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14326A - 섬유상 여과기의 역세정 흡입장치 - Google Patents

섬유상 여과기의 역세정 흡입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14326A
KR20210114326A KR1020200170966A KR20200170966A KR20210114326A KR 20210114326 A KR20210114326 A KR 20210114326A KR 1020200170966 A KR1020200170966 A KR 1020200170966A KR 20200170966 A KR20200170966 A KR 20200170966A KR 20210114326 A KR20210114326 A KR 2021011432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eping
villi
slit
suction
backwash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709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625587B1 (ko
Inventor
국중창
국영롱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그레넥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그레넥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그레넥스
Publication of KR202101143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1432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255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2558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3/00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which move during the filtering operation
    • B01D33/44Regenerating the filter material in the filter
    • B01D33/52Regenerating the filter material in the filter by forces created by movement of the filter ele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3/00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which move during the filtering operation
    • B01D33/15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which move during the filtering operation with rotary plane filtering surfaces
    • B01D33/21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which move during the filtering operation with rotary plane filtering surfaces with hollow filtering discs transversely mounted on a hollow rotary shaft
    • B01D33/23Construction of discs or component sectors there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3/00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which move during the filtering operation
    • B01D33/80Accessories
    • B01D33/801Driving means, shaft packing systems or the lik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Filtering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흡입 몸체 안에 돌기가 형성된 위핑 부재를 구성하고, 슬릿을 통해 흡입 몸체 안으로 빨려들어 온 융털이 이 위핑 부재에 부딪히는 과정, 돌기에 반복적으로 부딪히는 과정 그리고 이 위핑 부재에 휘감겼다가 다시 풀리는 과정에서 생긴 관성을 이용해 이물을 털어내는 것과 같은 효과로 이물을 제거할 수 있게 구성함으로써, 융털에 대한 역세정 효과를 높일 수 있고 이에 역세정에 필요한 역세수량을 적게 사용할 수 있는 섬유상 여과기의 역세정 흡입장치를 제공한다. 특히, 본 발명은 다양한 폭 단면으로 이루어진 위핑 부재가 슬릿과 마주하게 흡입 몸체에 구성함으로써, 슬릿을 통해 직선 형태로 흡입되는 융털이 위핑 부재에 부딪히고, 휘감겼다가 풀리면서 받는 관성을 통해 역세정 효과를 더욱더 높일 수 있다.

Description

섬유상 여과기의 역세정 흡입장치{BACK WASH DEVICE FOR FABRIC FILTRATION APPARATUS}
본 발명은 섬유상 여과기의 역세정 흡입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흡입 몸체 안에 돌기가 형성된 위핑(whipping)부재를 형성하고, 슬릿을 통해 흡입 몸체 안으로 빨려 들어온 융털이 이 위핑 부재에 부딪히면서 융털에 달라붙은 이물을 털어내듯 제거한 다음, 융털이 위핑 부재에 감기면서 생긴 관성과 감긴 융털이 풀리면서 발생한 관성을 통해 각각 이물을 털어내 듯이 융털에 달라붙은 이물을 털어낼 수 있게 구성함으로써 역세정 효과를 높이고, 이에 따라서 역세정에 사용하는 역세수 사용량을 줄일 수 있게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섬유상 여과기는 디스크 형상의 필터 표면에 섬유(융털)를 구비하여 오염수 등이 이 섬유를 통과하는 동안 이물질이 여과되도록 한 여과기를 말한다. 이러한 섬유상 여과기에는, 아래의 (특허문헌 1) 내지 (특허문헌 3)과 같이, 섬유 디스크 필터의 표면에 달라붙은 이물을 역세정 방식으로 흡입하여 제거하는 역세정 흡입장치를 장착한다.
(특허문헌 1) 한국등록특허 제10-1177369호
디스크형 필터편과 맞닿게 장착되는 역세정 흡입장치가 섬유 등에 부착된 이물질을 제거하는 작용을 하지 않을 때에는 이 디스크형 필터편으로부터 분리되게 함으로써, 디스크형 필터편에 구성된 섬유가 장시간 동안 역세정 흡입장치에 의해 눌리는 현상을 방지하여 섬유의 여과효율의 향상 및 수명을 연장할 줄 수 있도록 한 역세정 흡입장치 및 이를 이용한 섬유상 여과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특히, 역세정 흡입장치가 부력을 이용하여 디스크형 필터편에서 이격되게 구성함으로써, 구조가 간단하면서도 쉽게 동작시켜 역세정 흡입장치를 밀착 또는 분리시킬 수 있도록 한 역세정 흡입장치 및 이를 이용한 섬유상 여과기를 제공하는데 다른 목적이 있다.
(특허문헌 2) 한국등록특허 제10-1398838호
역세정 흡입장치가 역세정시에만 디스크형 필터의 표면과 마주보며 맞닿게 하여 필요한 역세정 작용이 이루어지게 함으로써, 역세정 흡입장치가 디스크형 필터의 표면에 구성된 섬유를 누르는 시간을 최소화하여 섬유의 여과 효율의 향상 및 그 수명을 연장해 주고, 이처럼 섬유의 눌림에 따라 발생하는 회전 부하를 줄여 소요되는 에너지를 줄임으로써 흡입장치에 필요한 동력전달 장치의 크기를 줄여 컴팩트하게 제작할 수 있는 역세정 흡입장치 및 이를 이용한 섬유상 여과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특히, 실린더, 또는 이 실린더와 함께 코일 스프링을 이용하여 역세정 흡입장치가 역세정시에만 디스크형 필터와 밀착되게 구성함으로써, 간단한 구조로 이루어지면서도 제조가 용이하고 쉬운 조작으로 역세정 흡입장치를 밀착 또는 분리시킬 수 있도록 한 역세정 흡입장치 및 이를 이용한 섬유상 여과기를 제공하는데 다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인접한 2개의 역세정 흡입바를 하나의 실린더(또는 코일 스프링과 함께)로 작동시킬 수 있게 함으로써, 그 전체적인 구성을 더욱 간단하게 하면서도 용이하게 조작할 수 있게 한 역세정 흡입장치 및 이를 이용한 섬유상 여과기를 제공하는데 다른 목적이 있다.
(특허문헌 3) 한국공개특허 제10-2018-0020500호
본체와 흡입판이 서로 접촉하는 부분이 요철 형태로 결합하게 구성하여 밀봉 부재가 없이도 유체가 새지 않게 구성할 뿐만 아니라 훅 방식으로 이 본체와 흡입판이 서로 결합할 수 있게 구성하므로 부품 개수를 줄여 제조 시간과 비용을 줄이면서도 제조원가를 줄일 수 있게 한 섬유 여과기의 역세정 장치용 흡입 상자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특히, 본 발명은 상기 본체와 흡입판을 플라스틱으로 사출 성형하므로, 복잡한 형상도 쉽고 신속하게 대량으로 생산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구성 요소의 제조시간과 제조비용을 줄일 수 있게 한 섬유 여과기의 역세정 장치용 흡입 상자를 제공하는 데 다른 목적이 있다.
하지만, 이러한 기존의 역세정 흡입장치는 다음과 같은 문제가 발생한다.
(1) 여과작용에 따라서 섬유 디스크 필터에 이물질이 축적되면 필터의 여과작용에 문제가 생기기 때문에 섬유 디스크 필터를 적절히 역세정해야 한다.
역세정의 경우 이미 여과된 물을 사용하여 세정하기 때문에 여과수의 손실이 발생하므로 이러한 여과수 손실을 줄이기 위해서는 기존의 섬유디스크 필터는 역세정 효율을 향상시킬 필요가 있다.
(2) 즉, 역세정 효율을 향상시키면 역세정 시간 및 역세정에 사용하는 여과수 량을 줄일 수 있게된다.
(3) 따라서 이 기술분야에서 역세정 효율을 향상시키는 것은 중요한 과제이다.
한국등록특허 제10-1177369호 (등록일: 2012.08.21) 한국등록특허 제10-1398838호 (등록일: 2014.05.19) 한국공개특허 제10-2018-0020500호 (공개일: 2018.02.28)
본 발명은 이러한 점을 고려한 것으로, 흡입 몸체 안에 적어도 하나의 돌기가 형성된 위핑 부재를 구성하고, 슬릿을 통해 흡입 몸체 안으로 빨려들어 온 융털이 이 위핑 부재에 부딪히는 과정, 돌기에 반복적으로 부딪히는 과정 그리고 이 위핑 부재에 휘감겼다가 다시 풀리는 과정에서 생긴 관성을 이용해 이물을 털어내는 것과 같은 효과로 이물을 제거할 수 있게 구성함으로써, 융털에 대한 역세정 효과를 높일 수 있고 이에 역세정에 필요한 역세수량을 적게 사용할 수 있게 한 섬유상 여과기의 역세정 흡입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특히, 본 발명은 위핑 부재가 슬릿과 마주하게 흡입 몸체에 구성함으로써, 슬릿을 통해 직선 형태로 흡입되는 융털이 위핑 부재에 부딪히고, 휘감겼다가 풀리면서 받는 관성을 통해 역세정 효과를 더욱더 높일 수 있게 한 섬유상 여과기의 역세정 흡입장치를 제공하는데 다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위핑 부재를 다양한 폭 단면 중에서 유선형으로 제작함에 따라 역세정에 필요한 역세수의 유동 저항을 최소화하면서도 융털이 이 위핑 부재에 부딪히고, 감겼다가 다시 풀리게 하여 역세정 효과를 한층 더 높일 수 있게 한 섬유상 여과기의 역세정 흡입장치를 제공하는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섬유상 여과기의 역세정 흡입장치는, 용기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내부의 내용물을 외부로 배출할 수 있게 배수 구멍(110)을 갖춘 흡입 몸체(100); 및 상기 흡입 몸체(200)에 입구 부분을 마감할 수 있게 장착하고, 역세정할 수 있도록 적어도 하나의 슬릿(210)을 갖춘 흡입판(200);을 포함하되;, 상기 흡입 몸체(100)에는, 상기 슬릿(210)을 통해 흡입 몸체(100) 안으로 빨려들어 온 융털(F)이 부딪힐 수 있는 위치에 오도록 상기 슬릿(210)을 따라서 적어도 하나의 위핑 부재(120)가 형성되되, 상기 위핑 부재(120)에는 외면에 길이방향으로 적어도 하나의 돌기(121)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특히, 상기 위핑 부재(120)는, 상기 슬릿(210)과 마주하여 미리 정한 거리만큼 떨어진 위치에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위핑 부재(120)는, 상기 슬릿(210)과 마주하여 나란하게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위핑 부재(120)는, 폭 단면이 원형, 반원, 타원형, 반타원형, 유선형, 다각형 또는 정다각형 형상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흡입판(200)은, 합성수지를 사출하여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마지막으로, 상기 위핑 부재(120)는, 상기 슬릿(210)에서 미리 정한 간격만큼 떨어지게 하여 상기 슬릿(210) 안으로 길게 빨려 들어오는 융털(F)이 부딪히게 하여 이물을 제거하고, 이어 이 융털(F)이 상기 위핑 부재(120)에 감기면서 받는 관성으로 다시 이물을 제거한 다음, 상기 위핑 부재(120)에 감긴 융털(F)이 위핑 부재(120)에서 풀리면서 다시 이물을 제거할 수 있게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섬유상 여과기의 역세정 흡입장치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1) 슬릿 안으로 빨려들어 온 융털이 위핑 부재에 부딪히게 하여 그 관성으로 융털에 달라붙은 이물을 털어내는 것처럼 제거할 수 있으므로, 융털에 대한 역세정 흡입 효과를 높일 수 있다.
(2) 이때, 빨려들어 온 융털이 위핑 부재에 부딪힌 다음, 융털의 끝 부분이 위핑 부재에 감기면서 받는 관성으로 융털에 달라붙은 이물을 털어내는 것처럼 제거한 뒤에, 다시 위핑 부재에 감겼던 융털의 끝 부분이 풀리면서 받는 관성으로 융털에 달라붙은 이물을 털어내는 것처럼 제거할 수 있게 되므로, 융털에 달라붙은 이물 제거 효과를 더욱더 높일 수 있다.
(3) 다양한 태양의 융털도 쉽고 신속하게 이물을 제거할 수 있고, 이처럼 이물 제거 효과가 높아짐에 따라 역세정에 사용하는 역세수의 사용량도 종래기술대비 10~30% 정도 줄일 수 있다.
(4) 한편, 상기 위핑 부재는 다양한 폭 단면 형태로 제작할 수 있고, 그 중에서도 유선형으로 폭 단면을 형성함으로써 역세수의 흐름 저항을 최소화하면서도 이러한 이물 제거 효과를 한층 더 높일 수 있다.
(5) 위핑 부재의 외면에 적어도 하나의 돌기가 형성됨으로써, 융털이 돌기에 반복적으로 부딪히면서 이물질의 제거 효과가 높아지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역세정 흡입장치를 적용한 섬유상 여과기의 예를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역세정 흡입장치의 구성을 보여주려고 분해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역세정 흡입장치의 결합 상태를 보여주려고 [도 2]에서 "A-A" 선을 따라 자른 단면도이다.
[도 4]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역세정 흡입장치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따른 위핑 부재의 단면 형상을 따라 유체의 흐름을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최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따라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한가지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 시점에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례가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섬유상 여과기의 역세정 흡입장치는, [도 1] 내지 [도 7]과 같이, 용기 형태로 이루어진 흡입 몸체(100), 그리고 축(S)에 설치한 섬유 디스크 필터(D)의 융털(F)을 역세정할 수 있도록 적어도 하나의 슬릿(210)을 갖추고 상기 흡입 몸체(100)에 장착하여 역세정하게 하는 흡입판(200)을 포함한다.
특히, 상기 흡입 몸체(100)에는, 상기 슬릿(210)을 통해 흡입 몸체(100) 안으로 빨려 들어온 융털(F)이 부딪힐 수 있도록 슬릿(210)을 따라서 적어도 하나의 위핑(whipping)부재(120)를 형성함으로써, 이 융털(F)이 위핑(whipping)부재(120)에 부딪히면서 이물을 털어내는 효과를 얻고, 또한 이어서 다시 융털(F)이 위핑 부재(120)에 감길 때 받는 관성과 감긴 융털(F)이 풀릴 때 받는 관성을 이용하여 융털(F) 표면에 달라붙은 이물을 털어내는 효과로 이물을 효율적으로 제거할 수 있게 한 것이다. 이에, 다양한 형상 및 길이의 융털(F)에 대해서 역세정 효과를 높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역세수 사용을 최소화할 수 있게 한 것이다.
이하, 이들 구성에 대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여기서, 도면부호 "T"는 여과조를, "S"는 여과조 안에서 제자리 회전하게 설치하여 여과한 물을 외부로 배수하는 축을, "D"는 상기 축(S)에 미리 정한 간격으로 설치하여 실질적으로 여과 작용하는 섬유 디스크 필터를, "F"는 상기 섬유 디스크 필터(D)의 외면을 형성하며 실질적으로 여과 작용을 하는 융털을 각각 나타낸다. 또한, 도면에서, 속이 빈 화살표는 역세정하는 동안 섬유 디스크 필터(D)가 돌아가는 방향을, 속이 찬 화살표는 융털이 관성으로 움직이는 방향을 각각 표시한다.
가. 흡입 몸체
흡입 몸체(100)는, [도 1] 내지 [도 3]과 같이, 한쪽을 개방한 용기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개방한 입구 부분에는 후술할 흡입판(200)을 장착하여 마감한다.
또한, 상기 흡입 몸체(100)에는, [도 2]와 같이, 배수 구멍(110)을 형성하고, 펌프와 같은 액추에이터를 연결하여 흡입 몸체(100) 내부의 내용물을 여과조(T) 밖으로 배수할 수 있게 구성한다. 이때, 상기 배수 구멍(110)은, [도 2]에서 바닥에 형성한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고 내부의 내용물을 배수할 수 있는 위치라면 양쪽 끝단 부분이나 측면 등 어디든지 형성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흡입 몸체(100)에는, [도 2] 및 [도 3]과 같이, 위핑 부재(120)를 형성한다. 위핑 부재(120)는 후술할 흡입판(200)에 형성한 슬릿(210)을 관통하여 흡입 몸체(100) 안으로 빨려 들어온 융털(F)이 부딪히면서 관성을 받을 수 있도록 슬릿(210)을 따라서 형성한다. 즉, 상기 위핑 부재(120)는 슬릿(210)과 마주하게 형성하거나, 마주하면서 나란하게 형성하거나, 나란하지는 않으나 슬릿(2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함으로써, 슬릿(210)을 통해 흡입 몸체(100) 안으로 빨려 들어온 융털(F)이 이 위핑 부재(120)에 부딪히면서 이물이 제거될 수 있는 위치라면 어디든지 구성할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이 위핑 부재(120)에 부딪힌 융털(F)의 끝 부분이 위핑 부재(120)를 감쌀 수 있는 위치에 형성한다. 이에, 상기 위핑 부재(120)에서 상기 슬릿(120) 까지의 거리는 융털(F)의 길이보다 짧게 제작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상기 위핑 부재(120)는, [도 5]와 같이, 융털(F)이 흡입 몸체(100) 안으로 빨려 들어오면서 직선으로 펴지면서 위핑 부재(120)에 부딪히게 하여 융털(F) 표면에 달라붙은 이물을 털어내면서 분리하게 하여 역세정 효과를 높일 수 있게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상기 위핑 부재(120)는, [도 6]와 같이, 상기 흡입 몸체(100) 안으로 빨려 들어온 융털(F)의 끝 부분이 위핑 부재(120)를 휘감을 수 있도록 미리 정한 위치에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역세정을 위해 섬유 디스크 필터(D)가 계속해서 회전함에 따라, [도 6]과 같이 융털(F)이 위핑 부재(120)를 휘감으면서 발생한 관성과, [도 7]과 같이 위핑 부재(120)를 휘감은 융털(F)이 다시 풀릴 때 생기는 관성을 통해 융털(F)에 달라붙은 이물을 털어내는 것처럼 제거할 수 있게 하여 역세정 효과를 더욱더 높일 수 있게 하기 위함이다.
그리고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상기 위핑 부재(120)에는, [도 3]과 같이, 외면에 길이방향으로 적어도 하나의 돌기(121)가 형성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돌기(121)는 융털(F)이 위핑 부재(120)에 부딪힐 때 반복적으로 힘을 가하여 융털(F)에 달라붙은 이물 등을 쉽게 분리할 수 있게 한다.
이러한 흡입 몸체(100)는, [도 1]과 같이, 섬유 디스크 필터(D)의 반지름 방향을 따라 최소한의 길이만큼 마주할 수 있는 길이로 제작함으로써, 후술할 흡입판(200)과 섬유 디스크 필터(D)와의 마찰 저항을 최소화할 수 있게 제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흡입 몸체(100)는 금속판을 프레스 가공하여 용기 형태로 성형하거나, 합성수지를 사출 성형하는 등 다양한 방법으로 제작할 수 있다.
나. 흡입판
흡입판(200)은, [도 2] 및 [도 3]과 같이, 소정의 두께를 갖는 판 부재로서, 윗면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적어도 하나의 슬릿(210) 형성한다.
상기 슬릿(210)은, [도 2] 및 [도 3]과 같이, 상술한 흡입 몸체(100)를 섬유 디스크 필터(D)의 반지름 방향으로 나란하게 마주했을 때, 이 섬유 디스크 필터(D)의 외부를 구성하는 융털(F)을 빨아드릴 수 있는 길이로 제작한다.
또한, 상기 슬릿(210)의 폭은, [도 5] 및 [도 6]과 같이, 융털(F)이 이 슬릿(210)을 통과할 때 이 융털(F)을 슬릿(210) 안으로 관통하여 흡입 몸체(100) 안으로 빨려들어갈 수 있는 폭으로 형성한다.
이처럼 이루어진 흡입판(200)은, [도 2]와 같이, 합성수지를 사출 성형하여 제작하고, 볼트와 같은 체결수단을 통해 상술한 흡입 몸체(100)에 쉽게 조립하여 제작할 수 있다. 또한, 합성수지로 사출 성형할 때는 상술한 흡입 몸체(100)를 인서트로 일체로 사출 성형할 수도 있고 합성수지를 이용하여 흡입 몸체(100)와 흡입판(200)을 일체로 성형할 수도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흡입 몸체에 위핑 부재를 형성함으로, 흡입 몸체에 형성한 슬릿을 통해 빨려들어 온 융털이 위핑 부재에 부딪히면서 발생한 관성, 그리고 부딪힘 후에 이 융털이 위핑 부재에 감길 때 발생하는 관성과 감긴 융털이 풀릴 때 발생한 관성을 통해 융털에 달라붙은 이물을 털어내는 것처럼 이물을 제거할 수 있게 구성함으로, 융털에 달라붙은 이물 제거 효과를 높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그만큼 종래기술 대비 역세수 사용을 10~30% 정도 줄일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따른 섬유상 여과기의 역세정 흡입장치는 상술한 [실시예 1]과 같은 구성이나, [도 8]과 같이 위핑 부재(120)의 단면 형상에서 차이가 있다. 이에, 여기서는 위핑 부재(120)의 형상에 관해서만 설명한다.
[실시예 2]는 위핑 부재(120)의 폭 단면을 원형, 반원, 타원형, 반타원형, 유선형, 다각형 그리고 정다각형 형상 등 다양한 형태로 제작한다. 이 중에서, 상기 위핑 부재(120)의 폭 단면은, [도 8(a)]와 같이 원 형태로 형성하여 융털(F)을 보호하면서도 융털의 감김과 풀림 과정에서 더 큰 관성이 생기게 제작하거나, [도 8(b)] 및 [도 8(c)]와 같이 유선형으로 제작함으로써 역세정에 사용하는 역세수의 유동 저항을 최소화하면서도 융털의 부딪힘과 감김 그리고 풀림 현상이 잘 이루어질 수 있게 구성하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100: 흡입 몸체
110: 배수 구멍
120: 위핑 부재
200: 흡입판
210: 슬릿

Claims (6)

  1. 용기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내부의 내용물을 외부로 배출할 수 있게 배수 구멍(110)을 갖춘 흡입 몸체(100); 및 상기 흡입 몸체(200)에 입구 부분을 마감할 수 있게 장착하고, 역세정할 수 있도록 적어도 하나의 슬릿(210)을 갖춘 흡입판(200);을 포함하되,
    상기 흡입 몸체(100)에는,
    상기 슬릿(210)을 통해 흡입 몸체(100) 안으로 빨려들어 온 융털(F)이 부딪힐 수 있는 위치에 오도록 상기 슬릿(210)을 따라서 적어도 하나의 위핑 부재(120)가 형성되되, 상기 위핑 부재(120)에는 외면에 길이방향으로 적어도 하나의 돌기(121)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섬유상 여과기의 역세정 흡입장치.
  2. 제1항에서,
    상기 위핑 부재(120)는,
    상기 슬릿(210)과 마주하여 미리 정한 거리만큼 떨어진 위치에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섬유상 여과기의 역세정 흡입장치.
  3. 제1항에서,
    상기 위핑 부재(120)는,
    상기 슬릿(210)과 마주하여 나란하게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섬유상 여과기의 역세정 흡입장치.
  4. 제1항에서,
    상기 위핑 부재(120)는,
    폭 단면이 원형, 반원, 타원형, 반타원형, 유선형, 다각형 또는 정다각형 형상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섬유상 여과기의 역세정 흡입장치.
  5. 제1항에서,
    상기 흡입판(200)은,
    합성수지를 사출하여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섬유상 여과기의 역세정 흡입장치.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서,
    상기 위핑 부재(120)는,
    상기 슬릿(210)에서 미리 정한 간격만큼 떨어지게 하여 상기 슬릿(210) 안으로 길게 빨려 들어오는 융털(F)이 부딪히게 하여 이물을 제거하고, 이어 이 융털(F)이 상기 위핑 부재(120)에 감기면서 받는 관성으로 다시 이물을 제거한 다음, 상기 위핑 부재(120)에 감긴 융털(F)이 위핑 부재(120)에서 풀리면서 다시 이물을 제거할 수 있게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섬유상 여과기의 역세정 흡입장치.
KR1020200170966A 2020-03-10 2020-12-09 섬유상 여과기의 역세정 흡입장치 KR10262558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29353 2020-03-10
KR20200029353 2020-03-1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14326A true KR20210114326A (ko) 2021-09-23
KR102625587B1 KR102625587B1 (ko) 2024-01-16

Family

ID=779264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70966A KR102625587B1 (ko) 2020-03-10 2020-12-09 섬유상 여과기의 역세정 흡입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25587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25187B1 (ko) * 2011-11-24 2012-03-20 (주) 에이앤티 섬유상 여과기용 흡입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여과장치
KR101177369B1 (ko) 2012-04-26 2012-08-27 (주) 에이앤티 섬유상 여과기의 역세정 흡입장치 및 이를 이용한 섬유상 여과기
US20130105415A1 (en) * 2011-10-28 2013-05-02 Yongming Xia Methods and apparatus for treating water and wastewater employing a cloth disk filter
KR101398838B1 (ko) 2013-08-21 2014-05-27 주식회사 그레넥스 섬유상 여과기의 역세정 흡입장치 및 이를 이용한 섬유상 여과기
KR20180020500A (ko) 2016-08-18 2018-02-28 주식회사 그레넥스 섬유 여과기의 역세정 장치용 흡입 상자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30105415A1 (en) * 2011-10-28 2013-05-02 Yongming Xia Methods and apparatus for treating water and wastewater employing a cloth disk filter
KR101125187B1 (ko) * 2011-11-24 2012-03-20 (주) 에이앤티 섬유상 여과기용 흡입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여과장치
KR101177369B1 (ko) 2012-04-26 2012-08-27 (주) 에이앤티 섬유상 여과기의 역세정 흡입장치 및 이를 이용한 섬유상 여과기
KR101398838B1 (ko) 2013-08-21 2014-05-27 주식회사 그레넥스 섬유상 여과기의 역세정 흡입장치 및 이를 이용한 섬유상 여과기
KR20180020500A (ko) 2016-08-18 2018-02-28 주식회사 그레넥스 섬유 여과기의 역세정 장치용 흡입 상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25587B1 (ko) 2024-01-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233173B1 (de) Filterelement für Kraftstoffe
US11504655B2 (en) Backwashing suction device for fabric filtration apparatus
US20140048474A1 (en) Backwashing suction device and fabric filtering apparatus using the same
KR20130107907A (ko) 회전 날개로 구동되는 세척 브러쉬를 가지는 필터 엘리먼트 및 그를 포함하는 여과장치
KR20210114326A (ko) 섬유상 여과기의 역세정 흡입장치
FR2629361A1 (fr) Procede de fabrication d'une plaque tubulaire pour appareil de separation a fibres creuses, et dispositifs obtenus
FR2841300A1 (fr) Procede d'assemblage d'une pompe electrique, et amortisseur de vibrations pour une telle pompe
KR20080099113A (ko) 배수장치 및 이를 구비한 세탁기
EP3595818A1 (en) Modular magnetic assembly
FR2570226A1 (fr) Mecanisme pour deployer et retracter une antenne
KR20210106646A (ko) 섬유 디스크 여과기
KR102232589B1 (ko) 배수관 청소장치
DE102011112822A1 (de) Elektromotor
FR3032013A1 (fr) Organe de fixation, assemblage comportant un tel organe, siege comportant un tel assemblage et procede de fabrication d'un tel assemblage.
JP2000084373A5 (ja) 中空糸膜モジュール
KR101115566B1 (ko) 섬유상 여과기용 흡입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여과장치
KR20210106652A (ko) 섬유 디스크 여과기
KR20210106649A (ko) 섬유 디스크 여과기
KR20200065785A (ko) 이물 방지구조를 갖는 세탁기 급수밸브
CN105283110A (zh) 洗碗机喷洒臂
EP1344558A1 (en) Body for membrane filters
FR2599272A1 (fr) Filtre a air pour vehicules.
DK2395268T3 (en) A valve arrangement for the purification of industrial filters
KR200174146Y1 (ko) 세탁기의 배수동기모터
FR2909231A1 (fr) Accessoire deviateur amovible de fils passes dans un conduit fixe a un boitier de banch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23101001557;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230720

Effective date: 20231221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