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17737A - 전기 주전자 및 전기 주전자용 뚜껑 - Google Patents

전기 주전자 및 전기 주전자용 뚜껑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17737A
KR20210117737A KR1020200034363A KR20200034363A KR20210117737A KR 20210117737 A KR20210117737 A KR 20210117737A KR 1020200034363 A KR1020200034363 A KR 1020200034363A KR 20200034363 A KR20200034363 A KR 20200034363A KR 20210117737 A KR20210117737 A KR 2021011773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d
guide
packing
intermediate member
electric kett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343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종원
이상기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03436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117737A/ko
Priority to PCT/KR2021/003174 priority patent/WO2021187838A1/ko
Publication of KR202101177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1773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21Water-boiling vessels, e.g. kettles
    • A47J27/21008Water-boiling vessels, e.g. kettles electrically heated
    • A47J27/2105Water-boiling vessels, e.g. kettles electrically heated of the cordless type, i.e. whereby the water vessel can be plugged into an electrically-powered base element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21Water-boiling vessels, e.g. kettl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21Water-boiling vessels, e.g. kettles
    • A47J27/21166Constructional details or accessories
    • A47J27/21175Covers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전기 주전자는,

Description

전기 주전자 및 전기 주전자용 뚜껑 { electric kettle and lid for the electric kettle }
본 발명은 전기 주전자 및 전기 주전자용 뚜껑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기 주전자는 전기 공급에 의해 본체 내부에 수용된 물을 히터와 같은 가열 수단으로 가열하는 장치이다. 그리고, 전기 주전자는 전원이 공급되는 베이스에 본체가 탈착되도록 구성되어 베이스에 안착된 상태로 가열되고, 손잡이를 잡고 본체를 들어 베이스로부터 분리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은 형태의 전기 주전자를 통상 무선 전기 주전자, 무선 전기 포트, 커피 포트 등 다양한 이름으로 부르고 있다.
이와 같은 전기 주전자는 본체의 형상이 복잡하고 내부의 구성의 배치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서 본체를 플라스틱 소재로 형성하는 경우가 있다. 하지만 장기간 사용시 플라스틱의 유해 성분 또는 미세 플라스틱 성분이 고온의 물에 용해될 수 있을 뿐만아니라 스크래치 등에 취약하고 그로 인한 내부의 오염문제가 발생할 수 있는 문제가 있다.
그리고, 본체를 유리 소재로 형성하게 될 경우에는 위생상 우수하고 외관이 매우 뛰어나지만 충격 등에 의한 파손 우려가 있으며, 무게가 무거워 사용이 불편하며, 성형이 용이하지 못한 문제가 있다.
대한민국등록 실용신안 제20-0406420호에는 뚜껑에 의해 본체의 개구된 상면이 차폐되며, 상기 본체가 스테인레스로 구성되어 내부에 수용된 물을 가열할 수 있는 무선 전기 포트가 개시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조에서는 본체가 스테인레스 소재로 형성되어 매우 위생적이고 내구성이 우수한 이점이 있다.
하지만, 이와 같은 구조에서는 상기 뚜껑와 본체 사이의 구속 구조가 제공되지 않아 물이 끓게 될 때 뚜껑이 압력에 의해 임의 개방 되거나, 커퍼 포트를 기울여 물을 따를 때 뚜껑이 임의 개방될 수 있는 가능성이 있는 문제가 있다.
그리고 대한민국공개특허 제10-2011-0134241호에는 본체의 용기의 개구된 상면에 뚜껑이 구비되며, 상기 뚜껑은 임의 개방을 방지하기 위해 뚜껑이 본체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구조의 전기 주전자가 개시되어 있다.
하지만, 이와 같은 구조에서는 뚜껑이 분리되지 않아 사용 및 세척이 불편한 문제가 있으며, 용기와 뚜껑의 구속 구조가 존재하지 않아 뚜껑이 임의 개방되는 문제가 여전히 존재하게 된다.
본 발명은 뚜껑이 닫힌 상태에서 고정되도록 하여 뚜껑의 임의 개방을 방지할 수 있는 전기 주전자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간단한 조작에 의해 뚜껑의 닫힘, 구속 및 완전한 분리 개방이 가능한 전기 주전자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뚜껑 및 본체의 구조적인 형상의 변경 없이 뚜껑의 선택적인 구속이 가능하도록 하는 전기 주전자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뚜껑이 닫힌 상태에서도 본체 내부로 외기 유입이 가능하도록 하여 출수를 원활하게 할 수 있는 전기 주전자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전기 주전자용 뚜껑은, 상면을 형성하는 어퍼 파트; 상기 어퍼 파트의 하방에 구비되며, 하면을 형성하는 로어 파트; 상기 어퍼 파트의 외측 둘레와 상기 로어 파트의 외측 둘레를 연결하며, 전기 주전자의 가열 공간 내측면에 밀착되는 패킹; 상기 어퍼 파트와 로어 파트의 사이 공간에 배치되는 중간부재; 및 상기 어퍼 파트의 상면을 관통하여 상기 중간부재와 결합되며, 상기 중간부재와 함께 회전되는 손잡이;를 포함하며, 상기 중간부재는 상기 로어 파트와 접하여 상기 중간부재의 회전에 따라 상기 로어 파트를 승강시키는 가이드부를 포함하며, 상기 로어 파트의 상승시 패킹은 상기 가열 공간의 내측면을 향하여 가압 밀착되도록 탄성 변형될 수 있다.
상기 어퍼 파트의 외측 둘레에는 상기 패킹의 상단이 고정되는 어퍼 홈이 형성되고, 상기 로어 파트의 외측 둘레에는 상기 패킹의 하단이 고정되는 로어 홈이 형성되며, 상기 어퍼 홈과 로어 홈은 상하 배치되며, 모두 외측을 향하여 개구될 수 있다.
상기 어퍼 파트의 하면에는 상기 어퍼 파트의 둘레를 따라 형성되며, 하방으로 연장되는 어퍼 테두리가 형성되며, 상기 어퍼 홈은 상기 어퍼 테두리의 둘레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어퍼 홈은 상기 어퍼 파트의 외측단보다 더 내측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어퍼 파트의 중앙에는 상기 중간부재의 중앙부가 노출되는 어퍼 홀이 형성되며, 상기 손잡이는 상기 어퍼 홀을 차폐하며, 상기 어퍼 파트와 동심을 가지도록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어퍼 파트의 중앙에는 상기 어퍼 홀의 둘레를 따라 함몰되어 상기 손잡이의 하단을 수용하는 손잡이 안착부가 형성되며, 상기 손잡이 함몰부에는 상방으로 돌출되어 상기 손잡이의 하면을 지지하는 지지돌기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중간부재의 둘레를 따라서 연장되며, 일단에서 타단까지 상하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가이드면을 포함하며, 상기 로어 파트에는 상기 가이드면의 상면과 접촉되며, 상기 중간부재의 회전시 상기 가이드면과 접촉 상태로 상기 가이드면을 따라서 이동되는 가이드 돌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중간부재의 서로 반대 방향에 각각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중간부재의 상단 둘레를 따라 외측으로 돌출되는 상단 테두리를 더 포함하며, 상기 가이드 면은 상기 상단 테두리의 하방에서 외측으로 돌출되며, 상기 가이드면의 일단은 상기 가이드면의 타단보다 더 높은 위치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면에는, 상기 가이드면의 하단에서 상방으로 돌출되며, 상기 로어 파트가 하방으로 이동된 상태에서 위치를 유지하도록 상기 가이드 돌기를 구속하는 제 1 걸림돌기가 형성되며, 상기 가이드면의 하단에서 상방으로 돌출되며, 상기 로어 파트가 상방으로 이동된 상태에서 위치를 유지하도록 상기 가이드 돌기를 구속하는 제 2 걸림돌기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면의 양측에는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는 제 1 사이드부와, 제 2 사이드부가 형성되며, 상기 제 1 사이드부는 상기 가이드면의 하단 사이는 이격되어 상기 구속 돌기가 통과되는 통과부가 형성되며, 상기 제 2 사이드부는 상기 가이드면의 상단과 접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로어 파트의 둘레에는 상기 로어 파트의 하면과 수직하게 상방으로 연장되는 다수의 수직 가이드가 형성되고, 상기 다수의 수직 가이드와 대응하는 상기 어퍼 파트의 내측면에는 상기 수직 가이드와 결합되는 가이드 수용부가 형성되며, 상기 로어 파트의 상하 이동시 상기 수직 가이드는 상기 가이드 수용부를 따라 상하 이동될 수 있다.
상기 패킹은, 상기 패킹의 둘레를 따라 형성되는 중간부; 상기 중간부를 기준으로 상방으로 연장되며, 연장된 단부가 상기 어퍼 파트의 둘레에 고정되는 패킹 상부; 상기 중간부를 기준으로 하방으로 연장되며, 연장된 단부가 상기 로어 파트의 둘레에 고정되는 패킹 하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패킹의 내측면에는 상기 중간부와 대응하는 위치를 따라서 함몰되는 패킹 홈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패킹 상부는 상방으로 연장될수록 내측을 향하도록 경사 또는 라운드지게 형성되며, 상기 패킹 하부는 하방으로 연장될수록 내측을 향하도록 경사 또는 라운드지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중간부는 상기 로어 파트가 가장 하방에 위치된 상태에서 상기 어퍼 파트보다 더 내측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중간부는 상기 로어 파트가 가장 상방에 위치된 상태에서 상기 어퍼 파트보다 더 외측으로 돌출되 될 수 있다.
상기 패킹의 외측면에는 내측으로 함몰되며, 상기 패킹의 상단에서 하단까지 연장되는 에어 그루브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로어 파트의 중앙에는 상기 로어 파트 하방의 공기가 상기 뚜껑의 외부로 배출되도록 상기 로어 파트를 관통하는 에어 홀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전기 주전자는, 상면이 개구되며, 내부에 가열 공간이 형성되는 바디; 상기 가열 공간의 바닥에 배치되며, 상기 가열 공간을 가열하는 히팅 모듈; 상기 바디의 개구된 상면을 차폐하는 뚜껑을 포함하며, 상기 뚜껑은, 상면을 형성하는 어퍼 파트; 상기 어퍼 파트의 하방에 구비되며, 하면을 형성하는 로어 파트; 상기 어퍼 파트의 외측 둘레와 상기 로어 파트의 외측 둘레를 연결하며, 상기 가열 공간 내측면에 밀착되는 패킹; 상기 어퍼 파트와 로어 파트의 사이 공간에 배치되는 중간부재; 및 상기 어퍼 파트의 상면을 관통하여 상기 중간부재와 결합되며, 상기 중간부재와 함께 회전되는 손잡이;를 포함하며, 상기 중간부재는 상기 로어 파트와 접하여 상기 중간부재의 회전에 따라 상기 로어 파트를 승강시키는 가이드부를 포함하며, 상기 로어 파트의 상승시 패킹은 상기 가열 공간의 내측면을 향하여 가압 밀착되도록 탄성 변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전기 주전자 및 전기 주전자용 뚜껑은 다음과 같은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사용자가 상기 뚜껑 손잡이를 회전 조작하여 상기 로어 파트를 승강시킴으로서 패킹의 외부 돌출 정도를 조절할 수 있으며, 상기 패킹의 탄성 변형에 의해 상기 패킹은 상기 바디의 내측면과 가압 밀착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상기 뚜껑은 상기 바디에 고정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되며, 사용중 상기 뚜껑의 임의 개방을 방지하여 사용 편의성과 안전을 확보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상기 뚜껑의 구속 및 구속 해제를 위해서 뚜껑의 상방에 돌출된 뚜껑 손잡이를 회전시키는 간단한 조작에 의해서 상기 뚜껑의 구속 및 구속 해제가 가능하고, 상기 뚜껑이 구속해제된 상태에서 상기 뚜껑을 분리 또는 결합하는 등 상기 뚜껑 손잡이를 이용한 간단한 조작을 통해서 상기 뚜껑의 상태를 조절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상기 뚜껑와 바디의 구조적인 결합 형상이나 결합을 위한 별도의 결합 구조를 가지는 구성의 추가 없이 상기 패킹의 탄성 변형 만으로 상기 바디의 내측에 밀착되어 상기 뚜껑이 구속되는 구조를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바디의 구조를 간결하게 할 수 있으며, 특히, 원통형상의 상기 바디의 외관을 저해하지 않으면서도 효과적인 뚜껑의 구속 구조를 제공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개구가 넓은 원통 형상의 바디에서 상기 뚜껑의 완전한 분리가 용이하여 청소 및 관리가 매우 용이하게 되는 이점이 있다.
그리고, 바디와 뚜껑 사이의 별도 결합 구조가 필요치 않게 되어 외관 형상을 간결하게 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바디와 뚜껑 사이의 별도 연결 구조가 없어 조립 작업이 용이하한 이점이 있다.
한편, 상기 뚜껑이 상기 바디에 닫혀 있는 상태에서도 상기 에어 홀 또는 에어 그루브에 의해서 상기 바디의 내부와 상기 뚜껑 외부 사이의 공기 유동이 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바디의 내부는 대기압을 유지할 수 있으며, 그로인해 상기 바디의 내부의 물을 따르게 될 때 바디의 내부의 물이 원활하게 주둥이를 통해 배출되도록 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에 의한 전기 주전자의 사시도이다.
도 2는 상기 전기 주전자의 뚜껑이 분리된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상기 뚜껑의 절개 사시도이다.
도 4는 상기 뚜껑이 분해 된 모습을 상방에서 본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상기 뚜껑이 분해 된 모습을 하방에서 본 분해 사시도이다.
도 6은 상기 뚜껑의 일 구성인 중간부재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상기 뚜껑이 구속 해제된 상태에서 도 1의 VI-VI' 단면도이다.
도 8은 상기 뚜껑이 구속 해제된 상태에서의 가이드부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는 상기 뚜껑이 구속된 상태에서 도 1의 VI-VI' 단면도이다.
도 10은 상기 뚜껑이 구속된 상태에서의 가이드부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 예에 의한 전기 주전자의 사시도이다.
도 12는 상기 전기 주전자의 뚜껑이 분리된 분해 사시도이다.
도 13은 상기 뚜껑을 하방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14는 상기 뚜껑의 절개 사시도이다.
도 15는 상기 뚜껑이 구속 해제된 상태의 도 11의 XIV- XIV' 단면도이다.
도 16은 상기 뚜껑이 구속된 상태의 도 11의 XIV- XIV' 단면도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 예에 의한 전기 주전자의 뚜껑의 단면도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제 4 실시 예에 의한 전기 주전자의 뚜껑의 단면도이다.
도 19는 본 발명의 제 5 실시 예에 의한 전기 주전자의 뚜껑의 단면도이다.
도 20은 상기 뚜껑의 일 구성인 패킹의 사시도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 예를 도면과 함께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사상이 제시되는 실시 예에 제한된다고 할 수 없으며, 또 다른 구성요소의 추가, 변경, 삭제 등에 의해서 퇴보적인 다른 발명이나 본 발명의 사상범위 내에 포함되는 다른 실시 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에 의한 전기 주전자의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2는 상기 전기 주전자의 뚜껑이 분리된 분해 사시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것과 같이,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에 의한 전기 주전자(1)는 전체적으로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며, 베이스(60)와 바디(10), 뚜껑(20) 및 손잡이(4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손잡이(40)를 제외한 나머지 구성은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하 배치되는 구조를 가지며, 상기 손잡이(40)는 상기 바디(10)의 측면에서 돌출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베이스(60)는 바닥면에 배치되며, 전원 코드가 연결되어 외부의 전원이 공급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베이스(60)의 상면에는 상기 바디(10)가 안착될 수 있다. 상기 바디(10)는 내부에 물과 같은 유체가 수용되고 가열될 수 있는 가열 공간(100)을 형성하는 원통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바디(10)는 상기 베이스(60)에 안착된 상태에서 전원이 공급될 수 있다. 상기 베이스(60)와 바디(10)의 전원 공급방식은 전원 단자의 접촉에 의한 전원 공급 방식이 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베이스(60)와 바디(10)의 전원 공급방식은 전자기 유도 방식이 될 수도 있다.
상기 바디(10)는 상면이 개구된 원통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바디(10)의 하면에는 상기 베이스(60)로부터의 전원 공급에 의해 발열되는 히팅 모듈(50)이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바디(10)의 상면은 상기 뚜껑(20)에 의해 차폐될 수 있다.
상기 바디(10)는 금속 소재로 형성될 수 이중 벽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도 4에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바디(10)는 원통형상의 이너 바디(12)와 아우터 바디(11)로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이너 바디(12)와 아우터 바디(11)의 사이에 단열 공간(101)이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가열 공간(100) 내부에서 유체가 가열되더라도 상기 금속 소재로 된 바디(10)의 외측으로 열이 전달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상기 바디(10)의 둘레 일측에는 내부의 투시가 가능한 투시창(14)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투시창(14)은 투명 소재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바디(10)의 측면에 관통 형성되는 바디 개구를 차폐하도록 장착될 수 있다.
상기 바디(10)의 상단 일측에는 물을 따르기 위한 주둥이(13,spout)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주둥이(13)는 상기 바디(10)의 둘레 상단의 개구를 따라 형성될 수 있으며,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주둥이(13)의 내측에는 필터부재(131)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필터부재(131)에 의해 상기 가열 공간(100) 내부의 이물질이 상기 주둥이(13)를 통해 취출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상기 필터부재(131)는 필요에 따라 탈착될 수도 있다.
상기 주둥이(13)의 반대방향에는 손잡이(40)가 장착될 수 있다. 상기 손잡이(40)는 상기 바디(10)의 상단에서 외측으로 돌출되는 손잡이 연장부(41)와, 상기 손잡이 연장부(41)에서 하방으로 연장되는 손잡이 그립부(4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연장부(41)의 상면은 상기 바디(10)의 상단과 동일한 높이에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연장부(41)의 상면에는 사용자가 조작 가능한 조작부(411)와 상기 전기 주전자(1)의 동작 상태를 표시하는 표시부(412)가 형성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연장부(41)와 상기 그립부(42)의 적어도 일부는 금속 소재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조작부(411)는 터치 방식으로 조작이 입력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표시부(412)는 엘이디의 빛이 통과되어 정보를 표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한손으로 상기 그립부(42)를 쥔상태에서 다른 손가락으로 상기 조작부(411)의 손쉬운 조작이 가능하며, 동시에 동작 상태의 확인까지 가능할 수 있다.
상기 그립부(42)는 상기 연장부(41)의 연장된 단부에서 하방으로 연장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그립부(42)는 상기 바디(10)의 외측면과 이격될 수 있으며, 사용자가 손으로 쥘 수 있는 길이와 직경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그립부(42)의 외측면 중 상기 바디(10)를 향하는 일측에는 고무 또는 플라스틱 소재로 형성되어 사용자의 손이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바디(10)의 개구된 상면은 상기 뚜껑(20)에 의해 차폐될 수 있다. 상기 뚜껑(20)은 상기 바디(10)의 개구된 상면과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바디(10)의 상단과 상기 바디(10)의 상면은 동일 평면상에 위치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바디(10)의 내측면에는 상기 뚜껑(20)의 둘레를 지지하는 뚜껑 장착부(114)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뚜껑(20)은 상면을 형성하는 어퍼 파트(22)와, 하면을 형성하는 로어 파트(24), 그리고 상기 어퍼 파트(22)와 로어 파트(24)의 둘레를 연결하여 상기 뚜껑(20)의 둘레면을 형성하는 패킹(25)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어퍼 파트(22)에는 사용자가 상기 뚜껑(20)을 열고 닫기 위한 뚜껑 손잡이(21)가 돌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패킹(25)은 상기 바디(10)의 내측면과 접하여 상기 뚜껑(20)과 상기 바디(10)의 내측면 사이를 기밀시킬 수 있다.
한편, 상기 뚜껑 손잡이(21)는 회전 조작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으며, 상기 뚜껑 손잡이(21)의 회전에 따라 상기 패킹(25)이 선택적으로 돌출되어 상기 뚜껑(20)이 상기 바디(10)의 내측에서 선택적으로 고정되도록 할 수 있다. 즉, 사용자는 상기 뚜껑 손잡이(21)를 회전시켜, 상기 뚜껑(20)이 상기 바디에 구속되거나, 구속 해제되도록 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 뚜껑(20)의 상세한 구조에 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살펴보기로 한다.
도 3은 상기 뚜껑의 절개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4는 상기 뚜껑이 분해 된 모습을 상방에서 본 분해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5는 상기 뚜껑이 분해 된 모습을 하방에서 본 분해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6은 상기 뚜껑의 일 구성인 중간부재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면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뚜껑(20)은 어퍼 파트(22)와, 로어 파트(24), 뚜껑 손잡이(21)와 패킹(25)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뚜껑(20)은 상기 어퍼 파트(22)와 로어 파트(24)에 구비되는 중간부재(2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어퍼 파트(22)는 원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바디(10)의 개구된 상면의 크기와 대응하거나 다소 작은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어퍼 파트(22)의 중앙에는 어퍼 홀(222)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어퍼 홀(222)은 상기 중간부재(23)와 상기 뚜껑 손잡이(21)의 연결을 위해 개구되는 것으로, 상기 중간부재(23)가 노출되고, 상기 뚜껑 손잡이(21)에 의해 차폐될 수 있는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어퍼 홀(222)은 상기 뚜껑 손잡이(21) 하면의 직경보다는 작게 형성되고, 상기 중간부재(23) 중앙의 중간 보스(232)의 직경보다는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어퍼 홀(222)의 둘레에는 손잡이 안착부(221)가 함몰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손잡이 안착부(221)는 상기 뚜겅 손잡이(40)의 하면이 수용될 수 있도록 함몰되며, 상기 어퍼 홀(222)의 둘레에 소정의 폭을 가지도록 형성되어 상기 뚜껑 손잡이(21)의 하면을 지지할 수도 있다. 따라서, 상기 뚜껑 손잡이(21)가 상기 어퍼 파트(22)에 장착된 상태에서는 상기 뚜껑 손잡이(21)의 하단이 노출되지 않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외부에서 상기 뚜껑(20)을 바라볼 때에 상기 뚜껑(20)이 회전 조작되더라도 상기 뚜껑 손잡이(21)는 상기 어퍼 파트(22)에 밀착된 상태로 보일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어퍼 파트(22)는 외측단에서 상기 손잡이 안착부(221)를 향하여 연장될수록 그 높이가 낮아지도록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뚜껑 손잡이(21)가 돌출되어 차지하는 공간을 최소화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어퍼 파트(22)의 하면 둘레에는 어퍼 테두리(224)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어퍼 테두리(224)는 상기 어퍼 파트(22)의 외측단보다 다소 내측에 위치될 수 있으며, 아래에서 설명할 로어 테두리(242)와 마주보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어퍼 테두리(224)의 하단은 외측으로 절곡되어 상기 어퍼 파트(22)의 하면과의 사이에 어퍼 홈(223)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어퍼 홈(223)은 상기 패킹(25)의 상단이 삽입되는 것으로, 상기 패킹(25)의 상단이 고정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어퍼 파트(22)의 외측단은 상기 어퍼 테두리(224) 및 패킹(25)보다 더 외측으로 돌출될 수 있으며, 상기 바디(10)에 형성된 뚜껑 장착부(114)에 안차되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뚜껑(20)이 상기 바디(10)에 안착된 상태에서 상방에서 바라보았을 때 상기 어퍼 파트(22)의 외측단은 상기 패킹(25)이 노출되지 않도록 차폐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어퍼 파트(22)의 배면에는 가이드 수용부(225)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 수용부(225)는 상방으로 함몰 형성될 수 있으며, 아래에서 설명할 수직 가이드(246)와 대응하는 위치에서 형성되어 상기 수직 가이드(246)가 수용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 수용부(225)는 어퍼 테두리(224)의 내측면과 접할 수 있으며, 따라서 상기 수직 가이드(246)는 상기 어퍼 테두리(224)의 내측면과 접하는 상태로 상기 수직 가이드(246)에 수용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로어 파트(24)가 승강되는 동안에 상기 로어 파트(24)는 유동되지 않고 상기 수직 가이드(246)와 어퍼 테두리(224)가 서로 접하는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로어 파트(24)가 가장 상방으로 이동된 상태에서 상기 수직 가이드(246)는 상기 가이드 수용부(225)의 내측에 수용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뚜껑 손잡이(21)는 상기 어퍼 파트(22)의 중앙에 장착될 수 있다. 상기 뚜껑 손잡이(21)는 사용자가 손으로 잡기 편리하도록 소정의 높이를 가지는 원통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뚜껑 손잡이(21)의 상면 둘레를 따라 외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뚜껑 손잡이(21)를 잡고 상기 뚜껑(20)을 들러올리는 작업이 용이하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뚜껑 손잡이(21)의 하면 중앙에는 손잡이 결합홀(211)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손잡이 결합홀(211)에는 체결부재(212)가 체결될 수 있다. 상기 체결부재(212)는 상기 중간 보스(232)의 하방에서 체결되며, 상기 중간 보스(232)를 관통하여 상기 손잡이 결합홀(211)에 체결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뚜껑 손잡이(21)와 상기 중간부재(23)는 서로 결합될 수 있으며, 상기 뚜껑 손잡이(21)의 회전 조작시 상기 중간부재(23)는 함께 회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손잡이 결합홀(211)의 측방에는 돌기 수용부(213)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돌기 수용부(213)는 상기 중간부재(23)의 돌기부(232b)가 삽입되도록 하방으로 개구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뚜껑 손잡이(21)는 상기 손잡이 결합홀(211)을 중심으로 회전되며, 이때 상기 중간부재(23) 또한 헛돌지 않고 함께 회전 가능하게 된다. 상기 뚜껑 손잡이(21)의 하면은 전체적으로 개구될 수 있으며, 상기 뚜껑 손잡이(21)의 중앙에는 하방으로 연장된 보스가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연장된 상기 보스의 하면에 상기 손잡이 결합홀(211)과 상기 돌기 수용부(213)가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손잡이 결합홀(211)과 상기 돌기 수용부(213)는 서로 인접하게 형성되외 회전 방향으로 힘이 가해지더라도 파손되지 않도록 보강될 수 있다.
상기 로어 파트(24)는 상기 어퍼 파트(22)의 하방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로어 파트(24)는 원판 형상의 하면부(241)와, 상기 하면부(241)의 둘레를 따라 상방으로 연장되는 로어 테두리(242)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어퍼 파트(22)와 로어 파트(24)의 사이에는 상기 중간부재(23)가 배치될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하면부(241)는 상기 어퍼 파트(22)의 직경보다 더 작은 크기로 형성될 수 있으며, 평면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하면부(241)의 중앙에는 상방으로 연장되는 로어 보스(244)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로어 보스(244)는 상기 중간 보스(232)의 개구된 내측으로 삽입될 수 있는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로어 보스(244)의 외경과 상기 중간 보스(232)의 내경은 서로 대응하는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로어 보스(244)에 의해 상기 중간 보스(232)는 회전이 가이드 될 수 있다.
즉, 상기 뚜껑 손잡이(21)의 회전 조작에 의해 상기 중간부재(23)가 회전하게 될 때 상기 중간 보스(232)와 로어 보스(244)의 삽입 구조에 의해 상기 중간 보스(232)는 좌우로 유동되지 않고 회전 축이 고정된 상태에서 회전 가능하게 된다. 즉, 상기 중간부재(23)는 상기 중간 보스(232) 및 로어 보스(244)를 축으로 회전 가능하게 된다. 또한, 상기 중간 보스(232)는 상기 중간부재(23)의 회전에 의해 상기 로어 파트(24)가 승강하게 될 때 상기 로어 파트(24)가 좌우로 유동되지 않도록 하고 상기 로어 파트(24)가 축방향으로 고정된 상태에서 상하 이동되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로어 보스(244)를 중심으로 방사상으로 다수의 보강 리브(245)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보강 리브(245)는 상기 하면부에서 상방으로 소정의 높이로 돌출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보강 리브(245)의 연장된 단부는 링형상으로 서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보강 리브(245)는 상기 중간부재(23)의 하방에 위치되며, 상기 중간부재(23)의 내측 영역에 위치될 수 있다. 그리고, 링 형상의 보강 리브(245)의 단부는 상기 중간부재(23)의 내측으로 삽입되어 상기 중간부재(23)의 둘레면 내측을 지지할 수도 있다. 따라서 상기 중간부재(23)는 기울어지거나 유동되지 않고 안정된 상태로 회전 가능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로어 테두리(242)에는 상방으로 돌출되는 수직 가이드(246)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수직 가이드(246)는 상기 어퍼 테두리(224)의 내측에 형성된 가이드 수용부(225)의 내측에 수용될 수 있도록 상방으로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수직 가이드(246)는 상기 로어 파트(24)가 상하 이동되는 동안에도 상기 어퍼 파트(22)에 형성된 상기 가이드 수용부(225)와 접하여 상기 로어 파트(24)가 흔들리지 않고 안정된 상태로 상하 이동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수직 가이드(246)는 다수개가 등간격으로 배치될 수 있으며, 서로 마주보는 위치에 배치되어 상기 로어 파트(24)의 상하 이동을 안정적으로 가이드 할 수 있다.
상기 로어 테두리(242)의 외측면에는 로어 홈(243)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로어 홈(243)은 상기 패킹(25)의 하단이 삽입되는 홈으로 상기 로어 테두리(242)를 따라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로어 홈(243)은 상기 어퍼 홈(223)의 하방에 위치되며, 상기 어퍼 홈(223)과 상하방향으로 나란히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패킹(25)의 상단과 하단은 상기 어퍼 홈(223)과 로어 홈(243)에 삽입되며, 상기 패킹(25)에 의해서 상기 어퍼 파트(22)와 로어 파트(24)는 서로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로어 테두리(242)의 외측면에는 데코 플레이트 고정부(242a)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데코 플레이트 고정부(242a)는 아래에서 설명할 데코 플레이트(27)의 고정단(273)이 수용될 수 있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로어 테두리(242)의 내측에는 가이드 돌기(247)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 돌기(247)는 아래에서 설명할 가이드부(26)와 함께 상기 로어 파트(24)가 승강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가이드 돌기(247)는 상기 로어 테두리(242)의 내측면에서 상기 로어 테두리(242)의 내측 방향으로 돌출될 수 있으며, 상기 하면부(241)로부터 상방으로 떨어진 위치에서 돌출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 돌기(247)는 상기 중간부재(23)의 외측면에 형성되는 가이드부(26)의 내측에 삽입될 수 있도록 돌출되며, 상기 가이드부(26) 내측과 접촉된 상태에서 상기 가이드부(26)를 따라 이동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 돌기(247)는 상기 로어 파트(24)의 안정적인 가이드를 위해 서로 마주보는 위치에 한쌍이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가이드부(26) 또한 상기 가이드 돌기(247)와 대응하는 위치에 한쌍이 구비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뚜껑(20)은 데코 플레이트(27)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데코 플레이트(27)는 금속 소재로 형성되어 상기 뚜껑(20)의 하면 외관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데코 플레이트(27)는 상기 로어 파트(24)의 하면에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데코 플레이트(27)는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패킹(25)이 결합되는 부분 하방으로 노출되는 상기 뚜껑(20)의 외관을 형성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데코 플레이트(27)는 하면부(271)와 상기 둘레부(27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하면부(271)는 상기 로어 파트(24)의 하면부(241)과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로어 파트(24)의 하면에 밀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둘레부(272)는 상기 로어 파트(24)의 로어 테두리(242)의 하부에 밀착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데코 플레이트(27)는 상기 로어 홈(243) 하방의 상기 로어 파트(24)와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데코 플레이트(27)는 접착제가 도포 되거나 별도의 접착을 위한 구성에 의해 상기 로어 파트(24)에 견고하게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데코 플레이트(27)의 둘레부(272)에는 상방으로 연장되는 고정단(273)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고정단(273)은 상기 둘레부(272)를 따라서 다수개가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데코 플레이트 고정부(242a)에 삽입가능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고정단(273)은 상기 데코 플레이트 고정부(242a)에서 절곡되어 상기 데코 플레이트(27)가 한층 더 견고하게 상기 로어 파트(24)에 고정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고정단(273)은 복수개가 일정 간격으로 배치되어 상기 데코 플레이트(27)가 상기 로어 파트(24)에 안정적으로 결합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중간부재(23)는 상기 어퍼 파트(22)와 로어 파트(24)의 사이에 구비되며, 소정의 두께를 가지는 원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중간부재(23)는 상기 하면부(241)의 직경보다 다소 작은 직경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어퍼 파트(22)와 로어 파트(24)의 사이 공간에서 회전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중간부재(23)의 중앙에는 상기 중간 보스(232)가 상방으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중간 보스(232)는 하면이 개구되며, 상기 중간 보스(232)의 개구된 하면에는 상기 로어 보스(244)가 삽입되는 공간(232c)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중간 보스(232)는 상기 중간부재(23)의 상면 보다 더 돌출될 수 있으며, 상기 어퍼 홀(222)의 내측에 위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중간 보스(232)의 중앙에는 상기 체결부재(212)가 삽입되는 관통구(232a)가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체결부재(212)는 상기 중간보스(232a)의 내측에서 삽입되며, 상기 관통구(232a)를 통과하여 상기 손잡이 결합홀(211)에 체결될 수 있다.
상기 중간 보스(232)의 상면은 상기 손잡이 안착부(221)의 상면과 대응하는 높이까지 연장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어퍼 홀(222)을 통해 노출된 상기 중간 보스(232)의 상면은 상기 뚜껑 손잡이(21)의 하면과 밀착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중간 보스(232)의 상면에는 돌기부(232b)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돌기부(232b)는 상기 중간 보스(232)의 상면 중앙으로 부터 떨어진 일측에서 상방으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돌기부(232b)는 상기 뚜껑 손잡이(21)의 장착시 상기 돌기 수용부(213)의 내측에 삽입될 수 있다.
상기 돌기 수용부(213)는 상기 뚜껑 손잡이(21)의 하면에 개구되며, 상기 돌기부(232b)가 삽입될 수 있도록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돌기부(232b)는 상기 돌기 수용부(213)의 내측에 삽입되어 서로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뚜껑 손잡이(21)의 하면과 상기 중간 보스(232)의 상면은 서로 회전력이 전달될 수 있도록 결합될 수 있다. 즉, 상기 뚜껑 손잡이(21)의 회전시 상기 중간부재(23)가 함께 회전될 수 있으며, 이때, 상기 뚜껑 손잡이(21)의 하면과 상기 중간 보스(232)의 상면 사이에는 슬립이 발생되지 않게 된다.
한편, 상기 중간 보스(232)의 하단과 대응하는 상기 중간부재(23)의 하면에는 보스 돌출부(232d)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보스 돌출부(232d)는 상기 중간 보스(232)의 직경과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중간부재(23)의 하면에서 하방으로 돌출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보스 돌출부(232d)는 상기 로어 파트(24)가 상방으로 최대 상승되면, 상기 로어 파트(24)의 상면과 접하여 상기 로어 파트(24)가 더 상승되지 않도록 지지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보스 돌출부(232d)와 이격된 상기 중간부재(23)의 하면에는 추가 돌출부(237)가 더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추가 돌출부(237)는 상기 보스 돌출부(232d)의 직경보다 더 크게 형성되며, 상기 보스 돌출부(232d)와 동일한 높이만큼 돌출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로어 파트(24)가 최대 상승된 상태에서 상기 보스 돌출부(232d)와 함께 상기 로어 파트(24)의 상면에 접할 수 있다. 상기 보스 돌출부(232d)와 상기 추가 돌출부(237)에 의해 상기 로어 파트(24)가 상방으로 이동된 상태에서 유동되지 않고 안정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중간부재(23)의 상면에는 어퍼 파트 지지부(233)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어퍼 파트 지지부(233)는 상기 중간 보스(232)의 외측을 따라 형성되며, 하방으로 함몰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어퍼 파트 지지부(233)는 상기 손잡이 안착부(221) 하면의 폭보다 더 큰 폭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손잡이 안착부(221)는 상기 어퍼 파트 지지부(233)의 내측에 수용될 수 있다.
상기 어퍼 파트 지지부(233)의 바닥면에는 지지 돌기(233a)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지지 돌기(233a)는 상기 어퍼 파트 지지부(233)를 따라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손잡이 안착부(221)의 하면을 하방에서 지지할 수 있도록 돌출될 수 있다. 상기 지지 돌기(233a)는 복수개가 일정 간격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손잡이 안착부(221)를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상기 손잡이 안착부(221)가 상기 어퍼 파트 지지부(233)의 내측에서 지지된 상태에서는 상기 어퍼 파트(22)의 하면의 다른 부분이 상기 중간부재(23)와 접촉되지 않고 이격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중간부재(23)는 상기 어퍼 파트(22)의 하방에서 회전될 때 상기 어퍼 파트(22)와의 마찰을 최소화 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중간부재(23)의 상면 외측단을 따라서 둘레면(236)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둘레면(236)은 상기 중간부재(23)의 상면과 수직하게 교차하는 면으로 상하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으며, 상하방향으로 소정의 폭을 가징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둘레면(236)의 상단과 하단에는 상단 테두리(234)와 하단 테두리(235)가 각각 외측으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상단 테두리(234)와 하단 테두리(235)는 각각 상기 어퍼 테두리(224)와 로어 테두리(242)의 내측면을 향하도록 연장될 수 있다. 상기 상단 테두리(234)와 하단 테두리(235) 그리고, 둘레면(236)에 의해서 상기 중간부재(23)의 둘레를 따라서 함몰된 소정의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함몰된 공간 중 일부에는 상기 가이드부(26)가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가이드부(26) 내측에 상기 가이드 돌기(247)가 위치되어 상기 중간부재(23)의 회전에 따라 상기 로어 파트(24)가 상하 승강 가능하게 된다.
상기 가이드부(26)는 상기 가이드 돌기(247)가 삽입가능한 홈의 구조로 상기 중간부재(23)의 둘레에 제공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중간부재(23)가 회전되는 과정에서 상기 가이드 돌기(247)는 상기 가이드부(26)의 내측에서 이동될 수 있으며, 상기 로어 파트(24)를 승강 시킬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부(26)는 상기 가이드 돌기(247)와 마주보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으며, 상기 가이드부(26)는 상기 가이드 돌기(247)와 마찬가지로 복수개가 서로 반대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부(26)의 구조에 관하여 도 6를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살펴보면,
상기 가이드부(26)는 상기 둘레면(236)의 하단에서 돌출되는 가이드면(263)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이드면(263)은 상기 둘레면(236)과 수직하게 형성되며, 소정의 폭을 가지고 돌출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면(263)은 상기 가이드부(26)가 형성되는 위치에서 상기 하단 테두리(235)를 대신하여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가이드면(263)이 형성되는 위치에는 상기 하단 테두리(235)가 형성되지 않을 수 있으며, 상기 가이드면(263)이 상기 둘레면(236)의 함몰된 공간의 바닥을 형성할 수 있다. 달리 말하면, 상기 하단 테두리(235)가 상기 가이드면(263)을 형성할 수도 있을 것이다.
상기 가이드면(263)은 상기 둘레면(236)을 따라서 형성될 수 있으며, 측방에서 볼 때 양단의 높이가 서로 다르게 형성되며 따라서 기울어진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기울어진 상기 가이드면(263)을 따라서 상기 가이드 돌기(247)가 접촉 상태로 이동될 수 있으며, 따라서, 상기 로어 파트(24)는 상하 이동 가능하게 된다.
상세히, 상기 가이드부(26)는 상기 상단 테두리(23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상단 테두리(234)와 상기 가이드면(263)에 의해서 상기 가이드 돌기(247)가 이동되는 공간이 정의 될 수 있으며, 상기 가이드 돌기(247)는 상하 방향으로 이탈되지 않고 상기 가이드면(263)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가이드면(263)의 좌우 양측에는 제 1 사이드부(261)와 제 2 사이드부(262)가 각각 형성되어 상기 가이드부(26)의 좌우 양측면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제 1 사이드부(261)와 제 2 사이드부(262)는 각각 상기 상단 테두리(234)에서 하단 테두리(235)까지 연장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 1 사이드부(261)와 제 2 사이드부(262)는 상기 상단 테두리(234) 및 하단 테두리(235)와 동일 높이로 돌출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가이드 돌기(247)는 상기 제 1 사이드부(261)와 제 2 사이드부(262)에 의해서 좌우측 방향으로 이탈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 1 사이드부(261)와 상기 가이드면(263)의 일단은 서로 이격되어 통로부(126)를 형성할 수 있다. 즉, 상기 통로부(126)는 상기 제 1 사이드부(261)와 상기 하단 테두리(235)의 일부가 서로 이격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통로부(126)는 상기 로어 바디(10)의 조립시 상기 가이드 돌기(247)가 통과되는 부분으로, 상기 가이드 돌기(247)의 폭과 같거나 다소 크게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가이드 돌기(247)는 상기 통로부(126)를 통해서 상방으로 이동(도 6의 ① 방향)하면서 상기 가이드부(26)의 내측으로 삽입될 수 있다.
상기 통로부(126)와 인접하는 상기 가이드면(263)의 단부에는 상방으로 돌출된 차단부(265)가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차단부(265)는 상기 제 1 사이드부(261)와 마주보는 상기 통로부(126)의 단부에서 상방으로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차단부(265)는 상기 가이드 돌기(247)의 두께보다 더 높게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가이드 돌기(247)가 상기 가이드부(26) 내측에서 쉽게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가이드 돌기(247)와 상기 상단 테두리(234)의 사이 간격은 상기 가이드 돌기(247)의 두께보다 더 크게 형성되어 상기 가이드 돌기(247)가 상기 통로부(126)로 삽입된 후 상기 차단부(265)와 상기 상단 테두리(234) 사이의 공간을 통과하여 상기 가이드면(263)의 상방에 위치될 수 있다.
한편, 상기 가이드면(263)에는 제 1 걸림 돌기(266)와 제 2 걸림 돌기(267)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1 걸림 돌기(266)와 제 2 걸림 돌기(267)는 상기 가이드 돌기(247)의 임의의 이동을 제한하기 위한 것으로, 각각 상기 제 1 사이드부(261)와 제 2 사이드부(262)에 인접한 위치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제 1 걸림 돌기(266)와 제 2 걸림 돌기(267)는 상기 가이드 돌기(247)의 임의 이동을 방지할 수 있는 높이로 돌출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제 1 걸림 돌기(266)와 제 2 걸림 돌기(267)는 상기 가이드 돌기(247)의 높이와 대응하는 높이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 1 걸림 돌기(266)와 제 2 걸림 돌기(267)의 상단은 상기 상단 테두리(234)의 하면과 이격되고, 상기 제 1 걸림 돌기(266)와 제 2 걸림 돌기(267)의 상단과 상기 상단 테두리(234)의 하면의 이격된 사이 공간으로 상기 가이드 돌기(247)가 출입되도록 할 수 있다.
상세히, 제 1 걸림 돌기(266)는 상기 차단부(265)와 인접한 일측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1 걸림 돌기(266)와 상기 차단부(265)의 사이 거리는 상기 가이드 돌기(247)의 폭보다 더 크게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가이드 돌기(247)는 상기 제 1 걸림 돌기(266)와 상기 차단부(265) 사이의 공간(도 6에서 ②의 위치)에 위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가이드 돌기(247)가 해당 위치에 위치된 상태에서는 상기 로어 파트(24)가 상하 방향으로 유동되지 않게 되며, 상기 로어 파트(24)는 가장 낮은 위치를 유지하는 상태가 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가이드부(26)에서 상기 제 1 걸림 돌기(266)와 상기 차단부(265) 사이의 영역은 열림 영역이라 할 수 있으며, 상기 뚜껑(20)은 상기 바디로부터 쉽게 개방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사용자가 상기 중간부재(23)를 회전시켜 상기 차단부(265)가 상기 제 1 걸림 돌기(266)를 넘어서 상기 가이드면(263)을 따라 이동되도록 조작하면, 상기 가이드 돌기는 제 1 걸림 돌기(266)와 제 2 걸림 돌기(267) 사이의 공간(도 6에서 ③의 위치)을 따라서 이동 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가이드부(26)에서 상기 제 1 걸림 돌기(266)와 제 2 걸림 돌기(267) 사이의 영역은 가압 영역이라 할 수 있으며, 상기 차단부(265)가 상기 가압 영역에서 이동되는 동안에 상기 뚜껑(20)이 바디에 고정 또는 분리되도록 조작된다.
한편, 상기 가이드면(263)은 적어도 상기 제 1 걸림 돌기(266)에서 부터 제 2 걸림 돌기(267)까지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 1 걸림 돌기(266)와 접하는 부분이 가장 낮은 높이를 가지며, 상기 제 2 걸림 돌기(267)를 향하여 연장될수록 높아지는 경사를 가지고, 상기 제 2 걸림 돌기(267)와 접하는 부분에서 가장 높은 높이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제 2 걸림 돌기(267)는 상기 제 2 사이드부(262)와 인접한 위치에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2 걸림 돌기(267)와 상기 제 2 사이드부(262)의 사이는 이격될 수 있으며, 상기 제 2 걸림 돌기(267)와 상기 제 2 사이드부(262)의 사이 거리는 상기 가이드 돌기(247) 폭보다 더 크게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가이드 돌기(247)는 상기 제 2 걸림 돌기(267)와 상기 제 2 사이드부(262) 사이의 공간(도 6에서 ④의 위치)에 위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가이드 돌기(247)가 해당 위치에 위치된 상태에서는 상기 로어 파트(24)가 상하 방향으로 유동되지 않게 되며, 상기 로어 파트(24)는 가장 높은 위치를 유지하는 상태가 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가이드부(26)에서 상기 제 2 걸림 돌기(267)와 상기 제 2 사이드부(262) 사이의 영역은 닫힘 영역이라 할 수 있으며, 상기 뚜껑(20)은 상기 바디(10)에 구속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열림 영역과 닫힘 영영의 바닥면은 경사지지 않고, 상기 중간부재(23)의 상면과 평행하게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가이드 돌기(247)가 상기 열림 영역 및 닫힘 영역에 배치된 상태에서는 상기 패킹(25)의 상태가 유지될 수 있다.
상기 패킹(25)은 상기 뚜껑(20)의 둘레면을 형성하는 것으로, 상기 뚜껑(20)이 상기 바디(10)에 안착되었을 때 상기 바디(10)의 내측면과 접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패킹(25)은 탄성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예로, 고무, 실리콘 등과 같은 소재로 형성되어 상기 바디(10)의 내측면과 밀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패킹(25)은 전체적으로 링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어퍼 파트(22) 및 로어 파트(24)에 상단과 하단이 고정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로어 파트(24)의 승강에 따라서 상기 패킹(25)은 상하 방향으로 압축되고, 외측 방향으로 중간부(251)가 돌출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패킹(25)은 중간부(251)를 기준으로 패킹 상부(252)와 패킹 하부(254)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패킹 상부(252)는 상기 중간부(251)에서 상방으로 연장되며, 상방으로 연장될수록 내측을 향하도록 경사 또는 라운드지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패킹 하부(254)는 상기 중간부(251)에서 하방으로 연장되며, 하방으로 연장될수록 내측을 향하도록 경사 또는 라운드지게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패킹(25)의 내측면에는 상기 패킹 상부(252)와 패킹 하부(254)가 접하는 부분 즉, 상기 중간부(251)를 따라서 함몰된 패킹 홈(256)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패킹(25)의 상하방향 압축에 의한 변형시 상기 패킹 홈(256)을 기준으로 상기 패킹(25)이 접히면서 변형될 수 있게 된다. 상기 패킹 홈(256)은 상기 패킹(25)이 보다 용이하게 변형되어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패킹 상부(252)의 상단에는 내측으로 연장되어 상기 어퍼 홈(223)에 삽입되는 상단 고정부(253)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상단 고정부(253)가 상기 어퍼 홈(223)에 고정되어 상기 패킹(25)의 상단은 상기 어퍼 파트(22)에 고정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패킹 하부(254)의 하단에는 내측으로 연장 형성되어 상기 로어 홈(243)에 삽입되는 상단 고정부(253)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하단 고정부(254)가 상기 로어 홈(243)에 고정되어 상기 패킹(25)의 하단은 상기 로어 파트(24)에 고정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패킹(25)에 의해 상기 어퍼 파트(22)와 로어 파트(24)는 서로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패킹(25)의 상하 폭에 의해서 상기 어퍼 파트(22)와 로어 파트(24)는 설정 간격을 유지하게 된다.
한편, 상기 중간부재(23)의 회전에 의해 상기 로어 파트(24)가 승강하게 되면, 상기 패킹(25)은 탄성 변형에 의해 외측으로 돌출될 수도 있고, 상기 패킹(25)이 상기 바디(10)에 가압 밀착되어 상기 뚜껑(20)이 상기 바디(10)에 고정되도록 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와 같은 구조를 가지는 뚜껑(20)이 닫힌 상태에서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구속 또는 구속 해제된 상태에 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살펴보기로 한다.
도 7은 상기 뚜껑이 구속 해제된 상태에서 도 1의 VI-VI' 단면도이다. 그리고, 도 8은 상기 뚜껑이 구속 해제된 상태에서의 가이드부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면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뚜껑(20)이 닫힌 상태에서 사용자는 상기 뚜껑 손잡이(21)를 조작하여 상기 뚜껑(20)이 구속 해제된 상태가 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뚜껑(20)이 구속 해제된 상태에서는 상기 뚜껑(20)의 어퍼 파트(22)가 상기 뚜껑 장착부(114)에 단순 안착된 상태를 유지하고 있으며, 상기 패킹(25)은 상기 이너 바디(12)의 내측면과 단순히 접하거나 미세하게 이격된 상태로 사용자가 상기 뚜껑 손잡이(21)를 잡고 들어올리게 되면 상기 뚜껑(20)을 상기 바디(10)로부터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는 상기 로어 파트(24)는 가장 하방에 위치될 수 있으며, 상기 패킹(25)의 외측면은 전체적으로 상하 방향으로 가압되지 않은 상태가 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패킹 홈(256)은 홈 형상이 변형되지 않은 상태를 유지하고 상기 패킹 상부(252)와 패킹 하부(254) 또한 일정한 경사 또는 라운드를 유지하게 된다.
즉, 상기 패킹(25)은 상기 바디(10)와 단순 접촉 상태를 유지하거나 미세하게 떨어진 상태를 유지할 수 있으며, 상기 패킹(25)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로어 파트(24)는 하방으로 이동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그리고, 이와 같은 상태에서 상기 패킹(25)의 상단 고정부(253)와 하단 고정부(254)는 서로 가장 먼 거리를 유지하게 된다.
한편, 상기 가이드 돌기(247)는 상기 가이드부(26)의 내측 중 열림 영역(도 8에서 ①의 위치)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 돌기(247)가 상기 제 1 걸림 돌기(266)와 차단부(265)의 사이에 위치하게 되는 경우 상기 로어 파트(24)는 임의로 상승되지 않고 가장 하방에 위치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뚜껑(20)이 언제든지 개방 가능한 상태를 장기간 유지하고 상기 뚜껑(20)을 상기 바디(10) 내부에 구속하지 않은 상태로 사용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상기 가이드 돌기(247)가 상기 열림 영역상에 위치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뚜껑(20)이 상기 바디(10)의 내측에서 고정되도록 하고자하는 경우 또는 필요에 따라 언제든 즉각적으로 조작할 수 있다. 상기 뚜껑(20)이 상기 바디(10)의 내측에서 구속되도록 하는 경우에는 사용자는 상기 뚜껑 손잡이(21)를 돌려서 상기 중간부재(23)를 회전시키게 된다. 상기 중간부재(23)의 회전에 의해 상기 가이드 돌기(247)는 상기 가이드부(26) 내측에서 이동되며, 이때, 상기 제 1 걸림 돌기(266)를 넘어 상기 가압 영역(도 8에서 ②의 위치)에 위치하게 된다.
상기 가이드 돌기(247)가 상기 가압 영역에 위치된 상태에서도 상기 뚜껑 손잡이(21)를 회전 조작하지 않게 되면, 상기 패킹(25)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로어 파트(24)는 하방으로 이동되는 힘이 작용되고, 상기 로어 파트(24)는 위치를 유지하게 된다. 이때, 상기 가이드 돌기(247)는 제 1 걸림 돌기(266)에 접하는 상태가 유지될 수 있다.
한편, 이와 같은 상태에서 사용자가 상기 뚜껑(20)을 상기 바디(10) 내측에서 고정시키기 위해서 상기 뚜껑 손잡이(21)를 회전시키게 되면, 상기 중간부재(23)는 회전되며, 상기 가이드 돌기(247)는 가이드면(263)의 경사를 따라서 이동하게 된다.
상기 가이드 돌기(247)가 상기 가이드면(263)을 따라서 상방으로 이동하게 되면, 상기 로어 파트(24) 또한 함께 상방으로 이동된다. 즉, 상기 중간부재(23)가 회전될수록 상기 로어 파트(24)는 더 상방으로 이동된다.
상기 로어 파트(24)가 상방으로 이동하게 되면, 상기 어퍼 홈(223)과 로어 홈(243)의 사이는 점차 가까워지게 되며, 상기 패킹(25)은 상하 방향으로 압축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패킹(25)은 상기 패킹 홈(256)을 기준으로 상부와 하부가 보다 내측을 향하도록 변형되며, 상기 중간부(251)는 보다 외측을 향하도록 변형될 수 있다.
즉, 상기 패킹(25)은 상기 뚜껑(20)의 외측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변형되며, 상기 바디(10)의 내측면과 보다 밀착되도록 가압될 수 있다.
도 9는 상기 뚜껑이 구속된 상태에서 도 1의 VI-VI' 단면도이다. 그리고, 도 10은 상기 뚜껑이 구속된 상태에서의 가이드부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면에 도시된 것과 같이, 사용자가 상기 뚜껑 손잡이(21)를 조작하여 상기 중간부재(23)를 회전시켜 상기 로어 파트(24)를 가장 상방으로 이동시킨 상태에서는 상기 패킹(25)이 변형되어 상기 바디(10)의 내측면에 가압 밀착된 상태가 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는 상기 어퍼 파트(22)가 상기 뚜껑 장착부(114)에 안착되어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패킹(25)이 외측 방향으로 최대 변형된 상태로 상기 바디(10)의 내측면을 가압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패킹(25)은 상기 바디(10)와 완전히 기밀상태로 밀착될 뿐만 아니라, 상기 바디(10)의 내측면을 가압하여 뚜껑이 구속상태가 되도록 한다.
상세히, 사용자가 상기 뚜껑(20)이 상기 바디(10)의 내측에서 구속되어 닫힌 상태를 유지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상기 뚜껑 손잡이(21)를 회전시켜, 도 9과 같은 상태가 될 때 까지 상기 중간부재(23)를 회전되도록 하고, 상기 로어 파트(24)가 상기 어퍼 파트(22)와 가장 가까운 위치까지 상승하도록 조작하게 된다.
즉, 상기 중간부재(23)의 회전에 의해 상기 가이드 돌기(247)는 상기 가이드면(263)을 따라서 이동하여 점차 제 2 걸림 돌기(267)와 가까워지도록 상승하게 된다. 상기 제 2 가이드 돌기(247)가 제 2 걸림 돌기(267)에 접하는 상태가 되면, 상기 로어 파트(24)는 상승 상태가 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상기 패킹(25)은 상하 방향으로 압축되어 상기 패킹 홈(256)을 기준으로 패킹 상부(252)와 패킹 하부(254)가 압축되면서 외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바디(10)의 내측면에 가압상태로 밀착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구속을 유지하기 위해서 사용자는 상기 뚜껑 손잡이(21)를 더 회전시킬 수 있으며, 상기 가이드 돌기(247)는 상기 제 2 걸림 돌기(267)를 넘어 상기 제 2 걸림 돌기(267)와 상기 제 2 사이드부(262) 사이 공간 즉, 상기 닫힘 영역(도 10에서 ①의 위치)에 위치하게 된다.
상기 가이드 돌기(247)는 상기 제 2 걸림 돌기(267)에 의해 구속된 상태가 되므로 상기 어퍼 파트(22)는 상승된 상태를 유지하게 되며, 상기 패킹(25)은 상기 바디(10)의 내측면에 밀착되도록 변형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때, 상기 어퍼 테두리(224)와 로어 테두리(242)가 서로 접하는 위치까지 상기 로어 파트(24)가 상승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는 사용자가 상기 뚜껑 손잡이(21)를 들어올리게 되더라도 상기 뚜껑(20)이 상기 바디(10)로부터 분리되지 않게 된다. 따라서, 사용자가 상기 뚜껑(20)이 상기 바디(10)를 차폐한 상태로 견고하게 고정되도록 하기 위해서는 이와 같은 상태가 되도록 상기 뚜껑 손잡이(21)를 조작하게 된다.
한편, 사용자가 상기 뚜껑(20)을 상기 바디(10)로부터 분리 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상기 뚜껑 손잡이(21)를 역방향 즉, 전술한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회전 조작할 수 있으며, 상기 뚜껑 손잡이(21)의 조작에 의해 상기 중간부재(23)가 회전하여 상기 로어 파트(24)가 하방으로 이동되고 상기 패킹(25)은 가압 전 상태로 탄성력에 의해 복귀될 수 있다.
상기 로어 파트(24)가 도 7과 같은 상태까지 이동될 때까지 상기 뚜껑 손잡이(21)를 회전시키게 되면, 사용자는 상기 뚜껑(20)을 자유롭게 분리 장착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전기 주전자(1)는 전술한 실시 예와 다른 다양한 실시예가 가능할 것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 예에 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제 2 실시 예는 전술한 실시예와 상기 바디의 상부 구조와 상기 뚜껑의 구조에만 차이가 있을 뿐 다른 구조는 동일할 것이다. 따라서, 동일한 구조에 대해서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고 동일한 도면부호를 사용하여 표시하기로 한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 예에 의한 전기 주전자의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12는 상기 전기 주전자의 뚜껑이 분리된 분해 사시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것과 같이, 본 발명의 제 2 실시 예에 의한 전기 주전자(1)는 전체적으로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베이스(60)와 바디(10), 어퍼 바디(10), 히팅 모듈(50), 뚜껑(70) 및 뚜껑 손잡이(71)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손잡이(40)를 제외한 나머지 구성은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하 배치되는 구조를 가지며, 상기 손잡이(40)는 상기 어퍼 바디(10)의 둘레면에서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베이스(60)는 상기 바디(10)의 하방에 배치되어 상기 바디(10)가 탈착 가능하게 안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바디(10)가 상기 베이스(60)에 안착되었을 때 상기 바디(10)로 전원 공급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바디(10)와 베이스(60) 및 어퍼 바디(10)는 전체적으로 동일한 직경을 가지는 원통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바디(10)와 베이스(60) 및 어퍼 바디(10)의 외관은 금속 또는 금속 질감을 가지는 소재로 형성되어 외관의 일체감을 보다 높일 수 있다.
상기 바디(10)는 이중 월(wall)구조로 형성되며, 내부에는 단열 공간이 제공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바디(10)의 일측에는 투시창(14)이 형성되어 상기 바디(10) 내부의 가열 공간(100)이 가시화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바디(10)의 상단에는 어퍼 바디(10)가 장착될 수 있다. 상기 어퍼 바디(10)는 상기 바디(10)와 동일한 금속 소재로 형성되거나, 다른 소재로 형성되되 동일 질감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어퍼 바디(10)는 높이가 낮은 원통 또는 링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어퍼 바디(10)의 일단에는 주둥이(spout)가 돌출 형성되어 상기 바디(10) 내부의 물을 따를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어퍼 바디(10)의 내측면에는 상기 뚜껑(70)이 안착되는 뚜껑 장착부(31)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뚜껑 장착부(31)는 상기 뚜껑(70)의 둘레를 하방에서 지지하도록 단차지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주둥이(31)의 반대방향에는 손잡이(40)가 장착될 수 있다. 상기 손잡이(40)는 상기 어퍼 바디(10)의 일측에서 외측으로 연장되는 연장부(41)와 상기 연장부(41)의 단부에서 하방으로 절곡되는 그립부(42)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연장부(41)의 상면에는 조작부(411)와 표시부(412)가 더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전기 주전자(1)의 개구된 상면 즉, 상기 어퍼 바디(10)의 상면은 뚜껑(70)에 의해 개폐될 수 있다. 상기 뚜껑(70)은 닫힌 상태에서 상기 전기 주전자(1)의 상면을 형성하게 되며, 상기 어퍼 바디(10)의 둘레와 접하여 상기 전기 주전자(1) 내부를 기밀시킬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뚜껑(70)을 닫은 상태에서 상기 전기 주전자(1)를 기울이게 되면 상기 뚜껑(70)을 통과하여 상기 주둥이(31)로 물이 배출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뚜껑(70)은 전체적으로, 어퍼 케이스(72)와 로어 케이스(73), 뚜껑 손잡이(71) 및 패킹(74)에 의해서 외관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뚜껑(70)은 상기 뚜껑 손잡이(71)의 조작에 의해 상기 패킹(74)이 선택적으로 돌출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상기 뚜껑 손잡이(71) 조작에 의한 상기 패킹(74)의 가압 밀착 구조에 의해, 상기 뚜껑(70)이 상기 바디(10)에 선택적으로 구속되도록 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 뚜껑(70)의 구조에 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살펴보기로 한다.
도 13은 상기 뚜껑을 하방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14는 상기 뚜껑의 절개 사시도이다.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뚜껑(70)은 상기 전기 주전자(1)의 내부 단면과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뚜껑(70)은 상부 외관을 형성하는 어퍼 케이스(72)와 하부 외관을 형성하는 로어 케이스(73)의 결합에 의해 외형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어퍼 케이스(72)는 상기 뚜껑(70)의 상부 외관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어퍼 케이스(72)는 원형의 상면(721)과 상기 상면(721)의 둘레에서 하방으로 연장되는 둘레면(722)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둘레면은 하방으로 연장되어 상기 어퍼 케이스(72)와 로어 케이스(73) 사이에 아래에서 설명할 어퍼 가이드(76)와 로어 가이드(77)가 수용되는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상면(721)의 중앙에는 하방으로 돌출되는 손잡이 안착부(723)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손잡이 안착부(723)는 상기 뚜껑 손잡이(71)가 안착되도록 함몰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어퍼 케이스(72)의 중앙에는 뚜껑 손잡이(71)가 장착될 수 있다. 상기 뚜껑 손잡이(71)는 상기 손잡이 안착부(723)에 삽입 장착되며, 상기 손잡이 안착부(723) 중앙의 개구를 통해 상기 어퍼 케이스(72)의 내부 중앙에 배치되는 어퍼 가이드(76)가 노출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뚜껑 손잡이(71)의 중앙에는 체결 홀(711)이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어퍼 케이스(72)의 중앙을 관통하는 체결부재(712)가 상기 체결 홀(711)에 체결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체결부재(712)는 어퍼 가이드(76)를 관통하여 상기 뚜껑 손잡이(71)와 결합된다. 그리고, 상기 뚜껑 손잡이(71)의 하면에는 상방으로 함몰된 뚜껑 고정부(712)가 형성되고, 상기 어퍼 가이드(76)의 상면에는 상기 뚜껑 고정부(712)에 삽입되는 뚜껑 고정 돌기(764)가 돌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뚜껑 손잡이(71)의 회전 조작시 상기 어퍼 가이드(76)와 함께 회전될 수 있다.
상기 뚜껑 손잡이(71)의 하단에는 실링부재(713)가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뚜껑 손잡이(71)의 외측과 상기 손잡이 안착부(723) 사이를 기밀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실링부재(713)는 상기 뚜껑 손잡이(71)와 함께 회전될 수 있으며, 상기 손잡이 안착부(723)의 내측면과 접하면서 회전될 수 있다. 상기 실링부재(713)는 상기 손잡이 안착부와의 사이 틈새를 메우는 동시에 상기 뚜껑 손잡이(71)의 회전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으며, 이를 위해 베어링 또는 내 마모성 소재를 포함하도록 구성되 수도 있다. 따라서, 상기 실링부재(713)는 마찰 방지부재라 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어퍼 케이스(72)의 둘레면 일측에는 상기 둘레면(722)을 관통하는 출수부(722a)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출수부(722a)는 상기 전기 주전자(1) 내부의 물을 따를 때 상기 뚜껑(70)의 출구가 되는 부분으로 상기 주둥이(31)와 대응하는 위치에 정렬되도록 장착될 수 있다. 상기 출수부(722a)는 도시된 것과 같이 그릴과 같은 형상으로 형성되거나 다수의 홀들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출수부(722a)의 내측에는 출수 공간(724)이 형성되며, 상기 출수 공간(724)은 상기 로어 케이스(73)에 관통 형성되는 입수부(731)와 연통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입수부(731)로 유입되는 물은 상기 출수 공간(724)을 지나 상기 출수부(722a)로 배출될 수 있다. 즉, 상기 전기 주전자(1) 내부의 물은 상기 뚜껑(70)을 통과한 후 상기 주둥이(31)를 통해 따를 수 있다.
한편, 상기 입수부(731)에는 필터링 부재(75)가 장착될 수 있다. 상기 필터링 부재(75)는 상기 입수부(731)를 차폐하여 상기 입수부(731)를 향하는 물의 이물질이 걸러지도록 할 수 있다. 상기 필터링 부재(75)는 중앙부가 개구된 프레임(751)과 상기 개구를 차폐하는 필터(752)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필터(752)는 일 예로 메쉬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필터링 부재(75)는 상기 입수부(731)에 탈착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프레임(751)의 양측에 프레임 돌기(753)가 돌출되고, 상기 입수부(731)의 내측면에는 상기 프레임 돌기(753)가 슬라이드 인 삽입되는 상기 필터 가이드 홈(732)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필터링 부재(75)가 필요하지 않을 때에는 상기 필터링 부재(75)를 상기 손잡이 뚜껑(70)으로부터 분리함으로써 물의 배출을 보다 원활하게 할 수도 있다.
상기 어퍼 케이스(72)의 둘레면(722) 하단에는 상기 패킹(74)이 장착되는 어퍼 홈(726)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어퍼 홈(726)은 상기 패킹(74)의 상단을 형성하는 상단 고정부(743)가 삽입될 수 있다.
상기 로어 케이스(73)는 상기 어퍼 케이스(72)의 하방에 구비되며, 원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로어 케이스(73)는 상기 뚜껑(70)의 하면을 형성할 수 있으며, 상기 뚜껑(70)의 중앙에는 상방으로 돌출된 로어 보스(734)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로어 보스(734)에는 상기 로어 케이스(73)에 고정 장착되는 로어 가이드(77)가 장착될 수 있다.
이를 위해서 상기 로어 가이드(77)의 중앙에는 상기 로어 보스(734)가 수용되는 로어 고정부(771)가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로어 고정부(771)의 상면에는 스크류와 같은 체결부재(739)가 체결되어 상기 로어 보스(734)에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로어 가이드(77)는 상기 로어 케이스(73)에 고정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로어 보스(734)의 일측에는 상방으로 연장되는 로어 고정부(733)가 더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로어 고정부(733)는 상기 로어 가이드(77) 하면에 형성된 로어 고정홈(772)의 내측에 삽입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로어 가이드(77)가 상기 로어 케이스(73)에 결합된 상태에서 서로 회전되지 않도록 견고한 결합 구조를 가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로어 케이스(73)의 둘레에는 상기 패킹(74)의 하단이 고정되는 로어 홈(732)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로어 홈(732)은 상기 패킹(74)의 하단 고정부(745)가 삽입되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어퍼 홈(726)의 하방에 위치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로어 케이스(73)가 상하 이동하는 경우 상기 어퍼 홈(726)과 로어 홈(732)의 간격 또한 상하 방향으로 조절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어퍼 홈(726)과 로어 홈(732)의 상하 간격이 조절되면, 상기 어퍼 홈(726)과 로어 홈(732)에 상단과 하단이 고정된 상기 패킹(74)은 압축 변형될 수 있다. 상기 패킹(74)의 변형에 따라 상기 패킹(74)과 상기 바디(10) 사이의 밀착 고정 여부가 결정될 수 있으며, 상기 뚜껑(70)의 구속 또한 결정될 수 있다.
상기 패킹(74)은 링 형상으로 형성되며, 탄성 변형 가능한 고무 또는 실리콘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패킹(74)의 구체적인 구조는 전술한 실시 예와 사실상 동일하게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패킹(74)은 중간부(741)를 기준으로 패킹 상부(742)와 패킹 하부(744)가 형성되며, 상기 패킹 상부(742)에는 상기 상단 고정부(743)가 형성되고, 패킹 하부(744)에는 상기 하단 고정부(745)가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중간부(741)의 내측면에는 패킹 홈(746)이 더 형성되어 상기 패킹(74)의 변형이 효과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상기 패킹(74)의 압축 변형을 위해서 상기 로어 케이스(73)는 승강될 수 있으며, 상기 로어 케이스(73)의 승강을 위해서 상기 어퍼 케이스(72)와 로어 케이스(73) 사이의 공간에는 어퍼 가이드(76)와 로어 가이드(77)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어퍼 가이드(76)는 상기 어퍼 케이스(72)의 중앙에 배치되며, 상기 뚜껑 손잡이(71)와 결합되어 상기 뚜껑 손잡이(71)의 회전 조작시 상기 어퍼 케이스(72)는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뚜껑 손잡이(71)와 함께 회전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어퍼 가이드(76)의 중앙에는 어퍼 보스(761)가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어퍼 보스(761)는 상기 어퍼 케이스(72)의 중앙에 형성된 케이스 보스(725) 내측에 삽입될 수 있다.
상기 어퍼 보스(761)는 상기 케이스 보스(725)의 내측에 위치되며, 상기 어퍼 보스(761)의 상면은 상기 뚜껑 손잡이(71)의 하면과 상기 체결부재(712)에 의해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어퍼 보스(761)의 하단에는 외측으로 연장되는 어퍼 지지부(765)가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어퍼 지지부(765)는 상기 손잡이 안착부(723)를 하방에서 지지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손잡이 안착부(723)에는 지지 돌기가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지지 돌기(766)는 상기 손잡이 안착부(723)의 하면을 지지하여 상기 어퍼 가이드(76)의 회전시 마찰을 최소화하고 안정적으로 회전되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어퍼 가이드(76)의 둘레에는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사이드 월(762)이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사이드 월(762)의 내측은 상기 로어 가이드(77)가 하방에서 삽입될 수 있도록 하방으로 개구된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사이드 월(762)의 하단에는 가이드면(763)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면(763)은 상기 어퍼 가이드(76)의 회전시 상기 로어 가이드(77)의 승강을 위한 것으로, 상기 사이드 월(762)의 하단을 따라서 일정 구간에 걸쳐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가이드면(763)은 상기 사이드 월(762)을 따라 연장되는 방향으로 갈수록 높이가 높아지거나 낮아지도록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가이드면(763)의 일단은 가장 낮은 높이를 가지고, 상기 가이드면(763)의 타단은 가장 높은 높이를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면(763)은 서로 마주보는 양측에 위치되어 상기 로어 가이드(77)의 가이드 돌기(774)가 보다 안정적인 상태로 접촉되고 상기 가이드면(763)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로어 가이드(77)는 상기 로어 케이스(73)의 중앙에 결합될 수 있으며, 상기 로어 가이드(77)의 바닥면에서 상기 어퍼 가이드(76)의 개구된 하면을 통해 삽입되는 로어 고정부(771)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로어 고정부(771)는 상기 가이드면(763)보다 더 상방까지 연장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로어 고정부(771)의 상단에는 가이드 돌기(774)가 외측으로 돌출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가이드 돌기(774)의 하면은 상기 가이드면(763)의 상면에 안착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사용자가 상기 뚜껑 손잡이(71)를 잡고 회전시키게 되면, 상기 어퍼 케이스(72)는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어퍼 가이드(76)가 회전하게 되고, 상기 가이드면(763)과 상기 가이드 돌기(774)와 접촉에 의해 상기 로어 가이드(77) 및 로어 가이드(77)가 결합된 상기 로어 케이스(73)가 승강하게 된다. 상기 로어 케이스(73)의 승강에 의해 상기 패킹(74)은 상기 뚜껑(70)의 둘레에서 돌출되어 상기 바디(10)에 가압 밀착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와 같은 구조를 가지는 전기 주전자(1)의 뚜껑(70)이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구속 및 구속 해제되는 동작에 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살펴보기로 한다.
도 15는 상기 뚜껑이 구속 해제된 상태의 도 11의 XIV- XIV' 단면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뚜껑(70)을 상기 바디(10)로부터 자유롭게 탈착 가능하기 위해서는 도 18과 같이 뚜껑 손잡이(71)를 회전 조작하여 상기 로어 케이스(73)가 하방에 위치되도록 할 수 잇다.
상기 로어 케이스(73)가 가장 하방에 위치된 상태에서는 상기 패킹(74)의 상단 고정부(743)와 하단 고정부(745) 사이의 간격이 가장 큰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는 상기 패킹(74)에 상하 방향으로 압력이 가해지지 않게 되며, 상기 패킹(74)은 외측 방향으로 돌출되지 않은 상태가 될 수 있다. 즉, 상기 패킹(74)의 외측단은 상기 어퍼 케이스(72)의 외측단보다 더 내측에 위치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패킹(74)은 상기 바디(10)의 내측면과 단순히 접촉한 상태이거나 상기 바디(10)의 내측면과 이격된 상태가 될 수 있으며, 상기 뚜껑(70)은 상기 바디(10)에 구속되지 않고상기 바디(10)로부터 용이하게 분리 가능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패킹(74)은 외부에서 가압되지 않는 한 자체의 탄성에 의해 상기 상단 구속부(743)와 상단 구속부(743)가 간격을 유지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로어 케이스(73) 또한 하방에 위치된 상태를 유지하게 되며, 상기 뚜껑(70)이 바디(10)에 구속되지 않은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뚜껑(70)을 상기 바디(10)에 구속시키기 위해서는 상기 뚜껑(70)을 상기 바디(10)에 장착한 상태에서 사용자는 상기 뚜껑 손잡이(71)를 회전시키게 된다. 상기 뚜껑 손잡이(71)가 회전되면, 상기 어퍼 케이스(72)는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어퍼 가이드(76)가 상기 뚜껑 손잡이(71)와 함께 회전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어퍼 가이드(76)의 가이드면(763) 이동에 의해 상기 가이드면(763)과 접하는 상기 가이드 돌기(774)는 상대적으로 상기 가이드면(763)을 따라 상방으로 이동될 수 있다. 즉, 상기 어퍼 가이드(76)가 회전되는 양에 따라 상기 가이드 돌기(774)는 점차 상방으로 이동되며, 상기 로어 가이드(77) 및 상기 로어 가이드(77)가 결합된 상기 로어 케이스(73)가 상방으로 이동된다.
상기 로어 케이스(73)가 상방으로 이동됨에 따라 상기 패킹(74)의 상단 구속부(743)와 상단 구속부(743)는 사이 간격이 점차 좁아지게 된다. 그리고, 상기 패킹(74)은 상하 방향에서 가압되어 변형될 수 있으며, 상기 중간부(741)가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탄성 변형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로어 케이스(73)의 상방향 이동됨에 따라 상기 패킹(74)은 외측 방향으로 돌출되는 형상으로 탄성 변형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패킹(74)이 외측으로 돌출됨에 따라 상기 바디(10)의 내측면과 가압 밀착된다.
도 16은 상기 뚜껑이 구속된 상태의 도 11의 XIV- XIV' 단면도이다.
도시된 것과 같이, 사용자가 상기 뚜껑 손잡이(71)를 완전히 회전시키게 되면, 상기 어퍼 가이드(76)의 회전에 의해 상기 가이드 돌기(774)는 상기 가이드면의 가장 높은 위치까지 상승하게 된다. 즉, 상기 로어 가이드(77) 및 상기 로어 가이드(77)와 결합된 상기 로어 케이스(73)는 최대 높이로 상승하게 된다.
상기 로어 케이스(73)가 최대 높이로 상승된 상태에서는 상기 패킹(74)의 상단 구속부(743)와 상단 구속부(743) 사이의 간격이 최소가 되며, 상기 패킹(74)은 상하 방향의 압력에 의해 중간부(741)가 가장 외측으로 돌출될 수 있다.
상기 패킹(74)은 탄성 변형에 의해 상기 바디(10)의 내측면을 가압하면서 밀착될 수 있으며, 상기 뚜껑(70)은 상기 바디(10)의 내측에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상기 뚜껑(70)은 상기 바디(10)에 구속되어 상기 뚜껑(70)은 임의 개방하기 불가능한 상태가 된다.
상기 뚜껑(70)의 개방을 위해서는 다시 상기 뚜껑 손잡이(71)를 역방향으로 회전 조작하여야 하며, 상기 어퍼 가이드(76)의 역방향 회전에 의해 상기 로어 가이드(77) 및 상기 로어 케이스(73)는 하방으로 이동하게 되고, 상기 패킹(74) 또한 도 15와 같은 상태로 복귀하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전기 주전자(1)는 전술한 실시 예들 외에도 다양한 다른 실시 예가 가능할 것이다. 본 발명의 제 3 실시 예는 상기 뚜껑을 통해 공기의 출입이 가능한 구조를 가기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 3 실시 예는 상기 로어 파트의 일부를 제외하고는 전술한 제 1 실시예의 구조와 완전히 동일하므로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고 동일한 도면부호를 사용하여 표시하기로 한다.
도 17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 예에 의한 전기 주전자의 뚜껑의 단면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뚜껑(20)은 상기 바디(10)의 개구된 상면을 차폐하도록 구성된다. 이때, 상기 어퍼 파트(22)의 단부는 상기 바디(10) 상단의 뚜껑 장착부(114)에 안착되어 상기 바디(10)의 개구된 상면을 차폐하게 되고, 상기 패킹(25)은 상기 어퍼 파트(22)의 하방에서 상기 바디(10)의 내측면과 접하여 상기 바디(10)의 내부를 기밀시킬 수 있다.
이때, 상기 뚜껑(20)이 구속 상태로 조작된 상황이라면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패킹(25)은 탄성 변형에 의해 상기 바디(10)의 내측면에 가압 밀착될 수 있으며, 따라사 상방으로의 공기 유동을 완전히 차폐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상기 바디(10)의 내부의 물을 붇기 위해서 사용자가 상기 바디(10)를 기울이게 되면, 일반적인 상황에서는 상기 주둥이(13)를 통해서 물을 따를 수 있지만, 상기 주둥이(13) 물이 배출되면서 상기 바디(10)의 내부가 대기압보다 낮은 압력상태가 되어 상기 바디(10) 내부의 물이 원활하게 배출되지 않을 수 있다. 특히, 상기 필터부재(131)가 메쉬형상으로 형성되는 경우 물방울에 의해서 상기 필터부재(131)가 막힐 수도 있으며 상기 바디(10)의 내부가 저압이 되는 경우 한층 더 상기 필터부재(131)를 통과하여 물이 배출되기 어려운 상태가 된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의 방지를 위해서는 상기 로어 파트(24)에 에어 홀(248)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에어 홀(248)은 상기 로어 파트(24)를 관통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에어 홀(248)은 상기 로어 파트(24)의 중앙에 형성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상기 뚜껑 손잡이(21)와 인접한 하방의 영역에 위치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바디(10) 내부의 공기는 상기 에어 홀(248)을 통해 상기 뚜껑(20)의 내부로 유입 가능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뚜껑(20)의 내부에서 상기 손잡이 안착부(221)는 상기 뚜껑 손잡이(21)의 하면과 상기 중간부재(23)의 어퍼 파트 지지부(233)와 각각 이격된 틈새를 형성할 수 있으며, 따라서 상기 뚜껑(20)의 내부를 통해 유입된 공기가 상기 손잡이 안착부(221)를 지나서 상기 뚜껑(20)의 외부까지 유동될 수 있다.
즉, 상기 바디(10) 내부의 공기는 상기 뚜껑(20)을 통과하여 외부로 배출될 수 있고, 상기 뚜껑(20)을 통해 외부의 공기가 상기 바디(10) 내부로 유입될 수도 있다. 따라서 상기 바디(10)의 내부는 항상 대기압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되며, 상기 전기 주전자(1)의 물을 따르게 될 때 상기 바디(10) 내부의 물이 원활하게 상기 주둥이(13)를 통해 배출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전기 주전자(1)는 전술한 실시 예들 외에도 다양한 다른 실시 예가 가능할 것이다. 본 발명의 제 4 실시 예는 상기 뚜껑을 통해 공기의 출입이 가능한 구조를 가기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 4 실시 예는 상기 로어 파트의 일부를 제외하고는 전술한 제 1 실시예의 구조와 완전히 동일하므로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고 동일한 도면부호를 사용하여 표시하기로 한다.
도 18은 본 발명의 제 4 실시 예에 의한 전기 주전자의 뚜껑의 단면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뚜껑(20)은 상기 바디의 개구된 상면을 차폐하도록 구성된다. 이때, 상기 어퍼 파트(22)의 단부는 상기 바디(10) 상단의 뚜껑 장착부(114)에 안착되어 상기 바디(10)의 개구된 상면을 차폐하게 되고, 상기 패킹(25)은 상기 어퍼 파트(22)의 하방에서 상기 바디(10)의 내측면과 접하여 상기 바디(10)의 내부를 기밀시킬 수 있다.
이때, 상기 뚜껑(20)이 구속 상태로 조작된 상황이라면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패킹(25)은 탄성 변형에 의해 상기 바디(10)의 내측면에 가압 밀착될 수 있으며, 따라사 상방으로의 공기 유동을 완전히 차폐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상기 바디(10)의 내부의 물을 붇기 위해서 사용자가 상기 바디(10)를 기울이게 되면, 일반적인 상황에서는 상기 주둥이(13)를 통해서 물을 따를 수 있지만, 물이 배출되면서 상기 바디(10)의 내부가 대기압보다 낮은 압력상태가 되어 상기 바디(10) 내부의 물이 원활하게 배출되지 않을 수 있다. 특히, 상기 필터부재(131)가 메쉬형상으로 형성되는 경우 물방울에 의해서 상기 필터부재(131)가 막힐 수도 있으며 상기 바디(10)의 내부가 저압이 되는 경우 한층 더 상기 필터부재(131)를 통과하여 물이 배출되기 어려운 상태가 된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의 방지를 위해서는 상기 로어 파트(24)에 에어 홀(248)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에어 홀(248)은 상기 로어 파트(24)를 관통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에어 홀(248)은 상기 로어 파트(24)의 중앙에 형성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상기 뚜껑 손잡이(21)와 인접한 하방의 영역에 위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에어 홀(248)의 상방에는 체크 밸브(249)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체크 밸브(249)는 상기 에어 홀(248)의 상방에 구비되며, 볼 밸브(249a)와, 상기 볼 밸브(249a)가 수용되는 볼 수용부(249b)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볼 밸브(249a)는 상기 에어 홀(248)을 차폐할 수 있는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에어 홀(248)의 상단에는 경사 또는 라운드지게 형성되어 상기 볼 밸브(249a)가 안착되는 밸브 안착부(248a)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볼 수용부(249b)는 상기 로어 파트(24)의 상면에서 돌출 형성되며, 내부에 상기 볼 밸브(249a)가 수용될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볼 수용부(249b)는 상기 볼 밸브(249a)의 직경보다 더 크게 형성되어 상기 볼 밸브(249a)가 내부에서 이동 가능하게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볼 수용부(249b)의 상단에는 수용부 홀(249c)이 형성되어 상기 볼 수용부(249b) 내측과 외부가 연통되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바디(10) 내부의 공기는 상기 체크 밸브(249)가 개방된 경우 상기 에어 홀(248)을 통해 상기 뚜껑(20)의 내부로 유입 가능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뚜껑(20)의 내부에서 상기 손잡이 안착부(221)는 상기 뚜껑 손잡이(21)의 하면과 상기 중간부재(23)의 어퍼 파트 지지부(233)와 각각 이격된 틈새를 형성할 수 있으며, 따라서 상기 뚜껑(20)의 내부를 통해 유입된 공기가 상기 손잡이 안착부(221)를 지나서 상기 뚜껑(20)의 외부까지 유동될 수 있다.
사용자가 상기 전기 주전자(1)의 물을 따르기 위해서 상기 전기 주전자(1)를 기울이게 되면, 상기 볼 밸브(249a)는 상기 에어 홀(248)을 개방하도록 이동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바디(10) 내부의 공기는 상기 체크 밸브(249)의 개방에 의해 상기 뚜껑(20)을 통과하여 외부로 배출될 수 있고, 상기 뚜껑(20)을 통해 외부의 공기가 상기 바디(10) 내부로 유입될 수도 있다. 따라서 상기 바디(10)의 내부는 항상 대기압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되며, 상기 전기 주전자(1)의 물을 따르게 될 때 상기 바디(10) 내부의 물이 원활하게 상기 주둥이(13)를 통해 배출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전기 주전자(1)를 다시 바닥에 놓거나 세우게 되면 상기 볼 밸브(249a)는 상기 에어 홀(248)을 차폐하게 되어 상기 바디(10) 내부로의 공기 유입을 막게 된다. 또한, 상기 바디(10)에서 물이 끓게 되어 상기 바디(10) 내부가 고압이 되는 경우에도 상기 볼 밸브(249a)가 개방되어 상기 바디(10) 내부로 외부 공기가 유입되어 상기 바디(10) 내부가 대기압 상태가 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전기 주전자(1)는 전술한 실시 예들 외에도 다양한 다른 실시 예가 가능할 것이다. 본 발명의 제 5 실시 예는 상기 뚜껑을 통해 공기의 출입이 가능한 구조를 가기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 5 실시 예는 상기 패킹의 일부를 제외하고는 전술한 제 1 실시예의 구조와 완전히 동일하므로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고 동일한 도면부호를 사용하여 표시하기로 한다.
도 19는 본 발명의 제 5 실시 예에 의한 전기 주전자의 뚜껑의 단면도이다. 그리고, 도 20은 상기 뚜껑의 일 구성인 패킹의 사시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뚜껑(20)은 상기 바디(10)의 개구된 상면을 차폐하도록 구성된다. 이때, 상기 어퍼 파트(22)의 단부는 상기 바디(10) 상단의 뚜껑 장착부(114)에 안착되어 상기 바디(10)의 개구된 상면을 차폐하게 되고, 상기 패킹(25)은 상기 어퍼 파트(22)의 하방에서 상기 바디(10)의 내측면과 접하여 상기 바디(10)의 내부를 기밀시킬 수 있다.
이때, 상기 뚜껑(20)이 구속 상태로 조작된 상황이라면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패킹(25)은 탄성 변형에 의해 상기 바디(10)의 내측면에 가압 밀착될 수 있으며, 따라사 상방으로의 공기 유동을 완전히 차폐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상기 바디(10)의 내부의 물을 붇기 위해서 사용자가 상기 바디(10)를 기울이게 되면, 일반적인 상황에서는 상기 주둥이(13)를 통해서 물을 따를 수 있지만, 물이 배출되면서 상기 바디(10)의 내부가 대기압보다 낮은 압력상태가 되어 상기 바디(10) 내부의 물이 원활하게 배출되지 않을 수 있다. 특히, 상기 필터부재(131)가 메쉬형상으로 형성되는 경우 물방울에 의해서 상기 필터부재(131)가 막힐 수도 있으며 상기 바디(10)의 내부가 저압이 되는 경우 한층 더 상기 필터부재(131)를 통과하여 물이 배출되기 어려운 상태가 된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의 방지를 위해서 상기 패킹(25)에 공기의 유동이 가능한 에어 그루브(257)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에어 그루브(257)는 상기 패킹(25)의 외측면에 함몰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에어 그루브(257)는 상하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으며, 상기 상부 패킹(25)의 상단에서 하부 패킹(25)의 하단까지 연장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에어 그루브(257)는 다수개가 일정 간격으로 배치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에어 그루브(257)는 서로 마주보는 방향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뚜껑(20)이 상기 바디(10)에 장착되어 상기 패킹(25)의 외측면이 상기 바디(10)와 접하는 상태에서 상기 에어 그루브(257)는 상기 바디(10)의 내측면과 이격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특히, 상기 패킹(25)이 탄성 변형되어 상기 바디(10)의 내측에 가압 밀착되는 경우에도 상기 패킹(25)은 상하 방향으로 탄성 변형되어 상기 에어 그루브(257)와 상기 바디(10)의 사이의 간격은 떨어진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상기 바디(10) 내부는 상기 에어 그루브(257)를 통해 상기 뚜껑(20)의 외부와 연통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바디(10)와 상기 뚜껑(20)의 외부는 서로 공기가 유동될 수 있게 되어 상기 바디(10)의 내부는 항상 대기압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상기 전기 주전자(1)의 물을 따르게 될 때 상기 바디(10) 내부의 물이 원활하게 상기 주둥이(13)를 통해 배출될 수 있게 된다.

Claims (20)

  1. 상면을 형성하는 어퍼 파트;
    상기 어퍼 파트의 하방에 구비되며, 하면을 형성하는 로어 파트;
    상기 어퍼 파트의 외측 둘레와 상기 로어 파트의 외측 둘레를 연결하며, 전기 주전자의 가열 공간 내측면에 밀착되는 패킹;
    상기 어퍼 파트와 로어 파트의 사이 공간에 배치되는 중간부재; 및
    상기 어퍼 파트의 상면을 관통하여 상기 중간부재와 결합되며, 상기 중간부재와 함께 회전되는 손잡이;를 포함하며,
    상기 중간부재는 상기 로어 파트와 접하여 상기 중간부재의 회전에 따라 상기 로어 파트를 승강시키는 가이드부를 포함하며,
    상기 로어 파트의 상승시 패킹은 상기 가열 공간의 내측면을 향하여 가압 밀착되도록 탄성 변형되는 전기 주전자용 뚜껑.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어퍼 파트의 외측 둘레에는 상기 패킹의 상단이 고정되는 어퍼 홈이 형성되고,
    상기 로어 파트의 외측 둘레에는 상기 패킹의 하단이 고정되는 로어 홈이 형성되며,
    상기 어퍼 홈과 로어 홈은 상하 배치되며, 모두 외측을 향하여 개구되는 전기 주전자용 뚜껑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어퍼 파트의 하면에는 상기 어퍼 파트의 둘레를 따라 형성되며, 하방으로 연장되는 어퍼 테두리가 형성되며,
    상기 어퍼 홈은 상기 어퍼 테두리의 둘레에 형성되는 전기 주전자용 뚜껑.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어퍼 홈은 상기 어퍼 파트의 외측단보다 더 내측에 위치되는 전기 주전자용 뚜껑.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어퍼 파트의 중앙에는 상기 중간부재의 중앙부가 노출되는 어퍼 홀이 형성되며,
    상기 손잡이는 상기 어퍼 홀을 차폐하며, 상기 어퍼 파트와 동심을 가지도록 결합되는 전기 주전자용 뚜껑.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어퍼 파트의 중앙에는 상기 어퍼 홀의 둘레를 따라 함몰되어 상기 손잡이의 하단을 수용하는 손잡이 안착부가 형성되며,
    상기 손잡이 함몰부에는 상방으로 돌출되어 상기 손잡이의 하면을 지지하는 지지돌기가 형성되는 전기 주전자용 뚜껑.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중간부재의 둘레를 따라서 연장되며, 일단에서 타단까지 상하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가이드면을 포함하며,
    상기 로어 파트에는 상기 가이드면의 상면과 접촉되며, 상기 중간부재의 회전시 상기 가이드면과 접촉 상태로 상기 가이드면을 따라서 이동되는 가이드 돌기를 포함하는 전기 주전자용 뚜껑.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중간부재의 서로 반대 방향에 각각 형성되는 전기 주전자용 뚜껑.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중간부재의 상단 둘레를 따라 외측으로 돌출되는 상단 테두리를 더 포함하며,
    상기 가이드 면은 상기 상단 테두리의 하방에서 외측으로 돌출되며, 상기 가이드면의 일단은 상기 가이드면의 타단보다 더 높은 위치에 위치는 전기 주전자용 뚜껑.
  10.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면에는,
    상기 가이드면의 하단에서 상방으로 돌출되며, 상기 로어 파트가 하방으로 이동된 상태에서 위치를 유지하도록 상기 가이드 돌기를 구속하는 제 1 걸림돌기가 형성되며,
    상기 가이드면의 하단에서 상방으로 돌출되며, 상기 로어 파트가 상방으로 이동된 상태에서 위치를 유지하도록 상기 가이드 돌기를 구속하는 제 2 걸림돌기가 형성되는 전기 주전자용 뚜껑.
  11.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면의 양측에는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는 제 1 사이드부와, 제 2 사이드부가 형성되며,
    상기 제 1 사이드부는 상기 가이드면의 하단 사이는 이격되어 상기 구속 돌기가 통과되는 통과부가 형성되며,
    상기 제 2 사이드부는 상기 가이드면의 상단과 접하도록 형성되는 전기 주전자용 뚜껑.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로어 파트의 둘레에는 상기 로어 파트의 하면과 수직하게 상방으로 연장되는 다수의 수직 가이드가 형성되고,
    상기 다수의 수직 가이드와 대응하는 상기 어퍼 파트의 내측면에는 상기 수직 가이드와 결합되는 가이드 수용부가 형성되며,
    상기 로어 파트의 상하 이동시 상기 수직 가이드는 상기 가이드 수용부를 따라 상하 이동되는 전기 주전자용 뚜껑.
  1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패킹은,
    상기 패킹의 둘레를 따라 형성되는 중간부;
    상기 중간부를 기준으로 상방으로 연장되며, 연장된 단부가 상기 어퍼 파트의 둘레에 고정되는 패킹 상부;
    상기 중간부를 기준으로 하방으로 연장되며, 연장된 단부가 상기 로어 파트의 둘레에 고정되는 패킹 하부;를 포함하는 전기 주전자용 뚜껑.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패킹의 내측면에는 상기 중간부와 대응하는 위치를 따라서 함몰되는 패킹 홈이 형성되는 전기 주전자용 뚜껑.
  15.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패킹 상부는 상방으로 연장될수록 내측을 향하도록 경사 또는 라운드지게 형성되며,
    상기 패킹 하부는 하방으로 연장될수록 내측을 향하도록 경사 또는 라운드지게 형성되는 전기 주전자용 뚜껑.
  16.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중간부는 상기 로어 파트가 가장 하방에 위치된 상태에서 상기 어퍼 파트보다 더 내측에 위치되는 전기 주전자용 뚜껑.
  17.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중간부는 상기 로어 파트가 가장 상방에 위치된 상태에서 상기 어퍼 파트보다 더 외측으로 돌출되는 전기 주전자용 뚜껑.
  1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패킹의 외측면에는 내측으로 함몰되며, 상기 패킹의 상단에서 하단까지 연장되는 에어 그루브가 형성되는 전기 주전자용 뚜껑.
  1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로어 파트의 중앙에는 상기 로어 파트 하방의 공기가 상기 뚜껑의 외부로 배출되도록 상기 로어 파트를 관통하는 에어 홀이 형성되는 전기 주전자용 뚜껑.
  20. 상면이 개구되며, 내부에 가열 공간이 형성되는 바디;
    상기 가열 공간의 바닥에 배치되며, 상기 가열 공간을 가열하는 히팅 모듈;
    상기 바디의 개구된 상면을 차폐하는 뚜껑을 포함하며,
    상기 뚜껑은,
    상면을 형성하는 어퍼 파트;
    상기 어퍼 파트의 하방에 구비되며, 하면을 형성하는 로어 파트;
    상기 어퍼 파트의 외측 둘레와 상기 로어 파트의 외측 둘레를 연결하며, 상기 가열 공간 내측면에 밀착되는 패킹;
    상기 어퍼 파트와 로어 파트의 사이 공간에 배치되는 중간부재; 및
    상기 어퍼 파트의 상면을 관통하여 상기 중간부재와 결합되며, 상기 중간부재와 함께 회전되는 손잡이;를 포함하며,
    상기 중간부재는 상기 로어 파트와 접하여 상기 중간부재의 회전에 따라 상기 로어 파트를 승강시키는 가이드부를 포함하며,
    상기 로어 파트의 상승시 패킹은 상기 가열 공간의 내측면을 향하여 가압 밀착되도록 탄성 변형되는 전기 주전자.
KR1020200034363A 2020-03-20 2020-03-20 전기 주전자 및 전기 주전자용 뚜껑 KR20210117737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34363A KR20210117737A (ko) 2020-03-20 2020-03-20 전기 주전자 및 전기 주전자용 뚜껑
PCT/KR2021/003174 WO2021187838A1 (ko) 2020-03-20 2021-03-15 전기 주전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34363A KR20210117737A (ko) 2020-03-20 2020-03-20 전기 주전자 및 전기 주전자용 뚜껑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17737A true KR20210117737A (ko) 2021-09-29

Family

ID=777714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34363A KR20210117737A (ko) 2020-03-20 2020-03-20 전기 주전자 및 전기 주전자용 뚜껑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210117737A (ko)
WO (1) WO2021187838A1 (ko)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815067B2 (en) * 2006-03-31 2010-10-19 Helen Of Troy Limited Container with sealable lid
KR20110134241A (ko) * 2010-06-08 2011-12-14 김채림 조리기능을 갖는 무선전기주전자
US9359114B2 (en) * 2013-03-22 2016-06-07 King's Flair Development Ltd. Detachable sealable lid, container comprising the same and sealing ring for use with the lid
KR20190001749A (ko) * 2017-06-28 2019-01-07 (주)네오플램 원형타입 밀폐용기 뚜껑
KR102055743B1 (ko) * 2018-02-14 2019-12-13 (주)네오플램 착탈 및 내용물 확인이 용이한 스마트씰 커버 및 이를 갖는 밀폐용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1187838A1 (ko) 2021-09-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7195780B2 (ja) 電気炊飯器
JP5373977B2 (ja) 閉鎖可能な注ぎ開口部を備えたティー・メーカー
US20170079472A1 (en) Kitchen Appliance and Method of Using Same
US20220061576A1 (en) Pressure cooking appliance with lid
KR101971284B1 (ko) 정수기
US9351606B2 (en) Kitchen appliance and method of assembling same
US7173225B2 (en) Induction heating pan
US6807899B2 (en) Electric cooking appliance having a tank associated with a pouring device
US20040112372A1 (en) Steam cooker having a reduced size
CA2889040C (en) Bucket for a mop
JP2007522399A (ja) 圧力容器の密閉器具
KR101664779B1 (ko) 진공흡착수단을 갖춘 용기
US20090158940A1 (en) Kitchen appliance for heating foodstuff
KR20210117737A (ko) 전기 주전자 및 전기 주전자용 뚜껑
GB2390013A (en) Seperable coffee maker
KR20170039330A (ko) 조리용기용 뚜껑
KR20190040177A (ko) 정수기
CN107456063B (zh) 烹饪杯及烹饪机
CN210354406U (zh) 一种通配式烹饪器具
KR20210112592A (ko) 전기 주전자
AU2013101377A4 (en) An infuser and an infusion-container lifting structure thereof
CN214259033U (zh) 盖体组件及具有其的烹饪器具
KR102573902B1 (ko) 전기 주전자
KR200338764Y1 (ko) 립스틱 용기
CN220442503U (zh) 烹饪器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