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14077A - 문의 기반 병원 추천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문의 기반 병원 추천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14077A
KR20210114077A KR1020200024143A KR20200024143A KR20210114077A KR 20210114077 A KR20210114077 A KR 20210114077A KR 1020200024143 A KR1020200024143 A KR 1020200024143A KR 20200024143 A KR20200024143 A KR 20200024143A KR 20210114077 A KR20210114077 A KR 2021011407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spital
inquiry
information
customer terminal
dise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241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30148B1 (ko
Inventor
김승수
이승민
김영은
변세현
김지수
Original Assignee
일동제약(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일동제약(주) filed Critical 일동제약(주)
Priority to KR10202000241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30148B1/ko
Publication of KR202101140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1407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301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3014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2Social work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41Advertisements
    • G06Q30/0251Targeted advertisements
    • G06Q30/0261Targeted advertisements based on user loc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06Q30/0631Item recommend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6Government or public services

Abstract

문의 기반 병원 추천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른 서버 장치에서 수행되는 병원 추천 서비스 방법은, 고객단말로부터 문의내용을 수신하는 단계; 문의내용을 이용하여 미리 설정된 기준에 의해 분리되는 질병 카테고리를 결정하는 단계; 질병 카테고리에 상응하는 추천 병원을 결정하는 단계; 및 추천 병원에 대한 정보를 고객단말로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문의 기반 병원 추천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Method and device for providing inquiry-based hospital recommendation services}
본 발명은 추천 서비스에 관한 것으로, 고객의 문의 내용에 기반한 병원 추천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정보통신기술의 발전에 힘입어 인터넷 및 모바일기기의 사용이 편리해짐에 따라, 다양한 맞춤형 온라인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의료분야에서도 온라인 서비스를 제공하고자 하는 시도가 이루어지고 있으나, 대부분 단순 예약 서비스에 불과한 실정이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5-0121608 (공개일자 2015년10월29일) 의료 서비스 원격 예약 및 통합 관리 시스템 및 방법
따라서,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고객의 현 상황에 적합한 병원을 추천하는 문의기반 병원 추천 서비스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들은 이하에 서술되는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하여 보다 명확해질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서버 장치에서 수행되는 병원 추천 서비스 방법에 있어서, 고객단말로부터 문의내용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문의내용을 이용하여 미리 설정된 기준에 의해 분리되는 질병 카테고리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질병 카테고리에 상응하는 추천 병원을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추천 병원에 대한 정보를 상기 고객단말로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문의 기반 병원 추천 서비스 방법 및 그 방법을 실행하는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가 제공된다.
여기서, 상기 질병 카테고리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문의내용을 분석한 결과에 상응하는 하나 이상의 관련 의사단말로 상기 문의내용을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관련 의사단말로부터 수신되는 답변내용을 기반으로 상기 질병 카테고리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관련 의사단말에 상응하는 병원을 상기 추천 병원으로서 포함하며, 상기 답변내용을 상기 고객단말로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문의내용 또는 상기 답변내용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분석하여 질병등급을 결정하고, 상기 고객단말의 위치를 기준으로 상기 질병등급에 의해 결정되는 임계거리 내의 병원을 우선하여 추천 병원으로서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임계거리의 결정 시, 교통정보를 활용하여 상기 고객단말의 위치에서 병원까지의 이동시간을 더 이용할 수 있다.
상기 추천 병원을 결정하는 단계는, 병원에 대한 정보가 저장되는 병원DB를 참조하여 수행되며, 상기 병원 DB는, 복수의 유관 정부기관으로부터 병원 정보를 일정 주기마다 또는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API(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의 형태로 수집 및 저장하는 병원 정보 수집 모듈 및 상기 복수의 유관 정부기관 중 적어도 하나의 유관 정부기관으로부터 수집된 상기 병원 정보에서의 주소를 기준으로 각각의 상기 유관 정부기관들로부터 수집된 상기 병원 정보 간에 공통된 키 값을 생성하고 생성된 키 값을 기준으로 각각의 상기 유관 정부기관들로부터의 상기 병원 정보를 매칭시켜 기관 통합 병원 정보를 구축하는 병원 정보 매칭 모듈에 의해 구축될 수 있다.
상기 유관 정부기관들은 건강보험심사평가원, 국민건강보험공단, 질병관리본부 및 국립중앙의료원 중 둘 이상을 포함하며, 상기 키 값의 생성은 상기 건강보험심사평가원으로부터 수집된 병원 정보에서의 주소를 기준으로 할 수 있다.
상기 병원 정보 매칭 모듈은, 병원의 지역 코드와 병원명으로 상기 키 값을 생성할 수 있다.
상기 병원 정보 매칭 모듈은 텍스트로 이루어진 주소 데이터의 ‘구’ 단위까지의 숫자로 이루어진 지역 코드로 변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의하면, 회원 병원에 대한 위치, 의료분야를 포함하는 병원정보를 저장하기 위한 저장부; 고객단말과 통신망을 통해 통신하기 위한 통신부;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고객단말로부터 수신된 문의내용을 분석하는 정보분석부; 상기 정보분석부에 의해 분석된 정보를 기반으로 미리 설정된 기준에 의해 분리되는 질병 카테고리를 결정하고, 상기 질병 카테고리에 상응하는 추천 병원을 결정하는 병원추천부; 및 상기 추천 병원에 대한 정보를 상기 통신부를 이용하여 상기 고객단말로 제공하는 서비스부를 포함하는, 문의 기반 병원 추천 서비스 장치가 제공된다.
여기서, 상기 병원추천부는 상기 문의내용을 분석한 결과에 상응하는 하나 이상의 관련 의사단말로 상기 문의내용을 제공하고, 상기 관련 의사단말로부터 수신되는 답변내용을 기반으로 상기 질병 카테고리를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병원추천부는 상기 문의내용 또는 상기 답변내용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분석하여 질병등급을 결정하고, 상기 고객단말의 위치를 기준으로 상기 질병등급에 의해 결정되는 임계거리 내의 병원을 우선하여 추천 병원으로서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병원추천부는 상기 임계거리의 결정 시, 교통정보를 활용하여 상기 고객단말의 위치에서 병원까지의 이동시간을 더 이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고객의 질문에 전문가의 답변을 제공함과 더불어 고객상황에 적합한 병원을 신속하고 정확하게 추천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문의 기반 병원 추천 서비스를 위한 전체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병원추천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병원추천장치에서 수행되는 문의 기반 병원 추천 서비스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사의 답변내용을 활용하는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질병등급을 활용하는 병원 추천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객단말에서 표시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을 도시한 예시도.
도 7은 고객 문의 대응 서비스를 위한 예시도.
도 8은 병원 검색 방식을 도시한 예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병원DB 구축 시스템을 도시한 블록 구성도.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후술될 제1 임계값, 제2 임계값 등의 용어는 실질적으로는 각각 상이하거나 일부는 동일한 값인 임계값들로 미리 지정될 수 있으나, 임계값이라는 동일한 단어로 표현될 때 혼동의 여지가 있으므로 구분의 편의상 제1, 제2 등의 용어를 병기하기로 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각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는 실시예의 구성 요소가 해당 실시예에만 제한적으로 적용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유지되는 범위 내에서 다른 실시예에 포함되도록 구현될 수 있으며, 또한 별도의 설명이 생략될지라도 복수의 실시예가 통합된 하나의 실시예로 다시 구현될 수도 있음은 당연하다.
또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한 구성 요소는 동일하거나 관련된 참조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먼저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 도 7은 고객 문의 대응 서비스를 위한 예시도이고, 도 8은 병원 검색 방식을 도시한 예시도이다.
병원을 내원하고자 하는 고객은 병원을 선택하기 전에 전문가의 의견을 들어보고자 하는 니즈가 있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서는 고객이 원하는 내용을 문의할 수 있도록 하고, 전문의사가 답변하도록 하는 플랫폼을 제공한다.
일례에 따른 도 7을 참조하면, 자주 묻는 질문에 대한 Q&A 방식과 실시간으로 전문의에게 문의할 수 있도록 하는 서비스를 제공할 수도 있다.
또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병원을 검색함에 있어, 진료과목뿐 아니라 테마와 같은 조건을 두어 검색하도록 함으로써, 보다 상세한 검색 서비스를 제공한다.
이하에서는, 도 7과 같은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등록한 고객의 문의 내용을 기반으로, 해당 고객에게 적합한 병원을 추천하는 방식에 대해 설명하고자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문의 기반 병원 추천 서비스를 위한 전체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전체 시스템은 고객단말(10), 의사단말(20) 및 병원추천장치(30)를 포함한다.
고객단말(10)은 병원을 탐색하는 고객가 구비한 단말장치로서,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스마트폰을 위주로 설명하기로 하되, 물론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통신망을 통한 통신기능, 위치측정기능 등을 구비한 컴퓨팅 장치일 수 있음은 이하의 설명을 통해 더욱 자명하게 될 것이다. 고객은 고객단말(10)을 이용하여 병원추천장치(30)에 접속하여 문의 내용을(자신의 질병에 대한 질의) 등록하면, 그에 상응하는 추천 병원에 대한 정보를 제공받는다.
즉, 병원추천장치(30)는 도면과 같이 병원에 대한 정보가 저장되는 병원DB(32)를 참조하여, 문의 내용에 상응하는 병원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추천 병원으로 고객단말(10)에게 관련정보를 제공하는 것이다.
병원DB(32) 구축 과정에 대해서는 이하에서 다시 상술될 것이다.
의사단말(20)은 의사가 보유한 단말장치로서, 이하에서는 개인용PC를 위주로 설명하기로 하며, 마찬가지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의사는 의사단말(20)을 통해 병원추천장치(30)로부터 수신된 고객의 문의 내용에 상응하는 답변내용을 기재하여 병원추천장치(30)로 제공한다.
이하, 병원추천장치(30)의 구성 및 그 기능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병원추천장치(30)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병원추천장치(30)에서 수행되는 문의 기반 병원 추천 서비스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병원추천장치(30)는 통신부(210), 저장부(220) 및 제어부(230)를 포함하되, 제어부(230)는 그 기능에 따라 정보분석부(231), 병원추천부(232) 및 서비스부(233)를 포함할 수 있다.
저장부(220)에는 제어부(230)의 각 구성부가 기능하는데 필요한 정보들이 저장될 수 있으며, 또는 도 1에 도시된 병원DB(32)를 별도의 장치로 구현하지 않고 병원정보가 저장부(220)에 저장될 수도 있다. 이에 따르면, 저장부(220)에는 회원으로 등록된 병원에 대한 위치, 의료분야를 포함하는 병원정보를 저장한다.
그리고, 일례에 따르면 각 병원정보로서 의료시설, 직원수 등을 이용하여 결정되는 병원등급에 대한 정보가 함께 저장될 수도 있다. 일례로 병원은 대학병원, 대형병원, 중형병원, 소형병원으로 구분될 수 있다.
통신부(210)는 고객단말(10) 및/또는 의사단말(20)과 통신망을 통해 통신하 는 통신수단으로서, 병원추천장치(30)는 서버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통신부(210)는 당업자에게는 자명할 것이므로 더욱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제어부(230)는 고객단말(10)로부터 등록되는 문의 내용을 분석하고, 등록된 회원 병원들의 병원정보를 기반으로 분석된 문의 내용에 상응하는 관련 병원을 추천한다.
제어부(230)의 정보분석부(231)는 고객단말(10)로부터 수신된 문의내용을 분석하는데, 예를 들어 문의 내용의 텍스트 중 특정한 단어(예를 들어, 나이, 성별, 질병명, 증상명과 관련된 단어 등)를 추출한다.
병원추천부(232)는 정보분석부(231)에 의해 분석된 정보를 기반으로 미리 설정된 기준에 의해 분리되는 질병 카테고리를 결정하고, 질병 카테고리에 상응하는 추천 병원을 결정한다. 질병 카테고리는 예를 들어, 외과, 내과, 이비인후과 등과 같이 병원 전문과에 따라 구분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정보분석부(231)에 의해 [코감기], [남자], [30대]라는 키워드가 분석된 경우, 병원추천부(232)는 고객단말(10)의 위치에 기반하여, 가장 가까운 이비인후과를 추천 병원으로서 결정한다.
그리고, 다른 일례에 따르면 병원추천부(232)는 문의내용을 분석한 결과에 상응하는 하나 이상의 관련 의사단말(20)로 문의내용을 제공하고, 관련 의사단말(20)로부터 수신되는 답변내용을 기반으로 질병 카테고리를 결정한다. 즉, 고객의 문의 내용뿐 아니라, 문의에 대한 의사의 답변 내용을 분석하여 질병 카테고리를 결정함으로써 고객의 질병에 보다 적합한 병원을 추천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일례에 따르면, 병원추천부(232)는 문의내용 또는 답변내용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분석하여 질병등급을 결정하고, 고객단말(10)의 위치를 기준으로 질병등급에 의해 결정되는 임계거리 내의 병원을 우선하여 추천 병원으로서 결정한다. 예를 들어, 질병이 가벼운 정도라면 가까운 위치의 병원을 우선하는 것이며, 질병이 중하다 판단되는 경우 고객의 위치에서 보다 먼 거리의 병원까지도 추천 대상으로서 탐색하기 위한 것이다.
그리고, 병원추천부(232)는 임계거리의 결정 시, 교통정보를 활용하여 고객단말(10)의 위치에서 병원까지의 이동시간을 더 고려한다. 즉, 차가 정체되는 곳이면 보다 가까이 임계거리가 설정될 것이며, 반대로 교통 상황이 좋은 상황이라면 임계거리는 보다 멀리 설정될 수 있다.
물론, 추천병원을 결정함에 있어 고객이 등록한 문의내용과 답변내용을 분석한 결과, 고객의 연령/성별/거주지에 대한 개인정보와 함께 기존 건강기록(병원 방문 기록, 건강검진 기록 등) 등을 더 활용할 수도 있을 것이다.
서비스부(233)는 추천 병원에 대한 정보를 통신부(210)를 이용하여 고객단말(10)로 제공한다. 예를 들면, 추천병원에 대한 정보와 함께 위치에 대한 정보를 지도정보로 제공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그 처리 과정에 대해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을 참조하면, 병원추천장치(30)는 고객단말(10)로부터 문의 내용을 등록받는다(S310). 병원추천장치(30)는 온라인으로 고객단말(10)에게 문의 내용을 기재하고 등록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는데, 이는 당업자에게는 자명할 것이므로 더욱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병원추천장치(30)는 문의 내용을 이용하여 질병 카테고리를 결정하는데(S320), 일례에 따르면 문의 내용을 분석하여 추출한 키워드를 이용할 수 있다.
결정된 질병 카테고리에 따른 병원들 중 고객정보(예를 들어, 현재 위치 등)에 상응하는 추천 병원을 결정한다(S330). 예를 들어, 질병 카테고리가 감기인 경우, 내과 병원들 중 고객단말(10)과의 거리가 2Km 이내의 병원을 추천병원으로서 결정한다. 여기서, 상술한 바와 같이 병원추천장치(30)는 추천병원을 결정함에 있어 고객이 등록한 문의내용과 답변내용을 분석한 결과 및, 고객의 연령/성별/거주지에 대한 개인정보와 함께 기존 건강기록(병원 방문 기록, 건강검진 기록 등) 등을 더 활용할 수도 있다.
나아가, 고객의 건강과 관련한 생활 습관(평균 도보 거리, 일일 섭취 칼로리 및 운동 횟수/시간 등)에 관한 정보를 더 활용할 수도 있다.
병원추천장치(30)는 결정된 추천병원에 대한 정보를 고객단말(10)로 제공한다(S340).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객단말(10)에서 표시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을 도시한 예시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병원추천장치(30)는 고객단말(10)의 위치(610)를 기준으로 반경(620, 예를 들어, 500미터 등) 내의 병원이 추천병원(630)으로서 표시되는 지도정보를 고객단말(10)로 제공한다.
그리고, 상술한 바와 같이 질병 카테고리를 결정하는 방식으로서, 문의 내용에 대한 관련 의사의 답변내용을 더 분석함으로써 질병 카테고리를 결정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사의 답변내용을 활용하는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병원추천장치(30)는 문의 내용을 분석하여 관련 의사를 결정한다(S410). 즉, 문의 내용이 어떤 질병에 관한 것인지를 분석하고, 회원 의사들 중 해당 질병과 관련된 의사를 결정하는 것이다.
하나 이상의 관련 의사단말(20)로 문의 내용을 전달하고(S420), 해당 관련 의사단말(20)로부터 답변 내용을 수신한다(S430). 빠른 답변 내용의 취득을 위해, 복수의 관련 의사단말(20)로 문의 내용을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수신된 답변 내용을 기반으로 질병 카테고리를 결정한다(S440).
본 실시예에 따르면 전문 의사의 답변 내용을 기반함으로써, 고객의 문의 내용만을 분석하는 것에 비해 보다 정확한 질병 카테고리를 분별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차후 추천병원을 결정함에 있어, 답변 내용을 제공한 관련 의사가 소속된 병원을 우선하여 추천병원으로서 선정할 수 있다. 따라서, 많은 의사들이 고객의 문의 내용에 신속한 답변 내용을 등록하도록 유도할 수 있다.
물론, 전문 의사의 답변 내용은 고객단말(10)로 제공됨으로써, 고객은 답변내용을 기반으로 가야할 병원을 선정할 수 있을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질병등급을 활용하는 병원추천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병원추천장치(30)는 고객의 문의 내용, 해당 문의 내용에 대한 답변 내용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분석하여, 질병등급을 결정한다(S510). 예를 들어, 단순 감기인 경우 제3등급, 축농증과 같이 세밀한 진단이 필요한 질병은 제2등급, 오랜 두통과 같이 대학병원과 같은 대형병원에서 정밀 진단을 수행해야 하는 질병은 제1등급으로 분류하고, 고객의 질병등급을 결정하는 것이다.
질병등급에 상응하는 임계거리를 확인한다(S520). 예를 들어, 제1등급은 5km, 제2등급은 2km, 제3등급은 걸어서 이동이 가능한 1km로 설정될 수 있다.
병원추천장치(30)는 질병등급을 이용한 임계거리가 확인되면, 고객단말(10)의 위치를 기준으로 임계거리 내의 병원을 위주로 추천병원을 결정한다(S530).
도 6을 함께 참조하면, 고객단말(10)의 위치(610)를 기준으로 임계거리에 따른 반경(620) 내의 병원을 추천병원(630)으로 제공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임계거리는 질병등급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며, 질병등급이 제1등급인 경우 보다 멀리 있는 병원들까지도 추천병원 대상에 포함시켜, 대형병원도 추천병원으로서 포함되도록 한다.
여기서, 병원추천장치(30)는 임계거리의 결정 시, 교통정보를 활용하여 고객단말(10)의 위치에서 병원까지의 이동시간을 더 고려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교통정보 확인 결과, 고객단말(10)이 위치한 지역의 교통상황이 좋지 못한 경우에는 임계거리에 1미만의 가중치를 적용하고, 교통정보가 원활한 상태라면 임계거리에 1을 초과하는 가중치를 적용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병원 DB 구축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병원 DB 구축 시스템(900)은 병원 정보 수집 모듈(910), 병원 정보 매칭 모듈(920), 병원 정보 추가 모듈(930) 및/또는 데이터베이스(94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모듈들은 정보망 예컨대, LAN 또는 WAN 등에 의하여 상호 연결될 수 있다.
병원 정보 수집 모듈(910)은 복수의 유관 정부기관으로부터 병원 정보를 일정 주기 마다(예를 들어, 매일, 매주, 매월 등) 또는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API(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의 형태로 수집하여 기관별 병원 정보 DB(941)에 저장한다.
여기서, 유관 정부기관들의 예들로는 요양기호발급기관(이를테면, 건강보험심사평가원), 국민건강보험공단, 질병관리본부, 국립중앙의료원이 있을 수 있다.
각각의 유관 정부기관들로부터 수집되는 정보의 예들로서, 건강보험심사평가원으로부터 수집되는 정보에는 병원명, 주소, 연락처, 지도 위치 값, 진료과목, 종별, 평가정보, 시설정보, 의료장비, 전문의 수, 교통정보홈페이지 등이 있을 수 있고, 국민건강보험공단으로부터 수집되는 정보에는 병원명, 주소, 일반건강검진기관, 암건강검진기관, 영유아건강검진기관이 있을 수 있고, 질병관리본부로부터 수집되는 정보에는 병원명, 주소, 국가예방접종위탁의료기관이 있을 수 있으며, 국립중앙의료원으로부터 수집되는 정보에는 병원명, 주소, 진료시간, 응급의료기관이 있을 수 있다.
현재 우리나라의 병원 정보를 제공하는 기관에서 제공해주는 정보는 데이터 구조 형식이 각각 상이하고 공통된 키 값이 없기 때문에, 본 발명의 병원 정보 매칭 모듈(920)은 병원 정보 수집 모듈(910)에 의해 적어도 하나의 유관 정부기관으로부터 수집된 병원 정보에서의 주소를 기준으로 각각의 유관 정부기관들로부터 수집된 병원 정보 간에 공통될 고유의 키 값을 생성하고 키 값을 기준으로 각각의 유관 정부기관들로부터의 병원 정보를 매칭시켜 기관 통합 병원 정보 DB(942)를 구축한다.
여기서, 기관 통합 병원 정보 DB(942)가 도 1의 병원DB(32)에 대응된다.
특히 키 값 생성의 기준은 병원 개설이 유일하게 행정자치부 데이터베이스와 연동된 건강보험심사평가원에서 할 수 있다는 점을 이용하여 병원 정보를 가장 광범위하게 보유하고 있을 이를테면 건강보험심사평가원으로부터 수집된 병원 정보에서의 주소를 기준으로 함이 바람직하다.
보다 구체적으로, 병원 정보 매칭 모듈(920)은 같은 지역(구)에 같은 병원명으로 병원을 개설할 수 없는 점을 이용하여 병원의 '지역코드'와 '병원명'(선택적으로, 여기에 '개설일자'가 더 추가될 수도 있다)으로 키 값을 만든다. 그런데 병원 정보 수집 모듈(910)에서 수집된 병원 정보에서의 주소는 입력 방식 등에 따라 그 체계가 다양할 수 있기 때문에, 먼저 병원 정보 매칭 모듈(920)은 텍스트로 이루어진 주소 데이터의 '구' 단위까지를 숫자로 이루어진 지역 코드로 변환한 다음 이를 키 값의 요소로 활용한다. 이를 위해 병원 정보 매칭 모듈(920)은 텍스트로 이루어진 주소 데이터를 파싱하여 주소데이터에서 이를테면 '도', '특별시, 광역시, 시, 군' 및 '구'까지 적어도 세 개의 주소 단위를 추출하고 추출된 주소 단위 데이터에서 동일한 것으로 판단되는 '도','특별시, 광역시, 시, 군' 및 '구'별로 동일한 지역 코드를 부여한다. 이때 동일한 '도', '특별시, 광역시, 시, 군' 또는 '구'인지 여부를 판단함에 있어서는 이칭, 약칭, 띄어쓰기 등을 고려하여 특정 행정구역 명칭의 이칭 또는 약칭일 경우, 띄어쓰기만 상이할 경우 등에는 동일한 '도', '특별시, 광역시, 시, 군' 또는 '구'인 것으로 판단한다. 예를 들어, '충청남도', '충남도', '충남'에 동일한 코드 '10'을 부여하고, '천안시', '천안'에 동일한 코드 '11'을 부여하며, '서북구', '서북'에 동일한 코드 '12'를 부여하여 '충청남도, 천안, 서북구' 및 '충남, 천안시, 서북' 양자의 지역 코드는 101112가 되는 등이다.
병원 정보 매칭 모듈(920)은 상기한 바와 같이 이렇게 변환된 '지역 코드'에 '병원명'을 추가하여(선택적으로, 여기에 '개설일자'가 더 추가될 수도 있다) 키 값을 생성하고 키 값을 기준으로 각각의 유관 정부기관들로부터의 병원 정보를 매칭시키는데, 상기한 변환에 의해 생성된 키 값으로 매칭되지 않는 주소 데이터에 대해 병원 정보 매칭 모듈(920)은 이하의 고려사항들을 추가로 확인한다:
● 동일한 지역 코드 내 동일한 병원의 병원명이 복수의 유관 정부기관별로 상이한 경우를 고려하여 복수의 유관 정부기관들로부터 수집된 병원의 연락처들 간 일치 여부, 병원의 실제 위치 값(예를 들어, GPS 좌표정보)이 적어도 하나의 기준이 되는 유관 정부기관이 가진 병원의 주소로부터 소정의 반경(예를 들어, 바람직하게는 500m) 이내인지 여부 등을 확인함으로써 병원명 일치 여부를 판단한다.
● 정부기관이 주관하는 정책 시점에 행정구역의 변경 등으로 지역 체계가 변경된 경우를 고려하여 복수의 유관 정부기관들로부터 수집된 병원의 연락처들 간 일치 여부, 병원의 실제 위치 값(예를 들어, GPS 좌표 정보)이 적어도 하나의 기준이 되는 유관 정부기관이 가진 병원의 주소로부터 소정의 반경(예를 들어, 바람직하게는 500m) 이내인지 여부 등을 확인함으로써 병원 정보를 매칭시킨다.
● 병원은 폐업시 의료법상 관할 보건소(건강보험심사평가원 정보와 연계됨)에 신고하게 되어 있음에 기반하여 건강보험심사평가원의 병원 정보에 포함되지 않은 정보가 다른 유관 정부기관의 정보로 존재할 시 위의 2가지 경우를 고려한 후에도 매칭되지 않을 경우 폐업으로 간주하여 해당 병원 정보를 삭제한다.
병원 정보 추가 모듈(930)은 병원 정보 수집 모듈(910)에서 수집된 병원 정보 외에 본 발명의 병원 DB 구축 시스템(900)에 가입된 병원으로부터 직접 병원 꾸미기 정보를 입력받아 병원 정보 매칭모듈(920)에서 생성된 키 값을 기준으로 매칭된 병원 정보에 입력된 병원 꾸미기 정보를 추가할 수 있는 모듈이다.
입력되는 병원 꾸미기 정보에는 주차 정보, 휴가 정보, 검사 정보, 질병 정보, 병원 이벤트, 여의사, 추가 시설 장비, 비급여 정보, 금연 치료 기관 등이 있을 수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 : 고객단말
20 : 의사단말
30 : 병원추천장치

Claims (14)

  1. 서버 장치에서 수행되는 병원 추천 서비스 방법에 있어서,
    고객단말로부터 문의내용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문의내용을 이용하여 미리 설정된 기준에 의해 분리되는 질병 카테고리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질병 카테고리에 상응하는 추천 병원을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추천 병원에 대한 정보를 상기 고객단말로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문의 기반 병원 추천 서비스 방법.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질병 카테고리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문의내용을 분석한 결과에 상응하는 하나 이상의 관련 의사단말로 상기 문의내용을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관련 의사단말로부터 수신되는 답변내용을 기반으로 상기 질병 카테고리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문의 기반 병원 추천 서비스 방법.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관련 의사단말에 상응하는 병원을 상기 추천 병원으로서 포함하며, 상기 답변내용을 상기 고객단말로 제공하는, 문의 기반 병원 추천 서비스 방법.
  4.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문의내용 또는 상기 답변내용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분석하여 질병등급을 결정하고, 상기 고객단말의 위치를 기준으로 상기 질병등급에 의해 결정되는 임계거리 내의 병원을 우선하여 추천 병원으로서 결정하는, 문의 기반 병원 추천 서비스 방법.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임계거리의 결정 시, 교통정보를 활용하여 상기 고객단말의 위치에서 병원까지의 이동시간을 더 이용하는, 문의 기반 병원 추천 서비스 방법.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추천 병원을 결정하는 단계는, 병원에 대한 정보가 저장되는 병원DB를 참조하여 수행되며,
    상기 병원 DB는, 복수의 유관 정부기관으로부터 병원 정보를 일정 주기마다 또는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API(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의 형태로 수집 및 저장하는 병원 정보 수집 모듈 및 상기 복수의 유관 정부기관 중 적어도 하나의 유관 정부기관으로부터 수집된 상기 병원 정보에서의 주소를 기준으로 각각의 상기 유관 정부기관들로부터 수집된 상기 병원 정보 간에 공통된 키 값을 생성하고 생성된 키 값을 기준으로 각각의 상기 유관 정부기관들로부터의 상기 병원 정보를 매칭시켜 기관 통합 병원 정보를 구축하는 병원 정보 매칭 모듈에 의해 구축되는 문의 기반 병원 추천 서비스 방법.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유관 정부기관들은 건강보험심사평가원, 국민건강보험공단, 질병관리본부 및 국립중앙의료원 중 둘 이상을 포함하며,
    상기 키 값의 생성은 상기 건강보험심사평가원으로부터 수집된 병원 정보에서의 주소를 기준으로 하는, 문의 기반 병원 추천 서비스 방법.
  8.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병원 정보 매칭 모듈은, 병원의 지역 코드와 병원명으로 상기 키 값을 생성하는, 문의 기반 병원 추천 서비스 방법.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병원 정보 매칭 모듈은 텍스트로 이루어진 주소 데이터의 '구' 단위까지의 숫자로 이루어진 지역 코드로 변환하는, 문의 기반 병원 추천 서비스 방법.
  10. 제 1항의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컴퓨터에 의해 실행되는 애플리케이션이나 프로그램 모듈과 같은 컴퓨터에 의해 실행 가능한 명령어를 포함하는 기록 매체.
  11. 회원 병원에 대한 위치, 의료분야를 포함하는 병원정보를 저장하기 위한 저장부;
    고객단말과 통신망을 통해 통신하기 위한 통신부;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고객단말로부터 수신된 문의내용을 분석하는 정보분석부;
    상기 정보분석부에 의해 분석된 정보를 기반으로 미리 설정된 기준에 의해 분리되는 질병 카테고리를 결정하고, 상기 질병 카테고리에 상응하는 추천 병원을 결정하는 병원추천부; 및
    상기 추천 병원에 대한 정보를 상기 통신부를 이용하여 상기 고객단말로 제공하는 서비스부를 포함하는, 문의 기반 병원 추천 서비스 장치.
  12.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병원추천부는 상기 문의내용을 분석한 결과에 상응하는 하나 이상의 관련 의사단말로 상기 문의내용을 제공하고, 상기 관련 의사단말로부터 수신되는 답변내용을 기반으로 상기 질병 카테고리를 결정하는, 문의 기반 병원 추천 서비스 장치.
  13.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병원추천부는 상기 문의내용 또는 상기 답변내용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분석하여 질병등급을 결정하고, 상기 고객단말의 위치를 기준으로 상기 질병등급에 의해 결정되는 임계거리 내의 병원을 우선하여 추천 병원으로서 결정하는, 문의 기반 병원 추천 서비스 장치.
  14.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병원추천부는 상기 임계거리의 결정 시, 교통정보를 활용하여 상기 고객단말의 위치에서 병원까지의 이동시간을 더 이용하는, 문의 기반 병원 추천 서비스 장치.
KR1020200024143A 2020-02-27 2020-02-27 문의 기반 병원 추천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KR10233014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24143A KR102330148B1 (ko) 2020-02-27 2020-02-27 문의 기반 병원 추천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24143A KR102330148B1 (ko) 2020-02-27 2020-02-27 문의 기반 병원 추천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14077A true KR20210114077A (ko) 2021-09-23
KR102330148B1 KR102330148B1 (ko) 2021-11-23

Family

ID=779263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24143A KR102330148B1 (ko) 2020-02-27 2020-02-27 문의 기반 병원 추천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30148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05924B1 (ko) * 2022-03-02 2023-03-02 주식회사 브레스 빅데이터를 활용한 인공지능 육아 가이드 시스템
CN116887233A (zh) * 2023-07-13 2023-10-13 北京领创医谷科技发展有限责任公司 一种患者就近医疗方法、系统、终端及存储介质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45706A (ko) * 1999-11-06 2001-06-05 손현준 네트워크를 이용한 처방전 전달 방법 및 이를 수행하기위한 시스템
KR20140050352A (ko) * 2012-10-19 2014-04-29 주식회사 솔트 병원 추천 방법 및 시스템
KR20150121608A (ko) 2014-04-21 2015-10-29 한세종 의료 서비스 원격 예약 및 통합 관리 시스템 및 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45706A (ko) * 1999-11-06 2001-06-05 손현준 네트워크를 이용한 처방전 전달 방법 및 이를 수행하기위한 시스템
KR20140050352A (ko) * 2012-10-19 2014-04-29 주식회사 솔트 병원 추천 방법 및 시스템
KR20150121608A (ko) 2014-04-21 2015-10-29 한세종 의료 서비스 원격 예약 및 통합 관리 시스템 및 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05924B1 (ko) * 2022-03-02 2023-03-02 주식회사 브레스 빅데이터를 활용한 인공지능 육아 가이드 시스템
CN116887233A (zh) * 2023-07-13 2023-10-13 北京领创医谷科技发展有限责任公司 一种患者就近医疗方法、系统、终端及存储介质
CN116887233B (zh) * 2023-07-13 2024-04-30 北京领创医谷科技发展有限责任公司 一种患者就近医疗方法、系统、终端及存储介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30148B1 (ko) 2021-11-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im Trust in health information websites: A systematic literature review on the antecedents of trust
Jiang Social support and career psychological states: An integrative model of person–environment fit
DiGaetano Sample frame and related sample design issues for surveys of physicians and physician practices
Fakis et al. Quantitative analysis of qualitative information from interviews: A systematic literature review
CN102037467B (zh) 按时间和位置转动搜索结果
US20070067210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creating and maintaining a market intelligence portal
US20100076786A1 (en) Computer System and Computer-Implemented Method for Providing Personalized Health Information for Multiple Patients and Caregivers
US11322234B2 (en) Automated content avoidance based on medical conditions
US20080091464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disease management algorithm integration
JP2002032401A (ja) 文書検索方法及び文書検索装置及び文書検索方法をコンピュータに実現させるための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コンピュータで読取可能な記録媒体
Samuel et al. MedFact: towards improving veracity of medical information in social media using applied machine learning
KR102330148B1 (ko) 문의 기반 병원 추천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CN114462616A (zh) 用于防止敏感数据在线公开的机器学习模型
Davis et al. Demystifying tuition? A content analysis of the information quality of public college and university websites
Chaney et al. Spatial analysis methods for health promotion and education
KR102422357B1 (ko) 장애아동의 건강관리를 위한 서비스 안내 방법 및 장치
Nasir et al. Disparities in patient record completeness with respect to the health care utilization project
Ben-Mussa et al. Popular apps on the medical category targeting patients and the general public in the United Kingdom: Do they conform to the Health On the Net Foundation principles?
WO2020231590A1 (en) Healthcare data cloud system, server and method
KR102417554B1 (ko) 비식별 처리된 대화 서비스용 학습 데이터를 생성하는 장치,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
Arya et al. Physician preferences for physician-targeted HIV testing campaigns
US11837341B1 (en) Secured messaging service with customized near real-time data integration
Noh et al. Development of strategic regional employment data assessment using Google places API
Fleischer et al. Limitations and recommendations for use of secondary data analysis in pediatric research
Zhao Reorienting GIScience for a data-intensive societ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