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15095A - 의료기구 카세트 - Google Patents

의료기구 카세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15095A
KR20210115095A KR1020200030061A KR20200030061A KR20210115095A KR 20210115095 A KR20210115095 A KR 20210115095A KR 1020200030061 A KR1020200030061 A KR 1020200030061A KR 20200030061 A KR20200030061 A KR 20200030061A KR 20210115095 A KR20210115095 A KR 2021011509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ver
case
case body
medical
medical instru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300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03405B1 (ko
Inventor
최인준
이형근
박동원
Original Assignee
(주)오성엠앤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오성엠앤디 filed Critical (주)오성엠앤디
Priority to KR10202000300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03405B1/ko
Publication of KR202101150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1509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034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0340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0Containers, covers, furniture or holders specially adapted for surgical or diagnostic appliances or instruments, e.g. sterile covers
    • A61B50/30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packaging, protecting, dispensing, collecting or disposing of surgical or diagnostic appliances or instruments
    • A61B50/33Tray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0Containers, covers, furniture or holders specially adapted for surgical or diagnostic appliances or instruments, e.g. sterile covers
    • A61B50/20Holders specially adapted for surgical or diagnostic appliances or instrum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9/00Dental auxiliary appliances
    • A61C19/02Protective casings, e.g. boxes for instruments; Bag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26Accessories or devices or components used for biocidal treatm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2/00Aspects relating to 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 A61L2202/10Apparatus features
    • A61L2202/18Aseptic stor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2/00Aspects relating to 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 A61L2202/20Targets to be treated
    • A61L2202/24Medical instruments, e.g. endoscopes, catheters, sharp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pidemi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Dentistry (AREA)
  • Endoscop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의료기구의 수납 및 거치가 가능한 의료기구 카세트를 개시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의료기구 카세트는: 의료기구의 수용을 위한 수납 공간을 갖는 케이스 본체; 및 상기 의료기구의 수납 및 인출을 위해 상기 케이스 본체를 개폐하는 케이스 커버를 포함하며: 상기 케이스 커버에 상기 의료기구의 거치가 가능하도록, 상기 케이스 커버는, 상기 케이스 본체를 개방한 채로 상기 케이스 본체에 전도 방지되게 설치 가능하다. 본 발명에 따른 의료기구 카세트에 의하면, 내부 수납 공간에 수용되어 있는 의료기구가 카세트 자체 보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수납 공간을 개폐하는 케이스 커버에 거치/배열될 수 있으므로, 술자가 필요한 의료기구를 쉽게 찾아서 집을 수 있고, 시술에 필요한 의료기구들이 서로 엉키거나 바닥으로 낙하하는 문제가 방지될 수 있으며, 의료기구를 집어 드는 과정에 손을 다치는 위험도 최소화 내지 방지될 수 있으므로, 시술에 소요되는 시간이 단축될 수 있다.

Description

의료기구 카세트{Cassette For Medical Instrument}
본 발명은 의료기구를 수용하는 의료기구 카세트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의료기구의 수납이 가능하며 상기 의료기구를 인출해서 케이스 커버(카세트 커버)에 거치 가능한 구조의 의료기구 카세트, 특히 의료기구 소독용 카세트에 관한 것이다.
의료기구 카세트(Cassette)는 의료기구의 수납/보관에 사용되는 케이스(Case)로서, 상기 의료기구 카세트에는 진료나 수술 기타 각종 시술 등과 같은 각종 의료행위(치과 의료행위를 포함한다)에 사용되는 기구, 즉 의료기구가 수납된다.
상기 의료기구 카세트에 수납된 의료기구는 필요시마다 인출되어서 소정의 진료나 시술 등을 위해 사용된다. 예를 들면, 의료기구가 올려지는 테이블(Table)이나 기구 다이 위에 위생포가 깔리고, 상기 의료기구 카세트에서 인출된 의료기구가 상기 위생포 위에 배열되며, 술자는 상기 위생포 위에 놓여진 의료기구 중에서 필요한 것을 선택해서 진료나 시술 등과 같은 의료행위를 진행한다.
상술한 의료기구는 반복해서 재사용되며, 상기 의료기구의 재사용에 의한 감염 방지를 위하여 상기 의료기구에 대한 살균/멸균 처리(소독 처리)가 필수적으로 진행되어야 한다.
예를 들면, 치과 진료에 사용된 치과용 의료기구는 멸균처리를 위해 초음파 세척기나 소독액이나 미스트 등을 이용한 세척기에 의해 소독되고, 상기 의료기구에 잔존하는 이물질은 브러쉬(Brush) 등에 의해 제거되며, 상기 의료기구는 건조과정을 거쳐서 재사용된다.
상기 의료기구 카세트는 상술한 의료기구의 소독 처리를 위한 케이스로 사용되기도 한다. 상기 의료기구의 소독 처리를 위하여 상기 의료기구 카세트는 상기 의료기구를 수용하는 수납공간을 가지며, 상기 수납공간으로 소독 물질이 투입될 수 있도록 상기 의료기구 카세트에는 다수의 홀(Hole)이 관통 형성된다.
상술한 종래의 의료기구 카세트는 의료기구의 수납(보관) 및/또는 소독 처리에만 사용되고 있으며, 진료나 시술 등을 위해서는 술자 또는 보조자(간호사 등)가 상기 의료기구 카세트의 외부로 의료기구들 꺼낸 후에 상술한 바와 같이 위생포 위에 배열해야 한다.
이와 같이 상기 의료기구 카세트의 외부로 의료기구들을 꺼낸 후에 위생포 위에 배열해서 진료나 시술에 사용하는 종래의 환경에서는, 술자가 시술의 각 단계마다 상기 위생포에서 필요한 의료기구를 집어 들고 의료행위를 수행하게 되므로, 시간이 지날 수록 위생포 위에 배열되어 있는 의료기구들이 서로 엉킬 수 있고, 위생포가 놓여지는 테이블에서 바닥으로 낙하할 위험이 있다.
또한, 상술한 종래의 환경에서는, 술자가 위생포 위에 널려 있는 의료기구 중에서 필요한 의료기구를 찾는 데에도 어려움이 있고, 필요한 의료기구를 신속하고 정확하게 선별해서 집는 데에도 불편함이 있으며, 술자가 의료기구를 집어 드는 과정에 손을 다칠 수도 있으므로, 시술에 소요되는 시간을 증가시키는 등 의료행위에 다양한 불편함을 초래하게 된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451309호, 멸균 처리용 케이스, 2014년 10월 8일 등록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0-0031659호, 의료기구 보관용 카세트, 2010년 3월 24일 공개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서, 케이스 본체의 내부에 수납되어 있는 의료기구를 인출해서 상기 케이스 본체를 개폐하는 케이스 커버에 거치할 수 있는 구조의 의료기구 카세트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일 형태는 의료기구의 수납 및 거치가 가능한 의료기구 카세트로서: 의료기구의 수용을 위한 수납 공간을 갖는 케이스 본체; 및 상기 의료기구의 수납 및 인출을 위해 상기 케이스 본체를 개폐하는 케이스 커버를 포함하며: 상기 케이스 커버에 상기 의료기구의 거치가 가능하도록, 상기 케이스 커버는, 상기 케이스 본체를 개방한 채로 상기 케이스 본체에 전도 방지되게 설치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기구 카세트를 제공한다.
상기 케이스 커버는, 상기 케이스 본체에 상방으로 돌출되게 개방된 상태로 전도 모멘트에 저항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상기 케이스 커버에 상기 의료기구가 거치될 수 있도록, 상기 케이스 본체에 선택적으로 즉 필요에 따라, 상기 케이스 커버가 상방으로 세워진 채로 설치되고 외력에 의해 쓰러지지 않도록 유지될 수 있다.
상기 케이스 본체는, 상기 케이스 본체에 상방으로 돌출되게 설치된 상태의 상기 케이스 커버를 지지해서 상기 케이스 커버의 전도를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케이스 본체는, 상기 수납 공간을 형성하는 기구 수용체와, 상기 케이스 커버를 지지해서 상기 케이스 커버의 개방 상태를 유지하고 전도를 방지하도록 상기 기구 수용체에 형성되는 커버 지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케이스 커버는, 상기 의료기구의 거치를 위해, 선택적으로 상기 커버 지지부에 결합되어서 상기 케이스 본체의 상방으로 돌출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상기 케이스 본체는 상측이 개방된 박스(Box) 형상을 가지며; 상기 케이스 커버는, 선택적으로 상기 커버 지지부에 구비되어서 상기 케이스 본체의 상방으로 수직하게 설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케이스 커버는, 상기 의료기구의 거치를 위해, 선택적으로 상기 커버 지지부에 끼워져서 상기 커버 지지부에 의해 구속되며, 이에 따라 상기 케이스 커버의 전도(넘어짐)가 방지될 수 있다.
상기 커버 지지부는, 상기 케이스 커버의 일측이 끼워지는 커버 장착홈을 형성할 수 있다. 즉 상기 케이스 본체에 상기 케이스 커버의 일측이 끼워지는 홈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기구 수용체는, 상기 의료기구가 놓여지는 바닥판과, 상기 바닥판에서 상방으로 둘출되며 상기 수납 공간의 테두리를 형성하는 둘레벽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커버 장착홈은, 상기 기구 수용체의 둘레벽에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커버 장착홈은, 상기 둘레벽의 내측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커버 지지부는, 상기 둘레벽에서 간격을 두고 상기 바닥판의 상방으로 돌출되는 커버 지지편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케이스 커버의 일측은 상기 커버 장착홈에 삽입 가능하고; 상기 케이스 커버의 타측에는 상기 의료기구의 거치를 위한 기구 거치부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기구 거치부는, 상기 케이스 커버의 타측 가장자리를 따라 형성되는 복수의 거치홈들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케이스 커버는 상기 케이스 본체에 복수개가 구비되며; 각각의 케이스 커버는 상기 케이스 본체의 상측을 부분적으로 개폐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케이스 본체의 일측벽에는 상기 케이스 커버의 일측 가장자리부가 연결되고; 상기 케이스 본체의 타측벽에는 상기 케이스 커버의 타측 가장자리부가 착탈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케이스 커버의 일측 가장자리부에는 상기 케이스 본체와의 연결을 위한 연결 돌기가 형성되며; 상기 케이스 본체의 일측벽에는 상기 케이스 커버의 연결 돌기가 끼워지는 연결홀이 형성되고; 상기 케이스 본체의 타측벽에는 상기 케이스 커버의 타측 가장자리부를 구속하는 커버 로킹부가 구비되며; 상기 케이스 커버는 상기 연결홀에 끼워져서 상기 연결 돌기를 기준으로 해서 회전식으로 개폐될 수 있다.
상기 의료기구의 소독 처리를 위하여, 상기 케이스 본체와 상기 케이스 커버 중 적어도 하나에는 복수의 홀들이 관통 형성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상기 의료기구 카세트는 소독 및 의료기구 거치용 케이스로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의료기구 카세트에 의하면, 내부 수납 공간에 수용되어 있는 의료기구가, 카세트 자체 보다 구체적으로는 수납 공간을 개폐하는 케이스 커버에 거치/배열될 수 있으므로, 술자가 시술에 필요한 의료기구를 쉽게 찾아서 집을 수 있고, 시술에 사용되는 의료기구들이 서로 엉키거나 바닥으로 낙하하는 문제가 방지될 수 있으며, 의료기구를 집어 드는 과정에 술자가 손을 다치는 위험도 최소화 내지 방지될 수 있고, 시술에 소요되는 시간이 단축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의료기구 카세트는 소독용 카세트로도 적용될 수 있으므로, 의료기구의 재사용을 위한 소독용 카세트가 진료/시술을 위한 의료기구의 거치/배열(진열)용 기구로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특징 및 장점들은 후술되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한 상세한 설명과 함께 다음에 설명되는 도면들을 참고하여 더 잘 이해될 수 있으며, 상기 도면들 중: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의료기구 카세트의 일 실시 예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의료기구 카세트의 사시도;
도 3은 도 1의 I-I 선에 따른 단면도;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의료기구 카세트의 케이스 커버가 케이스 본체에 상하방향으로 돌출되게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5는 도 4의 상태에서 케이스 커버가 케이스 본체의 상방으로 분리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6은 도 4에 도시된 상태의 의료기구 카세트에 의료기구가 거치된 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7a는 도 1에 도시된 의료기구 카세트의 케이스 본체를 나타낸 사시도;
도 7b는 도 1에 도시된 의료기구 카세트의 케이스 본체를 나타낸 평면도;
도 7c는 도 1에 도시된 의료기구 카세트의 케이스 본체를 나타낸 정면도;
도 7d는 도 1에 도시된 의료기구 카세트의 케이스 본체를 나타낸 배면도;
도 8은 도 2에 도시된 의료기구 카세트가 개방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9는 도 2에 도시된 의료기구 카세트의 케이스 커버가 예각으로 개방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그리고
도 10은 도 2에 도시된 의료기구 카세트의 케이스 커버가 개방 후에 분리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의료기구 카세트에 적용 가능한 커버 지지부의 다른 예를 나타낸 단면도; 그리고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의료기구 카세트에 적용 가능한 커버 지지부의 다른 예를 갖는 케이스 본체의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목적이 구체적으로 실현될 수 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된다. 본 실시 예들을 설명함에 있어서, 동일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 명칭 및 동일 부호가 사용되며 이에 따른 부가적인 설명은 하기에서 생략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며,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결합되어" 있다는 등과 같이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결합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는 연결/결합관계 즉 간접적으로 연결/결합관계도 포함한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의미하는 것이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즉 부가 가능성을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도 1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의료기구 카세트의 구체적인 실시 예(10)가 설명된다.
먼저,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는 의료기구(1)의 수납 및 거치가 가능한 의료기구 카세트(10)로서, 케이스 본체(100; Case Body)와 케이스 커버(200; Case Cover)를 포함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상기 케이스 본체(100)는 상기 의료기구(1)의 수용을 위한 수납 공간을 갖는다. 그리고 상기 케이스 커버(200)는, 상기 의료기구(1)의 수납 및 인출을 위해 상기 케이스 본체(100)를 개폐한다.
본 실시 예에서는, 상기 케이스 커버(200)에 상기 의료기구(1)의 거치가 가능하도록, 상기 케이스 커버(200)는 상기 케이스 본체(100)를 개방한 채로, 상기 케이스 본체(100)에 전도 방지되게 설치(오픈 장착)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상기 케이스 커버(200)는, 상기 케이스 본체(100)에 상방으로 돌출되게 개방된 상태로, 전도 모멘트에 저항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상기 케이스 커버(200)에 상기 의료기구(1)가 거치될 수 있도록, 상기 케이스 본체(100)에 선택적으로 상기 케이스 커버(200)가 상방으로 세워진 채로 설치되고, 외력에 의해 쓰러지지 않도록 개방 상태가 유지될 수 있다.
따라서, 의료기구 카세트(10) 내부에 수납되어 있는 의료기구(1)의 사용을 위해, 사용자(술자 또는 시술 보조자)는 상기 의료기구 카세트의 케이스 커버(200)를 개방한 후, 도 4에 도시된 예처럼 상기 케이스 본체(100)에 상기 케이스 커버(200)를 전도 방지 가능한 개방 상태로 설치(오픈 장착)하고, 상기 케이스 본체(100)의 내부에 수용된 의료기구(1)를 인출해서, 도 6에 도시된 예처럼 상기 케이스 커버(200)에 거치/배열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 예에서 상기 케이스 본체(100)는, 상기 케이스 본체(100)에 상방으로 돌출되게 설치된 상태, 즉 상방으로 세워져서 케이스 본체(100)에 설치된 상태의 상기 케이스 커버(200)를 지지해서, 상기 케이스 커버(200)의 전도를 방지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세워진 상태라 함은 수직한 상태만을 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경사지게 세워진 상태도 포함하며, 본 실시 예는 케이스 커버(200)가 케이스 본체(100)에 수직하게 세워진 채로 의료기구(1)를 지지하는 구조를 예시한다.
도 3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케이스 본체(100)는, 상기 수납 공간을 형성하는 기구 수용체(110)와, 상기 케이스 커버(200)를 지지해서 상기 케이스 커버(200)의 개방 상태를 유지하고 전도 즉 외력에 의한 넘어짐(쓰러짐)를 방지하는 커버 지지부(120)를 포함한다. 본 실시 예에서는, 상기 커버 지지부(120)가 상기 기구 수용체(110)에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케이스 본체(100)에 의해 상기 케이스 커버(200)가 전도 방지되게 지지되고 유지되는 구조이다.
그리고, 상기 케이스 커버(200)는, 상기 의료기구(1)의 거치를 위해, 선택적으로 상기 커버 지지부(120)에 결합되며, 상기 커버 지지부(120)에 의해 상기 케이스 본체(100)의 상방으로 돌출된 상태를 유지한다.
도 7a 내지 도 7d를 참조하면, 본 실시 예에서, 상기 케이스 본체(100)는 상측이 개방된 박스(Box) 형상을 갖는다. 그리고 상기 케이스 커버(200)는, 선택적으로 즉 필요에 따라 상기 커버 지지부(120)에 결합됨으로써, 상기 케이스 본체(100)의 상방으로 수직하게 설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케이스 커버(200)는, 상기 의료기구(1)의 거치를 위해, 상기 커버 지지부(120)에 끼워져서 상기 커버 지지부(120)에 의해 구속되며, 이에 따라 상기 케이스 커버(200)의 전도(넘어짐)가 방지되고, 상기 케이스 커버(200)에 의료기구(1)가 안정적으로 거치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상기 커버 지지부(120)는, 상기 케이스 커버(200)의 일측이 끼워지는 커버 장착홈(121)을 형성한다. 즉, 상기 케이스 본체(100)에 상기 케이스 커버(200)의 일측이 끼워지는 홈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기구 수용체(110)는, 상기 의료기구(1)가 놓여지는 바닥판(101)과, 상기 수납 공간의 테두리를 형성하는 둘레벽(102)을 포함한다. 본 실시 예에서 상기 기구 수용체는 사각 박스 형상이며, 상기 둘레벽(102)은 사각형 바닥판(101)의 가장자리에서 상방으로 둘출된다.
상기 기구 수용체(110)의 내부에는 쿠션 재질, 예를 들면 고무나 실리콘 기타 연질 수지로 제조된 바닥 패드(30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바닥 패드(300)는 상기 기구 수용체(110)의 바닥면에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바닥 패드(300)에는, 상기 의료기구(1)의 움직임을 최소화 또는 방지하도록, 상방으로 돌출된 다수의 핀(310)들이 일체로 형성된다.
상기 커버 장착홈(121)은, 상기 기구 수용체(110)의 둘레벽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커버 장착홈(121)은 본 실시 예처럼 상기 둘레벽(102)의 내측에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상기 둘레벽(102)의 외측에 상기 커버 장착홈이 형성되고, 상기 케이스 커버(200)가 상기 기구 수용체(110)의 외측에 꽂혀서 장착될 수도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상기 커버 지지부(120)는, 상기 둘레벽(102)에서 간격을 두고 상기 바닥판(101)의 상방으로 돌출되는 커버 지지편을 포함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인 예로, 상기 커버 지지부(120)는, 상기 둘레벽(102)에서 일정 간격 이격되며 상기 둘레벽(102)과의 사이에 틈새(커버 장착홈)을 형성하는 절곡(Bending)된 판(Plate) 형상의 지지부재 즉 커버 지지편으로 구현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는, 상기 커버 지지편(120)이 상기 기구 수용체 둘레벽(102)의 내측면에서 일정 간격 이격된 상태로 상향 돌출되며, 상기 커버 지지편(120)의 하단부가 바닥판(101)과 나란하게 꺾여서 상기 바닥판(101)의 상측에 면접된 상태로 고정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상기 기구 수용체(110)를 부분적으로 잘라내서 절곡함으로써, 상기 기구 수용체(110)에 상기 커버 지지부 즉 커버 지지편(120)을 형성할 수도 있으므로, 상기 커버 지지부(120)는 다양한 구조로 변경될 수 있다.
도 11에 도시된 예는 상기 기구 수용체(110)를 부분적으로 절단하고 절곡해서, 상기 기구 수용체(110)에 상기 커버 지지부(120)를 형성한 예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기구 수용체의 둘레벽(102)을 세로로 절단한 후 절곡함으로써, 도 11의 (a)처럼 둘레벽의 내측으로 커버 장착홈(121)을 형성하거나, 도 11의 (b)처럼 둘레벽의 외측으로 커버 장착홈(121)을 형성할 수 있다. 도 11은 커버 지지부(120)가 둘레벽(102)에서 돌출된 구조이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바닥판(101)에서 돌출될 수도 있다. 그리고 본 실시 예처럼 케이스 커버(200)가 2개 부분으로 분할된 구조인 경우, 도 11에 도시된 위치와 마주하는 반대측에도 커버 지지부(120)가 형성된다.
상기 커버 지지부(120)의 위치 역시 상기 기구 수용체의 둘레벽(102)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예를 들면, 상기 커버 지지부는 상기 기구 수용체의 바닥판(101)에 형성될 수도 있다. 보다 구체적인 예로서, 상기 커버 지지부는, 상기 케이스 커버(200)의 일측면과 타측면을 각각 지지해도록 상기 기구 수용체의 바닥판(101)에서 상향 돌출되는 제1 지지편과 제2 지지편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제1 지지편과 제2 지지편의 간격은 후술되는 커버 플레이트(210)의 두께 정도로 설정될 수 있다. 앵글(Angle) 형상을 갖는 한 쌍의 부재를 상기 기구 수용체의 바닥판(101)에 고정해서 커버 장착홈을 형성하거나, 상기 기구 수용체(110)의 일 부분 예를 들면 상기 기구 수용체의 바닥판(101)을 부분적으로 절단해서 상향 돌출되게 절곡하는 등 다양한 방식으로, 상기 기구 수용체의 바닥판(101)에 커버 지지부를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도 1에 도시된 예처럼 케이스 커버(200)가 2개 부분으로 분할된 구조인 경우, 상기 기구 수용체(110)에는 2 개소의 커버 지지부가 구비될 수 있다.
그러므로 본 실시 예의 커버 지지부(120)는 예시적인 것이며, 상기 커버 지지부의 구조나 위치가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음은 본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통상의 기술자)에게 당연하다.
상술한 구조를 기반으로, 상기 케이스 커버(200)의 일측은 상기 커버 장착홈(121)에 삽입되어서 구속되고, 상기 케이스 커버(200)의 타측에는 상기 의료기구(1)가 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의료기구(1)가 상기 의료기구 카세트(10)에 수용된 채로 소독될 수 있도록, 상기 케이스 본체(100)와 상기 케이스 커버(200) 중 적어도 하나에는 복수의 홀들이 관통 형성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상기 의료기구 카세트는 소독 및 의료기구 거치용 케이스로 적용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는, 소독액 또는 소독용 미스트(Mist) 등과 같은 소독 물질이 통과하도록, 상기 케이스 본체(100)에 관통홀(110a)들이 형성되고 상기 케이스 커버(200)에도 관통홀(210a)들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케이스 커버(200)의 일측부(도 4에서는 하단부)는 전도 모멘트에 저항하도록 상기 커버 장착홈(121)에 삽입되고, 그 반대측인 상기 케이스 커버(200)의 타측(도 4에서 상단부)에는 상기 의료기구(1)의 거치를 위한 기구 거치부(210b)가 형성된다.
본 실시 예에서 상기 기구 거치부(210b)는, 상기 케이스 커버(200)의 타측 가장자리(상단)를 따라 형성되는 복수의 거치홈들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거치홈들에는 각각 서로 다른 의료기구(1)들이 서로 분리된 상태로 거치될 수 있고, 그로 인해 술자는 원하는 의료기구(1)를 쉽게 집을 수 있으며, 상기 거치홈이 상기 의료기구(1)의 움직임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의료기구(1)가 바닥으로 떨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케이스 커버(200)는, 상기 케이스 본체(100)의 상측을 덮는 커버 플레이트(210)와, 상기 케이스 본체, 보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기구 수용체(110)의 둘레벽(102)에 겹쳐지는 커버 측벽(220)을 포함한다.
본 실시 예에서는, 상기 커버 플레이트(210)에 장공 형태의 관통홀(210a)이 복수개 형성되나 관통홀의 형상이 이에 한정되지 않음은 당연하며, 상기 커버 측벽(220)은 상기 케이스 본체의 외측면 즉 둘레벽(102)의 외측에 겹쳐진다.
그리고 상기 커버 장착홈(121)에 삽입되는 부분 즉 상기 케이스 커버(200)의 일측에는 상기 커버 장착홈(121)과의 결합시에 간섭 방지를 위한 퇴거홈(210c)이 형성된다.
본 실시 예에서 상기 퇴거홈(210c)은, 상기 기구 거치부(210b)의 반대측에 구비되는 커버 측벽(220)의 중간부에 형성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커버 플레이트(210)와 커버 측벽(220)의 연결부위에 상기 커비 구속부(120; 커버 지지편)이 통과 가능한 조립홀을 형성하는 구조도 가능하므로, 상기 케이스 커버(200)의 오픈(Open) 장착을 위한 구조는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는, 상기 케이스 본체(100)에 복수개의 상기 케이스 커버(200; 200A, 200B)가 구비되며, 각각의 케이스 커버(200A, 200B)는 상기 케이스 본체(100)의 상측을 부분적으로 개폐한다. 본 실시 예에서는, 상기 케이스 본체(100)가 서로 좌우 대칭 형상인 한 쌍의 케이스 커버(200)에 의해 개폐된다.
도 7a 및 도 7b를 참조하면, 상기 케이스 본체(100)의 바닥판(101)에는 장공 형태의 관통홀(110a)이 복수개 형성되나 상기 케이스 본체에 형성되는 관통홀의 ㅎ형상 역시 장공 형태에 한정되지 않으며, 상기 커버 지지부(120)는 상기 둘레벽(102) 중 서로 나란한 일측벽(102a)과 타측벽(102b)의 내측에 각각 구비된다.
따라서, 도 4 내지 도 6에 도시된 예처럼, 상기 케이스 본체(100)의 일측과 타측에는 서로 나란하게 케이스 커버(200)가 상기 케이스 본체(100)의 상측을 개방한 상태로 상향 돌출되게 설치되며, 각각의 케이스 커버(200)에는 복수의 의료기구(1)들이 거치될 수 있다.
도 6에는 의료기구의 예로서 플라이어(Plier)가 예시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예를 들면 큐렛(Curette) 등과 같은 막대형 의료기구도 가능하며, 막대형 의료기구의 일단부가 상기 바닥 패드(300)에 놓여지고 타측이 상기 기구 거치부(210b; 거치홈)에 배치되는 방식으로, 상기 막대형 의료기구가 경사지게 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케이스 본체(100)에 수용되어 있는 의료기구를 가압하기 위하여, 상기 케이스 커버(200)에는 쿠션(Cushion) 재질의 누름 부재(400)가 구비되며, 상기 누름 부재(400)에 의해 상기 의료기구 카세트(10) 내에서 의료기구(1)의 유동이 최소화 또는 방지될 수 있고, 본 실시 예처럼 케이스 커버(200)가 복수개로 분할되어서 각각 개별적으로 개폐 가능한 경우, 의료기구 카세트(10) 내에 수납 가능한 의료기구의 용적이 증가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7a 내지 도 7d 및 도 8 내지 도 10을 참조해서, 상기 케이스 커버(200)에 의한 상기 케이스 본체(100)의 개폐 구조에 대해 설명된다.
도 7a 내지 도 7d 및 도 8 내지 도 10을 참조하면, 상기 케이스 본체(100)의 일측벽(102a)에는 상기 케이스 커버(200)의 일측 가장자리부가 연결되고, 상기 케이스 본체(100)의 타측벽(102b)에는 상기 케이스 커버(200)의 타측 가장자리부가 착탈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상기 케이스 커버(200)의 일측 가장자리부, 예를 들면 상기 커버 측벽(220) 중 어느 하나에는 상기 케이스 본체(100)와의 연결을 위한 연결 돌기(211; Engaging Protrusion)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케이스 본체(100)의 일측벽, 예를 들면 상기 기구 수용체(110)의 둘레벽(102) 중 일측벽(102a)에는 상기 케이스 커버(200)의 연결 돌기(211)가 끼워지는 연결홀(111; Engaging Hole)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케이스 본체(100)의 타측벽, 보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연결홀(111)이 형성되는 측벽(102a)의 반대측 벽(102b)에는, 상기 케이스 커버(200)의 타측 가장자리부를 구속하는 커버 로킹부(112; Cover Locking Part)가 구비된다.
본 실시 예에서, 상기 케이스 커버(200)는 상기 연결홀(111)에 끼워져서 상기 연결 돌기(211)를 기준으로 회전식 즉 여닫이 방식으로 개폐될 수 있고, 상기 케이스 커버(200)가 상기 케이스 본체(100)에서 완전히 분리될 수 있다. 상기 연결 돌기(211)는 상기 케이스 커버(200)의 일측 커버 측벽(220)에서 대략 'ㄱ' 단면 형상으로 돌출 형성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상기 연결 돌기(211)는 상기 커버 측벽(220)의 가장자리에서 상기 커버 플레이트(210)에 나란한 방향으로 돌출된 후, 상기 커버 플레이트(210)와 수직한 방향으로 절곡되어서 일정 길이 연장된 구조이다. 따라서, 상기 연결 돌기(211)가 상기 연결홀(111)에 끼워지면, 상기 연결 돌기(211)의 절곡부가 상기 케이스 커버(200)의 개폐를 위한 회전 기준이 될 수 있다.
상기 연결홀(111)은 상기 기구 수용체(110)의 일측벽(102a)에 복수개 형성되며, 본 실시 예에서는 상기 케이스 본체(100)에 2개의 케이스 커버(200)들이 장착되므로, 상기 연결홀(111)이 상기 기구 수용체의 일측벽(102a)에 2개 형성된 구조가 예시된다.
그리고 상기 기구 수용체(110)의 타측벽(102b)에는 복수개의 커버 로킹부(112)들, 예를 들면 본 실시 예처럼 2개의 커버 로킹부(112)들이 형성되며, 상기 케이스 커버(200)에는 상기 커버 로킹부(112)가 착탈 가능하게 걸리는 로킹 홀(212; Locking Hole)이 형성된다.
본 실시 예에서 상기 커버 로킹부(112)는, 기구 수용체(110)의 타측벽(102b)에 탄력적으로 진퇴 가능하게 구비되며, 상기 기구 수용체(110)의 내측 방향으로 눌리면 상기 로킹 홀(212)과 결합이 해제되고, 외력이 제거되면 원상으로 복원되면서 상기 로킹 홀(212)에 걸릴 수 있으므로, 상기 케이스 커버(200)의 개방을 방지한다.
상기 커버 로킹부(112)의 상단은 경사진 형상이며, 상기 케이스 커버(200)가 닫힐 때 상기 케이스 커버의 커버 측벽(220)이 상기 커버 로킹부(112)의 상단 경사면을 가압하고, 상기 케이스 커버(200)에 의해 상기 커버 로킹부(112)가 상기 기구 수용체(110)의 내측으로 눌리면서 탄성 변형되며, 상기 케이스 커버(200)가 완전히 닫히면 상기 커버 로킹부(120)가 원상으로 복원되면서 상기 케이스 커버(200를 구속하게 되나, 상기 커버 로킹부의 형상이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님은 당연하다.
본 실시 예에서는, 상기 기구 수용체의 둘레벽 중, 상기 연결홀(111)이 형성되는 벽체(102a)와 그 반대측 벽체(102b)의 내측에 각각 상기 커버 지지부(120)가 구비되며, 상기 케이스 커버(200)가 상기 케이스 본체(100)를 개방한 후에 상기 커버 지지부(120)에 장착되면, 상기 케이스 커버(200)에 의료기구(1)들이 가지런하게 거치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상기 커버 로킹부(112)는 절곡 성형된 탄성 플레이트가 상기 기구 수용체의 둘레벽(102)에 장착된 구조이나, 상술한 커버 지지부에서 설명된 예처럼 상기 기구 수용체(110)를 부분적으로 자르고 구부려서, 상기 기구 수용체(110)에 일체로 탄성의 커버 로킹부를 형성할 수도 있으므로, 상기 커버 로킹부의 구조가 본 실시 예에서 예시된 구조에 한정되는 것이 아님은 당연하다. 또한, 상기 케이스 커버(200)의 개폐 구조 및 개폐를 위한 케이스 본체(100)와의 연결 구조와 로킹 구조 역시 본 실시 예에서 설명된 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목적을 저해하지 않는 한, 다양한 분야에서 사용되는 케이스의 커버 개폐 구조와 연결 구조 및 로킹 구조가 적용될 수 있다.
도 12는 기구 수용체의 둘레벽(102)에 커버 지지부가 형성되어 있는 케이스 본체의 다른 구조(100A)를 예시한 것으로서, 도 12에 도시된 예처럼 기구 수용체의 둘레벽(102) 중 서로 나란한 한 쌍의 측벽(102a, 102b)에서 서로 마주하는 부분이 세로로 절개됨으로써, 상기 케이스 커버(200)의 전도 방지를 위한 커버 지지부(120A)가 형성할 수도 있다. 도 12에 도시된 구조의 케이스 본체(100A)에 도 1에 도시된 상기 케이스 커버(200)가 장착되는 경우, 도 4에 도시된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장착된다. 그리고 도 12에 도시된 구조의 케이스 본체(100A)에서 상기 커버 지지부(120A)는 둘레벽(102)의 모서리 부분에 형성되어 있으나, 둘레벽(102)의 모서리에서 일정 거리 이격된 위치에 형성될 수도 있음은 당연하다.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상기 케이스 커버가 접힘 가능한 구조 즉 폴더(Folder) 구조로 구성되고, 상기 케이스 커버가 접혀서 상기 케이스 본체에 상방 돌출된 상태로 전도 방지되게 설치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케이스 본체의 둘레벽 중 서로 나란한 한 쌍의 측벽(102a, 102b)의 상단에, 삼각 지붕 형태로 접힌 케이스 커버의 양측 하단이 끼워지는 적어도 하나의 홈이 형성되면, 상기 케이스 커버가 소정 각도로 접혀서 상술한 측벽의 상단에 형성된 홈에 걸릴 수 있으므로, 상기 케이스 본체의 상방으로 돌출된 형태로 설치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살펴 보았으며, 앞서 설명된 실시 예 이외에도 본 발명이 그 취지나 범주에서 벗어남이 없이 다른 특정 형태로 구체화 될 수 있다는 사실은 해당 기술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이들에게는 자명한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된 실시 예는 제한적인 것이 아니라 예시적인 것으로 여겨져야 하고,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상술한 설명에 한정되지 않고 첨부된 청구항의 범주 및 그 동등 범위 내에서 변경될 수도 있다.
10: 의료기구 카세트 100: 케이스 본체
110: 기구 수용체 111: 연결홀
112: 커버 로킹부 120: 커버 지지부
121: 커버 장착홈 200: 케이스 커버
210: 커버 플레이트 210a: 관통홀
210b: 기구 거치부 210c: 퇴거홈
220: 커버 측벽 300: 바닥 패드
400: 누름 부재

Claims (16)

  1. 의료기구의 수납 및 거치가 가능한 의료기구 카세트로서:
    의료기구의 수용을 위한 수납 공간을 갖는 케이스 본체; 및 상기 의료기구의 수납 및 인출을 위해 상기 케이스 본체를 개폐하는 케이스 커버를 포함하며:
    상기 케이스 커버에 상기 의료기구의 거치가 가능하도록, 상기 케이스 커버는, 상기 케이스 본체를 개방한 채로 상기 케이스 본체에 전도 방지되게 설치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기구 카세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 커버는, 상기 케이스 본체에 상방으로 돌출되게 개방된 상태로 전도 모멘트에 저항 가능하게 설치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기구 카세트.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 본체는, 상기 케이스 본체에 상방으로 돌출되게 설치된 상태의 상기 케이스 커버를 지지해서 상기 케이스 커버의 전도를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기구 카세트.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 본체는, 상기 수납 공간을 형성하는 기구 수용체와, 상기 케이스 커버를 지지해서 상기 케이스 커버의 개방 상태를 유지하고 전도를 방지하도록 상기 기구 수용체에 형성되는 커버 지지부를 포함하며;
    상기 케이스 커버는, 상기 의료기구의 거치를 위해, 선택적으로 상기 커버 지지부에 결합되어서 상기 케이스 본체의 상방으로 돌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기구 카세트.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 본체는 상측이 개방된 박스(Box) 형상을 가지며;
    상기 케이스 커버는, 선택적으로 상기 커버 지지부에 구비되어서 상기 케이스 본체의 상방으로 수직하게 설치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기구 카세트.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 커버는, 상기 의료기구의 거치를 위해, 선택적으로 상기 커버 지지부에 끼워져서 상기 커버 지지부에 의해 구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기구 카세트.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 지지부는, 상기 케이스 커버의 일측이 끼워지는 커버 장착홈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기구 카세트.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기구 수용체는, 상기 의료기구가 놓여지는 바닥판과, 상기 바닥판에서 상방으로 둘출되며 상기 수납 공간의 테두리를 형성하는 둘레벽을 포함하며;
    상기 커버 장착홈은, 상기 기구 수용체의 둘레벽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기구 카세트.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 장착홈은, 상기 둘레벽의 내측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기구 카세트.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 지지부는, 상기 둘레벽에서 간격을 두고 상기 바닥판의 상방으로 돌출되는 커버 지지편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기구 카세트.
  11.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 커버의 일측은 상기 커버 장착홈에 삽입 가능하고; 상기 케이스 커버의 타측에는 상기 의료기구의 거치를 위한 기구 거치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기구 카세트.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기구 거치부는, 상기 케이스 커버의 타측 가장자리를 따라 형성되는 복수의 거치홈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기구 카세트.
  13. 제1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 커버는 상기 케이스 본체에 복수개가 구비되며; 각각의 케이스 커버는 상기 케이스 본체의 상측을 부분적으로 개폐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기구 카세트.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 본체의 일측벽에는 상기 케이스 커버의 일측 가장자리부가 연결되고; 상기 케이스 본체의 타측벽에는 상기 케이스 커버의 타측 가장자리부가 착탈 가능하게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기구 카세트.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 커버의 일측 가장자리부에는 상기 케이스 본체와의 연결을 위한 연결 돌기가 형성되며; 상기 케이스 본체의 일측벽에는 상기 케이스 커버의 연결 돌기가 끼워지는 연결홀이 형성되고; 상기 케이스 본체의 타측벽에는 상기 케이스 커버의 타측 가장자리부를 구속하는 커버 로킹부(Cover Locking Part)가 구비되며; 상기 케이스 커버는 상기 연결홀에 끼워져서 상기 연결 돌기를 기준으로 회전식으로 개폐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기구 카세트.
  1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 본체와 상기 케이스 커버 중 적어도 하나에는 복수의 홀들이 관통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기구 카세트.
KR1020200030061A 2020-03-11 2020-03-11 의료기구 카세트 KR10240340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30061A KR102403405B1 (ko) 2020-03-11 2020-03-11 의료기구 카세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30061A KR102403405B1 (ko) 2020-03-11 2020-03-11 의료기구 카세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15095A true KR20210115095A (ko) 2021-09-27
KR102403405B1 KR102403405B1 (ko) 2022-05-31

Family

ID=779252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30061A KR102403405B1 (ko) 2020-03-11 2020-03-11 의료기구 카세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0340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78397A (ko) * 2021-11-26 2023-06-02 선문대학교 산학협력단 치과 수복 키트 박스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084251A (en) * 1989-10-26 1992-01-28 Thomas Akatheputhethu C Instrument sterilization cassette
US6534000B1 (en) * 2000-04-28 2003-03-18 Steri Source, Inc. Sterilization cassette and method
US20060076254A1 (en) * 2004-10-12 2006-04-13 Corbitt John D Jr Surgical instrument organizer
KR20100031659A (ko) 2008-09-15 2010-03-24 스트라우만 홀딩 에이쥐 의료기구 보관용 카세트
KR101451309B1 (ko) 2013-06-21 2014-10-15 주식회사 신흥 멸균 처리용 케이스
US20180008364A1 (en) * 2016-07-08 2018-01-11 Greatbatch Ltd. Modular screw caddy system with descriptive labels
WO2019012181A1 (en) * 2017-07-12 2019-01-17 Lm-Instruments Oy CASSETTE FOR INSTRUMENTS FOR HANDLING INSTRUMENTS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084251A (en) * 1989-10-26 1992-01-28 Thomas Akatheputhethu C Instrument sterilization cassette
US6534000B1 (en) * 2000-04-28 2003-03-18 Steri Source, Inc. Sterilization cassette and method
US20060076254A1 (en) * 2004-10-12 2006-04-13 Corbitt John D Jr Surgical instrument organizer
KR20100031659A (ko) 2008-09-15 2010-03-24 스트라우만 홀딩 에이쥐 의료기구 보관용 카세트
KR101451309B1 (ko) 2013-06-21 2014-10-15 주식회사 신흥 멸균 처리용 케이스
US20180008364A1 (en) * 2016-07-08 2018-01-11 Greatbatch Ltd. Modular screw caddy system with descriptive labels
WO2019012181A1 (en) * 2017-07-12 2019-01-17 Lm-Instruments Oy CASSETTE FOR INSTRUMENTS FOR HANDLING INSTRUMENTS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78397A (ko) * 2021-11-26 2023-06-02 선문대학교 산학협력단 치과 수복 키트 박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03405B1 (ko) 2022-05-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341148B2 (en) Modular container for the storage, organization, protection, sterilization and delivery of medical instruments and implants
US9610126B2 (en) Flexible containers for use in sterilizing, storing, transporting, and presenting medical instruments
US5284632A (en) Two-tiered sterilization and storage cassette
US5490975A (en) Sterilization and storage container tray
JPH05506200A (ja) 使い捨て尖鋭器具用容器
US7544336B2 (en) Sterilization tray with base and elastomeric lid
DK2632497T3 (en) Endoscope storage device
ES2370061T3 (es) Sistema de dispensación y eliminación de instrumentos médicos.
ES2232392T3 (es) Sistema de bandejas de esrerilizacion apilables.
US7748529B2 (en) Surgical instrument case
US20110017623A1 (en) Container for a medical instrument or implant, in particular for a dental instrument or a dental implant
US5913422A (en) Surgical tool sterilization and storage container system
EP0804253B1 (en) Sterilization and storage container tray for surgical instruments
JPH05184613A (ja) 股関節部プロテーゼのためのパッケージ
JP6714960B2 (ja) 内視鏡保持部材および内視鏡保持方法ならびにそれを有するカート、洗浄シンク、洗浄消毒装置、スタンドおよび内視鏡保管庫
JP2008518034A (ja) 角膜を生体外で保存するための器具および方法
KR102403405B1 (ko) 의료기구 카세트
US20050019237A1 (en) Sterilization tray assembly for medical instruments
KR20190065169A (ko) 멸균 트레이
JP2846841B2 (ja) 特に歯科用の器具や機器のためのケース
US20200216221A1 (en) Screen basket and cover for said screen basket
US20070084740A1 (en) Tool-storage device comprising a pivoting lid
US4496522A (en) Vertical decontamination bath for fibrescopes
WO1992009240A1 (en) Instrument frame and instrument system
KR102513804B1 (ko) 수술기구 멸균 컨테이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