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22357B1 - 장애아동의 건강관리를 위한 서비스 안내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장애아동의 건강관리를 위한 서비스 안내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22357B1
KR102422357B1 KR1020200162529A KR20200162529A KR102422357B1 KR 102422357 B1 KR102422357 B1 KR 102422357B1 KR 1020200162529 A KR1020200162529 A KR 1020200162529A KR 20200162529 A KR20200162529 A KR 20200162529A KR 102422357 B1 KR102422357 B1 KR 10242235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rvice
children
information
health care
disabiliti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625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74250A (ko
Inventor
신현숙
임다해
Original Assignee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2001625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22357B1/ko
Publication of KR202200742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7425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223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2235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2Social work or social welfare, e.g. community support activities or counselling 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6Government or public service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arketing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Medical Treatment And Welfare Office Work (AREA)

Abstract

개시된 기술은 장애아동의 건강관리를 위한 서비스 안내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 건강관리 서비스 서버가 장애아동의 일반적 특성, 건강상태, 사회적 특성, 가족구성, 거주형태, 생활사건 및 주거조건을 포함하는 상태정보를 복수의 단말기들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상기 건강관리 서비스 서버가 상기 복수의 단말기들 중 제 1 단말기로부터 서비스에 대한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건강관리 서비스 서버가 상기 제 1 단말기로부터 미리 수신된 제 1 상태정보를 이용하여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복수의 건강관리 서비스 목록들 중 일부의 건강관리 서비스 목록을 분류하고 상기 분류된 서비스 목록 중 상기 요청에 매칭되는 적어도 하나의 서비스에 대한 목록을 선별하여 상기 제 1 단말기에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따라서 장애아동을 위한 맞춤형 건강관리 서비스에 대한 정보를 통합하여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장애아동의 건강관리를 위한 서비스 안내 방법 및 장치 {METHOD AND DEVICE FOR GUIDING SERVICE FOR HEALTH MANAGEMENT OF CHILDREN WITH DISABILITIES}
개시된 기술은 장애아동의 건강관리를 위한 서비스를 안내하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장애아동을 대상으로 하는 서비스는 장애아동이 갖는 여러 가지 장애로 인한 발달미숙을 돕고 사회구성원으로서 살아갈 수 있는 발판을 마련하기 위해 공공재의 성격을 갖는 서비스를 의미한다. 최근에는 단순히 장애아동만을 위한 서비스 뿐만 아니라 장애아동을 돌보는 보호자, 가족 등을 위한 서비스도 포함시켜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되고 있다. 즉, 장애아동의 신체적 정신적 발달에 도움을 주는 동시에 가족들의 신체적 정신적 지원을 동반하는 통합 서비스를 제공하여야 사회 전반적으로 긍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을 것으로 분석되고 있으며 이를 위한 통합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방향으로 발전되고 있다.
장애아동과 가족을 지원하는 정책 및 공공서비스는 최근까지 다양한 장애종별에 따른 서비스가 확대되고 있으며 장애아동 가족의 고충을 해결하기 위한 지원정책이 복합적으로 설계되고 있다. 그러나 장애아동과 가족을 위한 지원정책, 서비스, 정보제공을 위한 통합적 안내 시스템의 부재로 산재된 공공서비스에 대한 접근성이 떨어져서 실효성 있는 서비스 지원을 효율적으로 이용하지 못하는 문제가 있었다.
한국 공개특허 제10-2020-0080693호
개시된 기술은 장애아동의 건강관리를 위한 서비스를 안내하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의 기술적 과제를 이루기 위하여 개시된 기술의 제 1 측면은 건강관리 서비스 서버가 장애아동의 일반적 특성, 건강상태, 사회적 특성, 가족구성, 거주형태, 생활사건 및 주거조건을 포함하는 상태정보를 복수의 단말기들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상기 건강관리 서비스 서버가 상기 복수의 단말기들 중 제 1 단말기로부터 서비스에 대한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건강관리 서비스 서버가 상기 제 1 단말기로부터 미리 수신된 제 1 상태정보를 이용하여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복수의 건강관리 서비스 목록들 중 일부의 건강관리 서비스 목록을 분류하고 상기 분류된 서비스 목록 중 상기 요청에 매칭되는 적어도 하나의 서비스에 대한 목록을 선별하여 상기 제 1 단말기에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장애아동의 건강관리를 위한 서비스 안내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의 기술적 과제를 이루기 위하여 개시된 기술의 제 2 측면은 복수의 단말기들로부터 장애아동의 일반적 특성, 건강상태, 사회적 특성, 가족구성, 거주형태, 생활사건 및 주거조건을 포함하는 상태정보를 입력받는 입력장치, 상기 복수의 단말기들 중 제 1 단말기로부터 서비스에 대한 요청을 수신하는 통신장치, 복수의 건강관리 서비스 목록들을 저장하는 저장장치 및 상기 제 1 단말기로부터 미리 수신된 제 1 상태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저장장치에 저장된 복수의 건강관리 서비스 목록들 중 일부의 건강관리 서비스 목록을 분류하고 상기 분류된 서비스 목록 중 상기 요청에 매칭되는 적어도 하나의 서비스에 대한 목록을 선별하는 연산장치를 포함하는 장애아동의 건강관리를 위한 서비스 안내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개시된 기술의 실시 예들은 다음의 장점들을 포함하는 효과를 가질 수 있다. 다만, 개시된 기술의 실시 예들이 이를 전부 포함하여야 한다는 의미는 아니므로, 개시된 기술의 권리범위는 이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
개시된 기술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장애아동의 건강관리를 위한 서비스 안내 방법 및 장치는 장애아동을 위한 맞춤형 건강관리 서비스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장애아동과 가족을 위한 통합 건강관리 서비스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서비스 목록을 요청한 단말기의 위치에 따라 가까운 위치의 시설이나 기관에서 제공하는 서비스를 안내하여 실효성이 높은 정보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개시된 기술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장애아동의 건강관리를 위한 서비스 안내 방법 및 장치를 이용하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개시된 기술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장애아동의 건강관리를 위한 서비스 안내 방법에 대한 순서도이다.
도 3은 개시된 기술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장애아동의 건강관리를 위한 서비스 안내 장치에 대한 블록도이다.
도 4는 건강관리 서비스 안내 장치가 대상에 따라 서로 다른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건강관리 서비스 안내 장치가 단말기로부터 수신하는 상태정보와 요청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상태정보와 요청에 따라 선별된 건강관리 서비스에 대한 정보를 출력하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 1 , 제 2, A, B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해당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으며, 단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 1 구성요소는 제 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 2 구성요소도 제 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에서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해석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그리고 "포함한다" 등의 용어는 설시된 특징, 개수,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의미하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개수,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을 하기에 앞서, 본 명세서에서의 구성부들에 대한 구분은 각 구성부가 담당하는 주기능 별로 구분한 것에 불과함을 명확히 하고자 한다. 즉, 이하에서 설명할 2개 이상의 구성부가 하나의 구성부로 합쳐지거나 또는 하나의 구성부가 보다 세분화된 기능별로 2개 이상으로 분화되어 구비될 수도 있다.
그리고 이하에서 설명할 구성부 각각은 자신이 담당하는 주기능 이외에도 다른 구성부가 담당하는 기능 중 일부 또는 전부의 기능을 추가적으로 수행할 수도 있으며, 구성부 각각이 담당하는 주기능 중 일부 기능이 다른 구성부에 의해 전담되어 수행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따라서, 본 명세서를 통해 설명되는 각 구성부들의 존재 여부는 기능적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도 1은 개시된 기술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장애아동의 건강관리를 위한 서비스 안내 방법 및 장치를 이용하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전체 시스템(100)은 건강관리 서비스 서버(110), 장애아동 보호자 단말기(120) 및 복수의 서비스 제공자(130a, 130b)를 포함한다. 건강관리 서버스 서버(110)는 복수의 서비스 제공자(130a, 130b)들로부터 사전에 각각 건강관리 서비스에 대한 정보를 수신한다. 예컨대, 서비스의 종류, 서비스 대상, 서비스 위치 등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서비스 제공자는 지역사회에서 운영하는 장애아동 보호시설일 수도 있고 별도의 서비스 대행사일 수도 있다. 건강관리 서비스 서버(110)는 각 서비스 제공자들로부터 전송되는 정보를 토대로 복수의 건강관리 서비스에 대한 목록을 생성하고 각 목록 별로 다수의 정보들을 통합하여 제공할 수 있도록 저장할 수 있다.
한편, 건강관리 서비스 서버(110)는 장애아동의 보호자 단말기(120)로부터 서비스 요청을 수신할 수 있다. 서비스 요청은 장애아동에 대한 서비스 요청일 수도 있고 장애아동의 부모나 형제와 같이 보호자를 위한 서비스 요청일 수도 있다. 즉, 건강관리 서비스 서버(110)를 통해 장애아동과 장애아동 가족을 위한 서비스를 통합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다.
한편, 건강관리 서비스 서버(110)는 요청에 따라 장애아동 또는 장애아동 가족에게 맞춤형 건강관리 서비스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기 위해서 복수의 건강관리 서비스 목록들 중 일부를 분류하고 분류된 일부의 서비스 목록들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선별할 수 있다.
일부의 서비스 목록을 분류하기 위해서 건강관리 서비스 서버(110)는 사전에 장애아동 보호자 단말기(120)로부터 수신한 상태정보를 이용한다. 상태정보는 장애아동의 일반적 특성, 건강상태, 사회적 특성, 가족구성, 거주형태, 생활사건 및 주거조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여기에서 장애아동의 일반적 특성은 장애아동의 연령, 장애아동의 거주지역 및 장애아동의 국적을 포함한다. 그리고, 건강상태는 장애아동의 장애종별, 기능상태 및 보조기기 사용 여부를 포함한다. 그리고, 사회적 특성은 장애아동 가정의 소득수준, 급여수급상태 및 건강보험 적용 여부, 재산의 수준 내지는 정도를 포함한다. 거주형태는 집에 거주하는 재가상태인지 시설에 거주하는 시설거주 상태인지를 나타낸다. 그리고, 생활사건은 보호자의 부재 여부를 포함한다. 가족구성이나 거주형태, 주거조건은 용어 그대로 가족구성 관계에 대한 정보, 거주지에 대한 정보, 주거형태에 대한 정보를 의미한다. 주거조건은 주택을 소유한 상태인지 또는 주택취약상태인지를 의미한다. 건강관리 서비스 서버(110)는 이와 같이 장애아동과 장애아동의 가족들에 대한 상태정보를 사전에 수신하고 이를 토대로 복수의 건강관리 서비스 목록에서 일부를 분류한다.
건강관리 서비스 서버(110)는 사전에 복수의 서비스 제공자들로부터 전송된 정보에 따라 복수의 건강관리 서비스에 대한 정보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할 수 있다. 각 서비스 제공자들로부터 전송되는 정보의 신뢰성을 위해서 관리자의 승인 하에 등록하는 절차를 거칠 수 있다. 그리고 장애아동의 보호자 단말기(120)로부터 요청이 수신되면 사전에 전송된 상태정보를 기준으로 일부의 건강관리 서비스 목록을 분류할 수 있다. 예컨대, 상태정보를 필터링 기준으로 이용하여 일부의 서비스 목록들만 추려낼 수 있다. 건강관리 서비스 서버는 사전에 복수의 건강관리 서비스 제공자들로부터 복수의 건강관리 서비스 목록을 생성하기 위한 정보를 수신하되, 서비스 제공자를 위한 메뉴를 출력하여 서비스 목록을 생성하기 위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한편, 서비스 제공자들로부터 제공된 정보에 따라 저장되는 건강관리 서비스의 종류는 크게 지역사회에서 제공하는 서비스, 건강관련 서비스, 장애아동과 가족 모두를 위한 서비스를 포함한다. 지역사회에서 제공하는 서비스는 장애인 복지시설과 같은 기관에서 제공되는 서비스를 의미하며, 건강관련 서비스는 장애 치료, 수술, 재활, 간호 등에 따른 서비스를 의미한다. 그리고 장애아동과 가족을 위한 서비스는 재정지원, 보육/양육/육아, 상담 등의 서비스를 의미한다. 건강관리 서비스 서버(110)는 각 종류별 건강관리 서비스에 대한 정보를 저장할 수 있으며 각 종류별로 제공 가능한 세부적인 서비스 정보들도 함께 저장할 수 있다.
한편, 건강관리 서비스 서버(110)는 이와 같이 분류된 일부의 서비스 목록들을 그대로 전송하는 것이 아니라 전송된 요청에 따라 한번 더 필터링을 수행함으로써 맞춤형 건강관리 서비스에 대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예컨대, 요청에 매칭되는 적어도 하나의 서비스에 대한 목록을 선별하여 보호자 단말기에 전송할 수 있다. 건강관리 서비스 서버는 장애아동의 건강관리 서비스, 지역사회 서비스 및 가족 서비스 중 적어도 하나의 요청을 수신할 수 있으며 분류된 일부의 건강관리 서비스 목록에서 요청에 매칭되는 적어도 하나의 건강관리 서비스에 대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한편, 건강관리 서비스 서버(110)에서 제공되는 정보는 기본적으로는 요청에 따라 맞춤형으로 선별된 건강관리 서비스 목록이 제공되며 각 목록 별로 서비스에 대한 안내정보가 제공된다. 안내정보는 적어도 하나의 건강관리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설에 대한 경로정보를 포함한다. 즉, 건강관리 서비스 서버(110)를 통해 건강관리 서비스에 대한 통합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장애아동의 보호자는 자신이 전송한 요청에 따라 맞춤형으로 선별된 서비스에 대한 목록을 수신할 수 있으며 각 서비스 목록에 포함된 안내정보를 이용하여 가까운 위치의 보호시설에 방문하여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다.
도 2는 개시된 기술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장애아동의 건강관리를 위한 서비스 안내 방법에 대한 순서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장애아동의 건강관리를 위한 서비스 안내 방법(200)은 건강관리 서비스 서버가 장애아동의 일반적 특성, 건강상태, 사회적 특성, 가족구성, 거주형태, 생활사건 및 주거조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상태정보를 복수의 단말기들로부터 수신하는 단계(210), 건강관리 서비스 서버가 복수의 단말기들 중 제 1 단말기로부터 서비스에 대한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220) 및 건강관리 서비스 서버가 제 1 단말기로부터 미리 수신된 제 1 상태정보를 이용하여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복수의 건강관리 서비스 목록들 중 일부의 건강관리 서비스 목록을 분류하고 분류된 서비스 목록 중 요청에 매칭되는 적어도 하나의 서비스에 대한 목록을 선별하여 제 1 단말기에 전송하는 단계(230)를 포함한다.
210 단계에서 건강관리 서비스 서버는 복수의 단말기들로부터 상태정보를 수신한다. 상태정보는 장애아동의 일반적 특성, 건강상태, 사회적 특성, 가족구성, 거주형태, 생활사건 및 주거조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장애아동의 일반적 특성은 장애아동의 연령, 장애아동의 거주지역 및 장애아동의 국적을 포함하고, 건강상태는 장애아동의 장애종별, 기능상태 및 보조기기 사용 여부를 포함하고, 사회적 특성은 장애아동 가정의 소득수준, 급여수급상태 및 건강보험 적용 여부를 포함하고, 생활사건은 보호자의 부재 여부를 포함한다.
한편, 210 단계에 앞서 건강관리 서비스 서버는 사전에 복수의 건강관리 서비스 제공자들로부터 복수의 건강관리 서비스 목록을 생성하기 위한 정보를 수신한다. 이때 서비스 제공자를 위한 전용 메뉴를 출력할 수 있다. 예컨대, 건강관리 서버스 서버가 서비스 제공자의 단말기와 통신하는 경우 서비스 제공자를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출력할 수 있다. 서버는 전용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전송되는 정보를 토대로 복수개의 건강관리를 위한 서비스 목록을 데이터베이스에 등록할 수 있다. 이러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대상에 따라 전용 인터페이스가 별도로 존재할 수 있다. 예컨대, 서비스 제공자를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애아동 및 가족을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관리자를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건강관리 서비스 서버가 각각 구비할 수 있다.
220 단계에서 건강관리 서비스 서버는 복수의 단말기들 중 제 1 단말기로부터 서비스에 대한 요청을 수신한다. 이하부터는 복수의 단말기들 중 요청을 전송한 단말기는 제 1 단말기라고 한다. 제 1 단말기는 장애아동의 보호자 단말기일 수 있으며 건강관리 서비스 서버는 장애아동의 보호자로부터 건강관리 서비스, 지역사회 서비스 및 가족 서비스 중 적어도 하나를 요청으로 수신할 수 있다. 예컨대, 제 1 단말기는 장애아동 또는 가족이 필요로 하는 구체적인 서비스 종류나 시설에 대한 정보를 요청할 수 있다.
230 단계에서 건강관리 서비스 서버는 제 1 단말기로부터 미리 수신된 제 1 상태정보를 이용하여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복수의 건강관리 서비스 목록들 중 일부의 건강관리 서비스 목록을 분류하고 분류된 서비스 목록 중 요청에 매칭되는 적어도 하나의 서비스에 대한 목록을 선별하여 제 1 단말기에 전송한다. 건강관리 서비스 서버는 기 수신된 복수개의 상태정보들 중 제 1 단말기에서 전송된 상태정보를 검색할 수 있다. 예컨대, 제 1 단말기의 연락처나 ID 등을 이용하여 상태정보를 검색할 수 있다.
한편, 건강관리 서비스 서버는 상태정보에 따른 일부의 건강관리 서비스 목록들을 분류하기 위해서 딥러닝 모델을 이용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사전에 상태정보를 입력하는 과정에서 복수개의 문항이나 선택지 등을 포함하는 상태정보 입력시트를 각 사용자 단말기에 전송하여 문항에 응답하거나 선택지 중 하나를 체크하는 방식으로 상태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수신된 상태정보 입력시트에서 선택된 문항이나 선택지의 위치를 추출함으로써 소정의 벡터값을 추출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러한 벡터값을 딥러닝 모델에 입력하는 것으로 각 사용자 단말기별 특징값을 추출할 수 있다. 건강관리 서비스 서버는 이와 같이 추출된 특징값에 따라 복수의 건강관리 서비스 목록들 중 일부를 분류할 수 있다. 그리고 이와 같이 분류된 일부의 서비스 목록들 중 요청에 부합하는 적어도 하나를 선별할 수 있다.
한편, 건강관리 서비스 서버는 최종적으로 선별된 건강관리 서비스에 대한 목록을 제 1 단말기로 전송한다. 이때 서비스 목록에 대한 안내정보를 함께 전송할 수 있다. 안내정보는 적어도 하나의 건강관리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설에 대한 경로정보를 포함한다.
한편, 230 단계에서 건강관리 서비스 서버는 제 1 단말기의 위치정보를 감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리고 위치정보를 기준으로 적어도 하나의 서비스에 대한 목록을 제 1 단말기에 전송할 수 있다. 제 1 단말기의 위치정보는 제 1 단말기로부터 전송되는 GPS정보일 수 있다. 또는 제 1 단말기로부터 사전에 등록된 위치정보가 존재할 수도 있다. 즉, 별도로 등록된 위치정보가 존재하면 해당 위치정보를 기준으로 주변에 가까이 위치한 시설이나 이용 가능한 서비스에 대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물론 별도로 등록된 위치정보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에는 제 1 단말기가 요청을 전송하는 과정에서 자동으로 위치정보가 전송되도록 동작될 수 있다. 이는 사전에 설정된 값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이를 토대로 장애아동 및 가족은 거주지에서 가까운 곳에서 제공되는 건강관리 서비스에 대한 정보를 수신할 수도 있고 현재 위치에서 가까운 곳에서 제공되는 건강관리 서비스에 대한 정보를 수신할 수도 있다.
도 3은 개시된 기술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장애아동의 건강관리를 위한 서비스 안내 장치에 대한 블록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장애아동의 건강관리를 위한 서비스 안내 장치(300)는 서비스 제공자 단말기와 장애아동 보호자 단말기와 통신이 가능한 단말기 또는 서버와 같은 컴퓨팅 디바이스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서비스 안내 장치(330)는 복수의 단말기들로부터 장애아동의 일반적 특성, 건강상태, 사회적 특성, 가족구성, 거주형태, 생활사건 및 주거조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상태정보를 입력받는 입력장치(310), 복수의 단말기들 중 제 1 단말기로부터 서비스에 대한 요청을 수신하는 통신장치(320), 복수의 건강관리 서비스 목록들을 저장하는 저장장치(330) 및 제 1 단말기로부터 미리 수신된 제 1 상태정보를 이용하여 저장장치에 저장된 복수의 건강관리 서비스 목록들 중 일부의 건강관리 서비스 목록을 분류하고 분류된 서비스 목록 중 요청에 매칭되는 적어도 하나의 서비스에 대한 목록을 선별하는 연산장치(340)를 포함한다.
한편, 상술한 서비스 안내 장치(300)는 컴퓨터와 같은 디바이스에서 실행될 수 있는 실행가능한 알고리즘을 포함하는 프로그램(또는 어플리케이션)으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프로그램은 일시적 또는 비일시적 판독 가능 매체(non-transitory computer readable medium)에 저장되어 제공될 수 있다.
비일시적 판독 가능 매체란 레지스터, 캐쉬, 메모리 등과 같이 짧은 순간 동안 데이터를 저장하는 매체가 아니라 반영구적으로 데이터를 저장하며, 기기에 의해 판독(reading)이 가능한 매체를 의미한다. 구체적으로는, 상술한 다양한 어플리케이션 또는 프로그램들은 CD, DVD, 하드 디스크, 블루레이 디스크, USB, 메모리카드, ROM (read-only memory), PROM (programmable read only memory), EPROM(Erasable PROM, EPROM) 또는 EEPROM(Electrically EPROM) 또는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비일시적 판독 가능 매체에 저장되어 제공될 수 있다.
일시적 판독 가능 매체는 스태틱 램(Static RAM,SRAM), 다이내믹 램(Dynamic RAM,DRAM), 싱크로너스 디램 (Synchronous DRAM,SDRAM), 2배속 SDRAM(Double Data Rate SDRAM,DDR SDRAM), 증강형 SDRAM(Enhanced SDRAM,ESDRAM), 동기화 DRAM(Synclink DRAM,SLDRAM) 및 직접 램버스 램(Direct Rambus RAM,DRRAM) 과 같은 다양한 RAM을 의미한다.
입력장치(310)는 서비스 안내 장치(300)의 마우스나 키보드와 같은 입력수단으로 구현되거나 보호자 단말기에 제공 가능한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입력장치는 복수의 보호자 단말기들로부터 장애아동의 일반적 특성, 건강상태, 사회적 특성, 가족구성, 거주형태, 생활사건 및 주거조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상태정보를 입력받는다. 예컨대, 장애아동의 보호자가 서비스 안내 장치(300)에 구비된 마우스나 키보드 등을 이용하여 직접 상태정보를 입력하거나 단말기에 표시되는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태정보를 입력할 수 있다.
통신장치(320)는 복수의 단말기들 중 제 1 단말기로부터 서비스에 대한 요청을 수신한다. 통신장치(320)는 서비스 안내 장치(300)가 보호자 단말기나 서비스 제공자의 단말기와의 통신을 지원하는 통신모듈로 구현될 수 있다. 통신장치(320)는 일반 인터넷 회선이나 다양한 무선통신 경로를 이용하여 제 1 단말기로부터 요청을 수신하거나 서비스 제공자로부터 전송되는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여기에서 제 1 단말기는 상술한 바와 같이 설명의 편의를 위한 복수의 보호자 단말기들 중 하나를 특정한 것이다.
저장장치(330)는 서비스 안내 장치(300)의 데이터베이스 역할을 하는 장치로, HDD나 SSD와 같은 메모리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저장장치(330)는 복수의 건강관리 서비스 목록들을 저장한다.
연산장치(340)는 제 1 단말기로부터 미리 수신된 제 1 상태정보를 이용하여 저장장치(330)에 저장된 복수의 건강관리 서비스 목록들 중 일부의 건강관리 서비스 목록을 분류한다. 그리고 분류된 서비스 목록 중 요청에 매칭되는 적어도 하나의 서비스에 대한 목록을 선별하여 통신장치(320)를 통해 제 1 단말기로 전달한다.
도 4는 건강관리 서비스 안내 장치가 대상에 따라 서로 다른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개시된 기술에 따른 서비스 안내 장치는 장애아동과 그 가족을 위한 통합 건강관리 서비스를 안내한다는 점에 따라 ‘네비게이터’라는 명칭으로 명명될 수 있다. 네비게이터는 장애를 가진 아동과 그 가족이 활용할 수 있는 지역사회의 관련 서비스 정보를 수집하여 이를 서비스 내용별 분류(대분류 3종, 중분류 17종) 및 이용자 기준별 분류(대분류 7종, 중분류 18종)하여 데이터베이스화 한 것이며, 장애아동과 가족에 대한 상태정보를 입력하면 이용가능한 서비스가 도출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한편,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비스 안내 장치는 대상에 따라 서로 다른 인터페이스를 출력할 수 있다. 여기에서 대상은 장애아동의 보호자, 서비스 제공자 및 관리자를 포함한다. 서비스 안내 장치는 대상이 장애아동의 보호자인 경우에는 상태정보를 입력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를 출력할 수 있다. 그리고 대상이 서비스 제공자인 경우에는 건강관리 서비스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데이터를 수신하는 인터페이스를 출력할 수 있다. 그리고 관리자인 경우에는 서비스 제공자로부터 수신한 데이터를 등록하기 위한 인터페이스가 출력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대상에 따라 별도로 분리된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도 5는 건강관리 서비스 안내 장치가 단말기로부터 수신하는 상태정보와 요청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서비스 안내 장치의 분류기준은 지역사회의 공공 및 민간에서 수행중인 서비스를 체계적인 분석과정을 통해 주요 주제를 도출하여 이를 ‘서비스 내용’과 ‘장애아동과 가족의 특성(이용자 기준)’의 두 축으로 분류할 수 있다. 서비스 내용은 지역사회(Community), 건강관리(Health Care)와 아동과 가족의 생활(Child and Family Life)의 세 가지 대분류 기준으로 나눌 수 있다. 지역사회는 하위의 중분류로 사회기반시설, 정보통신시스템, 정서적 환경이 있으며, 건강관리에는 치료적 중재, 수술, 의료비, 보조기기, 재정지원, 간호서비스가 중분류로 포함된다. 아동과 가족의 생활의 경우 등록, 재정지원, 돌봄/양육/육아, 가족지원, 장애아동 여가생활, 이동지원, 주거지원 및 활동지원을 포함하여 총 3가지의 대분류, 17가지의 중분류 기준으로 서비스 내용을 구분한다.
한편, 장애아동과 가족의 특성(이용자 기준)은 아동과 가족의 일반적 특성(아동의 연령, 거주지역, 국적), 아동의 건강상태(장애종별, 기능상태, 보조기기 사용), 사회경제적 상태(소득수준, 급여수급상태, 국가건강보험, 재산수준), 가족구성(가족 특성, 부모 상태, 조부모 상태, 형제자매 상태), 거주시설(재가/시설, 시설유형), 생활사건(보호자 부재), 주거조건(취약상태)의 7가지 대분류와 하위의 19가지 중분류를 가지고 서비스를 분류한다.
기존 보건복지부의 복지서비스 검색포털(복지로)에서 제시하는 분류체계의 대상자는 전 국민 대상을 대상으로 생애주기에 따른 서비스를 안내, 제공하나 본 네비게이터에서의 대상자는 장애아동과 가족에 초점이 있기 때문에 장애아동의 건강과 관련된 서비스와 가족의 생활에 대해 분류가 세분화되어 도출될 수 있다. 또한 최초 검색을 위한 개별 조건을 입력할 시 복지로의 경우 본인을 포함한 가족구성원의 개별의 기본 정보를 입력하도록 되어있고 본 네비게이터는 장애를 가진 아동에 기준한 기본 정보를 입력하도록 되어있다. 이외에도 세부 분류항목 별 입력방식에 차별을 두고 있다.
이러한 분류기준에 대하여 전문가 및 장애아동 가족에 대해 적절성을 확인하였다. 장애인 정책 및 서비스 관련 지자체 실무자, 장애인 관련 기관의 사회복지사, 석사학위를 소지하고 임상경력 10년 이상의 재활병원 간호사를 대상으로 수행된 내용타당도 검증에서 타당도 계수가 일정 수준이하인 문항 및 문항의 표현에 수정이 요구된 경우 이를 수정·보완하였다. 장애아동의 부모를 대상으로 실시한 분류에 대한 적절성-필요성 평가를 통하여 분류항에 대한 높은 수준의 필요도를 확인하였으며, 일부 용어에 대해 이해의 어려움을 표현한 경우에는 이를 수정·보완하였다.
또한, 개발된 분류체계를 바탕으로 장애아동과 가족을 위한 네비게이터를 기획하였다. 국내외의 사례를 기반으로 기존의 서비스 내용에서 이용자와 서비스 제공자 간 필요한 정보를 구분하여 비교하고 본 네비게이터의 구성안을 제시하였다. 그 결과 ‘장애아동 및 가족을 위한 아동건강 네비게이터’는 접근할 수 있는 방향을 대상자용(장애아동 가족), 서비스 제공자용, 관리자용으로 구분하였으며 대상자용은 장애를 진단받은 아동의 일반적 특성과 건강상태, 장애아동의 가족의 특성에 대해서 기입하고 관심주제가 있을 시에는 선택할 수 있도록 하였다. 서비스 제공자용은 서비스를 등록하는 계정으로 서비스의 내용에 따라 서비스 분류를 선택하고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는 조건을 기입하도록 하였다. 본 네비게이터 웹사이트에서는 자유로운 의견의 공유(게시판) 및 설문, 장애아동 가족 간의 온라인 자조모임이 가능한 채팅룸 등이 함께 기획되어 이용에 대한 승인을 받은 가입자들은 모두 이를 활용할 수 있다. 관리자는 서비스를 등록하는 서비스 제공자 계정의 승인 및 관리, 대상자 계정 승인 및 관리, 데이터베이스 내 서비스 관리, 기타 공지사항, 게시판, 설문 및 채팅룸 등을 총괄 관리가 가능하다.
도 6은 상태정보와 요청에 따라 선별된 건강관리 서비스에 대한 정보를 출력하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과 같이 건강관리 서비스에 대한 상세정보가 장애아동의 보호자에게 제공될 수 있다. 장애아동 보호자는 단밀기로 전송된 적어도 하나의 건강관리 서비스 목록 중 본인이 필요한 특정 건강관리 서비스를 선택하면 그에 따른 안내정보가 세부적으로 출력될 수 있다. 따라서, 장애아동과 가족을 위한 통합 건강관리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개시된 기술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장애아동의 건강관리를 위한 서비스 안내 방법 및 장치는 이해를 돕기 위하여 도면에 도시된 실시 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분야에서 통상적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개시된 기술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Claims (15)

  1. 건강관리 서비스 서버가 장애아동의 일반정보, 건강상태, 사회경제적 정보, 가족구성, 거주형태, 보호자의 부재여부 및 주거조건을 포함하는 상태정보를 복수의 단말기들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상기 건강관리 서비스 서버가 상기 복수의 단말기들 중 제1 단말기로부터 서비스에 대한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건강관리 서비스 서버가 상기 제1 단말기로부터 미리 수신된 제1 상태정보를 이용하여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복수의 건강관리 서비스 목록들 중 일부의 건강관리 서비스 목록을 분류하고 상기 분류된 서비스 목록 중 상기 요청에 매칭되는 적어도 하나의 서비스에 대한 목록을 선별하여 상기 제1 단말기에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일반정보는 상기 장애아동의 연령, 거주지역 및 국적을 포함하고,
    상기 사회경제적 정보는 상기 장애아동 가정의 소득수준, 급여수급 상태, 건강보험 적용여부 및 재산의 수준 내지 정도를 포함하는
    장애아동의 건강관리를 위한 서비스 안내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건강상태는 상기 장애아동의 장애종별, 기능상태 및 보조기기 사용 여부를 포함하는,
    장애아동의 건강관리를 위한 서비스 안내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건강관리 서비스 서버는 사전에 복수의 건강관리 서비스 제공자들로부터 상기 복수의 건강관리 서비스 목록을 생성하기 위한 정보를 수신하되, 상기 서비스 제공자를 위한 메뉴를 출력하여 상기 서비스 목록을 생성하기 위한 정보를 수신하는 장애아동의 건강관리를 위한 서비스 안내 방법.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건강관리 서비스 서버는 관리자 단말기로부터 전송되는 입력에 따라 상기 복수의 서비스 제공자들로부터 수신된 정보들을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등록하는 장애아동의 건강관리를 위한 서비스 안내 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건강관리 서비스 서버가 장애아동의 건강관리 서비스, 지역사회 서비스 및 가족 서비스 중 적어도 하나의 요청을 수신하는 장애아동의 건강관리를 위한 서비스 안내 방법.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단말기에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서비스에 대한 목록에 대한 안내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안내정보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건강관리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설에 대한 경로정보를 포함하는 장애아동의 건강관리를 위한 서비스 안내 방법.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단말기에 전송하는 단계는,
    건강관리 서비스 서버가 상기 제 1 단말기의 위치정보를 감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위치정보를 감지하는 단계는 상기 건강관리 서비스 서버가 상기 위치정보를 기준으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서비스에 대한 목록을 상기 제 1 단말기에 전송하는 장애아동의 건강관리를 위한 서비스 안내 방법.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정보를 감지하는 단계는,
    상기 제 1 단말기로부터 사전에 등록된 위치정보가 존재하면 상기 등록된 위치정보를 기준으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서비스에 대한 목록을 상기 제 1 단말기에 전송하는 장애아동의 건강관리를 위한 서비스 안내 방법.
  9. 복수의 단말기들로부터 장애아동의 일반정보, 건강상태, 사회경제적 정보, 가족구성, 거주형태, 보호자의 부재여부 및 주거조건을 포함하는 상태정보를 입력받는 입력장치;
    상기 복수의 단말기들 중 제1 단말기로부터 서비스에 대한 요청을 수신하는 통신장치;
    복수의 건강관리 서비스 목록들을 저장하는 저장장치; 및
    상기 제 1 단말기로부터 미리 수신된 제 1 상태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저장장치에 저장된 복수의 건강관리 서비스 목록들 중 일부의 건강관리 서비스 목록을 분류하고 상기 분류된 서비스 목록 중 상기 요청에 매칭되는 적어도 하나의 서비스에 대한 목록을 선별하는 연산장치;를 포함하되
    상기 일반정보는 상기 장애아동의 연령, 거주지역 및 국적을 포함하고,
    상기 사회경제적 정보는 상기 장애아동 가정의 소득수준, 급여수급 상태, 건강보험 적용여부 및 재산의 수준 내지 정도를 포함하는
    장애아동의 건강관리를 위한 서비스 안내 장치.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건강상태는 상기 장애아동의 장애종별, 기능상태 및 보조기기 사용 여부를 포함하는,
    장애아동의 건강관리를 위한 서비스 안내 장치.
  11.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장치는 사전에 복수의 건강관리 서비스 제공자들로부터 상기 복수의 건강관리 서비스 목록을 생성하기 위한 정보를 수신하되, 상기 서비스 제공자를 위한 유저 인터페이스(UI)를 출력하여 상기 서비스 목록을 생성하기 위한 정보를 수신하는 장애아동의 건강관리를 위한 서비스 안내 장치.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장치는 장애아동의 건강관리 서비스, 지역사회 서비스 및 가족 서비스 중 적어도 하나의 요청을 수신하는 장애아동의 건강관리를 위한 서비스 안내 장치.
  13.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연산장치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서비스에 대한 목록에 대한 안내정보를 상기 저장장치에서 선별하여 상기 통신장치를 통해 상기 제 1 단말기에 전송하고,
    상기 안내정보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건강관리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설에 대한 경로정보를 포함하는 장애아동의 건강관리를 위한 서비스 안내 장치.
  14.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장치는 상기 제 1 단말기의 위치정보를 감지하고,
    상기 연산장치는 상기 위치정보를 기준으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서비스에 대한 목록을 상기 제 1 단말기에 전송하는 장애아동의 건강관리를 위한 서비스 안내 장치.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연산장치는 상기 제 1 단말기로부터 사전에 등록된 위치정보가 존재하면 상기 등록된 위치정보를 기준으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서비스에 대한 목록을 상기 제 1 단말기에 전송하는 장애아동의 건강관리를 위한 서비스 안내 장치.
KR1020200162529A 2020-11-27 2020-11-27 장애아동의 건강관리를 위한 서비스 안내 방법 및 장치 KR10242235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62529A KR102422357B1 (ko) 2020-11-27 2020-11-27 장애아동의 건강관리를 위한 서비스 안내 방법 및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62529A KR102422357B1 (ko) 2020-11-27 2020-11-27 장애아동의 건강관리를 위한 서비스 안내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74250A KR20220074250A (ko) 2022-06-03
KR102422357B1 true KR102422357B1 (ko) 2022-07-18

Family

ID=819835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62529A KR102422357B1 (ko) 2020-11-27 2020-11-27 장애아동의 건강관리를 위한 서비스 안내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2235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24654B1 (ko) * 2022-08-29 2023-04-21 주식회사 한국장애인신문 Ai 기반의 장애인과 지방자치단체의 맞춤형 뉴스레터 관리 시스템
KR102580302B1 (ko) * 2023-02-08 2023-09-19 주승하 발달지연 및 발달장애 아동을 위한 플랫폼 서비스 제공 시스템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22091B1 (ko) 2011-07-14 2013-01-14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건강 분류 항목을 이용한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KR101510600B1 (ko) 2014-11-11 2015-04-08 국민건강보험공단 빅데이터 개인 건강 기록 시스템
KR102093542B1 (ko) 2017-12-20 2020-04-28 (주)휴레이포지티브 생활 습관 자가 관리에 관한 서비스 제공방법과 이를 위한 서버 및 사용자 단말기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06125A (ko) * 2000-07-11 2002-01-19 우진호 치매 환자 관리 시스템
KR20020010293A (ko) * 2000-07-29 2002-02-04 조응준 토탈 헬스케어 시스템 및 방법
KR20100011405A (ko) * 2008-07-25 2010-02-03 (주)실버케어즈 실시간 맞춤형 케어 서비스 관리 방법 및 시스템
KR101141425B1 (ko) * 2010-04-08 2012-05-04 국립암센터 온라인을 통한 개인 맞춤형 건강관리와 진료방법 및 온라인 건강관리와 의료서비스 제공 서버장치
KR101264273B1 (ko) * 2010-11-22 2013-05-22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생활, 장애 및 건강 분류 정보를 이용한 응용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KR101747521B1 (ko) * 2015-06-09 2017-06-15 이화여자대학교 산학협력단 스마트 건강관리 정보 서비스 방법 및 그 방법을 실행하는 컴퓨터프로그램
KR20190073120A (ko) * 2017-12-18 2019-06-26 (주)휴레이포지티브 건강 관리를 위한 사용자별 맞춤서비스 제공방법 및 서버
KR102199165B1 (ko) 2018-12-27 2021-01-06 제이에스씨(주) 장애 아동과 그 가족을 위한 스마트 리빙 서비스 플랫폼 시스템
KR102171422B1 (ko) * 2019-01-28 2020-10-29 (주)라온아띠 사회서비스 제공시스템 및 돌봄서비스 제공시스템
KR102199385B1 (ko) * 2019-03-14 2021-01-06 이승훈 노인 가구를 위한 노인 서비스 제공자 매칭 및 관리 시스템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22091B1 (ko) 2011-07-14 2013-01-14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건강 분류 항목을 이용한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KR101510600B1 (ko) 2014-11-11 2015-04-08 국민건강보험공단 빅데이터 개인 건강 기록 시스템
KR102093542B1 (ko) 2017-12-20 2020-04-28 (주)휴레이포지티브 생활 습관 자가 관리에 관한 서비스 제공방법과 이를 위한 서버 및 사용자 단말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74250A (ko) 2022-06-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ichstaedt et al. Psychological language on Twitter predicts county-level heart disease mortality
Zhong et al. Development of key indicators of hospital resilience: a modified Delphi study
Gould et al. The evolution of BioSense: lessons learned and future directions
Khazaal et al. HON label and DISCERN as content quality indicators of health-related websites
Storey et al. Utilization and implications of the Static-99 in practice
Drabiak Caveat emptor: How the intersection of big data and consumer genomics exponentially increases informational privacy risks
Sjöstedt et al. Vulnerability of small island developing states to natural disasters: how much difference can effective governments make?
Goodfellow et al. Contemporary classifications of suicidal behaviors
Ford et al. “You don't immediately stick a label on them”: a qualitative study of influences on general practitioners' recording of anxiety disorders
KR102422357B1 (ko) 장애아동의 건강관리를 위한 서비스 안내 방법 및 장치
Chorianopoulos et al. Flutrack. org: Open-source and linked data for epidemiology
Gillingham Predictive risk modelling to prevent child maltreatment: insights and implications from Aotearoa/New Zealand
Boeschoten et al. A framework for privacy preserving digital trace data collection through data donation
Fakunmoju et al.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and gender invariance of the revised IRMA scale in Nigeria
Golder et al. Methods to establish race or ethnicity of twitter users: Scoping review
Morgan et al. Sources of potential bias when combining routine data linkage and a national survey of secondary school-aged children: a record linkage study
Haroz et al. Reaching those at highest risk for suicide: development of a model using machine learning methods for use with Native American communities
Luckock et al. Developing innovative models of practice at the interface between the NHS and child and family social work where children living at home are at risk of abuse and neglect: a scoping review
Monheit et al. Education and family health care spending
Polcin et al. Recovery home environment characteristics associated with recovery capital
Spence et al. The association between legal status and poverty among immigrants: A methodological caution
Booth et al. Qualitative evidence syntheses: Assessing the relative contributions of multi‐context and single‐context reviews
Gallo et al. Sustainability planning in the US response to the opioid crisis: An examination using expert and text mining approaches
Park et al. Finding publics within the blogosphere: the blogger public segmentation model
Garrett et al. Papers please-predictive factors of national and international attitudes toward immunity and vaccination passports: Online representative survey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