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12795A - Ship mooring - Google Patents
Ship mooring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10112795A KR20210112795A KR1020200028275A KR20200028275A KR20210112795A KR 20210112795 A KR20210112795 A KR 20210112795A KR 1020200028275 A KR1020200028275 A KR 1020200028275A KR 20200028275 A KR20200028275 A KR 20200028275A KR 20210112795 A KR20210112795 A KR 20210112795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hip
- unit
- pontoon
- connection
- wire
- Prior art date
Links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30
- 230000008054 signal transmiss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19
- 238000007667 float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9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7
- 238000010438 heat treatment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8000007791 dehumidifica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9000013535 sea water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0000000903 block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1
- 238000013459 approach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2
- 238000011065 in-situ storage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8000005259 measure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5611 electricity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7664 blow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4891 commun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2093 peripher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41001492414 Marin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873 anchor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364 calcula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276 constru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797 corro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260 corros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599 discharg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625 in-situ measure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184 met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032 molecular dock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5515 penet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380 propella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926 s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41000894007 species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575 sto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804 win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023 woo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3/00—Engineering works in connection with control or use of streams, rivers, coasts, or other marine sites; Sealings or joints for engineering works in general
- E02B3/04—Structures or apparatus for, or methods of, protecting banks, coasts, or harbours
- E02B3/06—Moles; Piers; Quays; Quay walls; Groynes; Breakwaters ; Wave dissipating walls; Quay equipment
- E02B3/068—Landing stages for vessel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3/0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 B60L53/30—Constructional details of charging stations
- B60L53/35—Means for automatic or assisted adjustment of the relative position of charging devices and vehicl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1/00—Tying-up; Shifting, towing, or pushing equipment; Anchoring
- B63B21/16—Tying-up; Shifting, towing, or pushing equipment; Anchoring using winch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5/00—Vessels or similar floating structure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35/34—Ponto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3/00—Engineering works in connection with control or use of streams, rivers, coasts, or other marine sites; Sealings or joints for engineering works in general
- E02B3/04—Structures or apparatus for, or methods of, protecting banks, coasts, or harbours
- E02B3/06—Moles; Piers; Quays; Quay walls; Groynes; Breakwaters ; Wave dissipating walls; Quay equipment
- E02B3/062—Constructions floating in operational condition, e.g. breakwaters or wave dissipating walls
- E02B3/064—Floating landing-stag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2200/00—Type of vehicles
- B60L2200/32—Waterborne vessel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1/00—Tying-up; Shifting, towing, or pushing equipment; Anchoring
- B63B2021/003—Mooring or anchoring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0—Energy storage systems for electromobility, e.g. batteries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072—Electromobility specific charging systems or methods for batteries, ultracapacitors, supercapacitors or double-layer capacitors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90/00—Enabling technologies or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T90/10—Technologies relating to charging of electric vehicles
- Y02T90/12—Electric charging sta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Bridges Or Land Bridges (AREA)
Abstract
Description
본 발명은 선박용 계류장에 관한 것으로, 요트나 보트를 포함하는 선박이 계류할 수 있는 정박지를 제공하며, 계류장으로 자동으로 진입할 수 있도록 형성된 선박용 계류장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pron for a ship, and to an apron for a ship that provides a berth in which a vessel including a yacht or a boat can moor, and is formed so as to automatically enter the apron.
일반적으로 요트 계류 시설이란, 얕은 바다 또는 호수 등에서 소형선박이나 요트를 육지에 접안하고 보관하기 위한 시설을 가리키며, 항만, 마리나(Marina), 어항 또는 기타 모든 수상 구조물에 선박, 요트, 보트, 어선, 페리선(Ferry) 등이 접안, 계류, 정박할 수 있도록 돌제식(突堤式)으로 설치한 부유식 부두 구조물로, 이런 요트 계류 시설에는, 배후부지, 해안구조물 또는 부유식 구조물에서 바다 쪽으로 길게 돌출되는 메인폰툰(Main Pontoon)과, 상기 메인폰툰으로부터 분기 연장되어 선박이 접안 및 계류할 수 있도록 하는 다수 개의 선박계류부를 구획하기 위한 핑거폰툰(Finger Pontoon)으로 이루어진다. In general, a yacht mooring facility refers to a facility for docking and storing small ships or yachts on land in shallow seas or lakes, etc., and includes vessels, yachts, boats, fishing vessels, It is a floating pier structure installed in a stone system so that ferries can be berthed, moored, and anchored. It consists of a main pontoon that becomes a main pontoon, and a finger pontoon for dividing a plurality of vessel mooring units branching from the main pontoon to allow the vessel to dock and moor.
상기 부유식 구조물인 메인폰툰을 조류나 파도 또는 접안 선박의 계류력, 접안력 등으로부터 보다 안전하게 고정시키기 위한 시공형태는 상기 메인폰툰과 핑거폰툰의 주위로 지주용 파일을 일정 간격으로 항타하는 형태가 주종을 이루고 있으며, 이외의 특별한 방법은 현재까지 개시된 바가 없다.The construction form for more safely fixing the main pontoon, which is the floating structure, from currents, waves, or the mooring force or berthing force of a berthing ship, is a form of driving holding piles around the main pontoon and the finger pontoon at regular intervals. It constitutes the main species, and other special methods have not been disclosed so far.
상기 마리나(Marina)란, 요트, 보트 등의 해상 위락용 소형 선박을 정박할 수 있는 해역 공간과 이에 관련된 제반 시설을 말한다. 우리나라의 마리나는 제주도와 충무, 해운대 등 몇 군데가 있으나 그 활용도가 매우 빈약한 실정이다. The marina refers to a sea area in which small ships for marine entertainment such as yachts and boats can be anchored and various facilities related thereto. There are several marinas in Korea, such as Jeju Island, Chungmu, and Haeundae, but their utilization is very poor.
반면 미국, 일본, 유럽, 홍콩 등 바다와 접해 있는 세계 각국에서는 광범위한 국민 레저 분야의 하나로 발전되어 왔으며 삼면이 바다인 우리나라에서도 해양자원의 개발과 더불어 소득수준이 향상됨에 따라 여가시간의 활용도가 날로 증가하고, 관광패턴이 단순형 관광에서 체험형 관광으로, 육지중심에서 해양으로 확대됨에 따라 해양레저 및 해양스포츠분야에 관심이 증가하고 있다.On the other hand, in countries around the world facing the sea, such as the United States, Japan, Europe, and Hong Kong, it has been developed as one of a wide range of national leisure fields. In addition, as the tourism pattern expands from simple tourism to experiential tourism and from the land center to the sea, interest in marine leisure and marine sports is increasing.
이런 요트 계류 시설은 물위로 노출되어 사람이 걸어다닐 수 있게 이루어진 메인폰툰이나 핑거폰툰의 갑판 아래쪽에 부력체를 설치하여 갑판을 수면 위에 유지시키고, 메인폰툰이나 핑거폰툰의 갑판 측면에 지주용 파일이 설치되며, 이 지주용 파일이 수면의 아래쪽 바닥면에 고정되어 물위의 갑판을 지지하게 되어 있는바, 조수간만의 차이로 갑판이 수면 위에 오르내리는 것이 측면의 지주용 파일과 갑판 아래에 설치된 부력체에 의하여 그 높이가 조정된다.This yacht mooring facility maintains the deck above the water surface by installing a buoyant body under the deck of the main pontoon or finger pontoon that is exposed above the water so that people can walk, and there is a holding pile on the side of the deck of the main pontoon or finger pontoon. It is installed, and this holding pile is fixed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water surface to support the deck above the water. Its height is adjusted by
종래의 요트나 선박 계류시설은 단순히 물 위에 부양되는 폰툰에 요트나 선박을 접안 및 고정할 수 있는 기능만을 제공하는 것이 일반적이었다. Conventional yacht or ship mooring facilities have generally provided only a function of berthing and fixing the yacht or ship to a pontoon that is simply floated on the water.
그러나 최근 전기를 추진력으로 사용하는 전기선박이나 하이브리드 선박의 개발이 많이 이루어지고 있어, 전기 충전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계류시설이 요구되고 있으며, 특히 선박이 계류공간으로 진입할 때 핑거폰툰과 충돌하여 계류시설 또는 선박에 파손이 발생하는 문제도 있다. However, recently, many electric ships or hybrid ships that use electricity as propulsion have been developed, and mooring facilities that can be easily charged with electricity are required. There is also the problem of damage to mooring facilities or ships.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출된 것으로, 선박이 계류장 인근으로 접근하면, 선박으로 자동으로 계류지점까지 견인하여 계류시설 및 선박에 파손 발생 없이 용이하게 선박을 접안할 수 있는 선박용 계류장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was created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when a vessel approaches the apron, it is automatically towed to the mooring point by the vessel to provide an apron for a vessel that can easily dock the vessel without damage to the mooring facilities and the vessel. but it has a purpose.
본 발명에 따른 선박용 계류장은 소정의 길이로 연장되는 메인폰툰과, 상기 메인폰툰의 측면에서 상기 메인폰툰의 길이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을 따라 소정길이 연장되고, 상기 메인폰툰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호 소정간격 이격되게 배치되는 복수개의 핑거폰툰을 포함하는 폰툰유닛과, 상기 폰툰유닛의 상부에 설치되며, 접안되는 선박의 충전을 위한 전력충전부와, 상기 핑거폰툰의 사이로 선박이 자동 진입할 수 있게, 선박에 연결되고, 선박을 견인하는 자동견인유닛을 포함한다.A marine apr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main pontoon extending to a predetermined length, a predetermined length extending from the side of the main pontoon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main pontoon, and mutually predetermin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main pontoon A pontoon unit including a plurality of finger pontoons arranged to be spaced apart, a power charging unit install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pontoon unit, and a power charging unit for charging a docked vessel, so that a vessel can automatically enter between the finger pontoons, a vessel It is connected to and includes an automatic towing unit for towing a ship.
상기 자동견인유닛은 두 개의 견인구동부를 포함하되, 상기 견인구동부는 각각 견인와이어와, 상기 메인폰툰의 하부에 위치하며, 수면 아래의 바닥에 설치되어 바닷물의 유입을 차단하는 수용함과, 상기 수용함에 설치되며 상기 견인와이어가 권취되는 윈치와, 상기 윈치를 회전 구동하여 상기 견인와이어를 윈치에 감기거나 풀리도록 하는 윈치구동모터와, 상기 견인와이어의 단부에 설치되며, 선박의 전방에 설치되는 선박장착연결부에 탈부착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와이어연결부와, 상기 와이어연결부 및 견인와이어를 상기 선박장착연결부로 이동시켜 연결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연결이동부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automatic traction unit includes two traction drive units, wherein the traction drive units each have a traction wire and a lower portion of the main pontoon, and are installed on the floor below the water surface to block the inflow of seawater; A winch installed in a box and wound with the traction wire, a winch driving motor configured to rotate or drive the winch to wind or unwind the traction wire to the winch, and a ship installed at the end of the traction wire and installed in front of the ship It is preferable to include a wire connection part that is detachably coupled to the mounting connection part, and a connection moving part for making the connection by moving the wire connection part and the traction wire to the ship mounting connection part.
상기 자동견인유닛은 상기 연결이동부가 상기 와이어연결부를 상기 선박장착연결부에 결합될 수 있도록 자동으로 이동되게 하는 자동주행제어부를 더 구비하며, 상기 자동주행제어부는 상기 선박에 설치되는 상기 두 개의 선박장착연결부로부터 무선신호를 송출하는 제1 선박신호송신부 및 제2 선박신호송신부와, 상기 메인폰툰 또는 핑거폰툰에 마련되며 상기 제1 선박신호송신부 및 제2 선박신호송신부로부터 송출신호를 수신하는 제1 내지 제4 위치측정센서와, 상기 제1 내지 제4 위치측정센서들의 수신신호 정보를 수집하여 상기 제1 선박신호송신부와 제2 선박신호송신부의 신호 송출위치를 산출하는 위치산출부를 포함하는 계류장제어기와, 상기 각각의 와이어연결부에 설치되는 제1 연결신호송신부와 제2 연결신호송신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내지 제4 위치측정센서는 상호 소정거리 이격되도록 서로 다른 지점에 마련되고, 상기 제1 내지 제4 위치측정센서는 상기 제1 연결신호송신부와 제2 연결신호송신부에서 송출된 신호를 수신하여 수신정보를 상기 계류장제어기로 전송하며, 상기 계류장제어기는 상기 제1 선박신호송신부와 제2 선박신호송신부의 신호 송출위치를 산출하고, 상기 제1 연결신호송신부와 제2 연결신호송신부의 신호 송출위치를 계산하면서 상기 연결이동부가 상기 와이어연결부를 상기 선박장착연결부에 결합될 수 있는 위치로 자동 이동하도록 제어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The automatic towing unit further includes an automatic driving control unit for automatically moving the connection moving unit so that the wire connection unit can be coupled to the vessel mounting connection unit, and the automatic driving control unit is installed on the two ships. A first ship signal transmitter and a second ship signal transmitter that transmit radio signals from the mounting connection unit, and a first that is provided in the main pontoon or finger pontoon and receives a signal transmitted from the first ship signal transmitter and the second ship signal transmitter to a fourth position measurement sensor, and a position calculator comprising a position calculation unit for collecting received signal information of the first to fourth position measurement sensors and calculating the signal transmission positions of the first vessel signal transmitter and the second vessel signal transmitter and a first connection signal transmission unit and a second connection signal transmission unit installed in each of the wire connection units, wherein the first to fourth position measuring sensors are provided at different points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y a predetermined distance, and the first to the fourth position measuring sensor receives the signal transmitted from the first connection signal transmitter and the second connection signal transmitter and transmits the received information to the apron controller, wherein the apron controller includes the first vessel signal transmitter and the second vessel Calculating the signal transmission position of the signal transmission unit, while calculating the signal transmission positions of the first connection signal transmission unit and the second connection signal transmission unit, the connection moving unit automatically moves the wire connection unit to a position where the wire connection unit can be coupled to the ship-mounted connection unit. It may be configured to be controlled to move.
상기 메인폰툰은 하면으로부터 상방으로 소정길이 인입되어 있으며, 내벽에 상기 견인와이어가 연장되는 연장방향을 가이드하기 위한 가이드롤러가 마련되어 있는 와이어연장홀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수용함과 상기 와이어연장홀이 형성된 메인폰툰의 하면은 내부에 상기 견인와이어가 연장될 수 있도록 소정의 공간이 형성되어 있으며, 신축 가능하게 주름관 형태로 형성된 연결튜브가 마련되어 있으며, 상기 견인와이어가 메인폰툰으로부터 인출되는 인출홀과 상기 와이어연장홀 사이에는 상기 메인폰툰이 수면에 떠있을 때, 상기 인출홀을 통해 유입되는 물이 상기 와이어연장홀로 넘어갈 수 없도록 물을 차단하는 차폐판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수용함의 상부에는 상기 윈치에 감기는 견인와이어의 표면에 잔류하는 수분을 제거하기 위한 히터 및 송풍기를 포함하는 수분제거부가 마련될 수 있다. The main pontoon is drawn in a predetermined length upward from the lower surface, and a wire extension hole provided with a guide roller for guiding the extension direction in which the traction wire is extended is formed on the inner wall, and the receiving box and the wire extension hole are The lower surface of the formed main pontoon has a predetermined space therein so that the traction wire can be extended, and a connection tube formed in the form of a stretchable corrugated tube is provided. Between the wire extension holes, when the main pontoon is floating on the water surface, a shielding plate is formed to block water so that water flowing through the withdrawal hole cannot pass over to the wire extension hole, and the upper part of the receiving box is wound on the winch. A water removal unit including a heater and a blower for removing the moisture remaining on the surface of the traction wire may be provided.
상기 수분제거부는 상기 수용함의 상부에 설치되며 상기 견인와이어가 관통할 수 있도록 상하로 연장되어 있는 관통홀이 형성된 제습본체와, 상기 제습본체에 설치되고 상기 관통홀의 내주면을 통해 상기 관통홀에 진입한 견인와이어의 표면을 향해 열을 발산하는 발열히터와, 상기 관통홀의 내주면에 형성된 흡입홀을 통해 수분을 포함하는 공기를 흡입하기 위한 흡입팬과, 상기 제습본체의 상부에 형성되어 견인와이어로부터 낙하하는 물방울을 포집하고 외부로 배출하도록 배수호스와 연결되는 드레인부를 포함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The moisture removal unit is install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housing and has a dehumidifying body having a through hole extending vertically so that the traction wire can pass therethrough, and is installed in the dehumidifying body and enters the through hole through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through hole. A heating heater that radiates heat toward the surface of the traction wire, a suction fan for sucking air containing moisture through a suction hole formed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through hole, and a suction fan form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dehumidification body to fall from the traction wire It may be formed to include a drain unit connected to a drain hose to collect and discharge water droplets to the outside.
본 발명에 따른 선박용 계류장은 요트나 보트 등의 선박을 계류장에 접안할 때, 계류공간으로의 진입이 자동으로 이루어져 선박과 계류 시설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고, 전기 추진 선박 또는 하이브리드 선박 등 전기를 추진력으로 사용하는 선박의 충전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이점이 있다. The apron for ship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prevent damage to ships and mooring facilities by automatically entering the mooring space when ships such as yachts or boats are docked at the apron, and electricity such as electric propulsion ships or hybrid ships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charging of the vessel used as a propulsion force can be easily made.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선박용 계류장의 일 실시예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선박용 계류장의 일부를 발췌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선박연결부와, 이동주행부를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도 1의 선박용 계류장의 단면도,
도 5는 수용함이 메인폰툰의 하부에 일체로 형성된 다른 실시예의 단면도,
도 6은 수분제거부를 발췌 도시한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선박용 계류장에서 선박의 자동 계류를 위한 구성을 개략적으로 표시한 블록도,
도 8은 선박의 자동 계류 유도를 위해 작동하는 구성요소들의 작동관계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of an embodiment of an apron for a ship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xcerpt of a part of the apron for a ship of FIG. 1;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hip connection part, and a moving driving part;
4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marine apron of FIG. 1;
5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nother embodiment in which the receiving box is integrally formed on the lower part of the main pontoon;
6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 excerpt of the moisture removal unit;
7 is a block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a configuration for automatic mooring of a ship in the ship apron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operational relationship of components operating for automatic mooring guidance of a ship.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선박용 계류장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첨부된 도면에 있어서, 구조물들의 치수는 본 발명의 명확성을 기하기 위하여 실제보다 확대하여 도시한 것이다. Hereinafter, an apron for a ship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Since the present invention can have various changes and can have various forms, specific embodiments are illustrated in the drawings and described in detail in the text. However, this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to the specific disclosed form, it should be understood to include all modifications, equivalents and substitutes included 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n describing each figure, like reference numerals have been used for like elements. In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dimensions of the structures are enlarged than the actual size for clarity of the present invention.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Terms such as first, second, etc. may be used to describe various elements, but the elements should not be limited by the terms. The above terms are used only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another. For examp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 first component may be referred to as a second component, and similarly, a second component may also be referred to as a first component.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The terms used in the present application are only used to describe specific embodiments,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The singular expression includes the plural expression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In the present application, terms such as “comprise” or “have” are intended to designate that a feature, number, step, operation, component, part, or combination thereof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exists, but one or more other features It is to be understood that it does not preclude the possibility of the presence or addition of numb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Unless defined otherwise, all terms used herein, including technical and scientific terms, have the same meaning as commonly understood by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is invention belongs. Terms such as those defined in commonly used dictionaries should be interpreted as having a meaning consistent with the meaning in the context of the related art, and should not be interpreted in an ideal or excessively formal meaning unless explicitly defined in the present application. does not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선박용 계류장(10)은 선박이 계류할 장소에 부유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폰툰유닛(100)과, 폰툰유닛(100)에 설치되는 전력충전부(200)와, 폰툰유닛(100)으로 선박(1)이 접안할 수 있도록 선박(1)을 견인하는 자동견인유닛(300)을 포함한다.Referring to the drawings, the ship apron 1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상기 폰툰유닛(100)은 소정의 길이로 연장되는 메인폰툰(110)과, 상기 메인폰툰(110)으로부터 연장되는 복수개의 핑거폰툰(120)을 포함한다. The
메인폰툰(110)은 육상에 연결되며, 계류되는 선박(1)에 승선하거나 하선한 후 육상으로 이동할 수 있는 이동영역을 제공한다. The
상기 핑거폰툰(120)은 메인폰툰(110)의 양측 측면에서 메인폰툰(110)의 길이방향에 대하여 직교하는 방향을 따라 소정길이 연장되도록 설치되어 있는데, 핑거폰툰(120)은 상기 메인폰툰(110)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호 소정간격 이격되도록 복수개가 마련된다. 상기 핑거폰툰(120) 사이의 이격거리는 계류되는 선박(1)이 진입할 수 있도록 선박(1)의 폭보다 상대적으로 더 길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상기 폰툰유닛(100)을 구성하는 메인폰툰(110)과 핑거폰툰(120)은 모두 수상에 부유할 수 있도록 부유체(130)를 포함하며, 부유체(130)의 상부에 목재나 금속재로 이루어진 지지판(140)이 마련된다. The
상기 전력충전부(200)는 메인폰툰(110)에 마련되어 있으며, 핑거폰툰(120) 사이의 계류영역으로 진입한 선박(1)에 대하여 전력 충전을 할 수 있도록 마련된다. The
상기 자동견인유닛(300)은 선박(1)을 핑거폰툰(120) 사이의 계류지점을 자동 견인하여 접안하기 위한 것이다. The
선박(1)에는 자동견인을 위해 선박(1)의 전방 외주면에 두 개의 선박장착연결부(2)가 형성되어 있다. 선박장착연결부(2)는 선박(1)의 외주면으로부터 외측으로 소정길이 돌출되어 있으며 소정의 두께를 갖는 사각 플레이트 형상으로 형성되며, 후술하는 자동견인유닛(300)의 견인구동부(310)가 상기 선박장착연결부(2)에 연결되어 선박(1)을 견인하게 된다. The ship (1) has two ship mounting connection parts (2) are formed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front of the ship (1) for automatic towing. The ship
아울러 상기 선박(1)에는 도 7에 도시되어 있는 것처럼 선박(1)의 구동을 제어하는 선박제어부(3)가 있고, 선박제어부(3)는 선박신호송수신부(4)와 계류장 신호 송수신부(21)의 무선 통신을 통해 계류장 관제시스템(20)을 비롯한 외부와의 통신이 이루어진다. 그리고 자동계류연결부(5)가 마련되어 있는데, 자동계류연결부(5)는 후술하는 자동견인유닛(300)이 선박장착연결부(2)에 자동으로 연결될 수 있는 연결신호를 송출하도록 마련된다. In addition, as shown in FIG. 7, the vessel 1 has a vessel control unit 3 that controls the driving of the vessel 1, and the vessel control unit 3 includes a vessel signal transmission/reception unit 4 and an apron signal transmission/reception unit ( 21), communication with the outside including the
상기 자동견인유닛(300)은 두 개의 견인구동부(310)를 포함한다. 각 견인구동부(310)는 견인와이어(311)와 메인폰툰(110)의 하부에 위치하도록 해저에 마련되는 수용함(320)과, 수용함(320)에 설치되는 윈치(330)와, 윈치(330)를 구동하는 윈치구동모터(340)와, 견인와이어(311)의 단부에 형성되어 상기 선박장착연결부(2)에 결합되는 와이어연결부(360)와, 상기 와이어연결부(360)를 선박장착연결부(2) 측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주행하는 연결이동부(370)와, 상기 연결이동부(370)를 선박장착연결부(2)가 위치한 곳으로 자동주행하도록 하는 자동주행제어부(380)를 구비한다. The
상기 수용함(320)은 메인폰툰(110)의 하부측 해저면에 설치되어 있고, 내부에 상기 윈치(330)와 윈치구동모터(340)가 설치될 수 있는 설치공간이 마련되어 있다. 상기 수용함(320)은 내부공기를 외부로 배출할 수 있도록 배기구(323)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배기구(323)에는 외부와 연결되는 배기튜브(325)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배기구(323)에는 수용함(320)의 내부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송풍팬(324)이 설치된다. 상기 송풍팬(324)은 양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어서 필요에 따라 상기 수용함(320) 내부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도록 작동할 수도 있고, 외부공기를 수용함(320)의 내부로 흡입하도록 작동할 수도 있다. The
상기 수용함(320)의 내측 상부에는 상기 윈치(330)에 감기는 견인와이어(311)의 표면에 잔류하는 수분을 제거하기 위한 히터 및 송풍기를 포함하는 수분제거부(350)가 마련되어 있다.A
상기 수분제거부(350)는 상기 수용함(320)의 상부에 설치되며 상기 견인와이어(311)가 관통할 수 있도록 상하로 연장되어 있는 관통홀(352)이 형성된 제습본체(351)와, 상기 제습본체(351)에 설치되고 상기 관통홀(352)의 내주면을 통해 상기 관통홀(352)에 진입한 견인와이어(311)의 표면을 향해 열을 발산하는 발열히터(353)와, 상기 관통홀(352)의 내주면에 형성된 흡입홀(354)을 통해 수분을 포함하는 공기를 흡입하기 위한 흡입팬(355)과, 상기 제습본체(351)의 상부에 형성되어 견인와이어(311)로부터 낙하하는 물방울을 포집하고 외부로 배출하도록 배수호스(357)와 연결되는 드레인부(356)를 포함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The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상기 배수호스(357)에는 워터펌프가 부착되어 상기 드레인부(356)에서 포집된 물은 배수호스(357)를 통해 수용함(320)의 외부로 배출됨으로써 수용함(320)의 내부의 습도를 유지하고, 윈치구동모터(340)의 고장발생 및 부식을 최소화한다. Although not shown, a water pump is attached to the
상기 수용함(320)의 상부에는 견인와이어(311)가 연장될 수 있도록 개구부(321)가 형성되어 있으며, 이 개구부(321)에는 신축 가능하도록 주름관 형태로 형성된 연결튜브(322)가 연결되어 있다. 상기 연결튜브(322)는 상단이 상기 메인폰툰(110)에 형성되어 있는 와이어연장홀(111)과 연통될 수 있도록 상기 메인폰툰(110)의 하면에 결합된다. An
상기 폰툰유닛(100)은 수면에 부유하고 있기 때문에 수위에 따라 상하로 승강하게 된다. 호수나 저수지에 설치되는 경우 수위의 변화에 따라 폰툰유닛(100)이 승강 또는 하강하게 될 수 있고, 바다에 설치되는 경우 조수간만의 차에 의해 수위가 달라지는 상황이 발생할 수 있다. Since the
이 경우 폰툰유닛(100)은 상하로 이동하지만 수용함(320)의 위치는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수용함(320)과 폰툰유닛(100) 사이의 거리가 달라질 수 있으므로 주름관 형태의 신축 가능한 연결튜브(322)를 통해 수용함(320)과 메인튜브를 연결하여 폰툰유닛(100)의 승하강에 따른 거리 차이가 발생하는 것에 대해 대응할 수 있도록 하며, 견인와이어(311)가 연장되는 통로를 통해 수용함(320)으로 물이 침투하지 못하도록 차단한다.In this case, the
도 5에 도시되어 있는 것처럼, 상기 수용함(320)이 메인폰툰(110)의 하부에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이 경우 폰툰유닛(100)은 수용함(320) 및 수용함(320)에 설치되는 윈치(330)나 윈치구동모터(340)와 같은 구성요소들의 무게를 충분히 부양할 수 있는 부력을 갖도록 형성되어야 한다. 그리고 도 5의 실시예의 경우 수용함(320)이 메인폰툰(110)에 일체로 형성되기 때문에 연결튜브(322)는 생략될 수 있다. As shown in FIG. 5 , the
상기 메인폰툰(110)에는 상기 견인와이어(311)가 통과할 수 있도록 통로가 형성되어 있다. 상술한 것처럼 상기 수용함(320)에 대응하는 메인폰툰(110)의 하면에는 상방으로 인입된 와이어연장홀(111)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핑거폰툰(120)의 사이 계류영역으로 노출되는 메인폰툰(110)의 일측면에는 견인와이어(311)가 인출될 수 있도록 인출홀(112)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인출홀(112)은 와이어연장홀(111)과 연통되어 있는데, 인출홀(112)과 와이어연장홀(111) 사이에는 차폐판(113)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차폐판(113)은 상단부의 높이가 메인폰툰(110)이 물에 떠 있을 때, 메인폰툰(110)으로 유입되는 물의 수위보다 높은 지점에 위치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인출홀(112)을 통해 메인폰툰(110)의 내부로 소정량의 물이 유입될 수는 있으나, 상기 물은 차폐판(113)에 의해 와이어연장홀(111) 및 수용함(320)으로 유입되는 것은 차단된다. 아울러 상기 메인폰툰(110)에는 인출홀(112)과 와이어연장홀(111)을 통해 수용함(320)까지 견인와이어(311)가 연장될 수있도록 견인와이어(311)의 연장방향을 가이드하기 위한 다수의 가이드롤러(114)들이 마련되어 있다. A passage is formed in the
상기 견인와이어(311)는 일단이 상기 윈치(330)에 권취되어 있어서 윈치구동모터(340)에 의해 윈치(330)가 회전함에 따라 윈치(330)에 감기거나 풀려나올 수 있으며, 견인와이어(311)는 윈치(330)에 감길 수 있도록 플렉시블한 소재로 형성되면서도, 선박(1)의 견인이 가능하도록 충분한 인장강도를 갖는 소재로 형성된다. The
상기 견인와이어(311)의 단부에 형성되는 와이어연결부(360)는 선박장착연결부(2)에 대응하도록 사각프레임 형상으로 형성되며, 가장자리에 선박장착연결부(2)의 외측면을 파지할 수 있는 파지고리(361)가 형성되어 있다.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와이어연결부(360)의 내부에는 상기 파지고리(361)의 일측 단부를 당겨 선박장착연결부(2)를 향해 돌출되어 있는 파지고리(361)의 타측 단부가 벌어지도록 하는 파지구동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파지고리(361)를 벌려 선박장착연결부(2)에 접촉시킨 후 다시 파지고리(361)를 오므리면 파지고리(361)에 의해 와이어연결부(360)와 선박장착연결부(2)가 상호 결합된다. 반대로 작동하면 상기 와이어연결부(360)를 선박장착연결부(2)로부터 분리시킬 수도 있다. The
상기 연결이동부(370)는 와이어연결부(360)를 메인폰툰(110)으로부터 선박의 선박장착연결부(2)와 인접한 위치로 이동시키는 것이다. 후술하는 자동주행제어부(380)에 의해 주행이 제어될 수 있도록 되어 있는데, 상부에는 와이어연결부(360)를 고정할 수 있는 지지체가 구비되어 있고, 주행본체(371)는 양측에 프로펠러에 의해 추진력을 발생할 수 있도록 추진체(372)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주행본체(371)의 후방에는 주행방향을 제어하기 위한 방향조절핀(373)이 형성되어 있어서 후술하는 계류장제어기(390)의 제어신호에 따라 주행방향을 조절하면서 상기 와이어연결부(360)를 선박장착연결부(2)와 연결할 수 있는 지점으로 이동한다. The
상기 연결이동부(370)의 자동주행제어를 위한 자동주행제어부(380)는 선박장착연결부(2)의 위치정보를 송출하기 위한 자동계류연결부(5)와 통신을 하며, 상기 자동계류연결부(5)는 두 개의 선박장착연결부(2)에 각각 마련되는 제1 선박신호송신부(6)와 제2 선박신호송신부(7)를 포함한다. The automatic
자동주행제어부(380)는 핑거폰툰(120)에 마련되어 있는 제1 내지 제 위치측정센서(381~384)와, 상기 위치측정센서들로부터 수신된 신호를 통해 제1 선박신호송신부(6)와 제2 선박신호송신부(7)의 위치를 산출하는 계류장제어기(390)와, 상기 연결이동부(370)에 설치되는 제1 연결신호송신부(391)와 제2 연결신호송신부(392)를 포함한다. The automatic
상기 제1 내지 제 위치측정센서(381~384)는 핑거폰툰(120)의 상호 다른 네 지점에 마련되어 있으며, 따라서 제1 선박신호송신부(6) 또는 제2 선박신호송신부(7)에서 초음파신호나 기타 무선신호를 송출할 때, 제1 내지 제 위치측정센서(381~384)에서 수신되는 신호의 수신시간차를 기초로 제1 선박신호송신부(6)와 제2 선박신호송신부(7)의 신호송신위치를 산출할 수 있다. The first to in-situ
마찬가지로 두 개의 와이어연결부(360)를 이동하기 위한 두 개의 연결이동부(370)에도 각각 제1 연결신호송신부(391)와 제2 연결신호송신부(392)가 형성되어 있으며, 이 제1 연결신호송신부(391)와 제2 연결신호송신부(392)에서 상기 제1 내지 제 위치측정센서(381~384)들로 무선신호를 송출하면 제1 내지 제 위치측정센서(381~384)로 신호가 입력되는 시간차를 기초로 두 개의 연결이동부(370)의 위치를 파악할 수 있다. Similarly, a first connection signal transmission unit 391 and a second connection signal transmission unit 392 are formed in the two
계류장제어기(390)는 상술한 것처럼 제1 내지 제 위치측정센서(381~384)로 입력되는 신호의 수신시간차를 기초로 선박장착연결부(2)의 위치와 와이어연결부(360)의 위치를 계산하고, 와이어연결부(360)가 선박장착연결부(2)에 결합될 수 있는 위치로 이동할 수 있도록 상기 연결이동부(370)를 이동시킨다. The
상기 와이어연결부(360)가 선박장착연결부(2)에 연결되면, 두 개의 윈치구동모터(340)를 통해 선박(1)의 방향을 핑거폰툰(120) 사이의 계류지점으로 진입할 수 있도록 조절하고, 견인와이어(311)를 감아 선박(1)이 계류지점으로 접안되도록 견인한다. When the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에 따른 선박용 계류장(10)에 선박(1)이 계류되는 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A process in which the vessel 1 is moored at the
선박(1)은 계류장과 인접한 지점까지 이동한 상태에서 선박신호송수신부(4)를 통해 선박의 계류요청을 한다. The vessel 1 makes a mooring request for the vessel through the vessel signal transmission/reception unit 4 while moving to a point adjacent to the apron.
계류장 관제시스템(20)에서는 선박(1)의 계류 허가 여부를 확인한 후 계류가 허가된 선박(1)인 경우 자동견인유닛(300)을 구동한다. The
선박(1)의 경우 자동계류연결부(5)의 제1 신호송신부와 제2 신호송신부에서 제1 내지 제 위치측정센서(381~384)로 무선신호를 송출하여 계류장제어기(390)에서 양측 선박장착연결부(2)의 위치를 산출한다. In the case of the ship (1), the first signal transmitting unit and the second signal transmitting unit of the automatic mooring connection unit (5) transmit wireless signals to the first to in-situ measurement sensors (381 to 384), and the apron controller (390) is mounted on both sides of the vessel. The position of the
계류장제어기(390)는 연결이동부(370)를 통해 와이어연결부(360)를 선박장착연결부(2)와 연결 가능한 위치로 이동시키며, 와이어연결부(360)가 선박장착연결부(2)와 연결된 후에는 윈치구동모터(340)를 통해 윈치(330)를 회전시켜 선박(1)을 계류지점으로 자동 견인 및 접안한다. The
접안이 완료된 후에는 와이어연결부(360)가 선박장착연결부(2)로부터 분리되어 메인폰툰(110)의 인출홀(112) 측으로 이동하여 복귀하고, 연결이동부(370)도 초기 위치로 복귀한다. After the berthing is completed, the
이렇게 본 발명의 선박용 계류장(10)은 선박을 계류장과 인접한 지점까지만 이동시키면 자동견인유닛(300)에 의해 선박이 자동으로 계류지점에 접안될 수 있기 때문에 선박을 접안하는 과정에서 선박이나 계류시설에 파손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In this way, in the
제시된 실시예들에 대한 설명은 임의의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이용하거나 또는 실시할 수 있도록 제공된다. 이러한 실시예들에 대한 다양한 변형들은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백할 것이며, 여기에 정의된 일반적인 원리들은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남이 없이 다른 실시예들에 적용될 수 있다. 그리하여, 본 발명은 여기에 제시된 실시예들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여기에 제시된 원리들 및 신규한 특징들과 일관되는 최 광의의 범위에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The description of the presented embodiments is provided to enable any person skilled in the art to make or use the present invention. Various modifications to these embodiments will be readily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and the generic principles defined herein may be applied to other embodiments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invention. Thus,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intended to be limited to the embodiments presented herein, but is to be construed in the widest scope consistent with the principles and novel features presented herein.
1: 선박
2: 선박장착연결부
3: 선박제어부
4: 선박신호송수신부
5: 자동계류연결부
6: 제1 선박신호송신부
7: 제2 선박신호송신부
10: 선박용 계류장
100: 폰툰유닛
110: 메인폰툰
111: 와이어연장홀
112: 인출홀
113: 차폐판
114: 가이드롤러
120: 핑거폰툰
130: 부유체
140: 지지판
200: 전력충전부
300: 자동견인유닛
310: 견인구동부
311: 견인와이어
320: 수용함
321: 개구부
322: 연결튜브
323: 배기구
324: 송풍팬
325: 배기튜브
330: 윈치
340: 윈치구동모터
350: 수분제거부
351: 제습본체
352: 관통홀
353: 발열히터
354: 흡입홀
355: 흡입팬
356: 드레인부
357: 배수호스
360: 와이어연결부
361: 파지고리
370: 연결이동부
371: 주행본체
372: 추진체
373: 방향조절핀
380: 자동주행제어부
381: 제1 위치측정센서
382: 제2 위치측정센서
383: 제3 위치측정센서
384: 제4 위치측정센서
390: 계류장제어기
391: 제1 연결신호송신부
392: 제2 연결신호송신부1: ship
2: Ship mounting connection part 3: Ship control part
4: Ship signal transmitter and receiver 5: Automatic mooring connection part
6: First ship signal transmitter 7: Second ship signal transmitter
10: apron for ships
100: pontoon unit 110: main pontoon
111: wire extension hole 112: draw-out hole
113: shield plate 114: guide roller
120: finger pontoon 130: floating body
140: support plate
200: power charging unit
300: automatic traction unit 310: traction drive unit
311: traction wire 320: receiving box
321: opening 322: connecting tube
323: exhaust port 324: blowing fan
325: exhaust tube 330: winch
340: winch driving motor 350: moisture removal unit
351: dehumidifying body 352: through hole
353: heating heater 354: suction hole
355: suction fan 356: drain part
357: drain hose 360: wire connection
361: grip 370: connection moving part
371: driving body 372: propelling body
373: direction control pin 380: automatic driving control unit
381: first position measuring sensor 382: second position measuring sensor
383: third position measuring sensor 384: fourth position measuring sensor
390: apron controller 391: first connection signal transmitter
392: second connection signal transmitter
Claims (5)
상기 폰툰유닛의 상부에 설치되며, 접안되는 선박의 충전을 위한 전력충전부와;
상기 핑거폰툰의 사이로 선박이 자동 진입할 수 있게, 선박에 연결되고, 선박을 견인하는 자동견인유닛을 포함하는
선박용 계류장.
A main pontoon extending to a predetermined length and a plurality of main pontoons extending a predetermined length from the side surface of the main pontoon in a direction orthogonal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main pontoon and arranged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y a predetermined distance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main pontoon a pontoon unit including a finger pontoon;
a power charging unit install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pontoon unit, and for charging a docked vessel;
To allow the vessel to automatically enter between the finger pontoons, it is connected to the vessel and includes an automatic towing unit for towing the vessel.
apron for ships.
상기 자동견인유닛은 두 개의 견인구동부를 포함하되,
상기 견인구동부는 각각
견인와이어와,
상기 메인폰툰의 하부에 위치하며, 바닷물의 유입을 차단하는 수용함과,
상기 수용함에 설치되며 상기 견인와이어가 권취되는 윈치와,
상기 윈치를 회전 구동하여 상기 견인와이어를 윈치에 감기거나 풀리도록 하는 윈치구동모터와,
상기 견인와이어의 단부에 설치되며, 선박의 전방에 설치되는 선박장착연결부에 탈부착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와이어연결부와,
상기 와이어연결부 및 견인와이어를 상기 선박장착연결부로 이동시켜 연결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연결이동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용 계류장.
The method of claim 1,
The automatic traction unit includes two traction drive parts,
Each of the traction driving units
traction wire,
A receiving box located in the lower part of the main pontoon and blocking the inflow of seawater,
a winch installed in the receiving box and wound with the traction wire;
A winch driving motor for rotating or driving the winch to wind or unwind the traction wire to the winch;
A wire connection part installed at the end of the traction wire and detachably coupled to the ship mounting connection part installed in the front of the ship;
It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connection moving part for making the connection by moving the wire connection part and the traction wire to the ship-mounted connection part.
apron for ships.
상기 자동견인유닛은 상기 연결이동부가 상기 와이어연결부를 상기 선박장착연결부에 결합될 수 있도록 자동으로 이동되게 하는 자동주행제어부를 더 구비하며,
상기 자동주행제어부는
상기 선박에 설치되는 상기 두 개의 선박장착연결부로부터 무선신호를 송출하는 제1 선박신호송신부 및 제2 선박신호송신부와,
상기 메인폰툰 또는 핑거폰툰에 마련되며 상기 제1 선박신호송신부 및 제2 선박신호송신부로부터 송출신호를 수신하는 제1 내지 제4 위치측정센서와,
상기 제1 내지 제4 위치측정센서들의 수신신호 정보를 수집하여 상기 제1 선박신호송신부와 제2 선박신호송신부의 신호 송출위치를 산출하는 위치산출부를 포함하는 계류장제어기와,
상기 각각의 와이어연결부에 설치되는 제1 연결신호송신부와 제2 연결신호송신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내지 제4 위치측정센서는 상호 소정거리 이격되도록 서로 다른 지점에 마련되고,
상기 제1 내지 제4 위치측정센서는 상기 제1 연결신호송신부와 제2 연결신호송신부에서 송출된 신호를 수신하여 수신정보를 상기 계류장제어기로 전송하며,
상기 계류장제어기는 상기 제1 선박신호송신부와 제2 선박신호송신부의 신호 송출위치를 산출하고, 상기 제1 연결신호송신부와 제2 연결신호송신부의 신호 송출위치를 계산하면서 상기 연결이동부가 상기 와이어연결부를 상기 선박장착연결부에 결합될 수 있는 위치로 자동 이동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용 계류장.
3. The method of claim 2,
The automatic towing unit further includes an automatic driving control unit for automatically moving the connection moving unit so that the wire connection unit can be coupled to the ship mounting connection unit,
The automatic driving control unit
A first ship signal transmitter and a second ship signal transmitter for transmitting radio signals from the two ship-mounted connection units installed in the ship;
first to fourth position measuring sensors provided in the main pontoon or finger pontoon and receiving signals transmitted from the first ship signal transmitter and the second ship signal transmitter;
an apron controller including a position calculating unit for collecting the received signal information of the first to fourth position measuring sensors and calculating the signal transmitting positions of the first and second vessel signal transmitting units;
It includes a first connection signal transmission unit and a second connection signal transmission unit installed in each of the wire connection unit,
The first to fourth position measuring sensors are provided at different points so as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y a predetermined distance,
The first to fourth position measuring sensors receive the signals transmitted from the first connection signal transmitter and the second connection signal transmitter and transmit the received information to the apron controller,
The apron controller calculates the signal transmission positions of the first ship signal transmitter and the second ship signal transmitter, and calculates the signal transmission positions of the first connection signal transmitter and the second connection signal transmitter, while the connection moving part is the wire Controlling the connection part to automatically move to a position where it can be coupled to the ship-mounted connection part
apron for ships.
상기 메인폰툰은 하면으로부터 상방으로 소정길이 인입되어 있으며, 내벽에 상기 견인와이어가 연장되는 연장방향을 가이드하기 위한 가이드롤러가 마련되어 있는 와이어연장홀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수용함과 상기 와이어연장홀이 형성된 메인폰툰의 하면은 내부에 상기 견인와이어가 연장될 수 있도록 소정의 공간이 형성되어 있으며, 신축 가능하게 주름관 형태로 형성된 연결튜브가 마련되어 있으며,
상기 견인와이어가 메인폰툰으로부터 인출되는 인출홀과 상기 와이어연장홀 사이에는 상기 메인폰툰이 수면에 떠있을 때, 상기 인출홀을 통해 유입되는 물이 상기 와이어연장홀로 넘어갈 수 없도록 물을 차단하는 차폐판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수용함의 상부에는 상기 윈치에 감기는 견인와이어의 표면에 잔류하는 수분을 제거하기 위한 히터 및 송풍기를 포함하는 수분제거부가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용 계류장.
4. The method of claim 3,
The main pontoon is drawn in a predetermined length upward from the lower surface, and a wire extension hole is formed in the inner wall with a guide roller for guiding the extension direction in which the traction wire is extend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main pontoon in which the receiving box and the wire extension hole are formed, a predetermined space is formed therein so that the traction wire can be extended, and a connection tube formed in the form of a corrugated tube is provided so as to be stretchable,
Between the draw-out hole through which the traction wire is drawn out from the main pontoon and the wire extension hole, when the main pontoon is floating on the water surface, a shield plate that blocks water so that water flowing through the draw-out hole cannot pass through the wire extension hole is formed,
The upper portion of the accommodating box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water removal unit comprising a heater and a blower for removing moisture remaining on the surface of the traction wire wound around the winch is provided.
apron for ships.
상기 수분제거부는 상기 수용함의 상부에 설치되며 상기 견인와이어가 관통할 수 있도록 상하로 연장되어 있는 관통홀이 형성된 제습본체와,
상기 제습본체에 설치되고 상기 관통홀의 내주면을 통해 상기 관통홀에 진입한 견인와이어의 표면을 향해 열을 발산하는 발열히터와,
상기 관통홀의 내주면에 형성된 흡입홀을 통해 수분을 포함하는 공기를 흡입하기 위한 흡입팬과,
상기 제습본체의 상부에 형성되어 견인와이어로부터 낙하하는 물방울을 포집하고 외부로 배출하도록 배수호스와 연결되는 드레인부를 포함하는
선박용 계류장. 5. The method of claim 4,
The moisture removal unit is install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housing and the dehumidifying body is formed with a through hole extending up and down so that the traction wire can pass therethrough;
a heating heater installed in the dehumidifying body and dissipating heat toward the surface of the traction wire entering the through hole through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through hole;
a suction fan for sucking air containing moisture through a suction hole formed on an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through hole;
It is form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dehumidification body and includes a drain unit connected to a drain hose to collect water droplets falling from the traction wire and discharge to the outside.
apron for ships.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028275A KR20210112795A (en) | 2020-03-06 | 2020-03-06 | Ship mooring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028275A KR20210112795A (en) | 2020-03-06 | 2020-03-06 | Ship mooring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10112795A true KR20210112795A (en) | 2021-09-15 |
Family
ID=777933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00028275A KR20210112795A (en) | 2020-03-06 | 2020-03-06 | Ship mooring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210112795A (en)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5339582A (en) * | 2022-09-22 | 2022-11-15 | 零度新能源科技(广东)有限公司 | Intelligent sightseeing unmanned yacht in scenic spot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063735B1 (en) | 2012-12-14 | 2020-01-09 | 한국전자통신연구원 | Guidance system and method for docking of ship |
-
2020
- 2020-03-06 KR KR1020200028275A patent/KR20210112795A/en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063735B1 (en) | 2012-12-14 | 2020-01-09 | 한국전자통신연구원 | Guidance system and method for docking of ship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5339582A (en) * | 2022-09-22 | 2022-11-15 | 零度新能源科技(广东)有限公司 | Intelligent sightseeing unmanned yacht in scenic spot |
CN115339582B (en) * | 2022-09-22 | 2024-05-24 | 零度新能源科技(广东)有限公司 | Intelligent sightseeing unmanned yacht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7021231B2 (en) | Vessel navigation and docking system and method | |
US4321720A (en) | Method of transferring a fluid from a station on the sea bed to a vessel, or vice-versa, and a means and a vessel for carrying out the method | |
US3603276A (en) | Flotation docking facility for small craft | |
US8752494B2 (en) | System for launching and recovering underwater vehicles, notably towed underwater vehicles | |
US9297142B2 (en) | Dredge vessel system | |
CA2897733C (en) | Autonomous submersible vehicle and method for pulling in same | |
US4615292A (en) | Submersible twin-hull watercraft | |
JP4018134B2 (en) | Ships for transporting and producing hydrocarbons from offshore seas and / or filling / discharging and / or handling oil wells | |
KR20130143190A (en) | Docking facility for tower on sea and tower on sea having the same | |
KR20210112795A (en) | Ship mooring | |
EP2218671A1 (en) | Device for transferring objects at sea | |
RU2201375C1 (en) | Ice-breaker (versions), method and system for single-support mooring and servicing of ships | |
WO2004063002A9 (en) | Self-propelled platform for watercraft | |
EP0550682B1 (en) | A device especially for the recovery of hydrocarbons or other chemicals from tanks of a wrecked ship | |
EP1932982A1 (en) | Raised marina | |
GB2027396A (en) | Submersible twin-hull watercraft | |
US20230191925A1 (en) | Device and method for inductively transmitting electrical energy to a watercraft and charging system | |
JP4795524B2 (en) | Fender | |
CA2495936C (en) | System for transferring liquid load to a tanker | |
FI128632B (en) | Oil spill unit | |
CN110696999A (en) | Movable double-body floating dock | |
KR20210112796A (en) | Pontoon ship mooring | |
JPH058789A (en) | Mooring apparatus for vessel | |
JP2022165126A (en) | Device for lowering water temperature in vicinity of sea water surface | |
HRPK20191875B3 (en) | Anchoring system at mooring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