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12606A - 분지 혈관부에 적용되는 마이크로카테터 및 이를 이용한 색전 코일 지지 방법 - Google Patents

분지 혈관부에 적용되는 마이크로카테터 및 이를 이용한 색전 코일 지지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12606A
KR20210112606A KR1020200027820A KR20200027820A KR20210112606A KR 20210112606 A KR20210112606 A KR 20210112606A KR 1020200027820 A KR1020200027820 A KR 1020200027820A KR 20200027820 A KR20200027820 A KR 20200027820A KR 20210112606 A KR20210112606 A KR 2021011260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ood vessel
guide wire
micro
conduit
microcathe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278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한기
서은하
김진우
엄지혜
Original Assignee
(주)시지바이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시지바이오 filed Critical (주)시지바이오
Priority to KR10202000278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112606A/ko
Publication of KR202101126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1260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12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ligaturing or otherwise compressing tubular parts of the body, e.g. blood vessels, umbilical cord
    • A61B17/12022Occluding by internal devices, e.g. balloons or releasable wires
    • A61B17/12099Occluding by internal devices, e.g. balloons or releasable wires characterised by the location of the occluder
    • A61B17/12109Occluding by internal devices, e.g. balloons or releasable wires characterised by the location of the occluder in a blood vessel
    • A61B17/12113Occluding by internal devices, e.g. balloons or releasable wires characterised by the location of the occluder in a blood vessel within an aneurys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12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ligaturing or otherwise compressing tubular parts of the body, e.g. blood vessels, umbilical cord
    • A61B17/12022Occluding by internal devices, e.g. balloons or releasable wires
    • A61B17/12027Type of occlusion
    • A61B17/12031Type of occlusion complete occlus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12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ligaturing or otherwise compressing tubular parts of the body, e.g. blood vessels, umbilical cord
    • A61B17/12022Occluding by internal devices, e.g. balloons or releasable wires
    • A61B17/12131Occluding by internal devices, e.g. balloons or releasable wire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occluding device
    • A61B17/1214Coils or wir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5/01Introducing, guiding, advancing, emplacing or holding catheters
    • A61M25/09Guide wir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12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ligaturing or otherwise compressing tubular parts of the body, e.g. blood vessels, umbilical cord
    • A61B17/12022Occluding by internal devices, e.g. balloons or releasable wires
    • A61B2017/1205Introduction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5/0021Catheters; Hollow probes characterised by the form of the tubing
    • A61M2025/0042Microcatheters, cannula or the like having outside diameters around 1 mm or les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rger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Reproductive Health (AREA)
  • Neurosurgery (AREA)
  • Biophysics (AREA)
  • Pulmonology (AREA)
  • Anesthesiology (AREA)
  • Hematology (AREA)
  • Surgical Instruments (AREA)

Abstract

분지 혈관부에 적용되는 마이크로카테터 및 이를 이용한 색전 코일 삽입 시의 색전 코일 지지 방법이 개시되며,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지 혈관부에 적용되는 마이크로카테터는, 개구된 근위 단부로부터 개구된 원위 단부로 연장되는 통로를 형성하는 튜브 형상이고, 상기 통로 중간의 내벽에 상기 통로의 내부 공간과 외부 공간을 연통시키는 사이드 홀이 형성된 미세도관, 상기 근위 단부로부터 상기 통로를 따라 상기 원위 단부를 향하여 삽입된 제1 상태의 제공이 가능한 제1 가이드 와이어 및 원위 단부가 상기 사이드 홀을 통해 돌출되도록 상기 근위 단부로부터 상기 통로를 따라 삽입된 제2 상태의 제공이 가능한 제2 가이드 와이어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분지 혈관부에 적용되는 마이크로카테터 및 이를 이용한 색전 코일 지지 방법{MICROCATHETER FOR BRANCH ARTERY SECTION AND METHOD FOR SUPPORTING EMBOLIZATION COIL USING IT}
본원은 분지 혈관부(예를들면, 이분지 혈관부)에 적용되는 마이크로카테터 및 이를 이용한 색전 코일 삽입 시의 색전 코일 지지 방법에 관한 것이다.
뇌동맥류는 뇌혈관 벽 일부에 결손이 생겨 약화된 부분으로 뇌혈관 일부가 꽈리처럼 돌출된 것으로, 동맥류가 파열될 경우 뇌지주막하 출혈을 일으켜 신경학적인 후유증을 유발하거나 심한 경우 사망에 이르게 한다.
일반적으로, 뇌동맥류의 치료방법으로 두 가지 치료 전략이 존재한다. 첫째로 개두술을 통해 뇌동맥류 발생 부위를 직접 확인하고 뇌동맥류의 경부(neck)를 수술용 클립을 이용해 묶는 결찰술을 활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클립 경부 결찰술은 뇌동맥류 기시부를 클립으로 결찰하여 모동맥으로부터 대뇌 동맥류 안으로 혈류가 폐쇄되도록 하는 것을 의미한다.
두번째 치료방법은 혈관 내에서 뇌동맥류 안으로 접근하는 방식으로, 조영제의 X-ray 투시 하에 대퇴동맥을 통해 미세도관을 삽입하고 두개내 뇌동맥류에 접근한 후 여러 개의 분리 가능한 코일을 뇌동맥류 기저부에 삽입하여 동맥류색전(aneurysm thrombosis)을 유도하고 모동맥으로부터 흐르는 혈액이 뇌동맥류 안으로 유입되지 않도록 하는 뇌동맥 코일 색전술이다.
그러나, 경부(neck)가 상대적으로 넓은 뇌동맥류(광경 동맥류, Wide-neck aneurysm)의 경우 뇌동맥류 낭에 삽입된 여러 개의 분리 가능한 코일이 모혈관으로 돌출되어 정상 혈류 흐름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뇌동맥류에 삽입된 코일을 견고히 지지하기 위해 스텐트를 삽입하여 코일이 모동맥으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는 스텐트 보조 코일 색전술이 도입될 수 있다.
다만, 전술한 스텐트를 지지하여 코일 색전술을 시행하는 방법에 의하면, 삽입되는 스텐트가 금속 재질로 이루지고 삽입 후 체내에 영구적으로 잔존하기 때문에, 혈전에 의한 혈관 폐색이 발생할 우려가 있으며, 시술 후에도 혈전 발생의 원인 제공체가 될 수 있다. 이 때문에 시술 대상자는 항혈전제를 영구 복용해야 한다. 또한, 뇌동맥류 발생 부위가 이분지의 Y자 형상의 혈관인 경우 또는 여러 갈래로 분지된 혈관인 경우에는 복수개의 스텐트가 삽입되어야만 하는 한계가 있다.
본원의 배경이 되는 기술은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1480514호에 개시되어 있다.
본원은 전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분지 혈관부에 형성된 뇌동맥류를 대상으로 하는 코일 색전술 시 뇌동맥류 발생 부위에 삽입되는 색전 코일이 모동맥 안으로 빠져나오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스텐트를 대신하여 뇌동맥류의 경부를 지탱할 수 있는 마이크로카테터 및 이를 이용한 색전 코일 삽입 시 뇌동맥류 경부 지지 방법을 제공하려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다만, 본원의 실시예가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상기된 바와 같은 기술적 과제들로 한정되지 않으며,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이 존재할 수 있다.
상기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으로서,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지 혈관부에 적용되는 마이크로카테터는, 개구된 근위 단부로부터 개구된 원위 단부로 연장되는 통로를 형성하는 튜브 형상이고, 상기 통로 중간의 내벽에 상기 통로의 내부 공간과 외부 공간을 연통시키는 사이드 홀이 형성된 미세도관, 상기 근위 단부로부터 상기 통로를 따라 상기 원위 단부를 향하여 삽입된 제1 상태의 제공이 가능한 제1 가이드 와이어 및 일단이 상기 사이드 홀을 통해 돌출되도록 상기 근위 단부로부터 상기 통로를 따라 삽입된 제2 상태의 제공이 가능한 제2 가이드 와이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미세도관은 상기 개구된 근위 단부로부터 개구된 원위 단부로 연장되는 통로를 형성하는 튜브 형상의 부분과 상기 통로 중간의 내벽에 상기 통로의 내부 공간과 외부 공간을 연통시키는 사이드 홀이 형성된 부분이 상기 미세도관과 같은 재질을 갖는 격벽으로 구분되는 이중 관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분지 혈관부는, 제1 혈관, 상기 제1 혈관의 일단으로부터 분지되는 제2 혈관 및 제3 혈관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상태에서 상기 미세도관은 상기 제1 가이드 와이어와 함께 상기 제1 혈관으로부터 상기 제2 혈관으로 뻗어나가게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상태에서 상기 제2 가이드 와이어는 일단이 상기 제3 혈관으로 뻗어나가게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상태에서 상기 제2 가이드 와이어의 일단이 상기 제3 혈관으로 뻗어나가게 배치되면, 상기 제1 가이드 와이어가 제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가이드 와이어가 제거되면, 상기 제2 상태의 미세도관이 상기 제2 가이드 와이어와 함께 상기 제3 혈관 측으로 미리 설정된 거리만큼 전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미리 설정된 거리는, 원위 단부가 상기 제2 혈관 측에 위치한 상기 미세도관의 중간 부분이 상기 제3 혈관 측을 향해 구부러짐 변형되도록 하는 거리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미세도관은 상기 분지 혈관부의 혈관 내벽에 소정 이하의 압력을 가하면서 구부러질 수 있도록 가요성의 재질로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미세도관은, 구부러짐 변형되어 상기 분지 혈관부에 형성된 뇌동맥류의 입구를 가로지르도록 배치될 수 있다.
한편,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지 혈관부에 적용되는 마이크로카테터를 이용한 색전 코일 지지 방법은, 제어부가 제 1가이드 와이어 및 미세도관이 상기 제 2혈관에 진입하도록 제어하는 단계, 상기 제어부가 제 2 가이드 와이어가 상기 제 3혈관에 진입하도록 제어하는 단계, 상기 제어부가 진입된 상기 제 1 가이드 와이어가 제거되도록 제어하는 단계 및 상기 제어부가 상기 미세도관 및 상기 제 2가이드 와이어를 상기 제 3혈관 측으로 전진시켜 상기 미세도관이 분지 혈관부에 형성된 뇌동맥류의 입구를 지지하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지 혈관부에 적용되는 마이크로카테터를 이용한 색전 코일 지지 방법은, 상기 뇌동맥류에 색전 코일을 채워넣는 단계 및 상기 제어부가 상기 분지 혈관부로부터 상기 마이크로카테터가 제거되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가이드 와이어 및 미세도관이 상기 제 2혈관에 진입하도록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제어부가 제 1상태에서 상기 제 1가이드 와이어와 함께 상기 미세도관이 상기 제 1혈관으로부터 상기 제 2혈관으로 뻗어나가게 배치되도록 제어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상태는, 상기 제 1 가이드 와이어가 상기 미세도관의 근위 단부로부터 통로를 따라 원위 단부를 향하여 삽입된 상태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2 가이드 와이어가 상기 제 3혈관에 진입하도록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제어부가 제 2상태에서 상기 제 2가이드 와이어의 일단이 상기 제 3혈관으로 뻗어나가게 배치되도록 제어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2상태는, 상기 제 2가이드 와이어의 일단이 상기 미세도관의 개구된 근위 단부와 원위 단부 사이에 연장된 통로 중간의 내벽에 형성된 사이드 홀을 통해 돌출되도록 삽입된 상태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뇌동맥류의 입구를 지지하도록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제2 상태의 미세도관을 상기 제2 가이드 와이어와 함께 상기 제3 혈관 측으로 미리 설정된 거리만큼 전진시키는 단계 및 상기 미세도관이 구부러짐 변형되어 상기 분지 혈관부에 형성된 뇌동맥류의 입구를 가로지르도록 배치되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미리 설정된 거리는, 원위 단부가 상기 제2 혈관 측에 위치한 상기 미세도관의 중간 부분이 상기 제3 혈관 측을 향해 구부러짐 변형되도록 하는 거리일 수 있다.
또한,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지 혈관부에 적용되는 마이크로카테터를 이용한 색전 코일 지지 방법은, 상기 뇌동맥류에 유입되는 혈액량을 측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마이크로카테터가 제거되도록 제어하는 단계는, 측정 결과에 기초하여 색전 코일 삽입 후 상기 뇌동맥류에 유입되는 혈액량이 소정 수준 이하인 경우, 상기 마이크로카테터가 분지 혈관부로부터 제거되도록 제어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으로서,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따른 컴퓨터 프로그램은, 본원의 일 실시예 따른 분지 혈관부에 적용되는 마이크로카테터를 이용한 색전 코일 지지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하여 기록매체에 저장되는 것일 수 있다.
상술한 과제 해결 수단은 단지 예시적인 것으로서, 본원을 제한하려는 의도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상술한 예시적인 실시예 외에도, 도면 및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추가적인 실시예가 존재할 수 있다.
전술한 본원의 과제 해결 수단에 의하면, 분지 혈관부에 형성된 뇌동맥류를 대상으로 하는 코일 색전술 시술 시 뇌동맥류 발생 부위에 삽입되는 색전 코일이 모동맥으로 빠져나오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스텐트를 대신하여 뇌동맥류의 경부를 지탱할 수 있는 마이크로카테터 및 이를 이용한 색전 코일 삽입 시의 색전 코일 지지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전술한 본원의 과제 해결 수단에 의하면, 분지 혈관부에 적용되는 마이크로카테터에 마련된 사이드 홀을 통해 추가적인 가이드 와이어를 분지 혈관부의 일측 혈관에 삽입하여 미세도관을 삽입된 가이드 와이어를 따라 진입시켜 지지 구조를 만들어 뇌동맥류 경부에 거치 시킨 후 색전 코일의 이탈을 방지하며 색전 코일을 뇌동맥류로 삽입할 수 있다.
전술한 본원의 과제 해결 수단에 의하면, 코일 색전술 시술 시 색전 코일이 뇌동맥류에 자리잡은 후 마이크로카테터가 시술 대상자의 체내로부터 제거될 수 있어 영구적 스텐트를 삽입하는 방식과 달리 혈전 발생에 의한 혈관 폐색의 문제가 발생하지 않을 수 있다.
다만, 본원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상기된 바와 같은 효과들로 한정되지 않으며, 또 다른 효과들이 존재할 수 있다.
도 1은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지 혈관부에 적용되는 마이크로카테터 및 제어부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2는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이크로카테터가 적용되는 분지 혈관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이크로카테터의 제 1 가이드 와이어 및 미세도관이 제 2혈관에 진입한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이크로카테터의 제 2 가이드 와이어가 사이드 홀을 통해 제 3혈관에 진입하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이크로카테터의 제 2 가이드 와이어가 제 3혈관에 진입 완료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이크로카테터의 제 1 가이드 와이어가 제 2 혈관으로부터 제거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이크로카테터의 제 2 가이드 와이어를 기반으로 미세도관이 전진함에 따라 제 3 혈관 측으로 구부러짐 변형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부러짐 변형된 미세도관이 색전 코일을 지지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는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이크로카테터가 색전 코일의 삽입 후 제거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은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지 혈관부에 적용되는 마이크로카테터를 이용한 색전 코일 지지 방법의 동작흐름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원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원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원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원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 또는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재가 다른 부재 "상에", "상부에", "상단에", "하에", "하부에", "하단에" 위치하고 있다고 할 때, 이는 어떤 부재가 다른 부재에 접해 있는 경우뿐 아니라 두 부재 사이에 또 다른 부재가 존재하는 경우도 포함한다.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 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도 1은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지 혈관부에 적용되는 마이크로카테터 및 제어부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지 혈관부에 적용되는 마이크로카테터(100)는, 미세도관(110), 제 1 가이드 와이어(120) 및 제 2가이드 와이어(13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지 혈관부에 적용되는 마이크로카테터(100)는 이중 내강(2 Lumen)을 가지는 마이크로 카테터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미세도관(110)은 개구된 근위 단부로부터 개구된 원위 단부로 연장되는 통로(112)를 형성하는 튜브 형상의 부분과 통로(112) 중간의 내벽에 통로(112)의 내부 공간과 외부 공간을 연통시키는 사이드 홀이 형성된 부분(112a)이 미세도관(110)과 같은 재질을 갖는 격벽으로 구분되는 이중 관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제어부(200)는, 미세도관(110), 제 1 가이드 와이어(120) 및 제 2 가이드 와이어(130) 중 적어도 하나의 혈관 내 이동을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200)는, 연결 부재(미도시)에 의해 마이크로카테터(100)와 물리적으로 연결되어, 미세도관(110), 제 1 가이드 와이어(120) 및 제 2 가이드 와이어(130) 중 적어도 하나에 구동력(전후진 구동력 또는 조향을 위한 회전 구동력)을 제공하는 것일 수 있으며, 상기 연결 부재의 일 예에는 내시경용 와이어, 튜브, 파이프 등이 포함되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미세도관(110)은, 전체적으로 개구된 근위 단부(114)로부터 개구된 원위 단부(113)로 연장되는 통로(112)를 형성하는 튜브 형상일 수 있다. 또한, 미세도관(110)의 통로(112) 중간의 내벽에 통로(112)의 내부 공간과 외부 공간을 연통시키는 사이드 홀(111)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미세도관(110)은 가늘고 유연한 합성수지 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사이드 홀(111)이 형성되는 부분을 포함하여 전 구간에 걸쳐 그 내부공간이 연통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시술 대상자의 혈관에 본원의 마이크로카테터(100)가 삽입되더라도, 혈액이 내부공간을 따라 흐르도록 하여, 시술 대상자의 체내 혈류 흐름이 원활하게 유지될 수 있다.
미세도관(110)의 직경은 제 1 가이드 와이어(120) 및 제 2 가이드 와이어(130)가 통로(112)를 통해 이동할 수 있도록 제 1 가이드 와이어(120) 및 제 2 가이드 와이어(130)의 직경보다 크게 구비되며, 미세도관(110)은 미세도관(110)이 통과하는 혈관에 손상을 입히지 않을 정도의 유연하면서도 혈관에 지지될 수 있는 소정의 강도를 갖는 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미세도관(110)의 길이는 마이크로카테터 삽입 시술자의 체내의 목표 지점(예를 들면, 분지 혈관부)까지 도달하기에 충분한 길이로 결정될 수 있다.
또한, 제 1 가이드 와이어(120)는, 근위 단부(114)로부터 통로(112)를 따라 원위 단부(113)를 향하여 삽입된 제1 상태의 제공이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달리 말해, 상기 제 1 상태는, 미세도관(110)의 근위 단부(114)로부터 원위 단부(113)를 향하여 형성된 통로(112)(달리 말해, 가이드 와이어가 출입하는 루멘)을 따라 제 1 가이드 와이어(120)가 삽입된 상태이며, 삽입 정도에 따라, 제 1 가이드 와이어(120)의 일단은 미세도관(110)의 통로(112)를 벗어나 원위 단부(113)로부터 돌출될 수 있다.
또한, 제 2 가이드 와이어(130)는, 일단이 사이드 홀(111)을 통해 돌출되도록 근위 단부(114)로부터 통로(112)를 따라 삽입된 제2 상태의 제공이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사이드 홀(111)은 제 2 가이드 와이어(130)가 관통하여 출입할 수 있도록 제 2 가이드 와이어(130)의 직경보다 크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사이드 홀(111)의 형상은 사이드 홀(111)이 형성된 미세도관(110)이 혈관 내부를 이동할 때, 혈관 내벽에 손상을 입히지 않도록 소정의 곡률을 가지는 곡면(원형 또는 타원형을 포함) 형상으로 개구된 홀로 구비될 수 있다.
또한, 달리 말해 상기 제 2 상태는, 제 2 가이드 와이어(130)가 미세도관(110)의 통로(112)(달리 말해, 가이드 와이어가 출입하는 루멘)을 따라 삽입되어 진행하다가 사이드 홀(111)을 통과하여 전진 이동하여 그 일단이 미세도관 (110)의 중간 부분에서 사이드 홀(111)을 통해 돌출된 상태일 수 있다.
또한, 제 1 가이드 와이어(120) 및 제 2 가이드 와이어(130)는 시술 대상자의 체내에 삽입되기 때문에 인체에 무해한 소재로 이루어지고, 혈관 내에서 휘어질 수 있도록 플렉서블(flexible)한 재질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사이드 홀(111)은 미세도관(110)의 원위 단부(113)으로부터 소정의 거리만큼 이격된 위치의 통로(112) 내벽에 형성될 수 있으며, 실시예에 따라, 원위 단부(113)와 근위 단부(114) 사이에서 소정의 간격을 두고 미세도관(1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복수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 따라, 사이드 홀(111)은 통로(112)의 직경 방향을 따라 소정의 간격을 두고 복수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사이드 홀(111)의 가장자리에 사이드 홀(111)의 위치를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도록, 방사선 불투과성 물질로 형성되는 위치 표식(예를 들면, 마커)이 구비될 수 있다.
또한,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미세도관(110)은 제 1 가이드 와이어(120) 및 제 2 가이드 와이어(130)뿐만 아니라, 필요에 따라, 약물이 주입되는 통로로 활용되거나, 영상 촬영 시에는 광케이블 등이 이동되는 통로로 활용될 수 있다.
도 2는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이크로카테터가 적용되는 분지 혈관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분지 혈관부(20)는, 제 1혈관(21), 제 1혈관(21)의 일단으로부터 분지되는 제 2혈관(22) 및 제 3 혈관(23)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이크로카테터(100)가 적용되는 분지 혈관부(20)는 뇌동맥류(30)가 발생한 혈관부일 수 있다. 다만,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이크로카테터(100)가 적용되는 분지 혈관부(20)는, 뇌동맥류(30)가 발생한 혈관부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동맥벽이 약해지거나 동맥 안쪽의 압력이 증가하여 동맥의 일부가 팽창하여 형성된 동맥류가 형성된 혈관부에 폭넓게 적용될 수 있다. 예시적으로, 흉부대동맥, 복부대동맥 등에 형성된 동맥류(aneurysm)에 적용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뇌동맥류(30)는 분지 혈관부(20)의 분지점과 이웃한 위치(도 2 기준 분지점의 상측)에 위치할 수 있다. 또한,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뇌동맥류(30)는 기점과 이웃한 위치(도 2 기준 분지 혈관부(20)의 제 2 혈관(22) 또는 제 3 혈관(23) 중 어느 하나에 치우치게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설명의 편의를 위해, 뇌동맥류(30)가 위치하는 혈관이 제 2 가이드 와이어(130)가 삽입되는 제 3 혈관(23)이고, 분지되는 혈관 중 뇌동맥류(30)가 위치하는 혈관이 아닌 혈관이 제 1 가이드 와이어(120)가 삽입되는 제 2 혈관(22)일 수 있다.
도 3은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이크로카테터의 제 1 가이드 와이어 및 미세도관이 제 2혈관에 진입한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미세도관(110)은 상기 제 1상태에서 제 1 가이드 와이어(120)와 함께 제 1 혈관(21)으로부터 제 2 혈관(22)으로 뻗어나가게 배치될 수 있다.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 1 가이드 와이어(120)가 제어부(200)의 주행 제어에 의해 먼저 제 1 혈관(21)을 지나 제 2 혈관(22)에 배치된 후, 미세도관(110)이 제어부(200)에 의해 제 1 가이드 와이어(120)를 축으로 하여 유도되어 제 1 가이드 와이어(120)를 따라 이동한 후 원위 단부(113)로부터 소정의 길이만큼이 제 2 혈관(22)에 위치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미세도관(110) 및 제 1 가이드 와이어(120)는 사이드 홀(111)이 제 3 혈관(23)의 입구와 소정 이상 근접하게 위치하도록 하는 길이만큼 제 2 혈관(22)에 삽입될 수 있다. 또한,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어부(200)의 주행 제어에 의해 제 1가이드 와이어(120)와 미세도관(110)이 제 2 혈관(22)을 향하여 동시에 제 1 가이드 와이어(120)를 축으로 하여 함께 삽입될 수 있다.
도 4는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이크로카테터의 제 2 가이드 와이어가 사이드 홀을 통해 제 3혈관에 진입하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제 2 가이드 와이어(130)는 상기 제 2 상태에서 일단이 제 3 혈관(23)으로 뻗어나가게 배치될 수 있다.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 2 가이드 와이어(130)는 제어부(200)의 주행 제어에 의해 미세도관(110)의 근위 단부(114)로 삽입되어 미세도관의 통로(112)를 따라 이동(삽관)된 후 사이드 홀(111)을 통과하여 미세도관의 통로(112)를 벗어나 제 3 혈관(23)으로 뻗어나갈 수 있다.
제 1 가이드 와이어(120) 및 제 2 가이드 와이어(130)는 미세도관(110)에 형성된 하나의 통로를 따라 삽입되는 것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실시예에 따라 제 1 가이드 와이어(120)가 삽입되는 통로와 제 2 가이드 와이어(130)가 삽입되는 통로가 별도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제 1 가이드 와이어(120)가 삽입되는 통로(112)와 제 2 가이드 와이어(130)가 삽입되는 통로(112a)이 별도로 형성된 이중 내강(2 Lumen) 마이크로카테터가 개시될 수 있다. 달리 말해, 미세도관(110)은 제 1 가이드 와이어(120)가 삽관되는 제 1 내강 및 제 2 가이드 와이어(130)가 삽관되는 제 2 내강을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제 1 내강 및 상기 제 2 내강은 미세도관(110)에 형성된 구획 부재에 의해 구분되는 것일 수 있다.
도 5는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이크로카테터의 제 2 가이드 와이어가 제 3혈관에 진입 완료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제 2 가이드 와이어(130)가 소정 길이 이상 제 3 혈관(23) 측으로 삽입되면, 제어부(200)는 제 2 가이드 와이어(130)의 제 3 혈관(23)으로의 삽입을 중지할 수 있다.
도 6은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이크로카테터의 제 1 가이드 와이어가 제 2 혈관으로부터 제거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제 2 상태에서 제 2 가이드 와이어(130)의 일단이 제 3 혈관(23)으로 뻗어나가게 배치되고 나면, 제 1 가이드 와이어(120)가 제 2 혈관(22)으로부터 제거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200)는, 제 2 혈관(22) 측에 소정의 길이만큼 삽입된 미세도관(110)은 제 2 혈관(22)에 그대로 두고, 미세도관(110)의 제 2혈관(22)으로의 삽입을 유도한 제 1 가이드 와이어(120)가 제 2 혈관(22)으로부터 제거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200)의 주행 제어에 따라 제 1 가이드 와이어(120)는 미세도관(110)의 원위 단부(113)로부터 통로(112)를 따라 근위 단부(114)로 미세도관(1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후진 이동(제거)될 수 있다.
또한, 제 1 가이드 와이어(120)가 제거되고 나면, 상기 제 2 상태의 미세도관이 제 2 가이드 와이어(130)와 함께 제 3 혈관(23) 측으로 미리 설정된 거리만큼 전진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미리 설정된 거리는, 원위 단부(113)가 제 2 혈관(22) 측에 위치한 미세도관(110)의 중간 부분이 제 3 혈관(23) 측을 향해 구부러짐 변형되도록 하는 거리일 수 있다. 또한, 미세도관(110)은 분지 혈관부(20)의 혈관 내벽에 소정 이하의 압력을 가하면서 구부러질 수 있도록 가요성의 재질로 구비될 수 있다.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어부(200)는 미세도관(110)을 제 3 혈관(23) 측에 소정 길이 이상 삽입된 제 2 가이드 와이어(130)를 따라 이동하도록 제어하여, 미리 제 2 혈관(22) 측에 삽입된 미세 도관(110)의 적어도 일부가 제 3 혈관(23) 측을 향해 구부러짐 변형되도록 할 수 있고, 이 때, 구부러짐 변형되는 부분은 사이드 홀(111)에서부터 원위 단부(113)까지의 미세도관(110) 중 일부일 수 있다.
또한, 제어부(200)는, 제 3 혈관(23) 측으로 제 2 가이드 와이어(130)가 충분히 삽입된 경우, 제 2 가이드 와이어(130)를 따라 이동하도록 미세도관(110)을 전진 구동시켜 구부러짐 변형되도록 하거나, 제 3 혈관(23) 측으로 제 2 가이드 와이어(130)가 충분히 삽입되지 않은 경우, 제 2 가이드 와이어(130)와 미세도관(110)을 함께 전진 구동시킬 수 있다.
도 7은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이크로카테터의 제 2 가이드 와이어를 기반으로 미세도관이 전진함에 따라 제 3 혈관 측으로 구부러짐 변형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미세도관(110)은 구부러짐 변형되어 분지 혈관부(20)에 형성된 뇌동맥류(30)의 입구를 가로지르도록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뇌동맥류의 입구는 뇌동맥류(30)의 동맥류 낭의 경부 또는 목(neck) 부분을 지칭하는 것일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구부러짐 변형된 미세도관(110)의 사이드 홀(111)에서부터 원위 단부(113)까지의 미세도관(110)의 적어도 일부가 뇌동맥류(30)의 입구에 거치될 수 있다.
또한,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구부러짐 변형된 미세도관(110)은 분지 혈관부(20)에서 고리(loop) 형상을 형성하여 뇌동맥류 경부에 거치되는 것일 수 있다.
도 8은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부러짐 변형된 미세도관이 색전 코일을 지지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색전 코일(40)은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이크로카테터(100)를 이용하여 뇌동맥류(30)에 삽입될 수 있으며, 본원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별도의 색전 코일 삽입용 장치(예를 들면, 카테터)에 의해 뇌동맥류(30)에 삽입되는 것일 수 있다.
즉,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이크로카테터(100)의 미세도관(110)의 일부가 뇌동맥류(30)의 입구를 가로지르도록 배치되어 색전 코일(40)을 상측으로 지탱함으로써 뇌동맥류(30)에 삽입되는 색전 코일(40)의 모동맥으로의 이탈(예를 들면, 도면 기준 하측 방향으로 뇌동맥류 낭을 벗어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도 9는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이크로카테터가 색전 코일의 삽입 후 제거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를 참조하면, 색전 코일(40)이 뇌동맥류(30) 내에 삽입된 후 일정 수준 이상 자리를 잡은 것으로 판별되어, 더 이상 모동맥으로의 이탈 염려가 없는 것으로 판단되면, 색전 코일(40)의 삽입 시 색전 코일(40)을 지지하던 마이크로 카테터(100)를 코일 색전술 대상자의 체내(구체적으로, 분지 혈관부(20))로부터 제거할 수 있다. 즉, 코일 색전술에 보조적으로 활용되는 스텐트와 달리,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이크로카테터(100)는 시술 대상자의 체내에 영구적으로 남지 않으면서도 색전 코일(40)이 뇌동맥류 내에 자리 잡는 동안 색전 코일(40)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으며, 이에 따라, 스텐트 보조술과 대비하여 혈전 발생에 의한 혈관 폐색이 발생할 염려가 없으며, 시술 대상자가 추가적인 항 혈소판제제를 복용할 필요가 없어지는 이점이 있다.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어부(200)는 마이크로 카테터(100)에 구비된 센서(미도시) 또는 별도로 체내에 삽입된 센서 등에 의해 뇌동맥류(30)에 유입되는 혈액량을 측정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200)는, 측정 결과에 기초하여 색전 코일(40) 삽입 후 뇌동맥류(30)에 유입되는 혈액량이 소정 수준 이하인 경우, 색전 코일(40)이 뇌동맥류(30)에 견고히 자리 잡아 마이크로카테터(100)에 의한 색전 코일(40) 지지가 더 이상 필요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하여, 마이크로 카테터(100)가 분지 혈관부(20)로부터 제거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도 10은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지 혈관부에 적용되는 마이크로카테터를 이용한 색전 코일 지지 방법의 동작흐름도이다.
도 10에 도시된 분지 혈관부에 적용되는 마이크로카테터를 이용한 색전 코일 지지 방법은 앞서 설명된 분지 혈관부에 적용되는 마이크로카테터(100) 및 제어부(200)에 의하여 수행될 수 있다. 따라서, 이하 생략된 내용이라고 하더라도 분지 혈관부에 적용되는 마이크로카테터(100) 및 제어부(200)에 대하여 설명된 내용은 분지 혈관부에 적용되는 마이크로카테터를 이용한 색전 코일 지지 방법에 대한 설명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도 10을 참조하면, 단계 S1010에서 제어부(200)는, 제 1가이드 와이어(120) 및 미세도관(110)이 제 2혈관(22)에 진입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단계 S1010에서 제어부(200)는, 제 1상태에서 제 1가이드 와이어(120)와 함께 미세도관(110)이 제 1혈관(21)으로부터 제 2혈관(22)으로 뻗어나가게 배치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 1 상태는, 제 1 가이드 와이어(120)가 미세도관(110)의 근위 단부(114)로부터 통로(112)를 따라 원위 단부(113)를 향하여 삽입된 상태를 의미할 수 있다.
다음으로, 단계 S1020에서 제어부(200)는, 제 2 가이드 와이어(130)가 제 3혈관(23)에 진입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단계 S1020에서 제어부(200)는, 제 2상태에서 제 2가이드 와이어(130)의 일단이 제 3혈관(23)으로 뻗어나가게 배치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 2 상태는, 제 2가이드 와이어(130)의 일단이 미세도관(110)의 근위 단부(114)와 원위 단부(113) 사이에 연장된 통로(112) 중간의 내벽에 형성된 사이드 홀(111)을 통해 돌출되도록 삽입된 상태를 의미할 수 있다.
다음으로, 단계 S1030에서 제어부(200)는, 진입된 제 1 가이드 와이어(120)가 제거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다음으로, 단계 S1040에서 제어부(200)는, 미세도관(110) 및 제 2가이드 와이어(130)를 제 3혈관(23) 측으로 전진시켜 미세도관(110)이 뇌동맥류(30)의 입구를 지지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단계 S1040에서 제어부(200)는, 제2 상태의 미세도관을 제2 가이드 와이어(130)와 함께 제3 혈관(23) 측으로 미리 설정된 거리만큼 전진시키고, 미세도관(110)이 구부러짐 변형되어 분지 혈관부(20)에 형성된 뇌동맥류(30)의 입구를 가로지르도록 배치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미리 설정된 거리는, 원위 단부(113)가 제2 혈관(22) 측에 위치한 미세도관(110)의 중간 부분이 제3 혈관(23) 측을 향해 구부러짐 변형되도록 하는 거리를 의미할 수 있다.
다음으로, 단계 S1050에서 제어부(200)는, 뇌동맥류(30)에 색전 코일을 채워넣을 수 있다.
다음으로, 단계 S1060에서 제어부(200)는, 분지 혈관부(20)로부터 마이크로 카테터(100)가 제거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단계 S1060에서 제어부(200)는, 뇌동맥류(30)에 유입되는 혈액량을 측정하고, 측정 결과에 기초하여 색전 코일(40) 삽입 후 뇌동맥류(30)에 유입되는 혈액량이 소정 수준 이하인 경우, 마이크로카테터(100)가 분지 혈관부(20)로부터 제거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술한 설명에서, 단계 S1010 내지 S1060은 본원의 구현예에 따라서, 추가적인 단계들로 더 분할되거나, 더 적은 단계들로 조합될 수 있다. 또한, 일부 단계는 필요에 따라 생략될 수도 있고, 단계 간의 순서가 변경될 수도 있다.
본원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분지 혈관부에 적용되는 마이크로카테터를 이용한 색전 코일 지지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기된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또한, 전술한 분지 혈관부에 적용되는 마이크로카테터를 이용한 색전 코일 지지 방법은 기록 매체에 저장되는 컴퓨터에 의해 실행되는 컴퓨터 프로그램 또는 애플리케이션의 형태로도 구현될 수 있다.
전술한 본원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원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원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원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원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마이크로카테터
110: 미세도관
111: 사이드 홀
112: 통로
113: 원위 단부
114: 근위 단부
120: 제 1 가이드 와이어
130: 제 2 가이드 와이어
200: 제어부
20: 분지 혈관부
21: 제 1 혈관
22: 제 2 혈관
23: 제 3 혈관
30: 뇌동맥류
40: 색전 코일

Claims (14)

  1. 분지 혈관부에 적용되는 마이크로카테터로서,
    개구된 근위 단부로부터 개구된 원위 단부로 연장되는 통로를 형성하는 튜브 형상이고, 상기 통로 중간의 내벽에 상기 통로의 내부 공간과 외부 공간을 연통시키는 사이드 홀이 형성된 미세도관;
    상기 근위 단부로부터 상기 통로를 따라 상기 원위 단부를 향하여 삽입된 제1 상태의 제공이 가능한 제1 가이드 와이어; 및
    일단이 상기 사이드 홀을 통해 돌출되도록 상기 근위 단부로부터 상기 통로를 따라 삽입된 제2 상태의 제공이 가능한 제2 가이드 와이어를 포함하는 마이크로카테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분지 혈관부는, 제1 혈관, 상기 제1 혈관의 일단으로부터 분지되는 제2 혈관 및 제3 혈관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상태에서 상기 미세도관은 상기 제1 가이드 와이어와 함께 상기 제1 혈관으로부터 상기 제2 혈관으로 뻗어나가게 배치되고,
    상기 제2 상태에서 상기 제2 가이드 와이어는 일단이 상기 제3 혈관으로 뻗어나가게 배치되는 것인, 마이크로카테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상태에서 상기 제2 가이드 와이어의 일단이 상기 제3 혈관으로 뻗어나가게 배치되면, 상기 제1 가이드 와이어가 제거되는 것인, 마이크로카테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가이드 와이어가 제거되면, 상기 제2 상태의 미세도관이 상기 제2 가이드 와이어와 함께 상기 제3 혈관 측으로 미리 설정된 거리만큼 전진되는 것인, 마이크로카테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미리 설정된 거리는, 원위 단부가 상기 제2 혈관 측에 위치한 상기 미세도관의 중간 부분이 상기 제3 혈관 측을 향해 구부러짐 변형되도록 하는 거리인 것인, 마이크로카테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미세도관은 상기 분지 혈관부의 혈관 내벽에 소정 이하의 압력을 가하면서 구부러질 수 있도록 가요성의 재질로 구비되는 것인, 마이크로카테터.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미세도관은, 구부러짐 변형되어 상기 분지 혈관부에 형성된 뇌동맥류의 입구를 가로지르도록 배치되는 것인, 마이크로카테터.
  8. 분지 혈관부에 적용되는 마이크로카테터를 이용한 색전 코일 지지 방법으로서,
    상기 분지 혈관부는, 제 1 혈관, 상기 제 1혈관의 일단으로부터 분지되는 제 2혈관 및 제 3혈관을 포함하되,
    제어부가 제 1가이드 와이어 및 미세도관이 상기 제 2혈관에 진입하도록 제어하는 단계;
    상기 제어부가 제 2 가이드 와이어가 상기 제 3혈관에 진입하도록 제어하는 단계;
    상기 제어부가 진입된 상기 제 1 가이드 와이어가 제거되도록 제어하는 단계; 및
    상기 제어부가 상기 미세도관 및 상기 제 2가이드 와이어를 상기 제 3혈관 측으로 전진시켜 상기 미세도관이 분지 혈관부에 형성된 뇌동맥류의 입구를 지지하도록 제어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색전 코일 지지 방법.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뇌동맥류에 색전 코일을 채워넣는 단계; 및
    상기 제어부가 상기 분지 혈관부로부터 상기 마이크로카테터가 제거되도록 제어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인, 색전 코일 지지 방법.
  10.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가이드 와이어 및 미세도관이 상기 제 2혈관에 진입하도록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제어부가 제 1상태에서 상기 제 1가이드 와이어와 함께 상기 미세도관이 상기 제 1혈관으로부터 상기 제 2혈관으로 뻗어나가게 배치되도록 제어하는 것이되,
    상기 제 1 상태는,
    상기 제 1 가이드 와이어가 상기 미세도관의 근위 단부로부터 통로를 따라 원위 단부를 향하여 삽입된 상태인 것인, 색전 코일 지지 방법.
  11.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가이드 와이어가 상기 제 3혈관에 진입하도록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제어부가 제 2상태에서 상기 제 2가이드 와이어의 일단이 상기 제 3혈관으로 뻗어나가게 배치되도록 제어하는 것이되,
    상기 제 2상태는,
    상기 제 2가이드 와이어의 일단이 상기 미세도관의 개구된 근위 단부와 원위 단부 사이에 연장된 통로 중간의 내벽에 형성된 사이드 홀을 통해 돌출되도록 삽입된 상태인 것인, 색전 코일 지지 방법.
  12.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뇌동맥류의 입구를 지지하도록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제2 상태의 미세도관을 상기 제2 가이드 와이어와 함께 상기 제3 혈관 측으로 미리 설정된 거리만큼 전진시키는 단계; 및
    상기 미세도관이 구부러짐 변형되어 상기 분지 혈관부에 형성된 뇌동맥류의 입구를 가로지르도록 배치되도록 제어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미리 설정된 거리는, 원위 단부가 상기 제2 혈관 측에 위치한 상기 미세도관의 중간 부분이 상기 제3 혈관 측을 향해 구부러짐 변형되도록 하는 거리인 것인, 색전 코일 지지 방법.
  13.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뇌동맥류에 유입되는 혈액량을 측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마이크로카테터가 제거되도록 제어하는 단계는,
    측정 결과에 기초하여 색전 코일 삽입 후 상기 뇌동맥류에 유입되는 혈액량이 소정 수준 이하인 경우, 상기 마이크로카테터가 분지 혈관부로부터 제거되도록 제어하는 것인, 색전 코일 지지 방법.
  14. 분지 혈관부에 적용되는 마이크로카테터를 이용한 색전 코일 지지 방법으로서,
    상기 분지 혈관부는, 제 1 혈관, 상기 제 1혈관의 일단으로부터 분지되는 제 2혈관 및 제 3혈관을 포함하되,
    제어부가 제 1가이드 와이어 및 미세도관이 상기 제 2혈관에 진입하도록 제어하는 단계;
    상기 제어부가 제 2 가이드 와이어가 상기 제 3혈관에 진입하도록 제어하는 단계;
    상기 제어부가 진입된 상기 제 1 가이드 와이어가 제거되도록 제어하는 단계; 및
    상기 제어부가 상기 미세도관 및 상기 제 2가이드 와이어를 상기 제 3혈관 측으로 전진시켜 상기 미세도관이 분지 혈관부에 형성된 뇌동맥류의 입구를 지지하도록 제어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색전 코일 지지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매체.
KR1020200027820A 2020-03-05 2020-03-05 분지 혈관부에 적용되는 마이크로카테터 및 이를 이용한 색전 코일 지지 방법 KR2021011260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27820A KR20210112606A (ko) 2020-03-05 2020-03-05 분지 혈관부에 적용되는 마이크로카테터 및 이를 이용한 색전 코일 지지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27820A KR20210112606A (ko) 2020-03-05 2020-03-05 분지 혈관부에 적용되는 마이크로카테터 및 이를 이용한 색전 코일 지지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12606A true KR20210112606A (ko) 2021-09-15

Family

ID=777935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27820A KR20210112606A (ko) 2020-03-05 2020-03-05 분지 혈관부에 적용되는 마이크로카테터 및 이를 이용한 색전 코일 지지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10112606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290988B1 (en) Implant delivery assembly with expandable coupling/decoupling mechanism
US9737307B2 (en) Blood vessel occlusion
JP6388774B2 (ja) 拡張リングを備えた編組ステント及びその送達方法
JP4945714B2 (ja) 管路内に閉塞装置を供給して展開するためのシステム及び方法
US5925062A (en) Intravascular device
CA2652176C (en) Flexible vascular occluding device
JP3684242B2 (ja) 方向性カテーテル
CA2211512C (en) Aneurysm closure device assembly
US20020091355A1 (en) Compliant delivery catheter
US20140100646A1 (en) Method and devices for flow occlusion during device exchanges
US8491648B2 (en) Method and devices for flow occlusion during device exchanges
JP2013027592A (ja) 生体管腔閉塞装置
JPH11290330A (ja) 可変の剛性を有する抗延伸性塞栓コイル
KR20210112606A (ko) 분지 혈관부에 적용되는 마이크로카테터 및 이를 이용한 색전 코일 지지 방법
KR102123088B1 (ko) 분지 혈관부에 적용되는 마이크로카테터 및 이를 이용한 색전 코일 지지 방법
KR101703539B1 (ko) 가이드 카테터
JP2007319468A (ja) 動脈瘤塞栓術用カテーテル
US9532785B2 (en) Method and devices for flow occlusion during device exchanges
US20070288049A1 (en) Modified headpiece for hydraulic coil deployment system
US20230355255A1 (en) Methods and devices for treating vascular disease
RU2694333C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эмболизации кровеносного сосуда
KR20190138421A (ko) 수평으로 설치가능한 스텐트 유니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