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13292A - 입력 및 출력을 갖추고 오디오 파일로부터의 볼륨-조절된 오디오 신호가 있는 이펙트 장치를 갖춘 장치 - Google Patents

입력 및 출력을 갖추고 오디오 파일로부터의 볼륨-조절된 오디오 신호가 있는 이펙트 장치를 갖춘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13292A
KR20210113292A KR1020217024924A KR20217024924A KR20210113292A KR 20210113292 A KR20210113292 A KR 20210113292A KR 1020217024924 A KR1020217024924 A KR 1020217024924A KR 20217024924 A KR20217024924 A KR 20217024924A KR 20210113292 A KR20210113292 A KR 2021011329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udio
effect unit
sound
volume
outp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70249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군나르 크론
Original Assignee
크로노톤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크로노톤 게엠베하 filed Critical 크로노톤 게엠베하
Publication of KR202101132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1329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GCONTROL OF AMPLIFICATION
    • H03G3/00Gain control in amplifiers or frequency changers without distortion of the input signal
    • H03G3/005Control by a pilot signa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3/00Circuits for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GCONTROL OF AMPLIFICATION
    • H03G3/00Gain control in amplifiers or frequency changers without distortion of the input signal
    • H03G3/20Automatic control
    • H03G3/30Automatic control in amplifiers having semiconductor devices
    • H03G3/3005Automatic control in amplifiers having semiconductor devices in amplifiers suitable for low-frequencies, e.g. audio amplifier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GCONTROL OF AMPLIFICATION
    • H03G7/00Volume compression or expansion in amplifiers
    • H03G7/002Volume compression or expansion in amplifiers in untuned or low-frequency amplifiers, e.g. audio amplifier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GCONTROL OF AMPLIFICATION
    • H03G7/00Volume compression or expansion in amplifiers
    • H03G7/007Volume compression or expansion in amplifiers of digital or coded sig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SSTEREOPHONIC SYSTEMS 
    • H04S7/00Indicating arrangements; Control arrangements, e.g. balance control
    • H04S7/30Control circuits for electronic adaptation of the sound field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GCONTROL OF AMPLIFICATION
    • H03G3/00Gain control in amplifiers or frequency changers without distortion of the input signal
    • H03G3/20Automatic control
    • H03G3/30Automatic control in amplifiers having semiconductor devices
    • H03G3/32Automatic control in amplifiers having semiconductor devices the control being dependent upon ambient noise level or sound leve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430/00Signal processing covered by H04R, not provided for in its groups
    • H04R2430/01Aspects of volume control, not necessarily automatic, in sound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SSTEREOPHONIC SYSTEMS 
    • H04S1/00Two-channel systems
    • H04S1/002Non-adaptive circuits, e.g. manually adjustable or static, for enhancing the sound image or the spatial distribu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SSTEREOPHONIC SYSTEMS 
    • H04S2400/00Details of stereophonic systems covered by H04S but not provided for in its groups
    • H04S2400/13Aspects of volume control, not necessarily automatic, in stereophonic sound syste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ircuit For Audible Band Transduc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입력(11, 12, 15, 16) 및 출력(13, 14, 17, 18)을 갖추고 오디오 파일 또는 오디오 소스로부터의 볼륨-조절된 오디오 신호가 있는 이펙트 장치를 갖춘 장치(100)에 관한 것으로, 여기서 상기 오디오 신호는 상기 이펙트 장치의 입력에서 입력 레벨을 갖고 상기 이펙트 장치의 출력에서 출력 레벨을 갖는다. 가능한 한 최적의 백그라운드 사운드를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오디오 파일 또는 오디오 소스의 콘텐츠에 관계없이 각각의 입력 레벨이 사전 설정된 출력 레벨에 할당되며, 여기서 상기 입력 레벨이 출력 레벨로 조절되는 것을 제안한다.

Description

입력 및 출력을 갖추고 오디오 파일로부터의 볼륨-조절된 오디오 신호가 있는 이펙트 장치를 갖춘 장치
본 발명은 청구항 1의 전제부에 청구된 바와 같은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종류의 장치는 US 4,249,042 A에 개시되어 있다.
이전에 알려진 이러한 장치의 경우, 오디오 신호의 레벨과 유사하게 음량(loudness)을 극대화하여 오디오 신호가 최대한 크게 사운드될 수 있도록 오디오 압축기를 이펙트 유닛(effect unit)으로 사용한다. US 4,249,042 A의 한 가지 목적은 이미 제작된 음악 트랙이 최대 볼륨으로 라디오 방송국에서 더 크게 사운드되도록 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위해, 오디오 신호의 피크 레벨(과도 상태라고 알려진)은 더 조용한 사운드 부분이 더 라우드(loud)하게 보이도록 제한된다. 여기서, 가청 왜곡을 감소시키기 위해, 저역 통과 필터는 US 4,249,042 A에서 17 kHz로 제공는 데, 즉 17 kHz와 20 kHz 사이의 주파수 범위에 있는 오디오 신호는 효과적으로 클리핑(clipping)된다. 이러한 손실을 약간 보상하기 위해, 주파수 대역은 15 kHz에서 4 dB 증가한다. 이러한 목적을 위해, 3개 대역 압축기가 사용된다. 에너지 피크가 중간 대역에서 발생하면, 상기 압축기는 3개 대역 모두를 균일하게 조절한다. 에너지 피크가 하위(150 Hz 미만) 및/또는 상위(6 kHz 초과) 주파수 대역에서 발생하면, 상기 3개 대역이 각각 다른 범위로 압축된다. 그런 다음, 그러한 대역은 개별적으로 재조정되며, 이는 종종 라디오 청취자가 인식하는 사운드의 가청 다운-펌핑(down-pumping)을 동반한다.
그러나, US 4,249,042 A에 개시된 장치는 백그라운드 노이즈 제공으로 알려진 문제를 해결하지 못한다.
백그라운드 노이즈 제공의 경우, 청취자가 인식해야 하지만 방해를 받거나 산만해지지 않아야 하는 사운드 분위기는 백그라운드에서 생성되도록 의도된다. 이것은 볼륨, 음향 소스의 음향 각도 및 서로에 대한 주파수 방출의 효율을 조정하고, 필요한 경우 낮은 볼륨의 경우에도 영역 전체에 균일한 사운드 제공을 야기할 수 있는 전파 시간을 조정하여 달성된다. 영역에는 확성기 그리드로 알려진, 즉 일반적으로 서로 동일한 거리에 있는, 특히 전면과 후면에 그리고 좌우에 배치된 확성기 배열에 의해 사운드가 제공된다. 확성기/음향 소스는 일반적으로 천장에 수평으로 위치하지만, 벽에 수직으로 설치되거나, 또는 그 둘의 혼합 형태로 설치될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 사운드가 제공되는 영역의 타입에 관계없이 광범위한 다양한 타입 및 크기의 확성기/음향 소스가 사용된다. 예를 들어, 천장 높이가 10미터이고 면적이 3000 제곱미터인 건설 시장에는 70 제곱미터의 레스토랑과 3.90 미터의 천장 높이와 다른 확성기/음향 소스가 필요할 수 있다. 음향이 제공되는 룸(room)의 표면은 또한 사용될 음향 장비를 선택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유리 표면과 직각은, 예를 들어 직물 및 둥근 모서리와 같은 사운드-흡수 표면과 사운드 효과 측면에서 크게 다르다. 따라서, 당업자는 기존의 사운드 분석 방법의 도움으로 적절한 사운드 제공 시스템을 계산 및 설치할 수 있다.
그러나, 여기서 문제는 사운드가 제공되어야 하는 많은 영역에서 사운드 제공 시스템이 음악 감상용으로 디자인되지 않았다는 점이다. 예를 들어, 쇼핑 센터, 슈퍼마켓, 공항, 기차역 및 유람선에서, 그러한 사운드 제공 시스템은 경보 상황시 사운드를 제공하고 적절한 비상 지침을 크고 명확하게 재생할 수 있도록 디자인되는 경우가 많으며, 이는 또한 음악 트랙들이 이들 자신의 볼륨 그리고 비교되는 볼륨의 관점에서 서로 다르다는 사실로 표현된다. 예를 들어, 1970년대에 제작된 음악 트랙은 2018년에 제작된 음악 트랙보다 인식된 음량이 훨씬 더 조용하다. 그 이유는 즐거운 백그라운드 음악에 도움이 되지 않는 음량에 대한 기존의 압축 및 최대화 기술 때문이다. 또한 지나치게 가까운 거리에 있는 매우 많은 확성기의 사용으로 원하는 포괄적인 사운드의 제공이 달성되지 않는 데, 그 이유는 그들 사운드가 중첩되고 일반적으로 사운드의 인식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전파 시간 차이와 위상 시프트를 포함하는 결과로 사운드의 응집을 생성하기 때문이다.
볼륨 및 사운드 밀도 변화의 결과로, 재생되는 사운드 생성에 따라, 종래 기술의 사운드는 룸 폭의 횡단이 아니라 음향 소스의 근처에 추가로 국한된다. 그러한 인식은 음향 소스/확성기들 사이의 일정 거리보다 음향 소스/확성기 주변에서 더 많은 사운드가 인식된다는 것이다. 사운드 강도가 낮은 이러한 소위 사운드 갭은 사운드 공간을 바람직하지 않은 더 사운드 집약적인 영역과 덜 사운드 집약적인 영역으로 나눈다. 이것의 전형적인 예로는 어떤 테이블의 손님은 너무 많은 사운드를 듣고 다른 테이블의 손님은 너무 적게 듣는 레스토랑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이러한 단점을 피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은 청구항 1의 특징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 이점의 구현 예들은 종속항들로부터 명백해진다.
본 발명은 오디오 파일 또는 오디오 소스의 콘텐츠에 관계없이 사전 설정된 출력 레벨에 할당될 입력 레벨을 제공하며, 여기서 입력 레벨은 출력 레벨로 조절된다.
특히, 음악 스타일(테크노, 클래식 등)에 관계없이, 음악이 항상 동일한 볼륨을 갖도록 오디오 파일 또는 오디오 소스의 모든 콘텐츠 그리고 그에 따라 모든 음악의 볼륨을 서로 매칭시키는 것이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이다. 결과적으로, 노래 내의 다른 음악 요소도 선택한 볼륨에 맞춰진다. 따라서, 최초로 매우 높은 품질의 균일한 사운드 제공이 가능하다. 볼륨이 매칭되고 사운드의 갭이 채워진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장치에서, 예컨대 -24 dB의 입력 레벨을 갖는 오디오 신호는 입력 레벨이 -24 dB인 테크노 음악의 레벨과 정확히 동일한 출력 레벨을 갖는다.
볼륨, 즉 출력 레벨은 이러한 목적을 위해 이펙트 유닛에 사전 설정되며 가능한 한 최적의 백그라운드 음악 제공이 달성되는 경험적 값들에 기초한다. 이러한 경우, 조절은 선택 가능한 입력 레벨로부터 시작할 수 있다.
상기 사전 설정된 출력 레벨은 경험적 값에 기초한다. 이 경우, 음악적 청각은 청각의 더 넓은 맥락에서 중심이 된다. 그렇지 않으면 가청 레벨 점프가 발생할 수 있기 때문에 심각한 볼륨 조절 동작은 피한다. 청취자는 조절 동작에 주목하지 말고, 오히려 그러한 조절 동작에도 불구하고 오디오 콘텐츠가 들리는 대로 생성되었음을 느껴야 한다. 사전 설정은 하위 볼륨 영역에서 정적 선형 범위를 제공하여 조용한 콘텐츠를 일반적으로 더 크게 한 후 비선형 범위의 상위 볼륨 영역에 접근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에 따라 점점 낮아지는 볼륨 증가 요인이 바람직하게는 최대 레벨 0 dB까지 컷 오프(cut off)될 수 있고, 특히 바람직하게는 최대 레벨 0 dB를 초과하는 레벨 점프가 발생하지 않는 방식으로 동적으로 조절될 수 있다. 볼륨 조절 동작에 따라 리미터(limiter)를 연결하는 것이 유리하다. 볼륨 매칭에도 불구하고 가능한 한 동적인 청각을 달성하기 위해, 입력 레벨을 출력 레벨로 처리하는 타입은, 예를 들어 어택(attack) 및 릴리스(release)와 같은 지연 값을 동적으로 조절함으로써 바람직하게 개선된다. 어택은 입력 레벨이 선형에서 비선형으로 그 규정된 임계값을 초과한 후 동적 움직임(dynamic)을 제한하는 볼륨 조절 곡선이 작용하기 시작하는 시간을 조절한다. 릴리스는 입력 레벨이 비선형에서 선형으로 그 규정된 임계값 아래로 떨어진 후 동적 움직임을 제한하는 볼륨 조절 곡선이 작용을 멈추는 시간을 조절한다.
이펙트 유닛의 조절을 위해, 즉 입력 레벨을 사전 설정된 출력 레벨로 조절하기 위해, 프로세서에 처리되는 알고리즘을 차례로 포함하는 대응하는 소프트웨어가 프로세서에 제공될 수 있다.
음향심리학 조사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장치는, 특히 다음과 같은 이점 및 솔루션을 제공한다는 것이 밝혀졌다:
- 본 발명에 따른 장치는 백그라운드 음악의 동적인 변화를 보상한다. 본 발명에 따른 장치는 인식된 볼륨이 일정하게 유지되도록 다수의 오디오 콘텐츠에 걸쳐 그리고 각각의 오디오 콘텐츠 내에서 동적인 변화를 보상하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상기 오디오 콘텐츠는 백그라운드 청취에 최적화된 동적 움직임으로 기본 사운드 품질을 유지한다.
- 본 발명에 따른 장치는 음향 소스의 방출 동작이 강화되는 방식으로 모든 주파수에 걸쳐 사운드를 안정화시킨다. 따라서, 음향 소스는 청취자 측에서 상대적으로 큰 방출 반경으로 인식되는 일정한 음압을 방출한다. 본 발명에 따른 장치에 의해 최적화된 각각의 음향 소스의 이러한 상대적으로 큰 방출 반경의 결과로서, 처음으로 더 적은 수의 음향 소스를 설치하여 영역에 걸쳐 균일하게 사운드를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다.
- 본 발명에 따른 장치는 개별 요소를 처리할 필요 없이 각 타입의 기존 음향 시스템을 최적화하고 결과적으로 기존 음향 시스템의 성능이 명확하게 개선되어 실시간으로 사운드를 최적화한다.
- 본 발명에 따른 장치는 너무 시끄럽거나 너무 조용한 오디오 소스가 더 이상 존재하지 않도록 다양한 볼륨의 오디오 소스가 볼륨 측면에서 서로 맞추어지는 것을 보장한다.
- 볼륨 거동은 조용하고 시끄러운 구절/사운드 콘텐츠가 인식된 볼륨 측면에서 균일하지만 본질적으로 생동감 넘치는 사운드스케이프(soundscape)가 형성되도록 균일한 예측 컨텍스트를 생성하는 방식으로 본 발명에 따른 장치에 의해 변경된다. 사운드 에너지와 그 방향 및 포함된 공간성은 사운드 콘텐츠가 서로 미세하게 조정되고 그들 사운드 강도가 일반적으로 강화되는 방식으로 조절된다.
- 본 발명에 따른 장치의 결과는 또한 균일하게 인식되어야 하고 종래 기술에 비해 적은 수의 음향 소스로 낮은 볼륨의 경우에도 갭 없이 생성될 수 있는 사운드 필드(sound field)이다. 서로 다른 볼륨의 사운드 콘텐츠는 서로에 대해 조화로운 전체적인 컨텍스트를 자동으로 생성한다.
- 또한, 오디오 파일로부터 순수한 음성 콘텐츠들을 사용하는 테스트에서는, 이들 콘텐츠가 스피커의 타입에 관계없이 본 발명에 따른 장치에 의해 음향 소스를 통해 지속적으로 재생될 수 있음을 입증했다. 음성 볼륨 및 마이크와의 거리를 조정하여 음성 또는 말 소리가 자연스러움을 잃지 않고 볼륨을 생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하나의 유리한 개선은 이펙트 유닛이 오디오 압축기가 되도록 제공한다. 오디오 압축기는 오디오 기술에서 조절 증폭기로 사용되며 오디오 신호의 볼륨을 조절한다. 압축기의 중요한 파라미터는, 예를 들어 어택, 릴리스, 임계값 및 이득이다. 음악 자료는 오디오 압축기를 통해 압축된다. 동적 움직임이 감소한다. 동적 움직임은 일부의 음악에서 가장 조용한 톤과 가장 큰 톤의 차이이다. 압축기의 사용은 대부분 오디오 신호의 크기를 상당히 증가시키는 데 목적이 있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장치에서 이펙트 유닛으로서의 오디오 압축기는 입력 레벨을 사전 설정된 출력 레벨로 조절하는 볼륨 조절기이기도 하다. 이를 위해, 상기 오디오 압축기는 대응하는 소프트웨어가 포함된 동적 프로세서의 형태이며, 여기서 상기 소프트웨어는 차례로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처리되는 알고리즘을 포함한다.
오디오 압축기 사용의 이점은 특성 곡선으로 알려진 조절 곡선을 자유롭게 형성할 수 있다는 점이다. 이러한 특성 곡선은 전체 동적 범위에서 입력 레벨 대 출력 레벨의 비율을 조절함으로써 이러한 비율이 모든 동적 스테이지에서 매우 정확하게 조정될 수 있다. 이러한 특성 곡선의 아키텍처는, 예를 들어 선형 또는 비선형, 정적 또는 동적일 수 있기 때문에, 추구하는 사운드 목표에 따라 오디오 자료의 전체 동적 범위를 매우 미세하게 그리고 개별적으로 조정할 수 있는 가능성을 제공한다. 상기 오디오 압축기는, 예를 들어 특성 곡선을 통해 출력 레벨에 대한 입력 레벨을 자유롭게 할당하고, 어택, 릴리스 및 홀드(hold)의 조절 동작에 의해 조절 임계값 및 시간을 미세 조정함으로써 악기의 창의적 가능성에 매우 근접한다. 본 발명은 또한 사운드 손실을 허용하지 않고 컨텍스트에서 서로 들리는 다수의 오디오 콘텐츠의 볼륨을 매칭시키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특히, 오디오 압축이 음량을 최대화하는 것을 목표로 하는 경우 오디오 콘텐츠에서 사운드 손실이 발생한다. 오디오 자료의 음량을 최대화하기 위해, 그러한 오디오 자료는, 예를 들어 드럼 비트와 같이 과도 상태를 대부분 포함하는 피크 레벨의 동시 제한과 함께 극도로 압축되어야 한다.
바람직하게는, 오디오 파일의 신호의 출력 레벨은 측정된 값들에 의해 얻어지고 바람직하게 소프트 니(soft knee) 특성으로 알려진 것을 가짐으로써 청취자에게 균일한 볼륨 조화를 지원하는 비선형 특성 곡선의 값이다. 소프트 니 특성은 특정 입력 레벨에서 시작하여 형태가 구부러진 소프트 조절 곡선을 지정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맥락에서, 측정된 값들에 의해 결정된 선형 특성 곡선도 생각할 수 있다.
최대 레벨 0 dB를 초과하는 레벨 점프가 없어야 한다는 점을 염두에 두고 볼륨 증가 계수가 최대 레벨 0 dB까지 컷 오프되고 동적으로 조절될 수 있도록, 상기 사전 설정은 하위 볼륨 영역에서 정적 선형 볼륨 증가를 제공하여 조용한 콘텐츠를 일반적으로 크게 한 후 비선형 특성 곡선의 상위 볼륨 영역에 접근하게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오디오 압축기가 사용되면, 비선형 특성 곡선으로 동작한다. 선형 특성 곡선과 달리, 규정된 임계값/동작점(즉, 조절 동작이 시작되는 임계값)을 갖는 것이 특징이다. 이러한 임계값에서 소프트 니 특성이 있는 비선형 범위를 사용하는 것이 유리하다. 상기 소프트 니 특성은 임계값에서 시작하여 형상이 구부러진 소프트 조절 곡선을 지정하며, 그 결과 본 발명에 따른 장치 내에서 볼륨 조절이 원활하게 달성된다. 이러한 목적을 위해, 어택(즉, 압축기의 응답 시간), 및 릴리스(즉, 압축기의 리턴 시간)의 압축 파라미터에 대해 긴 조절 시간을 사용하고, 홀드 파라미터를 사용하는 것도 유리하다. 홀드는 임계값 아래로 떨어진 후 릴리스 동작이 시작될 때까지의 시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장치 내의 이펙트 유닛이 느린 조절 동작을 가질 수 있기 때문에, 빠르게 발생하는 몇몇 피크 레벨이 조절되지 않는다는 것을 완전히 배제할 수는 없다. 이를 피하여 있을 수 있는 레벨의 오버드라이빙(overdriving)을 방지하기 위해, 리미터를 이펙트 유닛의 하류에 연결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추가 이점의 개선은 장치의 출력과 이펙트 유닛 사이에 배열되고 상기 출력과 이펙트 유닛에 연결될 리미터를 제공한다.
리미터 역시 조절 동작이 시작되는 임계값을 갖는 것이 바람직한다. 이러한 조절 동작은 리미터가 피크 레벨만 컷 오프해야 하지만 사운드 자체에 더 이상 영향을 미치지 않아야 하기 때문에, 예를 들어 이펙트 유닛으로 상류에 연결된 압축기보다 훨씬 더 큰 레벨에서 영향을 미치기 시작한다. 압축기의 선형 특성 곡선과 비교하여, 하드 니(hard knee) 특성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이에 국한되지 않을 경우, 조절 곡선은 -7 dB에서 구부진 다음 헤드룸(headroom)으로 0 dB 한계 아래의 레벨 포인트까지 안내된다. 상기 리미터의 상승 및 하강 시간(어택, 릴리스, 홀드)은 소위 펌핑이 발생하지 않도록 선택되어야 하지만 조절 시간이 너무 길지 않아 리미터가 발생할 수 있는 피크 레벨로부터 보호하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행 가능한 변형은 레벨러(leveler), 즉 장치의 입력과 이펙트 유닛 사이에 배열되고 상기 입력과 이펙트 유닛에 연결될 입력에 인가된 오디오 신호의 볼륨을 수정하기 위한 추가 이펙트 유닛을 제공한다. 상기 레벨러는, 예를 들어 입력에 연결된 오디오 소스의 볼륨 변조가 너무 높아 오디오 소스가 장치의 허용 가능한 입력 피크 레벨을 초과하는 경우 오버드라이빙이 발생하지 않을 수 있게 한다.
사운드 이벤트 중에 보다 공간적인 사운드 스테이지를 생성하려면 스페셜라이저(spatializer)를 사용하는 것이 유리하다. 상기 사운드 스테이지는, 예를 들어 오디오를 스테레오로 들을 때 두 확성기 사이에 형성되는 사운드 필드를 나타낸다. 스페셜라이저는 이러한 사운드 스테이지를 사운드 방향으로 확장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즉, 사운드는 확성기를 넘어 좌우로 확장되어야 한다. 일반 스테레오 필드에서, 상기 확성기는 사운드 필드의 왼쪽 및 오른쪽 외부 한계이다. 예를 들어, 매우 작은 확성기 시스템이 관련된 경우, 작은 확성기 시스템이 결과적으로 마치 확성기가 서로 더 멀리 배치된 것처럼 사운드되기 때문에 사운드 필드의 확장이 편리하다. 또한, 스페셜라이저는, 예를 들어 사운드 필드를 위쪽으로 끌어올릴 수 있으며, 확성기 앞에 있는 청취자의 방향으로 공간적으로 확장할 수도 있다. 이것을 가상 서라운드 효과라고 한다. 상기 스페셜라이저는 서로에 대해 특정 비율로 입력 채널을 가산하거나 감산해서 사운드 스테이지를 확장하여, 추가 사운드 스테이지가 발생하도록 한다. 입력 채널의 가산 및 감산, 그리고 아마도 서로에 대한 그들 전파 시간의 맞춤에 대한 설정과 공식은 사운드 이벤트의 타입에 따라 다르며, 개별적으로 또는 일반적으로 설정될 수 있다. 자동 볼륨 조절에 추가하여, 이들 사운드 가능성을 달성하기 위해, 스페셜라이저는 이펙트 유닛의 하류에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한 데, 즉 스페셜라이저는 특히 사운드 최적화 유닛의 출력 사이에 배열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출력, 바람직하게는 필터 및 이펙트 유닛에 연결된다.
필터가 스페셜라이저의 하류에 배열되는 것이 유리하다. 그 결과, 사운드 이미지는 주파수 이미지에 대해 맞추어질 수 있으며, 필요한 경우 홀(hall) 및 에코 효과와 같은 효과가 제공되어, 예컨대 수정된 사운드 이벤트의 사운드를 강화시킬 수 있다. 상기 필터는 수동 또는 자동으로 동작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아날로그 또는 디지털 기술에 기초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추가 실행 가능한 변형은 장치의 출력과 스페셜라이저 사이에 배열되고 상기 출력과 스페셜라이저에 연결될 필터를 제공한다. 레벨러는 바람직하게 본 발명에 따른 장치의 출력 레벨을 조정하기 위해 필터의 하류에 연결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장치의 이펙트 유닛을 외부에서도 제어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추가의 유리한 개선은 이펙트 유닛에 연결될 센서를 제공하며, 여기서 이펙트 유닛을 제어하고 센서의 데이터 및/또는 신호를 처리하는 제어 장치는 상기 이펙트 장치에 할당된다. 예를 들어, 속도 센서는 기존의 방식으로 자동차에서 속도 및 그 변화를 캡처하고, 이 경우 기존의 방식으로 결정된 데이터를 상기 이펙트 유닛의 일부인 제어 장치로 안내되는 신호로 변환할 수 있다. 캡처된 센서 데이터는 이펙트 유닛 회로에 내장된 제어 장치의 프로세서에서 처리된다. 상기 프로세서는 캡처된 속도에 따라 프로세서가 이펙트 유닛 회로를 제어하는 방식으로 프로그래밍 측면에서 구성되는 데, 즉 프로세서는 오디오 파일 또는 오디오 소스의 콘텐츠에 관계없이 이펙트 유닛의 입력에서 각각의 입력 레벨이 특히 캡처된 속도에 따라 이펙트 유닛의 출력에서 사전 설정된 출력 레벨에 할당되는 방식으로 대응하는 소프트웨어의 알고리즘을 실행하며, 여기서 입력 레벨은 출력 레벨로 조절된다. 따라서, 볼륨-조절된 오디오 신호의 볼륨은, 예를 들어 속도가 증가함에 따라 이펙트 유닛에서 증가될 수 있다.
이펙트 유닛의 외부 제어를 위해, 상기 이펙트 유닛은 크로스페이더(crossfader)를 추가로 가질 수 있으며, 여기서 상기 크로스페이더를 제어하고 센서의 데이터 및/또는 신호를 처리하는 제어 장치가 상기 크로스페이더에 할당된다. 프로세서는 또한 이 경우 상기 크로스페이더를 혼합 유닛으로 사용하여 이펙트 유닛의 두 채널에 서로 다른 볼륨을 적용할 수 있게 함으로써 크로스페이더를 제어하는 데, 즉 상기 크로스페이더는 두 채널의 볼륨 또는 신호 강도가 변경될 수 있도록 두 오디오 채널을 서로 페이드(fade)한다. 상기 크로스페이더의 한 위치에서, 제1 채널의 신호 강도는 제2 채널에 대해 100 대 0의 비율일 수 있다. 상기 크로스페이더의 중앙 위치에서, 두 채널의 라우드(loud)는 동일하다. 이펙트 유닛 회로의 채널, 즉 이펙트 유닛에 의해 볼륨-조절된 스테레오 신호를 갖는 채널, 바람직하게는 상기 이펙트 유닛에도 있는 바이패스 채널이 이를 위해 제공된다. 두 채널 모두 이펙트 유닛의 입력에서 입력 신호에 대응하는 동일한 입력 신호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프로세서는 캡처된 속도에 따라 프로세서가 크로스페이더를 제어하는 방식으로 프로그래밍 측면에서 구성되는 데, 즉 상기 프로세서는 속도에 따라 이펙트 유닛의 입력 신호의 볼륨이 상기 이펙트 유닛 회로의 채널에서 또는 조정되지 않은 바이패스 채널에서 상승하거나 하강하는 방식으로 대응하는 소프트웨어의 알고리즘을 실행한다.
본 발명에 따른 장치는 적어도 하나의 오디오 소스와 적어도 하나의 음향 시스템 사이에 배열될 수 있다. 이 경우, 예를 들어 능동형 확성기와 같은 임의의 타입의 오디오 소스 및 임의의 타입의 음향 시스템을 사용할 수 있다. 여기서 연결 타입은 유선 또는 무선 신호 연결 여부, 예컨대 아날로그 형식으로, 디지털 형식으로, 네트워크를 통해 또는 다른 방식으로 전송되는 모노 또는 스테레오 또는 다중 채널 연결 여부와 같이 자유롭게 선택될 수 있다.
오디오 파일 또는 오디오 소스의 오디오 신호의 입력 레벨이 출력 레벨로 이펙트 유닛에서 조절되는 룸의 사운드를 개선하기 위한 방법이 청구항 19의 청구대상이다. 상기 방법은, 오디오 파일 또는 오디오 소스의 콘텐츠에 관계없이, 오디오 신호의 사전 설정된 출력 레벨이 오디오 신호의 입력 레벨에 할당되고, 여기서 상기 입력 레벨은 출력 레벨로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술한 바와 같은 이점 및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은 개략적으로 예시된 도면을 참조하여 아래에서 더 상세히 설명될 것이다:
도 1a는 본 발명에 따른 장치를 나타내고;
도 1b는 도 1a의 장치의 오디오 압축기의 특성 곡선을 나타내고;
도 2a 내지 2c는 음향 소스 및 이들 사운드의 제공을 나타내고;
도 3은 본 발명의 볼륨-조절된 오디오 신호 및 볼륨-조절되지 않은 오디오 신호의 시간적 프로파일을 나타내고;
도 4는 도 1a의 본 발명에 따른 장치의 전면을 나타내고;
도 5a 내지 5b는 도 1a의 본 발명에 따른 장치의 연결 변형을 나타내고;
도 6은 도 1a의 본 발명에 따른 장치의 다른 연결 변형을 나타내고;
도 7은 도 1a의 장치에서 추가의 이펙트 유닛의 배열 및 센서를 갖는 배열의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의 구현 예의 블록도를 나타내며;
도 8은 도 7에 따른 방법에서 리미터의 특성 곡선을 나타낸다.
도 1a는 참조 부호 100으로 제공되고 휴대용의 박스형 용기의 형태인 본 발명에 따른 장치를 나타낸다.
상기 장치(100)는 이 장치(100)에 통합되고 도 1에 나타낸 구현 예에서 오디오 압축기(10)의 형태인 이펙트 유닛을 갖는다.
도 1a에서 더 명백한 바와 같이, 상기 장치(100)의 후면은 오디오 신호를 위한 오디오 입력(11, 12) 및 오디오 출력(13, 14)을 갖는다. 오디오 입력(11, 12) 및 오디오 출력(13, 14)은 상기 장치 내에서 실행되는 신호 라인(11a, 12a, 13a, 14a)을 통해 오디오 압축기(10)에 연결된다.
도 1a에 나타낸 장치의 구현 예에서, 상기 오디오 입력(11, 12)은 좌우 오디오 채널에 대한 오디오 입력을 형성하는 2개의 비대칭 RCA 커넥터이다. 오디오 출력(13, 14)은 대응하는 비대칭 오디오 출력이며 비대칭 RCA 커넥터의 형태이다.
도 1a에 추가로 예시된 바와 같이, 장치(100)의 후면에는 대칭 오디오 입력(15, 16) 및 대칭 오디오 출력(17, 18)이 더 제공되며, 이들은 장치(100) 내에서 실행되는 신호 라인들을 통해 장치(100)에 유사하게 연결되는 데, 이들 신호 라인은 도 1a에 그래픽으로 나타나 있지 않다. 오디오 입력 및 출력(15, 16, 17, 18)은 XLR/6.3 mm 잭 입력 및 XLR/6.3 mm 잭 출력이다. 상기 장치(100)는 전원 공급 장치용 커넥터(19)를 갖는다. 상기 전원 공급 장치는 상기 장치(100)에서 5V USB 연결로 구성된다.
오디오 압축기(10)는 볼륨 조절기의 기능을 수행한다. 이를 위해, 상기 오디오 압축기(10)에서, 신호 라인(11a, 12a)을 통해 오디오 압축기(10)로 들어온 오디오 파일의 오디오 신호의 입력 레벨이 상기 장치(100)의 오디오 출력(13, 14)으로 신호 라인(13a, 14a)을 통해 통과하는 출력 레벨로 조절되며, 여기서 오디오 압축기(10)에서, 오디오 파일의 콘텐츠에 관계없이, 각각의 입력 레벨은 사전 설정된 출력 레벨에 할당되고, 입력 레벨은 출력 레벨로 조절된다. 이를 위해, 상기 오디오 압축기(10)는 대응하는 소프트웨어를 가진 동적 프로세서의 형태이고, 여기서 상기 소프트웨어는 차례로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처리되는 알고리즘을 포함한다. 볼륨, 즉 오디오 압축기(10)의 출력 레벨은 이 경우 사전 설정되고 차례로 기록된 특성 곡선의 값들인 경험적 값들에 기초한다. 이러한 종류의 특성 곡선은 도 1b에 나나타나 있다.
도 1b는 비선형 범위(25) 및 선형 범위(20)로 구성된 특성 곡선(24)을 나타내며, 여기서 세로축(21)에는 출력 레벨의 값들이 제공되고 가로축(22)에는 오디오 파일의 오디오 신호의 입력 레벨 값들이 제공된다.
도 1b의 특성 곡선(23)은 오디오 압축기(10)에 의해 조절되지 않는 오디오 신호들의 특성 곡선을 나타낸다.
도 1b에서 명백한 바와 같이, 대조적으로, 특성 곡선(24)에서 그 자체를 나타내는 출력 레벨의 사전 설정은 하위 볼륨 영역, 즉 선형 범위(20)에서 선형 볼륨 증가를 제공하여 조용한 콘텐츠를 일반적으로 더 크게 한 후 비선형 방식으로 상위 볼륨 영역에 접근하게 하며, 이에 따라 점점 낮아지는 볼륨 증가 요인이 거의 최대 레벨 0 dB까지 컷 오프되고 동적으로 조절될 수 있다. 그 결과로서 생성된 효과가 도 2a 내지 2c에 나타나 있다.
사운드의 포괄적인 제공을 달성하기 위해, 종래 기술에 따르면, 도 2a에 나타낸 원추형 방출 특성을 갖는 음향 소스(26)들이 그리드(grid)로 설치되거나, 아니면 사운드가 제공될 영역에 따른 수 및 타입으로 무-패턴 및 구조 형태로 설치된다. 이러한 설치의 목적은, 도 2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음향 소스(26)들 사이에 사운드 중첩(30)을 생성하는 것을 방지하여 이들의 볼륨이 함께 추가되거나 바람직하지 않게 들릴 수 있는 전파 시간 차이 및 위상 차이를 생성하지 않도록 하고, 도 2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음향 소스(26)들을 서로 너무 멀리 배치하여 사운드(27)에서의 음향 갭/갭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는 것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너무 적은 수의 음향 소스(26) 또는 너무 많은 음향 소스(26)의 결과로 사운드가 제공될 영역에 걸쳐 사운드의 포괄적이지 않은 공급이 있는 상황이 발생하며, 그 결과 사운드의 인식은 사운드가 제공되는 영역의 각기 다른 위치에서 강도가 달라지며, 이는 사운드의 균일한 인식의 이상과 모순된다.
대조적으로, 도 1b의 장치(100)는 음향 소스의 방출 동작이 강화되도록 모든 주파수에 걸쳐 오디오 신호의 사운드를 안정화시킨다. 따라서, 음향 소스는 도 2c에서 명백한 바와 같이, 상대적으로 큰 방출 반경(31)으로서 청취자에 의해 인식되는 일정한 음압을 방출한다. 장치(100)에 의해 최적화된 각각의 음향 소스(26)의 상대적으로 큰 방출 반경(31)의 결과로서, 처음으로 더 적은 수의 음향 소스(26)를 설치하여 영역에 걸쳐 균일하게 사운드를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1b에 나타낸 장치(100)의 효과는 또한 오디오 신호의 프로파일을 나타내는 도 3으로부터 명백하며, 여기서 진폭 축은 참조 부호 32로 제공되고 시간 축은 참조 부호 33으로 제공된다.
이펙트 유닛이 있는 도 1b의 장치(100)는 과도 상태(34)들로 알려진 것을 유지하게 한다. 과도 상태(34)는 사운드 이벤트의 시작 부분에서 높은 레벨을 갖는 짧은 타악기 사운드이다. 상기 과도 상태(34)는 피치에 종속될 필요가 없으며 종종 비-고조파이다. 오히려, 여기에는 타악기처럼 보이는 짧은 사운드 요소들이 포함된다. 과도 상태(34)는 중요한 사운드 요소, 특히 사운드 이벤트의 특징적인 시작, 예를 들어 드럼 비트, 또는 바이올린 또는 더블 베이스 현의 뜯는 사운드이기 때문에 사운드 이벤트의 사운드 품질을 유지하는 데 중요하다. 도 1a의 장치(100)는 사운드 이벤트의 나머지 부분과 함께 너무 조용한 과도 상태(34)의 볼륨을 증가시키는 장치 덕분에 고품질 사운드 결과를 달성하지만, 도 3에 나타낸 파형(35)으로 표현된 형태는 변경하지 않으며, 여기서 이미 최적의 볼륨을 갖는 오디오 신호의 범위(36)는 처리되지 않아 왜곡되는 데, 즉 처리되지 않은 오디오 신호가 도 3의 오디오 신호의 2개의 하위 프로파일에 나타나 있고, 또한 장치(100)에 의해 조절된 오디오 신호가 도 3의 오디오 신호의 2개의 상위 프로파일에 나타나 있으며, 처리되지 않은 오디오 신호가 이미 최적의 볼륨을 갖는 범위(36)에서 동일한 파형을 갖는다.
도 4는 적어도 하나의 적용된 오디오 입력 신호를 모노 또는 스테레오 처리로 스위치할 수 있는 스위치 유닛(37)을 갖는 도 1b의 장치(100)의 전면을 나타낸다. 도 4에서 더 명확하게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장치(100)에는 처리되지 않은 오디오 입력 신호와 처리된 오디오 입력 신호를 실시간으로 비교할 수 있도록 장치(100)를 활성 방식(바이패스 오프) 또는 비활성 방식(바이패스 온)으로 스위치하는 바이패스 스위치인 스위치(38)가 있다. 광학 표시기(39)는 장치(100)가 바이패스-온 또는 바이패스-오프 모드에 있는지의 여부를 표시한다.
또한, 도 4로부터 더 명백한 바와 같이, 오디오 신호의 입력 레벨의 가능한 오버드라이빙을 나타내는 추가의 광학 표시기(40, 41, 42, 43)가 장치(100) 상에 있다. 도 4에 나타낸 입력 레벨 조절기(44)는 입력에서 오버드라이빙이 없도록 적절하게 맞추어진다. 출력 레벨 조절기(45)는 도 4에 나타내지 않은 음향 시스템의 입력에서 오버드라이빙이 없도록 이펙트 유닛(10)에서 조절된 입력 레벨의 출력 레벨을 조절한다. 유선 신호 전송에 추가하여, 도 4에 나타낸 장치(100)는 또한 블루투스 연결(46)의 형태인 무선 통신을 갖는다.
도 5a, 5b 및 6은 도 1a의 장치(100)를 오디오 시스템의 다른 요소들에 연결하기 위한 다양한 가능성을 나타낸다. 도 5a는 상기 장치(100)의 오디오 입력(51)에 연결된 이들 오디오 소스(48)의 배열(47)의 다수의 오디오 소스(48) 간의 연결 변형을 나타낸다. 도 5b는 복수의 오디오 압축기(53)를 갖는 장치(100)와 다수의 음향 시스템(49) 사이의 연결 변형, 즉 오디오 입력(52)을 갖는 이들 음향 시스템의 배열(50)을 나타낸다.
도 1a의 장치(100)의 다수의 압축기(53)의 배열은 도 6에서 명확하며, 볼륨-조절된 오디오 신호들은 음향 시스템(49)의 적어도 하나의 오디오 입력으로 안내되기 전에 혼합 유닛(55)에서 함께 혼합된다. 상기 혼합 유닛(55)은 A개의 오디오 입력 신호를 B개의 오디오 출력 신호에 혼합하는 장치이다. 이러한 타입의 혼합 유닛은 특히 악기와 같은 여러 오디오 소스가 스테레오 소스, 즉 2개의 채널로 다운-혼합되는 음악 스튜디오에서 일반적이다. 오디오 소스의 순수한 혼합 기능 외에, 최신 혼합 장치에는 혼합 작업 중 사운드 결과를 개선하기 위해 내부 및 외부 이펙트 유닛을 통합할 수 있는 가능성도 포함된다.
도 7은 도 7에 나타내지 않은 적어도 하나의 오디오 소스로부터의 오디오 입력 신호(56)로 시작하는 본 발명의 방법의 구현 예를 나타내며, 그 신호는 도 1의 본 발명에 따른 장치(100)에 인가되며, 오디오 소스의 다른 기본 볼륨으로 인해 장치(100) 내에서 오버드라이빙이 없을 수 있는 방식으로 볼륨 레벨과 관련하여 레벨러(57)에 의해 조절된다. 상기 레벨러(57)는 압축기(10)에 의한 추가 처리를 위해 적용된 오디오 소스(들)의 볼륨(들)을 수동으로 또는 자동으로 맞출 수 있다. 볼륨 레벨이 레벨러(57)에 의해 맞춰지면, 신호는 압축기(10)로 전달되며, 압축기(10)의 하류에는 도 7에 나타내지 않은 리미터도 연결되어 있다. 오디오 신호(23)가 리미터를 통과한 후, 오디오 입력 신호(23)는 스페셜라이저(58)로 전달된 다음 필터 및 이펙트 유닛(59)으로 전달된다. 여기서, 사운드 이미지는 주파수 이미지와 관련하여 맞추어질 수 있으며, 필요한 경우, 예를 들어 수정된 사운드 이벤트의 사운드를 강화시키기 위해 홀 및 에코 효과와 같은 효과가 제공될 수 있다. 이러한 필터 및 이펙트 유닛(59)은 수동 또는 자동으로 동작하며 아날로그 또는 디지털 기술에 기초한다. 필터 및 이펙트 유닛(59) 이후, 오디오 입력 신호(56)는 오디오 출력 신호(61)가 되기 전에 하류에 연결된 출력 레벨러(60)를 통과한다.
선택적으로, 도 7에서 더 명백한 바와 같이, 이펙트 유닛은, 예를 들어 속도 센서인 센서(63)에 연결될 수 있으며, 차례로 도 7에 나타낸 본 발명의 구현 예에서 도 1a에 설명된 장치(100) 외측에 위치된다. 센서(63)는 도 7에 나타낸 본 발명의 구현 예에서 압축기(10)에 연결된다.
상기 센서(63)는 통상적인 방식으로 도 7에 나타내지 않은 자동차의 속도 및 변화를 캡처하고, 이 경우 기존의 방식으로 결정된 데이터를 도 7에 나타내지 않은 상기 압축기(10)의 일부인 제어 장치로 안내되는 신호로 변환한다. 상기 센서(63)의 캡처된 데이터는 압축기 회로(64)의 형태로 이펙트 유닛 회로에 내장된 제어 장치의 프로세서에서 처리된다. 프로세서는 캡처된 속도에 따라 프로세서가 압축기 회로(64)를 제어하는 방식으로 프로그래밍 측면에서 구성되는 데, 즉 상기 프로세서는 오디오 파일 또는 오디오 소스의 콘텐츠에 관계없이 압축기(10)의 입력에서 각각의 입력 레벨이 특히 캡처된 속도에 따라 압축기(10)의 출력에서 사전 설정된 출력 레벨에 할당되는 방식으로 대응하는 소프트웨어의 알고리즘을 실행하며, 여기서 입력 레벨이 출력 레벨로 조절된다. 도 7에 나타낸 본 발명의 구현 예에서, 볼륨-조절된 오디오 신호의 볼륨은 센서(63)에 의해 측정된 속도의 증가에 따라 압축기(10)에서 증가한다.
대안적으로, 도 7에서 추가로 명백한 바와 같이, 상기 센서(63)는 압축기(10)의 크로스페이더(65)에 연결된다. 상기 프로세서는 또한 혼합 유닛으로서의 크로스페이더(65) 덕분에 크로스페이더(65)를 제어하여 압축기(10)의 두 채널에 서로 다른 볼륨을 적용할 수 있는 데, 즉 상기 크로스페이더(65)는 두 채널의 볼륨 또는 신호 강도가 변경될 수 있도록 두 오디오 채널을 서로 페이드한다. 상기 크로스페이더(65)의 한 위치에서, 제1 채널의 신호 강도는 제2 채널에 대해 100 대 0의 비율일 수 있다. 상기 크로스페이더(65)의 중앙 위치에서, 두 채널 모두 동일하게 라우드(loud)하다. 압축기 회로(64)의 채널, 즉 이를 위해 압축기(10)에 의해 볼륨-조절된 스테레오 신호를 갖는 채널과 압축기(10)에도 있는 바이패스 채널(66)이 제공된다. 두 채널 모두 압축기 입력의 입력 신호에 대응하는 동일한 입력 신호를 갖는다. 상기 프로세서는 캡처된 속도에 따라 프로세서가 크로스페이더(65)를 제어하는 방식으로 프로그래밍 측면에서 구성되는 데, 즉 상기 프로세서는 속도에 따라 압축기(10)의 입력 신호의 볼륨이 압축기 회로(64)의 채널 또는 조절되지 않은 바이패스 채널(66)에서 상승하거나 하강하는 방식으로 대응하는 소프트웨어의 알고리즘을 실행한다.
하류에 연결된 도 7의 리미터는 도 8에 나타낸 특성 곡선(62)으로 작용하며, 여기서 도 8의 축은 도 1b의 세로축 및 가로축에 대응한다.
상기 리미터는 조절 동작이 시작되는 임계값 파라미터(63)를 갖는다. 이러한 조절 동작은 리미터가 피크 레벨만 컷 오프해야 하기 때문에 상류에 연결된 압축기(10)보다 더 큰 레벨에서 영향을 미치기 시작하지만, 사운드 자체에 더 이상 영향을 미치지 않아야 한다. 상기 특성 곡선(62)의 선형 영역과 비교하여, 하드 니 특성을 사용할 때, -7 dB에서 곡선 영역(64)이 있으며, 이는 0 dB 한계 아래의 레벨 포인트까지 헤드룸으로 더 안내된다. 상기 리미터의 상승 및 하강 시간(어택, 릴리스, 홀드)은 펌핑이 발생하지 않지만 조절 시간이 너무 길지 않도록 선택되어 리미터가 발생할 수 있는 피크 레벨로부터 보호하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Claims (19)

  1. 적어도 하나의 입력(11, 12, 15, 16)과 적어도 하나의 출력(13, 14, 17, 18) 및 오디오 파일 또는 오디오 소스의 볼륨-조절된 오디오 신호가 있는 이펙트 유닛을 구비한 장치(100)로서, 상기 오디오 신호는 상기 이펙트 유닛의 입력에서 입력 레벨을 갖고 상기 이펙트 유닛의 출력에서 출력 레벨을 가지며, 상기 오디오 파일 또는 오디오 소스의 콘텐츠에 관계없이, 각각의 입력 레벨은 사전 설정된 출력 레벨에 할당되고, 상기 입력 레벨은 출력 레벨로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이펙트 유닛은 오디오 압축기(1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3. 청구항 1 또는 2에 있어서,
    출력 레벨은 측정된 값들에 의해 얻어진 비선형 특성 곡선(24)의 값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4. 청구항 1 또는 2에 있어서,
    출력 레벨은 측정된 값들에 의해 얻어진 선형 특성 곡선의 값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5. 선행 청구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레벨러(57)는 입력과 이펙트 유닛 사이에 배열되고 상기 입력과 이펙트 유닛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6. 선행 청구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리미터는 그 출력과 이펙트 유닛 사이에 배열되고 상기 출력과 이펙트 유닛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7. 선행 청구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스페셜라이저(58)는 그 출력과 리미터 사이에 배열되고 상기 출력과 리미터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8. 청구항 7에 있어서,
    필터는 그 출력과 스페셜라이저 사이에 배열되고 상기 출력과 스페셜라이저(58)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9. 청구항 8에 있어서,
    레벨러(60)는 그 출력과 필터 사이에 배열되고 상기 출력과 필터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0. 선행 청구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박스형 용기, USB 스틱 또는 헤드폰의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1. 선행 청구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이펙트 유닛은 바이패스 회로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2. 선행 청구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센서(63)는 이펙트 유닛에 연결되고, 상기 이펙트 유닛을 제어하고 상기 센서(63)의 데이터 및/또는 신호를 처리하는 제어 장치는 상기 이펙트 유닛에 할당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3. 청구항 12에 있어서,
    센서(63)는 볼륨-조절된 오디오 신호를 생성하는 이펙트 유닛 회로(64)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4. 청구항 12 또는 13에 있어서,
    이펙트 유닛은 크로스페이더(65)를 갖고, 상기 크로스페이더(65)를 제어하고 센서(63)의 데이터 및/또는 신호를 처리하는 제어 장치는 상기 크로스페이더(65)에 할당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5. 오디오 소스 및 음향 시스템을 갖춘 오디오 장치로서, 청구항 1 내지 11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장치(100)를 특징으로 하며, 상기 장치(100)는 오디오 소스(48)와 음향 시스템(49) 사이에 배열되고 상기 오디오 소스(48) 및 음향 시스템(49)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디오 장치.
  16. 청구항 15에 있어서,
    센서(63)는 이펙트 유닛에 연결되고, 상기 이펙트 유닛을 제어하고 상기 센서(63)의 데이터 및/또는 신호를 처리하는 제어 장치가 상기 이펙트 유닛에 할당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디오 장치.
  17. 청구항 15 또는 16에 있어서,
    센서(63)는 볼륨-조절된 오디오 신호를 생성하는 이펙트 유닛 회로(64)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디오 장치.
  18. 청구항 15 내지 17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센서(63)는 크로스페이더(65)에 연결되고, 상기 크로스페이더(65)를 제어하고 상기 센서(63)의 데이터 및/또는 신호를 처리하는 제어 장치가 상기 크로스페이더(65)에 할당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디오 장치.
  19. 오디오 파일 또는 오디오 소스의 오디오 신호의 입력 레벨이 이펙트 유닛에서 출력 레벨로 조절되는 룸의 사운드를 개선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상기 오디오 파일 또는 오디오 소스의 콘텐츠에 관계없이, 상기 오디오 신호의 입력 레벨은 상기 오디오 신호의 사전 설정된 출력 레벨에 할당되고, 상기 입력 레벨은 출력 레벨로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KR1020217024924A 2019-01-10 2020-01-10 입력 및 출력을 갖추고 오디오 파일로부터의 볼륨-조절된 오디오 신호가 있는 이펙트 장치를 갖춘 장치 KR20210113292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19100551.5A DE102019100551B3 (de) 2019-01-10 2019-01-10 Vorrichtung mit einem Eingang und mit einem Ausgang und mit einem Effektgerät mit lautstärkeregulierten Audiosignalen einer Audiodatei
DE102019100551.5 2019-01-10
PCT/DE2020/000003 WO2020143872A2 (de) 2019-01-10 2020-01-10 Vorrichtung mit einem eingang und mit einem ausgang und mit einem effektgerät mit lautstärkeregulierten audiosignalen einer audiodatei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13292A true KR20210113292A (ko) 2021-09-15

Family

ID=699411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7024924A KR20210113292A (ko) 2019-01-10 2020-01-10 입력 및 출력을 갖추고 오디오 파일로부터의 볼륨-조절된 오디오 신호가 있는 이펙트 장치를 갖춘 장치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11877129B2 (ko)
EP (1) EP3909132A2 (ko)
JP (1) JP2022516699A (ko)
KR (1) KR20210113292A (ko)
CN (1) CN113348624A (ko)
DE (1) DE102019100551B3 (ko)
SG (1) SG11202107088WA (ko)
WO (1) WO2020143872A2 (ko)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825851A (en) * 1972-01-19 1974-07-23 Narco Scientific Ind Audio threshold leveler with noise level suppressor
US4249042A (en) 1979-08-06 1981-02-03 Orban Associates, Inc. Multiband cross-coupled compressor with overshoot protection circuit
US7272235B2 (en) 2003-06-26 2007-09-18 Microsoft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audio normalization
DE102006001730A1 (de) 2006-01-13 2007-07-19 Robert Bosch Gmbh Beschallungsanlage, Verfahren zur Verbesserung der Sprachqualität und/oder Verständlichkeit von Sprachdurchsagen sowie Computerprogramm
US9575715B2 (en) * 2008-05-16 2017-02-21 Adobe Systems Incorporated Leveling audio signals
CN104080024B (zh) 2013-03-26 2019-02-19 杜比实验室特许公司 音量校平器控制器和控制方法以及音频分类器
US9578436B2 (en) 2014-02-20 2017-02-21 Bose Corporation Content-aware audio modes
JP6323089B2 (ja) 2014-03-14 2018-05-16 ヤマハ株式会社 レベル調整方法およびレベル調整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1877129B2 (en) 2024-01-16
WO2020143872A3 (de) 2020-10-01
JP2022516699A (ja) 2022-03-02
EP3909132A2 (de) 2021-11-17
WO2020143872A2 (de) 2020-07-16
DE102019100551B3 (de) 2020-07-16
US20220095043A1 (en) 2022-03-24
CN113348624A (zh) 2021-09-03
SG11202107088WA (en) 2021-07-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768751B2 (en) Audio system including multiband audio dynamics processor
JP4234174B2 (ja) 残響調整装置、残響調整方法、残響調整プログラムおよびそれを記録した記録媒体、並びに、音場補正システム
WO2010044439A1 (ja) 音声信号調整装置及び音声信号調整方法
EP3811515B1 (en) Multichannel audio enhancement, decoding, and rendering in response to feedback
JPH05508760A (ja) ダイナミックレンジ圧縮
KR102505773B1 (ko) 다중 대역 제한기 모드 및 잡음 보상 방법
US20040234093A1 (en) Sound output system
KR102483222B1 (ko) 오디오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US11877129B2 (en) Apparatus having an input and an output and having an effect device with volume-regulated audio signals from an audio file
JP4131255B2 (ja) オーディオ再生装置
KR101405847B1 (ko) 차량 오디오 시스템의 음질 향상을 위한 신호처리 구조
JP2003168940A (ja) 音響調整装置
JP2006042027A (ja) 音量制御装置
US20140376725A1 (en) Sound enhancement for powered speakers
JP5289099B2 (ja) 歌唱音量調整機能を備えるカラオケシステム
JPH0549099A (ja) 音場制御装置
US20150236664A1 (en) Sound enhancement for television speakers
JP2003274483A (ja) 低音用オーディオ装置及びサブウーファースピーカ装置
JP2015173343A (ja) オーディオ信号処理装置
GB2494894A (en) Dynamic range contro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