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14931A - 셀카봉, 촬영제어시스템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셀카봉, 촬영제어시스템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14931A
KR20210114931A KR1020217017124A KR20217017124A KR20210114931A KR 20210114931 A KR20210114931 A KR 20210114931A KR 1020217017124 A KR1020217017124 A KR 1020217017124A KR 20217017124 A KR20217017124 A KR 20217017124A KR 20210114931 A KR20210114931 A KR 2021011493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ndle
selfie stick
equipment
photographing equipment
condens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70171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징화 산
이빙 펑
Original Assignee
윈너즈선플라스틱전자(선전)유한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윈너즈선플라스틱전자(선전)유한회사 filed Critical 윈너즈선플라스틱전자(선전)유한회사
Publication of KR202101149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1493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0Details of cameras or camera bodi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56Accessorie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CTRANSMISSION SYSTEMS FOR MEASURED VALUES, CONTROL OR SIMILAR SIGNALS
    • G08C17/00Arrangements for transmitting signa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wireless electrical link
    • G08C17/02Arrangements for transmitting signa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wireless electrical link using a radio lin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4Supports for telephone transmitters or receiv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04M1/72409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by interfacing with external accessories
    • H04M1/72412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by interfacing with external accessories using two-way short-range wireless interfa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4Computer-aided capture of images, e.g. transfer from script file into camera, check of taken image quality, advice or proposal for image composition or decision on when to take imag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6Remote control of cameras or camera parts, e.g. by remote control de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6Remote control of cameras or camera parts, e.g. by remote control devices
    • H04N23/661Transmitting camera control signals through networks, e.g. control via the Interne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7Focus control based on electronic image sensor sig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80Camera processing pipelines; Components thereof
    • H04N5/23206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80Services using short range communication, e.g. near-field communication [NFC], radio-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or low energy communi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52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functional features of a camera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ultimedia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Studio Devices (AREA)
  • Accessories Of Camera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셀카설비 분야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셀카봉에 관한 것이다. 상기 셀카봉은 손잡이와 손잡이에 연결되어 촬영설비를 클램핑하는 데 사용되는 클램핑 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손잡이 표면에는 곡면을 이루도록 설치되어, 이미 매칭되어 있는 촬영설비를 조종하는 데 사용하는 콘덴서식 터치 모듈이 설치된다. 본 발명은 촬영제어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한다. 손잡이를 설치하여 촬영설비를 클램핑하는 데 사용되는 클램핑 장치와 손잡이 표면에 곡면을 이루고, 이미 매칭되어 있는 촬영설비를 조종하는 데 사용하는 콘덴서식 터치 모듈의 설치, 콘덴서식 터치 모듈의 조작을 통해 셀카봉과 매칭되게 연결된 촬영설비를 조종하므로, 촬영설비를 가까이 당겨 조절할 필요가 없어 조작이 편리하다.

Description

셀카봉, 촬영제어시스템 및 그 방법
본 발명은 셀카설비 분야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셀카봉, 촬영제어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촬영기자재가 발전함에 따라, 사진기와 촬영기자재는 이미 일상 생활에 광범위하게 응용되어 사람들의 사소한 일상생활 행적을 기록하는 간편한 도구가 되었다. 특히 사진을 찍고 영상을 촬영하는 기능을 구비한 휴대폰, 태블릿 등 촬영설비의 점차적인 보급은 사람들이 언제 어디서나 사진을 찍고 영상을 촬영할 수 있게 되었다.
사람들은 촬영설비로 셀카를 이용하는 경우, 많이는 셀카봉으로 촬영설비를 고정시켜 촬영에 도움받도록 하는 데, 셀카봉이 일정한 길이 범위 내에서 임의로 신축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는 셀카봉에 위치한 셔터 키(shutter key)만 누르면 다각도로 셀카를 구현할 수 있다.
종래의 셀카봉은 사용자가 촬영설비의 필터 특수 효과, 초점 거리 등과 같은 상용 셀카 조절 기능을 이용하려면 촬영설비를 가까이 당겨 조절해야 하므로, 조작하는 데 불편하다.
본 발명은 상기 종래기술의 폐단을 해결하기 위해 창출된 것으로, 그 목적은 셀카봉, 촬영제어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종래에는 셀카봉을 촬영설비와 매칭시켜 촬영할 때 촬영설비를 가까이 당겨 조종해야 하므로, 조작하는 데 불편하였다.
본 발명은 이 기술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이용하는 기술방안이 제공하는 셀카봉은 손잡이와, 손잡이에 연결되어 촬영설비를 클램핑하는 데 사용되는 클램핑 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손잡이 표면에는 곡면을 이루도록 설치되어 이미 매칭되어 있는 촬영설비를 조종하는 데 사용하는 콘덴서식 터치 모듈이 설치된다.
본 발명의 더 진일보한 바람직한 방안에서, 상기 클램핑 장치는 스테이지(stage)와, 스테이지에 설치되어 촬영설비를 클램핑하는 데 사용되는 신축이 가능한 클램핑기구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더 진일보한 바람직한 방안에서, 상기 스테이지는 원통형 구조이고 하나의 수납홈이 설치되며 상기 신축이 가능한 클램핑기구는 수납홈 중에 이동 가능하게 수납된다.
본 발명의 더 진일보한 바람직한 방안에서, 상기 신축이 가능한 클램핑기구는 상부 클램프 플레이트, 연결판, 적어도 하나의 제1 풀 로드(pull rod)와 적어도 하나의 제2 풀 로드를 포함하는 데, 상기 연결판에는 적어도 하나의 제1 블라인드 홀(blind hole)과 하나의 제2 블라인드 홀이 설치되며, 상기 상부 클램프 플레이트는 제1 풀 로드와 연결되어 제1 블라인드 홀 중에 이동식으로 설치되고 상기 스테이지는 제2 풀 로드와 연결되어 제2 블라인드 홀 중에 이동식으로 설치된다.
본 발명의 더 진일보한 바람직한 방안에서, 상기 셀카봉은 트랜스퍼(transfer)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클램핑 장치는 트랜스퍼부를 통해 손잡이의 단부에 회전식으로 장착된다.
본 발명의 더 진일보한 바람직한 방안에서, 상기 콘덴서식 터치 모듈이 손잡이에 고리형으로 설치되고 요철형 표면을 이룬다.
본 발명은 이 기술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이용하는 기술방안이 제공하는 촬영제어시스템은 상기 셀카봉을 포함하며, 상기 촬영제어시스템은 손잡이 내부에 설치되어 각각 촬영설비 및 콘덴서식 터치 모듈에 연결된 제어기 모듈을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더 진일보한 바람직한 방안에서, 상기 콘덴서식 터치 모듈은 손잡이에 고리형으로 설치된 터치검측유닛과 각각 터치검측유닛 및 제어기 모듈에 연결된 프로세서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터치검측유닛은 터치신호를 프로세서유닛까지 전송하여 처리한다.
본 발명의 더 진일보한 바람직한 방안에서, 상기 제어기 모듈은 각각 촬영설비와 프로세서유닛에 연결된 블루투스처리유닛과 블루투스처리유닛에 연결된 안테나를 포함하며, 상기 블루투스처리유닛은 프로세서유닛에 연결되고, 프로세서유닛이 처리한 후의 데이터를 취득하여 안테나를 통해 촬영설비까지 전송한다.
본 발명의 더 진일보한 바람직한 방안에서, 상기 촬영제어시스템은 손잡이 내부에 설치되어 각각 제어기 모듈과 콘덴서식 터치 모듈에 연결된 리튬 배터리와, 각각 리튬 배터리에 연결된 충전 모듈을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이 그 기술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이용하는 기술방안이 제공하는 촬영제어방법은 상기 촬영제어시스템 중에 응용되는 데, 상기 촬영제어방법은,
블루투스기능을 이용하여 촬영설비를 셀카봉과 매칭하여 연결시키는 것을 완성하는 단계;
콘덴서식 터치 모듈을 조작하여 촬영설비를 조종하는 단계;
촬영설비의 뷰티 카메라 APP와 촬영설비가 데이터의 인터렉티브(interactive)를 실시하여 촬영설비에 대한 셀카봉의 조종 동작을 완성하는 단계; 를 포함한다.
종래기술에 대비해, 본 발명이 제공하는 셀카봉, 촬영제어시스템 및 그 방법은 손잡이를 설치하여 촬영설비를 클램핑하는 데 사용되는 클램핑 장치와 손잡이 표면에 곡면을 이루고 이미 매칭되어 있는 촬영설비를 조종하는 데 사용하는 콘덴서식 터치 모듈의 설치, 콘덴서식 터치 모듈의 조작을 통해 셀카봉과 매칭되게 연결된 촬영설비를 조종하므로, 촬영설비를 가까이 당겨 조절할 필요가 없어 조작이 편리하다.
이하, 도면 및 실시예와 결합하여 본 발명을 진일보 설명하며, 도면에서,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셀카봉(수납상태)의 입체구조 설명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셀카봉(신축이 가능한 클램핑기구가 뻗어 나온 상태)의 입체구조 설명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셀카봉(신축봉은 신축 상태 시 클램핑 장치가 회전 상태에 놓임)의 입체구조 설명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셀카봉(신축봉은 신축 상태 시 클램핑 장치가 스탠딩 상태에 놓임)의 입체구조 설명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회전부의 분리 분해 설명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촬영제어시스템의 구조 블록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제어기 모듈의 회로 설명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터치검측유닛의 내부 회로 설명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충전 모듈의 회로 설명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촬영제어방법의 흐름 블록도이다.
현재 도면과 결합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5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셀카봉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제공한다.
상기 셀카봉은 손잡이(10)와, 손잡이(10)에 연결되어 촬영설비를 클램핑하는 데 사용되는 클램핑 장치(20)를 포함하며, 상기 손잡이(10) 표면에는 곡면을 이루도록 설치되어 이미 매칭되어 있는 촬영설비를 조종하는 데 사용하는 콘덴서식 터치 모듈(30)이 설치된다. 손잡이(10)와, 손잡이에 연결되어 촬영설비를 클램핑하는 데 사용되는 클램핑 장치(20)를 설치하며, 손잡이(10) 표면에 곡면을 이루도록 설치되어 이미 매칭되어 있는 촬영설비를 조종하는 데 사용하는 콘덴서식 터치 모듈(30)을 설치하고, 콘덴서식 터치 모듈(30)을 조작하여 셀카봉과 매칭되게 연결된 촬영설비를 조종함으로써, 촬영설비를 가까이 당겨 조절할 필요가 없어 조작이 편리하다.
여기에서, 촬영설비는 휴대폰, 태블릿 컴퓨터 등과 같이 촬영기능을 구비하는 제품일 수 있다. 본 실시예 중의 촬영설비는 휴대폰을 예로 들어 설명한다.
여기에서, 콘덴서식 터치 모듈(30)은 다양한 회로방식을 통해 휴대폰과 매칭되게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셀카봉에 연결와이어를 설치하여 휴대폰의 이어폰 소켓에 삽입하거나 또는 블루투스기능을 통해 무선방식으로 휴대폰과 셀카봉을 매칭하여 연결시킨다.
또한, 촬영설비의 조종은 필터 조절, 초점 거리 조절, 촬영 장면 선택(큐트(cute), 뷰티, 메이크업)등과 같이, 촬영설비에 장착된 뷰티 카메라 APP에 상용 셀카 기능을 포함하는 데, 조작이 편리하고 콘덴서식 터치 모듈(30)을 통해 사진을 촬영할 수 있다.
물론, 본 실시예에서는 손잡이(10)에 촬영설비와 연결된 제어버튼(40)을 설치하여 단독으로 제어버튼(40)을 눌러 사진을 촬영한다. 또한, 신축봉(50)을 설치하여 각각 손잡이(10) 및 클램핑 장치(20)와 연결하고 신축봉(50)을 조종하여 클램핑 장치(20)와 손잡이(10) 간 거리를 조절하며, 촬영설비와 사용자 간 거리를 조절하고 클램핑 장치(20)를 수납하여 셀카봉의 전체 부피를 줄이므로, 휴대하는 데 편리하다.
상세하게, 상기 콘덴서식 터치 모듈(30)은 손잡이(10)에 설치되어 손잡이(10)와 신축봉(50)이 연결된 일단에 가까이 한다.
더 나아가, 상기 콘덴서식 터치 모듈(30)은 손잡이(10)에 고리형으로 설치되고 요철형 표면을 이룬다.
상세하게, 상기 콘덴서식 터치 모듈(30)은 다수 개의 마름모형 오목홈(31)이 손잡이(10)에 고리형으로 설치되고 요철형을 이루는 표면이다. 손잡이(10)에 고리형으로 설치된 콘덴서식 터치 모듈(30)과 다수 개의 마름모형 오목홈(31)으로 형성된 요철형 표면에 의해 셀카봉의 표면이 더 보기 좋게 구성된다. 물론, 기타 실시예에서는 기타 형상의 오목홈을 손잡이에 고리형으로 설치하고 요철형 표면을 형성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클램핑 장치(20)는 스테이지(stage)(21)와, 스테이지(21)에 설치되어 촬영설비를 클램핑하는 데 사용되는 신축이 가능한 클램핑기구(22)를 포함한다. 촬영설비를 사용하여 촬영하는 경우, 촬영설비를 스테이지(21)에 배치하고, 신축이 가능한 클램핑기구(22)를 조작하여 촬영설비를 클램핑하는데 적합하도록 함으로써, 촬영설비의 위치를 고정시킨다.
더 나아가, 상기 스테이지(21)는 원통형 구조로서, 하나의 수납홈(23)이 설치되며, 상기 신축이 가능한 클램핑기구(22)는 수납홈(23) 중에 이동 가능하게 수납된다. 스테이지(21)는 수납홈(23)을 설치하여 셀카봉을 사용하지 않을 때 신축이 가능한 클램핑기구(22)를 스테이지(21)의 수납홈(23) 중에 수납할 수 있어 셀카봉의 전체 부피가 작고 휴대하는 데 편리하다.
여기에서, 상기 신축이 가능한 클램핑기구(22)는 상부 클램프 플레이트(221), 연결판(222), 적어도 하나의 제1 풀 로드(pull rod)(223)와 적어도 하나의 제2 풀 로드(224)를 포함하는 데, 상기 연결판(222)에는 적어도 하나의 제1 블라인드 홀(blind hole)(미도시)과 하나의 제2 블라인드 홀(미도시)이 설치되며, 상기 상부 클램프 플레이트(221)는 제1 풀 로드(223)와 연결되어 제1 블라인드 홀 중에 이동식으로 설치되고 상기 스테이지(21)는 제2 풀 로드(224)와 연결되어 제2 블라인드 홀 중에 이동식으로 설치된다. 사용자는 상부 클램프 플레이트(221)를 당겨 움직임으로써, 제1 풀 로드(223)가 제1 블라인드 홀에 진입하는 깊이를 조절하여 촬영설비를 클램핑하는 데 적합되도록 조절하며, 또한, 제2 풀 로드(224)가 제2 블라인드 홀에 진입하는 깊이를 조절하여 연결판(222)을 스테이지(21)의 수납홈 중에 수납한다.
상세하게, 상기 신축이 가능한 클램핑기구(22)는 두 개의 제1 풀 로드(223)와 두 개의 제2 풀 로드(224)를 포함하는 데, 상기 연결판(222)의 양측은 제1 풀 로드(223)와 매칭되는 제1 블라인드 홀과, 제1 블라인드 홀과 어긋나게 설치된 두 개의 제2 풀 로드(224)에 매칭되게 설치된 제2 블라인드 홀을 설치함으로써, 신축이 가능한 클램핑기구(22)가 더 안정된 구조를 이룬다.
또한, 상부 클램프 플레이트(221)가 스테이지(21)를 가까이 하는 단면에는 적어도 하나의 제1 돌기(225)와 제1 오목홈(228)을 설치하며, 스테이지(21)가 상부 클램프 플레이트(221)에 접촉하는 단면에는 제1 돌기(225)에 매칭되는 제2 오목홈(211)과 제1 오목홈(228)에 매칭되는 제2 돌기(212)를 설치한다. 연결판(222)은 수납홈(23) 중에 이동식으로 수납되고, 상부 클램프 플레이트(221)는 스테이지(21)의 단면과 매칭되며, 제1 돌기(225), 제2 돌기(212), 제1 오목홈(228)과 제2 오목홈(211)를 설치함으로써, 상부 클램프 플레이트(221)가 슬라이딩하여 스테이지(21)의 단면으로부터 이탈하는 것이 쉽지 않게 되어 더 안정적인 구조를 이룬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셀카봉은 트랜스퍼(transfer)부(60)를 더 포함하며, 상기 클램핑 장치(20)는 트랜스퍼부(60)를 통해 손잡이(10)의 단면에 회전식으로 장착된다. 물론, 신축봉(50)을 설치하여 각각 손잡이(10) 및 클램핑 장치(20)와 연결하고, 트랜스퍼부(60)를 신축봉(50)과 클램핑 장치(20) 사이에 설치하며, 클램핑 장치(20)는 트랜스퍼부(60)를 통해 신축봉(50)의 단부에 회전식으로 장착할 수도 있다.
상세하게, 상기 신축봉(50)과 트랜스퍼부(60)가 연결되는 단부에는 제1 관통홀(51)이 설치되고, 상기 트랜스퍼부(60)는 클램핑 장치(20)와 고정되게 연결된 두 개의 귀마개(61), 클램핑 장치(20)와 연결되고 두 개의 귀마개(61) 사이에 설치되며, 제1 관통홀(51)과 매칭되는 제2 관통홀(621)을 설치한 연결단(62), 제1 관통홀(51)과 제2 관통홀(621)에 관통하여 설치되는 회전축을 포함한다.
여기에서, 회전축은 나사(63)이며, 트랜스퍼부(60)의 연결단(62)이 나사(63)를 회전축으로 삼아 제2 관통홀(621)과 제1 관통홀(51)을 관통해 설치되고 신축봉(50)의 단부와 회전식으로 연결되며, 사용자가 촬영설비의 촬영 각도를 조절하는 데 편리하도록 클램핑 장치(20)는 트랜스퍼부(60)를 통해 신축봉(50)의 단부에 회전식으로 장착된다.
도 6 내지 도 9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촬영제어시스템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제공한다.
상기 촬영제어시스템은 상기 셀카봉을 포함하고 손잡이(10) 내부에 설치되어 각각 촬영설비와 콘덴서식 터치 모듈(30)에 연결된 제어기 모듈(70)을 더 포함한다. 상기 제어기 모듈(70)은 콘덴서식 터치 모듈(30)의 터치신호를 수신하고 처리한 후, 촬영설비까지 전송하며, 촬영설비는 제어기 모듈(70)이 전송한 신호에 근거해 대응되는 조작을 실시하여 이미 매칭되어 있는 촬영설비를 조종한다.
여기에서, 콘덴서식 터치 모듈(30)은 다양한 회로방식으로 촬영설비와 매칭하여 연결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셀카봉을 통해 연결와이어를 설치하고 유선방식으로 셀카봉과 매칭하여 연결하거나 또는 블루투스기능을 통해 무선방식으로 휴대폰과 셀카봉을 매칭하여 연결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블루투스기능을 통해 무선방식으로 휴대폰과 셀카봉을 매칭하여 연결한다.
사용자는 콘덴서식 터치 모듈(30)을 조작하고 제어기 모듈(70)을 통해 터치신호를 처리하여 촬영설비까지 전송함으로써, 촬영설비를 조종하여, 촬영설비를 가까이 당겨 조작할 필요가 없어 조작이 편리하다.
상세하게, 상기 콘덴서식 터치 모듈(30)은 손잡이(10)에 고리형으로 설치된 터치검측유닛(32)과, 각각 터치검측유닛(32)과 제어기 모듈(70)에 연결된 프로세서유닛(33)을 포함하며, 상기 터치검측유닛(32)은 터치신호를 프로세서유닛(33)까지 전송하여 처리한다.
여기에서, 도 7과 도 8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인체는 전도체로서, 터치검측유닛(32)에 대응되는 회로가 균일한 정전기장을 형성할 수 있으며, 손가락이 터치검측유닛(32)에 접촉하고 그 위에서 슬라이딩할 때, 터치검측유닛(32) 표면의 커패시터에 변화가 발생하며, 터치검측유닛(32)에 대응하는 회로는 커패시터의 변화에 의해 판단하여 예정된 기능을 구현하며, 여기에서, 도 8에 도시된 J1은 터치스크린검측유닛(32) 내부와 외부의 인터페이스이다. 손가락이 터치검측유닛(32)에 접촉하고 그 위에서 슬라이딩할 때, 프로세서유닛(33)은 손가락이 슬라이딩하는 데이터를 클록 라인(Clock Line)과 시그널 라인(signal line)으로 제어기 모듈(70)까지 전송하고, 다시 제어기 모듈(70)이 무선방식으로 촬영설비까지 전송한다.
상세하게, 상기 제어기 모듈(70)은 각각 촬영설비와 프로세서유닛(33)에 연결된 블루투스처리유닛(71)과 블루투스처리유닛(71)에 연결된 안테나(72)를 포함하며, 상기 블루투스처리유닛(71)은 프로세서유닛(33)에 연결되고 프로세서유닛(33)이 처리된 데이터를 취득하여, 안테나(72)를 통해 무선방식으로 촬영설비까지 전송한다. 블루투스처리유닛(71)은 프로세서유닛(33)이 전송한 데이터를 수신한 후, 안테나(72)를 제어하여 제어신호를 무선방식으로 촬영설비까지 전송한다.
여기에서, 도 7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제어기 모듈(70)의 회로 설명도이다. 바람직하게, 본 발명 중의 블루투스처리유닛(71)은 NORDIC_nRF52810 칩을 이용한다. 촬영설비를 사용하여 셀카를 찍는 경우에는 대부분이 휴대폰을 이용해 셀카를 찍는 데, NORDIC_nRF52810 칩은 휴대폰 호환성이 높아 무려 98%에 달하며, 셀카봉은 Andriod5.0 이상, IOS5.0.1이상 시스템 버전의 휴대폰을 호환이 가능하게 지원한다. 촬영설비는 휴대폰 자체에 구비된 블루투스기능처럼 제어기 모듈과 고속 무선으로 연결되어 제어신호를 전송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촬영제어시스템은 손잡이(10) 내부에 설치되고, 각각 제어기 모듈(70)과 콘덴서식 터치 모듈(30)에 연결된 리튬 배터리(80)와 각각 리튬 배터리(80)에 연결된 충전 모듈(90)을 더 포함한다. 손잡이(10) 내부에 리튬 배터리(80)를 설치하여 제어기 모듈(70)과 콘덴서식 터치 모듈(30)에게 작업 전압을 제공하며, 충전 모듈(90)을 통해 셀카봉을 사용하지 않는 상황에서 손잡이 중의 리튬 배터리(80)를 충전할 수도 있다. 리튬 배터리는 순환 충전 횟수가 많을 수 있어 친환경적이고 사용 수명이 길다.
상세하게, 도 9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충전 모듈(90)의 회로 설명도이다. 바람직하게, 본 실시예 중의 충전 모듈(90)은 TP4054칩을 이용한다. TP4054칩은 일정 전류/일정 전압을 이용하여 선형 방식으로 리튬 이온 배터리에게 충전하는 칩이다. 내부 PMOSFET 아키텍처를 이용하고 역충전 방지 회로를 추가하므로, 레지스터 외부 검측과 다이오드 격리가 필요없다. TP4054칩 내부의 열 피드백은 충전 전류를 조절하여 고출력 조작 또는 고-환경온도 조건에서 칩 온도를 한정할 수 있다. 충전 전압은 4.2V로 고정되고 충전 전류는 하나의 레지스터를 통해 외부에 설치할 수 있다. 충전 전류가 최종 부동 충전 전압에 도달한 후 설정 값의 1/10 까지 강하한 경우에는 TP4054칩이 자동으로 충전 순환을 종결한다.
전압이 입력되지 않은 경우, TP4054칩은 자동으로 하나의 저(低)전류 상태에 진입하여 배터리 누설 전류를 1uA 이하까지 강하시킨다. TP4054칩을 정지모드에 배치하여 송전 전류를 25uA까지 강하시킬 수도 있다. TP4054칩의 기타 특징에는 충전 전류 모니터링, 저전압 록아웃-자동재충전, 충전 종료와 입력전압 접속 상태를 가리키는 데 사용하는 하나의 핀(pin)이 포함된다.
TP4054칩을 사용하면 충전 모듈의 제어칩을 외부로 연결한 부품을 줄일 수 있어, 충전 모듈의 회로 구조가 더 간단해 지고, 회로기판의 전체 부피를 줄이는 데 더 이로우며, 셀카봉의 소형화에 유용하여 휴대하기 편리하다.
도 10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촬영제어방법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더 제공한다.
상기 촬영제어방법은 상기 촬영제어시스템 중에 응용되며, 상기 촬영제어방법은,
블루투스기능을 이용하여 촬영설비를 셀카봉과 매칭하여 연결시키는 것을 완성하는 단계 S10;
콘덴서식 터치 모듈(30)을 조작하여 촬영설비를 조종하는 단계 S20;
촬영설비의 뷰티 카메라 APP와 촬영설비가 데이터의 인터렉티브(interactive)를 실시하여 촬영설비에 대한 셀카봉의 조종 동작을 완성하는 단계 S30; 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촬영제어방법은 상기 촬영제어시스템 중에 응용되며, 블루투스기능을 이용하여 촬영설비를 셀카봉과 매칭하여 연결시킨 후, 콘덴서식 터치 모듈(30)을 조작하며, 촬영설비가 콘덴서식 터치 모듈(30)의 터치 신호를 수신한 후, 촬영설비와 그에 장착된 뷰티 카메라 APP가 백그라운드에서 데이터의 인터렉티브(interactive)를 실시함으로써, 콘덴서식 터치 모듈(30)을 조작하고 촬영설비 중 뷰티 카메라 APP에서 상용 셀카 조절 기능에 대한 조작이 완성되는 데, 예를 들어, 필터 조절, 초점 거리 조절, 촬영 장면 선택(큐트(cute), 뷰티, 메이크업)등은 콘덴서식 터치 모듈(30)을 통해 사진을 촬영할 수 있으며, 촬영설비를 가까이 당겨 조절할 필요가 없어 조작에 편리하다.
상기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방안을 설명하는 데만 사용하고 그를 한정하지 않으며, 본 기술분야의 기술자들은 상기 실시예에 기재된 기술방안을 수정하거나 또는 그 중 일부 기술특징에 대해 등가적 치환을 실시할 수 있으며; 모든 이러한 수정과 치환은 모두 본 발명에 추가된 청구항의 보호 범위에 속해야 한다는 것을 이해하여야 할 것이다.

Claims (11)

  1. 셀카봉에 있어서,
    손잡이와, 손잡이에 연결되어 촬영설비를 클램핑하는 데 사용되는 클램핑 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손잡이 표면에는 곡면을 이루도록 설치되어 이미 매칭되어 있는 촬영설비를 조종하는 데 사용하는 콘덴서식 터치 모듈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셀카봉.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클램핑 장치는 스테이지(stage)와, 스테이지에 설치되어 촬영설비를 클램핑하는 데 사용되는 신축이 가능한 클램핑기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셀카봉.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스테이지는 원통형 구조이고, 하나의 수납홈이 설치되며, 상기 신축이 가능한 클램핑기구는 수납홈 중에 이동 가능하게 수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셀카봉.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신축이 가능한 클램핑기구는 상부 클램프 플레이트, 연결판, 적어도 하나의 제1 풀 로드(pull rod)와 적어도 하나의 제2 풀 로드를 포함하는 데, 상기 연결판에는 적어도 하나의 제1 블라인드 홀(blind hole)과 하나의 제2 블라인드 홀이 설치되며, 상기 상부 클램프 플레이트는 제1 풀 로드와 연결되어 제1 블라인드 홀 중에 이동식으로 설치되고, 상기 스테이지는 제2 풀 로드와 연결되어 제2 블라인드 홀 중에 이동식으로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셀카봉.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셀카봉은 트랜스퍼(transfer)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클램핑 장치는 트랜스퍼부를 통해 손잡이의 단부에 회전식으로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셀카봉.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콘덴서식 터치 모듈이 손잡이에 고리형으로 설치되고, 요철형 표면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셀카봉.
  7. 촬영제어시스템에 있어서,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의 상기 셀카봉을 포함하며, 상기 촬영제어시스템은 손잡이 내부에 설치되어 각각 촬영설비 및 콘덴서식 터치 모듈에 연결된 제어기 모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영제어시스템.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콘덴서식 터치 모듈은 손잡이에 고리형으로 설치된 터치검측유닛과 각각 터치검측유닛, 및 제어기 모듈에 연결된 프로세서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터치검측유닛은 터치신호를 프로세서유닛까지 전송하여 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영제어시스템.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기 모듈은 각각 촬영설비와 프로세서유닛에 연결된 블루투스처리유닛과, 블루투스처리유닛에 연결된 안테나를 포함하며, 상기 블루투스처리유닛은 프로세서유닛에 연결되고, 프로세서유닛이 처리한 후의 데이터를 취득하여 안테나를 통해 촬영설비까지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영제어시스템.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사진촬영제어시스템은 손잡이 내부에 설치되어, 각각 제어기 모듈과 콘덴서식 터치 모듈에 연결된 리튬 배터리와 각각 리튬 배터리에 연결된 충전 모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영제어시스템.
  11. 촬영제어 방법에 있어서,
    상기 촬영제어 방법은 제8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의 촬영제어시스템에 응용되고, 상기 촬영제어 방법은,
    블루투스기능을 이용하여 촬영설비를 셀카봉과 매칭하여 연결시키는 것을 완성하는 단계;
    콘덴서식 터치 모듈을 조작하여 촬영설비를 조종하는 단계;
    촬영설비의 뷰티 카메라 APP와 촬영설비가 데이터의 인터렉티브(interactive)를 실시하여 촬영설비에 대한 셀카봉의 조종 동작을 완성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영제어 방법.
KR1020217017124A 2018-11-16 2019-11-13 셀카봉, 촬영제어시스템 및 그 방법 KR20210114931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1811369198.5A CN109639871A (zh) 2018-11-16 2018-11-16 一种自拍杆、拍照控制系统及其方法
CN201811369198.5 2018-11-16
PCT/CN2019/118218 WO2020098724A1 (zh) 2018-11-16 2019-11-13 一种自拍杆、拍照控制系统及其方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14931A true KR20210114931A (ko) 2021-09-24

Family

ID=660682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7017124A KR20210114931A (ko) 2018-11-16 2019-11-13 셀카봉, 촬영제어시스템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210344830A1 (ko)
EP (1) EP3883225A4 (ko)
JP (1) JP2022507069A (ko)
KR (1) KR20210114931A (ko)
CN (1) CN109639871A (ko)
WO (1) WO202009872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208503900U (zh) * 2018-06-14 2019-02-15 单景华 一种拍摄设备的夹持装置及自拍杆
CN209170458U (zh) * 2018-11-16 2019-07-26 单景华 一种自拍杆
CN109639871A (zh) * 2018-11-16 2019-04-16 单景华 一种自拍杆、拍照控制系统及其方法
CN111246594A (zh) * 2020-01-21 2020-06-05 源德盛塑胶电子(深圳)有限公司 一种终端设备和通讯系统及通讯连接方法
USD972624S1 (en) * 2020-07-21 2022-12-13 Shenzhen Leaderment Technology Co., Ltd. Selfie stick
USD1009135S1 (en) * 2021-08-05 2023-12-26 Shenzhen Yuansu Chuangda Technology Co., Ltd Tripod
DE102021131471A1 (de) 2021-11-30 2023-06-01 PINPODS GmbH Tragbare Haltevorrichtung zum Halten und Positionieren eines mobilen elektronischen Geräts
USD994013S1 (en) * 2022-09-05 2023-08-01 Shenzhen Leaderment Technology Co., Ltd. Tripod gimbal

Family Cites Families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982051B2 (en) * 2009-03-30 2015-03-17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Detecting touch on a surface
CN201528363U (zh) * 2009-09-25 2010-07-14 三星电子株式会社 侧面具有触摸单元的便携式终端
JP2014229014A (ja) * 2013-05-21 2014-12-08 日本精機株式会社 タッチパネル入力操作装置
CN104636070B (zh) * 2015-02-09 2019-04-26 联想(北京)有限公司 触摸控制方法及电子设备
CN204465665U (zh) * 2015-04-02 2015-07-08 海宁市丰达电子有限公司 一种自拍杆
CN205824568U (zh) * 2015-04-24 2016-12-21 中山品创塑胶制品有限公司 一种自拍杆的控制手柄
TWI582519B (zh) * 2015-04-30 2017-05-11 鴻海精密工業股份有限公司 自拍裝置
CN205029724U (zh) * 2015-08-17 2016-02-10 北京上品卓越科技有限公司 一种新型蓝牙手机自拍杆
CN204965384U (zh) * 2015-10-08 2016-01-13 信利光电股份有限公司 一种触摸屏及电子设备
CN107426375A (zh) * 2016-05-24 2017-12-01 华东交通大学 一种多功能自拍杆
JP6610479B2 (ja) * 2016-09-15 2019-11-27 株式会社豊田自動織機 操作装置
CN206117769U (zh) * 2016-10-25 2017-04-19 东莞市联臣电子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自拍杆
EP3537702A1 (en) * 2016-11-04 2019-09-11 Shenzhen Royole Technologies Co., Ltd. Selfie stick and method for controlling photographing device by means of selfie stick
CN107061938B (zh) * 2017-01-04 2023-02-07 中山品创塑胶制品有限公司 自拍杆
CN206402283U (zh) * 2017-01-12 2017-08-11 中山品创塑胶制品有限公司 夹持装置及自拍杆
CN206698276U (zh) * 2017-05-05 2017-12-01 美载(厦门)网络科技有限公司 一种智能补光充电宝自拍杆
CN207251725U (zh) * 2017-08-23 2018-04-17 昆山龙腾光电有限公司 一种多功能自拍杆
CN207321331U (zh) * 2017-09-21 2018-05-04 东莞市太业电子股份有限公司 一种自拍杆
CN109639871A (zh) * 2018-11-16 2019-04-16 单景华 一种自拍杆、拍照控制系统及其方法
CN209170458U (zh) * 2018-11-16 2019-07-26 单景华 一种自拍杆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0098724A1 (zh) 2020-05-22
EP3883225A4 (en) 2022-01-19
EP3883225A1 (en) 2021-09-22
JP2022507069A (ja) 2022-01-18
CN109639871A (zh) 2019-04-16
US20210344830A1 (en) 2021-11-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10114931A (ko) 셀카봉, 촬영제어시스템 및 그 방법
US9961243B2 (en) Attachable smartphone camera
CN204231463U (zh) 一种手机拍摄支撑杆
US10986260B2 (en) Selfie stick and method for controlling photographic device by selfie stick
US9826144B2 (en) Peripheral equipment for controlling camera arranged in a terminal, system and method thereof
CN110716420B (zh) 可穿戴设备及显示方法
US8587719B2 (en) Ear-hanging miniature video camera
US20170366746A1 (en) Peripheral equipment for controlling camera arranged in a terminal, system and method thereof
US20160248962A1 (en) Handle-Type Photo Shooting Remote Control Device
CN203377957U (zh) 拍摄系统、拍摄装置及控制终端摄像头的外部设备
US20200103989A1 (en) Processing apparatus and processing system
CN204362171U (zh) 一种红外外接摄像头
CN205566481U (zh) 一种运动相机直播装置及其系统
CN103888648A (zh) 一种眼镜摄像机
CN204241815U (zh) 一种相机可拓展快门线
CN204145607U (zh) 一种基于流媒体应用平台的无线传输视频终端
CN203801005U (zh) 一种手柄式的拍摄遥控装置
CN205912150U (zh) 一种拍摄装置及其系统
KR200354006Y1 (ko) 무선 원격 셀프-셔터 릴리스 카메라
KR20200071524A (ko) 다기능 셀카봉
CN204859238U (zh) 一种自拍手机
CN204852861U (zh) 可提供电力的自拍棒
CN203734739U (zh) 基于无线通信的摄影摄像设备
CN207516636U (zh) 一种多路同显电子瞄准器
CN215300742U (zh) 一种智能终端用外接摄像系统及其数据传输模块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