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15093A - Sd 카드 커넥터 - Google Patents

Sd 카드 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15093A
KR20210115093A KR1020200030025A KR20200030025A KR20210115093A KR 20210115093 A KR20210115093 A KR 20210115093A KR 1020200030025 A KR1020200030025 A KR 1020200030025A KR 20200030025 A KR20200030025 A KR 20200030025A KR 20210115093 A KR20210115093 A KR 2021011509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rd
terminal
housing
contact
main boar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300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71049B1 (ko
Inventor
김용은
Original Assignee
한국자동차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자동차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자동차연구원
Priority to KR10202000300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71049B1/ko
Publication of KR202101150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1509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710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7104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7/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 G06K7/0013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galvanic contacts, e.g. card connectors for ISO-7816 compliant smart cards or memory cards, e.g. SD card readers
    • G06K7/0056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galvanic contacts, e.g. card connectors for ISO-7816 compliant smart cards or memory cards, e.g. SD card readers housing of the card connecto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22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 H01R13/24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resilient; resiliently-mounted
    • H01R13/2407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resilient; resiliently-mounted characterized by the resilient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Abstract

SD 카드 커넥터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SD 카드 커넥터는 SD 카드가 하우징에 삽입 또는 분출되는 경우 상기 SD 카드의 위치에 따른 전기적 신호를 출력하는 단자부; 및 상기 단자부로부터 출력되는 전기 신호를 토대로 상기 하우징으로부터의 SD 카드 분출을 감지하여 상기 SD 카드에 대해 현재 실행 중인 처리를 중단하여 파일 닫기 시퀀스를 수행하는 메인보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SD 카드 커넥터{SD CARD CONNECTOR}
본 발명은 SD 카드(Secure Digital Card) 커넥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SD 카드 실행 중에 SD 카드가 분출되더라도 파일이 손상되거나 SD 카드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는 SD 카드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컴퓨터와 가전제품에 사용되는 휴대용 저장장치 시장은 신기술의 등장과 제품 유형의 세분화가 급진전되면서 매우 복잡한 양상으로 전개되고 있다.
디지털 카메라, 디지털 캠코더, MP3 플레이어, 핸드헬드 PC, 개인정보단말기(PDA), 디지털 오디오 플레이어 등과 같은 휴대용 디지털 제품이 높은 성능과 대용량 메모리를 필요로 함에 따라 값이 보다 싸고 대용량인 휴대용 저장장치 수요가 폭발적으로 늘고 있다.
특히, 플래시 메모리 계열의 휴대용 저장장치 중 SD 카드는 SD 카드 소켓을 통해 디지털기기와 전기적으로 접속이 이루어진다.
종래의 SD 카드를 장착하기 위한 SD 메모리 카드 소켓은 통상 전기접속단자의 탄성되는 힘만으로 체결구를 통해 삽입되는 SD 메모리 카드를 고정시키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이러한 SD 카드 소켓은 인쇄회로기판의 일측 적소에 설치 고정되어 SD 카드를 장착하기 위한 SD 카드 소켓을 SD 카드의 착탈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푸시-푸시 메카니즘(Push-Push Mechanism)을 이용하고 있다.
그러나, 종래의 SD 카드는 실행상태에, 예컨데 SD 카드의 파일을 열고 읽기나 쓰기 등을 하고 있는 상태에서 SD 카드가 강제로 분리되는 경우 파일이 손상되거나 SD 카드가 파손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의 배경기술은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10-1489495호(2015.01.28)의 '듀얼 메모리 카드용 소켓'에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목적은 SD 카드 실행 중에 SD 카드가 분출되더라도 파일이 손상되거나 SD 카드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는 SD 카드 커넥터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SD 카드 커넥터는 SD 카드가 하우징에 삽입 또는 분출되는 경우 상기 SD 카드의 위치에 따른 전기적 신호를 출력하는 단자부; 및 상기 단자부로부터 출력되는 전기 신호를 토대로 상기 하우징으로부터의 SD 카드 분출을 감지하여 상기 SD 카드에 대해 현재 실행 중인 처리를 중단하여 파일 닫기 시퀀스를 수행하는 메인보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상기 단자부는 제 1단자; 제 2단자; 일측이 상기 메인보드의 접지와 연결되어 상기 SD 카드의 삽입 또는 분출시 상기 SD 카드에 의해 탄성 변형되어 상기 제 1단자와 상기 제 2단자 중 어느 하나와 접촉되는 제 3단자; 상기 SD 단자가 상기 하우징 내에 정위치된 상태에서 상기 SD 카드가 푸시되는지에 따라 상기 제 3단자와 선택적으로 접촉되는 제 4단자; 및 상기 SD 카드가 상기 하우징내 정위치된 상태에서 삽입되어 상기 제 4단자가 상기 SD 카드에 의해 상기 제 3단자가 접촉되는지에 따라 하이 신호나 로우 신호 중 어느 하나를 출력하는 신호 출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상기 신호 출력부는 일측이 전원부에 연결되고 타측이 상기 제 4단자에 연결되어 상기 제 3단자와 상기 제 4단자가 접촉되는지에 따라 하이 신호와 로우 신호 중 어느 하나를 출력하는 풀업 저항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상기 신호 출력부는 상기 SD 카드가 상기 하우징내 정위치된 상태에서 삽입되어 상기 제 4단자가 상기 제 3단자에 접촉되면 로우 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SD 카드가 상기 하우징내 정위치된 상태에서 분출되어 상기 제 4단자가 상기 제 3단자에 접촉 해제되면 하이 신호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상기 메인보드는 상기 SD 카드가 상기 하우징 내에 정위치된 상태에서 상기 제 3단자와 상기 4단자가 접촉되는지 여부에 따라 상기 SD 카드에 대해 현재 실행 중인 처리를 중단하여 파일 닫기 시퀀스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SD 카드 커넥터는 SD 카드 실행 중에 SD 카드가 분출되더라도 파일이 손상되거나 SD 카드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한다.
도 1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SD 카드 커넥터의 평면도이다.
도 2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SD 카드 정위치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SD 카드 분출시의 SD 카드 커넥터의 카드 최대 삽입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SD 카드 커넥터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러한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이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된 구현은, 예컨대, 방법 또는 프로세스, 장치, 소프트웨어 프로그램, 데이터 스트림 또는 신호로 구현될 수 있다. 단일 형태의 구현의 맥락에서만 논의(예컨대, 방법으로서만 논의)되었더라도, 논의된 특징의 구현은 또한 다른 형태(예컨대, 장치 또는 프로그램)로도 구현될 수 있다. 장치는 적절한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및 펌웨어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방법은, 예컨대, 컴퓨터, 마이크로프로세서, 집적 회로 또는 프로그래밍가능한 로직 디바이스 등을 포함하는 프로세싱 디바이스를 일반적으로 지칭하는 프로세서 등과 같은 장치에서 구현될 수 있다. 프로세서는 또한 최종-사용자 사이에 정보의 통신을 용이하게 하는 컴퓨터, 셀 폰, 휴대용/개인용 정보 단말기(personal digital assistant: "PDA") 및 다른 디바이스 등과 같은 통신 디바이스를 포함한다.
도 1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SD 카드 커넥터의 평면도이고, 도 2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SD 카드 정위치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3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SD 카드 분출시의 SD 카드 커넥터의 카드 최대 삽입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 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SD 카드 커넥터는 하우징(10), 단자부, 및 메인보드(70)를 포함한다.
하우징(10)은 SD 카드(Secure Digital Card)(60)의 형태에 대응되게 직육면체로 형성될 수 있으며, 메인보드(7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접지될 수 있다.
하우징(10)은 일측이 개방되어 내부로 SD 카드(60)가 삽입 또는 분출될 수 있다. 이러한 하우징(10)은 삽입된 SD 카드(60)를 수용하고 보호한다.
아울러, 하우징(10)은 저면이 개방되며 다양한 결합방식을 통해 메인보드(70)와 결합될 수 있다.
단자부는 SD 카드(60)가 하우징(10)에 삽입 또는 분출되는 경우, SD 카드(60)의 위치에 따른 전기적 신호를 출력한다.
단자부는 SD 카드(60)의 삽입과 분출 및 정위치 등을 메인보드(70)가 식별할 수 있도록 각각의 상태에 따른 전기적 신호를 메인보드(70)에 입력한다.
메인보드(70)는 단자부로부터의 전기적 신호에 따라 SD 카드(60)가 현재 하우징(10) 내부에서 SD 카드(60) 삽입을 위한 최대 삽입 상태인지, 정위치 상태인지 또는 SD 카드(60) 분출을 위한 최대 삽입 상태인지 등을 식별할 수 있다. 이에, 메인보드(70)는 해당 전기 신호를 토대로 하우징(10)으로부터의 SD 카드 분출을 감지하여 SD 카드(60)에 대해 현재 실행 중인 처리를 중단하여 파일 닫기 시퀀스를 수행한다.
본 실시예에서, SD 카드(60)는 푸시-푸시 메카니즘(Push-Push Mechanism)을 토대로 하우징(10)에 삽입 또는 분출될 수 있다.
푸시-푸시 메카니즘은 사용자가 SD 카드(60)를 하우징(10) 내부에 삽입하기 위해 하우징(10) 내부로 푸시하면 SD 카드(60)가 하우징(10) 내 최대 삽입 지점까지 삽입된 후 후방으로 일부 이동하여 정위치에 위치하게 되고, 이후 사용자가 SD 카드(60)를 하우징(10)에서 분출하기 위해 SD 카드(60)를 다시 푸시하면 SD 카드(60)가 하우징(10) 내 최대 삽입 위치까지 삽입된 후 하우징(10)으로부터 분출되도록 한다.
이러한 푸시-푸시 메카니즘에 있어서, 메인보드(70)는 SD 카드(60)가 하우징(10) 내 정위치에 위치하면 해당 SD 카드(60)에 전기적으로 접속하여 SD 카드(60)의 파일 열기와 데이터 읽기 쓰기 및 파일 닫기 등의 처리를 수행하게 된다.
푸시-푸시 메카니즘은 하우징(10) 내부에 구비된 별도의 기계적 구조를 토대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러한 기계적 구조는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는 푸시-푸시 메카니즘을 구현할 수 있는 다양한 기계적 구조가 채용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단자부는 SD 카드(60)가 현재 하우징(10) 내부에서 SD 카드 삽입을 위한 최대 삽입 상태인지, 정위 상태인지 또는 SD 카드 분출을 위한 최대 삽입 상태인지 등을 식별하기 위해 복수 개가 구비될 수 있다.
단자부는 제 1단자(30), 제 2단자(50), 제 3단자(20), 제 4단자(40) 및 신호 출력부를 포함한다. 제 1단자(30), 제 2단자(50), 제 3단자(20) 및 제 4단자(40) 각각은 메인보드(70)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으며, 각각은 하우징(10) 내부의 고정부재(미도시)에 의해 독립적으로 고정될 수 있다.
제 1단자(30)는 메인보드(70)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제 1단자(30)는 일측이 라운드 형태 절곡형성되고 하우징(10)에 고정되고 타측에는 제 3단자(20)와의 접촉면적이 증가될 수 있도록 제 1접촉부(31)가 형성된다.
제 1단자(30)는 SD 카드(60)가 하우징(10)에 삽입되거나 하우징(10)으로부터 분출되기 위해 최대 삽입 상태인 경우 상기한 제 1접촉부(31)를 통해 제 3단자(20)와 접촉될 수 있다.
제 2단자(50)는 메인보드(70)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제 2단자(50)에는 일측이 절곡형성되어 제 3단자(20)와의 접촉면적이 증가될 수 있도록 제 2접촉부(31)가 형성된다.
제 2단자(50)는 SD 카드(60)가 하우징(10) 내 정위치 상태인 경우 제 2 접촉부(51)를 통해 제 3단자(20)와 접촉될 수 있다.
제 3단자(20)는 메인보드(70)의 접지와 연결된다. 제 3단자(20)는 일측이 고정되고 타측이 탄성 변형된다. 제 3단자(20)는 일측이 고정되며 타측에는 라운드되게 형성되어 SD 카드(60)와 접촉되는 제 3접촉부(21)가 형성된다.
즉, 제 3단자(20)는 일측이 접지와 연결되어 SD 카드(60)의 삽입 또는 분출시 SD 카드(60)에 의해 탄성 변형되어 제 1단자(30)와 제 2단자(50) 중 어느 하나와 접촉된다.
예컨데, 도 2 를 참조하면, SD 카드(60)가 장착되기 위해 SD 카드(60)가 하우징(10) 내부에 삽입되면, 제 3단자(20)는 제 3접촉부(21)가 SD 카드(60)의 상단면과 접촉되면서 탄성 변형되고, 이때 SD 카드(60)가 최대 삽입 위치에 도달하면 제 1접촉부(31)를 통해 제 1단자(30)와 접촉된다.
이때, 제 1단자(30)는 제 3단자(20)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접지와 연결된다. 이와 같이, 제 1단자(30)와 제 3단자(20)가 전기적으로 연결됨으로서, 메인보드(70)는 쇼트 상태를 감지한다.
이후, 사용자가 SD 카드(60)를 가압하여 최대 삽입 위치까지 밀어넣은 후 가압 해제하면, SD 카드(60)는 후방으로 이동하면서 정위치에 위치하게 된다.
이때, 제 3단자(20)는 제 3접촉부(21)를 제 2단자(50)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즉, SD 카드(60)가 하우징(10)에 삽입되어 제 3단자(20)가 SD 카드(60)의 상단부와 접촉되어 탄성 변형되고, 이때 SD 카드(60)가 최대 삽입 위치에 도달하면 제 1접촉부(31)를 통해 제 1단자(30)와 접촉되어 쇼트가 감지되며, 이후 가압 해제되어 SD 카드(60)가 후방으로 이동하여 정위치에 위치하게 된다.
이에 따라, 메인보드(70)는 SD 카드(60)가 하우징(10) 내 정위치에 위치하면 해당 SD 카드(60)에 전기적으로 접속하여 SD 카드(60)의 파일 열기와 데이터 읽기 쓰기 및 파일 닫기 등의 처리를 수행하게 된다.
제 4단자(40)는 일측이 접지와 연결되어 SD 단자가 하우징(10) 내에 정위치된 상태에서 SD 카드(60)가 푸시되는지에 따라 제 3단자(20)와 선택적으로 접촉된다. 제 4단자(40)는 일측에 SD 카드(60)와 라운되게 형성되어 SD 카드(60)와 접촉되는 제 4접촉부(41)를 포함한다.
도 3 을 참조하면, SD 카드(60)가 하우징(10)에 삽입되어 제 4단자(40)의 제 4접촉부(41)가 SD 카드(60)의 상단부와 접촉되어 탄성 변형되고, 이때 SD 카드(60)가 최대 삽입 위치에 도달하면, 제 4단자(40)는 제 4접촉부(41)를 통해 제 3단자(20)와 접촉되어 제 3단자(20)와 함께 접지와 연결된다. 이후, 가압 해제되어 SD 카드(60)가 후방으로 이동하면, 제 4단자(40)는 탄성 복원되면서 제 3단자(20)와 기계적으로 떨어지게 된다.
신호 출력부는 제 4단자(40)와 제 3단자(20)의 접촉 여부에 따라 하이 신호와 로우 신호 중 어느 하나를 출력한다.
신호 출력부로는 일측이 전원부에 연결되고 타측이 제 4단자(40)에 연결되어 제 3단자(20)와 제 4단자(40)가 접촉되는지에 따라 하이 신호와 로우 신호 중 어느 하나를 출력하는 풀업 저항(R)일 수 있다.
이 경우, 풀업 저항(R)은 SD 카드(60)가 하우징(10)내 정위치된 상태에서 삽입되어 제 4단자(40)가 제 3단자(20)에 접촉되면 접지와 연결되어 로우 신호를 출력하고, SD 카드(60)가 하우징(10)내 정위치된 상태에서 분출되어 제 4단자(40)가 제 3단자(20)에 접촉 해제되면 풀업되어 하이 신호를 출력한다.
메인보드(70)는 상기한 바와 같이 각 단자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내부에 제어프로세서를 구비한다. 제어 프로세서는 단자부로부터 입력된 전기 신호에 따라 SD 카드(60)의 위치를 인식한다.
특히, 메인보드(70)는 SD 카드(60)가 하우징(10) 내에 정위치된 상태에서 신호 출력부로부터 입력된 신호를 토대로 현재 실행 중인 처리를 중단하여 파일 닫기 시퀀스를 수행한다.
즉, SD 카드(60)가 하우징(10) 내에 정위치된 상태로서 제 3단자(20)와 제 4단자(40)가 접촉되지 않아 신호 출력부로부터 하이 신호가 입력되면, 메인보드(70)는 파일 열기, 데이터 읽기나 쓰기 등을 실행한다.
이후, SD 카드(60)가 하우징(10) 내에 정위치된 상태에서 제 3단자(20)와 4단자가 접촉되어 로우 신호가 감지되면, 메인 보드는 현재 실행 중인 처리를 중단하고 파일 닫기 시퀀스를 수행한다. 이를 통해 SD 카드 실행 중에 SD 카드가 분출되더라도 파일이 손상되거나 SD 카드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정해져야할 것이다.
10: 하우징 30: 제 1단자
31: 제 1접촉부 50: 제 2단자
51: 제 2접촉부 20: 제 3단자
21: 제 3접촉부 40: 제 4단자
41: 제 4접촉부 60: SD 카드
R: 풀업 저항 70: 메인보드

Claims (5)

  1. SD 카드가 하우징에 삽입 또는 분출되는 경우 상기 SD 카드의 위치에 따른 전기적 신호를 출력하는 단자부; 및
    상기 단자부로부터 출력되는 전기 신호를 토대로 상기 하우징으로부터의 SD 카드 분출을 감지하여 상기 SD 카드에 대해 현재 실행 중인 처리를 중단하여 파일 닫기 시퀀스를 수행하는 메인보드를 포함하는 SD 카드 커넥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단자부는
    제 1단자;
    제 2단자;
    일측이 상기 메인보드의 접지와 연결되어 상기 SD 카드의 삽입 또는 분출시 상기 SD 카드에 의해 탄성 변형되어 상기 제 1단자와 상기 제 2단자 중 어느 하나와 접촉되는 제 3단자;
    상기 SD 단자가 상기 하우징 내에 정위치된 상태에서 상기 SD 카드가 푸시되는지에 따라 상기 제 3단자와 선택적으로 접촉되는 제 4단자; 및
    상기 SD 카드가 상기 하우징내 정위치된 상태에서 삽입되어 상기 제 4단자가 상기 SD 카드에 의해 상기 제 3단자가 접촉되는지에 따라 하이 신호나 로우 신호 중 어느 하나를 출력하는 신호 출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SD 카드 커넥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 출력부는
    일측이 전원부에 연결되고 타측이 상기 제 4단자에 연결되어 상기 제 3단자와 상기 제 4단자가 접촉되는지에 따라 하이 신호와 로우 신호 중 어느 하나를 출력하는 풀업 저항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SD 카드 커넥터.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 출력부는
    상기 SD 카드가 상기 하우징내 정위치된 상태에서 삽입되어 상기 제 4단자가 상기 제 3단자에 접촉되면 로우 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SD 카드가 상기 하우징내 정위치된 상태에서 분출되어 상기 제 4단자가 상기 제 3단자에 접촉 해제되면 하이 신호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SD 카드 커넥터.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보드는
    상기 SD 카드가 상기 하우징 내에 정위치된 상태에서 상기 제 3단자와 상기 4단자가 접촉되는지 여부에 따라 상기 SD 카드에 대해 현재 실행 중인 처리를 중단하여 파일 닫기 시퀀스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SD 카드 커넥터.
KR1020200030025A 2020-03-11 2020-03-11 Sd 카드 커넥터 KR10237104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30025A KR102371049B1 (ko) 2020-03-11 2020-03-11 Sd 카드 커넥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30025A KR102371049B1 (ko) 2020-03-11 2020-03-11 Sd 카드 커넥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15093A true KR20210115093A (ko) 2021-09-27
KR102371049B1 KR102371049B1 (ko) 2022-03-08

Family

ID=779251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30025A KR102371049B1 (ko) 2020-03-11 2020-03-11 Sd 카드 커넥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71049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106151A (ko) * 2011-03-17 2012-09-26 삼성전자주식회사 메모리 카드 소켓 및 이를 포함하는 데이터 처리 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106151A (ko) * 2011-03-17 2012-09-26 삼성전자주식회사 메모리 카드 소켓 및 이를 포함하는 데이터 처리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71049B1 (ko) 2022-03-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018222B2 (en) Memory card connector with card eject mechanisms
US6399906B1 (en) Switch for a card connector
US6751694B2 (en) Silicon disk drive with few slots for plural disks
US6646885B1 (en) Enhanced electronic card structure
JP5138743B2 (ja) 周辺機器
US7959448B1 (en) Flash memory device with slidable contact module
US20040087213A1 (en) Plug used for connection with a usb receptacle
US8006019B2 (en) Method and system for transferring stored data between a media player and an accessory
CN103942581A (zh) 识别卡片错误插入的电子设备及其操作方法
US20030140186A1 (en) Detection method used in adaptor capable of inserting various kinds of memory cards
US7077705B2 (en) Memory card connector
US7727024B2 (en) Electrical adapter assembly and apparatus using the same
CN102738618A (zh) 存储卡卡座、移动终端及存储卡的保护方法
TWI244809B (en) Memory card connector with card eject mechanism
US7958297B2 (en) Card-type peripheral device
US20070032122A1 (en) Electronic device with USB storage card
US6957983B1 (en) Monitoring module of multi-card connector
JP2005044783A (ja) メモリカードコネクタ用の改良型スイッチ端子
KR102371049B1 (ko) Sd 카드 커넥터
US20080148074A1 (en) Extension card incorporating power management device
JP2002231343A (ja) カードコネクタおよび弾性コンタクト片
KR20170136830A (ko) 메모리 카드 어댑터
CN111858422B (zh) 集成接口及具有所述集成接口的电子装置
US20050247796A1 (en) Memory-card type USB mass storage device
WO2005114559A1 (en) Memory card connect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