset of components described in one embodiment is also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ddition, embodiments including other components in addition to the components described in various embodiments are also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에 있어서,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되며, 특별히 언급되지 않는 한 구성요소들 간의 순서 또는 중요도 등을 한정하지 않는다. 따라서, 본 개시의 범위 내에서 일 실시 예에서의 제1 구성요소는 다른 실시 예에서 제2 구성요소라고 칭할 수도 있고, 마찬가지로 일 실시 예에서의 제2 구성요소를 다른 실시 예에서 제1 구성요소라고 칭할 수도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terms such as first, second, etc. are used only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other components, and unless otherwise specified, do not limit the order or importance between the components. Accordingly,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disclosure, a first component in one embodiment may be referred to as a second component in another embodiment, and similarly, a second component in one embodiment is referred to as a first component in another embodiment. can also be called

본 발명의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으나,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 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When a compon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referred to as being “connected” or “connected” to another component, it may be directly connected or connected to the other component, but other components may exist in between.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re may be On the other hand, when it is said that a certain element is "directly connected" or "directly connected" to another element,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re is no other element in the middle.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대해서 설명할 것이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본 발명은 물품 도착 시간을 알리기 위한 것으로서, 배달 담당자와 고객의 대면을 요구하는 필요한 물품의 배달 환경에서 배송지로의 도착 시간을 결정 및 통지하고, 도착 시간을 조정하기 위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대면이 필요한 물품의 배달 환경에서, 배달 담당자가 당일 배달을 위해 방문해야 하는 각 배달점, 즉, 배달 장소 도착 전에 각 고객들에게 시간 구간 형태의 도착 예정 시간대 정보(예: '10:00~10:30 배달 예정')를 제공하고, 각 고객은 자신의 주소지 위치에 배달 담당자가 도착하기로 예정된 시간대에 '물품 수취 가능 및 불가(당일 부재 중) 여부'를 직접 결정할 수 있거나, 예정된 시간대에 수취가 어려워 고객별 제공된 변경 가능한 시간 범위 내에서 시간대를 직접 변경하면, 부재 중 고객의 배달점 방문없이 다음 배달점으로 이동할 수 있는 경로를 재생성하고, 해당 경로를 기준으로 새롭게 갱신된 도착 예정 시각 정보와 함께 위치 정보를 지속적으로 고객에게 제공하기 위한 사용자 응답형 부재 상황 및 수취 시각 지정 서비스 제공을 위한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is to inform the arrival time of goods, to determine and notify the arrival time to the delivery destination in the delivery environment of the necessary goods that require a face-to-face between the delivery person and the customer, and to adjust the arrival time. Specifically,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information on the expected arrival time in the form of a time section to each customer before arrival at each delivery point, that is, the delivery place, that the delivery person in charge must visit for same-day delivery in a delivery environment of goods requiring face-to-face delivery (eg, '10 :00~10:30 delivery scheduled'), and each customer can directly decide 'whether to receive the goods or not (out of office on the same day)' at the time the delivery person is scheduled to arrive at their address, or If the time zone is directly changed within the changeable time range provided for each customer because it is difficult to receive the product at the scheduled time, the route is regenerated to allow the customer to move to the next delivery point without visiting the delivery point while out of office, and the newly updated estimated arrival time based on the route It relates to a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a user responsive absence situation and receipt time designation service for continuously providing location information together with information to customers.

특정 위치에 대한 도착 예정 시각은, 물품 배달은 물론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 및 제공되는 보편적인 정보이다. 대표적으로, 열차나 항공기 등과 같은 교통수단을 이용할 때나, 길 안내를 위한 차량용 내비게이션에서도 도착 예정 시각이 제공될 수 있다. 도착 예정 시각 정보는 일반적인 우편물이나 택배 등과 같은 배달 환경에서도 수취 고객들에게 일부 제공되고 있고, 이는 수취 고객들에게 유용한 정보가 될 수 있다.Estimated arrival time for a specific location is universal information that is used and provided in various fields as well as delivery of goods. Typically, the estimated arrival time may be provided when using a means of transportation such as a train or an aircraft, or in a vehicle navigation system for guiding a road. Estimated arrival time information is partially provided to recipient customers even in a delivery environment such as general mail or parcel delivery, and this may be useful information to recipient customers.

내비게이션 서비스의 경우, 도착 예정 시간 계산의 정확도는 기본적으로 속력 정보에 근거하되, 도로 유형이나 구간별 시간대별 교통량 등과 같은 외부 환경적 요소를 얼마나 적절한 가중치로 반영하는지에 의해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내비게이션 서비스 제공업체들은 다양한 가중치 요소들을 적절히 반영함으로써 정확도를 높이기 위한 많은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출발 전 경로 탐색 단계에서 실제 운행 과정에서 발생 가능한 수많은 요소들을 모두 고려하는 것은 쉽지 아니하다. 따라서, 실제 운행 과정에서 발생하는 다양하고 예측 불가능한 외부 요소들로 인한 도착 예정 시각의 오차를 줄이기 위하여, 이동 중에도 지속적으로 현재 위치를 중심으로 목적지까지 잔여 거리를 재계산하고, 계속해서 갱신된 도착 예정 시각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방식이 사용된다. 따라서, 처음 제공된 도착 예정 시각과 실제 도착 시각과의 오차는 목적지에 가까워질수록, 다시 말해, 잔여 거리가 줄어들수록 줄어들게 된다.In the case of a navigation service, the accuracy of calculating the estimated time of arrival is basically based on speed information, but may vary depending on how appropriate weights are applied to reflect external environmental factors such as road type or traffic volume by time period for each section. Therefore, navigation service providers are making great efforts to improve accuracy by appropriately reflecting various weighting factors. Nevertheless, it is not easy to consider all the numerous factors that may occur in the actual driving process in the route search stage before departure. Therefore, in order to reduce the error of the estimated arrival time due to various and unpredictable external factors occurring in the actual driving process, the remaining distance to the destination is continuously recalculated based on the current location while moving, and the updated arrival schedule is continuously updated. A method of providing visual information to a user is used. Accordingly, the error between the initially provided expected arrival time and the actual arrival time decreases as the destination approaches, that is, as the remaining distance decreases.

배달 환경에서 주로 제공되는 도착 예정 시각은 앞서 언급한 열차나 항공기 또는 길 안내를 위한 내비게이션에서 제공되는 것과 달리 시간 구간 형태로 제공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구간 형태로 도착 예정 시각이 제공되는 것은 정확도와 관련이 있다. 고객이 물품 수취를 위하여 배달 위치에서 하루 종일 대기하고 있기는 쉽지 아니하다. 고객에게 열차나 내비게이션과 같이 특정 시각으로 도착 예정 시각이 제공되는 경우, 배달 담당자가 해당 시각에 매우 근접하게(예: ± 10분 이내) 도착하지 못하면, 고객의 다른 일정에도 차질이 생길 수 있고, 이로 인해 고객 불만은 매우 커질 수 있다. 고객의 불만은 대부분 민원 형태로 이어지고, 이는 실제 배달 담당자에게 큰 고충 중 하나로 작용한다. 따라서, 물품 배달에 대하여 '당일 배송 예정'이라거나, 도착 예정 시각 정보를 제공하더라도 수 시간(예: 2시간) 정도의 비교적 넓은 범위에서 제공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Estimated arrival times, which are mainly provided in the delivery environment, are mostly provided in the form of time sections, unlike those provided by the aforementioned train or aircraft or navigation for directions. The provision of estimated time of arrival in the form of segments is related to accuracy. It is not easy for customers to wait all day at the delivery location to receive the goods. If the customer is provided with an expected arrival time at a specific time, such as on a train or navigation system, if the delivery person does not arrive very close to that time (e.g. within ± 10 minutes), the customer's other schedule may be disrupted; This can lead to very large customer dissatisfaction. Most of the customer complaints lead to complaints, which act as one of the biggest grievances for the actual delivery person. Therefore, in most cases, even if it is 'scheduled for same-day delivery' or information on expected arrival time is provided for product delivery, it is provided in a relatively wide range of several hours (eg, 2 hours).

고객에게 제공되는 시간대 정보는 그 범위가 넓을수록 해당 시간대 내에 도착할 가능성은 높아질 것이다. 일반적인 우편 및 택배 배달 환경에서 일 평균 배달 물량의 편차는 비교적 크지만, 적게는 약 50건에서 많게는 150건 이상인 경우도 많다. 특히, 물량 1건 단위로 단가가 정해지는 배달 담당자의 경우 하루 200건 이상을 배달하는 경우도 빈번하다. 100건의 물량을 기준으로 하루 10 시간 동안 배달한다고 가정하면, 단순 계산으로도 한 건 배달에 약 6분이 소요된다. 따라서, 2시간 정도의 도착 예정 시간 범위는 배달 지연을 야기할 수 있는 대부분의 변화 요소들을 충분히 흡수 가능한 시간이다. 다시 말해, 일반적인 배달 환경에서 배달이 2시간 이상 지연되는 특이한 상황은 거의 발생하기 어렵다. 고객 입장에서, 시간 구간이 좁아질수록 물품 수취를 위해 대기하는 시간이 줄어들기 때문에 만족도는 높아질 수 있다. 하지만, 실제 배달 환경에서 발생 가능한 예측이 어려운 상황들로 인해 도착 예정 시각에 대한 구간 범위를 좁히는 것은 쉽지 아니하다.The wider the range of time zone information provided to customers, the more likely they will arrive within the corresponding time zone. In general postal and courier delivery environments, the deviation of the average daily delivery volume is relatively large, but there are many cases where there are as few as about 50 cases and as many as 150 cases or more. In particular, in the case of a delivery manager whose unit price is set in units of one quantity, it is often the case that more than 200 items are delivered per day. Assuming that 100 items are delivered for 10 hours a day, it takes about 6 minutes to deliver one item even with simple calculations. Therefore, the estimated arrival time range of 2 hours is sufficient to absorb most of the changes that can cause delivery delays. In other words, in a typical delivery environment, a unique situation in which delivery is delayed for more than two hours is rare. From the customer's point of view, the shorter the time interval, the shorter the waiting time to receive the product, so satisfaction may increase. However, it is not easy to narrow the range of the expected arrival time due to difficult situations that may occur in the actual delivery environment.

그리고, 일정한 경로를 운행하는 교통 수단의 경우 운행 시간이 비교적 일정하기 때문에, 한번 설정된 도착 예정 시각은 특별한 변화가 없다면 지속적으로 유효하다. 그러나, 배달 환경의 경우, 당일 배달해야 하는 물품이 결정되어야 배달 담당자가 방문할 배달점들의 위치들이 결정되며, 배달점들의 위치(예: 주소)와 물품의 수량에 따라 배달 경로는 달라질 수 있다. 또한, 배달의 경우, 내비게이션과 같이 최종 목적지 하나에 대해서만 도착 예정 시각이 제공되는 것과 달리, 다수의 경유지 또는 중간 경유지들이 존재하며, 방문해야 하는 모든 배달점들에 대한 도착 예상 시각이 제공되어야 한다. 이는, 열차에 비유하면, 최종 도착역 뿐만 아니라 중간 기착역마다 도착 예정 시각이 제공되는 것과 같다. 모든 기착역들에 대한 도착 예정 시각을 결정하기 위해서, 각 역에 머무르는 시간이 고려되어야 한다. 열차의 경우, 하나의 기착 역에 도착하여 승객의 하차와 승차를 위해 해당 역에 머무르는 시간을 비교적 일정하게(예: 통상적으로 2분) 예측할 수 있지만, 배달 환경의 경우 하나의 주소지에 머무르는 시간을 일정하게 결정하기가 어렵다. 왜냐하면, 하나의 주소지에 한 통의 물량을 배달하더라도 차량이나 이륜차 등에서 하차하는 시점부터 고객 현관까지 이동하는 시간, 현관 앞에서 고객을 기다리는 시간, 고객의 서명을 받고 물품을 전달하는 시간, 배달을 마치고 다시 차량으로 되돌아오는데 소요되는 시간이 건물 유형 및 상황에 따라 크게 달라질 수 있기 때문이다. 특히, 다세대나 연립 주택 및 아파트와 같은 유형의 건물은 하나의 기본 주소에 여러 동의 건물들이 존재할 수 있고, 각 건물 내에 여러 곳의 배달점들이 존재할 수 있다. 다시 말해, 하나의 주소지에 해당하는 건물의 유형에 따라 도보 이동 거리가 서로 다르고, 계단이나 엘리베이터 이동 유무, 건물 출입구의 잠금 시설 존재 여부 등에 따라 건물 내 이동에 소요되는 시간은 달라지기 때문에, 열차가 기착역에 머무르는 시간과 같이 배달점에 머무르는 시간을 일률적으로 적용하는 것은 쉽지 아니하다.Also, since the operating time is relatively constant in the case of transportation means operating on a predetermined route, the scheduled arrival time once set is continuously effective unless there is a special change. However, in the case of a delivery environment, the locations of delivery points to be visited by the delivery person are determined only when the goods to be delivered on the same day are determined, and the delivery route may vary depending on the locations (eg, addresses) of delivery points and the quantity of goods. In addition, in the case of delivery, unlike navigation, where the estimated arrival time is provided for only one final destination, a plurality of stopovers or intermediate stopovers exist, and the estimated arrival times for all delivery points to be visited must be provided. This is analogous to a train, where the estimated arrival time is provided for each stopover station as well as the final destination station. In order to determine the estimated time of arrival for all stopovers, the length of stay at each station must be taken into account. In the case of a train, the amount of time a train arrives at one stopover and stays at that station for disembarkation and boarding of passengers can be predicted relatively consistently (e.g., typically two minutes), whereas in the case of a delivery environment, the time spent at one address can be predicted. It is difficult to determine consistently. Because even if a single volume is delivered to one address, the time from getting off the vehicle or two-wheeled vehicle to the customer's front door, waiting for the customer at the front door, receiving the customer's signature and delivering the goods, and returning the product after delivery This is because the time it takes to get back to the vehicle can vary greatly depending on the type of building and the circumstances. In particular, in multi-family or multi-family buildings such as townhouses and apartments, multiple buildings may exist in one basic address, and multiple delivery stores may exist in each building. In other words, the walking distance varies depending on the type of building corresponding to one address, and the time it takes to move within a building varies depending on whether stairs or elevators are moved, and whether there is a locking facility at the entrance to the building. It is not easy to uniformly apply the time to stay at the delivery point, such as the time to stay at the stopover station.

이처럼, 배달 환경에서 정확도 높은 도착 예정 시각의 결정도 어려운 문제지 문제지만, 제공된 도착 예정 시각에 한번의 방문으로 배달을 성공하는 것도 쉽지 아니하다. 왜냐하면, 고객에게 제공된 도착 예정 시각 정보는 배달 담당자 개인의 경험 또는 물류 시스템 등에 의해 생성된 배달 경로에 의해 고객에게 일방적으로 통보되는 시간일 뿐, 고객들의 당일 일정을 고려하여 결정된 것이 아니므로, 해당 시간에 고객이 해당 장소에 존재함이 보장되지는 아니하기 때문이다. 다시 말해, 모든 고객이 자신에게 제공된 도착 예정 시간대에 대기하고 있는 것은 아니기 때문이다.As described above, it is also difficult to determine the expected arrival time with high accuracy in the delivery environment, but it is also not easy to successfully deliver the product with a single visit at the provided scheduled arrival time. This is because the estimated arrival time information provided to the customer is only the time that is unilaterally notified to the customer by the delivery route created by the delivery person's personal experience or the logistics system, and is not determined in consideration of the customer's schedule on the day, This is because there is no guarantee that the customer will be present at the location. In other words, not all customers are waiting for the estimated arrival time provided to them.

고객에게 제공된 도착 예정 시각을 다른 시간대로의 변경하는 것 역시 쉽지 아니하다. 아주 인접한 두 배달점들 간의 변경이 아닌 한, 배달 순서의 변경은 배달 담당자의 전체 이동 경로를 변경시키고, 그에 따라 다른 모든 고객들의 배달점 도착 예정 시각까지도 변경되어야 하는 복잡한 상황을 초래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무분별한 도착 예정 시각의 변경은 배달 담당자에게 1회 배달 성공률을 낮추고, 재방문 또는 재배달로 인해 배달 업무의 비효율성과 비용을 증가시키는 원인으로 작용할 수 있다.It is also not easy to change the estimated arrival time provided to the customer to another time zone. This is because, unless it is a change between two very adjacent delivery points, a change in the delivery order changes the delivery person's entire travel route, resulting in a complicated situation in which the estimated arrival times of all other customers must also be changed. Therefore, the reckless change of the expected arrival time may act as a cause of lowering the success rate of one-time delivery to the delivery person, and increasing the inefficiency and cost of the delivery service due to re-visiting or re-delivery.

따라서, 현실에서의 배달 담당자는 배달 출발 전 각 고객과의 전화 통화 또는 문자 메시지를 이용하여 당일 부재 여부나 방문 시각을 한번 더 확인하는 방식을 사용하곤 한다. 통화가 이루어지지 않은 고객의 경우, 해당 고객의 배달점 근처에 도착하여 방문 직전에 다시 한번 고객과 통화를 시도하거나, 이때에도 통화가 되지 않은 경우 고객의 집을 직접 방문하여 고객의 부재 여부를 확인해야 하는 실정이다. 이는 배달 업무 효율성과 고객 만족도를 동시에 저하시키고 과중한 노동에 의해 배달 환경을 악화시키는 주된 요인 중 하나가 되고 있다.Therefore, in reality, the delivery person in charge often uses a method of once again checking the absence or visit time of the day by using a phone call or text message with each customer before the delivery departure. In the case of a customer who has not been called, arrive near the customer's delivery store and try to talk to the customer again just before the visit, or if the call is not answered, visit the customer's house and check the customer's absence. the current situation. This has become one of the main factors that reduce delivery efficiency and customer satisfaction at the same time, and worsen the delivery environment due to excessive labor.

고객을 직접 만나서 물품을 전달해야 하는 대면 배달 환경에서 재배달을 줄이기 위해, 배달 담당자는 각 고객과의 전화 통화를 통한 수취 가능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한 명의 고객과 수취 가능 여부를 확인하는데 소요되는 시간을 1분으로 가정하면, 하루 배달 물량이 60개이면, 1시간 이상의 배달 시간이 소요된다. 고객과의 통화 연결이 바로 되지 않으면, 배달 담당자는 재통화도 시도해야 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배달 담당자들은 고객과의 수취 가능 여부를 확인하기 위한 통화에 소요되는 시간을 줄이기 위해, 특히 이륜차를 이용하여 배달하는 경우 안전 상 운행 중 전화 통화가 어려우므로, 배달점에 도착 후 고객 현관까지 도보로 이동하면서 통화를 시도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To reduce redelivery in a face-to-face delivery environment where items must be delivered face-to-face with customers, delivery personnel can confirm delivery availability by phone call with each customer. Assuming that it takes 1 minute to check availability with one customer, if the daily delivery quantity is 60 pieces, it takes more than an hour to deliver. This is because if the call connection with the customer is not immediately established, the delivery person must try to make a call again. Therefore, in order to reduce the time it takes for delivery personnel to check whether delivery is possible with the customer, especially in the case of delivery using a two-wheeled vehicle, it is difficult to make a phone call while driving for safety reasons. Most of the cases are trying to make a call while moving to .

따라서, 본 발명은 고객의 부재 상황을 전화 통화 전에 자동으로 확인함으로써 불필요한 전화 통화 시간과 불필요한 배달점 방문과 같은 비효율적인 낭비 요소를 사전에 제거하고, 배달 담당자의 직접적인 업무 시간을 감소시켜 업무 효율성을 증가시키며, 고객이 사전에 제공된 도착 예정 시간에 맞춰 긴 시간 대기해야 하는 불편함을 줄이면서 동시에 1회 배달 성공률을 높이기 위한 다양한 방안들을 제안한다.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removes inefficient waste factors such as unnecessary phone call time and unnecessary delivery store visits in advance by automatically checking the customer's absence status before a phone call, and increases work efficiency by reducing the direct work time of the delivery person In addition, we propose various ways to reduce the inconvenience of customers having to wait for a long time according to the estimated arrival time provided in advance, while at the same time increasing the success rate of one-time delivery.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응답형 부재 상황 및 수취 가능 시각 설정 서비스 제공하기 위한 시스템을 도시한다.2 illustrates a system for providing a user responsive absence situation and receivable time setting ser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를 참고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응답형 부재 상황 및 물품 수취 시 각 설정 서비스 제공 시스템은 배달 담당자 단말(220), 고객용 단말(230), 서비스 장치(240)를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2 , the user responsive absence situation and each setting service providing system upon receipt of good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delivery person terminal 220 , a customer terminal 230 , and a service device 240 . can do.

배달 담당자 단말(220)은 배달 담당자에 의해 사용되는 장치로서, 서비스 장치(240)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배달 담당자 단말(220)은 업무용 PDA(Personal Data Assistant) 또는 스마트폰 등의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배달 담당자는 배달 담당자 단말(220)을 이용하여 당일 처리해야 할 물품(210)에 대한 배달 관련 정보를 획득한다. 획득되는 정보는 등기 번호 등과 같은 물품 식별을 위한 코드, 고객명, 주소, 연락처, 기타 물품 관련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배달 담당자는 배달 담당자 단말(220)을 이용하여 바코드 또는 QR 코드 등을 인식하는 방법 등을 통해 물품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이때, 배달 물품(210)은 우편 물이나 소포 및 택배 등 유형의 물품이나 무형의 서비스 형태일 수 있다. 무형의 서비스 형태의 경우, 직접 스캐닝과 같은 방법이 아니라, 시스템 등을 통하여 정보가 획득될 수 있다. 획득된 배달 관련 정보들은 배달 정보 저장부(246)에 저장될 수 있다.The delivery person terminal 220 is a device used by the delivery person, and may perform communication with the service device 240 . For example, the delivery person terminal 220 may have a form of a personal data assistant (PDA) or a smart phone for work. The delivery person uses the delivery person terminal 220 to obtain delivery-related information on the goods 210 to be processed on the same day. The obtained information may include a code for product identification, such as a registration number, customer name, address, contact information, and other product-related information. For example, the person in charge of delivery may obtain product information through a method of recognizing a barcode or a QR code, etc. using the terminal 220 in charge of delivery. In this case, the delivery article 210 may be in the form of a tangible article or an intangible service such as mail, parcel, and courier. In the case of an intangible service type, information may be obtained through a system or the like, not through a method such as direct scanning. The obtained delivery-related information may be stored in the delivery information storage unit 246 .

고객 단말(230)은 고객에 의해 사용되는 장치로서, 서비스 장치(240)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고객 단말(230)은 PC(Personal Computer), PDA 또는 스마트폰 등의 형태를 가질 수 있다.The customer terminal 230 is a device used by a customer and may communicate with the service device 240 . For example, the customer terminal 230 may have the form of a personal computer (PC), a PDA, or a smart phone.

서비스 장치(240)는 배달 물품(210)의 배달을 위해 필요한 정보를 저장하고, 저장된 정보에 기반하여 경로를 관리하는 장치이다. 서비스 장치(240)는 외부 통신망을 이용하여 배달 담당자 단말(220) 및 고객 단말(230)과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서비스 장치(240)는 당일 배달을 위한 배달 경로의 생성, 그리고 배달 관련 정보를 고객에게 제공하고 고객 응답을 획득하는 배달 경로 관리부(242) 및 배달 정보 제공부(244), 배달 담당자 단말(220)로부터 수신되는 배달 물품 정보를 저장하는 배달 정보 저장부(246), 고객 단말(230)과의 통신을 위한 고객 단말 인터페이스(248)를 포함할 수 있다.The service device 240 is a device for storing information necessary for delivery of the delivery product 210 and managing a route based on the stored information. The service device 240 may communicate with the delivery person terminal 220 and the customer terminal 230 using an external communication network. The service device 240 generates a delivery route for same-day delivery, and provides delivery-related information to a customer, and a delivery route management unit 242 and delivery information providing unit 244 and delivery person terminal 220 to obtain a customer response. It may include a delivery information storage unit 246 for storing the delivery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customer terminal interface 248 for communication with the customer terminal (230).

배달 경로 관리부(242)는 배달 정보 저장부(246)에 저장된 배달 물품 정보로부터 배달 경로를 결정하기 위해 필요한 처리를 수행하는 배달점 전처리부(252), 배달점 전처리부(252)에 의해 처리된 정보에 기반하여 배달 경로를 결정하는 배달 경로 생성부(254), 배달 경로 생성부(254)에 의해 결정된 배달 경로에 기반하여 배달점 별 도착 시간을 예측하는 도착 시간 계산부(256)를 포함할 수 있다. 배달 정보 제공부(244)는 고객 단말(230)로 송신될 도착 예정 시각 정보를 생성하는 배달 알림 정보 발송부(262), 고객 단말(230)로 송신될 배달 상태 정보를 생성하는 배달 상태 정보 제공부(264), 고객 단말(230)로부터 수신되는 고객의 응답 정보를 처리하는 고객 응답 정보 획득부(266)를 포함할 수 있다.The delivery route management unit 242 is a delivery point pre-processing unit 252 that performs the processing necessary to determine a delivery route from the delivery product information stored in the delivery information storage unit 246, information processed by the delivery point pre-processing unit 252. Based on the delivery route generator 254 to determine the delivery route, based on the delivery route determined by the delivery route generator 254 may include an arrival time calculator 256 for predicting the arrival time for each delivery point. Delivery information providing unit 244 is a delivery notification information sending unit 262 for generating estimated arrival time information to be transmitted to the customer terminal 230, delivery status information to generate delivery status information to be transmitted to the customer terminal 230 Study 264, it may include a customer response information acquisition unit 266 for processing the customer response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customer terminal (230).

이하 도 2에 도시된 서비스 장치(240)의 구성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부재 상황 및 수취 가능 시각 설정 서비스의 제공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configuration of the service device 240 illustrated in FIG. 2 , the provision of the absence status and receivable time setting service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as follows.

배달 담당자가 획득한 당일 배달 물품들에 대한 정보가 배달 정보 저장부(246)에 저장되면, 배달 경로 관리부(242)는 해당 배달 물품 정보를 기반으로 당일 배달을 위한 배달 경로를 생성한다. 배달 경로 생성을 위해서, 위치를 식별할 수 있는 주소 정보가 이용될 수 있다. 배달 경로 생성을 위해서, 배달점 전처리부(252)는 경로 생성을 위한 중간 경유지들의 목록을 추출한다. 중간 경유지 추출은 중복된 주소에 대한 그룹핑 작업으로 이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한 주소지에 여러 건의 배달들이 존재하거나, 여러 세대들이 거주하는 하나의 건물에 여러 건의 배달들이 존재하더라도, 경로 생성에 중복으로 사용할 필요는 없기 때문이다. 따라서, 이해를 돕기 위하여 주소 정보에 대해 간략히 기술하면 다음과 같다.When the information on the same-day delivery items obtained by the delivery person is stored in the delivery information storage unit 246, the delivery route management unit 242 creates a delivery route for same-day delivery based on the corresponding delivery item information. In order to generate a delivery route, address information capable of identifying a location may be used. To create a delivery route, the delivery point preprocessor 252 extracts a list of intermediate waypoints for route generation. Intermediate waypoint extraction can be understood as a grouping operation for duplicate addresses. For example, even if there are multiple deliveries to one address or multiple deliveries to one building where multiple households reside, it is not necessary to duplicate them for route creation. Therefore, in order to help understanding, the address information is briefly described as follows.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주소는, 아래의 <표 1>과 같이, '기본 주소' 및 '상세 주소'로 구분될 수 있다.A commonly used address may be divided into a 'basic address' and a 'detailed address' as shown in Table 1 below.

주소address 대전광역시 유성구 죽동로 251, 901동 1001호#1001, 901-dong, 251, Jukdong-ro, Yuseong-gu, Daejeon 기본 주소base address 대전광역시 유성구 죽동로 251251, Jukdong-ro, Yuseong-gu, Daejeon 상세 주소Detailed Address 901동 1001호Building 901, Room 1001

길 안내용 내비게이션을 포함한 일반적인 경로 탐색의 경우, 지리적인 위치 식별을 위해 기본 주소가 이용된다. 예를 들어, 하나의 2층짜리 주택에 서로 다른 2개 가구들이 101호와 201호에 각각 거주하는 경우, 기본 주소는 동일하다. 2개의 주소지의 지리적 위치가 동일하기 때문에, 경로 탐색에서 서로 다른 중간 경유지로서 구분될 필요는 없다. 특히, 아파트와 같은 유형의 건물의 경우, 동일한 기본 주소에 수십 내지 수백 통의 배달 물품들이 존재할 수 있다. 그러나, 경로 탐색의 경우, 복수의 배달 물품들에 관련된 기본 주소지는 하나의 경유지에 해당한다. 예외적으로, 일부 규모가 큰 아파트 단지의 경우, 상세 주소의 동 정보(예: 101 동)까지 식별이 가능한 경우도 존재할 수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상세 주소의 호 정보(예: 1001호)는 이용되지 아니한다. 앞서 설명한 2층 주택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하나의 동에 속하는 여러 세대들을 지리적으로 다른 위치로 식별할 필요는 없기 때문이다. 일반적으로, 하나의 아파트 단지에 여러 개의 동들이 존재하더라도, 보통은 하나의 주소지로 식별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For general route navigation, including navigation for directions, the base address is used for geographic location identification. For example, if two different households in a two-story house live in rooms 101 and 201, respectively, the basic address is the same. Since the geographic locations of the two addresses are the same, they do not need to be distinguished as different intermediate stopovers in the route search. In particular, in the case of a building of a type such as an apartment, there may be dozens or hundreds of deliveries to the same basic address. However, in the case of route search, a basic address related to a plurality of delivery items corresponds to one stopover. As an exception, in the case of some large apartment complexes, there may exist cases where even the dong information of the detailed address (eg, 101 dong) can be identified. Nevertheless, call information of the detailed address (eg, number 1001) is not used. This is because, as in the case of the two-story house described above, it is not necessary to identify several households belonging to one dong by geographically different locations. In general, even if several buildings exist in one apartment complex, they are usually identified by one address.

위와 같이, 주소 정보로부터 기본 주소 및 상세 주소가 추출될 수 있다. '기본 주소'는 해당 주소를 목적지로 하는 길 안내를 위해 사용되는 정보로서, 전체 주소의 일부 또는 전체일 수 있다. '상세 주소'는 전체 주소에서 기본 주소를 제외한 나머지 정보이다. 경우에 따라, 기본 주소는 전체 주소와 동일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하나의 건물에 하나의 세대만이 존재하는 경우, 기본 주소 및 전체 주소는 동일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a basic address and a detailed address may be extracted from the address information. The 'basic address' is information used for guiding a route to a destination, and may be part or all of the entire address. The 'detailed address' is information other than the basic address from the total address. In some cases, the base address may be the same as the full address. For example, when there is only one household in one building, the base address and the full address may be the same.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중간 경유지 식별에 대한 예를 도시한다. 지도 상에 건물들에 대한 주소가 존재하고, 경로 탐색을 위한 각 주소지에 대응하는 지점들은 도 3와 같이 도로를 따라 구성될 수 있다.3 shows an example of intermediate waypoint identific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ddresses for buildings exist on the map, and points corresponding to each address for route search may be configured along a road as shown in FIG. 3 .

도 3을 참고하면, 각 주소에 대한 상세한 속성 정보의 예는 <표 2>와 같다. Referring to FIG. 3 , an example of detailed attribute information for each address is shown in <Table 2>.

주소address 층 수number of floors 세대 수number of generations 주 배달점 수number of delivery points 상세 배달점 수Detailed number of delivery points 기본주소default address 상세주소Detailed Address 죽동로 245245, Jukdong-ro 없음does not exist 33 1One 1One 1One 죽동로 247247, Jukdong-ro 101호201호No. 101 No. 201 22 22 1One 22 죽동로 249249, Jukdong-ro 101호
201호
301호
101
No. 201
Room 301
33 33 1One 33
죽동로 251251, Jukdong-ro 901동 101호
901동 102호
901동 201호
901동 202호

904동 1001호
904동 1002호
Building 901, Room 101
Building 901, Room 102
Building 901, Room 201
Building 901, Room 202

Building 904, Room 1001
Building 904, Room 1002
10
(각 동별)
10
(by each dong)
20
(각 동별)
20
(by each dong)
4
(각 동별 1개)
4
(1 for each building)
80
(각 동별)
80
(by each dong)
죽동로 253253, Jukdong-ro 없음does not exist 22 1One 1One 1One 죽동로 255255, Jukdong-ro 없음does not exist 1One 1One 1One 1One 죽동로 257257, Jukdong-ro 101호, 102호
201호, 202호
301호
101, 102
No. 201, No. 202
Room 301
33 55 1One 55

도 3 및 <표 2>의 예에 따르면, '죽동로 251'은 10층짜리 건물 4개 동들(예: 901동, 902동, 903동, 904동)로 구성된 아파트 단지로서, 각 층은 1호 및 2호의 2개 세대들로 구성되고, 한 동에 20개 세대들이 거주하며, 4개 동들 전체에 80개 세대들이 거주하는 형태이다. 나머지 주소들은 하나의 건물로 된 주택으로 구성된다.According to the example of FIG. 3 and <Table 2>, 'Jukdong-ro 251' is an apartment complex composed of four 10-story buildings (eg, 901, 902, 903, 904), and each floor is 1 It consists of two households, No. 2 and No. 2, and 20 households live in one dong, and 80 households live in all 4 dongs. The rest of the addresses consist of single-building houses.

기본 주소는 '도로명(예: 죽동로) + 건물번호(예: 245)'까지 표현하기 때문에 '죽동로 245'의 주소지는 기본 주소만으로 배달점의 식별이 가능하다. <표 2>의 예와 같이, 해당 주소지는 한 세대만 거주하는 3층짜리 단독 주택이기 때문이다. 보다 상세하게, '죽동로 245'에 해당하는 건물은 3층짜리 주택으로서, 1개 세대가 단독으로 거주하기 때문에 상세 주소가 필요하지 아니하다. 그러나, '죽동로 247'의 경우, 해당 건물은 2층짜리 주택이고, 1층 및 2층에 서로 다른 가구들이 거주하기 때문에, 101호 및 201호 각각을 식별하기 위한 상세 주소가 필요하다. 따라서, 상세 주소는 하나의 세대를 구분할 수 있기 때문에, 하나의 배달을 위한 배달점을 표현할 수 있다.Because the basic address expresses up to 'road name (eg Jukdong-ro) + building number (eg 245)', the address of 'Jukdong-ro 245' can be identified as a delivery store only with the basic address. This is because, as in the example of <Table 2>, the address is a three-story detached house in which only one household resides. More specifically, the building corresponding to 'Jukdong-ro 245' is a three-story house, and a detailed address is not required because one household lives alone. However, in the case of '247, Jukdong-ro,' the building is a two-story house, and different households live on the first and second floors, so detailed addresses for identifying each of 101 and 201 are required. Therefore, since the detailed address can distinguish one household, it can represent a delivery point for one delivery.

위와 같이, '배달점(Delivery Point, DP)'이란 배달 담당자가 하나의 배달을 위해 방문해야 하는 특정 고객에 대응하는 장소이다. 하나의 세대만 거주하는 단독 주택의 경우, 상세 주소없이 기본 주소만으로 하나의 배달점이 식별될 수 있다. 그러나, 다세대 주택이나 아파트와 같이 하나의 동(예: 건물)에 여러 세대가 거주하는 경우, 각 세대를 서로 다른 배달점들로 식별하기 위해서 상세 주소가 필요하다. 도 3 및 <표 2>에 예시된 '죽동로 247'과 같이 2개 세대들이 거주하는 2층 주택의 경우, 각 세대에 대한 상세 주소가 있어야 2개의 배달점들이 식별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a 'Delivery Point (DP)' is a place corresponding to a specific customer that a delivery person must visit for a single delivery. In the case of a detached house in which only one household resides, one delivery point can be identified only by the basic address without a detailed address. However, when multiple households reside in a single building (eg, a building), such as a multi-family house or apartment, a detailed address is required to identify each household as a different delivery point. In the case of a two-story house in which two households reside, such as '247 Jukdong-ro' illustrated in FIG. 3 and <Table 2>, two delivery points can be identified only when there is a detailed address for each household.

따라서, 배달점이라는 용어의 의미를 보다 명확하게 구분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배달점을 '주 배달점(Primary Delivery Point, PDP)' 및 '상세 배달점(Detailed Delivery Point, DDP)'으로 구분하여 기술한다. 보다 이해를 높이기 위해, 주 배달점 및 상세 배달점은 상술한 배달 경로를 구성하는 중간 경유지와 구분하여 기술된다. Therefore, in order to more clearly distinguish the meaning of the term delivery point, the present invention divides the delivery point into a 'Primary Delivery Point (PDP)' and a 'Detailed Delivery Point (DDP)'. For better understanding, the main delivery point and the detailed delivery point are described separately from the intermediate stopovers constituting the above-described delivery route.

'상세 배달점'은 상세 주소를 통해 식별되는 배달점으로서, 일반적으로 독립적인 하나의 세대를 식별하는 정보이다. 따라서, <표 2>의 예에 따르면, 하나의 기본 주소지에 거주하는 모든 세대들의 개수가 상세 배달점들의 개수가 된다. 하나의 주소지가 아파트 단지일 경우, 세대 수만큼의 상세 배달점이 존재할 수 있다.A 'detailed delivery point' is a delivery point identified through a detailed address, and is information that generally identifies one independent household. Accordingly, according to the example of <Table 2>, the number of all households residing in one basic address becomes the number of detailed delivery stores. When one address is an apartment complex, there may be as many detailed delivery points as the number of households.

'주 배달점'은 하나의 기본 주소 단위에 해당하는 지점으로 이해될 수 있다. 하나의 기본 주소는 하나의 주 배달점이 될 수 있고, 하나의 주 배달점은 여러 개의 상세 배달점들에 대응할 수 있다. 그러나, '죽동로 245'와 같이 하나의 세대가 단독으로 거주하는 경우, 주 배달점 1개에 상세 배달점이 1개만 존재할 수 있다. 즉, 경우에 따라, 주 배달점 및 상세 배달점은 동일할 수 있다. 그러나, 아파트 단지의 경우, 하나의 기본 주소지에 여러 개의 건물들이 존재할 수 있기 때문에, 하나의 동이 하나의 주 배달점으로 정의될 수 있다. <표 2>의 예에서, 4개의 동들 각각이 주 배달점으로 설정되고, 각 동에 20개 세대들이 거주하기 때문에, 각 하나의 주 배달점에 20개의 상세 배달점들이 매핑된다. 즉, 주 배달점은 배달 담당자가 이동 수단을 이용하여 특정 위치에 도착하고, 이동 수단에서 하차한 후, 다음 주 배달점으로 이동하기 전까지 배달을 수행해야 하는 상세 배달점들을 묶는 단위로 이해될 수 있다. 이처럼 주 배달점과 상세 배달점은 배달 경로를 구성하는 중간 경유지와 구분되어야 할 필요가 있다.A 'main delivery point' may be understood as a point corresponding to one basic address unit. One basic address may be one main delivery point, and one main delivery point may correspond to several detailed delivery points. However, when one household lives alone as in '245 Jukdong-ro', only one detailed delivery point may exist for one main delivery point. That is, in some cases, the main delivery point and the detailed delivery point may be the same. However, in the case of an apartment complex, since several buildings may exist in one basic address, one building may be defined as one main delivery point. In the example of <Table 2>, since each of the four dongs is set as the main delivery point, and 20 households reside in each dong, 20 detailed delivery points are mapped to each one main delivery point. That is, the main delivery point can be understood as a unit that bundles the detailed delivery points that need to be delivered before the delivery person arrives at a specific location using a transportation means, gets off the transportation means, and moves to the next main delivery point. As such, the main delivery point and the detailed delivery point need to be distinguished from the intermediate stopovers constituting the delivery route.

하나의 중간 경유지 또는 경유지는 하나의 주 배달점에 대응할 수 있다. 여기서, 경유지는 상대적인 개념으로서, 하나의 주 배달점은 어느 하나의 배달 물품과의 관계에서 경유지가 될 수 있고, 다른 배달 물품과의 관계에서 최종 목적지일 수 있다. 경우에 따라, 어느 주 배달점은 경유지로서의 지위를 가지지 아니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배달 경로 상 마지막에 위치한 주 배달점은 경유지로서의 지위를 가지지 아니할 수 있다. 하지만, 이해에 따라, 마지막에 위치한 주 배달점 역시 하나의 경유지로 취급될 수 있다.One intermediate waypoint or waypoint may correspond to one main delivery point. Here, the stopover is a relative concept, and one main delivery point may be a waypoint in relation to any one delivery article, and may be a final destination in relation to another delivery article. In some cases, a main delivery point may not have a status as a stopover. For example, a main delivery point located at the end of a delivery route may not have a status as a stopover. However, according to the understanding, the last main delivery point may also be treated as a stopover.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주 배달점 식별에 대한 예를 도시한다. 도 4를 참고하면, 배달 경로를 구성하는 중간 경유지는 특정 주소지에 대해 도로를 따라 표현될 수 있다. 주 배달점은 배달 주소지에 대한 건물 위치나 해당 건물의 출입구를 기준으로 정의될 수 있다. 상세 배달점은 보통 지도상에 표시되지 아니한다. 동일한 건물의 1층 및 2층은 지리적으로 같은 위치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도 3 및 도 4를 참고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로 당일 배달 물품에 대한 주소 정보와 중간 경유지 및 배달점 구성 예는 <표 3>과 같다.Figure 4 shows an example of the main delivery point identific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4 , an intermediate stopover constituting a delivery route may be expressed along a road for a specific address. A primary delivery point may be defined based on the location of a building relative to a delivery address or an entrance to the building. Detailed delivery points are not usually indicated on the map. This is because the first and second floors of the same building are geographically the same. Accordingly, with reference to FIGS. 3 and 4 , as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ddress information, intermediate stopovers, and delivery points for same-day delivery are shown in <Table 3>.

물품 번호Item number 주소 (기본 주소+상세 주소)Address (base address + detailed address) 중간 경유지 intermediate stop 주 배달점main delivery point 상세 배달점Detailed delivery store 0101 죽동로 245245, Jukdong-ro 1One 1One 1One 0202 죽동로 245245, Jukdong-ro 0303 죽동로 249, 101호Room 101, 249, Jukdong-ro 22 1One 1One 0404 죽동로 249, 201호Room 201, 249, Jukdong-ro 22 0505 죽동로 251, 901동 101호#101, 901, 251, Jukdong-ro 33 1One 1One 0606 죽동로 251, 901동 301호Room 301, 901, 251, Jukdong-ro 22 0707 죽동로 251, 901동 502호Room 502, 901, 251, Jukdong-ro 33 0808 죽동로 251, 901동 801호#801, 901, 251, Jukdong-ro 44 0909 죽동로 251, 904동 201호Room 201, 904-dong, 251, Jukdong-ro 22 1One 1010 죽동로 251, 904동 402호Room 402, Building 904, 251, Jukdong-ro 22 1111 죽동로 255255, Jukdong-ro 44 1One 1One

<표 3>의 예를 참고하면, 물품 #01, #02는 죽동로 245로 배달되어야 하고, 물품 #01, #02의 하나의 주 배달점에 대응하는 상세 배달점은 1개만 존재한다. 이는 같은 집에 2건의 배달 물품이 존재함을 의미한다. 물품 #03, #04는 죽동로 249로 배달되나, 101호 및 201호에 각각 배달되어야 하는 물품들이기 때문에, 주 배달점은 하나지만 2개의 상세 배달점들이 존재한다.따라서, <표 3>의 예에 따라, 배달점 전처리부(254)는 경로 생성을 위하여 총 4개의 중간 경유지들의 목록을 추출하고, 배달 경로 생성부(254)는 4개의 중간 경유지들을 경유하는 최적 경로를 생성한다. 일반적인 경로 최적화 문제는 다양한 라우팅(routing) 알고리즘에 기반하여 해결되지만, 각 중간 경유지에서 머무르는 시간은 고려되지 아니한다. 따라서, 전체 경로의 이동에 소요되는 예상 시간은, 이하 <수학식 1> 및 <수학식 2>와 같이, 출발점에서 회귀점까지의 전체 경로를 구성하는 각 구간 별 예상 이동 시간의 총 합이다.Referring to the example of <Table 3>, items #01 and #02 should be delivered to 245 Jukdong-ro, and there is only one detailed delivery point corresponding to one main delivery point of items #01 and #02. This means that there are two deliveries in the same house. Items #03 and #04 are delivered to 249, Jukdong-ro, but since they are items to be delivered to Nos. 101 and 201, respectively, there is one main delivery point but two detailed delivery points. Therefore, in the example of <Table 3>, Accordingly, the delivery point preprocessor 254 extracts a list of a total of four intermediate waypoints for route generation, and the delivery route generator 254 generates an optimal route through the four intermediate waypoints. A general route optimization problem is solved based on various routing algorithms, but the time spent at each intermediate stop is not considered. Accordingly, the estimated time required for the movement of the entire route is the sum of the estimated travel times for each section constituting the entire route from the starting point to the regression point, as shown in Equations 1 and 2 below.

Figure pat00001
Figure pat00001

<수학식 1>에서, eTTij는 중간 경유지i에서 중간 경유지j까지의 예상 이동 시간(Expected Travel Time), Tij는 경로 탐색을 위해 이미 정해진 중간 경유지i에서 중간 경유지j까지의 이동 시간 값을 나타낸다. 경로 탐색의 경우, 출발점과 회귀점도 하나의 경유지로 취급되므로, 출발점에서 첫번째 중간 경유지까지의 예상 이동 시간 및 마지막 중간 경유지에서 회귀점까지의 예상 이동 시간도 전체 경로의 이동에 소요되는 예상 시간 계산 시 고려된다.In <Equation 1>, eTTij represents the expected travel time from the intermediate waypoint i to the intermediate waypoint j (Expected Travel Time), and Tij represents the travel time value from the intermediate waypoint i to the intermediate waypoint j previously determined for route search. In the case of route search, since the starting point and the return point are also treated as one waypoint, the estimated travel time from the starting point to the first intermediate waypoint and the estimated travel time from the last intermediate waypoint to the regression point are also calculated when calculating the estimated travel time of the entire route. are considered

Figure pat00002
Figure pat00002

<수학식 2>에서, eTTT는 전체 경로에 대한 총 예상 이동 시간(Expected Total Travel Time), eTTij는 중간 경유지i에서 중간 경유지j까지의 예상 이동 시간을 나타낸다.In <Equation 2>, eTTT represents the expected total travel time for the entire route, and eTTij represents the estimated travel time from the intermediate stop i to the intermediate stop j.

그러나, 고객에게 제공되는 도착 예정 시각 정보는 상세 배달점의 도착 예정 시각이다. 예를 들어, 1번 경유지(예: 죽동로 245)는 하나의 상세 배달점을 포함하며, 2건의 배달들(예: 물품 #01, 물품 #02)이 수행된다. 이 경우, 한 집에 2건의 배달들이 처리되어야 한다. 2건의 배달들을 완료하고 다음 경유지로 출발하기 직전까지 1번 경유지에서 소요되는 시간의 고려가 필요하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은 모든 고객들에게 도착 예정 시각 정보 제공을 위하여 이하 <수학식 3> 내지 <수학식 5>와 같이 각 중간 경유지에서 배달 업무 처리에 소요되는 시간을 고려할 수 있다. However, the estimated arrival time information provided to the customer is the estimated arrival time of the detailed delivery store. For example, stopover number 1 (eg, 245 Jukdong-ro) includes one detailed delivery point, and two deliveries (eg, article #01, article #02) are performed. In this case, two deliveries to one house must be processed. It is necessary to consider the time it takes at stop 1 until just before leaving for the next stop after completing the two deliveries. Therefore, the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consider the time required for delivery service processing at each intermediate stopover as shown in the following <Equation 3> to <Equation 5> in order to provide information on the estimated arrival time to all customers.

Figure pat00003
Figure pat00003

<수학식 3>에서, ePTi는 중간 경유지 i에서 배달 업무 처리에 소요되는 예상 시간(Expected Processing Time), ePTij는 중간 경유지 i에 포함되는 배달점j에서 배달 업무 처리에 소요되는 예상 시간을 나타낸다.In <Equation 3>, ePTi represents the expected processing time required for processing the delivery task at the intermediate stop i (Expected Processing Time), and ePTij represents the estimated time required for the delivery task processing at the delivery point j included in the intermediate stop i.

Figure pat00004
Figure pat00004

<수학식 4>에서, eTPT는 모든 경유지에서 배달 업무 처리에 소요되는 총 예상 업무 시간(Expected Total Processing Time), ePTi는 중간 경유지 i에서 배달 업무 처리에 소요되는 예상 시간을 나타낸다.In <Equation 4>, eTPT represents the expected total processing time required for processing the delivery service at all stopovers, and ePTi represents the estimated time required for processing the delivery service at the intermediate stop point i.

Figure pat00005
Figure pat00005

<수학식 5>에서, eTWT는 총 예상 업무 시간(Expected Total Working Time), eTTT는 전체 경로에 대한 총 예상 이동 시간, eTPT는 모든 경유지에서 배달 업무 처리에 소요되는 총 예상 업무 시간을 나타낸다.In <Equation 5>, eTWT represents the total expected working time (Expected Total Working Time), eTTT represents the total estimated travel time for the entire route, and eTPT represents the total estimated work time required for delivery business processing at all stopovers.

위와 같이, 이동과 배달에 소요될 것으로 예상되는 전체 업무 시간은 전체 경로에 대한 총 예상 이동 시간(eTTT) 및 전체 배달 업무 처리에 소요되는 총 예상 업무 시간(eTPT)의 합으로 계산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estimated total business time required for movement and delivery may be calculated as the sum of the total estimated travel time (eTTT) for the entire route and the total estimated business time (eTPT) required to process the entire delivery task.

도착 시간 계산부(256)는 하나의 중간 경유지(wpi)에서 배달 업무 처리에 소요되는 예상 업무 시간을 계산한다. 예상 업무 시간은 경로를 따라 하나의 중간 경유지에 도착한 시점부터 배달을 완료하여 차량에 되돌아오는 시점까지의 경과 시간으로 이해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하나의 중간 경유지에서의 예상 업무 시간은 중간 경유지에서 차량, 이륜차 및 도보 등을 통한 주배달점까지의 이동 시간, 배달 물품을 가지고 건물 내 고객 현관까지 이동에 소요되는 시간, 고객 현관에 도착 후 고객을 만나서 배달 업무를 처리하는 시간, 배달 업무를 마치고 다시 차량까지 이동에 소요되는 시간을 포함할 수 있다. 아파트와 같이 하나의 건물에 복수의 상세 배달점들이 존재하는 경우, 건물 내에서 다음 상세 배달점까지 이동에 소요되는 시간이 더 고려될 수 있다. 따라서, 하나의 중간 경유지 wpi에서 배달 업무 처리에 소요되는 시간은 배달 물량의 개수보다 방문해야 하는 상세 배달점 개수에 기반하여 계산될 수 있다.The arrival time calculation unit 256 calculates an estimated business time required for delivery business processing at one intermediate stop (wpi). Estimated working hours can be understood as the elapsed time from arriving at one stopover along a route to returning to the vehicle after completing the delivery. Specifically, the estimated business hours at one intermediate stop are the travel time from the intermediate stop to the main delivery point by vehicle, two-wheeled vehicle, and on foot, the time it takes to move the delivered goods to the customer's entrance in the building, and arrive at the customer's entrance Afterwards, it may include the time it takes to meet the customer and handle the delivery task, and the time it takes to travel back to the vehicle after completing the delivery task. When a plurality of detailed delivery points exist in one building, such as an apartment, the time taken to move to the next detailed delivery point within the building may be further considered. Therefore, the time required for delivery service processing at one intermediate stopover wpi may be calculated based on the number of detailed delivery points to be visited rather than the number of delivery quantities.

<표 4>는 <표 3>의 당일 물량 예시에 따른 중간 경유지별 배달 업무 처리 내용에 대한 예이다. <Table 4> is an example of the delivery task processing for each intermediate stop according to the same-day quantity example in <Table 3>.

경유지 번호waypoint number 주소address 물품 개수number of items 주 배달점 번호main delivery point number 상세 배달점 개수Detailed number of delivery points wp1wp1 죽동로 245245, Jukdong-ro 22 1One 1One wp2wp2 죽동로 249249, Jukdong-ro 22 1One 22 wp3wp3 죽동로 251251, Jukdong-ro 66 1 (901동)1 (Building 901) 44 2 (904동)2 (Wing 904) 22 wp4wp4 죽동로 255255, Jukdong-ro 1One 1One 1One

<표 4>를 참고하면, 중간 경유지 #1의 경우, 2건의 배달들이 존재하지만, 하나의 상세 배달점만 방문하면 배달이 완료된다. 중간 경유지 #3의 경우, 두 개의 주 배달점들(예: 901동 및 904동) 각각에 4건의 배달들 및 2건의 배달들이 존재한다. 도착 시간 계산부(256)는 당일 배달 목록을 이용하여 각 중간 경유지에서 배달 업무 처리에 소요되는 시간을 상세 배달점 단위로 계산한다. 배달 업무 처리에 소요되는 시간을 계산하기 위해, 실제 시간 측정을 통한 평균 시간이 이용되거나, 또는 차량 및 배달 담당자 단말에 설치된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정보나 업무 처리 이벤트에 기록된 처리 시각 정보 등에 기반한 배달점 별 과거 이력 데이터가 이용될 수 있다.Referring to <Table 4>, in the case of intermediate stop #1, there are two deliveries, but the delivery is completed when only one detailed delivery store is visited. For intermediate stop #3, there are 4 deliveries and 2 deliveries at each of the two main delivery points (eg, Buildings 901 and 904). The arrival time calculation unit 256 calculates the time required to process the delivery service at each intermediate stop by using the same-day delivery list in units of detailed delivery points. In order to calculate the time required for delivery business processing, the average time through actual time measurement is used, or based on GPS (Global Positioning System) information installed in vehicles and delivery personnel terminals, processing time information recorded in business processing events, etc. Past history data for each delivery point may be used.

중간 경유지 별 배달 업무 처리 시간과 배달 경로 생성부(254)로부터 제공되는 각 구간별 이동 시간을 이용하여 각 중간 경유지와 주 배달점 및 상세 배달점 별 도착 예정 시각이 계산될 수 있다. 이때, 하나의 중간 경유지 wpi에서 배달 업무 처리에 소요되는 예상 시간 ePTi는 위 <수학식 3>과 같이 계산될 수 있다.By using the delivery task processing time for each intermediate stop and the movement time for each section provided from the delivery route generation unit 254, the estimated arrival time for each intermediate stop, the main delivery point, and the detailed delivery point can be calculated. At this time, the estimated time ePTi required for delivery task processing at one intermediate stopover wpi may be calculated as in Equation 3 above.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배달점으로의 도착 예정 시각을 계산하기 위한 흐름도를 도시한다.5 is a flowchart for calculating an expected arrival time to a delivery poi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를 참고하면, S501 단계에서, 서비스 장치(240)는 물품 배달 정보를 기반으로 구간 별 이동 시간을 결정한다. 다시 말해, 서비스 장치(240)는 물품들을 배달하기 위해 중간 경유지들을 이동하는데 소요되는 시간을 구간 별로 계산한다. 구체적으로, 서비스 장치(240)는 배달점들의 목록으로부터 중간 경유지들을 추출하고, 추출된 중간 경유지들을 모두 거치는 경로를 결정한 후, 경로 상의 순서에 따라 중간 경유지들 간 거리를 확인하고, 이동 속도 및 거리에 기반하여 구간 별 이동 시간을 결정할 수 있다. 여기서, 중간 경유지들 중 적어도 하나는 해당 고객의 주소 전부가 아닌 일부일 수 있다.Referring to FIG. 5 , in step S501 , the service device 240 determines a movement time for each section based on product delivery information. In other words, the service device 240 calculates the time required to move between intermediate stops to deliver the goods for each section. Specifically, the service device 240 extracts intermediate waypoints from the list of delivery points, determines a route through all of the extracted intermediate waypoints, checks the distance between the intermediate waypoints according to the order on the route, and determines the moving speed and distance. Based on this, it is possible to determine the travel time for each section. Here, at least one of the intermediate stopovers may be a part, not all, of the address of the corresponding customer.

S503 단계에서, 서비스 장치(240)는 중간 경유지 별 배달 업무 처리 시간을 결정한다. 다시 말해, 서비스 장치(240)는 각 중간 경유지에서 배달을 수행하기 위해 요구되는 시간을 중간 경유지 별로 계산한다. 이를 위해, 서비스 장치(240)는 배달이 수행되는 건물의 구조, 해당 건물에서 수행된 배달에 대한 과거 이력, 중간 경유지 내 상세 배달점들 간 거리, 평균적인 고객의 응대 시간 중 적어도 하나를 고려할 수 있다. 이때, 해당 중간 경유지에 복수의 상세 배달점들이 존재하는 경우, 서비스 장치(240)는 상세 배달점들 간 최적의 경로를 결정하고, 결정된 최적의 경로에 기반하여 배달 업무 처리 시간을 결정할 수 있다.In step S503, the service device 240 determines the delivery task processing time for each intermediate stopover. In other words, the service device 240 calculates the time required to perform delivery at each intermediate stop for each intermediate stop. To this end, the service device 240 may consider at least one of the structure of the building in which the delivery is performed, the past history of the delivery performed in the building, the distance between detailed delivery points in the intermediate stop, and the average customer response time. . In this case, when a plurality of detailed delivery points exist at the corresponding intermediate stopover, the service device 240 may determine an optimal route between the detailed delivery points, and may determine a delivery task processing time based on the determined optimal route.

S505 단계에서, 서비스 장치(240)는 이동 시간 및 배달 업무 처리 시간을 기반으로 배달점 별 도착 예정 시간을 결정한다. 이때, 어느 하나의 배달점의 도착 예정 시간을 결정하기 위해, 서비스 장치(240)는 경로 상 해당 배달점 보다 앞선 적어도 하나의 중간 경유지에 관련된 이동 시간 및 배달 업무 처리 시간의 합을 계산할 수 있다.In step S505, the service device 240 determines the expected arrival time for each delivery point based on the moving time and delivery business processing time. In this case, in order to determine the expected arrival time of any one delivery point, the service device 240 may calculate the sum of the travel time and delivery service processing time related to at least one intermediate stopover ahead of the delivery point on the route.

도 5를 참고하여 설명한 절차에 따라, 배달점 도착 예정 시간이 결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이하 도 6을 참고하여 도착 예정 시간의 결정 결과에 대한 구체적인 예를 설명한다.According to the procedur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5, the estimated time of arrival at the delivery point may be determined. Hereinafter, a specific example of the determination result of the estimated arrival time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6 .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배달 경로를 기반으로 구간 별 이동시간, 중간 경유지 도착 시각 및 출발 시각, 중간 경유지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배달점에서 배달 업무 처리에 소요되는 시간 표현에 대한 예를 도시한다. 도 6을 참고하면, 7개의 기본 주소들 중 4개의 기본 주소들이 배달점들에 대응한다. 적어도 하나의 배달점을 포함하는 4개의 기본 주소들 중 죽동로 251은 복수의 주 배달점들을 포함한다. 기본 주소들을 중간 경유지들로 취급하여 도착 시각, 배달 업무 처리 시간, 출발 시각을 결정한 예는 이하 <표 5>와 같다.6 is an example of an expression of the time required for delivery business processing at at least one delivery point included in the moving time for each section, the arrival time and departure time of the intermediate stopover, and the intermediate stopover based on the delivery rout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how Referring to FIG. 6 , 4 basic addresses among 7 basic addresses correspond to delivery points. Of the four basic addresses including at least one delivery point, 251 Jukdong-ro includes a plurality of main delivery points. An example of determining the arrival time, delivery service processing time, and departure time by treating basic addresses as intermediate stopovers is shown in <Table 5> below.

중간 경유지 번호(주소)Intermediate stop number (address) 도착 시각arrival time 배달 업무 처리 시간Delivery business processing time 출발 시각departure time wp1 (죽동로 245)wp1 (245, Jukdong-ro) 10:0010:00 7분7 minutes 10:0710:07 3분 (이동시간)3 minutes (travel time) wp2 (죽동로 249)wp2 (249, Jukdong-ro) 10:1010:10 9분9 minutes 10:1910:19 4분 (이동시간)4 minutes (travel time) wp3 (죽동로 251)wp3 (251 Jukdong-ro) 10:2310:23 34분34 minutes 10:5710:57 7분 (이동시간)7 minutes (travel time) wp4 (죽동로 255)wp4 (255 Jukdong-ro) 11:0411:04 5분5 minutes 11:0911:09

<표 5>와 같이 중간 경유지 별 배달 업무 처리 시간을 결정함에 있어서, 중간 경유지에 복수의 상세 배달점들이 존재하는 경우, 상세 배달점들 간 이동 시간 및 상세 배달점 별 배달 업무 처리 시간이 해당 중간 경유지에서의 배달 업무 처리 시간을 결정하기 위해 고려된다. 예를 들어, 죽동로 249의 기본 주소를 가지는 중간 경유지 wp2의 배달 업무 처리 시간은 도 7과 같이 결정될 수 있다.As shown in <Table 5>, in determining the delivery task processing time for each intermediate stopover, if a plurality of detailed delivery points exist at the intermediate stopover, the travel time between the detailed delivery points and the delivery task processing time for each detailed delivery point are determined at the intermediate stopover. It is taken into account to determine the delivery business processing time. For example, the delivery task processing time of the intermediate stopover wp2 having the base address of 249 Jukdong-ro may be determined as shown in FIG. 7 .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중간 경유지에 포함된 하나의 주 배달점 단위로 상세 배달점 별 도착 예정 시각 계산 및 배달 업무 처리 시간 계산에 대한 예를 도시한다. 도 7은 도 6에 예시된 하나의 중간 경유지인 wp2에서의 상세 배달점 별 상세 도착 예정 시각 계산에 대한 예로서, 배달 담당자(702)는 중간 경유지 wp2에서 2개의 상세 배달점들 DDP1 및 DDP2를 방문해야 하고, 각각의 도착 시각과 출발 시각 및 상세 배달점에서 배달 업무 처리 시간은 wp2에서 DDP1까지 이동 시간, DDP1에서 배달 업무 소요 시간, DDP1에서 DDP2까지 이동 시간, DDP2에서 배달 업무 소요 시간, DDP2에서 wp2로 되돌아 오는데 소요되는 이동 시간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wp2에서 첫번째 상세 배달점까지 이동을 의미하는 'wp2→DDP1'는, 보다 구체적으로, 주 배달점(PDP1)을 지나가기 때문에 'wp2→PDP1→DDP1'를 포함할 수 있다. 유사하게, 마지막 상세 배달점에서 wp2로 되돌아오는 이동을 의미하는 'DDP2→wp2' 역시 'DDP2→PDP1→wp2'를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배달 소요 시간 및 이동 시간에 대한 구체적인 예는 이하 <표 6>과 같다.7 shows an example of calculating the estimated arrival time and delivery service processing time for each detailed delivery point in units of one main delivery point included in the intermediate stopov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n example of the detailed estimated arrival time calculation for each detailed delivery point in wp2, which is one intermediate stopover illustrated in FIG. Each arrival and departure time, and delivery service processing time at the detailed delivery point are: the travel time from wp2 to DDP1, the time required for the delivery service from DDP1, the time required for the delivery service from DDP1, the travel time from DDP1 to DDP2, the time required for the delivery service from DDP2, and the time required for the delivery service from DDP2 to wp2 It may include the travel time required to return. Here, 'wp2→DDP1', which means moving from wp2 to the first detailed delivery point, more specifically, may include 'wp2→PDP1→DDP1' because it passes the main delivery point PDP1. Similarly, 'DDP2→wp2', which means a movement back to wp2 from the last detailed delivery point, may also include 'DDP2→PDP1→wp2'. Specific examples of the above-described delivery time required and travel time are shown in Table 6 below.

중간 경유지 번호(주소)Intermediate stop number (address) 도착 시각arrival time 배달 업무 처리 시간Delivery business processing time 출발 시각departure time wp2 (죽동로 249)wp2 (249, Jukdong-ro) 10:1010:10 9분9 minutes 10:1910:19 wp2→DDP1wp2→DDP1 2분 (이동시간)2 minutes (travel time) DDP1DDP1 10:1210:12 2분2 minutes 10:1410:14 DDP1→DDP2DDP1→DDP2 1분 (이동시간)1 minute (travel time) DDP2DDP2 10:1510:15 2분2 minutes 10:1710:17 DDP2→wp2DDP2→wp2 2분 (이동시간)2 minutes (travel time) wp2wp2 10:1910:19 10:1910:19

도착 시간 계산부(256)에 의해 전술한 과정을 통해 계산된 중간 경유지와 상세 배달점 도착 예정 시각 정보는 배달 정보 제공부(244)의 배달 알림 정보 발송부(262)에 의해 각 고객들의 고객 단말(230)로 통지될 수 있다.The intermediate stopover and detailed delivery point arrival time information calculated through the above-described process by the arrival time calculation unit 256 are the customer terminals ( 230) may be notified.

전술한 바와 같이 결정되는 도착 예정 시각을 기반으로, 서비스 장치(240)는 고객 단말(230)에게 도착 예정 시간을 포함하는 알림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이하 알림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실시 예가 설명된다.Based on the estimated arrival time determined as described above, the service device 240 may provide notification information including the expected arrival time to the customer terminal 230 . Hereinafter, an embodiment for providing notification information will be described.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알림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흐름도를 도시한다. 도 8은 하나의 고객에게 알림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절차의 예이다. 복수의 고객들이 존재하는 경우, 서비스 장치(240)는 후술되는 절차를 고객 별로 반복 수행할 수 있다.8 is a flowchart for providing notification inform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n example of a procedure for providing notification information to one customer. When there are a plurality of customers, the service device 240 may repeatedly perform a procedure to be described later for each customer.

도 8을 참고하면, S801 단계에서, 서비스 장치(240)는 도착 예정 시간을 확인한다. 도착 예정 시간은 중간 경유지들 간 이동 시간, 중간 경유지 별 배달 업무 처리 시간을 고려하여 결정된다.Referring to FIG. 8 , in step S801 , the service device 240 checks an expected arrival time. Estimated arrival time is determined by considering the travel time between intermediate stops and delivery service processing time for each intermediate stop.

S803 단계에서, 서비스 장치(240)는 도착 예정 시간이 변경 가능한지 판단한다. 도착 예정 시간의 변경 가부는 다른 중간 경유지의 위치, 다른 고객의 시간 변경 요청과의 충돌 여부, 시간 변경에 따른 경로 수정의 효율성 중 적어도 하나에 기반하여 판단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도착 예정 시간의 변경이 가능한 경우, 서비스 장치(240)는 변경이 가능한 시간의 범위를 더 판단할 수 있다.In step S803, the service device 240 determines whether the expected arrival time can be changed. Whether to change the estimated arrival time may be determined based on at least one of a location of another intermediate stop, whether there is a conflict with another customer's request for a time change, and efficiency of route modification according to a time change. Additionally, when it is possible to change the expected arrival time, the service device 240 may further determine the range of the changeable time.

시간 변경이 가능하면, S805 단계에서, 서비스 장치(240)는 시간 변경 항목을 포함하는 알림 정보를 위한 데이터를 생성한다. 즉, 서비스 장치(240)는 도착 예정 시간의 변경을 요청할 수 있는 알림 정보를 생성한다. 여기서, 시간 변경 항목은 시간 변경의 요청을 입력하기 위한 항목, 요청되는 변경의 정도를 입력하기 위한 항목, 요청되는 변경의 방식(예: 확장 또는 이동)을 구분하기 위한 항목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If the time change is possible, in step S805 , the service device 240 generates data for notification information including a time change item. That is, the service device 240 generates notification information for requesting a change in the estimated arrival time. Here, the time change item may include at least one of an item for inputting a request for a time change, an item for inputting the degree of the requested change, and an item for classifying a method (eg, extension or movement) of the requested change. can

시간 변경이 가능하지 아니하면, S807 단계에서, 서비스 장치(240)는 시간 변경 항목을 포함하지 아니하는 알림 정보를 위한 데이터를 생성한다. 즉, 서비스 장치(240)는 도착 예정 시간의 변경을 요청할 수 없는 알림 정보를 생성한다.If the time change is not possible, in step S807 , the service device 240 generates data for notification information that does not include a time change item. That is, the service device 240 generates notification information that cannot request a change of the estimated arrival time.

이후, S809 단계에서, 서비스 장치(240)는 알림 정보를 위한 데이터를 송신한다. 서비스 장치(240)는 고객 단말 인터페이스(248)를 이용하여 알림 정보를 나타내는 데이터를 고객 단말로 송신할 수 있다.Thereafter, in step S809 , the service device 240 transmits data for notification information. The service device 240 may transmit data indicating notification information to the customer terminal using the customer terminal interface 248 .

도 8을 참고하여 설명한 절차에서, 서비스 장치(240)는 도착 예정 시간이 변경 가능한지 여부를 판단한다. 여기서, 도착 예정 시간의 변경이 가능한지 여부를 판단하는 기준은 다양하게 정의될 수 있다. 일 예로, 경로 수정의 효율성이 변경 가능 여부 판단의 기준이 될 수 있다. 이 경우, 일 실시 예에 따라, 경로 수정의 효율성은 시간 변경에 따라 경로가 수정됨에 따라 발생하는 이동 시간의 증가량과 임계치의 비교에 의해 평가될 수 있다. 다른 실시 예에 따라, 경로 수정의 효율성은 수정된 경로가 동일 도로의 중복 이동을 야기하는지 여부 또는 중복 이동의 횟수와 임계치의 비교에 의해 평가될 수 있다.In the procedur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8 , the service device 240 determines whether the expected arrival time is changeable. Here, a criterion for determining whether a change in the estimated arrival time is possible may be defined in various ways. As an example, the efficiency of path correction may be a criterion for determining whether change is possible. In this case, 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efficiency of the route modification may be evaluated by comparing an increase in travel time that occurs as the route is modified according to a time change and a threshold valu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the efficiency of the route modification may be evaluated by comparing whether the modified route causes overlapping movement on the same road or by comparing the number of overlapping movements and a threshold.

도 8과 같은 절차를 통해 제공되는 알림 정보는 고객 단말(230)에 수신된 후, 고객 단말(230)의 화면을 통해 표시된다. 이때, 화면의 구성은 구체적인 실시 예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알림 정보의 구체적인 일 예는 이하 도 9와 같다.After the notification information provided through the procedure shown in FIG. 8 is received by the customer terminal 230 , it is displayed on the screen of the customer terminal 230 . In this case, the screen configuration may vary according to a specific embodiment. A specific example of the notification information is shown in FIG. 9 below.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배달 관련 정보의 제공 및 부재 상황이나 도착 예정 시각 변경을 위하여 고객에게 제공되는 인터페이스 화면의 예를 도시한다. 도 9는 배달 알림 정보 발송부(262)를 통해 고객 단말(230)로 제공되는 데이터에 기반하여 표시되는 고객용 인터페이스 화면의 예이다. 도 9는 도착 예정 시간의 변경이 가능하다고 판단된 경우의 인터페이스 화면을 예시한다.9 illustrates an example of an interface screen provided to a customer in order to provide delivery-related information and change an absence or scheduled arrival tim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n example of a customer interface screen displayed based on data provided to the customer terminal 230 through the delivery notification information sending unit 262 . 9 illustrates an interface screen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expected arrival time can be changed.

도 9를 참고하면, 인터페이스 화면은 도착 예정 시간(902), 수취 불가 피드백 버튼(904), 도착 예정 시간의 변경을 요청하기 위한 입력 항목(906), 도착 예정 시간 변경 요청의 방법을 안내하는 문구(908), 변경에 관련된 설명 문구(910), 기타 기능 버튼들(912)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9 , the interface screen displays an estimated arrival time 902 , a non-receiptable feedback button 904 , an input item 906 for requesting a change of the estimated arrival time, and a phrase guiding a method of requesting a change of the estimated arrival time It may include at least one of 908 , an explanatory text related to change 910 , and other function buttons 912 .

종래의 휴대폰 문자 메시지, 대화 어플리케이션 등을 통한 텍스트 형태의 도착 예정 시각 정보 제공과 달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도 9와 같이, 버튼(904)을 통해 당일 물품 수취가 불가능한 고객의 부재 상황 정보를 획득하거나, 입력 항목(906)을 통해 제공된 도착 예정 시각의 시간대를 변경하고자 하는 고객을 위해 변경 가능 범위 정보가 제공될 수 있다. 당일 부재 상황으로 인해 물품 수취가 불가능 한 경우, 고객이 '당일부재'라 표시된 버튼(904)을 클릭하면, 당일 부재 상황 정보가 배달 담당자에게 전송될 수 있다. 도 9와 같은 입력 항목(906)을 이용하면, 고객은 제공된 변경 가능 범위 내에서 변경하거나, 도착 예정 시각 시간대를 확장할 수 있다. 변경된 고객 응답 정보들은 고객 응답 정보 획득부(266)를 통해 배달 정보 저장부(246)에 저장되고, 배달 경로 생성부(254)에서 획득한 고객응답 정보를 이용하여 배달 경로를 재탐색한다. 새롭게 갱신된 다시 배달 알림 정보 발송부(262)를 통해 고객에게 알림 메시지가 발송된다.Unlike the conventional mobile phone text message, the delivery of expected arrival time information in text form through a conversation applic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 Changeable range information may be provided for a customer who wants to acquire information or change the time zone of the expected arrival time provided through the input item 906 . When it is impossible to receive the goods due to the absence situation on the day, when the customer clicks the button 904 marked 'absent on the day', information on the absence situation on the day may be transmitted to the delivery person. By using the input item 906 as shown in FIG. 9 , the customer may change within the provided changeable range or extend the expected arrival time zone. The changed customer response information is stored in the delivery information storage unit 246 through the customer response information acquisition unit 266, and the delivery path is re-searched using the customer response information acquired by the delivery path generation unit 254. A notification message is sent to the customer through the newly updated re-delivery notification information sending unit 262 .

고객 응답을 통해 재생성된 배달 경로를 기반으로 배달 담당자가 배달을 시작하면, 배달 상태 정보 제공부(264)는 배달 담당자와 고객들에게 배달 담당자의 위치와 배달 상태 등 배달 관련 정보를 지속적으로 제공할 수 있다. 고객은 필요에 따라 고객 단말(230)을 이용하여 배달 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When the delivery person starts delivery based on the delivery path regenerated through the customer response, the delivery status information providing unit 264 can continuously provide delivery-related information such as the location and delivery status of the delivery person to the delivery person and customers. have. The customer may check the delivery status by using the customer terminal 230 as necessary.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도착 예정 시각에 대한 구간 정보 및 도착 예정 시점에 대한 부가적인 정보를 표시하는 인터페이스 항목의 예를 도시한다. 10 illustrates an example of an interface item for displaying section information on an expected arrival time and additional information on an expected arrival tim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0을 참고하면, 인터페이스 항목은 시간대로 표현된 도착 예정 시간을 나타내는 항목(1002), 도착 예정 시간 내에서 보다 구체적인 도착 시점을 지시하는 지시자(1004)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0의 경우, 지시자(1004)는 배달원 모양의 아이콘으로 예시되어 있으나, 지시자(1004)의 모양은 구체적인 실시 예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도 10과 같이, 배달이 진행되는 동안 고객에게 제공된 도착 예정 시각 정보와 함께 배달 담당자의 도착 예정 시간 구간 내에서 보다 구체적인 도착 시점 정보가 그래픽컬한 형태로 함께 제공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0 , the interface item may include an item 1002 indicating an expected arrival time expressed as a time zone and an indicator 1004 indicating a more specific arrival time within the estimated arrival time. In the case of FIG. 10 , the indicator 1004 is exemplified as a delivery man-shaped icon, but the shape of the indicator 1004 may vary according to specific embodiments. 10 , more specific arrival time information within the expected arrival time section of the delivery person in charge of delivery together with the estimated arrival time information provided to the customer while the delivery is in progress may be provided together in a graphical form.

일반적인 배달 환경에서 고객에게 수 시간 범위의 도착 예상 시각 정보가 제공되더라도, 실제 해당 구간에서 언제쯤 도착할지 예상할 수 없기 때문에 고객들을 온전히 해당 수 시간 범위 전체에 대해 대기할 수밖에 없다. 반면, 본 발명에 따르면, 상세 배달점 단위로 배달 업무 소요 시간의 계산이 가능하기 때문에, 30분 또는 1시간 이내로 훨씬 좁은 구간에서 도착 예정 시각 정보가 제공될 수 있고, 한 단계 더 나아가 해당 구간에서도 시작 부근에 근접하여 도착할지 종료 부근에 근접하여 도착할지에 대한 부가적인 정보의 추가적인 제공이 가능하기 때문에, 보다 정확도 높은 배달 서비스가 제공 가능하고, 함께 고객 만족도 향상이 달성될 수 있다.In a typical delivery environment, even if customers are provided with information on expected arrival times in a range of several hours, it is impossible to predict when they will actually arrive in the corresponding section, so they have no choice but to wait for the entire range of hours. On the other han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it is possible to calculate the delivery time required for each detailed delivery point, the estimated arrival time information can be provided in a much narrower section within 30 minutes or 1 hour, and furthermore, it starts in the corresponding section Since it is possible to additionally provide additional information on whether to arrive close to the vicinity or close to the end, a more accurate delivery service can be provided, and an improvement in customer satisfaction can be achieved together.

전술한 바와 같이, 대면을 필요로 하는 배달 환경에 적합한 고객 별 도착 예정 시간대를 일반적인 2시간이나 그보다 더 좁은 범위로 제공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배달 담당자의 당일 배달 물품이 확정되어 해당 위치를 모든 방문하기 위한 배달 경로가 결정되면, 각 배달점에서 배달 업무 수행에 소요되는 시간을 고려하여 고객별 도착 예정 시각을 계산하는 방안을 제안한다.As described above, in order to provide the expected arrival time for each customer in a typical two-hour or narrower range suitable for a delivery environment that requires face-to-face, the present invention confirms the same-day delivery of the delivery person and visits the location for all visits. When a delivery route is determined, a method of calculating the estimated arrival time for each customer is proposed in consideration of the time required for delivery service at each delivery point.

또한, 본 발명은 당일 물품 수취 고객의 휴대용 단말로 SMS 문자, 알림톡 메시지 등의 서비스를 이용하여 자동으로 고객 별 도착 예정 시각을 제공하고, 고객 부재 상황 또는 부재는 아니지만 제공된 도착 예정 시간대 정보의 변경을 원하는 고객에 대해 각 고객별 변경 가능 범위를 제공하고, 고객 응답 정보를 자동으로 획득하기 위한 인터페이스 제안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automatically provides the expected arrival time for each customer by using services such as SMS text message and notification talk message to the mobile terminal of the customer receiving the goods on the same day, and changes the customer's absence or non-absence information of the expected arrival time provided We provide a range of changes for each customer to customers who want to, and propose an interface for automatically acquiring customer response information.

나아가, 본 발명은 고객으로부터 획득한 부재 상황 정보 및 변경된 시간 정보를 반영하여 배달 경로를 재생성하고 갱신된 도착 예정 시간대 정보를 다시 제공하고, 실제 배달이 진행됨에 따라 동적으로 변경되는 도착예정 시점을 시간대 구간과 함께 그래피컬한 정보를 지속적으로 제공하기 위한 기술을 제안한다.Furthermore, the present invention regenerates the delivery route by reflecting the absence status information and the changed time information obtained from the customer, provides the updated estimated arrival time zone information again, and sets the estimated arrival time that is dynamically changed as the actual delivery progresses. We propose a technique for continuously providing graphical information along with a section.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는 모든 가능한 조합을 나열한 것이 아니고 본 개시의 대표적인 양상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다양한 실시 예에서 설명하는 사항들은 독립적으로 적용되거나 또는 둘 이상의 조합으로 적용될 수도 있다.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do not list all possible combinations, but are intended to describe representative aspects of the present disclosure, and the details described in various embodiments may be applied independently or in combination of two or more.

또한,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는 하드웨어, 펌웨어(firmware), 소프트웨어, 또는 그들의 결합 등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하드웨어에 의한 구현의 경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ASICs(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s), DSPs(Digital Signal Processors), DSPDs(Digital Signal Processing Devices), PLDs(Programmable Logic Devices), FPGAs(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 범용 프로세서(general processor), 컨트롤러, 마이크로 컨트롤러, 마이크로 프로세서 등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종단 혹은 에지에서 사용될 수 있는 비 일시적 컴퓨터 판독가능한 매체에 저장된 프로그램의 형식이나, 에지 혹은 클라우드에서 사용될 수 있는 비 일시적 컴퓨터 판독 가능한 매체에 저장된 프로그램의 형식으로도 구현될 수 있음은 자명하다. In addition,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may be implemented by hardware, firmware, software, or a combination thereof. For implementation by hardware, one or more 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s (ASICs), Digital Signal Processors (DSPs), Digital Signal Processing Devices (DSPDs), Programmable Logic Devices (PLDs), 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 (FPGAs), general purpose It may be implemented by a processor (general processor), a controller, a microcontroller, a microprocessor, and the like. For example, it is self-evident that it can be implemented in the form of a program stored in a non-transitory computer-readable medium that can be used at the end or edge, or in the form of a program stored in a non-transitory computer-readable medium that can be used at the edge or in the cloud. do.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레이다 빔 별 최적의 송수신 전력 레벨을 제어하는 방법은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가능한 매체에 저장된 프로그램의 형태로서 구현될 수 있으며, 상기에서 설명한 빔 별 상태를 인덱스로 나누어 전시하는 방법도 컴퓨터 프로그램의 형태로서 구현될 수 있다.For example, the method for controlling the optimal transmission/reception power level for each radar bea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implemented in the form of a program stored in a non-transitory computer-readable medium, A method of dividing and displaying by index may also be implemented in the form of a computer program.

본 개시의 범위는 다양한 실시 예의 방법에 따른 동작이 장치 또는 컴퓨터 상에서 실행되도록 하는 소프트웨어 또는 머신-실행 가능한 명령들(예를 들어, 운영체제, 애플리케이션, 펌웨어(firmware), 프로그램 등), 및 이러한 소프트웨어 또는 명령 등이 저장되어 장치 또는 컴퓨터 상에서 실행 가능한 비-일시적 컴퓨터-판독가능 매체(non-transitory computer-readable medium)를 포함한다. The scope of the present disclosure includes software or machine-executable instructions (eg, operating system, application, firmware, program, etc.) that cause an operation according to the method of various embodiments to be executed on a device or computer, and such software or and non-transitory computer-readable media in which instructions and the like are stored and executable on a device or computer.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실시 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can be various substitutions, modifications and changes within the scope without departing from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so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 It is not limited by one embodiment and the accompanying drawings.

210: 배달물품
220: 배달 담당자 단말
230: 고객 단말
240: 서비스 장치
242: 배달 경로 관리부
244: 배달 정보 제공부
246: 배달 정보 저장부
248: 고객 단말 인터페이스
252: 배달점 전처리부
254: 배달 경로 생성부
256: 도착 시간 계산부
262: 배달 알림 정보 발송부
264: 배달 상태 정보 제공부
266: 고객 응답 정보 획득부
210: delivery goods
220: delivery person terminal
230: customer terminal
240: service device
242: Delivery route management department
244: delivery information provider
246: delivery information storage unit
248: customer terminal interface
252: delivery store pre-processing unit
254: delivery route generator
256: arrival time calculator
262: delivery notification information sending unit
264: delivery status information providing unit
266: customer response information acquisition unit

Claims (1)

물품 도착 시간을 알리기 위한 방법은,
물품들의 배달점들의 주소들로부터 결정된 중간 경유지들 간 이동 시간을 결정하는 단계;
상기 중간 경유지들 각각에서의 배달 업무 처리 시간을 결정하는 단계;
상기 이동 시간 및 상기 배달 업무 처리 시간에 기반하여 상기 배달점들로의 도착 예정 시간을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도착 예정 시간을 고객 단말에게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How to notify the arrival time of goods:
determining a transit time between intermediate stops determined from addresses of delivery points of goods;
determining a delivery business processing time at each of the intermediate stops;
determining an expected arrival time to the delivery points based on the travel time and the delivery business processing time; and
and transmitting the estimated time of arrival to a customer terminal.
KR1020200035239A 2020-03-23 2020-03-23 Method and Apparatus for Informing of Arrival Time of Goods KR20210118675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35239A KR20210118675A (en) 2020-03-23 2020-03-23 Method and Apparatus for Informing of Arrival Time of Good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35239A KR20210118675A (en) 2020-03-23 2020-03-23 Method and Apparatus for Informing of Arrival Time of Good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18675A true KR20210118675A (en) 2021-10-01

Family

ID=786098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35239A KR20210118675A (en) 2020-03-23 2020-03-23 Method and Apparatus for Informing of Arrival Time of Good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10118675A (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90340544A1 (en) Trip planning and implementation
KR101709193B1 (en) Method and system for article delivery service using position
KR101797153B1 (en) System and method of client socianl network service notice based on parcel service delivery route and time of arrival
WO2019033729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dispatching vehicles
CN104809601B (en) The mutual auxiliary system of express delivery based on electronic map
KR101573349B1 (en) Method for Establishing Delivery Schedule based on Present Traffic Condition and Past Movement Information and System using the same
US20160350711A1 (en) Alternative delivery destination system
US9739626B2 (en) Journey planning method and system
JP2014029580A (en) Taxi allocation application system and allocation program
KR20180068548A (en) Intermediation service system and method for delivery based on route
CN113160607B (en) Parking space navigation method and device, electronic equipment, storage medium and product
JPWO2015111224A1 (en) Delivery schedule selection system, delivery schedule selection method, and program
US20140214715A1 (en) Scheduling system and method for distribution of perishable loads of pre-mixed concrete to multiple sites
US20170352004A1 (en) Systems, devices, and methods for dynamically generating delivery destinations, times and routes
KR20140114804A (en) Delivery method and system
KR20200054790A (en) Method for supporting delivery work and apparatus therefor
US20190026851A1 (en) Mobile baggage dispatch system and method
CN112288362A (en) Parcel re-delivery method, parcel delivery method and related equipment
KR20210118675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Informing of Arrival Time of Goods
CN110782213A (en) Express delivery method and device
US20180330318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Dynamically Updating Stored Lists Based on Contemporaneous Location Data Associated with Client Devices
CN114692968A (en) Number taking processing method and device and electronic equipment
KR102461947B1 (en) Intermediation service system and method for delivery based on route
KR101632703B1 (en) Device, method and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 for user schedule alarm using realtime traffic information
JP6409159B1 (en) Bus arrangement operation method, server and progra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